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47525B1 - Automatic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considering user input - Google Patents

Automatic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considering user inp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525B1
KR101547525B1 KR1020080069584A KR20080069584A KR101547525B1 KR 101547525 B1 KR101547525 B1 KR 101547525B1 KR 1020080069584 A KR1020080069584 A KR 1020080069584A KR 20080069584 A KR20080069584 A KR 20080069584A KR 101547525 B1 KR101547525 B1 KR 101547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user
information
taste
playli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5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8945A (en
Inventor
이근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525B1/en
Publication of KR2010000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9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525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75Musical metadata derived from musical analysis or for use i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081Genre classification, i.e. descriptive metadata for classification or selection of musical pieces according to styl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 G10H2240/155Library update, i.e. making or modifying a musical database using musical parameters as ind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사용자의 입력을 반영한 자동 음악 선곡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대표 음악을 선택하는 과정과, 대표 음악에서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된 음악 중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한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목록을 작성하는 과정과, 재생 목록에서 재생되는 특정 음악에 대하여 선택 정보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업데이트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취향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업데이트된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바탕으로 재생 목록을 새롭게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69584

음악 선곡, 사용자 취향, 재생 목록

The automatic music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selecting a most preferred representative music by the user; analyzing taste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representative music and selecting music corresponding to a user's taste among the stored music; A step of creating a playlist for playing back the selected music;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selection information has been input for a specific music to be played back in the playlist; And a step of newly creating a playlist based on the updated taste information of the user when the taste information of the user is updated.

Figure R1020080069584

Music selection, user preferences, playlists

Description

사용자의 입력을 반영한 자동 음악 선곡 장치 및 방법{AUTOMATIC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CONSIDERING USER INPU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음악 선곡 장치 및 음악 선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악을 들어며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입력받아서 재생 목록을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자동 음악 선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a music sele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receiving a user's tast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updating a play list.

최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가 많아지고 멀티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어떤 음악을 어떻게 골라 들을 것인가의 문제가 이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분류하기 위한 Description 방법이 MPEG-7 표준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Recently, as the types of multimedia contents have increased and the interest in multimedia has increased, the issue of how to select and listen to music has become an issue. For this purpose, a description method for classifying multimedia contents is made with the MPEG-7 standard.

휴대용 음악 재생기, MP3 플레이어 또는 PC(Personal Computer)등과 같은 단말기의 경우, 상기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단말기의 저장 용량이 많아지면서 수많은 컨텐츠들 중에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선택하여 듣는 것이 중요해 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을 그 취향에 따라 선곡하여 리스트를 제공하여 주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In the case of a terminal such as a portable music player, an MP3 player, or a PC, the number of users listening to music using the terminals is rapidly increasing, and as the storage capacity of the terminal increases, It became important to listen to the music you chose. According to this tendency, various techniques for providing a list by selecting a user's favorite music according to his / her taste are presented.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음악 선곡 서비스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제공된다. 하나는 사용자의 취향을 입력받아 그 기준에 맞는 음악들을 자동으로 선곡하여 재생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를 도 1에 도시하면 하기와 같다.Currently, music selection service is provided in two ways. One is a method of creating a playlist by inputting a user's taste and automatically selecting music that meets the criteria. This is shown in FIG.

도 1은 기존의 입력받은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음악을 선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selecting music by analyzing a taste of an existing user input.

도 1을 참조하면, 101단계에서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음악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취향 기준을 단말기의 입력부에 입력하여 그 기준에 맞는 음악들을 자동으로 선곡 할 수 있다. 103단계에서 단말기는 저장되어 있는 음악 중 사용자의 취향 기준에 맞는 음악들을 자동으로 선곡한다. 이 때, 입력부에 입력하는 사용자의 취향 기준은 곡의 곡명, 작곡자, 음반명이 될 수 있으며, 해당 곡에 이러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빠르기, 분위기 또는 장르 등이 활용될 수 있다. 105단계에서 자동으로 선곡된 음악들을 리스트로 작성하고, 107단계에서 작성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게 하여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악의 취향을 단말기의 입력부에 명확하게 입력할 경우, 취향에 맞는 음악을 자동으로 선곡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in step 101, a user may input a taste standard desired by a user himself / herself into an input unit of a terminal using music data stored in a storage unit of the terminal, and automatically select music corresponding to the criterion . In step 103, the terminal automatically selects music stored in the music that meets the taste criterion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taste standard of the user to be input to the input unit may be the name of the song, the name of the composer, and the name of the music. If there is no such information in the music, speed, atmosphere or genre may be utilized. The music selected automatically in step 105 is created as a list, and the list created in step 107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view and listen to the music.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when the user clearly inputs the taste of the desired music into the input unit of the terminal, the user can automatically select music suitable for his / her taste.

