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WO2017047874A1 - 손가락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손가락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47874A1
WO2017047874A1 PCT/KR2015/013896 KR2015013896W WO2017047874A1 WO 2017047874 A1 WO2017047874 A1 WO 2017047874A1 KR 2015013896 W KR2015013896 W KR 2015013896W WO 2017047874 A1 WO2017047874 A1 WO 20170478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nger
link block
cradle
b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8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반호영
최용근
박민재
유경환
이수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펙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펙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펙트
Publication of WO20170478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478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ger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nger exercise device that can be rehabilitation exercise by repeatedly bending or extending the disabled finger.
  • the conventional finger exercise apparatus includes a wear opening providing a mounting surface on the back of the hand, a casing installed on the mounting surface, a motor installed inside the casing, a fixed node member fixed to the casing and extending to the finger side, A plurality of operating node members which are linked to the ends of each of the fixed node members,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and have joint portion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joint portions of the fingers, and in contact with each node of the finger; It has a cap that is fixed to the tip of and that secures the end of the finger. Therefore, the conventional finger movement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ntire finger is constrained by the fixed node member and the plurality of operating node members, and the fingers are articulated.
  • the conventional finger movement device receives power from the motor to drive the joint portion of the operation node member to bend or unfold the finger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node member is supported by the cap to move the finger.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it is simple in structure, easy to assemble, there is no concentration of stress, there is no risk of damage during use, rehabilitation exercise without restraining each node of the fing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nger exercise device that can be improv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ger exercise apparatus that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selected to perform a rehabilitation exercis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ger exercise device capable of rehabilitation exercise regardless of the length of a finger.
  • the frame is supported on the bottom;
  • the cradle is provided on the frame, the palm is mounted;
  • a finger exercise unit configured to move a finger extending from the palm mounted on the holder, wherein the finger exercise unit includes: a base; A link having a finger grip on which the finger extends from the palm mounted on the cradle; A link block supporting the link and linearly reciprocating on the base; And a block driver for linearly reciprocating the link block.
  • a pair of support blocks disposed on the base spaced apart from the link block, the block driving unit,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between any one of the support block and the link block of the pair of support blocks
  • a movable block possibly provided;
  • a moving rod which is written on the moving block and movably coupled to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support blocks and the link block;
  •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and interconnecting the link block and the moving block.
  • the block driver may include a driving rod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And an actuator in which the driving rod extends and contracts in length.
  •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shaf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link block.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measuring a moving distance of the link block.
  •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film sensor provided between the base and the link block along a moving path of the link block and measuring a moving distance of the link block based on a position pres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ink block. .
  • the finger exercise uni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finger exercise units may be disposed in parallel to the frame.
  • Three or more finger exercise units are provided, two of the three or more finger exercise units are rotatably provided in the frame, and the other finger exercise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two finger exercise units rotatably provided. Can be.
  • It may further include a cradle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radle from the frame.
  • the cradle height adjusting unit includes a pair of brackets standing up on the frame, the cradle is provided to be elevated; A cradle fixture for interconnecting the pair of brackets to which the cradle is coupled; A height adjusting slot formed through the plate surface of the pair of brackets opposite to the mounting fixture along the direction of separation of the frame and the mounting bracket; A height adjusting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holder fixture to communicate with the height adjusting slot; And a height adjustment knob coupled to the height adjustment slot and the height adjustment through hole to fix the pair of brackets and the holder fixture.
  • It may further include a cradle spacing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link and the cradle.
  • the cradle spacing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spacing control slot formed through the cradle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link block; A gap adjusting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cradle fixture to communicate with the gap adjusting slot; And a gap adjusting knob coupled to the gap adjusting slot and the gap adjusting through hole to fix the holder and the holder fixture.
  • the structure is simple, easy to assemble, there is no concentration of stress, there is no risk of damage during use, and rehabilit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restraining each node of the finger,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 the fingers may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selected to rehabilitate the fingers. The finger can be rehabilitated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fing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ger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finger exercise unit of FIG. 1 before an index finger, a middle finger, a ring finger, and a holder exercise,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when exercised in the finger exercise unit of Figure 2,
  • FIG. 5 is a side view of FIG. 4;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finger exercise unit of FIG.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finger unit of FIG. 6 when exercising;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n assembly relationship of the holder of the holder of FIG.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ger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to 9 illustrate a finger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nger exercise apparatus 1 includes a frame 10, a cradle 15, and a finger exercise unit 20.
  • the frame 10 supports the cradle 15 and the finger movement unit 20 and is supported on the floor.
  • Cradle 15 is provided on the frame 10, the palm of the user to be rehabilitation is mounted.
  • the cradle 15 has a plate shape so that the palms are stab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finger movement unit 20 moves a finger extending from the palm mounted on the cradle 15, the base 21, the link 25, the link block 31, a pair of support blocks 35a and 35b,
  • the guide shaft 41 and the block drive unit 51 are included.
  • the finger exercise device 1 is a four finger exercise unit 20 capable of exercising each of four fingers except the thumb, and each thumb of both hands can exercise Although two finger exercise units 20 are shown, since each finger exercise unit 20 has the same components, one finger exercise unit 20 will be described below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four finger exercise units 20 are illustr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the holder, respectively, but are not limited thereto. Note that the finger exercise unit 20 may be provided in advance.
