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721B1 -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6721B1 KR101196721B1 KR1020090123462A KR20090123462A KR101196721B1 KR 101196721 B1 KR101196721 B1 KR 101196721B1 KR 1020090123462 A KR1020090123462 A KR 1020090123462A KR 20090123462 A KR20090123462 A KR 20090123462A KR 101196721 B1 KR101196721 B1 KR 1011967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head support
- axis
- head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헤드지지대가 지지되는 프레임 또는 기판이 탑재되는 스테이지를 기준으로 헤드지지대가 X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하여 제시한다.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accurately measuring whether the head support is aligned in parallel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age on which the frame or the substrate on which the head support is supported is mounted.
프레임, 스테이지, 헤드지지대 Frame, stage, head suppor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판상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te dispenser for applying paste onto a substrat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란 브라운관을 채용한 텔레비전이나 모니터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이다. 평판디스플레이로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flat panel display (FPD) is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is thinner and lighter than a television or a monitor employing a CRT. As flat panel displays,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Field Emission Display (F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etc. It is used.
이 중에서, 액정디스플레이는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된 액정 셀들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액정 셀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이다. 액정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우며 소비전력과 동작 전압이 낮은 장점 등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디스플레이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액정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mong them,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a display device in which a desired image is displayed by individually supplying data signals according to image information to liquid crystal cells arranged in a matrix to adjust light transmittance of the liquid crystal cells. Liquid crystal displays are widely used because of their thinness, light weight, low power consumption and low operating voltag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panel generally employed in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will be described.
먼저, 상부기판에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을 형성하고, 상부기판에 대응되는 하부기판에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및 화소전극을 형성한다. 이어서, 기판들에 각각 배향막을 도포한 후 이들 사이에 형성될 액정층내의 액정분자에 프리틸트 각(pre-tilt angle)과 배향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배향막을 러빙(rubbing)한다.First, a color filter and a common electrode are formed on an upper substrate, and a thin film transistor (TFT) and a pixel electrode are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bstrate. Subsequently, after the alignment films are applied to the substrates, the alignment films are rubbed to provide a pre-tilt angle and an orientation direction to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n the liquid crystal layer to be formed therebetween.
그리고, 기판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한편 액정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고 기판들 사이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에 페이스트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하여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한 다음, 기판들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액정패널을 제조하게 된다.Then, paste is applied to at least one substrate in a predetermined pattern to form a paste pattern so as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substrates and to prevent the liquid crystal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to seal the substrates. Through the process of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in the liquid crystal panel is manufactured.
이와 같은 액정패널의 제조에 있어서, 기판상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페이스트 디스펜서(paste dispenser)라는 장비가 이용되고 있다.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프레임상에 배치되며 기판이 탑재되는 스테이지와,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이 장착된 헤드유닛과, 헤드유닛을 지지하는 헤드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manufacture of such a liquid crystal panel, a device called a paste dispenser is used to form a paste pattern on a substrate. The paste dispenser includes a stage disposed on a frame, on which a substrate is mounted, a head unit equipped with a nozzle through which paste is discharged, and a head support for supporting the head unit.
이러한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각각의 노즐과 기판의 상대위치를 변화시켜가면서 기판 상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즉,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각각의 헤드유닛에 장착된 노즐을 Z축방향으로 상하 이동시켜 노즐의 토출구와 기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노즐 및/또는 기판을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노즐로부터 페이스트를 기판 상에 토출시켜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한다.Such a paste dispenser forms a paste pattern on a substrate while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 of each nozzle and the substrate. That is, the paste dispenser horizontally moves the nozzles and / or the substrate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while constantly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outlet and the substrate by moving the nozzles mounted on each head unit in the Z-axis direction. The paste is ejected from the nozzle onto the substrate to form a paste pattern.
한편, 프레임상에 헤드지지대를 설치하는 과정이나 페이스트 디스펜서를 장시간 동안 사용한 경우에는, 헤드지지대가 프레임상에서 정확하게 정렬되지 못하고 소정의 각도로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d support is installed on the frame or when the paste dispenser is used for a long time,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head support is not aligned correctly on the frame and is distorted at a predetermined angle.
