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147B1 - Car airbag device - Google Patents
Car airba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9147B1 KR100999147B1 KR1020080050816A KR20080050816A KR100999147B1 KR 100999147 B1 KR100999147 B1 KR 100999147B1 KR 1020080050816 A KR1020080050816 A KR 1020080050816A KR 20080050816 A KR20080050816 A KR 20080050816A KR 100999147 B1 KR100999147 B1 KR 1009991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shion
- airbag
- flap
- inflator
- airbag cush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60R2021/01231—Expansion of air bags control of expansion timing or seque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 충돌시 인플레이터의 인플레이터홀부를 통해 팽창가스가 에어백쿠션에 주입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가 소개된다. 이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쿠션은 플랩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로 분할되는 상부쿠션부 및 하부쿠션부를 포함하고, 팽창가스의 주입시 하부쿠션부가 상부쿠션부보다 먼저 팽창되도록 플랩의 중간부는 인플레이터홀부에 관통되어 에어백쿠션에 재봉된다.An airbag apparatus for a vehicle in which an inflation gas is injected into an airbag cushion through an inflator hole of an inflator during a vehicle collision is introduced. The airbag cushion of the airbag apparatus includes an upper cushion portion and a lower cushion portion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with a flap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flap is formed in the inflator hole so that the lower cushion portion expands before the upper cushion portion when the inflation gas is injected. It is penetrated and sewn to the airbag cushion.
인플레이터, 에어백쿠션, 플랩, 리테이너 Inflator, Airbag Cushion, Flap, Retain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팽창가스가 주입되는 에어백쿠션을 통해 차량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bag apparatus that absorbs a vehicle shock through an airbag cushion into which an inflation gas is injected.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백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나 급정차와 같이, 탑승자의 신체가 앞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 스티어링 휠이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탑승자가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the airbag device of the vehicle serves to cushion the impact so that the occupant does not directly hit the steering wheel or the instrument panel when the body of the occupant is leaned forward, such as a vehicle crash or a sudden stop.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에어백장치는 에어백하우징(20)과, 에어백하우징(20)에 장착되어 차량 충돌시 팽창가스를 제공하는 인플레이터(30)와, 인플레이터(30)의 인플레이터홀부(31)를 통해 팽창가스를 공급받는 에어백쿠션(10), 및 에어백하우징(20)에 설치되어 에어백쿠션(10)을 지지하는 리테이너(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airbag apparatus includes an
여기서, 에어백쿠션(10)은 제1쿠션판(11) 및 제2쿠션판(12)이 상호 재봉되어 형성되고, 해당 일측에는 에어백쿠션(10)의 전개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벤트홀(13)이 마련되며, 해당 내측에는 테더(14)가 내장된다. 이 테더(14)는 해당 양단부가 제1쿠션판(11)의 내면과 제2쿠션판(12)의 내면에 각각 연결되어, 에어백쿠션(10)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한다. Here, the
즉, 차량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충돌감지센서는 차량 충돌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ECU로 출력하고, ECU는 충격 강도에 따라 인플레이터(30: inflator)의 작동여부를 결정한다. ECU에 의해 인플레이터(30)가 작동되면, 인플레이터(30)는 가스발생제를 연소시킨 후 인플레이터홀부(31)를 통해 다량의 팽창가스를 에어백쿠션(10) 내부로 분사하여 에어백쿠션(10)을 팽창시킨다.That is, when a vehicle collision occurs,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detects a vehicle collision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ECU, and the ECU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the
그런데 에어백쿠션이 팽창되는 경우, 종래 에어백쿠션은 팽창가스에 의해 전방향으로 고르게 팽창되는 바, 스티어링 휠 등에 에어백장치가 경사지게 장착되는 점을 고려하면, 에어백쿠션의 전개방향은 탑승자의 머리 또는 목을 향하게 된다. 결국, 팽창되는 에어백쿠션이 탑승자의 목 또는 머리 쪽에 집중되므로, 탑승자의 가슴 쪽에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airbag cushion is inflated, the conventional airbag cushion is inflated evenly in all directions by the inflation gas, and considering that the airbag device is inclinedly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the deployment direction of the airbag cushion is to cover the occupant's head or neck. Is headed. As a result, since the inflated airbag cushion is concentrated on the neck or the head of the occupa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occupant's chest cannot be effectively buffe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쿠션 내 팽창가스의 유동방향이 하부에서 상부로 전환되도록 하여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is problem, to provide a vehicle airbag device that minimizes the passenger injuries by caus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expansion gas in the airbag cushion to switch from the bottom to the to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시 인플레이터의 인플레이터홀부를 통해 팽창가스가 에어백쿠션에 