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752B1 - Cable winding device for earphones - Google Patents
Cable winding device for earphon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1752B1 KR101511752B1 KR1020140006620A KR20140006620A KR101511752B1 KR 101511752 B1 KR101511752 B1 KR 101511752B1 KR 1020140006620 A KR1020140006620 A KR 1020140006620A KR 20140006620 A KR20140006620 A KR 20140006620A KR 101511752 B1 KR101511752 B1 KR 1015117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ing
- earphone
- earphone line
- winding body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어폰 선을 권취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권선용 몸체부; 상기 권선용 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 선의 직경에 대응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착탈구; 상기 권선용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는 이어폰 선을 엉킴 없이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에 따른 이어폰 선의 권선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권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어폰 외에 다른 이어폰에 대하여 착탈결합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winding mechanism for an earphone, A detachabl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winding bod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earphone lin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earphone line; And a latching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ing main body.
Accordingly, not only can the earphone lin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e neatly arranged, but also the winding can be per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desires the winding position of the earphone line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In addition to the earphone used by the user, So that it can be reused repeated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폰 선을 엉킴 없이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winding mechanism for an ear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winding mechanism for an earphone capable of neatly arranging earphone lines without tangling.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휴대폰, PDA, MP3 등 각종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음향도구로써, 크게 스피커, 이어폰 선, 플러그로 구성된다.Generally, an earphone is an acoustic tool used to connect to various terminals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nd an MP3, and is largely composed of a speaker, an earphone line, and a plug.
상기 이어폰 선은 단말기와 귀를 연결하기 위한 긴 전선이기 때문에 사용 단말기의 휴대기기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일정 길이로 연장된다.Since the earphone line is a long wire for connecting the earphone to the earphone, it extends to a certain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portable devices of the earphone.
그리고, 상기 이어폰은 통상 단말기에 연결하여 둔채로 휴대하거나 또는 단말기와 별도로 분리하여 휴대를 하게 된다. 이때 단말기와 이어폰을 분리한 상태로 휴대할 경우, 상기 이어폰 선의 길이로 인해 아무렇게나 주머니 또는 가방에 휴대되하게 되므로 상기 이어폰 선이 서로 뒤엉켜서 나중에 사용시 뒤엉킨 이어폰 선을 세심하게 풀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The earphone is usually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 portable telephone is carried with the terminal and the earphon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earphone line is brought into a pocket or a bag in any way due to the length of the earphone line, so that the earphone lines a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또한, 단말기를 휴대한 채로 이어폰을 귀에 꽃아 두고 사용하게 되면 긴 이어폰 선이 축 늘어져 보기에도 좋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어폰을 빼내는 자중으로 작용하기도 하며, 타 접촉에 의해 이어폰 줄이 쉽게 걸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된다.In addition, when the earphone is put in the ear while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long earphone line is not good to look at, and in some cases, it acts as the self-weight for pulling out the earphone. .
최근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폰 선을 권취할 수 있도록 된 권취장치(50)를 사용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shown in Fig. 1, a
그러나, 상기 권취장치(50)는 이어폰과 함께 셋트로 구성되어 판매가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다른 이어폰에는 적용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또한, 권취장치(50)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이어폰 착용시 거추장스러운 부담감 및 불편함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보행시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 user unfamiliar with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이어폰 선을 엉킴 없이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다른 이어폰도 착탈결합이 가능한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ble winding mechanism for an earphone capable of neatly arranging earphone lines without tangling and detachably attaching another earphon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권선기구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거추장스러운 부담감 및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winding mechanism for an earphone which can minimize the burden and inconvenience 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winding mechanism.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는, 이어폰 선을 권취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권선용 몸체부; 상기 권선용 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 선의 직경에 대응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착탈구; 상기 권선용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ble winding mechanism for an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inding body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so as to wind an earphone line; A detachabl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winding bod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earphone lin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earphone line; And a latching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ing main body.
상기 권선용 몸체부의 타측면에는 사용자의 옷 또는 착용품에 상기 권선용 몸체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fixing clip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nding body to fix the winding body to the user's clothes or the wearing article.
상기 권선용 몸체부는 이어폰 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winding main body is slidable in a linear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arphone line.
상기 착탈구는 상기 권선용 몸체부의 일측면에서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착탈용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attaching / detaching means comprises a cut-out portion for attaching / detaching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winding main body.
상기 걸림돌기는 권선용 몸체부의 일측 단부의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권선용 몸체부의 타측 단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protrus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one end of the winding body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body.
상기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에는 이어폰의 스피커측 단부를 수용하는 걸이용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each formed with a fixing groove for receiving a speaker-side end portion of the earphone.
상기 권선용 몸체부에는 상기 이어폰 선의 권취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권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nding body is formed with a winding groove for stably maintaining the wound state of the earphone line.
