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718B1 - Insert structure and cassette for loading substrate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Insert structure and cassette for loading substrate with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4718B1 KR101944718B1 KR1020180078354A KR20180078354A KR101944718B1 KR 101944718 B1 KR101944718 B1 KR 101944718B1 KR 1020180078354 A KR1020180078354 A KR 1020180078354A KR 20180078354 A KR20180078354 A KR 20180078354A KR 101944718 B1 KR101944718 B1 KR 1019447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support bar
- insert
- reinforcing member
- subst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18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WYNVVGOOAEACU-UHFFFAOYSA-N Fe2+ Chemical compound [Fe+2] CWYNVVGOOAEAC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60 ara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03—Vertical boat type carrier whereby the substrates are horizontally supported, e.g. comprising rod-shaped elements
- H01L21/67309—Vertical boat type carrier whereby the substrates are horizontally supported, e.g. comprising rod-shaped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substrate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characterized by being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single substrate or by comprising a stack of such individual suppo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인서트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의 리어 프레임에 결합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서포트 바에 결합하는 인서트 구조체로서, 서포트 바의 중공부와 연결된 개구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리어 프레임에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삽입부와 체결부의 결합 부위에서 삽입부에 일부가 매립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An insert structure and a cassette for loading a substrate having the insert structure are provided. An inse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sert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a support bar that is coupled to a rear frame of a cassette for mounting a substrate and supports the substrate, the insert structure comprising: an insert inserted into an opening connected to a hollow portion of the support bar; A fastening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insertion part and fastened to the rear frame; And a reinforcing member partially embedded in the insertion portion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판 적재 카세트의 서포트 바를 지지하기 위한 인서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r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upport bar of a substrate loading cassette.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패널의 제조 공정 중 개별 공정 사이에 기판을 이송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카세트(Cassette)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카세트는 다수의 기판이 각각 낱장으로 적재되어 한꺼번에 이를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카세트에는 다수의 서포트 바가 높이방향으로 부설되어 다수의 기판이 상호 이격된 형태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In general, a cassette is mainly used as a means capable of temporarily storing a substrate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between individual processes in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liquid crystal panel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ch a cassette is capable of transporting a plurality of substrates one at a time by stacking them in a single sheet. Here, in the cassette, a plurality of support bars are laid in a height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substrates can be stacked in a spaced apart form.
이러한 서포트 바는 인서트 구조체를 통하여 리어 프레임에 결합된다. 여기서, 인서트 구조체는 일측이 서포트 바의 중공부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이 리어 프레임에 결합된다. Such a support bar is coupled to the rear frame through the insert structure. Here, the insert structure has one sid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upport bar and the other side joined to the rear frame.
이때, 서포트 바는 일측이 인서트 구조체를 통하여 카세트의 리어 프레임에 결합되지만, 타측은 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카세트의 내측으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서포트 바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리어 프레임과의 체결 부위에 큰 하중이 걸린다. 이와 같이 서포트 바에 걸리는 하중은 인서트 구조체로 전달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하중에 의해 인서트 구조체에서 서포트 바에 삽입되는 부분과 리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부분 사이에서 절단 또는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upport bar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cassette,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rear frame of the cassette through the insert structure, while the other side is not supported. Here, since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is long,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fastening portion with the rear frame. Thus, the load applied to the support bar is transmitted to the insert structure. Therefore, such a load may cause cutting or breakage between a portion inserted into the support bar and a portion joined to the rear frame in the insert structure.
