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475B1 - Structure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of earth having polygonal framework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of earth having polygonal frame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6475B1 KR101826475B1 KR1020170074727A KR20170074727A KR101826475B1 KR 101826475 B1 KR101826475 B1 KR 101826475B1 KR 1020170074727 A KR1020170074727 A KR 1020170074727A KR 20170074727 A KR20170074727 A KR 20170074727A KR 101826475 B1 KR101826475 B1 KR 1018264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retaining wall
- earth
- horizontal polygonal
- polygo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설계 및 설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있고, 대지면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공사 현장에 적용할 수 있으며, 스트러트의 운반, 보관 및 조립이 용이한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 터파기 시 토압에 의한 토사의 붕괴방지를 위해 설치된 흙막이벽체와, 상기 흙막이벽체의 내면 둘레를 따라 수평하게 고정 설치된 띠장과, 상기 흙막이벽체의 내부에 기 설계된 다각형상의 각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수직으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포스트파일과, 상기 흙막이벽체를 바라보는 상기 포스트파일 각각의 일면에 각각의 외측브라켓을 매개로 고정 결합된 복수의 외측서포트빔과,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띠장과 연결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부가 상기 외측서포트빔 각각의 위에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기초스트러트와, 상기 포스트파일 각각의 타면에 각각의 내측브라켓을 매개로 고정 결합된 복수의 내측서포트빔과, 상기 내측서포트빔 각각의 위에 단일폐곡선을 그리면서 수평 다각형상을 이루도록 직렬로 연결 설치된 복수의 수평다각스트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ensate for design and installation errors while ensuring a wide working space, and can be adjusted to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groun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struction sites, and the transport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quake-resistant structural support unit having an easy horizontal polygonal structure. The earthquake-proof structural member is provided for preventing collapse of soil caused by earth pressure at the time of destruction of a subterranean structure, a wale band horizontally fix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earth retaining wall, A plurality of post files vertically arrang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respective vertexes of a polygon designed in the interior of the earth retaining wall and a plurality of post files fixedly coupled to one surface of each of the post files facing the earth retaining wall through respective outer brackets A plurality of outer support beams, one end of each of which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wale, A plurality of inner support beam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each of the post files via respective inner brackets, and a plurality of inner support beam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inner support beam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polygonal struts connected in series so as to form a horizontal polygonal image while drawing a single closed curve on the top of the horizontal polygonal stru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 건축물 및 지하 구조물을 축조할 때 지하굴착으로 인한 수평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흙막이 벽체의 지보구조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structure of an earth retaining wall for supporting horizontal earth pressure due to underground excavation when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s and underground structures.
일반적으로 건물을 시공할 경우 지하층을 구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지하층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하 터파기를 하여 지하 바닥에서부터 지하구조물을 설치해야 한다.Generally, when a building is constructed, a basement layer is constructed. In order to construct such a basement layer, an underground structure must be installed from the underground floor to the underground floor.
이때, 고심도의 지하로 터파기하여 내려가기 위해서는 토압에 의한 토사의 붕괴방지를 위한 흙막이벽과, 지하수를 차단하기 위한 차수그라우팅이 반드시 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건물의 지하층 구축을 위해 시공하는 흙막이벽과 그라우팅을 가시설공사라 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descend to the deep underground, the earth retaining walls for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earth slope due to the earth pressure and the order grouting for blocking the ground water must be constructed.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s and grouting for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of such a building is referred to as temporary construction.
이러한 가시설공사 중 흙막이벽 공법으로는, 파일 토류판 흙막이벽 공법, 소일시멘트 월(SCW, Soil Cement Wall) 공법, 다이아프램 월(Diaphragm Wall) 공법 및 CIP(Cast In Place Pile) 공법 등이 있다.Among these temporary wall construction methods, there are fountain wall wall construction method, Soil Cement Wall (SCW) method, Diaphragm Wall method and CIP (Cast In Place Pile) method.
상술한 흙막이벽 공법에 의해 흙막이벽이 시공되면 수평토압에 의해 흙막이벽이 무너지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보구조물이 설치된다. 지보구조물 공법으로는, 어스앵커(Earth Anchor) 공법, 탑다운(Top Down) 공법 및 스트러트(Strut) 공법 등이 있다.When the earth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the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earth retaining wall by the horizontal earth pressure is installed. Examples of the support structure method include an earth anchor method, a top down method, and a strut method.
