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6538B1 -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 시스템 및 대역 할당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 시스템 및 대역 할당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538B1
KR960016538B1 KR1019930029392A KR930029392A KR960016538B1 KR 960016538 B1 KR960016538 B1 KR 960016538B1 KR 1019930029392 A KR1019930029392 A KR 1019930029392A KR 930029392 A KR930029392 A KR 930029392A KR 960016538 B1 KR960016538 B1 KR 960016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rvice
control unit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670A (ko
Inventor
김우영
한미숙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양승택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양승택,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filed Critical 조백제
Priority to KR101993002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6538B1/ko
Publication of KR950022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53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04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ing fabrics
    • H04L49/105ATM switch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10Routing in connection-oriented networks, e.g. X.25 or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04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ing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 시스템 및 대역 할당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호제어 블럭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ATM 교환 시스템 입구에서의 예방적 폭주 제어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ATM 교환 시스템의 대역 할당을 이용한 폭주 제어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경로 및 대역 할당에 의한 호설정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시스템 호 데이타 제어블럭(SCDC : System Call Data control)
15 : 번호번역 제어블럭(NTC : Number Translation Control)
16 : 자기 루팅 스위치 제어블럭(SRSC : Self-Routing Switch Control)
17 : 호수락 제어블럭(CAC : Call Admission Control)
18 : 가입자 호 제어블럭(SCC : Subseriber Call Control)
19 : 중계선 서비스 제어블럭(TSC : Trunk Service Control)
20 : 다중 연결 서비스 제어블럭(MCSC : Multi-Connection Service Control)
21 : 다중 파티 서비스 제어블럭(MPSC : Multi-Party Service Control)
22 : 글로벌 안내 서비스 제어블럭(GASC : Global Announcement Service Control)
23 : 글로벌 다중 연결 서비스 제어블럭(GMCSC : Global Multi-Connection Service Control)
24 : 글로벌 다중 파티 서비스 제어블럭 (GMPSC : Global Multi-Party Service Control)
25 : 글로벌 비연결형 서비스 제어블럭(GCLSC : Global ConnectionLess Service Control)
26 : 폭주 제어블럭(CGC : ConGestion Control)
본 발명은 비동기 전달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 이하, 'ATM'이라 함) 교환 시스템의 각 노드에서 수행되어야 할 트래픽 제어기능중 가입자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제공하기 위하여 폭주를 제어하기 위한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 및 대역 할당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ATM 기술은 다양한 속도와 다양한 속성을 가지는 통신정보들을 통합적으로 53 옥텟의 셀단위에 의해 교환하며, 통계적 다중화를 통해 호설정시에 노드간의 링크에 할당된 논리채널번호를 근거로 가상 회선에 의해 망내를 고속으로 데이타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155.52Mb/s 이상의 회선속도로 동작된다.
따라서 시스템 구성은 다양한 통신 요구조건을 만족하면서 구조 및 제어가 용이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M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정보의 최대 발생속도 및 평균 발생속도, 버스트 지수, 버스트 구간의 평균 길이 등의 다양한 트래픽 특성을 나타내므로 ATM 망은 망 자원의 효율적인 운용과 서비스 요구 품질을 만족시켜 주기 위하여 트래픽의 변화를 예측하고, 폭주를 예방하는 등의 고도의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망의 입구에서부터 호 완료시까지 지속적으로 호 및 정보의 흐름을 호 수락제어, 우선 순위 제어등의 트래픽 제어기능을 수행하여 폭주 예방 및 폭주 발생시에는 폭주의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강건한 폭주 제어기능의 수행이 필요하다.
