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6850B1 - 판재의 반송 장치 및 판재의 반송 방법 - Google Patents

판재의 반송 장치 및 판재의 반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850B1
KR101506850B1 KR1020147002716A KR20147002716A KR101506850B1 KR 101506850 B1 KR101506850 B1 KR 101506850B1 KR 1020147002716 A KR1020147002716 A KR 1020147002716A KR 20147002716 A KR20147002716 A KR 20147002716A KR 101506850 B1 KR101506850 B1 KR 101506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luid
conveying
plate glass
sheet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390A (ko
Inventor
모리마사 쿠게
히데유키 타나카
케이지 츠지타
카즈노리 타카하라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1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8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65G49/065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supported partially or completely on fluid cushions, e.g. a gas cush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65G2249/045Details of suction cups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유면적이 작고, 또한 판재가 손상되기 어려운 판재의 반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의 반송 장치(100)는 반송부(20)와 가압부(40)를 가진 송출 장치(10)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부(20)는 세워진 판재(101)의 한 쪽 면(103)에 접촉하여 판재(101)를 반송 방향으로 송출하는 벨트(21)를 갖고 있다. 가압부(40)는 세워진 판재(101)의 다른쪽 면(102)에 유체(104)에 의한 수직 방향의 압력을 가하여 판재(101)를 벨트(21)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워진 판재(101)를 반송부(20)의 벨트(21)와 가압부(40)의 유체(104) 사이에 놓아둔 형태로 유지하면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판재의 반송 장치 및 판재의 반송 방법{PLATE MATERIAL CONVEYANCE DEVICE AND PLATE MATERIAL CONVEYANCE METHOD}
본 발명은 판재의 반송 장치 및 판재의 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판재의 반송 장치는 반송하는 판재의 특성에 따라 구성된다. 예를 들면, TFT(박막 트랜지스터)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판유리(판재)의 가공 라인에서는 한 쪽 면에 접촉하지 않고 판유리를 반송할 수 있는 반송 장치가 요구된다. 그 이유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판유리는 한 쪽 면에 반도체 등의 박막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 면에서는 미세한 흠집조차도 허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정밀한 가공이 실시되는 면을 '정밀면'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정밀면에 접촉하지 않고 판유리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로서는 정밀면과 반대되는 면(이하, '보통면'이라고 칭한다)을 대차에 설치한 빨판에 흡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대차를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실용화되어 있다. 그런데, 이 반송 장치는 판유리를 반송할 때마다 대차를 초기 위치로 되돌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운용이 곤란하다. 이에 반하여, 보통면을 아래로 한 상태, 요컨대, 판유리를 눕힌 상태로 벨트 컨베이어에 싣고 반송하는 것이나 판유리를 세운 상태로 벨트 컨베이어에 싣고 반송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2002-308423호
하지만, 판유리를 눕혀서 반송하는 장치는 판유리의 크기에 따라 넓은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판유리를 세운 상태로 벨트 컨베이어에 싣는 장치는 판유리의 하단 가장자리가 벨트 컨베이어에 접촉하고, 그 지점에서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유면적이 작고, 또한 판재가 손상되기 어려운 판재의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반송 장치는 반송부와 가압부를 가진 송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송부는 세워진 판재의 한 쪽 면에 접촉하여 상기 판재를 반송 방향으로 송출하는 벨트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가압부는 세워진 상기 판재의 다른 쪽 면에 유체에 의한 수직 방향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판재를 상기 벨트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워진 상기 판재를 상기 반송부의 상기 벨트와 상기 가압부의 상기 유체 사이에 놓여진 형태로 유지하면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가압부가 세워진 판재를 벨트를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해당 판재가 가압부와 반송부 사이에 놓여진 형태로 유지되므로 그 하단을 별도로 지지하지 않고 뜬 상태로 판재를 반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재의 반송 장치에 따르면, 판재를 세운 상태로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장치의 전유면적을 줄일 수 있어 공간 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판유리는 하단부가 벨트 컨베이어 등으로 지지되지 않고 반송되기 때문에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예의 변형예 1에 따른 반송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제 3 실시예의 변형예 2에 따른 반송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예의 변형예 3에 따른 반송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예의 변형예 4에 따른 반송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모든 도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판재의 반송 장치는 정밀면과 보통면을 가진 판유리(판재)를 반송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말하는 '정밀면'이란, 정밀한 가공이 실시되는 면을 말하며, '보통면'에 비하여 높은 청정도가 요구되는 것으로 한다.
