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55849A1 -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8155849A1 WO2018155849A1 PCT/KR2018/001643 KR2018001643W WO2018155849A1 WO 2018155849 A1 WO2018155849 A1 WO 2018155849A1 KR 2018001643 W KR2018001643 W KR 2018001643W WO 2018155849 A1 WO2018155849 A1 WO 2018155849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pair
- lens
- convex lens
- housings
- housing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with movable len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ocusing at close distan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8—Lens systems mounted to spectacl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03B3/12—Power-operated focusing adapted for remote control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2—Side shields for protection of the ey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08—Series of lenses, lens blan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lasses for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bodiment of glasses for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helps to recover from eye fatigue by implementing a far field using a double convex lens.
- VDT syndrome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 the VDT syndrome includes eye problems (eye fatigue, medial strabismus, etc.), bone / muscle symptoms (such as shoulder pain, low back pain), and psychological symptoms (anxiety, neurosis, etc.) caused by the long-term use of computers due to the spread of mobile and computers and the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 Insomnia, etc.) health disorders.
- the seriousness of the VDT syndrome is due to the legislation of the VDT work regulations in the United States, the establishment of the VDT Committee under the government in Japan, and the Ministry of Labor to establish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to receive VDT syndrome. That adds to its seriousness.
- the number of patients with VDT syndrome in 2014 totaled 9.67 million.
- Korean smartphone penetration rate is 83%, and the average daily smartphone use time is over 3 hours and 30 minutes, and many have medial strabismus symptoms of VDT syndrome.
- VDT syndromes as a technique for improving ocular symptoms (eye fatigue, medial strabismus, etc.), there is a 'image display goggles equipped with a Newton lens having a specific structure' of Korean Patent No. 10-1598110.
- the effect of this patent can be confirmed in the improvement experiment of VDT syndrome.
- the image display goggles equipped with the Newton lens implement a perspective throug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a pair of Newton lenses disposed in front of the eyes in a single lens method.
- image display goggles equipped with Newton lenses have the following disadvantages.
- the power of the motor which is the power source, increases, and vibration and noise may occur due to fric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r-glass implementation glasses for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helps to recover from eye fatigue by implementing far vision using a dual le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r-optic glasses for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case, a double convex lens assembly and a drive unit.
- the case surrounds the wearer's eyes and is formed with a pair of lens housing mounting holes in front.
- the double convex lens assembly includes a pair of lens housings and a pair of double convex lenses.
- the pair of lens housing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air of lens housing mounting holes of the case.
- a pair of double convex lenses is provided in the pair of lens housings, respectively, on the front straight line of both eyes of the wearer.
- An external convex lens positioned outside of the pair of double convex lenses is fixed to the lens housing, and an internal convex lens positioned inside the lens housing is installed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 implement a far-away perspective.
- the drive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lens housings to move the pair of internal convex lenses of the double convex lens assembly.
- Each of the pair of lens housings has a tubular shape and has an outer housing body having a guide slot formed in a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ner convex lens on an opposite side thereof, and the outer convex lens positioned in front of the outer housing body. It includes an outer cap to secure to.
- the guide slot is formed on a center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pair of outer housing bodies.
- the double convex lens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pair of inner convex lense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air of lens housings through guide slots of the pair of lens housings.
- the connecting frame is located inside the pair of lens housings, the pair of inner convex lenses are installed, the pair of inner housings movably installed in the pair of lens housings, and the pair It may include a connecting rod for connecting the pair of inner housing through the guide slot of the lens housing.
- the pair of inner housings respectively move along the inside of the outer housing body in the form of a tube, the inner housing body shorter than the outer housing body, and the inner convex lens located in front of the inner housing body. It may include an inner cap fixed to the housing body.
- the outer housing body may have a locking step therein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inner housing body to the outer convex lens.
- the locking jaw may be formed at a position tha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external convex lens and the internal convex lens when the inner housing body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jaw.
- the inner convex lens may move up to 15 to 30 mm with respect to the outer convex lens.
-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mounting stand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lens housings, a motor fixed to the motor mounting stand, and a driving shaft connected to the motor to one end to transfer driving force to the connecting stand to move the pair of external convex lenses. It may include.
- the drive shaft is installed orthogonally to the connecting rod, and the connecting rod can move the pair of external convex lenses in a linear motion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 the driv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haft bearing for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 the driver may operate in a wireless control scheme.
- a convex lens as a dual lens, since the distant effect is greater than using a single Newton lens, it can help to recover the eye fatigue more effectively.
- the weight of the moving parts can be reduced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internal convex len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ens is made stable. That is, since the movement method of the internal convex lens can use a low-power motor rather than the method using a single Newton len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vibration or noise caused by driving the motor.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ar-glass implementing glasses for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ar-glass implementing glasses for the video display device of FIG. 1.
