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889B1 -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건조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건조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1889B1 KR102021889B1 KR1020190025164A KR20190025164A KR102021889B1 KR 102021889 B1 KR102021889 B1 KR 102021889B1 KR 1020190025164 A KR1020190025164 A KR 1020190025164A KR 20190025164 A KR20190025164 A KR 20190025164A KR 102021889 B1 KR102021889 B1 KR 1020218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canister
- circulation line
- gas circulation
- reactive ga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14—Devices for handling containers or shipping-casks, e.g. transporting devices loading and unloading, filling of container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05—Containers for solid radioactive wastes, e.g. for ultimate disposal
- G21F5/008—Containers for fuel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14—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using gases or vapours other than air or steam, e.g. inert ga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32—Apparatus for removing radioactive objects or materials from the reactor discharge area, e.g. to a storage place; Apparatus for handling radioactive objects or materials within a storage place or removing them therefrom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건조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 중 캐니스터의 배출단에 장착되는 측정블록의 구조 및 기체분광분석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동시에, 기체분광분석장치로부터 발사된 투과레이저(TL, Transmitted laser)가 측정블록의 투과창을 투과하여 캐니스터의 배출단을 통해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NRG, Non-Reaction Gas)에 조사되고, 비반응성가스(NRG, Non-Reaction Gas)에 조사된 투과레이저가 비반응성가스에 의해 산란되어 반사되는 산란광(SL, Scattered light)이 기체분광분석장치로 수광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건조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20: 캐니스터 30: 가스냉각장치
40: 입자필터 50: 비반응성 가스원
60: 방사선량률 검출기 70: 제어기
80: 이슬점 온도 측정수단 90: 히터
91: 측정블록 92: 기체분광분석장치
93: 온도측정수단 100: 밸브수단
P1: 제1 가스순환라인 P9: 제9 가스순환라인
P2: 제2 가스순환라인 P3: 제3 가스순환라인
P4: 제4 가스순환라인 P5: 제5 가스순환라인
FV, FV2: 분기밸브수단 P6: 제6 가스순환라인
V1: 제1 밸브수단 V2: 제2 밸브수단
V3: 제3 밸브수단 P7: 제7 가스순환라인
V4: 제4 밸브수단 V5: 제5 밸브수단
V6: 제6 밸브수단 V7: 제7 밸브수단
V8: 제8 밸브수단 P8: 제8 가스순환라인
V9: 제9 밸브수단 V10: 제10 밸브수단
V11: 제11 밸브수단
Claims (4)
- 사용후핵연료가 장전된 캐니스터(20)의 내부공간, 사용후핵연료 및 사용후핵연료 피복관을 건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가스 주입구(22)와 가스 배출구(21)를 구비한 내부공간을 갖는 캐니스터(20)와; 상기 캐니스터(20)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는 비반응성가스를 저장하는 비반응성가스원(50)과; 상기 캐니스터(20)의 가스 주입구(22)와 비반응성가스원(50)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장착되어 비반응성가스원(50)으로부터 공급되는 비반응성가스를 캐니스터(20) 내로 펌핑하는 제1 가스순환펌프(PP1)와; 상기 제1 가스 순환펌프(PP1)와 캐니스터(20)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장착되어 제1 가스순환라인(P1)을 개폐하는 밸브수단(100)과; 상기 밸브수단(100)과 캐니스터(20)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장착되어 캐니스터(20)로 공급되는 비반응성가스를 가열하는 히터(90)와; 제2 가스순환라인(P2)에 의해 상기 캐니스터(20)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캐니스터(20)의 내부공간으로 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를 냉각시키는 가스냉각장치(30)와; 제3 가스순환라인(P3) 상에 장착되어 가스 냉각장치(30)를 통과한 비반응성 가스를 상기 비반응성 가스원(50)으로 