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8805B1 -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Heat Exchanger Tub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Heat Exchanger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805B1
KR100468805B1 KR1019970027027A KR19970027027A KR100468805B1 KR 100468805 B1 KR100468805 B1 KR 100468805B1 KR 1019970027027 A KR1019970027027 A KR 1019970027027A KR 19970027027 A KR19970027027 A KR 19970027027A KR 100468805 B1 KR100468805 B1 KR 100468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rming
forming portion
heat exchanger
reinforcing
exchanger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0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80000695A (en
Inventor
다이시 다나카
마사카즈 후루타
가즈유키 다카하시
야스히로 오사메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70027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805B1/en
Publication of KR980000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6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805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8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ribs integral with the element or local variations in thickness of the element, e.g. grooves, micro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PROFIL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rods, wire, tubes, profil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rods, wire, tubes, profil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151Making tubes with multip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5/00Uniting components to form integral members, e.g. turbine wheels and shafts, caulks with inserts, with or without shaping of th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1/0316Assemblies of conduits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9Coatings, claddings or bonding layer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0/00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flow guiding means; Particular flow patterns
    • F28F2250/04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상하벽과, 상하벽의 좌우 양 측연부 사이에 걸쳐 있는 좌우 양 측벽과, 상하벽 사이에 걸쳐 있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벽을 구비하고, 내부에 병렬형의 유체 통로가 형성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벽 형성부 및 하벽 형성부에 상향으로 융기되어 일체로 성형된 다수의 보강벽 형성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제의 제 1 관 구성 부재와, 상하면 중의 적어도 하면에 납 재료층을 구비하는 프레싱 판재로 구성된 상벽 형성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제의 제 2 관 구성 부재를 상호 납땜하여 일체화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제 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하면에서의 각각의 보강벽 형성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납땜 강도 증대용 릿지를 미리 형성하여, 2개의 구성 부재를 상하로부터 힘을 가한 상태로 임시로 고정시킨 후에 2개의 구성 부재를 납땜하게 된다.It has a top and bottom wall, the left and right both sidewalls extending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walls extend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from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ins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in which a fluid passage of a gas is formed, comprising: a first pipe constituting member made of aluminum including a lower wall form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s which are raised upwardly and integrally molded; And a step of soldering and integrating the second tube constituting member made of aluminum including at least a top wall forming portion formed of a pressing plate material having a lead material layer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each of which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tube constituting member. At least one ridge for increasing the soldering streng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of After the constituent members were fixed temporarily by applying a force from the vertical state it is soldered to the two component members.

Description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heat exchanger tube

본 발명은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냉각기에 사용되는 응축기 또는 증발기 등의 열교환기에 적용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applied to a heat exchanger such as a condenser or an evaporator used in a vehicle cooler.

최근 차량 냉각기용 응축기로서, 일본 특허 출원 공고 제91-4530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두고 좌우에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헤더와, 양 단부가 2개의 헤더에 각각 접속되는 병렬형의 편평형 열교환관과, 인접된 열교환관 사이의 통풍 틈새에 배치되는 동시에 2개의 열교환관에 납땜되는 파형 핀과, 좌측의 헤더의 상단부에 접속되는 입구관과, 우측 헤더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출구관과, 좌측 헤더의 중간 정도보다 상측의 위치에서 내부에 설치되는 좌측 칸막이 판과, 우측 헤더의 중간 정도보다 하측의 위치에서 내부에 설치되는 우측 칸막이 판을 구비하고, 입구관과 좌측 칸막이 판과의 사이의 열교환관의 개수, 좌측 칸막이판과 우측 칸막이판과의 사이의 열교환관의 개수, 우측 칸막이판과 출구관과의 사이의 열교환관의 개수가 위로부터 순차적으로 감소되며, 입구관으로부터 유입된 기체 상의 냉매가 출구관으로부터 액상이 되어 유출할 때까지 응축기를 통해 사행형으로 유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소위 병렬 유동형 또는 다중 유동형으로 지칭되는 응축기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응축기는 종래의 사행형(serpentine-type) 응축기를 대신하여 고성능화, 저압력 손실화 및 초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As a condenser for a vehicle cooler in recent years,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91-45300, a pair of headers arranged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a parallel type in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to two headers, respectively Flat heat exchanger tube, corrugated fins disposed in the ventilation gap between adjacent heat exchanger tubes and soldered to two heat exchanger tubes, an inlet tu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eft header, and an outlet tu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ight header And a left partition plate provided insid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middle of the left header, and a right partition plate provided inside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middle of the right header, and including an inlet pipe and a left partition plate. The number of heat exchange tubes between the left partition plate and the right partition plate and the number of heat exchange tubes between the right partition plate and the outlet pipe Condensers, so called parallel flow or multi-flow type, are sequentially used, which are sequentially reduced from the gas stream flowing in from the inlet tube and flow in a meandering manner through the condenser until the liquid phase from the outlet tube flows out. . Such a condenser has been used in place of a conventional serpentine-type condenser to realize high performance, low pressure loss and ultra compactness.

전술한 응축기에 사용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내부에는 고압 가스 냉매가 도입되기 때문에, 그러한 편평형 열교환관에는 내압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는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높히기 위해, 평평한 상하벽과, 상하벽 사이에 걸쳐 있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벽을 구비하는 알루미늄 중공 압출 형재로 이루어진 것이 열교환관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열교환 효율의 향상 및 응축기의 컴팩트화와 관련하여, 편평형 열교환관은 그 두께가 얇고, 그 높이가 가능한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압출 형재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압출 기술 상의 제약으로 인해 관의 높이를 낮게 하고 두께를 얇게 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Since the high-pressure gas refrigerant is introduced into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used in the condenser described above, such flat heat exchanger tube is required to be pressure resistant. In order to meet such demands and to improve heat exchange efficiency, an aluminum hollow extruded shape member having a flat upper and lower walls and a reinforcing wal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alls is used as the heat exchanger tube. By the way, in connection with the improvement of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the compactness of a condens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is thin in thickness and as low as possible in height. However, when the extruded shape is manufactured, there are limitations in lowering the height of the tube and reducing the thickness due to limitations in the extrusion technology.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97-28137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벽과, 상하벽의 좌우 양 측연부 사이에 걸쳐 있는 좌우 양 측벽과, 상하벽 사이에 걸쳐 있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벽을 구비하고, 내부에 병렬형의 유체 통로가 형성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벽 형성부 및 하벽 형성부에 상향으로 융기되어 일체로 성형된 다수의 보강벽 형성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제의 제1 관 구성 부재와, 하면에 납 재료층을 구비하는 프레싱 판재로 구성되고 제1 관 구성 부재의 양 측벽 형성부 사이에 걸쳐 있는 상벽 형성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제의 제2 관 구성 부재를 납땜하여 일체화시키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이 알려져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7-281373, the upper and lower walls,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extending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the upper and lower wall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hav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wall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parallel fluid passages formed therein, wherein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and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are raised upwardly. A first tubular member made of aluminum compris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wall forming parts integrally formed therein, and a pressing plate having a lead material layer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interposed between both sidewall forming parts of the first tubular memb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which solders and integrates the 2nd tube structural member made from aluminum containing an upper wall formation part is known.

그러나, 전술한 제1 관 구성 부재는 한쪽의 롤이 병렬형의 환형 홈을 구비하는 상하의 압연 롤에 의해 알루미늄 판을 압연함으로써 얻어지기 때문에,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 구성 부재(50)의 보강벽 형성부(51)의 상연부가 수평이 되지 않고, 예컨대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으로 경사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그 결과, 제1 관 구성 부재(50)와 제2 관 구성 부재(52)를 조합시켰을 때, 제2 관 구성 부재(52)의 상벽 형성부(53)의 하면과 제1 관 구성 부재(50)의 보강벽 형성부(51)의 상연부를 조합시킨 조합물이 일단부 부분에서만 접촉하고 다른 부분에서는 약간의 틈새(54)가 존재하게 되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상벽 형성부(53)의 하면의 납 재료층(55)을 형성하고 있는 납 재료는 납땜 시에 용융되어 우선 상벽 형성부(53)의 하면과 보강벽 형성부(51)의 상연부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 모이고, 이어서 틈새(54) 내에 유입되어 그 틈새를 순차적으로 메우게 되는데, 납 재료층(55)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의 영향으로 인해 용융된 납 재료의 유동성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틈새(54)의 전부가 메워지지 않고, 이에 따라 필릿(fillet)이 보강벽 형성부(51)의 전길이에 걸쳐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1st tubular structural member is obtained by rolling an aluminum plate by the upper and lower rolling rolls in which one roll has a parallel annular groove, as shown in FIG. 20, the 1st tubular structural member 50 is shown. ), The upper edge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51 is not horizontal, and may be inclined, for example, from one end side to the other end side. As a result, when combining the 1st tubular structural member 50 and the 2nd tubular structural member 52,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ation part 53 of the 2nd tubular structural member 52, and the 1st tubular structural member 50 are shown. The combination combining the upper edges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51 of () is in contact only at one end portion, and a small gap 54 is present at the other portion, resulting in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the lead material forming the lead material layer 55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53 is melted at the time of soldering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53 and the upper edge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51 first contact each other. Collected in the part being formed and then filled in the gap 54 to sequentially fill the gap, an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oxide film on the surface of the lead material layer 55, the flowability of the molten lead material is insufficient. As a result, the entirety of the gap 54 may not be filled, and thus a fillet may not be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art 51.

