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649B1 - Sliding Terminal - Google Patents
Sliding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8649B1 KR100648649B1 KR1020050078649A KR20050078649A KR100648649B1 KR 100648649 B1 KR100648649 B1 KR 100648649B1 KR 1020050078649 A KR1020050078649 A KR 1020050078649A KR 20050078649 A KR20050078649 A KR 20050078649A KR 100648649 B1 KR100648649 B1 KR 1006486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 hinge
- main body
- protrusion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결합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id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유격버튼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rance button of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돌출부가 슬라이드부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slide unit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키버튼 돌출부의 외주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rrang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key button projection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유격버튼을 도시한 개략도.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learance button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레일부와 가이드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결합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rail unit and a guide unit.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연결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힌지와 본체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 한 단면도.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e hinge and the main body coupled by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8.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결합 단면 도.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id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슬라이드부 11: 디스플레이10: slide section 11: display
20: 슬라이드 힌지 21: 제1 힌지부20: slide hinge 21: first hinge portion
23: 제2 힌지부 30: 본체부23: second hinge portion 30: main body portion
31: 버튼 33: 수납홈31: button 33: storage groove
50: 유격버튼 51: 돌출부50: play button 51: protrusion
53: 수용부 55: 키버튼53: receiver 55: key button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type terminal.
무선 통신 기술이 날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 기술이 여러 분야의 제품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여러 방면에서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은 전화기에서도 적용되어 사용자들이 전화기를 휴대할 수 있게 되었고, 어느 장소에서나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라 함은 가정용 무선 전화기에 포함된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핸드폰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A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pplied in various fields in various fields and provides convenience in various aspects. This wireless communication has also been applied to telephones, allowing users to carry the telephone and use the telephone anywhere. In general, a portable telephone is a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a wireless transceiver included in a home wireless telephone as well as a mobile phone which is widely used recently.
휴대폰들은 외형이나 작동 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플립 방식, 폴더방식(folder-type) 및 슬라이딩 방식(sliding-type)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슬라이딩 방식 핸드폰은 2개의 슬라이딩 파트를 상호 겹쳐서 배치하고, 각각의 슬라이딩 파트에 디스플레이 및 키버튼을 같은 방향을 향하는 방식의 핸드폰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 핸드폰은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후면에 가려진 디스플레이부 또는 키 입력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위로 밀어 올려 후방의 슬라이딩 파트 전면에 형성된 키 입력부를 노출 시킬 수 있는 핸드폰이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키 입력부가 형성된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아래로 이동시켜 후방의 슬라이딩 파트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핸드폰도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하기 편리하다는 점에 의해 오늘날 널리 사용되고 있다. Mobile phones can be generally classified into flip type, folder type and sliding type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and operation method. A sliding type mobile phone has two sliding parts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It refers to a mobile phone in which the sliding part faces the display and key buttons in the same direction. In general, the sliding type mobile phone may slide the front sliding part relatively to expose the display unit or the key input unit hidden on the rear side. For example, there is a mobile phone that can push up the front sliding part to expose the key input unit formed on the front of the rear sliding part. As another example, there is also a mobile phone that can expose the display formed on the front of the sliding part of the rear by moving the front sliding part formed with the key input portion down. Such a slide type terminal is widely used today because of the convenience of opening the display unit.
그리고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기능이 휴대용 전화기, PDA 또는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됨에 따라 더욱 큰 디스플레이를 갖는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을 시청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장시간 시청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가 더욱 커지게 되었다. As functions such as a camera and a camcorder are mount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portable telephone, a PDA, or a portable computer, a terminal having a larger display is required. In particular, th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watch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has become more demanded because it needs to watch the display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편리한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type terminal which can not only increase the size of the display provided in the slide unit but also easy to operat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버튼을 구비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힌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접합부에 위치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수용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키버튼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e-typ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button, a slide portion having a display, and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lide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slide portion is capable of slidin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a projection hinge positioned at the jun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lide portion, an accommoda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portion, and a key button positioned between the projection portion and the accommodation portion.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슬라이드부와 결합하는 제1 힌지부와, 상기 제1 힌지부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lide hinge may include a first hinge portion coupled to the slide portion, and a second hinge portion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힌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돌출부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돌출부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힌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돌출부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protrusion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the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may have a slot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rotrusion may move.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lide portion, and the first hinge portion may have a slot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may move. The protrusion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the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lide portion, and the first hinge portion may have a slot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rotrusion may move.