펌핑하는 제2 가스 순환펌프(PP2)와; 상기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캐니스터(20)를 제2 가스순환라인(P2)과 별도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된 비반응성가스를 가스 냉각장치(30)로 이송하는 제4 가스 순환라인(P4)과; 상기 제2 및 제4 가스순환라인(P2)(P4)이 분기되는 분기점 상에 장착되어 제2 또는 제4 가스순환라인(P2)(P4)을 각기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분기밸브수단(FV1)과; 상기 제4 가스순환라인(P4)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비반응성가스원(50)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5 가스순환라인(P5)과; 상기 제5 가스순환라인(P5) 상에 장착되어 제4 가스순환라인(P4)을 따라 상기 가스냉각장치(30)를 통과하여 냉각된 후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따라 이송되는 오염된 비반응성가스 내에 함유된 방사성물질 입자를 제거하는 입자필터(40)와; 상기 제5 가스순환라인(P5) 상에 장착되어 가스냉각장치(3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상기 입자필터(40)를 통과하면서 방사성물질 입자가 제거된 비반응성가스를 상기 비반응성가스원(50)으로 펌핑하는 제3 가스순환펌프(PP3)와; 상기 캐니스터(20) 및 배기밸브수단(FV1)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의 외측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되어 제2 가스순환라인(P2)을 따라 이송되는 비반응성가스의 방사선량률을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방사선량률 검출기(60)와; 상기 제1 내지 제3 가스순환펌프(PP1)(PP2)(PP3), 분기밸브수단(FV) 및 방사선량률 검출기(60)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방사선량률 검출기(60)로 부터 수신되는 방사선량률 측정신호에 의거 상기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의 오염여부를 판독하고, 판독결과에 따라 분기밸브수단(FV1) 및 제1 내지 제3 가스순환펌프(PP1)(PP2)(PP3)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기(70)를 포함하며;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된 비반응성가스가 오염/비오염 상태에 따라 오염 순환계 또는 비오염 순환계를 따라 순환시켜 캐니스터(20)의 내부공간을 건조시키는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투명한 투과창(91a)을 갖고, 캐니스터(20)의 배출단(21) 상에 장착되는 측정블록(91)와;
상기 측정블록(91)의 투과창(91a)을 통해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에 대해 투과레이저(TL, Transmitted laser)를 조사하고, 비반응성가스(NRG, Non-Reaction Gas)로 부터 산란되는 산란광(SL, Scattered light)을 수광하여 비반응성가스의 성분 및 표적성분에 대한 기체분광신호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전송하는 기체분광분석장치(92)와;
상기 캐니스터(20)의 배출단(21) 상에 장착되어 캐니스터(20)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93)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70)는,
상기 기체분광분석장치(92) 및 온도측정수단(93)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기체분광분석장치(92) 및 온도측정수단(93)으로 부터 수신되는 측정값에 따라 건조운전을 실시하고, 건조운전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건조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캐니스터(20)와 배기밸브수단(FV1)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 및 가스냉각장치(30)와 제2 가스순환펌프(PP2) 사이의 제3 가스순환라인(P3)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예비운전 시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방사성 물질에 오염되지 않은 비반응성가스를 제3 가스순환라인(P3)으로 예비순환시키는 제6 가스순환라인(P6)과;
상기 제6 가스순환라인(P6)의 분기위치와 분기밸브수단(FV1)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에 장착되고, 예비운전 시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가 상기 가스냉각장치(30)로 이송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2 가스순환라인(P2)을 단속하는 제1 밸브수단(V1)과;
상기 제6 가스순환라인(P6)의 양단부 상에 장착되고, 예비운전 시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가 제6 가스순환라인(P6)을 따라 이송되도록 제6 가스순환라인(P6)을 개폐하는 제2 및 제3 밸브수단(V2)(V3)과;
상기 제6 가스순환라인(P6)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입자필터(40) 사이의 제5 가스순환라인(P5)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예비운전 시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비반응성가스를 제5 가스순환라인(P5)으로 예비순환시키는 제7 가스순환라인(P7)과;