특히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보강벽 형성부(51)가 그 상연부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결부(56)를 구비하고, 제1 관 구성 부재(57)와 제2 관 구성 부재(52)를 납땜하여 절결부(56)의 개방부를 상벽 형성부(53)에 의해 폐색시킴으로써 병렬형의 냉매 통로를 상호 통하게 하는 연통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관 구성 부재(57)의 보강벽 형성부(51)의 인접된 절결부(51) 사이의 부분(58A, 58B, 58C)의 상연부의 높이 위치가 전부 동일하지 않고 다르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여, 일부분(58A)의 상연부만이 제2 관 구성 부재(52)의 상벽 형성부(53)에 접촉하고, 다른 부분(58B, 58C)에서는 그 상연부와 상벽 형성부(53)와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59)가 존재하게 된다. 제1 관 구성 부재(57)의 보강벽 형성부(51)의 상연부와 제2 관 구성 부재(52)의 상벽 형성부(51)와의 사이에 틈새(59)가 존재하는 부분은 납땜 시에 납땜되지 않는다. 그 결과, 제2 관 구성 부재(52)의 상벽 형성부(53)와 제1 관 구성 부재(57)의 보강벽 형성부(51)와의 사이의 납땜 강도가 부족하게 되어, 제조된 편평형 열교환관이 요구되는 내압성을 충족시킬 수 없게 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21, each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51 has a plurality of cutouts 56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its upper edge, and includes a first tubular member 57 and a first tube. In the case of forming the communication hole for connecting the parallel coolant passages by soldering the two pipe member 52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cutout portion 56 by the upper wall forming part 53, the first pipe member A situation arises in which the height positions of the upper edge portions of the portions 58A, 58B, 58C between the adjacent cutouts 51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51 of 57 are not all the same, an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nly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second tube constituting member 52 contacts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53, and in other portions 58B and 58C, there is a slight gap between the upper edge portion and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53. ) Will exist. The part where the clearance 59 exists between the upper edge part of the reinforcement wall formation part 51 of the 1st tubular structural member 57, and the upper wall formation part 51 of the 2nd tubular structural member 52 at the time of soldering is carried out. Not soldered As a result, the brazing strength between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53 of the second tube forming member 52 and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51 of the first tube forming member 57 is insufficient, and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thus manufactured is manufactured. This required pressure resistance cannot be satisfied.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2 관 구성 부재의 하면의 납 재료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와 같이 할 경우에는 납땜 시에 납 재료가 흘러 내리게 되고, 그 결과 유체 통로의 횡단 면적의 감소하여 통로 저항이 커지거나, 때로는 유체 통로가 폐쇄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보강벽 형성부에 절결부가 있는 경우에는 연통 구멍이 폐쇄될 우려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conceivable to thicken the thickness of the lead material lay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ipe constituent member. In this case, the lead material flows during soldering, and as a result, the fluid passage There is a concern that the passage resistance of the cross section decreases, resulting in increased passage resistance, or sometimes the fluid passage being closed. In addition, when there is a notch in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there is a fear that the communication hole is closed.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납땜과 관련된 각종의 문제가 없고 그 내압성이 충분한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without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aforementioned soldering and having sufficient pressure resistance.

본 발명은 상하벽과, 상하벽의 좌우 양 측연부 사이에 걸쳐 있는 좌우 양 측벽과, 상하벽 사이에 걸쳐 있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벽을 구비하고, 내부에 병렬형의 유체 통로가 형성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벽 형성부 및 하벽 형성부에 상향으로 융기되어 일체로 성형된 다수의 보강벽 형성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제의 제1 관 구성 부재와, 상하면 중의 적어도 하면에 납 재료층을 구비하는 프레싱 판재로 구성된 상벽 형성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제의 제2 관 구성 부재를 납땜하여 일체화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하면에서의 각각의 보강벽 형성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납땜 강도 증대용 릿지를 미리 형성하여, 2개의 구성 부재를 상하로부터 힘을 가한 상태로 임시로 고정시킨 후에 2개의 구성 부재를 납땜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하면과 제1 관 구성 부재의 보강벽 형성부의 상연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는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틈새의 크기가 볼록 스트립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으면, 보강벽 형성부의 그러한 부분이 상벽 형성부의 하면의 릿지에 접촉하여 볼록 스트립에 납땜되기 때문에, 편평형 열교환관에서는 전체적으로 납땜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and lower walls, both left and right side walls extending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walls extend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from each oth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having a parallel fluid passage formed therein, comprising: a first tube constituting member made of aluminum including a lower wall form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s which are raised upwardly and integrally formed; And a step of soldering and integrating a second tube constituting member made of aluminum including an upper wall forming portion formed of a pressing plate material having a lead material layer on at least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t least one ridge for increasing the soldering streng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of the It is characterized by soldering two structural members, after temporarily fixing two structural members in the state which applied the force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By such a method, even if there is a portion where a gap exists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pipe forming member and the upper edge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of the first pipe forming member, the size of the gap is such that the protrusion of the convex strip is increased. If i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height, such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is soldered to the convex strip in contact with the ri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so that no soldering failure occurs in the flat heat exchange tube as a whole.

바람직한 것은 보강벽 형성부의 상단부의 양 코너부 및 릿지의 선단부의 횡단면이 동시에 원호형으로 구성되고, 릿지가 각각의 보강벽 형성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한쌍씩 구비되는 한편, 2개의 구성 부재를 임시로 고정시킬 때에 각각의 릿지의 선단부의 횡방향 경사부가 보강벽 형성부의 하나의 코너부에 맞닿도록 각각의 릿지가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2개의 구성 부재를 상하로부터 힘을 가한 상태로 임시로 고정시켰을 때, 보강벽 형성부의 상단부에 의해 한쌍의 릿지가 눌려서 넓혀지는 현상 및 그 상단부의 양 코너부가 변형되는 현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기기 때문에, 보강벽 형성부와 릿지와의 접촉 면적이 커져서 납땜이 양호해진다.Preferably, both corners of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tip portion of the ridge are formed in an arc shape at the same time, and the ridges are provided in pairs in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s, while temporarily providing two constituent members. Each ridge is positioned so that the transverse inclined portion of the tip portion of each ridge abuts on one corn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when fixed to the ridge.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two structural members are temporarily fixed in a state where a force is applied from above and below, at least one of the phenomenon in which the pair of ridges are pushed and widened by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and the corner portions of the upper end thereof are deformed. Since any one of them occur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and the ridge becomes large, and the soldering becomes good.

릿지의 돌출 높이는 10∼200 ㎛ 정도가 바람직하다. 보강벽 형성부에 있는 인접된 절결부 사이의 부분들의 상연부의 높이 위치가 여러 가지로 다른 것에 기인하여,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하면과 보강벽 형성부의 상연부와의 사이에 생기는 틈새의 크기가 10 ㎛보다 작게 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10 ㎛보다도 낮으면 2개의 구성 부재를 임시로 고정시킬 때에 제1 관 구성 부재의 보강벽 형성부의 상연부가 볼록 스트립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고, 200 ㎛보다도 높으면 2개의 구성 부재를 임시로 고정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될 우려가 있다.As for the height of protrusion of a ridge, about 10-200 micrometers is preferable. Gaps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pipe member and the upper edge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due to various differences in the height positions of the portions between adjacent cutouts in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Since the size of is not smaller than 10 μm, if it is lower than 10 μm,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of the first pipe member may not contact the convex strip when temporarily fixing the two component members. If it is higher than 占 퐉, there is a fear that it is impossible to temporarily fix the two structural members.

또한,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하면에서의 보강벽 형성부에 대응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는, 열전달 면적 증대용 릿지를 미리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열교환관의 열교환 효율이 증대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ridge for increasing heat transfer area in advance in a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a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pipe constituting member, thereby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r tube. .

