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364B1 - Tilt up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Tilt up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2364B1 KR101142364B1 KR1020100059885A KR20100059885A KR101142364B1 KR 101142364 B1 KR101142364 B1 KR 101142364B1 KR 1020100059885 A KR1020100059885 A KR 1020100059885A KR 20100059885 A KR20100059885 A KR 20100059885A KR 101142364 B1 KR101142364 B1 KR 1011423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gle adjusting
- adjusting member
- slider
- mobile terminal
- lo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부재를 구비하여 슬라이더의 이동시 소음 및 진동 발생을 방지하고 휴대단말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은, 휴대단말기본체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 회전되게 결합된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휴대단말기이동체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된 슬라이더와;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도조절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에는 상부에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의 상부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가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와 접하여 상기 잠금부재를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 저지를 해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lt-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lock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angle adjustment member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and vibrat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A tilt 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member mounted to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An angle adjusting member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A slider coupled to a mobile terminal moving body which opens and closes an upp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ic body, and is mounted to slid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A locking member disposed below the angle adjust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to prevent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It is made, including, the angle adjustment member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long long hole shap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lider,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through the upper through the through hole in the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top of the angle adjustment member When the mobile terminal mobile body slides in on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lider to open the upp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ic body, the locking protrusion contacts the slider and rotates the locking member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lider. To release the jersey.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이동체를 휴대단말기본체에 슬라이드 및 틸트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lt 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lt 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for slidably and tiltably coupling the portable terminal mobile body to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최근 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Recently,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widely used as conveniences that anyone can easily carry and use freely anywhere.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바(bar)형 휴대단말기, 플립형(slidingtype) 휴대단말기, 폴더형(folder-type) 휴대단말기,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sliding-typ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Such portable terminal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bar-type portable terminals, flip-type portable terminals, folder-type portable terminals, and slide-type sliding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and operation method. Can be.
이 중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는 본체부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부가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도록 한 휴대단말기를 의미한다. Among these, the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slide portion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with the main body portion is slidably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일 예로,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는 본체부 및 본체부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 슬라이드부가 본체부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본체부와 슬라이드부를 연결하는 슬라이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typical slide-typ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and a terminal main body including a slide part disposed to overlap the main body part, and a slide module connecting the main body part and the slide part so that the slide part can slide relative to the main body part. Can be.
한편, 최근에는 급변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켜줄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가 본체부의 폭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개방된 후, 본체부에 대해 소정 각도롤 틸팅(tilting)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가 제시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recently,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slide part is slid open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satisfy rapidly changing consumer needs, and then the predetermined angle roll can be til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
도 1 은 상기한 종래의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틸팅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이러한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54430에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tilting state of the conventional tiltabl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and the tiltabl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is shown in detail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54430.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는 본체부(10)의 일단을 중심으로 틸팅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프레임(31)과, 상기 틸팅프레(31)임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본체부(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2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tiltabl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can be slidably moved on the tilting frame 31 and the tilting press 31 which are tiltably coupled around one end of the main body 10. It is provided to be made of a slide unit 20 to slid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10.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20)는 슬라이드 개방이 완료된 후에 상기 틸팅프레임(31)과 함께 상기 본체부(10)에 대해 틸팅된다.After the slide opening is completed, the slide unit 20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10 together with the tilting frame 31.
이러한 종래의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는 상기 슬라이드부(20)의 슬라이드 개방 전 상태에서 상기 틸팅프레임(31)의 회전을 구속하는 별도의 부재가 없고, 상기 슬라이드부(20)와 상기 본체부(10) 간의 간섭에 의해 상기 틸팅프레임(31)의 틸팅을 구속한다.The conventional tiltabl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does not have a separate member for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tilting frame 31 in a state before the slide opening of the slide portion 20, and the slide portion 20 and the main body portion ( 10) constrains the tilting of the tilting frame 31 by the interference therebetween.
그러나 상기 슬라이드부(20)와 상기 본체부(10) 간의 간섭에 의해 상기 틸팅프레임(31)의 틸팅을 구속하면, 상기 슬라이드부(20)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슬라이드부(20)와 상기 본체부(10) 사이의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고, 슬라이드부(20)에 흔들림이나 진동이 발생하여 휴대단말기의 품질이 저하된다.
