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3264B1 -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 - Google Patents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264B1
KR960013264B1 KR1019930028946A KR930028946A KR960013264B1 KR 960013264 B1 KR960013264 B1 KR 960013264B1 KR 1019930028946 A KR1019930028946 A KR 1019930028946A KR 930028946 A KR930028946 A KR 930028946A KR 960013264 B1 KR960013264 B1 KR 96001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all
credit
retry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601A (ko
Inventor
김용범
홍선미
김태일
이형호
이충근
Original Assignee
양승택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30028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264B1/ko
Publication of KR950022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26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04M3/382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using authorisation code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4Arrangements for automatic re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5Broad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
제1도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의 구조도.
제2도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 내부 서비스 호처리 구조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처리 흐름도.
본 발명은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에서 수행되는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착신번호 재시도 기능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교환기는 단순한 음성 서비스만을 제공하였고, 현재는 교환기의 데이타 베이스(Data Base)를 활용하여 단순히 700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으나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서비스 요구가 발생하면 700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로 모든 호가 루팅되어 회선적체 현상이 빈전히 발생하였고, 또한 교환기 중심의 서비스만 제공하므로 다양한 서비스의 기능이 부족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이용자에게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의 제공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따라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를 조기에 확산 보급하여 고도정보화 사회의 조기 정착을 위한 기술적 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전화망, 종합정보통신망 등과 지능망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ervice Switching Point : 이하 SSP라 함)가 개발되었으며, 서비스 이용자 및 가입자에게 이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축번호 및 재시도 기능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개발된 신용통화 서비스에 새로운 기능인 단축번호 및 착신번호 재시도 기능 구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계선 점유/가입자의 후크 오프(Hook off)를 인지하면 R2/ DTMFR 신호장치 할당을 요구하고 발신 교환국/발신 가입자로부터 디지트를 수신하면 수집된 디지트를 가지고 호 종류를 판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호의 종류가 신용통화 서비스 호이면 발신번호와 발신등급을 구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비밀번호를 조회하여 적합한 비밀번호일 경우 착신번호를 입력받아 단축번호 또는 재시동 기능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단축번호 기능이 요구되는 경우, 수집된 디지트를 조회하여 등록된 단축번호일 경우 SCP로부터 실제 착신번호를 수집하여 착신측으로 루팅하여 통화를 진행시킴으로 단축번호의 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 수행후, 재시동 기능
이 요구되는 경우, 서비스 이용자에 의한 재시도와 착신 상태 비가용으로 인한 재시도의 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기존 전전자 교환기에 지능망 서비스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새로운 서브시스팀 ATHS(31) (응용 서비스 요소와 문답 처리 기능 응용부 수행 서브시스팀)와 ISS(35) (지능망 서비스 서브시스팀)을 추가한 SSP의 전체 구조도이다.
SSP는 기본적으로 CCS(10) (중앙 제어 서브시스팀), INS(20) (연결망 서브시스팀), ASS(30) (교환 서브시스팀)의 3개 서브시스팀을 구비한다.
CCS(10)는 시스팀의 총괄적인 MA(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시스팀으로서 시스팀 차원의 보전 관리, 장애 제어 관리, 진안 및 장애 처리 기능, 과금, 측정 및 통계, 운용자 정합등을 제공하고 보조 기억 장치인 디스크 및 마그네틱 테이프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INS(20)는 시스팀의 중간에 위치하며 ASS(30) 상호간 흑은 ASS(30) 와 CCS (10) 사이를 연결시 켜 주는 기 능을 수행 하며, 공간 스위 치 (S-switch)를 이용하여 ASS(30) 상호간 통화 경로를 구성하거나 가입자에게 녹음 안내 정보의 공급이나 다중호 연결 경로를 구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ASS(30)는 가입자 및 중계선 인터페이스, 타임 스위치 (T-switch), 각종 신호장치 등을 구비하여 대부분의 호처리 기능과 자체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등을 수행하며, 필요시 ASS(30) 단위로 증가시킬 수 있는 수평 분산 구조를 가지는데 INS(20)와의 전송 매체는 광 링크로 되어 있으며, 데이타 링크라 부른다.
