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107B1 - A bluetooth headset assembly - Google Patents
A bluetooth headset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8107B1 KR101218107B1 KR1020120000255A KR20120000255A KR101218107B1 KR 101218107 B1 KR101218107 B1 KR 101218107B1 KR 1020120000255 A KR1020120000255 A KR 1020120000255A KR 20120000255 A KR20120000255 A KR 20120000255A KR 101218107 B1 KR101218107 B1 KR 1012181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 cord
- headset assembly
- bluetoo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는 복수 모드의 사용양태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넥클레스형태의 경우에도 코드선의 엉킴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며 아울러 MP3 플레이어, 휴대용저장장치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 통신규약에 따라 음원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A)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어셈블리(A)는 독립된 유니트로서의 본체인 블루투스 송수신유니트(10)와, 상기 송수신유니트(10)와 USB커넥터방식으로 접속 및 탈락하는 이어폰부(30,31)로의 신호전달용의 탈착캡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탈착캡수단은;
넥클리스 연결구성의 이어폰부(30,31)를 가지는 넥클리스접속캡(50)과, 인출되는 와이어선으로서의 이어폰부(110)를 가지는 클립접속캡(100)의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어 상기 송수신유니트(10)와 USB커넥터로서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조합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lurality of modes of us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ombination as needed, and in the case of the neckless type, also provide a configuration that can minimize the entanglement of the cord line and also MP3 player To provide a Bluetooth headset assembly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portable storage device,
In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sound source device in accordance with Bluetooth communication protocol;
The headset assembly (A) is a detachable cap means for signal transmission to the Bluetooth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 which is a main body as an independent unit, and the earphone units 30 and 31 which are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 by a USB connector method. Although provided, the removable cap mean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 is selected from any one of the necklace connection cap 50 having the earphone parts 30 and 31 of the necklace connection configuration and the clip connection cap 100 having the earphone part 110 as a wire wire drawn out. ) And a USB connecto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configur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과 선택적인 조합에 따른 사용자 조합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의 블루투스헤드셋, 특히 복수 형태의 조합으로서 사용이 가능한 헤드셋어셈블리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uetooth headset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figuration of a Bluetooth headset having a configuration that enables a user combination use according to an ease of use and an optional combination, in particular a headset assembly that can be used a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types. .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고기능화와 MP3 등의 음원활용기기의 증가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이어폰, 헤드셋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기능의 이어폰 또는 헤드셋이 안출되어 보급되고 있다.The use of various kinds of earphones and headsets is increasing rapidly according to the high functionalization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he increase of sound utilizing devices such as MP3, and accordingly, various kinds and functions of earphones or headsets are spread out.
특히, 헤드셋의 경우는 음원활용기기에 채용되어 폭넓은 사용과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기기가 개발되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headset is adopted in a sound source utilizing device has been made wide use and utilization, accordingly has been developed a device of various functions.
또한, 근래들어 블루투스 규약을 기반으로 하는 헤드셋이 무선방식으로서 음원기기로의 접속을 위한 별도의 코드선이 불요하고 휴대 및 사용이 극히 간단하여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a headset based on the Bluetooth protocol is a wireless method, and a separate cord line for connection to a sound source device is not required, and the portable and use are extremely simple, and are widely used.
이에 부가하여 MP3 플레이어 등의 음원활용기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가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음원의 보관 또는 데이터의 보관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USB 메모리 등도 일반 사용자가 대부분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로서 채용되고 있다.In addition to this, a sound recording device such as an MP3 player and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re used in combination, and various types of USB memories for storing sound or storing data are also employed as a portable storage device that most users possess. have.
따라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헤드셋, USB메모리, 또는 기호에 따라 별도의 MP3 등을 다수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Therefore, most users have a inconvenience in having a large number of separate MP3s according to a headset, a USB memory, or a preference.