- FIG.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ar-glass implementing glasses for the image display device of FIG. 1.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4-4 of FIG. 2.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lens of FIG. 4 is moved relative to the outer lens.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ar-glass implementing glasses for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ar-glass implementing glasses for the video display device of FIG. 1.
- FIG.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ar-glass implementing glasses for the image display device of FIG. 1.
- the far-glass implementing glasses 100 for an image display device are mechanisms that help the eye to recover by implementing the far vision using a double convex lens.
- the far vision implementing glasse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double convex lens assembly including a case 10, a pair of lens housings 20, and a pair of double convex lenses 31 and 33. 30) and the drive unit 50.
- the case 10 surrounds a pair of eyes of the wearer, and a pair of lens housing mounting holes 13 are formed in front.
- the pair of lens housings 2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air of lens housing mounting holes 13 of the case 10.
- the pair of double convex lenses 31 and 33 are provided in the pair of lens housings 20 on the front straight line of both eyes of the wearer, respectively.
- the outer convex lens 31 positioned outside of the pair of double convex lenses 31 and 33 is fixed to the lens housing 20, and the inner convex lens 33 positioned inside the lens housing 2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and implements original vision.
- the driver 50 is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lens housings 20 to move the pair of internal convex lenses 33 of the double convex lens assembly 30.
- the internal convex lens 100 for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nal convex lens 33 moves to the fixed external convex lens 31, the internal convex lens 33 moves back and forth.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riginal glasses for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eye 100 may be reduced.
- the original glasses for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applied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such as a virtual reality (VR) device or a mixed reality (MR) device.
- an image display apparatus such as a virtual reality (VR) device or a mixed reality (MR) device.
- VR virtual reality
- MR mixed reality
- the case 10 is a portion surrounding the area including both eyes of the wearer and is worn on the face of the wearer.
- the pair of lens housing mounting holes 13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both eyes of the wearer.
- the case 10 may be provided with a wearing member such as a band that can be worn on the wearer's head.
- the case 10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for operating the driving unit 50.
- the driving unit 50 may operate in a wireless control method.
- a wireless terminal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50 in a wireless manner a dedicated terminal such as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may be used, and other smart phones, tablet PCs, notebook computers, personal computers, and the like may be used. Meanwhile, when driving the driving unit 50 in a wireless manner, a button for operating the driving unit 50 may not be installed in the case 10.
- the dual convex lens assembly 30 is distant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internal convex lens 33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ens housing 20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convex lens 31 fixed to the outside of the lens housing 20.
- the pair of lens housings 2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air of lens housing mounting holes 13 of the case 10.
- the pair of lens housings 20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to the case 10.
- Each of these pairs of lens housings 20 includes an outer housing body 21 and an outer cap 27.
- the outer housing body 21 has a tubular shape, and the guide slot 25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ner convex lens 33 on the opposite side.
- the outer cap 27 fixes the outer convex lens 31 located at the front of the outer housing body 21 to the outer housing body 21.
- the reason that the outer housing body 21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is to allow the inner convex lens 33 installed therein to stably move back and forth.
- the tubular hole 28 formed in the outer housing body 21 is formed in line with the lens housing mounting hole 13.
- the guide slot 25 guide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onnecting frame 35 connecting the pair of internal convex lenses 33 when the pair of internal convex lenses 33 moves forward and backward.
- the guide slot 25 may be formed on a center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pair of outer housing bodies 21.
- the pair of double convex lenses 31 and 33 are installed in the pair of lens housings 20 in pairs of the outer convex lens 31 and the inner convex lens 33, respectively.
- the connecting frame 35 connects a pair of internal convex lenses 33 installed in the pair of lens housings 20 through the guide slots 25 of the pair of lens housings 20, respectively.
- the inner convex lens 33 is installed inside the lens housing 20 via the connection frame 35 with respect to the outer convex lens 31 fixed to the lens housing 20.
- the internal convex lens 33 is moved back and forth within the lens housing 20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onnecting frame 35.
- the outer convex lens 31 and the inner convex lens 33 are disposed so that the centers of the lenses coincide.
-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pair of double convex lenses 31 and 33 is designed to have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of both eyes of a typical wearer.
-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pair of double convex lenses 31 and 33 may be 55 mm to 65 mm.
- the connecting frame 35 includes a pair of inner housings 37 and a connecting rod 43.
- the pair of inner housings 37 are located inside the pair of lens housings 20, and a pair of inner convex lenses 33 ar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pair of lens housings 20. do.
- the connecting table 43 connects the pair of inner housings 37 through the guide slots 25 of the pair of lens housings 20.
- the connecting frame 35 has a form of a spectacle frame that surrounds a lens having no spectacles in the spectacles.
- the pair of inner housings 37 may each include an inner housing body 39 and an inner cap 41.
- the inner housing body 39 moves along the inside of the outer housing body 21 in the form of a tube and is shorter than the outer housing body 21.
- the tubular hole 38 formed in the inner housing body 39 is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lens housing mounting hole 13.
