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4648B1 - 통신제어방법, 통신방법, 서버장치, 단말기, 중계장치 및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제어방법, 통신방법, 서버장치, 단말기, 중계장치 및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648B1
KR100414648B1 KR10-2000-7009526A KR20007009526A KR100414648B1 KR 100414648 B1 KR100414648 B1 KR 100414648B1 KR 20007009526 A KR20007009526 A KR 20007009526A KR 100414648 B1 KR100414648 B1 KR 100414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ata
packet
termina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5204A (ko
Inventor
구리타시게타카
히로세노리히코
나카츠치마사하루
사사키게이자부로
Original Assignee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85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64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at layers above the network layer
    • H04L47/19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at layers above the network layer at the transport layer, e.g. TCP re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1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3In-band adaptation of TCP data exchange; In-band control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04L1/1678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where the control information is for timing, e.g. time 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이동국과 서버장치간에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때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MS(1)와 CPS(콘텐트 제공자 서버)간에 데이터통신을 중계하는 GWS(게이트웨이 서버)(5)에서 MS(이동국)(1)로의 무선지향구간의 통신 프로토콜로서, TCP/IP 대신 단순화된 프로토콜(TL)이 전송 층에 사용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TCP/IP를 사용할 때와 비교할 때, MS(1)와 GWS(5)간의 트래픽이 감소하여 오버헤드가 감소하고, 데이터통신의 응답이 향상된다. 그 결과, 데이터 전송용량이 낮은 무선지향구간을 통해 CPS(8)에 의해 인터넷에 제공된 콘텐츠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제어방법, 통신방법, 서버장치, 단말기, 중계장치 및 통신시스템{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METHOD, SERVER DEVICE, TERMINAL, RELAY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인터넷은 전세계 사용자들에게 직접 낮은 비용으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콘텐트 제공자들에게 제공하고, 전세계로부터의 콘텐트를 표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인터넷의 대중화와 함께, 최근 몇 년간 인터넷을 이용한 콘텐트 제공 서비스의 활발한 개발, 제공 및 사용이 있어왔고, 인터넷의 다양한 사용을 위한 광대한 양의 콘텐트는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콘텐트 분배 서비스의 개발에 있어서 인터넷 접속의 용이함이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인터넷의 확산으로, LAN(근거리 통신망)에서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는 평이한 시스템 구조가 일반적이 되었다. 여기서, "인터넷 기술"의 한가지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통신 프로토콜, 특히 TCP/IP(전송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이다. 즉,매우 많은 네트웍들이 일반적으로 TCP/IP를 사용한다.
TCP/IP에 따른 데이터통신은 OSI 계층모델(OSI 참조모델)을 기초로 하는데, 송신 측에서는 실제 데이터의 각 층에 헤더를 추가함으로써 상층에서 하층으로 데이터가 중계되고, 패킷이 수신 측으로 전송된다. 반면에, 수신 측에서, 전송된 패킷은 가장 낮은 물리 층에서 가장 높은 층 순서대로 처리된다. 이 과정에서, 각 층에서는 아래층으로부터 공급된 패킷이 데이터와 그 층에 상응하는 헤더로 분리되고, 그 헤더의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를 위층으로 보내게 된다.
여기서는, 송신 측 각 층에서의 처리로 얻어진 상기 패킷 구조를 도 12 - 14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다이얼-업 접속처럼, 송신 측 및 수신 측은 PPP(점대점 프로토콜)를 사용하여 1 대 1로 접속된다고 가정할 것이다.
도 12는 제4층에서 처리되는 패킷인 TCP 세그먼트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 TCP 세그먼트는 TCP 헤더 및 데이터로 구성된다. 여기서, TCP 헤더는 기본헤더(20 바이트)와 선택적 헤더로 구성된다. 기본헤더는 소스 포트번호, 수신지 포트번호, 순차번호, 확인번호, 코드 비트 및 윈도우 사이즈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데이터는 실제 데이터 및 세션 층 이상의 상위 층의 처리로 추가되는 헤더로 구성된다.
도 13은 제3층에서 처리되는 패킷인 IP 데이터그램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 IP 데이터그램은 IP 헤더 및 데이터로 구성된다. 여기서, IP 헤더는 기본헤더(20 바이트)와 선택적 헤더로 구성된다. 기본헤더는 소스 IP주소, 수신지 IP주소, 서비스형태, 패킷길이, 및 프로토콜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데이터는실제 데이터 및 전송 층 이상의 층을 최소한 하나 포함하는 상위 층(TCP, UDP(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또는 ICMP(인터넷 제어메시지 프로토콜)와 같은)의 헤더로 구성된다.
도 14는 제2층에서 처리되는 패킷인 PPP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서 괄호에 넣은 번호는 바이트 단위로 주어진다. 이 PPP 프레임은 PPP 헤더(5 바이트), 데이터, 및 PPP 푸터(footer)(3 또는 5 바이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PPP 헤더는 플래그, 주소, 제어, 패킷 프로토콜 식별자(LCP(링크제어 프로토콜)), IPCP(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 IP 또는 IPX(인터넷 패킷 교환) 등의 여러 가지 정보로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데이터는 실제 데이터 및 네트웍 층 이상의 층을 최소한 하나 포함하는 층에서 처리됨으로써 추가되는 헤더(상기 언급한 TCP 헤더 및 IP 헤더를 포함)로 구성된다. PPP 푸터는 FCS(프레임체크시퀀스) 및 플래그로 구성된다. 상기 도면에 표시된 MTU는 최대 전송 단위를 말한다.
상기 설명한 것처럼, 송신 측에서 전송되는 실제 데이터는 OSI 계층모델에서 각 층에 해당하는 절차에 의해 가장 높은 층에서 가장 낮은 층으로 처리되고, 각 층의 상기 처리에 해당하는 헤더가 실제 데이터에 연속적으로 추가된다.
도 7에서, 7A는 송신 측의 이러한 모든 처리가 되어 최종적으로 전송되는 패킷으로, 상기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패킷(7A)은 선택적 헤더가 없다고 가정할 때 응용 데이터의 맨 앞에 추가되어 5 바이트 PPP 헤더, 20 바이트 IP 헤더 및 20 바이트 TCP 헤더로 구성되는 전체 45 바이트의 헤더와, 상기 응용 데이터의 끝에 추가된 3 또는 5 바이트 푸터를 포함한다. 상기 응용 데이터의 크기는 예를 들어 500 바이트이고, 최대 1460 바이트까지 확장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5를 참조하여 TCP/IP에 따라 패킷통신을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데이터 송신 측에서 데이터 수신 측으로 또는 데이터 수신 측에서 데이터 송신 측으로 LCP 구성을 요청하는 메시지(LCP 구성요청)가 발송된다(S1). 그 다음, 상기 LCP 구성요청을 수신하는 측에서 다른 측으로 상기 LCP 구성요청에 대한 확인응답메시지(LCP 구성확인)가 발송된다(S2).
이어서, 상기 다른 측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 측으로부터 도전메시지가 보내지고(S3), 상기 데이터 송신 측에서 이를 수신하면, 응답메시지가 발송된다(S4). 그러면, 상기 다른 측에서 상기 확인을 성공했다는 성공메시지가 데이터 수신 측에서 데이터 송신 측으로 발송된다(S5).
이러한 순서의 동작이 완료되면, 데이터 수신 측에서 데이터 송신 측으로 IPCP 구성요청메시지가 발송된다(S6). 또한, 데이터 송신 측에서 데이터 수신 측으로 IPCP 구성요청메시지가 발송된다(S7).
그 다음, 상기 데이터 수신 측에서 상기 데이터 송신 측으로 IPCP 구성요청메시지 또는 부정응답메시지(Nak)가 발송된다(S8). 이것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송신 측으로부터 상기 IPCP 구성요청(IPCP 구성확인)에 대한 확인응답메시지가 발송된다(S9).
또한, 이 때 데이터 송신 측에서 데이터 수신 측으로 IPCP 구성요청메시지가 발송된다(S10). 이것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수신 측으로부터 상기 IPCP 구성요청에 대한 확인응답메시지가 발송된다(S11).
이런 식으로, 데이터 송신 측 및 데이터 수신 측간에 PPP 링크가 개설된다.
그 다음, 데이터 송신 측에서 데이터 수신 측으로 IP 데이터 링크의 개설과 TCP 접속의 개설을 요청하는 메시지(IP + TCP 요청)가 발송된다(S12). 데이터 수신 측으로부터 이 메시지에 대한 확인응답메시지가 발송되면(S13), 이것을 수신하는 데이터 송신 측은 이 확인응답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메시지를 발송한다(S14).
