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WO2018159865A1 - Needle-free solution-injecting device and needle-free solution-injecting method using same - Google Patents

Needle-free solution-injecting device and needle-free solution-injecting method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59865A1
WO2018159865A1 PCT/KR2017/002205 KR2017002205W WO2018159865A1 WO 2018159865 A1 WO2018159865 A1 WO 2018159865A1 KR 2017002205 W KR2017002205 W KR 2017002205W WO 2018159865 A1 WO2018159865 A1 WO 20181598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lution
receiving member
skin
insulin
needl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2205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앤박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앤박메디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앤박메디컬
Publication of WO20181598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5986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61M2005/3022Worn on the body, e.g. a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Definitions

  • Insulin infusions which are widely used for diabetic response, offer many advantages, but patients still feel the discomfort and pain associated with several daily administrations by needle injection.
  • Insulin injection method that does not use a needle developed so far is to inject insulin into the oral cavity or inhaled through the nose.
  • pancreas transplantation is also actively developed as a method for diabetes.
  • these methods do not yet provide sufficient effect and are not widely used.
  • One proposed method of needleless insulin injection is jet injection, which allows liquid flow to the subcutaneous layer at high speed to allow insulin solution to diffuse through the skin, but this method requires expensive and complex devices, and In principle, not much different.
  •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ody; A solution receiving member exposed to contact the skin of the living body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ccommodating a solution; A heating lamp which emits light to heat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and is positioned in the body opposite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A power source located in the body and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lamp; And a control unit positioned in the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and the heating lamp, wherei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is heated by the heating lamp so that the solution contacts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It is injected into the living body through.
  • the solution may comprise insulin.
  •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has a porosity of 65% to 75% and a pore size distribution of 40 ⁇ m to 900 ⁇ m, and may have an average pore size of 130 ⁇ m to 170 ⁇ m.
  • the heating lamp 130 may emit light to heat the solution accommodating member 120, and may be positioned in the body 110 to face the solution accommodating member 120.
  • the heat lamp 130 may emit light for heating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and may emit infrared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a range of about 880 nm to about 1200 nm, for example.
  • the heating lamp 130 may include various light source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LED).
  • the heating lamp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diodes for such infrared radiation preferably provide small size and high light emission. Infrared emission can be easily controlled by selecting the level of current required for power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Such current control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50 described below.
  • the power source 140 may be located in the body 11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ing lamp 130 to supply power.
  • the power source 140 may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or may have a battery structure separated from the outside.
  • the power source 140 may include a primary battery that is replaced, for example, a battery, or may include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 the power source 140 may be, for example, a lithium ion battery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 FIG. 3 is a photograph showing a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included in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10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ffusion process from the porous TiNi base depends on many factors, such as viscosity, specific gravity, density, TiNi permeability, pore size, pore length,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emperature of the porous body.
  • the dependence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the fluid volume of the TiNi porous structure and the basic parameters of solution diffusion is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
  • the temperature gradient of the contact area between insulin and the skin a temperature gradient occurs in the insulin solution contained in the pores i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as heat (or infrared) is provided by the heating lamp.
  • This temperature gradient can be activated by radiating heat provided at the pore walls and intersections.
  • heating due to partial absorption of infrared radiation by the surface of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may produce the required temperature gradient. have.
  • Patient E age 53 years; Case number # A1263; Diabetes diagnosed 6 years ago during defined determination of blood glucose levels by thirst, polyuria, and family history; And patients have been treated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metformin and sulfonylurea over the long term.
  • a needleless injector was applied to patient E.
  • the clinical cases clearly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the needleless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and efficiency of the administration of insulin through the transdermal.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medical effect of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ified.
  •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for bioinfusion into other drugs, and thus can be widely applied to medical practice.
  • Needle-free solutio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elerate the in vivo injection and absorption of insulin by locally heating the skin corresponding to the insulin injection portion without using a needle, the existing research The results were reviewed.
  • 42 insulin patients were clinically verified the efficiency of insulin supply. Specifically, by locally heating the skin by a needleless device, it was effective for infusion and absorption of insulin without increasing the risk of hypoglycemia. This local skin heating can cause the loop to close and increase the overall insulin supply. It is also analyzed that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skin at the infusion site does not cause other side effects in the patient and is therefore sufficient to increase the infusion of insulin.
  • th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cause skin irritation or lesions and are safe to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edle-free solution-injecting device which can inject a solution into a living body without use of a needle. The needle-free solution-inj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a solution holding member which holds a solution and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while being expos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kin of a living body; a heat lamp which emits light to heat the solution holding member and is disposed opposite the solution holding member in the body; a power supply disposed in the body to supply power to the heat lamp; and a control unit disposed in the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the heat lamp to control the same, wherein the solution holding member is heated by the heat lamp, and thus th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living body through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solution holding member.

Description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 바늘 용액 주입 방법Needle-free solution injection device and needle-free solution inj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생체 내 용액 주입에 관한 것으로서,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 바늘 용액 주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ution injection in vivo, and relates to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nd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method using the same.
건강한 사람들의 일일 인슐린 분비는 췌장으로부터 기초대사를 위한 인슐린 기초 분비 및 음식 섭취 등에 따른 혈당 증가에 대응한 인슐린 추가 분비로 구성된다. 당뇨병은 췌장으로부터 인슐린이 전혀 형성되지 않는 제1형 당뇨병과 인슐린이 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최근의 연구 결과들로부터, 당뇨병은 나이, 성별, 및 민족성과 관계없이 높은 출현율을 보이고 있고, 발생 정도 또한 꾸준한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Daily insulin secretion in healthy people consists of extra insulin secretion from the pancreas in response to increased blood glucose, such as basal insulin secretion and basal metabolism. Diabetes is divided into type 1 diabetes in which no insulin is formed from the pancreas and type 2 diabetes in which insulin does not function properly.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diabetes has a high prevalence regardless of age, gender, and ethnicity, and the incidence has also increased steadily.
당뇨병에 대한 대응 방법은 고혈당을 정상 수준의 혈당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혈액 내의 인슐린 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인슐린 제어를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주사에 의한 인슐린 주입이다. 장기 작용을 위한 인슐린 주입은 인슐린 기초 분비를 자극시킨다. 단기 작용을 위한, 예를 들어 음식 섭취 30분 전의 인슐린 주입은 음식 섭취 후의 과혈당증에 대응하도록 혈액 내의 인슐린 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단기 작용을 위한 인슐린의 주입은 하루에 3회 내지 4회 정도로 잦으며, 환자들은 이에 대하여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주사 방식은 바늘을 이용하게 되므로 당뇨병 환자들에 기계적인 외상, 고통, 감염, 및 심리적 불편을 야기시킬 수 있고, 또한, 주입 위치에서 인슐린 약제의 고농도에 의한 알러지 반응을 발생시키거나, 저혈당증(hypoglycaemia)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A countermeasure against diabetes is to control insulin concentration in the blood to reduce hyperglycemia to normal levels of blood sugar. To date, a common method for insulin control is insulin injection by injection. Insulin injection for long term action stimulates insulin basal secretion. Insulin injection for short-term action, for example 30 minutes before food intake, will increase the insulin concentration in the blood to counteract hyperglycemia after food intake. However, the infusion of insulin for short-term action is as frequent as three to four times a day, and patients are uncomfortable with it. This type of injection uses needles, which can cause mechanical trauma, pain, infection, and psychological discomfort in diabetics, and also cause allergic reactions due to high concentrations of insulin medication at the injection site, or hypoglycemia ( risk of hypoglycaemia may occur.
당뇨병 대응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인슐린 주입은 많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으나, 환자들은 바늘을 이용한 인슐린 주입에 의하여 매일 수 차례의 투여에 관련된 불편함과 고통을 여전히 느끼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바늘을 이용하지 않는 인슐린 주입 방법들의 개발이 요구된다. 현재까지 개발된 바늘을 이용하지 않는 인슐린 주입 방법은 인슐린을 구강으로 주입하거나 코로 흡입하여 공급하는 방식이다. 또는, 췌장 이식도 당뇨병에 대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아직 충분한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고 또한 광범위하게 사용되지 않는다. 무 바늘 인슐린 주입 방법으로 제시된 하나는 인슐린 용액은 피부를 통하여 확산하도록 액체 유동을 고속으로 피하층으로 허용하는 제트 주입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비싸고 복잡한 장치들을 요구하고, 바늘을 이용하는 통상적인 주입 방법과 원리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다.Insulin infusions, which are widely used for diabetic response, offer many advantages, but patients still feel the discomfort and pain associated with several daily administrations by needle injection. In respons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insulin infusion methods that do not use a needle. Insulin injection method that does not use a needle developed so far is to inject insulin into the oral cavity or inhaled through the nose. Alternatively, pancreas transplantation is also actively developed as a method for diabetes. However, these methods do not yet provide sufficient effect and are not widely used. One proposed method of needleless insulin injection is jet injection, which allows liquid flow to the subcutaneous layer at high speed to allow insulin solution to diffuse through the skin, but this method requires expensive and complex devices, and In principle, not much different.
