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7001188A -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해독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메모리 제어기(Memory Controller for Decoding and Displaying Compressed Video Data) - Google Patents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해독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메모리 제어기(Memory Controller for Decoding and Displaying Compressed Video Dat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87001188A KR987001188A KR1019970704362A KR19970704362A KR987001188A KR 987001188 A KR987001188 A KR 987001188A KR 1019970704362 A KR1019970704362 A KR 1019970704362A KR 19970704362 A KR19970704362 A KR 19970704362A KR 987001188 A KR987001188 A KR 9870011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type
- video
- compressed
- decompres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3—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ersonal Computer [PC]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60—Memory managemen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3—Arrangements for updat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36—Time code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04N19/42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using memory downsizing methods
- H04N19/427—Display on the fly, e.g. simultaneous writing to and reading from decoding memo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decimation or subsequent interpolation of pictures in a video seque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5—Memory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1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 H04N9/821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상에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비디오 이미지를 발생시키고, 음성재생을 위한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압축 및 부호화된 오디오 및 비디오용 데이터 스트림을 압축해제 및 해독하기 위한 오디오/비디오 압축해제 및 해독기를 포함한다. 이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집적화된 시스템과 신규한 메모리 제어기와 터어링 없이 디스플레이어상에 완전환 해독 및 압축해제된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신규 방법을 실행하는 비디오 해독기를 포함한다. 메모리에서 해독 및 압축해제된 비디오 프레임의 선택적인 저장의 이용에 의해 티어링이 예방되나, 비디오 세그머트의 예측된 모션을 위한 정보는 보존된다.
Description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개인용 컴퓨터(이하 PC로 약함)가 최근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를 지닌 멀티미디어 기기를 채택하고 있다. 몇몇의 멀티미디어 그룹이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를 압축 및 부호화하고 압축해제 및 해독하는 표준으로 수립되고 제시되고 있다. 모션 픽춰 엑스퍼트 그룹에 의해 수립된 MPEG Ⅰ+Ⅱ는 멀티미디어 PC 기기 분야에서 국제 표준으로 널리 받아들여졌다. 다른 표준으로 조인트 포토그라픽 엑스퍼트 그룹 (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에 의해 설립된 JPEG 및 모션 (Motion) JPEG가 있다.
도 1a는 MPEG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되고 코드화된 비디오 및 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해제를 실행하는 MPEG 비디오 및 오디오용 해독기(120)의 도면이다. 시스템 해독기(110)는 비월주사되고 압축된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갖는 부호화된 MPEG 데이터 스트림(stream : 데이터 세트간에 데이터 전송이 실행되는 것으로 문자형식의 데이터 항목이 연속한 열로 되어있는것.)(101)을 읽으며, 필요한 타이밍 정보 즉, 비디오 프리젠테이션 타임 스탬프(VPTS)(104), 시스템 클락 레퍼런스 스탬프(SCR)(105) 또는 시스템 타임 클락(STC)라고도 함, 오디오 프리젠테이션 타임 스템프(APTS)(106), 그리고 비트 스트림으로 부호화된 분리된 비디오 (102)및, 비트 스트림으로 부호화된 오디오(103)를 발생시킨다. 비디오 해독기(111)는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102)을 압축해제하고, 압축해제된 비디오신호를 발생시킨다. 압축해제된 비디오신호(107)는 PC 모니터 또는 다른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해지고, 압축해제된 오디오신호(108)는 오디오 스피커 또는 다른 오디오 발생 수단에 전해진다.
MPEG 부호화 및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은 복수개의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 패킷 또는 블록과, 복수개의 부호화 및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패킷 또는 블록을 포함할 것이다. MPEG 부호기는 비디오 프래임을 기준으로한 비디오 패킷, 또한 화상으로 불려지는 것을 부호화 및 압축화 한다. 이러한 화상 또는 프레임은 소스 또는 휘도 및 두 색차신호를 나타내는 다수 개의 비트 숫자가 직사각형 매트릭스로 재구성된 이미지 데이터이다. 도 2a 내지 2c는 이용된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 타입을 나타낸다. 도 2a는 인트라 프레임 또는 Ⅰ-타입 프레임(200)을 나타낸다. I-타입 프레임 또는 화상은 과거 또는 미래로 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타입 프레임의 해독 및 압축해제를 위한 근거로써 사용 되어진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이다. 도 2b는 예측 프레임 또는 P-타입 프레임(21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이 P-타입 프레임 또는 화상은 I1(200)일 경우에 그 과거의 I-타입 프레임 또는 P-타입 프레임으로 부터 예측 보상 동작을 이용하여 부호화 및 압축화 되어진 프레임이다. 즉, 이전 프레임은 비디오 데이터의 현재 주어진 프레임을 부호화 및 압축화되어지는데 사용된다. 205a는 P-타입 프레임(210)을 만들기 위하여 예측 정보가 보상된 동작을 나타낸다. 도 2c는 양방향 프레임 또는 B-타입 프레임(220)을 나타내고 있다. B-타입 프레임(220) 또는 화상은 그것의 과거에서 I-타입 기준 프레임(예를 들어 200) 또는 P-타입 기준 프레임, 그리고 그것의 미래에 있어서 I-타입 기준 프레임 또는 P-타입 기준 프레임(예를 들어 210) 또는 그 둘의 조합으로부터 얻어진 예측이 보상된 동작을 이용하여 부호화 및 압축된 프레임이다. 보통 B-타입 프레임은 I-타입 프레임 또는 P-타입 프레임 사이에 삽입된다. 도 2d는 소위 디스플레이 명령 I1B2B3P4B5P6에서 화상 그룹을 나타낸다. 이 도면은 B-타입 프레임이 I-타입과 P-타입 프레임 사이에 삽입하는 것과 보상 정보 흐름을 지시하는 방향을 보이고 있다.
동작 보상은 부호화 및 압축 그리고 해독 및 압축해제를 하기 위한 예측 화소값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프레임에서부터 그 다음까지 동작 벡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예측 방법은 주어진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을 압축 및 부호화하거나 압축해제 및 해독 하기 위하여 에러 데이터와 함께 이용되어질 수 있는 해독된 화소값을 갖는 비디오 데이터의 과거 또는 미래 프레임에 관한 오프셋값과 에러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작 벡터를 이용한다.
P-타입 프레임을 해독 및 압축해제 하는 능력은 이전의 I-타입 또는 P-타입 기준 프레임과 B-타입 프레임의 유용성을 요구하며, 후속의 I-타입 또는 P-타입 기준 프레임의 유용성을 요구한다.
예를 들면, 다음의 프레임 순서 또는 디스플레이 명령을 갖도록 부호화 및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을 고찰하자.