이와 같이 헤드지지대가 프레임상에서 정확하게 정렬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헤드지지대의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헤드유닛의 이동위치가 부정확하게 되므로 기판상에 형성되는 페이스트 패턴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As such, when the head support is not aligned correctly on the frame, not only the movement of the head support is not smoothly performed, but also the position of the head unit is incorrectly moved,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e paste pattern formed on the substrat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 또는 스테이지에 대하여 헤드지지대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ste dispenser and a control method for accurately measuring whether the head support is aligned parallel to the X axis with respect to the frame or stage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상에 배치되며 기판이 탑재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서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지지대와, 상기 헤드지지대에 X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페이스트를 토출하는 노즐이 구비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스테이지에 X축방향을 따라 복수로 일렬로 배치되는 기준유닛과, 상기 헤드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기준유닛을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rame, a stage disposed on the frame and the substrate is mounted, a head support supported on the frame and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stage; A paste dispenser comprising a head unit installed on the head support to be movable in the X axis direction and having a nozzle for discharging paste, the paste dispenser being disposed in a plurality of lines in the frame or the stage along the X axis dir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ference unit and a sensing unit provided in the head unit for detecting the reference unit.
여기에서, 상기 기준유닛은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and the detec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은, (a) 상기 헤드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감지유닛을 상기 복수의 기준유닛 중 하나의 기준유닛을 감지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b) 상기 헤드유닛을 상기 헤드지지대를 따라 이동시키면 서, 상기 감지유닛이 상기 헤드유닛의 이동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준유닛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moving the head unit to move the sensing unit to a position for det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units, and (b) the head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ep of measuring whether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reference unit dispos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ead unit while moving along the head support.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감지유닛이 상기 헤드유닛의 이동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준유닛을 감지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헤드지지대가 연장되는 연장축이 상기 X축에 평행하도록 상기 헤드지지대의 위치를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b), when the sensing unit does not detect the reference unit dispos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ead unit, the extension shaft extending the head support is X And calibrating the position of the head support to be parallel to the ax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상기 기준유닛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스테이지에 표시되는 기준마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스테이지를 향하여 설치되는 촬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ference mark displayed on the frame or the stage, the detection unit includes an imaging device installed toward the frame or the stage Can be configured.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은, (a) 상기 헤드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장치의 촬상중심이 상기 복수의 기준마크 중 제1기준마크의 중심과 일치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b) 상기 헤드유닛을 상기 헤드지지대를 따라 이동시켜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복수의 기준마크 중 미리 설정된 제2기준마크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제2기준마크의 위치를 촬상하는 단계와, (c) 상기 촬상장치의 촬상중심과 상기 제2기준마크의 중심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the head unit to move the imaging device to a position where the imaging center of the imaging device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first reference mark amo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marks. And (b) moving the head unit along the head support to move the image pickup apparatus to a position of a second preset reference mark amo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marks, and imag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preset reference mark. And (c) measuring whether the imaging center of the imaging apparatus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ference mark coincide with each other.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촬상장치의 촬상중심과 상기 제2기준마크의 중심이 일치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헤드지지대가 연장되는 연장축이 상기 X축에 평행하도록 상기 헤드지지대의 위치를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c), when the center of the image pickup center and the second reference mark of the imaging device does not coincide, the X axis is the extension axis extending the head support And calibrating the position of the head support to be parallel to.