따라서 인서트 구조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카세트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mprovement of the cassette is require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insert structure.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포트 바와 리어 프레임 사이의 체결 부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인서트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ert structure capable of reinforcing the strength of a fastening portion between a support bar and a rear frame, and a cassette for loading a substrate having the insert structure.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판 적재용 카세트의 리어 프레임에 결합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서포트 바에 결합하는 인서트 구조체로서, 상기 서포트 바의 중공부와 연결된 개구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어 프레임에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체결부의 결합 부위에서 상기 삽입부에 일부가 매립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인서트 구조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sert structure coupled to a support bar for supporting a substrate, the insert structure being coupled to a rear frame of a cassette for mounting a substrate, part; A fastening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insertion part and fastened to the rear frame; And a reinforcing member partially embedded in the insertion portion at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삽입부 몸체; 상기 삽입부 몸체의 양측에 일정 간격 및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부; 상기 삽입부 몸체의 일측 양단에 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에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ert comprises an insert body made of aluminum; A groov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insert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t a predetermined depth; A stepped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insert body;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tep portion at at least one posi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재는 스테인리스(SUS)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member is made of stainless steel (SUS) alloy and may have a rod sha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sert by the insert inj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재는 일측이 상기 삽입부에 매립되고 타측이 상기 체결부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embedded i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other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may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coupling memb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는 상기 체결부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member disposed on the insertion portion side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membe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astening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와 상기 체결부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의 비는 1~1.2 : 1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member disposed on the insertion portion side to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member disposed on the coupling portion side may be 1 to 1.2: 1.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재는 그 단면적이 상기 홈부에서 상기 삽입부 몸체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member may have a cross-sectional area great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sert body in the gro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가장 인접한 홈부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groove portion closest to the fastening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부의 종방향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제1면; 상기 리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면; 상기 제2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 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은 하측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astening portion has a first side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wider tha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sert; A second side coupled to the rear frame; An extens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surface to the first surface side; And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from the extended portion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may have a " C "shape opened to the lower s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면 및 상기 체결부의 측면은 복수의 체결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 측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방측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리어 프레임;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고, 일측에 멤브레인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리어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되, 타측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서포트 바; 및 상기 서포트 바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서포트 바를 상기 리어 프레임에 결합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인서트 구조체;를 포함하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frame; A plurality of side frames vertic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 plurality of rear frames vertical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 support bar having a hollow portion inside and having a membrane filter on one side thereof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rear frame and the other side extending inward to support the substrate; And an insert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upport bar to couple the support bar to the rear fra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상기 서포트 바의 체결홀에 삽입되며 제1홀을 갖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멤브레인판; 및 상기 제1홀과 연통하는 제2홀을 갖고, 상기 멤브레인판을 상기 체결부재에 고정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mbrane filter includes a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support bar and having a first hole; A membrane plat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And a lid part having a second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e and fixing the membrane plate to the fastening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는 인서트 구조체보다 강도가 우수한 보강부재가 인서트 구조체에 매립 형성됨으로써, 서포트 바와 리어 프레임 사이의 체결 부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므로 서포트 바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The inse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ssette for loading a substrate having the inse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fastening portion between the support bar and the rear frame by forming a reinforcing member having higher strength than the insert structure in the insert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substrate supported by the support bar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는 보강부재의 일측이 인서트 구조체의 체결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보강부재에 의해 인서트 구조체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인서트 구조체의 강도를 더욱 보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sert structure and the cassette for loading a substrate having the inse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such that one side of the reinforcement member protrudes toward the fastening portion side of the insert structure,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insert structure can be dispersed by the reinforcement member So that the strength of the insert structure can be further reinfor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는 보강부재의 단면적이 인서트 구조체의 홈부에서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홈부의 형성에 의해 약화된 인서트 구조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The inse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ssette for mounting a substrate having the insert structure may have a cross sectional area larger than a cross sectional area of a groove portion of the insert structure 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insert structure, Can be reinfor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지 프레임과 서포트 바와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와 서포트 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팁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멤브레인 필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전면부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sette for loading a substrate having an inse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where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ba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sert structure and a support bar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ip member is engaged in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embrane filter is coupled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e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direction of Fig.
