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WO2019009615A1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09615A1
WO2019009615A1 PCT/KR2018/007573 KR2018007573W WO2019009615A1 WO 2019009615 A1 WO2019009615 A1 WO 2019009615A1 KR 2018007573 W KR2018007573 W KR 2018007573W WO 2019009615 A1 WO2019009615 A1 WO 20190096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um
cover
sub
tub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75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채애경
권오신
김근주
정재용
이동수
전호일
Current Assignee (The listed assignees may be inaccurate.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or warranty as to the accuracy of the list.)
LG Electronics Inc
Original Assignee
LG Electronics Inc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G Electronics Inc filed Critical LG Electronics Inc
Priority to AU2018296986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8296986B2/en
Priority to BR112020000156-2A priority patent/BR112020000156B1/pt
Priority to US16/611,731 priority patent/US11105036B2/en
Priority to CN201880045008.6A priority patent/CN110832133B/zh
Publication of WO20190096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09615A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erform a garment process on a drum and a sub drum by mounting a sub-
  •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washing machine for performing washing, a dryer for performing drying, and a drying and washing machine for drying and washing together.
  •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used as a washing apparatu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cabinet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tub accommodated in the cabinet for receiving the washing wate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to accommodate the laundry, and a cabinet So that the laundry can be drawn in and out.
  •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ivided into a top loading type in which the rotary shaft of the drum is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a front loading type in which the rotary shaft of the drum is arranged to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paper surface.
  • the rotating shaft of the drum is form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paper surface, and the detergent, the washing water, and the drum are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in the state that the laundry is put in the drum, So that the laundry is washed by the drum washing method.
  • the drum washing method has almost no damage to the laundry, the laundry is not tangled with each other, and the washing effect of tapping and rubbing can be obtained.
  • the rotary shaft of the drum is form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the drum is provided inside the tub where the wash water is stored, the laundry is washed in the state where the laundry is immersed in the wash water supplied into the drum, It is divided into a pulsator method and an agitator method.
  • the pulsator method is a method of performing washing by rotating washing water and laundry with a pulsator rotatably provided on the bottom of a drum to receive laundry and washing water from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The washing water and the laundry to be washed are rotated by the agitator protruding upward to execute washing.
  • the top loading type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drum or the rotation of the drum, and washing is perform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laundry and the laundry and the action of the detergent by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or the agitator forming the water stream. Therefore, since washing can be performed only when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laundry so as to be submerged in the washing water, a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is used.
  • the laundry is washed in one drum, that is, washing, rinsing and dewatering. Therefore, if the laundry is separated and washed according to the color or the material of the laundry,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ng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increased because at least two washing processes must be performed, thereby wasting washing water, detergent and energy.
  •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sub-drum detachably installed in the drum is added and used.
  • the sub-drum can store the wash water separately from the tub, and the water can be formed in the sub-drum by the rotation of the sub-drum to perform the washing process separately from the drum.
  • washing through the main drum and the sub drum need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washing water in the main drum and the washing water in the sub drum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re is a fear of transferring by mixing the washing water. Also, the detergent used may be different.
  • washing water supplied and the washing water drained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 the control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n b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main drum is mounted on the sub drum. Therefore, a structure for easily mounting the structure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ub-drums are mounted is required. In addition,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of the main drum and the sub drum are frequently in contact with moisture. Therefore, a structure capable of protecting structure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ub drums are mounted from moisture is required.
  •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main drum and can separate washing of a main drum and washing of a sub drum.
  •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obtaining a sufficient washing effect even through a sub-drum.
  •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loading laundry into a main drum as well as a sub drum.
  •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discharging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a sub-drum without flowing into a main drum.
  •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ischarging washing water in a sub-drum only during a dewatering process without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in the sub-drum during the washing process.
  •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ealizing the same without a separate driving means such as a drain pump connected to a sub drum.
  •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a sensor provided on a tub cover to detect rotation of a sub drum during washing,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cover is rapidly discharged, So as to prevent the reverse flow as much as possibl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mounting a sensor on a tub cover without installing additional components in a conventional tub cover.
  •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integrally forming a structure for mounting a sensor on a tub cover.
  •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tub for receiving wash wate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nd having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sub-drum detachably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the sub-drum being washed and separated from the drum; A tub cov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tub and having a laundry inlet port; A sensing unit provided in the sub drum; And a sensing unit provided on the tub cover for sensing the sensing unit.
  •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sub drum may be positioned above the tub cover.
  • the tub cover may extend radially in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tub.
  • the sensing unit may be positioned above the sub-drum. Specifically, the cover of the sub drum.
  • the sensing unit can sense the sensing unit effectively.
  • the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sensing portion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ensing portion.
  •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tub cover and receiving the sensing portion.
  •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chamber shape that is downwardly recessed from the tub cover. The sensing part is inserted and surrounded by the chamber.
  •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receiving cover rotatably provided on the tub cover to selectively close the receiving portion.
  • the receiving cover covers the opening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to substantially seal the inside of the chamber.
  • the mounting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 hinge portion rotatably connect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cover to the tub cover. Therefore, mounting of the sensing unit is facilitated through the accommodating portion cover.
  • the mount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ub cover by injection molding. Therefor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assemble.
  • the hinge portion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cover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cover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so that the hinge portion can be folded. Since the hinge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housing cover, assembly is facilitated. Further, even when the housing cover is opened, it is very convenient because the housing cover is not separated.
  • the hinge portion is located radially inward of the tub cover,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cover is folded radially outward of the tub cover through the hinge portion to cover the mounting portion. Due to the position of the hinge portion, it is easy for the receiving portion cover and the hinge portion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ub cover.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gap in the hinge portion itself, the inflow of water through the hinge por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a fixing portion including a cover hook provided on the receiving portion cover and a hook receiving groove provided on the receiving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cover hook.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hook and the hook receiving groove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tub cover.
  • the hook receiving groove preferably communicates the receiving portion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cover hook is insert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by inserting the cover hook into the hook receiving groove from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hook receiving groove.
  • the receiving portion is divided into a sensor receiving portion on which the sensing portion is seated and a buffer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hook receiving groove. That is, the sensor seating portion and the buffering portion may be partitioned through the ribs or ribs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 the receiving por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atching jaw for preventing the flow of water between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and the buffering por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sensor seating portion even if moisture flows into the receiving portion.
  • the receiving portion cover may include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sensing portion to prevent movement of the sensing portion due to rotation of the sub-drum.
  •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are provided radially inwardly and outwardly, and the sensor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Thus, the sensor can be firmly fixed.
  • a cover discharge unit provided on the tub cover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cover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cover.
  • a plurality of the cover discharge portions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 cover.
  • Moisture moving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cover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cover through the cover discharge portion before reaching the receiving portion.
  • the tub cover includes a blocking rib that blocks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from moving toward the sensing unit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cover .
  • the sensing unit may b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cover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unit. Accordingly, moisture directed toward the sensing unit is blocked by the cover discharging unit at one side of the sensing unit, and is blocked by the sensing rib at the other side of the sensing unit.
  •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tub for receiving wash wate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nd having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sub-drum detachably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the sub-drum being washed and separated from the drum; A tub cov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tub and having a laundry inlet port; A magnet disposed on the sub drum; A hall sensor provided on the tub cover for sensing the magnet portion; And a mounting unit provided on the tub cover to mount the hall sensor on the tub cover and to surround the hall sensor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hall sensor.
  • the hall sensor detects the magnet portio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ub-drum is mounted on the drum.
  • the magnet portion is resistant to moisture.
  • the Hall sensor since the Hall sensor is connected to a signal line, it is very susceptible to moistur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rotect the hall sensor from moisture.
  • the Hall sensor is preferably positioned so as to be close to the magnet portion.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mount the hall sensor on the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the tub cover, and to prevent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hall sensor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one side of the tub cover is embedded to receive the hall sensor; And a lid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tub cover, the lid part having a receiving part cover for selectively closing the receiving part and a hinge part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receiving part cover to the tub cover.
  • a cover hook provided on the receiving portion cover; And a hook receiving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so as to engage with the cover hook.
  • the hook receiving groove preferably communicates the receiving portion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end of the inserted cover hook is exposed to the outside.
  • the cover hook is inserted into the hook receiving groove in the outward direction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divided into a sensor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hall sensor is seated by a latching jaw provided on a lower surface and a buffer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hook receiving groove.
  • the thickness of the hinge portion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cover.
  • the hinge can be structurally folded.
  • the position of the hinge portion is radially inward of the tub cover, and the receiving portion cover is rotatably rotated radially outwardly from the hinge portion to cover the receiving portion.
  • the tub cover includes a blocking rib that blocks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from moving toward the sensing unit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cover And a cover discharge unit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cov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discharge wate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cover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cover, .
  • the protection of the sensor by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portion itself and the blocking of moisture by the blocking rib and the cover discharging portion can be combined.
  •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main drum and can separate washing of a main drum and washing of a sub drum.
  •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water supply and drainage of washing water can be substantially separated.
  •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loading laundry into a main drum as well as a sub drum.
  •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discharging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a sub-drum without flowing into a main drum.
  •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ischarging the wash water in the sub-drum only in the dewatering process without discharging the wash water in the sub-drum in the washing process.
  •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ealizing this without a separate driving means such as a drain pump being connected to the sub-drum.
  •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a sensor provided on a tub cover to detect rotation of a sub drum during washing,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cover is rapidly discharged, So as to prevent the reverse flow as much as possibl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mounting a sensor on a tub cover without installing additional components in a conventional tub cover.
  •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integrally forming a structure for mounting a sensor on a tub cover.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b-drum shown in Fig. 1.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b-drum shown in Fig.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ub-drum mounted on the drum.
  •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sub-drum is mounted on the drum.
  •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sensing part, a mounting part, and a cover discharging part of the tub cover shown in FIG. 1.
  •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sensing part, a mounting part, and a cover discharging part of the tub cover shown in FIG. 1.
  •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portion equipped with the sensing portion shown in Fig.
  • FIG.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ver discharge portion shown in Fig.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 cabinet 10 having an opening to allow laundry to be loaded therein, a door 10, A tub 20 installed to store wash water in the cabinet 10 and a drum 30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20.
  • a driving unit 14 for driving the drum 30 for washing a driving unit 14 for driving the drum 30 for washing.
  • a pulsator 35 may be provided in the drum 30 to generate water flow in the drum and inside the tub by rotation of the drum 30.
  • the driving unit 14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rotate the drum 30 and pulsator 35.
  •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sub drum 50 detachably installed in the drum 30 and separated from the drum 30 for washing laundry.
  • washing water for washing and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door are all called washing water, and the drum 30 can be called a main drum.
  •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1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 the cabinet 10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nd includes a cabinet cover 11 having an opening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for inputting laundry.
  • the cabinet cover 11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abinet 10, and a door (not shown)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cabinet 10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Accordingly, the user can open or close the door to put the laundry into the drum 30 and the sub-drum 50, or to remove the laundry from the drum 30 and the sub-drum 50.
  • the water supply portion 18 is provided on the cabinet cover 11 to supply clean water containing no detergent or clean water to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 the wash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section 18 can be supplied into the drum 30 and / or the sub drum 50.
  • the wash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8 may be supplied only to the drum 30 or only to the sub drum 50.
  •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need not only physically separate the laundry receiving space but also separate the washing water supplied into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That is, the amount of the wash water supplied into the sub drum 50 into the drum 30 or vice versa is also limited. This is becaus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laundry may be different, and the type of the laundry may be different. Also, the type of detergent may be differ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washing water as well as laundry.
  • water is supplied to the drum 30 or water is supplied to the sub drum 50 through the interior of the tub 20 sel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ub drum 5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water can be supplied directly into the drum 3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ub-drum 50, and water can be supplied directly into the sub-drum 50 without go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drum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washing water supplied into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is not mixed in the washing process and is not mixed at least in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even in the course of dewatering and draining.
  • the tub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is formed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while being housed in the cabinet 10.
  • the tub 20 includes a tub cover 21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 the tub cover 21 may be position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drum 30 and the upper end of the sub drum 50 in a mounted state.
  • a laundry inlet 580 is formed in the tub cover 2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cabinet 10. The laundry may be introduced into the drum through the laundry inlet 580 or the laundry may be introduced into the sub-drum.
  •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2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24 and a damper 23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10. [ Further,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20 is directly supported by the spring 24 and the damper 23, it can not rotate itself. Therefore, unlike the drum 30, the tub 20 does not receive a separat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unit 14. 1, the spring 24 and the damper 23 are connected in seri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pring 24 and the damper 23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he damper 23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20 and the spring 24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20 and vice versa.
  • a drainage device for draining wat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20.
  • the drainage device includes a drain pump 11 for supplying power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tub 20, a laundry pump 20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one end of the tub 2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rain pump 11, A first drain pipe 12 for guiding the water to the drain pump 11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drain pump 1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binet 10 to supply the wash water from the drain pump 11 to the cabinet 10, And a second water pipe 13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outside.
  • the first drain pipe 12 may be formed of a bellows pipe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tub 20 is not transmitted to the drain pump 11.
  • the driving unit 14 includes a motor composed of the rotor 15 and the stator 16 and a rotary shaft 17 connected to the rotor 15.
  • the driving unit 14 includes a clutch (not shown) And to the pulsator 35.
  • the driving unit 14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pulsator 35 or the pulsator 35 and the drum 30,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motor 30 together.
  • the driving unit 14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drum 30 or the pulsator 35 and the drum 30 as well.
  • the rotary shaft 17 is fixed to one of the pulsator 35 and the drum 30 and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other one of the pulsator 35 and the drum 30.
  • the structure for selectively coupling to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30 is not excluded.
  •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 drum 30 that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20 to be charged with laundry and a sub drum 30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drum 30, (50).
  • the lower surface of the drum 3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17 and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unit 14.
  • the drum 3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 the drum 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 are formed on the side wall, that is, the main surface of the drum.
  • the drum 30 communicates with the tub 20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 Accordingly,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tub 20 at a certain level or more, the drum 30 is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and some washing water is drawn into the drum through the through holes 33.
  • the drum 30 includes a drum cover 31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 the drum cover 3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 having a hollow and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tub cover 21.
  • the discharge passage 47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drum cover 3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cover 21. [ The discharge flow path 47 guides the wash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ub drum 50 into the inside of the tub 20.
  •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drum 30 flows into the inner wall of the tub and the lower wall of the tub through the through holes 33 of the drum and drained.
