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459B1 - Liquid splitter - Google Patents
Liquid split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0459B1 KR101990459B1 KR1020160151868A KR20160151868A KR101990459B1 KR 101990459 B1 KR101990459 B1 KR 101990459B1 KR 1020160151868 A KR1020160151868 A KR 1020160151868A KR 20160151868 A KR20160151868 A KR 20160151868A KR 101990459 B1 KR101990459 B1 KR 1019904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 space
- flow rate
- communication hole
- rotating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42—Regulation; Control
- B01D3/4211—Regulation; Control of colum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입관을 통해 액체를 공급받는 하우징, 구획관이 하우징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유입관과 연통하는 제1공간 및 제1공간으로 공급받은 액체의 초과분이 넘쳐 유입될 수 있는 제2공간으로 구분하고,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부 및 제2배출부가 있으며, 제1배출부에는 액체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분배조절밸브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dispensing apparatus, the housing receiving the liquid through the inlet pipe, the compartment pipe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housing to supply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to the first space and the first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ipe It is divided into a second space that can overflow the excess of the received liquid, there is a first discharge portion and a second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liquid from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the first discharge portion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liquid And a distribution control val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체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의 공급 비율을 정확하게 조절하고 연속적으로 일정 비율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액체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apable of precisely adjusting the supply ratio of liquid and continuously supplying a constant ratio of liquid.
일반적으로 액체 분배장치는 석유정유, 석유화학 및 정밀화학과 유해가스 또는 유기물의 제거를 위하여 증류, 흡수, 냉각 원리를 한 세척탑 및 흡수탑 등에 사용되는 액체 분배장치이다.In general, a liquid distributor is a liquid distributor used in petroleum refining, petrochemical and fine chemicals, washing towers and absorption towers based on distillation, absorption, and cooling for the removal of harmful gases or organics.
현재 공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증류, 흡수 및 냉각을 위한 장치로 컬럼(Column)이 있는데 이는 기액 접촉을 통해 원하는 물질을 분리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 및 투자비 절감을 위해 분리벽형 증류 컬럼이 사용되는데, 이는 2개 이상의 컬럼의 기능을 하나의 컬럼으로 합친 구조로서 상부측의 액체를 하부 두 개의 분리구간으로 원하는 비율로 분배를 해주어야 하고, 이때 액체 분배장치에서 액체의 공급 비율을 조정하게 된다. A device for distillation, absorption and cooling, which is currently used industrially, is a column, which separates a desired substance through gas-liquid contact. Recently, a distillation wall type distillation column is used to save energy and reduce investment costs. It is a structure that combines the functions of two or more columns into one column, and the liquid at the upper side must be distributed at a desired ratio to the lower two separation sections. In this case, the liquid distribution device adjusts the supply ratio of the liqui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체 분배장치는 축의 회전운동을 통해 피더를 양 측으로 설정각도 회전하여 일정시간 머무르는 동안, 즉 양측 중 일측에 정지한 시간과 타측에 정지한 시간의 비율에 따라 액체를 공급하는 비율이 정해지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피더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전하는 동안 액체의 지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맥동현상이 발생하고 패킹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liquid dispensing device rotates the feeder to both sides by a set angle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haft, and supplies liqui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time stopped on one side and the time stopped on the other side for a certain time.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atio is determin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inuous supply of the liquid is not made while the feeder is rotat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causing pulsation and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packing.
또한, 상기 축의 계속적인 회전운동으로 압축공기 소모량이 증가하고 내구성이 떨어져 일정기간 운전시 주요 부품을 교체해야 하며 상기 축이 좌우로 회전하여 설정시간 머무르는 동안 액체를 공급하며 분배 비율을 조정하는데 실제 시간비율과 분배비율에 차이가 발생하여 사전에 액체를 통해 그 차이를 항상 교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tinuous rotational movement of the shaft increases the consumption of compressed air and the durability is low, so the main parts must be replaced during oper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shaft rotates to the left and right to supply the liquid while the set time stays, and to adjust the distribution ratio. There is a problem that a difference occurs in the ratio and the distribution ratio, so that the difference must always be corrected through the liquid in advance.
본 발명의 목적은 2개 이상의 컬럼의 기능을 하나의 컬럼으로 합친 분리벽형 증류탑에서 상부측의 액체를 하부 두 개 이상의 분리구간으로 원하는 비율로 액체의 공급을 위해 액체의 공급 비율을 정확하게 조절하고 연속적으로 일정 비율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액체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cisely control and continuously adjust the supply ratio of a liquid for supplying a liquid at a desired ratio into a lower two or more separation sections in a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in which two or more columns are combined into one column. To provide a liquid dispensing apparatus that can supply a certain ratio of liqui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입관을 통해 액체를 공급받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받은 액체의 초과분이 넘쳐 유입될 수 있는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구획판과상기 제1공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판과 상기 제2구획판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공간으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하부공간으로 분배하는 분배조절밸브와 상기 하부공간과 상기 제2공간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housing and the housing which is supplied with the liquid through the inlet pipe to communicate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with the inlet pipe A first compartment plate partitioning the first space into a second space into which an excess of the liquid supplied to the first space can overflow, and a second compartment plate partitioning the first space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nd a distribution control valve installed in the second compartment plate for distributing the liquid introduced into the upper space to the lower space, and a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liquid on the lower space and the second space.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상기 제2구획판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제1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통홀과 연통되게 상기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각각 뚫어져 형성되는 제1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제1연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제2연통홀이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과 상기 제2연통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시키는 밸브부재를 포함한다.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is provided in the second partition plate and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flow rate adjustment hole is formed to be drilled into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respectively. And a second body f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having a second communication ho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lectively communicating the first flow rate adjusting ho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by rotation. Rotating body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hole, and a valve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to rotate the rotating body.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과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이다.The first flow rate adjusting ho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circular holes and a plurality of rectangular holes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an oblique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along a long hol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an oblique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One of a hole, a plurality of elliptical holes,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제2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과 상기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이다.The second flow rate adjusting hole may include a long hol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an oblong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a plurality of circular holes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an obliqu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One of a hole, a plurality of elliptical holes,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회전몸체에 형성되는 제2연통홀 및 제2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회전몸체에 상, 하부가 연속되게 뚫어 형성하거나, 상기 회전몸체에 상,하부가 연속되게 단속적으로 복수 개를 뚫어 형성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the second flow rate adjusting hole formed in the rotating body are formed by continuously drill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in the rotating body, or by forming a plurality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continuously and intermittently in the rotating body.