또한 종래의 스테레오 방식의 헤드셋은 대부분 블루투스통신을 수행하는 보체를 별도의 유니트로서 구성하고 이 유니트에 접속하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잭을 사용하여 구성하거나, 목걸이 방식의 경우는 헤드셋의 코드선과는 별도로 목에 걸수 있는 스트랩 또는 스트링을 단순한 걸이수단으로서 제공하여 목에 걸어 휴대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tereo headset is composed mainly of the body that performs the Bluetooth communication as a separate unit and using a jack provided with a wire to connect to this unit, or in the case of the necklace type is separate from the cord of the headset A strap or string that can be hung on the neck is provided as a simple hook means, and it has a structure to hang on a neck and carry.
상기하는 종래의 헤드셋의 문제점은 사용자가 경우에 따라서 독립된 유니트로서 구성된 블루투스 해드셋을 소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나, 작업 또는 운동중에 청취하기 위하여 목걸이 형태의 블루투스 헤드셋을 원하는 경우 등에 따라서 다수의 블루투스 헤드셋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휴대의 불편과 경제적인 낭비가 있게 된다.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headset described above is that if a user needs to carry a Bluetooth headset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unit in some cases, or wants a Bluetooth headset in the form of a necklace for listening during work or exercise, Since it has to be equipped, there is inconvenience of carrying and economical waste.
나아가 종래 구성의 경우, 음원청취용의 블루투스헤드셋에 국한되어 휴대용 저장장치 또는 MP3 등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구성을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it is mostly limited to the Bluetooth headset for listening to the sound source, and has a configuration that is difficult to use for other purposes such as portable storage devices or MP3.
특히 목걸이형의 블루투스헤드셋의 경우는 신호선으로서의 코드선과 목에 걸기 위한 스트립이나 스트링이 서로 엉켜 그 사용이 극히 불편하고 코드선의 엉킴은 휴대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이 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necklace-type Bluetooth headset, a cord line as a signal line and a strip or string for hanging on the neck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and its use is extremely inconvenient.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는 상기하는 종래 구성의 낭비와 불편을 일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조합구성에 의하여 단일의 블루투스헤드셋으로 복수의 사용모드를 제공하고,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eliminate the waste and inconvenience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nfiguration, and provides a plurality of usage modes with a single Bluetooth headset by various combination configurations.
목걸이 형태의 구성의 경우에도 와이어 간의 엉김을 최소화하여 휴대와 사용 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Even in the case of a necklace type configur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convenience in carrying and using by minimizing the entanglement between the wires.
나아가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는 블루투스헤드셋에 부가하여 MP3 플레이어, 휴대용저장장치등의 다양한 부가장치를 구성할 수 있게 하여 다수의 장치를 휴대하는 불편과 경제적인 낭비를 제거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with various additional devices such as an MP3 player and a portable storage device in addition to the Bluetooth headset,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and economical waste of carrying a plurality of devices. An object is to provide a Bluetooth headset assembly.
