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202B1 - Receptacle Terminal - Google Patents
Receptac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7202B1 KR100787202B1 KR1020060105313A KR20060105313A KR100787202B1 KR 100787202 B1 KR100787202 B1 KR 100787202B1 KR 1020060105313 A KR1020060105313 A KR 1020060105313A KR 20060105313 A KR20060105313 A KR 20060105313A KR 100787202 B1 KR100787202 B1 KR 1007872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piece
- coupling box
- elastic
- terminal
- lower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20)의 선단에 결합박스부(22)가 구비되고, 후단에 바렐부(38)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박스부(22)의 내부에는 탄성편(30)이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연장되는데, 상기 탄성편(30)의 선단 양측에서 결합박스부(22)의 입구를 향해서는 지지레그(34)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34)는 상기 결합박스부(22)의 내부 바닥을 형성하는 하판(24)에 지지되어 상기 탄성편(30)의 탄성변형을 나누어 담당하고, 탄성편(30)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박스부 내에 구비되는 탄성편의 탄성력과 접촉돌부에 의해 상대 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성능이 크게 향상되고, 탄성편의 양단에 지지레그가 구비되어 있어 탄성편의 탄성변형이 과도할 때 지지레그가 탄성변형되면서 지지하므로 탄성편의 소성변형에 대한 내성이 커져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구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box portion 22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20, and the barrel portion 38 is formed at the rear end. An elastic piece 30 extend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inside the coupling box part 22, and the support leg 34 faces the inlet of the coupling box part 22 at both ends of the elastic piece 3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he support leg 34 is supported by the lower plate 24 forming the inner bottom of the coupling box portion 22 to divide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iece 30, the excessiv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iece 30 To prev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astic force and the contact protrusion of the elastic piece provided in the coupling box portion, the electrical contact performance with the mating terminal is greatly improved, and support leg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piece so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iece is excessive. Since the support legs are elastically deformed, the elastic legs are more resistant to plastic deformation,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receptacle terminal.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Figure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박스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box portio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4.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몸체부 22: 결합박스부20: body portion 22: coupling box portion
23: 상판 24: 하판23: top plate 24: bottom plate
25: 측판 28: 접촉비드25: side plate 28: contact bead
30: 탄성편 32: 접촉돌부30: elastic piece 32: contact protrusion
34: 지지레그 36: 지지단34: support leg 36: support end
38: 바렐부 39: 와이어바렐38: barrel 39: wire barrel
40: 인슐레이션바렐40: insulation barrel
본 발명은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대 커넥터의 탭터미널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eptacle terminal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the tab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is inserted and electrically coupled.
터미널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터미널에는 서로 결합되는 커넥터에서 각각 사용되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 터미널이 있는데,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탭 터미널이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The terminal constitutes a connector and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to be coupled with the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Such a terminal includes a receptacle terminal and a tab terminal respectively used in a connector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tab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to be coupled to each other.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터미널(1)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몸체부(3)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3)는 실제로 아래에서 설명될 바렐부(5) 및 결합박스부(1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바렐부(5) 및 결합박스부(10)와 영역을 분리할 수는 없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this, the terminal 1 is made of metal and has a
상기 터미널(1)의 후단에는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5)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5)는 크게 와이어바렐(7)와 인슐레이션바렐(8)로 나누어진다. 상기 와이어바렐(7)은 전선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압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8)은 전선의 인슐레이션을 감싸서 터미널(1)과 전선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The rear end of the terminal 1 is provided with a
상기 몸체부(3)의 선단에는 결합박스부(1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박스 부(10)는 대략 사각형의 통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박스부(10)는 터미널(1)의 길이방향 선후단으로 개구되는 사각통상이다. 상기 결합박스부(10)의 내부에는 상대 터미널인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1)이 형성된다.A