따라서, 당뇨병 환자들에 대하여 인슐린 주입에 대한 편리함과 안전한 효과를 제공하는 새로운 방법들이 요구되며, 특히 바늘을 사용하지 않고 생체 내에 용액을 주입할 수 있는 무바늘 용액 주입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new methods for providing convenience and safe effects on insulin injection for diabetics, and in particular, research on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that can inject a solution into a living body without using a needle.
[선행기술문헌][Preceding technical literature]
[비특허문헌][Non-Patent Documents]
Watkins, P.J. ABC of Diabetes. 5th ed. London: Blackwell Publishing. 2003.Watkins, P.J. ABC of Diabetes. 5th ed. London: Blackwell Publishing. 2003.
Holt, T.; Kumar, S. ABC of diabetes. 6th ed. Oxford: Wiley-Blackwell. 2010.Holt, T .; Kumar, S. ABC of diabetes. 6th ed. Oxford: Wiley-Blackwell. 2010.
Owens, D.R.; Nat Rev Drug Discov., 2002, 1, 529. Owens, D. R .; Nat Rev Drug Discov., 2002, 1, 529.
Brook, C.G.; Dattani, M.T. Handbook of Clinical Pediatric Endocrinology. 2nd ed. Wiley Blackwel. 2012.Brook, C. G .; Dattani, M.T. Handbook of Clinical Pediatric Endocrinology. 2nd ed. Wiley Blackwel. 2012.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늘을 사용하지 않고 생체 내에 용액을 주입시킬 수 있는 무바늘 용액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edle-free solution injection device capable of injecting a solution into a living body without using a needl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늘을 사용하지 않고 생체 내에 용액을 주입시킬 수 있는 무바늘 용액 주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method that can inject a solution into a living body without using a needle.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바늘 용액 주입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생체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노출되어 위치하고 용액을 수용하는 용액 수용 부재; 상기 용액 수용 부재를 가열하도록 광을 방출하고, 상기 몸체 내에 상기 용액 수용 부재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가열 램프; 상기 몸체 내에 위치하고, 상기 가열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및 상기 몸체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과 상기 가열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램프에 의하여 상기 용액 수용 부재가 가열되어, 상기 용액이 상기 용액 수용 부재와 접촉된 상기 피부를 통하여 상기 생체 내로 주입된다.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ody; A solution receiving member exposed to contact the skin of the living body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ccommodating a solution; A heating lamp which emits light to heat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and is positioned in the body opposite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A power source located in the body and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lamp; And a control unit positioned in the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and the heating lamp, wherei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is heated by the heating lamp so that the solution contacts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It is injected into the living body through.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열 램프에 의하여 가열된 상기 용액 수용 부재와 상기 피부 사이에 발생하는 온도 구배에 따라 상기 용액이 상기 생체 내로 주입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ution may be injected into the living body according to a temperature gradient generated betwee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and the skin heated by the heating lamp.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인슐린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solution may comprise insulin.
상기 용액 수용 부재는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상기 용액은 상기 기공 내에 수용될 수 있다.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may have a porous structure including pores, and the solu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pores.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용액 수용 부재는 TiNi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may include TiNi.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용액 수용 부재는, 상기 가열 램프에 의하여 방출된 광이 상기 피부를 직접적으로 가열하도록, 상기 광이 투과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may have a thickness through which the light is transmitted such that the light emitted by the heat lamp directly heats the skin.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용액 수용 부재는 65% 내지 75%의 기공률 및 40 μm 내지 900 μm의 기공 크기 분포를 가지고, 130 μm 내지 170 μm 의 평균 기공 크기를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has a porosity of 65% to 75% and a pore size distribution of 40 μm to 900 μm, and may have an average pore size of 130 μm to 170 μm.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용액 수용 부재는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한 탈착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may have a detachable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body.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열 램프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lamp may include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열 램프에 의한 가열 온도는 20℃ 내지 45℃ 범위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heating temperature by the heating lamp may range from 20 ℃ to 45 ℃.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ource may include a primary battery or a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는 손발목 착용형 또는 패치형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may be worn on the ankle or patch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바늘 용액 주입 방법은, 용액을 수용하는 용액 수용 부재를 생체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용액 수용 부재를 가열 램프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 램프에 의하여 상기 용액 수용 부재가 가열되어, 상기 용액이 상기 용액 수용 부재와 접촉된 상기 피부를 통하여 상기 생체 내로 주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method comprising: placing a solution receiving member containing a solution in contact with skin of a living body; Heating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using a heating lamp; And heating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by the heating lamp so that th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living body through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바늘 용액 주입 장치는 다공성 TiNi 계 합금을 포함하는 용액 수용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다공성 TiNi 계 합금이 인슐린 용액들을 함유하는 고밀도 물질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액 수용 부재에 적외선을 조사함에 의하여, 상기 용액 수용 부재로부터 생체의 피부 내부로 인슐린의 방향성 확산을 촉진시킬 수 있다.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including the porous TiNi-based alloy, so that the porous TiNi-based alloy may function as high density materials containing insulin solutions. In addition, by irradiating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with infrared rays,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directional diffusion of insulin from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into the skin of the living body.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바늘 용액 주입 장치를 42명의 인슐린 환자들에게 임상적으로 실험한 결과, 환자들의 인슐린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상기 장치에 의한 피부 자극이나 병변들(lesions)을 발생시키지 않았으며, 또한 사용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바늘 용액 주입 장치는 생체 내에 바늘을 사용하지 않고 인슐린 또는 액상 약제를 공급하는 새로운 기술로서 전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바늘 용액 주입 장치는 용이하고 간단한 사용 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외래 치료 방식 또는 가택 치료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As a result of clinical experiments with the needleless solution infusion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42 insulin patients, it was found that the insulin control of the patients was effectively performed, and the skin irritation or lesions caused by the device were found. Was not generated, and safety in use was also confirm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needle-free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spect as a new technology for supplying insulin or liquid medicine without using a needle in a living body. In addition, th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asy and simple use method, it can be used as an outpatient treatment or home treatment.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예시적으로 기재되었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바늘 용액 주입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에 포함되는 용액 수용 부재를 도시하는 사진들이다.3 is a photograph showing a solution receiving member included in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발목 착용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and ankle wearabl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작동한 경우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change with time when the needle-free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tch-typ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착용한 환자들의 혈당을 착용 시간에 따른 혈당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blood sugar according to the blood sugar of patients wearing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착용한 환자 M의 혈당을 착용 시간에 따른 혈당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8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blood sugar according to the blood sugar of the patient M wearing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착용한 환자 E의 혈당을 착용 시간에 따른 혈당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9 is a graph showing the blood sugar changes according to the blood sugar of the patient E wearing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inventive concep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all the time. Furthermore, various element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are schematically drawn.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the distance dra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뇨병 대응을 위한 바늘을 사용하지 않는 인슐린 생체 주입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인슐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생체에 바늘을 이용하지 않고 약제 등의 용액을 주입하는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n vivo injection of insulin without the use of needles to counteract diabetes. In addi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insulin, and may inclu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jecting a solution such as a medicament without using a needle into a living body.
무 바늘 인슐린 주입 방식은 인슐린 주입 동안에 환자가 편리함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이다. 무 바늘 인슐린 주입 방식 중 하나는 피부를 통한 인슐린 용액의 확산을 원리로 하고 있다. 인슐린 용액과 같은 액체의 확산은 접촉 부위의 큰 표면 영역을 통하여 발생하고, 일반적으로 수십 제곱 센티미터의 피부의 넓이이며, 주사에 의한 상처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주입시의 주된 방해물은 각질층(stratum corneum)으로서, 상기 각질층은 6000개 이상의 원자들로 구성된 인슐린과 같은 큰 분자들에 대한 투과성이 낮다. 따라서, 이러한 각질층 내에 통로 또는 미세 기공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초음파 처리, 레이저 방사 및 전기 및 라디오 주파수 처리와 같은 다양한 물리적 방법들이 적용되어 왔다. 반면, 인슐린의 확산을 용이하게 하도록, 인슐린 분자들은 리포솜 캡슐로 포장되어 투과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Needleless insulin infusion is an area of active research, as the patient may feel convenient and comfortable during insulin infusion. One method of needleless insulin injection is based on the diffusion of insulin solution through the skin. Diffusion of a liquid, such as an insulin solution, occurs through a large surface area of the contact site and is generally the width of the skin of tens of square centimeters and may not cause wounds by injection. However, the main obstacle during injection is the stratum corneum, which has low permeability to large molecules such as insulin composed of more than 6000 atoms. Thus, various physical methods have been applied, such as sonication, laser radiation, and electrical and radio frequency treatment, to form passages or micropores within such stratum corneum. On the other hand, to facilitate the diffusion of insulin, a method has been proposed in which insulin molecules are packaged in liposome capsules to increase perme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100)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100)는 몸체(110), 용액 수용 부재(120), 가열 램프(130), 전원(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100 includes a body 110, a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a heating lamp 130, a power supply 140, and a controller 150.