또한 ISDN(종합 정보 통신망) 디지틀 가입자 인터페이스, SS No.7(No.7 신호 방식) 신호장치, Packet Handler(패킷 수행) 기능, 망연동 장치 기능 등을 구비하여 전전자 교환 시스팀이 ISDN에서의 교환 기능을 가능토록 한다. 원래 상태의 ASS(30)는 하나로 존재하지만 응용 단계에서는 ASS-S(가입자), ASS-T(트렁크), ASS-S/T(가입자/트렁크), ASS-7(SS No,7), ASS-P(패킷) 등의 소요조합이 나타날 수 있다.
새로이 추가되는 ATHS(31)는 지능망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어 시스팀 (Service Control Point : 이하 SCP라 함)과 통신하기 위한 SS No.7 프로토콜 기능을 수행 하는 서브시스팀 이고, ISS(35)는 특정지능망 서비스를 처리하는 기능, 서비스호에 관련된 과금 처리 기능, 트랙픽 제어 관리 및 서비스 교환기 유지보수 및 운용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SMHS(32) (신호 메시지 실행 서브시스팀)는 SS No.7에서 신호 유니트를 전달하기 위한 MTP(메시지 전달부)기능, SCCP(신호 연결 제어부)기능을 수행하며, LTAS(33) (라인과 트렁크 엑세스 서브시스팀)는 가입자 및 중계선 인터페이스의 감시, 제어, 시험 기능 등을 주로 수행하며 제어계는 부하분산 방식에 의해서 이중화 되어 있다. SSS(36) (신호 서비스 서브시스팀) 는 DTMFR (Dual Tone Multi-Frequency Receiver) , R2 MFC(Multi-Frequency Compelled), CCT(Continuity Clleck Tone) 및 각종 톤 신호를 발생하여 타임 스위치로 송출하는 기능 및 검출 기능을 수행하고, TCS(34) (트래픽 제어 서브시스팀)는 호의 전과정 즉, 호 성립, 호감시 및 절단 과정에 대한 모든 수행을 제어하고 총괄하는 기능을 가지고, TDIS(37) (전화 데이타망 서브시스팀)는 전화 교환망의 데이타 호와 망 연동 기능을 수행 한다. CSS (23) (중앙 교환 서브시스팀)는 T-S-T 스위치 구조중 공간 스위치가 위치하며 공간 스위치 연결 제어, 망 동기 기능과 ASS(30) 흑은 CCS(10)와의 데이타 링크 기능도 여기에 포함된다. INCS(21) (연결망 제어 서브시스팀)는 T-S-T스위치의 통화로 탐색, 연결 및 절단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호 추적 및 경로 설정과 같은 유지 보수 기능도 수행한다. NTCS(22) (번호번역 제어 서브시스팀)는 ASS(30)로부터 번호 번역 요청을 받고나서 해당 프로세서에 번호 번역 결과를 통보하며, 망 관리 기능을 위한 루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ASMS(38)(교환 유지 보수 서브시스팀), INMS(24) (연결망 유지 보수 서브시스팀), CCMS(13) (중앙 제어 유지 보수 서브시스팀) 등에서 수집된 각종 장애들은 CCS(10)의 OMCS(12) (운영 및 유지 제어 서브시스팀)에 보고된다. 이곳에서 장애의 등급을 판별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MMCS(11) (운용자-기계 통신 서브시스팀)를 통해 출력 메시지를 송출한다.
제2도는 SSP의 지능망 서비스 호처리 구조도로서, 발신 가입자가 후크 오프(Hook-Off : 이하 H/off라 함)하여 다이얼링한 지능망 서비스 요청 코드는 발신국에서 국번 번역 후 서비스 교환기로 루팅되어 전달된다.