I1B2B3P4B5P6B7P8B9B10P11 ....Pn-3Bn-2Pn-1In
주어진 디스플레이명령에 대한 해독 명령은 다음과 같다.
I1P4B2B3P6B5P8B7P11B9B10 ....Pn-1Bn-2In
해독 명령은 디스플레이 명령과 다르다. 왜냐하면 B-타입 프레임이 해독되어지도록 추가적으로 I-타입 기준 또는 P-타입 프레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타입 프레임은 이전의 I-타입 기준의 프레임이 유용되어기를 요구한다. 예를 들면, P4는 I1이 부호화 및 압축된 I1프레임이 유용되어질 것을 필요로하는것과 같이 I1프레임이 해독되어지는 것을 요구한다. 비슷하게, 프레임 P6은 P4가 프레임 B3와 같이 P6.B-타입 프레임을 해독 및 압축해제 하기 위하여 유용되어짐을 요구하고, 해독되어지도록 P4및 I1와 같은 과거 및 미래 I 또는 P-타입 기준 프레임을 요구한다. B-타입 프레임은 I-타입, P-타입, 또는 해독되는 동안의 조합의 프레임들에 삽입되고, 이미지의 완벽한 재생을 위하여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Pn-1과 같은 예에 있어서, I-타입 프레임 이전의 프레임은 I-타입 프레임을 해독하기위하여는 필요없고, 어떤 프레임도 해독 및 압축해제 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Pn-1을 요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모든 동작의 두 번째는 적어도 2개의 I-타입 프레임을 요구한다. P-타입 프레임이 초당 50 킬로 비트의 표본추출 비율을 갖는데 반해 I-타입 프레임은 초당 150 킬로 비트 표본추출 비율을 갖는다.
디스플레이 과정은 해독 과정 보다 느릴 것이다. 예를 들어, 240×16 화상은 (40Mhz에서 76.8㎲ 조건에서)해독하기 위하여 3072 클럭사이클을 요구한다. 즉, 75 Hz 재생률 (13㎲ ×16=200㎲)에서 비디오 테이터의 16라인을 디스플레이하는데 200㎲가 걸린다. 보통 디스플레이와 해독 사이에 하나의 플레임 지연기가 있다. 디스플레이와 해독의 차이가 티어링(tearing : 화상결함의 일종)으로 알려진 조건까지 이르게 한다. 티어링은 디스플레이 플레임이 해독된 플레임에 의해 중복 기입(정보가 중복 기록 되어짐으로 원래의 정보가 지워지는 기록방법) 되어졌을때 발생한다.
도 1b는 티어링을 나타내고 있다. 닫혀진 문(133)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132)은 일반적으로 버퍼(135)에 저장된다. 이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140)에 디스플레이되어진다. 이 디스플레이 주기 동안에 열려진 문(131)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같이 있는 또다른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플레임(130)이 버퍼(135)에 저장된다. 이 디스플레이 기기(140)는 지금 버퍼(135)에 저장된 새로운 프레임으로 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지금 디스플레이를 시작할 것이다. 그 결과는 저장된 이미지(141)의 부분적 디스플레이와 새로 저장된 이미지(142)의 부분적 디스플레이이다. 이것이 티어링 효과이다.
일반 비디오 스트림과 MPEG 스트림을 결합하는 여러 방법들이 도7a~7c에서 보여진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기기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에 대한 해독기 및 압축해제기 및 메모리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모션 픽춰 엑스퍼트 그룹(Motion Picture Expert Group : 실시간으로 애니메니션과 음성의 압축전개를 하기위한 알고리즘)(MPEG 1 +Ⅱ)의 압축 및 압축해제 표준 데이터에 적합하도록 된 것이다.
도 1a는 MPEG 해독 시스템의 종래 기술 블럭도이다.
도 1b는 프레임 버퍼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저장된 두 개의 다른 프레임으로 부터온 프레임 데이터에서 종래기술 장치내에서 티어링 문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2a~2d는 종래의 영상 프레임의 부호화 및 압축화를 보이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3개의 슬롯 프레임 버퍼 메모리 어레이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블럭도이다.
도 4는 4개의 슬롯 프레임 버퍼 메모리 어레이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블럭도이다.
도 5a-5g는 3개의 슬롯 프레임 버퍼 메모리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해독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어떻게 본 발명이 멀티미디어 컴퓨터 시스템내에서 사용되었는지를 보이는 하이 레벨 시스템 도면이다.
도7a~7c는 그래픽과 부호화된 데이터 전송이 결합된 본 발명의 선택적 형상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2 : 어드레스 신호
123 : 제어신호
124 : 데이터 프레임
311 : Vidsyst 해독기
321 : 메모리 어레이
370 : 비트 스프림 버퍼
371 - 373 : 슬롯
375 : 제어회로
380 : 메모리 제어기
382 : 시스템 페이져
383 : 비디오 해독기
471 - 474 : 슬롯
505, 515,525 : 프레임
600 : 멀티미디어 디지털 시스템
601 : 이미지 소스
602 : 부호기
603 : 이미지
604 : CD ROM
605 : 디지털 디스플레이어
606 : CRT 모니터
607 : 텔레비젼
608 : 스피커
609 : 버스
610 : 메인시스템
611 : CD ROM 판독기
612 : 오디오 및 비디오용 해독기
613 : 프로세서
615 : 시스템 버스
619 : Vidsyst 해독기
620 : 오디오 및 비디오용 동기회로
622 : 시스템 해독기
625 : 그래픽 제어기
626 : 버스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집적화된 시스템과 비디어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진행하기 위해 보다 적은 저장 공간을 이용하는 새로운 메모리 지어기를 갖는 비디오 해독기를 구비하는 것이 게시되어 있다. 이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부호화 및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을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와 부호화 및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로 분리하기 위하여 부호화 및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을 해독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 해독 및 압축해제 회로를 갖는다. 어드레스 지정 가능한 저장처를 갖는 메모리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와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제 1영역과, 해독 및 압축해제된 비디오 프레임들을 선택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복수개의 슬롯(가는 구멍)을 포함하는 제 2영역으로 나누어진 어드레스이다. 해독기가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프레임 버퍼 메모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그 결과로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가격을 낮추는 신규한 방법들이 기재 되어있다. 이 방법들은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 그것이 B-타입, P-타입 또는 I-타입 프레임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해독 및 압축해제된 비디오 프레임의 타입도 또한 결정되어진다. 그러면 부호화 및 압축 비디오 프레임은 다음의 표에 따라 메모리가 나누어진 어드레스의 여러 슬롯안으로 해독 및 기입된다.