- the inner cap 41 fixes the inner convex lens 33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inner housing body 39 to the inner housing body 39.
- the present embodiment discloses an example in which the inner convex lens 33 is fixed to the inner housing body 39 by utilizing the inner cap 4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ner convex lens 33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inner housing 37.
- the far-glass implementation glasses 100 for the image display device implement the far-field vision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onnecting frame 35 in which the internal convex lens 33 is installed, the existing single Newton lens is mounted. Compared with the image goggles, the number and weight of parts moving back and forth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internal convex lens 33 can be more stably performed.
- the outer housing body 21 has a locking projection 23 therein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inner housing body 39 to the outer convex lens 31. Formed. That is, to prevent mechanical collision between the inner convex lens 33 and the outer convex lens 31, the movement of the inner housing body 39 with the inner convex lens 33 installed to the outer convex lens 31 is prevented.
- Restricting engaging jaw 23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housing body 39 in the interior of the outer housing body 21 in which the outer convex lens 31 is installed.
- the locking jaw 23 is formed in a position where the inner convex lens 31 and the inner convex lens 33 are close to each other but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inner housing body 39 contacts the locking jaw 23.
- the double convex lens assembly 30 moves back and forth to move the inner convex lens 33 with respect to the fixed outer convex lens 31, and the moving distance is the inner housing body 39 in which the inner convex lens 33 is installed. It may be set in the range of the distance that can be moved to the maximum toward the case 10 in the state caught in the locking step 23 of the housing body 21. The maximum distance that the inner convex lens 33 moves from the outer convex lens 31 is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outer housing body 21.
- the moving distance of the internal convex lens 33 may be controlled by the length of the guide slot 25.
- the inner convex lens 33 may be designed to move up to 15 to 30 mm relative to the outer convex lens 31.
- the driving unit 50 moves the connecting frame 35 provided with the pair of internal convex lenses 33 back and forth.
- the driver 50 may move the connection frame 35 in a motor driving manner. That is, the driving unit 50 may include a motor mounting table 51, a motor 53, and a driving shaft 55, and may further include a shaft bearing 57.
- the motor mount 51 is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lens housings 20.
- the motor 53 is fixed to the motor mounting stand 51.
- One end of the driving shaft 55 is connected to the motor 53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to the connecting rod 43 to move the pair of external convex lenses 31.
- the shaft bearing 57 supports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55 so that the drive shaft 55 may rotate stably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53.
- the drive shaft 55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ng table 43.
- the connecting table 43 linearly moves to move the pair of external convex lenses 31 back and forth. That is, the connecting table 43 engaged with the drive shaft 55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e shaft 55 is install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55.
- the driving uni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llustrated in the form exposed to the outside, it can also be blocked from the outside by covering the driving unit 50 with a cover.
- the driving unit 50 has disclosed an example of operating in a motor driving method
- the driving unit 50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riving unit 50 may operate in a cylinder driving manner.
- the cylinder and the cylinder rod are provided instead of the motor 53 and the drive shaft 55.
- FIGS. 4 and 5 The driving method of the far-glasses implementing glasses 100 for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s follows.
-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4-4 of FIG. 2.
-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lens of FIG. 4 is moved relative to the outer lens.
- the far-glass implementing glasses 100 may help to recover eye fatigue by implementing the far vision using a double convex lens. That is,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move the inner convex lens 33 toward the wearer's eye with respect to the outer convex lens 31 can be adjusted to the far field.
- the effect of distantness when viewing the character “ga” with the conventional goggles for image display equipped with a single Newton lens and the far-glass implementation glasses 100 for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as compared.
- the length of the "A" character is 15mm.
- the distance between the wearer's eyes and letters is 60 mm.
- the characters are enlarged to about 35 mm when viewed.
- the new Newton lens and the internal convex lens 33 were moved 15 mm forward from the eye for viewing at a distance.
- the letter is reduced to 30mm.
- the double convex lens looks reduced to 27mm.
- the double convex lens has a higher distant effect than a single Newton lens.
- the motor 53 necessary for the movement of the internal convex lens 33 is conventional. Compared to goggles, you can use a motor with a lower power.
- the weight of the moving parts can be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internal convex lens 33,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ens is made stable. That is, since the movement method of the internal convex lens 33 can use the low-power motor 53 rather than the method using a single Newton len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vibration or noise caus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5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에 관한 것으로, 원방시를 구현하여 눈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주어 영상표시 단말기 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VDT 증후군)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은 이중 볼록 렌즈를 이용하여 원방시를 구현한다. 이때 이중 볼록 렌즈 중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볼록 렌즈는 렌즈 하우징에 고정 설치하고, 렌즈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볼록 렌즈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원방시를 구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용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볼록 렌즈를 이용하여 원방시를 구현하여 눈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주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에 관한 것이다.