주입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에어백쿠션은 플랩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로 분할되는 상부쿠션부 및 하부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랩의 양단부는 에어백쿠션의 후방 및 전방에 각각 재봉되고, 상기 플랩의 중간부는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인플레이터홀부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쿠션에 재봉되고, 상기 팽창가스의 주입시 상기 하부쿠션부의 팽창에 의해 상기 플랩의 중간부의 재봉이 파단되면서 상부쿠션부가 팽창되고, 상기 플랩의 일단부는 상기 인플레이터홀부의 하부측 에어백쿠션에 재봉되고, 상기 플랩의 타단부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방 중앙측에 재봉되고, 상기 플랩의 중간부는 상기 인플레이터홀부의 상부측 에어백쿠션에 재봉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airbag apparatus in which an inflation gas is injected into an airbag cushion through an inflator hole of an inflator when the vehicle collides, and the airbag cushion is disposed up and down with a flap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an upper cushion portion and a lower cushion portion to be divided,
Both ends of the flap are sewn to the rear and front of the airbag cushion, respectively,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flap is sewn into the airbag cushion while being penetrated into the inflator hole through a through hole, and the lower cushion portion is injected when the inflation gas is injected. The upper cushion portion is expanded while the middle portion of the flap is broken by the expansion, and one end of the flap is sewn on the airbag cushion at the lower side of the inflator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flap is sewn on the front center side of the airbag cushion. The middle portion of the flap is sewn on the upper airbag cushion of the inflator hol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때, 상기 플랩은 팽창되는 에어백쿠션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를 위해 상기 에어백쿠션에 내장되는 테더(Tether)이고, 상기 플랩은 상기 에어백쿠션과 동일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lap is a tether embedded in the airbag cushion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of the airbag cushion to be inflated, the flap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irbag cushion.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의 전개시 에어백쿠션이 상방향으로 들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탑승자의 가슴부에 대한 보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tection of the occupant's chest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airbag cushion lifting upward when the airbag is deployed.
또한, 본 발명은 에어백에 근접하여 위치한 탑승자의 상해를 감소시켜, 충돌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jury of the occupant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airbag, thereby improving collision safety.
아울러,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이에 필요한 부품수가 적어지므로 원가가 절감되고, 재료비가 절감된다는 등의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conomical advantage, such as the simple structure and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for this is reduced, the cost is reduced, the material cost is reduced.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3a에서 에어백쿠션이 만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2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정면에서 에어백쿠션을 횡방향으로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view showing the "AA" section of Figure 2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bag cushion is in full bloom in Figure 3a,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BB" section of Figure 2 cut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view showing the airbag cushion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fron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플랩(200)을 통해 에어백쿠션(100)을 상부쿠션부(110) 및 하부쿠션부(120)로 분할함으로써, 상부보다 하부가 먼저 팽창되는 에어백쿠션(100)을 통해 탑승자의 가슴쪽 보호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2 to 5,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 충돌시 팽창가스를 제공하는 인플레이터(300)가 에어백하우징(400)에 장착되고, 인플레이터(300)의 인플레이터홀부(310)를 통해 팽창가스를 공급받는 에어백쿠션(100)이 리테이너(410)를 매개로 에어백하우징(400)에 고정된다. 여기서, 인플레이터(300) 및 에어백하우징(400)의 구성은 종래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사용되는 인플레이터 및 에어백하우징에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detail, the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쿠션(100)은, 벤트홀(103)을 가지며, 플랩(200)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로 분할되는 상부쿠션부(110) 및 하부쿠션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상부쿠션부(110) 및 하부쿠션부(120)는 인플레이터(300)에 의해 공급되는 팽창가스를 통해 팽창되어 실제적으로 충격이 흡수되는 공간부로 정의한다.The
특히, 에어백쿠션(100)은 차량 충돌에 따른 에어백쿠션(100)의 전개시, 하부쿠션부(120)가 상부쿠션부(110)보다 먼저 팽창되는 구조로, 탑승자의 가슴부에 대한 에어백에 의한 보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이들 상부쿠션부(110) 및 하부쿠션부(120)는 제1쿠션(101) 및 제2쿠션(102)에 의해 둘러싸여 진다. 즉, 제1쿠션(101)는 에어백하우징(400)의 리테이너(410)에 고정되어 인플레이터홀부(310)에 연통되고, 제2쿠션(102)은 제1쿠션(101)의 가장자리부에 재봉된다.The