다음으로, 사용자가 일정 수 이상의 음악 샘플을 청취한 후,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자동으로 선곡하여 재생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를 도 1에 도시하면 하기와 같다.Next, after the user listens to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of music samples, the user obtains the user's taste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automatically selects music corresponding to the user's taste using the user's taste information. This is shown in FIG.

도 2는 기존의 일정 수 이상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샘플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음악을 선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selecting music by analyzing music samples preferr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users or more.

도 2를 참조보면, 201단계에서 단말기는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수의 음악 샘플을 생성한다. 음악 샘플은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음악 중 임의로 선택하여 샘플로 사용되어 질 수 있고, 장르나 빠르기 별로 구분되어 샘플로 사용되어 질 수도 있다. 203단계에서 사용자는 음악 샘플을 청취면서 현재 듣고 있는 음악이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취향이라는 판단이 들면, 곡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에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곡임을 선택한다. 205단계에서 단말기는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일정 수 이상의 음악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일정 수 이상의 음악이 선택될 때까지 203단계 및 205단계의 과정을 반복한다. 일정 수 이상의 음악이 선택되었다면, 207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일정 수 이상의 음악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한 취향 기준에 맞는 음악들을 자동으로 선곡하고, 209단계에서 선곡된 음악들을 리스트로 작성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악의 취향을 단말기의 입력부에 명확하게 입력하지 않고, 샘플의 선택만으로 취향에 맞는 음악을 자동으로 선곡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n step 201, the terminal generates a plurality of music samples for analyzing a user's taste. The music sample can be used as a sample by arbitrarily selecting from among a plurality of stored music, and can be used as a sample classified by genre or speed. In step 203,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music sample and determines that the music currently being listened to is a taste desired by the user, the user selects a desired song using the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while the song is being output. In step 205,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of music pieces necessary for analyzing the user's taste is selected. The steps 203 and 205 are repeated until a predetermined number of music pieces are selected. If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music pieces are selected, the user proceeds to step 207 to analyze the music pieces of the selected music piece to analyze the taste information of the user. Then, music pieces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taste are automatically selected, The list is created and displayed for the user to view. In this way, the user can automatically select the music that suits his / her taste by selecting only the sample, without clearly inputting the taste of the desired music to the input unit of the terminal.

하지만, 상기의 두 가지 음악 선곡 서비스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사용자의 취향을 입력받아 그 기준에 맞는 음악들을 자동으로 선곡하여 재생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은 듣고 싶은 음악이 명확하지 않고 모호한 경우에는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취향을 단말기의 입력부에 입력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듣고자 하 는 음악을 자동으로 선곡하는데 문제점이 생긴다. However, the above two music selection servic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a method of generating a playlist by automatically selecting music that satisfies the user's taste based on a user's taste is difficult because the user tends to input a desired taste to the input unit of the terminal when the music to be heard is ambiguous and ambiguous There is a problem in automatically selecting your own music.

다음으로, 사용자가 일정 수 이상의 음악 샘플을 청취한 후,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자동으로 선곡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이 비교적 정확하게 정의되기 위하여서 꽤 많은 수 이상의 음악을 듣고 선택해야하는 문제점이 생긴다.Next, a method in which a user acquires preference information of a user from a user after listening to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of music samples, and automatically selects music corresponding to a user's taste using the obtained preference informatio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listen to and select a great number of music.

따라서 단말기에 저장된 수많은 음악 중 원하는 음악을 자동으로 선곡하기 위하여, 선호하는 음악을 단말기에 알리기 위하여 많은 음악을 임의로 듣거나, 단말기로부터 주어진 일정 파라미터를 선택하거나 조합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 없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automatically select a desired music among a large number of music stored in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listen to a lot of music in order to notify the terminal of preferred music, or to make a list without having to make efforts to select or combine given parameters from the terminal Is required.