상기 밸브부재는 수동, 유압, 전기, 기압, 수압, 기어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작동된다.The valve member is operated by one or a combination of manual, hydraulic, electric, air pressure, hydraulic pressure and gears.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상기 제2구획판에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At least one distribution control valve is installed on the second compartment plate.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부공간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1 배출부 및 상기 제2공간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part includes a first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liquid on the lower space and a second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liquid on the second space.
상기 배출부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n on-off valve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ion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charge portion.
상기 하우징은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 내의 한 공간에 설치되거나, 상기 유입관이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 내의 액체를 공급받고,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 외부에 설치된다.The housing is installed in a space in the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or is installed outside the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so that the inlet pipe receives liquid in the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and the liqui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ion flows into the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
복수 개의 분배공간이 형성되며 액체가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액체가 유입되는 상부공간과 상부공간의 액체를 하부공간으로 배출하는 하부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경계부분에 분배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우선 분배할 양을 조절하는 제1공간과 상기 상부공간에서 오버플로우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2공간과 상기 하부공간과 제2공간의 액체를 각각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distribution spaces are formed and divided into a housing into which the liquid flows, an upper space into which the liquid flows in, and a lower space to discharge the liquid from the upper space into the lower space, and a distribution control valv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Is installed and first to control the amount to be dispensed includes a second space in which the liquid overflowed in the upper space and the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liquid of the lower space and the second space, respectively.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One or more distribution control valves may be installed.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길이방향으로 제1연통홀이 형성되며, 제1연통홀과 연통되게 상기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각각 뚫어져 형성되는 제1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원통형의 고정몸체와 상기 제1연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상부공간의 액체를 상기 하부공간으로 배출시키는 제2유량조절용 홀이 형성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몸체을 회전시키는 조절밸브를 포함한다.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has a cylindrical fixed body having a first flow rate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flow rate adjustment hole is formed to be drilled into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respectively; I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hole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flow rate adjusting hol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rotating body is formed a second flow rate adjusting hole for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upper space to the lower space It includes a control valve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상하 한 쌍의 장홀과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상하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first flow rate adjusting ho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pairs of long holes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an oblique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and a plurality of circular lines formed up and down in a linear or diagon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 hole, a plurality of square holes, a plurality of elliptical holes,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제2유량조절용 홀은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관통하도록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과 상기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second flow rate adjusting hole may have a long hol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a diagonal line to vertically penetr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a plurality of circular holes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or diagon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 hole, a plurality of square holes, a plurality of elliptical holes,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은 액체가 유입되어 우선 분배할 양을 조절하는 제1공간과 제1공간에서 오버플로우한 액체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는 제2공간을 포함하는 구조로 설계하되, 제1공간에 분배조절밸브를 설치하여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공급 비율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일정 비율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first spac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quid to be first distributed, and a second space for allowing the liquid overflowed from the first space to be discharged, and to adjust the distribution to the first space. By installing a valve so that fine adjustment is possible, the supply ratio of the liquid can be precisely controlled and there is an effect of supplying a constant ratio of the liquid continuously.
또한, 본 발명은 분배조절밸브의 제1유량조절용 홀과 제2유량조절용 홀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미세조절이 가능하므로, 하우징에 하나 이상 설치하여 많은 유량을 처리하기 위해 액체의 다량조절과 미세조절을 구분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nely adjusted by selectively combining the shape of the first flow rate adjusting hole and the second flow rate adjusting hole of 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it is installed in one or more housings in order to process a large flow rate of the large amount of liquid and fine contro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esigned to operate by dividing the control.