상기 제7 가스순환라인(P7) 상에 장착되고, 상기 가스냉각장치(30)로 부터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따라 이송되는 비반응성가스가 제7 가스순환라인(P7)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5 가스순환라인(P5)측의 제7 가스순환라인(P7)의 단부를 단속하는 제4 밸브수단(V4)과;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제6 가스순환라인(P6)의 분기위치 사이의 제3 가스순환라인(P3) 상에 장착되고, 예비운전 시 제6 가스순환라인(P6)에서 제3 가스순환라인(P3)으로 유입되는 비반응성가스가 가스냉각장치(30)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3 가스순환라인(P3)을 단속하는 제5 밸브수단(V5)과;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제7 가스순환라인(P7)의 분기위치 사이의 제5 가스순환라인(P5) 상에 장착되고, 예비운전 시 제7 가스순환라인(P7)에서 제5 가스순환라인(P5)으로 유입되는 비반응성가스가 가스냉각장치(30)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단속하는 제6 밸브수단(V6)과;
상기 제6 및 제7 가스순환라인(P6)(P7)이 분기되는 분기점 상에 장착되어 제6 또는 제7 가스순환라인(P6)(P7)을 각기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분기밸브수단(FV2)과;
제2 가스순환펌프(PP2)와 비반응성가스원(50) 사이의 제3 가스순환라인(P3) 상에 장착되고, 예비운전 시 제3 가스순환라인(P3)을 따라 유동되는 비반응성가스가 상기 비반응성가스원(50)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3 가스순환라인(P3)을 단속하는 제7 밸브수단(V7)과;
제3 가스순환펌프(PP3)과 비반응성가스원(50) 사이의 제5 가스순환라인(P5) 상에 장착되고, 예비운전 시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따라 유동되는 비반응성가스가 상기 비반응성가스원(50)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단속하는 제8 밸브수단(V8)과;
제2 가스순환펌프(PP2)와 제7 밸브수단(V7) 사이의 제3 가스순환라인(P3) 및 밸브수단(100)과 히터(90)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예비운전 시 제3 가스순환라인(P3)을 따라 유동되는 방사성 물질에 오염되지 않은 비반응성가스를 제1 가스순환라인(P1)으로 예비순환시키는 제8 가스순환라인(P8)과;
상기 제8 가스순환라인(P8)의 양단부 상에 장착되고, 건조운전 시 제1 및 제3 가스순환라인(P1)(P3)을 따라 순환되는 비반응성가스가 제8 가스순환라인(P8)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8 가스순환라인(P8)을 단속하는 제9 및 제11 밸브수단(V9)(V11)과;
상기 제3 가스순환펌프(PP3)와 제8 밸브수단(V8) 사이의 제5 가스순환라인(P5) 및 제9 밸브수단(V9)과 제11 밸브수단(V11) 사이의 제8 가스순환라인(P8)을 연통되게 연결하고, 예비운전 시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따라 유동되는 비반응성가스를 제8 가스순환라인(P8)으로 순환시키는 제9 가스순환라인(P9)과;
상기 제9 가스순환라인(P9)의 제5 가스순환라인(P5) 측 단부상에 장착되고, 건조운전 시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따라 순환되는 비반응성가스가 제9 가스순환라인(P9)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9 가스순환라인(P9)을 단속하는 제10 밸브수단(V10)을 포함하며;
제어기(70)는,
제1 내지 제11 밸브수단(V1) ~ (V11), 방사선량률 검출기(60), 밸브수단(100), 분기밸브수단(FV2), 제2 및 제3 가스순환펌프(PP2)(PP3), 히터(90), 기체분광분석장치(92) 및 온도측정수단(93)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예비운전 시 온도측정수단(93)으로 부터 수신되는 캐니스터(20)의 내부온도 측정값 및 방사선량률 검출기(60)로 부터 수신되는 검출값에 따라 제1 내지 제11 밸브수단(V1) ~ (V11), 밸브수단(100), 분기밸브수단(FV2), 제2 및 제3 가스순환펌프(PP2)(PP3) 및 히터(90)의 작동을 제어하여 예비운전을 실시하고, 예비운전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건조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
- 사용후핵연료가 장전된 캐니스터(20)의 내부공간을 건조시키는 시스템으로서, 가스 주입구(22)와 가스 배출구(21)를 구비한 내부공간을 갖는 캐니스터(20)와; 상기 캐니스터(20)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는 비반응성가스를 저장하는 비반응성가스원(50)과; 상기 캐니스터(20)의 가스 주입구(22)와 비반응성가스원(50)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장착되어 비반응성가스원(50)으로부터 공급되는 비반응성가스를 캐니스터(20) 내로 펌핑하는 제1 가스순환펌프(PP1)와; 상기 제1 가스 순환펌프(PP1)와 캐니스터(20)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장착되어 제1 가스순환라인(P1)을 개폐하는 밸브수단(100)과; 상기 밸브수단(100)과 캐니스터(20)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장착되어 캐니스터(20)로 공급되는 비반응성가스를 