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822B1 - Fabricating method for wafer - Google Patents
Fabricating method for waf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2822B1 KR101152822B1 KR1020090070493A KR20090070493A KR101152822B1 KR 101152822 B1 KR101152822 B1 KR 101152822B1 KR 1020090070493 A KR1020090070493 A KR 1020090070493A KR 20090070493 A KR20090070493 A KR 20090070493A KR 101152822 B1 KR101152822 B1 KR 1011528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s
- forming
- layer
- wafer
- carrier waf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8—High density interconnect [HDI]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8—High density interconnect [HDI]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3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3214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7—Layer and HDI 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의 형성방법은 캐리어 웨이퍼 상에 관통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전극들을 포함한 캐리어 웨이퍼 상에 상기 관통전극들 사이의 상기 캐리어 웨이퍼 표면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을 포함한 관통전극들 사이에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전극들을 포함한 실리콘층 상에 반도체 회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전극들, 실리콘층 및 반도체 회로층으로부터 캐리어 웨이퍼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관통전극들 및 실리콘층에 부착된 상기 접착층을 제거하여 상기 관통전극들의 일부를 돌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thod of forming a waf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through electrodes on a carrier wafer;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the carrier wafer surface between the through electrodes on a carrier wafer including the through electrodes; Forming a silicon layer between the through electrodes including the adhesive layer; Forming a semiconductor circuit layer on the silicon layer including the through electrodes; Separating a carrier wafer from the through electrodes, the silicon layer and the semiconductor circuit layer; And protruding a portion of the through electrodes by removing the adhesive layer attached to the through electrodes and the silicon lay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웨이퍼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정 단순화를 통해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웨이퍼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a waf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forming a wafer capable of improving the production yield through a simplified process.
반도체 산업에서 집적회로에 대한 패키징 기술은 소형화에 대한 요구 및 실장 신뢰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예컨대, 소형화에 대한 요구는 칩 크기에 근접한 패키지에 대한 기술 개발을 가속화시키고 있으며, 실장 신뢰성에 대한 요구는 실장 작업의 효율성 및 실장 후의 기계적?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키징 기술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packaging technology for integrated circuits has continually evolved to meet the demand for miniaturization and mounting reliability. For example, the demand for miniaturization is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packages that are close to chip size, and the demand for mounting reliabilit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ackaging technologies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mounting operations and mechanical and electrical reliability after mounting. I'm making it.
스택 패키지는 제조 기술에 따라 개별 반도체 칩을 스택한 후, 한번에 스택된 반도체 칩들을 패키징하는 방법과, 패키징된 개별 반도체 칩들을 스택하여 형성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A stack package is classified into a method of packaging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after stacking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according to a manufacturing technique, and stacking and forming packaged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이러한 스택 패키지는 금속 와이어를 이용한 본딩방법과 관통전극을 이용한 본딩방법이 있다. 최근에는 금속 와이어를 이용한 스택 패키지에서의 문제를 극복함과 아울러, 스택 패키지의 전기적인 특성 열화 방지 및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관통전극(through silicon via : TSV)을 이용한 스택 패키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Such a stack package includes a bonding method using a metal wire and a bonding method using a through electrode. Recently, research on stack packages using through silicon vias (TSV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stack packages using metal wires and to prevent and reduc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ack packages. hav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관통전극을 이용한 스택형의 반도체 패키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tack type semiconductor package using a through electr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에 따른 관통전극을 이용한 스택형의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ck-type semiconductor package using a through electrod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전극을 이용한 스택형의 반도체 패키지(105)는 기판(101) 상에 관통전극(130) 및 관통전극(130)과 본딩패드(112) 사이를 연결하는 재배선(140)이 형성된다. 이때, 반도체 칩(150)들은 관통전극(130)들과 상호 대응하도록 스택되어 구성된다.As shown, the
미설명된 도면부호 145는 절연막, 108a, 108b는 금속 씨드막, 114는 매립제, 그리고 170은 솔더볼을 각각 나타낸다.