SSP의 TU(3) (트렁크 유니트)에서 중계선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중계선의 상태 변화(즉, 입중계 트렁크 점유 요구)가 일어나거나 SSP의 ASU(3) (가입자 유니트)에서 가입자 상태를 감지하여 가입자 상태 변화가 일어나면 BCPP(2) (기본호 처리부)로 이를 보고한다. BCPP(2) 내부에서는 Signaling Conn. (6) (신호 연결)이 Speech Path Conn. (8) (통화로 연결)의 입중계선으로부터 디지트 및 필요한 정보를 받기위해 R2 장비 점유와 R2용 스위치 경로 연결을 Speech Path Conn. (8)로 요구 한다. Speech Path Conn.에서는 TSWU(4) (타임 스위치 유니트)가 신호 장치와 타임 스위치 (T-switch)를 연결하도록 요구를 하고, G/LSU(5) (글로벌과 로컬 서비스 유니트)로 R2 장비 점유 요구를 한다. 이때 신호 장비로부터 디지트를 받을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Signaling Conn. (6)으로부터 통보받는다. R2신호는 TU(3)와 TSWU(4)를 거쳐서 G/LSU(5)로 전달된다. 전달된 R2 신호는 G/LSU(5)에서 디지트를 검출하여 Digit deception(7) (디지트 수신기)으로 디지트를 전송한다. Digit Reception(7)에서는 지능망 서비스를 인지하여 착신과금 서비스, 신용통과 서비스 등에 해당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추가로 디지트 및 필요 정보를 Signaling Conn. (6)으로 요구한다. 디지트 및 필요 정보를 모두 수집한 다음 ISCP(1)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로 특정 지능망 서비스(착신과금 서비스, 신용통화 서비스 등)임을 통보한다.
ISCP(1)에서는 발신 번호와 발신 등급 등의 정보를 BCPP(2)로 요구하고 그 정보를 수신 받는다. ASS-S/ T(100)의 BCPP(2)는 ISCP(1)와 발신측으로 착신 상태를 통보(B7)하고 R2 경로 절단과 통화로 연결을 요구 한다. ISCP(1)의 Control @ Analysis(9) (제어와 분석)는 각종 트리거 테이블을 이용하여 지능망 서비스호 를 분석하여 서비스를 식별, 판단하고, 서비스 요구의 타당성과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검사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면, 서비스 제어 시스팀에서 적격 검사 및 루팅 정보 번역을 수행하도록 착신과금 서비스일 경우에는 FP-ASE(10) (착신과금 응용 서비스 요소)에게, 신용통과 서비스일 경우에 는 CC-ASE(11) (신용통화 서비스 요소)에게 정보를 전달한다. ASE는 ISCP의 Control @ Analysis로부터 받은 정보로 오퍼레이션을 발생시키고 이에 대한 컴포넌트를 구성하여 TCAP(13)으로 전달한다. TCAP(13)은 FP-ASE(10)나 CC-ASE(11)로 부터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TCAP(13) 메시지를 구성하여 ASS-7(101)의 BCPP(15)로 전달한다.
ASS-7(101)의 BCPP(15)는 SS No.7의 SCCP(23) (신호 연결 제어부), MTP(22) (메시지 전달부)를 처리 하는 부분으로서 ISCP(1)로부터 받은 TCAP(13) 메시지를 서비스 제어 시스팀으로 전달한다. 이때 서비스 교환기와 서비스 제어 시스팀간의 신호 데이타 링크는 MTP(22) 여구에 의해 BCPP(2)의 Speech Path Conn. (8)이 형성한 T-S-T(16-17-20) 형태의 Nailed-up Path(지정 경로)를 이용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어 시스팀으로부터 결과를 받아 TCAP(13) 메시지를 ISCP(1)로 전달한다. 서비스 제어 시스팀으로부터 받은 TCAP(13) 메시지의 오류 및 트랙잭션 상태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컴포넌트를 구성하여 FP-ASE(10) 또는 CC-ASE(11)로 전달한다. FP-ASE(10) 또는 CC-ASE(11)는 오퍼레이션 및 에러 정의를 참조하여 TCAP(13)으로부터 받은 컴포넌트의 파라미터에 대한 해독 기능등을 수행하고, 해독된 정보를 Control @ Analysis(9)로 전달한다. Control @ Analysis(9)는 FP-ASE(10) 또는 CC-ASE(11)로부터 받은 정보들을 분석하여 지능망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면 BCPP(2)로 서비스호 연결을 요구한다.