그런데, 기존의 호처리 기술은 주로 음성 및 저속 데이타를 처리하는 기능으로 망에 폭주가 발생되는 시점에 반응적으로 제어하는 기법을 사용하였으나 현대 사회는 정보 통신의 발전에 따라 고속 데이타 통신, 정지 화상, 동적 화상의 전송 서비스를 포함하는 고속 통신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통신망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통신 서비스의 욕루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트래픽 종류를 처리하기 위한 ATM 교환기술이 우리나라는 물론 선진 각국에서 연구중이다.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고속 데이타 통신, 정지화상, 동적 화상등의 전송 서비스를 포함하는 고속의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연구/개발중인 ATM 교환 시스템의 안정되고, 지속적인 서비스를 위하여 완전 분산형으로 시스템을 구성하여 폭주 발생의 예방 및 폭주발생시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를 만족시켜 주기 위하여 교환 시스템의 폭주상태를 예방 및 제어하기 위한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 및 대역 할당 방법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이루는 장치의 구성은, 억세스 스위치망 모듈(ASNM)과 사용자의 호처리를 위한 호처리부(CPP)와 가입자 정합 모듈(SIM)과 중계선 정합 모듈(TIM)로 이루어진 정합부(IP)와 일대일 서비스를 제어하는 가입자 호처리부(SCP)와 중계선 호처리부(TCP), 다중 접속관련(방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접속을 제어하는 브로드캐스팅 호처리부(BCP)와 시스템내의 억세스 교환 모듈(ASM)과 중앙 내부 연결 모듈(CIM) 사이의 링크 정합 모듈로서 내부 셀 포멧을 전담하여, IMI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링크 정합 모듈(LIM)과, 사용자망 정합/망노드 정합(UNI/NNI) 프로토콜 상의 신호 정보 셀을 종단시키고, 상기 가입자 호처리부(SCP), 중계선 호처리부(TCP), 브로드캐스팅 호처리부(BCP)와 함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SHP)를 구비하여 접선기능을 수행하는 억세스 교환 모듈(ASM) ; 상기 억세스 교환 모듈(ASM)과의 정보 전달을 위한 스위치와 시스템의 장애 검출 및 복구를 수행하는 운용 유지보수 프로세서(OMP), 시스템의 시각관리 및 시스템 동기관리를 수행하는 망동기 프로세서(NSP), 스위치망으로 단일 정보로 구성된 블럭킹이 없는 자기 루팅 스위치이며, 억세스 스위치망 모듈(ASNM)과의 내부 접속기(interconnector)로 사용되는 내부 연결망 모듈(ISNM)을 포함하는 중앙 내부 연결 모듈(CIM)을 구비한다.
또한, 시스템 호 데이타 제어부(SCDC), 번호번역제어부(NTC), 자기 루팅 스위치 제어부(SRSC), 호수락제어부(CAC), 가입자 호제어부(SCC), 중계선 서비스 제어부(TSC), 다중 연결 서비스 제어부(MCSC), 다중 파티 서비스 제어부(MPSC), 글로벌 안내 서비스 제어부(GASC), 글로벌 다중 연결 서비스 제어부(GMCSC), 글로벌 다중 파티 서비스 제어부(GMPSC), 글로벌 비연결형 서비스 제어부(GCLSC), 폭주 제어부(CGC)를 구비하는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대역 할당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호 데이타 제어부(SCDC)가 호제어 요구를 수신하면 접수된 신호 데이타를 시스템 호제어 데이타와 비교 분석하여 트래픽 특성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 상기 제 1 단계 수행 후, 신고된 트래픽 특성과 일치하면 해당 경로 연결 절차를 수행하고, 신고된 트래픽 특성과 다른 경우 망 입구에서의 버퍼링에 의해 일치하도록 셀의 망내로의 전송을 지연시킨 후, 다시 트래픽 특성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 상기 제 2 단계 수행후, 특성이 일치하지 않으면 셀을 폐기하여 망내로의 송출을 억제하고, 신고된 트래픽 특성과 일치하면 해당 경로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 경로 설정 완료된 호에 있어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서비스 요구에 대한 사용대역을 할당하는 경우 초기대역을 구분하여 트래픽 특성을 요구하고, 트래픽 종류에 따라 서비스 우선 순위가 높거나 일정 속도 트래픽 대역(가변 속도 트래픽 대역)의 임계치에서 가능하면 연결 수락하는 제 4 단계 ; 서비스 우선 순위가 높지 않거나 일정 속도 트래픽 대역(가변 속도 트래픽 대역)이고, 임계치내에서 불가하면 호 연결을 거절하여 가상 경로를 재할당하여 사용하거나, 폭주를 절체시키는 제 5 단계 ; 사용자의 호 요구시 호처리 프로세서에서 연결 수락 제어를 수행하고, 호수락 제어부로 경로 할당을 요구하고, 호수락 제어부는 가상 경로 및 가상 채널들에 대한 상태를 고려하여 서비스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발신측과 착신측에 대한 가상 경로와 가상 채널을 할당하여 발신측과 착신측의 호처리 프로세서로 통보하는 제 6 단계 ; 및 교환 시스템내의 발착신측 억세스 교환 모듈(ASM)과의 내부 신호용 채널을 통하여 스위치 망의 루팅 정보를 부착하고, 발착신측의 호처리 프로세서는 가상 경로 및 가상 채널로 통보하고, 스위치 망의 라우팅 정보를 부착한 후, 입출력 헤더 변환 테이블을 갱신하고, 정보를 전송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기본적으로 집선기능을 수행하는 억세스 교환 모듈(ASM : Access Switching Module)과 억세스 교환 모듈(ASM)간의 연결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내부연결 모듈(CIM : Central Interconnection Module)로 구성된 모듈화 구조를 가진다.