(제 1 실시예)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지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이 판유리(101)의 반송 방향(이하, 간단히 '반송 방향'이라고 칭한다)이다. 반송 장치(100)에는 도 1의 지면 우측에 해당하는 상류 측으로부터 세운 상태의 판유리(101)가 공급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100)는 송출 장치(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출 장치(10)는 반송부(20)와 가압부(40)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부(20)는 판유리(101)를 반송 방향으로 송출하는 장치이다. 도 1에 있어서, 판유리(101)보다 지면 하측에 도시된 부분이 반송부(20)이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Ⅱ-Ⅱ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지면 상측이 반송 장치(100)의 상측이며, 지면 안쪽에서 앞쪽으로 향하는 방향이 반송 방향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부(20)는 무단 벨트(21)와, 벨트 받침 부재(22)와, 하단 가이드 부재(23)와, 상단 가이드 부재(24)를 가지고 있다.
무단 벨트(21)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벨트이다. 무단 벨트(21)는 반송 방향의 전후에 위치하는 2개의 구동 풀리(25)에 의해 구동된다. 이 무단 벨트(21)는 판유리(101)의 보통면(103)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판유리(101)에 접촉한 상태로 구동 풀리(25)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판유리(101)를 반송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단 벨트(21)는 고무제의 고무 벨트(26)와 금속제의 금속 벨트부(27)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층 구조를 갖고 있다. 고무 벨트부(26)와 금속 벨트부(27)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무단 벨트(21)를 형성하고 있다.
고무 벨트부(26)는 무단 벨트(21)의 외부 표면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판유리(101)에 접한다. 한편, 금속 벨트부(27)는 무단 벨트(21)의 내부 표면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구동 풀리(25)에 접한다. 금속 벨트부(2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 벨트부(26)보다 벨트 폭(상하 방향 치수)이 약간 크고, 하단 및 상단이 각각 고무 벨트부(26)의 하단 및 상단보다 상하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금속 벨트부(27)는 강성이 높고, 무단 벨트(21)가 자중에 의해 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고무 벨트부(26)의 외부 표면에는 그 벨트 폭 방향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체 배출 홈(28)이 고리 모양의 무단 벨트(21)의 원주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원주 방향'이란, 무단 벨트(21)의 연장 방향, 다른 말로 하면, 무단 벨트(21)의 진행 방향을 말한다. 유체 배출 홈(28)은 연직으로 형성되거나,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판유리(101)와 고무 벨트부(26) 사이에 물이나 세정액 등의 액체가 침입하였을 경우에도, 이 유체 배출 홈(28)을 통하여 아래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무단 벨트(21)와 판유리(101) 사이에 액체가 머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무단 벨트(21)에 대한 판유리(101)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가압부(40)에서 방출된 물이 보통면(103)의 일부에 부착하여 물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판유리(101)의 보통면(103) 측에 물이 공급되고 있다.