따라서 본 발명은 압력손실은 적으면서 제1배출부과 제2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의 비가 연속적으로 제어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ratio of th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ion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while being controlled continuously while the pressure loss is sma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분리벽형 증류탑의 외측에 설치되는 액체 분배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액체 분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액체 분배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배조절밸브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배조절밸브에서 유량조절용 홀의 형상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분리벽형 증류탑의 내측에 설치되는 액체 분배장치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8 내지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liquid distribu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istribution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flow rate adjustment hole in 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liquid distribution device installed inside of the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액체 분배장치는, 2개의 컬럼을 하나의 컬럼으로 합친 분리벽형 증류탑(Dividing Wall Column, DWC)에 사용되는 액체 분배장치이다. The liquid distribu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quid distributor used in a dividing wall column (DWC) in which two columns are combined into one colum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벽형 증류탑(10)은 제1컬럼(11)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액체를 제1컬럼(11) 하부의 제2컬럼(13)에 공급하되 세로로 설치된 분리벽(15)에 의해 나누어진 두 개 또는 복수 개의 분배공간으로 원하는 비율로 분배해 주어야 하고, 이때 액체 분배장치(100)에서 액체의 공급 비율을 조정하게 된다. 액체 분배장치(100)는 분리벽형 증류탑(10)의 외측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dividing
제1컬럼(11)과 제2컬럼(13)을 구획하는 가로 분리벽(12)에는 제2컬럼(13)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침니(chimney)(14)가 설치된다. 가로분리벽은 침니 트레이라고도 한다.A
침니 트레이(12)는 침니가 설치된 상측 분리벽과 액체분배장치로의 유입관이 연결되는 하측 분리벽의 2개의 계단구조로 되어 있어, 낙하되는 액체가 침니 입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침니햇(chimney hat,16)를 따라 침니트레이의 상단부을 경유해 하측부에서부터 채워져 액체수면을 형성한다. The
한편, 액체분배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액체가 낙하되거나, 액체분배장치로의 배출구가 막힐 경우, 액체수면이 상승하는데, 침니를 범람해 제2컬럼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침니 트레이의 유입관(111) 연결부의 반대편에 위치한 침니 트레이의 상단부에 오버플로우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벽은 제1컬럼과 제2컬럼을 관통시키며, 오버플로우 벽의 높이는 침니 높이보다는 낮고, 제2컬럼 내의 분리벽(15) 상부 공간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r amount of liquid falls than the amount discharged through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or the outlet to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is blocked, the liquid level rises, so that the chimney overflows and does not flow directly into the second column. An overflow wall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himney tray located opposite the
오버플로우 벽의 형상은 평판, 원통, 사각통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overflow wall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s a flat plate, a cylinder, a square cylinder, or the lik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분배장치(100)는 유입관(111)을 통해 액체를 공급받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유입관(111)과 연통되는 제1공간(115)과 제1공간(115)으로 공급받은 액체의 초과분이 넘쳐 유입될 수 있는 제2공간(121)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분배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구획판(113)과 제1공간(115)을 상부공간(117) 및 하부공간(119)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판(123)이 설치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liquid dispensing
제2구획판(123)에 상부공간(117)으로 유입된 액체를 하부공간(119)으로 분배하는 분배조절밸브(130)가 설치되며, 하우징(110) 하부에는 하부공간(119)과 제2공간(121)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부(151)가 구비된다.A
유입관(111)은 일단이 분리벽형 증류탑(10)의 제1컬럼(11) 하부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110) 상부 일측과 연결되어 제1컬럼(11)에 공급된 액체를 액체 분배장치(1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유입관(111)은 침니 트레이(Chimney)(12)의 바닥면 보다는 조금 높은 위치에서 일단이 연결되어 액체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이 분리벽 바닥면에 가라앉고 유입관(111)을 통해 액체가 공급되게 함으로써 불순물에 의해 유입관(111)이 막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유입관(111)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유입관(111)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The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은 복수 개의 분배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은 하우징(110) 내부에 소정 높이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제1구획판(113)에 의해 제1공간(115)과 제2공간(121)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분배공간으로 구획되고, 제1공간(115)은 제1공간(115)에 가로로 설치된 제2구획판(123)에 의해 상부공간(117)과 하부공간(119)으로 구획된다. The inner space of the
도 2에서 제1구획판(113)은 판상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115)과 제2공간(121)의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한다. 하지만, 제1구획판(113)의 단면 형상이 Y자로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 제3공간의 세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고, 제1구획판(113)의 단면 형상이 X자나 +로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 제2공간, 제3공간, 제4공간의 네 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즉, 제1구획판(113)의 형상을 변형하는 것에서 하우징(110) 내부공간을 복수 개의 분배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FIG. 2, the
제1공간(115)은 유입관(111)을 통해 액체가 유입되면 우선 분배할 액체의 양을 조절하는 공간이다. 제2공간(121)은 제1공간(115)의 상부공간(117)에서 초과(overflow)한 액체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공간이다. The
제1공간(115)과 제2공간(121)의 액체분배 비율은 제1구획판(113)의 높이 및 분배조절밸브의 개폐율로 조절 가능하며, 제1공간(115)에서 상부공간(117)과 하부공간(119)의 공간 비율은 제2구획판(123)의 설치위치로 조절 가능하다.The liquid distribution ratio of the
분배조절밸브(130)는 제1공간(115)의 상부공간(117)으로 유입된 액체를 하부공간(119)으로 배출하는 양을 조절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제1구획판(113)을 오버플로우할 액체의 양을 조절하게 되어 제1공간(115) 하부와 제2공간(121) 하부로 배출되는 액체 양의 비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분배조절밸브(130)는 제2구획판(123)에 설치된다. The
분배조절밸브(130)는 고정몸체(131), 회전몸체(141), 밸브부재(147)를 포함한다.The
고정몸체(131)는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2구획판(123)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131)는 길이방향으로 제1연통홀(133)이 형성되며, 제1연통홀(133)과 연통되게 상부공간(117) 및 하부공간(119)으로 각각 뚫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이 구비된다. 한 쌍의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은 고정몸체(131)의 상, 하부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xed
회전몸체(141)는 고정몸체(131)의 제1연통홀(13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몸체(141)는 길이방향으로 제2연통홀(143)이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과 제2연통홀(143)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한 쌍의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이 구비된다. 한 쌍의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은 회전몸체(141)의 상, 하부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131)에 형성되는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은 고정몸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 장홀(a)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b), 고정몸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c), 복수의 사각홀(d), 복수의 타원형(e)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flow
회전몸체(141)에 형성되는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은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과 마찬가지로 회전몸체(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 장홀(a)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b), 회전몸체(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c), 복수의 사각홀(d), 복수의 타원형 홀(e)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flow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과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은 도 5에 도시된 구성 중 하나를 선택하고 혼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The first flow