ASS-S/T(100)내에 있는 BCPP(2)에서 실제 착신 번호를 받고 INS(102)내에 있는 BCPP(21)로 번호와 루트 번역을 요구한다. INS(102)에서 번호 번역을 하여 ASS-S/T(100)로 번호 번역 결과를 통보하고 착신측 점유를 요구한다. 그리고 INS(102)내의 공간 스위치(17)를 이용하여 통화로를 형성한다. 발신측으로 링벡톤(Ring Back Tone) 연결을 요구하고 착신측으로 링 (Ring)을 연결한다. 착신측에서 응답 통보를 수신하여 발신측으로 이 사실을 통보하고 착신 응답 통보를 ISCP(1)에게 알려준다. 지능망 서비스 통화중에 발신 가입자가 후크 온(Hook-On : 이하 H/on라 함)하여 발신측에서 착신측으로 전방향 복구 신호를 보내면, 착신측에서 전방향 복구신호를 인지하여 ASS-S/T(100)의 BCPP(2)로 중계선 전방향 절단요구를 보낸다. ASS-S/T(100)의 BCPP(2)는 ISCP(1)로 착신과금 서비스 해제를 요구하고 발신 가입자 통화로의 S/T-Switch(4, 17)를 절단하고 착신측 ASS-T (104)의 BCPP(18)로 발신측 절단 통보를 보내고 끝난다. 착신측 ASS-T (104)의 BCPP(18)에서도 타임 스위치(20)를 절단하고, ISCP(1)는 과금 정보를 CCS(103)로 보내 과금 처리를 하도록 한다.
제3도는 전전자 교환 SSP의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기능을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에 의해 지능망 서비스호가 요구되었을 때(301), 가입자 발신 요구 또는 중계선 점유 요구가 수신(302)되면 발신측 신호장치를 할당(3)하여 디지트를 수집한다(304). 수집된 디지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인지 및 번호 번역(305)을 수행하여 호종류를 판단한다. 호의 종류가 일반호인 경우 일반 호처리(306) 과정을 수행 하고 호를 종료(307)한다. 지능망 서비스 호인 경우 지능망 서비스 관련 정보가 저장된 데이타 베이스에서 지능망 서비스 번호를 이용하여 지능망 서비스의 종류를 판별하는데 검색된 지능망 서비스 번호와 수집된 디지트(304)를 비교하여 요구된 서비스 종류를 판단(308)한다. 서비스 종류가 착신과금 서비스인 경우 착신과금 서비스 호처리 과정 (309)을 수행하고 호를 종료(310)하고, 신용통화 서비스인 경우 추가로 발신국으로부터 신용 번호를 수신(311)하며 ISCP(제2도의 1)로 신용통화 서비스를 요구(312)한다. ISCP(제2도의 1)로부터 발신 번호 및 발신등급을 요구(313)받아 발신번호를 발신국으로 요구(314)하고 발신번호를 수신(315)하며, 발신등급을 발신국으로 요구(316)하고 발신등급을 수신(317)한바. 서비스 처리에 관한 정보를 SCP로 요청하기 위하여 수신된 발신번호 및 발신등급을 ISCP(제2도의 1)로 보내고(318) ISCP(제2도의 1)로부터 비밀번호 요구(319)를 수신하여 G/LSU(제2도의 5)로 DTMFR 연결요구(320) 및 비밀번호 입력 안내방송 연결 요구(321)를 전송하여 안내방송이 송출(322)되도록 한다. 가입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수신(323)하여 ISCP(제2도의 1)로 비밀번호를 통보(324)하고 ISCP(제2도의 1)는 이 메시지를 ASE(제2도의 12), TCAP(제2도의 13) 프로토콜 처리를 통하여 SS No.7망을 통하여 SCP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을 발생(325)하도록 한다.
서비스 제어 시스팀에서는 신용통과 서비스 처리에 관한 정보를 SS No.7프로토콜 처리 절차를 거쳐 SSP로 보내게 되고 신용통화 서비스에 대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에 대한 응답을 수신(326)하여 신용 번호가 존재(327)하지 않은 경우 이용자에게 미등록 신용 번호 안내방송을 송출(328)하고 발신선의 후크 온(H/on(329)을 통하여 호를 종료(330)한다.
신용 번호가 존재(327) 하는 경우 적합한 비밀번호 여부를 판단(331) 하여 부적 합한 경우 이용자에게 비밀번호 부적합 안내방송을 송출(332)하고 발신선의 H/on(333)을 통하여 호를 종료(334)한다. 비밀번호가 적합한 경우 ISCP(제2고의 1)로부터 착신번호 요구를 수신(335)하여 G/LSU(제2도의 5)로 착신번호 입력 안내방송 연결 요구(336)를 전송하여 안내방송이 송출(337)되도록 한다. 가입자로부터 착신번호를 수신(323)하여 단축번호인 경우 단축번호 기능(339)을 수행하고, 재시도인 경우 재시도 기능(340)을 수행한다.