이런 식으로, 데이터 송신 측 및 데이터 수신 측간에 TCP 접속이 이루어지고, 아래 설명에 따라 실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이 초기화된다.
먼저,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송신 측으로부터 패킷데이터가 전송되고(S15), 이것을 수신하면, 데이터 수신 측은 확인응답메시지를 발송한다(S16). 그 다음,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서, 단계 S15 및 S16의 동작, 즉, 패킷을 전송하고 데이터 송신원에 상기 패킷이 문제없이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메시지를 반환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실행되어, 패킷데이터의 송신이 결국 완료된다(S17).
상기 패킷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데이터 송신 측으로부터 발송되면, 이를 수신한 데이터 수신 측은 확인응답메시지를 발송한다(S18). 또한, 이 때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데이터 수신 측으로부터 발송되고(S19), 이를 수신하면 데이터 송신 측에서 확인응답메시지를 발송한다(S20). 이런 식으로, TCP 세션이 종료된다.
다음에, 상기 PPP 링크 차단에 있어서, 상기 PPP 링크의 종료를 요청하는 메시지(종료요청)가 데이터 송신 측으로부터 발송된다(S21). 이를 수신하면, 데이터 수신 측으로부터 확인응답메시지가 발송된다(S22).
이런 식으로, TCP 링크가 먼저 차단되고, PPP 링크가 차단되면, 채널이 끊어지고(S23) 전체 동작이 완료된다.
최근 몇 년 동안에, 이동 통신이 크게 확산하였고, 이동단말을 사용한 이동데이터통신 또한 대중적인 성장을 보여왔다. 이동데이터통신 분야에서, 사용자가 이동단말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고, 사용자들을 위한 사용자 중심 인터넷 접속 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되어왔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TCP/IP에 따른 패킷통신으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아래의 문제들이 발생하여, 이동국(휴대전화)만큼 그것들을 처리하기 어렵게 하였고, 인터넷에 즉시 접속할 수 있는 이동단말은 존재하지 않았다.
먼저, TCP/IP로, 상기 설명한 것처럼, TCP/IP에서 패킷의 헤더는 각 층에서 추가되고 캡슐화되어, 결과적으로 전체 헤더의 크기가 엄청나게 커지는데, 특히 실제 데이터크기가 작을 때, 상대적인 헤더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중에 약 500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헤더크기는 데이터크기의 약 10 퍼센트가 되고, 상기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에 실제로 완전히 사용되지 않고 남겨지는 필드가 생기게 된다.
다음으로, 실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 접속이 이루어지는 동안 동작순서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측과 수신 측간에 교환되는 신호의 수가 매우 커진다는 문제가있다. 도 15에 도시한 예에서는, S1에서 S14 단계까지 전체 14 단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네트웍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트래픽은 극적으로 증가하고 데이터 전송속도는 떨어지게 된다.
부가적으로, 데이터 송신 및 수신 전에 사용자에게 상기 동작(단계 S1 - S14)에 대한 대가가 청구되기 때문에, 사용자측의 경제적인 부담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고정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발생하지만, 이동 통신에서 특히 심각한 문제가 되어 고정망을 통한 통신과 비교해 데이터 송신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게다가, TCP/IP는 상당히 대형이어서, 이동국의 수준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할 때, TCP/IP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이동단말을 이동국보다 더 크고, 더 무겁고, 더 비싸게 만들게 된다. 일반적으로, 휴대형 컴퓨터와 이동국을 쉽게 결합하는 크고, 무겁고, 비싼 이동단말은 작은 업계에서만 잘 수용되게 된다. 대조적으로, 이동국은 휴대성, 운용성 및 심적 취득의 용이성을 고려해 설계되고, 이동국의 형태 및 가격은 그것의 일반적인 사용 및 높은 보급률로 인해 매우 큰 업계에서 이미 잘 수용되고 있다고 여겨진다. 부가적으로, 상기 언급한 것처럼, 다양한 사용자들의 필요에 응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콘텐트는 이미 인터넷상에 존재하고 있고, 현재 콘텐트 양의 꾸준한 증가로 인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장치로서는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용인될 수 있는 장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문제들을 기억하면, 이동 통신의 데이터 전송 능력의 문제를 고려하지 않더라도, 이동단말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서비스가 넓은 업계에서 쉽게 수용될 거라는가능성은 거의 없어진다.
물론, 콘텐트 제공 측에 이동국의 데이터 처리능력 또는 이동 통신의 데이터 전송능력에 맞추어 콘텐트를 개발하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형태의 콘텐트 개발은 콘텐트 제공 측에 막대한 부담을 요구하고, 인터넷과 비교해 사용이 제한된 적은 양의 콘텐트만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러한 형태의 시행은 작은 업계에서만 잘 수용될 거라고 여겨진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동 데이터 분배의 기초는 이동국과 인터넷의 결합에 있다고 여겨지고, 상기 결합을 이루기 위해, 사용자들이 이동국으로 스트레스 없이 인터넷으로부터의 콘텐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적인 통신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네트웍을 통해 최소한 하나의 서버장치에서 다수의 사용자단말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분배 시스템용으로 적합한 통신제어방법, 통신방법, 서버장치, 단말기, 중계장치 및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동일한 통신시스템의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동일한 통신시스템의 다른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동일한 통신시스템에서 패킷통신 이전의 동작순서를 도시한다.
도 5는 동일한 통신시스템에서 패킷통신이 진행되는 동안의 동작순서를 도시한다.
도 6은 동일한 통신시스템에서 패킷통신 뒤의 동작순서를 도시한다.
도 7은 TCP/IP 통신에서 전송된 패킷의 구조와, 동일한 실시예에서 단순화된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되는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8은 동일한 실시예에서 접속 설정요청 시에 전송되는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9는 동일한 실시예에서 접속설정요청의 확인응답으로 전송되는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0은 동일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이 진행되는 동안 전송되는 패킷의 구조로,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의 구조와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전송되었을 때 확인응답으로 전송되는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은 동일한 통신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국의 외형과 상기 이동국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을 때의 정보 디스플레이부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TCP 세그먼트의 포맷을 도시한다.
도 13은 IP 데이터그램의 포맷을 도시한다.
도 14는 PPP 프레임 포맷을 도시한다.
도 15는 TCP/IP를 사용하여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동작순서를 도시한다.
도 16은 동일한 실시예의 변형된 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졌고, 데이터 처리능력 및 전송능력이 이동국에서처럼 높지 않을 때에도 효과적으로 데이터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통신제어방법, 통신방법, 서버장치, 단말기, 중계장치 및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술한 통신제어방법은 서버장치와 사용자단말간에 데이터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장치에서의 통신제어방법으로, 프로토콜인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발송된 상기 서버장치와의 접속 개설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상기 접속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패킷이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와 상기 중계장치간의 접속을 개설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서버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요청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요청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서버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제2 프로토콜보다 더 간단하다.
상기 통신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과 서버장치간에 클라이언트/서버형 데이터통신을 중계할 때 서버장치에 대한 통신 프로토콜과 상기 통신 프로토콜보다 더 간단한 사용자단말에 대한 통신 프로토콜간에 전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통신제어방법에 따르면, 패킷에서 헤더의 축소, 교환되는 신호 개수의 감소, 및 사용자단말에서의 처리 단순화 중 최소한 하나가 상기 사용자단말 측에서 이루어지고, 그 때문에 사용자단말 측에서의 부하가 완화될 수 있다. 특히, 인터넷을 통해 교환되는 다량의 콘텐트는 텍스트 데이터이고 TCP/IP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상기 전송된 패킷에서 실제 데이터의 비율이 낮아, 인터넷 접속을 고려할 때는 패킷에서 헤더의 축소가 매우 효과적이다.
부가적으로, 청구항 2에 기술한 통신제어방법은 서버장치와 사용자단말간에 데이터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장치에서의 통신제어방법으로,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서버장치와의 접속 개설을 요청하는 메시지, 상기 접속의 식별번호, 및 상기 서버장치에 대한 데이터 전송요청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패킷이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와 상기 중계장치간의 접속을 개설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요청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서버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제2 프로토콜보다 더 간단하다.