  • the washing water provided in the sub drum 50 flows into the inner wall of the tub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sub drum 50. That is, the water flows through the side space between the drum 30 and the tub 20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47, and then flows into the lower wall of the tub and drain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sh water in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is not mixed with each other in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when drained. Likewise,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is not mixed with each other.
  • the drum cover 31 is form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laundry can be inserted or the sub drum 50 can be mounted.
  • the drum cover 31 is provided with a balancer 311 on the inner side for eliminating unbalance caused by the load of the laundry in the first drum.
  • the drum cover 31 is provided with a first concavo-convex portion 312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sub-drum 50 can be detached.
  •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drum 50 2 concave / convex portions 535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lip between the sub drum 50 and the drum 3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combination of both.
  •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a control unit 100 (see FIG. 6) and a braking unit 110 (see FIG. 6) for controlling the entire washing process.
  •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unit in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sub drum 50 to be described later.
  •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first sensor unit 54 and a second sensor unit 25.
  • the angle control of the sub-drum 50 may be performed for water supply. For example, whether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same water supply unit is performed inside the drum 30 or inside the sub drum 50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angle control of the sub drum 50.
  • the first sensor unit 54 may include a Hall sensor 55 and a first magnet unit 56 to sens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ub drum 50.
  • the first Hall sensor 55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of the tub 20 or on the inner edge surface of the cover of the tub 20. That is, it can be provided in a fixed configuration.
  • the first magnet portion 56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rum 50 so as to be sensed by the first hall sensor 55.
  • the first hall sensor 54 senses the first magnet portion 56 and then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100.
  • the first sensor unit 54 including a single hall sensor and a single magnet is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 the first sensor unit 54 may include a plurality of hall sensors, It can be made of magnets. Of course,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gnets in a single hall sensor. The plurality of magnets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hen one magnet is provided in one hall sensor, the Hall sensor per rotation of the sub drum 50 may generate one magnet sensing signal.
  • the hall sensor per rotation of the sub drum 50 may generate three magnet detection signal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ub drum 50 is mounted on the drum 30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54.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ub drum 50 is normally mounted on the drum 30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54.
  • the first hall sensor 54 may generate only two magnetism sensing signals.
  • the sub drum 50 may not be normally mounted on the drum 30,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ub drum 50 is not normally mounted.
  • the sub drum 50 When the sub drum 50 is normally mounted on the drum 30, the sub drum 50 and the drum 30 rotate integrally. That is, the rotation angle of the sub drum 50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30.
  • the second sensor unit 25 may be included to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30. That is, the second sensor unit 25 is provided to sense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30,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30 can be controlled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cond sensor unit.
  • the second sensor unit 25 may include a single second Hall sensor 26 and a second magnet unit 27 to sense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30.
  • the second Hall sensor 26 may be dispos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20 and the second magnet 27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or 15 so as to be sensed by the second hall sensor 26 May be provided in plural. Accordingly, when the drum 30 rotates, the second hall sensor 26 senses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30, and then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100.
  • the second sensor unit 25 is provided with the magnets of the second magnet unit 27 at equal intervals in the rotor 15 in order to sense the accurate rotation angle of the drum 30 and the larger the number of the magnets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30 can be precisely detected.
  •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15 is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unit 25,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30 is determined.
  • the second sensor unit 25 may include a hall sensor, which is provided in the stator and is fixed in position, and a plurality of magnets, which are provided in the rotor and rotate together with the rotor.
  •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or 15 can be sensed without a separate sensor. That is,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30 can be determined by sens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or 15 in a sensorless manner without a sensor.
  • This sensorless method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rotor 15 by estimating the rotor position of the motor based on the output current detected while the current of a certain frequency flows through the motor after allowing the phase current of a constant frequency to flow to the motor .
  • Such a sensorless system corresponds to a 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e.g., the laundry process, the rinsing process, the dewatering process, etc.) and operate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e.g., the laundry process, the rinsing process, the dewatering process, etc.
  • control unit 100 includes a driving unit 14 that receives signals generated by the first sensor unit 54 and the second sensor unit 25 and rotates the drum 30 on the basis of the signals generated by the first sensor unit 54 and the second sensor unit 25, (18) and a braking unit (110) for braking the rotating drum (30).
  • a driving unit 14 that receives signals generated by the first sensor unit 54 and the second sensor unit 25 and rotates the drum 30 on the basis of the signals generated by the first sensor unit 54 and the second sensor unit 25, (18) and a braking unit (110) for braking the rotating drum (30).
  • a driving unit 14 that receives signals generated by the first sensor unit 54 and the second sensor unit 25 and rotates the drum 30 on the basis of the signals generated by the first sensor unit 54 and the second sensor unit 25, (18)
  • a braking unit (110) for braking the rotating drum (30).
  • the sub drum 50 can be controlled to stop at a desired rotation angle.
  • the braking unit 110 acts to stop the drum 30 by applying a braking force to the rotating drum 30. That is,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can be stopp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b-drum 50 shown in FIG. 1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b-drum 50 shown in FIG. 1
  •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sub-drum 50 mounted on the drum 30. As shown in FIG.
  • the sub-drum 5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drum 30 so as to be detachable inside the drum 30. As shown in FIG.
  • the sub drum 50 has a container shape and the upper part can be opened. The laundry can be introduced and recovered through the open top. And, the wash water may be supplied into the sub drum through the opened upper part.
  • the cross section of the sub drum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oval shape.
  • the sub-drum 50 is separated from the drum 30 to perform washing. Accordingly, the laundry can be separated from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by separating the laundry according to the color or the material, and then wash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s reduced, , Detergent and energy waste can be prevented.
  • the laundry may be separ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r the laundry may be sepa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laundry. For example, laundry such as underwear and laundry used for cleaning can be separated and washed. Therefore, the satisfaction of separation and washing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emotionally.
  •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can also be carried out for separation, which substantially improves the separation washing effect.
  • the sub drum 50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um 30 and rotates to perform washing, a separate driving device is not necessary. This is because the sub-drum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um.
  • the sub-drum 50 includes a sub-drum body 53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 sub-drum cover 51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b-drum body 53, A discharge unit 70 for discharging washing water in the sub drum 50 to the outside during rotation and a fixing unit 93 for coupling and disassembling the sub drum 50 mounted on the drum 30 to and from the drum 30 .
  • the sub drum body 53 may have an elliptical cross section to form a swirling flow of washing water, and a friction rib 534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a flow of washing water.
  • the top loading type such a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shing is performed by the action of the detergent, but also the friction between the washing water and the laundry, .
  • the transverse sectional surface of the sub drum body 53 is formed into an elliptical shape, the vortex can be generated more effectively by rotation than the drum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Since the swirling increases the friction between the washing water and the laundry, the sub drum 50 can increase the washing power by the elliptical cross section.
  • the sub drum body 53 has a first curvature portion C1 formed to have a first curvature and a second curvature portion C1 formed to have a second curvature smaller than the first curvature, (C2).
  •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sub drum bodies 53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is formed as a pair.
  • the first curvature may be form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curvatur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drum cover 31.
  • the second curvature portions C2 are provid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of the sub drum bodies 53, and ar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urvature portions C1, respectively, and can form a pair.
  • the second curvatur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first curvature.
  • first curvature portion C1 and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are alternately repeatedly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sub drum body 53.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drum body 53 includes a near portion C2 spaced a firs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ub drum 50 and a second distance larger than the firs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ub drum 50.
  • the far portion C1 corresponds to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and the near portion C2 corresponds to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 the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drum body 53 indicated by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more appropriate to designate it as the near portion C2 rather than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the remote portion C1, the near portion C2, the engaging portion C1, and the spacing portion C2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specific areas. If they are included in the specific area above, they are all labeled with the above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 part of each of the sub drum body 53 and the sub drum cover 51 is referred to using the above terms.
  • the cross section of the sub drum 50 is shown to have an elliptical cross section.
  • the near portion C2 may be formed only on the sub drum body 53.
  • the overall shape of the sub drum cover 51 is circular, and only the sub drum body 51, which receives substantially the wash water under the sub drum curve 51, can have the near portion C2.
  • Such a near portion may form a space vertically penetrat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drum to the inside of the drum.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enetrating portion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near portion in the sub drum cover 51.
  • the overall formation of the sub drum 50 must be an ellipse none.
  • a shape capable of forming a near portion of the sub drum body 51 for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may suffice.
  • the rotation angle control of the drum may be performed so as to move the near portion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supply portion 18.
  • the sub drum body 53 is not provided with the through holes 33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drum 50, unlike the case where the through holes 33 ar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0. Accordingly, the sub drum body 53 can receive the washing water and the laundry, and the washing water is not discharged into the drum 30 throug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Therefore,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tub 20 is only drawn into the drum 30 through the through holes 33 and is not drawn into the sub drum 50.
  • the friction ribs 534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drum body 53 and extend upward and downward.
  • the plurality of friction ribs 53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b-drum body 53.
  • the friction rib 534 rotates the wash water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ub drum body 53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wash water when the sub drum body 53 rotates.
  •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friction rib 534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uide rib 531 to be described later.
  • the sub drum cover 51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b drum body 53, and the cross section thereof may be the same as the cross section of the sub drum body 53.
  •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drum cover 51 is also divided into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and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can be referred to as the remote portion C1,
  •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can be referred to as a near portion C2.
  • the sub-drum cover 51 has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cover 31 And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is spac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cover 31.
  •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may be referred to as a spacing portion C2.
  • the sub drum cover 51 may include a laundry inlet 58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for inputting laundry, and a handle 510 providing a space for the user to grip.
  • the sub drum cover 51 includes an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for guiding the wash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8 into the sub drum 50, And an outer water guide 570 guiding the drum 30 to the inside of the drum 30 through the outside of the drum 50.
  •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functions to smoothly introduce the wash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8 into the sub drum and prevent the water from flowing into the drum.
  •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60 functions to smoothly introduce the wash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8 into the drum and prevent the wash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ub drum.
  • the sub drum cover 51 has a guide rib 531 formed to fall down to the center of the sub drum body 53 after the washing water circulat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drum body 53 is moved upward due to the collision, ).
  • the handle 5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rum cover 51. [ The handle 510 may be provided at a pair of opposed positions.
  • the handle 51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of the sub drum cover 51, that is, the remote portion C1.
  • the sub drum 50 is rotated about the imaginary axis passing through the pair of the remote parts C1 So that rolling may occu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handle 51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that is, the near portion C2, the user must apply a large force to calibrate the vibration of the sub drum 50, Is advantageously provided adjacent to the remote part C1.
  •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rum cover 51 and is provided in the remote part C1, i.e., the engaging part C1.
  •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may include a recess 561 and a water supply hole 562,
  • the concave portion 561 may be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rum cover 51 is recessed so that the wash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ortion 18 is not scatt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rum cover 51 have.
  • the water supply hole 562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 561 toward the laundry inlet 580 so as to communicate the laundry inlet 580 with the recess 561.
  • the water supply hole 562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562 for guiding the wash water to the sub drum 50.
  • the water supply hole 562 is formed in the water supply hole 562, ) Can be formed.
  •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8 is not scattered around the sub drum cover 51 as it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concave portion 561 and then the water supply hole 562 or 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562, And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sub drum 50 through the laundry inlet 580.
  • the concave portion 561 and the water supply hole 562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510 to maximiz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sub drum cover 51.
  •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is provided on the sub drum cover 51 and is provided on the near portion C2, that is, the spacing C2. That is,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may be separated from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 the sub drum 50 rotates together with the drum 30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and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are positioned below the single water supply unit 18. Therefore, even if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is separated from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the wash water discharged from the single water supply unit 18 can be supplied to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respectively.
  •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is formed such that a corner portion of the spacing portion C2 is recessed to the inner side of the sub drum cover 51 and the bottom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to the outside of the sub drum cover 51.
  •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8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drum 30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channel 573 formed as a space formed between the spacing C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30 .
  • the guide ribs 531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re provid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rum cover 51 and extend downward.
  • the guide rib 531 is provided so that one sid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b drum body 53.
  • the plate-shaped guide ribs 531 are engaged with the sub drum cover on the upper side and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b drum body 53.
  • the washing water in the sub drum body 53 rotat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drum body 53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ub drum 50 and the direction of the flow changes due to the collision with the guide rib 531,
  • the direction of the flow after the collision is changed and the parabolic curve can be dropped toward the center of the sub drum 50.
  • the guide ribs 531 are formed on one side face of the sub drum body 53 and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rum cover 51, and a sub-drum body 53 And a rib inclined portion 533 extending from the rib vertical portion 532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drum 50 in a downward sloping manner.
  • the rib inclined portion 533 is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drum 50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b drum body 53.
  • the rib inclined portion 533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guide rib 531, the laundry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wash water in the sub drum body 53 is less interfered with. Accordingly, the flow of the laundry is more smoothly performed,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 between laundry and increasing the washing power.
  • the rib inclined portion 533 is formed on the guide rib 531, a sufficient amount of wash water can be raised.
  • the wat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drum body 53 is higher than the wat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 drum body 53. Therefore, even if the rib inclined portion 533 is formed on the guide rib 531, a sufficient amount of wash water can be collided against the guide rib 531 and can be raised.
  • the guide rib 531 can raise a sufficient amount of wash water even if the sub drum 50 rotates at a relatively low speed.
  • the guide ribs 53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guide rib 53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ash water, an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guide rib 531, That is, when the guide rib 531 is view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 drum body 53, the width of the lower end face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face. As a result, the wash water can more easily rise alo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ribs 531.
  • the guide ribs 531 ar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H is 70 mm and the width W is 65 mm, And exhibits a high washing power with the inclined guide 581.
  • the height H of the guide ribs 531 was set to 50 mm and 90 mm, respectively.
  • the average value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guide ribs 531 H) is set to 70 mm.
  • the numerical values are only examples by experiments, and the specific values of the shapes of the sub drum 50 and the guide ribs 531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guide ribs 531 are provided in the near portion C2 as described abov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guide ribs 53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remote portion C1 to form a total of two pairs.
  • the inclined guide 58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ib 531 and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sub drum 50. Specifically, the inclined guide 581 is formed along the inner side, that i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aundry inlet 580 located above the guide ribs 531.
  • the washing water raised by the guide ribs 531 is supplied to the sub drum body 53 alo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rum cover 51 via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b drum body 53, And then drops freely into the sub drum body 53 while drawing a parabola.