  • the base 2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is fixed by the frame 10 and the fixture 13.
  • the link 25 has a flat bar shape, the middle portion of which is bent inward and outward.
  • One side of the free end of the link 25 is provided with a finger grip 27 that catches a finger extending from the palm mounted on the holder 15.
  • the finger grip 27 inserts a band-like band 29 such as a band-aid into the button-shaped fastener 28 that is locked to each other, an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inger by the band 29.
  • the finger grip 27 may be formed of a ring into which the distal end of the finger is fitted.
  • the link block 31 supports the other free end of the link 25 so that the finger grip 27 protrudes from the link block 31, and linearly reciprocates on the base 21.
  • a pair of support blocks 35a and 35b are spaced apart from the base 21 with the link block 31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pair of support blocks 35a and 35b are fixed to the base 21, and serve to prevent the link block 3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21.
  • the support block disposed adjacent to the finger grip 27 among the pair of support blocks is referred to as the first support block 35a, and the remaining support blocks are referred to as the second support block 35b.
  • the pair of support blocks 35a and 35b are interconnected by guide shafts 41.
  • the link block 31 is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shaft 41.
  • the guide shaft 41 prevents rotation of the link block 31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link block 31.
  • This guide shaft 41 may be optionally provided.
  • the guide shaft 41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ase 21 without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blocks 35a and 35b as described above.
  • the block driver 51 linearly reciprocates the link block 31 along the guide shaft 41, and includes a moving block 53, a moving rod 55, and an elastic member 57.
  • the moving block 53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block 35b and the link block 31 in a linear reciprocating manner.
  •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block 53 and the link block 31 corresponding thereto may have a different size depending on the type of finger that is caught by the finger grip 27. That is, for example, since the length of the finger is generally different in the case of the stop and the hold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block 53 and the link block 31, which is stopped, is the moving block 53 and the link block 31, which are held.
  • the moving block 53 and the link block 31 are arranged to have a dimension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m.
  • the moving rod 55 has a rod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written in the moving block 53 in parallel with the guide shaft 41.
  • the moving rod 55 is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lock 35a and the link block 31.
  • the elastic member 57 elastically supports and links the link block 31 and the moving block 53.
  • the elastic member 57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link block 31 and the moving block 53 maintain a gap.
  • the coil spring is provided as the elastic member 57, the elastic member 57 is moun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ving rod 55.
  • the block driving unit 51 of the finger movement device 1 further includes a driving rod 61 and an actuator 63.
  • the driving rod 61 passes through the second support block 35b and i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53.
  • the actuator 63 is disposed behind the drive rod 61 to lengthen and lengthen the drive rod 61.
  • a linear motor is provided.
  • a piston or cylinder mechanism which operates by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may be provided.
  • the finger movemen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67 for measur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link block 31.
  • a film sensor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21 and the link block 31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link block 31.
  • the film sensor transmits the resistance measured based on the position 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link block 31 to a controller (not shown), so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link block 31 can be confirmed.
  • a non-contact position detecting sensor may be provided instead of the film sensor as the sensor unit 67.
  • the finger exercise device 1 is provided with six finger exercise unit 20, the four finger exercise unit 20 to exercise the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possession Side by side parallel to the frame 10, the remaining two finger movement unit 20 is opposed to the four finger movement unit 20 between each other so as to be able to exercise the left thumb and right thumb respectively. Is rotatably provided.
  • the two finger exercise unit 20 for exercising the thumb is the first support block (35a) of each finger exercise unit 20, the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holding finger exercise unit 20 therebetween. Place oppositely.
  • the finger exercise device 1 since the finger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ach finger exercise unit 20 corresponding to the thumb, the index finger,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hand, the following components are representatively described below. An operation process of one finger exercise unit 20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thumb exercise unit 20 for the thumb has the same components as each finger exercise unit 20 corresponding to the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possession, but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because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s different.
  • the moving block 53 is fixed so as not to move by an external force between the link block 31 and the second support block 35b.
  • the moving block 53 is supported so as not to move by the drive rod 61 of the block drive unit 51.
  • each node of the finger moves while forming a joint trajectory while each node of the finger is articulated.
  • the force exerted by the finger is transmitted to the link block 31 via the link 25, so that the link block 31 is along the guide shaft 41 and the moving rod 55. Will be moved towards.
  • the elastic member 57 is compressed as the link block 31 moves toward the second support block 35b.
  • the link block 31 moves the first support block 35a along the guide shaft 41 while being tension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elastic member 57. And the bent fingers are slowly extended and the moving block 53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user places the palm on the holder 15 and simultaneously attaches the finger to the finger grip 27.
  • the movable block 53 compresses the elastic member 57 and moves along the movable rod 55 toward the link block 31.
  • the pressing force of the movable block 53 exceeds the compressiv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7, the movable block 53, the elastic member 57, and the link block 31 are integrated, and the link block 31 has a guide shaft. It moves along the 41 toward the first support block 35a.
  • each node of the finger gripped by the finger grip 27 performs joint movement, an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inger moves while forming a rotational trajectory.
  • the user can bend and unfold the fingers to repeat th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assively rehabilitate the fingers.
  • the moving block 53 is fixed so as not to move by an external force between the link block 31 and the second support block 35b.
  • the moving block 53 is supported so as not to move by the drive rod 61 of the block drive unit 51.
