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0490B1 - Dragline bucke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ragline bucke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490B1
KR970000490B1 KR1019920000783A KR920000783A KR970000490B1 KR 970000490 B1 KR970000490 B1 KR 970000490B1 KR 1019920000783 A KR1019920000783 A KR 1019920000783A KR 920000783 A KR920000783 A KR 920000783A KR 970000490 B1 KR970000490 B1 KR 970000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teeth
dragline
lip
too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7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16610A (en
Inventor
엘. 브리스코 테리
Original Assignee
에스코 코포레이션
케네스 엠. 맥카우 2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코 코포레이션, 케네스 엠. 맥카우 2세 filed Critical 에스코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19920000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490B1/en
Publication of KR930016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6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490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4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reciprocating digging or scraping elements moved by cables or hoisting ropes ; 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E02F3/48Drag-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드래그라인 버킷 및 그 작동 방법Dragline buckets and how they work

제1도는 다양한 작동 특성을 나타내는 관련 주이동기 및 종래의 드래그라인 버킷의 부분 개략도.1 is a partial schematic view of an associated main mover and conventional dragline bucket showing various operating characteristics.

제2도는 실제로 수직 측벽 또는 뱅크에 맞닿은 종래의 버킷을 도시하는 제1도의 장치의 부분 평면도.FIG. 2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apparatus of FIG. 1 showing a conventional bucket actually abutting a vertical sidewall or bank. FIG.

제3도는 본 발명에 대한 티쓰 배열을 도시한 버킷 립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cket lip showing a tooth arrange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개념을 사용하는 버킷 전방 부분의 부분 단면 절결 평면도.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cutaway plan view of a bucket front portion using the inventive concept.

제5도는 제4도의 버킷의 부분 단면 절결 측면도.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cutaway side view of the bucket of FIG.

제6도는 버킷이 보울더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마주칠 때 본 발명의 실행을 도시하는 부분 개략 평면도.6 is a partial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bucket encounters a boulder or the lik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붐 12 : 버킷11: boom 12: bucket

13 : 슬로프 14 : 호이스트라인13: slope 14: hoist line

15 : 드래그라인 16 : 덤프라인15: dragline 16: dumpline

19 : 어댑터 21 : 록킹핀19: adapter 21: locking pin

25 : 측벽 26 : 하부벽25 side wall 26 bottom wall

27 : 수직벽 28 : 보울더27: vertical wall 28: boulder

본 발명은 드래그라인 버킷 및 드래그라인 버킷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신규의 티쓰 배열에 의해 슬루잉(Slewing)될 문제점을 방지하는 버킷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gline bucket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dragline bu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cke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prevents the problem of slewing by a new tooth arrangement.

드래그라인 버킷은 드래그라인에 의하여 굴삭되어질 뱅크 및 재료를 굴착하여 채워진 다음 호이스팅 로프에 의해 감아 올려지며 그후 덤프되는 일종의 굴착 버킷이다. 이미 1913년 까지도, 이 드래그라인 버킷은 미합중국 특허 제1,050,838호에 공지되었다. 가장 최근의 상세한 기술은 본 발명자의 미합중국 특허 제4,791,738호에서 참조할 수 있다.Dragline buckets are a type of excavation buckets that are filled by excavating banks and materials to be excavated by the dragline and then wound up by hoisting ropes and then dumped. As early as 1913, this dragline bucket was known from US Pat. No. 1,050,838. The most recent detailed description can be found in the inventor's US Pat. No. 4,791,738.

최근수년간, 편심부하를 받을 때 버킷이 슬루잉, 즉 옆으로 삐뚤어진다. 이것은 수직 측벽을 깎아내는 등의 키잉시 혹은 편심 보울더에 부닫칠 때는 특히 그렇다. 본 출원인은 V형으로 후방으로 연장하는 티쓰를 배열시킴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였는데 여기서 상기 티쓰는 버킷의 세로 중심선으로부터 측벽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돌출한다.In recent years, the bucket slews, ie skews laterally when subjected to eccentric loads.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keying, such as scraping off the vertical sidewalls, or close to eccentric boulder. The applicant has solved this problem by arranging teeth extending rearward in a V-shape, wherein the teeth progressively protrude toward the sidewalls from the longitudinal centerline of the bucket.