한편, 상기 헤드지지대의 위치를 교정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장치의 촬상중심과 상기 제2기준마크의 중심 사이의 Y축방향 간격을 측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기준마크로부터 상기 제2기준마크로의 상기 촬상장치의 이동거리와 상기 제1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촬상장치의 촬상중심과 상기 제2기준마크의 중심 사이의 Y축방향 간격으로부터 상기 헤드지지대의 연장축과 상기 X축이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산출한 각도를 근거로 상기 헤드지지대의 연장축이 상기 X축에 평행하도록 상기 헤드지지대의 위치를 교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calibrating the position of the head support, the first step of measuring the distance in the Y-axis direction between the imaging center of the imaging device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ference mark, and the second reference from the first reference mark The X axis and the extension axis of the head support are formed from a distance in the Y axis direction between the moving distance of the imaging device to the reference mark and the imaging center of the imaging device measured in the first step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ference mark. A second step of calculating an angle and a third step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head support such that the extension axis of the head support is parallel to the X axis based on the angle calculated in the second step. have.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상에 배치되며 기판이 탑재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서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지지대와, 상기 헤드지지대에 X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페이스트를 토출하는 노즐이 구비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에 구비되는 기준유닛과,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스테이지에 X축방향을 따라 복수로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기준유닛을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a stage disposed on the frame, on which the substrate is mounted, a head support supported on the frame and extending in the X axis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stage, and an X axis on the head support. A paste dispenser comprising a head unit provid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and having a nozzle for discharging paste, the paste dispenser comprising: a reference unit provided in the head unit and a plurality of lines in the frame or the stage along the X-axis dir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nsing unit disposed to detect the reference unit.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은, 헤드지지대가 지지되는 프레임 또는 기판이 탑재되는 스테이지에 대하여 헤드지지대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헤드지지대를 X축에 평행하게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기판상에 원하는 패턴으로 페이스트를 정확하게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aste dispenser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detect whether the head support is aligned parallel to the X-axis with respect to the frame on which the head support is supported or the stage on which the substrate is mounted. Since it can be aligned parallel to the X-ax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ccurately apply the paste in a desired pattern on the substr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은, 헤드지지대가 지지되는 프레임 또는 기판이 탑재되는 스테이지를 기준으로 헤드지지대가 X축방향으로 정렬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기판이 스테이지상에 반입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헤드지지대가 X축방향으로 정렬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aste dispenser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whether the head support is aligned in the X-axis direction based on the frame on which the head support is supported or the stage on which the substrate is mounted. Even if no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easure whether the head support is aligned in the X-axis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aste dispenser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기판상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상에 설치되고 기판(S)이 탑재되는 스테이지(20)와, 스테이지의 양측에 설치되고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대이동가이드(30)와, 한 쌍의 지지대이동가이드(30)에 양단이 지지되어 스테이지(20)의 상부에 설치되고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지지대(40)와, 헤드지지대(40)에 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53) 및 레이저변위센서(54)가 장착되는 헤드유닛(50)과, 페이스트의 도포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2, the paste dispenser for forming a paste pattern on a board | substrate is demonstrated.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프레임(10)상에는, 스테이지(20)를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이동장치(21) 와 스테이지(20)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이동장치(22)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10)상에는 Y축이동장치(22)의 Y축가이드(221)가 설치되며, Y축가이드(221)의 상부에는 X축이동장치(21)의 X축가이드(211)가 설치되고, X축가이드(211)의 상부에는 스테이지(20)가 탑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테이지(20)는 X축가이드(211)에 안내되어 X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X축가이드(211)가 Y축가이드(221)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것에 의하여 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Y축가이드(221)가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고 X축가이드(211)가 Y축가이드(221)의 상부에 탑재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프레임(10)의 상부에 X축가이드(211)가 설치되고 X축가이드(211)의 상부에 Y축가이드(221)가 탑재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물론, X축이동장치(21) 및 X축가이드(211)와, Y축이동장치(22) 및 Y축가이드(221) 중 어느 한 쪽만이 적용되어, 스테이지를 X축방향 및 Y축방향 중 어느 한 쪽 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On the