  • the washing water does not fall freely. That is, the washing water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rum cover 51, and forms a flow 45 in which the moving direction is suddenly changed downwar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inclined guide 581. That is, a part of the velocity of the horizontal direction component is converted to the velocity of the vertical direction component.
  • the washing water having the suddenly changed moving direction collides with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sub drum body 53 more strongly than the free falling.
  • the inclination guide 58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avity acts is set to approximately 10 degrees, and the angle at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wash water is changed is larger. Thus, a very strong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sub drum body, thereby increasing the washing power.
  • the angle of incidence [theta] is approximately 10 degrees, but the numerical values are merely examples and are not limited to these numerical values.
  • the inclined guide 581 serves to guide the flow 46 of the washing water to flow into the sub drum 50 along the upper surface thereof.
  • the sub drum 50 has a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535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e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ancer 311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312.
  •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535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C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b-container body 53. [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535 is not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b-container cover 51. [ This is because the sub-container cover 51 can be separated from the sub-container body 53 by the weight of the washing water and laundry contained in the sub-container body 53.
  •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312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cover 31.
  •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are formed continuously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312.
  •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312 is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cover 31.
  •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535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b drum. However, sin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b drum is divided into the near portion C2 and the remote portion C1, and the remote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cover, the second uneven portion 535 is formed in the remote portion.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535,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are formed continuously. The protrusions of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535 ar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312.
  •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um 30 is transferred to the sub drum 50 so that the sub drum 50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drum 30 when the drum 30 rotates.
  • the discharging portion 7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or the remote portion C1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To the outside.
  • the washing process by the sub drum 50 and the washing process by the drum 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water supply to the drum 30 and the water supply to the sub drum 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sub drum 5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drum 30 during washing, And discharged from the sub-drum 50 at the time of drainage and dewatering.
  • the sub drum 50 should be kept in the sub drum 50 when the laundry is rotated at a washing rpm in order to perform washing.
  • a dehydration rpm greater than the laundry rpm, 50).
  • the discharge unit 70 functions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to the outside only when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when the sub drum 50 is rotated at a dehydration rpm larger than the washing rpm acts on the washing water.
  • the discharge unit 70 includes a chamber (not shown) in which wash water is received, an inlet hole (not shown) for introducing wash water into the chamber, a discharge hole 79 for discharging wash water from the chamber, . ≪ / RTI >
  • the discharge portion 7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with the inlet hole being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radially inward from the side wall of the sub-drum 50. Accordingly, since the total area of the inflow hole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in which the washing water hits, the primary resistance is generated when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inflow hole, and is moved radially outward by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sub- A secondary resistance which causes the rising washing water to overcome the centrifugal force and move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s further generated.
  • the discharge portion 70 is provided so that the discharge hole 79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flow hole, but passes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sub-drum 50. Accordingly, when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chamber through the inflow hole, a tertiary resistance which further rises after gravity is lifted after moving to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sub drum 50 is further generated.
  • the washing water is not discharged from the sub drum 50. That is, only when the sub drum 50 rotates only in the predetermined dehydration rpm band, the wash water is selectively discharged.
  • this selective discharge is possible without a controlled configuration such as a drain valve or a drain pump.
  • the sub drum 50 may include a body 53 for receiving washing water and laundry, and a sub cover,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53 and has a charging port 515 for charging laundry.
  •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535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53. This is because the sub cover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53 by the weight of laundry and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body 53.
  • the discharge port 70, the guide ribs 531, the handle 510,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and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may also be provided in the sub cover.
  • the lower cover 5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53, and the upper cover 51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ver 52. In this case, .
  • a chamber (not shown) of the discharge part 70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lower cover 52 and the upper cover 51.
  • the inflow hole is provided in the lower cover 52.
  • the discharge hole 79 includes a first discharge hole 791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52 and a second discharge hole 792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51.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chamber through the inflow hole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79 composed of the second discharge hole 792 and the first discharge hole 791.
  • the concave portion 561 constituting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is formed by the engagement of the lower cover 52 and the upper cover 51.
  •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52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ss 561 and a part of the embedded portion of the upper cover 51 form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ecess 561.
  • the water supply hole 562 constituting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is formed as a spaced space between the handle 5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52.
  • the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ub drum 50 is mounted on the drum 30 before starting washing or before performing water supply for washing can do. Further,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sub drum is properly mounted. This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54. Thereafter, the water supply can be performed. That is, when the sub drum is normally mounted, water supply to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can be performed. The water supply to the drum 30 and the water supply to the sub drum 50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Of course, it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However,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through the single water supply unit 18, water supply is sequentially performed. This sequential water supply process may be performed by the second sensor unit 25, the control unit 100, the water supply unit 18, the driving unit 14, and the braking unit 110.
  • the control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ing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sensor unit 54 and the second sensor unit 25 or the current sensed by the first sensor unit 54, The motor 14, and the braking unit 110 through a predetermined determination process based on the output current detected during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8, the motor 14, and the braking unit 110. Both the sensing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ensor unit 25 and the output current detected while the current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flows through the motor are used for the control unit 100 to measure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30,
  • the second sensor unit 25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for sens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For the sake of brevity,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 the position control of the drum 30 or the sub-drum 50 is performed for water supply.
  • the position control of the drum 50 or the sub-drum 50 may be performed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handle 510.
  • position control of the sub drum 50 can be performed at a time when the sub drum 50 can be separated. In one example, position control may be performed to pause or terminate the laundry.
  • the position of the drum 30 can be controlled for the mounting piece. That is, the position of the drum 50 can be controlled at a time when the sub drum 50 can be mounted.
  • the position control may be performed in order to wash and stop without sub-drum 50 and to end washing without sub-drum 50.
  • the rotational position control of the drum and / or sub drum 50 may be performed for water supply, but the mounting of the sub drum 50 and / Or may be performed for convenience of separation.
  •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can perform one or more washing courses, and a separate control panel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washing course.
  •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various washing course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laundry course inputted.
  • Such a control panel may be provided with a laundry course for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drum and a laundry course for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sub-drum 50 may not be provided.
  •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1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and execute the laundry course corresponding to the sub-drum 50 mounted in the plurality of previously entered laundry courses.
  • the control panel of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s not modified as it is Can be used.
  • the drum is rotated (S610). That is, the drum is rot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sub-drum 50 is mounted and properly mounted. This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drum 30 should be supplied with the washing water or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should be supplied with the washing water.
  • control unit 100 first controls the driving unit 14 to rotate the drum 30 (S610).
  • the second sensor unit 25 senses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30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100.
  • a normal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uni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ub drum is not mounted or the sub drum is mounted improperly. For example, if n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unit 54 while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30 is detected to be 360 degrees by the second sensor unit 25,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sub drum 50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not mounted on the drum 30 (S630-N).
  • the control unit 100 performs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upply unit 18 to the drum 30 (S670). In this case, the position control of the drum is not performed for supplying water. That is, the driving unit 18 and the braking unit 110 are not controlled so that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or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is position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 the notification may be performed.
  •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sub drum 50 (S630-Y). ≪ / RTI >
  •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sub drum 50 for supplying water.
  • control unit places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under the water supply unit 18 and performs main water supply to supply water to the drum 30.
  • the sub drum 5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place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18, and then performs sub water supply to supply water to the sub drum 50 (S650 ).
  • the main series may be performed after the sub-series.
  •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8 first.
  • the discharged wash water is supplied to the sub drum 50 through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and supplied to the drum 30 or the tub 20 through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That is, after the sub drum 50 is rotated, angle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and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are position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18, respectively, and water supply is performed.
  • control unit 100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14 so that the sub-drum 50 rotates at a very low rpm for supplying water.
  • the rpm can be set to 3 rpm, for example.
  • the control unit 100 sets the sub drum 50 in advance from the time when the first sensor unit 54 send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0
  •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can be positioned below the water supply portion 18 by rotating the water supply guide 570 by one rotation angle. The rotation angle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first sensor unit 54,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and the water supply unit 18.
  • the rotation angle of the sub drum 50 is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unit 25 while the sub drum 50 rotates at a very low rpm an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0. [ When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the measured rotation angle has reached the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braking unit 110 to stop the sub-drum 50.
  •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is positioned substantially under the water supply unit 18. Therefor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8 can be supplied to the drum 50 through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without the position of the sub drum 50 being corrected.
  • the rpm of the sub-drum 50 is very low, the current flowing to the driving unit can be blocked at the time when the first sensor unit 54 senses the position of the sub-drum 50, .
  • the sub-drum 50 can be rotated by inertia.
  • the angle rotated by inertia at low rmp will be very small, which can be ignored or predicted through the current interruption time. Since the position of the sub-drum is known at the sensing time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the stop position of the sub-drum can be predicted at the current interruption time.
  • the position control of the sub drum 50 can be simplified on the premise that the position error due to such a prediction is not large.
  • the rotation and braking of the sub drum 50 for supplying water through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rotating and braking the sub drum 50 in order to feed water through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
  • the controller 100 raises the rpm of the sub-drum 50 so that the sub-drum 50 is slid from the point where the braking is started, 14 can be controlled.
  • the rpm can be set to, for example, 15 to 25 rp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rotation angle at which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is position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18 when the first sensor unit 54 sends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ler 100 is also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unit 54,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and the water supply section 18, as shown in Fig.
  • the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of this example may be set to have the same value as the preset rotation angle, but it may be set to a value smaller than a preset rotation angle of the above example in consideration of the sliding distance of the sub- . ≪ / RTI >
  • the rotation angle of the sub drum 50 may be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unit 25 while the sub drum 50 is rotating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00. [ When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the measured rotation angle has reached the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braking unit 110 to stop the sub-drum 50.
  • the sub drum 50 has various sliding angles to slide from a point where braking is started due to the weight of the laundry and the laundry water contained therein as well as its own weight.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rmp is relatively high, such a sliding angle may vary.
  • the controller 100 corrects the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For example, if the sliding angle of the sub drum 50 is large enough to allow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to pass under the water supply unit 18, the control unit 100 corrects the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value to be small, The preset rotation angle value is increased.
  • the rpm at this time is larger than the above-mentioned 3 rpm and rotates at 15 to 25 rpm, which is lower than 40 to 90 rpm in general washing, so that a very small load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4.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sub drum position while preventing the overload of the driving unit. That is, position control of the number of sub-drums subjected to the correction process to prevent deviation or error is performed, so that accurate position control of the sub-drums can be performed.
  • the driving unit 14 rotates the drum 30 and the sub drum 50 to perform a washing process.
  • washing can be performed through various drum driving motions.
  • the laundry inside the drum 30 can be washed through basket motion and pulsator motion.
  • the basket motion can be a drum-only motion
  • the pulsator motion can be a motion in which the pulsator rotates to form a stream of water inside the drum. Therefore, washing is practically carried out through pulsator motion.
  • washing can be performed not only by such a motion but also by a combination of various motions.
  • Control parameters such as motion combination pattern, motion execution time, RMP, etc.
  • control factors can be changed and performed.
  • the control factors in the actually performed course may be changed.
  • control parameters for the washing operation can be selected by the user, which can be performed through various user interfaces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 the user interface may be for washing through the drum 30.
  • the sub drum 40 is also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washing courses. For example, a separate course for underwear or delicate clothing needs to be performed on the sub drum 40, and a separate course for washing the cleaning tool with a high degree of contamination needs to be performed.
  • the sub-drum 50 In the basket motion, since the drum rotates, the sub-drum 50 also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u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plurality of courses through the sub-drum 50 as the execution time of the basket motion or the RMP is changed.
  •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mounting portion 59 and a cover discharging portion 28 provided on the tub cover 21 shown in Fig. 1
  •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mounting portion 59).
  • the tub cover 21 is positioned substantially above the sub drum 50 when the sub drum 50 is mounted on the drum 30.
  • the sub drum 50 is positioned radially inward of the drum 30 in a state where the sub drum 50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drum 30.
  • the tub cover 21 has a shape radially inwardly extended from a radially outer side of the tub 20. Therefore,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tub cover 21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sub drum 50 at a very close position.
  • the tub cover 21 is coupled to the tub 30 and is easily manufactured to have a single body. That is, it can be integrally formed through plastic injection molding. For this reason, it is highly desirable that the first sensor portion 54 is mounted on the tub cover 21.
  • the first sensor unit 54 may include a first hall sensor 55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cover 21 or provided on an inner edge surface of the tub cover 21.
  • the wash water may be extended to the tub cover 21 and be filled in the tub cover 21.
  • malfunction of the first hall sensor 55 provided on the tub cover 21 may be caused. Therefore, the first sensor portion 54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tub cover 21, while the first sensor portion 54 needs to be protected from moisture such as wash water.
  • a mounting portion 59 to which the first hall sensor 55 is mounted is provided on the tub cover 21 to protect the first hall sensor 55 from the washing water.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a mounting portion 59 is provided on the tub cover 21 for mounting and protecting the first Hall sensor 55. Specifically, the mounting portion 59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hall sensor 55.
  • the first sensor unit 54 includes the first magnet unit 56 and the first hall sensor 55 that senses the first magnet unit 56.
  • the first sensor unit 54 is merely an example, And a reflector for sensing the infrared ray emitted from the infrared sensor. That is, the first sensor unit 54 may be provided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 the sensing part is mounted on the sub drum 50, and the sensing part is mounted on the tub cover 21. When the detected part is sensed through the sensing part,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sub drum is mounted.
  • the first sensor unit 54 is provided in the sub-drum 50 and includes a subject sensing unit 56 and a tub cover 21 that emit signals, and detec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ubject sensing unit 56 And a sensing unit 55, as shown in FIG.
  • the sensing unit 55 may include a first magnet unit 56 or a member for emitting a signal such as an infrared sensor or the like and the sensing unit 55 may include a first Hall sensor 55, And a sensor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signal.
  • the subject sensing unit 56 may be a magnet for generating magnetic force
  • the sensing unit 56 may be a hall sensor for sensing magnetic force.
  • the mounting portion 59 is provided on the tub cover 21, and the sensing portion 55 is mounted.
  • the mounting portion 59 functions to prevent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from contacting the sensing portion 55.
  • the mounting portion 59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217 for receiving the sensing portion 55 and a cover or cover portion 57 formed to cover the receiving portion 217.
  • the covering portion 57 is provided on the tub cover 21.
  • the accommodating portion 217 may be formed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cover 21 downward.