드래그라인 버킷은 오랜 기간동안 상기 배열을 사용하지 않았었다. 미합중국 특허 제2,060,867호의 굴삭기는 호이스팅 및 덤핑 작동 없이도 수행되지만 후부로부터 연장하는 티쓰가 역 V형태로 가지고 있다. 소련 특허 제326,298호는 또한 호이스팅 및 덤핑 작동을 다시 수행하지는 않지만 준설기에서 역 V형태를 가지고 있다.Dragline buckets have not used this arrangement for a long time. The excavator of US Pat. No. 2,060,867 is carried out without hoisting and dumping operations, but the teeth extending from the rear have an inverted V shape. Soviet patent 326,298 also does not perform hoisting and dumping operations again, but has a reverse V shape in the dredger.

티쓰의 역 V형태가 공지된 것이긴 하지만, 이들은 이동이 디퍼스틱 또는 휘일에 의해 제어되는 버킷을 항상 사용했으며 그러므로서 슬루잉되지 않는다.Although the inverted V forms of teeth are known, they always used buckets whose movement is controlled by differential or wheels and are therefore not slewing.

그 대표적인 형태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3,791,054호, 제4,037,337호 및 소련 특허 제306,228호 및 제682,605호가 있다.Representative forms include US Pat. Nos. 3,791,054, 4,037,337, and US Pat. Nos. 306,228 and 682,605.

전방의 V형태는 미합중국 특허 제1,868,246호의 드래그라인 버킷이 좀 유사하다. 다른 전방의 V형태는 미합중국 특허 제1,803,654호, 제2,629,945호 및 제2,660,323호에 참조되었지만 이들은 다시 고정되게 장착됨으로써 슬루잉에 대비하여 모두 제어된다.The forward V-shape is more similar to the dragline bucket of US Pat. No. 1,868,246. Other forward V-shapes have been referenced in US Pat. Nos. 1,803,654, 2,629,945 and 2,660,323, but they are all fixed against mounting by being fixedly mounted again.

본 발명에 따라서, 본 발명자는 버킷의 립상의 역 V형태 적합하게는 대략 75° 내지 80°의 각도로 배열된 티쓰를 배열하며 즉 상기 선은 버킷의 세로 중심선에 대략 75°내지 80°의 각도를 형성하는 인접한 루쓰상의 대응 지점 및 한 루쓰상의 주어진 지점을 연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상기 티쓰가 동일 평면상에 작동되도록 실제로 평면인 립을 갖게하였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inventors arrange the teeth arranged in an inverted V shape suitably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75 ° to 80 ° on the lip of the bucket, ie the line is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75 ° to 80 °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of the bucket. Corresponding points on adjacent roots forming a and a given point on one root are connected. We also have a lip that is actually planar so that the teeth operate on the same plane.

이런 배열을 취하면 버킷의 중심쪽으로 장애물 제공 재료를 향한 티쓰 배열로 인해 슬루잉은 실제로 최소화된다.This arrangement actually minimizes slewing due to the tooth arrangement towards the obstacle providing material towards the center of the bucket.

우선, 제1도를 참조하면, 도면번호 10은 슬로프(13)로부터 재료를 이동시키는 드래그라인 버킷(12)의 작동을 위한 붐(11) 및 다른 리깅을 갖추는 크롤러 기계와 동일한 주 이동기를 가리킨다. 덤핑 모드는 도면번호 12'로서 제1도의 좌측에 도시하였다.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 상기 버킷(12)은 호이스트라인(14), 드래그라인(15) 및 덤프라인(16)을 갖추고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reference numeral 10 designates the same main mover as the crawler machine equipped with the boom 11 and other rigging for the operation of the dragline bucket 12 for moving material from the slope 13. The dumping mode is shown at the left of FIG. 1 as reference numeral 12 '.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bucket 12 is equipped with a hoist line 14, a drag line 15 and a dump line 16.