헤드지지대(40)의 양단에는 지지대이동가이드(30)와 연결되는 지지대이동장치(41)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이동가이드(30)와 지지대이동장치(41)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헤드지지대(40)가 지지대이동가이드(30)의 길이방향, 즉, 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유닛(50)은 헤드지지대(40)의 Y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헤드지지대(40)에는 X축방향으로 배치되는 헤드이동가이드(42)가 설치될 수 있고, 헤드유닛(50)에는 헤드지지대(40)의 헤드이동가이드(42)와 연결되는 헤드이 동장치(51)가 설치될 수 있다. 헤드이동가이드(42)와 헤드이동장치(51)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헤드유닛(50)이 헤드지지대(40)의 길이방향, 즉, X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헤드유닛(50)은 X축 및 Y축으로 규정되는 XY장비좌표계에 따라 X축방향 및/또는 Y축방향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As such,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유닛(50)은, 페이스트가 충진되는 시린지(52)와, 시린지(52)와 연통되며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53)과, 노즐(53)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노즐(53)과 기판(S)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변위센서(54)와, 노즐(53) 및 레이저변위센서(54)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구동부(55)와, 노즐(53) 및 레이저변위센서(54)를 Z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구동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레이저변위센서(54)는 레이저를 발광하는 발광부(541)와, 발광부(541)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기판(S)에서 반사된 레이저가 수광되는 수광부(542)로 구성되며, 발광부(541)에서 발광되어 기판(S)의 상면에서 반사된 레이저의 결상위치에 따른 전기신호를 제어유닛으로 출력하여 기판(S)과 노즐(53) 사이의 간격을 계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laser displacement sensor 54 is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unit 541 for emitting a laser, and a
또한, 헤드유닛(50)에는 기판(S)에 도포된 페이스트 패턴(P)의 단면적을 측정하는 단면적센서(57)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면적센서(57)는 기판(S)으로 레이저를 연속적으로 방출하여 페이스트 패턴(P)을 스캔하는 것을 통하여 페이스트 패턴(P)의 단면적을 측정한다. 단면적센서(57)로부터 측정된 페이스트 패 턴(P)의 단면적에 대한 데이터는 페이스트 패턴(P)의 불량여부를 측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헤드유닛(50)에는 노즐(53)과 인접한 부위에 기판(S)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촬상장치(58)가 구비될 수 있다. 촬상장치(58)는 헤드유닛(50)의 X축방향으로의 이동 및 Y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노즐(53)과 함께 이동하면서 노즐(53)의 현재의 위치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에 대하여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3 and 4,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capable of measuring whether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에는 X축방향을 따라 복수로 일렬로 배치되는 기준유닛(7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헤드유닛(50)에는 이러한 기준유닛(70)을 감지하는 감지유닛(80)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본 발명에서는 기준유닛(70)을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를 구비하여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를 기준으로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를 측정하는 구성 및 방법이 제시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를 기준으로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기판(S)을 기준으로 하여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를 측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는 기판(S)이 스테이지(20)상에 스테이지(20)와 정확하게 정렬되는 상태로 반입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판(S)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를 측정하는 데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를 기준으로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기판(S)을 스테이지(20)상에 반입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기판(S)의 스테이지(20)상으로의 반입여부와 관계없이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유닛(70)이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에 구비되므로, 기판(S)의 반입 및 정렬과정이 없이도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유닛(70) 및 감지유닛(80)의 구성을 다양화할 수 있다. 즉, 기준유닛(70)은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로 구성될 수 있고, 감지유닛(80)은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기준유닛(70)의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광이 감지유닛(80)의 수광부에 수광되는 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하여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한편, 본 발명은 기준유닛(70)이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에 구비되고 감지유닛(80)이 헤드유닛(50)에 구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기준유닛(70)이 헤드유닛(50)에 구비되고 감지유닛(80)이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에 구비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발광부가 헤드유닛(50)에 구비되고 수광부가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에 X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수광부에 수광되는 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하여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control method of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헤드지지대(40)를 프레임(10)의 지지대이동가이드(30)상에 설치한 때, 헤드지지대(40)에 구비되는 구성부품을 교환한 때, 페이스트 디스펜서를 장시간 동안 구동한 때에는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에 대하여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또는 수시로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헤드유닛(50)을 X축방향 및/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켜 헤드유닛(50)의 감지유닛(80)을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기준유닛(70) 중 하나의 기준유닛(70)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S11).In order to measure whether the