  • an upper protrusion 214 protruding upwar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cover 21 in consideration of the volume occupied by the receiving portion 217 which is downwardly inserted.
  • the accommodating portion 217 is surrounded by the upward projecting portion 214.
  • the receiving part 217 is divided into a sensor seating part 215 on which the sensing part 55 is seated and a buffer part 216 in which water leaking from the outside is temporarily accommodat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lid part 57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tub cover 21 so as to allow the accommodating part cover 57a and the accommodating part cover 57a to selectively close the accommodating part 217 to be rotatable on the tub cover 21 And a hinge portion 57e for engaging with each other.
  • the receptacle cover (57a) functions to open and close the receptacle cover (57a) and functions to make the receptacle (217) watertight from the outside when the receptacle (217) is closed.
  •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for fixing the sensing part 55 seated on the seating part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cover of the receiving part cover 57a.
  • the pair of protrusions functions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sensing unit 55 due to a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sub-drum 50 or an impact caused by a tolerance between the components during rotation.
  • the pair of projections includes an inner support projection 57c and an outer support projection 57b.
  • the inner support protrusions 57c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laundry inlet and the outer support protrusions 57b are disposed farther from the laundry inlet than the inner support protrusions 57c. That is, the outer support protrusions 57b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pport protrusions 57c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sub-drum 50 acts.
  • the outer support protrusion 57b prevents the sensing portion 55 from moving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while the sub drum 50 is rotating.
  • the inner support protrusions 57c prevent the sensing portion 55 from moving toward the center of the sub drum 50 due to the impact generated during rotation of the sub drum 50 or the repulsive force of the outer support protrusions 57b do.
  • the outer support protrusions 57b are longer than the inner support protrusions 57c It can be provided so as to have a high strength. This is because the tub cover is also vib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drum or the sub drum 50.
  • the hinge portion 57e is provided on the tub cover 21 to rotatably support the receiving portion cover 57a.
  • the hinge portion 57e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6 shows a hinge portion 57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extending to connect one end of the tub cover 21 and one end of the receiver cover 57a.
  • the mounting portion 59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tub cover 21, not a separate component to be assembled with the tub cover 21. [ Accordingly, when the tub cover 21 is molded, the mounting portion 59 can be formed at the same time,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ing durability.
  • the mounting portion 59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inge portion 57e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cover 57a both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ub cover 21.
  • it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ceiving portion cover 57a and the receiving portion 217 of the hinge portion 57e. In other words, 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portion and may be folded by being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 the hinge portion 57e is formed inside the tub cover 21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fore, the accommodating portion cover 57a is folded radially outwardly through the hinge portion 57e to cover the accommodating portion. Through this, the hinge portion 57e can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with the tub cover integrally.
  • a fixing part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lid part 57 from opening the receiving part 217 due to an external impact.
  •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cover hook 57a provided in the receiving cover 57a and a hook receiving groove 223 provided in the receiving portion 217 to engage with the cover hook 57a.
  • the cover hook and the hook receiving groove ar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portion 57e.
  • the cover hook 57a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cover 57a.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one end of the housing cover 57a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57e.
  • the cover hook 57a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cover 57a and is bent outwar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cover 57a.
  • the hook receiving groove 223 may be formed by partially embedding an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17.
  • the receiving portion cover 57a closes the receiving portion 217, the cover hook 57a is inserted into the hook receiving groove 223.
  • the receptacle cover (57a) is locked to the receptacle (217).
  • the hook receiving groove 223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217 and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217.
  • the hook receiving groove 223 exposes the inserted cover hook 57a to the outside.
  • the cover hook 57a is extracted from the hook receiving groove 223.
  • the receptacle cover (57a) is unlocked from the receptacle (217).
  • Such a locking and unlocking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in structure,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reduces manufacturing cost.
  • the receiving portion 217 is divided into two spaces so that the sensing portion 55 is seated in one space and the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remaining space is temporarily stored.
  • the receiving portion 217 may be divided into a sensor seating portion 215 on which the sensing portion 55 is seated and a buffer portion 216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hook receiving groove 223. [ Between the sensor seating part 215 and the buffer part 216, a latching protrusion 222 for preventing the flow of water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217 so as to protrude upward.
  •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hook receiving groove 223 is blocked by the latching jaw 222 and does not flow into the sensor mounting part 215 where the sensing part 55 is seated.
  • a sensing unit cover 58 is provided to cover the sensing unit 55 to firmly connect the sensing unit 55 to the sensor mounting unit 215.
  • the sensing unit cover 58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58 Respectively.
  • the fixing protrusion 58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ensor seating portion 215 and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groove 221 for receiving the fixing protrusion 58.
  • the sensing part cover 58 is covered with the sensing part cover 58 and then the sensing part cover 58 is seated in the sensor seating part 215, the sensing part 55 is received firmly in the sensor seating part 215, As shown in Fig.
  • the tub cover 21 is provided with a cover discharge unit 28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cover 21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cover 21.
  • a cover discharge unit 28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cover 21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cover 21.
  • the cover discharge unit 28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cover 21 or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rotrusion 214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cover 21.
  • the cover discharge portion 28 includes a cover groove 285 for accommodating water, a connection channel 283 for guiding the water downward, a cover groove 285, And an upper communication hole 281 communicated with the connection passage 283 and a lower communication hole 282 provided below the tub cover 21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passage 283.
  • the tub cover 21 includes a curved portion 213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the cylindrical side wall,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wall provided with the laundry inlet, and is curved and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tub cover 21 .
  • the washing water When the washing water is received in the tub 20 and the drum 30 is rotated at a high speed, the washing water ris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20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n reaches the curved portion 213 of the tub cover 21, (21). Some of the moving washing water may flow into the cover groove 285 through the lower communication hole 282.
  •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sub drum 5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aundry loading port as shown in FIG.
  • the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hole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79 through the chamber 73 as shown in FIG.
  • the sub drum 50 rotates at a high rotation speed such as dehydration rpm, the washing water can be scattered from the discharge hole 79 and a part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ver groove 285 through the lower communication hole 282.
  • the lower communication hole 282 When the lower communication hole 282 is provided adjacent to the laundry inlet, the washing water flowing from the discharge hole 79 flows into the lower communication hole 282. When the washing water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20, do. In this case, the lower communication hole 282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laundry inlet of the tub cover 21 so that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may be introduced. Because the amount of washing water ris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20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washing water scattered from the discharge hole 79. Therefore, the lower communication hole 282 is provided adjacent to the laundry inlet of the tub cover 21. [
  • connection passage 283 is connected to the lower communication hole 282 and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communication hole 282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communication hole 281.
  •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assage 283 is provided so as to block the connection passage 283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ssage 283 communicates with the upper communication hole 281. Therefore,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connection passage 283 through the lower communication hole 282 collides with the inflow blocking portion, and thus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cover groove 285 is reduced. This is because the inflow blocking portion imparts resistance to the introduced washing water.
  • connection passage 283 extends upward and then is bent toward the cover groove 285. [ The bent connection channel 283 gives resistance to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flow path,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cover groove 285.
  • the cover discharge unit 28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the tub cover 21 at a predetermined angle.
  • a water supply unit 18 for supplying washing water is provided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tub cover 21.
  • the water supply unit 18 receives the wash water from the external water source and supplies it to the drum or the sub drum 50. Since the hose (not shown)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ource is main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water supply unit 18 is also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ub cover 21.
  • the blocking ribs function to block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ortion 18 from moving toward the sensing portion 55 side along the tub cover 21.
  • the shut-off rib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supply part 18 and include a side shut-off rib 211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 cover 21 and a water supply part 18, And a rear blocking rib 212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ub cover 21 an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 cover 21.
  • the side shutoff ribs 211 prevent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8 from moving toward the sensing unit 55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 cover 21.
  • the rear blocking rib 212 blocks the movement of the discharged washing water to the side of the side blocking rib 211 by guiding the laundry to the laundry inlet. Further, the rear blocking rib 212 also serves to prevent the wash water from moving out of the tub and out of the tub.
  • This blocking rib is provid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59 and the water supply portion 18 to block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ortion 18 from moving to the mounting portion 59 and flowing into the sensing portion 55.
  • the sensing unit 55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operates.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save the power lin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ower source and the sensing unit 55 when it is positioned behind the tub cover 21.
  • the sensing unit 55 since the water supply unit 18 is also located behind the tub cover 21, the sensing unit 55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18.
  • the sensing ribs 55 are located between the water supplying unit 18 and the sensing unit 55.
  • the sensing unit 55 may have a plurality of ribs And the plurality of cover discharging portions 28. [0050] As shown in FI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상기 터브의 상단에 구비되며,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커버;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는 피감지부; 및 상기 터브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피감지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에 서브드럼을 장착하여 드럼과 서브드럼에서 의류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및 건조와 세탁을 함께 할 수 있는 건조겸용 세탁기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가 세탁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캐비닛에 구비되어 세탁물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탑 로딩 타입(Top Loading Type)과,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프론트 로딩 타입(Front Loading Type)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프론트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며, 세제,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 및 세탁물의 낙하 충격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드럼 세탁 방식에 의해 세탁을 수행한다. 드럼 세탁 방식은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
탑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내부에 드럼이 구비되고, 드럼 내부에 공급된 세탁수에 세탁물이 잠긴 상태에서 세탁이 이루어지며, 다시 펄세이터(pulsator) 방식과 아지테이터(agitator)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펄세이터 방식은 세탁기의 내부에서 세탁물과 세탁수를 제공받는 드럼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펄세이터로 세탁수와 피세탁물을 회전시켜 세탁을 실행하는 방식이고, 아지테이터 방식은 드럼의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아지테이터로 세탁수와 피세탁물을 회전시켜 세탁을 실행하는 방식이다.
탑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이나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아지테이터 또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과 세제의 작용으로 하여 세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길 정도로 세탁수가 공급되어야만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세탁수가 많이 사용된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드럼에서 세탁물의 세탁과정 즉,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물의 색상이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 적어도 두 번의 세탁과정을 거처야 하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를 작동하는 횟수가 많아져 세탁수, 세제 및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고자 드럼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드럼이 추가되어 사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서브드럼은 세탁수를 터브와 별도로 저장할 수 있으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해 서브드럼 내부에서 수류를 형성시켜 드럼과 별도로 세탁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메인드럼과 서브드럼을 통한 세탁은 서로 분리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인드럼 내부의 세탁수와 서브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세탁수가 섞임으로써 이염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되는 세제가 서로 다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급수되는 세탁수와 배수되는 세탁수도 서로 섞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분리 세탁을 효과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한편, 메인드럼에 서브드럼에 장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의류처리장치의 제어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서브드럼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들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아울러, 메인드럼과 서브드럼의 내외부는 수분과 접촉하는 빈도가 많다. 따라서, 서브드럼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들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메인드럼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메인드럼의 세탁과 서브드럼의 세탁을 분리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세탁수의 급수와 배수가 실질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을 통해서도 충분한 세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뿐만 아니라 메인드럼에도 용이하게 세탁물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에서 배출되는 세탁수가 메인드럼으로 유입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서, 세탁 과정에서는 서브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배출되지 않고 탈수 과정에서만 서브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배수 펌프와 같이 별도의 구동 수단이 서브드럼과 연결되지 않고도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세탁이 진행되는 동안 서브드럼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터브커버에 구비된 센서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터브커버에 고인 물을 신속히 배출하되 배출하는 배출구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종래 구비되는 터브커버에 추가적인 구성을 장착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센서를 터브커버에 장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터브커버에 센서를 장착하는 구조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상기 터브의 상단에 구비되며,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커버;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는 피감지부; 및 상기 터브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피감지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럼에 서브드럼이 장착된 경우 상기 서브드럼의 상단부의 일부는 상기 터브커버보다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터브커버는 상기 터브의 상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감지부는 상기 서브드럼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드럼의 커버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를 상기 터브커버의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피감지부와 감지부의 높이는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양자 사이의 거리를 매우 좁힐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감지부에서 피감지부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가 장착되도록 상기 터브커버에 구비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감지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감지부를 감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터브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터브커버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챔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챔버 내부에 감지부가 삽입되어 둘러싸이게 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터브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수용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커버가 상기 수용부 상부의 개구를 덮어서 상기 챔버 내부를 실질적으로 밀봉시키게 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수용부커버를 상기 터브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커버를 통해서 감지부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터브커버와 일체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며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힌지부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와 수용부커버 사이에서 상기 장착부와 수용부커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가 장착부 및 수용부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수용부커버가 열리는 경우에도 수용부커버가 분리되지 않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터브 커버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부커버가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터브 커버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접히면서 상기 장착부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힌지부의 위치로 인해서 수용부커버와 힌지부가 터브커버와 일체로 형성되기 용이하다. 또한, 힌지부 자체에 틈이 없으므로 힌지부를 통해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커버에 구비되는 커버후크 및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후크와 결합하는 후크수용홈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후크 및 후크수용홈도 터브커버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수용홈은 상기 커버후크가 삽입되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후크가 수용부 내부에서 외부로 상기 후크수용홈에 삽입됨으로써, 이를 통해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감지부가 안착하는 센서안착부 및 상기 후크수용홈을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완충부로 구획됨이 바람직하다. 즉, 수용부 내부에 격벽 내지는 리브를 통해서 센서안착부와 완충부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센서안착부와 상기 완충부 사이에 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용부 내부에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센서안착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커버에는 상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상기 감지부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감지부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는 반경방향 내측과 외측에 구비되며, 한 쌍의 지지돌기 사이에 센서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커버 상부에 고인 물을 상기 터브커버의 하부로 배출하는 커버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배출부는 터브커버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터브커버의 상부를 따라 이동하는 수분은 상기 수용부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커버배출부를 통해 터브커버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터브커버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브커버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터브커버의 상부를 따라 상기 감지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급수부에 인접하여 상기 터브커버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를 향하는 수분은 상기 감지부의 일측에서 상기 커버배출부에 의해 막히고 상기 감지부의 타측에서 상기 차단리브에 의해 막히게 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상기 터브의 상단에 구비되며,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커버;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는 자석부; 상기 터브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를 감지하는 홀센서; 및 상기 터브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홀센서를 상기 터브커버에 장착시키며, 상기 홀센서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홀센서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홀센서에서 상기 자석부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서브드럼이 상기 드럼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는 수분에 강하다. 반면 상기 홀센서는 신호선과 연결되기 때문에 수분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상기 홀센서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상기 홀센서는 상기 자석부와 근접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홀센서를 상기 터브커버에 구비되는 장착부에 장착하되, 상기 장착부를 통해서 홀센서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장착부는,상기 홀센서를 수용하도록 상기 터브커버의 일측이 함입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터브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수용부커버 및 상기 수용부커버를 상기 터브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갖는 덮개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커버에 구비되는 커버후크; 및 상기 커버후크가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일측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후크수용홈;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수용홈은 상기 삽입된 커버후크의 말단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후크는 수용부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상기 후크수용홈에 삽입된다.