이제 제3도를 참조하면, 이것은 버킷(12)의 전방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데, 도면번호 17은 보통 버킷의 나머지부, 즉 하부 및 측벽에 용접 고정되는 립을 가리킨다.Referring now to FIG. 3, this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front end of the bucket 12, with reference numeral 17 usually referring to a lip that is welded to the rest of the bucket, ie, the bottom and the sidewalls.

또 제3도를 참조하면, 도면번호 18은 버킷의 폭을 가로질러 설치된 5개의 티쓰를 가리킨다. 이들 티쓰는 어떤 수용 가능한 구조형태로 할수 있지만 보통은 어댑터(19) 및 록킹핀(21)에 의해 임시 고정된 지점(20)을 사용하는 두 부품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Referring also to FIG. 3, reference numeral 18 designates five teeth installed across the width of the bucket. These teeth may be of any acceptable construction, but usually employ a two-part construction using a temporary fixed point 20 by an adapter 19 and a locking pin 21.

제4도를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티쓰(18)는 역 V자형, 즉 굴삭중 버킷의 전진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티쓰는 대략 75° 내지 80°정도의 각도로 배열된다. 특히, 인접한 투쓰상의 대응 지점 및 한 투쓰 상의 주어진 지점과 연결되는 선(22)은 세로 중심선(23)에 대해 각도(A)를 형성한다.As best shown in FIG. 4, the teeth 18 are arranged in an inverted V shape, ie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bucket during excavation. As also shown in FIG. 4, the teeth are arranged at an angle of about 75 ° to 80 °. In particular, the line 22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point on an adjacent tooth and a given point on one tooth forms an angle A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23.

단부 티쓰(18')는 측벽(25;제3도 참조)의 전방에지를 보호하는 슈라우드(24)를 갖춘 립 부분을 고정한다.End teeth 18 'secure the lip portion with shroud 24 that protects the front edge of sidewall 25 (see also FIG. 3).

립(17)은 하부벽이 제1도의 도면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벽을 형성하도록 주변에 굴곡되는 하부벽(26;제5도 참조)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한다.The lip 17 extends forward from the bottom wall 26 (see FIG. 5), which is bent around to form the back wall, 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of FIG. 1.

제2도를 참조하면 작동중에, 상기 버킷(12)은 거의 수직벽(27)부분을 굴삭 또는 키잉시키고 있다. 종래 기술의 버킷에서는 뱅크상의 혹은 붐을 버킷 세로 중심선을 벗어나 위치시킴으로서 뱅크 또는 벽(27)에 대해 버킷을 “크라우드”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도면번호 11'로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버킷은 “슬루우”즉, 측면으로 이동되는데, 이렇게되면 셔블 디퍼 또는 다른 고정된 버킷 굴삭기와 동일한 이동에 대하여 부자연하지 않게 될 것이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을 실행하면 힘이 다르게 분배되기 때문에 “크라우딩”할 필요가 없어진다. 특히, 대부분의 안쪽 티쓰는 슬루우되기 쉬운 평면 보다는 오히려 도려내는 나이프로서 작용한다.Referring to FIG. 2, during operation, the bucket 12 is excavating or keying a portion of the vertical wall 27 substantially. In prior art buckets it is necessary to “crowd” the bucket against the bank or wall 27 by positioning the boom on the bank or off the bucket longitudinal centerline. This is shown in FIG. 2 as reference numeral 11 '. In such a state, the bucket is “slow”, ie moved laterally, which will not be unnatural for the same movement as a shovel dipper or other fixed bucket excavator. In contrast,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need for “crowding” because the forces are distributed differently. In particular, most inner teeth act as cut-out knives rather than planes that are susceptible to slewing.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특징은 제6도에 도시되는데 상기 버킷(10)이 보울더(28)와 마주치게 된다는 것이다.Another advantageous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6, wherein the bucket 10 is encountered with the boulder 28. As shown in FIG.

역 V형태에 의하여, 상기 드래그라인915)을 계속하여 인장하면 보울더가 자연히 중심 위치(28')로 오게된다.By the inverted V shape, the dragline 915 continues to tension and the boulder naturally comes to its center position 28 '.