음의 표는 기재된 발명의 동작을 요약한다.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일부분은 음향 및 비디오 이미지를 시간 정보, 비디오 데이터의 압축 및 부호화된 패킷,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및 부호화된 패킷을 포함하는 압축 및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으로 압축 및 부호화 한다. 이 압축 및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은 나중에 재생되기 위하여 시디롬(CD-ROM) 또는 다른 저장 장치에 기록되어 지거나, 비디오 이미지와 오디오 재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재생부로 직접 전송되어 진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재생부는 컴팩트 디스크 롬 판독기, 프로세서 회로, 비디오 및 오디오 해독 회로, 소리의 발생을 위한 오디오 스피커, 그리고 음향 재생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축 및 부호화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내에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회로의 숫자와 크기를 최소화함에 의해 시스템 디자인의 경비가 감소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보이는 도3을 참조하면, 메모리(321)가 다수 영역에 있는 어드레스 위치에 의해 분리되었다. 비트 스트림 버퍼(370)를 참조했던 바와 같이,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것이다. (프레임 버퍼(350)로 언급된) 메모리 서브영역으로 나뉘어진 어드레스이다. 슬롯(371), 슬롯(372) 및 슬롯(373)은 해독 및 압축해제 된 비디오 프레임의 하나의 완전한 프레임을 각각 저장 할 수 있다.
여기서 Vidsyst (비디오 시스템) 해독기로 불려진 하나의 집적회로는 알고리즘과 본 발명의 회로를 실행한다. 이 Vidsyst 해독기(311)는 (보이지 않은) 프로세서로 부터 MPEG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시스템 페이져(3821)에 그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371)을 갖는다. 이 시스템 페이져(382)는 오디오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으로 부터 온 비디오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 뿐만 아니라 그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온 시간 정보 즉, VPTS(104), SCR(105), APTS(106)를 분석한다. 비디오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은 메모리(321)내의 비트 스트림(370)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지는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보내진다. 또한, 오디오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은 메모리(321)내의 비트 스트림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준비가 되면, 메모리(321)에서의 비트 스트림 버퍼(370)내에서 비디오 부호화된 데이터 파킷은 압축해제된 비디오 데이터(107)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비디오 해독기(383)내에서 해독 및 압축해제되어지도록 독출된다.
부호화된 프레임의 여러 타입을 해독하는데, P-타입 부호화된 프레임과 B-타입 부호화된 프레임을 해독하기 위하여 기준 프레임이 필요하다. 즉, 데이터의 압축해제 및 해독된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다른 프레임을 해독하기 위해 이용되어 지도록 메모리(321)내에서 재생된다. 말인 시스템 지연 때문에 압축 해제된 비디오 데이터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되어지도록 준비되지 않으면, 이 프레임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메모리(321)의 비트 스트림 버퍼(370)내에서 오디오 부호화된 데이터 파킷이 준비되면, 압축 해제된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보이지 않음) 오디오 해독기에게 해독 및 압축해제 되도록 독출된다.
비디오 내에서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은 여러 부호화된 비디어 프레임이다. 이것들중, I-타입 프레임은 약 20K 바이트의 메모리를 요구하고, P-타입 프레임은 약 10K 바이트를 요구하고, 그리고 B-타입 프레임은 약 3K 바이트를 요구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버퍼(350)으로 언급된) 메모리 (321)내에서의 제2 영역은 어드레스에 의해 나주어진 3개의 슬롯(371-373)을 갖는다. 슬롯1(371), 슬롯2(372), 및 슬롯3(373)은 해독 및 압축해제된 비디오 프레임의 하나의 완전한 프레임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롯1 및 슬롯2는 해독 및 압축해제 I-타입 및 P-타입 영상 프레임이 저장하는데 사용되어지는 반면, 슬롯3은 하기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해독 및 압축 해제된 B-타입 프레임도 저장하고, 또한 해독 및 압축해제된 I-타입, 및 P-타입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한다.
메모리 어레이(321)는 메모리 영역에 적절하게 어드레스를 지명하기 위하여 어드레스 해독기, 데이터 버퍼, 그리고 제어회로(375)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메모리는 다이내믹 랜덤 엑세스 메모리 (DRAM) 타입중 하나이지만 비디오 메모리(VMEM) 타입 또는 스태틱 랜덤 엑서스 메모리 (SRAM) 타입중 양자 택일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Vidsyst 해독기(311)내에서, 다른 회로와 연관된 메모리 제어기(380)가 어드레스 신호(122) 및 제어 신호(123)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어드레스 및 제어 신호는 메모리(321)로부터 기입 또는 판독되어지도록 데이터에 따라 적절하게 맞추어진다. 도 4는 어드레스 위치가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한 4개의 슬롯을 갖는 다른 영역으로 나누어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보인다. 제1 영역(370)은 도 3과 같은 비트 스트림 버퍼이고, 부호화된 비디오 및 오디오 패킷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프레임 버퍼(450)로 불리는) 메모리(421)내에서의 제2 영역은 어드레스에 의해 나누어진 4개의 슬롯(471-473)을 갖는다. 슬롯1(471), 슬롯2(472), 슬롯3(473) 및 슬롯4(474)들은 같은 크기로 해독 및 압축해제된 비디오 프레임을 하나의 완전한 프레임으로 각각 저장한다.
프레임 버퍼 메모리의 4개의 슬롯이 분리됨으로 티어링 문제가 없다. 메모리의 슬롯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되어질 프레임을 갖는 슬롯에 기입 해야하는것 없이 유용할 것이다. 더욱이, 4개의 슬롯 메모리 분리됨으로 디스플레이를 정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낮은 가격의 컴퓨터 시스템을 위하여, 메모리의 적은 량으로도 오히려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3개의 슬롯 해법을 사용하는 메모리의 좀 더 효과적인 사용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정 B-타입 프레임을 떨어트리고 선택된 슬롯에서 프레임을 중복라이팅하는 것에 의해 종래 기술과 도 1b에서 보여진 것과 같은 티어링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a-5g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은 다음의 경우를 고찰하자.
그 첫번째 예로, 도 5a는 디스플레이명령 I1B2B3P4와 그에 상응하는 해독 명령 I1P4B2B3을 가정한다. 즉, 먼저 비디오 해독기(383)는 I1프레임을 해독하고 슬롯(371)에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을 저장한다. 먼저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을 이용하여 P4프레임이 다음으로 해독된다. 이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은 슬롯2(372)에 저장된다. 슬롯1(371)과 슬롯2(372)내에 각각 저장된 하나 또는 2개의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I1및 P4를 이용하여 다음으로 B2프레임이 해독된다. 해독 및 압축해제된 B2프레임은 슬롯3 (373)내에 저장된다.
