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301B1 - Spinning reel for fishing - Google Patents
Spinning reel for fish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7301B1 KR970007301B1 KR1019900010297A KR900010297A KR970007301B1 KR 970007301 B1 KR970007301 B1 KR 970007301B1 KR 1019900010297 A KR1019900010297 A KR 1019900010297A KR 900010297 A KR900010297 A KR 900010297A KR 970007301 B1 KR970007301 B1 KR 970007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ue
- drag
- state
- switching
- fish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28—Continuously applied
- A01K89/029—Continuously applied between spool shaft and fra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일부 노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some notche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동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the same.
제3도는 제1도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작동 설명도.4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동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의 정면도.8 is a front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제8도 B-B선 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제10도 및 제11도는 각각 제8도 C-C선의 작동 설명도.10 and 11 are explanatory views of the operation of the C-C line of FIG. 8, respectively.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6 : 스푸울 7 : 스푸울축6: spoof 7: spoof shaft
10 : 드래그 기구 11 : 전환기구10 drag mechanism 11 switching mechanism
25 : 돌출가장자리 26 : 복귀작동체25: protruding edge 26: return actuator
본 발명은 스푸울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드래그 기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피닝 릴에 있어서의 드래그 기구는 드래그 손잡이를 회전운동하여 드래그 제동력을 서서히 강약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현상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inning reel for fishing provided with a drag mechanism for imparting braking force to a spool. The drag mechanism in the conventional spinning reel is a phenomenon that is configured to gradually adjust the drag braking force to the strength by rotating the drag knob.
그런데 실제의 낚시조작에 있어서는 낚시줄의 절단을 방지하거나 걸린 고기의 도망을 방지하거나 고기의 물림을 양호하게 하는등을 위해, 스푸울을 드래그 작동 상태로부터 순간적으로 프리회전 상태로 전환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다.However, in actual fishing operations, the sprue must be switched from the drag operation state to the pre-rotation state instantaneously in order to prevent the cutting of the fishing line, to prevent the escape of caught meat, or to improve the bite of the meat. There is.
이와 같은 경우 종래에 있어서는 그때마다 드래그 조절손잡이를 적어도 최저 1회전 이상 회전운동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순간적인 낚시상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in the related art, the drag adjustment knob must be rotated at least one rotation or more every time, so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spond quickly to the instantaneous fishing state.
이때문에 스푸울을 드래그 작동상태와 스푸울 프리회전상태에서 원터치로 곧바로 전환하는 것이 일본국 실개소 제61-197872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소 제61-274638호 공보에 의해 알려져 있다.For this reason, it is known by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1-197872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1-274638 to switch the sprue immediately to the one-touch state in the drag operation state and the sprue free rotation state.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식은 어느것이나 전환기구나 릴광체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릴광체내는 로우터의 회전운동기구 및 스푸울 미끄럼이동기구에 덧붙여 드래그 전환기구 외에 다시 이 복귀기구가 존재하게 되어 대단히 번잡하게 되며, 조립 및 분해가 극히 곤란하며 고장을 일으키기 쉽게되는 동시에 릴광체도 대형으도 되고, 또한 중량이 증가하고 또 릴의 다른 기구, 예컨대 로우터의 스토퍼기구에 있어서의 레버위치등도 규제되는등의 결함이 있다.However, since all of the conventional methods are installed in the switching mechanism or the reel housing, in addition to the drag switching mechanism in addition to the rotary motion mechanism of the rotor and the spun sliding mechanism, the return mechanism is again very complicated. The defects such as assembly and disassembly are extremely difficult and prone to breakdown, the reel mineral body can be large, the weight increases, and the position of levers in other mechanisms of the reel such as the stopper mechanism of the rotor is regulated. There is this.
이와 같은 현상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드래그 기구를 드래그 작동상태와 스푸울 프리회전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기구를 스푸울 부분에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결합을 개선하도록 한 드래그 기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In view of such a phenomen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shing spinning reel having a drag mechanism to improve the coupling by distributing the switching mechanism for switching the drag mechanism into the drag operation state and the sprue free rotation state to the spoof por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릴광체의 뒷부분에 설치한 드래그 기구에 의해 앞부분에 스푸울을 지지한 스푸울축에 제동력을 부여하도록 한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기구를 드래그 작동상태와 스푸울 프리회전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기구를 스푸울과 스푸울축과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shing reel for applying a braking force to a spool shaft supporting a sprue at a front portion by a drag mechanism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reel body. The switching mechanism for switching to the sprue free rotation state is provided between the sprue and the sprue shaft.