상기 버킷과 관계있는 본 발명으로부터 발생되는 또다른 잇점은 본 발명자의 초기의 미합중국 특허 제4,791,738호에 기술된다. 까다로운 재료를 로딩할 때, 직선 횡단 티쓰를 가지는 드래그라인 버킷은 만일 로드되는 재료가 관통되기 어렵다면 그 티쓰상에 팁업(tip up)되기 쉽다. 본 발명자의 선행 특허의 구조에 의하여, 증가되는 풀-투-팁(pull-to-tip)특성이 제공된다. 이제 본 발명의 역전형 립을 이용함으로서, 더욱더 큰 잇점은, 버킷 팁이 모든 중량을 중앙의 세티쓰 뿐만 아니라 양끝의 두 티쓰상에도 실어 주면서 굴삭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기존의 직선형 립보다 관통력이 150% 증가하며 버킷이 최외측 티쓰상에 설치되고, 버킷이 밖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중심에는 팁핑되지 않게 하기 때문에 보다나은 안전성을 제공한다.Another advantage aris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relating to the bucket is described in the inventor's earlier US Pat. No. 4,791,738. When loading difficult materials, dragline buckets with straight transverse teeth are likely to tip up on the teeth if the material being loaded is difficult to penetrate. The structure of the inventor's prior patents provides for an increased pull-to-tip characteristic. A further advantage of using the inverted lip of the present invention now is that the bucket tip can be excavated, carrying all weight on both teeth on both ends as well as on the central setis. This provides 150% more penetration than conventional straight ribs and provides better safety because the bucket is installed on the outermost teeth and does not tip at the center so that the bucket does not go out.

전술한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도해의 목적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 없이 기술분야에 숙련된자에게는 상기 상세한 설명에 다양한 변화를 줄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egoing specificatio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changes to the detailed descrip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7)

