[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13845B1 - 에이유(au) 단위의 애드/드롭 기능을 수행하는 에스티엠-4 신호처리기 - Google Patents

에이유(au) 단위의 애드/드롭 기능을 수행하는 에스티엠-4 신호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845B1
KR950013845B1 KR1019920026136A KR920026136A KR950013845B1 KR 950013845 B1 KR950013845 B1 KR 950013845B1 KR 1019920026136 A KR1019920026136 A KR 1019920026136A KR 920026136 A KR920026136 A KR 920026136A KR 950013845 B1 KR950013845 B1 KR 950013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m
aug
output
bo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6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370A (ko
Inventor
엄두섭
김재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20026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845B1/ko
Publication of KR940017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84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3WDM arrangements
    • H04J14/0307Multiplexers; De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57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89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SO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이유(AU) 단위의 애드/드롭 기능을 수행하는 에스티엠-4 신호처리기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STM-4 신호처리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신호처리기를 에이디엠(ADM)에 적용시킨 예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U1 : 광 송신부 U2 : STM-4 멀티플랙서부
U3 : 쓰루/루프백(Through/Loopback) 제어부
U4 : 쓰루/애드(Through/Add) 신호 선택부
U5 : 보드절체부 U6 : AU 포인터 조정부
U7 : STM-4 멀티플렉서부 U8 : 광 수신부
U9 : 수신클럭 추출부
본 발명은 동기식 다중 계위(SDH : Syncronous Digital Hierachy)의 네트워크 노드 인터페이스(NNI : Notwork Node Interface) 신호인 STM-4(Synchronous Transport Module-4) 신호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이유(AU) 단위의 애드/드롭 기능을 수행하는 에스티엠-4 신호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신호처리기는 단국형 다중장치에만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망구성에 따라 그 형태를 달리하며, 구성이 복잡하고 처리 속도가 느려, 전력손실이 크고 시스템이 불안정해 진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본적인 STM-4 프레임의 처리기능은 물론, AU(Administration Unit) 32단위 스위칭 기능을 두어, AU 32 단위의 애드(Add)/드롭(Drop)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에이유(AU) 단위 ADM이 가능한 에스티엠-4 신호처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기식 다중 계위(SDH)의 네트워크 노드 인터페이스(NNI) 신호인 STM-4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광으로 입력되는 STM-4 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시키는 광 수신 수단 ; 상기 광수신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STM-1 신호로 부터 클럭을 추출하는 수신클럭 추출 수단 ; 상기 광수신 수단 및 수신클럭 추출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수신 수단에서 입력되는 수신 STM-4 프레임과 수신클럭 추출수단에서 입력되는 수신클럭을 입력으로하여 프레임 동기를 시킨 후, 스프램블링하여 원래 STM-4 프레임을 복구하고, MSOH(Multiplexer Section Over Heard) 및 RSOH(Regenerator Section Over Head)를 추출하여 처리하며, 오버헤드를 처리하고 나서, AU32 단위로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디멀티플랙싱 수단; 상기 디멀티플랙싱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포인터 조정을 통하여 송신 AUG 신호와 수신 AUG 신호의 프레임 정렬을 수행하는 AU 포인터 조정수단 ; 상기 AU 포인터 조정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HSMB(High Speed Multiplexing Board) 보드를 절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보드절체 수단 ; 상기 AU 포인터 조정 수단 및 보드절체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보드절체 수단(U5)에서 출력되는 AUG 신호와 상기 AU 포인터 조정 수단(U6)에서 출력되는 AUG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AUG 신호를 AU32 단위로 분리한 후, 일대일 대응시켜 둘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쓰루/애드(Through/Add) 신호 선택 수단 ;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쓰루/애드 신호선택 수단(U4)의 출력과 다른 방향의 STM-4 신호처리기의 쓰루/애드 신호선택 수단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둘중 하나를 선택하고 한쪽 신호처리기의 출력을 전부 출력하는 쓰루/루프 백 제어 수단 ; 상기 쓰루/루프백 제어 수단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AUG 신호를 AU32 단위로 스위칭을 하고, MSOH(Multiplexer Section Over Heard) 및 RSOH(Regenerator Section Over Head)를 삽입한 후, 스크램블링을 하여 스크램 블링된 완전환 STM-4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플랙싱 수단 ; 및 상기 멀티플랙싱 수단에서 최종 형성된 스크램블링된 STM-4 신호를 광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 송신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STM-4 신호처리기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U1은 광 송신부, U2는 STM-4 멀티플랙서부, U3는 쓰루/루프백(Through/Loopback) 제어부, U4는 쓰루/애드(Through/Add) 신호 선택부, U5는 보드절체부, U6는 AU 포인터 조정부, U7은 STM-4 디멀티플랙서부, U8은 광 수신부, U9은 수신클럭 추출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STM-4 신호처리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의 본 발명에 의한 STM-4 신호처리기의 구성에서, 실제적인 STM-4 신호의 처리는 STM-4 멀티플랙서부(U2), 쓰루/루프백(Through/Lookback) 제어부(U3), 쓰루/애드 신호 선택부(U4), 보드절체부(U5), STM-4 디멀티 플랙서부(U7)에서 수행되며, 이 부분이 하나의 칩으로 집적화될 수 있다.