Fig. 8 is a sectional view of Fig. 7. Fig.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front part in Fig. 7;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지지 프레임과 서포트 바와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Hereinafter, an inse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sette for mounting a substrate having an inse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ba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적재용 카세트(1)를 설명함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카세트(1)에 기판이 적재되는 방향(도 1에서 좌측)을 카세트(1)의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규정하여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cassette 1 for carrying substrat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strate is loaded on the cassette 1 (left side in FIG. 1) is referred to as the front of the cassette 1,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defined as rear.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적재용 카세트(1)는 상부 프레임(2), 하부 프레임(3), 사이드 프레임(4), 리어 프레임(5), 보강 프레임(6), 봉부재(7), 및 서포트 바(10)를 포함할 수 있다.1, a cassette 1 for loading subst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기판 적재용 카세트(1)는 기판을 반입하여 적재해두고 적재된 기판을 다시 반출하는 과정 동안 기판을 안정적으로 적재해 두고 일련의 생산 과정 동안 기판의 불량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assette 1 for loading a substrate can carry the substrate thereon to prevent the substrate from being stably loaded during the process of reloading the loaded substrate and causing a failure of the substrate during a series of production processes.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은 각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그 양측면에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4)이 결합될 수 있다.The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4)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의 횡 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4)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봉부재(7)가 설치되어 직사각형 형상인 기판의 주변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봉부재(7)가 배치되는 간격은 적재하려는 기판의 두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봉부재(7)는 봉 형상으로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봉부재(7)의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판의 접촉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보강 프레임(6)은 사이드 프레임(4),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프레임(6)은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프레임(6)은 사이드 프레임(4)과 결합되되 일단이 하부 프레임(3)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 프레임(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강 프레임(6)은 일정 각도의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부 프레임(2) 및 사이드 프레임(4)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고 서포트 바(10)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부 프레임(2) 및 하부 프레임(3)의 후방측 모서리에 복수의 리어 프레임(5)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이때, 리어 프레임(5)은 종단면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서포트 바(10)를 수평하게 지지하기 위해 인서트 구조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리어 프레임(5)은 그 양측 및 전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을 통하여 리어 프레임(5)은 인서트 구조체(100)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도 2를 참조하면, 서포트 바(10)는 리어 프레임(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기판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 바(10)는 복수의 봉부재(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봉부재(7) 만으로 기판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경우, 기판의 중앙부가 아래로 처져 기판 적재용 카세트(1)에 기판을 적재 또는 반출하는 로봇 등과 기판이 충돌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서포트 바(10)를 복수의 봉부재(7) 사이에 배치하여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Referring to FIG. 2, the support bars 1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이를 위해, 서포트 바(10)는 봉부재(7)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 바(10)와 봉부재(7)는 기판이 아래로 휘지 않고 평행하게 적재되도록 기판을 지지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와 서포트 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팁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멤브레인 필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 structure and the support bar are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100)는 중공부(12)가 형성된 서포트 바(1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여기서, 서포트 바(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중공부(12)가 형성되는데, 이는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고, 대형화 되는 기판의 추세에 맞춰 서포트 바(10)도 길어지는 상황을 고려할 때, 서포트 바(10)의 자체 하중으로 인한 처짐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서포트 바(10)가 처지는 경우, 기판의 지지력이 해당 부분에서 감소하여 기판의 처짐이 발생할 수 있고, 나아가 기판의 파손을 초래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또한, 서포트 바(10)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서포트 바(10)의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경우, 기판과의 면 접촉이 발생될 수 있어 접촉면에 팁 부재(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팁 부재(20)는 기판 적재 시 서포트 바 몸체(10a)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기판에 발생하는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Here, the