  • each node of the thumb moves while forming a joint trajectory while each node of the thumb is articulated.
  • the elastic member 57 is tensioned as the link block 31 moves toward the first support block 35a.
  • the link block 31 moves the second support block 35b along the guide shaft 41 while being compress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ensioned elastic member 57. And the bent thumb slowly unfolds, and the moving block 53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 the movable block 53 compresses the elastic member 57 and moves along the movable rod 55 toward the link block 31.
  • the pressing force of the movable block 53 exceeds the compressiv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7, the movable block 53, the elastic member 57, and the link block 31 are integrated, and the link block 31 has a guide shaft. It moves along the 41 toward the first support block 35a.
  • each node of the thumb caught in the finger grip 27 moves jointly, and the distal end of the thumb forms a rotational trajectory and the thumb is bent. .
  • the finger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further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unit 71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older 15 from the base 21 .
  • the cradle height adjusting unit 71 includes a pair of brackets 73, a cradle fixture 75, a height adjusting slot 77, a height adjusting through hole 78, and a height adjusting knob 79.
  • the pair of brackets 73 are erected on the frame 10 with four finger movement units 20 arranged in parallel on the frame 10, and the holder 15 is provided to be liftable.
  • the cradle fixture 75 has a plate shape with both ends bent, and a pair of brackets 73 are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radle 15 is coupled thereto.
  • the height adjustment slot 77 is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spaced direction of the frame 10 and the cradle 15 on the plate surface of each bracket 73 facing the cradle fixture 75.
  • Height-adjusting through-hole 78 is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ircular holder in the holder fixture 75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height adjustment slot 77 of each bracket (73).
  • the height adjustment knob 79 is coupled to the height adjustment slot 77 and the height adjustment through-hole 78 to fix the pair of brackets 73 and the cradle fixture 75.
  • the finger movement device 1 further includes a cradle spacing adjusting unit 81 for adjusting a spacing between the link 25 and the cradle 15.
  • the cradle spacing adjusting unit 81 includes a spacing adjusting slot 83, a spacing adjusting through hole 85, and a spacing adjusting knob 87.
  • the gap adjusting slot 83 is formed through the cradle 15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ink block 31.
  • the gap adjusting through hole 85 is formed to penetrate in a circular cross section in the holder fixture 75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gap adjusting slot 83 of the holder 15.
  • the gap adjusting knob 87 is coupled to the gap adjusting slot 83 and the gap adjusting through-hole 85 to fix the holder 15 and the holder fixture 75.
  • the structure is simple, easy to assemble, there is no concentration of stress, there is no risk of damage during use, restrain each node of the finger Rehabilitation exercises can be performed without doing so, and convenience can be improved.
  • the finger can be rehabilitated regardless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fing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마련되어, 손바닥이 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손바닥으로부터 연장된 손가락을 운동시키는 손가락 운동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운동유니트는, 베이스;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손바닥으로부터 연장된 손가락이 걸리는 손가락 그립을 갖는 링크; 상기 링크를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상에서 직선 왕복이동하는 링크 블록; 및 상기 링크 블록을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블록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가락 운동장치
본 발명은 손가락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가 있는 손가락을 반복적으로 구부리거나 펼치며 재활 운동할 수 있는 손가락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이나 파킨슨병 등의 경우, 병세에 따라 다양한 신체적 변화가 나타난다. 특히, 위와 같은 병의 경우, 손이 마비되고 손가락이 오그라드는 현상이 동반된다.
이러한 손의 마비와 손가락이 오그라드는 현상을 계속적으로 방치하면, 근육이나 관절이 점차 굳어져 움직일 때 통증을 느끼게 되고 신경이 회복되어도 정상적인 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특정 병에 의한 경우 이외에도, 불의의 사고에 의해 손가락의 움직임에 장애를 갖게 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그 마비가 오거나 장애를 갖게 된 손을 계속적으로 움직이게 재활 치료를 하므로써, 혈액순환과 신경소통을 촉진하여 운동 능력을 최대한 유지하게 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손가락 운동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0713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손가락 운동장치는 손등부위에 장착면을 제공하는 착용구와, 장착면에 설치되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케이싱에 고정되며 손가락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마디부재와, 각 고정마디부재의 단부에 링크되는 것으로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손가락의 관절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절부를 가져 손가락의 각 마디에 접하는 복수의 작동마디부재와, 손가락 단부에 대응하는 작동마디부재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손가락의 단부를 고정하는 캡을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손가락 운동장치는 손가락의 전체가 고정마디부재와 복수의 작동마디부재에 의해 구속되어, 손가락이 관절 운동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손가락 운동장치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마디부재의 관절부를 구동시켜 작동마디부재로 하여금 캡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의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펼쳐 손가락을 운동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손가락 운동장치는 하나의 손가락에 고정마디부재와 복수의 작동마디부재가 관절 구조의 형태로 연결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 부품이 많아 조립이 까다로우며, 사용 중 고장 발생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복수의 작동마디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의 링크부재와의 연결부위에 힘이 집중되므로 