개인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영상표시 단말기 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VDT 증후군)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VDT 증후군은 모바일 및 컴퓨터의 보급과 인터넷의 대중화로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여 생기는 안계 증세(눈의 피로, 내측 사시 등), 골/근육계 증세(어께 걸림, 요통 등), 정신계 증세(불안감, 노이로제, 불면증 등)의 건강장해를 말한다. 그 심각성은 미국의 경우는 VDT 작업규제의 입법화, 일본의 경우 정부 산하에 VDT 대책위원회 설치, 한국 노동부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설치하여 휴업급여ㅇ장해보상 등을 받을 수 있는 업무상 재해에 VDT 증후군을 추가 등 그 심각성을 말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4년 VDT 증후군 환자 수는 총 967만 명인 것으로 드러났다. 즉 한국의 3~4명 중의 1명이 VDT 증후군 환자이다. 한국인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83%로,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3시간 30분이 넘어, 다수가 VDT 증후군의 내측 사시 증세가 있다.
이러한 VDT 증후군 중, 안계 증세(눈의 피로, 내측 사시 등)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598110호의'특정구조를 가지는 뉴턴 렌즈가 장착된 영상표시용 고글'이 있다. 이 특허의 효과는 VDT 증후군의 개선 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뉴턴 렌즈가 장착된 영상표시용 고글은 단일 렌즈 방식으로, 눈의 앞쪽에 배치되는 한 쌍의 뉴턴 렌즈의 전후 이동을 통하여 원방시를 구현한다.
하지만 뉴턴 렌즈가 장착된 영상표시용 고글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단일 렌즈 방식으로 구동하여 원방시를 구현하기 때문에, 단일 뉴턴 렌즈로는 원방시 효과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다음으로 한 쌍의 뉴턴 렌즈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눈과 렌즈 이동 조작부에 불순물 또는 먼지가 낄 수 있다. 다음으로 한 쌍의 뉴턴 렌즈를 전후로 이동을 위해서는 뉴턴 렌즈만이 아닌 뉴턴 렌즈를 둘러싼 렌즈 하우징까지 동시에 움직여야 하는 구조적인 단점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영상표시용 고글의 무게 중심이 뉴턴 렌즈의 이동에 따라서 크게 변하기 때문에, 영상표시용 고글의 착용감이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뉴턴 렌즈를 둘러싼 하우징이 동시에 움직이기 위해서는 동력원인 모터의 힘이 많이 들고, 마찰에 의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 렌즈를 이용하여 원방시를 구현하여 눈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주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렌즈의 전후 이동에 따른 무게 중심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렌즈의 전후 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 및 구동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을 제공한다. 케이스는 착용자의 눈 주변을 둘러싸며, 전방에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는 한 쌍의 렌즈 하우징과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를 포함한다. 한 쌍의 렌즈 하우징은 상기 케이스의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에 각각 설치된다.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는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에 착용자의 양 눈의 전면 일직선상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 중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볼록 렌즈는 상기 렌즈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볼록 렌즈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방시를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의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를 이동시킨다.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은 각각, 관 형태를 가지며 마주보는 쪽에 상기 내부 볼록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외부 하우징 몸체과, 상기 외부 하우징 몸체의 전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볼록 렌즈를 상기 외부 하우징 몸체에 고정하는 외부 캡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슬롯은 한 쌍의 외부 하우징 몸체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 상에 형성된다.
상기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의 가이드 슬롯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에 각각 설치된 상기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가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내부 하우징과,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의 가이드 슬롯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내부 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내부 하우징은 각각, 관 형태로 상기 외부 하우징 몸체의 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 몸체 보다는 짧은 내부 하우징 몸체와, 상기 내부 하우징 몸체의 전면에 위치하는 상기 내부 볼록 렌즈를 상기 내부 하우징 몸체에 고정하는 내부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 몸체는 내부에 상기 내부 하우징 몸체의 상기 외부 볼록 렌즈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내부 하우징 몸체가 상기 걸림턱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외부 볼록 렌즈와 상기 내부 볼록 렌즈 간에 이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볼록 렌즈에 대해서 상기 내부 볼록 렌즈는 최대 15 내지 30mm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모터 설치대, 상기 모터 설치대에 고정된 모터, 및 일단이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상기 연결대에 전달하여 상기 한 쌍의 외부 볼록 렌즈를 이동시키는 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연결대에 직교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대는 직선 운동으로 상기 한 쌍의 외부 볼록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의 타단을 지지하는 축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무선 제어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렌즈로 볼록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단일 뉴턴 렌즈를 사용하는 것보다 원방시 효과가 크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눈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외부 렌즈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 렌즈가 전후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렌즈의 전후 이동에 따른 무게 중심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볼록 렌즈의 전후 이동에 따라서 이동하는 부품의 무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렌즈의 전후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내부 볼록 렌즈의 이동 방식은 단일 뉴턴 렌즈를 사용하는 방식 보다는 저출력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의 구동에 따른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을 보여주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내부 렌즈가 외부 렌즈에 대해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을 보여주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이중 볼록 렌즈를 이용하여 원방시를 구현하여 눈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주는 기구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케이스(10),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 및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31,33)를 구비하는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30) 및 구동부(50)를 포함한다. 