몸체(110)는 용액 수용 부재(120), 가열 램프(130), 전원(140) 및 제어부(15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몸체(110)는 금속, 세라믹, 또는 폴리머로 구성될 수 있다.The body 110 may accommodate the solution accommodating member 120, the heating lamp 130, the power supply 140, and the controller 150 therein. The body 110 may be made of metal, ceramic, or polymer.
용액 수용 부재(120)는 몸체(110)의 일측에 생체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노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용액 수용 부재(120)는 몸체(110)로부터 분리가능한 탈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탈착 구조는 접착제를 이용하는 접착 방식, 몸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끼움 방식, 몸체에 형성된 결착 요소에 결착되는 결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may be exposed and positioned to contact the skin of the living body on one side of the body 110.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may have a detachable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body 110. The detachable structure may be made in various ways such as an adhesive method using an adhesive, a fitting method fit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body, a binding method binding to a binding element formed in the body, and the like.
용액 수용 부재(120)는 가열 램프(130)에서 방출한 광이 생체의 피부를 직접적으로 가열하도록 상기 광이 투과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용액 수용 부재(120)는 예를 들어 약 0.2 mm 내지 약 1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may have a thickness through which the light is transmitted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heating lamp 130 directly heats the skin of the living body.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may have a thickness of, for example, about 0.2 mm to about 1 mm.
용액 수용 부재(120)는 용액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용액 수용 부재(120) 내에 형성된 상기 기공 내에 상기 용액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용액 수용 부재(120)는, 예를 들어 약 10 μm 내지 약 900 μm, 예를 들어 약 40 μm 내지 약 500 μm의 기공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용액 수용 부재(120)의 두께 및 기공 크기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a solution, for example, may have a porous structure including pores. The solu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pores formed i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In additio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may have a pore size of, for example, about 10 μm to about 900 μm, such as about 40 μm to about 500 μm. However, the thickness and pore size of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is exemplary,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용액 수용 부재(120)는, 예를 들어 다공성 TiNi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용액 수용 부재(120)를 구성하는 물질은 예시적이며, 다공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도 본 발명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용액 수용 부재(120)는 인슐린 용액을 재충전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용액 수용 부재(120)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may include, for example, porous TiNi. However,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olution accommodating member 120 is exemplary, and a case including all kinds of materials capable of forming a porous structure is also included in the inventive concept.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may be used repeatedly by refilling the insulin solutio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가열 램프(130)는, 용액 수용 부재(120)를 가열하도록 광을 방출하고, 몸체(110) 내에 용액 수용 부재(120)에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가열 램프(130)는 용액 수용 부재(120)를 가열하는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880 nm 내지 약 1200 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가열 램프(130)는 다양한 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램프(130)는, 예를 들어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방사를 위한 발광다이오드들은 작은 크기 및 높은 광방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의 전력에 요구되는 전류의 수준을 선택함으로써 적외선 방출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제어는 하기의 제어부(15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ing lamp 130 may emit light to heat the solution accommodating member 120, and may be positioned in the body 110 to face the solution accommodating member 120. The heat lamp 130 may emit light for heating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and may emit infrared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a range of about 880 nm to about 1200 nm, for example. The heating lamp 130 may include various light source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LED). The heating lamp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diodes for such infrared radiation preferably provide small size and high light emission. Infrared emission can be easily controlled by selecting the level of current required for power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Such current control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50 described below.
가열 램프(130)에 의하여 용액 수용 부재(120)가 가열되어, 용액 수용 부재(120)와 접촉된 상기 피부를 통하여 상기 용액이 상기 생체 내로 주입될 수 있다. 가열 램프(130)에 의한 가열 온도는 상기 생체의 피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다양한 범위의 온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45℃ 범위의 온도일 수 있다.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may be heated by the heating lamp 130 to inject the solution into the living body through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The heating temperature by the heating lamp 130 may be a range of temperatures in a range that does not damage the skin of the living body, for example, may be a temperature of about 20 ℃ to about 45 ℃ range.
상기 용액은 생체 내에 주입하기 위한 다양한 액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포도당 등과 같은 생체 등가액체, 항생제 등과 같은 약제, 인슐린 등과 같은 호르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용액으로서 인슐린을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olution may include various liquids for infusion into a living body, and may be, for example, bioequivalent liquids such as saline or glucose, drugs such as antibiotics, hormones such as insulin,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in the case where insulin is used as the solution,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전원(140)은 몸체(110) 내에 위치할 수 있고, 가열 램프(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14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외부와 분리된 전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원(140)은 예를 들어 건전지와 같이 교체되는 1차 전지를 포함하거나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140)은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일 수 있다.The power source 140 may be located in the body 11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ing lamp 130 to supply power. The power source 140 may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or may have a battery structure separated from the outside. The power source 140 may include a primary battery that is replaced, for example, a battery, or may include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The power source 140 may be, for example, a lithium ion battery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제어부(150)는 몸체(110) 내에 위치할 수 있고, 가열 램프(130) 및 전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가열 램프(130)에 의한 가열 온도를 소정 범위에서,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45℃ 범위로 제어하도록 가열 램프(130)에 공급되는 전원(140)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몸체(1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요소(152) 및 전원(140)으로부터 가열 램프(130)로의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 요소(1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어부(150)가 전원(14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150)는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100) 내에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집적회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be located in the body 11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ntrol the heating lamp 130 and the power source 140.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140 supplied to the heating lamp 130 to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by the heating lamp 130 in a predetermined rang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about 20 ° C. to about 45 ° C. Can be. The controller 15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 152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110 and a power control element 154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140 to the heating lamp 130. Can be. In FIG. 1, the controller 150 is illustrated as being located at one side of the power supply 140, but this is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troller 150 may be used in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100. May be located at the location. The controller 15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바늘 용액 주입방법(S1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method S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무 바늘 용액 주입방법(S100)은, 용액을 수용하는 용액 수용 부재를 생체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S110); 상기 용액 수용 부재를 가열 램프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단계(S120); 및 상기 가열 램프에 의하여 상기 용액 수용 부재가 가열되어, 상기 용액이 상기 용액 수용 부재와 접촉된 상기 피부를 통하여 상기 생체 내로 주입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 무 바늘 용액 주입방법(S100)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1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needle-free solution injection method (S100), the step of placing a solution receiving member containing a solution to contact the skin of the living body (S110); Heating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using a heating lamp (S120); And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is heated by the heating lamp, and th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living body through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S130).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method S100 may be performed using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or may be performed using another device.
도 1의 용액 수용 부재(120)는 다양한 다공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용액 수용 부재(120)에 적용될 수 있는 일예로서, 상기 다공성 TiNi 계 물질을 제안한다.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of FIG. 1 may include various porous materials. As one example that can be applied to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the porous TiNi-based material is proposed.
상기 다공성 TiNi 계 물질은 연소 모드에서의 분말 야금 기술 및 자기 전달 고온 합성(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SHS)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 전달 고온 합성 기술의 발달은 셀 세포 조직 공학 및 임상 적용을 위하여 복잡한 구조와 높은 투과성을 갖는 다공성의 새로운 바이오 물질들을 제공할 수 있다. 자기 전달 고온 합성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면, 액상을 인입하여 물질 전달의 동역학을 촉진시키고, 이에 따라 고체를 용해시킨다. 채워진 충진물의 일측으로부터 Ni과 Ti의 발열 반응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열 팽창이 진행되고, 자기 유지(self-sustaining) 방식으로 상기 충진물을 통하여 열이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공성 TiNi 계 합금이 하기의 분말들을 사용한 자기 전달 고온 합성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말은 러시아 상품명 또는 러시아 분류로서 Ti-PTM 또는 PTOM 및 Ni-PNK-10T2 또는 PNK-1L5을 사용할 수 있다. 아르곤 가스 분위기 하에서 400℃ 내지 500℃ 범위의 초기 자기 전달 고온 합성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때에, 연소 파동 전달(combustion wave propagation)의 거동, 상의 형성 및 기공구조에의 시작 분말들, 발화 온도 및 예열 스케쥴과 같은 공정 변수들의 효과가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자기 전달 고온 합성의 성공 여부는 충진물을 수용하는 수용체(canister)의 형상에 크게 의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55 mm의 내부 직경을 가지고 일단부가 폐쇄된 석영 실린더 슬리브(sleeve)를 사용하였다. 상술한 요소들에 의존하여, 형성된 다공성 몸체는 최소 기공 크기, 최대 기공 크기, 기공 크기 분포 및 기공 벽들, 상, 및 화학 구조의 기공 공간 표면 토폴로지의 표면 조건을 각각 다르게 가질 수 있다. The porous TiNi-based material may be formed using powder metallurgy technology and 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SHS) technology in combustion mode. The development of this self-transfer high temperature synthesis technology can provide porous new biomaterials with complex structure and high permeability for cell cell tissue engineering and clinical applications. Self-transferr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techniques are described, introducing liquid phases to facilitate the kinetics of mass transfer and thus dissolving solids. An exothermic reaction of Ni and Ti occurs from one side of the filled filler, and thus thermal expansion proceeds and heat is transferred through the filler in a self-sustaining mann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TiNi-based alloy can be produced by a self-transferr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method using the following powders. The powder may use Ti-PTM or PTOM and Ni-PNK-10T2 or PNK-1L5 as a Russian trade name or Russian classification. It may be carried out at an initial self-transfer high temperature synthesis temperature in the range of 400 ° C. to 500 ° C. under argon gas atmosphere. At this time, the effect of process variables such as the behavior of combustion wave propagation, phase formation and starting powders on the pore structure, firing temperature and preheating schedule can be considered. The success of such self-transfer high temperature synthesis may depend largely on the shape of the canister that accepts the fill. In the present invention, a quartz cylinder sleev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55 mm and closed at one end was used. Depending on the factors described above, the formed porous body may have different surface conditions of minimum pore size, maximum pore size, pore size distribution and pore wall surface topology of pore walls, phases, and chemical structure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100)에 포함되는 용액 수용 부재(120)를 도시하는 사진들이다.3 is a photograph showing a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included in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10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용액 수용 부재의 일예로서 TiNi 계 물질을 나타낸다. 도 3에서 (a)는 상기 용액 수용 부재의 외형 사진이고, (b)는 상기 용액 수용 부재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이다.Referring to FIG. 3, a TiNi-based material is shown as an example of a solution accommodating member. In FIG. 3, (a) is an external photograph of the solution accommodating member, and (b) is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the solution accommodating member.