측부, 후부 및 하부벽 및 개방 전면부를 한정하는 본체를 구비하고 측벽사이의 중심선을 한정하며 하부벽은 V자형이며 전방립까지 연장되고 굴삭 티쓰를 갖고 있고, 상기 티쓰는 인접 티쓰간에 갭을 이루도록 측면 이격되어 있으며 버킷의 세로 중심선으로부터 측벽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방돌출 되도록 배열 되어있는, 버킷을 제공하며, 상기 본체 및 주 이동기 사이에 상호 연결된 드래그라인 호이스트라인 및 덤프라인을 제공하며, 이격된 티쓰가 재료를 결합하고 파열하며 버킷을 옆으로 돌지못하게하여 재료를 효과적으로 수집하도록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재료 상에서 버킷을 견인하기 위해 상기 버킷의 중심선상에 설치된 드래그라인 상에 점진적인 견인력을 작용하며; 상기 버킷이 로드될 때 버킷을 호이스팅 및 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라인 버킷 작동 방법.A main body defining the side, rear and bottom walls and an open front part, defining a centerline between the side walls, the bottom wall being V-shaped, extending to the anterior lip and having excavation teeth, the teeth being flanked by gaps between adjacent teeth. Spaced and arranged to progressively protrude forward toward the sidewalls from the longitudinal centerline of the bucket, providing a dragline hoistline and a dumpline interconnected between the body and the main mover, wherein the spaced teeth are material Exert a gradual traction force on a dragline installed on the centerline of the bucket to pull the bucket on the material to mate and rupture and stably support the bucket to turn sideways to collect the material effectively; Dragging and dumping the bucket when the bucket is loa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견인 버킷을 수직 연장 뱅크에 대고 뱅크면을 가로질러 이동시켜 세로 중심선의 한쪽 티쓰만이 실제로 재료에 결합되게 하며, 상기 견인은 버킷의 실질적인 크라우딩 및 슬루잉 없이도 연속도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ow bucket of the bucket is moved across the bank surface against a vertically extending bank such that only one tooth of the longitudinal centerline is actually bonded to the material, and the towing is performed without substantial crowding and slewing of the bucket. Method characterized by the continuous degr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견인은 버킷의 세로 중심선의 한쪽 티쓰만이 최초로 보울더에 결합도게하고, 상기 버킷이 전방으로 더욱 이동하면 보울더가 버킷을 슬루잉하지 않으면서 버킷중앙으로 움직이도록 버킷을 점진적으로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2. The pulley of claim 1 wherein traction of the bucket allows only one tooth of the longitudinal centerline of the bucket to engage the boulder for the first time, and if the bucket moves further forward, the boulder does not slew the bucket to the center of the bucket. Progressively towing the bucket to m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견인은 버킷이 지면을 관통하여 팁핑이 시작될 때 버킷 중량이 세로 중심선으로부터 가장 먼 티쓰상에 작용하여 관통력을 중가시키도록 점진적으로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owing of the bucket is towed gradually such that when the bucket begins to tip through the ground, the bucket weight acts on the tooth furthest from the longitudinal centerline to increase the penetration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제공은 상기 립을 평면 구조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viding of the bucket comprises the step of flattening the l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제공은 한 루쓰상의 주어진 지점과 인접 루쓰상의 대응지점을 연결하는 선이 버킷의 중심선에 대략 75°내지 8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전방 립을 이루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vision of the bucket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 front lip such that a line connecting a given point on one root and a corresponding point on an adjacent root forms an angle of approximately 75 ° to 80 ° to the centerline of the bu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측부, 후부 및 하부벽 및 개방 전면부를 구비하며 버킷이 측벽간에 중심선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벽은 굴착 티쓰를 갖춘 전방립 까지 이어지고 그 상부의 티쓰는 인접 티쓰쌍간에 간격을 이루고 버킷의 중심선으로부터 측벽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돌출되어 약 75°내지 8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본체를 제공하며, 상기 본체 및 주이동기 사이에 상호 연결된 드래그라인 호이스트라인 및 덤프라인을 제공하며, (가) 버킷이 수직 연장 뱅크에 닿아 세로 중심선 한쪽의 티쓰만이 뱅크재료에 결합될 때 티쓰가 재료를 분쇄하여 뱅크내에 재료를 수집하고 버킷이 상기 버킷의 실질적인 크라우딩 및 슬루잉을 방지하도록 버킷을 안정되게 지지하며, (나) 상기 버킷의 중심선의 한쪽 티쓰만이 최초로 보울더에 닿을 때 상기 버킷이 계속 전방으로 견인되면 보울더가 버킷의 실제적인 슬루잉 없이도 버킷의 중앙으로 이동하며, (다) 지면을 관통하는 버킷이 팁핑을 개시할 때 버킷 중량이 세로 중심선으로부터 가장 먼 티쓰상에 작용되어 드래그라인상에 점진적인 견인력을 작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라인 버킷 작동 방법.It has side, rear and bottom walls and an open front part, with the bucket forming a centerline between the side walls, the bottom wall extending to the anterior lip with the excavation teeth, and the upper teeth spaced between adjacent pairs of teeth and from the bucket's center line towards the side wall. Providing a body that is progressively projected progressively and formed to form an angle of about 75 ° to 80 °, providing a dragline hoistline and a dumpline interconnected between the body and the main mover, (a) the bucket being vertical When only the teeth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bank are joined to the bank material, the teeth crush the material to collect the material in the bank and stably support the bucket to prevent the bucket from substantial crowding and slewing, (B) When only one tooth of the centerline of the bucket touches the boulder for the first time, the bucket continues to move forward. When the boulder moves to the center of the bucket without the actual slewing of the bucket, (c) the bucket weight acts on the tooth farthest from the longitudinal centerline as the bucket penetrates the ground and starts tipping, A method of operating a dragline bucket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progressive traction. 하부벽, 한쌍의 측벽 및 후부벽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벽은 내향 V형 구조의 전방립을 갖고 있는 본체와, 한쌍의 인접 티쓰 측부간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이격된 위치에서 립에 고정되며 전체가 V형 구조를 이루는 전방 팁을 갖는 복수개의 티쓰와, 굴삭 목적을 위해 드래그라인 버킷을 작동하도록 드래그라인, 호이스트라인 및 덤프라인을 본체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라인 버킷.The bottom wall includes a bottom wall, a pair of side walls, and a rear wall, wherein the bottom wall is fixed to the lip in a spaced apart position so as to form a gap between the body having an inwardly V-shaped front rib and a pair of adjacent teeth sides. And a plurality of teeth having a front tip constituting a shaped structure, and means for securing the dragline, the hoistline, and the dumpline to the body to operate the dragline bucket for excavation purpo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티쓰의 전방팁은 평면 구조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라인 버킷.The dragline bucket of claim 8, wherein the front tip of the tooth is arranged in a planar structure.