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2171B1 -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 - Google Patents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171B1
KR100352171B1 KR1020000019557A KR20000019557A KR100352171B1 KR 100352171 B1 KR100352171 B1 KR 100352171B1 KR 1020000019557 A KR1020000019557 A KR 1020000019557A KR 20000019557 A KR20000019557 A KR 20000019557A KR 100352171 B1 KR100352171 B1 KR 100352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igonucleotide
oligonucleotides
support
hydrophobic
fixed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6003A (ko
Inventor
김재종
차선호
Original Assignee
(주) 제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노텍 filed Critical (주) 제노텍
Priority to KR102000001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171B1/ko
Priority to EP01917930A priority patent/EP1287163A4/en
Priority to PCT/KR2001/000514 priority patent/WO2001079544A1/en
Priority to US10/257,528 priority patent/US20040033503A1/en
Priority to AU2001244806A priority patent/AU2001244806A1/en
Priority to JP2001577526A priority patent/JP2003530861A/ja
Publication of KR20010096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1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277Apparatus
    • B01J2219/00497Features relating to the solid phas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277Apparatus
    • B01J2219/00497Features relating to the solid phase supports
    • B01J2219/00527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583Features relative to the processes being carried out
    • B01J2219/00585Paralle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583Features relative to the processes being carried out
    • B01J2219/00596Solid-phase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583Features relative to the processes being carried out
    • B01J2219/00603Making arrays on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s
    • B01J2219/00639Making arrays on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s the compounds being trapped in or bound to a porous medium
    • B01J2219/00641Making arrays on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s the compounds being trapped in or bound to a porous medium the porous medium being continuous, e.g. porous oxid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583Features relative to the processes being carried out
    • B01J2219/00603Making arrays on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s
    • B01J2219/00659Two-dimensional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583Features relative to the processes being carried out
    • B01J2219/00603Making arrays on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s
    • B01J2219/00677Ex-situ synthesis followed by deposition on the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709Type of synthesis
    • B01J2219/00711Light-directed synthe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718Type of compounds synthesised
    • B01J2219/0072Organic compounds
    • B01J2219/00722Nucleot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말단 일측에 소수성기를 부착시키고 이 소수성기를 지지체에 도포된 소수성 막에 결합시킴으로써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고정시키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고정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은 지지체에 일정 조건하에서 고형화될 수 있는 소수성의 고정층을 도포하는 단계; 3'- 또는 5'-말단에 소수성기를 가지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수용액을 상기 고정층 상의 일정 부위에 점적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층을 고형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공유결합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지지체 및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변형시키기 위한 복잡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높은 결합 효율로 다양한 종류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동시에 부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Method for attaching oligonucleotide to solid support and the oligonucleotide array prepared by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디제이션을 기초로 하는 유전진단, 분석 및 DNA 칩 분야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지지체에 고정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하는 하이브리디제이션은 각종 유전자를 탐색하는 방법으로 생명공학 관련 전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는 기술이며, 최근에는 이를 기본원리로 고밀도 집적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 즉, DNA 칩이 기존의 전통적인 젤(gel-based) 방법을 대치하여 유전적 돌연변이, 유전형질 발현, 염기서열결정 등 빠르고 경제적인 유전연구의 도구로 급부상하여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지지체에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효율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까지 유리, 실리콘, 니트로셀룰로우즈 막 또는 폴리스타이렌과 같은 지지체에 미리 합성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고정하거나 또는 직접 지지체 상에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합성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직접 지지체 상에서 합성하는 방법은 고밀도 DNA 어레이에 적합하다. 그러나 진단 등 많은 분야에서는 미리 합성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나 PCR 등으로 만들어진 유전자 조각을 이용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현재까지는 DNA와 지지체 표면을 결합반응기로 각각 활성화시켜 상호간의 공유결합을 이용하는 방법과 수동 부착방법(passive adsorption)이나 아비딘-바이오틴 친화성 결합 또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파이롤 또는 니트로셀룰로오즈 용액과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섞은 후 공중합시키는 비공유 결합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또 유리판에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을 형성시킨 후 젤표면을 활성화시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와 공유결합을 유도하는 3차원적 기능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패드법도 제시되었다.
좀더 구체적으로, PCR 등으로 만들어진 DNA 조각을 유리 지지체에 결합하기 위하여 스탠포드대의 패트릭 브라운은 유리판을 폴리-L-라이신으로 코팅하고 3xSSC에 녹인 DNA를 점적한 후 UV 조사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 방법은 비특이적 결합율이 높다.