연결로드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동마디부재의 회동 각도에 제한이 있어 손가락을 충분한 정도로 굽히지 못하므로 재활 운동에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응력의 집중이 없어 사용 중 파손의 위험이 없고, 손가락의 각 마디를 구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손가락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하여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는 손가락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손가락의 길이에 관계없이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는 손가락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에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마련되어, 손바닥이 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손바닥으로부터 연장된 손가락을 운동시키는 손가락 운동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운동유니트는, 베이스;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손바닥으로부터 연장된 손가락이 걸리는 손가락 그립을 갖는 링크; 상기 링크를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상에서 직선 왕복이동하는 링크 블록; 및 상기 링크 블록을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블록 구동부를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 블록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 블록 중 어느 하나의 지지 블록과 상기 링크 블록 사이에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블록; 상기 이동 블록에 편지지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 블록 중 나머지 하나의 지지 블록과 상기 링크 블록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로드; 및 상기 링크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을 탄성 지지하며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 구동부는, 상기 이동 블록에 연결되는 구동 로드; 및 상기 구동 로드가 길이 신장 및 길이 축소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블록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링크 블록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링크 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링크 블록의 이동에 따라 눌린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링크 블록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필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운동유니트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손가락 운동유니트는 상기 프레임에 병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운동유니트는 세 개 이상 마련되며, 상기 세 개 이상의 손가락 운동유니트 중 두 개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나머지 상기 손가락 운동유니트는 상기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두 개의 손가락 운동유니트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거치대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높이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기립 설치되며, 상기 거치대가 승강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브래킷;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거치대가 결합되는 거치대 고정구; 상기 거치대 고정구에 대향하는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판면에 상기 프레임과 상기 거치대의 이격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높이 조절 슬롯; 상기 높이 조절 슬롯과 연통하도록 상기 거치대 고정구에 관통 형성된 높이 조절 관통공; 및 상기 높이 조절 슬롯과 상기 높이 조절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브래킷과 상기 거치대 고정구를 고정하는 높이 조절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와 상기 거치대의 간격을 조절하는 거치대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간격 조절부는, 상기 링크 블록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거치대에 관통 형성된 간격 조절 슬롯; 상기 간격 조절 슬롯과 연통하도록 상기 거치대 고정구에 관통 형성된 간격 조절 관통공; 및 상기 간격 조절 슬롯과 상기 간격 조절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 고정구를 고정하는 간격 조절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응력의 집중이 없어 사용 중 파손의 위험이 없고, 손가락의 각 마디를 구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하여 손가락을 재활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의 길이에 관계없이 손가락을 재활 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로서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운동을 하기 전의 도 1의 손가락 운동유니트의 요부 사시도,
도 3의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손가락 운동유니트에서 운동했을 때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로서 엄지의 운동을 하기 전의 도 1의 손가락 운동유니트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손가락 유니트에서 운동했을 때의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1의 거치대, 거치대 고정구, 브래킷의 조립관계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그립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1)는 프레임(10), 거치대(15), 손가락 운동유니트(2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거치대(15)와 손가락 운동유니트(20)를 지지함과 동시에, 바닥에 지지된다.
거치대(15)는 프레임(10) 상에 마련되어, 재활 운동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손바닥이 거치된다. 거치대(15)는 손바닥이 안정적으로 밀착하며 거치되도록 판 형상을 가진다.
손가락 운동 유니트(20)는 거치대(15)에 거치된 손바닥으로부터 연장된 손가락을 운동시키며, 베이스(21), 링크(25), 링크 블록(31), 한 쌍의 지지 블록(35a,35b), 가이드 축(41), 블록 구동부(51)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1)는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을 각각 운동할 수 있는 4개의 손가락 운동유니트(20)와, 양손의 각 엄지를 운동할 수 있는 2개의 손가락 운동유니트(20)가 도시되어 있지만, 각 손가락 운동유니트(20)는 구성 요소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손가락 운동유니트(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검지, 중지, 약지, 소지에 각각 대응하여 4개의 손가락 운동유니트(20)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검지, 중지, 약지, 소지를 선택하여 재활 운동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손가락 운동유니트(20)가 마련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베이스(21)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며, 프레임(10)과 고정구(13)에 의해 고정된다.
링크(25)는 편평한 바아 형상을 가지며, 중간부분이 내향 및 외향 절곡 형성되어 있다. 링크(25)의 일측 자유단부에는 거치대(15)에 거치된 손바닥으로부터 연장된 손가락이 걸리는 손가락 그립(27)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손가락 그립(27)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로킹되는 버튼 형상의 파스너(28)에 반창고 등과 같은 띠 형상의 밴드(29)를 삽입하여, 밴드(29)로 손가락의 말단부를 감싸며 결속하는 구성을 가지거나,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손가락 그립(27)은 손가락의 말단부가 끼워지는 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링크 블록(31)은 손가락 그립(27)이 링크 블록(3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링크(25)의 타측 자유단부를 지지하며, 베이스(21) 상에서 직선 왕복이동한다.
링크 블록(31)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지지 블록(35a,35b)이 베이스(21)에 이격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블록(35a,35b)은 베이스(21)에 고정되어, 링크 블록(31)이 베이스(2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한 쌍의 지지 블록 중 손가락 그립(27)에 인접하게 배치된 지지 블록을 제1지지 블록(35a)이라고 하고, 나머지 지지 블록을 제2지지 블록(35b)이라고 한다.