또 상기 스푸울 프리회전상태로 전환된 전환기구를 다시 드래그 작동상태로 전환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기구로서는, 로우터의 회전과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작동복귀시키는 방식과, 전환기구를 수동으로 작동 복귀시키는 방식이 있고, 양자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a return mechanism for switching the switching mechanism switched to the sprue free rotation state back to the drag operation state, a method of automatically returning to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or and a method of manually operating returning the switching mechanism include: It is also possible to use both together.
본 발명은 드래그 기구를 드래그 작동상태와 스푸울 프리회전상태로 전환하는 전환기구가 스푸울과 스푸울축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릴광체내에 설치되어 있는 로우터 회전운동기구, 스푸울축 미끄럼 이동기구 및 그외의 기구를 제약하지 않고 드래그 기구를 드래그 작동상태로부터 스푸울 프리회전 상태로 원터치로 곧바로 전환할 수 있고, 또 스푸울 회전상태로부터 드래그 작동상태로 로우터의 회전과 연동하여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복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otor rotating motion mechanism, a spun shaft sliding movement mechanism,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spool and the sprue shaft, and the switching mechanism for switching the drag mechanism into the drag operation state and the sprue free rotation state, Without limiting other mechanisms, the drag mechanism can be switched directly from the drag operation state to the sprue free rotation state with one touch, and also returned automatically or manually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or from the sprue rotation state to the drag operation state. You can.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공지한 바와 같이 핸들(1)에 의해 구동기어(2) 및 이에 맞물리는 피니온(3)을 통하여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축 통(4)에는, 낚시줄을 걸어두는 로우터(5)가 굳게 붙여지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 통(4)내에는 선단부에 스푸울(6)을 설치한 스푸울축(7)이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져 있고 릴광체(8)내에 있어서의 스푸울축(7)에는 공지된 미끄럼운동기구(9)와 그 윗끝에 드래그 기구(10)가 설치되어, 드래그 조정 손잡이(10')에 의해 스푸울축(7)의 슬립 회전운동을 제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is well known, a fishing line in a rotating shaft barrel 4 which rotates through a drive gear 2 and a pinion 3 engaged therewith by a handle 1. The rotor 5 to which the hook is held is firmly attached, and the
그러나 상기 스푸울(6)과 스푸울축(7)과의 사이에는, 상기 드래그 기구(10)를 스푸울 프리회전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기구(11)가 설치되어 있다.However, a switching mechanism 11 for switching the drag mechanism 10 to the sprue pre-rotation state is provided between the
상기 전환기구(11)는 스푸울(6)을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끼워붙인 스푸울 지지통(12)과 이 스푸울 지지통(12)을 스푸울(6)에 걸어맞추는 걸림부재(13)와 스푸울 지지통(12)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걸림부재(13)를 작동하는 조작부재(14)로 구성되어 있다.The switching mechanism 11 includes a
상기 걸림부재(14)는 걸림클릭(15)과 작동편(16)과 복귀편(17)이 형성되어 있어 스푸울 지지통(12)과 일체로 설치된 원판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걸림클릭(15)이 스푸울(6)의 서커트부 내주면에 설치된 요철형상의 걸어맞춤부(18)에 걸어맞추도록 스프링(19)으로 가입되어 있다.The
또 상기 조작부재(14)는 스푸울 지지통(12)의 전단부에 끼워붙여지는 동시에 코일스프링(20)으로 바깥쪽방향으로 또한 한쪽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그한쪽에 돌출 설치된 작동체(21)가 스푸울 지지통(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노치부(22)의 한쪽에 상기 코일스프링(20)에 의해 가압 유지되고, 다시 작동체(21)의 선단부는 상기 걸림부재(13)의 작동편(16)의 앞부분에 위치하여, 조작부재(14)를 코일스프링(20)에 대항하여 안쪽으로 누르면, 작동편(1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서 강상부(23)를 가지는 걸림 오목부(24)에 걸리게 하여 걸림클릭(15)을 스푸울(6)의 걸어맞춤부(18)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로우터(5)의 앞부분에는 돌출 가장자리(25)를 가지는 복귀작동체(26)가 굳게 붙여져 있고, 상기 걸림부재(13)의 복귀편(17)과 함께 복귀 기구를 형성하고 있으며, 핸들(1)에 의해 로우터(5)를 회전운동 시키면 돌출 가장자리(25)가 회전운동하여 걸림클릭(15)이 걸어맞춤부(18)로부터 