억세스 교환 모듈(ASM)은 최소한의 시스템 구성으로서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하며, 대규모 시스템에서 다수의 억세스 교환 모듈(ASM)은 일정한 집전비를 갖는 집선장치로서 동작하고, 중앙 내부연결 모듈(CIM)은 대용량 시스템을 위한 분배장치로서 스위칭 기능과 시스템 상태 관리를 위한 유지보수를 위해 동작한다.
억세스 교환 모듈(ASM)(1)은 단일 단(single stage)의 N×N 자기 루팅 스위치 모듈을 내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호처리를 위한 호처리부(CPP : Call Processor Part)(2)와 신호처리부(SHP : Signalling Handler Processor)(3) 및 가입자 정합 모듈(SIM : Subscriber Interface Module)과 중계선 정합 모듈(TIM : Trunk Interface Module)로 이루어진 정합부(IP : Interface Part)(4)로 구성되어 있다.
집선장치인 억세스 교환 모듈(ASM)은 블럭킹이 없는(non-blocking) 자기 루팅 스위치로서 시스템 구성에 따라 일정한 집선비를 갖는 집선장치 기능을 수행하며, 일대일 서비스는 SCP(5)/TCP(6)의 제어를 받고, 다중 서비스는 억세스 교환 모듈(ASM)의 BCP(7) 제어아래 접속을 이루는 억세스 스위치 망 모듈(ASNM : Access Switch Network Module)(8), 사용자망 정합(UNI : User Network Interface)과 망노드정합(NNI : Network Node Interface) 프로토콜상의 신호정보 셀을 종단시키고, SCP, TCP, BCP와 함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SHP), 사용자망 정합(UNI)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일반 가입자의 호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로서 가입자 정합회로와 함께 호 수락제어, 사용자/망 매개변수(parameter) 제어, 우선 순위제어, 폭주 제어등 전반적인 트래픽 제어를 수행하는 가입자 호처리부(SCP : Subscriber Call Processor), 망노드 정합(NNI)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망과의 호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로서 중계선 정합회로와 함께 입/출 중계(incomming/outgoing) 호에 대한 호 접속 제어를 수행하며, 망과의 정합에 필요한 기능을 관리하는 중계선 호처리부(TCP : Trunk Call Processor), 다중 접속 관련(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 접속을 제어하는 브로드캐스팅 호처리부(BCP : Broadcasting Call Processor), 시스템내의 억세스 교환 모듈(ASM)과 중앙 내부연결 모듈(CIM) 사이의 링크 정합 모듈로서 내부 셀 포멧을 전담하여, IMI(Inter Module Interface)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링크 정합 모듈(LIM : Link Interface Module)(9)로 구성된다.
중앙 내부연결 모듈(CIM)(10)은 억세스 교환 모듈(ASM)과의 정보 전달을 위한 스위치와 시스템의 장애 검출 및 복구를 수행하는 운용 유지보수 프로세서(OMP : 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11), 시스템의 시각관리 및 시스템 동기관리를 수행하는 망 동기 프로세서(NSP : Network Synchronization Processor)(12), 중앙 내부연결 모듈(CIM)의 스위치 망으로 단일 정보로 구성된 블럭킹이 없는 자기 루팅 스위치이며, 억세스 스위치 망 모듈(ASNM)과의 내부 접속기(interconnector)로 사용되는 내부 연결 스위치 망 모듈(ISNM : Interconneciton Switch Network Module)(13)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 분산형 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호제어 블럭 구성도로서, 시스템 장애발생시 가입자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면서 안정된 서비스를 지속하기 위하여 완전 분산형으로 억세스 교환 모듈(ASM)에 구성된 호제어를 위한 블럭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설정 요구가 접소되면 정합 기능으로부터 메타 시그널링(Meta signalling)이 처리되어 호제어의 시스템 호 데이타 제어블럭(SCDC : System Call Data Contraol)(14)으로 메시지가 전송된다.