벨트 받침 부재(22)는 무단 벨트(21)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벨트 받침 부재(22)는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벨트 받침 부재(22)는 무단 벨트(2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판유리(101)가 통과하는 반송로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벨트 받침 부재(22)는 무단 벨트(21)를 사이에 두고 판유리(101)의 반송로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벨트 받침 부재(22)는 무단 벨트(21)에 접하는 평면 모양의 벨트 받침 면(29)을 가지고 있으며, 이 벨트 받침 면(29)의 표면을 무단 벨트(21)가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벨트 받침 부재(22)에 따르면, 평면 모양의 벨트 받침 면(29)에서 무단 벨트(21)를 지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롤러 등에서 받은 경우 등에 발생하는 무단 벨트(21)가 벨트면과 수직 방향으로 물결치는 것과 같은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판유리(101)를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하단 가이드 부재(23)는 무단 벨트(21)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부재이다. 하단 가이드 부재(2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방향으로 직행하는 방향을 회전축의 방향으로 하여 회전하는 롤러이다. 하단 가이드 부재(23)는 판유리(101)의 반송로를 따라 그 근방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 가이드 부재(23)는 무단 벨트(21)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금속 벨트부(27)의 하단을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하단 가이드 부재(23)는 강성이 높은 금속 벨트부(27)를 통하여 무단 벨트(21) 전체를 지지하여 무단 벨트(21)가 자중에 의해 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단 가이드 부재(23)는 롤러이지만, 하단 가이드 부재(23)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하단 가이드 부재(23)는 롤러 대신에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모양의 부재이어도 좋다. 이 경우, 하단 가이드 부재(23)의 상면에서 금속 벨트부(27)를 지지하면서 슬라이딩시키면 무단 벨트(21)를 지지할 수 있다.
상단 가이드 부재(24)는 무단 벨트(21)가 위쪽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하는 부재이다. 상단 가이드 부재(2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회전축의 방향으로 하여 회전하는 롤러이다. 상단 가이드 부재(24)는 하단 가이드 부재(23)와 쌍을 이루도록 하며, 판유리(101)의 반송로 근방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 가이드 부재(24)는 무단 벨트(21)의 위쪽에 위치하고, 금속 벨트부(27)의 상단과 접촉하고 있다. 또한, 상단 가이드 부재(24)에는 스프링(30)에 의해 무단 벨트(21)를 향하는 하향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단 가이드 부재(24)는 항상 무단 벨트(21)에 접한 상태가 된다. 상단 가이드 부재(24)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무단 벨트(21)를 아래쪽으로 눌러서 무단 벨트(21)가 위쪽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단 가이드 부재(23)만으로 무단 벨트(21)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반송부(20)는 상단 가이드 부재(24)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가압부(40)는 판유리(101)에 수직 방향의 유체 압력을 가하는 장치이다. 또한, 판유리(101)에 유체의 압력을 가할 때에 사용하는 유체(이하, '가압 유체'라고 칭한다)(104)는 본 실시예에서는 물로 한다. 다만, 가압 유체(104)는 세정액이어도 좋고, 다른 액체이어도 좋고, 공기 등의 기체이어도 좋다. 가압부(40)는 판유리(101)를 개재시키고 무단 벨트(21)에 대향하도록 반송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Ⅲ-Ⅲ 방향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40)는 원기둥 모양의 유입 측 부재(41)와 직사각형 판 모양의 유출 측 부재(42)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유입 측 부재(41)는 가압 유체(104)의 입구가 되는 부재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입 측 부재(41)의 내부에는 유출 측 부재(42)와는 반대 측의 단면(端面)에 개구되는 입구 유로(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입구 유로(43)에는 도시하지 않은 유체 공급 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입구 유로(43)를 통하여 유입 측 부재(41)의 내부에 가압 유체(104)가 공급된다. 또한, 유입 측 부재(41)의 내부에는 유출 측 부재(42) 측의 단면에 개구되는 유체 유조(溜槽)(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체 유조(44)는 입구 유로(43)에서 유입된 가압 유체(104)를 일단 모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입구 유로(43)에 공급되는 가압 유체(104)의 압력이 변동하더라도, 이 유체 유조(44)를 개재시킴으로써 압력의 변동량을 저감한 상태에서 가압 유체(104)를 유출 측 부재(42)로 공급할 수 있다. 요컨대, 유체 유조(44)는 댐퍼로서 기능하고 있다.