도 5의 (e)에 도시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타원 홀을 유량조절용 홀 형상으로 채용하는 경우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과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이 연통되는 부분의 면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액체의 공급 비율을 더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elliptical hole formed in the oblique direction shown in FIG. 5 (e) is adopted in the shape of a flow adjusting hole,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몸체(141)에 형성되는 제2연통홀(143) 및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은 회전몸체(141)에 상, 하부가 연속되게 뚫어 일체로 형성하거나, 회전몸체(141)에 상, 하부가 연속되게 단속적으로 복수 개를 뚫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여기서, '단속적으로는'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을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시 끊어지는 부분이 있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c),(d),(e) 형상이 해당한다. 단속적으로 끊어지는 부분이 있도록 회전몸체(141)에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을 형성하면 분배조절밸브(13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Here, the 'intermittently' the second flow rate adjusting holes (145, 146) are formed so that there is a portion that is broken when forming by machining, the shape (c), (d), (e) shown in FIG. do. When the second flow
밸브부재(147)가 작동하여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에 대한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의 오픈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밸브부재(147)는 회전몸체(141)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몸체(14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밸브부재(147)의 회전에 의해 회전몸체(141)가 회전하고 회전몸체(141)의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이 고정몸체(131)의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과 연통되어 상부공간(117)으로 유입된 액체를 하부공간(119)으로 분배할 수 있다.The
즉, 고정몸체(131)의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과 회전몸체(141)의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이 연통되는 면적에 따라 액체의 분배 양이 조절될 수 있다. That is, the dispensing amount of the liquid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rea in which the first flow
밸브부재(147)는 수동, 유압, 전기, 기압, 수압, 기어 중 선택된 1종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밸브부재(147)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치된 분배조절밸브(130)에 설치될 수 있다. 첨부 도면 중 밸브부재는 시선 위치에 따라 미도시 된 것으로 보여질 수도 있으나, 분배조절밸브(130)에는 상기 밸브부재는 수동, 유압, 전기, 기압, 수압, 기어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부재(147)에 의해 제어된다. The
분배조절밸브(130)는 제2구획판(123)에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으나, 많은 유량을 처리하기 위해 또는 다량조절과 미세조절을 구분하여 운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Only one
또는, 분배조절밸브(130)는 상부공간(117)에서 오버플로우된 액체를 제3의 공간으로 오버플로우 되도록 하여 유입관(111)으로 유입된 액체를 세 개 이상의 유량으로 분배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하우징(110)에 하부공간(119)상의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기체 배출관(149)이 설치될 수 있다. 기체 배출관(149)은 하부공간(119)상의 기체를 배출하여 상부공간(117)의 액체가 분배조절밸브(130)의 조절에 의해 하부공간(119)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A
하부공간(119)은 연결되는 배출부(151) 등이 실링으로 인해 밀폐구조를 가지므로 하부공간(119)상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어야 상부공간(117)의 액체가 하부공간(119)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즉, 액체가 하부공간(119)으로 유입되는 부피만큼 기체가 배출되어야 액체 분배장치(100)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다.The
기체 배출관(149)은 하우징(110)의 제1구획판(113)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되어야 액체에 의해 기체 배출구가 막히지 않으므로 기체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다.The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하우징(110)의 기체를 배출하기 위해 기체 배출관(149a)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기체 배출관(149)은 유입관(111)과 유사한 위치에서 액체에 잠기지 않는 높이의 칼럼에 연결된다.For this reason, a
배출부(151)는 하부공간(119)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부(153) 및 제2공간(121)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2배출부(155)를 포함한다. 제1배출부(153)와 제2배출부(155)에 각각 배출부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는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The
제1배출부(153)와 제2배출부(155)는 제2컬럼(13)에 액체를 공급하되 분리벽(15)에 의해 나누어진 두 개의 분배공간으로 각각 위치되어 액체를 분배 공급할 수 있다. The
배출부(151)는 제1배출부(153)와 제2배출부(155) 2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우징(110) 내의 분배공간 수에 따라 복수 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배출부(151)는 배출관을 채용할 수 있으며, 배출관의 일측에는 기체의 역류 방지를 위한 'U'자형 트랩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액체 분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1)을 통해 유입된 액체가 제1공간(115)에서 제2구획판(123)에 설치된 분배조절밸브(130)에 의해 우선 분배할 양이 조절된다. 즉, 유입관(111)을 통해 상부공간(117)으로 유입된 액체가 분배조절밸브(130)의 작동에 의해 일정 부분 하부공간(119)으로 배출되고 상부공간(117)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액체는 제1구획판(113)을 타고 넘어 제2공간(121)으로 유입된다. In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liquid introduced through the
하부공간(119)으로 배출된 액체는 제1배출부(153)를 통해 제2컬럼(13)의 세로 분리벽(15)에 의해 구획된 일측 분배공간으로 배출되고, 제2공간(121)으로 유입된 액체는 제2배출부(155)를 통해 제2컬럼의 타측 분배공간으로 배출된다.The liquid discharged into the
이때, 분배조절밸브(130)는 밸브부재(147)를 작동시며 회전몸체(141)를 회전시킴에 의해 고정몸체(131)의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과 회전몸체(141)의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의 오픈된 면적을 제어하여 하부공간으로 배출되는 액체의 양 및 제1구획판(113)을 타고 넘어가 제2공간(121)으로 배출되는 액체의 양을 분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하부공간(119)으로 배출되는 액체의 부피만큼 하부공간(119)의 기체가 기체 배출관(149)을 통해 상부로 배출될 수 있어 액체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the volume of the liquid discharged into the
그리고 분배조절밸브(130)는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 및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을 도 5에 도시된 형상에서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채용함으로써 미세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분배조절밸브(130)는 하우징(110)에 한 개 이상 설치하여 다량조절 및 미세조절을 구분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미세 분배조절을 위해 제2구획판(123)에 미세 분배조절을 위한 홀의 면적이 작은 미세 분배조절밸브(130a)를 설치하여 다량의 액체 유량조절은 홀의 면적이 큰 분배조절밸브(130)으로 하고 미세 분배조절은 홀의 면적이 작은 미세 분배조절밸브(130a)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본 발명을 설계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design examples.
액체 분배장치는 하우징의 내부공간 지름이 1000mm이고, 분배조절밸브는 제1유량조절용 홀의 폭이 8mm, 길이가 300mm이며, 제2연통홀의 직경이 38mm, 제1유량조절용 홀과 제2유량조절용 홀이 연통되는 면적 즉, 유량조절용 홀이 오픈된 면적이 0.0024㎡이다. 그리고, 제1구획판의 초과(overflow)되는 높이가 200mm로 설계하였다.The liquid dispensing device has a diameter of 1000 mm inside the housing, the dispensing control valve has a width of 8 mm and a length of 300 mm for the first flow control hole, and a diamet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38 mm, the first flow control hole and the second flow control hole. This communicating area, that is, the area where the flow rate adjusting hole is opened, is 0.0024 m 2. Then, the overflow height of the first compartment plate was designed to be 200 mm.
이 경우, 10000kg/hr의 액체가 액체 분배장치로 공급될 때 분배조절밸브가 약 50% 열려 있을 경우 하부공간에 연결된 제1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량은 약 6200kg/hr이고 제2공간으로 오버플로우되어 하부 제2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량은 약 3800kg/hr이 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10000 kg / hr of liquid is supplied to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if 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is about 50% open, the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is about 6200 kg / hr and overflows to the second space. Thus, the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lower second discharge portion may be about 3800kg / hr.
