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560B1 - Car airbag device - Google Patents
Car airba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7560B1 KR101047560B1 KR1020080094467A KR20080094467A KR101047560B1 KR 101047560 B1 KR101047560 B1 KR 101047560B1 KR 1020080094467 A KR1020080094467 A KR 1020080094467A KR 20080094467 A KR20080094467 A KR 20080094467A KR 101047560 B1 KR101047560 B1 KR 1010475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shion
- airbag
- hole
- tether
- clamp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2—Tear sea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쿠션이 에어백가스의 주입에 의해 전개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가 소개된다. 이 에어백장치의 관통홀부는 상부쿠션부에 형성되고, 클램핑 테더는 관통홀부에 관통되어 양단부가 하부쿠션부에 연결되며, 테어라인부는 클램핑 테더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재봉되어 에어백쿠션의 상하방향 전개를 지연한다. 이로써, 승객이 에어백쿠션의 전개 타격력으로 인해 상해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 airbag apparatus for a vehicle in which an airbag cushion is deployed by injecting airbag gas is introduced. The through-hole part of the airbag device is formed in the upper cushion portion, the clamping tether is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hole portion,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lower cushion portion, and the tearline portion is sewn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lamping tether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irbag cushion. Delay directional developmen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ssenger from being injured due to the deployment impact force of the airbag cushion.
에어백쿠션, 클램핑 테더, 인플레이터, Airbag cushion, clamping tether, infla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백에 근접하게 위치한 승객에 대한 에어백쿠션의 전개 타격으로 인한 상해를 방지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bag apparatus which prevents injuries due to deployment strike of the airbag cushion on a passenger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airbag.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백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나 급정차와 같이, 탑승자의 신체가 앞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 스티어링 휠이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탑승자가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the airbag device of the vehicle serves to cushion the impact so that the occupant does not directly hit the steering wheel or the instrument panel when the body of the occupant is leaned forward, such as a vehicle crash or a sudden stop.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에어백장치는 에어백하우징(20)과, 에어백하우징(20)에 장착되어 차량 충돌시 에어백가스를 제공하는 인플레이터(30)와, 인플레이터(30)의 인플레이터홀부(31)를 통해 에어백가스를 공급받는 에어백쿠션(10), 및 에어백하우징(20)에 설치되어 에어백쿠션(10)을 지지하는 리테이너(21)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conventional airbag apparatus includes an
여기서, 에어백쿠션(10)은 제1쿠션판(11) 및 제2쿠션판(12)이 상호 재봉되어 형성되고, 해당 일측에는 에어백쿠션(10)의 전개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벤트홀(13)이 마련되며, 해당 내측에는 테더(14)가 내장된다. 이 테더(14)는 해당 양단부가 제1쿠션판(11)의 내면과 제2쿠션판(12)의 내면에 각각 연결되어, 에어백쿠션(10)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한다. Here, the
즉, 차량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충돌감지센서는 차량 충돌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ECU로 출력하고, ECU는 충격 강도에 따라 인플레이터(30:inflator)의 작동여부를 결정한다. ECU에 의해 인플레이터(30)가 작동되면, 인플레이터(30)는 가스발생제를 연소시킨 후 인플레이터홀부(31)를 통해 다량의 에어백가스를 에어백쿠션(10) 내부로 분사하여 에어백쿠션(10)을 팽창시킨다.That is, when a vehicle collision occurs,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detects a vehicle collision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ECU, and the ECU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the
그런데 에어백쿠션이 팽창되는 경우, 종래 에어백쿠션은 팽창가스에 의해 전방향으로 고르게 팽창되는 바, 스티어링 휠 등에 에어백장치가 경사지게 장착되는 점을 고려하면, 에어백쿠션의 전개방향은 탑승자의 머리 또는 목을 향하게 된다. 결국, 팽창되는 에어백쿠션이 탑승자의 목 또는 머리 쪽에 집중되므로, 탑승자의 가슴 쪽에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airbag cushion is inflated, the conventional airbag cushion is inflated evenly in all directions by the inflation gas, and considering that the airbag device is inclinedly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the deployment direction of the airbag cushion is to cover the occupant's head or neck. Is headed. As a result, since the inflated airbag cushion is concentrated on the neck or the head of the occupa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occupant's chest cannot be effectively buffe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쿠션의 전개 타격력에 의한 승객의 상해를 방지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s to provide a vehicle airbag