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779B1 - 음극 활물질 입자의 형상이 상이한 활물질층들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음극 활물질 입자의 형상이 상이한 활물질층들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5779B1 KR102005779B1 KR1020150128976A KR20150128976A KR102005779B1 KR 102005779 B1 KR102005779 B1 KR 102005779B1 KR 1020150128976 A KR1020150128976 A KR 1020150128976A KR 20150128976 A KR20150128976 A KR 20150128976A KR 102005779 B1 KR102005779 B1 KR 1020057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ating layer
- active material
- negative electrode
- electrode active
- slur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01M2/1016—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음극을 압연하여 제조된 음극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 박리력(gf/10mm) | |
| 실시예 1 | 35.2 |
| 비교예 1 | 14.6 |
Claims (24)
-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제 1 음극 활물질,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 1 슬러리를 도포하는 과정;
(b) 미건조 상태의 상기 제 1 슬러리 상에, 제 1 음극 활물질과 입자의 형상이 상이한 제 2 음극 활물질,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 2 슬러리를 도포하는 과정;
(c) 상기 집전체에 도포된 제 1 슬러리 및 제 2 슬러리를 건조하여 제 1 코팅층 및 제 2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정; 및
(d) 상기 제 1 코팅층 및 제 2 코팅층을 압연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활물질은 입자의 형상이 구형 또는 유사 구형이고,
상기 제 2 활물질은 입자의 형상이 플래이크형이고,
상기 제 2 코팅층의 두께는 제 1 코팅층의 두께에 비해 1.5 배 내지 40 배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제 1 음극 활물질,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 1 슬러리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제 1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정;
(B) 상기 제 1 코팅층 상에, 제 1 음극 활물질과 입자의 형상이 상이한 제 2 음극 활물질,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 2 슬러리를 도포하여 제 2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정; 및
(C) 상기 제 1 코팅층 및 제 2 코팅층을 압연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활물질은 입자의 형상이 구형 또는 유사 구형이고,
상기 제 2 활물질은 입자의 형상이 플래이크형이고,
상기 제 2 코팅층의 두께는 제 1 코팅층의 두께에 비해 1.5 배 내지 40 배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극 활물질 및 제 2 음극 활물질은 각각 천연 흑연 또는 인조 흑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극 활물질은 천연 흑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음극 활물질은 인조 흑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팅층의 두께는 제 2 코팅층과의 상대적인 두께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10 ㎛ 이상 내지 200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팅층의 두께는 제 1 코팅층과의 상대적인 두께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80 ㎛ 이상 내지 4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수계 바인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바인더는 아크릴계 바인더,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불소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러리 및 제 2 슬러리는 각각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유용성 폴리아민, 유용성 아민 화합물, 지방산류, 지방 알코올류, 셀롤로우즈 이온교환체 및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음극 활물질 및 바인더의 전체 중량 대비 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코팅층; 및 상기 제 1 코팅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코팅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코팅층은 구형 또는 유사 구형의 입자가 압연된 형상의 제 1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2 코팅층은 플래이크형의 입자가 압연된 형상의 제 2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코팅층의 두께는 제 1 코팅층의 두께에 비해 1.5 배 내지 40 배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 삭제
- 제 19 항에 따른 음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제 21 항에 따른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 22 항에 따른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23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28976A KR102005779B1 (ko) | 2015-09-11 | 2015-09-11 | 음극 활물질 입자의 형상이 상이한 활물질층들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28976A KR102005779B1 (ko) | 2015-09-11 | 2015-09-11 | 음극 활물질 입자의 형상이 상이한 활물질층들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31439A KR20170031439A (ko) | 2017-03-21 |
| KR102005779B1 true KR102005779B1 (ko) | 2019-08-01 |
Family
ID=5850258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28976A Active KR102005779B1 (ko) | 2015-09-11 | 2015-09-11 | 음극 활물질 입자의 형상이 상이한 활물질층들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05779B1 (ko)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23539400A (ja) * | 2021-09-08 | 2023-09-14 | 寧徳時代新能源科技股▲分▼有限公司 | 負極シート及び二次電池、電池パック、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電力消費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14029B1 (ko) * | 2017-03-30 | 2021-10-1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고로딩 전극의 제조 방법 |
| KR102308943B1 (ko) * | 2017-05-15 | 2021-10-01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중층 구조의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EP3859827B1 (en) * | 2019-12-06 | 2022-08-17 |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 Secondary battery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