이때 케이스(10)는 착용자의 한 쌍의 눈 주변을 둘러싸며, 전방에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은 케이스(10)의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13)에 각각 설치된다.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31,33)는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에 착용자의 양 눈의 전면 일직선상에 각각 구비된다.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31,33) 중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볼록 렌즈(31)는 렌즈 하우징(20)에 고정되고, 렌즈 하우징(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볼록 렌즈(33)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방시를 구현한다. 그리고 구동부(50)는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 사이에 설치되어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30)의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33)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고정된 외부 볼록 렌즈(31)에 대한 내부 볼록 렌즈(33)가 전후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내부 볼록 렌즈(33)의 전후 이동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의 무게 중심의 이동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VR(virtual reality)기기, MR(mixed reality)기기 등과 같은 영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10)는 착용자의 양 눈을 포함하는 영역을 둘러싸는 부분으로서, 착용자의 얼굴에 착용된다.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13)은 착용자의 양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케이스(10)에는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와 같은 착용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10)에는 구동부(50)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구동부(50)는 무선 제어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방식으로 구동부(50)를 구동시키는 무선 단말기로는 무선 리모콘과 같은 전용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외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50)를 무선 방식으로 구동시키는 경우, 구동부(5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이 케이스(10)에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30)는 렌즈 하우징(20)의 외측에 고정된 외부 볼록 렌즈(31)에 대해서 렌즈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내부 볼록 렌즈(33)의 전후 이동에 의해 원방시를 구현한다.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은 케이스(10)의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13)에 각각 설치된다.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은 케이스(10)에 탈착할 수 있는 구조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은 각각, 외부 하우징 몸체(21)와 외부 캡(27)을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 몸체(21)는 관 형태를 가지며, 마주보는 쪽에 내부 볼록 렌즈(33)의 이동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25)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 캡(27)은 외부 하우징 몸체(21)의 전면에 위치하는 외부 볼록 렌즈(31)를 외부 하우징 몸체(21)에 고정한다.
이때 외부 하우징 몸체(21)를 관 형태로 형성한 이유는, 내부에 설치된 내부 볼록 렌즈(33)가 전후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외부 하우징 몸체(21)에 형성된 관 형태의 구멍(28)은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13)과 동일선상에 형성된다.
가이드 슬롯(25)은, 후술되겠지만,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33)의 전후 이동 시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33)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35)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한다. 가이드 슬롯(25)은 한 쌍의 외부 하우징 몸체(21)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31,33)는 각각 외부 볼록 렌즈(31)와 내부 볼록 렌즈(33)가 쌍으로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에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 프레임(35)은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의 가이드 슬롯(25)을 통하여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33)를 연결한다.
이때 렌즈 하우징(20)에 고정된 외부 볼록 렌즈(31)에 대해서 내부 볼록 렌즈(33)는 연결 프레임(35)을 매개로 렌즈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다. 내부 볼록 렌즈(33)는 연결 프레임(35)의 전후 이동에 의해 렌즈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외부 볼록 렌즈(31) 및 내부 볼록 렌즈(33)는 렌즈의 중심이 일치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31,33)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인 착용자의 양 눈의 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를 갖도록 설계된다. 예컨대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31,33)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55mm 내지 65mm 일 수 있다.
외부 볼록 렌즈(31) 및 내부 볼록 렌즈(33)로는 동일한 크기의 볼록 렌즈를 사용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크기의 볼록 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결 프레임(35)은 한 쌍의 내부 하우징(37)과 연결대(43)를 포함한다. 한 쌍의 내부 하우징(37)은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의 내부에 위치하며,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33)가 설치되어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대(43)는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의 가이드 슬롯(25)을 통하여 한 쌍의 내부 하우징(37)을 연결한다. 즉 연결 프레임(35)은 안경에서 안경다리가 없는 렌즈를 둘러싸는 안경 프레임의 형태를 갖는다.