상기 수용부는 하부면에 구비되는 걸림턱에 의해 상기 홀센서가 안착하는 센서안착부 및 상기 후크수용홈을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완충부로 구획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의 두께는 상기 수용부 및 수용부커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힌지부가 접힐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부의 위치는 상기 터브커버의 반경 방향 내측이며, 상기 수용부커버는 상기 힌지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커버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브커버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터브커버의 상부를 따라 상기 감지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터브커버 상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터브커버 상부에 고인 물이 상기 터브커버의 하부로 배출하는 커버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단리브와 커버배출부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장착부 자체의 구조에 의한 센서 보호, 차단리브와 커버배출부에 의한 수분 차단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메인드럼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메인드럼의 세탁과 서브드럼의 세탁을 분리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세탁수의 급수와 배수가 실질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을 통해서도 충분한 세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뿐만 아니라 메인드럼에도 용이하게 세탁물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에서 배출되는 세탁수가 메인드럼으로 유입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서, 세탁 과정에서는 서브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배출되지 않고 탈수 과정에서만 서브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배수 펌프와 같이 별도의 구동 수단이 서브드럼과 연결되지 않고도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세탁이 진행되는 동안 서브드럼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터브커버에 구비된 센서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터브커버에 고인 물을 신속히 배출하되 배출하는 배출구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종래 구비되는 터브커버에 추가적인 구성을 장착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센서를 터브커버에 장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터브커버에 센서를 장착하는 구조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드럼에 장착된 서브드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서브드럼이 드럼에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한 터브커버에 구비되는 감지부, 장착부 및 커버배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은 도 8에서 도시된 감지부가 장착된 장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도시된 커버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10), 캐비닛(10)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미도시), 캐비닛(10)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터브(20), 그리고 상기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을 위하여 상기 드럼(3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 내부에서 회전에 의해서 드럼 내부와 터브 내부의 세탁수의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는 상기 드럼(30)과 펄세이터(3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3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의 세탁이 드럼(30)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5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세탁을 위한 세탁수와 도어 등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는 모두 세탁수라 칭하며, 드럼(30)은 메인 드럼으로 명칭할 수 있다.
도 1에는 모터가 직접 회전축(17)과 연결되어 드럼(30)을 구동하는 직결식 구동 구조가 도시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세탁물의 투입을 위해 캐비닛(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11)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는 캐비닛(1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도어(미도시)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드럼(30) 및 서브드럼(50) 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드럼(30) 및 서브드럼(50)의 내부로부터 세탁물을 빼낼 수 있다.
한편, 드럼(30) 및 서브드럼(50)으로 세제가 포함된 물 또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는 깨끗한 물을 급수하도록 급수부(18)가 캐비닛 커버(11)에 구비된다.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드럼(30) 및/또는 서브드럼(5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8)를 통해서 배출된 세탁수는 드럼(30)으로만 공급될 수도 있으며 서브드럼(50)으로만 공급될 수 있다. 드럼(30)과 서브드럼(50)은 물리적으로 세탁물 수용 공간을 분리할 뿐만 아니라, 드럼(30) 내부와 서브드럼(50) 내부로 공급되는 세탁수도 분리할 필요가 있다. 즉, 서브드럼(50) 내부로 공급된 세탁수가 드럼(30) 내부로 유입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제한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세탁물의 오염 정도가 다를 수 있고, 세탁물의 종류 또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세제의 종류도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의 분리뿐만 아니라 세탁수의 분리 또한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하게 될 서브드럼(5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터브(20)의 내부를 통해 드럼(30)으로 급수되거나 서브드럼(50)으로 급수된다. 즉, 서브드럼(50) 내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 드럼(30) 내부로 급수할 수 있고, 드럼(30) 내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 서브드럼(50) 내부로 급수할 수 있다. 드럼(30) 내부와 서브드럼(50)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는 세탁 과정에서 섞이지 않고, 탈수 및 배수 과정에서도 적어도 드럼(30) 내부 및 서브드럼(50) 내부에서 섞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브(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된 채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터브(20)는 상단부에 설치되는 터브커버(21)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커버(21)는 드럼(30) 상단 및 장착된 상태에서의 서브드럼(50)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터브커버(21)에는 캐비닛(10)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세탁물 투입구(580)이 형성된다. 상기 세탁물 투입구(580)을 통해서 드럼 내부로 세탁물이 투입되거나 서브드럼 내부로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다.
터브(20)는 하부면이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4)과 댐퍼(2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터브(20)는 하부면이 스프링(24)과 댐퍼(23)에 의해 직접 지지되므로 자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터브(20)는 드럼(30)과 달리 구동부(14)로부터 별도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도 1에서는 스프링(24)과 댐퍼(23)가 터브(20)의 하부면에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프링(24)과 댐퍼(23)는 필요에 따라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댐퍼(23)는 터브(20)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스프링(24)은 터브(20)의 상부면에 연결되며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터브(20)의 하부면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연결된다. 배수장치는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11), 일단이 터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수펌프(11)에 연결되어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수펌프(11)로 안내하는 제1 배수관(12) 및 일단이 배수펌프(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캐비닛(10) 일측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수펌프(11)로부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수관(13)을 포함한다. 제1 배수관(12)은 터브(20)의 진동이 배수펌프(11)에 전달되지 않도록 밸로우즈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14)는 로터(15)와 스테이터(16)로 이루어진 모터와 로터(15)에 연결되는 회전축(17)을 포함하며, 내부에 클러치(미도시)가 구비됨에 따라 구동력을 드럼(30)과 펄세이터(35)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에 고정된 채 드럼(30)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구동부(14)는 펄세이터(35)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펄세이터(35)과 드럼(30)에 구동력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회전축(17)이 드럼(30)에 고정된 채 펄세이터(35)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구동부(14)는 드럼(30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펄세이터(35)과 드럼(30)에 구동력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위에서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와 드럼(3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채 나머지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에 의해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와 드럼(30)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구조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채 세탁물이 투입되도록 형성된 드럼(30) 및 드럼(3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드럼(50)이 구비된다.
드럼(30)은 상부가 개방되며 횡단면이 대략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이 회전축(17)에 직결되어 구동부(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드럼(3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통공(33)이 측벽 즉, 윈주면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통공(33)을 통하여 드럼(30)은 터브(2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터브(20)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면 드럼(30)은 세탁수에 잠기면서 일부 세탁수가 통공(33)을 통하여 드럼의 내부로 인입된다.
드럼(30)은 상단부에 구비되는 드럼커버(31)를 포함한다. 드럼커버(31)는 중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터브커버(21)의 하측에 배치된다. 드럼커버(31)의 상부면과 터브커버(21)의 하측면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배출유로(47)가 형성된다. 배출유로(47)는 서브드럼(50)의 측면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세탁수가 터브(20)의 내부로 안내한다.
드럼(30) 내부에 구비되는 세탁수는 드럼의 통공(33)을 통해서 터브의 내측벽과 터브의 하측벽으로 유입되어 배수된다. 그리고, 서브드럼(50) 내부에 구비되는 세탁수는 서브드럼(50)의 상부를 통해서 터브의 내측벽으로 유입된다. 즉, 배출유로(47)를 통해서 드럼(30)과 터브(20) 사이의 측부 간격을 통해서 흐른 뒤 터브의 하측벽으로 유입되어 배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30)과 서브드럼(50) 내부의 세탁수는 배수될 때 드럼(30)과 서브드럼(50) 내부에서 서로 섞이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드럼(30)과 서브드럼(50)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도 서로 섞이지 않게 된다.
드럼커버(31)는 세탁물이 투입되거나 서브드럼(50)이 장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드럼커버(31)는 제1드럼의 내부에서 세탁물이 쏠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밸런서(311)가 내측에 구비된다.
또한, 드럼커버(31)는 서브드럼(50)이 탈착 가능하도록 내주면에 제1 요철부(312)가 구비되며, 서브드럼(5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요철부(312)와 형합하는 제2요철부(535)가 구비된다. 양자의 형합에 의해서 원주 방향으로 서브드럼(50)과 드럼(30)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전체 세탁과정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부(100, 도 6 참조) 및 제동부(110, 도 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후술하게 될 서브드럼(50)의 각도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제1 센서부(54) 및 제2 센서부(25)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드럼(50)의 각도 제어는 급수를 위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동일 급수부를 통한 급수가 드럼(30) 내부로 수행될지 아니면 서브드럼(50) 내부로 수행될지가 상기 서브드럼(50)의 각도 제어를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제1 센서부(54)는 서브드럼(50)의 회전수를 감지하도록 제1 홀센서(Hall sensor, 55) 및 제1 자석부(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홀센서(55)는 터브(20) 커버의 상면에 구비되거나 터브(20)커버의 내측 테두리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되는 구성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자석부(56)는 제1 홀센서(55)에 의해 감지되도록 서브드럼(5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이 회전하면 제1 홀센서(54)가 제1 자석부(56)를 감지한 후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일한 홀 센서 및 단일한 자석으로 이루어진 제1 센서부(54)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센서부(54)는 복수의 홀 센서 및 복수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단일 홀 센서에 복수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자석은 기설정된 각도를 갖는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홀 센서에서 하나의 자석이 구비되는 경우, 서브드럼(50)의 1회전 당 홀 센서는 하나의 자석 감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나의 홀 센서에서 일례로 3개의 자석이 구비되는 경우, 서브드럼(50)의 1회전 당 홀 센서는 3 개의 자석 감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54)를 통해서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부(54)를 통해서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드럼(30)의 1회전 당 제1 홀센서(54)가 3 개의 자석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제1 홀센서(54)가 2 개의 자석 감지 신호만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는, 서브드럼(50)이 정상적으로 드럼(30)에 장착되지 못한 경우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정상적으로 서브드럼(50)이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 서브드럼(50)과 드럼(30)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즉, 드럼(3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서브드럼(5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3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2 센서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2 센서부(25)가 구비되며, 제2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드럼(3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부(25)는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도록 단일한 제2 홀센서(26) 및 제2 자석부(2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홀센서(26)는 터브(20)의 하부면 하측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자석부(27)는 제2 홀센서(26)에 의해 감지되도록 로터(15)의 상부면 외주를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30)이 회전하면 제2 홀센서(26)는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한 후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낸다. 제2 센서부(25)는 드럼(30)의 정확한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2 자석부(27)의 자석들이 등 간격으로 로터(15)에 구비되며, 구비되는 자석의 갯수가 증가할 수록 드럼(30)의 회전각도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즉, 제2 센서부(25)에 의해 로터(15)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드럼(30)의 회전각도를 판단한다. 한편, 상기 제2 센서부(25)는 스테이터에 구비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홀센서 및 로터에 구비되어 로터와 함께 회전하는 복수 개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로터(15)의 회전각도는 별도의 센서 없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로터(15)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드럼(30)의 회전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일정한 주파수의 상전류가 모터에 흐르도록 한 후,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로터(15)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00)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예를 들어,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등)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킨다.
특히, 제어부(100)는 제1 센서부(54)와 제2 센서부(25)가 생성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4),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18) 및 회전하는 드럼(30)을 제동하는 제동부(110) 등을 제어한다. 특히, 드럼(30)의 회전 각도 제어를 통해서 서브드럼(50)의 회전 각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원하는 회전 각도에서 서브드럼(50)이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동부(110)는 회전하는 드럼(30)에 제동력을 가하여 드럼(30)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기설정된 회전 각도에서 드럼(30) 및 서브드럼(50)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서브드럼(50)에 대하여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5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서브드럼(50)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표시된 A-A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드럼(30)에 장착된 서브드럼(5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서브드럼(50)은 드럼(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드럼(30)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드럼(50)은 용기 형상을 갖게 되며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세탁물의 투입되고 회수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세탁수가 서브드럼 내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서브드럼의 횡단면은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브드럼(50)은 드럼(30)과 분리되어 세탁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을 색상이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나누어 수용시킨 후 동시에 세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횟수가 감소함과 동시에 세탁수, 세제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오염 정도에 따라서 세탁물을 분리하거나 세탁물의 용도에 따라서 세탁물을 분리할 수도 있다. 일례로, 속옷과 같은 세탁물이나 청소에 사용되는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다. 따라서, 감성적으로 분리 세탁 만족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급수 및 배수 또한 분리가 수행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분리 세탁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서브드럼(50)은 드럼(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세탁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 없다. 왜냐하면, 서브드럼은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서브드럼(5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 서브드럼바디(53), 서브드럼바디(53)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서브드럼커버(51), 서브드럼(50)의 고속회전시 서브드럼(50)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70) 및 드럼(30)에 안착한 서브드럼(50)을 드럼(30)에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 고정부(93)를 포함한다.
서브드럼바디(53)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에 세탁수의 수류를 형성하도록 마찰리브(53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와 같은 탑 로딩 타입의 경우, 세제의 작용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드럼의 회전 등에 의해 형성된 수류에 의한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로 인하여 세탁이 이루어진다. 서브드럼바디(53)는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황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드럼보다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에 의해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와류에 의해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이 증가하므로, 서브드럼(50)은 타원형의 횡단면에 의해 세탁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서브드럼바디(53)는 내주면을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곡률부(C1) 및 제1 곡률보다 더 작은 제2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 곡률부(C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곡률부(C1)는 서브드럼바디(5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 곡률은 드럼커버(31)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주면 곡률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곡률부(C2)는 서브드럼바디(5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제1 곡률부(C1)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되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제2 곡률은 제1 곡률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즉, 제1 곡률부(C1)와 제2 곡률부(C2)는 서브드럼바디(53)의 횡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구비된다.
또한, 서브드럼바디(53)는 내주면은 서브드럼(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근거리부(C2)와 서브드럼(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더 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원거리부(C1)로 구분할 수 있다. 원거리부(C1)는 제1 곡률부(C1)에 대응하며, 근거리부(C2)는 제2 곡률부(C2)에 대응한다.