SCDC 블럭(14)은 각 사용자 그룹의 데이타와 시스템의 데이타를 비교 분석한 후, 번호번역을 위하여 번호번역 제어블럭(NTC : Number Translation Control)(15)으로 메시지를 주며, NTC 블럭(15)은 발/착신 번호번역을 수행하여, 자기 루팅 스위치 제어블럭(SRSC : Self-Routing Switch Control)(16)으로 번호번역 결과를 통보한다.
자기 루팅 스위치 제어블럭(SRSC)(16)이 발/착신간의 스위치 경로와 가입자 정합 모듈(SIM) 또는 중계선 정합 모듈(TIM)내의 입출력 헤더 데이타를 분석하여, 호수락 제어블럭(CAC)(17)으로부터 대역을 할당받아 자국인 경우 가입자 호 제어블럭(SCC : Subscriber Call Control)(18), 타국인 경우 중계선 서비스 제어블럭(TSC : Trunk Service Control)(19)으로 처리를 통보하며, 다중 또는 방송형인 경우에는 다중 연결 서비스 제어블럭(MCSC : Multi-Connectrion Service Control)(20), 다중 파티 서비스 제어블럭(MPSC : Multi-Party Service Control)(21), 글로벌 안내 서비스 제어블럭(GASC : Global Announcement Service Control)(22), 글로벌 다중 연결 서비스 제어블럭(GMCSC : Globla Multu-Connection Service Control)(23), 글로벌 다중 파티 서비스 제어블럭(GMPSC : Global Multi-Party Service Control)(24), 글로벌 비연결형 서비스 제어블럭(GCLSC : Global ConnectionLess Service Control)(25)으로 통보하여 해당 자원을 할당받아 각 블럭의 고유기능을 수행한다.
각 블럭의 기능 수행중 시스템 또는 자원의 폭주가 되어 호제어 기능의 수행이 어려워지면 자기 루팅 스위치 제어블럭(SRSC), 호수락 제어블럭(CAC), 폭주 제어블럭(CGC : ConGestion Control)(26)이 연동하여 가입자 호의 등급에 따라 발신호 또는 착신호를 블럭킹(blocking)시키는 등의 반응적 폭주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망의 입구에서의 예방적 폭주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다.
정합 기능으로부터 메타 시그널링이 처리되어(27) 시스템 호 데이타 제어블럭(SCDC)으로 호제어 요구가 들어오면 SCDC 블럭은 시스템 호제어 데이타와 비교 분석하여 (28) 호원으로부터의 트래픽 발생 상황을 감시한다.
SCDC 블럭은 신고된 트래픽 특성(29)과 일치하면 해당 경로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며(30), 신고된 트래픽 특성과 다른 경우 망 입구에서의 버퍼링에 의해 일치하도록(31) 셀의 망내로의 전송을 지연시킨다(32).
SCDC 블럭은 전송을 지연시킨 후에도 특성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33) 셀을 폐기하여(34) 망내로의 송출을 억제한다.
즉, 호 발호시에 망에 대하여 호의 요구 품질인 허용 셀 폐기율, 전송지연의 평균, 분산 등을 나타내는 서비스 등급과 트래픽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폭주 발생 요소를 억제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예방적 폭주 제어를 위한 경로에 대한 대역 할당을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경로설정이 완료된 후에 있어 ATM 교환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에 대한 사용 대역을 할당해주기 위한 방법에는 요구 피크치 할당에 의한 방법과 통계적 다중화 방법에 의한 대역 할당 방법이 있으나, 폭주의 예방을 위하여 발신측과 착신측 사이의 연결 경로에 대한 대역 양과 연결 노드의 상태를 종합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해야 하므로 망 전체 자원 및 노드에 대한 관리 방안이 필요하며, 요구되는 서비스들의 연결 여부를 일정 속도 트래픽과 가변 속도 트래픽으로 분류하여 호 설정 요구시 연결을 수락할 것인지 거절할 것인지를 통계적 다중화 기법을 이용하여 적용한다.
우선, 망내에 수용된 총 대역을 ATM 트래픽에 대한 통계치를 이용하여 각 트래픽 특성에 따라 일정 속도 트래픽 대역(Cc)과 가변 속도 트래픽 대역(Cv)으로 분할하여 호 제어를 수행하며, 폭주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일정한 범위의 여유대역(Cp)을 할당한다(35).