또한, 본 발명은 상하벽과, 상하벽의 좌우 양 측연부 사이에 걸쳐 있는 좌우 양 측벽과, 상하벽 사이에 걸쳐 있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벽을 구비하고, 내부에 병렬형의 유체 통로가 형성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벽 형성부 및 하벽 형성부에 상향으로 융기되어 일체로 성형된 복수의 보강벽 형성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제의 제1 관 구성 부재와, 상하면 중의 적어도 하면에 납 재료층을 구비하는 프레싱 판재로 구성되고 제1 관 구성 부재의 양 측벽 형성부 사이에 걸쳐 있는 상벽 형성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제의 제2 관 구성 부재를 납땜하여 일체화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하면을 거친 면으로 만듦으로써 표면에 생긴 산화 피막에 미리 흠을 형성하여, 2개의 구성 부재를 임시로 고정시킨 후에 2개의 구성 부재를 납땜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납땜 시의 납의 유동성이 양호해진다. 따라서, 보강벽 형성부의 상연부가 수평으로 되지 않고, 예컨대 일단부쪽으로부터 타단부쪽으로 경사져서, 2개의 구성 부재를 조합시켰을 때에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와 제1 관 구성 부재의 보강벽 형성부의 상연부가 조합물의 일단부 부분에서만 접촉하고 다른 부분에서는 약간의 틈새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용융된 납 재료는 우선 상벽 형성부와 보강벽 형성부가 접촉하는 부분에 모이고, 이어서 틈새 내에 유입되어 순차적으로 틈새의 전체를 메우게 된다. 그 결과, 보강벽 형성부의 전길이에 걸쳐 보강벽 형성부와 상벽 형성부와의 사이에 필릿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p and bottom wall, the left and right both sidewalls that exten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walls that exten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in which a parallel fluid passage is formed therein, comprising: a first tube structure made of aluminum includ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s which are elevated upwardly and integrally formed by being raised upward from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and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Integrates and integrates a second tube constituting member made of aluminum including a member and an upper wall forming portion formed of a pressing plate having a lead material layer on at least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interposed between both sidewall forming portions of the first tube constituting member.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pipe constituting member is made into a rough surface. After the two components are temporarily fixed, the two components are soldered. Thereby, the fluidity | liquidity of the lead at the time of soldering becomes favorable. Therefore,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does not become horizontal, for example, is inclined from one end side to the other end portion, and when the two structural members are combined,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tube structural member and the reinforcing wall of the first tube structural member Although the upper edge of the forming part contacts only one end of the combination and there is a slight gap in the other part, the molten lead material first collects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upper wall forming part and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art, and then flows into the gap to sequentially It fills the whole gap. As a result, fillets ar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and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또한, 바람직한 것은 각각의 보강벽 형성부가 그 상연부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결부를 구비하고, 2개의 구성 부재를 납땜하여 절결부의 개방부를 상벽 형성부에 의해 폐색시킴으로써 병렬형의 유체 통로를 상호 통하게 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each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has a plurality of cutouts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edge thereof, and the two components are soldered to close the openings of the cutouts by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Communication holes are formed which allow the fluid passag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보강벽의 연통 구멍은 병렬형의 유체 통로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를 편평형 열교환관의 폭방향으로도 흐르게 하고, 유체 통로 상호간에 있어서의 냉매의 온도차가 없어지도록 냉매를 혼합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각각의 보강벽에서는 모든 연통 구멍이 보강벽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인 개구율이 1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구율은 열전도율을 양호하게 하고, 열교환관의 열교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비율이다. 개구율이 10% 미만이면 열전도율이 증가하지 않고, 40 %를 초과하여도 역시 열전도율이 증가하지 않고 마찰계수만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술한 범위의 개구율이 바람직하다. 개구율은 10∼40 %의 범위 중에서도 특히 10∼30 %가 바람직하고, 20 % 정도가 가장 양호하다. 다수의 보강벽에 개방된 연통 구멍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mmunication holes in the reinforcing wall allow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parallel fluid passages to flo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and mix the refrigerants so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refrigerants in the fluid passages is eliminated. In the wall,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ratio, which is the ratio of all communication holes to the reinforcing wall, is 10 to 40%. Such an opening ratio is a ratio which can make thermal conductivity favorable and can further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a heat exchanger tube. If the aperture ratio is less than 10%, the thermal conductivity does not increase, and if it exceeds 40%, the thermal conductivity does not increase, and only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ncreases, so that the aperture ratio in the above range is preferable. In the range of 10 to 40%, the opening ratio is particularly preferably 10 to 30%, most preferably about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munication holes opened i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walls are arranged zigzag in plan view.

또한, 바람직한 것은 제1 관 구성 부재의 하벽 형성부의 좌우 양 측연부에 보강벽과 동일한 높이의 상승벽이 융기되어 일체로 성형되는 동시에 좌우 양 측벽의 하면에 외측으로 상향된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좌우 양 측연부에 그 수직 길이가 상승벽의 높이보다 더 크고 상승벽의 외측에 겹쳐지는 수직벽이 일체로 성형되고, 제1 관 구성 부재와 제2 관 구성 부재를 임시로 고정시킬 경우에 2개의 수직벽의 하단부가 외측으로 상향된 경사면에 만곡되어 겹쳐지거나 하벽 형성부와 하나의 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2개의 구성 부재를 임시로 고정시키기 위한 지그(jig) 등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조된 편평형 열교환관에서는 좌우 양 측벽이 2중 구조로 되기 때문에, 그 부분의 내압성이 향상된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ising wall of the same height as the reinforcement wall is raised and integrally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first pipe constituting member, and at the same time, an inclined surface which is upwardly outward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The vertical wall overlapping the outer side of the rising wall whose vertical length is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rising wall and the outer side of the upper wall forming part of the pipe forming member is formed integrally, and the first pipe forming member and the second pipe forming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case of temporarily fixing the lower ends of the two vertical walls are bent on the inclined surface upwardly to overlap or to form one surface with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a jig or the like for temporarily fixing the two structural members. Further, in the produced flat heat exchanger tube, since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have a double structure, the pressure resistance of the portion is improved.

또한, 열교환관의 폭 방향으로의 보강벽의 피치는 4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벽의 피치가 4 ㎜를 넘으면 열교환 효율이 악화된다. 또한, 보강벽의 높이는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벽의 높이가 2 ㎜를 넘으면, 열교환관의 컴팩트화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통과 공기의 저항이 증대하여 열교환 효율이 악화된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itch of the reinforcement wall in the width direction of a heat exchanger tube is 4 mm or less. If the pitch of the reinforcing wall exceeds 4 mm,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deteriorates.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a reinforcement wall is 2 mm or less. If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wall exceeds 2 mm, not only the heat exchanger tube can be made compact, but also the resistance of the passing air increases,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deteriora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알루미늄」이란 단어는 순수한 알루미늄 이외에도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체 도면을 통해 동일물 및 동일 부분을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시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word "aluminum" shall include an aluminum alloy in addition to pure aluminum. In addition, the same description and the same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redundant description.