형성된 다공성의 TiNi계 물질의 거시적인 구조는, 공정(eutectic) 반응을 통하여 얻은 높은 다공성 물질들에 대하여 모폴로지가 일반적인, 3D 기공 클러스터를 나타낸다. 상기 TiNi계 물질은 큰 개방형 기공들 및 연결된 기공들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높은 비표면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형성한 TiNi계 물질은 기공률은, 예를 들어 약 65% 내지 약 75%이고, 기공 크기 분포는, 예를 들어 약 40 μm 내지 약 900 μm를 가지는 무질서한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평균 기공 크기는, 예를 들어 약 130 μm 내지 약 170 μm, 예를 들어 약 150 μm이었다. 이러한 다공성 TiNi 계 물질들은 인슐린 용액과 같은 액체 매질을 다공성 공간에 유지시킬 수 있다.The macroscopic structure of the formed porous TiNi-based material represents a 3D pore cluster, the morphology of which is common for highly porous materials obtained through eutectic reactions. It can be seen that the TiNi-based material includes large open pores and connected pores, thus having a high specific surface. The formed TiNi-based material has a porosity of, for example, about 65% to about 75%, and a pore size distribution, for example, having a disordered porous structure having about 40 μm to about 900 μm, and the average pore size is, for example, For example about 130 μm to about 170 μm, for example about 150 μm. Such porous TiNi-based materials can maintain a liquid medium such as insulin solution in the porous space.
이러한 TiNi 계 물질들과 다양한 생체 유체들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로부터, 이러한 TiNi 계 물질들이 효과적이고 용량성의 의학 물질로서 적용될 수 있다. From the study of the interaction of these TiNi-based materials with various biological fluids, these TiNi-based materials can be applied as effective and capacitive medical materials.
이러한 TiNi 계 합금들의 전도성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들, 높은 수준의 열이동과 낮은 열전도에 의한 다공성 구조 형성 가능성은 생체 내로 바늘을 사용하지 않고 인슐린을 공급하기 위하여 인슐린의 함유를 효과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함유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60% 내지 약 70 %의 기공률을 가지면, 전체 용량의 절반 이상의 부피를 인슐린 용액으로 채울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의 발달은 용액의 확산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방사의 광원에 의존한다.The conductiv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se TiNi-based alloys, the possibility of forming porous structures due to high levels of heat transfer and low thermal conductivity, have been found to contain materials that effectively enable the inclusion of insulin to supply insulin without the use of needles in vivo. Can provide. For example, having a porosity of about 60% to about 70%, more than half the volume of the full dose can be filled with insulin solution. The development of these devices relies on a light source of infrared radiation to control the diffusion of the solution.
다공성 TiNi 기저로부터의 확산 과정은, 점성, 비중, 밀도, TiNi 투과력, 기공 크기, 기공 길이, 외부 환경과 접촉하는 표면적, 및 다공성 몸체의 온도 등과 같은, 많은 요소들에 의존한다. TiNi 다공성 구조의 유체 부피의 변화율과 용액 확산의 기초 파라미터들 사이의 의존성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The diffusion process from the porous TiNi base depends on many factors, such as viscosity, specific gravity, density, TiNi permeability, pore size, pore length,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emperature of the porous body. The dependence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the fluid volume of the TiNi porous structure and the basic parameters of solution diffusion is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CTKR2017002205-appb-I000001
Figure PCTKR2017002205-appb-I0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ΔQ는 다공성 TiNi계 물질로부터의 액체 확산 속도; k는 확산 계수; ΔT는 다공성 물질의 온도 구배; μ는 액체 점성; ρ는 액체 밀도; V0는 다공성 물질 내의 액체의 초기 부피; S는 샘플의 표면 기공과 세포 조직들 사이의 접촉 면적; Δh는 다공성 물질 내의 액체의 높이; L은 기공들의 평균 길이; P는 기공률; 및 g는 중력 가속도이다. 상기 수학식1에서, 온도 구배를 나타내는 ΔT 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변화될 수 있고, 또한 전력량과 적외선의 파장에 의존하여 변화되고, 이러한 변수들에 의하여 용액의 확산율을 조정할 수 있다.In Equation 1, ΔQ is the liquid diffusion rate from the porous TiNi-based material; k is the diffusion coefficient; ΔT is the temperature gradient of the porous material; μ is the liquid viscosity; ρ is the liquid density; V 0 is the initial volume of liquid in the porous material; S i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urface pores of the sample and the cell tissues; Δh is the height of the liquid in the porous material; L is the average length of pores; P is porosity; And g is gravity acceleration. In Equation 1, ΔT representing the temperature gradient can be changed using infrared rays, and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power and the wavelength of the infrared rays, and the diffusion rate of the solution can be adjusted by these variables.
인슐린과 같은 액체의 생체 내의 주입은 용액 수용 부재에 구성된 기공에 의한 모세관 작용과 적외선 방사의 영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고, 이에 따라 기공 내에 포함된 액체가 생체의 세포 조직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즉, 열확산(Thermophoresis)은 환자의 피하층(subcutaneous layer) 내로 인슐린 용액의 확산을 자극하는 주요한 물리적 요소가 된다. 즉, 용액 수용 부재가 가열되고, 접촉하는 피부가 가열됨에 따라 상기 피부가 팽윤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세포 조직 내로 인슐린 용액의 확산을 촉진될 수 있다.In vivo injection of a liquid, such as insulin, is analyzed to occur due to the effects of capillary action and infrared radiation by pores configured i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whereby the liquid contained in the pores can be injected into the cellular tissue of the living body. In other words, thermal diffusion is a major physical factor that stimulates the diffusion of insulin solution into the subcutaneous layer of a patient. That is, the skin may swell as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is heated and the skin to be contacted is heated, thereby facilitating the diffusion of the insulin solution into the cellular tissue.
생체 내로의 인슐린의 효과적인 주입, 즉 확산을 위한 주요한 세가지 요소는 인슐린과 피부 사이의 접촉 영역의 온도 구배, 접촉하는 피부의 가열, 적외선에 의한 피부 내부층에의 직접적인 효과이다. 상기 세가지 요소들은 인슐린의 피부를 통한 확산을 유도할 수 있고, 우수한 당뇨병 대응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e three major factors for effective infusion, ie diffusion, of insulin into the body are the temperature gradient of the contact area between insulin and the skin, the heating of the skin in contact, and the direct effect on the skin's inner layer by infrared radiation. These three factors can induce the diffusion of insulin through the skin and can exhibit an excellent antidiabetic effect.