However, if the tilting of the tilting frame 31 is restrained by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lide unit 20 and the main body unit 10, the slide unit 20 and the main body unit (a) when the slide unit 20 moves. Noise is generated by the friction between 10), shaking or vibration occurs in the slide unit 20, and the qua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부재를 구비하여 슬라이더의 이동시 소음 및 진동 발생을 방지하고 휴대단말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angle adjustment member tilt up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that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and vibration when moving the slider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mobile terminal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은, 휴대단말기본체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 회전되게 결합된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휴대단말기이동체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된 슬라이더와;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도조절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에는 상부에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의 상부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가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와 접하여 상기 잠금부재를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 저지를 해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ilt-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member mounted to the portable terminal basic body; An angle adjusting member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A slider coupled to a mobile terminal moving body which opens and closes an upp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ic body, and is mounted to slid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A locking member disposed below the angle adjust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to prevent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It is made, including, the angle adjustment member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long long hole shap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lider,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through the upper through the through hole in the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top of the angle adjustment member When the mobile terminal mobile body slides in on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lider to open the upp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ic body, the locking protrusion contacts the slider and rotates the locking member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lider. To release the jersey.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하부에는 제1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에는 상기 제1후크부에 후크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2후크부가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더에 의한 상기 잠금부재의 회전시 상기 제2후크부는 상기 제1후크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 저지를 해제한다.A first hook portion is formed below the angle adjusting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has a second hook portion hooked to the first hook portion to prevent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by the slider.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hook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first hook portion to release the rotation stop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부재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제1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어진다.A first elastic member mounted to the fixing member and configured to add rotational force to the locking member in a direction of preventing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It further comprises, but the first elastic member leads to a torsion spring.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 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일단 중 어느 한 곳에는 정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 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일단 중 나머지 한 곳에는 상기 정지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정지홈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정지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배치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킨다.A stoppe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or at one end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and at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or at one end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the stopper slides in the direction of the stopping groove. Second elastic members are respectively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stopper in the direction of the stop groove, and one end of the stopper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by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to stop the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Let's do it.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제3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A third elastic member mounted to the fixing member to add rotational force to the angle adjusting member such that the angle adjusting member is inclined forward of the fixing member; It further comprises, but the third elastic member is made of a torsion spr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ilt up modul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저지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시 소음 및 진동 발생을 방지하여 휴대단말기의 전체적인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locking member prevents the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and rotates by the movement of the slider to release the rotation stop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noise and vibration during sliding of the slider,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quality of the mobile terminal. Has the effect of improving.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슬라이더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의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ocking projection penetrates the through hole and is disposed above the angle adjusting member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does not protrude to the rear of the mobile terminal mobile body when the locking protrusion contacts the slider and rotate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lider. Is disposed between the fixing member has the effect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the space.
상기 제2후크부는 상기 제1후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각도조절부재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 저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second hook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hook portion to prevent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angle adjustment member from being randomly rotated by an external impact, and improves the rotation stopping force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There is.
상기 제1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부재에 회전력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제2후크부가 상기 제1후크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1후크부와 상기 제2후크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elastic member is formed of a torsion spring to add rotational force to the locking member in a direction of preventing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so that the second hook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hook portion and the first hook portion and th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bonding force of the second hook portion.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정지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이동체가 휴대단말기본체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여 정지되게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topper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by the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so that the mobile terminal moving body can be stopped by rotating at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mobile terminal basic body, thereby providing various angles desired by the user. It works.
상기 제3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회전력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 저지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각도조절부재가 자동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슬라이딩 및 틸팅 동작을 논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틸트 업 모듈의 작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The third elastic member is made of a torsion spring, by ad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angle adjusting member to be inclined forward of the fixing member, the rotation stop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is rel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angle adjusting member is automatically rotated by a certain angle Sliding and tilting operations can be carried out non-stop, which reduces the operating time of the tilt up module.