바람직하게 B3프레임(505)이 다음으로 해독 및 압축해제된다. 그러나, 3개의 슬롯 메모리 어레이를 사용할 때, 하나는 그들이 디스플레이되기전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P4및 B2프레임과 함께 어떤 슬롯도 중복 기입 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P4및 B2프레임의 경우에는, 이들은 적절하게 B3프레임을 해독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게 된다. 해독 및 압축해제된 B2프레임의 경우에는, 이 프레임은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았거나, 오직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분적으로 디스플레이되어진다. 만일 해독 및 압축해제된 B2프레임이 해독 및 압축해제된 B3프레임 정보는 메모리 어레이(321)에 저장 및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므로, 해독 및 압축해제된 B2프레임이 완전하게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B-타입 프레임은 압축해제된 모션 비데오 (Motion Video) 세그먼트의 실질적인 재생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되고 있거나 아직 디스플레이되어진 해독 및 압축해제된 B-타입 프레임의 중복라이팅이 3개의 슬롯 프레임 버퍼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명령 I1B2P3I4와 이에 상응하는 해독명령 I1P3B2I4를 갖는 두 번째 예에 대한 도 5b를 고찰하자. 비디오 해독기(383)는 먼저 I1프레임을 해독하도록,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이 슬롯1 (371)내에 저장된다. 다음에 P3프레임이 해독되고, 먼저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을 이용하여 슬롯2(372)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슬롯1(371)에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I1과 슬롯2(372)에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P3을 이용하여 B2프레임이 해독된다. 이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B2는 슬롯3(373)에 저장된다.
다음에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B2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되어지는 동안에 I4(515)가 해독되어진다. I-타입 프레임은 어떤 다른 프레임들로부터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가장 오래된 I-타입 및 P-타입 프레임은 중복 기입 되어진다. 즉, 우리는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I4와 함게 슬롯1(371)에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I1을 중복기입한다.
디스플레이명령 I1B2P3B4P5를 갖는 세 번째 예를 보자. 이것에 상응하는 해독 명령은 I1P3B2P5B4이다. 도 5c에 보인바와 같이, 비디오 해독기(383)는 먼저 I1프레임을 해독하고 슬롯1(371)내에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을 저장한다. 다음에 P3프레임은 이전에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을 이용하여 해독된다. 해독 및 압축해제된 P3프레임은 슬롯2(372)에 저장된다. 다음에 B2프레임이 슬롯1과 슬롯2내에 각각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I1및 P3모두를 이용하여 해독된다.
바람직하게 프레임 P5가 다음으로 해독된다. 프레임 P5는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I1이 아닌 기준으로서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P3을 요구한다. 즉, 해독 및 압축해제된 P5프레임은 P3과 비교해 빠르거나 늦은 프레임인 슬롯1(371)에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I1에 중복 기입될 것이다.
다음에 우리는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P3및 P5를 이용하여 프레임 B4(525)를 해독한다. 프레임 P3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501) 되어질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이고 프레임 B2는 프레임 P3이전에 해독되므로, 결국 디스플레이되어지고,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B4은 슬롯3(373)에 현재 저장된 프레임 B2에 방금 저장될 수 있다.
4번째 예로서, 디스플레이명령 I1P2B3P4과 해독 명령 I1P2P4B3을 갖는 도 5d를 고찰해 보자. 먼저 비디오 해독기(383)는 I1프레임을 해독하고 슬롯1(371)내에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래임을 저장한다. 다음으로 P2프래임이 먼저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을 이용하여 해독된다. 해독 및 압축해제된 P2프레임은 슬롯2(372)에 저장된다. 다음에 P4프레임은 슬롯2 내에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해독되며,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P4는 방금 슬롯3(373)에 저장된다.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은 현재 디스플레이(501) 되어지고 부호화 및 압축된 B3프레임은 다음에 535로 해독되어진다. 왜냐하면, B-타입 프레임은 압축해제된 모션 비데오 제이 세그먼트의 실질적인 재생에 필수적이지는 않다. 그러므로, 버려지는 부호화 및 압축된 B-타입 프레임과 슬롯3(373)에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P4프레임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되어지고 이어 뒤따르게되는 슬롯2(372)에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P2프레임을 허용할 때 압축해제된 모션 비디오 제이 세그먼트의 해결의 현저한 손실은 없다.
다섯 번째 예로 도 5e를 고찰하자. 이 예에서, 디스플레이오더는 I1B2P3이고, 이에 상응하는 해독오더는 I1P3B2이다. 먼저 비디오 해독기(383)가 I1프레임을 해독하고 슬롯1(371)에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을 저장한다. 다음에 P3프레임이 이미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과 미리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을 이용하여 해독하고, 이어 슬롯2(372)에 저장된다.
도 5d와 같이, 해독 및 압축 해제된 I1프레임이 현재 디스플레이(501)되어지고 부호화 및 압축된 다음으로 B2(545)로 분리는 B-타입 프레임이 해독되어 진다. 그러나 도면에는 슬롯3 (373)이 비어있다. 그러므로 미리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과 미리 저장된 해독 및 압축 해제된 P3프레임을 이용하여 부호화 및 압축된 B2프레임이 해독 및 압축 해제되고 슬롯3 (373)에 저장된다.
디스플레이명령 I1B2P3P4와 그에 상응하는 해독명령 I1I2I3I4를 갖는 도 5f에 디스플레이된 여섯번째 예를 고찰하자. 먼저 비디오 해독기(383)는 I1프레임을 해독하고 슬롯1(371)에 해독 및 압축해제 된 I1프레임을 저장한다. 다음에 먼저 저장된 해독 및 압축 해제된 I1프레임을 이용하여 P3프레임이 해독되고, 이어 슬롯2(372)에 저장된다. 다음에 미리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이 해독된다. 이어 해독 및 압축 해제된 B2프레임은 슬롯3(373)에 저장된다.
다음에 P4프레임(555)이 슬롯2(372)내에 저장되었고 현재 디스플레이(501)되어지고 있는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P3를 이용하여 해독되어진다.
P3는 현제 디스플레이되어지고 있고 B2는 이미 디스플레이도어졌으므로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P4는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B2를 중복라이팅하는 슬롯3(373)에 저장된다.
디스플레이명령 I1P2P3P4와 같은 해독 명령 I1P2P3P4을 갖는 도 5g에 보여진 일곱번째 예를 고찰하자. 먼저 비디오 해독기(383)는 I1프레임을 해독하고 슬롯1(371)내에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을 저장한다. 다음 먼저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을 해독하고 슬롯1(371)내에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을 저장한다. 다음 먼저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I1프레임을 이용하여 P2프레임을 해독한다. 이 해독 및 압축해제된 P2프레임은 슬롯2(372)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P3프레임은 슬롯2내에 저장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P2를 이용하여 P3프레임을 해독한다. 일반적으로 슬롯3은 B-타입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하여 이용되나 슬롯3도 역시 P-타입 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P3프레임은 슬롯3(373)에 저장된다.