도 4를 참조하면, 팁 부재(20)는 서포트 바 몸체(10a)에 형성되는 삽입홀(13)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팁 부재(20)는 원기둥의 돌기 형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팁 부재(20)는 삽입부 몸체(120a)의 관통구(123)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일례로, 팁 부재(20)는 후크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팁 부재(20)는 원형상의 머리부(21)와 머리부(21)로부터 양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22)는 머리부(21)로부터 갈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팁 부재(20)는 삽입홀(1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팁 부재(20)는 돌기부(22) 사이의 공간으로 돌기부(22)를 압축한 상태로 삽입홀(13)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22)는 원상태로 복원되어 삽입홀(13)에서 서포트 바 몸체(10a)의 내측에서 걸림 고정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100)는 서포트 바(10)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부(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인서트 구조체(100)는 서포트 바(10)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부(11)의 크기와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서포트 바(10)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2)를 완전히 밀폐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중공부(12)가 밀폐되지 않는 경우 기판 적재용 카세트(1)의 세척과정 중 중공부(12)로 액체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는 적재된 기판으로 떨어져 기판의 불량률이 증가 할 수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the
여기서, 서포트 바 몸체(10a)는 탄소 섬유 강화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카본 필름, 유리강화필름, 아라미드 필름 및 금속 박막으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소 섬유 강화플라스틱(CFRP)이란 비강도(specific strength), 강성(rigidity), 파단강도(rupture strength)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직물 또는 시트에 에폭시 수지를 함침시켜 경화시킨 것이다.Here, the
또한 서포트 바(10)는 일측면에 멤브레인 필터(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 바 몸체(10a)는 일측면에 멤브레인 필터(3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홀(14)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5를 참조하면, 멤브레인 필터(30)는 체결부재(31), 멤브레인판(32) 및 덮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체결부재(31)는 서포트 바 몸체(10a)의 체결홀(14)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체결부재(31)는 리벳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31)는 머리부분(31b)이 서포트 바 몸체(10a)의 외측에 배치되고, 몸체는 체결홀(14)을 통하여 서포트 바 몸체(10a)의 중공부(12)로 삽입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31 can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4 of the
이때, 체결부재(31)는 그 중앙부를 관통하여 제1홀(3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홀(31a)은 머리부분(31b)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머리부분(31b)은 중앙에 제1홀(31a)의 직경보다 큰 폭으로 단차부(31c)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여기서, 체결부재(31)의 외주면과 체결홀(14)의 내주면이 열 융착, 초음파 융착, 접착제 중 적어도 하나로 접착되어 물이 서포트 바(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에폭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우레탄 계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3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14 are bonded together by at least one of heat fusion, ultrasonic fusion, and adhesive so that wa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멤브레인판(32)은 체결부재(3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멤브레인판(32)은 체결부재(31)와 덮개부(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멤브레인판(32)은 수분의 유입은 차단하고 공기는 통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일례로, 멤브레인판(32)은 부직포(pp,pet) 층과,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Polytetrafluoroethylene) 층이 상,하로 합쳐져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덮개부(32)는 멤브레인판(32)을 체결부재(3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32)는 체결부재(31)의 머리부분(31b)을 수용하는 수용부(33a)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33a)의 일측에는 체결부재(31)의 단차부(31c)에 대응하는 단차부(33c)가 형성될 수 있다. The
또한, 덮개부(32)는 상단부(33b)에 제1홀(31a)과 연통하는 제2홀(33d)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2홀(33d)은 그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홀(33d)은 상단부(33b)의 일측에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여기서, 세정 후 건조 과정에서 내부 공기가 팽창된 후 상온에서 식으면서 수축함에 따라 발생하는 서포트 바(1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해서 세정 과정에서 남아있던 물이 서포트 바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데, 서포트 바(10)는 멤브레인 필터(30)를 구비하여 서포트 바(1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완화하여 서포트 바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remaining in the cleaning process may flow into the support bar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이와 같이, 멤브레인 필터(30)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1)의 세척과정 중 외부로부터 서포트 바 몸체(10a)의 내측 중공부(12)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공기의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서 전면부의 정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e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direction of FIG. 6, FIG. 8 is a sectional view of FIG. 7, and FIG. 9 is a front view of a front part of FIG.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100)는 체결부(110), 삽입부(120) 및 보강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6 to 9, an
체결부(110)는 삽입부(120)와 일체로 형성되며 리어 프레임(5)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10)는 체결부 몸체(110a), 후면부(111), 전면부(112), 연장부(113), 및 경사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체결부 몸체(110a)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 몸체(110a)는 그 양측면에 복수의 체결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The