도 1 은 종래의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틸팅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의 일방향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의 타방향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의 주요부분 일방향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의 주요부분 타방향 분해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의 동작 과정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tilting state of a conventional tiltable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lt 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direction of a tilt-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direction of the tilt-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tilt-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tilt 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ilt-up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의 일방향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의 타방향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의 주요부분 일방향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의 주요부분 타방향 분해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의 동작 과정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lt-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one-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ilt-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part of the tilt-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the tilt-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tilt-up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 parts of the module in another directio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ure 7 to Figure 10 is a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tilt 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은 고정부재(100), 각도조절부재(200), 슬라이더(300), 잠금부재(400), 제1탄성부재(460), 스토퍼(510), 제2탄성부재(520) 및 제3탄성부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2 to 10, the tilt up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상기 고정부재(100)는 2개로 이루어져 휴대단말기본체(51)의 상부에 좌우 이격되게 장착되며, 구체적으로 측면부(110)와 중심부(120)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휴대단말기본체(51)는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키패드 등의 조작버튼이 설치되어 있다.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측면부(110)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넓게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고, 상기 중심부(120)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The
상기 중심부(120)는 상기 측면부(110)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방으로 장착홈(121)이 개방 형성된다.The
상기 장착홈(121)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10)가 슬라이드 이동되게 삽입 장착된다.The
또한 상기 측면부(110)의 일단, 즉 상기 중심부(120)의 전방에는 상기 측면부(110) 사이에 제1공간부(13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상기 제1공간부(130)는 상기 장착홈(121)과 연통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일단이 삽입 배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측면부(110)의 타단, 즉 상기 중심부(120)의 후방에는 상기 측면부(110) 사이에 제2공간부(14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second space portion 140 is formed between the
상기 제2공간부(1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제1후크부(213)가 삽입 배치된다.As described later, the second space portion 140 is inserted into the
상기 각도조절부재(200)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100)의 일단에 회전되게 결합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각도조절부재(200)는 회전부재(210)와 가이드부재(220)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상기 회전부재(210)는 전후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각각 좌우 이격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100)에 하나씩 장착된다.The rotating
또한 상기 회전부재(210)의 일단에는 상기 제1공간부(130)에 삽입 배치되는 힌지부(211)가 형성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rotating
상기 힌지부(211)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하방향으로 정지홈(212)이 개방 형성된다.The
상기 정지홈(212)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121)과 연통되고, 깊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1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이러한 상기 정지홈(212)은 상기 힌지부(21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장착홈(121)과 연통된다.The
또한 상기 힌지부(211)는 제1회전축(230)에 의해 상기 측면부(110)에 회전되게 결합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회전축(230)은 좌우 방향으로 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110)의 일단과 상기 힌지부(211)를 관통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200)를 상기 고정부재(100)에 회전되게 결합한다.The
상기 회전부재(210)의 타단에는 제1후크부(213)가 형성된다.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상기 제1후크부(213)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타단 하부에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회전부재(210)의 회전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140)에 삽입 배치된다.The
이러한 상기 제1후크부(2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400)의 제2후크부(420)와 후크 결합된다.The
상기 가이드부재(220)는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1개로 이루어져 2개의 상기 회전부재(210)가 각각 장착된다.The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220)의 좌우 양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된 안내부(221)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상기 안내부(221) 사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30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게 장착된다.The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220)에는 상기 슬라이더(300)의 이동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관통공(222)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관통공(222)은 상하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부(140)와 연통되며, 상기 회전부재(210)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된다.The through
이러한 상기 관통공(22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400)의 걸림돌기(410)가 삽입 배치된다.The through
한편 상기 슬라이더(30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휴대단말기이동체(52)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52)는 상기 휴대단말기본체(51)의 상부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LCD액정과 같은 영상표시부가 설치된다.The mobile terminal