상기 통신제어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장치로의 접속개설요청과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중계장치로의 단일 신호의 데이터 전송 요청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상기 통신제어방법에 따라, 청구항 1에 기술한 본 발명의 효과 외에 또, 상기 사용자단말과 중계장치간의 트래픽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중계장치로부터의 확인응답메시지를 기다리지 않고 데이터 전송요청을 보낼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술한 통신제어방법은 청구항 1 또는 2에 따른 통신제어방법으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중계장치간의 접속을 개설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의 개수는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중계장치와 상기 서버장치간의 접속을 개설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의 개수보다 더 적다.
상기 통신제어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술한 본 발명에 기인한 효과 외에 또, 접속을 개설할 때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교환되는 신호의 개수를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술한 통신제어방법은 청구항 1 또는 2에 따른 통신제어방법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중계장치간의 통신구간은 무선지향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계장치와 상기 서버장치간의 통신구간은 유선지향구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제어방법에 따르면, 유선구간에서의 상기 통신 프로토콜보다 더 간단한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은 일반적으로 상기 유선구간보다 데이터 전송용량이 더 낮은 무선구간에서 수행된다. 그러므로, 상기 통신제어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외에 또, 각 구간의 데이터 전송용량에 적합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5에 기술한 통신방법은 서버장치와 사용자단말간에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방법으로, 상기 데이터통신에서 전송 층을 포함하는 상위 층에서의 통신제어절차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서버장치로 접속 개설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상기 접속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제1 패킷을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패킷이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서버장치간에 접속이 개설된 뒤 상기 서버장치에서 상기 식별번호를 지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단말에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패킷을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방법에 따르면, 전송 층을 포함하는 상위 층의 통신제어절차에 의해 상기 사용자단말과 서버장치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을 통해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의 전송이 실시된다. 따라서, 상기 통신방법에 따라, 패킷에서 헤더의 축소, 교환되는 신호 개수의 감소, 및 처리의 단순화 중 최소한 하나가 상기 사용자단말 측에서 이루어지고, 그 때문에 사용자단말 측에서의 부하가 완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 측에서의 부하 감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단말과 서버장치가 TCP/IP를 사용하여 통신을 시작하는 경우에 PPP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는 다음의 문제들이 있다.
1. 각 층의 통신 프로토콜은 일반적인 사용을 위한 것이므로, 상기 층들에서의 캡슐화로 인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실제 데이터의 비율은 매우 작아지게 된다.
2. 접속을 개설할 때 개설절차는 각 층에 대해 이루어지므로, 많은 개수의 신호들이 교환되고, 따라서 트래픽이 증가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큰 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3.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데이터 캡슐화 및 비캡슐화 절차는 다중 스테이지를 통해 실시되고, 따라서 상기 사용자단말에 큰 부하를 발생시키게 된다.
대조적으로, 상기 통신방법에 있어서 전송 층을 포함하는 상위 층의 상기 통신제어절차에 의해 개설되는 접속을 통해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문제들 중 최소한 하나를 해결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청구항 6에 기술한 통신방법은 사용자단말과, 상기 사용자단말 및 서버장치간에 데이터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장치간에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통신방법으로, 상기 데이터통신에서 전송 층을 포함하는 상위 층에서의 통신제어절차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중계장치로 접속 개설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상기 접속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제1 패킷을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패킷이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중계장치간에 접속이 개설된 뒤 상기 식별번호를 지시함으로써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중계장치에 제공되는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패킷을 상기 서버장치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방법에 따르면, 전송 층을 포함하는 상위 층의 통신제어절차에 의해 상기 사용자단말과 중계장치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을 통해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서버장치로부터의 패킷이 상기 중계장치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통신방법에 따라, 청구항 5에 기술한 본 발명의 효과들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부가적으로, 상기 통신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중계장치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고, 그 때문에 상기 사용자단말과 서버장치간에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비교해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확인응답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술한 통신방법은 청구항 5에 따른 통신방법으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한번에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를 가리키는 데이터크기 정보를 상기 서버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장치는 수신된 상기 데이터크기 정보로부터 상기 최대 크기를 획득하여, 만일 상기 제3 패킷의 크기가 상기 최대 크기를 초과한다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할 상기 실제 데이터를 분할한다.
상기 통신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5에 기술한 본 발명에 기인한 효과 외에 또, 상기 서버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한번에 수신할 수 없는 크기의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보내게 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술한 통신방법은 청구항 6에 따른 통신방법으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한번에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를 가리키는 데이터크기 정보를 상기 중계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중계장치는 수신된 상기 데이터크기 정보로부터 상기 최대 크기를 획득하여, 만일 상기 제3 패킷의 크기가 상기 최대 크기를 초과한다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할 상기 실제 데이터를 분할한다.
상기 통신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6에 기술한 본 발명에 기인한 효과 외에 또, 상기 중계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한번에 수신할 수 없는 크기의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보내게 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술한 서버장치는 사용자단말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장치로, 상기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때 전송 층을 포함하는 상위 층 수준으로 통신제어를 실시하는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제어수단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접속 개설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상기 접속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1 패킷이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접속이 개설된 뒤 상기 식별번호를 지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단말에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패킷을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장치에 따르면, 전송 층을 포함하는 상위 층 수준으로 통신제어가 실시된다. 상기 통신제어에 의해, 상기 서버장치와 상기 사용자단말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서버장치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서버장치는 청구항 5에 기술한 본 발명에 기인한 상기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술한 중계장치는 서버장치와 사용자단말간에 데이터통신을 중계하는 중계장치로, 상기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때 전송 층을 포함하는 상위 층 수준으로 통신제어를 실시하는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제어수단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접속 개설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상기 접속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1 패킷이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중계장치간에 접속이 개설된 뒤 상기 식별번호를 지시함으로써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상기 중계장치로 제공되는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중계장치에 따르면, 전송 층을 포함하는 상위 층 수준으로 통신제어가 수행된다. 상기 통신제어에 의해, 상기 중계장치와 상기 사용자단말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서버장치로부터의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이 상기 중계장치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중계장치는 청구항 6에 기술한 본 발명에 기인한 상기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청구항 11에 기술한 중계장치는 서버장치와 사용자단말간에 데이터통신을 중계하는 중계장치로,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서버장치와의 접속 개설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상기 접속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패킷이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와 상기 중계장치간의 접속을 개설하는 수단;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서버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요청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요청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서버장치에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보다 더 간단하다.
상기 중계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과 서버장치간에 클라이언트/서버형 데이터통신을 중계할 때 서버장치에 대한 통신 프로토콜과 상기 통신 프로토콜보다 더 간단한 사용자단말에 대한 통신 프로토콜간에 전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중계장치는 청구항 1에 기술한 상기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술한 중계장치는 서버장치와 사용자단말간에 데이터통신을 중계하는 중계장치로,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서버장치와의 접속 개설을 요청하는 메시지, 상기 접속의 식별번호, 및 상기 서버장치에 대한 데이터 전송요청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패킷이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와 상기 중계장치간의 접속을 개설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요청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서버장치에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제2 프로토콜보다 더 간단하다.
상기 중계장치에 따르면, 상기 서버장치로의 접속개설요청과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중계장치로의 단일 신호의 데이터 전송 요청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중계장치는 청구항 2에 기술한 상기 발명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술한 중계장치는 청구항 11 또는 12에 따른 중계장치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중계장치간의 접속을 개설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의 개수는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중계장치와 상기 서버장치간의 접속을 개설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의 개수보다 더 적다.
상기 중계장치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술한 상기 발명의 효과 외에 또, 접속을 개설할 때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교환되는 신호의 개수는 확실하게 감소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술한 중계장치는 청구항 10 -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중계장치로,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중계장치간의 통신구간은 무선지향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계장치와 상기 서버장치간의 통신구간은 유선지향구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계장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유선구간보다 데이터 전송용량이 더 낮은 무선구간의 상기 통신처리는 상기 유선구간의 통신처리보다 더 적게 감소한다. 그러므로, 상기 중계장치에 따라, 청구항 10 -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효과 외에 또, 각 구간의 데이터 전송용량에 적합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15에 기술한 통신시스템은 사용자단말과 서버장치가 청구항 10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중계장치를 통해 접속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 통신시스템에 따르면, 청구항 10 -12 중 어느 하나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은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술한 단말기는 서버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로, 상기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때 전송 층을 포함하는 상위 층 수준으로 통신제어를 실시하는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제어수단은 접속 개설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상기 접속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제1 패킷을 전송하는 수단; 상기 제1 패킷이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메시지를 포함하는,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전송된 제2 패킷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서버장치와 접속이 개설된 뒤 상기 식별번호를 지시함으로써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전송된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패킷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에 따르면, 전송 층을 포함하는 상위 층 수준으로 통신제어가 실시된다. 상기 통신제어에 의해, 상기 서버장치와 상기 단말기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서버장치에서 상기 단말기로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청구항 5에 기술한 상기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술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와의 접속을 관리하는 중계장치를 통해 서버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로, 상기 데이터통신을 실시할 때 전송 층을 포함하는 상위 층 수준으로 통신제어를 수행하는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제어수단은 상기 중계장치와의 접속 개설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상기 접속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제1 패킷을 전송하는 수단; 상기 제1 패킷이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메시지를 포함하는,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된 제2 패킷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중계장치와 상기 단말기간에 접속이 개설된 뒤 상기 식별번호를 지시함으로써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에서 상기 중계장치로 제공되어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패킷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에 따르면, 전송 층을 포함하는 상위 층 수준으로 통신제어가 실시된다. 상기 통신제어에 의해, 상기 중계장치와 상기 단말기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서버장치에서 상기 단말기로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이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청구항 6에 기술한 상기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술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와의 접속을 관리하는 중계장치를 통해 서버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로,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와의 접속 개설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상기 접속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는 수단;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패킷이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메시지를 포함하는,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에 데이터 전송요청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데이터 전송요청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에서 상기 중계장치로 제공되는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보다 더 간단하다.