이와 같이, 감지유닛(80)이 복수의 기준유닛(70) 중 하나의 기준유닛(70)을 감지하는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헤드유닛(50)을 헤드지지대(40)를 따라 이동시켜 감지유닛(80)을 이동시킨다(S12).As such, in a state where the
이때, 감지유닛(80)이 X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유닛(70)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측정한다(S13).At this time, it is measured whether the
감지유닛(80)이 X축방향으로 배치된 기준유닛(70)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헤드유닛(50)의 이동방향과 기준유닛(70)이 배치되는 방향(X축방향)이 평행한 경우, 즉, 헤드지지대(40)의 연장축(EL)이 X축에 평행한 경우이므로, 헤드지지대(40)가 X 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동작을 종료한다.When the
그러나, 감지유닛(80)이 X축방향으로 배치된 기준유닛(70)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헤드유닛(50)의 이동방향과 기준유닛(70)이 배치되는 방향(X축방향)이 평행하지 않은 경우이므로, 헤드지지대(40)의 연장축(EL)이 X축에 평행하도록 헤드지지대(40)의 위치를 교정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14).However, when the
헤드지지대(40)의 교정을 위하여 헤드지지대(40)의 일측단은 고정한 상태에서 헤드지지대(40)의 타측단만을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헤드지지대(40)의 연장축(EL)이 X축에 평행하게 되도록 헤드지지대(40)의 위치가 교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유닛은 헤드지지대(40)의 양단에 설치되는 지지대이동장치(41)중 하나는 정지시키고 다른 하나만을 동작시키는 제어를 할 수 있다.In order to calibrate the
한편, 이상과 같이 헤드지지대(40)의 위치를 교정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헤드지지대(40)가 X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측정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15).On the other hand, after performing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에 대하여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5 to 7,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capable of measuring whether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에는 X축방향을 따라 복수로 일렬로 배치되는 기준유닛(7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헤드유닛(50)에는 이러한 기준유닛(70)을 감지하는 감지유닛(80)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기준유닛(70)은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에 표시되는 기준마크(71)로 구성될 수 있고, 감지유닛(80)은 헤드유닛(50)에 구비되는 촬상장치(58)가 될 수 있다.The
기준마크(71)는 프레임(10) 또는 스테이지(20)의 상면에 X축방향으로 일렬로 복수로 표시될 수 있다. 기준마크(71)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eference marks 71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6 and 7, a control method of a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먼저, 헤드유닛(50)을 X축방향 및/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촬상장치(58)를 촬상장치(58)의 촬상중심(CC)이 복수의 기준마크(71) 중 제1기준마크(711)의 중심과 일치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S21).In order to detect whether the
그리고, 헤드유닛(50)을 헤드지지대(40)를 따라 이동시켜, 촬상장치(58)를 복수의 기준마크(71) 중 미리 설정된 제2기준마크(712)의 위치를 향하여 소정의 거리(DX)로 이동시킨다(S22).Then, the
이때, 촬상장치(58)가 이동되는 X축방향 거리(DX)는,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한 경우, 촬상장치(58)를 제1기준마크(711)에서 제2기준마크(712)로 이동시켰을 때, 촬상장치(58)의 촬상중심(CC)이 제2기준마크(712)의 중심(MC)와 일치되는 X축방향 거리(DX)이다.At this time, when the
이와 같이, 촬상장치(58)를 제2기준마크(712)를 향하여 소정의 거리(DX)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촬상장치(58)로 제2기준마크(712)의 위치를 촬상한다(S23).In this manner, the
따라서,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된 경우라면, 촬상장치(58)를 제1기준마크(711)로부터 제2기준마크(712)로 이동시킨 경우, 촬상장치(58)의 촬상중심(CC)과 제2기준마크(712)의 중심(MC)이 일치된다. 그러나,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는, 촬상장치(58)를 제1기준마크(711)로부터 제2기준마크(712)로 이동시킨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장치(58)의 촬상중심(CC)과 제2기준마크(712)의 중심(MC)이 일치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if the
따라서, 제어유닛은 제2기준마크(712)의 위치가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제2기준마크(712)의 중심(MC)과 촬상장치(58)의 촬상중심(CC)의 위치를 측정하여, 촬상장치(58)의 촬상중심(CC)과 제2기준마크(712)의 중심(MC)이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측정한다(S24).Therefore,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center MC of the
이때, 촬상장치(58)의 촬상중심(CC)이 제2기준마크(712)의 중심(MC)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헤드지지대(40)의 연장축(EL)이 X축에 평행한 경우이므로,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을 종료한다.At this time, when the imaging center CC of the
그러나, 촬상장치(58)의 촬상중심(CC)과 제2기준마크(712)의 중심(MC)이 일치하지 아니한 경우, 헤드지지대(40)의 연장축(EL)이 X축에 평행하도록 헤드지지대(40)의 위치를 교정하는 과정(S25)이 수행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imaging center CC of the