이러한 비특이적 결합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Chrisey 등은 티올을 가하여 변형시킨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와 아미노실란을 가하여 변형시킨 실리카 슬라이드 또는 n-형 Si 웨이퍼 지지체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아민/설프하이드릴 이형 양기능 크로스링커(heterobifunctional crosslinker)를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고정밀도 162-234fmol/㎟, 하이브리디제이션 효율 9.3-76.1% (15-178pmol/㎟)을 나타낸다고 보고한 바 있으나(Linda A. Chrisey 등 (1996)Nucleic Acids Res. 24, 3031-3039) 이 방법은 다양한 염기로 구성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경우 효율이낮아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종류에 따라 사용이 제한된다.
또한, Michael 등은 DNA 마이크로어레이를 위해 이황화-변형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멀켑토실란으로 변형된 지지체에 크로스링커 없이 d(T)10스페이서만을 사용하여 직접 고정하는 방법을 보고하였다(Yu-Hui Roger 등 (1999)Anal. Biochem., 266, 23-30). 이 방법은 기존의 고정방법에서 대두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상의 다른 반응기로 인한 비특이적 고정을 최소화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고정율(3×105oligo/㎛2)과 하이브리디제이션 효율(16%)을 보이고 있으며, 지지체 표면의 소수성 특징은 점적 후 건조상태에 따라 형성되는 '도우넛(doughnut)' 효과와 다양한 종류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동시에 고밀도 점적시 발생할 수 있는 혼합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Joos 등은 카르복실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와 아미노기로 변형시킨 지지체간의 아미노/카르복시 양기능 크로스링커(EDC)를 이용한 고정방법을 보고하였다 (Beda Joos 등(1997)Anal. Biochem., 247, 96-101). 그들에 의하면 고정시 EDC 반응 pH에 따라 고정효율은 다르게 나타나며 최고 고정밀도는 160fmole/㎟이었다. 하이브리디제이션의 최적조건은 고정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상에 스페이서로 약 15개 이상의 염기가 필요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스페이서를 필요로 하는 또다른 예로 Smith 등은 지지체를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실실란으로 처리하고 이를 p-페닐렌다이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5' 아미노-변형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와 공유결합을 이루도록 하였다(Zhen guo등(1994)Nucleic Acids Res. 22, 5456-5465). 이들에 의하면 최고고정밀도는 330fmole/㎟이며, 스페이서로 d(T)15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공유결합을 이용하는 방법은 모두 별도의 크로스링커를 준비해야 하고 고형매질(본 명세서의 "지지체"와 동일한 개념으로, 본 명세서에서 혼용함) 표면과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에 각각 상호 결합할 수 있는 반응기를 유도하는 전처리를 하여야 하므로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비공유결합 방법인 수동 부착 방법으로는 지지체로 폴리스타이렌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Nikiforov T.T. 등(1995)Anal. Biochem., 227, 201-209). 이는 염이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DNA 용액을 그대로 지지체와 반응,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염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골격의 포스페이트와 폴리스타이렌 표면의 음전하 간의 반발력을 줄이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전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음전하간의 반발력을 줄임으로써 폴리스타이렌과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간의 전기적 반발력을 최소화시켜 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 방법으로 고정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고정효율은 1.1pmol/well이었으며 하이브리디제이션은 최고 50%까지 나타났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이기는 하나 상용할 수 있는 지지체가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 바이오틴-아비딘 친화성 결합을 이용하는 방법(Syvanen, A.C. 등(1998)Nucleic Acids Res. 16, 11327-11338)은 고형매질과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에 아비딘과 바이오틴을 각각 결합시키는 전처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시료 제조 단가가 매우 높아진다.