한편, 근거리부(C2)와 드럼커버(31)의 내주면이 서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이격됨에 따라 후술하게 될 제1 급수유로(573)가 형성된다.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 중 제2 곡률부(C2)가 가리키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면이 아닌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곡률부(C2) 보다 근거리부(C2)로 명칭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곡률부(C1), 제2 곡률부(C2), 원거리부(C1), 근거리부(C2), 결합부(C1) 및 이격부(C2)는 특정 영역을 가리킨다. 위 특정 영역에 포함되면 모두 위의 용어로 명칭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브드럼바디(53) 및 서브드럼커버(51) 각각의 일 부분을 위 용어를 사용하여 명칭한다.
도 4와 도5에서는 서브드럼(50)의 높이 전체에 대해서 횡단면이 타원 형상이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근거리부(C2)는 하나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근거리부(C2)는 서브드럼바디(53)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서브드럼커버(51)의 전체적인 형상은 원형이며, 서브드럼커브(51) 하부에서 실질적으로 세탁수를 수용하는 서브드럼바디(51)만 근거리부(C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부는 드럼 상부에서 드럼 내부로 수직으로 관통하는 공간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드럼커버(51)에서는 근거리부에 해당하는 관통부(미도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부(18)을 통해서 서브드럼(50)을 거치지 않고 세탁수를 수직 낙하시켜 드럼 내부로 직접 공급하기 위해서, 서브드럼(50)의 전체적인 형성은 반드시 타원일 필요는 없다. 상하 관통하기 위한 서브드럼바디(51)의 근거리부를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근거리부를 상기 급수부(18)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드럼의 회전 각도 제어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서브드럼바디(53)는 드럼(30)이 원주면에 통공(33)이 구비되는 것과 달리 서브드럼(50)은 원주면에 통공(33)이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드럼바디(53)는 세탁수와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세탁수가 원주면이나 하부면을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는 통공(33)을 통하여 드럼(30)의 내부로 인입될 뿐이며 서브드럼(50) 내부로 인입되지 않는다.
마찰리브(534)는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마찰리브(534)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복수 개로 구비되며, 서브드럼바디(5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리브(534)는 서브드럼바디(53)의 회전 시 세탁수와의 마찰력에 의해 세탁수를 서브드럼바디(53)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마찰리브(534)는 후술하게 될 가이드 리브(531)와 형상 및 기능이 다르다.
서브드럼커버(51)는 서브드럼바디(53)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횡단면이 서브드럼바디(53)의 횡단면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드럼커버(51)의 원주면 역시 제1 곡률부(C1)와 제2 곡률부(C2)로 구분되며, 제1 곡률부(C1)는 원거리부(C1)로 명칭할 수 있으며, 제2 곡률부(C2)는 근거리부(C2)로 명칭할 수 있다. 또한, 서브드럼바디(53)의 제1 곡률부(C1) 및 제2 곡률부(C2)와 달리 서브드럼커버(51)는 제1 곡률부(C1)가 드럼커버(31)의 내주면에 결합하므로 이격부(C2)로 명칭될 수 있으며, 제2 곡률부(C2)가 드럼커버(3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이격부(C2)로 명칭될 수 있다.
서브드럼커버(51)는 세탁물 투입을 위한 상부면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580) 그리고 사용자가 파지할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드럼커버(51)는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서브드럼(50)의 내부로 안내하는 내측 급수가이드(560) 그리고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서브드럼(50)의 외측을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안내하는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급수부(18)를 통해서 급수되는 세탁수가 원활히 서브드럼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드럼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외측 급수가이드(560)는 급수부(18)를 통해서 급수되는 세탁수가 원활히 드럼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서브드럼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서브드럼커버(51)는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을 순환하는 세탁수가 충돌에 의해 흐르는 방향이 바뀌어 상부로 끌어올려진 후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부로 낙하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리브(531)를 포함한다.
손잡이부(510)는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10)는 대향되는 위치에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510)는 서브드럼커버(51)의 제1 곡률부(C1) 즉, 원거리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사용자가 드럼(30)으로부터 서브드럼(50)을 분리할 때의 충격에 의해 세탁수의 쏠림이 발생하는 경우, 서브드럼(50)은 한 쌍의 원거리부(C1)를 통과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좌우로 흔들리는 롤링이 발생할 수 있다. 손잡이부(510)가 제2 곡률부(C2) 즉, 근거리부(C2)에 인접하여 구비되면, 서브드럼(50)의 상하진동을 진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하여야 하므로 손잡이부(510)는 원거리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에 구비되되, 원거리부(C1) 즉 결합부(C1)에 구비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오목부(561) 및 급수홀(562)을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561)는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에 부딪힌 후 주위로 흩어지지 않도록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급수홀(562)은 오목부(561)의 내측면 중 세탁물 투입구(580)를 향하는 측에 형성되어 세탁물 투입구(580)와 오목부(561)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가 오목부(561)로부터 급수홀(562)을 통해 세탁물 투입구(580)로 가이드 됨에 따라, 급수홀(562)은 세탁수를 서브드럼(50)으로 가이드 하는 제2 급수유로(56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오목부(561)에 일시적으로 저장됨에 따라 서브드럼커버(51) 주위로 흩어지지 않으며, 이후 급수홀(562) 즉 제2 급수유로(562)를 통해 세탁물 투입구(580)로 배출되어 서브드럼(50) 내부로 안내된다.
한편, 오목부(561) 및 급수홀(562)은 손잡이부(510)의 하측에 형성됨에 따라 서브드럼커버(51)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서브드럼커버(51)에 구비되되, 근거리부(C2) 즉, 이격부(C2)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내측 급수가이드(560)로부터 이격된 채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내측 급수가이드(560) 및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하나의 급수부(18)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서브드럼(50)은 드럼(30)과 함께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따라서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내측 급수가이드(560)로부터 분리되어 구비되더라도 단일한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드럼(30) 및 서브드럼(50)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이격부(C2)의 모서리 부분이 서브드럼커버(51)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바닥면이 서브드럼커버(51)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이격부(C2)와 드럼(3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1 급수유로(573)를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안내된다.
가이드 리브(5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 하측에 구비되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리브(531)는 일측면이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플레이트 형상의 가이드 리브(531)는 상측이 서브드럼커버에 결합하고 일측면이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바디(53) 내부의 세탁수는 서브드럼(50)의 회전력에 의해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다가 가이드 리브(531)와의 충돌에 의해 흐름의 방향이 바뀌어 상승할 수 있을 뿐만 충돌 후 흐름의 방향이 바뀌어 서브드럼(50)의 중심부를 향해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리브(531)는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부를 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며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수직부(532) 및 서브드럼바디(53)의 바닥을 향하는 하측면에 형성되며 리브 수직부(532)로부터 서브드럼(50)의 중심부로부터 내주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리브 경사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 경사부(533)는 서브드럼(50)의 내주면과 예각을 이루며 서브드럼바디(53)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리브 경사부(533)가 가이드 리브(531)의 하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서브드럼바디(53) 내부를 세탁수와 함께 회전하여 유동하는 세탁물이 덜 간섭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유동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세탁물간의 마찰이 증가하여 세탁력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리브(531)에 리브 경사부(533)가 형성되어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드럼(50)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부의 세탁수의 수면보다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의 세탁수의 수면이 더 높다. 따라서, 가이드 리브(531)에 리브 경사부(533)가 형성되어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가 가이드 리브(531)에 충돌하여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서브드럼(50)이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 리브(531)를 서브드럼커버(51)의 근거리부(C2)에 배치함으로써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으로부터 근거리부(C2)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과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부(C1)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은 동일하다. 따라서, 세탁수의 높이가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으로부터 근거리부(C2)까지의 가상의 단면를 통과할 때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부(C1)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할 때보다 더 높이 형성되므로, 서브드럼(50)이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더라도 가이드 리브(531)는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531)는 세탁수와 충돌하는 일면 및 일면에 반대편에 위치한 타면이 세탁수가 흐르는 방향을 향하여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리브(531)를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볼 때, 하부 단면의 폭이 상부 단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가이드 리브(531)를 일면 및 타면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도 4상에서 서브드럼(50)의 가로길이가 399mm이고 높이가 309.2mm일 때, 가이드 리브(531)는 높이(H)가 70mm이고 폭(W)이 65mm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후술하는 경사 가이드(581)와 함께 높은 세탁력을 발휘한다. 다른 수치는 동일하고 가이드 리브(531)의 높이(H)가 50mm 및 90mm로 각각 설정한 상태에서 실험을 하면, 일부 오염물질에 대해 좀 더 우수한 세탁력을 보이나 평균값은 가이드 리브(531)의 높이(H)가 70mm로 설정된 상태보다 낮다. 한편, 이러한 수치는 실험에 의한 일 예에 불과하며 서브드럼(50)과 가이드 리브(531)의 형상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리브(5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부(C2)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거리부(C1)에 추가로 각각 구비되어 총 두 쌍을 이룰 수도 있다.
경사 가이드(581)는 가이드 리브(531)의 상측에 구비되어 서브드럼(50)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경사 가이드(581)는 가이드 리브(531)의 상측에 위치한 세탁물 투입구(580)의 내측 즉,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경사 가이드(581)가 없다면, 가이드 리브(531)에 의해 상승한 세탁수는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의 상부를 거쳐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의 하측을 따라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한 후 포물선을 그리면서 서브드럼바디(53)의 내부로 자유낙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사 가이드(581)가 설치되면, 세탁수는 자유낙하하지 않는다. 즉, 세탁수는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의 하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사 가이드(581)에 하면에 의해 하측으로 급격하게 이동 방향이 변경되는 흐름(45)을 형성한다. 즉, 수평방향 성분의 속도의 일부가 수직방향 성분의 속도로 전환된다. 급격하게 이동 방향이 변경된 세탁수는 자유낙하하는 것보다 강하게 서브드럼바디(53)에 수용된 세탁물에 충돌한다. 이때 경사 가이드(581)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한 경사각(θ)이 대략 10도로 설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세탁수의 이동방향이 변경되는 각도는 이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바디에 수용된 세탁물에 매우 강한 충격을 전달하여 세탁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위에서 경사각(θ)이 대략 10도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수치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러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서브드럼(50)이매우 빠른 회전속도로 회전하면, 서브드럼(50)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수가 서로 충돌하여 세탁물 투입구(580) 측으로 튀어 오르게 된다. 이때 경사 가이드(581)는 튀어 오른 세탁수가 상면을 따라 서브드럼(50)내부로 이동하는 흐름(46)이 형성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서브드럼(50)은 외주면에는 밸런서(311)의 내주면에 제1 요철부(312) 맞물린 채 안착하도록 형성된 제2 요철부(535)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요철부(535)는 서브용기바디(53)의 외주면 중 결합부(C1)에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는 서브용기커버(51)의 외주면에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용기바디(53)에 수용된 세탁수 및 세탁물의 무게에 의해 서브용기커버(51)가 서브용기바디(53)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요철부(312)는 드럼커버(3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 요철부(312)의 상단부에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들이 연속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요철부(312)는 드럼커버(31)의 내주면의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는 서브드럼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만 서브드럼의 외주면은 근거리부(C2)와 원거리부(C1)로 구획되며 원거리부가 드럼커버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제2 요철부(535)는 원거리부에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들이 연속해서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의 돌기들은 제1 요철부(312)의 돌기들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드럼(30)의 회전력이 서브드럼(50)에 전달되어 드럼(30)의 회전할 때 서브드럼(50) 역시 드럼(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한편, 서브드럼(50)은 고속회전 시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70)를 포함한다. 배출부(70)는 제1 곡률부(C1) 즉, 원거리부(C1)에 각각 인접하여 구비되며,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에 의해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수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드럼(50)에 의한 세탁과정과 드럼(30)에 의한 세탁과정은 서로 분리된다. 이를 위해 드럼(30)에 대한 급수와 서브드럼(50)에 대한 급수가 분리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세탁 시에는 서브드럼(50)에 공급된 세탁수가 드럼(30)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서브드럼(50)의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고, 배수 및 탈수 시에는 서브드럼(50)으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서브드럼(50)은 세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세탁 rpm으로 회전 시 세탁수가 서브드럼(50) 내부에 보전되어야 하며 탈수를 수행하기 위하여 세탁 rpm보다 더 큰 탈수 rpm으로 회전 시 세탁수가 서브드럼(50)으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이때 배출부(70)는 서브드럼(50)이 세탁 rpm보다 큰 탈수 rpm으로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이 세탁수에 작용하는 경우에만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출부(70)는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챔버(미도시)가 형성되며, 챔버로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유입홀(미도시), 챔버에서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출홀(79)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70)는 유입홀이 챔버의 하부면에 구비되되 서브드럼(50)의 측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유입홀 전체 면적이 세탁수가 부딪히는 챔버의 하부면의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유입홀로 세탁수가 유입될 때 1차 저항이 발생하며,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승하는 세탁수가 원심력을 이기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해야 하는 2차 저항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배출부(70)는 배출홀(791)이 유입홀의 상부에 구비되되 서브드럼(5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유입홀을 통해 챔버로 유입되면, 서브드럼(5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중력을 이기고 상승하여야 하는 3차 저항이 추가로 발생한다.