가열하는 히터(90)와; 제2 가스순환라인(P2)에 의해 상기 캐니스터(20)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캐니스터(20)의 내부공간으로 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를 냉각시키는 가스냉각장치(30)와; 제3 가스순환라인(P3) 상에 장착되어 가스 냉각장치(30)를 통과한 비반응성 가스를 상기 비반응성 가스원(50)으로 펌핑하는 제2 가스 순환펌프(PP2)와; 상기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캐니스터(20)를 제2 가스순환라인(P2)과 별도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된 비반응성가스를 가스 냉각장치(30)로 이송하는 제4 가스 순환라인(P4)과; 상기 제2 및 제4 가스순환라인(P2)(P4)이 분기되는 분기점 상에 장착되어 제2 또는 제4 가스순환라인(P2)(P4)을 각기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분기밸브수단(FV1)과; 상기 제4 가스순환라인(P4)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비반응성가스원(50)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5 가스순환라인(P5)과; 상기 제5 가스순환라인(P5) 상에 장착되어 제4 가스순환라인(P4)을 따라 상기 가스냉각장치(30)를 통과하여 냉각된 후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따라 이송되는 오염된 비반응성가스 내에 함유된 방사성물질 입자를 제거하는 입자필터(40)와; 상기 제5 가스순환라인(P5) 상에 장착되어 가스냉각장치(3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상기 입자필터(40)를 통과하면서 방사성물질 입자가 제거된 비반응성가스를 상기 비반응성가스원(50)으로 펌핑하는 제3 가스순환펌프(PP3)와; 상기 캐니스터(20) 및 배기밸브수단(FV1)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의 외측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되어 제2 가스순환라인(P2)을 따라 이송되는 비반응성가스의 방사선량률을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방사선량률 검출기(60)와; 투명한 투과창(91a)을 갖고, 캐니스터(20)의 배출단(21) 상에 장착되는 측정블록(91)와; 상기 측정블록(91)의 투과창(91a)을 통해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에 대해 투과레이저(TL, Transmitted laser)를 조사하고, 비반응성가스(NRG, Non-Reaction Gas)로 부터 산란되는 산란광(SL, Scattered light)을 수광하여 비반응성가스의 성분 및 표적성분에 대한 기체분광신호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전송하는 기체분광분석장치(92)과; 상기 제1 내지 제3 가스순환펌프(PP1)(PP2)(PP3), 분기밸브수단(FV1), 방사선량률 검출기(60), 기체분광분석장치(92) 및 온도측정수단(93)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사선량률 검출기(60)로 부터 수신되는 방사선량률 측정신호에 의거 상기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의 오염여부를 판독하고, 판독결과에 따라 분기밸브수단(FV1) 및 제1 내지 제3 가스순환펌프(PP1)(PP2)(PP3)의 작동상태를 제어하여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된 비반응성가스가 오염/비오염 상태에 따라 오염 순환계 또는 비오염 순환계를 따라 순환시켜 캐니스터(20)의 내부공간을 건조시키는 동시에 상기 기체분광분석장치(92) 및 온도측정수단(93)으로 부터 수신되는 측정값에 따라 예비운전과 건조운전의 실시 및 그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기(70)를 포함하는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건조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배수가 완료된 캐니스터(20)를 기 결정된 배출단(21)을 통해 비반응성가스가 배출되어 순환되도록 가스순환계통에 셋팅하고, 기 결정된 정상건조운전개시 설정 값, 건조운전변수 설정 값, 건조기준 설정 값 및 오염/비오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방사선량률 값을 입력하는 운전준비단계(S1000)과;
제1 가스 순환라인(P1)을 통해 캐니스터(20)의 내부공간 내로 비반응성 가스를 유입시키는 비반응성가스 유입단계(S1100)와;
상기 비반응성가스 유입단계(S1100)가 완료된 후 온도측정수단(93)에 의해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제어기(70)로 전송하는 캐니스터 초기온도측정단계(S1200)와;
상기 캐니스터 초기온도측정단계(S1200)에서 측정된 캐니스터(20)의 초기온도값이 기 결정된 정상건조운전개시 온도설정 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캐니스터 초기온도확인단계(S1300)와;
상기 캐니스터 초기온도확인단계(S1300)에서 만약 측정된 캐니스터(20)의 초기온도값이 기 결정된 정상건조운전개시 온도설정 값 이상이라면,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로 배출되고, 제2 가스순환라인(P2)을 따라 이송되는 비반응성 가스에 대한 방사선량률을 측정하는 비반응성가스의 방사선량률 측정단계(S1400)와;
상기 비반응성가스의 방사선량률 측정단계(S1400)에서 측정된 방사선량률 값이 기준 방사선량률 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비반응성가스의 오염여부확인단계(S1500)와;