상기 어스앵커 공법은 지하 터파기 면적의 외측에 어스앵커를 설치하므로 대지면적 이외의 부지가 필요하고, 탑다운 공법은 공사기간이 매우 길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대지면적 범위 안에서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스트러트 공법이 널리 사용된다.The earth anchor method requires an area other than the ground area because the earth anchor is installed outside the ground surface of the ground, and the top down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is very long. Strut method is widely used.
스트러트 공법은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터파기시 흙막이벽체(10)의 수평토압을 지지하도록 격자 형상으로 복수의 스트러트(20)를 수평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스트러트(20)는 서로 대향되는 흙막이벽체(10)를 가로질러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strut method generally comprises horizontally installing a plurality of
지하 터파기 공사시 대지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상기 스트러트(20)의 길이도 길어질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스트러트(20)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게 되는 수평좌굴이 발생한다. 이러한 스트러트(20)의 수평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러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포스트파일(30)이 설치된다. 이러한 포스트파일(30)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스트러트(2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수평토압과는 무관하고, 스트러트(20)의 자중을 지지하면서 스트러트(20)가 수평방향을 유지하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할 뿐이다.When the earth surface area is wide at the time of the subterranean digging work, the length of the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러트 지보공법은, 흙막이벽체(10)의 수평토압을 지지하기 위하여 격자 형상으로 복수의 스트러트(20)가 수평하게 설치되면서 그만큼 많은 수의 포스트파일(30)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러트(20)에 의해 지하 굴착을 위한 대형 굴착기 등이 진입하기 어렵고, 포스트파일(30)에 의해 작업공간 역시 확보되지 못하여 작업 효율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The strut supporting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requires a large number of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0915099호의 '수평 아치형 구조재에 의한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수평 아치형 구조재를 이용한 스트러트 지보구조는 아치형 또는 원형으로 곡률반경을 가진 복수의 아치형구조재를 제작하여 양단을 연결하는 것인데, 이론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지라도 실제 공사 현장에서는 실시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structure of a pertinent wall unit unit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it by a horizontal arcuate structural member of Patent Registration No. 10-0915099 is proposed. However, the conventional strut support structure using a horizontal arcuate structural member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arcuate structural members having arcuate or circular curvature radii and connecting the both ends. Although theoretically can be implemented, there is a problem have.
왜냐하면, 첫째 설계시와 실제 공사시 설계 오차는 물론, 공사 현장에서의 설치오차가 크기 때문에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진 복수의 아치형구조재 각각의 양단이 정확하게 연결될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특정의 곡률반경을 가진 복수의 아치형구조재는 일정한 직경을 가진 원형 또는 아치형 하나의 타입을 가지므로 지하 터파기시 대지면적에 따라 가변적으로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 다양한 공사 현장에 적용될 수 없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셋째 아치형 구조를 이루기 위해 복수의 아치형구조재는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굽어 있으므로 운반 및 보관시 불편하고, 특히 각각을 용접하여 결합하므로 복수의 용접결합면 중 어느 하나의 용접결합면이 비틀어지더라도 이를 보정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This is because both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rcuate structural members having a certain radius of curvature can not be connected accurately, because the installation error in the construction site is large as well as the design error in the first design and the actual construction. Second, since a plurality of arcuate structural members having a specific radius of curvature have a circular or arcuate shape with a certain diameter, it is not possible to adjust the size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ground when digging a subterranean ground, thereby causing serious problems that can not be applied to various construction sites have. In order to achieve the third arcuate structure, the plurality of arcuate structural members are curved so as to have a radius of curvature, which is inconvenient in transportation and storage. Particularly, since each of the arcuate structural members is welded to each other, even i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welded surfaces is twis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do.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설계 및 설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있고, 대지면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공사 현장에 적용할 수 있으며, 운반, 보관 및 조립이 용이한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system for correcting design and installation errors, And a horizontal polygonal structure which is easy to carry, store and assemble.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은, 지하 터파기 시 토압에 의한 토사의 붕괴방지를 위해 설치된 흙막이벽체와, 상기 흙막이벽체의 내면 둘레를 따라 수평하게 고정 설치된 띠장과, 상기 흙막이벽체의 내부에 기 설계된 다각형상의 각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수직으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포스트파일과, 상기 흙막이벽체를 바라보는 상기 포스트파일 각각의 일면에 각각의 외측브라켓을 매개로 고정 결합된 복수의 외측서포트빔과,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띠장과 연결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부가 상기 외측서포트빔 각각의 위에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기초스트러트와, 상기 포스트파일 각각의 타면에 각각의 내측브라켓을 매개로 고정 결합된 복수의 내측서포트빔과, 상기 내측서포트빔 각각의 위에 단일폐곡선을 그리면서 수평 다각형상을 이루도록 직렬로 연결 설치된 복수의 수평다각스트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rforated wall unit unit support structure having a horizontal polygonal structure, comprising: an earth retaining wall installed to prevent the disintegration of soil caused by earth pressure at the time of disposal of a subterranean wall; A plurality of postfiles vertically arrang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respective vertexes of the polygon designed in the interior of the earth retaining wall body and a plurality of postfiles each of whi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postfiles facing the earthwashing wall body, A plurality of outer support beams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via an outer bracket, a plurality of foundation struts ea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wale, and the other end fixedly coupled to each of the outer support beams, A plurality of inner support beams fixedly coupled to the respective other surfaces via respective inner bracket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polygonal struts connected in series so as to form a horizontal polygonal image while forming a single closed curve on each of the inner support beams.