한 쌍의 내부 하우징(37)은 각각, 내부 하우징 몸체(39) 및 내부 캡(41)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 몸체(39)는 관 형태로 외부 하우징 몸체(21)의 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며, 외부 하우징 몸체(21) 보다는 짧다. 내부 하우징 몸체(39)에 형성된 관 형태의 구멍(38)은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13)과 동일선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 캡(41)은 내부 하우징 몸체(39)의 전면에 위치하는 내부 볼록 렌즈(33)를 내부 하우징 몸체(39)에 고정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캡(41)을 활용하여 내부 하우징 몸체(39)에 내부 볼록 렌즈(33)를 고정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내부 하우징(37)에 직접 내부 볼록 렌즈(33)를 끼우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내부 볼록 렌즈(33)가 설치된 연결 프레임(35)의 전후 이동에 의해 원방시를 구현하기 때문에, 기존의 단일 뉴턴 렌즈가 장착된 영상 표시용 고글에 비해서, 전후로 이동하는 부품의 수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내부 볼록 렌즈(33)의 전후 이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렌즈 하우징(20) 내에서 내부 볼록 렌즈(33)가 이동할 때, 외부 하우징 몸체(21)는 내부에 내부 하우징 몸체(39)의 외부 볼록 렌즈(31)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즉 내부 볼록 렌즈(33)와 외부 볼록 렌즈(31) 간에 기계적인 충돌이 발생하는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 볼록 렌즈(33)가 설치된 내부 하우징 몸체(39)의 외부 볼록 렌즈(31)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23)이 외부 볼록 렌즈(31)가 설치된 외부 하우징 몸체(21)의 내부에 내부 하우징 몸체(39)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턱(23)은 내부 하우징 몸체(39)가 걸림턱(23)에 접촉되었을 때, 외부 볼록 렌즈(31)와 내부 볼록 렌즈(33) 간에 서로 근접하되 이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30)는 고정된 외부 볼록 렌즈(31)에 대해서 내부 볼록 렌즈(33)가 이동하게 전후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 거리는 내부 볼록 렌즈(33)가 설치된 내부 하우징 몸체(39)가 외부 하우징 몸체(21)의 걸림턱(23)에 걸린 상태에서 케이스(10) 쪽으로 최대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내부 볼록 렌즈(33)가 외부 볼록 렌즈(31)로부터 최대 이동하는 거리는 외부 하우징 몸체(21)의 길이에 비례한다. 내부 볼록 렌즈(33)의 이동 거리는 가이드 슬롯(25)의 길이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볼록 렌즈(31)에 대해서 내부 볼록 렌즈(33)는 최대 15 내지 30mm 이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50)는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33)가 설치된 연결 프레임(35)을 전후로 이동시킨다. 구동부(50)는 모터 구동 방식으로 연결 프레임(35)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구동부(50)는 모터 설치대(51), 모터(53) 및 구동축(55)을 포함하고, 축 베어링(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설치대(51)는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 사이에 설치된다. 모터(53)는 모터 설치대(51)에 고정된다. 구동축(55)은 일단이 모터(53)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연결대(43)에 전달하여 한 쌍의 외부 볼록 렌즈(31)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축 베어링(57)은, 구동축(55)이 모터(5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축(55)의 타단을 지지한다.
이때 구동축(55)은 연결대(43)에 직교하게 설치된다. 구동축(55)의 회전에 의해 연결대(43)는 직선 운동하여 한 쌍의 외부 볼록 렌즈(31)를 전후로 이동시킨다. 즉 구동축(55)에 맞물린 연결대(43)는 구동축(55)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55)이 설치된 방향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50)는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예시하였지만, 덮개로 구동부(50)를 덮어 외부와 차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50)는 모터 구동 방식으로 동작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구동부(50)는 실린더 구동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실린더 구동 방식의 경우, 모터(53) 및 구동축(55) 대신에 실린더와 실린더 로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의 구동 방법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도 2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내부 렌즈가 외부 렌즈에 대해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이중 볼록 렌즈를 이용하여 원방시를 구현하여 눈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외부 볼록 렌즈(31)에 대해서 내부 볼록 렌즈(33)를 착용자의 눈 쪽으로 이동시키는 거리에 따라서 원방시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기존의 단일 뉴턴 렌즈가 장착된 영상표시용 고글과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으로 문자"가"를 볼 때의 원방시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때 "가" 문자의 세로 길이는 15mm 이다. 착용자의 눈과 문자 간의 거리는 60mm이다. 기존의 고글과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을 착용하지 않고, 해당 문자를 보면 35mm 정도로 확대되어 보인다.
기존의 고글과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을 착용한 후, 원거리로 보기 위해서 단일 뉴턴 렌즈 및 내부 볼록 렌즈(33)를 눈에서 15mm 앞으로 이동시켰다. 이때 단일 뉴턴 렌즈의 경우, 해당 문자가 30mm로 축소되어 보인다. 반면에 이중 볼록 렌즈는 27mm로 축소되어 보인다.
이는 동일한 굴절도를 갖는다고 할지라도, 이중 볼록 렌즈가 단일 뉴턴 렌즈 보다 원방시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존의 고글이 원방시 효과를 얻기 위해서 단일 뉴턴 렌즈를 눈에서 15mm 앞으로 이동할 경우, 대략 80g의 무게 이동이 감지된다. 반면에 본 실시에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내부 볼록 렌즈(33)의 이동으로 대략 30g의 무게 이동이 감지된다.