후면부(111)는 체결부 몸체(110a)의 일측에서 삽입부(12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삽입부(120)의 종방향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후면부(111)는 삽입부(120)의 높이 및 폭보다 큰 높이 및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전면부(112)는 체결부 몸체(110a)의 타측에서 리어 프레임(5)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하측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면부(112)는 후면부(111)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면부(112)는 리어 프레임(5)에 결합되는 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측은 공간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간부(117)는 체결부 몸체(110a)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부(112)의 "ㄷ"자 형상 부분은 공간부(117)의 측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연장부(113)는 전면부(112)로부터 후면부(111) 측으로 수평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 몸체(110a)는 연장부(113)에 대응하여 그 내측에 복수의 체결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113)는 전면부(112)의 "ㄷ"자 형상의 면으로부터 체결홈(116)의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경사면(114)은 연장부(113)로부터 후면부(111)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경사면(114)은 체결부 몸체(110a)의 상부 및 하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체결부(110)와 삽입부(120)의 결합 부위에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따라서 체결부(110)와 삽입부(120)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삽입부(120)는 서포트 바(10)의 중공부(12)와 연결된 개구부(1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삽입부(120)는 삽입부 몸체(120a), 홈부(121), 단차부(122), 및 관통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삽입부 몸체(120a)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홈부(121)는 삽입부 몸체(120a)의 양측에 일정 간격 및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홈부(121)는 삽입부 몸체(120a)의 살빼기(coring) 역할로서, 인서트 구조체(100)의 사출 성형시 기포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단차부(122)는 삽입부 몸체(120a)의 상단측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차부(122)는 삽입부 몸체(120a)의 상부측 모서리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단차부에는 인서트 구조체(100)와 서포트 바(10)를 결합하기 위한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가 충진될 수 있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인서트 구조체(100)를 서포트 바(10)의 개구부(11)에 삽입하기 전에 인서트 구조체(100)의 외주면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인서트 구조체(100)가 서포트 바(10)에 삽입되면, 삽입부(120)의 외주면과 서포트 바(10)의 내면, 즉, 중공부(12)의 내주면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인서트 구조체(100)가 서포트 바(10)에 결합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때, 삽입부(120)의 외주면과 서포트 바(10)의 내면 사이의 접착제는 그 일부가 수평방향으로 밀리고 단차부(122)를 채울 수 있다. 이 단차부(122)는 접착제의 도포시 접착제가 채워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a part of the adhesiv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단차부(122)에 접착제가 채워짐으로써 인서트 구조체(100)와 서포트 바(10)의 결합력이 더욱 견고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관통구(123)는 단차부(122)에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구(123)는 팁 부재(20)가 서포트 바(10)에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through-
이에 의해, 삽입부(120)가 서포트 바(10)의 개구부(11)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부 몸체(120a)와 결합되는 팁 부재(20)는 삽입부 몸체(120a)와 간섭되지 않도록 서포트 바(1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보강부재(130)는 체결부(110)와 삽입부(120)의 결합 부위에서 삽입부(120)에 매립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보강부재(130)의 일부는 삽입부 몸체(120a)의 결합홈(124)에 매립되고, 다른 일부는 체결부(110)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여기서, 보강부재(130)는 삽입부(120)와 이종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보강부재(130)는 스테인리스(SUS)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삽입부(120)는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며 중공부(12)를 갖는 반면, 보강부재(130)는 강도 보강을 위해 스테인리스(SUS)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채워진 봉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reinforcing
이에 의해, 보강부재(130)는 체결부(110)와 삽입부(120)의 결합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서포트 바(10)와 리어 프레임(5) 사이의 체결 부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reinforcing
이러한 보강부재(13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삽입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강부재(130)는 일측이 삽입부(120)에 매립되고, 타측이 체결부(110)의 공간부(117)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재(130)는 타측이 공간부(117)를 벗어지지 벗어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또한, 보강부재(130)는 삽입부(120) 측에 배치되는 보강부재(130)의 길이가 체결부(110) 측에 배치되는 보강부재(130)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때, 삽입부(120) 측에 배치되는 보강부재(130)의 길이는 체결부(110) 측에 배치되는 보강부재(130)의 길이보다 2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보강부재(130)는 삽입부(120)와 체결부(110)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1~1.2 : 1의 비율로 배치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여기서, 삽입부(120) 측에 배치되는 보강부재(130)의 길이가 체결부(110) 측에 배치되는 보강부재(130)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 보강부재(130)에 의한 강도 보강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20%를 초과하여 큰 경우, 보강부재(130)에 의한 추가적인 강도 보강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이는 불필요한 재료의 손실로 초래할 수 있다.When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이에 의해, 보강부재(130)는 서포트 바(10)에 적재되는 기판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삽입부(120)와 체결부(110)로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재(130)는 삽입부(120)와 체결부(110)의 결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einforcing