유출 측 부재(42)는 가압 유체(104)를 판유리(101)에 방출하는 부재이다. 유출 측 부재(42)는 유입 측 부재(41)보다 판유리(101)의 반송로에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며, 유입 측 부재(41)에 연결되어있다. 유출 측 부재(42)의 내부에는 유입 측 부재(41) 측의 면에 개구되는 중간 유로(45)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유로(45)는 소경부(46)와, 소경부(46)보다 직경이 큰 대경부(47)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입 측 부재(41)의 유체 유조(44)를 통과한 가압 유체(104)는 소경부(46), 대경부(47)의 순서로 이것들의 내부를 흐른다. 유출 측 부재(42)에는 판유리(101)의 반송로 측으로 개구되는 방출 개구부(48)가 형성되어 있다. 방출 개구부(48)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유리(101)의 반송로 측에서 보아서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 유로(45)를 통과한 가압 유체(104)는 이 방출 개구부(48)에 유입하여 판유리(101)의 정밀면(102)으로 방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출 측 부재(42)는 가압부(40)마다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들을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가압부(4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되는 판유리(101)와의 사이에 작은 간극이 생기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가압부(40)에서 방출된 가압 유체(104)가 가압부(40)와 판유리(101) 사이의 작은 간극을 통하여 가압부(40) 밖으로 유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40)와 판유리(101) 사이에 가압 유체(104)의 막이 생긴다. 그 때문에, 가압부(40)는 판유리(101)에 접촉하지 않고 이 가압 유체(104)의 압력에 의해 판유리(101)를 무단 벨트(21)를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누를 수 있다. 그리고, 가압 유체(104)의 압력을 크게 하면, 가압부(40)(가압 유체(104))와 반송부(20) 사이에서 판유리(101)를 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판유리(101)를 그 하단을 지지하지 않는 상태로 반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100)에 따르면, 판유리(101)의 정밀면(102)은 유체 막 이외에 접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청정도가 유지된다. 또한, 판유리(101)를 하단을 지지하지 않는 상태로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판유리(101)의 하단 가장자리가 벨트 컨베이어 등에 접촉하는 일도 없어 판유리(101)의 손상이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판유리(101)를 세운 상태로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 대상인 판유리(101)가 커졌다고 하여도 반송 장치(100)의 설치에 넓은 공간은 요구되지 않는다. 즉, 공간 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200)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반송부(20)의 구성이 제 1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부(20)는 무단 벨트(21)와 벨트 받침 부재(22)와 중앙 가이드 부재(31)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압부(40)는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무단 벨트(21)는 내부 표면 측과 외부 표면 측 각각에 톱니가 형성된 고무제의 양면 톱니 장착형 고무 벨트이다. 본 실시예의 무단 벨트(21)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이층 구조가 아니고 금속 벨트부(27)(도 1 참조)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무단 벨트(21)의 내부 표면측에 형성된 톱니(32)와 외부 표면측에 형성된 톱니(33)(각 유체 배출 홈(28) 사이의 부분)는 같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무단 벨트(21)는 반송 방향의 전후에 위치하는 2개의 구동 기어(34)에 의해 구동된다. 이 구동 기어(34)에는 무단 벨트(21)의 내부 표면 측의 톱니(32)에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5는 도 4의 Ⅴ-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단 벨트(21)의 내부 표면에는 내부 표면 측의 톱니(32)(도 4 참조)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가이드 홈(35)이 전체 원주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홈(35)에는 후술하는 중앙 가이드 부재(31)가 삽입된다.
벨트 받침 부재(22)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벨트 받침 면(29)을 가지고 있다. 무단 벨트(21)의 내부 표면 측의 톱니(32)의 선단이 이 벨트 받침 면(29)의 표면을 슬라이딩한다. 또한, 벨트 받침 부재(22)에는 후술하는 중앙 가이드 부재(31)를 수용하는 수용부(36)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36)는 벨트 받침 부재(22)의 벨트 받침 면(29)에서 그 반대 측에 위치하는 면까지 관통되어 있다. 요컨대, 수용부(36)는 터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 가이드 부재(31)는 무단 벨트(21)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중앙 가이드 부재(31)는 원반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하 방향을 회전축의 방향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 가이드 부재(31)는 무단 벨트(21)에 형성된 가이드 홈(35)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앙 가이드 부재(31)는 무단 벨트(21)를 회전하면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무단 벨트(21)가 자중에 의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반송 장치(200)에 따른 반송부(20)는 하단 가이드 부재(23) 및 상단 가이드 부재(24)(도 2 참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이 대신에 중앙 가이드 부재(31)를 가지고 있다. 이는 본 실시예의 무단 벨트(21)에는 강성이 높은 금속 벨트부(27)(도 2 참조)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무단 벨트(21)를 그 하단에서 지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200)이어도 판유리(101)의 정밀면(102)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판유리(101)가 쉽게 손상되지 않고, 설치에 넓은 공간은 요구되지 않으므로, 공간 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200)에서는 무단 벨트(21)의 내부 표면 측에 형성된 톱니(32)와 외부 표면 측에 형성된 톱니(33)가 같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무단 벨트(21)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컨대, 외부 표면 측의 톱니(33)와 내부 표면 측의 톱니(32)는 다른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도 좋고, 다른 형태이어도 좋다. 외부 표면 측의 톱니(33)는 유체 배출 홈(28)을 형성한 결과 생긴 것인데 반하여 내부 표면 측의 톱니(32)는 구동 기어(34)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양 톱니(32,33)의 기술적 의의는 다르기 때문이다.