관통전극을 이용한 스택형의 반도체 패키지(105)는 전기적인 연결이 관통전극(130)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전기적인 열화가 방지되고, 반도체 칩(150)의 동작 속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소형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stack-
그러나, 종래의 관통전극을 이용한 스택 패키지의 경우, 반도체 칩 내의 본딩패드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관통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관통홀을 각각 형성하고 재배선으로 연결해야 함에 따라 공정이 복잡해지는 데 따른 제조 비용의 상승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stack package using a conventional through electrode, a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process is required as the through holes for forming through electrodes are formed in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bonding pads in the semiconductor chip and connected by redistribution. Is on the rise.
특히, 웨이퍼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시, 웨이퍼 내의 반도체 회로에 영향을 미쳐 생산 수율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의 형성을 위한 에칭 공정시, 웨이퍼의 중앙과 가장자리 간의 에칭율의 차이로 관통홀들 간의 깊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문제로, 후속 공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In particular, during the step of forming the through-holes in the wafer, it may affect the semiconductor circuit in the wafer to inhibit the production yield. In addition, in the et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through-hole, the depth between the through-holes is formed different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etching rate between the center and the edge of the wafer, it may affect the subsequent process.
나아가, 관통홀내에 매립되는 관통전극의 형성시, 보이드의 발생 없이 채워주는 공정은 장시간을 요하는 고 난이도의 기술로 생산 수율을 저해하는 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Furthermore, in the formation of the through-electrode embedded in the through-hole, the filling process without the generation of voids is a situation that acts as a major factor that inhibits the production yield with a high difficulty technology that takes a long time.
본 발명은 관통전극을 포함하는 웨이퍼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을 통해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웨이퍼의 형성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forming a wafer which can improve the production yield 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afer including the through electr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형성방법은 캐리어 웨이퍼 상에 관통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전극들을 포함한 캐리어 웨이퍼 상에 상기 관통전극들 사이의 상기 캐리어 웨이퍼 표면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을 포함한 관통전극들 사이에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전극들을 포함한 실리콘층 상에 반도체 회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전극들, 실리콘층 및 반도체 회로층으로부터 캐리어 웨이퍼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관통전극들 및 실리콘층에 부착된 상기 접착층을 제거하여 상기 관통전극들의 일부를 돌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thod of forming a waf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through electrodes on a carrier wafer;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the carrier wafer surface between the through electrodes on a carrier wafer including the through electrodes; Forming a silicon layer between the through electrodes including the adhesive layer; Forming a semiconductor circuit layer on the silicon layer including the through electrodes; Separating a carrier wafer from the through electrodes, the silicon layer and the semiconductor circuit layer; And protruding a portion of the through electrodes by removing the adhesive layer attached to the through electrodes and the silicon layer.
상기 관통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 웨이퍼 상에 씨드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씨드 금속층을 포함한 캐리어 웨이퍼 상에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패턴 상에 금속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물질층의 표면을 에치백하여 일부 두께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고, 노출된 씨드 금속층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rming of the through electrodes may include forming a seed metal layer on the carrier wafer; Forming a mask pattern on a carrier wafer including the seed metal layer; Forming a metal material layer on the mask pattern; Etching back the surface of the metal material layer to remove some thickness; And removing the mask pattern and etching the exposed seed metal layer.
상기 관통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 웨이퍼 상에 스텐실 마스크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스텐실 마스크 내에 금속물질을 매립하는 단계; 상기 캐 리어 웨이퍼로부터 상기 스텐실 마스크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물질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rming of the through electrodes may include mounting a stencil mask on the carrier wafer; Embedding a metal material in the stencil mask; Separating the stencil mask from the carrier wafer; And curing the metal material.
상기 관통전극들은 금속핀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rough electrodes are formed of metal pins.
상기 캐리어 웨이퍼는 실리콘 또는 글래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rrier wafer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silicon or glass.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관통전극들의 내측벽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etween the forming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step of forming the silicon lay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n insulating layer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electrodes.