이간상태에 있는 상기 걸림부재(13)의 복귀편(17)에 맞붙여서 이것을 회전운동시켜 걸림부재(1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킴으로써 작동편(16)을 걸림오목부(24)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A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도에 있어서 작동체(21)를 코일스프링(20)에 대항하여 쇄선위치에서 실선위치까지 밀어놓으면, 걸림부재(l3)의 작동편(16)은 제5도의 상태에서 작동체(21)의 걸림오목부(24)에 걸어맞춤하고, 걸림클릭(15)은 스푸울(6)의 걸어맞춤부(18)에서 이간하며 스푸울(6)은 제3도와 같이 스푸울 지지통(12)에 대하여 프리상태로 지지되고, 드래그 기구(10)은 스푸울 프리회전 상태로 유지된다.Sinc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어서 이 상태에 있어서 핸들(1)을 회전시켜 로우터(5)를 회전시키면, 복귀작동체(26)의 돌기 가장자리는 걸림부재(13)의 복귀편(17)에 충돌 접합하여 걸림부재(1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작동편(16)을 걸림오목부(24)에서 이간시키는 한편, 조작부재(14)는 코일스프링(20)의 바깥쪽 가압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클릭(15)은 걸어맞춤부(18)에 걸어맞추어 스푸울(6)과 스푸울축(7)은 연결되어 드래그 기구(10)는 재차 드래그 작동상태로 복귀된다.Subsequently, when the rotor 5 is rotated by rotating the handle 1 in this state, the protruding edge of the returning
또, 스푸울 프리상태에서 드래그 작동상태로 복귀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스프링(20)의 한쪽방향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조작부재(14)를 제2도 화살표시와 같이 노치부(22)내를 다른쪽에 향하여 이동시키면, 작동체(21)는 스푸울 지지통(12)의 노치부(22)내를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며 작동편(16)을 걸림오목부(24)로부터 강상부(23)에 의해 작동체(21)의 표면에 강상하여, 코일스프링(20)의 바깥쪽 가압력으로 전방에 이동하여 재차 제5도의 드래그 작동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며, 수동조작에 의해서도 복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a means for returning from the spool-free state to the drag operation state, the
제8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스푸울(6) 후측면에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18')를 고리형상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작동체(21)의 앞끝에 직접 걸림클릭(15')을 반경방향으로 돌출설치하여 오목부의 걸어맞춤부(18')에 걸어맞추도록 형성하고, 또 스푸울 지지통(12)의 원판(12')에는 스프링(19')에서 중심부에 항하여 가압된 복귀편(17')을 가지는 스토퍼(16')를 축받이하고, 다시 작동체(21)의 걸림클릭(15')부착기부에 상기 스토퍼(16')의 걸어맞추는 걸림홈(27)을 설치한 것이다.8 to 11, the engaging portion 18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is provided in a ring shape on the rear side of the
따라서 조작부재(14)를 안쪽으로 눌러서 걸리클릭(15')이 오목부(18')에서 이간하면, 스토퍼(16')가 걸림홈(27)에 끼위넣고 걸어맞춤하여 걸림클릭(15')을 오목부(18')에 대하여 이간상태로 유지하여 스푸울(6)를 스푸울 지지통(12)에 프리회전 상태로 하여 드래그 기구(10)를 스푸울 프리회전 상태로 하는 것이며, 이 상태에 있어서 핸들(1)을 회전운동하면 복귀작동체(26)의 돌기 가장자리(25)가 스토퍼(16')의 복귀편(17')에 충돌 접합하고, 스토퍼(16')를 스프링(19)에 대항하며, 제9도에서 바깥쪽에 회전운동하여 걸림홈(27)에서 이탈하고 조작부재(14)는 코일스프링(20)에서 바깥쪽으로 가압된 걸림클릭(15')이 오목부(18')에 걸어맞추어 스푸울(6)과 스푸울 지지통(12)은 연결되고 재차 드래그 작동상태로부터 복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복귀작동체(26)를 로우터(5)에 일체적으로 고착하고 있으나, 복귀작동체(26)를 로우터(5)에 마찰 연결되도록 하면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 작동상태에의 전환작용을 충격없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engaging click 15 'is pushed inwardly and the latch click 15' is separated from the recess 18 ', the stopper 16' is fitted into the
본 발명은 드래그 기구를 작동상태와 스푸울 프리회전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기구를 특히 릴광체내에 설치하는 로우터 회전운동기구, 스푸울 미끄럼이동기구 및 그외의 기구를 제약하지 않도록 스푸울과 스푸울축사이에 설치하므로, 릴 각부의 구동기구계통이 복잡하게 되지 않으며, 조립분해가 용이하고 각 부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동시에 릴광체의 대형 중량화를 방지할 수 있고 낚시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스푸울 프리회전상태에 있는 드래그 기구를 로우터의 회전운동과 연동시켜, 작동하는 복귀기구에서 자동적으로 재차 드래그 작동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 복귀기구도 스푸울 부분에 설치함으로써 릴광체내에 있어서의 각종 구동기구 계통의 간소화를 한층 도모할 수 있고, 릴광체의 소형 경량화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un and spun stall so as not to restrict the rotor rotating motion mechanism, the spun sliding mechanism, and other mechanisms, which include a switching mechanism for switching the drag mechanism to an operating state and a spulk free rotation state, in particular in the reel housing. Since the drive mechanism of each part of the reel is not complicated,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each part,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weight of the reel body and the fishing operation. .