상기 단말기에 따르면, 단말기와 서버장치간에 클라이언트/서버형 데이터통신을 중계할 때 상기 중계장치에서 서버장치에 대한 통신 프로토콜과 상기 통신 프로토콜보다 더 간단한 단말기에 대한 통신 프로토콜간에 전환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단말기는 청구항 1에 기술한 상기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9에 기술한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와의 접속을 관리하는 중계장치를 통해 서버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로,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와의 접속 개설을 요청하는 메시지, 상기 접속의 식별번호, 및 상기 서버장치에 대한 데이터 전송요청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는 수단;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패킷이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메시지를 포함하는,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데이터 전송요청메시지에응답하여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에서 상기 중계장치로 제공되는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보다 더 간단하다.
상기 단말기에 따르면, 상기 서버장치로의 접속개설요청과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중계장치로의 단일 신호의 데이터 전송 요청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단말기는 청구항 2에 기술한 상기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0에 기술한 단말기는 청구항 18 또는 19에 따른 단말기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중계장치간의 접속을 개설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의 개수는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중계장치와 상기 서버장치간의 접속을 개설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의 개수보다 더 적다.
상기 단말기에 따르면, 청구항 18 또는 19에 기술한 상기 발명의 효과 외에 또, 접속을 개설할 때 교환되는 신호의 개수가 확실하게 감소될 수 있다.
청구항 21에 기술한 단말기는 청구항 17 - 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중계장치간의 통신구간은 무선지향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계장치와 상기 서버장치간의 통신구간은 유선지향구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유선구간보다 데이터 전송용량이 더 낮은 무선구간의 상기 통신처리는 상기 유선구간의 통신처리보다 더 적게 감소한다. 그러므로, 상기 중계장치에 따라, 청구항 17 - 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효과 외에또, 각 구간의 데이터 전송용량에 적합한 통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설명을 요약하면, 서버장치와 사용자단말간에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때 단순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채널 접속 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이고 신호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헤더크기를 더 작게 만드는데, 그 때문에 트래픽이 감소하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으며, 데이터통신의 반응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이동장치의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개략적으로 가진 장치를 사용하고 낮은 데이터 전송용량을 가진 통신채널을 통해 인터넷 콘텐트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1. 실시예의 구조
1.1 시스템 구조
도 1은 본 실시예의 통신망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 통신망시스템은 MS(이동국)(1), BS(기지국)(2), PPM(패킷처리모듈)(3),GWS(게이트웨이 서버)(5), 인터넷(6) 또는 전용선(7)을 통해 GWS(5)에 접속되는 CPS(콘텐트 제공자 서버)(8) 및 M-SCP(이동서비스 제어포인트)를 포함한다.
BS(2), PPM(3), GWS(5), M-SCP(9) 및 이들을 접속하는 통신회선은 이동패킷망(10)을 형성한다.
MS(1)는 상기 이동패킷통신망(10)의 패킷통신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기이다. 도 1에 도시한 이동패킷통신망(10)에 접속하는 것 외에, 상기 MS(1)는 도시하지 않은 이동 전화망에 접속되어, 이동 전화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MS(1)의 외형과 상기 MS(1)에 디스플레이 되는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MS(1)는 사용자가 음성통신을 실행하는 음성 입/출력부, BS(2)와 무선통신을 실시하는 라디오부(둘 다 도시 없음), 액정패널 등을 포함하는 정보 디스플레이부(1a), 번호등록 또는 문자입력 등의 정보입력조작을 실행하는 조작부(1b), 및 이러한 부분들을 제어하는 내장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추가로, MS(1)는 문서데이터를 보여주는 소프트웨어(소위 브라우저)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우저는 이동패킷통신망(10)을 통해 콘텐트 제공 사업이 소유하는 CPS(8)로부터 제공되는 HTML 형식의 데이터(이하 HTML 데이터라 부른다)를 기본으로 한 대화 창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다.
MS(1)는 상기 언급한 브라우저에 따라서 상기 정보 디스플레이부(1a)에 여러 가지 형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정보 디스플레이부(1a)는 8 (문자) x 6 (줄)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디스플레이부의 면적과 문자크기에 따라 수평으로 8자 이상 수직으로 6줄 이상도가능하다).
다음은, 도 11을 참조하여 MS(1)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동작부(1b)의 "정보" 키를 누르면, 사용자에게 일기 예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초기화면(11A)이 상기 정보 디스플레이부(1a)에 표시된다. MS(10)의 중심에 있는 조그다이얼 키(1c)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초기화면의 "1" - "5"의 일기 예보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1"을 선택하면, 오늘의 날씨를 보여주는 스크린(1B)이 상기 정보 디스플레이부(1a)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2"를 선택하면, 주말의 일기 예보를 보여주는 스크린(11C)이 상기 정보 디스플레이부(1a)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5"를 선택하면, 날씨 메시지 하부 메뉴 스크린(11D)이 표시되어, 강수 경보 또는 일기 속보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6"을 선택하면, 세계의 일기 예보 스크린(11E)이 표시된다.
이런 식으로, MS(1) 사용자가 보기 쉬운 형태의 브라우저의 제어 하에 상기 정보 디스플레이부(1a)에 텍스트 기반 정보가 표시된다.
도 1에서, BS(2)는 예를 들어, 500 m 반경의 지역으로 지상을 분할한 라디오 존에 따라 위치하여, 상기 라디오 존에 나타나는 MS(1)와 무선통신을 실시한다.
PPM(3)은 다수의 BS(2)를 수용하는 패킷 가입자 교환국에 제공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상기 MS(1)로부터의 패킷교환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패킷통신망(10)의 패킷교환을 중계한다.
GWS(5)는 상기 이동패킷통신망(10)을 인터넷(6)과 같은 다른 네트웍에 서로연결하는 이동 패킷 게이트웨이 교환국에 설치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아래 설명과 같이, 상기 GWS(5)는 MS(1)로부터의 무선지향구간을 접속하고 CPS(8)로의 유선지향구간을 접속하여, 상기 무선지향구간의 상기 단순화된 프로토콜과 유선지향구간의 프로토콜인 TCP 사이의 차이를 완화시킴으로써 MS(1)와 CPS(8)간에 패킷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제어를 수행한다.
부가적으로, 다수의 GWS(5)는 서버 그룹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서버 그룹에 포함되는 프록시 서버 또한 제공된다.
CPS(8)는 콘텐트 제공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 시스템으로, 인터넷(6) 또는 전용선(7)을 통해 HTML 데이터 형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정보를 GWS(5)에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GWS(5) 그 자체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이동패킷통신망(10) 사업을 위한 서버를 포함한다.
M-SCP(9)는 설명처럼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고 패킷통신이 시작할 때의 패킷등록과 패킷통신이 끝날 때의 패킷등록해제와 관련된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패킷통신에 대한 빌링정보는 상기 PPM(3)과 GWS(5)에 기록되어, 소정의 타이밍으로 도시하지 않은 호 사용세 계산 센터로 전달된다.
1.2. 프로토콜 구조
상기 설명한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MS(1)와 CPS(8)간에 데이터통신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장치들은 아래 설명하는 프로토콜 구조를 사용한다.
도 2와 3은 OSI 계층 모델에 기초한 본 발명의 프로토콜 구조를 개략적으로나타낸다. 여기서, 도 2는 이동국만이 CPS(8)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한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하고, 도 3은 휴대정보단말 또는 자동차 항법장치 등의 외부장치(11)가 관련된 구조에서 CPS(8)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한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다.