상기 절연층은 폴리이미드 또는 산화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ulat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polyimide or silicon ox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형성방법은 캐리어 웨이퍼 상에 관통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웨이퍼 상에 상기 관통전극들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비아홀들과, 상기 비아홀들의 사이 저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한 웨이퍼를 합착시키는 단계; 상기 비아홀들에 삽입된 관통전극들과 접착층을 포함하는 웨이퍼로부터 상기 캐리어 웨이퍼를 떼어내는 단계; 및 상기 관통전극들의 사이 저면에 부착된 접착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forming a wafer includes forming through electrodes on a carrier wafer; Bonding a wafer including via holes formed on the carrier wafer to correspond to the through electrodes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via holes; Removing the carrier wafer from a wafer including through electrodes inserted into the via holes and an adhesive layer; And removing the adhesive layer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through electrodes.
본 발명은 웨이퍼에 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공정이나, 웨이퍼의 후면을 제거하는 백그라인딩 공정의 생략을 통한 공정 단순화로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oduction yield by simplifying the process by eliminating the et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through-hole in the wafer, or the backgrinding process to remove the back surface of the wafer.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형성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forming a waf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형성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2A to 2F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waf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of processing.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 웨이퍼(200) 상에 씨드 금속층(210)을 형성한다. 캐리어 웨이퍼(200)는 실리콘(silicon)이나 글래스(glass)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씨드 금속층(210)을 포함한 캐리어 웨이퍼(200) 상에 마스크 패턴(222)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2A, the
다음으로, 상기 마스크 패턴(222)을 포함한 캐리어 웨이퍼(200) 상에 금속 물질층(220)을 형성한다. 상기 씨드 금속층(210) 및 금속 물질층(220)은 구리(Cu), 알루미늄(Al), 니켈(Ni), 주석(Sn), 금(Au) 및 백금(Pt)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중 구리(Cu)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a
씨드 금속층(210) 및 금속 물질층(220)은 전해 도금이나 무전해 도금을 수행하는 것을 통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다음으로, 금속 물질층(220)의 노출된 표면을 에치백 공정으로 제거한다. 이때, 금속 물질층(220)은 마스크 패턴(222)과 대응되는 두께로 에치백한다. Next, the exposed surface of the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출된 마스크 패턴(도 2a의 222)을 스트립 공정으로 제거하고 금속 물질층(도 2a의 220) 외부로 노출된 씨드 금속층(도 2a의 210)을 식각하여, 캐리어 웨이퍼(200) 상에 관통전극(230)들을 각각 형성 한다.Next, as shown in FIG. 2B, the exposed mask pattern (222 of FIG. 2A) is removed by a strip process and the seed metal layer (210 of FIG. 2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tal material layer (220 of FIG. 2A) is etched. Thus, through
전술한 공정으로,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관통전극(230)들 하면에는 이들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씨드 금속패턴(도시안함)이 각각 형성된다.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seed metal patterns (not shown)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hereto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이때, 금속핀(metal pin)을 캐리어 웨이퍼(200)에 직접 부착하여 관통전극(230)들을 형성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금속핀을 이용할 경우, 씨드 금속층 및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금속핀은 금속 물질층과 동일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a method of forming through
다음으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전극(230)들이 형성된 캐리어 웨이퍼(200) 상에 상기 관통전극(230)들 사이의 캐리어 웨이퍼(200) 표면 상에 접착층(242)을 형성한다. 접착층(242)은, 종래의 백그라인딩 공정으로 관통전극(230)들을 노출하는 두께와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as shown in FIG. 2C, an
즉, 접착층(242)의 두께는 최종적으로 노출되는 관통전극(230)들의 두께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바, 이를 감안하여 접착층(242)의 두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since the thickness of the
다음으로, 관통전극(230)들의 내측벽 상에 절연층(245)을 형성한다. 절연층(245)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산화실리콘(SiO₂)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245)은 관통전극(230)들과 후속 공정으로 형성될 실리콘층과의 전기적인 절연의 기능을 한다.Next, an
종래에는 관통전극(230)들을 형성하기에 앞서 절연층(245)을 형성해 왔으나, 본 발명에서는 관통전극(230)들의 형성후 절연층(245)이 형성되므로 절연층(245)의 두께 조절이 용이하고 공정이 간소화되며, 나아가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Conventionally, the
다음으로,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전극(230)들의 내측벽에 실리콘을 빈틈없이 도포하고 경화하여 실리콘층(232)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2D, the