(제 3 실시예)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300)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300)는 송출 장치(10)에 더하여, 유체 가이드 장치(60)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100)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200)와 구성이 다르다.
유체 가이드 장치(60)는 판유리(101)의 양면에 수직 방향의 유체 압력을 가하여 판유리(101)의 좌우 흔들림을 억제하는 장치이다. 이 유체 가이드 장치(60)는 한 쌍의 유로 관(6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유로 관(61)은 판유리(101)의 반송로 양측에 대향하고, 판유리(101)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로 관(61) 중 판유리(101)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분사구(62)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유로 관(61)의 내부에는 가압 유체(104)인 물이 흐르고 있으며, 그 가압 유체(104)의 압력을 높이면 분사구(62)에서 판유리(101)를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가압 유체(104)가 분사된다. 따라서, 유체 가이드 장치(60)에 따르면, 판유리(101)에 기계류가 닿지 않고 그 양면에 가압 유체(104)에 의한 수직 압력을 가할 수 있어 판유리(101)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체 가이드 장치(60)는 이상으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한 송출 장치(10)의 가압부(40)를 판유리(101)의 반송로 양측에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이것을 유체 가이드 장치(60)로 하여도 좋다. 또한, 판유리(101)의 양측에 배치하는 유로 관(61)은 반드시 대향시킬 필요는 없다. 요컨대, 반송하는 판유리(101)의 양면에 가해지는 힘의 밸런스가 무너지지 않는 한, 판유리(101)의 정밀면(102) 측의 유로 관(61)과 보통면(103) 측의 유로 관(61)을 다른 상하 방향 위치에 배치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배치하는 방법을 다르게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장치(300)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출 장치(10)가 판유리(101)의 상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으며, 유체 가이드 장치(60)가 판유리(101)의 중앙 부근 및 하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송출 장치(10)에 의해 판유리(101)를 지지하지 않는 상태로 반송시키는 경우에는 판유리(101) 중 송출 장치(10)에서 떨어진 부분이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좌우 흔들림)하기 쉽다. 그러나, 유체 가이드 장치(60)를 송출 장치(10)와 다른 상하 방향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판유리(101)의 좌우 흔들림을 줄여 판유리(101)를 더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송출 장치(10)와 유체 가이드 장치(60)의 배치는 도 6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하여도 좋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본 실시예의 변형예1 내지 변형예4에 따른 반송 장치(300)의 종단면도이다. 변형예 1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출 장치(10)가 판유리(101)의 하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으며, 유체 가이드 장치(60)가 판유리(101)의 중앙 부근 및 상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변형예 2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출 장치(10)가 판유리(101)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으며, 유체 가이드 장치(60)가 판유리(101)의 상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변형예3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출 장치(10)가 판유리(101)의 하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으며, 유체 가이드 장치(60)가 판유리(101)의 상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변형예 4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출 장치(10)가 판유리(101)의 하단 부근 및 상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으며, 유체 가이드 장치(60)가 판유리(101)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더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반송되는 판유리(101)가 정밀면(102)과 보통면(103)을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반송하는 판유리(101)의 양면이 보통면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판유리의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해야 함에는 변함없고, 본 발명에 따른 판재의 반송 장치는 유효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반송 장치(100)가 판유리를 반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가령 어떤 장치가 판유리 이외의 판재를 반송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갖고 그 장치가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을 이유가 될 수 없다. 또한, 이상에서는 반송 장치(100)가 고리 모양의 무단 벨트(21)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무단 벨트(21) 대신에 고리 모양 형태 이외의 벨트를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의 반송 장치에 따르면, 전유면적이 작고, 또한, 판재의 손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판재의 반송 장치의 기술 분야에서 유리하다.