또한, 상기 수평다각스트러트 각각은, 정 다각형상을 가지도록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horizontal polygonal struts may have a regular polygonal shape.
또한, 상기 내측서포트빔 각각의 위에 고정 설치되는 연결조절프레임과, 상기 연결조절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수평다각스트러트 각각을 좌우로 연결하며, 좌우에 연결된 상기 수평다각스트러트 각각의 연결길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연결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control frame may include a connection adjustment frame fixedly installed on each of the inner support beams, and a connection adjustment frame provided on each of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onnection adjustment frame, connecting a pair of the horizontal polygonal struts to each other, And a pair of connection adjustment portions capable of adjusting the connection length and angle.
또한, 상기 연결조절부 각각은, 일단부가 상기 연결조절프레임에 수직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원통형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각도조절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타단부로부터 인입출되도록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길이조절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길이조절부재의 타단부와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평다각스트러트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와 형합되도록 삽입 결합되는 스트러트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connection adjusting portions includes an angle adjusting member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adjusting frame with a vertical axis as a center of rotation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threa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ylindrical shape, A length adjusting member screwed to the oth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so as to be pulled in and out from the other end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And a strut connecting member which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be engaged with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strut connection member.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파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gth adjusting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ip protrusions formed radial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은, 단일폐곡선을 그리면서 수평 다각형상을 이루도록 직렬로 연결 설치된 복수의 수평다각스트러트를 통해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연결조절프레임 및 연결조절부를 통해 설계 및 설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있으며, 대지면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공사 현장에 적용할 수 있고, 운반, 보관 및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earth retaining unit unit support structure having a horizontal polygo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a wide working space through a plurality of horizontal polygonal struts connected in series so as to form a horizontal polygonal shape while forming a single closed curve,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design and installation error through the connection control part, and it can be adjusted to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lan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struction sites, and it is easy to carry, store and assembl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격자형 스트러트 지보방식에 의한 지하 터파기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예 중 격자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스트러트 지보방식에 의한 지하 터파기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실시예 중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서 연결조절부의 좌우측에 한 쌍의 수평다각스트러트를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 중 연결조절프레임 및 연결조절부를 확대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서 도면상 좌측 연결조절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실시예에서 도면상 우측 연결조절부에 수평다각스트러트가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에서 도면상 좌측 연결조절부에 수평다각스트러트가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에 의한 6각형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에 의한 20각형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ubterranean disposal metho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grill type strut support system,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arth retaining wall unit supporting structure having a lattice-like structure in the embodiment of FIG. 1,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ubterranean digging process by a strut support system having a horizontal polygo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3,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ecuring structure of the perimeter wall structure unit having the horizontal polygonal structure in the embodiment of FIG. 4,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 pair of horizontal polygonal stru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nection adjusting unit in the embodiment of FIG. 6,