apparatus that prevents injuries of passengers due to the deployed impact of the airbag cush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쿠션부 및 하부쿠션부로 구성된 에어백쿠션이 에어백가스의 주입에 의해 전개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상부쿠션부에 형성되는 관통홀부와, 상기 관통홀부에 관통되어 양단부가 상기 하부쿠션부에 연결되는 클램핑 테더와, 상기 클램핑 테더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가 재봉되어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하방향 전개를 지연하는 테어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상기 상부쿠션부는 상기 테어라인부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전개된 후 상기 테어라인부가 파단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전개되고, 상기 상부쿠션부에는 상기 관통홀부를 감싸는 쿠션커버가 재봉되고, 상기 관통홀부에는 상기 클램핑 테더가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상기 상부쿠션부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쿠션부에는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재봉되는 보강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 테더에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만개시 상기 에어백쿠션이 일정 형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관통홀부에 걸리는 고리 형상의 스토퍼가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irbag apparatus including an upper cushion portion and a lower cushion portion deployed by injection of an airbag gas, and includes a through hol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cushion portion, and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portion. A clamping tether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lower cushion part, and a tailline part which is sewn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lamping tether and delays the vertical deployment of the airbag cushion; The upper cushion part is deploy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tear line part, and then the tear line part is unfo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ushion cover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part is sewn in the upper cushion part, and the clamping tether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part. At least one through hole through which is disposed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cushion portion, Reinforcement lines are formed in the sub-cushion portion to extend in parallel to the edges of the through-holes, and the clamping tether has a ring-shaped stopper that is hooked to the through-holes to keep the air bag cushions in a predetermined form when the air bag cushions are in full bloom. Is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하면, 클램핑 테더가 상부쿠션부의 중앙에 관통되어 테어라인부에 의해 재봉되는 구조를 통해,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에어백쿠션의 상하방향 전개가 지연되므로, 에어백장치에 근접하게 위치한 승객의 목부위에 대한 에어백쿠션의 전개 타격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tructure that the clamping tether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upper cushion portion and is sewn by the tear line portion, the up and down deployment of the air bag cushion is delayed when the air bag cushion is deployed, and thus the neck of the passenger located close to the air bag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loyment hit of the airbag cushion to the site.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백장치는,상부쿠션부(110)의 중앙을 관통하는 클램핑 테더(130)가 서로 재봉되어, 에어백쿠션(100)의 전개시 에어백쿠션(100)의 상하방향 전개를 지연함으로써, 에어백쿠션(100)의 전개로 인한 승객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1 to 4, in the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면, 이 차량용 에어백장치는 상부쿠션 부(110)에 형성되는 관통홀부(111)와, 관통홀부(111)에 관통되어 하부쿠션부(120)에 연결되는 클램핑 테더(130)와, 클램핑 테더(13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가 재봉되는 테어라인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this, the vehicle airbag device is a through-
구체적으로, 에어백쿠션(100)은 에어백하우징(300)에 장착되어 인플레이터(400)를 통해 차량 충돌시 팽창가스를 제공받는 구조이다. 여기서, 에어백하우징(300) 및 인플레이터(400)의 구성은, 종래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사용되는 에어백하우징 및 인플레이터에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pecifically, the
에어백쿠션(100)은 상부쿠션부(110) 및 하부쿠션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상부쿠션부(110)와 하부쿠션부(120)는 해당 가장자리가 상호 연결된다. 상부쿠션부(110)에는 복수의 관통홀(112)이 일렬로 배열되는 관통홀부(111)가 형성된다. The
이 관통홀부(111)는 클램핑 테더(130)가 관통되는 홀(hole)로서, 상부쿠션부(110)의 중앙에 마련되며, 에어백쿠션(100)의 전개시 클램핑 테더(13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복수의 관통홀(112)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클램핑 테더(130)가 관통된다.The through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12)의 가장자리부에는 보강라인(113)이 재봉되어 형성된다. 보강라인(113)은 관통홀(112)의 가장자리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재봉라인으로, 관통홀(112)의 주변을 재봉 처리한다. 이로써, 에어백쿠션(100)의 전개시 에어백가스 압력에 의해 관통홀(112)이 쉽게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다. As shown in FIG. 5A, the