도 22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평형 열교환관이 사용되는 응축기를 나타낸다. 응축기는 서로 간격을 두고 좌우에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헤더(60, 61)와, 양 단부가 2개의 헤더(60, 61)에 각각 접속된 병렬형의 편평형 열교환관(62)과, 인접된 열교환관(62) 사이의 통풍 틈새에 배치되는 동시에 2개의 열교환관(62)에 납땜되는 파형 핀(63)과, 좌측 헤더(60)의 상단부에 접속되는 입구관(64)과, 우측 헤더(61)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출구관(65)과, 좌측 헤더(60)의 중간 정도보다 상측의 위치에서 내부에 설치되는 좌측 칸막이 판(66)과, 우측 헤더(61)의 중간 정도보다 하측의 위치에서 내부에 설치되는 우측 칸막이 판(67)을 구비하고, 입구관(64)과 좌측 칸막이 판(62)과의 사이의 열교환관(62)의 개수, 좌측 칸막이 판(66)과 우측 칸막이판(67)과의 사이의 열교환관(62)의 개수, 우측 칸막이판(67)과 출구관(65)과의 사이의 열교환관(62)의 개수가 위로부터 순차적으로 감소되며, 입구관(64)으로부터 유입된 기체 상의 냉매가 출구관(65)으로부터 액상으로 유출되기까지 응축기를 통해 사행형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Fig. 22 shows a condenser in which a flat heat exchanger tube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condenser is adjacent to a pair of headers 60 and 61 arranged at right and left sides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 parallel flat heat exchanger tube 62 connected at both ends to two headers 60 and 61, respectively, Corrugated fins 63 arranged in the ventilation gap between the heat exchange tubes 62 and soldered to the two heat exchange tubes 62, an inlet tube 64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eft header 60, and a right header ( Lower than the middle of the outlet tube 65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61 and the left partition plate 66 provided inside at a position above the middle of the left header 60 and the right header 61. The number of heat exchange tubes 62 between the inlet pipe 64 and the left partition plate 62, the left partition plate 66, and the right partition plate provided with the right partition plate 67 installed inside at the position. The number of heat exchanger tubes 62 between the 67 and the number of heat exchanger tubes 62 between the right partition plate 67 and the outlet tube 65 are sequentially from the top. It is reduced, and is configured to flow in a meandering manner through the condenser until the refrigerant in the gas flowed from the inlet tube 64 flows out of the outlet tube 65 to the liquid phase.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평형 열교환관(A)은 핀이 납땜된 평탄한 상하벽(1, 2)과, 상하벽(1, 2)의 좌우 양 측 연부 사이에 걸쳐 있는 수직의 좌우 양 측벽(3, 4)과, 좌우 양 측벽(3, 4) 사이의 구역에서 상하벽(2) 사이에 걸쳐 있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보강벽(5)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병렬형의 냉매 통로(6)가 형성된다. 인접된 보강벽(5)들 서로의 사이에서, 상벽(1)의 하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전달 면적 증대용 볼록 스트립(7)이, 하벽(2)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열전달 면적 증대용 돌기(8)가 각각 설치된다. 다수의 보강벽(5)의 상단부에는 병렬형의 냉매 통로(6)를 상호 통하게 하는 다수의 사다리꼴 연통 구멍(9)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지그재그식으로 개방되어 있다. 편평형 열교환관(A)은 알루미늄제의 제1 관 구성 부재(10)와, 알루미늄제의 제2 관 구성 부재(11)로 구성된다.This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As shown in Figs. 1 to 3,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A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flat upper and lower walls 1 and 2 with soldered fins,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walls 1 and 2, respectively. The vertical left and right side walls 3 and 4 spanning the edges and the upper and lower walls 2 in the reg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3 and 4,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reinforcing walls 5 are provided, and parallel refrigerant passages 6 are formed therein. Between the adjacent reinforcement walls 5, the convex strip 7 for increasing the heat transfer are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1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wall 2.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area increasing projections 8 are provided respectively. At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walls 5, a plurality of trapezoidal communication holes 9 through which the parallel coolant passages 6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re zigzag-opened in plan view.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A is comprised from the 1st tubular structural member 10 made of aluminum, and the 2nd tubular structural member 11 made of aluminum.

편평형 열교환(A)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우선, 제1 관 구성 부재(10)를 하면에 납 재료층을 구비하는 프레싱 판재로부터, 제2 관 구성 부재(11)를 상하면에 납 재료층을 구비하는 프레싱 판재로부터, 한쪽의 롤이 소정의 종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상하의 압연 롤을 사용하여 도 4에 도시된 소정의 횡단면 형상으로 각각 압연 성형한다. 제1 관 구성 부재(10)는 평탄한 하벽 형성부(12), 하벽 형성부(12)로부터 융기되어 일체로 성형된 좌우 양 측연부의 상승벽(13), 좌우 상승벽(13) 사이의 다수의 보강벽 형성부(14) 및 인접된 보강벽 형성부(14) 사이의 열전달 면적 증대용 돌기(8)를 구비한다. 각각의 보강벽 형성부(14)의 상단부에는 연통 구멍(9)을 형성하는 사다리꼴 절결부(15)가 구비되고, 하벽 형성부(12)의 좌우 양 측연부의 하면에는 외향 경사면(16)이 형성된다. 상승벽(13)과 보강벽 형성부(14)의 높이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2 관 구성 부재(11)는 평탄한 상벽 형성부(17), 상벽 형성부(17)로부터 하측으로 융기되어 일체로 성형된 좌우 측연부의 수직벽(18), 각각의 보강벽 형성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한쌍씩 구비되도록 이루어진 납땜 강도 증대용 릿지(19) 및 보강벽 형성부에 대응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구비되도록 이루어진 열전달 면적 증대용 릿지(7)을 구비한다. 수직벽(18)은 그 수직 길이가 상승벽(13)의 높이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된다. 상벽 형성부(17)의 폭은 2개의 수직벽(18)이 2개의 상승벽(13)의 외측에 겹쳐지도록 하벽 형성부(1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납땜 강도 증대용 릿지(10)와 열전달 면적 증대용 릿지(7)는 그 선단부의 횡단면이 원호형인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Flat heat exchanger (A) is produced as follows. First, one roll is predetermined from the pressing plate which has a lead material lay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ubular structural member 10, and the pressing plate material having a lead material layer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tube structural member 11. Using the upper and lower rolling rolls hav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they are each roll formed into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shown in FIG. 4. The first tubular member 10 is formed between the flat bottom wall forming part 12, the rising wall 13 and the left and right rising wall 13 of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formed integrally by being raised from the bottom wall forming part 12. And a projection 8 for increasing heat transfer area between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and the adjacent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An upper end of each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is provided with a trapezoidal cutout 15 for forming a communication hole 9, and an outward inclined surface 16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12. Is formed. The height of the rising wall 13 and the reinforcement wall formation part 14 is comprised equally. The second tube member 11 corresponds to the flat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the vertical wall 18 of the left and right side edge portions which are raised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and integrally formed, and each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And a heat transfer area increasing ridge 7 configured to be provided in a portion other tha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oldering strength increasing ridge 19 and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The vertical wall 18 is formed so that its vertical length is slightly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rising wall 13. The width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12 so that the two vertical walls 18 overlap the outside of the two rising walls 13. The ridge 10 for increasing the soldering strength and the ridge 7 for increasing the heat transfer area have the same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tip is arcuate.

다음으로, 2개의 구성 부재(10, 11)를 탈지 처리한 후에 이들에 납땜용 플럭스를 도포하고, 이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관 구성 부재(11)를 제1 관 구성 부재(10)에 끼워 덮는다.Next, after degreasing the two structural members 10 and 11, the soldering flux is applied to them, and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tubular structural member 11 is replaced by the first tubular structural member 10. Cover it with

2개의 구성 부재(10, 11)로 이루어진 조합물(A1)을 도 6 및 7에 나타낸 임시 고정 장치(20)를 통해 통과시킨다. 이 경우, 조합물(A1)을 임시 고정 장치(20)를 통해 통과시킬 수 있도록, 조합물(A1)의 선단부를 약간 변형시켜 그 단면적을 작게 해 둔다. 임시 고정 장치(20)는 상하 한쌍의 가압 롤(21)과 좌우 한쌍의 폭 확장 방지 롤(22)로 이루어진다. 상하 한쌍의 가압 롤(2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의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되고,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좌우 한쌍의 폭 확대 방지 롤(2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의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되고,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2가지 롤(21, 22)의 회전 축선은 동일 수직면 내에 위치된다. 각각의 가압 롤(21)은 편평형 열교환관(A)의 폭과 동일한 길이의 둘레면(21a)을 구비한다. 상하의 가압 롤(21) 사이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편평형 열교환관(A)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각각의 폭 확대 방지 롤(22)은 상하의 가압 롤(21) 사이의 간격보다 더 긴 둘레면(22a)을 구비하고, 이 둘레면(22a)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상하 양 가압 롤(21)의 좌우 양 단부면에 거의 접할 정도로 배치된다. 좌우의 폭 확대 방지 롤(22) 사이의 좌우 방향의 간격은 편평형 열교환관(A)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함으로써, 상하의 가압 롤(21)의 둘레면과 좌우의 폭 확대 방지 롤(22)의 둘레면에 의해 그 폭이 편평형 열교환관(A)의 폭과 동일하고 그 높이가 편평형 열교환관(A)의 두께와 동일한 공간(23)이 형성된다.The combination A1 consisting of two constituent members 10, 11 is passed through the temporary fixing device 20 shown in FIGS. 6 and 7. In this case, in order to allow the combination A1 to pass through the temporary fixing device 20, the front end of the combination A1 is slightly deformed to reduce its cross-sectional area. The temporary fixing device 20 consists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pressure rolls 21 and a pair of width expansion prevention rolls 22. The upper and lower pair of pressing rolls 21 are freely rotated around an axis line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air of left and right width expansion prevention rolls 22 are freely rotated around an axis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wo rolls 21, 22 is located in the same vertical plane. Each press roll 21 is provided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1a of the same length as the width of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A. As shown in FIG. The space | interval of the up-down dir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ress rolls 21 is formed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A. FIG. Each widening prevention roll 22 has a circumferential surface 22a longer than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ressing rolls 21,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2a are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pressing rolls 21, respectively. It is arranged to almost contact the left and right end surfaces of the. The space | interval of the left-right direc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dth expansion prevention rolls 22 is formed the same as the width | variety of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A. FIG. By such a configuration, the width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A by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pressure rolls 21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width expansion prevention rolls 22, and the height thereof is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 A space 23 equal to the thickness of A) is formed.