상기 결합박스부(10)의 삽입공간(11) 내부에는 상기 탭 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탄성편(1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12)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탭터미널이 결합박스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결합박스부(1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An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탄성편(12)은 탭터미널이 삽입되면서 탄성변형되어 상기 탭터미널을 마주보는 결합박스부(10)의 천정면에 밀착되게 한다. 하지만, 상기 탄성편(12)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차량과 같이 진동이 심한 환경에서 터미널(1)이 사용되면 진동되면서 상기 탭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이 나빠지게 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또한, 상기 탄성편(12)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인데, 탭터미널이 반복하여 입출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량이 커지게 되면 소성변형이 발생하여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박스부 내에 구비되는 탄성편이 상대 터미널 과 전기적 접촉이 확실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elastic piece provided in the coupling box portion of the receptacle terminal ensures electrical contact with the mating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박스부 내에 구비되는 탄성편의 소성변형에 대한 내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만들어주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resistance to p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iece provided in the coupling box portion of the receptacle terminal relatively larg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상판, 하판 및 양 측판에 의해 사각통상으로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판의 선단에서 내부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연장되고 상대 터미널과 접촉되는 접촉돌부를 구비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선단 양측에서 상기 하판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레그를 포함하는 결합박스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It is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by the upper plate, the lower plate and both side plates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the mating terminal is inserted, the elastic protrusion is extended from the front end of the lower plate to the inside and provided with a contact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mating terminal A coupling box portion including an elastic piece and a support leg inclined toward both ends of the lower plate at both ends of the elastic piece; A barrel portion formed at a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connected to a wir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탄성편은 상기 하판의 선단에서 상판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선단은 상기 상판과 평행하게 연장된다.The elastic piece extends inclined toward the top plate from the tip of the lower plate, the tip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top plate.
상기 지지레그의 선단에는 상기 하판에 지지되는 지지단이 하판과 평행하게 형성된다.A support end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leg in parallel with the lower plate.
상기 지지단은 상기 하판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구비한다.The support end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lower end.
상기 탄성편과 마주보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접촉비드가 상대 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facing the elastic piece, a plurality of contact beads are formed to exten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mating terminal.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 의하면 결합박스부 내에 구비되는 탄성편의 탄성력과 접촉돌부에 의해 상대 터미널과의 전 기적 접촉성능이 크게 향상되고, 탄성편의 양단에 지지레그가 구비되어 있어 탄성편의 탄성변형이 과도할 때 지지레그가 탄성변형되면서 지지하므로 탄성편의 소성변형에 대한 내성이 커져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구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contact performance with the mating terminal is greatly improved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contact protrusion of the elastic piece provided in the coupling box portion, and support leg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piece. Whe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iece is excessive, the support leg is elastically deformed and supported, there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p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iece,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receptacle terminal.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박스부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2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igure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 view,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box portio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리셉터클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타발 및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골격을 몸체부(20)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20)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박스부(22) 및 바렐부(38)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결합박스부(22) 및 바렐부(38)와 영역을 분리할 수는 없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receptacle terminal is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a conductive metal material in a progressive mold, and the
상기 몸체부(20)의 선단에는 결합박스부(22)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박스부(22)는 전후가 개구된 육면체 박스형상이다. 본 실시예의 결합박스부(22)는 상면과 하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결합박스부(22)는 서로 마주보는 상판(23)과 하판(24) 및 상기 상판 및 하판(23,24)과 각각 연결되는 측판(25)으로 구성된다.A