또한, 관통홀(112)의 내경은 클램핑 테더(130)의 외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관통홀부(111)의 내경은 클램핑 테더(130)의 외경 간의 틈이 줄어 들수 있으므로, 이 틈을 통해 누출되는 에어백가스의 양을 줄어 들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상부쿠션부(110)에는 관통홀부(111) 전체를 감싸는 쿠션커버(200)가 재봉된다. 이 쿠션커버(200)는 관통홀부(111)를 충분히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서 해당 가장자리가 상부쿠션부(110)에 재봉된다. 따라서, 에어백가스가 관통홀부(111)를 통해 누출되더라도, 관통홀부(111)를 감싸는 쿠션커버(200)에 의해 에어백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클램핑 테더(130)는 만개시 에어백쿠션(100)을 일정 형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쿠션부(110)의 관통홀부(111)를 관통한 상태에서 해당 양단부가 하부쿠션부(120)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The clamping
특히, 이 클램핑 테더(130)는 에어백쿠션(100)의 전개 초기 에어백쿠션(100)의 상하방향 전개를 지연하고, 에어백쿠션(100)의 만개시 에어백쿠션(100)의 일정 형상을 유지하는 역활을 하는 바, 이를 위해, 클램핑 테더(13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이들을 서로 재봉하여 고정하는 테어라인부(140)가 형성된다. In particular, the
테어라인부(140)는 클램핑 테더(130)가 관통홀부(111)를 관통한 상태에서 클램핑 테더(13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클램핑 테더(130)가 고리 형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로써, 에어백가스가 에어백쿠션(100)에 주입되는 경우, 클램핑 테더(130)에 대한 테어라인부(140)의 고정력이 유지되어 에어백쿠션(100)의 상하방향 전개가 지연되면서, 에어백쿠션(100)의 좌우방향 전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만, 에어백가스의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클램핑 테더(130)에 대한 테어라인부(140)의 재봉이 끊어지면서 에어백쿠션(100)의 상하방향 전개가 이루어져, 결국 에어백쿠션(100)이 만개되는 것이다.The
이때, 클램핑 테더(130)를 통한 에어백쿠션(100)의 형상 유지는, 클램핑 테더(130)에 마련된 스토퍼(131)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스토퍼(131)는 클램핑 테더(13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백쿠션(100)의 만개시 클램핑 테더(130)의 스토퍼(131)는 관통홀부(111)에 걸리게 되므로, 에어백쿠션(100)은 일정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hape maintenance of the
상기에서는 스토퍼(131)를 통해 클램핑 테더(130)가 상부쿠션부(110)에 고정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테더(130)의 중앙부와 관통홀부(111)의 중앙에는 이들을 서로 재봉하는 고정라인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라인부(132)를 통해, 만개시 에어백쿠션(100)은 일정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structure in which the
상기에서는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 차량용 에어백장치는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 뿐만 조수석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the vehicle airbag device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vehicle airbag device may be installed in the driver's seat as well as the steering wheel of the driver's seat.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은 상부쿠션부 및 하부쿠션부의 2개의 쿠션부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에어백쿠션은 3개의 쿠션부로 구 성될 수도 있고 그 외 원하는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irbag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two cushion portions of the upper cushion portion and the lower cushion por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irbag cushion may be composed of three cushion portions or may be changed to other desired shapes. .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차량 충돌시 에어백 컨트롤 유닛(미도시)이 인플레이터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면, 인플레이터가 점화되면서 인플레이터의 에어백가스가 에어백쿠션(100) 내로 유입된다. When an airbag control unit (not shown) applies an operation signal to the inflator during a vehicle collision, the inflator is ignited and the airbag gas of the inflator flows into the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의 전개 초기에는 클램핑 테더(130)에 대한 테어라인부(140)의 고정력이 유지되어 에어백쿠션(100)의 상하방향 전개가 지연되고, 에어백쿠션(100)의 좌우방향 전개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전개 초기 에어백쿠션(100)의 전개 타격력에 의해 승객의 목 부위가 타격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A, in the initial stage of deployment of the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 내 에어백가스의 유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에어백가스의 압력이 일정압 이상이 되면, 클램핑 테더(130)에 대한 테어라인부(140)의 재봉이 끊어지게 된다.As shown in FIG. 7B, when the inflow of the airbag gas in the