이 에어백쿠션(100)의 제1쿠션(101)과 제2쿠션(102)에는 플랩(200)의 양단부가 각각 재봉된다. 즉, 플랩(200)의 일단부는 인플레이터홀부(310)의 하부측 제1쿠션(101)에 재봉되고, 플랩(200)의 타단부는 제2쿠션(102)의 중앙부에 재봉된다. Both ends of the
특히, 플랩(200)의 일측부에는 인플레이터홀부(3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인플레이터홀부(310)에 관통되는 관통홀(210)이 마련되고, 플랩(200)의 중간부는 관통홀(210)에 관통되면서 인플레이터홀부(310)의 상부측에 재봉되는 재봉연결부(220)를 가진다. In particular, one side portion of the
따라서, 인플레이터홀부(310)는 하부쿠션부(120)에 연통된 상태가 되는 바, 팽창가스가 인플레이터홀부(310)를 통해 에어백쿠션(100)에 주입되는 경우, 팽창가 스는 하부쿠션부(120)를 먼저 팽창시키고, 팽창가스의 팽창력에 의해 일정 하중 이상의 힘이 인플레이터홀부(310)의 상부측과 플랩(200)의 중간부 사이의 재봉연결부(220)에 가해지면, 이 재봉연결부(220)가 파단되면서, 상부쿠션부(110)가 팽창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플랩(200)은 제1쿠션(101)와 제2쿠션(102)을 서로 연결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구성되고, 플랩(200)의 좌,우공간은 에어백의 전개시 상부쿠션부(110)와 하부쿠션부(120) 사이에 팽창가스의 유동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플랩(200)의 폭이 조절되면 팽창가스의 유동량도 조절될 수 있다. The
그리고 플랩(200)은 팽창되는 에어백쿠션(100)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에어백쿠션(100)에 내장되는 통상의 테더(Tether) 역할도 수행한다. 이 플랩(200)은 에어백쿠션(100)과 동일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쿠션(100) 및 플랩(200)은 섬유 직물재로 구성된다.And since the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도 6a에서 에어백쿠션(100)이 만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도 2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a is a view showing the "AA" line cut in Figure 2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state in
도 6a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플랩(200)은, 해당 일단부가 인플레이터홀부(310)의 하부측 제1쿠션(101)에 재봉되고, 해당 타단부가 제1쿠션(101)의 중앙부에 재봉되며, 해당 중간부가 파단탭(230)을 매개로 인플레이터홀부(310) 상부 측의 에어백쿠션(100)에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A to 7, the
파단탭(230)은 일정값 이상의 하중 인가시 파단되는 테어라인(231)을 가지며, 해당 일단은 플랩(200)에 재봉되고, 해당 타단은 에어백하우징(400)의 리테이너(410)에 고정된다. 따라서, 팽창가스가 에어백쿠션(100)에 주입되는 경우, 일정 하중 이상의 힘이 파단탭(230)의 테어라인(231)에 가해지면, 이 테어라인(231)이 파단되면서, 상부쿠션부(110)가 팽창될 수 있다. The
도 8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도 8a에서 에어백쿠션(100)이 만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도 2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8A is a view illustrating the AA line cutaway of FIG. 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 state in which the
도 8a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따른 플랩(200)은, 해당 일단부가 인플레이터홀부(310)의 하부측 제1쿠션(101)에 재봉되고, 해당 타단부가 제1쿠션(101)의 중앙부에 재봉되며, 해당 중간부가 파단연결부(240)를 매개로 인플레이터홀부(310) 상부 측의 에어백쿠션(100)에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A to 9, in the
파단연결부(240)는 플랩(2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일체물로, 플랩(200)의 관통홀(210)에 연장 형성되는 구조이다. 즉, 파단연결부(240)는 해당 일단이 플랩(200)에 일체로 연결되고, 해당 타단이 에어백하우징(400)의 리테이너(410)에 고정되고, 해당 중간부에 일정값 이상의 하중 인가시 파단되는 테어라인(241)이 형성된다. 따라서, 팽창가스가 에어백쿠션(100)에 주입되는 경우, 일정 하중 이상의 힘이 파단연결부(240)의 테어라인(241)에 가해지면, 이 테어라인(241)이 파단되면서, 상부쿠션부(110)가 팽창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10A to 10E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이 전개되는 전개 초기의 경우, 인플레이터(300)가 점화된 후, 팽창가스가 인플레이터홀부(310)를 통해 에어백쿠션(100) 내측으로 주입되면, 팽창가스는 플랩(200)의 유도에 의해 하부쿠션부(120)로 유동되면서 하부쿠션부(120)를 먼저 팽창시킨다. As shown in FIG. 10A, in the initial stage of deployment where the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쿠션부(120)의 팽창에 의해 플랩(200)의 재봉연결부(220)에 일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면, 이 재봉연결부(220)가 파단되면서 플랩(200)이 인플레이터(300) 중심방향으로 젖혀지게 되고, 팽창가스가 상부쿠션부(110)로 유입되면서 팽창가스의 유동방향이 전환된다.As shown in FIG. 10B, when a load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s applied to the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200)이 점차 더 열리면, 상부쿠션부(110)로 팽창가스 유입이 증가되고, 상부쿠션부(110)는 계속적으로 팽창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0C, when the
도 10d 및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쿠션부(110)에 대한 팽창가스 유입이 계속되면, 에어백쿠션(100)의 완전한 전개가 완료되고, 상부쿠션부(110)가 하부쿠션부(120)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팽창공간을 갖게 된다. As shown in FIGS. 10D and 10E, when the inflation gas flows into the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구성도.Figure 3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ut portion "A-A" of Figure 2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3a에서 에어백쿠션이 만개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Figure 3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full bloom airbag cushion in Figure 3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2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구성도.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cutaway portion of the “B-B” line in FIG.