또한, 한 쌍의 지지 블록(35a,35b)은 가이드 축(41)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가이드 축(41)에는 링크 블록(31)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 축(41)은 링크 블록(31)의 회전을 방지하며 링크 블록(31)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가이드 축(41)은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축(4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블록(35a,35b)을 상호 연결하지 않고, 베이스(21)에 별도로 독립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블록 구동부(51)는 가이드 축(41)을 따라 링크 블록(31)을 직선 왕복이동시키며, 이동 블록(53), 이동 로드(55), 탄성부재(57)를 포함한다.
이동 블록(53)은 제2지지 블록(35b)과 링크 블록(31) 사이에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이동 블록(53)과 이에 대응하는 링크 블록(31) 사이의 간격은 손가락 그립(27)에 걸리는 손가락의 종류에 따라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일 예로 중지와 소지의 경우 일반적으로 손가락의 길이가 상이하므로, 중지가 걸리는 이동 블록(53)과 링크 블록(31) 사이의 간격은 소지가 걸리는 이동 블록(53)과 링크 블록(31) 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큰 치수를 가지도록 이동 블록(53)과 링크 블록(31)을 배치한다.
이동 로드(55)는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지며, 가이드 축(41)과 평행을 이루며 이동 블록(53)에 편지지된다. 이동 로드(55)는 제1지지 블록(35a)과 링크 블록(3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탄성부재(57)는 링크 블록(31)과 이동 블록(53)을 탄성 지지하며 상호 연결한다. 탄성부재(57)는 링크 블록(31)과 이동 블록(53)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57)로서 코일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으며, 탄성부재(57)는 이동 로드(55)의 외주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1)의 블록 구동부(51)는 구동 로드(61)와 액추에이터(63)를 더 포함한다.
구동 로드(61)는 제2지지 블록(35b)을 관통하며 이동 블록(53)에 연결되어 있다.
액추에이터(63)는 구동 로드(61)의 후방에 배치되어, 구동 로드(61)를 길이 신장 및 길이 축소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니어 모터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액추에이터(63)로서 리니어 모터 대신에,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 또는 실린더 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1)는 링크 블록(31)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67)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부(67)로서, 링크 블록(31)의 이동 경로를 따라 베이스(21)와 링크 블록(31) 사이에 필름 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필름 센서는 링크 블록(31)의 이동에 따라 눌린 위치에 의거하여 측정된 저항치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 전송하여, 링크 블록(31)의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센서부(67)로서 필름 센서 대신에, 비접촉식 위치감지센서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1)는 6개의 손가락 운동유니트(20)가 마련되어 있으며, 4개의 손가락 운동유니트(20)는 검지, 중지, 약지, 소지를 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에 나란하게 병렬 배치되어 있고, 나머지 2개의 손가락 운동유니트(20)는 왼손 엄지와 오른손 엄지를 각각 운동할 수 있도록 4개의 손가락 운동유니트(2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며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특히, 엄지를 운동하기 위한 2개의 손가락 운동유니트(20)를 힌지핀(23)에 의해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엄지와 검지의 다양한 간격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엄지를 운동하기 위한 2개의 손가락 운동유니트(20)는 각 손가락 운동유니트(20)의 제1지지 블록(35a)은 검지, 중지, 약지, 소지용 손가락 운동유니트(20)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1)를 이용하여 손가락을 재활 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1)는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에 대응하는 각 손가락 운동유니트(20)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대표적으로 하나의 손가락 운동유니트(20)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엄지에 대한 손가락 운동유니트(20)는 검지, 중지, 약지, 소지에 대응하는 각 손가락 운동유니트(20)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갖지만, 재활 운동의 작동 과정이 상이하므로 별도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1)를 이용하여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재활 운동에 대해 설명하되, 액추에이터(63)를 구동하지 않고, 손가락을 자력에 의해 재활 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7)의 탄성 변형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바닥을 거치대(15)에 거치함과 동시에, 손가락을 손가락 그립(27)에 건다.
이 때, 손바닥과 손가락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이동 블록(53)은 링크 블록(31)과 제2지지 블록(35b) 사이에 외력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블록(53)이 블록 구동부(51)의 구동 로드(61)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어서, 손가락 그립(27)에 걸린 손가락이 구부러지도록 힘을 가하면, 손가락의 각 마디가 관절 운동을 하면서 손가락의 말단부가 회전 궤적을 형성하며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손가락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링크(25)를 거쳐 링크 블록(31)으로 전달되어, 링크 블록(31)은 가이드 축(41)과 이동 로드(55)를 따라 제2지지 블록(35b)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블록(31)이 제2지지 블록(35b)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탄성부재(57)는 압축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손가락에 가해진 힘을 서서히 제거하면, 압축된 탄성부재(57)의 복원력에 의해 인장되면서 링크 블록(31)은 가이드 축(41)을 따라 제1지지 블록(35a)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구부러진 손가락이 서서히 펼쳐지면서 이동 블록(5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손가락에 힘을 가하여 구부렸다가 펼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손가락을 재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1)를 이용하여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재활 운동에 대해 설명하되, 손가락을 액추에이터(63)의 구동력에 의해 재활 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탄성부재(57)의 탄성 변형이 없는 상태에서 손가락이 최대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바닥을 거치대(15)에 거치함과 동시에, 손가락을 손가락 그립(27)에 건다.