P4프레임이 다음에 해독되어질것이고, P4프레임이 슬롯3(373)에 방금저장된 새로운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 P3로 부터 정보를 획득한다. P4프레임이 더 이상 가장 오래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전의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으로 부터 정보를 필요로 하는 B-타입 프레임이 없으므로, 우리는 가장 오래된 I-타입 또는 P-타입 프레임을 중복기입 한다. 즉, I1은 슬롯1(371)에 P3가 저장되는것에 의해 중복기입된다. 이 예에 의해 설명된것과 같은 동작이 부호화 및 압축된 P-타입 프레임이 해독되어지는 동안 해독 및 압축해제된 I-타입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되어질 때나 또는 해독 및 압축해제된 I-타입 프레임이 해독되어지는 동안 해독 및 압축해제된 I-타입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되어진다.
[멀티미디어 시스템]
본 발명의 본보기가 되는 멀티미디어기기가 도 6에 의해 나타내졌다. 멀티미디어 컴퓨터와 같은 멀티미디어 디지털 시스템(600)은 내부적으로 CD-ROM 판독기(611)와 오디오 및 비디오용 해독기(612)에 연결된 메인 시스템(610)을 갖는다. 이 멀티미디어 디지털 시스템(600)은 외부적으로 이미지 소오스(601) 및 부호기 (602)를 포함하는 부호화 시스템과 연결되어지며, 디지털 디스플레이어(605), CRT 모니터 (606) 또는 텔레비젼(607)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와 외부적으로 연결되어진다.
초기에 부호화가 이미지 데이터가 제공되는 약간의 소스로 부터의 데이터에 수행된다.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소스의 몇몇 예는 비디오 카메라가, TV 모니터, 컴퓨터, 스캐너, 그리고 카메라이다. 소스에 무관하게 이미지 데이터가 버스(635)로 부호기(602)에 제공된다.
이미지(603)는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소스(601)에 의해 읽혀지고 부호기(602)에 의해 버스(605)로 부호화 되어질 수 있는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부호기(602)를 사용하는 표준타입에 따라 MPEG I부호기, MPEG Ⅱ부호기, JPEG 부호기, 또는 압축 및 부호화된 데이타를 발생시키는 다른 타입의 유닛이 되어질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가 부호화되어진 다음에, 부호기(602)로 부터 프로세서로 직접 연결되어질 수 있으며, 또는 CD-ROM(604)에 기입되어질 수 있다. 만일, CD-ROM에 기입되면, 디스크는 부호기(602)에서 프로세서(613)까지 기록된 압축 및 부호화된 데이터와 연결되기 위하여 CD-ROM 판독기(611)에 삽입되어져야 한다. 프로세서(613)는 인텔 80486 또는 프로세서의 지정된 타입과 같은 표준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것이다. 프로세서(613)는 시스템 버스(615)에 나중에 읽혀지고 배치되도록 압축 및 부호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시스템 버스(615)에 압축 및 부호화된 데이터가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는 ISA 버스, PCI버스, 또는 표준 컴퓨터버스 또는 지정된 버스의 다른 타입일 것이다.
시스템 버스(615)상에서 압축 및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은 오디오 및 비디오용 해독 시스템(612)에 연결된다. 시스템 버스(615)상에서 압축 및 부호화된 데이터는 Vidsyst 해독기(311)에 연결된다. Vidsyst 해독기(311) 내에서, 시스템 해독기(622)는 압축 및 부호화된 데이터에서 압축 및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 오디어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를 분석한다. 시스템 해독기(622)는 타이밍 제어 신호를 분석한다. 시스템 해독기(622)는 타이밍 제어신호를 이송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용 등기회로(6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시스템 해독기(622)는 압축 및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이송하기 위하여 오디오 해독기(627)에 직접 연결되거나 오디오 해독기(627)에 이송되기전 압축 및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을 일시 저장하게 하는 FIFO(641)를 통하여 오디오 해독기(627)에 간접적으로 연결 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 해독기 압축 및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이송하기 위하여 비디오 해독기(383)에 직접 연결 되어진다.
선택적으로, 시스템 해독기(622)는 비디오 해독기(383)가 이송되어지기전 압축 및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을 일시 저장하게하는 FIFO(642)를 통하여 비디오 해독기(383)에 간접적으로 연결 될 수도 있다. 메모리(321)의 부호화 및 압축된 영역(370)내에서 비디오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은 압축해제된 비디오 데이터(107)와 P-타입 또는 B-타입 프레임의 이어지는 해독에 의해 필요한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124)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비디오 해독기(383) 내에서 해독과 압축해제 되어진다. 이 압축해제된 비디오 데이터는 버스(626)에 제공되고, 후속의 프레임을 해독하기 위해 이용되어지도록 슬롯(371~373)에 저장된다.
그래픽 제어기(625)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메모리(624)와 협력하여 압축해제된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디지탈 디스플레이어(605)내지 CRT 모니터(606)에 어느정도 이미지를 스캔한다. CODEC(628)은 압축해제된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텔레비젼(607)을 수용하는 YUV 또는 RGB와 같은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CODEC(628)은 압축해제된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NTSC 또는 PAL 텔레비젼에 디스플레이되기 위해 NTSC 또는 PAL 형태로 변환한다. 그러나, 이 후의 형태 변환은 일반적인 방법이 사용되어진다. 오디오 해독기(627)는 압축 및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해제 및 해독하여 압축해제된 오디오 아날로그 신호를 만들어(보이지 않은) 아나날로그 증폭장치 또는 구동 스피커(608)에 직접 이송되도록 한다. 양자택일적으로, 오디오 해독기(627)는 압축 및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압축해제 및 해독하여 압축해제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만들어(보이지 않은) 디지탈 증폭장치상의 버스(609)에 이송되어지도록 한다.
[결합된 비디오 시스템]
도6 또한 어떻게 그래픽 데이터와 부호화된 데이터가 버스(615)와 디스플레이장치(605~607)를 분배하는 한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그래픽 제어기 (625)는 버스(626)상의 압축해제된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과 버스(615)상의 그래픽 데이터를 결합하여 같은 디스플레이장치 모니터(606) 또는 디지탈(보이지 않은 )내부 멀티플렉서를 갖는다. 이 경우에, 그래픽 데이터는 압축해제도니 데이터가 같은 디스플레이어상에서 다른 윈도우 내에 디스플레이되어지는 동안에 디스플레이어 상에서 배경 윈도우와 다른 윈도우에 공급된다. TV 모니터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어 상에 결합된 두 데이터를 갖을 수 있다.