이에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블루투스 통신규약에 따라 음원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A)에 있어서;In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sound source device in accordance with Bluetooth communication protocol;
상기 헤드셋어셈블리(A)는 독립된 유니트로서의 본체인 블루투스 송수신유니트(10)와, 상기 송수신유니트(10)와 USB커넥터방식으로 접속 및 탈락하는 이어폰부(30,31)로의 신호전달용의 탈착캡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탈착캡수단은;The headset assembly (A) is a detachable cap means for signal transmission to the Bluetooth transmission /
넥클리스 연결구성의 이어폰부(30,31)를 가지는 넥클리스접속캡(50)과, 인출되는 와이어선으로서의 이어폰부(110)를 가지는 클립접속캡(100)의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어 상기 송수신유니트(10)와 USB커넥터로서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조합구성될 수 있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The transmission /
또한, 상기 송수신유니트(10)는 USB커넥터(16)로서 충전대상으로부터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송수신유니트(10)에 메모리슬롯(17)을 형성하여 상기 메모리슬롯(17)에 외장형의 메모리(M)를 탈착하여 휴대용 저장장치로서 사용하게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부가기능중 주요한 하나이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는 복수 모드의 사용양태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multiple modes of use, allowing the user to use the combination as needed,
넥클레스형태의 경우에도 코드선의 엉킴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며 아울러 MP3 플레이어, 휴대용저장장치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case of the neckless type, it aims to provide a configuration that can minimize the entanglement of the cord and also provide a Bluetooth headset assembly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MP3 players, portable storage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의 넥클레스모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의 넥클레스모드에서의 블루투스 송수신유니트를 접속캡과 분리한 상태의 전, 후면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의 넥클레스모드에서의 블루투스 송수신유니트를 접속캡과 결합된 상태의 전면 부분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의 넥클레스모드에서의 넥스트랩과 신호선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의 넥클레스모드에서의 블루투스 송수신유니트와 넥클레스접속캡의 결합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의 넥클레스모드에서의 블루투스 송수신유니트의 접속캡으로의 USB커텍터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의 유니트모드를 도시하는 클립접속캡의 사용을 도시하는 블루투스 송수신유니트의 전, 후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의 유니트모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의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verall configuration showing the necklace mode of a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in the state of the Bluetooth transceive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cap.
Figure 3 is a front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cap and the Bluetooth transceiver unit in the neckless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neck strap and the signal wire in the necklace mode of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and the neckless connection cap in the neckless mode of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C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B connector part to the connection cap of the Bluetooth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n the necklace mode of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 of a Bluetooth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showing the use of a clip connection cap showing the unit mode of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showing the unit mode of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의 넥클레스모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의 사시도, 도 2는 넥클레스모드에서의 블루투스 송수신유니트를 접속캡과 분리한 상태의 전, 후면 부분사시도, 도 3은 넥클레스모드에서의 블루투스 송수신유니트를 접속캡과 결합된 상태의 전면 부분사시도, 도 4a는 넥클레스모드에서의 넥스트랩과 신호선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4b는 넥클레스모드에서의 블루투스 송수신유니트와 넥클레스접속캡의 결합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사시도, 도 4c는넥클레스모드에서의 블루투스 송수신유니트의 접속캡으로의 USB커텍터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하고,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showing the neckless mode of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and rear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cap in the neckless mode, Figure 3 is a neck Figure 4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neck strap and the signal wire in the neckless mode, the state of the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in combination with the connection cap, Figure 4b is a Bluetooth in the neckless mode Partial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nd the neckless connection cap, FIG. 4C will be described together as a partial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B connector portion to the connection cap of the Bluetooth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n the necklace mode.
도 5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의 유니트모드를 도시하는 클립접속캡의 사용을 도시하는 블루투스 송수신유니트의 전, 후면 사시도, 도 6은 유니트모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의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5 is a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 of a Bluetooth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showing the use of a clip connection cap showing the unit mode of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described together a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configuration showing the unit mode.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는 블루투스헤드셋을 다양한 조합구성으로서 사용하게 하고 나아가 부가적인 장치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uetooth headset is used in various combinations, and further, additional devices are configured.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는 도 1 내지 도 4의 제1사용모드, 도 5내지 6 의 제2사용모드를 구성할 수 있다.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figure the first use mode of FIGS. 1 to 4 and the second use mode of FIGS. 5 to 6.