상기 비반응성가스의 오염여부확인단계(S1500)에서, 만약 측정된 방사선량률 값이 기준 방사선량률 값 이상이라면, 제1, 제6, 제8 밸브수단(V1)(V6)(V8) 및 밸브수단(100)을 개방하고, 분기밸브수단(FV1)을 제4 가스순환라인(P4)쪽으로 개방하여 제1, 제4 및 제5 가스순환라인(P1)(P4)(P5)으로 형성되는 오염순환계를 형성하는 오염순환계형성단계(S1600)와;
상기 오염순환계형성단계(S1600)가 완료되면, 상기 운전준비단계(S1000)에서 기 입력된 건조운전변수 설정 값에 의거 오염순환계를 따라 오염된 비반응성가스를 캐니스터(20)를 통해 순환시켜 캐니스터(20)의 내부를 건조하는 오염된 캐니스터 건조운전단계(S1610)와;
상기 비반응성가스의 오염여부확인단계(S1500)에서, 만약 측정된 방사선량률 값이 기준 방사선량률 값 미만이라면, 제1, 제5, 제7 밸브수단(V1)(V5)(V7) 및 밸브수단(100)을 개방하고, 분기밸브수단(FV1)을 제2 가스순환라인(P2)쪽으로 개방하여 제1, 제2 및 제3 가스순환라인(P1)(P2)(P3)으로 형성되는 비오염순환계를 형성하는 비오염순환계형성단계(S1700)와;
상기 비오염순환계형성단계(S1700)가 완료되면, 상기 운전준비단계(S1000)에서 기 입력된 건조운전변수 설정 값에 의거 오염순환계 또는 비오염순환계를 따라 비반응성가스를 캐니스터(20)를 통해 순환시켜 캐니스터(20)의 내부를 건조하는 비오염된 캐니스터 건조운전단계(S1800)와;
상기 오염된 캐니스터 건조운전단계(S1610) 또는 비오염된 캐니스터 건조운전단계(S1710)가 실행되는 동안에, 캐니스터(20)의 배출단(21) 상에 장착된 기체분광분석장치(92)에 의해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을 통해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에 대한 표적성분 및 표적성분의 잔류량을 측정하는 제1 기체분광분석측정단계(S1900)와;
상기 제1 기체분광분석측정단계(S1900)에서 측정된 표적성분의 잔류량 측정값을 기 설정된 건조기준 설정 값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건조기준 설정 값 미만인지를 확인하는 제1 건조상태확인단계(S2000)와;
상기 제1 건조상태확인단계(S2000)에서, 만약 측정값이 건조기준 설정 값 이상이라면, 측정값에 대응하는 건조운전특성변수를 산출하여 건조운전특성변수 설정 값을 추출하는 건조운전특성변수 설정 값 추출단계(S2100)와;
상기 건조운전특성변수 설정 값 추출단계(S2100)에서 추출된 건조운전특성변수 설정 값이 오염 또는 비오염된 캐니스터 건조운전(S1610)(S1710)에 반영되도록 건조운전특성변수 설정 값을 입력하여 건조운전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오염된 캐니스터 건조운전단계(S1610) 또는 비오염된 캐니스터 건조운전단계(S1710)로 리턴하는 건조운전작동제어단계(S2200)와;
상기 제1 건조상태확인단계(S2000)에서, 만약 측정값이 건조기준 설정 값 미만이라면, 기설정된 시간을 계수하는 유지시간계수단계(S2300)와;
상기 유지시간계수단계(S2300)가 완료되면,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 상에 장착된 기체분광분석장치(92)에 의해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을 통해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에 대한 표적성분 및 표적성분의 잔류량을 측정하는 제2 기체분광분석측정단계(S2400)와;
상기 제2 기체분광분석측정단계(S2400)에서 측정된 표적성분의 잔류량 측정값을 기 설정된 건조기준 설정 값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건조기준 설정 값 이하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측정값이 건조기준 설정 값을 초과하였다면, 오염된 캐니스터 건조운전단계(S1610) 또는 비오염된 캐니스터 건조운전단계(S1710)로 리턴하고, 만약 측정값이 건조기준 설정 값 이하라면 캐니스터(20)에 대한 건조운전을 종료하는 2차 건조상태확인단계(S2500)로 구성되며;
상기 정상건조운전개시 설정 값은 온도값이고, 40 내지 70℃ 이며,
상기 건조운전변수는 펌프의 펌핑속도 및 히터의 발열량이고;
상기 건조운전특성변수는 건조운전변수에 해당되는 펌프 및 히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작동변수로서, ① 펌프의 펌핑속도의 +,- 값 및 ② 히터의 발열량의 +,- 값이고,
상기 건조운전특성변수 설정 값 추출단계(S2100)는 측정값이 건조기준 설정 값을 초과하였을 때, ① 펌프의 펌핑속도를 -값, ② 히터의 발열량을 +값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건조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사용후핵연료가 장전된 캐니스터(20)의 내부공간을 건조시키는 시스템으로서, 가스 주입구(22)와 가스 배출구(21)를 구비한 내부공간을 갖는 캐니스터(20)와; 상기 캐니스터(20)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는 비반응성가스를 저장하는 비반응성가스원(50)과; 상기 캐니스터(20)의 가스 주입구(22)와 비반응성가스원(50)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장착되어 비반응성가스원(50)으로부터 공급되는 비반응성가스를 캐니스터(20) 내로 펌핑하는 제1 가스순환펌프(PP1)와; 상기 제1 가스 순환펌프(PP1)와 캐니스터(20)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장착되어 제1 가스순환라인(P1)을 개폐하는 밸브수단(100)과; 상기 밸브수단(100)과 캐니스터(20)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장착되어 캐니스터(20)로 공급되는 비반응성가스를 가열하는 히터(90)와; 제2 가스순환라인(P2)에 의해 상기 