도7a는 도6에 상응하는 단순한 블럭도이다. 도6 및 7a에서 버스(615)는 버스에서 Vidsyst 해독기(619)내부로 드라이브되어진 부호화된 데이터와 버스(615)에서 그래픽 제어기(625) 내부로 드라이브 되어진 그래픽 데이터 사이에서 시간 다중화된다. 그래픽 제어기는 그래픽 데이터와 동일한 디스플레이장치 상에서 압축 해제된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화 하기 위한 내부 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도7b는 동일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그래픽 데이터와 압축해제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또 다른 양자택일 사항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버스(615)는 부호화된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부호화된 데이터로 부터 발생된 압축 해제된 비디오 데이터를 시간 다중화시킨다. 부호화된 데이터는 버스(615)상에 배치되고, 양방향포트를 갖는 Vidsyst 해독기(719)에 의해 수신된다. Vidsyst 해독기(719)는 압축해제된 데이터를 버스(615)상에 뒤로 드라이브 하기 위해 부호화된 데이터를 해독 및 압축해제 한다. 그래픽 제어기(725)는 각각의 디지탈 디스플레이어(605) 모니터(606), 또는 TV(607)에 내부적으로 함께 다중화 되어 질 수 있도록 그래픽 데이터와 압축해제된 데이터 모두를 수신한다. 이 경우에, 그래픽 제어기(725)는 두 데이터 타입을 적절히 다중호하기 위해 좀더 많은 회로를 포함해야 할 뿐만 아니라 TV(607)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그래픽 데이터와 압축해제된 비디오 데이터를 NTSC 또는 PAL신호로 적절히 변환한다.
도 7c는 외부 부품을 사용하여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상에서 그래픽 데이터와 압축 해제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또다른 양자택일 사항을 나타낸다. 도7a와 비슷하게, 버스(615)는 부호화된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를 시간 다중화시킨다. Vidsyt(619)는 버스(615)로 부터 부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픽셀 데이터로서 멀티플레서(701)에 의해 디지탈 디스플레이어(605)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차례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704)와 변환기(702)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로서 모니터(606)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NTSC/PAL CODEC(628)과 멀티플레서(703)을 통하여 NTSC 또는 PAL신호로서 TV(607)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압축해제된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발생시킨다. 그래픽 제어기 디스플레이어(605)를 위한 픽셀 데이터, 모니터(606)를 위한 아날로그 그래픽 신호, TV(607)을 위한 NTSC/PAL신호, 디스플레이어(605~607)를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 멀티 프렉서(701~703)를 위한 멀티플렉서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멀티플렉서(701~703)을 이용하여 Vidsyst 해독기로 부터 그래픽 데이터와 압축해제된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어(605~607)중 어느곳에 디스플레이되어질 시기에 그래픽 제어기기가 다중제어신호 및 타이밍 신호를 적절히 발생시킨다. 그래픽 제어기(625 및 725)내에서 내부 멀티프렉서는 외부 멀티플렉서(701~703)와 비슷한 모양으로 동작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가 다중영역에 나누어졌고, 적어도 하나가 해독 및 압축해제된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한 다중 슬롯을 함유하는 상태에서 멀티미디어의 새로운 메모리 제어회로가 기재되었다. 데이터의 프레임은 프레임 사이에서 변환중의 티어링된 이미지를 제거하는 동안에 MPEG나 다른 표준 및 요구사항에 응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메모리로 ㅂ터 제공되고 읽혀진다.
Claims (16)
- 부호화 및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을 부리하여 부호화 및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와,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로 분리하기 위한 페이져와, 어드레스지정 가능한 저장처를 갖으며, 상기 페이져와 연결된 상태에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와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일시저장하기 위한 제1영역과, 해독 및 압축해제된 비도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복수개의 슬롯을 포함하는 제2영역으로 나누어진 어드레스를 갖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해독하고 해독 및 압축해제된 비디오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해독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및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을 해독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용 해독 및 압축해제 회로를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제2영역은 해독 및 압축 해제된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한 3개의 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및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을 해독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용 해독 및 압축해제 회로를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제2영역은 해독 및 압축 해제된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한 4개의 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및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을 해독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용 해독 및 압축해제 회로를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독기와 비디오 모니터에 연결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부터의 그래픽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이미지로서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 제어기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및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을 해독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용 해독및 압축해제 회로를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해독기와 비디오 모니터에 연결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부터 그래칙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이미지로서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 제어기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및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을 해독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용 해독 및 압축해제 회로를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독기와 디지탈 디스플레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부터 그래픽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이미지로서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어에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 제어기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및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을 해독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용 해독 및 압축해제 회로를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해독기와 디지탈 디스플레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부터 그래픽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이미지로서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어에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 제어기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및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을 해독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용 해독 및 압축해제 회로를 갖느 멀티미디어 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독기 및 텔레비젼 디스플레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부터 텔레비젼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이미지로서 상기 텔레비젼 데이터를 상기 텔레비젼 디스플레이어에 디스플레이하는 텔레비젼 신호 해독기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및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을 해독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용 해독 및 압축해제 회로를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해독기 및 텔레비젼 디스플레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부터 텔레비젼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이미지로서 상기 텔레비젼 데이터를 상기 텔레비젼 디스플레이어에 디스플레이하는 텔레비젼 신호 해독기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및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을 해독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용 해독 및 압축해제 회로를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현재 디스플레이된 해독 및 압축 해제된 비디오 프레임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을 해독하는 단계와, 그리고 B-타입 해독 및 압축 해제된 프레임이 현재 디스플레이되었을때와 수신 및 해독된 상기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이 B-타입 프레임일때 현재 저장된 B-타입 프레임을 보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 프레임을 메모리에 저장할지를 결정하는 방법.
-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현재 디스플레이된 해독 및 해제된 비디오 프레임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메모리에 현재 가장 오래된 I-타입 또는 P-타입 해독 및 압축 해제된 프레임이 저장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을 해독하는 단계와, 그리고 B-타입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이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수신 및 해독된 부호화 및 압축된 프레임이 I-타입 또는 P-타입 프레임일때, 가장 오래된 I-탕비 또는 P-타입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이 저장되는 곳에서 수신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이 메모리의 일부분에 라이팅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법.
-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현재 디스플레이된 해독 및 압축 해제된 비디오 프레임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을 해독하는 단계와, 그리고 I-타입 또는 P-타입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이 현재 디스플레이 되어지고 있고,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프레임이 B-타입 프레임일때, 메모리의 슬롯3에 수신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을 라이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에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를 라이팅하는 방법.