한편, 상술한 액체 분배장치는 하우징이 분리벽형 증류탑 내의 한 공간에 일체로 설치되는 액체 분배장치일 수 있다. Meanwhile,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a liquid dispensing apparatus in which the housing is integrally installed in one space in the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분리벽형 증류탑의 내측에 설치되는 액체 분배장치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6 is a view showing a liquid distribution device installed inside the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액체 분배장치(100)는, 제1컬럼(11)과 제2컬럼(13) 2개의 컬럼을 하나의 컬럼으로 합친 분리벽형 증류탑(Devided Wall Column, DWC)(10)에 내의 일측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6, the
액체 분배장치(100)는 제1컬럼(11)과 제2컬럼(13)을 구획하는 침니 트레이(12)의 일측과 연결되게 설치되며, 하우징(110')의 높이는 침니 트레이(12)의 바닥면보다 높게 배치하여 불순물이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또한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소정간격 이격되게 차단벽(17)을 설치하여 제1컬럼(11)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액체가 하우징(110') 내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locking
제1컬럼(11)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액체는 침니 트레이(12)에 떨어져 오버플로우되면서 하우징(110')과 차단벽(17) 사이의 공간 즉, 유입관을 통해서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The liquid fall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하우징(110')은 내부에 유입관과 연통되는 제1공간(115')과 제1공간(115')으로 공급받은 액체의 초과분이 넘쳐 유입될 수 있는 제2공간(121')으로 구획하는 제1구획판(113')과 제1공간(115')을 상부공간(117') 및 하부공간(미도시)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판(미도시)이 설치된다.The housing 110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115' which communicates with an inflow pipe therein and a second space 121 'through which an excess of the liquid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15' can overflow. A second partition plate (not shown) is formed to partition the
제1구획판(133')의 높이는 하우징(110')의 높이보다 낮아 하우징(110')의 제1공간(115')으로 유입된 액체가 우선 하부공간으로 분배된 후 제2공간(121')으로 오버플로우될 수 있도록 한다.The height of the first partition plate 133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housing 110' so that the liquid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115 'of the housing 110' is first distributed into the lower space and then the second space 121 '. To overflow).
그리고 제2구획판에 분배조절밸브(130')가 설치되어 상부공간(117')으로 유입된 액체를 하부공간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a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하부공간과 제2공간(121')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부(153')와 제2배출부(155')가 구비된다.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discharge portion 153' and a second discharge portion 155 'for discharging the liquid on the lower space and the second space 121'.
제1배출부(153')는 제2컬럼(13)의 세로 분리벽(15)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 분배공간으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단부가 배치되고, 제2배출부(155')는 제2컬럼(13)의 타측 분배공간으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단부가 배치된다.The
상술한 액체 분배장치는 전술한 액체 분배장치와 비교하여 분리벽형 증류탑 내에 설치되거나 외에 설치되는 차이만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분배조절밸브(130')의 구성 및 작동 등에 대해서는 중복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is different from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is installed in the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or in addition thereto. Therefore,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또한, 상술한 액체 분배장치는 분리벽형 증류탑이 아닌 일반 증류탑 환류비 조절장치로 사용하여 환류량과 배출액의 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may be used as a general distillation column reflux ratio adjusting device rather than a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to adjust the ratio of the reflux amount and the discharge liquid.
또한, 상술한 액체 분배장치는 액체 분배를 필요로 하지만 압력 손실을 적게 해야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is applicable to various kinds of apparatuses requiring liquid dispensing but requiring low pressure loss.
상술한 액체 분배장치는 액체가 유입되어 우선 분배할 양을 조절하는 제1공간과 제1공간에서 오버플로우한 액체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는 제2공간을 포함하는 구조로 설계하되, 제1공간에 분배조절밸브를 설치하여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공급 비율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일정 비율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있는 이점이 있다.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is designed to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first spac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quid to be first dispensed and a second space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the overflowed liquid in the first space, wherein the first space is provided. By providing a distribution control valve in the fine adjustmen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pply ratio of the liquid accurate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a constant ratio of the liquid.
또한, 분배조절밸브는 제1유량조절용 홀과 제2유량조절용 홀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미세조절이 가능하므로, 하우징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설치하여 액체의 다량조절과 미세조절을 구분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can be finely adjusted by selectively combining the shapes of the first flow control hole and the second flow control hole, so that one or more installed in the housing can be separated and operated to control the large amount and fine control of the liquid There is an advantage to design.
또한, 상술한 액체 분배장치는 액체 분배를 위해 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압력손실은 적으면서 제1배출부과 제2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의 비를 연속적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does not use a pump for dispensing the liquid, and thus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and precisely control the ratio of th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ortions while reducing the pressure loss.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도 1의 하우징을 대신하여 배관으로 구성한 것으로써, 구획판을 대신하여 오버플로우 배관으로 구성으로 주배관과 가지배관이 각각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main pipe and the branch pipe serve as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respectively. .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공급장치는 하우징 대신 배관(160)을 적용하고 배관(160)에 액체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분배조절밸브(130)를 설치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8, the liquid supply device may employ a structure in which a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60) 측면에는 오버플로우하는 액체가 유입되는 가지배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오버플로우한 액체는 가지배관에 추가로 설치된 분배조절밸브(130)에 의해 컬럼 내로 유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도 각 배관(160)에는 액체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기체 배출관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ure 8, the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도 1의 구성에서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추가 제1구획판들(113a),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추가 제2구획판들(123a),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추가 미세 분배조절 밸브(130a)의 예를 더 나타낸 것이다.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n example of additional
도 10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10 to 13 show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액체 분배장치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며 이다.10 and 11,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using.