상기 실리콘층(232)은 캐리어 웨이퍼(200)와 맞닿는 관통전극(230)들의 하면에 대향하는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실리콘층(232)은 상면에 위치하는 관통전극(230)들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다음으로, 관통전극(230)들을 포함하는 실리콘층(232)의 상면에 반도체 회로층(234)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 회로층(234)은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저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반도체 회로층은 각 관통전극(230)과 전기적으로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일단에 본딩패드(도시안함)들을 가질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miconductor circuit layer may be formed to electrically correspond to each of the through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전극(230)들, 실리콘층(232) 및 반도체 회로층(234)으로부터 캐리어 웨이퍼(도 2d의 200)를 분리한다. 다음으로,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전극(230)들 및 실리콘층(232)에 부착된 접착층(도 2e의 242)을 떼어내어 관통전극(230)들의 일부를 돌출시킨다.As shown in FIG. 2E, the carrier wafer (200 of FIG. 2D) is separated from the through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를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f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관통전극들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웨이퍼의 후면을 백그라인딩 공정으로 제거하고, 관통전극들 간의 이격된 사이를 식각공정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때, 관통전극들, 실리콘층 및 반도체 회로층으로부터 분리된 캐리어 웨이퍼는 재사용이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surface of the wafer is removed by a backgrinding process in order to expose the through electrodes to the outside,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not requiring a process of removing the spaced apart between the through electrodes by an etching process. In this case, the carrier wafer separated from the through electrodes, the silicon layer and the semiconductor circuit layer may be reused.
(제2 실시예)(2nd Examp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형성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캐리어 웨이퍼 상에 관통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는바, 이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forming a waf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a method of forming the through electrode on the carrier wafer.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형성방법의 일부분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3A to 3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art of a method of forming a waf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 웨이퍼(300) 상에 개구패턴(302)이 구비된 스텐실 마스크(304)를 장착한다.As shown in FIG. 3A, a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텐실 마스크(304)의 상면에 금속물질(330a)을 스크린 프린팅하여 개구패턴(302)에 매립한다.Next, as shown in FIG. 3B, the
금속물질(330a)은 구리(Cu), 알루미늄(Al), 니켈(Ni), 주석(Sn), 금(Au) 및 백금(Pt) 페이스트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중 구리(Cu) 페이스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다음으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 웨이퍼(300)로부터 스텐실 마스크(도 3b의 304)를 분리한 후 금속물질(도 3b의 330a)을 경화시킨다. 경화 공정이 종료되면, 상기 캐리어 웨이퍼(300) 상에 관통전극(330)들이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3C, the stencil mask 304 (FIG. 3B) is separated from the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텐실 마스크의 설계시 개구패턴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을 통해 관통전극(330)들과 동시에 재배선(34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재배선(340)의 설계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이후 진행되는 공정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process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형성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forming a waf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형성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5A through 5C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wafer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of process order.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 웨이퍼(400) 상에 관통전극(430)들을 형성한다. 관통전극(430)들은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through
다음으로, 캐리어 웨이퍼(400) 상에 관통전극(430)들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비아홀(460)들과, 상기 비아홀(460)들의 사이 저면에 형성된 접착층(442)을 포함한 웨이퍼(401)를 위치 정렬한다.Next, the
이때, 웨이퍼(401)는 제조 공정이 완료되고, 관통전극(430)들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비아홀(460)과 더불어, 상기 비아홀(460)의 내측벽에 형성된 절연층(4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착층(442)은 캐리어 웨이퍼(400) 상의 관통전극(430)들 사이의 상기 캐리어 웨이퍼(400)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전극(430)들을 포함한 캐리어 웨이퍼(400)와 비아홀(도 5a의 460)들 및 접착층(442)을 포함한 웨이퍼(401)를 합착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5B, the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아홀들에 삽입된 관통전극(430)들과 접착층(도 5b의 442)을 포함한 웨이퍼(400)로부터 캐리어 웨이퍼(도 5b의 400)를 떼어낸다. 이때, 관통전극(430)들은 비아홀들에 각각 삽입되어 웨이퍼(401)로 전사된다.As shown in FIG. 5C, the carrier wafer (400 of FIG. 5B) is removed from the