상기 키버튼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키버튼은 90°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key button may be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or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key buttons are preferably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버튼을 구비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는 슬라이드 힌지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 힌지를 연결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하 및 좌우 운동에 의해 유격이 가능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유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와, 기 연결부재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개재되는 키버튼을 구비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e-typ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button, a slide portion having a display, and a main body portion and the slide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slide portion is capable of slidin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A slide hing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or the slide portion and the slide hinge, the connecting member capable of being spaced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lide portion,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ing member. It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and a key button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키버튼을 가압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힌지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탈착을 방지하는 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키버튼은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 좌우 또는 상하 대칭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for pressing the key button, and a head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to prevent the slide hinge and the main body portion or the slide portion from being detached. The key button may be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accommodating parts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or the slide part in symmetrical direction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d theret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를 구비한 슬라이드부(10)와, 버튼(31)을 구비한 본체부(30), 상기 슬라이드부(10)와 상기 본체부(30)를 각각 연결하는 슬라이드 힌지(20) 및 상기 슬라이드부(10)와 상기 본체부(30)의 접합부분에 위치하는 유격버튼(50)을 포함한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nd 2,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슬라이드부(10)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 및 스피커 등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 키버튼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10)는 상기 슬라이드힌지(20)의 제1 힌지부(21)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30)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슬라이드 힌지(20)는 상기 슬라이드부(10)에 소정의 유격을 제공한다. 즉,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개방되거나 폐쇄된 경우,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슬라이드 힌지(20)의 유격으로 인해 미세한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The
상기 본체부(30)는 버튼(31)과 상기 슬라이드 힌지(20)를 수용하는 수납홈(33)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30)의 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힌지(20)의 제2 힌지부(23)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0)에는 필요에 따라 추가 기능 버튼, 이어폰 잭, 영상 모듈 등이 부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30)의 일면에 상기 슬라이드 힌지(20)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홈(33)을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납홈(33)을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상기 슬라이드 힌지(20)는 상기 슬라이드부(10)와 결합하는 제1 힌지부(21) 및 상기 본체부(30)와 결합하는 제2 힌지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힌지(20)는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소정의 유격(27)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본체부(30)에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일정 정도 움직일 수 있게 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힌지부(21)가 상기 슬라이드부(10)에 결합하고 상기 제2 힌지부(23)가 상기 본체부(30)에 결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힌지부(21)가 상기 본체부(30)에 결합하고 상기 제2 힌지부(23)가 상기 슬라이드부(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제1 힌지부(21)는,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힌지부(23)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상기 제1 힌지부(21)의 상면은 상기 슬라이드부(10)의 하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2 힌지부(23)의 하면은,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2 힌지부(23)의 일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롯(24)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both ends of the
상기 제1 힌지부(21)와 상기 제2 힌지부(23)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2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격(27)은 상기 제1 힌지부(21)가 상기 제2 힌지부(23)와 접촉하면서 이동할 때 상기 제1 힌지부(21)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고 슬라이딩 운동으로 인한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힌지부(21) 및 상기 제2 힌지부(23)는 일반적으로 가벼운 금속이나 플라스틱 수지 등에 의해 제작되며, 이러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수지가 가진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힌지부(21)가 상기 제2 힌 지부(23)에 대해 일정 간격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힌지부(21)와 상기 제2 힌지부(23) 사이에는 마찰음을 줄이고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된 성형물이 개재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성형물은 상기 슬라이드부의 유격을 더욱 크게 한다.A
상기 유격버튼(50)은,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힌지부(21)와 결합하는 돌출부(51)와, 상기 돌출부(51)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53), 그리고 상기 돌출부(51)와 상기 수용부(53) 사이에 형성된 키버튼(55)을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2, the