본 발명은 가능한 사용자가 음악을 추천받는데 필요한 사전 작업을 줄이면서 음악을 재생하는 동안 곡에 대해 때때로 입력하는 취향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재생 리스트를 작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laylist by reflecting preference information that is input from time to time on a song while reproducing music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prior tasks required for a user to receive recommendation of music.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을 반영한 자동 음악 선곡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대표 음악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대표 음악에서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된 음악 중 상기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목록을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재생 목록에서 재생되는 특정 음악에 대하여 선택 정보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업데이트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상기 업데이트된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재생 목록을 새롭게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music selection method reflecting user's input, comprising the steps of: selecting a user's favorite representative music; analyzing the user's taste information in the representative music;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electing music corresponding to a user's taste; creating a playlist for playing the selected music; determining whether selection information has been input for the specific music to be played in the playlist; 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the user's tas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creating a new playlist based on the updated taste information of the user when the taste information of the user is updated, .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을 반영한 자동 음악 선곡 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음악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음악 파일을 저장하는 음악 파일 저장부와,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악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해당 음악 파일의 선택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선택 정보 입력부와, 최초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 파일을 기준으로 사용자 취향에 맞는 음악 파일을 재생 목록으로 작성하는 재생 목록 작성부와, 상기 재생 목록부에서 작성된 재생 목록에 속해 있은 음악을 재생하는 음악 재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music selection apparatus reflecting user input, comprising: a music file storage unit for receiving a music file from an external device or a network and storing the received music file; A user selection information input unit for generating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music file when the user selected by the user; a playlist creation unit for creating a music file corresponding to a user's taste based on the music file selected by the first user, And a music playback unit for playing music included in the playlist created in the playlist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음악을 추천받는데 필요한 사전 작업을 줄이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자동으로 선곡하여 재생하는 효과를 가지고, 해당 음악에 대해 때때로 입력하는 취향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변하는 선곡 취향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ffect of automatically selecting and reproducing music desired by a user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prior tasks required for a user to receive a recommendation of the music, and the preference information, which is sometimes reflected in real time, It has an effect that it can be reflected in real tim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observe that certain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기존의 사용자의 취향을 입력 받아서 기 기준에 맞는 음악들을 자동으로 선곡하여 재생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은 사용자가 듣고 싶은 음악의 기준이 모호한 경우, 이를 표현하여 수치로 입력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원하는 음악을 제대로 선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일정 수 이상의 음악을 샘플로 청취하고,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하여 재생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은 사용자의 취향이 정확히 반영되기 위해서 일정 수 이상의 많은 음악을 샘플로 청취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method of generating a playlist by automatically selecting music that matches a predetermined user's taste by inputting the taste of an existing user is difficult when the criteria of the music that the user wants to listen to is ambiguous, The method of creating a playlist by listening to samples of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of music required for grasping a user's taste and grasping a user's taste is a method of sampling a number of music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must be listened to.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최초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하나 선택하면, 이 음악을 기준으로 유사한 음악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리스트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리스트가 업데이트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와 흐름도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in the related 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user selects one desired music, the similar music is automatically selected based on the selected music to generate a list,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same. Hereinafte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and flow chart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음악 선곡 장치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usic selection apparatus upd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음악 선곡 장치(31)는 음악 파일 저장부(301), 사용자 선호 정보 입력부(305), 재생 목록부(309), 재생 목록 작성부(307), 음악 파일 선택부(311), 음악 재생부(313)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로 구성된다. 음악 파일 저장부(301)는 선곡 정보 저장부(303)를 포함한다. 상기 나열한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the music selection apparatus 31 includes a music file storage unit 301, a user preference information input unit 305, a playlist unit 309, a playlist creation unit 307, a music file selection unit 311 A music playback unit 313, and a user interface unit 315. The music file storage unit 301 includes a music sele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303.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음악 파일 저장부(301)는 음악 선곡 장치(31)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음악 파일 저장부(33)로부터 음악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외부 음악 파일 저장부(33)는 휴대용 음악 재생기, MP3 플레이어 또는 PC와 같은 단말기 내의 저장부에 위치한 음악 파일을 저장한 공간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나 인터넷 등의 가상공간 일 수도 있다. 이러한 가상공간의 특정 사이트에 링크되어 있거나, 저장되어 있는 음악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하여 다수의 음악 파일이 음악 파일 저장부(301)에 저장되고, 이렇게 저장 된 음악 파일들은 음악 정보 저장부(301) 내에 위치한 선곡 정보 저장부(303)로 보내어진다. The music file storage unit 301 receives music files from the external music file storage unit 33 located outside the music selection apparatus 31 and stores the received music files. The external music file storage unit 33 may be a space storing music files located in a storage unit in a terminal such as a portable music player, an MP3 player, or a PC, or may be a virtual space such as a network or the Internet. A music file linked to or stored in a specific site in the virtual space can be downloaded. A plurality of music files are stored in the music file storage unit 301 through the various paths as described above and the stored music files are sent to the music sele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303 located in the music information storage unit 301. [