첫번째 요소인 인슐린과 피부 사이의 접촉 영역의 온도 구배에 대하여 설명하면, 가열 램프에 의한 열(또는 적외선) 제공에 따라 용액 수용 부재 내에 기공에 수용된 인슐린 용액에서 온도 구배가 발생한다. 이러한 온도 구배는 기공 벽들 및 교차지점에서 제공된 열이 방사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생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용액 수용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열이동을 혈류에 의하여 생체가 스스로 제어함에 따라, 상기 용액 수용 부재의 표면에 의한 적외선 방사의 부분적인 흡수에 따른 가열은 필요한 온도 구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용액 수용 부재가 고온 영역이 되고 상기 생체의 피부가 저온 영역이 되므로 온도 구배가 발생하고, 따라서 고온 영역인 상기 용액 수용 부재로부터 저온 영역인 상기 생체의 피부로 인슐린이 이동되는 구동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구배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생체의 피부 내부로 인슐린을 이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인슐린의 이동성은 상기 용액 수용 부재 및 상기 생체의 피부 사이의 접촉 표면 영역에 분포된 초과 압력의 존재에 의하여 특정될 수 있다. 중요하게는, 인슐린을 포함하는 용액 수용 부재의 "약간 증가된 온도"는 접촉한 생체의 피부 내의 세포조직으로 인슐린을 확산하고 전달하는 활성화에 충분할 수 있다. 무 바늘 용액 주입장치를 동작하는 도중의 열 동력학의 시간 의존성은 "약간 증가된 온도"의 의미를 명확하게 나타내며, 이는 생체의 피부, 예를 들어 손목의 온도와 상기 무 바늘 용액 주입장치의 온도 차이를 고려하는 용어이다.Referring to the first element, the temperature gradient of the contact area between insulin and the skin, a temperature gradient occurs in the insulin solution contained in the pores i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as heat (or infrared) is provided by the heating lamp. This temperature gradient can be activated by radiating heat provided at the pore walls and intersections. As the living body self-controls heat movement from the surface of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living body by the blood flow, heating due to partial absorption of infrared radiation by the surface of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may produce the required temperature gradient. have. That is, a temperature gradient occurs because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becomes a high temperature region and the skin of the living body becomes a low temperature region, and thus a driving force for moving insulin from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which is a high temperature region, to the skin of the living body, which is a low temperature region, is generated. Can be. The driving force of this temperature gradient causes insulin to move into the skin of the living body, and the mobility of this insulin can be specified by the presence of an excess pressure distributed in the contact surface area betwee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and the skin of the living body. Can be. Importantly, the "slightly increased temperature" of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containing insulin may be sufficient for activation to diffuse and deliver insulin to tissues in the skin of the living body in contact. The time dependence of thermodynamics during operation of the needleless fluid injector clearly indicates the meaning of "slightly increased temperature,"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skin of the living body, eg, the wrist and the temperature of the needleless fluid injector. Is a term to consider.
두번째 요소인 접촉하는 생체의 피부의 가열에 대하여 설명하면, 피부에 접촉 또는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용액 수용 부재가 가열 램프의 적외선 등에 의하여 가열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액 수용 부재에 채워진 인슐린이 상기 생체의 피부에 접촉하므로 상기 피부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피부를 팽윤시킬 수 있고, 또한 내부의 세포 조직의 투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용액 수용 부재로부터 상기 생체의 피부 내부의 세포 조직으로 인슐린이 확산되므로, 상기 용액 수용 부재를 가로질러 농도 구배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어서 피부 표면에 대한 젖음 현상과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용액 수용 부재의 내부 기공들로부터 인슐린이 계속하여 보충될 수 있다. 상기 용액 수용 부재로부터 인슐린이 제거되는 비율은 피부의 표면 및 내부 계면에서의 액체 농도와 피부의 흡수력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 고려된 바와 같이, 인슐린을 가열하여 피부를 국부 가열함에 의하여 인슐린 흡수를 더 촉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second element, the heating of the skin of the living body in contact, it can be made as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is placed in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skin is heated by infrared rays of the heating lamp. In addition, since the insulin filled i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contacts the skin of the living body, the temperature of the skin can be increased, thereby swelling the skin, and can also increase the permeability of internal cellular tissues. Since insulin diffuses from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to the cell tissue inside the skin of the living body, a concentration gradient is generated across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and then the wetting of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and the capillary phenomenon of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Insulin may continue to be replenished from internal pores. The rate at which insulin is removed from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may be determined by the liquid concentration at the surface and the inner interface of the skin and the absorbency of the skin. In addition, as contemplated in some studies, insulin absorption may be further promoted by heating insulin to locally heat the skin.
세번째 요소인 적외선에 의한 피부 내부층에의 직접적인 효과를 설명하면, 예를 들어 약 920 nm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의 경우 피부 내의 약 3 mm 내지 약 4 mm의 깊이로 세포 조직 내로 투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880 nm 내지 약 1200 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은 강한 열 효과를 가지며, 피부, 점막(mucous membranes), 또는 각막(cornea) 내에서 및 중추 신경계의 시상하부(hypothalamus) 및 척수(spinal cord) 내에서 열 수용체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광은 생체 세포 조직의 약 2 cm 내지 약 4 cm의 깊이까지도 침투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의 투과 깊이는 파장, 피부의 수분, 혈액 공급, 색소 정도, 및 개인적인 요소들에 의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활성화된 열수용체들에서의 신호들은 시상하부 또는 척수에 위치한 체온조절 중추에 입력되고, 결과적으로 체온조절반응들은 피부의 혈관확장, 혈액 부피의 국부적인 증가 및 땀의 증가를 나타낼 수 있다. 신경반사반응들은 내부 기관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피부 부분들의 반사 영역 상에 적외선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부적이고 조직적인 순환의 체액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브래디키닌(bradykinin) 및 칼리딘(kallidin)과 같은 생활성화 물질의 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브래디키닌은 강한 혈관 확장 효과를 가지고, 국부적으로 및 조직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적절한 양의 적외선은 재생 프로세스를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신진대사 증진, 세포 증식, 및 효소작용 강화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방사는 다공성 TiNi계 물질인 용액 수용 부재로부터 피부 내의 세포 조직으로의 액체 이동을 급격히 가속할 수 있다. 젖은 피부 표면 상으로의 열 유동은 경계층에서 온도 구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용액 수용 부재의 내부 기공을 통하여 적외선 방사가 통과하여 피부에 도달하게 되면, 혈관 확장이 발생하게 되고, 인접한 세포 조직 내로도 인슐린 확산을 가속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the direct effect on the inner skin layer by the third element, infrared light, for example, infrared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about 920 nm can be transmitted into the cell tissue to a depth of about 3 mm to about 4 mm in the skin. For example, infrared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the range of about 880 nm to about 1200 nm has a strong thermal effect and is located in the skin, mucous membranes, or cornea and in the hypothalamus and spinal cord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spinal cord) can release the heat receptor. The light can penetrate up to about 2 cm to about 4 cm deep of living cell tissue. The transmission depth of this infrared light may depend on the wavelength, moisture of the skin, blood supply, pigmentation level, and personal factors. As such, signals from activated thermoreceptors are input to a thermoregulatory center located in the hypothalamus or spinal cord, and consequently thermoregulation responses may indicate an enlargement of the blood vessels of the skin, a local increase in blood volume and an increase in sweat. . Neural reflexes can occur as a result of infrared light on the reflective areas of skin parts directly related to internal organs. For example, it may indicate the form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such as bradykinin and kallidin,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humoral regulation of local and systemic circulation. The bradykinin has a strong vasodilation effect and can be observed locally and systemically. Appropriate amounts of infrared light can increase the regeneration process and also provide the effects of metabolism enhancement, cell proliferation, and enzymatic potentiation. Such infrared radiation can rapidly accelerate the liquid migration from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which is a porous TiNi-based material, to cellular tissues in the skin. Heat flow onto the wet skin surface can form a temperature gradient in the boundary layer. Subsequently, when infrared radiation passes through the internal pores of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to reach the skin, vasodilation occurs, and insulin diffusion may be accelerated into adjacent cell tissue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발목 착용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100)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and ankle wearabl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a)는 손발목 착용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의 외관을 나타내고, (b)는 손발목 착용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의 착용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는 인슐린의 용이한 주입을 위하여 가장 얇은 피부 영역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팔꿈치 또는 손목, 발목 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a) shows the appearance of the ankle wearabl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b) shows an example of wearing the ankle wearabl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Needle-free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thinnest skin area for easy injection of insulin, for example, elbow or wrist, ankle and the like.
상기 손발목 착용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100)의 크기는 45mm x 30mm x 16mm이다. 내부에 설치된 전원(140, 도 1 참조)은 840 mA 및 5V의 리튬이차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손발목 착용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100)의 크기는 착용하는 환자의 평균 손목 크기와 리튬 이차전지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4의 손발목 착용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100)의 총 무게는 51 g이다.The size of the ankle wearing needle-free solution injection device 100 is 45mm x 30mm x 16mm. The power source 140 installed therein (see FIG. 1) may us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840 mA and 5V. The size of the ankle wearing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100 may be determined by the average wrist size of the patient to be worn and the siz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total weight of the ankle worn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100 of Figure 4 is 51 g.
손발목 착용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100)의 일측에는, 전원 단추(160), LED 표시등(170), 및 충전을 위한 미니 USB 포트(180) 등이 설치된다. 또한, 손발목 착용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100)를 손목 또는 발목에 부착할 수 있는 가죽 등의 재질의 스트랩(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On one side of the ankle wearabl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100, the power button 160, LED indicator 170, and a mini USB port 180 for charging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wrist ankle wearable needle injection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trap 190 of a material such as leather that can be attached to the wrist or ankle.
용액 수용 부재(120)는 착용하는 환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노출되어 있다. 용액 수용 부재(120)는 상술한 다공성 TiNi계 물질을 이용한다. 상기 다공성 TiNi계 물질은 전기 방전 와이어 절단으로 형성할 수 있고, 본 예에서는 45mm x 30mm x 0.7mm의 크기를 가진다. 용액 수용 부재(120)는 인슐린 용액을 함유할 수 있다.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is exposed to contact the skin of the patient to be wor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uses the above-described porous TiNi-based material. The porous TiNi-based material may be formed by cutting electric discharge wire, and in this example, has a size of 45 mm x 30 mm x 0.7 mm.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120 may contain an insulin solution.