| KR102713119B1 (ko) * | 2020-04-30 | 2024-10-07 |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홍콩) 리미티드 | 이차 전지, 그 제조 방법 및 당해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장치 |
| PL3944373T3 (pl) | 2020-04-30 | 2024-03-04 |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 Bateria wtórna, sposób jej wytwarzania i urządzenie zawierające baterię wtórną |
| JP7428800B2 (ja) * | 2020-04-30 | 2024-02-06 | 寧徳時代新能源科技股▲分▼有限公司 |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当該二次電池を含む装置 |
| WO2021217576A1 (zh) * | 2020-04-30 | 2021-11-04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二次电池、其制备方法及含有该二次电池的装置 |
| CN116014035A (zh) * | 2022-09-14 | 2023-04-25 | 中威新能源(成都)有限公司 | 太阳电池的制备方法及太阳电池 |
| KR20250071551A (ko) * | 2023-11-15 | 2025-05-2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및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235057A (ja) * | 2003-01-31 | 2004-08-19 | Sanyo Electric Co Ltd |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
| JP2007035589A (ja) | 2005-07-29 | 2007-02-08 | Sanyo Electric Co Ltd | 電極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に用いる電極の製造装置、及び当該電極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電極を用いた電池 |
| KR101541366B1 (ko) | 2012-06-05 | 2015-08-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274892B1 (ko) * | 1998-05-13 | 2001-02-01 | 김순택 | 리튬 2차전지 |
| KR101592128B1 (ko) * | 2011-07-29 | 2016-02-05 |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 리튬 이온 이차 전지 |
-
2015
- 2015-09-11 KR KR1020150128976A patent/KR10200577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235057A (ja) * | 2003-01-31 | 2004-08-19 | Sanyo Electric Co Ltd |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
| JP2007035589A (ja) | 2005-07-29 | 2007-02-08 | Sanyo Electric Co Ltd | 電極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に用いる電極の製造装置、及び当該電極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電極を用いた電池 |
| KR101541366B1 (ko) | 2012-06-05 | 2015-08-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23539400A (ja) * | 2021-09-08 | 2023-09-14 | 寧徳時代新能源科技股▲分▼有限公司 | 負極シート及び二次電池、電池パック、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電力消費装置 |
| JP7490079B2 (ja) | 2021-09-08 | 2024-05-24 | 寧徳時代新能源科技股▲分▼有限公司 | 負極シート及び二次電池、電池パック、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電力消費装置 |
| US12046753B2 (en) | 2021-09-08 | 2024-07-23 |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 Negative electrode plate,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battery module, and electrical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31439A (ko) | 2017-03-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005779B1 (ko) | 음극 활물질 입자의 형상이 상이한 활물질층들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 |
| KR101545886B1 (ko) | 다층구조 전극 및 그 제조방법 | |
| KR101822992B1 (ko) | 다층 구조의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
| KR20160111673A (ko) | 다층 구조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 KR102071489B1 (ko) | 활물질 입자의 평균 입경이 상이한 코팅층들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
| KR101881584B1 (ko) | 무기물 코팅부와 점착부가 형성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단위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 |
| KR101717220B1 (ko) | 둘 이상의 집전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 KR101812625B1 (ko) | 도전재의 부피가 다른 다층 구조의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
| KR102011679B1 (ko) | 양면에 활물질의 로딩량이 상이한 전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 |
| KR20160118586A (ko) | 이종 공극의 다층구조 전극 및 그 제조방법 | |
| KR101995292B1 (ko) | 중심에 노칭부를 포함하는 전극 시트를 이용하여 전극판을 제조하는 방법 | |
| KR20170031375A (ko) | 바인더의 함량이 상이한 활물질층들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 |
| KR101884247B1 (ko) | 다층 구조의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 |
| KR102096821B1 (ko) | 음극 활물질 입자의 경도가 상이한 활물질층들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 |
| KR101772420B1 (ko) | 비표면적이 큰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 |
| KR20130116806A (ko) | 이차전지용 음극 | |
| KR20170043240A (ko) | 집전체 중심 부위에 높은 활물질 로딩량을 가지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 |
| KR20170022289A (ko) | 활물질 로딩량의 구배를 가진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 |
| KR102000539B1 (ko) | 면적이 상이한 코팅부들을 포함하는 단위 전극 시트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용 전극판을 제조하는 방법 | |
| KR20170055637A (ko) | 상이한 형상의 도전재들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 합제 | |
| KR20170022589A (ko) | 전지 소자들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단위셀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 |
| KR101814792B1 (ko) | 무기물 코팅부 및 비코팅부를 가지는 분리필름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
| KR20130116810A (ko) | 이차전지용 양극 | |
| KR20180081228A (ko) | 단위셀의 위치에 따라 기공률이 상이한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 |
| KR102003704B1 (ko) | 특정 방향에서 진공을 인가하여 전극 슬러리를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9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8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