선곡 정보 저장부(303)에서는 음악 정보 저장부(301) 내에 저장된 음악 파일들의 선곡 정보를 하나하나 분석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음악 파일의 선곡 정보는 음악 파일 간의 비교 가능한 음악의 빠르기나 박자, 주파수, 비트율 등을 추출하여 선곡 정보로 저장한다. 이 때에 선곡 정보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만들 수도 있고, 각 음악 파일 내에 저장할 수도 있다. The music sele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303 plays a role of analyzing and storing selection information of music files stored in the music information storage unit 301 one by one.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a music file extracts the speed, beat, frequency, bit rate, etc. of comparable music among music files and stores it as selec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formed in a separate database (DB) or may be stored in each music fil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음악을 선택 또는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를 이용하여 상기 선곡 정보 저장부(303)에서 선곡 정보가 저장된 음악 파일 중 자신이 원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음악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 목록(309)에 추가한다. 재생 목록(309)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를 통하여 선택된 음악 파일이 저장된 공간이다. 음악 재생부(313)는 재생 목록(309)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전달받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재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user interface unit 315 plays a role of selecting or removing music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e user can use the user interface unit 315 to select one or more music files of his or her favorite music files stored in the music sele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303 and add them to the play list 309. [ The playlist 309 is a space in which the music file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315 is stored. The music reproduction unit 313 receives the music file stored in the reproduction list 309 and plays the music file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music file.

재생 목록 작성부(30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5)부에 의해 선택된 재생 목록(309)에 저장된 특정 음악 파일의 재생이 시작되면, 선곡 정보가 저장된 음악 파일 중 재생되고 있는 특정 음악 파일과 그 정보가 유사한 음악 파일들을 검색하여 추천 재생 목록을 작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When the reproduction of a specific music file stored in the play list 309 selected by the user interface unit 315 is started, the play list creating unit 307 creates a play list 309 including a specific music file being played back and its information Searches for similar music files and creates a recommended playlist.

사용자 선호 정보 입력부(305)는 음악 재생부(313)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파일인지의 여부를 입력받는 역할을 담당한다.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재생 목록(309)에 저장된 음악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재생한다. 사용자 선호 정보 입력부(305)에서 사용자의 선호 정보 입력을 수신하면, 재생 목록 작성부(307)에서 이를 반영하여 재생 목록을 새롭게 작성하게 된다.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input unit 305 plays a role of receiving whether or not the music being reproduced in the music reproduction unit 313 is a music file preferred by the user. If there is no input, the music files stored in the playlist 309 are sequentially played back. Upon reception of the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input unit 305, the playlist creation unit 307 reflects the preference information and newly creates a playlist.

상기에 설명된 각 구성들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파일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automatically updating a music file desired by the user in real time using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한 음악을 자동으로 선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selecting music in consideration of a user's taste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사용자는 단말기의 음악 파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음악 중, 자신이 가장 선호하는 음악을 하나 선택하고 이를 대표 음악으로 지정한다. 선호하는 음악이 없을 경우에는 자신이 선호하는 음악이 저장되어 있는 외부 단말기나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선호하는 음악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선호하는 대표 음악이 선택되면, 403단계에서 단말기는 선택된 대표 음악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취향 정보를 알아낼 수 있고, 사용자 취향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음악 파일 저장부로부터 이전에 사용자가 선택한 대표 음악과 유사한 음악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음악 정보는 해당 음악이 저장하고 있는 모든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는 가수명, 장르, 분위기 등이 될 수도 있고, 해당 음악의 박자, 빠르기 등이 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 in step 401, the user selects one of his / her favorite music from a plurality of music stored in the music file storage unit of the terminal, and designates it as representative music. If there is no preferred music, the user may receive preferred music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or a network on which his / her favorite music is stored. If the user's preferred representative music is selected in step 403, the terminal analyzes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representative music to find out the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If the preference music is selected from the music file storage part of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extract music similar to the representative music. Here, the music information can be all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usic. The information may be a singer name, a genre, an atmosphere, or the like, and may be a beat, a pause, or the like of the music.