- 부호화 및 압축되 비디오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현재 디스플레이된 해독 및 압축 해제된 비디오 프레임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을 해독하는 단계와, 그리고 I-타입 또는 P-타입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이 현재 디스플레이되었고, I-타입 또는 P-타입 해독 및 압축 해제된 프레임이 메모리에 슬롯3에 저장되었을때, 메모리의 슬롯3에 현재 저장된 I-타입 또는 P-타입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을 보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에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을 저장한지를 결정하는 방법.
-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현재 디스플레이된 해독 및 압축 해제된 비디오 프레임의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서 슬롯3이 비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프레임을 해독하는 단계와, 그리고 I-타입 또는 P-타입 해독 및 압축 해재된 프레임이 현재 디스플레이 되어졌고,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프레임이 B-타입 프레임이고, 메모리의 슬롯3이 비었을때, 수신된 해독 및 압축 해제된프레임이 메모리의 슬롯3에 라이팅되는 단계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에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를 라이팅하는 방법.
-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현재 디스플레이된 해독 및 압축 해제된 비디오 프레임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되어졌던 메모리의 슬롯3에 저장된 B-타입 프레임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프레임을 해독하는 단계와, 그리고 메모리의 슬롯3에 저장된 B-타입 해독 및 압축 해제된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되어졌고, 수신 및 해독 되어진 부호화 및 압축된 프레임이 I-타입 또는 P-타입 프레임일때 메모리의 슬롯3에 수신된 해독 및 압축 해제된 프레임을 라이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에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현재 디스플레이된 해독 및 압축 해제된 비디오 프레임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와, 메모리에서 가장 오래된 I-타입 또는 P-타입 해독 및 압축 해제된 프레임이 현재 저장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수신된 부호화 및 압축된 프레임을 해독하는 단계와, I-타입 또는 P-타입 해독 및 압축 해제된 프레임이 현재 디스플레이되었고, 수신 및 해독된 부호화 및 압축된 프레임이 I-타입 또는 P-타입 프레임 일때, 가장 오래된 I-타입 또는 P-타입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이 저장된 곳에서 상기 수신된 해독 및 압축해제된 프레임을 메모리의 일부분에 라이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에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8/372,794 | 1994-12-23 | ||
| US08/372,794 US5838380A (en) | 1994-09-30 | 1994-12-23 | Memory controller for decoding a compressed/encoded video data frame |
| PCT/US1995/016776 WO1996020567A1 (en) | 1994-12-23 | 1995-12-20 | Memory controller for decoding and displaying compressed video data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987001188A true KR987001188A (ko) | 1998-04-30 |
Family
ID=2346966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70704362A Withdrawn KR987001188A (ko) | 1994-12-23 | 1995-12-20 |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해독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메모리 제어기(Memory Controller for Decoding and Displaying Compressed Video Data) |
Country Status (6)
| Country | Link |
|---|---|
| US (2) | US5838380A (ko) |
| EP (1) | EP0799551B1 (ko) |
| JP (1) | JP3759167B2 (ko) |
| KR (1) | KR987001188A (ko) |
| DE (1) | DE69520454D1 (ko) |
| WO (1) | WO199602056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818967A (en) * | 1995-06-12 | 1998-10-06 | S3, Incorporated | Video decoder engine |
| US6058459A (en) * | 1996-08-26 | 2000-05-02 | Stmicroelectronics, Inc. | Video/audio decompression/compression device including an arbiter and method for accessing a shared memory |
| TW332961B (en) * | 1996-02-09 | 1998-06-01 | Sony Co Ltd | Recording media |
| US5845083A (en) * | 1996-03-07 | 1998-12-01 | Mitsubishi Semiconductor America, Inc. | MPEG encoding and decoding system for multimedia applications |
| US6020924A (en) * | 1996-04-12 | 2000-02-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duced memory size set top box which stores frames and associated motion vectors which indicate which block or blocks are to be retrieved from memory |
| TW361046B (en) * | 1996-10-31 | 1999-06-11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Dynamic picture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coding dynamic picture image |
| DE19646055A1 (de) * | 1996-11-07 | 1998-05-14 | Thomson Brandt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bildung von Schallquellen auf Lautsprecher |
| US5870087A (en) * | 1996-11-13 | 1999-02-09 | Lsi Logic Corporation | MPEG decoder system and method having a unified memory for transport decode and system controller functions |
| US5920353A (en) * | 1996-12-03 | 1999-07-06 | St Microelectronics, Inc. | Multi-standard decompression and/or compression device |
| JP4099547B2 (ja) | 1997-01-23 | 2008-06-11 | ソニー株式会社 | ディジタル信号編集装置及び方法 |
| US6072548A (en) * | 1997-07-28 | 2000-06-06 | Lsi Logic Corporation | Video decoder dynamic memory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allowing variable decoded image size |
| JP3433125B2 (ja) * | 1999-01-27 | 2003-08-04 | 三洋電機株式会社 | 動画像再生装置 |
| JP3406255B2 (ja) * | 1999-09-29 | 2003-05-12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画像復号装置および方法 |
| US6717989B1 (en) * | 1999-11-03 | 2004-04-06 | Ati International Srl | Video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shared display memory system |
| EP1104201A1 (en) * | 1999-11-23 | 2001-05-30 | THOMSON multimedia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frame buffer memory size in a digital television system |
| EP1104200B1 (en) * | 1999-11-23 | 2007-09-05 | THOMSON multimedia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frame buffer memory size in a digital television system |
| WO2002084514A1 (en) * | 2001-04-10 | 2002-10-24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Transform calculation device |
| US7007025B1 (en) | 2001-06-08 | 2006-02-28 | Xsides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secure data input and output |
| WO2002101526A2 (en) * | 2001-06-08 | 2002-12-19 | Xsides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secure data input and output |
| US8284844B2 (en) | 2002-04-01 | 2012-10-09 | Broadcom Corporation | Video decoding system supporting multiple standards |
| US7088776B2 (en) * | 2002-07-15 | 2006-08-08 | Apple Computer,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accuracy inter-picture timing specification for digital video encoding |
| US7826718B2 (en) * | 2002-08-09 | 2010-11-02 | Broadcom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rick modes in a personal video recording system |
| KR20040024455A (ko) * | 2002-09-13 | 2004-03-20 |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 오디오/비디오 디지털 디코더를 제어하는 방법 |
| US7574059B2 (en) * | 2004-10-29 | 2009-08-11 | Broadcom Corporatio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assively scaled down video using iconification |