상기 상판(23)에는 상기 결합박스부(22)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접촉비 드(2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비드(28)는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상판(23)의 면적, 다시 말해 상대 터미널의 폭이 넓기 때문이다. 상기 접촉비드(28)는 상기 결합박스(2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는 상대 터미널의 삽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접촉비드(28)는 그 가장자리, 즉 상기 상판(23)과 연결되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A
상기 결합박스부(22)의 하판(24) 선단에서 상기 결합박스부(22)의 내부를 향해 탄성편(30)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30)는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소정의 탄성을 가진다. 상기 탄성편(30)은 그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중간부분에서 후단까지는 상기 상판(23)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30)의 형상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 형상이다.The
상기 탄성편(30)의 중앙에는 접촉돌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부(32)는 상기 탄성편(30)의 상면에 상기 상판(23)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부(32)는 그 선단은 평면도로 볼 때, 반원형상이고, 후단은 대략 정사각형상이다.A
상기 탄성편(30)의 양단에는 지지레그(34)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34)는 상기 탄성편(30)의 일부를 잘라 절곡하여 탄성편(30)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34)는 상기 탄성편(30)의 후단 쪽에서 탄성편(30)과 연결된다. 상기 지지레그(34)의 선단은 상기 하판(24)의 선단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지지레그(34)는 상기 탄성편(30)의 후단에서 상기 하판(2)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지지레그(34)의 선단에는 상기 하판(24)과 평행한 지지단(36)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36)은 상기 탄성편(30)이 탄성변형될 때 상기 하판(24)에 지지되 어 과도한 탄성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t the front end of the
상기 지지레그(34) 선단의 지지단(36)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하판(24)에 밀착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상기 지지단(36)은 상기 하판(24)에서 소정 거리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탄성편(30)의 초기 탄성변형은 상기 지지레그(34)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탄성편(30)의 초기 변형시에도 상기 지지레그(34)의 영향을 받게 된다.The
상기 몸체부(20)의 후단에는 바렐부(38)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38)는 와이어바렐(39)과 인슐레이션바렐(40)로 구성되는데, 상기 와이어바렐(39)은 와이어의 심선을 둘러 감싸 압착되어 와이어와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40)은 와이어의 인슐레이션을 둘러 감싸 압착되어 와이어가 터미널과 물리적으로 결합되게 한다.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터미널은 커넥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이 삽입됨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박스부(22)에는 상대 터미널인 탭 터미널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The terminals ar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connector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terminals of the mating connector. In the
상기 탭 터미널은 상기 결합박스부(22)의 내부로 삽입되는데, 상기 탄성편(30)과 상판(23)의 사이, 보다 정확하게는 상판(23)의 접촉비드(28)와 탄성편(30)의 접촉돌부(32)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접촉비드(28)와 접촉돌부(32) 사이의 간격은 상기 탭 터미널의 두께보다 작게 되어 상기 탭터미널이 삽입되면 상기 탄성편(30)은 탄성변형을 하게 된다.The tab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즉, 상기 탄성편(30)은 상기 탭 터미널에 의해 밀려 상기 하판(24)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 탭터미널에 의해 탄성편(30)이 밀려 탄성변형하게 되면 상기 지지레그(34)도 탄성변형을 하면서 상기 탄성편(30)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30)의 탄성변형 정도를 규제하게 된다.That is, the
이와 같이 상기 지지레그(34)는 탭 터미널이 삽입될 때, 일어나는 탄성편(30)의 탄성변형을 일부 나누어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편(30)이 과도하게 탄성변형되어 소성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또한, 상기 지지레그(34)가 상기 탄성편(30)을 지지하고 있음에 의해 외부로 부터 힘이 가해지거나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탄성편(30)은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한편, 상기 지지레그(34)의 지지단(36)이 하판(24)에 닿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탄성편(30)의 초기 탄성변형이 상대적으로 쉽게 된다. 즉, 상기 탭 터미널이 결합박스부(22)로 삽입될 때, 탭 터미널의 삽입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서는 다 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결합박스부 내에 구비되는 탄성편이 그 양단의 지지레그에 의해 지지되어 상대 터미널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편 및 상판에 각각 접촉돌부와 접촉비드가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상대 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이 확실하게 된다. 따라서, 터미널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iece provided in the coupling box por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legs at both ends thereof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ting terminal, and the contact protrusions and the contact beads are formed on the elastic pieces and the upper plate, respectively, so tha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mating terminal is achieved. To be sure. Therefore,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terminal is increas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탄성편을 지지하는 지지레그가 탄성편의 탄성변형을 나누어 담당하므로 탄성편이 탭터미널의 삽입에 필요한 탄성변형을 충분히 하면서도 과도한 탄성변형은 지지레그에 의해 방지되므로 탄성편의 소성변형에 대한 내성이 커져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구성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leg for supporting the elastic piece is responsible for dividi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iece, while the elastic piece is sufficient for the elastic deformation necessary for the insertion of the tab terminal, excessive elastic deformation is prevented by the support leg, so that The increased resistance also increases the durability of the receptacle terminals.