계속해서, 구동 로드(61)가 길이 신장하도록 액추에이터(63)를 구동하면, 이동 블록(53)이 탄성부재(57)를 압축하며 이동 로드(55)를 따라 링크 블록(31)을 향해 이동하다가, 이동 블록(53)의 가압력이 탄성부재(57)의 압축 탄성력을 초과하면 이동 블록(53)과 탄성부재(57)와 링크 블록(31)이 일체로 되면서, 링크 블록(31)은 가이드 축(41)을 따라 제1지지 블록(35a)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링크 블록(31)이 제1지지 블록(35a)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손가락 그립(27)에 걸린 손가락의 각 마디가 관절 운동을 하면서 손가락의 말단부가 회전 궤적을 형성하며 이동하여 손가락은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 경과 후, 구동 로드(61)가 길이 축소하도록 액추에이터(63)를 구동하면, 이동 블록(53)이 링크 블록(31)으로부터 이격하면서 압축된 탄성부재(57)는 인장되고, 탄성부재(57)의 인장력에 의해 링크 블록(31)은 가이드 축(41) 및 이동 로드(55)를 따라 제2지지 블록(35b)을 향해 이동하여, 펼쳐진 손가락이 서서히 구부러지면서 이동 블록(53)과 링크 블록(31)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와 같이, 블록 구동부(51)의 액추에이터(63)의 구동력에 의해 사용자는 각 손가락을 구부렸다가 펼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수동적으로 손가락을 재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1)를 이용하여 엄지의 재활 운동에 대해 설명하되, 액추에이터(63)를 구동하지 않고, 손가락을 자력에 의해 재활 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7)의 탄성 변형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바닥을 거치대(15)에 거치함과 동시에, 엄지를 손가락 그립(27)에 건다.
이 때, 손바닥과 엄지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이동 블록(53)은 링크 블록(31)과 제2지지 블록(35b) 사이에 외력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블록(53)이 블록 구동부(51)의 구동 로드(61)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어서, 손가락 그립(27)에 걸린 엄지가 구부러지도록 힘을 가하면, 엄지의 각 마디가 관절 운동을 하면서 손가락의 말단부가 회전 궤적을 형성하며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엄지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링크(25)를 거쳐 링크 블록(31)으로 전달되어, 링크 블록(31)은 가이드 축(41)과 이동 로드(55)를 따라 제1지지 블록(35a)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블록(31)이 제1지지 블록(35a)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탄성부재(57)는 인장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엄지에 가해진 힘을 서서히 제거하면, 인장된 탄성부재(57)의 복원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링크 블록(31)은 가이드 축(41)을 따라 제2지지 블록(35b)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구부러진 엄지가 서서히 펼쳐지면서 이동 블록(5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와 같이, 엄지에 힘을 가하여 구부렸다가 펼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엄지를 재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1)를 이용하여 엄지의 재활 운동에 대해 설명하되, 엄지를 액추에이터(63)의 구동력에 의해 재활 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탄성부재(57)의 탄성 변형이 없는 상태에서 엄지가 최대로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바닥을 거치대(15)에 거치함과 동시에, 엄지를 손가락 그립(27)에 건다.
계속해서, 구동 로드(61)가 길이 신장하도록 액추에이터(63)를 구동하면, 이동 블록(53)이 탄성부재(57)를 압축하며 이동 로드(55)를 따라 링크 블록(31)을 향해 이동하다가, 이동 블록(53)의 가압력이 탄성부재(57)의 압축 탄성력을 초과하면 이동 블록(53)과 탄성부재(57)와 링크 블록(31)이 일체로 되면서, 링크 블록(31)은 가이드 축(41)을 따라 제1지지 블록(35a)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링크 블록(31)이 제1지지 블록(35a)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손가락 그립(27)에 걸린 엄지의 각 마디가 관절 운동을 하면서 엄지의 말단부가 회전 궤적을 형성하며 이동하여 엄지는 구부러지게 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 경과 후, 구동 로드(61)가 길이 축소하도록 액추에이터(63)를 구동하면, 이동 블록(53)이 링크 블록(31)으로부터 이격하면서 압축된 탄성부재(57)는 인장되고, 탄성부재(57)의 인장력에 의해 링크 블록(31)은 가이드 축(41) 및 이동 로드(55)를 따라 제2지지 블록(35b)을 향해 이동하여, 구부러진 엄지가 서서히 펼쳐지면서 이동 블록(53)과 링크 블록(31)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와 같이, 블록 구동부(51)의 액추에이터(63)의 구동력에 의해 사용자는 엄지를 구부렸다가 펼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수동적으로 엄지를 재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로부터 거치대(15)의 높이를 조절하는 거치대 높이 조절부(71)를 더 포함한다.
거치대 높이 조절부(71)는 한 쌍의 브래킷(73), 거치대 고정구(75), 높이 조절 슬롯(77), 높이 조절 관통공(78), 높이 조절 노브(79)를 포함한다.
한 쌍의 브래킷(73)은 프레임(10)에 병렬 배치된 4개의 손가락 운동유니트(20)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10)에 기립 배치되어 있으며, 거치대(15)가 승강가능하게 마련된다.
거치대 고정구(75)는 양단부가 절곡된 판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브래킷(73)을 상호 연결하며 거치대(15)가 결합된다.