상기 슬라이더(300)는 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부재(220)의 안내부(221)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부(221)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The
또한 상기 슬라이더(300)와 상기 가이드부재(220) 사이에는 스프링모듈(350)이 장착된다.In addition, a
상기 스프링모듈(350)은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3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부재(220)에 장착된다.The
이러한 상기 스프링모듈(350)은 상기 슬라이더(300)의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상기 슬라이더(300)가 상기 스프링모듈(350)의 최대 압축지점을 지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슬라이더(300)를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게 한다. The
또한 상기 슬라이더(300)의 하부에는 접촉부재(310)가 장착된다.In addition, a
상기 접촉부재(310)는 상기 슬라이더(300)의 하부에 각각 좌우 이격되게 장착되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이러한 상기 접촉부재(3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400)의 걸림돌기(410)와 접하여 상기 잠금부재(400)를 슬라이더(300)의 이동방향으로 회전시킨다. The
상기 잠금부재(400)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100)의 타단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을 저지한다.The locking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부재(400)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제2공간부(140)에 삽입 배치되어 제2회전축(450)에 의해 상기 측면부(110) 타단에 회전되게 결합된다.In more detail, the locking
상기 제2회전축(450)은 좌우 방향으로 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110)와 상기 잠금부재(400)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잠금부재(400)를 상기 고정부재(100)에 회전되게 결합한다.The second
또한 상기 잠금부재(400)의 상단에는 걸림돌기(41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locking
상기 걸림돌기(410)는 각각 좌우 이격 배치되며,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공(222)을 관통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locking
이러한 상기 걸림돌기(410)는 상기 휴대단말기본체(51)의 상부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52)가 상기 슬라이더(300)와 함께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슬라이더(300)와 접하여 상기 잠금부재(400)를 상기 슬라이더(300)의 이동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 저지를 해제한다. The locking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410)는 상기 관통공(222)을 관통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410)가 상기 슬라이더(300)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300)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52)의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100)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locking
또한 상기 잠금부재(400)에는 제1후크부(213) 방향으로 제2후크부(420)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a
상기 제2후크부(420)는 상기 잠금부재(400)의 회전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후크부(213)에 후크결합된다.The
이러한 상기 제2후크부(420)는 상기 슬라이더(300)에 의한 상기 잠금부재(400)의 회전시 상기 제1후크부(213)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 저지를 해제한다.The
이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400)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을 저지하며, 상기 슬라이더(300)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저지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300)의 슬라이딩시 소음 및 진동 발생을 방지하여 휴대단말기의 전체적인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또한 상기 제2후크부(420)는 상기 제1후크부(213)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각도조절부재(20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 저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탄성부재(460)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회전축(230)을 감싸게 배치된다.The first
이러한 상기 제1탄성부재(460)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1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잠금부재(400)와 접하여 상기 잠금부재(400)에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한다.One end of the first
이와 같이 상기 제1탄성부재(460)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부재(400)에 회전력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제2후크부(420)가 상기 제1후크부(213)에 밀착되어 상기 제1후크부(213)와 상기 제2후크부(4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한편 상기 스토퍼(510)는 원형의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12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된다.The
그리고 상기 스토퍼(510)의 지름은 상기 정지홈(212)의 깊이보다 크다.And the diameter of the
또한 상기 스토퍼(510)는 상기 제2탄성부재(520)에 의해 상기 정지홈(212) 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2탄성부재(52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착홈(121)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510)를 상기 정지홈(212)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The second
이러한 상기 스토퍼(510)는 일단부가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정지홈(21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One end of the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에 상기 장착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510)와 상기 제2탄성부재(520)가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에 장착되고, 상기 정지홈(212)이 상기 고정부재(100)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Of course, in some cases, the mounting
상기 제3탄성부재(240)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회전축(230)을 감싸게 배치된다.The third
이러한 상기 제3탄성부재(240)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1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에 장착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200)가 상기 고정부재(100)의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에 회전력을 부가한다.One end of the third
이와 같이 상기 제3탄성부재(240)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에 상기 고정부재(100)의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회전력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 저지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각도조절부재(200)가 자동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슬라이딩 및 틸팅 동작을 논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틸트 업 모듈의 작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As such, the third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It describe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tilt-up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up of the above configuration.