FIG. 8 is a main par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connection adjusting frame and the connection adjusting part in the embodiment of FIG. 7,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ft connection adjusting part in the embodiment of FIG. 8,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 horizontal polygonal strut into the right connection adjustment por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8,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 horizontal polygonal strut into the left connection adjustment por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10,
12 is a plan view showing a hexagonal structure by the earth retaining wall unit support structure having a horizontal polygo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 20-angular structure of a perimeter wall unit unit support structure having a horizontal polygo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unit support structure having a horizontal polygo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은, 도 4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막이벽체(100), 띠장(200), 포스트파일(300), 외측서포트빔(400), 기초스트러트(500), 내측서포트빔(600) 및 수평다각스트러트(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연결조절프레임(800) 및 연결조절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조절부(900)는 각도조절부재(910), 길이조절부재(920) 및 스트러트연결부재(930)를 포함할 수 있고, 길이조절부재(920)는 파지돌기(921)가 형성될 수 있다.4 to 13, the earthen block wall unit support structure having a horizontal polygo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흙막이벽체(100)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터파기 시 토압에 의한 토사의 붕괴방지를 위해 설치된다. 흙막이벽체(100)의 외측에는 지하수를 차단하기 위한 차수그라우팅(도면 미도시)이 반드시 시공되어야 하고, 이러한 건물의 지하층 구축을 위해 시공하는 흙막이벽체(100)과 그라우팅을 가시설공사라 한다. 이러한 가시설공사 중 흙막이벽 공법으로는, 파일 토류판 흙막이벽 공법, 소일시멘트 월(SCW, Soil Cement Wall) 공법, 다이아프램 월(Diaphragm Wall) 공법 및 CIP(Cast In Place Pile) 공법 등이 있으며, 어떠한 공법을 사용하든 토사의 붕괴방지를 위한 흙막이벽체(100)가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흙막이벽체(100)가 시공되면 수평토압에 의해 흙막이벽체(100)가 무너지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보구조물이 설치되어야 한다. 지보구조물 중 스트러트 지보방식의 경우 흙막이벽체(100)와 후술하는 기초스트러트(500)를 연결하도록 띠장(200)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earth
띠장(200)은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흙막이벽체(100)의 내면 둘레를 따라 수평하게 고정 설치된다. 띠장(200)은 지보구조물의 구성부재 중 하나로서, 흙막이벽체(100)에 작용하는 토압을 균등하게 받아 후술하는 기초스트러트(5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띠장(200)은 흙막이벽체(100)의 굴착 깊이에 따라 그 위치가 결정되지만 대체로 수직간격은 2~3m 정도가 된다. 띠장(200)은 흙막이벽체(100)에 최대한 밀착시켜야 하고, 만일 그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였다면 강재 피스나 콘크리트 또는 몰타르 등을 충진하여 좌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5 to 6, the
포스트파일(300)은 도 3,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흙막이벽체(100)의 내부에 기 설계된 다각형상의 각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수직으로 배열 설치된다. 예컨대, 지하 터파기하고자 하는 대지면적의 넓이에 따라 다각형상으로 미리 설계하고, 복수의 포스트파일(300) 각각을 기 설계된 다각형상의 각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대지면적이 좁은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상으로 설계하고, 상기 포스트파일(300) 각각은 후술하는 연결조절프레임(800)의 위치, 즉 육각형상의 각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한다. 또한, 대지면적이 넓은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십각형상으로 설계하고, 상기 포스트파일(300) 각각은 이십각형상의 각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포스트파일(30)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후술하는 기초스트러트(500) 및 수평다각스트러트(70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수평토압과는 무관하고, 각각의 스트러트(500)(700)의 자중을 지지하면서 각각의 스트러트(500)(700)가 수평방향을 유지하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할 뿐이다.As shown in FIGS. 3, 6 and 7, the
먼저, 기초스트러트(500)를 상기 포스트파일(300)이 수평으로 받쳐주기 위하여,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서포트빔(400)이 필요하다. 즉, 외측서포트빔(400)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흙막이벽체(100)를 바라보는 상기 포스트파일(300) 각각의 일면에 각각의 외측브라켓(410)을 매개로 고정 결합된다.Firstly, in order to support the
이때, 기초스트러트(500)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띠장(200)과 연결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부가 상기 외측서포트빔(400) 각각의 위에 고정 결합된다.4 to 7, one end of each of the foundation struts 500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이렇게 육각형상의 각 꼭지점에 포스트파일(300) 각각을 수직으로 설치한 후, 외측브라켓(410)을 매개로 포스트파일(300)에 외측서포트빔(400)을 결합시키고, 상기 외측서포트빔(400) 위에 기초스트러트(500)를 띠장(200)과 연결 고정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육각형상의 각 꼭지점에 대하여 포스트파일(300)이 설치된 상태에서 흙막이벽체(100)로부터 발생하는 수평방향 토압이 기초스트러트(500)로 전달되면서 육각형상의 각 꼭지점에 최종 전달되는 것이다. 이러한 육각형상의 꼭지점에 전달되는 수평방향 토압은 후술하는 수평다각스트러트(700)에 의해 분산되면서 전달되어 흙막이벽체(100)의 수평토압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이러한 수평다각스트러트(700)를 상기 포스트파일(300)이 수평으로 받쳐주기 위하여,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서포트빔(600)이 필요하다. 즉, 내측서포트빔(600)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파일(300) 각각의 타면에 각각의 내측브라켓(610)을 매개로 고정 결합된다.To support this horizontal