403단계에서 추출된 대표 음악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음악은 405단계에서 단말기의 재생 목록 작성부를 이용하여 재생 목록으로 작성되고, 이렇게 작성된 재생 목록은 단말기의 재생 목록부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재생 목록부에 저장된 재생 목 록을 스캔하여 음악을 청취하게 되는데, 이 전에, 407단계에서 사용자의 취향 정보와 다른 음악을 재생 목록에 임의로 삽입한다. 이는 실시간으로 변할 수 있는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한 것으로, 이렇게 삽입된 음악을 통하여 다른 종류의 재생 목록을 만들 수 있다. 사용자 취향 정보와 다른 음악을 선택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선택한 대표 음악의 장르가 발라드였다면, 발라드 장르가 아닌 댄스, 록과 같은 장르의 음악을 선택하여 재생 목록에 임의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대표 음악의 빠르기나 박자의 속도 등을 분석하여 대표 음악의 빠르기나 박자의 속도에 반대되는 음악을 선택하여 재생 목록에 임의로 삽입할 수도 있다. One or more music including the representative music extracted in step 403 is created as a playlist using the playlist creation unit of the terminal in step 405, and the created playlist is stored in the playlist unit of the terminal. The user scans the reproduction list stored in the reproduction list unit and listens to the music. In step 407, the user arbitrarily inserts music other than the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into the reproduction list. I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taste of the user who can change in real time, and thus it is possible to make different kinds of playlists through the inserted music. There are various criteria for selecting music that is different from the user's taste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genre of the representative music selected by the user is a ballade, music of a genre such as a dance or a rock, rather than a ballad genre, can be selected and inserted arbitrarily into a playlist. Also, by analyzing the speed of the representative music and the speed of the beat, the user can select the music corresponding to the speed of the representative music or the speed of the beat, and insert the music into the playlist at will.

이렇게, 재생 목록이 완성되면, 409단계에서 재생 목록을 스캔하여 재생 목록부 내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현재는 사용자가 선택한 대표 음악이 재생되고 있으므로, 다음 음악 재생이 시작되면, 411단계에서 단말기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이 마지막 음악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일 예로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것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재생 목록 생성 후, 재생 유무에 따라서 판단할 수도 있다. When the play list is completed, the play list is scanned in step 409 to reproduce the music stored in the play list part. Since the representative music selected by the user is currently being played back, if the next music reproduction starts,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music currently being played is the last music. There are a variety of criteria for judging, for example, it may be judged based on sequential playback, or it may be judged based on whether or not playback is performed after generation of a playlist.

현재 재생되는 음악이 마지막 음악이 아니라면, 413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선택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계속 청취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409단계로 돌아가서 현재 재생되는 음악 이후 다음 음악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준비를 한다. 만약 선택 정보가 입력되었다면, 415단계로 진행하여 선택 정보를 사 용자 취향 정보에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업데이트된 사용자 취향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재생 목록을 업데이트하여 409단계로 돌아간다. 여기에서, 선택 정보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의 선호 여부를 획득하는 단계로, 이 때 획득한 정보를 기존의 사용자 취향 정보에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업데이트된 사용자 취향 정보를 생성하고, 재생 목록을 새롭게 업데이트하게 된다. 일 예로 사용자 취향 정보를 장르를 기준으로 하고, 그 선호 장르의 종류가 발라드라고 가정하면, 대표 음악 다음으로 재생되는 음악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이고, 상기 음악이 락발라드인 경우, 선호 장르에 락발라드를 추가하여 사용자 취향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선택되지 않은 락발라드를 포함한 재생 목록을 새롭게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락발라드가 사용자 싫어하는 장르라면, 싫어하는 장르에 락발라드를 추가하여 사용자 취향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전체 발라드 중 락발라드를 제외한 재생 목록으로 새롭게 업데이트 할 수도 있다.If the currently played music is not the last music,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13, wher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lection information for the currently playing music is input. If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not input, it is interpreted as meaning that the music currently being reproduced is continuously heard,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409 to prepare for determination of the next music after the currently reproduced music. If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inpu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15 where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reflected in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to generate updated user p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playlist is updated accordingly. Here,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a step of acquiring the preference of the currently reproduced music. At this time, the acquired information is additionally reflected in the existing user preference information to generate updated user p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play list is newly updated . For example, if the user taste information is based on a genre and the type of the favorite genre is ballade, it is preferable that the music is the user's favorite music to be reproduced next to the representative music. If the music is rock ballad, By adding a rock ballad, you can updat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to update the playlist, including the unselected rock ballads. In addition, if a rock ballad is a genre that the user dislikes, it is possible to update the user's taste information by adding a rock ballad to a genre that he dislikes, and update the playlist with the exception of the rock ballard of the entire ballad.