가열 램프(130)는 920 nm 의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을 방출하고, 120 mW의 전력 소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열 램프(130)는, 예를 들어 "Kingbrig" 형 L-53SF6C LED들을 사용할 수 있고, 이를 6 개를 설치할 수 있다.The heating lamp 130 emits infrared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920 nm and may have a power consumption of 120 mW. The heating lamp 130 may use, for example, "Kingbrig" type L-53SF6C LEDs, and install six of them.
이하에서는, 손발목 착용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hand ankle wearabl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손발목 착용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는 착용하는 환자가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의 동작 원리는, 전원(140, 도 1 참조)의 전기 에너지를 가열 램프(130, 도 1 참조)에 제공하여 용액 수용 부재를 가열하는 열 유동에 의한다. 먼저, 전원으로서 상기 리튬이차전지를 완전히 충전한다. 인슐린이 완전히 충전된 용액 수용 부재를 설치한다. 상기 용액 수용 부재는 하우진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손발목 착용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손목이나 발목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스트랩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어서, 전원 단추(160)를 켜서 손발목 착용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작동시킨다.The ankle wearabl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has the advantage that the patient can simply use it.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is by the heat flow which heats the solution accommodating member by providing electrical energy of the power supply 140 (see FIG. 1) to the heating lamp 130 (see FIG. 1). First,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fully charged as a power source. Install a solution receiving member fully filled with insuli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may have a housing groove. The ankle wearabl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is then placed on the wrist or ankle and secured using the strap. Then, the power button 160 is turned on to operate the ankle wearable needleless injection solu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작동한 경우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change with time when the needle-free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작동 시작에서 약 20℃로부터 증가되며 약 4분 내지 약 5분 후에 약 45℃에 도달하여 유지된다. 약 45℃에 도달하게 되면, 착용하는 환자의 체내로 인슐린 주입이 시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it increases from about 20 ° C at the start of operation and reaches and maintains about 45 ° C after about 4 minutes to about 5 minutes. Upon reaching about 45 ° C., insulin infusion may begin into the body of the patient wearing it.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tch-typ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패치형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는 상술한 무 바늘 용액 주입장치(100)를 덮는 접착 부재(195)를 더 포함한다. 접착 부재(195)는 생체의 피부에 접착되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접착 부재(195)가 무 바늘 용액 주입장치(100)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 바늘 용액 주입장치(100)를 고정하는 수준으로 접착 부재(195)가 제공되는 다양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patch-typ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n adhesive member 195 covering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100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member 195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adhered to the skin of the living body. In FIG. 6, the adhesive member 195 is illustrated to cover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or 100 as a whole. However, this is illustrative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include various ways in which the adhesive member 195 is provided at a fixed level.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의 효율을 검증하기 위하여, 임상적으로 적용한 실험예를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in order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inically applied experimental example will be described.
상기 실험예에서는 42명의 당뇨병 환자들에게 적용하였다. 상기 실험예는 시베리안 스테이트 의과 대학의 윤리 의원회의 승인을 받은 헬싱키 선언을 준수하여 수행되었고, 수행 전에 모든 환자들에게 동의를 받았다. 다양한 초기 고혈당 수준을 가지는 환자들이 참여하였다.The experimental example was applied to 42 diabetic patient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compliance with the Helsinki Declaration, approved by the Council of Ethics of the Siberian State Medical University, and agreed to all patients prior to performance. Patients with various early hyperglycemic levels participated.
실험 참여를 위한 기준은 (1) 18세 내지 80세의 연령, (2) 제1형 당뇨병 또는 제2형 당뇨병, (3) 130 mg/dl 내지 190 mg/dl 범위의 LDL-콜레스테롤 수치, (4) 25 kg/m2 내지 30 kg/m2 범위의 체질량 지수, (5) 150 mg/dl 내지 400 mg/dl 범위의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 수치, 및 (6) 125 mg/dl 이하의 공복혈당(Fasting plasma glucose) 수치이었다.Criteria for participation in the experiment were (1) ages 18 to 80 years, (2) type 1 diabetes or type 2 diabetes, (3) LDL-cholesterol levels in the range of 130 mg / dl to 190 mg / dl, ( 4) body mass index in the range of 25 kg / m 2 to 30 kg / m 2 , (5) Triglycerides in the range 150 mg / dl to 400 mg / dl, and (6) fasting up to 125 mg / dl Fasting plasma glucose levels.
실험 배제를 위한 기준은, (1) 암환자, (2) 지방 또는 당 신진대사에 간섭할 수 있는 약제들을 불규칙적 또는 비안정적으로 복용하는 경우, (3) 만성 위장질환자 및 치료를 위한 약제를 복용하는 경우, (4) 갑상샘, 간, 신장, 또는 근육 환자, (5) 인슐린에 대한 알러지 또는 거부 반응을 갖는 경우, 및 (6) 본 실험에 대해 불규칙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의학적 수술적 조건을 갖는 경우이다.Criteria for eliminating experiments include: (1) cancer patients, (2) taking irregular or unstable drugs that may interfere with fat or sugar metabolism, and (3) taking drugs for chronic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reatment. (4) patients with thyroid, liver, kidney, or muscle, (5) allergic or rejective responses to insulin, and (6) medical surgical conditions that may have irregular effects on this experiment. If it is.
각각의 실험대상환자들의 개인 데이터, 이력, 및 약제 병력을 시작 시점에서 문진하였다. 환자들은 실험 전에 일반적인 음식 섭취와 작업 활동은 계속하고, 환자들은 이전의 혈당감소 치료, 예를 들어 인슐린 또는 약제들을 투여하는 것 등을 중단할 것을 요청하였다. 인체 측정학 파라미터들, 혈류역학 파라미터들 및 생화학 파라미터들을 시작 시점에서 수집하었다. 기립성(orthostatic) 및 크리노스테트(clinostatic) 심장 수축(systolic) 및 심장 확장(diastolic) 혈압을 측정하여 혈류역학 파라미터들을 수집하였다. 또한, 기립성 및 크리노스테트 손목 혈압 및 심장 주파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환자들의 혈당은 393 및 436의 테스트 스트립으로 아큐첵 액티브 글루코스미터(Accu-Chek Active glucose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Personal data, history, and medical history of each subject were questioned at the start. Patients were asked to continue their usual food intake and work activities prior to the experiment, and to stop previous blood glucose reduction treatments, such as administering insulin or drugs. Anthropometric parameters, hemodynamic parameters and biochemical parameters were collected at the start. Hemodynamic parameters were collected by measuring orthostatic and clinostatic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In addition, orthostatic and cryostet wrist blood pressure and heart frequency were measured. The blood glucose of these patients was measured using an Accu-Chek Active glucose meter with 393 and 436 test strips.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환자들의 손목에 부착한 후에, 초기 시점(0분 후로 지칭함), 30분 후, 60분 후에 혈당을 각각 측정하였다. 참고로,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에는 단기 작용 인슐린(2 가지의 인슐린 Actrapid® HM 및 Rinosulin® NPH)의 10 유니트들이 장치의 표면의 용액 수용 부재에 투입되어 균일하게 분포시켰다. 측정한 혈당 데이터는 데이터는 윈도우용 Statistical 5.0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After attaching th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to the wrists of the patients, blood glucose was measured after the initial time point (referred to as 0 minutes), after 30 minutes, and after 60 minutes. For reference, in th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10 units of short acting insulin (two insulin Actrapid® HM and Rinosulin® NPH) were injected into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on the surface of the device and uniformly distributed. The measured blood glucose data was interpreted using Statistical 5.0 for Windows.
표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착용한 환자들의 혈당을 착용 시간에 따른 혈당 변화를 나타내는 표이다. 기재된 수치의 단위는 mmol/L이다.Table 1 is a table showing the blood sugar changes according to the blood glucose of the patients wearing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of numerical values stated is mmol / L.