코폴리머화 방법은 5'-말단에 아크릴아미드기를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아크릴아마이드와 섞고 이 용액을 실란으로 처리된 유리슬라이드 위에 점적한 후 코폴리머화시킴으로써 올리고의 염기부위가 밖으로 노출된 폴리머층이 유리표면에 형성된다(Farah N. Rehman, 등 (1999)Nucleic Acids Res. 27, 649-655). 이 방법은 고정율은 83-84%(약 200fmol/㎟)로 매우 높으나 이에 비해 하이브리디제이션은 상기 고정조건 하에서 약 15%로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높은 결합효율성과 안정성을 가지며 하이브리디제이션을 위해 올리뉴클레오타이드를 특정 방향으로 결합하도록 지지체에 부착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수의 다양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에 대하여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올리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부착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올리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부착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지지체에 고정된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와 일반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하이브리디제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지지체에 고정시킨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상보성/비상보성 형광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농도별로 하이브리디제이션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지지체에 동일한 조건으로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고정시킨 후 하이브리디제이션을 시행하여 재현성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4는 고정율 및 하이브리디제이션 효율을 확인하기 위한 형광크기의 표준곡선이다.
도 5는 농도별로 지지체에 고정된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상보성 형광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농도별로 하이브리디제이션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체 상에 일정 조건 하에서 고형화될 수 있는 소수성의 고정층을 도포하는 단계; 3'- 또는 5'-말단에 소수성기를 결합시킨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수용액을 상기 고정층 상의 일정 부위에 점적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층을 고형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 상에 도포된 고형화된 소수성의 고정층을 일정 조건 하에서 유동화시키는 단계; 3'- 또는 5'-말단에 소수성기를 결합시킨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수용액을 상기 고정층 상의 일정 부위에 점적하는 단계; 상기 고정층을 고형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는 상기 3'- 또는 5'-말단에 소수성기를 결합시킨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대신 5'-말단에 소수성기를 결합시킨 프라이머로부터 증폭된 PCR 증폭산물을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층은 바람직하게는 중합 또는 중축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또는 PCR 증폭산물 또는그 프라이머에 결합되는 소수성기는 바람직하게는 다이메톡시트리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 즉, 지지체 상에 도포된 고정층에 복수개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5'-말단 또는 3'-말단에 결합된 소수성기가 고정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지지체는 유리, 실리콘,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또는 폴리스타이렌과 중합체 등, DNA 칩에 이용되는 지지체는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뿐 아니라, 프라이머로 증폭된 PCR 증폭산물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DNA 합성은 ① 염기 단량체 또는 이량체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5'-OH의 보호기, 예컨대 다이메톡시트리틸기(dimethoxytrityl group; DMT)를 제거시켜 5'-OH를 활성화시키는 탈보호(deprotection) 단계, ② 탈보호된 5'-OH를 새로운 염기 단량체와 포스파이트트리에스테르 결합을 형성시키는 커플링 단계, ③ 포스파이트트리에스테르 결합을 안정적인 포스포러스로 변화시키는 산화 단계 ④ 반응하지 않고 남은 5'-OH를 다이메톡시트리틸기(dimethoxytrityl group; DMT) 등을 이용하여 불활성화(본 명세서에서 "보호(protection)"와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됨)시키는 캡핑(capping) 단계;와 같은 4단계의 일련의 과정의 반복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합성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5'-OH는 보호기(protection group)로 보호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경우 5' 말단의 보호기를제거하는 "탈보호 단계"를 거쳐서 합성되거나, 최종합성 후 5'-보호기를 제거하고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고정층으로는 일정 조건 하에서 고형화될 수 있는 다양한 소수성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중합 또는 중축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 폴리머의 단위체인 모노머를 적당한 용매에 녹여 유동성 있는 상태로 만든 후 지지체 상에 도포함으로써 고정층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PVC 수지 또는 자외선이나 빛에 의해 고형화되는 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정층은 지지체 상에 도포된 후 고형화되기 전에 말단 일측에 소수성기가 결합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수용액을 고정층 상에 점적한 후 소수성기가 소수성인 고정층 내에 소수성 상호반응(hydrophobic interaction)하게 한 다음 고정층을 폴리머리제이션 등으로 고형화시킬 수 있다. 고정층을 폴리머리제이션 또는 고형화시키는 방법은 사용되는 고정층 성분의 특성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건조시키거나 자외선 조사 등의 방법으로 고형화시킬 수 있다.