411단계에서 현재 재생되는 음악이 마지막 음악이라면, 417단계로 진행하여 마지막 음악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 또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다면, 415단계로 진행하여 선택 정보를 사용자 취향 정보에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업데이트된 사용자 취향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재생 목록 또한 새롭게 업데이트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411 that the music currently being played is the last music, step 417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election information for the last music is input. If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also inpu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15 where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reflected in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to generate updated user p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playlist corresponding thereto is newly updated.

상기의 일련의 단계를 통하여서 최초 사용자 취향 정보를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이에 따라서 재생 목록 또한 새롭게 업데이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시간 유사한 음악을 듣게 되면 싫증이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407단계에서 삽입한 사용자 취향 정보와 다른 음악을 사용자 취향 정보에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재생 목록에 자동으로 반영해 줄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steps, the initial user taste information is upd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user, and the play list is updated accordingly,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desired music.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getting tired of listening to similar music for a long time, the user's taste information inserted in step 407 may be additionally reflected in the user's taste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reflected in the play lis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코드를 이용한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using a mobile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nd can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도 1은 기존의 입력받은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음악을 선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selecting music by analyzing a taste of an input user

도 2는 기존의 일정 수 이상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샘플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음악을 선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selecting music by analyzing music samples preferr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users or mor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음악 선곡 장치의 내부 블록 구성도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usic selecting apparatus upd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한 음악을 자동으로 선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selecting music in consideration of a user's taste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사용자의 입력을 반영한 자동 음악 선곡 방법에 있어서,An automatic music selection method reflecting user's input,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대표 음악을 선택하는 과정과,Selecting the most preferred representative music according to a user's input; 상기 대표 음악에서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된 음악 중 상기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선택하는 과정과,Analyzing the taste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representative music and selecting music corresponding to the user's taste among the stored music; 상기 선택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목록을 작성하는 과정과,Creating a playlist for playing music corresponding to a taste of the selected user; 상기 작성한 재생 목록에 상기 분석한 사용자의 취향 정보와 다른 일정 수의 음악을 임의로 삽입하는 과정과,Randomly inser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pieces of music into the created playlist, the piece of music being different from the analyzed taste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재생 목록에서 재생되는 특정 음악에 대하여 선택 정보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or not selection information is input for a specific music to be reproduced in the playlist;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업데이트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the user's tas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상기 업데이트된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재생 목록을 새롭게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악 선곡 방법.And generating new playlists based on the updated user taste information when the user's taste information is upd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선택하는 과정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selecting music corresponding to the user's taste comprises: 상기 대표 음악의 빠르기, 장르, 비트율, 분위기를 포함하는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에 속하는 음악을 사용자 취향 정보가 반영된 음악으로 선택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악 선곡 방법.And selecting music included 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based 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ace, the genre, the bit rate, and the atmosphere of the representative music as the music in which the user's taste information is reflec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input comprises: 상기 선택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계속 재생하는 단계와,If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not input, continuously reproducing the currently reproduced music; 상기 선택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현재 재생되는 음악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취향 정보에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취향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악 선곡 방법.And updating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by additionally reflecting the currently played music information to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when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inpu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는4. The method of claim 3, 입력되는 정보의 종류가 선호하는 정보인지, 선호하지 않는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취향 정보에 추가적으로 반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악 선곡 방법.Determining whether the type of the input information is the preferred information or the non-preferred information, and further reflecting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in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삭제delete 사용자의 입력을 반영한 자동 음악 선곡 장치에 있어서,In an automatic music selection apparatus reflecting user's input, 외부 기기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음악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음악 파일을 저장하는 음악 파일 저장부와,A music file storage unit for receiving a music file from an external device or a network and storing the received music file,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악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해당 음악 파일의 선택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선호 정보 입력부와,A user preference information input unit for generating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music file when the music file currently being reproduced is selected by the user, 최초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 파일을 기준으로 사용자 취향에 맞는 음악 파일을 재생 목록으로 작성하며, 상기 작성한 재생 목록에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와 다른 일정 수의 음악을 임의로 삽입하는 재생 목록 작성부와,A playlist creation unit for creating a music file corresponding to a user's taste based on the music file selected by the first user as a playlist and inserting a certain number of music different from the taste information of the user into the created playlist, 상기 재생 목록부에서 작성된 재생 목록에 속해 있는 음악을 재생하는 음악 재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악 선곡 장치.And a music playback unit for playing music included in the playlist created by the playlist un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파일 저장부는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music file storage unit 선곡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악 선곡 장치.And a music sele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usic selection informa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 정보 입력부는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input unit 추가로 입력되는 선호 정보를 반영하여 새롭게 사용자 취향 정보를 업데이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악 선곡 장치.And updates the user taste information to reflect the preference information that is further inpu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목록 작성부는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playlist creation unit 상기 사용자 취향 정보가 업데이트 되면, 업데이트된 사용자 취향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목록을 새롭게 업데이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악 선곡 장치.Wherein when the user taste information is updated, a new play list is updated using updated user taste information.
KR1020080069584A 2008-07-17 2008-07-17 Automatic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considering user input Expired - Fee Related KR1015475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584A KR101547525B1 (en) 2008-07-17 2008-07-17 Automatic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considering user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584A KR101547525B1 (en) 2008-07-17 2008-07-17 Automatic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considering user inp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945A KR20100008945A (en) 2010-01-27
KR101547525B1 true KR101547525B1 (en) 2015-08-26