다음으로, 관통전극(430)들의 사이 저면에 부착된 접착층을 제거하여 관통전극(430)들의 일부를 돌출시킨다.Next, the adhesive layer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through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를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f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제조 공정이 완료된 웨이퍼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실시예에 비해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fer hav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compared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이상, 여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Hereinb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s not limited to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도 1은 종래에 따른 관통 전극을 이용한 스택형의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ck-type semiconductor package using a through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형성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2A to 2F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 waf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der of processes.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형성방법의 일부분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3A to 3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art of a method of forming a waf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공정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형성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5A to 5C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waf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der of processes.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70493A KR101152822B1 (en) | 2009-07-31 | 2009-07-31 | Fabricating method for waf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70493A KR101152822B1 (en) | 2009-07-31 | 2009-07-31 | Fabricating method for waf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12676A KR20110012676A (en) | 2011-02-09 |
| KR101152822B1 true KR101152822B1 (en) | 2012-06-12 |
Family
ID=4377257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704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2822B1 (en) | 2009-07-31 | 2009-07-31 | Fabricating method for waf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5282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TWI573203B (en) * | 2012-02-16 | 2017-03-01 | 索泰克公司 | Methods for fabrication of semiconductor structures including interposers with conductive vias, and related structures and devices |
| JPWO2022202553A1 (en) * | 2021-03-22 | 2022-09-29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359350A (en) | 2001-05-31 | 2002-12-13 | Denso Corp | Method of manufacturing stacked circuit module |
| JP2006108236A (en) | 2004-10-01 | 2006-04-20 | Shinko Electric Ind Co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ate with through electrode |
| JP2008016729A (en) | 2006-07-07 | 2008-01-24 | Kyushu Institute Of Technology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ouble-sided electrode structure |
-
2009
- 2009-07-31 KR KR1020090070493A patent/KR10115282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359350A (en) | 2001-05-31 | 2002-12-13 | Denso Corp | Method of manufacturing stacked circuit module |
| JP2006108236A (en) | 2004-10-01 | 2006-04-20 | Shinko Electric Ind Co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ate with through electrode |
| JP2008016729A (en) | 2006-07-07 | 2008-01-24 | Kyushu Institute Of Technology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ouble-sided electrode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12676A (en) | 2011-02-0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6263573B2 (en) | Multilayer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JP5661225B2 (en) | Semiconductor device packaging method | |
| KR101478875B1 (en) | Package on package devices and methods of packaging semiconductor dies | |
| CN105637633B (en) | Embedded package with preformed vias | |
| KR101476894B1 (en) | Multiple die packaging interposer structure and method | |
| CN112054006A (en) |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KR102061342B1 (en) | Package of electronic device with strengthened bump interconn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JP2009506572A (en) | Microfeature assemblies including interconnect structures and methods for forming such interconnect structures | |
| TWI471991B (en) | Semiconductor packages | |
| TWI489612B (en) | Method of forming interconnects of three 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 | |
| CN107403785B (en) | Electronic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CN112908981A (en) |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JP2010245509A (en) | Semiconductor device | |
| TW202131472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0843705B1 (en) | Semiconductor chip package having metal bump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JP6643213B2 (en) | Lead fram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component device | |
| KR101095055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 KR101152822B1 (en) | Fabricating method for wafer | |
| US20210202419A1 (en) | Wlcsp package with different solder volumes | |
| CN104409369A (en) | Packaging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 |
| TW200933831A (en) | Integrated circuit package and the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 |
| KR20220022218A (en) |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 |
| KR101109053B1 (en) | Wafer formed with through via hole and lamination method | |
| CN108831860A (en) | Stacked chip packaging method and packaging structure | |
| TWI890392B (en) |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5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