조합물(A1)을 임시 고정 장치(20)의 상하의 가압 롤(21) 사이와 좌우의 폭 확대 방지 롤(22)에 의해 형성된 공간(23)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제2 관 구성 부재(11)의 2개의 수직벽(18)의 하단부가 제1 관 구성 부재(10)의 하벽 형성부(12)의 외측으로 상향된 경사면(16)쪽으로 만곡되어 그 경사면(16)에 밀착되는 동시에 조합물(A1)의 전체가 편평한 직사각형의 횡단면으로 마감 처리되고, 이에 따라 제1 관 구성 부재(10)와 제2 관 구성 부재(11)가 임시적으로 고정된다. 이 경우, 보강벽 형성부(14)에서의 인접된 절결부(15) 사이의 부분(24)(도 4 참조)의 상연부의 높이 위치가 여러 가지로 다른 것에 기인하여, 이들 부분(24)과 제2 관 구성 부재(11)의 상벽 형성부(17)의 하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긴다 하더라도, 그 각각의 부분(24)의 상연부는 상벽 형성부(17)의 하면의 납땜 강도 증대용 릿(l9)의 부분에서는 그 릿지(19)에 밀착된다. 그러한 틈새의 크기가 릿지(19)의 돌출 높이보다 작을 경우에는, 릿지(19)가 변형되어 변형 릿지(19)로 된다(도 8 참조).By passing the combination A1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ressure rolls 21 of the temporary fixing device 20 and through the space 23 formed by the left and right width preventing rolls 22, the second pipe member 11 is formed. The lower ends of the two vertical walls 18 of the curved portion 18 are curved toward the inclined surface 16 which is raised outward of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12 of the first tubular structural member 10, and adhered to the inclined surface 16. The whole of A1) is finished with a flat rectangular cross section, whereby the first tubular member 10 and the second tubular member 11 are temporarily fixed. In this case, the height positions of the upper edge portions of the portions 24 (see FIG. 4) between the adjacent cutouts 15 in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ortions 24. Even if a ga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of the second pipe constituting member 11, the upper edge of each portion 24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has an inlet for increasing the soldering str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In the part of l9,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idges 19. When the size of such a gap is smaller than the projecting height of the ridge 19, the ridge 19 is deformed to form the modified ridge 19 (see Fig. 8).

이어서, 임시로 고정시킨 2개의 구성 부재(10, 11)를 납땜 온도로 가열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관 구성 부재(10)의 2개의 상승벽(13)의 상연부가 제2 관 구성 부재(11)의 상벽 형성부(17)의 하면의 좌우 양 측연부에 납땜되는 동시에 제1 관 구성 부재(10)의 보강벽 형성부(14)의 상단부가 2개의 릿지(19)에 납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 구성 부재(11)는 상하면에 납 재료층(25, 26)을 구비하는 프레싱 판재를 압연하고 릿지(19)을 하측으로 융기되도록 성형한 것이기 때문에, 릿지(19)의 부분에서의 납 재료층의 두께는 그 이외의 부분에서의 두께보다 더 두꺼워진다. 이에 따라, 납땜 시에 그 부분에서 용융된 납 재료를 끌어오기가 쉽게 되어 보강벽 형성부(14)의 상면과 2개의 릿지(19)와의 사이의 틈새가 폐색되고, 납땜 후에는 납 재료에 의해 변형된 릿지(19B)가 형성된다(도 1 및 2 참조). 또한, 제1 관 구성 부재(10)의 2개의 상승벽(13)의 외측에 제2 관 구성 부재(11)의 2개의 수직벽(18)이 납땜되는 동시에 제2 관 구성 부재(11)의 2개의 수직벽(18)의 하단부의 만곡된 부분이 제1 관 구성 부재(10)의 경사면(16)에 겹쳐지는 이음매로서 납땜된다. 이와 같이 하여, 편평형 열교환관(A)이 제조된다.Next, the two structural members 10 and 11 temporarily fixed are heated to soldering temperature. In this way, the upper edges of the two rising walls 13 of the first tubular component 10 are solder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of the second tubular structural member 11,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art 14 of the one pipe structural member 10 is soldered to the two ridges 19. As shown in FIG. 8, since the second tube member 11 is formed by rolling the pressing plate having the lead materials layers 25 and 26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nd forming the ridge 19 to be raised downward. The thickness of the lead material layer in the part of (19) becomes thicker than the thickness in other parts. As a result, it is easy to pull the molten lead material at the portion during soldering, so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and the two ridges 19 is blocked, and after soldering, the lead material A modified ridge 19B is formed (see FIGS. 1 and 2). In addition, two vertical walls 18 of the second tube member 11 are soldered to the outside of the two rising walls 13 of the first tube member 10 and at the same time of the second tube member 11 The curved portions of the lower ends of the two vertical walls 18 are soldered as a seam that overlaps the inclined surface 16 of the first tubular structural member 10. In this way,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A is manufactured.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보강벽 형성부(14)가 그 상연부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결부(15)를 구비하고, 2개의 구성 부재(10, 11)를 납땜하여 절결부(15)의 개방부를 상벽 형성부(17)에 의해 폐색시킴으로써 병렬형의 냉매 통로(6)를 상호 통하게 하는 연통 구멍(9)이 편평형 열교환관(A)의 보강벽(5)에 형성되지만, 보강벽(5)에 연통 구멍(9)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보강벽 형성부(14)에 절결부(15)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2개의 구성 부재(10, 11)를 임시로 고정시켰을 때에 보강벽 형성부(14)의 상연부가 그 전길이에 걸쳐 상벽 형성부(17)의 하면의 납땜 강도 증대용 릿지(19)에 밀접된다. In this embodiment, each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has a plurality of cutouts 15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its upper edge, and solders the two structural members 10 and 11 to the cutouts. A communication hole 9 is formed in the reinforcing wall 5 of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A so that the opening of the 15 is closed by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so that the parallel refrigerant passages 6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communication hole 9 may not be formed in the reinforcement wall 5. In this case, since the notch 15 is not provided in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when the two structural members 10 and 11 are temporarily fixed, the upper edge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is its full length.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idge 19 for increasing the soldering str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또한, 납땜 강도 증대용 릿지(19)는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보강벽 형성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2개가 구비되지만, 적어도 1개가 구비되어도 좋다. 그러나, 도 9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벽 형성부(27)의 상단부의 양 코너부(28) 및 릿지(29)의 선단부의 횡단면이 동시에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릿지(29)가 각각의 보강벽 형성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한쌍씩 구비되는 한편, 2개의 구성 부재(10, 11)를 임시로 고정시킬 때에 각각의 릿지(29)의 선단부의 횡방향 경사부가 보강벽 형성부의 하나의 코너부에 맞닿도록 각각의 릿지(29)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서의 한쌍의 릿지(29)의 상호 간격(L2)은 도 9에서의 한쌍의 릿지(29)의 상호 간격(Ll)보다 약간 더 크기 때문에, 2개의 구성 부재(10, 11)를 조합시킨 상태에서, 전자에서의 보강벽 형성부(27)의 상연부와 상벽 형성부(17)와의 간격(ℓ2)은 후자에서의 보강벽 형성부(27)의 상연부와 상벽 형성부(17)와의 간격(ℓ1)보다 작게 된다. 2개의 구성 부재(10, 11)를 상하로부터 힘을 가한 상태로 임시로 고정시킬 경우, 전술한 간격(ℓ1, ℓ2)이 축소되어 릿지(29) 및 보강벽 형성부(27)의 상단부의 양 코너부(28)가 모두 변형되지만, 그 간격(ℓ1, ℓ2)이 상이하기 때문에 변형 양태가 다르고, 이에 따라 도 9의 릿지(29) 및 보강벽 형성부(27)의 상단부의 양 코너부(28)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변형된 릿지(29A) 및 변형된 보강벽 형성부(27)의 상단부의 양 코너부(28A)로 되고, 도 11의 릿지(29) 및 보강벽 형성부(27)의 상단부의 양 코너부(28)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변형된 릿지(29B) 및 변형된 보강벽 형성부(27)의 상단부의 양 코너부(28B)로 되며, 도 12의 한쌍의 변형된 릿지(29B)와 변형된 양 코너부(28B)의 접촉 면적은 도 10의 변형된 릿지(29A)아 변형된 상단부의 양 코너부(28A)의 접촉 면적보다 더 크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ridges 19 for increasing the soldering strength are provided in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s, but at least one may be provided. However, as shown in Figs. 9 and 11, the cross sections of both corner portions 28 of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27 and the tip portions of the ridge 29 are formed in an arc shape at the same time, and the ridge 29 is One pair is provid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while the transverse inclined portion of the tip portion of each ridge 29 is one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s when temporarily fixing the two structural members 10 and 11. Each ridge 29 is preferably positioned to abut the corner portion of the ridge. Since the mutual spacing L2 of the pair of ridges 29 in FIG. 11 is slightly larger than the mutual spacing Ll of the pair of ridges 29 in FIG. 9, the two constituent members 10, 11 are combined. In the above state, the distance l2 between the upper edge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27 and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in the former is the upper edge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27 and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in the latter. It becomes smaller than the space | interval (l1). In the case where the two structural members 10 and 11 are temporarily fixed in the state of applying force from above and below, the above-described spacings l1 and l2 are reduced so that the amount of upper end portions of the ridge 29 and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27 is reduced. Although the corners 28 are all deformed, the deformation modes are different because the intervals l1 and l2 are different, and accordingly, both corners of the upper ends of the ridge 29 and the reinforcement wall forming part 27 of FIG. 28 is a deformed ridge 29A as shown in FIG. 10 and both corner portions 28A of the upper end of the deformed reinforcement wall forming portion 27, and the ridge 29 and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Fig. Both corners 28 of the upper end of 27 are the modified ridges 29B as shown in FIG. 12 and both corners 28B of the upper end of the deformed reinforcement wall forming part 27, the pair of FIG. The contact area of the deformed ridge 29B and the deformed both corner portions 28B is larger than the contact area of the deformed ridge 29A of Fig. 10 and both corner portions 28A of the deformed upper end.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실시예는 도 13 내지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다. 도 13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평형 열교환관(B)은 제1 실시예의 편평형 열교환관(A)에서의 연통 구멍(9), 변형 릿지(19B) 및 열전달 면적 증대용 릿지(7)을 구비하지 않고, 그 대신에 보강벽(5)과 상벽(1)과의 사이에 생기는 틈새가 필릿(30)으로 완전히 메워진다는 점 이외에는, 제1 실시예의 편평형 열교환관(A)과 동일한 것이다.This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B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mmunication hole 9, a deformation ridge 19B, and heat transfer in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A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area increasing ridge 7 is not provided and the gap between the reinforcing wall 5 and the upper wall 1 is completely filled with the fillet 30. It is the same as (A).