[제1구성 및 그 사용모드][First Configuration and Use Mode]
하나의 구성은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A)를 목에 걸고 사용함으로써 휴대성과 이동성이 양호한 사용상태이다.One configuration is a user with good portability and mobility because the user wears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A around his neck.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1,
헤드셋어셈블리(A)는 도시하지 아니하는 휴대단말기, MP3 플레이어와 같은 장치와 블루투스 규약에 따라서 통신하는 본체로서 작동하는 송수신유니트(10)와,The headset assembly (A) is a transmission and
이 송수신유니트(10)와 접속하는 넥클리스접속캡(50) 및 넥클리스접속캡(50)로부터 말단의 이어폰부(30,31)로 연장하여 인출되는 음원신호선인 한 쌍의 코드선(61,62)을 인출하여 가지고, 이 코드선(61,62)을 기계적으로 형태를 유지하고 코드선(61,62)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한 넥스트랩(70)으로 구성된다.A pair of
상기에서 송수신유니트(10)는 통상적인 블루투스송수신기로서 다른 블루투스 통신기기와 페어링을 위한 통화버턴(11), 불륨업다운번턴(12,13) 및 후술하는 부수적인 기능을 위한 기능선택버턴(15) 등을 작동버턴으로 가지고 이러한 버턴들의 기능은 통상적인 종래로부터의 블루투스 송수신기에서와 동일하므로 그 전기적인 작동과 방식은 부언하지 아니한다.The transmission and
또한 송수신유니트(10)는 그 내부에 회로적으로 MP3플레이어로 또는 FM 라디오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고 그러한 전기적인 조합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술하지 아니한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도 2 및 4b에 상세히 하는 바와 같이,As detailed in FIGS. 2 and 4B as a preferred configuration,
넥클리스접속캡(50) 내부의 USB커넥터(51)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코드선(61,62)으로 음향신호가 전달되고, 송수신유니트(10)의 다른 USB커넥터(16)와 상기하는 넥클리스접속캡(50) 내부의 USB커넥터(51)가 끼워져 접속함으로서 전체 회로의 전기적인 결선이 이루어진다.It is electrically connected from the
넥클리스접속캡(50)으로부터 인출되는 코드선(61,62)은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The
반복적인 사용에 의한 접속부(P)에서의 단선을 최소화하기 위한 탄성을 부여하고, 코드선(61,62)의 인출방향을 가이드하여 코드선(61,62) 간의 엉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개략 V 자형의 인출가이드튜브(55)를 관체튜브형상으로 장착하고, 이 인출가이드튜브(55) 내방에 끼워지는 코드선(61,62)을 가이드인출하여 구성하고 있다.To give elasticity for minimizing disconnection at the connection part P by repeated use, and to guide the pull out direction of the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넥클리스접속캡(50)과 송수신유니트(10)의 기계적인 접속 시에 견고한 고정과 사용중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홈(50-1)과 걸림턱(10--1)을 하나 이상 제공하여 접속 시의 클릭킹(Clicking)으로서 고정의 확인과 고정의 견고성을 보장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the
넥클리스접속캡(50)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코드선(61,62)은 넥스트랩(70)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The pair of
넥스트랩(70)은 도 1 및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The
합성수지 등으로 다양한 색상으로서 길게 성형된 탄성 코드체 또는 스트랩체로서 전체 코드선(61,62)을 연결하여 코드선(61,62)의 사용자의 목으로의 걸림이 용이한 형태로서 지지하는 기계적인 지지체로서 작용하고 넥스트랩(70) 자체의 탄성으로서 형태가 유지되어 코드선(61,62)의 엉킴을 역시 최소화하고 있다.An elastic cord body or strap body molded in various colors with various resins or the like to connect the
이하에서 코드선(61,62)은 대칭되는 부재이므로 일 측의 코드선(61) 만을 설명한다.Hereinafter, since the
본 발명에서의 넥스트랩(70)에 대한 코드선(61,62)의 사용중의 꼬임방지를 위한 고정포인트를 다수 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points for preventing the twisting of the
넥스트랩(70)의 양단부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드선(61)의 중앙부를 끼워 가이드하는 코드가이드(71)를 장착하여 가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코드가이드(71)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드선(61)이 끼워지는 코드고정관체(71')를 일체로 가지는 마감부재로서 제1의 고정포인트로서 작용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또한 넥스트랩(70)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코드선(61)의 길이조절을 위한 터닝조절구(80)가 각각 끼워져 제2의 고정포인트로서 작용한다.In addition, the