광 송신부(U1)는 STM-4 멀티플랙서(U2)에서 최종 형성된 스크램블링된 STM-4 신호를 광으로 변환하여 보내는 역활을 하고, 광수신부(U8)는 광으로 입력되는 STM-4 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수신클럭 추출부(U9)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STM-1 신호로 부터 클럭을 추출한다.
보드절체부(U5)는 HSMB(High Speed Multiplexing Board) 보드를 절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보드 절체부는 단국형에만 적용되며, 5개의 AUG 신호(AUG #1-AUG #P)를 송수신 쌍을 입출력하여 4 : 1 절체를 수행한다. 송신쪽 기능을 보면 AUG(T, W/E) #1-AUG(T, W/E) #P 까지 5개의 송신쪽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4개의 운용 채널 AUG(T, W/E) #1-AUG(T, W/EZ) #4 중 어느 하나에 장애 발생시 예비채널 AUG(T, W/E) #P 신호를 장애가 발생한 운영채널 대신 송신한다.
제 1 도에서 AUG(T, W/E)로 표시된 신호는 사실상 하나의 AUG 신호가 아니고 4개의 AUG 신호이다. 그리고, 운용채널들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운용채널들이 모두 출력되고 예비채널은 출력되지 않는다.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만 예비채널이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 대신 출력된다.
수신쪽은 송신쪽과 반대로 동작한다. 즉, AU 포인터 조정부(U6)의 출력인 4개의 AUG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 대신 전송된 운용채널 위치에 있는 예비채널을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과 예비채널로 동시에 출력시킨다. 보드 절체부(U5)의 송신 및 수신부분은 항상 연동되어 동작하여야 한다.
보드 절체부(U5)는 단국형에만 적용이 되고 ADM 형일 경우는 그대로 출력된다.
쓰루/애드(Through/Add) 신호 선택부(U4)는 ADM형 다중장치에만 적용이 된다. 단국형일 경우는 보드 절체부의 출력이 선택되어 그대로 출력된다. ADM형에서 신호선택부(U4)는 보드절체부(U5)에서 출력되는 4개 AUG 신호와 AU 포인터 조정부(U6)에서 출력되는 4개의 AUG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AUG 신호를 AU32 단위로 분리한 후, 일대일 대응시켜 둘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즉, 보드절체부(U5)에서 출력되는 4개의 AUG 신호를 AU32 단위로 분리하여 12개의 AU32 신호로 만들고, AU 포인터 조정부(U6)에서 출력되는 4개의 AUG 신호 역시 AU32 단위로 분리하여 12개의 AU32 신호로 만든다.
이들은 서로 일대일로 대응되므로, 상기 신호선택부(U4)는 총 12개의 2:1 멀티플랙서(MUX : Multiplexer)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2:1멀티플랙서(MUX)는 개별로 제어된다.
보드절체부(U5)에서 출력되는 AU32가 선택될 경우는 새로운 AU32신호가 STM-4 프레임에 삽입되는 것이고, AU 포인터 조정부(U6)에서 출력되는 AU32가 선택될 경우는 수신된 STM-4 프레임에서 추출된 AU32가 HSMB 보드에서 처리없이(Drop) 그대로 통과되는 경우이다.
쓰루/루프백(Through/Loopback) 제어부(U3)는 p311참조 양방향 선로절체를 하는 링으로 STM-4 신호를 전송으로 하는 망을 구성시 ADM형 다중장치에서 사용된다.