도 2에서는 상기 돌출부(51)가 상기 제1 힌지(21)에 결합되어 있지만,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0)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제2 힌지(23)에서 상기 제1 힌지(21)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폐쇄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수용부(53)에 일단부가 수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유격에 의해서 좌우 및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키버튼(55)을 가압한다. In FIG. 2, the
상기 수용부(53)는 상기 슬라이드부(10) 또는 상기 본체부(30)의 일면에서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된 홈이다. 상기 수용부(53)는 상기 제2 힌지부(23)에 형성된 슬롯(24)과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53)의 일단부는 상기 돌출부(51)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키버튼(55)이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키버튼(55)은 상기 돌출부(51)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0)가 폐쇄된 경우 상기 수용부(53)의 외주면에 의해 가압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키버튼(55)은 동영상의 재생, 정지, 빨리 감기/되감기, 또는 볼륨 상승/축소, 또는 TV 방송의 수신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유격버튼(50)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2에서 상기 슬라이드부(10) 및 상기 제1 힌지부(21)가 분리되고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본체부(30)에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힌지부(23)의 일단부 중앙에서 소정의 길이 만큼 상기 슬롯(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롯(24)은 상기 수용홈(53)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대응한다. 상기 슬롯(24)의 일단부는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10)가 개방되어 상기 본체부(30)의 버튼(31)이 노출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5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수용부(53)는 일단부가 반원 형상인 홈으로서 상기 본체부(3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슬롯(24)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53)의 길이는 상기 돌출부(51)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상기 돌출부(51)의 외주면은 상기 수용부(53)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51)와 상기 수용부(53) 사이에는 키버튼(5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키버튼(55)은 상기 수용부(53)의 내주면 90°간격으로 3개가 일정하게 배열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유격 시 상기 돌출부(51)가 상기 키버튼 (55)을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버튼(55)은 상기 수용부(53)의 내주면에 180°간격으로 좌우로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힌지의 유격버튼(50)의 작동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은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본체부(30)의 전면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도면이다.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3 will be described for the operation method of the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좌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슬라이드부(10) 및 이에 결합된 상기 제1 힌지부(21)가 좌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유격된다. 이는 상기 슬라이드부(1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힌지부(21) 및 상기 제2 힌지부(23)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수용부(53)의 내부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키버튼(55a)을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슬라이드 힌지(20)의 탄성력 또는 키버튼(55a)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기 수용부(53)의 중앙으로 원상 복귀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51)의 외주면 또는 상기 수용부(53)의 내주면에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우측으로 가압할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키버튼(55b)을 가압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상기 슬라이드부(10)를 도 3의 하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돌출부(51)가 상기 제1 힌지부(21)와 상기 제2 힌지부(2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키버튼(55c)을 가압한 후 상기 수용부(53)의 중심으로 원상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상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슬롯(24) 및 상기 수용부(53)의 상부로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 기 본체부(30)의 전면을 개방한다. When the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11)와 함께 슬라이드부(10)의 전면에 배치된 키버튼을 슬라이드부(10)와 본체부(30)의 접합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의 크기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10)의 폐쇄 시 슬라이드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좌우 또는 아래 쪽으로 간단하게 유격시키면 상기 돌출부(51)가 상기 키버튼(55)을 가압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may be arranged by arranging a key button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돌출부(51)가 상기 슬라이드부(10)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제1 힌지부(21)에 결합되어 돌출될 수 있지만, 상기 슬라이드부(10)와 결합되어 상기 슬롯(24)을 관통한 후 상기 수용부(5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슬라이드부(10)와 함께 유격하면서 상기 키버튼(55)을 가압한다. The protruding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본체부(30) 및 상기 제2 힌지부(23)의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수용부(53)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슬롯(24)은 상기 제1 힌지부(21)에 형성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키버튼(55)이 상기 돌출부(51)의 외주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상기 키버튼(55)은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53)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돌출부(51)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유격버튼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learance button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돌출부(51)는,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일 수도 있지만, 사각 형상을 단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용부(53)도 일단부가 상기 돌출부(51)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을 갖는다. 상기 돌출부(51)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뿐만 아니라, 상기 키버튼(55)을 가압할 수 있다면 타원형, 6각형 등의 단면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 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상기 슬라이드 힌지(20')가 레일부(21')와 상기 레일부(21')에 삽입되는 가이드부(23')를 포함한다. The slide 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ncludes a rail hinge 21 'and a guide portion 23' inserted into the rail portion 21 '.