캐니스터(20)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캐니스터(20)의 내부공간으로 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를 냉각시키는 가스냉각장치(30)와; 제3 가스순환라인(P3) 상에 장착되어 가스 냉각장치(30)를 통과한 비반응성 가스를 상기 비반응성 가스원(50)으로 펌핑하는 제2 가스 순환펌프(PP2)와; 상기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캐니스터(20)를 제2 가스순환라인(P2)과 별도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된 비반응성가스를 가스 냉각장치(30)로 이송하는 제4 가스 순환라인(P4)과; 상기 제2 및 제4 가스순환라인(P2)(P4)이 분기되는 분기점 상에 장착되어 제2 또는 제4 가스순환라인(P2)(P4)을 각기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분기밸브수단(FV1)과; 상기 제4 가스순환라인(P4)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비반응성가스원(50)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5 가스순환라인(P5)과; 상기 제5 가스순환라인(P5) 상에 장착되어 제4 가스순환라인(P4)을 따라 상기 가스냉각장치(30)를 통과하여 냉각된 후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따라 이송되는 오염된 비반응성가스 내에 함유된 방사성물질 입자를 제거하는 입자필터(40)와; 상기 제5 가스순환라인(P5) 상에 장착되어 가스냉각장치(3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상기 입자필터(40)를 통과하면서 방사성물질 입자가 제거된 비반응성가스를 상기 비반응성가스원(50)으로 펌핑하는 제3 가스순환펌프(PP3)와; 상기 캐니스터(20) 및 배기밸브수단(FV1)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의 외측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되어 제2 가스순환라인(P2)을 따라 이송되는 비반응성가스의 방사선량률을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방사선량률 검출기(60)와; 투명한 투과창(91a)을 갖고, 캐니스터(20)의 배출단(21) 상에 장착되는 측정블록(91)와; 상기 측정블록(91)의 투과창(91a)을 통해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에 대해 투과레이저(TL, Transmitted laser)를 조사하고, 비반응성가스(NRG, Non-Reaction Gas)로 부터 산란되는 산란광(SL, Scattered light)을 수광하여 비반응성가스의 성분 및 표적성분에 대한 기체분광신호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전송하는 기체분광분석장치(92)과; 캐니스터(20)와 배기밸브수단(FV1)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 및 가스냉각장치(30)와 제2 가스순환펌프(PP2) 사이의 제3 가스순환라인(P3)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예비운전 시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방사성 물질에 오염되지 않은 비반응성가스를 제3 가스순환라인(P3)으로 예비순환시키는 제6 가스순환라인(P6)과; 상기 제6 가스순환라인(P6)의 분기위치와 분기밸브수단(FV1)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에 장착되고, 예비운전 시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가 상기 가스냉각장치(30)로 이송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2 가스순환라인(P2)을 단속하는 제1 밸브수단(V1)과; 상기 제6 가스순환라인(P6)의 양단부 상에 장착되고, 예비운전 시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가 제6 가스순환라인(P6)을 따라 이송되도록 제6 가스순환라인(P6)을 개폐하는 제2 및 제3 밸브수단(V2)(V3)과; 상기 제6 가스순환라인(P6)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입자필터(40) 사이의 제5 가스순환라인(P5)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예비운전 시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비반응성가스를 제5 가스순환라인(P5)으로 예비순환시키는 제7 가스순환라인(P7)과; 상기 제7 가스순환라인(P7) 상에 장착되고, 상기 가스냉각장치(30)로 부터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따라 이송되는 비반응성가스가 제7 가스순환라인(P7)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5 가스순환라인(P5)측의 제7 가스순환라인(P7)의 단부를 단속하는 제4 밸브수단(V4)과;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제6 가스순환라인(P6)의 분기위치 사이의 제3 가스순환라인(P3) 상에 장착되고, 예비운전 시 제6 가스순환라인(P6)에서 제3 가스순환라인(P3)으로 유입되는 비반응성가스가 가스냉각장치(30)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3 가스순환라인(P3)을 단속하는 제5 밸브수단(V5)과;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제7 가스순환라인(P7)의 분기위치 사이의 제5 가스순환라인(P5) 상에 장착되고, 예비운전 시 제7 가스순환라인(P7)에서 제5 가스순환라인(P5)으로 유입되는 비반응성가스가 