액체 분배장치는 유입관(111)을 통해 액체를 공급받는 하우징(100)과 하우징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유입관과 연통되는 제1공간(115)과 제1공간으로 공급받은 액체의 초과분이 넘쳐 유입될 수 있는 제2공간(121)을 포함하는 제1구획판(113)과, 제1공간과 제2공간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한다.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배출수단은 액체의 분배할 양을 조절하는 분배조절밸브(130)로서 배출관에 설치되거나, 배출관에 연결되는 제1공간의 하우징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Discharge means may be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as a
도 11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액체 분배장치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며 이고, 분배조절밸브(130)가 하우징에 부착된 형태이다.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11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using, and the dispensing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액체 분배장치는 분리벽형 증류탑 내부에 설치된다.12 and 13, the liquid distribution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액체 분배장치는 내부 일정부분을 세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분리벽을 구비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하며 하부공간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통과하는 침니를 구비하는 침니트레이와, 침니트레이에 구비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하는 액체를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수단과,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지 않는 초과분의 액체가 넘쳐 흐를 수 있는 오버플로우 벽(103)을 포함한다.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is installed in a housing having one or more separation walls partition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ner part in a vertical direction to separate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nd includes a chimney through which gas rising from the lower space passes. A chimney tray, one or more discharge means provided in the chimney tray and discharging the liquid desc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an
오버플로우 벽(103)의 형상은 평판, 원통, 사각통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배출수단은 배관(160)에 액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분배조절밸브(130)를 설치한 것이다. 액체의 배출량이 조절되는 제1공간의 역할을 침니트레이가, 제1공간으로 공급받은 액체의 초과분이 넘쳐 유입될 수 있는 도 10 및 도 11에서의 제1구획판(113)의 역할을 오버플로우 벽(103)이 대신한다. 또한, 액체가 오버플로우 벽(103)을 넘쳐간 측 공간이 도10 및 도 11에서의 제2공간(121)의 역할을 한다.Discharge means is to install a
도 1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액체 분배장치는 칼럼 내에 구비된 경우이고, 분배조절밸브(130)가 침니트레이에 부착되고, 제2컬럼 내에서 분리벽(15)에 의해 구분되는 공간 중 오버플로우 벽(103)을 넘어온 액체가 직접 배출되는 공간으로부터 구분되는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배출관이 형성된다.The liquid dispensing device of the 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13 is a case where it is provided in a column, and the
도 12 및 도 13에는 오버플로우 벽(103)을 넘어온 액체가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한편, 배출관이 막힐 경우 지속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실팬(Seal pan, 154)과 제1배출부 역할을 하는 배관(160)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서 제2배출부(155a)가 있다.12 and 13,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이때, 분리벽형 증류탑의 제2컬럼은 분리벽(15)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분되며, 제2컬럼 내 구분된 공간의 갯수 = 오버플로우 벽의 갯수 + 분배조절 밸브의 개수와 동일하다. 예를들어, 오버플로우 벽이 1개이고, 분배조절 밸브의 수가 2개이면 구분된 공간은 분배조절 밸브에 의한 2개와 오버플로우 벽에 의해 구분되는 1개로 총3개가 된다. In this case, the second column of the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is spatially divided by the dividing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10: 분리벽형 증류탑 11: 제1컬럼
12: 침니 트레이(Chimney tray) 13: 제2컬럼
14: 침니(Chimney) 15: 분리벽
16 : 침니햇(Chimney hat) 100: 액체 분배장치 103 : 오버플로우 벽 110: 하우징
111: 유입관 113: 제1구획판
113a: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추가 제1구획판들
115: 제1공간 117: 상부공간
119: 하부공간 121: 제2공간(다수 설치 가능)
123: 제2구획판 130: 분배조절밸브
123a: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추가 제2구획판들
130a: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추가 미세 분배조절 밸브
131: 고정몸체 133: 제1연통홀
135,136: 제1유량조절용 홀 141: 회전몸체
143: 제2연통홀 145,146: 제2유량조절용 홀
147: 밸브부재 149, 149a: 기체 배출관
151: 배출부 153: 제1배출부
154 : 실팬(Seal pan)
155: 제2배출부 155a: 제2배출부
160: 배관10: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11: first column
12: Chimney tray 13: second column
14: Chimney 15: Separation Wall
16
111: inlet pipe 113: first compartment
113a: Additional first compartments optionally installed
115: first space 117: upper space
119: lower space 121: second space (multiple installations possible)
123: second compartment plate 130: distribution control valve
123a: additional second compartments optionally installed
130a: additional finely regulated valves optionally installed
131: stationary body 133: first communication hole
135,136: first flow rate adjusting hole 141: rotating body
143:
147:
151: discharge portion 153: first discharge portion
154: Seal pan
155:
160: piping
Claims (27)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받은 오버플로우한 액체가 넘쳐 유입될 수 있는 제2공간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분배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구획판;
상기 제1공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판;및
상기 제2구획판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공간으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하부공간으로 분배하는 분배조절밸브;및
상기 하부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분배공간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공급 비율을 조절하고, 연속적으로 일정 비율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용 홀의 형상들이 선택적으로 조합되며,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상기 제2구획판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제1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통홀과 연통되게 상기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각각 뚫어져 형성되는 제1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제1연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제2연통홀이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과 상기 제2연통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시키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A housing receiving liquid through an inlet pipe;
A plurality of spaces disposed in the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ing a first space in which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communicates with the inflow pipe and a second space into which the overflowed liquid supplied to the first space may overflow; A first partition plate partitioning into a distribution space;
A second partition plate partitioning the first space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nd
A distribution control valve installed in the second compartment plate and distributing the liquid introduced into the upper space to the lower space;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liquid on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spaces including the lower space and the second space,
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is to adjust the liquid supply ratio by allowing fine control, and the shape of the flow rate adjustment hole is selectively combined to supply a constant ratio of liquid continuously,
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A fixed body provided at the second partition plate and having a first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flow rate adjusting hole formed in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respectively;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flow rate adjusting hole for selectively communicating the first flow rate adjusting ho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by rotation is provided. Rotating body,
And a valve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to rotate the rotating body.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low rate adjustment hole
A long hole formed in a straight or oblique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Any on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circular holes, a plurality of square holes, a plurality of oval holes, or a combination thereof, which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an obliqu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Liquid dispensing apparatus.
상기 제2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
상기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low rate adjustment hole
A long hol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oblique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Any on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circular holes, a plurality of square holes, a plurality of oval holes, or a combination thereof, which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an oblique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Liquid dispensing apparatus.