본 실시예의 편평형 열교환관(B)은 알루미늄제의 제1 관 구성 부재(31)와, 알루미늄제의 제2 관 구성 부재(32)로 구성되지만, 제1 실시예에서의 제1 관 구성 부재(10)의 보강벽 형성부(14)에 구비되는 절결부(15) 및 제2 관 구성 부재(11)의 상벽 형성부(17)의 하면에 구비되는 릿지(19, 7)가 없다는 점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 구성 부재(32)의 상벽 형성부(17)의 하면 전체를 와이어 브러시 등의 사용하여 면을 거칠게 하여, 표면에 생긴 산화 피막에 흠(33)을 형성한다는 점 이외에는, 제1 실시예에서의 2개의 구성 부재(10, 11)와 동일하다.Although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B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from the 1st tubular structural member 31 made of aluminum and the 2nd tubular structural member 32 made of aluminum, the 1st tubular structural member ( There is no ridges 19 and 7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15 provided in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and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of the second pipe constituting member 11, As shown in FIG. 15,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of the second tube member 32 is roughened using a wire brush or the like to form a flaw 33 in the oxide film formed on the surface. Except for the points, they are the same as the two structural members 10 and 11 in the first embodiment.

제1 관 구성 부재(31)와 제2 관 구성 부재(32)를 임시로 고정시키고, 이어서 2개의 구성 부재를 납땜하여 편평형 열교환관(B)을 얻는 공정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조합시켰을 때에 보강벽 형성부(14)의 상연부가 수평이 되지 않고, 예컨대 일단부쪽으로부터 타단쪽으로 경사져서, 제2 관 구성 부재(32)의 상벽 형성부(17)의 하면과 제1 관 구성 부재(3l)의 보강벽 형성부(14)의 상연부가 일단부에서만 접촉하고 다른 부분에서는 약간의 틈새가 생긴다 하더라도, 상벽 형성부(17)의 하면의 형성된 흠(33)이 있는 부분은 산화 피막이 없기 때문에 납의 유동성이 양호해지고, 이에 따라 용융된 납 재료는 우선 상벽 형성부(17)와 보강벽 형성부(14)가 접촉하는 부분에 모이고, 이어서 틈새 내에 유입되어 이 틈새를 메우게 된다. 따라서, 보강벽 형성부(14)의 전길이에 걸쳐 상벽 형성부(17)와 보강벽 형성부(14)와의 사이에 필릿(30)이 형성된다. The process of temporarily fixing the first tubular structural member 31 and the second tubular structural member 32 and then brazing the two structural members to obtain the flat heat exchange tube B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when combined, the upper edge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does not become horizontal, for example, is inclin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o that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of the second pipe member 32 is formed. Although the upper edge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edge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of the first pipe constituting member 3l are in contact only at one end and there is a slight gap in the other portion, the formed defect 33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is formed. This part has no oxide film, so that the lead fluidity becomes good, and thus, the molten lead material first gathers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and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and then flows into the gap to enter the gap. Will be filled. Accordingly, the fillet 3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and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관 구성 부재(32)의 상벽 형성부(17)의 하면에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납땜 강도 증대용 릿지(19) 및 열전달 면적 증대용 릿지(7)이 구비되지 않지만, 이들을 구비하여도 좋고, 이들을 포함하여 상벽 형성부(17)의 하면의 전체를 거친 면으로 만듦으로써, 표면에 생긴 산화 피막에 미리 흠(3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17 of the second pipe constituting member 32 is not provided with the ridge 19 for increasing the solder strength and the ridge 7 for increasing the heat transfer area as in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these may be provided,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flaw 33 in advance in the oxide film which formed on the surface by making the whol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ation part 17 including these.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방법에서는 상승벽(13) 및 보강벽 형성부(14)에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절결부(15)를 구비하는 제1 관 구성 부재(34)를 사용하여, 이것과 제2 관 구성 부재(32)를 조합시켜도 좋다.As shown in FIG. 16, in the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pipe-constituting member 34 having the same notch 15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rising wall 13 and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 May be combined with the second pipe constituting member 32.

제2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벽 형성부(14)에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절결부(15)가 구비되고, 제1 관 구성 부재(35)의 상승벽(36)이 제2 관 구성 부재(37)의 수직벽(38)의 외측에 겹쳐지며, 임시로 고정시켰을 때에 그 상연부가 상벽 형성부(17)의 상면과 하나의 면이 되도록 해도 좋다. 제1 관 구성 부재(35)의 하벽 형성부(2)의 하면 좌우 양 측연부에는 외측으로 상향된 경사면이 존재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얻어진 편평형 열교환관에는 상승벽(36)과 수직벽(38)이 2중으로 겹쳐지는 좌우 측벽이 형성된다. In the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7,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is provided with the same cutout portion 15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rising wall of the first pipe member 35 is provided. 36 is super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vertical wall 38 of the 2nd pipe structural member 37, and when it is temporarily fixed, the upper edge may be made into one surfac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ation part 17. As shown in FIG. There is no inclined surface upwardly outwar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 lower edges of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2 of the first pipe member 35. In the resultant flat heat exchanger tube,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in which the rising wall 36 and the vertical wall 38 overlap in duplicate are formed.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 구성 부재(39)의 상승벽(40)의 높이가 보강벽 형성부(14)보다 낮게 형성되고, 제2 관 구성 부재(41)의 수직벽(42)이 상승벽(40)의 외측에 겹쳐지며, 임시로 고정시켰을 때에 그 하연부가 제1 관 구성 부재(39)의 평탄한 하벽 형성부(2)의 하면과 하나의 면이 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얻어진 편평형 열교환관에서의 좌우 측벽이 하반부에서만 2중벽으로 된다.As shown in FIG. 18, the height of the rising wall 40 of the first tubular member 39 is lower than that of the reinforcement wall forming portion 14, and the vertical wall 42 of the second tubular member 41 is formed. ) Is superim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rising wall 40, and when it is temporarily fixed, the lower edge portion may be one surfac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lower wall forming portion 2 of the first pipe constituting member 39. As a result,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resultant flat heat exchange tube become double walls only at the lower half.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 구성 부재(43)의 상승벽(44)이 보강벽 형성부(14)의 약 2배의 두께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승벽(44)에 보강벽 형성부(14)의 상연부와 동일한 높이의 단부(44a)가 설치되고, 이에 추가하여 상측에 얇은 두께의 돌출부(45)가 설치되며, 제2 관 구성 부재(46)의 상면의 좌우 양 측연부에 외측으로 하향된 경사면(47)이 형성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2개의 구성 부재(43, 46)를 임시로 고정시킬 때에 상측의 얇은 두께의 돌출부(45)가 외측으로 하향된 경사면에 만곡되어 겹쳐진다. As shown in FIG. 19, the rising wall 44 of the first tubular structural member 43 is formed to be about twice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14, and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is formed on the rising wall 44. An end portion 44a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dge of 14 is provided, and in addition to this, a protrusion 45 having a thin thickness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ipe member 46 are provided. An inclined surface 47 downwardly may be formed. As a result, when the two structural members 43 and 46 are temporarily fixed, the upper thin projecting portion 45 is curved and overlapped with the inclined surface downwardly outward.