즉 외부 볼록 렌즈(31)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 볼록 렌즈(33)가 전후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렌즈의 전후 이동에 따른 무게 중심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에 기존의 고글은 단일 뉴턴 렌즈가 외측에 위치하고, 이로 인해 단일 뉴턴 렌즈의 전후 이동에 따라서 무게 중심의 이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 보다는 크게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내부 볼록 렌즈(33)의 이동에 따른 무게 이동이 작기 때문에, 내부 볼록 렌즈(33)의 이동에 필요한 모터(53)는 기존의 고글에 비해서 저축력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볼록 렌즈(33)의 전후 이동에 따라서 이동하는 부품의 무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렌즈의 전후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내부 볼록 렌즈(33)의 이동 방식은 단일 뉴턴 렌즈를 사용하는 방식 보다는 저출력의 모터(53)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53)의 구동에 따른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3 :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
20 : 렌즈 하우징
21 : 외부 하우징 몸체
23 : 걸림턱
25 : 가이드 슬롯
27 : 외부 캡
30 :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
31 : 외부 볼록 렌즈
33 : 내부 볼록 렌즈
35 : 연결 프레임
37 : 내부 하우징
39 : 내부 하우징 몸체
41 : 내부 캡
43 : 연결대
50 : 구동부
51 : 모터 설치대
53 : 모터
55 : 구동축
57 : 축 베어링
100 : 영상 표시용 안경
Claims (12)
- 착용자의 눈 주변을 둘러싸며, 전방에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이 형성된 케이스;상기 케이스의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렌즈 하우징과,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에 착용자의 양 눈의 전면 일직선상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 중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볼록 렌즈는 상기 렌즈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볼록 렌즈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방시를 구현하는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 및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의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은 각각,관 형태를 가지며, 마주보는 쪽에 상기 내부 볼록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외부 하우징 몸체; 및상기 외부 하우징 몸체의 전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볼록 렌즈를 상기 외부 하우징 몸체에 고정하는 외부 캡;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 슬롯은 한 쌍의 외부 하우징 몸체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 상에 형성되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는,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의 가이드 슬롯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에 각각 설치된 상기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가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내부 하우징; 및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의 가이드 슬롯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내부 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내부 하우징은 각각,관 형태로 상기 외부 하우징 몸체의 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 몸체 보다는 짧은 내부 하우징 몸체; 및상기 내부 하우징 몸체의 전면에 위치하는 상기 내부 볼록 렌즈를 상기 내부 하우징 몸체에 고정하는 내부 캡;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하우징 몸체는 내부에 상기 내부 하우징 몸체의 상기 외부 볼록 렌즈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제7항에 있어서,상기 걸림턱은 상기 내부 하우징 몸체가 상기 걸림턱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외부 볼록 렌즈와 상기 내부 볼록 렌즈 간에 이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볼록 렌즈에 대해서 상기 내부 볼록 렌즈는 최대 15 내지 30mm 이동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모터 설치대;상기 모터 설치대에 고정된 모터;일단이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상기 연결대에 전달하여 상기 한 쌍의 외부 볼록 렌즈를 이동시키는 구동축; 및상기 구동축의 타단을 지지하는 축 베어링;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축은 상기 연결대에 직교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대는 직선 운동으로 상기 한 쌍의 외부 볼록 렌즈를 이동시키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구동부는 무선 제어 방식으로 동작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6/487,562 US11150490B2 (en) | 2017-02-21 | 2018-02-07 | Distance vision-realizing eyeglasses for image display device |
CN201880012759.8A CN110383134A (zh) | 2017-02-21 | 2018-02-07 | 用于影像显示装置的远距视觉体现眼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2925 | 2017-02-21 | ||
KR1020170022925A KR101958366B1 (ko) | 2017-02-21 | 2017-02-21 |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55849A1 true WO2018155849A1 (ko) | 2018-08-30 |
Family
ID=6325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8/001643 Ceased WO2018155849A1 (ko) | 2017-02-21 | 2018-02-07 |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150490B2 (ko) |
KR (1) | KR101958366B1 (ko) |
CN (1) | CN110383134A (ko) |
WO (1) | WO201815584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1089368S1 (en) * | 2020-12-16 | 2025-08-19 | Alume Biosciences, Inc. | Optical filter holder and adapter |
US20240393582A1 (en) * | 2023-05-24 | 2024-11-28 | Tencent America LLC | Vision correction for near eye display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60344A (ja) * | 1994-12-05 | 1996-06-21 | Olympus Optical Co Ltd | 頭部装着式映像表示装置 |