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티쓰 사이에 갭에 설치된 립부분은 각각 인접한 티쓰에 의해 분쇄된 재료를 수집하도록 경사진 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라인 버킷.10. The dragline bucket of claim 9 wherein the lip portions provided in the gaps between each of the teeth are inclined surfaces to collect material crushed by adjacent teeth, respective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티쓰 사이의 갭에 설치된 립 부분은 티쓰에 의해 분쇄된 재료를 수집하는 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라인 버킷.9. The dragline bucket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lip portion provided in the gap between the teeth forms a surface for collecting the material crushed by the teet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V형 립은 대략 150°내지 160°의 각도로 확산되는 두 대향 선형 레그 부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라인 버킷.9. The dragline bucket of claim 8 wherein the V-shaped lips form two opposing linear leg portions that diffuse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150 ° to 160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V형 구조는 대략 150°내지 160°의 각도로 확산되는 두 대향 경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라인 버킷.9. The dragline bucket of claim 8 wherein the V-shaped structure achieves two opposing economies spreading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150 ° to 160 °. 상기 드래그라인 버킷은, 하부벽, 한쌍의 측벽 및 후부벽을 가지며, 상기 벽들은 수집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 전면부 및 공동을 협력적으로 이루고 상기 하부벽은 상기 개방 전면부를 위한 하부 경계를 형성하는 전방립을 포함하고 또, 상기 측벽 사이에 중앙으로 연장하는 축선도 가지는 본체와, 드래그라인 버킷이 상기 재료를 따라서 견인될 때 재료에 결합하여 이를 분쇄시키고 인접 티쓰쌍간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이격된 위치에서 립에 고정되며 상기 간극에서는 상기 립 부분이 상기 재료에 노출되어 상기 립이 상기 티쓰에 의해 분쇄된 재료를 본체의 공동내로 수집되게 하고 팁이 전체적으로 오목한 구조를 이루도록 버킷의 축선에 인접 위치한 모든 다른 루쓰의 팁보다 더 많이 돌출되게 위히한 전방팁을 이루는 복수개의 티쓰와, 굴삭 목적을 위해 드래그라인 버킷을 작동하도록 상기 본체를 드래그라인, 호이스트라인 및, 덤프라인을 본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상에서 견인하여 재료를 수집하는데 사용되는 드래그라인 버킷.The dragline bucket has a bottom wall, a pair of side walls, and a back wall, the walls cooperatively forming an open front portion and a cavity to receive collected material and the bottom wall defines a bottom boundary for the open front portion. A main body having an anterior rib that forms and also has an axis extending centrally between the sidewalls and spaced such that when the dragline bucket is towed along the material, it engages with the material and breaks it apart, forming a gap between adjacent pairs of teeth. Fixed to the lip in a closed position, wherein the lip portion is exposed to the material such that the lip is located adjacent to the axis of the bucket such that the pulverized material collected by the tooth is collected into the cavity of the body and the tip is generally concave. Multiple teeth and excavation necks that form the front tip, protruding more than all other root tips Dragline bucket, which is used to tow by collecting the material on the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ans for attaching to the body a dragline, hoist line and, dump line to the main body to operate the dragline bucket to.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티쓰의 전방팁은 모두 동일 평면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라인 버킷.15. The dragline bucket of claim 14 wherein the front tips of the teeth are all located in the same plan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티쓰의 팁은 전체적으로 대략 150°내지 160°의 각도로 확산되는 한쌍의 대향된 경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라인 버킷.16. The dragline bucket of claim 15 wherein the tip of the tooth defines a pair of opposed boundaries that diffuse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150 ° to 160 ° as a whole. 측부, 후부 및 하부벽 및 개방 전면부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주이동기에 연결되는 드래그, 호이스트 및 덤프 라인이 구비되어 있고, 하부벽은 적어도 다섯 개의 굴삭 티쓰를 갖춘 전방립 까지 이어지며, 상기 전방립은 평면 V형이고 상기 티쓰는 상기 세로 중심선에 대해 대략 75°내지 8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버킷의 세로 중심선으로부터 측벽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립상에 장착되어 상기 드래그라인 상의 점진적인 견인력의 작용은 세로 중심 선 상에 실제로 설치되는데 (가) 상기 버킷이 수직연장 뱅크에 결합할 때 세로 중심선의 한쪽 티쓰만이 버킷의 크라우딩을 필요 없게하고 슬루잉로 회피시키게 하며, (나) 상기 버킷의 세로 중심선 한쪽 티쓰만이 보울더에 최초로 결합될 때 상기 버킷이 더욱 전방으로 이동하면 보울더는 그 중앙으로 이동되어 버킷의 슬루잉을 방지하며, (다) 버킷이 지면을 관통되면서 팁핑을 계시할 때 상기 버킷 중량은 세로 중심선으로부터 가장 먼 티쓰상에 작용되어 관통력을 증가시키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라인 버킷.A body having side, rear and bottom walls and an open front part, the body having drag, hoist and dump lines connected to the main mover, the bottom wall extending to the anterior lip with at least five excavation teeth. Wherein the anterior lip is planar V-shaped and the teeth are mounted on the lip so as to protrude progressively from the longitudinal centerline of the bucket toward the sidewall to form an angle of approximately 75 ° to 80 °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The action of the traction force is actually installed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a) when the bucket is coupled to the vertical extension bank, only one tooth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eliminates the crowding of the bucket and avoids slewing, (b) The bucket moves further forward when only one tooth on the longitudinal centerline of the bucket is first engaged with the boulder The face boulder is moved to its center to prevent slewing of the bucket, and (c) when the bucket penetrates the ground and reveals tipping, the bucket weight acts on the teeth farthest from the longitudinal centerline to increase penetration. Dragline bucket,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20000783A 1992-01-21 1992-01-21 Dragline bucke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9700004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783A KR970000490B1 (en) 1992-01-21 1992-01-21 Dragline bucke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783A KR970000490B1 (en) 1992-01-21 1992-01-21 Dragline bucke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610A KR930016610A (en) 1993-08-26
KR970000490B1 true KR970000490B1 (en) 1997-01-13