본 발명에 따른 편평상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하면과 제1 관 구성 부재의 보강벽 형성부의 상연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는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보강벽 형성부의 그러한 부분이 상벽 형성부의 하면의 릿지에 접촉하여 볼록 스트립에 납땜되기 때문에, 편평형 열교환관에서 전체적으로 납땜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even if there exists a part in which the clearance gap exists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ation part of a 2nd piping constituent member, and the upper edge part of the reinforcement wall formation part of a 1st piping constituent member, Since such portions of the wall forming portion are soldered to the convex strips in contact with the ridg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no soldering failure occurs as a whole in the flat heat exchange tube.

또한, 제 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하면을 거친 면으로 만듦으로써, 표면에 생긴 산화 피막에 미리 흠을 형성하여, 2개의 구성 부재를 임시로 고정시킨 후에 2개의 구성 부재를 납땜하는 것에 의해, 납땜 시의 납의 유동성이 양호해지고, 이에 따라 보강벽 형성부의 상연부가 수평으로 되지 않고, 예컨대 일단부쪽으로부터 타단부쪽으로 경사져서, 2개의 구성 부재를 조합시켰을 때에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와 제1 관 구성 부재의 보강벽 형성부의 상연부가 조합물의 일단부 부분에서만 접촉하고 다른 부분에서는 약간의 틈새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용융된 납 재료는 우선 상벽 형성부와 보강벽 형성부가 접촉하는 부분에 모이고, 이어서 틈새 내에 유입되어 순차적으로 틈새의 전체를 메우게 된다. 그 결과, 보강벽 형성부의 전길이에 걸쳐 보강벽 형성부와 상벽 형성부와의 사이에 필릿이 형성되어 납땜 불량이 생기지 않게 된다.In addition, by mak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pipe constituent member into a rough surface, a flaw is formed in advance on the oxide film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two constituent members are temporarily fixed after the two constituent members are temporarily fixed. The lead fluidity at the time of soldering becomes good, and the upper edge part of a reinforcement wall formation part does not become horizontal by this, for example, it inclines from the one end side to the other end part, and forms the upper wall of a 2nd pipe structural member when combining two structural members. Although the upper edge of the portion and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of the first pipe constituting member contact only at one end portion of the combination and there is a slight gap in the other portion, the molten lead material firstly contacts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with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Gathered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gap to sequentially fill the gap. As a result, a fillet is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and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so that no soldering failure occur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평형 열교환관의 횡단면도.1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flat heat exchanger tube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편평형 열교환관의 부분 확대 횡단면도.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of FIG. 1. FIG.

도 3은 도 2의 3-3 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도 4는 제 1 실시예의 방법에서 제1 관 구성 부재와 제2 관 구성 부재를 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ube member and the second tube member are combined in the method of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도 4에서 제1 관 구성 부재와 제2 관 구성 부재를 조합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combining the first tube member and the second tube member in FIG. 4. FIG.

도 6은 일부를 절취하여 나타낸 임시 고정 장치의 전체의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the entirety of the temporary fixing device with a portion cut away.

도 7은 도 5에서의 제1 관 구성 부재와 제2 관 구성 부재와의 조합물을 임시로 고정시킨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도 6의 임시 고정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FIG. 7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mporary fixing device of FIG. 6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tube member and the second tube member in FIG. 5 is temporarily fixed in detail; FIG.

도 8은 도 6에서 임시로 고정시킨 2개의 구성 부재의 세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FIG. 8 is a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details of two structural members temporarily fixed in FIG. 6. FIG.

도 9는 제 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납땜 강도 증대용 릿지가 보강벽 형성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특정하게 배치되어 한쌍으로 마련되는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제1 관 구성 부재와 제2 관 구성 부재를 조합시킨 상태에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FIG. 9 shows an example in which a ridge for increasing the soldering strength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pipe forming member is arranged in a pair corresponding to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and provided in pairs.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n a state in which members are combined.

도 10은 도 9의 조합물을 임시로 고정시킨 후의 확대 단면도.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fter temporarily fixing the combination of FIG. 9;

도 11은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납땜 강도 증대용 릿지가 보강벽 형성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특정하게 배치되어 한쌍으로 마련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 관 구성 부재와 제2 관 구성 부재를 조합시킨 상태에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FIG. 11 shows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ridges for increasing the soldering strength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pipe forming member are arranged in a pair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and provided in pairs.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al members are combined.

도 12는 도 11의 조합물을 임시로 고정시킨 후의 확대 단면도.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fter temporarily fixing the combination of FIG.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평형 열교환관의 횡단면도.13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flat heat exchanger tube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14-14 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14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4-14 of FIG. 13;

도 15는 제2 실시예의 방법에서 제1 관 구성 부재와 제2 관 구성 부재를 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Fig. 1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ubular member and the second tubular member are combined in the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6은 제2 실시예의 방법에서 상승벽 및 보강벽 형성부에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절결부를 구비하는 제1 관 구성 부재를 사용하여 그것과 제2 관 구성 부재를 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FIG. 16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pipe member having the same cutout as in the first embodiment is combined with the second pipe member by the rise wall and the reinforcement wall forming part in the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Partial perspective view.

도 17은 제2 실시예의 방법에서 상이한 상승벽을 구비하는 제1 관 구성 부재와 상이한 수직벽을 구비하는 제2 관 구성 부재를 사용하여 2개의 관 구성 부재를 조합시킨 상태의 횡단면도.FIG. 17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wo tubular members are combined using a first tubular member having a different rising wall and a second tubular member having a different vertical wall in the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도 18은 제2 실시예의 방법에서 다른 상이한 상승벽을 구비하는 제1 관 구성 부재와 다른 상이한 수직벽을 구비하는 제2 관 구성 부재를 사용하여 2개의 관 구성 부재를 조합시킨 상태의 횡단면도,FIG. 18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wo tubular members are combined using a first tubular member having another different rising wall and a second tubular member having a different vertical wall in the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도 19는 제2 실시예의 방법에서 또 다른 상이한 상승벽을 구비하는 제1 관 구성 부재와 수직벽이 존재하지 않는 제2 관 구성 부재를 사용하여 2개의 관 구성 부재를 조합시킨 상태의 횡단면도,19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wo tubular members are combined using a first tubular member having another different rising wall and a second tubular member without a vertical wall in the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20은 종래의 방법에서 제1 관 구성 부재와 제2 관 구성 부재를 임시로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종단면도,20 is a partially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pipe member and a second pipe member are temporarily fixed in a conventional method;

도 21은 종래의 방법에서 보강벽에 절결부를 구비하는 제1 관 구성 부재와 제2 관 구성 부재를 임시로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종단면도,Fig. 21 is a partially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pipe member and a second pipe member having a cutout portion are temporarily fixed to a reinforcing wall in a conventional method;