도 7을 참조하면, 보강부재(130)는 홈부(121)에서 삽입부 몸체(120a)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부재(130)는 체결부(110)에 가장 인접한 홈부(121)에서 일측이 홈부(12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부(121)에 의해 약화된 인서트 구조체(1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reinforcing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100)는 서포트 바와 리어 프레임 사이의 체결 부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므로 적재된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구조체(100)는 보강부재에 의해 인서트 구조체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인서트 구조체의 강도를 더욱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구조체(100)는 홈부의 형성에 의해 약화된 인서트 구조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기판 적재용 카세트 2 : 상부 프레임
3 : 하부 프레임 4 : 사이드 프레임
5 : 리어 프레임 6 : 보강 프레임
7 : 봉부재 10 : 서포트 바
11 : 개구부 12 : 중공부
13 : 삽입홀 14 : 체결홀
20 : 팁 부재 30 : 멤브레인 필터
31 : 체결부 32 : 멤브레인판
33 : 덮개부 100 : 인서트 구조체
110 : 체결부 110a: 체결부 몸체
111 : 후면부 112 : 전면부
113 : 연장부 114 : 경사면
115,116: 체결홈 117 : 공간부
120 : 삽입부 120a : 삽입부 몸체
121 : 홈부 122 : 단차부
123 : 관통구 124 : 결합홈
130 : 보강부재1: Cassette for loading substrates 2: Upper frame
3: lower frame 4: side frame
5: rear frame 6: reinforcing frame
7: Rod member 10: Support bar
11: opening 12: hollow
13: insertion hole 14: fastening hole
20: tip member 30: membrane filter
31: fastening part 32: membrane plate
33: lid part 100: insert structure
110: fastening
111: rear portion 112: front portion
113: extension part 114: inclined surface
115, 116: fastening groove 117:
120:
121: groove portion 122:
123: through hole 124: coupling groove
130: reinforcing member
Claims (13)
상기 서포트 바의 중공부와 연결된 개구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어 프레임에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체결부의 결합 부위에서 상기 삽입부에 일부가 매립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삽입부 몸체 및 상기 삽입부 몸체의 양측에 일정 간격 및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리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면이 하측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면의 하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일측이 상기 삽입부에 매립되고 타측이 상기 공간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단면적이 상기 홈부에서 상기 삽입부 몸체의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체결부에 가장 인접한 홈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인서트 구조체.An insert structure coupled to a support bar for supporting a substrate, the insert structure being coupled to a rear frame of a cassette for mounting a substrate,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an opening portion connect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upport bar;
A fastening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insertion part and fastened to the rear frame; And
And a reinforcing member partially embedded in the insertion portion at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body including aluminum and a groov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insertion bod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predetermined depth,
The fastening portion has a " C "shape whose lower surface is coupled to the rear frame, a space portion is formed below the surface,
Wherein the reinforcement member has an insert portion in which one side is embedded in the insert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protruded on the side of the space portion and whose cross sectional area is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insert portion body in the groove portion, Structure.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 몸체의 일측 양단에 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에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더 포함하는 인서트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sertion portion
A stepped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insert body; And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at least one position in the stepped portion.
상기 보강부재는 스테인리스(SUS)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봉 형상을 갖는 인서트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made of a stainless steel (SUS) alloy and has a bar shape.
상기 보강부재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인서트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sert by injection molding.
상기 삽입부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는 상기 체결부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인서트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membe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membe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상기 삽입부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와 상기 체결부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의 비는 1~1.2: 1인 인서트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ratio of a length of the reinforcing member disposed on the insertion portion side to a length of the reinforcing member disposed on the coupling portion side is 1 to 1.2: 1.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부의 종방향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후면부,
상기 리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로부터 상기 후면부 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후면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인서트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portion
A rear portion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wider than the longitudinal cross-
A front portion coupled to the rear frame;
An extens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front portion to the rear portion; And
And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extending portion to the rear surface portion.