광대역 종합정보 통신망(B-ISDN) 단말들은 메타 시그널링 절차를 통하여 할당된 신호를 가상 경로 및 가상 채널을 사용하여 망에게 트래픽 특성을 신고한다(36).
망은 신고된 트래픽 특성을 이용하여 트래픽의 종류가 일정 속도 트래픽인지 가변 속도 트래픽인지를 판별한다(37).
일정/가변속도 트래픽인 경우 일정/가변 속도 대역(Cc/Cv)내에서 서비스 요구 품질(QOS)이 신고된 매개변수(parameter)가 요구하는 통신 품질이 보증가능한 만큼의 망내 자원이 있는지를 망측에서 판단하여(38), 여유 대역이 존재하면 연결을 수락하고(43), 그렇지 않은 경우 망내의 여유 대역(Cp)을 통한 대역 확장 분석을 수행한다(39).
대역 확장가능성을 분석하여(40) 가능하면 연결을 수락하고(43), 그렇지 않은 경우 우선 순위를 비교 분석하여(41)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인 경우는 여유 대역내에서 할당 가능하면(42) 연결을 수락한다(43).
우선 순위가 높지 않은 서비스인 경우는 폭주의 예방을 위하여 연결을 거절하지만(44),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가 연결이 불가능하거나, 우선 순위가 낮은 서비스도 거절되는 횟수의 누적치를 계산하여(45) 일정한계치 이상 연결이 거절되면(46) 반응적 폭주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폭주상태에서는 서비스 저하가 발생하므로, 가능한 신속히 사용자에게 서비스 저하를 주지 않으면서 실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제어로서 자원의 재배치에 따라 실행하는 조치가 고려된다.
사용자 단말에 영향을 작게 주기 위해 가상 경로(VP : Virtual Path) 용량을 확장하는 방법으로 해당 가상 경로(VP)가 수용되어 있는 링크를 분석하여(47) 그 링크에 여유 용량의 가상 경로(VP)가 있으면 가상 경로(VP)를 재할당하여 사용하거나(48), 없으면 가상 경로(VP)의 용량을 분석하여(49) 여유가 있는 가상 경로(VP)에(50) 폭주가 검출된 가상 경로(VP)내의 몇개의 가상 채널(VC)을 타 폭주가 일어나지 않는 가상 경로(VP)로 수용하여 절체시킨다(51).
특히 링크가 잘리지 않을 정도의 순간적인 절단 전환이 기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예방적 폭주 제어를 위해 대역이 할당된 호의 설정을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신호 셀이 ATM 교환 시스템내에서는 신호 정보에 따라 이를 착신측으로 스위칭하기 위하여 루팅을 위한 부가적인 정보가 추가된 내부 셀 형태로 변환된다.
사용자의 호 요구시 호처리 프로세서(CPP)에서 연결 수락 제어를 수행하고, 호수락 제어블럭(CAC)으로 경로 할당을 요구한다(52).
호수락 제어블럭(CAC)은 가상 경로 및 가상 채널들에 대한 상태를 고려하여 서비스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발신측과 착신측에 대한 가상 경로와 가상 채널을 할당하여(53) 발신측과 착신측의 호처리 프로세서(CPP)로 통보한다(54,55).
교환 시스템내의 착신측 억세스 교환 모듈(ASM)과의 내부 신호용 채널을 통하여 스위치 망의 루팅 정보를 부착하고(56), 발신측의 호처리 프로세서(CPP)는 입력 가상 경로 식별자/입력 가상 채널 식별자(VPI1/VCI1)에 대한 입력 헤더 변환 테이블을 갱신하고(57), 출력측 호처리 프로세서(CPP)는 출력 헤더 변환 테이블을 출력 가상 경로 식별자/출력 가상 채널 식별자(VPIo/VCIo)로 갱신한다(58).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가상 채널 식별자(VCI1: Virtual Channel Identification incoming)를 갖는 셀들은 입력측 헤더 변환 테이블에 의해 루팅 정보를 갖는 내부 셀 구조로 변환된 후, 루팅 정보에 따라 착신측 집선단에 이르면, 출력 헤더 변환 테이블에 의해 출력 VPIo/VCIo를 갖는 외부 셀 구조로 변환되어 망으로 정보가 전송되어(59) 호가 설정된다.