Family

ID=1932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783A Expired - Fee Related KR970000490B1 (en) 1992-01-21 1992-01-21 Dragline bucke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49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610A (en) 199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4990A (en) Dragline bucke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4231173A (en) Excavating tooth
CN101918646B (en) Dragline buckets, rigging and gear
JP4493504B2 (en)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machines equipped with blades for work machines
US3085635A (en) Ground-rooting tooth and its mounting
KR940008635B1 (en) Dragline bucket
US5400530A (en) Dragline excavator bucket and rigging
US4038766A (en) Excavator bucket ripper tool
US7992329B2 (en) Single pointed ripper bucket excavation tool
US4459768A (en) Bucket design
US5992062A (en) High penetration bucket arrangement
US4457085A (en) Excavating buckets
US5515624A (en) Excavating hoe or bucket
KR970000490B1 (en) Dragline bucke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A3169778C (en) Bucket for underground loading machine
US6625908B1 (en) Apparatus for digging a trench
US2806617A (en) Power loader
JPS624492B2 (en)
RU2188279C1 (en) Scraper
US20250250782A1 (en) Wear member having curved wall scratching tip portion
AU2013202800A1 (en) Dragline bucket, rigging and system
US20250250781A1 (en) Wear member having double scoop-rib
JPH05230848A (en) Dragline bucket and its method of operation
US20130219757A1 (en) Mounting plate attachment for excavating device
SU1027339A1 (en) Dragline working e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001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011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