환자번호 Patient number 0분0 min 30분30 minutes 60분60 minutes 환자번호 Patient number 0분0 min 30분30 minutes 60분60 minutes
1One 17.317.3 12.812.8 9.99.9 2222 14.714.7 10.910.9 7.77.7
22 19.619.6 11.711.7 9.29.2 2323 15.615.6 11.011.0 7.47.4
33 16.716.7 12.612.6 9.19.1 2424 18.218.2 13.213.2 8.58.5
44 18.618.6 11.211.2 8.88.8 2525 17.917.9 12.612.6 7.67.6
55 16.116.1 10.610.6 7.97.9 2626 14.714.7 10.910.9 7.77.7
66 16.316.3 11.011.0 8.78.7 2727 17.517.5 12.512.5 8.48.4
77 17.417.4 10.810.8 8.68.6 2828 14.814.8 8.48.4 6.66.6
88 15.215.2 9.59.5 7.27.2 2929 18.118.1 13.213.2 8.98.9
99 16.216.2 11.911.9 8.08.0 3030 16.016.0 11.111.1 7.37.3
1010 19.419.4 13.913.9 9.59.5 3131 17.717.7 12.512.5 7.87.8
1111 15.215.2 10.510.5 6.96.9 3232 15.915.9 9.49.4 6.56.5
1212 18.118.1 12.312.3 7.67.6 3333 18.418.4 12.912.9 8.78.7
1313 16.416.4 11.611.6 7.47.4 3434 20.820.8 14.714.7 9.99.9
1414 15.515.5 10.210.2 6.36.3 3535 18.318.3 12.212.2 7.37.3
1515 17.717.7 12.012.0 8.88.8 3636 14.914.9 9.89.8 6.86.8
1616 19.819.8 14.914.9 10.410.4 3737 19.119.1 14.114.1 10.210.2
1717 14.714.7 8.68.6 6.76.7 3838 17.517.5 12.012.0 7.47.4
1818 17.517.5 13.113.1 8.48.4 3939 15.715.7 11.511.5 7.17.1
1919 14.314.3 10.710.7 7.97.9 4040 18.318.3 13.413.4 8.48.4
2020 18.018.0 14.614.6 9.59.5 4141 15.815.8 10.210.2 6.56.5
2121 16.416.4 12.812.8 8.68.6 4242 17.217.2 12.812.8 7.97.9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착용한 환자들의 혈당을 착용 시간에 따른 혈당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표 1의 결과를 통계 처리하여 작성한 그래프이다.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blood sugar according to the blood sugar of patients wearing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created by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FIG.
표 1 및 도 7을 참조하면, 평균 혈당은 0분 후 약 17.11 mmol/L이고, 30분 후 약 11.92 mmol/L이고, 60분 후 약 8.16 mmol/L이었다. 착용 후 30분 중에 혈당이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감소되었고, 이후 혈당의 감소 정도가 완만하게 변하면서 계속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약 120분 후에는 혈당의 안정 상태가 도달됨을 확인할 수 있다. 혈당의 평균 감소는 약 56%이고, 모든 환자들에게 부작용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혈당 감소의 중요한 효과는 착용 후 30분 이후 내지 120분 이전의 범위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된다.Referring to Table 1 and FIG. 7, the average blood glucose was about 17.11 mmol / L after 0 minutes, about 11.92 mmol / L after 30 minutes, and about 8.16 mmol / L after 60 minutes. During 30 minutes after wearing, blood glucose was relatively sharply decreased, and thereafter, the decrease in blood glucose gradually changed, indicating a tendency to continue to decrease. After about 120 minutes, it can be confirmed that a stable state of blood sugar is reached. The average decrease in blood glucose was about 56%, and no side effects were found in all patients. Thus, the significant effect of blood glucose reduction is analyzed to occur in the range from 30 minutes to 120 minutes after wearing.
임상 케이스 #1Clinical case # 1
환자 M: 연령 70세; 케이스 번호 #A1016; 제2형 당뇨병; 인슐린을 필요로 함; 심각한 대상부전(decompensation)을 나타냄; 및 당뇨병 수족 증후군으로 좌측 발의 넷째 발가락에서 영양장애성궤양(trophic ulcer)이 나타남; 및 기본 치료로서 Siofor 850- b.i.d., NovoMix 20U-16U를 수행하였다. 환자 E에 대하여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적용하였다. Patient M: age 70 years old; Case number # A1016; Type 2 diabetes; Require insulin; Indicates severe decompensation; And diabetic limb syndrome with a trophic ulcer in the fourth toe of the left foot; And Siofor 850-b.i.d., NovoMix 20U-16U as baseline treatment. A needleless injector was applied to patient 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착용한 환자 M의 혈당을 착용 시간에 따른 혈당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8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blood sugar according to the blood sugar of the patient M wearing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환자 M의 혈당은 0분 후 약 17.3 mmol/L, 30분 후 약 12.8 mmol/L, 및 60분 후 약 9.9 mmol/L로 나타났다. 혈당이 정상화된 후에, 일반적이고 국부적인 치료를 계속 진행하였고, 발병된 영양장애성 궤양이 치료되었으며, 퇴원 시 환자 M의 혈당 수준은 약 5.3 mmol/L로 나타나 정상 수준에 도달하였다.Referring to FIG. 8, the blood glucose of patient M was about 17.3 mmol / L after 0 minutes, about 12.8 mmol / L after 30 minutes, and about 9.9 mmol / L after 60 minutes. After blood glucose normalized, general and local treatment continued, and the onset dystrophy ulcer was treated, and upon discharge, patient M's blood glucose level was about 5.3 mmol / L, reaching normal levels.
임상 케이스 #2Clinical case # 2
환자 E: 연령 53세; 케이스 번호 #A1263; 갈증, 다뇨증, 및 가족 병력에 의하여 혈당 수준의 정해진 결정 동안 6년 전에 당뇨병 진단받음; 및 환자는 장기적으로 메트포르민(metformin) 및 설포닐유레아(sulfonylurea)의 다양한 조합을 의료처리 받았다. 환자 E에 대하여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적용하였다.Patient E: age 53 years; Case number # A1263; Diabetes diagnosed 6 years ago during defined determination of blood glucose levels by thirst, polyuria, and family history; And patients have been treated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metformin and sulfonylurea over the long term. A needleless injector was applied to patient E.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를 착용한 환자 E의 혈당을 착용 시간에 따른 혈당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9 is a graph showing the blood sugar changes according to the blood sugar of the patient E wearing a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환자 E의 혈당은 0분 후 약 19.6 mmol/L, 30분 후 약 11.7 mmol/L, 및 60분 후 약 9.2 mmol/L로 나타났다. 환자 E의 상기 장치를 이용한 혈당의 점진적인 감소 및 이에 관련된 부수 효과들과 같은 긍정적인 결과들이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이어서 혈당 제어를 위한 선택된 치료를 계속하기로 결정하였다. 환자 E의 혈당 수준은 약 6.5 mmol/L로 나타나 정상 수준에 도달하였다.Referring to FIG. 9, the blood glucose of patient E was about 19.6 mmol / L after 0 minutes, about 11.7 mmol / L after 30 minutes, and about 9.2 mmol / L after 60 minutes. Positive results such as a gradual reduction in blood glucose and associated side effects with the device of Patient E were clearly observed. It was then decided to continue the selected treatment for glycemic control. The blood glucose level of patient E was about 6.5 mmol / L, reaching normal level.
상기 임상 케이스들은 경피를 통한 인슐린 투여의 효율성 및 실행을 위한 무 바늘 장치의 효율성을 명확하게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 및 방법의 의학적 효과가 검증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 및 방법은 다른 약제들에의 생체 주입에 대하여 확장될 수 있고, 따라서 의료 행위에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clinical cases clearly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the needleless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and efficiency of the administration of insulin through the transdermal.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medical effect of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ified. In addition, 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for bioinfusion into other drugs, and thus can be widely applied to medical practice.