이때, 수평다각스트러트(700)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내측서포트빔(600) 각각의 위에 단일폐곡선을 그리면서 수평 다각형상을 이루도록 직렬로 연결 설치된다. 단일폐곡선이란 다각형, 원, 타원 등과 같이 직선이나 곡선 위에 한 점을 찍었을 때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닫힌 도형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수평 다각형상의 단일폐곡선을 그리도록 각각의 수평다각스트러트(700)가 직렬로 연결 설치되는 구조이다.4 to 7, the horizontal polygonal struts 700 are connected in series so as to form a horizontal polygonal shape while drawing a single closed curve on each of the inner support beams 600. [ A single closed curve refers to a closed figure having the same starting point and ending point when a point is drawn on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such as a polygon, a circle, an ellipse,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horizontal
상기와 같은 복수의 수평다각스트러트(700)가 다각 형상을 가질 경우 도 5,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 다각형상을 가지도록 연결되도록 가능한 설계 및 설치한다. 왜냐하면, 정 다각형상을 가지도록 설계 및 설치되어야 다각 형상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힘이 주어질 때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동일한 반력 및 분력이 발생하여 보다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Whe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polygonal struts 700 have a polygonal shape, it is designed and installed so as to have a regular polygonal shape as shown in FIGS. 5, 12 and 13. This is because, when the same force is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each vertex of the polygonal shape,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install the polygonal image so that the same reaction force and the same force are gener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그러나, 설계시에 복수의 수평다각스트러트(700)를 정 다각형상으로 설계하더라도, 첫째 수평다각스트러트(700) 각각이 정확하게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기 어렵고(제작 오차), 둘째 포스트파일(300)이나 수평다각스트러트(700)의 설치시에도 정확한 각도 및 위치에 놓이기가 어렵다(설치 오차). 따라서, 이러한 제작 및 설치 오차를 반영하여 수평다각스트러트(700)를 수평 다각형상을 이루도록 직렬 연결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연결조절프레임(800) 및 연결조절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owever, even if a plurality of horizontal polygonal struts 700 are designed to have a regular polygonal shape at the time of designing, it is difficult for each first horizontal
즉, 도 5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조절프레임(800)은 상기 내측서포트빔(600) 각각의 위에 고정 설치되고, 연결조절부(90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조절프레임(80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수평다각스트러트(700) 각각을 좌우로 연결하며, 좌우에 연결된 상기 수평다각스트러트(700) 각각의 연결길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5 to 13, the
보다 구제적으로, 상기 연결조절부(900) 각각은, 도 6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재(910), 길이조절부재(920) 및 스트러트연결부재(930)를 포함할 수 있다.More precisely, each of the
각도조절부재(910)는 일단부가 상기 연결조절프레임(800)에 수직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원통형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연결조절프레임(800)에 대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910)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설계하고자 하는 다각 형상의 내각에 맞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필요시 제작 및 설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미세하게 각도를 조절하여 수평다각스트러트(7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910)의 타단부는 원통형상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길이조절부재(920)와의 관계에서 길이조절을 담당하기 위한 구성이 된다.One end of the
즉, 길이조절부재(920)는 일단부가 상기 각도조절부재(920)의 타단부로부터 인입출되도록 상기 각도조절부재(910)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길이조절부재(920)를 정역회전 시킴에 따라 길이조절부재(920)의 일단부가 상기 각도조절부재(920)의 타단부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길이조절부재(920)는 수평다각스트러트(700)의 연결길이가 충분치 않을 경우에는 각도조절부재(910)로부터 인출되고, 수평다각스트러트(700)의 연결길이가 소폭 긴 경우에는 각도조절부재(910)에 인입되어 연결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스트러트연결부재(930)는 일단부가 상기 길이조절부재(920)의 타단부와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평다각스트러트(70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와 형합되도록 삽입 결합된다. 즉, 길이조절부재(920)는 길이방향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정역회전하면서 각도조절부재(910)와 나사결합 또는 풀림되어 인입출 작동하므로 스트러트연결부재(930)의 일단부는 길이조절부재(920)와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자유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스트러트연결부재(930)의 타단부는 수평다각스트러트(7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삽입 형합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다각스트러트(700)가 'I' 또는 'H'형강인 경우 이러한 수평다각스트러트(70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스트러트연결부재(930)의 타단부에 삽입되면서 형합되어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인 '〕〔'을 가진다. 또한, 수평다각스트러트(700)가 중공 또는 중실의 원형 또는 환형이나 사각형상인 경우에는 역시 스트러트연결부재(930)의 타단부에 형합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인 더 크거나 작은 원형 또는 환형이나 사각형상 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One end of the