상기 전면부 및 상기 체결부의 측면은 복수의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는 인서트 구조체.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respectively.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 측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방측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리어 프레임;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고, 일측에 멤브레인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리어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되, 타측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서포트 바; 및
상기 서포트 바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서포트 바를 상기 리어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를 포함하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An upper frame;
A lower frame;
A plurality of side frames vertic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 plurality of rear frames vertical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 support bar having a hollow portion inside and having a membrane filter on one side thereof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rear frame and the other side extending inward to support the substrate; And
The insert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7, 10 and 11,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upport bar to couple the support bar to the rear frame And a cassette for loading a substrate.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상기 서포트 바의 체결홀에 삽입되며 제1홀을 갖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멤브레인판; 및
상기 제1홀과 연통하는 제2홀을 갖고, 상기 멤브레인판을 상기 체결부재에 고정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membrane filter comprises:
A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support bar and having a first hole;
A membrane plat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And
And a lid part having a second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e and fixing the membrane plate to the fastening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78354A KR101944718B1 (en) | 2018-07-05 | 2018-07-05 | Insert structure and cassette for loading substrate with the same |
| CN201810897688.6A CN110687700B (en) | 2018-07-05 | 2018-08-08 | Insert structure and substrate loading cassette provided with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78354A KR101944718B1 (en) | 2018-07-05 | 2018-07-05 | Insert structure and cassette for loading substrate with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944718B1 true KR101944718B1 (en) | 2019-02-01 |
Family
ID=6536798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78354A Active KR101944718B1 (en) | 2018-07-05 | 2018-07-05 | Insert structure and cassette for loading substrate with the same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44718B1 (en) |
| CN (1) | CN110687700B (en)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185020A1 (en) * | 2019-03-12 | 2020-09-17 |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 Loading cassette for substrate including glass and substrate loading method to which same is applied |
| US11437308B2 (en) | 2019-03-29 | 2022-09-06 | Absolics Inc. | Packaging glass substrate for semiconductor, a packaging substrate for semiconductor, and a semiconductor apparatus |
| US11469167B2 (en) | 2019-08-23 | 2022-10-11 | Absolics Inc. | Packaging substrate having electric power transmitting elements on non-circular core via of core vias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US11652039B2 (en) | 2019-03-12 | 2023-05-16 | Absolics Inc. | Packaging substrate with core layer and cavity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US11967542B2 (en) | 2019-03-12 | 2024-04-23 | Absolics Inc. | Packag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same |
| US12165979B2 (en) | 2019-03-07 | 2024-12-10 | Absolics Inc. | Packag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apparatus comprising same |
| US12198994B2 (en) | 2019-03-12 | 2025-01-14 | Absolics Inc. | Packag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US12288742B2 (en) | 2019-03-07 | 2025-04-29 | Absolics Inc. | Packag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apparatus comprising same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0121012A (en) * | 1983-12-05 | 1985-06-28 | Kubota Ltd | Manufacture of built-up roll |
| KR100737846B1 (en) * | 1999-09-06 | 2007-07-12 | 요도가와 휴텍 가부시키가이샤 | Elongated rib for cassette and substrate cassette |
| KR20110131609A (en) * | 2010-05-31 | 2011-12-07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Battery pack |
| KR101300688B1 (en) | 2011-05-04 | 2013-08-26 | (주)케이엠 | A support bar for substrate-loading cassett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725264B1 (en) * | 2015-10-16 | 2017-04-10 | (주)상아프론테크 | Support bar and substrate loading cassette hav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TWI310850B (en) * | 2003-08-01 | 2009-06-11 | Foxsemicon Integrated Tech Inc | Substrate supporting rod and substrate cassette using the same |
| CN101654175A (en) * | 2008-08-20 | 2010-02-24 |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 Substrate cartridge structure |