통화로 설정 과정 동안에 망은 새로 발생한 통화 요구를 수락/거절할 것인지는 이 호에 대한 연결 경로상의 신규 호(60)를 서비스할 충분할 유휴 대역폭이 있는가는 상기 제3도의 예방적 폭주 제어를 수행하여 지속적으로 감시/결정하여, 현재 진행중인 호들과 신규 발생한 호의 통제적 특성을 감안하여 신규 호가 요구하는 대역 폭을 호수락 제어블럭(CAC)에서 계산하여야 한다.
또한, 서비스를 만족하기 위하여 각 사용자 그룹에 대한 자료를 호처리 블럭인 시스템 호 데이타 제어블럭(SCDC)에서 통계 분석하고, 국간 링크의 신설과 폐기, 각 링크상의 중계선 수, 각 중계선의 대역 폭 등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망에서의 폭주를 최소화 하여야 하며, 폭주 발생시 폭주 제어블럭(CGC)과 연동하여 폭주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폭주 발생으로 인한 시스템의 장애를 망의 입구에서부터 예방적으로 제어하며, 서비스의 향상을 위하여 대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폭주 발생을 예방하여 시스템 성능 향상 및 트래픽 제어 기능의 효과적인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5)

  1. 억세스 스위치망 모듈(ASNM : Access Switch Network Module)(8)과 사용자의 호처리를 위한 호처리부(CPP : Call Processor Part)(2)와 가입자 정합 모듈(SIM : Subscriber Interface Module)과 중계선 정합 모듈(TIM : Trunk Interface Module)로 이루어진 정합부(IP : Interface Part)(4)와 일대일 서비스를 제어하는 가입자 호처리부(SCP : Subscriber Call Processor)(5)와 중계선 호처리부(TCP : Trunk Call Processor)(6), 다중 접속 관련(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 접속을 제어하는 브로드캐스팅 호처리부(BCP : Broadcasting Call Processor)(7)와 시스템내의 억세스 교환 모듈(ASM : Access Switch Module)과 중앙 내부연결 모듈(CIM : Central Interconnection Modlue) 사이의 링크 정합 모듈로서 내부 셀 포멧을 전담하며, IMI(Inter Module Interface)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링크 정합 모듈(LIM : Link Interface Module)(9)과, 사용자망 정합/망노드 정합(UNI/NNI) 프로토콜상의 신호 정보 셀을 종단시키고, 상기 가입자 호처리부(SCP)(5), 중계선 호처리부(TCP)(6), 브로드캐스팅 호처리부(BCP)(7)와 함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SHP : Signalling Handler Processor)(3)를 구비하여 집선기능을 수행하는 억세스 교환 모듈(ASM : Access Switching Module)(1) ; 상기 억세스 교환 모듈(ASM)(1)과의 정보 전달을 위한 스위치와 시스템의 장애 검출 및 복구를 수행하는 운용 유지보수 프로세서(OMP : 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11), 시스템의 시각관리 및 시스템 동기관리를 수행하는 망동기 프로세서(NSP : Network Synchronization Processor)(12), 스위치 망으로 단일 정보로 구성된 블럭킹이 없는 자기 루팅 스위치이며, 억세스 스위치망 모듈(ASNM)과의 내부 접속기(interconnector)로 사용되는 내부 연결망 모듈(ISNM : Interconneciton Switch Network Module)(13)을 포함하는 중앙 내부 연결 모듈(CIM : Central Interconnection Module)(10)을 구비하는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교환 모듈(ASM)(1)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설정 요구가 접수되면 정합 기능으로부터 메타 시그널링(Meta signalling)이 처리된 후, 입력하여 각 사용자 그룹의 데이타와 시스템의 데이타를 비교 분석하는 시스템 호 데이타 제어부(SCDC : System Call Data Control)(14) ; 상기 시스템 호 데이타 제어부(SCDC)(14)에서 비교 분석된 데이타를 번호번역하는 번호번역 제어부(NTC : Number Translation Control)(15) ; 상기 번호번역 제어부(NTC)(15)로부터의 발/착신 번호번역 결과를 통보받아 발/착신간의 스위치 경로와 가입자 정합 모듈 또는 중계선 정합 모듈내의 입출력 헤더 데이타를 분석하는 자기 루팅 스위치 제어부(SRSC : Self-Routing Switch Control)(16) ; 대역 할당 블럭인 호수락 제어부(CAC : Call Admission Control)(17) ; 상기 호수락 제어부(CAC)(17)로부터 대역을 할당받아 자국인 경우 처리하는 가입자 호제어부(SCC : Subscriber Call Control)(18) ; 상기 호수락 제어부(CAC)(17)로부터 대역을 할당받아 타국인 경우 처리하는 중계선 서비스 제어부(TSC : Trunk Service Control)(19) ; 상기 호수락 제어부(CAC)(17)로부터 다중 또는 방송형인 경우 대역과 해당 자원을 할당받아 각 블럭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다중 연결 서비스 제어부(MCSC : Multi-Connection Service Control)(20), 다중 파티 서비스 제어부(MPSC : Multi-Party