터닝조절구(80)는 도 4a에 상세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넥스트랩(70)에 끼워지는 연결부(81)와 이 연결부(81)에 일체인 터닝고정부(82)를 가진다. 터닝고정구(82)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U자형의 가이드관공(83)을 가짐으로써 인출되는 코드선(61)의 방향을 역전시켜 사용자의 귀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부재이다.As shown in detail in FIG. 4A, the turning
이 터닝조절구(80)의 터닝고정구(82)는 코드선(61)의 방향을 역전시켜 줄 뿐만 아니라 코드선(61) 자체의 탄성으로서 일정한 위치에서 터닝고정구(82)에 의하여 역전되면 마찰과 탄성으로서 그 역전고정된 위치가 용이하게 변경되지 않는 구성으로서 하나의 고정포인트로서 작용하여 꼬임을 최소화한다.The turning fixture 82 of the turning
이러한 구성으로서 넥스트랩(70)에 끼워져 마찰고정되는 터닝조절구(80)를 넥스트랩(7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켜 넥스트랩(70)에 대한 코드선(61,6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turning
더욱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터닝조절구(80)의 터닝고정구(82)에 코드선(61)을 밀어주거나 당겨냄으로서 전체 코드선(61)의 사용자의 귀위치에 대응하여 세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If necessary, the user can fine-adjust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user's ear position of the
더욱 바람직하게는 역전되어 나란히 한 쌍 병설되는 코드선(61)의 단부 측을 더 구속하기 위하여 조절링(90)을 고무재 등의 마찰성의 링체로 제공하여 제3고정포인트로 하여 다수의 고정포인트에서 코드선(61)을 구속함으로서 코드선(61,62)의 엉킴과 꼬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in order to further restrain the end side of the
상기하는 제반의 구성은 사용자의 귀로의 접근성과 목에 걸어 휴대성을 증대하고 코드선(61,62)을 다수의 위치에서 구속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장 큰 불편을 느끼는 코드선(61,62) 간의 엉킴을 최소하하기 위한 것이다.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creases the portability of the user's ears and portability on the neck, and entangles the
상기의 넥클리스접속캡(50)와 USB커넥터 구성으로서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송수신유니트(1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transmission /
송수신유니트(10)는 통상적인 블루투스 송수신기 일 뿐만 아니라 접속 단부에 USB커넥터(16)를 노출하여 구성함으로써 내방에 내장되는 배터리의 충전을 일반적인 PC 의 USB커넥터에 꼽아 충전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데이터선으로서 기능하여 PC와 음원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고 USB메모리로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transmit / receive
나아가 도 2 및 도 4c에 상세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Furthermore, as shown in detail in FIGS. 2 and 4c,
송수신유니트(10)의 USB커넥터(16) 측 또는 측방 등에 메모리슬롯(17)을 형성하고 이 메모리슬롯(17)에 별도의 소형 SD메모리 등의 외장 메모리(M)를 장착 또는 탈락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The
이러한 구성으로서 송수신유니트(10)에 내장되는 메모리 외에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메모리의 증설이 가능하고 USB커넥터(16)와의 협동으로 PC 등과 통신하여 휴대용 저장장치로서 사용이 극히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in addition to the memory built in the transmission /
[제2구성 및 그 사용모드][Second configuration and use mode thereof]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의 다른 하나의 사용모드는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A)를 독립된 유니트로 하여 휴대하거나 주머니 등에 넣어 사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도 5의 유니트모드를 도시하는 클립접속캡의 사용을 도시하는 블루투스 송수신유니트의 전, 후면 사시도와 도 6의 유니트모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의 사시도와 함께 설명한다.Another use mode of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r can carry or use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A as an independent unit and use it in a pocket. A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luetooth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showing the above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configuration showing the unit mode of FIG. 6 will be described.