또는, 지지체 상에 미리 고정층을 도포하고 고형화시켜 두었다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지지체 상에 도포된 고형화된 소수성의 고정층을 일정 조건 하에서 예컨대 유기용매를 일정량 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유동화시킨 후 말단 일측에 소수성기를 결합시킨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수용액을 상기 고정층 상의 일정 부위에 점적하고 상기 고정층을 다시 고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용해시키는 용매로는 친수성이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용해시키는 용매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나 적당한 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3'- 또는 5'-말단 소수성기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용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3'- 또는 5'-말단에 소수성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합성 종료후 5'-말단에 부착된 소수성 보호기를 제거할 필요 없이 그대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한 예로,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제조용 DNA 단량체는 5'-말단이 DMT로 보호되어 있는 예가 많은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제조 후 최종단계에서 결합된 뉴클레오타이드의 5'-말단에 부착된 DMT를 제거할 필요 없이 그대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DMT제거공정 즉, 탈보호공정 및 다른 링커를 결합시키는 공정이 생략되므로 전체 공정이 종래 방법에 비하여 훨씬 간단해지고 비용 또한 현저히 저감된다. 필요한 경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제조 후 남아 있는 5'-말단의 보호기를 제거하고, 소수성의 또다른 보호기를 말단 일측 즉, 3'- 또는 5'-측에 결합시킨 후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말단 일측에 결합시키는 소수성기는 필요에 따라 3'- 또는 5'-말단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지지체 상에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특정 방향으로 결합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때 3'-말단에만 또는 5'-말단에만 소수성기를 결합시킴으로써 지지체에 부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말단 일측에 소수성기가 결합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하므로서 이 소수성기가 결합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수용액을 고정층 상에 제공하면 친수성 및 소수성의 동일 성질간의 친화성과 다른 성질간의 반발력으로 인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에 결합된 소수성기 부위는 상대적으로 소수성인 고정층에,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친수성 부위, 즉 DNA는 고정층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상태로 유지된다(도 6 참조). 먼저, 지지체(10) 상에 고정층(20)을 도포한다. 이 고정층이 유동상태에 있을 때 예컨대, 모노머가 폴리머리제이션되지 않았을 때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수용액(30)을 고정층 상에 점적한다. 이때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말단 일측에 결합된 소수성기(31)는 소수성 고정층 상에 소수성 결합을 하게 되고, 친수성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측(32)은 지지체와 반대편에 위치하게 된다. 고형화 단계를 거쳐 고정층이 고형화됨으로써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지지체에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층을 건조(또는 고형화)시킴으로써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하이브리디제이션을 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로 방향성을 갖고 지지체 상의 고정층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는 정확하게 5'-말단 또는 3'-말단의 소수성기 부분이 지지체 쪽에 부착되고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지지체 반대쪽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하이브리디제이션시 입체 방해(steric hindrance)에 의한 영향이 없다는 점이 또다른 장점이다.
본 발명에서 지지체는 유리, 실리콘,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또는 폴리스타이렌과 중합체 등, DNA 칩에 이용되는 지지체는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제조
DNA 합성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서열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합성하였다. 다음 서열들은 임의의 인공서열이며, 본 발명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특성과는 관계 없이 모든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에 적용할 수 있다.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1(30mer) :
5'-DMT-GCT TTG GGG CAT GGA CAT TGA CCC GTA TAA-3'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2(30mer) :
5'-DMT-GCT TTG GGG CAT GGT TAT TGA CCC GTA TAA-3'
일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1(30mer) :
5'-GCT TTG GGG CAT GGA CAT TGA CCC GTA TAA-3'
일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2(30mer) :
5'-GCT TTG GGG CAT GGT TAT TGA CCC GTA TAA-3'
합성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암모니아 용액을 처리하여 합성시 사용된 고형 지지체로부터 분리하였다.
이중 일부는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사용하기 위해 1M 트리스(pH 8) 완충용액을 최종농도 100mM이 되도록 적정량을 첨가한 후 진공윈심분리건조기로 건조시켰으며 이를 0.1xTE, pH 8 완충용액으로 녹여 정량하였다. 1xTE, pH 8 완충용액으로 2, 20, 50, 100, 200pmol/ul의 다양한 농도로 희석 후 냉동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DMT기가 결합되지 않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본 명세서에서 "일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라 함)는 암모니아 처리후 COP 칼럼을 사용하여 DMT기를 제거한 상태로 정제하고 완전히 말린 후 1xTE, pH8 완충용액으로 적정농도로 녹여 냉동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위의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1과 2는 일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1, 2와 각각 염기구성은 같으며 5'말단에 소수성 DMT기의 유무에 의해 구별된다.