한편, 상기 길이조절부재(920)는 각도조절부재(910)에 대하여 정역회전 하면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길이조절부재(920)를 용이하게 정역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즉,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상기 길이조절부재(9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6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부재(920)는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파지돌기(92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파지돌기(921)를 잡고 길이조절부재(92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상기 각도조절부재(910)를 기준으로 길이조절부재(920)를 인입 또는 인출시켜 스트러트연결부재(930)와 연결되는 수평다각스트러트(700)의 연결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은, 단일폐곡선을 그리면서 수평 다각형상을 이루도록 직렬로 연결 설치된 복수의 수평다각스트러트(700)를 통해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연결조절프레임(800) 및 연결조절부(900)를 통해 설계 및 설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있으며, 대지면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공사 현장에 적용할 수 있고, 운반, 보관 및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th guard wall unit support structure having a horizontal polygonal structure can secure a wide working space through a plurality of horizontal polygonal struts 700 connected in series so as to form a horizontal polygonal shape while forming a single closed curve And can be corrected when a design and installation error occurs through th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흙막이벽체
200 : 띠장
300 : 포스트파일
400 : 외측서포트빔 410 : 외측브라켓
500 : 기초스트러트
600 : 내측서포트빔 610 : 내측브라켓
700 : 수평다각스트러트
800 : 연결조절프레임
900 : 연결조절부 910 : 각도조절부재
920 : 길이조절부재 921 : 파지돌기
930 : 스트러트연결부재100:
200: Wale
300: Post file
400: outer support beam 410: outer bracket
500: foundation strut
600: Inner support beam 610: Inner bracket
700: Horizontal polygonal strut
800: Connection adjustment frame
900: connection adjusting portion 910: angle adjusting member
920: length adjusting member 921: gripping projection
930: Strut connecting member
Claims (5)
상기 내측서포트빔 각각의 위에 고정 설치되는 연결조절프레임과,
상기 연결조절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수평다각스트러트 각각을 좌우로 연결하며, 좌우에 연결된 상기 수평다각스트러트 각각의 연결길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연결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조절부 각각은,
일단부가 상기 연결조절프레임에 수직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원통형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각도조절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타단부로부터 인입출되도록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길이조절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길이조절부재의 타단부와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평다각스트러트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와 형합되도록 삽입 결합되는 스트러트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
A wedge which is installed horizontall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earth retaining wall to prevent collapse of the earth by the earth pressure when the ground is destroyed; A plurality of post-files arranged vertically, and a plurality of outer support beams fixedly coupled to one surface of each of the post files facing the earth retaining wall via respective outer brackets, A plurality of inner support beam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each of the post files via respective inner brackets and a plurality of inner support beam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s of the post files via respective inner brackets, A plurality of numbers connected serially so as to form a horizontal polygonal shape while drawing a single closed curve on each of the beams Including multiple struts and
A connection adjustment frame fixedly installed on each of the inner support beams,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connection adjusting portions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nection adjusting frame and which connect the pair of horizontal polygonal struts to each other and can adjust the connection length and angle of each of the horizontal polygonal strut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
Each of the connection regulating portions includes:
An angle adjusting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adjusting frame with a vertical axis as a center of rotation and the other end threaded on a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length adjusting member screwed to the oth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so that one end thereof is pulled out from the oth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And one end of the strut connecting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trut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and coupled so as to be engaged with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poly- Support structure with a horizontal polygonal structure.