상기 권선용 몸체부는 합성수지재 및 카본(cabon) 또는 페라이트(ferrite) 소재와 혼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nding body is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carbon or a ferrite material.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권선용 몸체부와, 상기 권선용 몸체부에 형성되는 착탈구 및 걸림돌기를 각각 구성함으로써, 일정 길이를 가지는 이어폰 선을 엉킴 없이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에 따른 이어폰 선의 권선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권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어폰 외에 다른 이어폰에 대하여 착탈결합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earphone lin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neatly without tangling by constructing each of the winding body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attaching / detaching means and the latching protrusion formed in the winding body portion In addition, winding can be per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desires the winding position of the earphone line according to user's convenience, and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earphone other than the conventional earphone used by the user, so that the earphone can be reused repeatedly.
또한, 상기 권선용 몸체부는 합성수지재 및 카본(cabon) 또는 페라이트(ferrite) 소재와 혼합 구성됨에 따라 이어폰 선에서 발생하는 잡음(white noise)을 효율적으로 저감시켜 그에 따른 깨끗한 원음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lso, since the winding body is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carbon or ferrite materia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white noise generated in an earphone line, thereby transmitting a clean original sound accordingly .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어폰 권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2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권선용 몸체부의 이동 위치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권선용 몸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권선용 몸체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arphone w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ble winding mechanism for an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4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moving position of the winding main body of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inding main body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winding main body of FIG.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attached hereto.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는 이어폰 선(E)을 권취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권선용 몸체부(100)와,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의 길이방향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 선(E)의 직경에 대응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착탈구(200)와,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의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able winding mechanism for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는 이어폰 선(E)을 권취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틱부재이다.First, the
즉,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이어폰 선(E)이 외주 둘레에 감기도록 함으로써, 그 길이를 효율적으로 줄여 상기 이어폰 선(E)이 쉽게 꼬이거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winding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는 외부의 충격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권선용 몸체부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카본(cabon) 또는 페라이트(ferrite) 소재를 추가적으로 투입한 혼합 구성으로부터 상기 이어폰 선에서 발생하는 잡음(white noise)을 효율적으로 저감시켜 그에 따른 깨끗한 원음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The
아울러,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이어폰 선(E)의 권취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권취홈(101)이 형성된다(도 5참조).In addition,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ing
상기 권취홈(101)은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에 권취되는 이어폰 선(E)이 유동하거나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winding groove (101) serves to interlock the earphone line (E) wound on the winding main body (100) so as to prevent the earphone line (E) from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flow or unwinding.
또한,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는 이어폰 선(E)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다.Also, the winding
이는 후술할 착탈구(200)에 의해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 편의에 따른 이어폰 선(E)의 권선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권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4참조).This can be achieved by the attaching / detaching
또한,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의 길이방향 타측면에는 사용자의 옷 또는 착용품에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120)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즉, 상기 고정클립(120)을 이용하여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를 사용자의 옷 또는 착용품에 꽂아 두면 보행시 발생하는 권선용 몸체부(100)의 요동에 따른 거추장스러운 흔들림은 물론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 자중 무게에 의해 귀에 꽂은 이어폰의 스피커(E1)가 쉽게 빠져나와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f th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는 이어폰 선(E)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스틱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크기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거추장스러운 부담감 및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시 타인으로부터의 시선이 집중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한편, 상기 착탈구(200)는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어폰 선(E)의 직경에 대응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The attachment /
즉, 상기 착탈구(200)는 이어폰 선(E)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고 일정 길이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의 분실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attachment /
여기서, 상기 착탈구(200)는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착탈용 절개부(210)가 형성된다.The attachment /
또한, 상기 착탈구(200)는 권선용 몸체부(100)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길게 연장형성할 수도 있다.Further, the attachment /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착탈구(200)는 이어폰 선(E)으로부터 반복적인 착탈결합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어폰 외에 다른 이어폰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Since the
한편, 상기 걸림돌기(300)는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의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에 권선되는 이어폰 선(E)이 외측으로 이탈하여 권선이 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돌기(300)는 권선용 몸체부(100)의 일측 단부의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제1 돌출부(310)와, 상기 타측 단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320)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제1 돌출부(310)와 제2 돌출부(320)에는 스피커(E1)측 단부를 수용하는 걸이용 고정홈(301)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즉, 상기 고정홈(301)은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어폰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좌,우측 스피커(E1)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at is, when the earphone is not used,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권선용 몸체부(100)와, 상기 권선용 몸체부(100)에 형성되는 착탈구(200) 및 걸림돌기(300)를 각각 구성함으로써, 일정 길이를 가지는 이어폰 선(E)을 엉킴 없이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에 따른 이어폰 선(E)의 권선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권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어폰 외에 다른 이어폰에 대하여 착탈결합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100 : 권선용 몸체부
101 : 권취홈
120 : 고정클립
200 : 착탈구
210 : 착탈용 절개부
300 : 걸림돌기
301 : 걸이용 고정홈
310 : 제1 돌출부
320 : 제2 돌출부
E : 이어폰 선100:
101: Winding groove
120: Fixing clip
200: Removal port
210:
300:
301: Hanging fixing groove
310: first protrusion
320: second protrusion
E: Earphone line
Claims (8)
상기 권선용 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 선의 직경에 대응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착탈구;
상기 권선용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권선용 몸체부의 타측면에는 사용자의 옷 또는 착용품에 상기 권선용 몸체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이 형성되고,
상기 권선용 몸체부는 이어폰 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
A winding body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so as to wind the earphone line;
A detachabl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winding bod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earphone lin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earphone line;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ing main body,
And a fixing clip for fixing the winding main body to the user's clothes or the wearing artic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nding main body,
Wherein the winding body is slidable in a linear direc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arphone line.