상기 레일부(21')는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 좌우 한 쌍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으로서, 상기 가이드부(23')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23')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한다. 상기 레일부(21')의 길이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이동 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부(21')는 상기 슬라이드부(21')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rail portion 21 'is a groove in which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s ar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상기 가이드부(23')는 상기 레일부(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을 하며, 상기 슬라이드부(10)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이드부(23')는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부(21')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상면에 위치한다. The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하면에서 상기 슬롯(24)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수용부(53)에 일단부가 삽입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서 상기 슬라이드부(10)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One end of the
상기 레일부(21') 및 상기 가이드부(23')는 일반적으로 가벼운 금속 또는 플라스틱 수지 등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금속 및 플라스틱 수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유격이 가능하게 된다. The rail portion 21 'and the guide portion 23' are generally formed of a light metal or plastic resin, and the play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일면 또는 상기 본체부(3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용부(53)는 상기 돌출부(51)에 대향하는 상기 본체부(30) 또는 상기 슬라이드부(10)에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연결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힌지와 본체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 한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lide hinge and a main body are coupled by a connection member in a slide 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 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힌지부(23)와 상기 본체부(30)가 연결부재(7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힌지부(21)와 상기 슬라이드부(10)는 상호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71)는 상기 제1 힌지부(21)와 상기 슬라이드부(10)를 결합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8, the
상기 연결부재(71)는, 도 8에 도시 한 바와 같이, 실린더 형상의 몸통부(73)와, 상기 몸통부(73)의 양단에서 외향 돌출된 헤드부(72a, 72b)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71)는 상기 제2 힌지부(23)와 상기 본체부(30)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키버튼(55)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8, the connecting member 71 includes a
상기 몸통부(73)는 제1 수용부(74)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키버튼(55)을 가압한다. 상기 몸통부(73)는 원형 뿐만 아니라 사각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횡단면을 가질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키버튼(55)은 상기 몸통부(73)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The
상기 헤드부(72a)는 상기 몸통부(73)에 비해 큰 직경을 갖고 상기 몸통부(73)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72)는 상기 제2 힌지부(23)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0)와 함께 운동하게 된다. 상기 헤드부(72a)는 원형 뿐만 아니라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횡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The
상기 헤드부(72b)는 상기 몸통부(73)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수용부(75)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헤드부(72b)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횡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72b)는 상기 제2 힌지부(23)와 상기 본체부(30)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The
상기 수용부(73)는 상기 본체부(30) 또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일면에 형성된 홈으로서 상기 몸통부(73)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74)와, 상기 제1 수용부(74)의 일단에서 확경된 제2 수용부(75)를 구비한다. The
상기 제1 수용부(74)는 상기 몸통부(73)를 수용하며, 상기 몸통부(73)와 상기 제1 수용부(74)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몸통부(73)가 상기 제1 수용부(74)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수용부(74)의 내주면에는 상기 키 버튼(55)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74)는 상기 몸통부(73)를 수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지만, 상기 몸통부(73)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상기 제2 수용부(75)는 상기 제1 수용부(74)의 일단부에서 외향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72b)를 수용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72b)의 상면은 상기 제2 수용부(75)에 걸림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71)와 상기 본체부(30)가 결합되는 것이다. The second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8.