상기 수평다각스트러트 각각은,
정 다각형상을 가지도록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horizontal polygonal struts comprises:
And a horizontal polygonal structure is provided to connect the upper and lower support structures so as to have a regular polygonal shape.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파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And a plurality of grip protrusions radiall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74727A KR101826475B1 (en) | 2017-06-14 | 2017-06-14 | Structure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of earth having polygonal frame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74727A KR101826475B1 (en) | 2017-06-14 | 2017-06-14 | Structure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of earth having polygonal framework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26475B1 true KR101826475B1 (en) | 2018-02-07 |
Family
ID=6120428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74727A Active KR101826475B1 (en) | 2017-06-14 | 2017-06-14 | Structure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of earth having polygonal framework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26475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962622A (en) * | 2021-03-09 | 2021-06-15 | 重庆市巴岳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 Building foundation pit supporting system |
| CN114775634A (en) * | 2022-04-18 | 2022-07-22 | 中交四公局第二工程有限公司 | Building construction deep basal pit struts uses supplementary construction equipment |
| KR102450457B1 (en) * | 2022-02-17 | 2022-10-06 | 대광알유토건(주) |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90920Y1 (en) * | 2005-04-27 | 2005-07-28 | 심명보 | Slanting steel member and support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KR101474515B1 (en) * | 2014-05-30 | 2014-12-22 | (주)한국에어로테크 | Earth retaining wall using support and panel,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2017
- 2017-06-14 KR KR1020170074727A patent/KR10182647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90920Y1 (en) * | 2005-04-27 | 2005-07-28 | 심명보 | Slanting steel member and support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KR101474515B1 (en) * | 2014-05-30 | 2014-12-22 | (주)한국에어로테크 | Earth retaining wall using support and panel,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962622A (en) * | 2021-03-09 | 2021-06-15 | 重庆市巴岳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 Building foundation pit supporting system |
| KR102450457B1 (en) * | 2022-02-17 | 2022-10-06 | 대광알유토건(주) |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
| CN114775634A (en) * | 2022-04-18 | 2022-07-22 | 中交四公局第二工程有限公司 | Building construction deep basal pit struts uses supplementary construction equipment |
| CN114775634B (en) * | 2022-04-18 | 2024-05-28 | 中交四公局第二工程有限公司 | Auxiliary construction equipment for deep foundation pit support of building constructio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109057B2 (en) | Tower foundation system | |
| KR101696916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ermanent wall with retaining wall combined PHC pile and steel pipe | |
| US5039256A (en) | Pinned foundation system | |
| KR101826476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large area using struts supporting structure | |
| KR101826475B1 (en) | Structure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of earth having polygonal framework | |
| US12352065B2 (en) | Border wall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 |
| KR100998253B1 (en) | Temporary Structure | |
| US12060689B1 (en) | Provisional facility for retaining earth by using ground anchors and guide brackets for stepwise retention during deep excava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
| JP5272923B2 (en) | Earth retaining structure | |
| JP6650257B2 (en) | Mountain retain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KR20200003568A (en) | Hanging type waling structure and fast construction method of pipe using thereof | |
| KR20230030532A (en) | Thumb pile using guide bracket and ground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using the same | |
| JP4029191B2 (en) | Subsidence suppressio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settlement suppression structure | |
| KR101619330B1 (en) | Horizontal Beam Supporting Bracket for Temporary Soil Retaining Work | |
| KR102143876B1 (en) | Fixing apparatus for mold panel | |
| KR102452587B1 (en) | Panel-type retaining wall with self-standing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EPS block and H-beam and method thereof | |
| KR102497458B1 (en) | Cip Retaining Reinforcing Structur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Same | |
| KR20230030562A (en) |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using guide bracket and ground anchor for step-by-step support of deep excav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 JP6774774B2 (en) | Pile foundation structure | |
| JP4762709B2 (en) | Method to reduce liquefaction of foundation ground of existing buildings and prevent uneven settlement | |
| JP2000064306A (en) | Reinforcing member for pile foundation structure | |
| JP6792239B2 (en) | Scuttling prevention device for steel pipe piles and scuttling prevention method | |
| JP7275844B2 (en) | WALL-LIK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LIKE STRUCTURE | |
| KR101987215B1 (en) | Pile with diameter extended hea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 with diameter extended head produced in this manner | |
| JP2018017041A (en) | Foundation structure,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6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3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