쓰루/애드 신호선택부(U4)의 출력의 하나는 같은 보드내에 있는 상기 쓰루 루프백 제어부(U3)로 입력되고, 다른 하나는 외부로 출력되어 다른 STM-4 신호처리 보드의 쓰루/루프백 제어부(U3)로 입력된다.
상기의 쓰루/루프백 제어부(U3)에서는 자기와 연결되어 있는 쓰루/앤드 신호선택부(U4)의 출력과 다른 방향의 STM-4 신호처리기의 쓰루/앤드 신호선택부(U4)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둘중 하나를 선택하여 한쪽 신호처리기의 출력을 전부 출력한다.
STM-4 멀티플랙서부(U2)에서는 입력되는 AUG 신호를 AU 신호분배기를 통하여 AU32 단위로 스위칭을 한후 STM-4 생성기를 통하여 MSOH(Multiplexer Section Over Heard) 및 RSOH(Regenerator Section Over Head)를 삽입한 후, 스크램블링을 하여, 광 송신부(U1)로 스크램 블링된 완전환 STM-4 신호를 출력한다.
STM-4 멀티플랙서부(U2) 및 STM-4 디멀티플랙서(U7)의 AU 신호분배기는 12×12의 스페이스 스위치(Space Switch)로 구성되어 있으며, ADM형 다중장치에서만 적용된다.
STM-4 디멀티플랙서(DEMUX)부 (U7)에서는 광 수신부(U8)에서 입력되는 수신 STM-4 프레임과 수신클럭 추출부(U9)에서 입력되는 수신클럭을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동기를 시킨 후, 스프램블링하여 원래 STM-4 프레임을 복구하고 나서, 상기 RSOH 및 MSOH를 추출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오버헤브를 STM-4 처리기에서 처리하고 나서, AU 신호분배기를 통하여 AU32 단위로 스위칭을 한 후, AU포인터 조정부(U5)로 출력한다.
AU 포인터 조정부(U6)에서는 포인터 조정을 통하여 송신 AUG 신호와 수신 AUG 신호의 프레임 정렬을 성취한다. 단국형 다중장치에서는 AU 포인터 조정부(U6)는 필요치 않다. 단국형 다중장치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쓰루/루프백(Through/Loopback) 제어부(U3), 쓰루/애드 신호 선택부(U4)와, STM-4 멀티플랙서부(U2) 및 STM-4 디멀티플랙서부(U7)의 AU 신호분배기는 항상 일정하게 고정되어 동작한다.
송신쪽에서는 보드절체부(U5)에서 출력되는 4개의 AUG 신호가 그대로 STM-4 멀티플랙서부(U2)로 입력되도록 쓰루/애드 신호선택부(U4) 및 쓰루/루프백 제어부(U3)를 제어하고, STM-4 멀티플랙서부(U2)의 AU 신호분배기 역시 들어온 AUG 신호가 그대로 STM-4 생성기에 입력되도록 제어된다. 수신쪽에서도 STM-4 디멀티플랙서부(U7)의 STM-4 처리기 출력이 AU 신호의 재배열 없이 그대로 통과 하도록 AU 신호분배기를 제어하고, 이 신호가 AU 포인터 조정부(U6)를 거치지 않고, 보드절체부(U5)에 입력되어 HSMB 보드로 출력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신호처리기를 에이디엠(ADM)에 적용시킨 예시도이다.
UPS(Unidirectional Pass Switch)링에 적용시에는 쓰루/루프백제어부가 항상 자기와 같은 보드에 있는 쓰루/애드 선택부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한다. 따라서 다른 방향의 STM-4 신호처리기(이하 NNIB-4로 칭함)와는 어떠한 상호 관계도 갖지 않는다.
상단에 있는 NNIB-B(NNIB-4 No.1)에서는 STM-4 디멀티플랙서부에서 동쪽(EAST) 방향에서 들어오는 STM-4 신호를 처리한 후, AU 신호 분배기를 통하여 드롭될 AU32 채널(실장되어 있는 HSMB 보드로 가야할 AU32 채널)을 연결되어 있는 HSMB 보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칭 한 후, AU 포인터 조정부에서 포인터 재조정을 한다. 한편, 서쪽(WEST) 방향에서 입력되는 STM-4 신호역시 상기 동쪽(EAST) 방향 STM-4 신호와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양쪽에 있는 AU 신호분배기는 항상 동일하게 제어된다. AU 포인터 조정부에는 동일한 시스템 프레임 기준 클럭(8KHz)이 입력되어야만 양방향의 AUG 신호들이 프레임 정렬이 될 수 있다.