또, 하이브리디제이션 확인에 사용하고자 위에서 합성된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1 및 일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1과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가지며 3'-말단에 형광물질이 결합된 상보성 형광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5'-말단에 형광물질이 결합된 비상보성 형광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합성후 COP 칼럼으로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상보성 형광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24mer) :
5'-TAC GGG TCA ATG TCC ATG CCC CAA-Fluoroscein-3'
비상보성 형광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21mer) :
5'-Fluoroscein-GTG GTT TCA CCT ACG ACA CTA-3'
실시예 2: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 제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슬라이드를 2N HCl로 5분간 처리하고 증류수로 3회 세척한 후 아세톤으로 1분간 처리하여 수분을 제거하였으며 고정층으로서 중합체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합실레인(디메틸디클로로실레인)으로 표면을 처리한 후 실온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고정층으로서 중합체는 소수성 PVC수지 및 자외선 고형화 수지(자외선 조사에 의해서만 고형화되는 특성을 갖는다- 시중판매됨)를 각각 결합실레인 처리된 슬라이드 표면에 0.2∼0.3mm두께로 고르게 도포하였다.
다양한 농도로 준비된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1,2와 일반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1,2를 0.2∼1ul씩 점적한 후 점적된 표면이 아래로 향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기 중에서 건조시키거나(PVC 수지의 경우), 약 2∼5분간 방치한 후 312nm 자외선을 약 30초간 조사하여 중합체를 고형화시킴에 의해(UV 고형화 중합체의 경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중합체에 고정시켰으며, 1xTE, pH 8 완충용액으로 3회 세척하여 비특이적으로 결합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제거하였다.
하이브리디제이션은 5xSSC, 0.5% SDS 하이브리디제이션 용액에 상보성 및 비상보성 형광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적정량 희석하여 이를 상기와 같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점적된 위치에 점적하고 30℃에서 3시간 처리하였으며 2xSSC, 0.1%SDS 세척용액으로 10분간 2회 처리하고, 1xTE, pH 8 완충용액으로 5회 세척하였다. Molecular Dynamics사(미국)의 'Storm(상표명)'을 이용하여 형광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픽셀(pixel)당 200um의 스캔 분해능으로 분석하였으며, 0.5ul를 점적할 경우 약 3㎟의 표면적이 되며 이는 75픽셀/스팟(pixel/spot)에 해당한다. 각 픽셀의 형광크기는 16-비트 정확도(precision)로 계수화되며, 이를 ImageQuaNT v4.0 분석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실시예 3.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고정 확인
실시예 1에서 준비된 네가지의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일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하여 지지체 상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고정여부를 확인하였다.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1과 2(도 1의 spot 1, 2) 그리고 일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1과 2(도 1의 spot 3, 4)를 고정층으로서 중합체가 도포된 지지체 표면에 각각 30pmol/spot(0.3ul)씩 점적한 후 각각의 상보성 형광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25pmol로 하이브리디제이션시켰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C는 대조구로써 1xTE 완충용액 0.3ul를 점적한 후 하이브리디제이션을 시행하지 않은 결과이다. 도 1로부터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DMT에 의해서 지지체에 잘 고정되며 하이브리디제이션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상보성 및 비상보성 형광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하이브리디제이션 비교
지지체에 고정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하이브리디제이션 여부를 비상보성 형광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하여 재확인하였다.
도 2의 래인 A는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1을 50pmol/spot(50ul)씩 점적한 후 상보성 형광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1을 10, 50, 100pmol(spot 1, 2, 3)씩 하이브리디제이션하였고, 도 2의 래인 B는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1을 50pmol/spot(50ul)씩 점적한 후 비상보성 형광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10, 50,100pmol(spot 4, 5, 6)씩 하이브리디제이션하였다. C는 대조구로써 하이브리디제이션을 시행하지 않은 상태이다. 결과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보성 형광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가한 경우 하이브리디제이션이 일어났으며, 상보성 형광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농도가 높아질수록 하이브리디제이션이 잘 일어났다.
실시예 5. 재현성 확인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0.5ul(50pmol)씩 8개 점적후 상보성 형광올리고 50pmol로 하이브리디제이션시켰다. 7개(도 3의 spot 1~7)의 결과를 비교하여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C는 대조구로써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점적후 하이브리디제이션을 시행하지 않은 것이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고정의 안정성 확인
DMT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정된 것이 확인된 슬라이드를 1xTE 완충용액에 담가둔 상태로 실온에서 18시간동안 처리한 후 다시 형광크기를 측정했다.