| US7688896B2 (en) * | 2005-01-31 | 2010-03-30 | Sunplus Technology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compressed video image data |
| KR20060105890A (ko) * | 2005-03-31 | 2006-10-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동기화 처리 방법 |
| US7924914B2 (en) * | 2005-09-20 | 2011-04-12 | Intel Corporation | Dynamically configuring a video decoder cache for motion compensation |
| JP4720543B2 (ja) * | 2006-03-01 | 2011-07-13 | ソニー株式会社 |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ならびに、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プログラム |
| JP2009159478A (ja) * | 2007-12-27 | 2009-07-16 | Toshiba Corp | 動画像処理回路 |
| CN102659003B (zh) * | 2012-04-25 | 2016-01-13 | 深圳市汇川控制技术有限公司 | 物联网监控系统及方法 |
| CN102930501B (zh) * | 2012-10-12 | 2014-12-10 | 四川虹微技术有限公司 | 一种控制dibr系统中图像存储的多口内存控制器 |
| CN106358018A (zh) * | 2016-09-08 | 2017-01-25 | 河北长铄科技有限公司 | 一种远程查看ups信息数据的方法 |
| EP3343928A1 (en) * | 2016-12-29 | 2018-07-04 | Thomson Licensing | Method for storing audio/video data and correspond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283579A (ja) * | 1988-09-21 | 1990-03-2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画像データ表示装置と画像データ表示方法 |
| JPH0283578A (ja) * | 1988-09-21 | 1990-03-2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画像データ表示装置と画像データ表示方法 |
| DE3909921A1 (de) * | 1989-03-25 | 1990-09-27 | Bosch Gmbh Robert |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wiedergabe von empfangenen videosignalen |
| US5327173A (en) * | 1989-06-19 | 1994-07-05 | Fujitsu Limited | Moving image coding apparatus and moving image decoding apparatus |
| JP3037383B2 (ja) * | 1990-09-03 | 2000-04-2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
| US5148272A (en) * | 1991-02-27 | 1992-09-15 |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 Apparatus for recombining prioritized video data |
| CA2062200A1 (en) * | 1991-03-15 | 1992-09-16 | Stephen C. Purcell | Decompression processor for video applications |
| JP3114228B2 (ja) * | 1991-04-26 | 2000-12-0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画像処理装置 |
| US5212742A (en) * | 1991-05-24 | 1993-05-18 | Apple Computer,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 data |
| US5347322A (en) * | 1991-07-09 | 1994-09-13 | Rebo Research | Video storage and synchronization |
| JP3158370B2 (ja) * | 1991-07-12 | 2001-04-23 | ソニー株式会社 | ディスクデータ再生装置 |
| JPH05137131A (ja) * | 1991-11-13 | 1993-06-01 | Sony Corp | フレーム間動き予測方法 |
| JP3161614B2 (ja) * | 1991-11-30 | 2001-04-25 | ソニー株式会社 | 動画像復号化装置 |
| US5432900A (en) * | 1992-06-19 | 1995-07-11 | Intel Corporation | Integrated graphics and video computer display system |
| US5351046A (en) * | 1993-05-28 | 1994-09-27 | Adcox Thomas A | Method and system for compacting binary coded decimal data |
| DE69433537T2 (de) * | 1993-06-28 | 2004-12-30 | Sony Corp. | Vorrichtung zur Dekodierung von Bewegtbilddaten |
| US5372173A (en) * | 1993-07-16 | 1994-12-13 | Horner; William P. | Window having motorized shades |
| US5517612A (en) * | 1993-11-12 | 1996-05-1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evice for scaling real-time image frames in multi-media workstations |
| US5576765A (en) * | 1994-03-17 | 1996-11-1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Video decoder |
| US5559999A (en) * | 1994-09-09 | 1996-09-24 | Lsi Logic Corporation | MPEG decoding system including tag list for associating presentation time stamps with encoded data units |
-
1994
- 1994-12-23 US US08/372,794 patent/US583838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
- 1995-12-20 DE DE69520454T patent/DE69520454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12-20 WO PCT/US1995/016776 patent/WO1996020567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5-12-20 KR KR1019970704362A patent/KR987001188A/ko not_active Withdrawn
- 1995-12-20 EP EP95944202A patent/EP079955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12-20 JP JP52054896A patent/JP375916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
- 1997-09-19 US US08/934,027 patent/US5923665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EP0799551B1 (en) | 2001-03-21 |
| EP0799551A1 (en) | 1997-10-08 |
| US5923665A (en) | 1999-07-13 |
| US5838380A (en) | 1998-11-17 |
| JPH10511526A (ja) | 1998-11-04 |
| WO1996020567A1 (en) | 1996-07-04 |
| JP3759167B2 (ja) | 2006-03-22 |
| DE69520454D1 (de) | 2001-04-2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987001188A (ko) |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해독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메모리 제어기(Memory Controller for Decoding and Displaying Compressed Video Data) | |
| KR100298533B1 (ko) | Mpeg비디오압축해제용방법및장치 | |
| KR100380709B1 (ko) | 디지털비디오신장프로세서및디지털비디오신장프로세서의디램을매핑하기위한방법 | |
| US6658056B1 (en) | Digital video decoding, buffering and frame-rate converting method and apparatus | |
| US729878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emory management of video images | |
| JP2521010B2 (ja) | 複数ビデオ・ウィンドウを表示する方法及び装置 | |
| US6414996B1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struction driven digital video processor | |
| EP1715696B1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variable output video decoder | |
| JPH10511513A (ja) | Mpeg再生システムにおいてオーディオとビデオを同期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 KR970704291A (ko) | 디지탈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용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 |
| JPH10511238A (ja) | 再生システムのための同期方法及び装置 | |
| MXPA00008659A (es) | Procesamiento de senales de video de tiempo cambiado.. | |
| JP2010171609A (ja) | 画像処理装置 | |
| US6259740B1 (en) |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video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play | |
| US7970262B2 (en) | Buffer descriptor structures for communication between decoder and display manager | |
| EP102466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tion compensation instruction generator | |
| EP1009162A2 (en) | System and apparatus for a digital audio/video decoder | |
| WO2000059218A1 (en) | Digital video decoding, buffering and frame-rate converting method and apparatus | |
| JPH11155129A (ja) | Mpeg画像再生装置およびmpeg画像再生方法 | |
| KR100585058B1 (ko) | 캡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엠펙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 |
| KR100247977B1 (ko) | 확장 가능한 메모리를 구비한 비디오 디코더 | |
| Razavi et al. | High-performance JPEG image compression chip set for multimedia applications | |
| KR960030708A (ko) | 디지탈 비디오 디코딩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706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