JP2000111804A (ja) * | 1998-10-02 | 2000-04-21 | Olympus Optical Co Ltd | 双眼鏡 |
JP2009031381A (ja) * | 2007-07-25 | 2009-02-12 | Minoru Sato | サングラス双眼鏡 |
US20120147038A1 (en) * | 2010-12-08 | 2012-06-14 | Microsoft Corporation | Sympathetic optic adaptation for see-through display |
KR101635892B1 (ko) * | 2015-10-08 | 2016-07-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362167A1 (de) * | 1973-12-14 | 1975-06-26 | Bosch Gmbh Robert | Aufnahmeobjektiv mit veraenderbarer brennweite |
US4097141A (en) * | 1975-04-17 | 1978-06-27 | Warner David A | Optical objectives using apertured retrodirective reflectors |
JP2007047319A (ja) * | 2005-08-08 | 2007-02-22 | Pentax Corp | 双眼拡大鏡 |
US8446670B2 (en) * | 2005-11-08 | 2013-05-21 | PeriOptix, Inc. | Convergence adjustment mechanism |
JP6036549B2 (ja) * | 2013-05-23 | 2016-11-30 | ソニー株式会社 | 接眼レンズおよび表示装置 |
CN104698586B (zh) * | 2013-12-04 | 2017-09-19 | 北京蚁视昂维科技有限公司 | 头戴式显示设备支架 |
CN204016786U (zh) * | 2014-07-18 | 2014-12-17 | 广州视域光学科技有限公司 | 一种双筒视力调节训练器 |
KR101598110B1 (ko) | 2015-06-01 | 2016-03-07 | 손영범 | 특정 구조를 가지는 뉴턴 렌즈가 장착된 영상표시용 고글 |
CN106054403B (zh) * | 2015-08-14 | 2020-01-07 | 丛繁滋 | 在正视眼方向具有动态轻度离焦变焦功能的眼镜 |
WO2017061677A1 (en) * | 2015-10-08 | 2017-04-13 | Lg Electronics Inc. | Head mount display device |
CN205263413U (zh) * | 2015-10-22 | 2016-05-25 | 广州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 一种镜片自动开合的护目镜 |
CN205620626U (zh) * | 2016-05-17 | 2016-10-05 | 上海鹤影光学技术有限公司 | 一种智能眼镜 |
US10247965B2 (en) * | 2016-10-07 | 2019-04-02 | Trieu Ton | Ergonomic surgical loupes |
-
2017
- 2017-02-21 KR KR1020170022925A patent/KR101958366B1/ko active Active
-
2018
- 2018-02-07 CN CN201880012759.8A patent/CN110383134A/zh not_active Withdrawn
- 2018-02-07 WO PCT/KR2018/001643 patent/WO2018155849A1/ko not_active Ceased
- 2018-02-07 US US16/487,562 patent/US1115049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60344A (ja) * | 1994-12-05 | 1996-06-21 | Olympus Optical Co Ltd | 頭部装着式映像表示装置 |
JP2000111804A (ja) * | 1998-10-02 | 2000-04-21 | Olympus Optical Co Ltd | 双眼鏡 |
JP2009031381A (ja) * | 2007-07-25 | 2009-02-12 | Minoru Sato | サングラス双眼鏡 |
US20120147038A1 (en) * | 2010-12-08 | 2012-06-14 | Microsoft Corporation | Sympathetic optic adaptation for see-through display |
KR101635892B1 (ko) * | 2015-10-08 | 2016-07-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0383134A (zh) | 2019-10-25 |
KR20180096338A (ko) | 2018-08-29 |
US20190384071A1 (en) | 2019-12-19 |
US11150490B2 (en) | 2021-10-19 |
KR101958366B1 (ko) | 2019-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7061677A1 (en) | Head mount display device | |
US5777715A (en) | Low vision rehabilitation system | |
WO2018124344A1 (ko) | 자동 메커니즘을 구비한 웨어러블 vr 헤드밴드구조 | |
WO2017146510A2 (en) | Aberration corrected optical system for near-eye displays | |
WO2019054621A1 (ko)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 |
WO2018203588A1 (ko) | 헬멧 장착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 |
WO2018038281A1 (ko) | 웨어러블 디바이스 | |
WO2016056699A1 (ko) |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 |
WO2018155849A1 (ko) | 영상 표시 장치용 원방시 구현 안경 | |
WO2019088501A1 (ko) | 헤드 마운팅 장치 | |
WO2017073953A1 (ko) |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 | |
WO2019225922A1 (ko) | 광 시야각을 제공하는 vr 헤드셋 기기 | |
EP3513272A1 (en) |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WO2012046941A1 (en) | Glasses | |
WO2016035952A1 (ko) | 이미지 처리 디바이스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 | |
WO2022260272A1 (ko) |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양안 렌즈가 동시에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정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 |
WO2016175347A2 (ko) |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 |
WO2021182859A1 (ko) | 복수의 핀홀을 포함하는 광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 |
WO2023080362A1 (ko) | 증강현실 글라스를 위한 시야 정합형 광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글라스 장치 | |
WO2023128193A1 (ko) | 접속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WO2017200240A1 (ko) | 안경테에 거치되는 망원경 장치 | |
WO2021154007A1 (ko) | 헤드 마운트 전자 장치 | |
WO2015152500A1 (ko) | 고글형 망원경 | |
JP3907523B2 (ja) | 眼鏡型映像表示装置 | |
EP4598004A1 (en) | Wearabl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87573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32PN |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N DATED 20/11/2019)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87573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