이하 단축번호 기능과 재시도 기능으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축번호 기능(339)은 수집된 디지트 갯수를 비교(401)하여 수집된 디지트 갯수가 2보다 많을 때는 추가 디지트를 수집(402)하고, ISCP로 착신번호를 통보(403)한다. ISCP는 이 메시지를 ASE, TCAP프로토콜 처리를 통하여SS No.7망을 통하여 서비스 제어시스팀 으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을 발생 (404) 하도록 한다. 서비스 제어 시스팀에서는 신용통화 서비스 처리에 관한 정보를 SS No.7 프로토콜 처리 절차를 거쳐 SSP로 보내게 되고 신용통과 서비스에 대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에 대한 응답을 수신(405) 하여 신용통화 서비스 제공(406)이 불가능한 경우 이용자에게 신용통화 서비스 불가 안내방송을 송출(407)하고, 발신선의 H/on(408)을 통하여 호를 종료 (409)한다.
신용통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경우 ISCP로부터 신용통화 서비스호 연결 요구를 수신(410)하여 정상적인 서비스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수집된 디지트 갯수가 2보다 적을 때는 수집된 디지트를 비교(411)하여, 수집된 디지트가 15보다 클때 이용자에게 서비스 불가 안내방송을 송출(412)하고 발신선의 H/on(413)을 통하여 호를 종료(414)한다. 수집된 디지트가 15보다 작을 때 ISCP로 단축번호임을 통보(415)하고 ISCP는 이 메시지를 ASE, TCAP 프로토콜 처리를 통하여 SS No.7망을 통하여 서비스 제어 시스팀으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을 발생(416)하도록 한다. 서비스 제어 시스팀에서는 신용통화 서비스 처리에 관한 정보를 SS No.7 프로토콜 처리 절차를 거쳐 SSP로 보내게 되고 신용통화 서비스에 대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에 대한 응답을 수신(417)하여 단축번호 제공 여부를 판단(418)하게 된다. 단축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등록 단축번호 안내방송을 이용자에게 송출(419)하고 발신선의 H/on(420)을 통하여 호를 종료(421)한다.
단축번호가 제공되는 경우 신용통화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판단(422) 하여 불가능한 경우 서비스 불가 처리를 수행하고,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 ISCP로부터 단축번호에 대한 실제 착신 번호를 수신(423)하여 DTMFR 해제 요구(424)를 G/LSU로 전송하고 착신번호 번역을(425) 수행한다. 착신번호 번역 결과에 대한 호종류를 ISCP로 통보(426)하고 루팅처리 (427)를 통하여 통화로를 구성(428)하고, 착신측에 신호 장치를 할당(429)하며 국 간 신호 및 링을 연결(430)한다. 착신 가입자의 H/off(431)로 과금이 시작(432)되며 가입자간에 통화(433)가 이루어진다. 발신선의 H/on(434)을 통하여 서비스 통화 과금을 종료(435)하며, 통화로를 해제(436)하여 호를 종료 (437) 한다.
재시도 기능(340) 수행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에 의한 재시도 여부를 판단(501)하여 이용자에 의한 재시도가 아닌 경우 디지트를 계속 수집(502)하여 착신번호 수집후의 처리 과정을 수행하며, 서비스 이용자에 의한 재시도가 요구되어지면 재시도 횟수를 비교(503)하여 재시도 횟수가 초과 즉 2회가 넘는 경우 이용자에게 서비스 불가 안내방송을 송출(504)하고 발신선의 H/on(505)을 통하여 호를 종료(506)한다. 재시도 횟수에 제한되지 않는 경우 이용자에 의한 재시도 요구를 ISCP로 전송(507)하고 ISCP로부터 착신 번호 요구(508)를 재 수신 받아 이용자에게 이용자에 의한 착신번호 재 입력 안내방송을 송출(509)하고, 착신번호를 수신(510)하여 서비스 이용자에 의한 재시도 여부를 재 판단(511)하여 이에 대한 처리를 위와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이용자에 의한 재시도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 착신번호를 ISCP로 전송(512)하여 ISCP가 이 메시지를 ASE, TCAP 프로토콜 처리를 통하여 SS No.7망을 통하여 서비스 제어 시스팀으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을 발생(513)하도록 한다.