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정면에서 에어백쿠션을 횡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bag cushion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front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구성도.Figure 6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A" line in Figure 2 cut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도 6a에서 에어백쿠션이 만개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Figure 6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full bloom airbag cushion in Figure 6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도 2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구성도.FIG. 7 is a view illustrating the cutaway portion “B-B” of FIG.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구성도.FIG. 8A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utaway portion of an “A-A” line in FIG. 2 in accordance with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도 8a에서 에어백쿠션이 만개한 상태 를 도시한 상태도.Figure 8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full bloom airbag cushion in Figure 8a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도 2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구성도.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cutaway line “B-B” of FIG. 2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각각 도시한 작동 상태도.10a to 10e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respective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Code explanation for main part of drawing ※
100 :에어백쿠션 110 :상부쿠션부100: air bag cushion 110: upper cushion portion
120 :하부쿠션부 200 :플랩120: lower cushion portion 200: flap
300 :인플레이터 400 :에어백하우징300: Inflator 400: Airbag housing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50816A KR100999147B1 (en) | 2008-05-30 | 2008-05-30 | Car airba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50816A KR100999147B1 (en) | 2008-05-30 | 2008-05-30 | Car airbag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124536A KR20090124536A (en) | 2009-12-03 |
| KR100999147B1 true KR100999147B1 (en) | 2010-12-08 |
Family
ID=4168646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508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9147B1 (en) | 2008-05-30 | 2008-05-30 | Car airbag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9914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5623843B2 (en) * | 2010-09-17 | 2014-11-12 | タカタ株式会社 | Air bag, air bag device and tether stitching method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305927B1 (en) | 1999-06-30 | 2001-09-24 | 정주호 | Side air bag for automobiles |
| JP2007153062A (en) | 2005-12-02 | 2007-06-21 | Toyoda Gosei Co Ltd | Air-bag device for pedestrian |
| KR100751297B1 (en) | 2006-04-24 | 2007-08-23 |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 Car Airbag Cushion |
-
2008
- 2008-05-30 KR KR1020080050816A patent/KR10099914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305927B1 (en) | 1999-06-30 | 2001-09-24 | 정주호 | Side air bag for automobiles |
| JP2007153062A (en) | 2005-12-02 | 2007-06-21 | Toyoda Gosei Co Ltd | Air-bag device for pedestrian |
| KR100751297B1 (en) | 2006-04-24 | 2007-08-23 |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 Car Airbag Cushion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124536A (en) | 2009-12-0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3957194B2 (en) | Multi-chamber bumper airbag | |
| US7866694B2 (en) | Airba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 KR100284858B1 (en) | Vehicle airbag device and control method_ | |
| JP2007216733A (en) | Airbag device for vehicle | |
| WO2007080683A1 (en) | Seat | |
| KR100504284B1 (en) | Structure of air bag cushion for passenger | |
| KR100999147B1 (en) | Car airbag device | |
| KR100986471B1 (en) | Car Air Bag Assembly | |
| KR101047560B1 (en) | Car airbag device | |
| KR100977598B1 (en) | Inflation shock alleviation airbag device | |
| KR100778589B1 (en) | Car Driver Airbag | |
| KR20100099550A (en) | Passenger air-bag for a vehicle | |
| KR100803624B1 (en) | Side airbag | |
| KR20070042262A (en) | Driver seat airbag cushion structure | |
| KR100579874B1 (en) | Air bag for quick deployment | |
| KR100641035B1 (en) | Airbag device | |
| KR100512868B1 (en) | Structure of air bag cushion for passenger | |
| KR100512867B1 (en) | Structure of air bag cushion for passenger | |
| KR20030026468A (en) | Tether and vent-hole connection type airbag-cusion for automobile | |
| KR100850921B1 (en) | Automotive airbag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JP3633330B2 (en) | Airbag device for side impact of automobile | |
| KR100750403B1 (en) | Side airbag of car | |
| KR100947995B1 (en) | Car Air Bag | |
| KR20040023323A (en) | Air bag cushion with plural tether | |
| KR20120042097A (en) | Air-bag appa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12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120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