따라서, 서브드럼(50)이 탈수 rpm보다 낮은 세탁 rpm으로 회전하면, 세탁수는 서브드럼(50) 내부에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즉, 서브드럼(50)이 미리 설정된 탈수 rpm 대역에서만 회전하는 경우에 한해서 세탁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물론, 배수밸브나 배수펌프와 같은 제어 대상이 되는 구성이 없이도 이러한 선택적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서브드럼(50)은 세탁수와 세탁물을 수용하는 바디(53)와 바디(53)의 상부에 결합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515)가 형성되는 서브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요철부(535)가 바디(53)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바디(53)에 수용된 세탁수 및 세탁물의 무게에 의해 서브커버가 바디(53)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출부(70), 가이드리브(531), 손잡이부(510), 내측 급수가이드(560) 및 외측 급수가이드(570) 역시 서브커버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서브커버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53)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하부커버(52), 하부커버(52)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커버(5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부(70)의 챔버(미도시)는 하부커버(52)와 상부커버(5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된다. 여기서 유입홀은 하부커버(52)에 구비된다. 배출홀(79)은 하부커버(52)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배출홀(791)과 상부커버(51)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배출홀(792)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유입홀을 통해 챔버로 유입된 후 제2배출홀(792) 및 제1배출홀(791)로 이루어진 배출홀(79)을 거쳐 배출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이루는 오목부(561)는 하부커버(52)와 상부커버(5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커버(52)의 상부면은 오목부(561)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부커버(51)의 함입되는 부분 중 일부는 오목부(561)의 경사면을 형성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이루는 급수홀(562)은 손잡이부(510)와 하부커버(52)의 상부면과의 이격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세탁을 시작하기 전 또는 세탁을 위한 급수를 수행하기 전에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브드럼이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제1 센서부(54)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그 이후에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서브드럼이 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 드럼(30)과 서브드럼(50)으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드럼(30)으로의 급수와 서브드럼(50)으로의 급수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하나의 급수부(18)를 통해서 드럼(30) 및 서브드럼(50)으로 급수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급수가 수행된다. 이러한 순차 급수 과정은 제2 센서부(25), 제어부(100), 급수부(18), 구동부(14) 및 제동부(1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제1 센서부(54) 및 제2 센서부(25)가 발신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거나, 제1 센서부(54)가 발신하는 감지신호 및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를 기초로 소정의 판단과정을 거쳐 급수부(18), 모터(14) 및 제동부(110)를 제어한다. 제2 센서부(25)가 발신하는 감지신호와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는 모두 제어부(100)가 드럼(30)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드럼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제2 센서부(25)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급수하기 위한 구성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드럼(30) 내지는 서브드럼(50)의 위치 제어는 급수를 위해서 수행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손잡이부(510)의 위치 제어를 위해서 드럼(50) 내지는 서브드럼(50)의 위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510)를 잡고 드럼(30)에서 서브드럼(50)을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51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510)의 위치가 결정되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손잡이부(510)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드럼(30)의 위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서브드럼(50)의 분리가 가능한 시점에 서브드럼(50)의 위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일시정지하기 위하여 또는 세탁을 종료하기 위하여 위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드럼(50)이 특정 위치에서만 드럼(30)에 장착되는 경우, 장착 편이를 위해서 드럼(30)의 위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브드럼(50)의 장착이 가능한 시점에 드럼(50)의 위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서브드럼(50) 없이 세탁하면서 일시정지하기 위하여 도는 서브드럼(50) 없이 세탁하고 세탁을 종료하기 위하여 위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드럼 및/또는 서브드럼(50)의 회전 위치 제어(기설정 위치에서 드럼 및/또는 서브드럼(50)의 정지)는 급수를 위해서 수행될 수도 있지만 서브드럼(50)의 장착 및/또는 분리의 편의를 위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1)는 하나 이상의 세탁코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세탁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별도의 컨트롤패널이 구비된다. 컨트롤패널은 각종 세탁코스를 입력 받는 입력부와 입력 받은 세탁코스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에는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코스가 마련되고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코스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의류처리장치(1)는 서브드럼(50)이 장착되면, 미리 입력된 복수의 세탁코스 중 장착된 서브드럼(50)에 대응하는 세탁코스를 결정하여 수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이 구비되지 않는 기존의 의류처리장치(1)에 서브드럼(50)을 장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의 의류처리장치(1)의 컨트롤패널을 별도로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드럼(30)만을 통한 세탁인지 드럼(30)과 서브드럼(50)을 통한 세탁인지 판단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드럼을 회전시키게 된다(S610). 즉, 서브드럼(50)이 장착되었는지와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드럼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판단은 드럼(30)에만 세탁수를 공급하여야 하는지 또는 드럼(30)과 서브드럼(50)으로 세탁수를 공급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우선 드럼(30)이 회전하도록 구동부(14)를 제어한다(S610). 드럼(30)이 회전하면 제2 센서부(25)는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낸다.
한편, 제1 센서부로부터 정상적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서브드럼의 미장착 또는 서브드럼의 이상 장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센서부(25)에 의해 드럼(30)의 회전각도가 360도인 것으로 감지되는 동안 제1 센서부(54)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30-N).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급수부(18)로부터 세탁수가 드럼(30)으로 배출되는 급수를 수행한다(S670). 이 경우, 급수를 위하여 드럼의 위치 제어는 수행되지 않게 된다. 즉, 외측 급수가이드(570) 혹은 내측 급수가이드(560)가 급수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동부(18)와 제동부(110)를 제어하지 않는다.
서브드럼(50)의 이상 장착으로 판단되면 알림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센서부를 통해 정상적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서브드럼의 정상 장착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센서부(25)에 의해 드럼(30)의 회전각도가 360도인 것으로 감지되는 동안 제1 센서부(54)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00)는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30-Y).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정상적으로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급수를 위하여 서브드럼(50)의 위치 제어를 수행한다.
일례로, 제어부는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켜 드럼(30)으로 급수하는 메인급수를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급수 이후 서브드럼(50)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킨 후 서브드럼(50)으로 급수하는 서브급수를 수행하게 된다(S650). 물론, 서브급수 후 메인급수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급수가 시작되면 우선 급수부(18)를 통해 세탁수가 배출된다. 배출된 세탁수는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통해 서브드럼(50)으로 공급되며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통해 드럼(30) 즉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서브드럼(50)을 회전시켜 내측 급수가이드(560)와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급수부(18)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는 각도제어가 수행된 후 급수가 수행된다.
일 예를 들면, 제어부(100)는 급수를 위해 서브드럼(50)이 매우 낮은 rpm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rpm은 일 예로 3 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센서부(54)가 감지신호를 제어부(100)로 보내면, 제어부(100)는 제1 센서부(54)가 감지신호를 제어부(100)로 보낸 시점으로부터 서브드럼(50)을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만큼 회전시켜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각도는 제1 센서부(54), 외측 급수가이드(570) 및 급수부(18)의 배치관계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서브드럼(50)이 매우 낮은 rpm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2 센서부(25)에 의해 서브드럼(50)의 회전각도가 측정되어 제어부(100)로 전달된다. 제어부(100)는 측정된 회전각도가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서브드럼(50)이 정지하도록 제동부(110)를 제어한다.
서브드럼(50)의 rpm이 매우 낮으므로 서브드럼(50)이 제동부(110)가 작동하는 시점으로부터 슬라이딩하는 거리가 무시할 정도로 매우 작다. 서브드럼(50)이 제동부(110)에 의해 제동되면,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거의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서브드럼(50)의 위치 수정 없이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통해 드럼(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서브드럼(50)의 rpm이 매우 낮으므로 제1 센서부(54)에서 서브드럼(50)의 위치를 감지하는 시점 또는 이후 기설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구동부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서브드럼(50)은 관성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낮은 rmp에서 관성에 의해 회전되는 각도는 매우 작을 것이며 이는 무시할 수 있거나 전류 차단 시점을 통해서 예측 할 수 있다. rpm을 알고 있고 제1 센서부를 통해서 센싱 시점에서 서브드럼의 위치를 알고 있으므로, 전류 차단 시점에서 서브드럼의 정지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예측에 의한 위치 오차가 크지 않다는 전제에서 서브드럼(50)의 위치 제어는 보다 간단해 질 수 있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통해 급수하기 위해 서브드럼(50)의 회전시켜 제동하는 것은 상술한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통해 급수하기 위해 서브드럼(50)의 회전시켜 제동하는 원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보다 정확한 서브드럼(50)의 위치 제어를 위한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100)는 서브드럼(50)의 rpm을 상승시켜 서브드럼(50)이 제동이 시작되는 지점으로부터 슬라이딩하도록 구동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rpm은 일 예로 15 내지 25 rpm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예에서 제1 센서부(54)가 감지신호를 제어부(100)로 보낼 때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회전각도 역시 제1 센서부(54), 외측 급수가이드(570) 및 급수부(18)의 배치관계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다만, 본 예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는 일 예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와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서브드럼의 슬라이딩하는 거리를 고려하여 위의 일 예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위의 일 예와 마찬가지로,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동안 제2 센서부(25)에 의해 서브드럼(50)의 회전각도가 측정되어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측정된 회전각도가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서브드럼(50)이 정지하도록 제동부(110)를 제어한다.
서브드럼(50)은 자체 무게뿐만 아니라 수용된 세탁수 및 세탁물의 무게로 인하여 제동이 개시되는 지점으로부터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각도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rmp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서 이러한 슬라이딩 각도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제2 센서부(25)가 서브드럼(50)의 슬라이딩 각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하면, 제어부(100)는 위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를 수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0)는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급수부(18)의 하측을 지나칠 정도로 서브드럼(50)의 슬라이딩 각도가 크면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 값이 작아지도록 수정하고 그 역의 경우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 값이 커지도록 수정한다. 이 때의 rpm은 전술한 3 rpm보다 크고 일반적인 세탁 시 40~90 rpm 보다 낮은 15 내지 25 rpm으로 회전하는 것에 그치므로 구동부(14)에 매우 적은 하중을 가한다. 따라서, 구동부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정확한 서브드럼의 위치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즉, 편차 내지는 오차를 방지하기 위한 보정 과정을 거친 수 서브드럼의 위치제어가 수행되므로, 정확한 서브드럼의 위치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급수가 이루어진 후, 구동부(14)가 드럼(30)과 서브드럼(50)을 회전시켜 세탁과정을 수행한다.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경우, 다양한 드럼 구동 모션을 통해서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바스켓(basket)모션과 펄세이터(pulsator)모션을 통해서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바스켓 모션은 드럼만 회전하는 모션일 수 있으며, 펄세이터 모션은 펄세이터만 회전하여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모션일 수 있다. 따라서, 펄세이터 모션을 통해서 실질적으로 세탁이 수행된다. 물론, 이러한 모션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션의 조합을 통해서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
모션의 조합 패턴, 모션의 수행 시간, RMP 등의 제어 인자들은 선택된 코스에
따라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코스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선택하는 옵션 정보에 따라서, 제어 인자들이 변경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오염 정도, 세탁수 온도, 탈수 RMP, 헹굼 횟수, 세탁수 수위 등과 같은 옵션 정보에 따라서, 실제 수행되는 코스에서의 제어 인자들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수행을 위한 제어 인자들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컨트롤패널에 마련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드럼(30)을 통한 세탁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드럼(30)에 서브드럼(50)이 장착되어 세탁이 수행되는 경우, 서브드럼(40)의 세탁 또한 다양한 형태의 코스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서브드럼(40)에서 속옷이나 섬세의류를 위한 별도의 코스가 수행될 필요가 있고, 오염 정도가 심한 청소 도구의 세탁을 의한 별도의 코스가 수행될 필요도 있다.
바스켓 모션의 경우 드럼이 회전하기 때문에, 서브드럼(50) 또한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바스켓 모션의 수행 시간이나 RMP을 변경함에 따라서 서브드럼(50)을 통해서 복수 개의 코스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드럼의 특정 코스를 수행함과 동시에 또는 특정 코스의 수행과 복합적으로 서브드럼의 특정 코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서브드럼의 코스 선택이나 이에 해당하는 옵션 선택을 위해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컨트롤패널에 부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8 및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1 센서부(54) 특히 상기 제1센서부(54)를 장착하는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한 터브커버(21)에 구비되는 장착부(59) 및 커버배출부(28)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9은 도 8에서 도시된 감지부(55)가 장착된 장착부(59)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터브커버(21)는 상기 드럼(30)에 서브드럼(50)이 장착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상기 서브드럼(50)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드럼(50)은 드럼(30)의 상부보다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드럼(30)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터브커버(21)는 터브(20)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확장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터브커버(21)의 반경방향 내측은 서브드럼(50)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커버(21)는 터브(30)와 결합되는 구성이며 단일 몸체를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통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터브커버(21)에 제1센서부(54)를 위치시켜 장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1 센서부(54)는 터브커버(21)의 상면에 구비되거나 터브커버(21)의 내측 테두리면에 구비되는 제1 홀센서(55)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드럼(50)이 회전하거나 급수부(18)로부터 급수가 진행되는 경우, 세탁수가 터브커버(21)에까지 튀어 터브커버(21)에 고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커버(21)에 구비된 제1 홀센서(55)의 오작동이 유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센서부(54)를 터브커버(21)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반면, 제1 센서부(54)를 세탁수와 같은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제1 홀센서(55)를 세탁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터브커버(21)에 제1 홀센서(55)가 장착되는 장착부(59)가 구비된다. 즉, 제1 홀센서(55)의 장착과 보호를 위하여 터브커버(21)에 장착부(59)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부(59)는 상기 제1 홀센서(55)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센서부(54)는 제1 자석부(56)와 제1 자석부(56)를 감지하는 제1 홀센서(55)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적외선센서와 적외선센서에서 발신된 적외선을 감지하는 반사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피감지부와 감지부를 통해서 제1 센서부(54)가 구비될 수 있다. 피감지부는 서브드럼(50)에 장착되는 구성이며, 감지부는 터브커버(21)에 장착되는 구성이다. 감지부를 통해서 피감지부를 감지하는 경우, 서브드럼이 장착된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하, 제1 센서부(54)는 서브드럼(50)에 구비되어 신호를 발신하는 피감지부(56) 및 터브커버(21)에 구비되어 피감지부(56)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55)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피감지부(56)는 상술한 제1 자석부(56) 또는 적외선센서 등과 같은 신호를 발신하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지부(55)는 제1 홀센서(55) 또는 반사부 등과 같은 발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피감지부(56)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이며 감지부(56)는 자력을 감지하는 홀 센서일 수다.
장착부(59)는 터브커버(21)에 구비되며, 감지부(55)가 장착된다. 장착부(59)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감지부(55)에 닿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장착부(59)는 터브커버(21)에 구비되며 감지부(55)를 수용하는 수용부(217)와 수용부(217)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 내지는 덮개부(57)를 포함한다.
수용부(217)는 터브커버(21)의 상부면 일측이 하방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방으로 함입되는 수용부(217)가 차지하는 부피를 고려하여 터브커버(21)의 상부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방돌출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217)는 상방돌출부(214)에 의해서 둘러싸이게 된다.
수용부(217)는 감지부(55)가 안착하는 센서안착부(215)와 외부로부터 물이 새어 들어오는 물이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완충부(216)로 구획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덮개부(57)는 터브커버(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용부(217)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수용부커버(57a) 및 수용부커버(57a)를 터브커버(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57e)를 포함한다.
수용부커버(57a)는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수용부(217)를 폐쇄 시 수용부(217)를 외부로부터 수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용부커버(57a)에는 안착부에 안착된 감지부(55)를 고정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가 수용부커버(57a)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돌기는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 또는 회전 시 구성간의 공차 등에 의해 유발되는 충격 등으로 인해 감지부(55)의 이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 쌍의 돌기는 내측지지돌기(57c)와 외측지지돌기(57b)를 포함한다.