본 사용모드의 구성에 있어서 사용되는 송수신유니트(10)는 제1구성의 의 것과 완전히 동일하고 송수신유니트(10)와 접속하는 넥클리스접속캡(50)이 클립접속캡(100)으로 대체되어 사용된다.The transmission /
따라서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는 판매 시에 넥클리스접속캡(50)을 가지는 목걸이형의 구성과 클립접속캡(100)이 함께 제공되어 사용자는 본인의 사용목적과 기호에 따라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Therefore,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necklace-type configuration and a
클립접속캡(100)은 역시 송수신유니트(10)의 USB커넥터(16)와 접속하는 클립USB커넥터(106)를 가지는 캡체로서, 송수신유니트(10)의 USB커넥터(16)와 클립USB커넥터(106)는 상호 접속하여 전기적인 결선을 구성하게 된다.The
클립접속캡(100)은 통상적인 외부 헤드셋용 이어폰(110)의 플러그(111)를 접속할 수 있는 잭(101)이 장착되어 송수신유니트(10)의 음원신호를 이어폰(110)으로 전달하게 된다.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클립접속캡(100)와 송수신유니트(10)의 기계적인 접속 시에 견고한 고정과 사용중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홈(10-1)과 걸림턱(100-1)을 하나 이상 제공하여 접속 시의 클릭킹(Clicking)으로서 고정의 확인과 고정의 견고성을 보장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at least one fixing groove 10-1 and a locking step 100-1 to prevent the fixing of the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립접속캡(100)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클립(105)을 고정 또는 일체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포켓 등에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나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More preferab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 헤드셋어셈블리
10; 송수신유니트
30,31; 이어폰부
50; 넥클리스접속캡
100; 클립접속캡A; Headset Assembly
10; Transceiver Unit
30,31; Earphone section
50; Necklace Connection Cap
100; Clip connection cap
Claims (5)
상기 헤드셋어셈블리(A)는 독립된 유니트로서의 본체인 블루투스 송수신유니트(10)와, 상기 송수신유니트(10)와 USB커넥터방식으로 접속 및 탈락하는 이어폰부(30,31)로의 신호전달용의 탈착캡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탈착캡수단은;
넥클리스 연결구성의 이어폰부(30,31)를 가지는 넥클리스접속캡(50)과, 인출되는 와이어선으로서의 이어폰부(110)를 가지는 클립접속캡(100)의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어 상기 송수신유니트(10)와 USB커넥터로서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조합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In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sound source device in accordance with Bluetooth communication protocol;
The headset assembly (A) is a detachable cap means for signal transmission to the Bluetooth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 which is a main body as an independent unit, and the earphone units 30 and 31 which are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 by a USB connector method. Although provided, the removable cap mean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 is selected from any one of the necklace connection cap 50 having the earphone parts 30 and 31 of the necklace connection configuration and the clip connection cap 100 having the earphone part 110 as a wire wire drawn out. Bluetooth headse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can be configur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as a USB connector.
상기 넥클리스접속캡(50)은 이어폰부(30,31)로 연장하여 인출되는 음원신호선인 한 쌍의 코드선(61,62) 및 상기 코드선(61,62)을 기계적으로 형태를 유지하고 엉킴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코드체 또는 스트랩체로서의 넥스트랩(70)을 가지고,
상기 넥스트랩(70)에 대한 코드선(61,62)의 사용중의 꼬임방지를 위한 고정포인트를 2 개 이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1,
The necklace connecting cap 50 mechanically maintains and entangles a pair of cord wires 61 and 62 and cord wires 61 and 62 which are sound source signal lines which extend to the earphone units 30 and 31. Has a neck strap 70 as an elastic cord body or strap body to prevent the
Bluetooth headse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wo or more fixing points for preventing the twisting of the cord wire (61, 62) to the neck strap (70) in use.