양쪽의 AU 포인터 조정부에서 프레임에 정렬되어 출력되는 AU32 채널들은 선로상에 이상이 없을 경우는 동일한 신호이다.
그러므로, 어느 한방향의 AU32 채널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HSMB 보드에서 다른 방향에 있는 AU32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중단 없이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다. 따라서, 양쪽 NNTB-4 보드 모두에 연결되어 있는 HSMB 보드에서는 두방향의 AUG 신호 모두를 입력한 후, AU32 채널 단위로 임의 방향의 AU32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하며, 이 기능을 하는 곳이 제 2 도 상단에 있는 HSMB상에 있는 PS(Pass Switch) 부분이다.
쓰루/애드 선택부에서는 일단 AU 포인터 조정부에서 출력되는 AUG 신호를 전부 입력하여 드롭(Drop)되지 않는 AU32 채널(쓰루되는 AU32 채널)은 선택하여 출력시키고, 드롭(Drop)되는 AU32 채널에 대해서는 HSMB 보드에서 드롭(Drop) 되는 AU32 채널에 대응하여 새로이 생성되는 AU32 채널(애드되는 AU32 채널)을 출력시킨다.
이때, 양쪽에 있는 쓰루/애드 선택기는 항상 동일하게 제어되며, HSMB 보드에서 출력되는 애드되는 AU32 채널 역시 양쪽 NNIB-4 보드에 동일하게 입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쪽에 있는 쓰루/애드 제어기는 보두 같은 보드내에 있는 쓰루/애드 선택부 출력을 선택한다. STM-4 멀티플랙서부(MUX에서는 AU 신호 분배기를 통하여 AU32 신호를 재배열시키고 나서, MSOH 및 RSOH를 처리한 후, 스크램블링하여 출력한다. UPS 링에서는 양방향의 링에 동일한 STM-4신호가 전송된다.
BLS(Bidirectional Line Switch)링에 적용시는 쓰루/루프백 제어기를 통하여 라인 스위칭(Line Switching)을 수행하게 된다.
양쪽 신호가 정상적일 경우에는 쓰루/루프백 제어기에서 다른 방향의 NNIB-4 보드에 있는 쓰루/애드 선택부 출력을 선택하도록 하고, 장애시에는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같은 보드내의 쓰루/애드 선택부 출력을 선택하여, 루프백(Loopback)이 되도록 하여 장애복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루프백이 같은 보드에서 수행이 됨으로써, 어느 한방향의 NNIB-4 보드가 탈장이 되어도 루프백을 통하여 서비스를 계속할 수 있는 것이다. 쓰루/애드 선택부에서는 같은 보드내에 있는 STM-4 멀티플랙서부(MUX)가 연결되어 있는 방향과 다른 방향에 대응되는 HSMB 보드에서 새로이 생성되는 AU32 채널을 애드(Add) 채널로 입력한다. 나머지 부분들의 동작은 UPS 링일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 및 동작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STM-4 신호처리기는 단국형 다중장치는 물론, 망구성에 상관없이 거의 모든 ADM 다중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대부분의 신호처리를 병렬로 수행함으로써 고속처리가 요구되는 회로의 구성을 최소화 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전력손실과 시스템 불안정 요소가 감소되는 효과 있다.