내측지지돌기(57c)는 세탁물 투입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외측지지돌기(57b)는 내측지지돌기(57c)보다 세탁물 투입구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즉, 외측지지돌기(57b)는 내측지지돌기(57c)로부터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외측지지돌기(57b)는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동안 감지부(55)가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내측지지돌기(57c)는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충격이나 외측지지돌기(57b)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감지부(55)가 서브드럼(50)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탈수를 수행하기 위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서브드럼(50)에 의한 원심력은 서브드럼(50)에 미치는 다른 힘보다 상당히 크므로, 내측지지돌기(57c)보다 외측지지돌기(57b)가 더 길고 높은 강도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왜냐하면, 드럼이나 서브드럼(50)의 진동에 의해서 터브커버도 진동하기 때문이다.
힌지부(57e)는 터브커버(21)에 구비되어 수용부커버(57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힌지부(57e)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터브커버(21)의 일측과 수용부커버(57a)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 힌지부(57e)가 일 예로 도시된다.
한편, 장착부(59)는 터브커버(21)에 조립되는 별도의 부품이 아닌 터브커버(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커버(21) 성형 시 장착부(59)는 동시에 성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내구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부(59)는 힌지부(57e)와 수용부커버(57a)가 모두 터브커버(2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일체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57e) 수용부커버(57a)와 수용부(217)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다른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됨으로써 접힘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57e)는 터브커버(21)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힌지부(57e)를 통해서 수용부커버(57a)가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접히면서 수용부를 덮게 된다. 이를 통해서, 힌지부(57e)를 터브커버와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덮개부(57)가 수용부(217)를 폐쇄한 경우, 외부의 충격에 의해 덮개부(57)가 수용부(217)를 개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는 수용부커버(57a)에 구비되는 커버후크(57a) 및 수용부(217)에 구비되어 커버후크(57a)와 결합하는 후크수용홈(2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커버후크와 후크수용홈은 상기 힌지부(57e)의 반대편에 형성되게 된다.
커버후크(57a)는 수용부커버(57a)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타단부는 힌지부(57e)에 결합되는 수용부커버(57a)의 일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커버후크(57a)는 수용부커버(57a)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용부커버(57a)의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후크수용홈(223)은 수용부(217)의 내측면의 일부분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커버(57a)가 수용부(217)를 폐쇄할 때, 커버후크(57a)가 후크수용홈(223)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커버(57a)는 수용부(217)에 록킹된다.
한편, 후크수용홈(223)은 수용부(217)의 내부와 수용부(217)의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크수용홈(223)은 삽입된 커버후크(57a)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이러한 구조하에서는 외부로부터 힘이 커버후크(57a)에 가해지면 커버후크(57a)가 후크수용홈(223)으로부터 추출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커버(57a)는 수용부(217)로부터 록킹 해제된다. 이러한 록킹 및 록킹해제구조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된다.
후크수용홈(223)이 수용부(217)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면 후크수용홈(223)으로부터 물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물의 유입을 방지하고자 커버후크(57a)를 후크수용홈(223)에 억지끼움되도록 제작하면 록킹 및 록킹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용부(217)는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하나의 공간에는 감지부(55)가 안착되도록 하고 나머지 하나의 공간에는 유입될 물이 일시적으로 머물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217)는 감지부(55)가 안착하는 센서안착부(215) 및 후크수용홈(223)을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완충부(216)로 구획될 수 있다. 센서안착부(215)와 완충부(216) 사이에는 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턱(222)이 수용부(217)의 하부면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수용홈(223)을 통해 유입된 물은 걸림턱(222)에 가로막혀 감지부(55)가 안착된 센서안착부(215)로 유입되지 않으며 시간이 흐르면 자연 증발되어 소멸된다.
감지부(55)를 센서안착부(215)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감지부(55)에 씌워지는 감지부커버(58)가 구비되며, 감지부커버(58)에는 고정돌기(58)가 구비된다. 고정돌기(58)는 센서안착부(215)의 하면에 함입 형성되어 고정돌기(58)를 수용하는 고정돌기홈(221)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감지부(55)에 감지부커버(58)를 씌운 후 센서안착부(215)에 안착시키면 고정돌기가 고정돌기홈(221)에 수용됨에 따라 감지부(55)가 보다 견고하게 센서안착부(215)에 고정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커버(21)는 터브커버(21)의 상부에 고인 물을 터브커버(21)의 하부로 배출하는 커버배출부(28)가 구비된다. 터브커버(21)의 상부에 물이 고이면 고인 물이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해 감지부(55)로 이동하여 유입되어 감지부(55)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배출부(28)는 터브커버(21)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터브커버(21)의 상부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방돌출부(214)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버배출부(28)는 터브커버(21)의 상부면 일측이 하방으로 함입 형성되어 물을 수용하는 커버홈(285), 물을 하부로 안내하는 연결유로(283), 커버홈(285)에 구비되어 연결유로(283)와 연통되는 상부연통홀(281) 및 터브커버(21)의 하측에 구비되어 연결유로(283)와 연통되는 하부연통홀(282)을 포함한다.
한편, 터브커버(21)는 세탁물 투입구가 구비되는 상부면, 원통형의 측벽 및 상부면과 측벽을 연결하며 만곡되되 터브커버(21)의 중심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만곡부(213)를 포함한다.
터브(20)에 세탁수가 수용되고 드럼(30)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세탁수는 원심력에 의해 터브(20)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다가 터브커버(21)의 만곡부(213)를 만나 터브커버(21)의 중심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동하는 세탁수 중 일부는 하부연통홀(282)을 통해 커버홈(285)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서브드럼(50)의 배출부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투입구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서브드럼(50)에 세탁수가 수용된 채 서브드럼(50)이 회전하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챔버(73)를 거쳐 배출홀(79)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서브드럼(50)이 탈수 rpm과 같이 높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면, 세탁수는 배출홀(79)로부터 비산되어 일부가 하부연통홀(282)을 통해 커버홈(285)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하부연통홀(282)은 세탁물 투입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면 배출홀(79)로부터 비산되는 세탁수가 유입되며, 만곡부(213)에 인접하여 구비되면 터브(20)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수가 유입된다. 이 경우 하부연통홀(282)은 적은 양의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터브커버(21)의 세탁물 투입구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터브(20)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수의 양이 배출홀(79)로부터 비산되는 세탁수의 양보다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부연통홀(282)은 터브커버(21)의 세탁물 투입구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한편, 연결유로(283)는 하부연통홀(282)과 연결되며 하부연통홀(28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연통홀(281)과 연결된다. 연결유로(283)의 상부는 유입차단부가 연결유로(283)를 가로막도록 구비되며 되며, 연결유로(283)의 측면은 상부연통홀(281)과 연통된다. 따라서 하부연통홀(282)을 통해 연결유로(283)에 유입된 세탁수는 유입차단부와 충돌하며 이에 따라 커버홈(285)으로 유입되는 양이 줄어든다. 유입차단부가 유입된 세탁수에 저항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연결유로(283)는 상방으로 연장된 후 커버홈(285)을 향하여 절곡된다. 절곡된 연결유로(283)는 유로를 따라 흐르는 세탁수에 저항을 부여하여 커버홈(285)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양을 줄인다.
이러한 커버배출부(28)는 터브커버(21)에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터브커버(21)의 후방 상부에는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18)가 구비된다. 급수부(18)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드럼이나 서브드럼(50)에 공급한다. 외부 수원과 연결되는 호스(미도시)는 주로 의류처리장치의 후방에 구비되므로 급수부(18) 역시 일반적으로 터브커버(21)의 후방에 구비된다.
한편, 급수부(18)로부터 급수가 시작되면 터브커버(21)의 상부면에 세탁수의 일부가 튀어 고인 후 터브커버(21)의 상부면을 따라 흐를 수 있다. 흐르는 세탁수는 감지부(55)로 유입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차단리브가 구비된다.
차단리브는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물이 터브커버(21)를 따라 감지부(55)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단리브는 도 5 및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부(18)와 양 측면에 구비되되 터브커버(21)의 원주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측방차단리브(211)와 급수부(18)의 하측에 구비되되 터브커버(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후방차단리브(212)를 포함한다.
측방차단리브(211)는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터브커버(21)의 원주방향을 따라 감지부(55)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후방차단리브(212)는 배출된 세탁수가 세탁물 투입구로 안내하여 측방차단리브(21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한다. 나아가 후방차단리브(212)는 세탁수가 터브를 벗어나 터브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차단리브는 장착부(59)와 급수부(18) 사이에 구비되어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장착부(59)로 이동하여 감지부(55)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감지부(55)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따라서 터브커버(21)의 후방에 위치하면, 전원과 감지부(55)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력선 절감을 위해 유리하다. 이 경우 급수부(18) 역시 터브커버(21)의 후방에 위치하므로 감지부(55)는 급수부(18)의 측방에 위치한다. 차단리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급수부(18)와 감지부(55) 사이에 위치한다.따라서, 상기 감지부(55)는 터브커브(21)의 상부에서 자체적인 구조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리브들과 복수 개의 커버배출부(28)를 통해서 세탁수의 유입되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20)

  1.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상기 터브의 상단에 구비되며,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커버;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는 피감지부; 및
    상기 터브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피감지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장착되도록 상기 터브커버에 구비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감지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감지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터브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터브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수용부커버; 및
    상기 수용부커버를 상기 터브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터브커버와 일체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와 수용부커버 사이에서 상기 장착부와 수용부커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터브 커버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부커버가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터브 커버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접히면서 상기 장착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커버에 구비되는 커버후크 및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후크와 결합하는 후크수용홈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수용홈은 상기 커버후크가 삽입되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감지부가 안착하는 센서안착부 및 상기 후크수용홈을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완충부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센서안착부와 상기 완충부 사이에 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커버는
    상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상기 감지부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감지부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커버 상부에 고인 물을 상기 터브커버의 하부로 배출하는 커버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커버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브커버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터브커버의 상부를 따라 상기 감지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급수부에 인접하여 상기 터브커버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상기 터브의 상단에 구비되며,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커버;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는 자석부;
    상기 터브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를 감지하는 홀센서; 및
    상기 터브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홀센서를 상기 터브커버에 장착시키며, 상기 홀센서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홀센서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홀센서를 수용하도록 상기 터브커버의 일측이 함입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터브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수용부커버 및 상기 수용부커버를 상기 터브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갖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커버에 구비되는 커버후크; 및 상기 커버후크가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일측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후크수용홈;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수용홈은 상기 삽입된 커버후크의 말단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하부면에 구비되는 걸림턱에 의해 상기 홀센서가 안착하는 센서안착부 및 상기 후크수용홈을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완충부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두께는 상기 수용부 및 수용부커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위치는 상기 터브커버의 반경 방향 내측이며, 상기 수용부커버는 상기 힌지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커버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브커버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터브커버의 상부를 따라 상기 감지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터브커버 상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터브커버 상부에 고인 물이 상기 터브커버의 하부로 배출하는 커버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단리브와 커버배출부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CT/KR2018/007573 2017-07-04 2018-07-04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eased WO2019009615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8296986A AU2018296986B2 (en) 2017-07-04 2018-07-04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BR112020000156-2A BR112020000156B1 (pt) 2017-07-04 2018-07-04 Aparelho de tratamento de roupas para lavar
US16/611,731 US11105036B2 (en) 2017-07-04 2018-07-04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1880045008.6A CN110832133B (zh) 2017-07-04 2018-07-04 衣物处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85A KR102411846B1 (ko) 2017-07-04 2017-07-04 의류처리장치
KR10-2017-0084685 2017-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9615A1 true WO2019009615A1 (ko) 2019-01-10

Family

ID=6495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7573 Ceased WO2019009615A1 (ko) 2017-07-04 2018-07-04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05036B2 (ko)
KR (1) KR102411846B1 (ko)
CN (1) CN110832133B (ko)
AU (1) AU2018296986B2 (ko)
WO (1) WO20190096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0920A1 (zh) * 2021-08-02 2023-02-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密封盖及洗衣机、洗烘一体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2192A (ja) * 2001-03-29 2002-10-08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水位検出装置
JP2013013659A (ja) * 2011-07-06 2013-01-24 Toshiba Corp 洗濯機
KR20150077059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2016154641A (ja) * 2015-02-24 2016-09-0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乾燥機
KR20160127681A (ko) * 2015-04-27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506B1 (ko) 1998-08-28 2006-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터브커버구조
JP4613925B2 (ja) * 2007-04-04 2011-0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槽式洗濯機
JP2013022395A (ja) * 2011-07-26 2013-02-04 Hitachi Appliances Inc 二槽式洗濯機
BR102013025343B1 (pt) * 2013-10-01 2021-08-17 Whirlpool S.A. Sistema de detecção de cesto removível de lavadora e método para detecção de cesto removível de lavadora
KR20150106680A (ko) * 2014-03-12 201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6637801B (zh) * 2016-08-24 2019-09-20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
KR102565504B1 (ko) * 2016-08-25 2023-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2192A (ja) * 2001-03-29 2002-10-08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水位検出装置
JP2013013659A (ja) * 2011-07-06 2013-01-24 Toshiba Corp 洗濯機
KR20150077059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2016154641A (ja) * 2015-02-24 2016-09-0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乾燥機
KR20160127681A (ko) * 2015-04-27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45A (ko) 2019-01-14
AU2018296986B2 (en) 2020-10-22
CN110832133A (zh) 2020-02-21
US11105036B2 (en) 2021-08-31
CN110832133B (zh) 2021-10-22
BR112020000156A2 (pt) 2020-07-14
US20200102691A1 (en) 2020-04-02
AU2018296986A1 (en) 2019-12-05
KR102411846B1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37172A1 (ko) 세탁기
WO2011053091A2 (en) Washing machine
WO2017026711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217810A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19009609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3365487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8088814A1 (ko) 세제박스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WO2018088810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3277415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7146472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7188755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8199433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009615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9009617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9009613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9139454A1 (ko) 세탁기
WO2019009621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9132602A1 (ko) 세탁물 처리기기
WO2016175557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203509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9039775A1 (ko) 세탁기
WO2019066608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3277399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7188754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9066613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291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296986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80704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0000156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20000156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20010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291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