서비스 제어 시스팀에서는 신용통화 서비스 처리에 관한 정보를 SS No.7프로토콜 처리 절차를 거쳐 SSP로 보내게 되고 신용통과 서비스에 대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에 대한 응답을 수신(514)하여 신용통화 서비스 제공 여부를 판단(515)하게 된다. 신용통화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 신용통화 서비스 불가 안내방송을 이용자에게 송출(516)하고 발신선의 H/on(517)을 통하여 호를 종료(418)한다.
신용통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경우에는, 신용통화 서비스처리를 위해 신용통화 서비스호 연결 요구를 ISCP로부터 수신(519)하여 G/LSU로 DTMFR 해제 요구를 전송(520)하고 착신번호 번역(512)을 수행하며, 착신번호 번역 결과에 대한 호종류를 ISCP로 통보(522)하고 루팅처리 (523)를 통하여 착신 비가용 상태를 파악 (524) 한다.
착신 비가용 상태가 중계선 폭주, 착신 가입자 통화중 또는 착신 국번호 결번(525)이 아닌 경우는 서비스 불가에 대한 안내방송을 송출(526)하고 발신선의 H/on(527)을 통하여 호를 종료(528)하며, 착신 비가용 상태가 중계선 폭주, 착신 가입자 통화중 또는 착신 국번호 결번(525)인 경우는 재시도 횟수를 비교(529)하여 재시도 횟수가 초과 즉 2회가 넘는 경우 이용자에게 서비스 불가 안내방송을 송출(530)하고 H/on(531)을 통하여 호를 종료(532)한다. 재시도 횟수(529)에 제한되지 않는 경우 착신 상태로 인한 재시도 요구(533)를 ISCP로 전송하고 ISCP로부터 착신번호 요구를 재 수신(534) 받아 DTMFR 및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G/LSU로 전송(535,536) 한다.
위와 같이 착신 비가용 상태로 인한 재입력인 경우 DTMFR 장비의 사용 효율 및 서비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DTMFR 장비의 연결 및 해제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용자에게 착신 상태로 인한 착신번호 재 입력 안내방송을 송출(537)하고, 착신번호를 수신(510)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의한 재시도 여부를 재 판단(511)하여 이에 대한 처리를 반복한다. 착신이 가능한 경우 통화로를 구성(538)하고, 착신측에 신호 장치를 할당(539)하며 국간 신호 및 링을 연결(540)한다. 착신 가입자의 후크 오프(H/off)(541)로 과금이 시작(542)되며 가입자 간에 통화(543)가 이루어진다. 발신선의 H/on(544)을 통하여 서비스 통화 과금을 종료(545)하며, 통화로를 해제(546)하여 호를 종료(547)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새로이 요구되는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지능망 서비스 인지, 정보 수집, 서비스 제어, 서비스 호처리, 운용 관리 및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위와 같은 방법으로 다양한 종료의 음성안내 기능과 추가 정보 수집 능력을 갖추고 각종 신호장비를 할당하여 신용통화 서비스 에서 착신번호 입력시 서비스 가입자가 기 등록한 단축번호를 사용하여 신용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착신번호 입력 오류로 인해 가입자가 착신번호를 재입력하거나 착신 비가용시 착신번호만 재 입력하여 신용통화 서비스 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 구현에 대한 방법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행되는 본 발명은, 지능망의 한 요소인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를 전전자 교환기에 구현하여 착신과금 서비스, 신용통과 서비스 등의 새로운 서비스들을 여러 가입자에게 제공하게 되고, 전전자 교환기의 하드웨어의 변경없이 지능망의 한요소인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에 기 구현된 착신과금 서비스, 신용 통화 서비스에 하드웨어의 변경없이 소프트웨어의 변경으로 음성 안내 기능, 추가정보 수집 기능, 서비스 제어 및 호처리 기능 등의 추가로 신용통화 서비스에서의 단축번호 기능과 재시도 기능을 구현함으로서 서비스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새로운 기능을 여러 가입자에게 제공하게 되어 축척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이 요구되는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를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지능망 서비스를 관정하는 서비스 처리부와 SCP와의 통신을 관장하는 프로토콜 처리부를 갖춘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4)를 포함하며 분산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 서브시스팀 (Access Switching Subsystem : ASS)(1)과, 집중화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망 서브시스팀 (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 INS) (2)와,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된 기능을 담당하는 중앙제어 서브시스팀(Central Connection Subsystem : CCS)(3)을 구비하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에 적용되는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에 있어서, 중계선 점유/가입자의 후크 오프(Hook off)를 인지하면 R2/DTMFR 신호장치 할당을 요구하고 