가스냉각장치(30)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단속하는 제6 밸브수단(V6)과; 상기 제6 및 제7 가스순환라인(P6)(P7)이 분기되는 분기점 상에 장착되어 제6 또는 제7 가스순환라인(P6)(P7)을 각기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분기밸브수단(FV2)과; 제2 가스순환펌프(PP2)와 비반응성가스원(50) 사이의 제3 가스순환라인(P3) 상에 장착되고, 예비운전 시 제3 가스순환라인(P3)을 따라 유동되는 비반응성가스가 상기 비반응성가스원(50)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3 가스순환라인(P3)을 단속하는 제7 밸브수단(V7)과; 제3 가스순환펌프(PP3)과 비반응성가스원(50) 사이의 제5 가스순환라인(P5) 상에 장착되고, 예비운전 시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따라 유동되는 비반응성가스가 상기 비반응성가스원(50)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단속하는 제8 밸브수단(V8)과; 제2 가스순환펌프(PP2)와 제7 밸브수단(V7) 사이의 제3 가스순환라인(P3) 및 밸브수단(100)과 히터(90)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예비운전 시 제3 가스순환라인(P3)을 따라 유동되는 방사성 물질에 오염되지 않은 비반응성가스를 제1 가스순환라인(P1)으로 예비순환시키는 제8 가스순환라인(P8)과; 상기 제8 가스순환라인(P8)의 양단부 상에 장착되고, 건조운전 시 제1 및 제3 가스순환라인(P1)(P3)을 따라 순환되는 비반응성가스가 제8 가스순환라인(P8)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8 가스순환라인(P8)을 단속하는 제9 및 제11 밸브수단(V9)(V11)과; 상기 제3 가스순환펌프(PP3)와 제8 밸브수단(V8) 사이의 제5 가스순환라인(P5) 및 제9 밸브수단(V9)과 제11 밸브수단(V11) 사이의 제8 가스순환라인(P8)을 연통되게 연결하고, 예비운전 시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따라 유동되는 비반응성가스를 제8 가스순환라인(P8)으로 순환시키는 제9 가스순환라인(P9)과; 상기 제9 가스순환라인(P9)의 제5 가스순환라인(P5) 측 단부상에 장착되고, 건조운전 시 제5 가스순환라인(P5)을 따라 순환되는 비반응성가스가 제9 가스순환라인(P9)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9 가스순환라인(P9)을 단속하는 제10 밸브수단(V10)와; 상기 제1 내지 제3 가스순환펌프(PP1)(PP2)(PP3), 분기밸브수단(FV1)(FV2), 방사선량률 검출기(60), 기체분광분석장치(92), 온도측정수단(93), 제1 내지 제11 밸브수단(V1) ~ (V11), 밸브수단(100), 제2 및 제3 가스순환펌프(PP2)(PP3), 히터(90) 및 기체분광장치(9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사선량률 검출기(60)로 부터 수신되는 방사선량률 측정신호에 의거 상기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의 오염여부를 판독하고, 판독결과에 따라 분기밸브수단(FV1) 및 제1 내지 제3 가스순환펌프(PP1)(PP2)(PP3)의 작동과 예비운전 시 온도측정수단(93)으로 부터 수신되는 캐니스터(20)의 내부온도 측정값 및 방사선량률 검출기(60)로 부터 수신되는 검출값에 따라 제1 내지 제11 밸브수단(V1) ~ (V11), 밸브수단(100), 분기밸브수단(FV2), 제2 및 제3 가스순환펌프(PP2)(PP3) 및 히터(90)의 작동을 제어하여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된 비반응성가스가 오염/비오염 상태에 따라 오염 순환계 또는 비오염 순환계를 따라 순환시켜 캐니스터(20)의 내부공간을 건조시키는 동시에 상기 기체분광분석장치(92) 및 온도측정수단(93)으로 부터 수신되는 측정값에 따라 예비운전과 건조운전의 실시 및 그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기(70)를 포함하는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건조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배수가 완료된 캐니스터(20)를 기 결정된 배출단(21)을 통해 비반응성가스가 배출되어 순환되도록 가스순환계통에 셋팅하고, 기 결정된 정상건조운전개시 설정 값, 건조운전변수 설정 값, 건조기준 설정 값 및 오염/비오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방사선량률 값을 입력하는 운전준비단계(S5000)과;
제1 가스 순환라인(P1)을 통해 캐니스터(20)의 내부공간 내로 비반응성 가스를 유입시키는 비반응성가스 유입단계(S5100)와;
상기 비반응성가스 유입단계(S5100)가 완료된 후 온도측정수단(93)에 의해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제어기(70)로 전송하는 캐니스터 초기온도측정단계(S5200)와;
상기 캐니스터 초기온도측정단계(S5200)에서 측정된 캐니스터(20)의 초기온도값이 기 결정된 정상건조운전개시 온도설정 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캐니스터 초기온도확인단계(S5300)와;
상기 캐니스터 초기온도확인단계(S5300)에서 만약 측정된 캐니스터(20)의 초기온도값이 기 결정된 정상건조운전개시 온도설정 값 미만 일때, 밸브수단(100), 제1, 제5, 제6, 제7 및 제8 밸브수단(V1)(V5)(V6)(V7)(V8)를 차단하고, 제2 및 제11 밸브수단(V2)(V11)을 개방하고, 히터(90)을 ON시키는 예열운전준비단계(S5400)와;
상기 예열운전준비단계(S5400)가 완료되었을 때,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로 배출되고, 제6 가스순환라인(P6)을 따라 이송되는 저온의 비반응성가스에 대한 방사선량률을 측정하는 저온 비반응성가스의 방사선량률 측정단계(S5500)와;