높이 조절 슬롯(77)은 거치대 고정구(75)에 대향하는 각 브래킷(73)의 판면에 프레임(10)과 거치대(15)의 이격방향을 따라 장방형의 단면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높이 조절 관통공(78)은 각 브래킷(73)의 높이 조절 슬롯(77)과 연통하도록 거치대 고정구(75)에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높이 조절 노브(79)는 높이 조절 슬롯(77)과 높이 조절 관통공(78)에 관통 결합되어, 한 쌍의 브래킷(73)과 거치대 고정구(75)를 고정한다.
이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손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하며 베이스(21)로부터 거치대(15)의 높이를 조절하여, 손가락을 재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장치(1)는 링크(25)와 거치대(15)의 간격을 조절하는 거치대 간격 조절부(81)를 더 포함한다.
거치대 간격 조절부(81)는, 간격 조절 슬롯(83), 간격 조절 관통공(85), 간격 조절 노브(87)를 포함한다.
간격 조절 슬롯(83)은 거치대(15)에 링크 블록(31)의 이동방향을 따라 장방형의 단면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간격 조절 관통공(85)은 거치대(15)의 간격 조절 슬롯(83)과 연통하도록 거치대 고정구(75)에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간격 조절 노브(87)는 간격 조절 슬롯(83)과 간격 조절 관통공(85)에 관통 결합되어, 거치대(15)와 거치대 고정구(75)를 고정한다.
이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손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하며, 특히 사용자의 다양한 손가락의 길이에 대응하며, 링크(25)와 거치대(15)의 간격을 조절하여, 손가락을 재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손가락을 직접적으로 운동시키는 손가락 운동유니트를 모듈화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응력의 집중이 없어 사용 중 파손의 위험이 없고, 손가락의 각 마디를 구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손가락 운동유니트의 운동원으로서 탄성부재와 액추에이터(63)를 조합 구현함으로써,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하여 손가락을 재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손바닥이 거치되는 거치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손가락의 크기 및 형태에 관계없이 손가락을 재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바닥에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마련되어, 손바닥이 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손바닥으로부터 연장된 손가락을 운동시키는 손가락 운동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운동유니트는,
    베이스;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손바닥으로부터 연장된 손가락이 걸리는 손가락 그립을 갖는 링크;
    상기 링크를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상에서 직선 왕복이동하는 링크 블록; 및
    상기 링크 블록을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블록 구동부를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블록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 블록 중 어느 하나의 지지 블록과 상기 링크 블록 사이에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블록;
    상기 이동 블록에 편지지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 블록 중 나머지 하나의 지지 블록과 상기 링크 블록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로드; 및
    상기 링크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을 탄성 지지하며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구동부는,
    상기 이동 블록에 연결되는 구동 로드; 및
    상기 구동 로드가 길이 신장 및 길이 축소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축을 더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블록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링크 블록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링크 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링크 블록의 이동에 따라 눌린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링크 블록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필름 센서를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운동유니트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손가락 운동유니트는 상기 프레임에 병렬 배치되는, 손가락 운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운동유니트는 세 개 이상 마련되며, 상기 세 개 이상의 손가락 운동유니트 중 두 개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나머지 상기 손가락 운동유니트는 상기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두 개의 손가락 운동유니트 사이에 마련되는, 손가락 운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거치대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높이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기립 설치되며, 상기 거치대가 승강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브래킷;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거치대가 결합되는 거치대 고정구;
    상기 거치대 고정구에 대향하는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판면에 상기 프레임과 상기 거치대의 이격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높이 조절 슬롯;
    상기 높이 조절 슬롯과 연통하도록 상기 거치대 고정구에 관통 형성된 높이 조절 관통공; 및
    상기 높이 조절 슬롯과 상기 높이 조절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브래킷과 상기 거치대 고정구를 고정하는 높이 조절 노브를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와 상기 거치대의 간격을 조절하는 거치대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간격 조절부는,
    상기 링크 블록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거치대에 관통 형성된 간격 조절 슬롯;
    상기 간격 조절 슬롯과 연통하도록 상기 거치대 고정구에 관통 형성된 간격 조절 관통공; 및
    상기 간격 조절 슬롯과 상기 간격 조절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 고정구를 고정하는 간격 조절 노브를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장치.