Service Control)(21), 글로벌 안내 서비스 제어부(GASC : Global Announcement Service Control) (22), 글로벌 다중 연결 서비스 제어부(GMCSC : Global Multi-Connection Service Control) (23), 글로벌 다중 파티 서비스 제어부(GMPSC : Global Multi-Party Service Control) (24), 글로벌 비연결형 서비스 제어부(GCLSC : Global ConnectionLess Service Control) (25) ; 및 상기한 각 블럭의 기능 수행중 시스템 또는 자원의 폭주가 되어 호제가 기능이 수행이 어려워지면 자기 루팅 스위치 제어부(SRSC)(16), 호수락 제어부(CAC)(17)과 함께 연동하여 가입자 호의 등급에 따라 발신호 또는 착신호를 블럭킹(blocking)시키는 반응적 폭주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폭주 제어부(CGC : ConGestion Control)(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 시스템.
  3. 시스템 호 데이타 제어부(SCDC)(14), 번호번역 제어부(NTC)(15), 자기 루팅 스위치 제어부(SRSC)(16), 호수락 제어부(CAC)(17), 가입자 호 제어부(SCC)(18), 중계선 서비스 제어부(TSC)(19), 다중 연결 서비스 제어부(MCSC)(20), 다중 파티 서비스 제어부(MPSC)(21), 글로벌 안내 서비스 제어부(GASC)(22), 글로벌 다중 연결 서비스 제어부(GMCSC)(23), 글로벌 다중 파티 서비스 제어부(GMPSC)(24), 글로벌 비연결형 서비스 제어부(GCLSC)(25), 폭주 제어부(CGC)를 구비하는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대역 할당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호 데이타 제어부(SCDC)(1)가 호제어 요구를 수신하면 접수된 신호 데이타를 시스템 호제어 데이타와 비교 분석하여 트래픽 특성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 상기 제 1 단계 수행후, 신고된 트래픽 특성과 일치하면 해당 경로 연결 절차를 수행하고, 신고된 트래픽 특성과 다른 경우 망 입구에서의 버퍼링에 의해 일치하도록 셀의 망내로의 전송을 지연시킨후, 다시 트래픽 특성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 상기 제 2 단계 수행후, 특성이 일치하지 않으면 셀을 폐기하여 망내로의 송출을 억제하고, 신고된 트래픽 특성과 일치하면 해당 경로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 경로 설정 완료된 호에 있어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서비스 요구에 대한 사용대역을 할당하는 경우 초기 대역을 구분하여 트래픽 특성을 요구하고, 트래픽 종류에 따라 서비스 우선 순위가 높거나 일정 속도 트래픽 대역(가변 속도 트래픽 대역)의 임계치에서 가능하면 연결 수락하는 제 4 단계 ; 서비스 우선 순위가 높지 않거나 일정 속도 트래픽 대역(가변 속도 트래픽 대역)이고, 임계치내에서 불가하면 호 연결을 거절하여 가상 경로를 재할당하여 사용하거나, 폭주를 절체시키는 제 5 단계 ; 사용자의 호 요구시 호처리 프로세서에서 연결 수락 제어를 수행하고, 호수락 제어부로 경로 할당을 요구하고, 호수락 제어부는 가상 경로 및 가상 채널들에 대한 상태를 고려하여 서비스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발신측과 착신측에 대한 가상 경로와 가상 채널을 할당하여 발신측과 착신측의 호처리 프로세서로 통보하는 제 6 단계 ; 및 교환 시스템내의 발착신측 억세스 교환 모듈(ASM)과의 내부 신호용 채널을 통하여 스위치 망의 루팅 정보를 부착하고, 발착신측의 호처리 프로세서는 가상 경로 및 가상 채널로 통보하고, 스위치 망의 라우팅 정보를 부착한 후, 입출력 헤더 변환 테이블을 갱신하고, 정보를 전송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대역 할당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초기 대역 구분후 트래픽 특성을 요구하여 트래픽 종류가 일정한 속도인가를 구분하는 단계 ; 일정 속도이면 일정 속도 트래픽 대역(가변 속도 트래픽)에서 품질 보증 가능한가를 조사하는 단계 ; 가능하면 연결 수락후 대기하고, 아니면 여유 대역을 확장하여 분석하고, 대역 확장이 가능하면 연결 수락후 대기하고 아니면 서비스 우선 순위가 높은가를 조사하는 단계 ; 서비스 우선 순위가 높거나 일정 속도 트래픽 대역(가변 속도 트래픽 대역)의 임계치에서 가능하면 연결 수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할당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우선 순위가 높지 않은 서비스인 경우는 폭주의 예방을 위하여 연결을 거절하지만,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가 연결이 불가능하거나, 우선 순위가 낮은 서비스도 거절되는 횟수의 누적치를 계산하여 일정 한계치 이상 연결이 거절되면 반응적 폭주 제어를 행하는 단계 ; 해당 가상 경로가 수용되어 있는 링크를 분석하여 그 링크에 여유 용량의 가상 경로가 있으면 가상 경로를 재할당하고, 또는 가상 경로의 용량을 분석하여 여유가 있는 가상 경로로 절체시키고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할당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