도 2와 3에 도시한 프로토콜 구조에서, GWS(5)의 왼쪽, 즉, PPM(3)과 MS(1)(및 외부장치(11))는 무선지향 데이터통신구간에 있는데, 무선통신 프로토콜과 본 실시예의 단순화된 프로토콜(TL)이 사용된다. 한편, GWS(5)의 오른쪽, 즉, CPS(8)까지는 유선지향 통신구간이고, 일반적인 용도의 프로토콜 TCP/IP(제2 통신 프로토콜)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도 2와 3에 도시한 프로토콜 구조를 OSI 계층 모델에 기초하여 최하층부터 순서대로 설명할 것이다.
1.2.1 제1층(물리 층)
도 2와 3에서, L1은 물리 층을 나타낸다.
유선지향구간의 물리 층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송신전력, 변조방법, 접속방법 등은 전용선, 공중 전화선 또는 ISDN 등의 물리적인 매체로 구성되는 통신회선을 사용하여 비트 열의 전송이 실행된다는 것을 보증하도록 규정된다.
한편, 무선지향구간의 물리 층 프로토콜에서는, PDC 시스템의 채널구조, 특히, 패킷통신을 위한 물리채널의 배열/구조를 기초로 패킷통신 채널이 정의되고, 신호코딩방법 및 패킷통신을 위해 상기 물리채널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방법이 정의된다.
1.2.2. 제2층(데이터링크 층)
도 2와 3에서, L2는 데이터링크 층을 나타낸다.
상기 유선지향구간의 데이터링크 층 프로토콜에서, 노드들간에 분명하고 매우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기 위한 절차 및 인터페이스는 상기 물리 층에서 제공되는 비트 열 전송기능을 사용하여 정의된다. 데이터링크들은 상기 데이터링크 층 프로토콜인 PPP를 사용하여 개설된다.
한편, 무선지향구간의 데이터링크 층에서는, MS(1)와 PPM(3)간에 LAPDM(디지털 이동채널을 위한 링크접속절차)가 사용된다. 상기 LAPDM은 패킷통신을 위한 물리채널에 사용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패킷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추가된 기능을 가진 물리적 제어채널 및 물리적 통신채널에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의 경우에는, MS(1)와 외부장치(11) 사이에 LAPB(안정된 링크접속절차)가 사용된다.
1.2.3 제3층(네트웍 층)
유선지향구간의 네트웍 층 프로토콜은 IP(인터넷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상기 IP는 라우팅을 수행하고 인터넷(6)을 통해 CPS(8)에서 GWS(5)로 전송되는 HTML 데이터를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무선지향구간에서는, PPM(3)과 GWS(5) 사이에 PMAP(패킷 이동 응용부)가 사용된다.
MS(1)와 PPM(3)간의 통신을 위한 네트웍 프로토콜은 RT(라디오주파수 전송관리), MM(이동관리) 및 CC(호 제어)로 구성된다.
여기서, RT는 라디오 존의 선택 및 라디오 채널의 설정, 유지, 교환 및 단절등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라디오 리소스(패킷통신을 위한 물리채널을 포함)의 관리와 관계된 기능들을 수행하고, MM은 위치등록 및 확인기능을 포함하는 이동국 이동 확인과 관계된 기능들을 수행하며, CC는 호 설정, 유지 및 해제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채널 호 접속제어와 관계된 기능들을 수행한다. 상기의 상세한 동작들은 "디지털 카폰 시스템 표준 RCR STD-27F"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기능들은 동시 대기 제어, 통신 초기화 제어, 패킷 전송 제어, 채널 교환 제어, 주기 등록 제어 및 통신 종료 제어와 같은 제어를 수행하도록 공동으로 작용한다.
1.2.4 제4층(전송 층)
유선지향구간의 전송 층 프로토콜은 TCP로 구성된다. 이것은 인터넷(6)을 통해 CPS(8)에서 GWS(5)로 전송되는 HTML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무선지향구간에서 MS(1)와 GWS(5)간의 통신을 위한 전송 층 프로토콜은 단순화된 프로토콜 TL로 구성된다. 상기 TL은 매우 신뢰할 수 있는 종대종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접속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가상회로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통신 상대와 물리적인 점대점 링크가 개설된 것처럼 더 높은 수준의 응용으로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이것은 "논리적 접속"으로 알려져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TL은 다수의 논리적 접속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패킷통신망(10)의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TL이 상기 이동패킷통신망(10)의 베어러에 직접 상주하는 식으로 구성된다.
1.2.5 제5층(세션 층)
유선지향구간에서, GWS(5)와 CPS(8) 사이에서 세션 층과 프리젠테이션 층의 HTTP는 브라우저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SMTP는 전자우편 분배에 사용된다.
아래 설명하는 가상회로를 통해 HTTP를 사용하여 MS(1)와 GWS(5)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응용 층에서는, 브라우저를 가진 MS(1)와 간단한 텍스트, HTML, GIF 등의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CPS(8) 사이에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진다.
1.2.6 제6층(프리젠테이션 층)
MS(1)와 GWS(5) 사이에서, 제6층은 전용망 프로토콜인 HTTP로 구성되고, GWS(5)와 CPS(8) 사이에서는 HTTP/SMTP로 구성된다.
1.2.7 제7층(응용 층)
MS(1)의 응용 층은 인터넷 브라우징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갖는 브라우저로 구성되고, MS(1)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CPS(8)의 응용 층은 간단한 텍스트, HTML, GIF 등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2. 실시예의 동작
패킷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상기 형태의 프로토콜 구조를 사용한 유선지향구간 및 무선지향구간을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순서를 설명한다. 다음 설명에서, 무선지향구간에서 교환되는 패킷의 구조는 필요에 따라 설명할 것이다.
2.1 패킷등록의 동작
사용자가 MS(1)의 "정보" 키를 누를 때, 도 4에 도시한 패킷 등록의 동작순서가 실행된다.
먼저, 상기 MS(1) 측에서 PPM(3)으로 패킷통신 등록 요청이 발생한다(S100). 이를 수신하면, PPM(3)은 패킷 개시자가 패킷 가입자인지 아닌지를 가리키는 패킷 개시정보의 판독을 요청하는 신호를 GWS(5)에 보낸다(S101). 상기 패킷 개시정보 판독요청 신호는 GWS(5)를 지나 M-SCP(9)로 전송된다(S102).
상기 M-SCP(9)는 상기 패킷 개시정보 판독요청 신호에 포함된 개시자 ID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찾아 MS(1)의 사용자가 패킷 서비스 가입자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패킷개시정보판독 응답신호를 발송한다(S103). 그런 다음, 상기 패킷개시정보판독 응답신호는 GWS(5)를 지나 PPM(3)으로 전송된다(S104).
이를 수신하면, PPM(3)은 MS(1)에 패킷확인 요청신호를 보낸다(S105). MS(1)에서 PPM(3)으로 상기 패킷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신호가 돌아온다(S106).
그 다음, 패킷통신의 등록을 요청하는 패킷통신 등록요청신호가 PPM(3)에서 GWS(5)를 지나 M-SCP(9)로 전송된다(S107->S108). M-SCP(9)는 MS(1)와 라디오 전송 시스템간의 패킷통신을 초기화하기 위한 등록을 하고, GWS(5)에 패킷통신 등록응답신호를 돌려보낸다(S109). 그런 다음, 상기 패킷통신 등록요청신호는 GWS(5)에서 PPM(3)으로 전송된다(S110).
상기 패킷통신 등록응답신호를 수신하면, PPM(3)은 GWS(5)에 채널접속을 요청하는 채널접속요청신호를 보낸다(S111). 이를 수신하면, GWS(5)는 CPS(8)에 채널접속요청신호를 보내고(S112), CPS8)는 채널접속응답신호를 돌려보낸다(S113).
상기 채널접속응답신호를 수신하면, GWS(5)는 PPM(3)에 채널접속응답신호를보내고, PPM(3)은 MS(1)에 패킷통신등록 응답신호를 보낸다(S115).
2.2 패킷통신중의 동작순서
패킷통신 등록 과정의 상기 시퀀스가 끝나면, MS(1)의 정보 디스플레이부(1a)에 전에 도 11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초기화면이 나타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조그다이얼 키(1c)를 조작하여 초기화면에서 메뉴 번호를 선택하면, 패킷통신이 시작되어 그 번호에 링크된 URL의 홈페이지의 콘텐트가 상기 정보 디스플레이부(1a)에 표시된다.