도 7은 휴대단말기이동체(52)가 휴대단말기본체(51)의 상부를 덮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8은 휴대단말기이동체(52)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휴대단말기본체(51)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9 및 도 11은 휴대단말기이동체(52)가 휴대단말기본체(51)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다.FIG. 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52)가 상기 휴대단말기본체(5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본체(51)의 상부가 밀폐된 상태일 때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틸트 업 모듈은 도 7(b)와 같은 상태로 배치된다.As shown in FIG. 7A, when the portable terminal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0)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와 상호 수평 하게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300)는 상기 가이드부재(22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As shown in FIG. 7B, the fixing
그리고 상기 제2후크부(420)는 상기 제1후크부(213)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부재(400)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46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고 있어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을 저지한다.The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에는 상기 제3탄성부재(24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고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force is applied to the
또한 상기 스토퍼(510)는 상기 제2탄성부재(520)를 상기 힌지부(211)의 반대 방향으로 압축하며 상기 장착홈(121)에 삽입된다.In addition,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300)를 수동으로 상기 가이드부재(220)의 후방으로 밀면 상기 슬라이더(300)는 상기 안내부(221)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이드부재(22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슬라이더(300)는 상기 가이드부재(220)에 대해 일정거리 이상 수동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스프링모듈(350)에 의해 나머지 거리를 반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0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접촉부재(310)는 상기 걸림돌기(410)와 접하여 상기 잠금부재(4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후크부(420)는 상기 제1후크부(213)에서 이탈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저지를 해제한다.In addition, as the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 저지가 해제되면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힌지부(211)는 상기 제3탄성부재(240)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제1회전축(23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As shown in FIG. 9B, the
그리고 상기 힌지부(211)가 회전하면서 상기 정지홈(212)이 상기 장착홈(121)과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스토퍼(510)는 상기 제2탄성부재(5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정지홈(212)에 삽입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When the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52)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본체(51) 상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틸트된다.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잠금부재(400)는 상기 제1탄성부재(460)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이러한 상기 슬라이더(300)의 슬라이딩에서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까지의 과정은 논스톱으로 이루어진다.The process from the sliding of the
이 후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52)의 경사 각도를 좀더 가파르게 기울이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재(200)는 반시계방향으로 좀더 회전하고, 상기 스토퍼(510)가 상기 정지홈(212)에 이웃한 다른 상기 정지홈(212)에 삽입되면 회전을 멈춘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0 (a),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510)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정지홈(212)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이동체(52)가 휴대단말기본체(51)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여 정지되게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이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400)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을 저지하며, 상기 슬라이더(300)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저지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300)가 슬라이딩할 때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00)가 상기 잠금부재(400)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소음 및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슬라이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00)의 회전이 연동되게 할 수 있어 틸트 업 모듈의 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tilt-up modul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allowabl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51 : 휴대단말기본체, 52 : 휴대단말기이동체, 100 : 고정부재, 110 : 측면부, 120 : 중심부, 121 : 장착홈, 130 : 제1공간부, 140 : 제2공간부, 200 : 각도조절부재, 210 : 회전부재, 211 : 힌지부, 212 : 정지홈, 213 : 제1후크부, 220 : 가이드부재, 221 : 안내부, 222 : 관통공, 230 : 제1회전축, 340 : 제3탄성부재, 300 : 슬라이더, 310 : 접촉부재, 350 : 스프링모듈, 400 : 잠금부재, 410 : 걸림돌기, 420 : 제2후크부, 450 : 제2회전축, 460 : 제1탄성부재, 51: mobile terminal basic body, 52: mobile terminal mobile body, 100: fixing member, 110: side portion, 120: central portion, 121: mounting groove, 130: first space portion, 140: second space portion, 200: angle adjustment member, 210: rotating member, 211: hinge portion, 212: stop groove, 213: first hook portion, 220: guide member, 221: guide portion, 222: through hole, 230: first rotating shaft, 340: third elastic member, 300: slider, 310: contact member, 350: spring module, 400: locking member, 410: locking projection, 420: second hook portion, 450: second rotating shaft, 460: first elastic member,
Claims (5)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 회전되게 결합된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휴대단말기이동체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된 슬라이더와;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도조절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에는 상부에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본체의 상부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휴대단말기이동체가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와 접하여 상기 잠금부재를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 저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A fixing member mounted to the mobile terminal basic body;
An angle adjusting member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A slider coupled to a mobile terminal moving body which opens and closes an upp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ic body, and is mounted to slid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A locking member disposed below the angle adjust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to prevent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angle adjusting member is formed with a long hole-shaped through hol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lider,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through the through hole in the upper por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mobile body slides in on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lider to open the upp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ic body, the locking projection contacts the slider and rotates the locking member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while rotating the angle adjusting member. Tilt up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release the jersey.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하부에는 제1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에는 상기 제1후크부에 후크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2후크부가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더에 의한 상기 잠금부재의 회전시 상기 제2후크부는 상기 제1후크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 저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hook portion is formed below the angle adjusting member.
The locking member is hooked to the first hook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hook portion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angle adjustment member,
And the second hook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first hook portion when the locking member is rotated by the slider to release the rotation stop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부재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제1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first elastic member mounted to the fixing member and configured to add rotational force to the locking member in a direction of preventing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It is made, including more
The first elastic member is a tilt-up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orsion spring.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 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일단 중 어느 한 곳에는 정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 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일단 중 나머지 한 곳에는 상기 정지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정지홈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정지홈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top groov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or one end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or one end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topper for sli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top groove and a second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topper in the direction of the stop groove, respectively.