발신 교환국/발신 가입자로부터 디지트를 수신하면 수집된 디지트를 가지고 호 종류를 판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호의 종류가 신용통화 서비스 호이면 발신번호와 발신등급을 구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비밀번호를 조회하여 적합한 비밀번호일 경우 착신번호를 입력받아 단축번호 또는 재시동 기능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단축번호 기능이 요구되는 경우, 수집된 디지트를 조회하여 등록된 단축번호일 경우 SCP로부터 실제 착신번호를 수비하여 착신측으로 루팅하여 통화를 진행시킴으로 단축번호의 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재시동 기능이 요구되는 경우, 서비스 이용자에 의한 재시도와 착신 상태 비가용으로 인한 재시도의 호처리를 수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추가로 밭신국으로부터 신용 번호를 수신하며 신용통화 서비스를 요구 하여 발신번호 및 발신등급을 처리하는 제1과정과, DTMFR 연결요구 및 비밀번호 입력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여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가입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ISCP로 비밀번호를 통보하는 제2과정과, 신용통화 서비스 처리에 관한 정보를 검시하여 신용 번호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이용자에게 미등록 신용 번호 안내방송을 송출신용 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적합한 비밀번호 여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비밀번호가 부적합 할 경우, 부적합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비밀번호가 적합한 경우 착신번호 입력 안내방송이 송출되도록 하고, 가입자로부터 착신번호를 수신하여 단축번호 또는 재시도 기능이 요구되는지 조사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수집된 디지트 갯수를 비교하여 수집된 디지트 갯수가 제1특정수보다 많을 때는 추가 디지트를 수집하고, ISCP로 착신번호를 통보하여 신용통화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경우 이용자에게 신용통화 서비스 불가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신용통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경우 ISCP로부터 신용통화 서비스호 연결 요구를 수신하여 정상적인 서비스 처리를 결정하는 제1과정과, 수집된 디지트 갯수가 상기 제1 특정수 보다 적을 때는 수집된 디지트를 비교하여, 수집된 디지트가 제2특정수 보다 클때 이용자에게 서비스 불가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수집된 디지트가 제2특정수 보다 작을 때 ISCP로 단축번호임을 통보하여 TCAP 프로토콜 처리를 통하여 서비스 제어 시스팀으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을 발생 하도록 하는 제2과정과,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단축번호 제공여부를 판단하여 단축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등록 단축번호 안내방송을 이용자에게 송출하고, 단축번호가 제공되는 경우 신용통화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신용통화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 써비스 불가 처리를 수행하고,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 ISCP로부터 단축번호에 대한 실제 착신번호를 수신하여 DTMFR 해제 요구를 전송하고 착신번호 번역을 수행 하는 제4과정과, 착신번호 번역 결과에 대한 호종류를 ISCP로 통보하고 루팅처리를 통하여 통화로를 구성하고, 착신측에 신호 장치를 할당하며 국간 신호 및 링을 연결하는 제5과정과, 착신 가입자의 후크 오프(H/off)에 따라 과금을 시작하여 가입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고, 발신선의 후크 온(H/on)에 따라 서비스 통화 과금 종료, 통화로 해제를 수행하는 제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서비스 이용자에 의하 재시도 여부를 판단하여 이용자에 의한 재시도가 아닌 경우 디지트를 계속 수집하여 착신번호 수집후의 처리 과정을 수행하며, 서비스 이용자에 의한 재시도가 요구되어지면 재시도 횟수를 비교하는 제1과정과, 재시도 횟수가 재시도 특정횟수가 넘는 경우 이용자에게 서비스 불가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재시도 측정횟수에 제한되지 않는 경우 이용자에 의한 재시도 요구를 ISCP로 전송하고 ISCP로부터 착신번호 요구를 재 수신 받아 이용자에게 이용자에 의한 착신번호 재 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제2과정과, 착신번호를 수신하여 서비스 이용자에 의한 재시도 여부를 재 판단하여 상기 제1 및 제2과정을 반복하는 제3과정과, 이용자에 의한 재시도가 요구되지 않은 경우 착신번호를 ISCP로 전송하여 서비스 제어 시스팀으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을 발생하도록 하여 신용통화 서비스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신용통화 서비스가 불가능하면 불가 안내방송을 이용자에게 송출하고, 가능하면 신용통화 서비스처리를 위해 신용통화 서비스 호 연결 요구를 수신하여 DTMFR 해재 요구를 전송하고 착신번호 번역 수행하며, 착신번호 번역 결과에 대한 호종류를 통보한 후, 루팅처리를 통하여 착신 비가용 상태를 파악하는 제5과정과, 착신 비가용 상태가 중계선 폭주, 착신 가입자 통화중 또는 착신 국번호 결번이 아닌 경우는 서비스 불가에 대한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착신 비가용 상태가 중계선 폭주, 착신 가입자 통화중 또는 착신 국번호 결번인 경우는 재시도 횟수를 비교하는 제6과정과, 재시도 횟수가 특정횟수를 넘는 경우 이용자에게 서비스 불가안내방송을 송출 재시도 횟수에 제한되지 않는 경우 착신 상태로 인한 재시도 요구를 전송하고 착신번호 요구를 재 수신 받아 DTMFR및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는 제7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