상기 착탈구는 상기 권선용 몸체부의 일측면에서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착탈용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tachment / detachment means comprises a detachable cut-out portion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winding body.
상기 걸림돌기는 권선용 몸체부의 일측 단부의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권선용 몸체부의 타측 단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locking protrusion comprise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one end of the winding body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body.
상기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에는 이어폰의 스피커측 단부를 수용하는 걸이용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re formed with fastening grooves for receiving the speaker-side end portions of the earphone, respectively.
상기 권선용 몸체부에는 상기 이어폰 선의 권취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권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winding body is formed with a winding groove for stably maintaining the wound state of the earphone line.
상기 권선용 몸체부는 합성수지재 및 카본(cabon) 또는 페라이트(ferrite) 소재와 혼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winding body is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composite material such as a carbon or a ferrite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06620A KR101511752B1 (en) | 2014-01-20 | 2014-01-20 | Cable winding device for earphon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06620A KR101511752B1 (en) | 2014-01-20 | 2014-01-20 | Cable winding device for earphone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11752B1 true KR101511752B1 (en) | 2015-04-16 |
Family
ID=5305322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06620A Active KR101511752B1 (en) | 2014-01-20 | 2014-01-20 | Cable winding device for earphon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11752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6507237A (en) * | 2016-12-26 | 2017-03-15 | 大连理工大学 | A light and anti-drop earphon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00698U (en) * | 2008-07-14 | 2010-01-22 | 하형규 | Earphone cord organizer |
| KR20110003427U (en) * | 2009-09-30 | 2011-04-06 | 신재승 | Line winder |
| KR20130102972A (en) * | 2012-03-09 | 2013-09-23 | 정현태 | Line holder |
| KR101347662B1 (en) * | 2013-01-25 | 2014-01-09 | 이윤지 | Earphone wire winder |
-
2014
- 2014-01-20 KR KR1020140006620A patent/KR1015117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00698U (en) * | 2008-07-14 | 2010-01-22 | 하형규 | Earphone cord organizer |
| KR20110003427U (en) * | 2009-09-30 | 2011-04-06 | 신재승 | Line winder |
| KR20130102972A (en) * | 2012-03-09 | 2013-09-23 | 정현태 | Line holder |
| KR101347662B1 (en) * | 2013-01-25 | 2014-01-09 | 이윤지 | Earphone wire winder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6507237A (en) * | 2016-12-26 | 2017-03-15 | 大连理工大学 | A light and anti-drop earphon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89244B1 (en) | Ear set having an automatic winding apparatus | |
| US20040232179A1 (en) | Neck strap with integrated wire | |
| US20100206925A1 (en) | Lanyard assembly for audio device | |
| US20140314248A1 (en) | Wireless Headphones for Working Out | |
| KR101218107B1 (en) | A bluetooth headset assembly | |
| KR20130119629A (en) | Neck band type earphone holder and neck band type bluetooth hands free device | |
| US9896301B2 (en) | Cord management devices and methods | |
| KR200463097Y1 (en) | Case of portable terminal with rell type earphone and detachable rell type earphone | |
| US20130202146A1 (en) | Electronic apparatus with connection cable and earphone/ear plug management | |
| KR101511752B1 (en) | Cable winding device for earphones | |
| US20040091128A1 (en) | Fixable-wire earphone | |
| CN207150789U (en) | A kind of foldable neck suspension head-wearing type earphone | |
| CN207732932U (en) | A neckband bluetooth earphone with co-linear antenna and audio line | |
| KR200462710Y1 (en) | An earphone which has a variable extension line | |
| KR20110122974A (en) | Earphone storage device with functional character structure | |
| KR200426046Y1 (en) | MP3 Player Case with Earphones | |
| KR200397054Y1 (en) | Device for fixing earphone wire in earphone necklace | |
| KR101583425B1 (en) | New Earphone for a preventing tangle of earphone lines | |
| CN207399462U (en) | Headphone support frame | |
| KR200429395Y1 (en) | Earphone Accessories | |
| KR101134366B1 (en) | A the ear-phone | |
| KR200414159Y1 (en) | Pouch with Phone Handsfree | |
| KR200200252Y1 (en) | The nacklace one body an ear phone | |
| CN207382511U (en) | A compressible earphone and a ring holder assembly for accommodating the compressible earphone | |
| KR20140004706U (en) | A mobile phone case with earcap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