Family

ID=4181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58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7525B1 (en) 2008-07-17 2008-07-17 Automatic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considering user inp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5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02786B1 (en) * 2024-08-29 2025-05-08 주식회사 핸드릭스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sample tracks for sound source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1942B2 (en) 2011-12-22 2016-06-07 Apple Inc. Playlist configuration and preview
DK3242196T3 (en) * 2016-05-03 2020-11-16 Hoffmann La Roche Method for providing a favorite menu on a computer device and computer device
KR102032313B1 (en) * 2018-06-01 2019-10-14 (주)오렌지디지트코리아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box management system
KR102198075B1 (en) * 2020-08-06 2021-01-04 (주)오렌지디지트코리아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box management system
KR102198074B1 (en) * 2020-08-06 2021-01-04 (주)오렌지디지트코리아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box managemen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308B1 (en) * 2006-10-13 2008-02-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308B1 (en) * 2006-10-13 2008-02-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02786B1 (en) * 2024-08-29 2025-05-08 주식회사 핸드릭스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sample tracks for sound source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945A (en)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1001B2 (en) Personalized playlist arrangement and stream selection
KR1009906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playlist
US7680824B2 (en) Single action media playlist generation
US79535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udio track based upon audio excerpts
US20060224260A1 (en) Scan shuffle for building playlists
CN103137167B (en) Play method and the music player of music
US8060227B2 (en) Digital media player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ocial music discovery through sampling, identification, and logging
KR101143160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browsing of music
US20090158155A1 (en) Playlist generation, delivery and navigation
US20130030557A1 (en) Audio player and operating method automatically selecting music type mode according to environment noise
EP2461259A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KR101547525B1 (en) Automatic music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considering user input
EP2396737A1 (en) Music profiling
JP2008217254A (en) Playlist creation device and playlist creation method
US12164826B2 (en) Skip behavior analyzer
EP3703382A1 (en) Device for efficient use of computing resources based on usage analysis
KR2007004019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 for digital contents
KR20110075259A (en) An online music service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usic playlist reflecting user preferences and ratings
JP20085351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content and queries in a device
JP200804104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401226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4974184B (en) Audio production method, device, terminal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10963509B2 (en) Update method and update apparatus
JP4929765B2 (en) Content search apparatus and content search program
KR20070048484A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feature database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of music files,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playlist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8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