상기 고정포인트는,
상기 넥스트랩(70)의 양단부의 하나의 코드선(61)의 끼워 가이드하기 위한 코드고정관체(71')를 일체로 가지는 코드가이드(71),
상기 넥스트랩(70)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끼워져 제공되는 연결부(81)와 상기 연결부(81)에 일체인 터닝고정구(82)에 형성된 U자형의 가이드관공(83)을 가짐으로서, 인출되는 상기 코드선(61)의 방향을 역전시켜 사용자의 귀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터닝조절구(80),
상기 코드선(61)의 단부 측을 더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역전된 코드선(61)과 역전되지 아니한 상기 코드선(61)을 함께 결속하는 마찰성 링체인 조절링(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2,
The fixed point is,
A cord guide 71 having integrally a cord fixing tube 71 'for guiding one cord line 61 at both ends of the neck strap 70;
By having a connecting portion 81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neck strap 70 and a U-shaped guide tube 83 formed in the turning fixture 82 integral with the connecting portion 81, Turning adjusting device 80 to reverse the direction of the cord line 61 to extend to the user's ear side,
Bluetooth 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riction ring chain adjustment ring 90 which binds the inverted cord line 61 and the inverted cord line 61 together to further restrain the end side of the cord line 61. Headset assembly.
상기 클립접속캡(100)은 상기 송수신유니트(10)의 USB커넥터(16)와 접속하는 클립USB커넥터(106)를 가지는 캡체로서, 송수신유니트(10)의 USB커넥터(16)와 클립USB커넥터(106)는 상호 접속하여 전기적인 결선을 구성하고,
상기 클립접속캡(100)은 외부 헤드셋용 이어폰(110)의 플러그(111)를 접속할 수 있는 잭(101)을 장착하여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1,
The clip connection cap 100 is a cap having a clip USB connector 106 to be connected to the USB connector 16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0, the USB connector 16 and the clip USB connector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0 ( 106 are interconnected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The clip connection cap 100 is a Bluetooth headse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jack 101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lug 111 of the earphone for the external headset (110).
상기 송수신유니트(10)는 USB커넥터(16)로서 충전대상으로부터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송수신유니트(10)에 메모리슬롯(17)을 형성하여 상기 메모리슬롯(17)에 외장형의 메모리(M)를 탈착하여 휴대용 저장장치로서 사용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 performs charging from a charging target as a USB connector 16, forms a memory slot 17 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 and stores an external memory M in the memory slot 17. Bluetooth headse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to use as a portable storage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00255A KR101218107B1 (en) | 2012-01-02 | 2012-01-02 | A bluetooth headset assembly |
| PCT/KR2012/010310 WO2013103196A1 (en) | 2012-01-02 | 2012-11-30 | Bluetooth headset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00255A KR101218107B1 (en) | 2012-01-02 | 2012-01-02 | A bluetooth headset assembly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18107B1 true KR101218107B1 (en) | 2013-01-03 |
Family
ID=4784107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0025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18107B1 (en) | 2012-01-02 | 2012-01-02 | A bluetooth headset assembly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18107B1 (en) |
| WO (1) | WO2013103196A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3974155A (en) * | 2013-01-27 | 2014-08-06 | 厦门锐思达机电科技有限公司 | Necklace type Bluetooth headset |
| KR101717291B1 (en) | 2015-10-27 | 2017-03-17 | (주)모비프렌 | Command responsive vibration bluetooth headset and game for smart device having the same |
| WO2018128299A1 (en) * | 2017-01-04 | 2018-07-12 | Lg Electronics Inc.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20180080669A (en) * | 2017-01-04 | 2018-07-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sound equipm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5323676B (en) * | 2014-07-04 | 2019-05-03 | 杭州纳雄科技有限公司 | Audio transmission circuit |