One end of th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by the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is tilted 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제3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third elastic member mounted to the fixing member to add rotational force to the angle adjusting member such that the angle adjusting member is inclined forward of the fixing member; It is made, including more
The third elastic member is a tilt-up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orsion spring.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59885A KR101142364B1 (en) | 2010-06-24 | 2010-06-24 | Tilt up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
| PCT/KR2010/005347 WO2011162440A1 (en) | 2010-06-24 | 2010-08-13 | Tilt-up module for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59885A KR101142364B1 (en) | 2010-06-24 | 2010-06-24 | Tilt up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139828A KR20110139828A (en) | 2011-12-30 |
| KR101142364B1 true KR101142364B1 (en) | 2012-05-18 |
Family
ID=4537159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598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2364B1 (en) | 2010-06-24 | 2010-06-24 | Tilt up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42364B1 (en) |
| WO (1) | WO2011162440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93480B1 (en) * | 2015-12-21 | 2017-01-06 |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 Position control structure for headrest |
| CN115279030A (en) * | 2022-08-04 | 2022-11-01 | 江苏富联通讯技术有限公司 | Elastic adjustment type 5G module for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 KR102502684B1 (en) | 2022-09-20 | 2023-02-23 | 주식회사 새솔 | Organic sludge treatment method with reduced odor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33241B1 (en) | 2006-04-28 | 2008-05-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Sliding-tilt unit and mobile appliance adopting the same |
| KR100971761B1 (en) | 2008-07-18 | 2010-07-21 | 에이치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 Tilt hinge for portable terminal and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using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4987670B2 (en) * | 2007-11-08 | 2012-07-25 |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 Electronic equipment and holder |
| KR101495173B1 (en) * | 2008-08-06 | 2015-03-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100021338A (en) * | 2008-08-14 | 2010-02-24 | 주식회사 세이텍 | Tilt type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
-
2010
- 2010-06-24 KR KR1020100059885A patent/KR10114236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8-13 WO PCT/KR2010/005347 patent/WO201116244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33241B1 (en) | 2006-04-28 | 2008-05-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Sliding-tilt unit and mobile appliance adopting the same |
| KR100971761B1 (en) | 2008-07-18 | 2010-07-21 | 에이치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 Tilt hinge for portable terminal and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using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1162440A1 (en) | 2011-12-29 |
| KR20110139828A (en) | 2011-12-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710068B1 (en) | Personal handheld terminal using slide hinge and slide hinge | |
| EP1892932B1 (en) | Mobile phone having dual connection member and hinge device thereof | |
| JP4020910B2 (en) | Module for slide-type mobile phone | |
| KR100566276B1 (en) | Handheld terminal and its swing hinge module | |
| US7865151B2 (en) |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 KR100781996B1 (en) | A cellular phone of slide-down opening and closing type | |
| KR101142364B1 (en) | Tilt up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 |
| US7440782B2 (en) | Hinge device for a display for rotation type mobile phone | |
| KR100713421B1 (en)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
| KR100716446B1 (en) | Slide switchgear of slide typ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 KR20100021394A (en) | Tilt type terminal holder | |
| KR101019680B1 (en) | Slide module of a built-in keyboard | |
| KR100842562B1 (en) | Sliding devic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
| KR100734631B1 (en) | Hinge module of sw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781349B1 (en) | Swing control device of slide & swing type mobile phone | |
| KR101117585B1 (en) | Tilt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 |
| KR20100009708U (en) | Slide hinge module | |
| KR101075647B1 (en) | Display Panel Slide Rotator of Mobile Phone | |
| KR101196470B1 (en) | Slide type portable terminals | |
| KR20110131779A (en) | Auto Tilt Stand for Mobile Devices | |
| KR20120028679A (en) | Hinge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s | |
| KR100656893B1 (en) | Sliding Assembly for Mobile Phone | |
| KR200374463Y1 (en) | Stopper for sliding assembly of portable phone | |
| KR100714512B1 (en) |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opened in landscape or portrait | |
| KR101136503B1 (en) | Swing type portable terminal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4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427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