이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어라인부(140)의 재봉이 끊어진 클램핑 테더(130)는 상부쿠션부(110)의 관통홀부(111)를 이동하면서 좌우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에어백쿠션(100)의 중앙부는 상하방향으로 전개되면서 만개 형상을 구현한다. 이때, 클램핑 테더(130)의 스토퍼(131)는 관통홀부(111)에 걸리게 되므로, 에어백쿠션(100)은 일정 형태로 유지된다.Thereafter, as illustrated in FIG. 7C, the clamping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 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초기 전기시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구성도.Figure 2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A" front section of Figure 1 cut during the initial electric vehicle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만개시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구성도.Figure 2b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ut out of the "A-A" front of Figure 1 when the vehicle airbag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b의 에어백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airbag apparatus of FIG. 2B viewed from the fro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만개시 도 1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ut-out of the "B-B" front of Figure 1 when the vehicle airba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관통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Figure 5a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through hole of the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스토퍼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Figure 5b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stopper of the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를 도시한 구성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초기 전기시 에어백쿠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Figure 7a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irbag cushioning state during the initial electric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테어라인부가 파단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Figure 7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ar line portion of the airba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broken.
도 7c는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만개시 에어백쿠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Figure 7c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irbag cushion state at full bloom of the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Code explanation for main part of drawing ※
100 :에어백쿠션 110 :상부쿠션부100: air bag cushion 110: upper cushion portion
120 :하부쿠션부 130 :테더120: lower cushion portion 130: tether
140 :테어라인부 200 :쿠션커버 140: Tearline part 200: Cushion cover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94467A KR101047560B1 (en) | 2008-09-26 | 2008-09-26 | Car airba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94467A KR101047560B1 (en) | 2008-09-26 | 2008-09-26 | Car airbag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35227A KR20100035227A (en) | 2010-04-05 |
| KR101047560B1 true KR101047560B1 (en) | 2011-07-07 |
Family
ID=4221313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944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7560B1 (en) | 2008-09-26 | 2008-09-26 | Car airbag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4756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858451B2 (en) * | 2022-02-22 | 2024-01-02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Airbag module having a vertical restrictor |
-
2008
- 2008-09-26 KR KR1020080094467A patent/KR10104756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35227A (en) | 2010-04-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81387B1 (en) | Far side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 |
| KR102096535B1 (en) | Side airbag device | |
| JP4805914B2 (en) | Inflatable airbag with overlapping chambers | |
| US7066487B2 (en) | Airbag with internal positioning panels for sequential deployment | |
| KR101708217B1 (en) |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 |
| US20100102542A1 (en) | Airbag device | |
| JP2016203945A (en) | Airbag device | |
| JP2008037281A (en) | Seat mounted occupant constraint device | |
| JP2007216733A (en) | Airbag device for vehicle | |
| JP4931512B2 (en) | Airbag device for passenger seat | |
| JP2016078504A (en) | Vehicle far side airbag apparatus | |
| KR101807660B1 (en) | Passenger seat airbag for vehicle | |
| WO2007080683A1 (en) | Seat | |
| JP4569310B2 (en) | Knee airbag device for vehicle | |
| JP2011178269A (en) | Vehicle seat equipped with side airbag device | |
| KR101047560B1 (en) | Car airbag device | |
| KR100986471B1 (en) | Car Air Bag Assembly | |
| JP6825108B2 (en) | Side airbag device | |
| KR20160017997A (en) | Passenger Airbag Aparatus Of Vehicle | |
| KR100999147B1 (en) | Car airbag device | |
| KR20090026415A (en) | Car curtain airbag device | |
| KR20100099550A (en) | Passenger air-bag for a vehicle | |
| KR102731793B1 (en) | Front airba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102708567B1 (en) | Air bag apparatus | |
| KR100778589B1 (en) | Car Driver Airba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7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70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