KR1019930028946A 1993-12-21 1993-12-21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6001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946A KR960013264B1 (ko) 1993-12-21 1993-12-21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946A KR960013264B1 (ko) 1993-12-21 1993-12-21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601A KR950022601A (ko) 1995-07-28
KR960013264B1 true KR960013264B1 (ko) 1996-10-02

Family

ID=1937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946A Expired - Fee Related KR960013264B1 (ko) 1993-12-21 1993-12-21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859B1 (ko) * 2003-08-04 2006-12-07 진은호 지능망 서비스 직접 억세스 통화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601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3564A (en) Intelligent call forwarding with videophone display of forwarding destination
US5574783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etitive access telephone service for telephones connected to a remote terminal of the monopoly service provider
US56596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oft dial tone using office equipment designators
KR980013191A (ko) 호출 가입자 식별 고지 서비스용 장치 (Calling party identification announcement service)
JP3021630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960013264B1 (ko)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
KR0139586B1 (ko) 중계 서비스 교환기를 이용한 단국 서비스 교환기의 지능망 서비스 호처리 방법
KR0128236B1 (ko)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에서 전화 자동응답 서비스의 호처리 방법
KR100638020B1 (ko) 지능망 착신형 서비스에서의 근거리 루팅장치 및 방법
KR0160346B1 (ko)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KR970004824B1 (ko) 서비스 교환기(tdx-10 ssp)의 안내 방송 장치 다중화 방법
KR100285716B1 (ko) 교환기에서아날로그가입자를위한발신번전송방법
US6600820B2 (en)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network for making interconnections in accordance with customer data
KR95000943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서비스 번호를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인지 방법
KR10025579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아날로그 가입자 발신번호 표시방법
KR100314150B1 (ko) 고속 가상사설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3376339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を利用した通話モニタ方式
KR0123254B1 (ko) 서비스 교환기(ssp)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를 시험하기 위한 응용 프로세스 시뮬레이션 방법
EP0901730B1 (en) Method to re-route a call
KR930004924B1 (ko) 전전자 교환시스팀의 착신 과금 서비스 방법
JP3023212B2 (ja) 電子交換システム
KR100198925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자국호 지정경로 구성을 위한 발신 디지탈 가입자 호제어방법
KR100242699B1 (ko) 사설 교환기의 진보된 리셋 호 서비스 방법
KR100275507B1 (ko) 서비스 교환기 시뮬레이터에서의 지능망 서비스 호 처리 방법
KR101128575B1 (ko) 톤 감지 스위칭 방식을 이용한 통화 연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810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100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