재현성 확인을 위해 사용된 슬라이드(도 3)를 이용하여 전기방법을 시행하였으며 형광의 크기에 있어서 변화가 없었다. 즉 안정적인 결합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고정 및 하이브리디제이션 효율 비교
DMT-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1을 100pmol(래인 A), 50pmol(래인 B)로 각 4개씩점적한 후 상보성 형광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100, 50, 25, 0pmol(1, 2, 3, 4)로 하이브리디제이션시킨 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각각의 형광값을 도 4의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고정 및 하이브리디제이션 밀도를 산출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하이브리디제이션 양
100pmol 50pmol 25pmol
고정에 사용된 DMT-올리고 양 100pmol 420 400 260
50pmol 430 290 200
단위: fmol/㎟
본 방법의 경우 고정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430fmol/㎟까지 하이브리디제이션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지지체 및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에 별도의 링커를 부착시키는 등의 전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고정방법은 높은 결합효율로 다양한 종류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동시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고정방법은 하이브리디제이션효율이 종래기술에 비하여 현저히 높아 진단 등의 분야에서 유용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고정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는 특정 방향 즉, 지지체로부터 5'→3', 또는 지지체로부터 3'→5'방향과 같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의 방향성을 특정할 수 있어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유용하며, 하이브리디제이션 효율도 높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고정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는 종래의 지지체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간의 비특이적인 결합에 비하여 입체방해가 적다.

Claims (8)

  1. 지지체 상에 일정 조건 하에서 고형화될 수 있는 소수성의 고정층을 도포하는 단계; 3'- 또는 5'-말단에 소수성기를 결합시킨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수용액을 상기 고정층 상의 일정 부위에 점적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층을 고형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2. 지지체 상에 도포된 고형화된 소수성의 고정층을 일정 조건 하에서 유동화시키는 단계; 3'- 또는 5'-말단에 소수성기를 결합시킨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수용액을 상기 고정층 상의 일정 부위에 점적하는 단계; 상기 고정층을 고형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기를 결합시킨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5'-말단에 소수성기를 결합시킨 프라이머로부터 증폭된 PCR 증폭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층은 중합 또는 중축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기는 다이메톡시트리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층은 중합 또는 중축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기는 다이메톡시트리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
KR1020000019557A 2000-04-14 2000-04-14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 Expired - Lifetime KR100352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557A KR100352171B1 (ko) 2000-04-14 2000-04-14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
EP01917930A EP1287163A4 (en) 2000-04-14 2001-03-29 PROCESS FOR MOUNTING OLIGONUCLEOTIDES ON SOLID PHASES AND OLIGONUCLEOTIDE ASSEMBLIES THEREWITH MADE
PCT/KR2001/000514 WO2001079544A1 (en) 2000-04-14 2001-03-29 Method for attaching oligonucleotide to solid support and the oligonucleotide array prepared by the method thereof
US10/257,528 US20040033503A1 (en) 2000-04-14 2001-03-29 Method for attaching oligonucleotide to solid support and the oligonucleotide array prepared by the method thereof
AU2001244806A AU2001244806A1 (en) 2000-04-14 2001-03-29 Method for attaching oligonucleotide to solid support and the oligonucleotide array prepared by the method thereof
JP2001577526A JP2003530861A (ja) 2000-04-14 2001-03-29 オリゴヌクレオチドを支持体に固定させ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るオリゴヌクレオチドアレ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557A KR100352171B1 (ko) 2000-04-14 2000-04-14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003A KR20010096003A (ko) 2001-11-07
KR100352171B1 true KR100352171B1 (ko) 2002-09-12

Family

ID=1966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557A Expired - Lifetime KR100352171B1 (ko) 2000-04-14 2000-04-14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033503A1 (ko)
EP (1) EP1287163A4 (ko)
JP (1) JP2003530861A (ko)
KR (1) KR100352171B1 (ko)
AU (1) AU2001244806A1 (ko)
WO (1) WO2001079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865B1 (ko) * 2001-11-26 2004-12-03 아람 바이오시스템 주식회사 유전적 염기서열 고정 방법
JP6321318B2 (ja) * 2012-09-14 2018-05-09 日本碍子株式会社 標的核酸の検出方法
CN107108822B (zh) * 2014-10-31 2020-02-07 伊鲁米纳剑桥有限公司 聚合物以及dna共聚物涂层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94001A2 (en) * 1988-12-21 1997-09-10 The Perkin-Elmer Corporation Automated system for polynucleotide synthesis and purification
WO1998050782A2 (en) * 1997-05-05 1998-11-12 Trustees Of Tufts College Fiber optic biosensor for selectively detecting oligonucleotide species in a mixed fluid sample
KR20010034842A (ko) * 1998-05-05 2001-04-25 헨넬리 헬렌 에프 반응장치용 인젝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55907T3 (es) * 1989-03-07 1994-09-01 Genentech Inc Conjugados covalentes de lipidos y oligonucleotidos.