상기 회전몸체에 형성되는 제2연통홀 및 제2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회전몸체에 상, 하부가 연속되게 뚫어 형성하거나, 상기 회전몸체에 상,하부가 연속되게 단속적으로 복수 개의 구멍을 뚫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the second flow rate adjusting hole formed in the rotating body may be formed by continuously drill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in the rotating body, or by continuously drilling the plurality of holes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continuously in the rotating body. Liquid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밸브부재는 수동, 유압, 전기, 기압, 수압, 기어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member is a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operated by one or a combination of manual, hydraulic, electric, air pressure, water pressure, gears.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부공간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1 배출부 및 상기 제2공간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portion
And a second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liquid on the lower space and a second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liquid on the second space.
상기 배출부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7,
And an on / off valve installed on the outlet so as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let.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입관이 증류탑 내의 액체를 공급받고,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증류탑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증류탑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a liquid distribu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pipe is supplied to the liquid in the distillation column, the liqui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ion is installed outside the distillation column so as to flow into the distillation column.
상기 하우징은 증류탑 내의 액체를 공급받고,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증류탑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증류탑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supplied with a liquid in the distillation column, the liquid distribu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utside the distillation column so that the liqui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into the distillation column.
상기 복수 개의 분배공간 중 하나이며, 상기 액체가 유입되는 상부공간과 상부공간의 액체를 배출하는 하부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경계부분에 분배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액체의 우선 분배할 양을 조절하는 제1공간;
상기 상부공간에서 오버플로우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2공간;
상기 하부공간과 상기 제2공간의 액체를 각각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공급 비율을 조절하고, 연속적으로 일정 비율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용 홀의 형상들이 선택적으로 조합되며,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상기 제1공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판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제1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통홀과 연통되게 상기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각각 뚫어져 형성되는 제1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제1연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제2연통홀이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과 상기 제2연통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시키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A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distribution spaces are formed to vertically divide the internal space and in which liquid is introduced;
One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spaces, which is divided into an upper space into which the liquid is introduced and a lower space for discharging the liquid of the upper space, and a distribution control valve is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to prioritize the liquid. A first space adjusting an amount to be dispensed;
A second space into which the liquid overflowed from the upper space flows;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liquid of the lower space and the second space,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is to adjust the liquid supply ratio by allowing fine control, and the shape of the flow rate adjustment hole is selectively combined to supply a constant ratio of liquid continuously,
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Partitioning the first space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 fixed body provided on the second partition plate and having a first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flow rate adjustment hole formed in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flow rate adjusting hole for selectively communicating the first flow rate adjusting ho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by rotation is provided. Rotating body,
And a valve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to rotate the rotating body.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상하 한 쌍의 장홀,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상하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flow rate adjustment hole
A pair of upper and lower long holes formed in a straight or oblique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One of a plurality of circular holes, a plurality of square holes, a plurality of elliptical holes formed up and down in a linear direction or an obliqu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or any one of a combination thereof Liquid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2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관통하도록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
상기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second flow rate adjustment hole
A long hol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oblique line to penetrat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Any on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circular holes, a plurality of square holes, a plurality of elliptical holes, or a combination thereof, which are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in a linear direction or an obliqu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Liquid distributor, characterized in that one.
상기 하우징은 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housing is a liquid distribu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iping.
상기 배관은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서 오버플로우한 액체가 유입되는 가지배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분배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주배관이 상기 제1공간의 역할을 하고 상기 가지배관이 상기 제2공간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spaces are formed by the main pipe and branch pipes through which the liquid overflowed from the main pipe flows.
And the main pipe serves as the first space and the branch pipe serves as the second space.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받은 오버플로우한 액체가 넘쳐 유입될 수 있는 제2공간을 포함하는 제1구획판;
상기 제1공간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부;
상기 제2공간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2배출부;
상기 제1배출부에는 액체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분배조절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공급 비율을 조절하고, 연속적으로 일정 비율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용 홀의 형상들이 선택적으로 조합되며,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상기 제1공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판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제1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통홀과 연통되게 상기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각각 뚫어져 형성되는 제1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제1연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제2연통홀이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과 상기 제2연통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시키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A housing receiving liquid through an inlet pipe;
A first space disposed in the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ing a first space communicat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with the inflow pipe and a second space into which the overflowed liquid supplied to the first space may overflow; Partition plate;
A first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first space;
A second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second space;
The first discharge portion has a distribution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liquid; Including;
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is to adjust the liquid supply ratio by allowing fine control, and the shape of the flow rate adjustment hole is selectively combined to supply a constant ratio of liquid continuously,
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Partitioning the first space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 fixed body provided on the second partition plate and having a first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flow rate adjustment hole formed in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flow rate adjusting hole for selectively communicating the first flow rate adjusting ho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by rotation is provided. Rotating body,
And a valve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to rotate the rotating body.
상기 하우징은 증류탑 내 침니 트레이로부터 액체를 상기 유입관을 통해 공급받고, 상기 분배조절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증류탑 내로 재유입되도록 상기 증류탑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And the housing is provided outside the distillation column so that the liquid is supplied from the chimney tray in the distillation column through the inlet pipe and th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is re-introduced into the distillation column.
상기 증류탑은 상기 침니 트레이에 의해 상기 증류탑 내부 일정부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고, 상기 하부공간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통과하는 침니;
상기 침니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공간으로부터 낙하되는 액체가 상기 침니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침니햇;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The distillation column is a chimney through whic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distillation column is separat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by the chimney tray, the gas rising in the lower space passes;
A chimney hat spaced apart from the chimney to prevent liquid from falling from the upper space into the chimney;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omprising a.
상기 증류탑에는 상기 재유입된 액체는 상기 제1배출부와 상기 제2배출부를 통해 각각 분리되어 상기 재유입이 되도록 공간을 좌우로 분리하도록 상하방향의 분리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9,
The distillation column is a liquid distribu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lowed liquid is separat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ion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respectively, the partition wall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so as to separate the space to the left and right to be reflowed.