| CN104254034A (en) * | 2014-09-24 | 2014-12-31 | 徐建国 | Necklace-shaped Bluetooth earphone |
| CN112511937B (en) * | 2020-11-17 | 2022-10-18 | 歌尔科技有限公司 | Bluetooth headset and use mode switching method of Bluetooth headset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82929B1 (en) | 2005-09-23 | 2007-1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ultifunction bluetooth headset |
| KR100881856B1 (en) | 2007-06-30 | 2009-02-06 |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 Ear microphone set and how to climb |
| KR20100012009A (en) * | 2008-07-27 | 2010-02-04 | 이진명 | Necklace style bluetooth earphone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122358A (en) * | 2005-05-27 | 2006-11-30 | 주식회사 모람 | Wireless Headset with Memory Card Slot |
| KR200442815Y1 (en) * | 2007-03-22 | 2008-12-11 | (주)우리에스엠티 | Mono-stereo wireless headset with necklace gender |
-
2012
- 2012-01-02 KR KR1020120000255A patent/KR10121810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1-30 WO PCT/KR2012/010310 patent/WO201310319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82929B1 (en) | 2005-09-23 | 2007-1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ultifunction bluetooth headset |
| KR100881856B1 (en) | 2007-06-30 | 2009-02-06 |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 Ear microphone set and how to climb |
| KR20100012009A (en) * | 2008-07-27 | 2010-02-04 | 이진명 | Necklace style bluetooth earphone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3974155A (en) * | 2013-01-27 | 2014-08-06 | 厦门锐思达机电科技有限公司 | Necklace type Bluetooth headset |
| KR101717291B1 (en) | 2015-10-27 | 2017-03-17 | (주)모비프렌 | Command responsive vibration bluetooth headset and game for smart device having the same |
| WO2018128299A1 (en) * | 2017-01-04 | 2018-07-12 | Lg Electronics Inc.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20180080669A (en) * | 2017-01-04 | 2018-07-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sound equipment |
| US10491983B2 (en) | 2017-01-04 | 2019-11-26 | Lg Electronics Inc. | Portable sound equipment |
| KR102583499B1 (en) * | 2017-01-04 | 2023-09-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sound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3103196A1 (en) | 2013-07-1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18107B1 (en) | A bluetooth headset assembly | |
| KR100800103B1 (en) | headset | |
| US7289767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glasses | |
| US8298003B2 (en) | Multi-functional adaptation winder | |
| KR101542598B1 (en) | Bluetooth Earphone Equipped with Changeable Tension Bar | |
| US20060126882A1 (en) | Earphone | |
| US10069951B2 (en) | Mobile phone case apparatus and system | |
| US9414146B2 (en) | Cord management and clip system for wireless audio receiver | |
| US10314385B2 (en) | Apparatus for detachably engaging wireless headsets | |
| AU2008200545A8 (en) | Multipurpose accessor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 |
| US20140314248A1 (en) | Wireless Headphones for Working Out | |
| KR101713808B1 (en) | Bluetooth Headset | |
| CN210274480U (en) | Bluetooth earphone | |
| US20080253554A1 (en) | Flexible hanging-type earphone device | |
| US20180041826A1 (en) | Wearable device for listening to sound | |
| KR101966413B1 (en) | Neck band type wireless earphone | |
| US20100296684A1 (en) | Headset | |
| CN217011152U (en) | Head-wearing type Bluetooth earphone | |
| WO2017141581A1 (en) | Device for detachably coupling portable telephone and headset | |
| CN204697279U (en) | A kind of I tech clip S | |
| CN216086974U (en) | Interchangeable earplug formula bluetooth recreation earphone | |
| KR101673940B1 (en) | Bluetooth which has angle control function | |
| KR100703324B1 (en) | Ear Wearable Earsets | |
| KR100500218B1 (en) | Necklace type earphone for mobile phone | |
| KR101511752B1 (en) | Cable winding device for earphon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12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