10: 송출 장치
20: 반송부
21: 무단 벨트(벨트)
22: 벨트 받침 부재
23: 하단 가이드 부재
24: 상단 가이드 부재
26: 고무 벨트부
27: 금속 벨트부
28: 유체 배출 홈
29: 벨트 받침면
31: 중앙 가이드 부재
35: 가이드 홈
40: 가압부
60: 유체 가이드 장치
100,200,300: 반송 장치
101: 판유리(판재)
102: 정밀면
103: 보통면
104: 가압 유체

Claims (7)

  1. 반송부와 가압부를 갖는 송출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반송부는 세워진 판재의 한 쪽 면에 접촉하여 상기 판재를 반송 방향으로 송출하는 벨트를 갖고,
    상기 가압부는 세워진 상기 판재의 다른쪽 면에 유체에 의한 수직 방향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판재를 상기 벨트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세워진 상기 판재를 상기 반송부의 상기 벨트와 상기 가압부의 상기 유체 사이에 놓여진 형태로 유지하면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액체이며, 상기 벨트의 외부 표면에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체 배출 홈이 진행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반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판재의 반송로에 평행하게 배치된 벨트 받침 부재를 갖고, 상기 벨트 받침 부재는 상기 벨트의 내부 표면이 슬라이딩하는 평면 모양의 벨트 받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반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외부 표면 측에 위치하는 고무 벨트부와 내부 표면 측에 위치하는 금속 벨트부를 갖고, 상기 금속 벨트부의 하단은 상기 고무 벨트부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며, 상기 반송부는 상기 금속 벨트부의 상기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 가이드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반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내부 표면에는 전면에 걸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송부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중앙 가이드 부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반송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양면에 유체에 의한 압력을 가하여 좌우 흔들림을 억제하는 유체 가이드 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유체 가이드 장치는 상기 송출 장치와 다른 상하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반송 장치.
  7. 세워진 판재의 한 쪽 면에 상기 판재를 반송 방향으로 송출하는 벨트를 접촉시킴과 동시에 상기 판재의 다른쪽 면에 유체에 의한 압력을 가하여 상기 판재가 상기 벨트를 향하도록 누르고, 상기 판재는 상기 벨트와 상기 유체 사이에 놓여진 형태로 유지되며, 상기 판재를 띄운 상태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이송 방법.
KR1020147002716A 2011-08-12 2011-08-12 판재의 반송 장치 및 판재의 반송 방법 Active KR101506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04569 WO2013024502A1 (ja) 2011-08-12 2011-08-12 板材の搬送装置及び板材の搬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390A KR20140031390A (ko) 2014-03-12
KR101506850B1 true KR101506850B1 (ko) 2015-03-27

Family

ID=4771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716A Active KR101506850B1 (ko) 2011-08-12 2011-08-12 판재의 반송 장치 및 판재의 반송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14935B2 (ko)
JP (1) JP5745631B2 (ko)
KR (1) KR101506850B1 (ko)
CN (1) CN103648934B (ko)
WO (1) WO2013024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29526T3 (es) * 2016-01-07 2019-11-04 Fagor Arrasate S Coop Dispositivo de transporte de piezas y método para transportar piezas
CN107698136B (zh) * 2017-10-18 2019-11-26 台玻安徽玻璃有限公司 一种浮法玻璃成型后处理机构
CN107759069B (zh) * 2017-10-18 2019-11-26 台玻安徽玻璃有限公司 一种安全性能高的浮法玻璃运输装置