도 5는 패킷통신중의 동작순서를 보여준다.
먼저, MS(1)는 접속설정요청메시지(사용요청), 접속할 홈페이지의 URL, 및 MS(1)의 정보 디스플레이부(1a)에 상기 홈페이지의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HTTP-Get 방법을 포함하는 패킷(TL-OpenReq 패킷; 청구항의 "제1 패킷")을 발송한다(S200).
도 8은 접속 설정을 요청할 때 발송된 TL-OpenReq 패킷의 구조를 보여준다. 이 패킷에서, 메시지의 형태를 나타내는 필드는 상기 메시지 형식이 "사용요청"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데이터의 필드는 상기 언급한 URL을 포함하는 HTTP-Get 방법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논리번호 필드는 MS(1)와 GWS(5)간에 개설된 종대종 접속을 확인하는 식별번호를 포함한다. 무선지향구간의 단순화된 프로토콜 TL은 다수의 동시 논리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각 논리접속은 상기 논리번호를 통해 확인된다. 상기 논리번호는 이동국 측에서 설정된다.
부가적으로, 통신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필드는 재전송이 이루어질 경우의 타이머 값과 같은 정보뿐 아니라, 데이터 길이 및 MS(1)에서 한번에 수신될 수 있는 데이터 단위의 개수도 포함한다. 즉, MS(1)는 네트웍 측에 보내질 전송 패킷의 통신 파라미터 필드에 자신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상기 TL-OpenReq 패킷은 PPM(3)을 지나 GWS(5)로 발송된다(S201). 이를 수신하면, GWS(5)는 TCP 확인응답패킷을 돌려보내고 상기 TL 사용요청에 대한 확인응답메시지(사용확인)를 포함하는 패킷을 PPM(3)에 돌려보낸다(S202, S203).
즉, 네트웍 측에서, 논리적 접속 설정요청메시지가 수신되고, MS(1) 측의 통신 파라미터 정보가 분석되고, 논리적 접속 설정시 통신 파라미터가 결정되어 상기 확인응답메시지(사용확인)와 함께 발송된다.
이런 식으로, 단순화된 프로토콜 TL로, 상대측의 특성(상기 언급한 통신 파라미터 값)은 데이터 교환 전의 논리적 접속이 설정되기 전에 결정되어, 리소스들이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트래픽 증감에 의해 용량제어가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동작들을 통해 MS(1)와 GWS(5)간에 논리적 접속이 이루어지고, 패킷데이터 교환이 완성된다.
도 9는 접속 설정요청의 확인응답으로서 발송된 TL-OpenAck 패킷의 구조를 보여준다. 이 패킷에서, 메시지 형식을 나타내는 필드는 이것이 "사용 승인" 메시지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논리번호 필드는 상기 접속 설정요청시 지시된 논리번호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TL-OpenAck 패킷은 이동국 측으로 전송되고(S205), TCP 확인응답패킷이 PPM(3)에서 GWS(5)로 전송된다(S204).
한편, 상기 TL-OpenReq 패킷을 수신한 GWS(5)와 정상적인 TCP 동작순서에 기초한 CPS(8) 사이에 다음 형태의 교환이 일어난다.
먼저, GWS(5)와 CPS(8)간에 접속을 개설하기 위해, SYN 플래그가 설정된 세그먼트가 GWS(5)에서 CPS(8)로 전달되고(S206), 상기 세그먼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응답으로서, SYN 플래그와 ACK 플래그를 가진 세그먼트가 CPS(8)에서 GWS(5)로 돌아온다(S207). 그런 다음, ACK 플래그를 가진 세그먼트가 GWS(5)에서 CPS(8)로 전달된다(S208). 상기 3단계의 신호 변경 과정을 통해 GWS(5)와 CP 서버(8) 사이에 접속이 이루어진다.
다음은, 대상 홈페이지의 URL을 포함하는 HTTP-Get 세그먼트가 GWS(5)에서 CP 서버(8)로 전송되고(S209), CPS(8)는 상기 세그먼트가 GWS(5)에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응답신호를 돌려준다(S210).
그런 다음, 상기 URL로 지명된 CPS(8)의 홈페이지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HTTP-Res 세그먼트가 CPS(8)에서 GWS(5)로 전송되고(S211), 상기 세그먼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ACK 플래그를 가진 세그먼트가 CPS(8)로부터 돌아온다(S212).
상기 HTTP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끝날 때, 다음 형태의 접속 종료 처리가 이루어진다.
먼저, CPS(8)에서 GWS(5)로 FIN 플래그가 설정된 세그먼트가 발송된다(S213). GWS(5)는 상기 세그먼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세그먼트를 돌려준다(S214). 이 때, GWS(5)로부터 유사한 접속 종료 처리가 이루어진다(S215, S216).
상기 S206 - S216의 11 단계로 구성된 상기 시퀀스를 통해, CPS(8)의 홈페이지로부터의 데이터가 GWS(5)에 제공된다.
그 다음, GWS(5)에 제공된 CPS(8)의 홈페이지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이 PPM(3)으로 전송된다(S217).
도 10에서, 상기 패킷은 패킷(10A)으로 표시되고, 그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패킷(10A)에서, 메시지 형식을 가리키는 필드는 상기 메시지 형식이 "데이터" 메시지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데이터 필드는 상기 CPS(8)의 홈페이지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패킷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TCP 확인응답패킷은 PPM(3)에서 GWS(5)로 돌아간다(S218). 그런 다음, PPM(3)에서 전송된 TL-데이터 패킷이 MS(1)로 전송된다(S219). 그 결과,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홈페이지로부터의 데이터가 MS(1)로 전송되고, 사용자에 의해 초기화면에서 선택된 번호에 해당하는 콘텐트가 상기 정보 디스플레이부(1a)에 표시된다.
그러면, MS(1)는 상기 TL-데이터 패킷이 PPM(3)에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응답패킷(TL-데이터 확인패킷)을 돌려보낸다(S220).
도 10에서, 상기 패킷은 패킷(10B)으로 표시하고, 그 구조를 도시한다. 패킷(10B)에서, 메시지 형식을 가리키는 필드는 상기 메시지 형식이 "데이터 승인"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PPM(3)으로 돌아간 패킷은 GWS(5)로 전송되고(S221), 상기 패킷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TCP 확인응답패킷이 PPM(3)으로 돌아간다(S222).
상기 설명한 예는 CPS(8)에서 MS(1)로 단일 패킷이 전송된 뒤 데이터 전송이 끝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 실행에서는, CPS(8)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의 GIGDP 따라 PPM(3)과 GWS(5) 사이의 순서(S217, S218, 2SS1, S222)와 MS(1)와 PPM(3) 사이의 순서(S219, S220)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즉, CPS(8)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의 양이 MS(1) 측에서 한번에 수신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양의 3배라면, 상기 데이터는 3으로 나눠 MS(1) 측에 전송되고, 단계 S217, S218, S221, S222 및 단계 S219와 S220의 처리가 3번 수행된다.
2.3 패킷통신 종료시의 동작순서
도 6은 패킷통신 종료시의 동작순서를 보여준다.
먼저, 패킷통신으로부터 등록 취소를 요청하는 신호가 MS(1)에서 PPM(3)과 GWS(5)를 지나 M-SCP(9)로 전송된다(S300->S301->S302). M-SCP(9)는 패킷통신에서 MS(1) 등록을 취소하고, 패킷통신 등록취소신호를 발송한다(S303). 상기 패킷통신 등록취소신호는 GWS(5)와 PPM(3)을 통해 MS(1)로 전송되고(S304 -> S305), 이를 수신하면, MS(1)는 PPM(3)에 상기 패킷통신 등록취소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보낸다(S306).
그 다음, PPM(3)은 GWS(5)에 채널차단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고(S307), GWS(5)는 CPS(8)에 채널차단요청신호를 보낸다(S308). 이를 수신하면, CPS(8)는 GWS(5)에 채널차단응답신호를 보내고(S309), GWS(5)는 PPM(3)에 신호 단절 응답 신호를 보냄으로써(S310), 패킷통신 종료 시에 수행되는 시퀀스가 끝나게 된다.
3. 실시예의 효과
(1) 이런 식으로, PPP를 사용한 종래의 시퀀스와 비교해, 본 실시예의 도 5에 도시한 MS(1)와 GWS(5)간에 TL을 사용한 시퀀스로 도 15에 도시한 IP 및 TCP는, 전송 측과 수신 측간에 교환되는 신호의 개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약 1/3), MS(1)의 하드웨어 사양(CPU 처리 전력, 메모리 용량 등)이 크게 높지 않더라도 데이터통신을 순조롭게 실행할 수 있다.