KR1019930029392A 1993-12-23 1993-12-23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 시스템 및 대역 할당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60016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392A KR960016538B1 (ko) 1993-12-23 1993-12-23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 시스템 및 대역 할당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392A KR960016538B1 (ko) 1993-12-23 1993-12-23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 시스템 및 대역 할당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670A KR950022670A (ko) 1995-07-28
KR960016538B1 true KR960016538B1 (ko) 1996-12-14

Family

ID=1937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392A Expired - Fee Related KR960016538B1 (ko) 1993-12-23 1993-12-23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 시스템 및 대역 할당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6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351B1 (ko) * 1995-08-24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트래픽측정에기초한비동기전송모듈망에서의동적호수락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670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35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data cells through an ATM architecture using quality of service data in a service control point
US6519257B1 (en) ATM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 for routing narrow band traffic
US6657958B1 (en) Bandwidth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697370B1 (en) Bandwidth control method of packet data in packet switching network and packet switching network system
US8547849B2 (en) ATM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 for routing narrow band traffic
US6781996B1 (en) System and method in an ATM switch for dynamically routing data cells using quality of service data
US6493344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KR960016538B1 (ko) 완전 분산형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 시스템 및 대역 할당에 의한 폭주 제어방법
JPH10229405A (ja) Atmスイッチおよび呼受付優先制御方法
Cooper et al. A reasonable solution to the broadband congestion control problem
KR100195058B1 (ko) Atm 교환기에 있어서 연결수락 제어방법
KR950012324B1 (ko) 부분 집중형 atm 교환 노드의 호설정 방법
KR0173206B1 (ko) 저대역폭 우선순위를 이용한 호 제어 방법
KR960009476B1 (ko) 완전 분산형 에이.티.엠(atm) 교환기의 폭주발생 위치에 따른 폭주제어방법
KR0150031B1 (ko) 호해제 메시지의 이유필드를 이용한 접속곤란 제어방법
EP1559247B1 (en) Concentrator for user aal2 traffic carried on ubr virtual channels
KR100241885B1 (ko) 에이티엠 교환망의 소프트 피브이씨 구현 방법
KR0153957B1 (ko)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에이티엠 전달 능력 정보를 이용한 호 제어 방법
KR100198446B1 (ko) 출중계 중계선에서 사용자-사용자 교환 가상 경로 연결의 제공방법
KR100265856B1 (ko) 망-망접면에서출중계호제어절차를이용한가상통로의제공방법
KR0153925B1 (ko) 비동기 전달방식 교환기에서의 지능적 셀폐기 방법
JP3163126B2 (ja) 広帯域交換ネットワーク
KR960011969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방식 교환시스팀의 내부 셀 포멧 구조
KR0129560B1 (ko) 비동기 전달 모드(atm) 방식 교환 시스템
KR0164123B1 (ko) 에이티엠 교환시스템에서 연결식별자의 할당 및 해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199912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1215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