CN115402793A (zh) * 2022-08-22 2022-11-29 潍坊兴明光电科技有限公司 玻璃传送装置和玻璃传送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889A (ja) 2006-11-02 2008-05-22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0921A (en) * 1984-10-12 1988-12-13 Hewlett-Packard Company Planetary substrate carrier method and apparatus
JPH04242954A (ja) * 1991-01-08 1992-08-31 Fujitsu Ltd ウェーハチャック
JPH0536658A (ja) * 1991-07-30 1993-02-12 Tokyo Electron Ltd 基板洗浄・乾燥装置
DE19649488A1 (de) * 1996-11-29 1997-11-06 Schott Glaswerke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dünnen Glasscheiben
DE19942498B4 (de) * 1999-09-06 2008-02-07 Nsm Magnettechnik Gmbh & Co. Kg Bandfördereinrichtung für den insbesondere hängenden Transport von Transportgütern mittels Unterdruck
JP2001085496A (ja) * 1999-09-10 2001-03-30 Daiichi Shisetsu Kogyo Kk 板状部材の搬送装置
JP2001213517A (ja) * 1999-11-24 2001-08-07 Daiichi Shisetsu Kogyo Kk 板状部材の搬送装置
JP4394797B2 (ja) * 2000-02-23 2010-01-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基板搬送装置
US7222727B2 (en) * 2001-02-15 2007-05-29 Integral Technologies, Inc. Low cost food processing belts and other conveyances manufactured from conductive loaded resin-based materials
JP2002308423A (ja) 2001-04-18 2002-10-23 Corning Japan Kk 板材搬送方法および板材搬送装置
KR20040105325A (ko) * 2003-06-05 2004-12-16 이동헌 판상부재의 반송장치
KR101049926B1 (ko) * 2004-02-18 2011-07-15 코닝 제팬 가부시끼 가이샤 판재의 종형 가공 라인
JP4613800B2 (ja) * 2004-12-01 2011-01-19 株式会社Ihi 浮上装置および搬送装置
JP4876640B2 (ja) * 2006-03-09 2012-0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ワーク搬送装置およびワーク搬送方法
JP4896148B2 (ja) * 2006-10-10 2012-03-14 株式会社日本設計工業 薄板状材料搬送装置
JP4842370B2 (ja) * 2007-03-07 2011-12-21 株式会社アルバック 真空装置、基板搬送方法
RU2527623C2 (ru) * 2010-05-03 2014-09-10 Инова Лисец Технологицентрум Гмбх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плоских элементов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889A (ja) 2006-11-02 2008-05-22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390A (ko) 2014-03-12
JP5745631B2 (ja) 2015-07-08
US9114935B2 (en) 2015-08-25
US20140216898A1 (en) 2014-08-07
CN103648934B (zh) 2015-08-12
WO2013024502A1 (ja) 2013-02-21
JPWO2013024502A1 (ja) 2015-03-05
CN103648934A (zh)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730B1 (ko) 유리판의 반송 장치 및 그 반송 방법
CN103109364B (zh) 板状玻璃的搬运装置和具备该搬运装置的倒角装置
KR101506850B1 (ko) 판재의 반송 장치 및 판재의 반송 방법
CN101466621A (zh) 旋转物品的带式输送机
TWI815852B (zh) 一種翻板機元件和翻板機
TWI815853B (zh) 一種翻板機組件和翻板機
US10421622B2 (en) Floating conveyor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101564675B1 (ko) 판재 반송 시스템
JP6289949B2 (ja) ブレイク装置
TWI441768B (zh) Method for transporting sheet material and sheet material
TWI274027B (en) Floating type belt conveyer device
CN109843766A (zh) 用于板材元件的转向和取样的装置及方法
JP5621138B2 (ja) 棒材の搬送装置
JP5016987B2 (ja) 容器の整列装置
KR20140009716A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이송장치
JP2014210638A (ja) カード搬送装置
KR20130046594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JP2006285292A5 (ko)
TW201802996A (zh) 溼式製程設備
JP2015062915A (ja) サイドガイド装置
JP2006076723A (ja) 容器の間隔形成装置
KR20190074390A (ko) 소재 이송장치
JP2018108892A5 (ko)
JP5861411B2 (ja) 容器搬送装置
JP2012096881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