US5474796A (en) * 1991-09-04 1995-12-12 Protogene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an array of chemical reactions on a support surface
RU2048522C1 (ru) * 1992-10-14 1995-11-20 Институт белка РАН Способ размножения нуклеиновых кислот, способ их экспрессии и среда для их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6037124A (en) * 1996-09-27 2000-03-14 Beckman Coulter, Inc. Carboxylated polyvinylidene fluoride solid supports for the immobilization of biomolecu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5760130A (en) * 1997-05-13 1998-06-02 Molecular Dynamics, Inc. Aminosilane/carbodiimide coupling of DNA to glass substrate
US6048695A (en) * 1998-05-04 2000-04-11 Baylor College Of Medicine Chemically modified nucleic acids and methods for coupling nucleic acids to solid support
US20020015960A1 (en) * 2000-07-19 2002-02-07 Zicai Liang Method of preparing nucleic acid microchip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94001A2 (en) * 1988-12-21 1997-09-10 The Perkin-Elmer Corporation Automated system for polynucleotide synthesis and purification
WO1998050782A2 (en) * 1997-05-05 1998-11-12 Trustees Of Tufts College Fiber optic biosensor for selectively detecting oligonucleotide species in a mixed fluid sample
KR20010034842A (ko) * 1998-05-05 2001-04-25 헨넬리 헬렌 에프 반응장치용 인젝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79544A1 (en) 2001-10-25
EP1287163A1 (en) 2003-03-05
US20040033503A1 (en) 2004-02-19
EP1287163A4 (en) 2006-10-11
KR20010096003A (ko) 2001-11-07
AU2001244806A1 (en) 2001-10-30
JP2003530861A (ja) 200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schin et al. Manual manufacturing of oligonucleotide, DNA, and protein microchips
US6326489B1 (en) Surface-bound, bimolecular, double-stranded DNA arrays
US5932711A (en) Nucleic acid-containing polymerizable complex
Beier et al. Versatile derivatisation of solid support media for covalent bonding on DNA-microchips
EP2002019B1 (en) Articles having localized molecules disposed thereon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JP4184089B2 (ja) 基板、調製及び使用
Trévisiol et al. Dendrislides, dendrichips: a simple chemical functionalization of glass slides with phosphorus dendrimers as an effective means for the preparation of biochips
US769591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ydrogel biochip by using star-like polyethylene glycol derivative having epoxy group
US6692912B1 (en) Nucleic acid-containing polymerizable complex
RU2206575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ммобилизации биологических макромолекул в гидрогелях,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биочип,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пцр на биочипе
US6656725B2 (en) Method of fabrication of microarray of gel-immobilized compounds on a chip by copolymerization
KR100352171B1 (ko)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
KR20050122544A (ko) 에폭시기를 갖는 중합체가 코팅된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pna 칩
Du et al. DNA immobilization: Silanized nucleic acids and nanoprinting
EP454738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oligonucleotide inversion on arrays
EP1612277B1 (en) Method for noncovalently immobilizing a biomolecule on a solid substrate and microarray pro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KR20030020232A (ko) 에폭시기를 갖는 방사형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를이용한 하이드로 젤 바이오칩의 제조방법
US7150856B2 (en) On-spot selectively activated hydrophobic slide and preparation thereof
WO2002027026A2 (en) Improved support for solid phase hybridization assays
KR100498288B1 (ko) 핵산 마이크로어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108200A (zh) 用于核酸序列分析的具有反应性表面的流动池
US20020106785A1 (en) On-spot selectively activated hydrophobic slide and preparation thereof
EP1655069A1 (en) Modified molecular arrays
HK40037251A (en) Surface chemical modification method, chip preparation method and chip
HK40044743A (en) Chip and its prepa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0101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