(2) 부가적으로,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 전송된 패킷(7B)의 구조는 상당히 단순화된다. 즉, 단순화된 프로토콜 TL에 의한 통신에서, 각 패킷은 약 10 바이트 정도의 헤더(TL 헤더라고 불리는)와 응용데이터(예를 들면, 500 바이트로, 최대 1400 바이트까지 확장 가능)로 구성된다. 따라서, 헤더의 크기는 TCP/IP를 사용한 종래의 패킷(7A)과 비교해 그게 감소한다(약 1/5). 그 결과, 전송된 데이터의 양은 감소하고 통신비용도 더 낮아진다.
4. 변형 예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아래에 주어진 예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 CP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분배를 수신하는 이동국 사용자의 관점에서 본 실시예에 네트웍에 대한 데이터통신 다운스트림을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설명한 통신 프로토콜(TL)에 따라 데이터통신 업스트림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인터넷에 접속된 상대단말에 전자메일이 전송되는 경우에 TL에 의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다.
(2) 본 실시예에 설명한 통신 프로토콜(TL)은 단지 단순화된 프로토콜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종래의 TCP/IP와 같이 높은 신호 개수를 가지고, 전송 층 수준으로 가상회로에 의해 통신 상대에 접속하며, 접속형 통신을 고려하는 어떠한 프로토콜도 있을 수 있다.
(3) 본 실시예에 설명한 패킷의 구조 및 정보의 콘텐트 요소들은 단지 예이며, 헤더크기를 더 작게 하고 사용자단말과 중계장치간에 데이터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있을 수 있다.
(4) CP 서버로부터 분배되는 데이터 형식은 HTML일 필요는 없으며, 다른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된 정보가 텍스트 데이터만 이라면, HTML과 같이 브라우저 호환 태그를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일 필요가 없다.
(5) GWS(5)는 GWS(5)에 로드 및 트래픽을 확산시키는 다수의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한 것처럼, GWS(13)은 이동패킷통신망(10)과 외부 통신로 사이의 처리를 중계하고, M-PGW(이동메시지-패킷 게이트웨이 모듈)(12)는 다른 처리를 하는 식으로, M-PGW(12)와 GWS(13)로 분리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다수의 M-PGW(12)를 제공하여 각 M-PGW(12)에 접속할 수 있어, 각 M-PGW에 로드 및 트래픽이 확산한다.

Claims (3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네트웍 상에서 유일하게 식별되는 단말기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소스들과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단말기와 상기 네트웍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 통신을 제어하고 영향을 미치는 통신 제어 링크를 개설하는 단계;
    (b) 상기 통신 제어 링크 상위에 상기 단말기와 상기 네트웍 간 하나 이상의 논리적 접속을 개설하는 단계;
    (c) 상기 네트웍과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소스들 간 다층 데이터 통신 채널을 개설하는 단계;
    (d) 상기 데이터 패킷 통신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논리적 접속을 통하여 응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무선 이동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는
    상기 하나 이상의 논리적 접속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한번에 수신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사이즈와 동일하거나 작은 사이즈의 블록으로 상기 응용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노드와 제2노드 간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응용 데이터를 패스하는 다중의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하며,
    상기 다중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하나는,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제1노드 간 데이터 패킷 통신을 제어하고 영향을 미치는 상기 제1노드와의 통신 제어 링크를 개설하는 통신 링크 계층;
    상기 통신 링크 계층의 상위에 존재하며, 상기 통신 제어 링크 상위에서 상기 제1노드와의 하나 이상의 논리적 접속을 개설하며, 상기 데이터 패킷 통신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논리적 접속을 통하여 상기 응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접속 계층을 포함하며,
    상기 다중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노드와의 다층화된 데이터 통신 채널을 개설하여 상기 다층화된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응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드는 무선 이동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논리적 접속을 통하여, 상기 제1노드에 의하여 한번에 수신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사이즈와 동일하거나 작은 사이즈의 블록으로 상기 응용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28. 네트웍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은,
    상기 단말기와 네트웍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 통신을 제어하고 영향을 미치는 통신 제어 링크를 개설하는 통신 링크 계층; 및
    상기 통신 링크 계층의 상위에 존재하며, 상기 통신 제어 링크 상위에서 하나 이상의 논리적 접속을 개설하며, 상기 데이터 패킷 통신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논리적 접속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와 네트웍 간 응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접속 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무선 이동 단말기이고, 상기 통신 링크 계층은 무선 통신의 제어와 관리 및 단말기의 무선 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한번에 수신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사이즈와 동일하거나 작은 사이즈의 블록으로 상기 응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0-7009526A 1998-12-28 1999-12-24 통신제어방법, 통신방법, 서버장치, 단말기, 중계장치 및 통신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414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462798 1998-12-28
JP98-374627 199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204A KR20010085204A (ko) 2001-09-07
KR100414648B1 true KR100414648B1 (ko) 2004-01-07

Family

ID=1850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5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14648B1 (ko) 1998-12-28 1999-12-24 통신제어방법, 통신방법, 서버장치, 단말기, 중계장치 및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898640B1 (ko)
EP (1) EP1059777A4 (ko)
JP (1) JP3582720B2 (ko)
KR (1) KR100414648B1 (ko)
CN (2) CN1292186A (ko)
AU (1) AU749551B2 (ko)
BR (1) BR9908404A (ko)
CA (1) CA2322290C (ko)
NO (1) NO334132B1 (ko)
NZ (1) NZ506030A (ko)
PL (1) PL342519A1 (ko)
TW (1) TW448658B (ko)
WO (1) WO2000041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2698B2 (ja) * 1999-01-22 2004-10-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US8284737B2 (en) * 2000-03-03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buffering to reduce media latency in group communication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I112143B (fi) * 2000-08-14 2003-10-31 Sonera Oyj Prepaid-palvelu
US10915296B2 (en) * 2000-11-01 2021-02-09 Flexiworld Technologies, Inc. Information apparatus that includes a touch sensitive screen interface for managing or replying to e-mails
US11204729B2 (en) 2000-11-01 2021-12-21 Flexiworld Technologies, Inc. Internet based digital content services for pervasively providing protected digital content to smart devices based on having subscribed to the digital content service
US10860290B2 (en) 2000-11-01 2020-12-08 Flexiworld Technologies, Inc. Mobile information apparatuses that include a digital camera, a touch sensitive screen interface, support for voice activated command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or chipset supporting IEEE 802.11
AU2002243279A1 (en) 2000-11-01 2002-06-18 Flexiworld Technologies, Inc. Controller and manager for device-to-device pervasive digital output
US7609402B2 (en) 2001-01-19 2009-10-27 Flexiworld, Inc. Methods for universal data output
US7318086B2 (en) 2000-11-20 2008-01-08 Flexiworld Technologies, Inc. System for mobile and pervasive output
US7693508B2 (en) * 2001-03-28 2010-04-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00457B2 (en) 2001-03-28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fra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21296B2 (en) 2001-03-28 2012-02-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8077679B2 (en) 2001-03-28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tocol op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462529A (zh) * 2001-05-01 2003-12-17 株式会社Ntt都科摩 移动通信服务控制装置与移动通信服务控制方法
KR100443171B1 (ko) * 2001-09-19 2004-08-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전화기의 패킷 호 처리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7352868B2 (en) 2001-10-09 2008-04-01 Philip Hawkes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7649829B2 (en) 2001-10-12 2010-01-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reduction of decoding complex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601566B2 (en) 2001-10-23 2013-12-03 Intel Corporation Mechanism supporting wired and wireless methods for client and server side authentication
US8020201B2 (en) 2001-10-23 2011-09-13 Intel Corporation Selecting a security format conversion for wired and wireless devices
JP2003204403A (ja) * 2001-10-30 2003-07-18 Denso Corp 端 末
US20030120800A1 (en) * 2001-12-06 2003-06-26 Edwards Systens Technology, Inc. Network layer protocol
JP3745290B2 (ja) * 2002-02-28 2006-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通信装置
WO2003107611A1 (ja) * 2002-06-18 2003-12-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当該ゲートウェイ装置における信号処理方法
JP2004056306A (ja) * 2002-07-17 2004-02-19 Ntt Docomo Inc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中継装置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7599655B2 (en) 2003-01-02 2009-10-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TW200425690A (en) * 2003-05-13 2004-11-16 Benq Corp A header format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US8098818B2 (en) 2003-07-07 2012-01-17 Qualcomm Incorporated Secure registration for a multicast-broadcast-multimedia system (MBMS)
US8718279B2 (en) 2003-07-08 2014-05-0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 secure broadcast system
US8724803B2 (en) 2003-09-02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henticated challenges for broadcast-multicast communicat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06018751A1 (en) * 2004-08-12 2006-02-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for allocating data to at least one packet in an integrated circuit