Claims (1)

  1. 동기식 다중 계위(SDH)의 네트워크 노드 인터페이스(NNI)신호인 STM-4(Synchronous Transport Module-4)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광으로 입력되는 STM-4 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시키는 광수신 수단(U8) ; 상기 광수신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STM-1 신호로 부터 클럭을 추출하는 수신클럭 추출 수단(U9) ; 상기 광수신 수단 및 수신클럭 추출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 수신 수단에서 입력되는 수신 STM-4 프레임과 수신클럭 출력수단에서 입력되는 수신클럭을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동기를 시킨 후, 스프램블링하여 원래 STM-4 프레임을 복구하고, MSOH(Multiplexer Section Over Heard) 및 RSOH(Regenerator Section Over Head)를 추출하여 처리하며, 오버헤드를 처리하고 나서, AU32 단위로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디멀티플랙싱 수단(U7) ; 상기 디멀티플랙싱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포인터 조정을 통하여 송신 AUG 신호와 수신 AUG 신호의 프레임 정렬을 수행하는 AU 포인터 조정 수단(U6) ; 상기 AU 포인터 조정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HSMB(High Speed Multiplexing Board) 보드를 절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보드절체 수단(U5) ; 상기 AU 포인터 조정 수단 및 보드절체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보드절체 수단(U5)에서 출력되는 AUG 신호와 상기 AU 포인터 조정 수단(U6)에서 출력되는 AUG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AUG 신호를 AU32 단위로 분리한 후, 일대일 대응시켜 둘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쓰루/애드(Through/Add) 신호 선택 수단(U4) ;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쓰루/애드신호선택 수단(U4)의 출력과 다른 방향의 STM-4 신호처리기의 쓰루/애드 신호선택 수단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둘중 하나를 선택하고 한쪽 신호처리기의 출력을 전부 출력하는 쓰루/루프 백 제어 수단(U3) ; 상기 쓰루/루프백 제어 수단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AUG 신호를 AU32 단위로 스위칭을 하고, MSOH(Multiplexer Section Over Heard) 및 RSOH(Regenerator Section Over Head)를 삽입한 후, 스크램블링을 하여 스크램 블링된 완전한 STM-4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플랙싱 수단(U2) ; 및 상기 멀티플랙싱 수단에서 최종 형성된 스크램블링된 STM-4 신호를 광으로 변환하여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 송신 수단(U1) ;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유(AU) 단위의 애드/드롭 기능을 수행하는 에스티엠-4 신호처리기.
KR1019920026136A 1992-12-29 1992-12-29 에이유(au) 단위의 애드/드롭 기능을 수행하는 에스티엠-4 신호처리기 Expired - Fee Related KR950013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136A KR950013845B1 (ko) 1992-12-29 1992-12-29 에이유(au) 단위의 애드/드롭 기능을 수행하는 에스티엠-4 신호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136A KR950013845B1 (ko) 1992-12-29 1992-12-29 에이유(au) 단위의 애드/드롭 기능을 수행하는 에스티엠-4 신호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370A KR940017370A (ko) 1994-07-26
KR950013845B1 true KR950013845B1 (ko) 1995-11-16

Family

ID=1934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6136A Expired - Fee Related KR950013845B1 (ko) 1992-12-29 1992-12-29 에이유(au) 단위의 애드/드롭 기능을 수행하는 에스티엠-4 신호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8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370A (ko) 1994-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01002A1 (en) Multiplex transmission apparatuses, multiplex transmission network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6130764A (en) Transmission apparatus in ring network
JP2988440B2 (ja) 端局装置
KR950013845B1 (ko) 에이유(au) 단위의 애드/드롭 기능을 수행하는 에스티엠-4 신호처리기
US5983294A (en) Synchronous cross-connect system with the function of ring network interworking using backplane interconnection
JPH098762A (ja) 中継装置
JPH09261210A (ja) 同期伝送システムの同期クロック分配方式
KR100256689B1 (ko) 분기 결합용 광전송 장치
EP1585242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ing clock and synchronization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lement
JPH09135228A (ja) 伝送装置
KR100256691B1 (ko) 임의 조합의 종속신호를 수용하는 광전송 장치
JP3331451B2 (ja) ディジタル信号伝送装置
JP3409234B2 (ja) アド・ドロップマルチプレクサ装置
CA2076996C (en) Transmission line switching devices capable of switching to a redundant system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ystem path
JP3397488B2 (ja) 同期/非同期網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2830787B2 (ja) Sdh同期通信装置
KR960014688B1 (ko) 단방향 경로 절체 스위칭에서 경로감시 장치
KR100223366B1 (ko) 데이터 통신채널 선택회로
JP2718543B2 (ja) 従属同期方式
JPH0661986A (ja) クロック切替方式
JP2720485B2 (ja) 副信号切替方式
JP2864703B2 (ja) 光伝送路の二重化方式
JPH02272848A (ja) 光信号分配選択装置
JP4572035B2 (ja) 光伝送システム
JP2871925B2 (ja) 折り返し試験伝送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411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111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