| KR20100041453A (en) * | 2008-10-14 | 2010-04-22 | 주식회사 톱텍 | Glass transporting system |
| TWI590994B (en) * | 2015-10-15 | 2017-07-11 | Cassette for thin substrates |
-
2018
- 2018-07-05 KR KR1020180078354A patent/KR101944718B1/en active Active
- 2018-08-08 CN CN201810897688.6A patent/CN110687700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0121012A (en) * | 1983-12-05 | 1985-06-28 | Kubota Ltd | Manufacture of built-up roll |
| KR100737846B1 (en) * | 1999-09-06 | 2007-07-12 | 요도가와 휴텍 가부시키가이샤 | Elongated rib for cassette and substrate cassette |
| KR20110131609A (en) * | 2010-05-31 | 2011-12-07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Battery pack |
| KR101300688B1 (en) | 2011-05-04 | 2013-08-26 | (주)케이엠 | A support bar for substrate-loading cassett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725264B1 (en) * | 2015-10-16 | 2017-04-10 | (주)상아프론테크 | Support bar and substrate loading cassette having the same |
Cited B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2165979B2 (en) | 2019-03-07 | 2024-12-10 | Absolics Inc. | Packag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apparatus comprising same |
| US12288742B2 (en) | 2019-03-07 | 2025-04-29 | Absolics Inc. | Packag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apparatus comprising same |
| WO2020185020A1 (en) * | 2019-03-12 | 2020-09-17 |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 Loading cassette for substrate including glass and substrate loading method to which same is applied |
| US11652039B2 (en) | 2019-03-12 | 2023-05-16 | Absolics Inc. | Packaging substrate with core layer and cavity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US11967542B2 (en) | 2019-03-12 | 2024-04-23 | Absolics Inc. | Packag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same |
| US11981501B2 (en) | 2019-03-12 | 2024-05-14 | Absolics Inc. | Loading cassette for substrate including glass and substrate loading method to which same is applied |
| US12198994B2 (en) | 2019-03-12 | 2025-01-14 | Absolics Inc. | Packag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US11437308B2 (en) | 2019-03-29 | 2022-09-06 | Absolics Inc. | Packaging glass substrate for semiconductor, a packaging substrate for semiconductor, and a semiconductor apparatus |
| US11469167B2 (en) | 2019-08-23 | 2022-10-11 | Absolics Inc. | Packaging substrate having electric power transmitting elements on non-circular core via of core vias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US11728259B2 (en) | 2019-08-23 | 2023-08-15 | Absolics Inc. | Packaging substrate having electric power transmitting elements on non-circular core via of core vias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US12027454B1 (en) | 2019-08-23 | 2024-07-02 | Absolics Inc. | Packaging substrate having electric power transmitting elements on non-circular core via of core vias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10687700A (en) | 2020-01-14 |
| CN110687700B (en) | 2022-05-1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944718B1 (en) | Insert structure and cassette for loading substrate with the same | |
| KR101903485B1 (en) | Cassette for loading substrate | |
| KR101738003B1 (en) | Insert structure for supporting a support bar and substrate loading cassette having the same | |
| KR101661348B1 (en) | Roof rack assembly for mounting roof box of roof panel contact of vehicle | |
| US20100237195A1 (en) | Structural component and method for stiffening an external skin | |
| JPS6277582A (en) | Refrigerator cabinet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
| KR20080109912A (en) | Support bar and substrate cassette | |
| TWI289616B (en) | Heald shaft of composite construction | |
| KR101321497B1 (en) | Fabricated water tank | |
| KR102221604B1 (en) | Curtain wall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 |
| KR100970377B1 (en) | Connecting member for composite panel and aluminium honeycomb panel structure assembled thereby | |
| CN207975886U (en) | A kind of cold-storage insulation storehouse | |
| KR101177502B1 (en) | Wood plastic combination plate coupling structure and bracket thereof | |
| KR101797061B1 (en) | Prefabricating structure of aluminum window frame reinforced clamping force | |
| KR200487579Y1 (en) | Cassette for carrying glass substrate | |
| KR100447964B1 (en) | Cassette for substrate loading | |
| KR101725264B1 (en) | Support bar and substrate loading cassette having the same | |
| KR102098025B1 (en) | Storage tank | |
| US20240426125A1 (en) | Composite material reinforcement device for box-type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
| KR101904238B1 (en) | Insert structure and cassette for loading substrate with the same | |
| KR100822320B1 (en) | Prefabricated Boxes for Stacking Both Sides of Glass | |
| KR102133328B1 (en) | Side support structure and cassette for loading substrate with the same | |
| KR20130046991A (en) | Window frame support bracket with improved insulation | |
| KR102222833B1 (en) | Lightweight honeycomb panel | |
| KR102498775B1 (en) | Structure for finising with pane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7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