또한, 탄성편의 양단에 형성된 지지레그 선단의 지지단이 결합박스부의 하판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탭 터미널이 결합박스부로 삽입되는 삽입력은 상대적으로 작아지면서도 탭터미널과의 접촉력 및 탄성편의 소성변형에 대한 내성이 커지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ends of the support leg ends form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piece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late of the coupling box portion, the insertion force into which the tab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box portion is relatively small, but the contact force and elasticity of the tab terminal are reduced. There is also an effect of increasing resistance to plastic deformat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105313A KR100787202B1 (en) | 2006-10-27 | 2006-10-27 | Receptac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105313A KR100787202B1 (en) | 2006-10-27 | 2006-10-27 | Receptacle Termina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787202B1 true KR100787202B1 (en) | 2007-12-21 |
Family
ID=3914749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1053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7202B1 (en) | 2006-10-27 | 2006-10-27 | Receptac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87202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01886B1 (en) | 2008-06-30 | 2010-12-1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terminal |
| WO2010134712A3 (en) * | 2009-05-19 | 2011-02-17 | Tyco Electronics Amp Korea Ltd. | Connector for low profile fus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50004852A (en) * | 1993-07-09 | 1995-02-18 | 오오가 노리오 | Telephony system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
| JPH08293367A (en) * | 1995-04-21 | 1996-11-05 | Sumitomo Wiring Syst Ltd | Mutual connecting terminal |
| KR200302449Y1 (en) * | 2002-12-26 | 2003-02-05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A terminal |
-
2006
- 2006-10-27 KR KR1020060105313A patent/KR10078720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50004852A (en) * | 1993-07-09 | 1995-02-18 | 오오가 노리오 | Telephony system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
| JPH08293367A (en) * | 1995-04-21 | 1996-11-05 | Sumitomo Wiring Syst Ltd | Mutual connecting terminal |
| KR200302449Y1 (en) * | 2002-12-26 | 2003-02-05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A terminal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01886B1 (en) | 2008-06-30 | 2010-12-1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terminal |
| WO2010134712A3 (en) * | 2009-05-19 | 2011-02-17 | Tyco Electronics Amp Korea Ltd. | Connector for low profile fus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653650B (en) | Connection terminal | |
| TWI403032B (en) | Spring exposed female terminal | |
| JP6342608B2 (en) | Female terminal | |
| US10374337B2 (en) | Terminal block | |
| US20120252283A1 (en) | Fuse terminal | |
| CN103001034A (en) | Electric connector | |
| KR101550924B1 (en) | connector for the low-profile fuse | |
| US9219334B2 (en) |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 |
| KR100787202B1 (en) | Receptacle Terminal | |
| JP6399594B2 (en) |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 |
| KR100907541B1 (en) | Receptacle Terminal | |
| US9466906B2 (en) | Resilient contact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same | |
| KR101613410B1 (en) | Terminal fitting | |
| KR100897377B1 (en) | Receptacle Terminal | |
| KR200471889Y1 (en) | Receptacle Terminal | |
| KR200450639Y1 (en) | terminal | |
| KR200444472Y1 (en) | Receptacle Terminal | |
| KR20090060793A (en) | Receptacle Terminal | |
| KR101001886B1 (en) | terminal | |
| KR20090004915U (en) | Receptacle Terminal | |
| KR20100008653A (en) | Receptacle Terminal | |
| KR20100011331A (en) | Tab terminal and terminal assembly having this | |
| KR20090073779A (en) | Receptacle Terminal | |
| KR101925219B1 (en) | An electrical terminal | |
| KR20100001182U (en) | Receptacle Termina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2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