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or, the drag mechanism in the sprue free rotation state can be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drag operation state again from the actuating return mechanism, and the return mechanism is also installed in the spoof portio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further simplify the various drive mechanism systems in the reel housing, and to further improve the size and weight of the reel housing.
Claims (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1174182A JP2573922B2 (en) | 1989-07-07 | 1989-07-07 | Spinning reel for fishing |
| JP1-174182 | 1989-07-07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910002335A KR910002335A (en) | 1991-02-25 |
| KR970007301B1 true KR970007301B1 (en) | 1997-05-07 |
Family
ID=1597415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00010297A Expired - Fee Related KR970007301B1 (en) | 1989-07-07 | 1990-07-07 | Spinning reel for fishing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JP (1) | JP2573922B2 (en) |
| KR (1) | KR97000730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TW501683U (en) * | 1999-08-05 | 2002-09-01 | Nifco Inc | Oil type cylindrical rotary damper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509705A (en) * | 1984-02-10 | 1985-04-09 | Brunswick Corporation | Surfcasting spinning reel |
-
1989
- 1989-07-07 JP JP1174182A patent/JP257392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
- 1990-07-07 KR KR1019900010297A patent/KR97000730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JP2573922B2 (en) | 1997-01-22 |
| KR910002335A (en) | 1991-02-25 |
| JPH0339025A (en) | 1991-02-2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3182401B2 (en) | Brake actuator for fishing reel | |
| KR100616144B1 (en) | Centrifugal braking system of both bearing reels | |
| JP2014176360A5 (en) | ||
| CN108338134B (en) | Spool brake device for dual-bearing reel | |
| US5865386A (en) | Spinning reel having a free spool and a drag state | |
| KR970005230B1 (en) | Spinning Rails for Fishing | |
| KR100310968B1 (en) | Device for attaching the cover to the fishing reel | |
| KR970007301B1 (en) | Spinning reel for fishing | |
| US6056221A (en) | Fishing reel with trigger actuated bail assembly | |
| JPH0697933B2 (en) | Spinning reel | |
| US5308018A (en) | Drag control structure for baitcasting reel | |
| US6003801A (en) | Double-bearing type fishing reel with low-resistance line feed | |
| JP2524565B2 (en) | Spinning reel for fishing | |
| US4760974A (en) | Fishing reel with flipping control | |
| JPH0684857U (en) | Spinning reel | |
| US20010030252A1 (en) | Spinning reel for fishing | |
| US3069109A (en) | Spin-cast fishing reel | |
| JP2895727B2 (en) | Drag device for spinning reel for fishing | |
| JP3008381U (en) | Spinning reel for fishing | |
| KR100574309B1 (en) | Spinning reel for fishing | |
| JP3495584B2 (en) | Spinning reel for fishing | |
| EP0071686A2 (en) | Rear mounted drag for spinning reels | |
| JPH0120856Y2 (en) | ||
| JP3949279B2 (en) | Fishing spinning reel | |
| JPH0637656Y2 (en) | Rotor and spool lock device for spinning reel for fish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010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101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