헤드지지대(40)의 위치를 교정하는 과정(S25)은, 촬상장치(58)의 촬상중심(CC)과 제2기준마크(712))의 중심(MC) 사이의 Y축방향으로의 간격(DY)를 측정하고(S251), 이와 같이 측정한 Y축방향 간격(DY)과 촬상장치(58)가 제1기준마크(711) 로부터 제2기준마크(712)까지 이동한 거리(DX)를 이용하여 헤드지지대(40)의 연장축(EL)과 X축이 이루는 각도(A)를 산출하고(S252), 이와 같이 산출한 각도(A)를 이용하여 헤드지지대(40)의 연장축(EL)이 X축에 평행하도록 헤드지지대(40)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S253)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ep S25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헤드지지대(40)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S253)은, 헤드지지대(40)의 일측단은 고정한 상태에서 헤드지지대(40)의 타측단만을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제어유닛은 헤드지지대(40)의 양단에 설치되는 지지대이동장치(41)중 하나는 정지시키고 다른 하나만을 동작시키는 제어를 할 수 있다.The step S253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한편, 이상과 같이 헤드지지대(40)의 위치를 교정하는 과정(S25)을 수행한 후, 헤드지지대(40)가 X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측정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27).On the other hand, after performing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은, 헤드지지대(40)가 지지되는 프레임(10) 또는 기판(S)이 탑재되는 스테이지(20)에 대하여 헤드지지대(40)가 X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헤드지지대(40)를 X축에 평행하게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기판(S)상에 원하는 패턴으로 페이스트를 정확하게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include an X-axis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은, 헤드지지대(40)가 지지되는 프레임(10) 또는 기판(S)이 탑재되는 스테이지(20)를 기준으로 헤드지지대(40)가 X축방향으로 정렬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기판(S)이 스테이지 상에 반입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헤드지지대(40)가 X축방향으로 정렬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r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헤드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d unit of the paste dispenser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헤드유닛 및 헤드지지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d unit and the head support of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paste dispenser of FIG. 1.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헤드유닛 및 헤드지지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d unit and the head support of the paste dispen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scribing a control method of the paste dispenser of FIG. 5.
도 7은 도 5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paste dispenser of FIG. 5.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40: 헤드지지대 50: 헤드유닛40: head support 50: head unit
58: 촬상장치 70: 기준유닛58: imaging device 70: reference unit
71: 기준마크 80: 감지유닛71: reference mark 80: detection unit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23462A KR101196721B1 (en) | 2009-12-11 | 2009-12-11 |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23462A KR101196721B1 (en) | 2009-12-11 | 2009-12-11 |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66706A KR20110066706A (en) | 2011-06-17 |
| KR101196721B1 true KR101196721B1 (en) | 2012-11-07 |
Family
ID=4439947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1234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96721B1 (en) | 2009-12-11 | 2009-12-11 |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96721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173531A (en) * | 2003-12-10 | 2005-06-30 | Lg Phillips Lcd Co Ltd | Dispenser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
-
2009
- 2009-12-11 KR KR1020090123462A patent/KR10119672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173531A (en) * | 2003-12-10 | 2005-06-30 | Lg Phillips Lcd Co Ltd | Dispenser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66706A (en) | 2011-06-1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75284B1 (en) |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101129193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paste dispenser | |
| KR10111594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relative poisition of discharge opening of nozzle and optical spot of laser displacement sensor of paste dispenser and paste dispenser having the same | |
| KR100710683B1 (en) | Sealant Dispenser | |
| KR100752237B1 (en) | Measuring distance between nozzle and gap sensor of paste dispenser | |
| KR101110019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paste dispenser | |
| KR20120069141A (en) | Apparatus for cleaning nozzle and paste dispenser having the same | |
| KR101074666B1 (en) |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applying paste | |
| KR101763619B1 (en) | Array Test Device | |
| KR100807824B1 (en) | Paste dispenser | |
| CN108393212B (en) | Dispensing device | |
| KR101871171B1 (en) | Paste dispenser | |
| JP2008126175A (en) | Liquid material arranging metho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liquid material discharging apparatus | |
| KR20110028778A (en) | Paste application method | |
| KR101196721B1 (en) |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CN102085505A (en) | Method for controlling sealant coater | |
| KR2010007728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ropping liquid crystal | |
| KR20070088345A (en) | Liquid crystal drop amount determination method based on sealant coating state | |
| KR101107499B1 (en) | Paste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 |
| KR101650378B1 (en) | Paste dispenser | |
| KR20110011800A (en) | Control method of the coating device | |
| KR20060093687A (en) | Sealant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 |
| KR20120077293A (en) | Array test apparatus | |
| US7718215B2 (en) | Apparatus for forming alignment layer and auto-calibration method thereof | |
| KR101763618B1 (en) | Paste dispens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010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102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