상기 침니 트레이에 구비되어 하부공간으로부터의 기체를 상부공간으로 전달하는 침니;
상기 침니 트레이에 쌓인 액체를 공급받아 상기 증류탑의 하부공간으로 액체를 전달하도록 상기 증류탑의 외부로 구비되는 배관;
상기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전달되는 액체양을 조절하는 분배조절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공급 비율을 조절하고, 연속적으로 일정 비율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용 홀의 형상들이 선택적으로 조합되며,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상기 배관의 미리 설정되는 특정 위치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제1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통홀과 연통되게 상기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각각 뚫어져 형성되는 제1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제1연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제2연통홀이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과 상기 제2연통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시키는 밸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침니 트레이에는 상기 침니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이고, 상기 상부공간의 액체를 상기 하부공간으로 직접 전달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 벽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공간에는 상기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공간;
상기 오버플로우 벽을 통해 전달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분하도록 분리벽이 형성되는 액체분리장치.A chimney tray separating the distillation column into an upper space in which the liquid falls and a lower space in which the gas rises;
Chimney provided in the chimney tray to deliver gas from the lower space to the upper space;
A pipe provided outside the distillation column to receive the liquid accumulated in the chimney tray and to transfer the liquid to the lower space of the distillation column;
A distribution control valve provided in the pipe to adjust the amount of the delivered liquid;
Include,
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is to adjust the liquid supply ratio by allowing fine control, and the shape of the flow rate adjustment hole is selectively combined to supply a constant ratio of liquid continuously,
The distribution control valve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ipe and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flow rate adjusting hole is formed to be drilled into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respectively. Body,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flow rate adjusting hole for selectively communicating the first flow rate adjusting ho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by rotation is provided. Rotating body,
A valve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to rotate the rotating body,
The chimney tray has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chimney, and an overflow wall is formed to directly transfer the liquid in the upper space to the lower space.
The lower space includes a space for receiving the liquid delivered through the pipe;
And a separation wall formed to distinguish the space containing the liquid transferred through the overflow wall.
상기 하부공간에서 액체를 수용하는 공간의 갯수는 상기 오버플로우 벽의 갯수와 상기 분배조절 밸브의 개수의 합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1,
And the number of spaces containing liquid in the subspace is equal to the sum of the number of overflow walls and the number of distribution control valves.
상기 오버플로우 벽을 범람해 상기 하부공간으로 전달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실팬이 상기 분리벽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1,
And a seal pan, which receives the overflow wall and receives the liquid transferred to the lower spac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paration wall.
상기 실팬은 수용되는 액체를 배출하기 위해 일면을 개방하거나, 제2배출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5,
The seal fan is a liquid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open one surface or to discharge the liquid contained in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상기 배관은 상기 증류탑의 내부에도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and 24 to 26,
The pipe may be provided in the distillation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sepa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60058991 | 2016-05-13 | ||
| KR1020160058991 | 2016-05-13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128056A KR20170128056A (en) | 2017-11-22 |
| KR101990459B1 true KR101990459B1 (en) | 2019-09-30 |
Family
ID=6081011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518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990459B1 (en) | 2016-05-13 | 2016-11-15 | Liquid splitt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9045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821709A (en) * | 2020-08-02 | 2020-10-27 | 扬州普立特科技发展有限公司 | A reflux tank with adjustable reflux ratio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131586A (en) | 2003-10-31 | 2005-05-26 | Kansai Chemical Engineering Co Ltd | Distillation device |
| US20120103013A1 (en) | 2010-10-28 | 2012-05-03 | Uop Llc | Vapor and liquid flow control in a dividing wall fractional distillation column |
| KR101351638B1 (en) | 2012-05-22 | 2014-01-16 | (주)에이엠티퍼시픽 | Liquid Splitter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92349A (en) | 2009-03-20 | 2010-08-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Dividing wall distillation column with equal pressure in the space divided into dividing wall |
-
2016
- 2016-11-15 KR KR1020160151868A patent/KR10199045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131586A (en) | 2003-10-31 | 2005-05-26 | Kansai Chemical Engineering Co Ltd | Distillation device |
| US20120103013A1 (en) | 2010-10-28 | 2012-05-03 | Uop Llc | Vapor and liquid flow control in a dividing wall fractional distillation column |
| KR101351638B1 (en) | 2012-05-22 | 2014-01-16 | (주)에이엠티퍼시픽 | Liquid Splitt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128056A (en) | 2017-11-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51638B1 (en) | Liquid Splitter | |
| KR101709754B1 (en) | VAPOR SPLITTER and METHOD FOR ADJUSTING VAPOR SPLIT RATIO | |
| KR101351637B1 (en) | Liquid Splitter | |
| JPH11253788A (en) | Dispenser for liquid-gas contact filling column | |
| KR20120068327A (en) | Verticality guide plate form dissolved airfloatation system using water flow of water treating apparatus | |
| US4569364A (en) | Variable flow self-cleaning liquid distribution element and liquid distribution assembly employing a plurality of such elements | |
| KR101990459B1 (en) | Liquid splitter | |
| US6152650A (en) | Wastewater and effluent distribution system | |
| EA004971B1 (en) | A washing liquid distribution system | |
| KR101250417B1 (en) | Liquid Splitter | |
| CN102971486B (en) | Collecting tank, system comprising collecting tank and multi-phase pump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dividing up a multi-phase mixture | |
| US6112766A (en) | Low flow wastewater and effluent distribution system | |
| US7014783B2 (en) | Flow splitting weir | |
| RU2631701C1 (en) | Countercurrent column with dynamically controlled fluid distributor | |
| KR101925241B1 (en) | Water dispensing device for dosing medicine of water treatment facility | |
| RU194405U1 (en) | Gas-liquid separator | |
| KR101642845B1 (en) | Facility for gas treatment | |
| CN208003492U (en) | A kind of liquid distributing device of interface stability | |
| CA2659517A1 (en) | Apparatus for humidifying a gas flow | |
| KR20140004155U (en) | Column for gas refinement | |
| SU1599313A1 (en) | Oil trap | |
| KR20000042536A (en) | Apparatus for control wastewater level | |
| PL216053B1 (en) | Cylindrical rotational utilities flow controll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6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