도 22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평형 열교환관을 사용하는 응축기의 정면도.22 is a front view of a condenser us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상하벽과, 상하벽의 좌우 양 측연부 사이에 걸쳐 있는 좌우 양 측벽과, 상하벽 사이에 걸쳐 있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벽을 구비하고, 내부에 병렬형의 유체 통로가 형성되는 편평형 열교환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It has a top and bottom wall, the left and right both sidewalls extending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walls extend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from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ins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in which a fluid passage of 하벽 형성부 및 하벽 형성부에 상측으로 융기되어 일체로 성형된 다수의 보강벽 형성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제의 제1 관 구성 부재와, 상하면 중의 적어도 하면에 납 재료층을 구비하는 프레싱 판재로 구성된 상벽 형성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제의 제2 관 구성 부재를 납땜하여 일체화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하면에서의 각각의 보강벽 형성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납땜 강도 증대용 릿지를 미리 형성하여, 2개의 구성 부재를 상하로부터 힘을 가한 상태로 임시로 고정시킨 후에 2개의 구성 부재를 납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An upper wall composed of an aluminum first pipe constituting member includ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s that are raised upwardly and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and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and a pressing plate material having a lead material layer on at least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step of soldering and integrating the second tube constituting member made of aluminum including the forming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i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tube constituting memb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ridges for increasing the soldering strength are formed in advance, and the two constituent members are soldered after temporarily fixing the two constituent members in a state of applying force from above and below. 제1항에 있어서, 보강벽 형성부의 상단부의 양 코너부 및 릿지의 선단부의 횡단면을 모두 원호형으로 형성하고, 릿지를 각각의 보강벽 형성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한쌍씩 설치하며, 2개의 구성 부재를 임시로 고정시킬 때에 각각의 릿지의 선단부의 횡방향 경사부가 보강벽 형성부의 하나의 코너부에 맞닿도록 각각의 릿지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 The cross section of both corner portions of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and the tip portion of the ridge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a pair of ridges are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characterized in that each ridge is positioned so that the transverse inclined portion of the tip portion of each ridge abuts one corn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when temporarily fixing th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하면에서의 보강벽 형성부에 대응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열전달 면적 증대용 릿지를 미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idge for increasing heat transfer area is formed in advance in a portion other tha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a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pipe constituting member.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구성 부재를 임시로 고정시키기 전에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하면을 거칫 면으로 만듦으로써, 표면에 생긴 산화 피막에 미리 흠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 The flaw is formed in advance in the oxide film which formed on the surface by mak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ation part of a 2nd tubular structural member into rough surface before temporarily fixing two structural member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lat heat exchanger tube made into.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강벽 형성부가 그 상연부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결부를 구비하고, 2개의 구성 부재를 납땜하여 절결부의 개방부를 상벽 형성부에 의해 폐색시킴으로써 병렬형의 유체 통로를 상호 통하게 하는 연통 구멍을 보강벽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 2.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s has a plurality of cutout portions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upper edge portions thereof, and the two constituent members are soldered to close the open portions of the cutout portions by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s in parallel.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characterized in that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reinforcing wall to allow the fluid passage of the die to pass through. 제1항에 있어서, 제1 관 구성 부재의 하벽 형성부의 좌우 양 측연부에 보강벽과 동일한 높이의 상승벽을 융기시켜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좌우 양 측연부의 하면에 외측으로 상향된 경사면을 형성하며,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좌우 양 측연부에 그 수직 길이가 상승벽의 높이보다 더 크고 상승벽의 외측에 겹쳐지는 수직벽을 일체로 성형하고, 제1 관 구성 부재와 제2 관 구성 부재를 임시로 고정시킬 때에 2개의 수직벽의 하단부를 외측으로 상향된 경사면에 만곡시켜 하벽 형성부와 하나의 면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ising wall of the same height as the reinforcing wall is rais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first pipe constituting member integrally formed, the inclined surface upwardly out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And vertically forming vertical walls overlapping the outer side of the rising wall whose vertical length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rising wall and integrally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pipe forming member. 2.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portions of two vertical walls are curved on an inclined surface that is upwardly outward when the tube member is temporarily fixed so as to be one surface with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상하벽과, 상하벽의 좌우 양 측연부 사이에 걸쳐 있는 좌우 양 측벽과, 상하벽 사이에 걸쳐 있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벽을 구비하고, 내부에 병렬형의 유체 통로가 형성되는 편평형 열교환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It has a top and bottom wall, the left and right both sidewalls extending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walls extend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from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ins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in which a fluid passage of 하벽 형성부 및 하벽 형성부에 상측으로 융기되어 일체로 성형된 다수의 보강벽 형성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제의 제1 관 구성 부재와, 상하면 중의 적어도 하면에 납 재료층을 구비하는 프레싱 판재로 구성된 상벽 형성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제의 제2 관 구성 부재를 납땜하여 일체화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하면을 거친 면으로 만듦으로써 표면에 생긴 산화 피막에 미리 흠을 형성하여, 2개의 구성 부재를 임시로 고정시킨 후에 2개의 구성 부재를 납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An upper wall composed of an aluminum first pipe constituting member includ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s that are raised upwardly and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and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and a pressing plate material having a lead material layer on at least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step of soldering and integrating the second tube constituent member made of aluminum including the forming portion, and forming a flaw in advance on the oxide film formed on the surface by mak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tube constituent member roug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wherein the two constituent members are soldered after temporarily fixing the two constituent members.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강벽 형성부가 그 상연부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결부를 구비하고, 2개의 구성 부재를 납땜하여 절결부의 개방부를 상벽 형성부에 의해 폐색시킴으로써 병렬형의 유체 통로를 상호 통하게 하는 연통 구멍을 보강벽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 8.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each of the reinforcing wall forming portions has a plurality of cutouts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ir upper edges, and the two constituent members are brazed to close the openings of the cutouts by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in parallel.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characterized in that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reinforcing wall to allow the fluid passage of the die to pass through. 제7항에 있어서, 제1 관 구성 부재의 하벽 형성부의 좌우 양 측연부에 보강벽과 동일한 높이의 상승벽을 융기시켜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좌우 양 측연부의 하면에 외측으로 상향된 경사면을 형성하며, 제2 관 구성 부재의 상벽 형성부의 좌우 양 측연부에 그 수직 길이가 상승벽의 높이보다 더 크고 상승벽의 외측에 겹쳐지는 수직벽을 일체로 성형하고, 제1 관 구성 부재와 제2 관 구성 부재를 임시로 고정시킬 때에 2개의 수직벽의 하단부를 외측으로 상향된 경사면에 만곡시켜 하벽 형성부와 하나의 면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열교환관의 제조 방법.8. The inclined surface of claim 7, wherein the rising wall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reinforcement wall is integrally formed by raising the rising walls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reinforcing wall at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lower wall forming member of the first pipe constituting member. And vertically forming vertical walls overlapping the outer side of the rising wall whose vertical length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rising wall and integrally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upper wall forming portion of the second pipe forming member. 2.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heat exchanger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portions of two vertical walls are curved on an inclined surface that is upwardly outward when the tube member is temporarily fixed so as to be one surface with the lower wall forming portion.
KR1019970027027A 1996-06-26 1997-06-25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Heat Exchanger Tube Expired - Fee Related KR1004688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027A KR100468805B1 (en) 1996-06-26 1997-06-25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Heat Exchanger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65165 1996-06-26
JP96-166166 1996-06-26
JP96-166165 1996-06-26
JP96-166167 1996-06-26
KR1019970027027A KR100468805B1 (en) 1996-06-26 1997-06-25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Heat Exchanger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695A KR980000695A (en) 1998-03-30
KR100468805B1 true KR100468805B1 (en) 2005-07-01

Family

ID=4366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0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8805B1 (en) 1996-06-26 1997-06-25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Heat Exchanger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80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695A (en)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585B1 (en) Refrigerant distribution pipe for heat exchang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5947365A (en) Process for producing flat heat exchange tubes
US5186250A (en) Tube for heat exchanger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ube
JP3814917B2 (en) Stacked evaporator
JP4171760B2 (en) Flat 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tube
KR20070001076A (en) Evapor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3580942B2 (en) Flat tubes for heat exchangers and heat exchangers equipped with the tubes
KR100254329B1 (en) heat transmitter
JP4533726B2 (en) Evapo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345300B2 (en)
JP394783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heat exchange tube
KR10046880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Heat Exchanger Tube
JPH051865A (en) Aluminum made condenser for air condioner
JPH1071463A5 (en)
EP1027942A1 (en) Tube for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2011570A (en) Manufacture of heat exchanger
JP380685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heat exchange tube
US20080245518A1 (en) Flat Tube Making Platelike Body, Flat Tube, Heat Exchanger and Process for Fabricating Heat Exchanger
JPH0345301B2 (en)
JP4866571B2 (en) Heat exchanger
JP4626472B2 (en)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manufacturing method
JPH10185471A (en) Heat exchanger
JP308954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heat exchange tube
JPH10306991A (en) Heat-exchanger made of aluminum alloy
JPH04288965A (en) How to braze mounting brackets on heat exchang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01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012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