도 9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용부(74)의 내주면에는 상기 키버튼(55)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본체부(30)를 폐쇄하고 있는 경우 상기 몸통부(73)는 상기 제1 수용부(74)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좌우 방향으로 힘을 주면 상기 몸통부(73)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키버튼(55)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키버튼(55)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상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키버튼(55a)의 기능이 구현되지 않고,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상향으로 가압해도 상기 본체부(30)의 전면이 개방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키버튼(55a)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9, when the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id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 된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슬라이드부(10), 상기 슬라이드부(10)에 결합된 돌출부(51), 상기 돌출부(51)의 헤드부(57)가 삽입되는 수용부(53), 본체부(30)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51)의 헤드부(57)가 걸림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힌지부(23)를 포함한다. The slide-type terminal shown in FIG. 10 includes a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일단부에는 실린더 형상의 헤드부(5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57)는 상기 제2 힌지부(23)에 걸림 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헤드부(57)는 상기 제2 힌지부(23)에 형성된 슬롯(24)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상하 방향 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57)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유격에의해 상기 수용부(53)의 내주면에 배치된 상기 키버튼(55)을 가압한다. The protruding
상기 제2 힌지부(23)는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운동 방향으로 슬롯(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24)에는 상기 돌출부(51)가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슬롯(24)의 길이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수용부(53)는 상기 슬롯(24)의 폭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키버튼(55)이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53)는 상기 돌출부(51)의 지름보다 큰 직경을 가진 실린더 형상을 갖는데, 이로 인해 상기 돌출부(51)의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의 유격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51)가 힌지의 역 할을 하기 때문에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슬라이드 힌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The receiving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편리한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increase the size of the display provided in the slide unit, but also provide a slide type terminal that is convenient to operate.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78649A KR100648649B1 (en) | 2005-08-26 | 2005-08-26 | Sliding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78649A KR100648649B1 (en) | 2005-08-26 | 2005-08-26 | Sliding Termina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648649B1 true KR100648649B1 (en) | 2006-11-23 |
Family
ID=3771321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786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8649B1 (en) | 2005-08-26 | 2005-08-26 | Sliding Termin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48649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165107A (en) * | 2021-06-07 | 2022-12-14 | 주식회사 에스코넥 | Linear Motion Guide and Display Apparatus with the Sam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42308A (en) * | 2003-11-01 | 2005-05-09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ethod for scrolling menu according to moving of slide and mobile phone realizing the same |
-
2005
- 2005-08-26 KR KR1020050078649A patent/KR1006486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42308A (en) * | 2003-11-01 | 2005-05-09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ethod for scrolling menu according to moving of slide and mobile phone realizing the same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165107A (en) * | 2021-06-07 | 2022-12-14 | 주식회사 에스코넥 | Linear Motion Guide and Display Apparatus with the Same |
| KR102526472B1 (en) * | 2021-06-07 | 2023-04-28 | 주식회사 에스코넥 | Linear Motion Guide and Display Apparatus with the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709808B1 (en) | Rotating Slide Mobile Terminal | |
| US8195255B2 (en) |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 |
| US8466876B2 (en) | Terminal | |
| US7610069B2 (en) | Side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
| KR100800843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sliding module | |
| US8126519B2 (en) | Housing for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construction to slide and pivot into multiple positions | |
| US20070080950A1 (en) | Keypad, sliding module and sliding module flexible circuit for portable terminal | |
| EP1871076A1 (en) |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 |
| KR100575746B1 (en) | Clamshell terminal | |
| KR100810763B1 (en) | Sliding Terminal | |
| US20060154704A1 (en) | Slide opening/closing type mobile device | |
| JP4210288B2 (en) |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 KR100648649B1 (en) | Sliding Terminal | |
| KR100648643B1 (en) | Sliding Terminal | |
| KR100780698B1 (en) | Sliding Terminal | |
| KR101545571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0677364B1 (en) | Slid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
| KR20080097894A (en) | Sliding Handheld Terminal | |
| KR100726469B1 (en) | Sliding Terminal | |
| KR100715811B1 (en) |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
| KR100711755B1 (en) | Mobile display device | |
| KR100523893B1 (en) | Triple-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CN208079145U (en) | Mobile terminal | |
| KR20060060269A (en) |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opens and closes in multiple directions | |
| KR200370668Y1 (en) | Mobile terminal of slide type movable the right and lef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