PCT/KR2015/013896 2015-09-16 2015-12-18 손가락 운동장치 WO201704787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860 2015-09-16
KR1020150130860A KR101726649B1 (ko) 2015-09-16 2015-09-16 손가락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7874A1 true WO2017047874A1 (ko) 2017-03-23

Family

ID=5828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896 WO2017047874A1 (ko) 2015-09-16 2015-12-18 손가락 운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6649B1 (ko)
WO (1) WO2017047874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3190A (zh) * 2017-06-26 2017-10-10 东南大学 一种用于偏瘫患者的多自由度拇指康复训练装置
CN108096790A (zh) * 2018-01-31 2018-06-01 力迈德医疗(广州)有限公司 手指康复训练机器人
CN108970017A (zh) * 2018-09-27 2018-12-11 南通市第二人民医院 一种康复科护理用手指康复锻炼器及其操作方法
CN111372543A (zh) * 2017-11-24 2020-07-03 奥托博克欧洲股份两合公司 手矫形器以及用于适配手矫形器的方法
CN112972202A (zh) * 2021-02-23 2021-06-18 褚新宇 一种调节式四肢神经康复器
CN114288618A (zh) * 2021-12-14 2022-04-08 林裕民 一种康复医学科手指关节活性康复设备
WO2022195479A1 (en) * 2021-03-15 2022-09-22 Colin Christie Hand exercise device
CN115463393A (zh) * 2022-10-20 2022-12-13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四医学中心 一种烧伤手指的拉力锻炼康复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38461A1 (en) * 2019-08-08 2021-02-11 Clarence Johnson Hand exercise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12107837A (zh) * 2020-08-28 2020-12-22 泉州市良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手指训练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1191A (en) * 1994-08-05 1995-09-19 Beenken; Gregory M. Finger rehabilitation/exercise device
JP2008067852A (ja) * 2006-09-13 2008-03-27 Gifu Univ 上肢手指機能回復訓練装置
JP2010017349A (ja) * 2008-07-10 2010-01-28 Fujikin Inc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
KR20120139473A (ko) * 2011-06-17 2012-12-2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손가락 재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713A (ko) 2008-05-20 2009-11-25 김영기 손가락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1191A (en) * 1994-08-05 1995-09-19 Beenken; Gregory M. Finger rehabilitation/exercise device
JP2008067852A (ja) * 2006-09-13 2008-03-27 Gifu Univ 上肢手指機能回復訓練装置
JP2010017349A (ja) * 2008-07-10 2010-01-28 Fujikin Inc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
KR20120139473A (ko) * 2011-06-17 2012-12-2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손가락 재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ENAVIDES: "Robotic Orthotic Device for Finger Rehabilitation", THE UNIVERSITY OF SYDNEY, THESIS FOR MASTER OF PROFESSIONAL ENGINEERING (BIOMEDICAL, November 2011 (2011-11-01), pages I - X, 1-96, XP055368452, [retrieved on 20150401] *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3190A (zh) * 2017-06-26 2017-10-10 东南大学 一种用于偏瘫患者的多自由度拇指康复训练装置
CN111372543A (zh) * 2017-11-24 2020-07-03 奥托博克欧洲股份两合公司 手矫形器以及用于适配手矫形器的方法
CN108096790A (zh) * 2018-01-31 2018-06-01 力迈德医疗(广州)有限公司 手指康复训练机器人
CN108096790B (zh) * 2018-01-31 2023-10-20 力迈德医疗(广州)有限公司 手指康复训练机器人
CN108970017A (zh) * 2018-09-27 2018-12-11 南通市第二人民医院 一种康复科护理用手指康复锻炼器及其操作方法
CN108970017B (zh) * 2018-09-27 2023-07-18 南通市第二人民医院 一种康复科护理用手指康复锻炼器及其操作方法
CN112972202A (zh) * 2021-02-23 2021-06-18 褚新宇 一种调节式四肢神经康复器
CN112972202B (zh) * 2021-02-23 2022-06-21 褚新宇 一种调节式四肢神经康复器
WO2022195479A1 (en) * 2021-03-15 2022-09-22 Colin Christie Hand exercise device
CN114288618A (zh) * 2021-12-14 2022-04-08 林裕民 一种康复医学科手指关节活性康复设备
CN114288618B (zh) * 2021-12-14 2023-07-14 王涛 一种康复医学科手指关节活性康复设备
CN115463393A (zh) * 2022-10-20 2022-12-13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四医学中心 一种烧伤手指的拉力锻炼康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649B1 (ko) 2017-04-13
KR20170033043A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47874A1 (ko) 손가락 운동장치
WO2019059723A1 (ko)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WO2023022320A1 (ko)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14021603A1 (ko) 스트링 꼬임 기반 모션 제어 장치
WO2023008681A1 (ko) 재활 운동 장치
WO2023008680A1 (ko) 재활 운동 장치
WO2014104647A1 (ko) 악력기
KR102018566B1 (ko) 상지 재활을 위해 엔드 이펙터 타입의 재활로봇과 연결가능한 재활 로봇
WO2019039853A1 (en) MOVEMENT ASSISTING APPARATUS
Ball et al. A planar 3DOF robotic exoskeleton for rehabilitation and assessment
WO2020067640A1 (ko) 필라테스 기구
WO2015194806A1 (ko) 로봇 손가락 구조체
WO2012165880A2 (ko) 재활 운동 장치, 재활 운동 장치에서의 능동 보조 제어 방법 및 장치, 모바일 연동 장갑형 데이터 입력 장치
WO2017115893A1 (ko) 전자 의수
CN105881519B (zh) 一种基于柔索驱动手部运动功能康复机器人
WO2018093039A2 (ko) 다양한 상지재활 훈련모드를 위한 댐핑 조절식 견관절 추종 장치
WO2016129716A1 (ko) 신체착용식 상지 운동장치
WO2012124912A2 (ko) 휴대용 무릎 관절 재활 운동 기구
WO2020091152A1 (ko) 트러스 구조를 갖는 착용식 의자
WO2017047840A1 (ko) 손가락 운동장치
WO2014181977A1 (ko) 다기능 슬라이드 운동기구
WO2019004616A1 (ko) 상지 재활 로봇
WO2016006761A1 (ko) 보행보조로봇 하중 보상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보행훈련장치
WO2022131412A1 (ko) 손가락 운동 보조 장치
CN209347544U (zh) 一种穿戴式手部康复训练与辅助运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9042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9042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