결론 conclus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 및 방법은 당뇨병 치료를 주요한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고혈당을 정상 수준의 혈당으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현재까지의 인슐린 주입은 생체 내에 인슐린을 공급하거나 또는 생체 내로부터 자연적인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의 인슐린 주입 방식이 제안되어왔다. 장기 작용을 위한 인슐린 주입은 인슐린의 기초 분비를 자극하기 위한 것이고, 음식 섭취 30분 전과 같은 단기 작용을 위한 인슐린 주입은 음식 섭취 후의 과혈당증에 상응하도록 혈액 내의 인슐린 수준을 추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다.Needle-free solutio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purpose of the treatment of diabetes, specifically to reduce hyperglycemia to normal blood sugar. To date, insulin injection has been proposed to supply insulin in vivo or stimulate natural insulin secretion from the body, and various methods of insulin injection have been proposed. Insulin injection for long-term action is to stimulate basal secretion of insulin, and insulin injection for short-term action, such as 30 minutes before food intake, is to further increase insulin levels in the blood to correspond to hyperglycemia after food intak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 및 방법은 바늘을 사용하지 않고, 인슐린 주입부분에 해당되는 피부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인슐린의 생체 내 주입 및 흡수를 가속시키는 것이며, 이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검토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42명의 인슐린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인슐린 공급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무 바늘 장치에 의하여 피부에 국부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저혈당증의 위험 증가 없이 인슐린의 체내 주입 및 흡수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국부적 피부 가열은 루프를 폐쇄하도록 하고, 전체적인 인슐린 공급이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 위치의 피부의 온도 증가는 환자에 다른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인슐린의 주입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하다고 분석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 및 방법은 피부 자극 또는 병변들(lesions)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사용에 안전함을 알 수 있다.Needle-free solutio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elerate the in vivo injection and absorption of insulin by locally heating the skin corresponding to the insulin injection portion without using a needle, the existing research The results were reviewed. Using th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42 insulin patients were clinically verified the efficiency of insulin supply. Specifically, by locally heating the skin by a needleless device, it was effective for infusion and absorption of insulin without increasing the risk of hypoglycemia. This local skin heating can cause the loop to close and increase the overall insulin supply. It is also analyzed that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skin at the infusion site does not cause other side effects in the patient and is therefore sufficient to increase the infusion of insuli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cause skin irritation or lesions and are safe to us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 및 방법은 환자들에게 일상 생활에서의 당뇨병 치료에 대한 통상적인 제약을 완화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 및 방법은 인슐린과 액상 약제를 공급하는 신 기술로서 전망이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적외선과 다공성 투과성 자기 전달 고온 합성 TiNi 합금의 이용은 새로운 무 바늘 용액주입장치 및 방법을 발전시키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향후, 당뇨병 환자에 대한 음식 구성, 및 투입 시간과 같은 개인 요소들의 중요성 및 기능은 미래의 연구 과제로 제안할 수 있다.Needle-free solutio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eviate or eliminate the usual constraints on the treatment of diabetes in everyday life for patients. In addition, th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at there is a prospect as a new technology for supplying insulin and liquid medicine. Thus, the use of infrared and porous permeable self-transfer high temperature synthetic TiNi alloys may provide an opportunity to develop new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s and methods. In the future, the importance and function of individual factors, such as food composition and time of administration for diabetics, may be proposed for future research.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laims (13)

  1. 몸체;Body;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생체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노출되어 위치하고 용액을 수용하는 용액 수용 부재;A solution receiving member exposed to contact the skin of the living body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ccommodating a solution;
    상기 용액 수용 부재를 가열하도록 광을 방출하고, 상기 몸체 내에 상기 용액 수용 부재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가열 램프;A heating lamp which emits light to heat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and is positioned in the body opposite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상기 몸체 내에 위치하고, 상기 가열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및A power source located in the body and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lamp; And
    상기 몸체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과 상기 가열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located in the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and the heating lamp;
    를 포함하고, Including,
    상기 가열 램프에 의하여 상기 용액 수용 부재가 가열되어, 상기 용액이 상기 용액 수용 부재와 접촉된 상기 피부를 통하여 상기 생체 내로 주입되는,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And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is heated by the heating lamp so that th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living body through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2.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열 램프에 의하여 가열된 상기 용액 수용 부재와 상기 피부 사이에 발생하는 온도 구배에 따라 상기 용액이 상기 생체 내로 주입되는,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And th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living body in accordance with a temperature gradient generated between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and the skin heated by the heating lamp.
  3.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액은 인슐린을 포함하는,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The needleless injec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olution comprises insulin.
  4.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액 수용 부재는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상기 용액은 상기 기공 내에 수용되는,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And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has a porous structure including pores, and the solution is accommodated in the pores.
  5.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액 수용 부재는 TiNi을 포함하는,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And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comprises TiNi.
  6.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액 수용 부재는, 상기 가열 램프에 의하여 방출된 광이 상기 피부를 직접적으로 가열하도록, 상기 광이 투과되는 두께를 가지는,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And the solution containing member has a thickness through which the light is transmitted such that light emitted by the heat lamp directly heats the skin.
  7.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액 수용 부재는 65% 내지 75%의 기공률 및 40 μm 내지 900 μm의 기공 크기 분포를 가지고, 130 μm 내지 170 μm 의 평균 기공 크기를 가지는,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And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has a porosity of 65% to 75% and a pore size distribution of 40 μm to 900 μm and an average pore size of 130 μm to 170 μm.
  8.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액 수용 부재는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가능한 탈착 구조를 가지는,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And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has a detachable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body.
  9.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열 램프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And the heating lamp comprises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0.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열 램프에 의한 가열 온도는 20℃ 내지 45℃ 범위인,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on device, wherein the heating temperature by the heating lamp ranges from 20 ℃ to 45 ℃.
  11.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은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를 포함하는,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The power supply comprises a primary battery or a secondary battery, needle-free injection device.
  12.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는 손발목 착용형 또는 패치형인, 무 바늘 용액 주입 장치.The needleless solution injecting device is an ankle wearable or patch type, needleless solution injecting device.
  13. 용액을 수용하는 용액 수용 부재를 생체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Positioning a solution receiving member containing the solution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living body;
    상기 용액 수용 부재를 가열 램프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 Heating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using a heating lamp; And
    상기 가열 램프에 의하여 상기 용액 수용 부재가 가열되어, 상기 용액이 상기 용액 수용 부재와 접촉된 상기 피부를 통하여 상기 생체 내로 주입되는 단계;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is heated by the heating lamp so that th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living body through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solution receiving member;
    를 포함하는, 무 바늘 용액 주입 방법.Including, needle-free solution injection method.
PCT/KR2017/002205 2017-02-28 2017-02-28 Needle-free solution-injecting device and needle-free solution-injecting method using same WO2018159865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945 2017-02-28
KR1020170025945A KR101887088B1 (en) 2017-02-28 2017-02-28 Needle free solution inj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needle free injecting solution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9865A1 true WO2018159865A1 (en) 2018-09-07

Family

ID=6325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2205 WO2018159865A1 (en) 2017-02-28 2017-02-28 Needle-free solution-injecting device and needle-free solution-injecting method using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7088B1 (en)
WO (1) WO201815986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759B1 (en) * 2018-11-01 2020-10-22 주식회사 에스티엔 Unit for injecting medicinal flui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3995A (en) * 1991-11-13 1996-07-09 Elan Corporation, Plc Passive transdermal device with controlled drug delivery
JP2000513336A (en) * 1996-05-22 2000-10-10 ディバーシファイド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mpositions,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dermal delivery of drugs
JP2002525172A (en) * 1998-09-29 2002-08-13 ザー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application of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KR20040012903A (en) * 2003-12-05 2004-02-11 주식회사 바이오스마트 Digestive organ stimulator
KR20090128499A (en) * 2007-03-19 2009-12-15 인슐린 메디컬 엘티디 Drug delivery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2031A (en) * 1983-08-18 1986-11-11 Drug Delivery Systems Inc. Indicator for electrophoretic transcutaneous drug delivery device
KR100692501B1 (en) * 1999-03-16 2007-03-09 문형대 Skin absorption pad of active substance using heating element
US6723077B2 (en) * 2001-09-28 2004-04-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utaneous administration system
DE102006023186B4 (en) * 2006-05-17 2012-02-2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CA3138128C (en) * 2008-03-31 2024-02-13 Passport Technologies, Inc. Permeant delivery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of
AU2009312474B2 (en) * 2008-11-07 2014-12-04 Insuline Medical Ltd. Device and method for drug deliver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3995A (en) * 1991-11-13 1996-07-09 Elan Corporation, Plc Passive transdermal device with controlled drug delivery
JP2000513336A (en) * 1996-05-22 2000-10-10 ディバーシファイド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mpositions,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dermal delivery of drugs
JP2002525172A (en) * 1998-09-29 2002-08-13 ザー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application of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KR20040012903A (en) * 2003-12-05 2004-02-11 주식회사 바이오스마트 Digestive organ stimulator
KR20090128499A (en) * 2007-03-19 2009-12-15 인슐린 메디컬 엘티디 Drug delivery devi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UNTHER, S. V.: "Porous TiNi-based material and infrared radiation in needle-free treatment of diabetic patients", ADVANCED MATERIALS LETTERS, vol. 7, no. 9, 2016, pages 713 - 718, XP05553913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088B1 (en)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4937B2 (en) Flexible and conformal patch pump
Zheng et al. Iontophoresis-driven microneedle patch for the active transdermal delivery of vaccine macromolecules
Wu et al. Materials, devices and systems of soft bioelectronics for precision therapy
ES2683830T3 (en) Portable infusion pump that has capacitive coupling communication and energy recovery mechanism
KR101509827B1 (en) Method and device for drug delivery
US862299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rug delivery
US92208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rug delivery
EP2328636B1 (en) Device for enhanced subcutaneous insulin absorption
US200802081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rmophoretic Fluid Delivery
US2018036906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creased blood flow, healing, and pain control
EP1117357B1 (en) Apparatus for improved administration of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US200800860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duction of pain using vibration, cold and distractive elements
CN108310615A (en) A kind of microneedle cutaneous device of photoinduction
Vadlapatla et al. Electronic drug delivery systems: An overview
JP20025252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administration of fentanyl and sufentanil
JP2017503604A (en)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treatment in ABREU brain heat tunnel
Cao et al. Sustained release of insulin from silk microneedles
CN113546294A (en) A microneedle self-detection and treatment device
WO2018159865A1 (en) Needle-free solution-injecting device and needle-free solution-injecting method using same
WO2010088914A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subcutaneous blood flow
KR20210098605A (en) Tissue Prevention System for Drug Injection System
Han et al. Synergistic strategies of biomolecular transport technologies in transdermal healthcare systems
CN108543155A (en) A kind of repeatable dressing insulin pump
CN207544386U (en) A kind of diabetic's patient's gown
CN212491134U (en) A microneedle self-detection and trea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985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985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