EP1638288B1 (en) * 2004-09-17 2008-11-05 Alcatel Lucent System for exchanging messages between customer devices (CPE) and servers
WO2006050753A1 (en) * 2004-11-15 2006-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modifying mss
EP1816811B1 (en) * 2004-11-29 2013-05-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lay device, relay method, and program
US20060262793A1 (en) * 2005-05-19 2006-11-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handover between service delivery platforms by following content
IL169503A (en) * 2005-07-03 2010-12-30 Alvar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transfer of communication sessions between base stations in wireless networks
JP4322879B2 (ja) * 2006-03-06 2009-09-02 サンデン株式会社 通信機器用の接続装置
CN101141173B (zh) * 2006-09-08 2012-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启动与停止中继站中继功能的方法
US7912057B2 (en) * 2007-01-12 2011-03-22 Wi-Lan Inc. Convergence sublayer for use in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US20090252070A1 (en) * 2007-01-12 2009-10-08 Connors Dennis P Airlink management in a wireless broadcast system
US8774229B2 (en) * 2007-01-12 2014-07-08 Wi-Lan, Inc. Multidiversity handoff in a wireless broadcast system
US7944919B2 (en) * 2007-01-12 2011-05-17 Wi-Lan, Inc. Connection identifier for wireless broadcast system
US8064444B2 (en) * 2007-01-12 2011-11-22 Wi-Lan Inc.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US8548520B2 (en) * 2007-01-26 2013-10-01 Wi-Lan Inc. Multiple network access system and method
KR200451978Y1 (ko) * 2007-01-31 2011-01-25 정종오 회전형 주상광고장치
US8594695B2 (en) * 2007-02-16 2013-11-26 Intel Corpor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to set radio transmitt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ory compliance
WO2008131030A1 (en) * 2007-04-18 2008-10-30 Nextwave Broadband Inc. Macro-diversity region rate modification
US7903604B2 (en) * 2007-04-18 2011-03-08 Wi-L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cheduler for a macro-diversity portion of a transmission
JPWO2009019925A1 (ja) * 2007-08-09 2010-10-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方法、中継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866335B2 (ja) * 2007-11-28 2012-02-01 富士通株式会社 中継装置,試験装置,試験方法,及び試験プログラム
JP2008245299A (ja) * 2008-04-15 2008-10-09 Ntt Docomo Inc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無線基地局への信号量流入制御方法
US8898323B2 (en) 2008-10-22 2014-11-25 Qualcomm Incorporated Mobility protocol selection in a multi-internet protocol mobility environment
US8683048B2 (en) 2008-11-26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IP services
CN101964716B (zh) * 2009-07-21 2015-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流业务的方法及通信系统以及相关设备
JP5874443B2 (ja) * 2012-03-01 2016-03-0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れらの制御方法ならびに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10102176B2 (en) * 2015-02-06 2018-10-16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apid switching of hardware configurations with a speed limited bus
WO2017056201A1 (ja) * 2015-09-29 2017-04-06 株式会社ソラコム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ゲートウェイの制御装置
CN109218448A (zh) * 2018-10-31 2019-01-15 江苏本能科技有限公司 交通设备通信方法及系统
CN112910658B (zh) * 2021-02-02 2022-07-12 刘玉 一种数据包传输方法和提供tcp代理服务的方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4362A (en) * 1995-04-17 1998-07-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Temporary frame identification for ARQ in a reservation-slotted-ALOHA type of protocol
US6304574B1 (en) * 1995-06-07 2001-10-16 3Com Corporation Distributed processing of high level protocols, in a network access server
JP3172970B2 (ja) 1995-06-13 2001-06-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Atm網の帯域割当方法
US5727159A (en) * 1996-04-10 1998-03-10 Kikinis; Dan System in which a Proxy-Server translat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rnet into a form/format readily usable by low power portable computers
JP3636399B2 (ja) * 1996-05-29 2005-04-06 富士通株式会社 プロトコル変換システム及びプロトコル変換方法
JPH1065737A (ja) 1996-08-23 1998-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代理サーバ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US6546003B1 (en) * 1996-11-21 2003-04-08 Verizon Services Corp. Telecommunications system
JPH10229416A (ja) * 1996-12-13 1998-08-25 Sony Corp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6266704B1 (en) * 1997-05-30 2001-07-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Onion routing network for securely moving data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s
SE519638C2 (sv) * 1997-07-02 2003-03-25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uppkopplande i ett telekommunikationsnät
US6115390A (en) * 1997-10-14 2000-09-05 Lucent Technologies, Inc. Bandwidth reservation and collision resolution method for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networks where remote hosts send reservation requests to a base station for randomly chosen minislots
US6289377B1 (en) * 1997-11-10 2001-09-1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Dynamic network configuration of a one-way adapter using a proxy agent that communicates with a resource server through a configured return path adapter
DE59912930D1 (de) * 1998-03-17 2006-01-19 Hans Kuebl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arbeitung von kommunikationswünschen in heterogenen kommunikationsnetzen
JP3464907B2 (ja) * 1998-03-20 2003-11-10 富士通株式会社 プロトコル変換システム
US6496491B2 (en) * 1998-05-08 2002-12-17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e point-to-point protocol
US6400712B1 (en) * 1998-05-26 2002-06-04 Qualcomm Incorporated Fast circuit switched data architecture and method
US6590588B2 (en) * 1998-05-29 2003-07-08 Palm, Inc. Wireless, radio-frequency communications using a handheld computer
US6574239B1 (en) * 1998-10-07 2003-06-03 Eric Morgan Dowling Virtual connection of a remote unit to a server
US6529524B1 (en) * 1999-01-13 2003-03-04 Nortel Networks Limited Computer program products, methods, and protocol for interworking services between a public telephone network, intelligent network, and internet protocol network
US6785823B1 (en) * 1999-12-03 2004-08-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542734B1 (en) * 2000-03-30 2003-04-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pecified events in a mobil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06030A (en) 2003-12-19
WO2000041364A8 (en) 2000-09-21
WO2000041364A1 (en) 2000-07-13
CA2322290C (en) 2007-11-27
JP3582720B2 (ja) 2004-10-27
BR9908404A (pt) 2000-10-17
EP1059777A4 (en) 2003-01-15
NO334132B1 (no) 2013-12-16
EP1059777A1 (en) 2000-12-13
AU1800400A (en) 2000-07-24
KR20010085204A (ko) 2001-09-07
CA2322290A1 (en) 2000-07-13
CN1327670C (zh) 2007-07-18
NO20003833D0 (no) 2000-07-26
PL342519A1 (en) 2001-06-18
CN1549539A (zh) 2004-11-24
NO20003833L (no) 2000-07-26
TW448658B (en) 2001-08-01
CN1292186A (zh) 2001-04-18
US6898640B1 (en) 2005-05-24
AU749551B2 (en) 200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648B1 (ko) 통신제어방법, 통신방법, 서버장치, 단말기, 중계장치 및 통신시스템
US7768994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JP3920572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ローカル資源の利用方法
JPH1127290A5 (ko)
KR20010042443A (ko)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EP1437020A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obile edge services
KR20080026590A (ko) 방화벽 뒤에 위치하고 있는 동적 ip 주소를 지니는 장치상의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시스템 및 방법
GB2363547A (en) Internet protocol (ip) based communication system in a mobile telephone network which allows ip communication even if no ip connection exists
EP1695514B1 (en) Communication network
US20020107964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transferring method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183843B1 (en) Connection handle
CN101286858B (zh) 一种移动终端的wap网关计费的方法和系统
EP1213883B1 (en) Wireless protocol system combined with SMS in mobile environment and a method of providing internet content
AU2004203177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s
HK1031492A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method, server device, terminal, relay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338748B1 (ko)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채용 통신 단말기
US20090052446A1 (en) Communications Interface
KR100930746B1 (ko)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통화 서비스 방법
JP3617784B2 (ja) 移動通信網
JP2000332819A (ja) 移動データ通信システム
EP1488654A1 (en) Bil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4297487A (ja) ゲートウェ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12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122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