상기 캐니스터 초기온도확인단계(S5300)에서 만약 측정된 캐니스터(20)의 초기온도값이 기 결정된 정상건조운전개시 온도설정 값 이상 일때,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로 배출되고, 제2 가스순환라인(P2)을 따라 이송되는 정상온도의 비반응성가스에 대한 방사선량률을 측정하는 정상온도 비반응성가스의 방사선량률 측정단계(S5510)와;
상기 저온 비반응성가스 방사선량률 측정단계(S5500)에서 측정된 저온 비반응성가스에 대한 방사선량률 값이 기준 방사선량률 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저온 비반응성가스의 오염여부확인단계(S5600)와;
상기 정상온도 비반응성가스 방사선량률 측정단계(S5510)에서 측정된 정상온도 비반응성가스에 대한 방사선량률 값이 기준 방사선량률 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정상온도 비반응성가스의 오염여부확인단계(S5610)와;
상기 저온 비반응성가스의 오염여부확인단계(S5600)에서, 만약 측정된 방사선량률 값이 기준 방사선량률 값 이상이라면, 분기밸브수단(FV2)을 제7 가스순환라인(P7)쪽으로 개방하고, 제4 및 제10 밸브수단(V4)(V10)를 개방하여 캐니스터(20), 제7, 제5, 제9, 제8 및 제1 가스순환라인(P7)(P5)(P9)(P8)(P1)으로 연결되는 오염예열순환계를 형성하는 오염예열순환계형성단계(S5700)와;
상기 오염예열순환계형성단계(S5700)가 완료된 후, 캐니스터(20)의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정상조건운전개시 설정 값으로 상승되도록 제3 가스순환펌프(PP3)를 ON시켜 오염된 저온의 비반응성가스를 오염예열순환계를 따라 순환시키는 오염된 저온 비반응성가스 예열단계(S5800)와;
상기 저온 비반응성가스의 오염여부확인단계(S5600)에서, 만약 측정된 방사선량률 값이 기준 방사선량률 값 미만이라면, 분기밸브수단(FV2)을 제6 가스순환라인(P6)쪽으로 개방하고, 제3 및 제9 밸브수단(V3)(V9)를 개방하여 캐니스터(20), 제6, 제3, 제8, 제1 가스순환라인(P6)(P3)(P8)(P1)으로 형성되는 비오염예열순환계를 형성하는 비오염예열순환계형성단계(S5900)와;
상기 비오염예열순환계형성단계(S5900)가 완료된 후, 캐니스터(20)의 내부온도가 기 설정된 정상조건운전개시 설정 값으로 상승되도록 제3 가스순환펌프(PP3)를 ON시켜 오염되지 않은 저온의 비반응성가스를 비오염예비순환계를 따라 순환시키는 비오염된 저온 비반응성가스 예열단계(S6000)와;
상기 오염된 저온 비반응성가스 예열단계(S5800)가 실행되는 동안에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오염된 저온 비반응성가스 예열 중 캐니스터 내부온도측정단계(S6100)와;
상기 비오염된 저온 비반응성가스 예열단계(S6000)가 실행되는 동안에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비오염된 저온 비반응성가스 예열 중 캐니스터 내부온도측정단계(S6200)와;
상기 오염된 비반응성가스 예열 중 캐니스터 내부온도측정단계(S6100)에서 측정된 캐니스터(20)의 내부온도가 정상조건운전개시 설정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측정된 캐니스터(20)의 내부온도가 정상조건운전개시 설정값에 도달하지 못하였다면, 상기 오염된 비반응성가스 예열단계(S5800)로 리턴하는 오염된 저온 비반응성가스 예열 중 캐니스터 내부온도확인단계(S6300)와;
상기 오염된 저온 비반응성가스 예열 중 캐니스터 내부온도확인단계(S6300)에서 만약 측정된 캐니스터(20)의 내부온도가 정상조건운전개시 설정 값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정상온도 비반응성가스의 오염여부확인단계(S5610)에서 만약 측정된 정상온도 비반응성가스에 대한 방사선량률 값이 기준 방사선량률 값 이상 일 때, 분기밸브수단(FV1)를 제4 가스순환라인(P4)쪽으로 개방하고, 밸브수단(100), 제1, 제6 및 제8 밸브수단(V1)(V6)(V8)을 개방하고, 제2, 제4, 제10 및 제11 밸브수단(V2)(V4)(V10)(V11)을 차단하여 캐니스터(20) 제4 가스순환라인(P4), 가스냉각장치(30), 제5 가스순환라인(P5), 비반응성가스원(50) 및 제1 가스순환라인(P1)으로 연결되는 정상오염건조순환계를 형성하는 정상오염건조순환계형성단계(S6400)와;
상기 정상오염건조순환계형성단계(S6400)가 완료되면, 제1, 제3 가스순환펌프(PP1)(PP3) 및 가스냉각장치(30)를 가동하여 상기 운전준비단계(S5000)에서 기 입력된 건조운전변수 설정 값에 의거 정상오염순환계를 따라 오염된 비반응성가스를 순환시켜 캐니스터(20)의 내부를 건조시키는 오염된 캐니스터 건조운전단계(S6500)와;
상기 비오염된 저온 비반응성가스 예열 중 캐니스터 내부온도측정단계(S6200)에서 측정된 캐니스터(20)의 내부온도가 정상조건운전개시 설정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측정된 캐니스터(20)의 내부온도가 정상조건운전개시 설정값에 도달하지 못하였다면, 상기 비오염된 비반응성가스 예열단계(S6000)로 리턴하는 비오염된 저온 비반응성가스 예열 중 캐니스터 내부온도확인단계(S6600)와;
상기 비오염된 비반응성가스 예열 중 캐니스터 내부온도확인단계(S6600)에서 만약 측정된 캐니스터(20)의 내부온도가 정상조건운전개시 설정 값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정상온도 비반응성가스의 오염여부확인단계(S5610)에서 만약 측정된 정상온도 비반응성가스에 대한 방사선량률 값이 기준 방사선량률 값 미만 일 때, 분기밸브(FV1)를 제2 가스순환라인(P2)쪽으로 개방하고, 밸브수단(100), 제1, 제5 및 제7 밸브수단(V1)(V5)(V7)을 개방하고, 제2, 제3, 제9 및 제11 밸브수단(V2)(V3)(V9)(V11)을 차단하여 캐니스터(20) 제2 가스순환라인(P2), 가스냉각장치(30), 제3 가스순환라인(P3), 비반응성가스원(50) 및 제1 가스순환라인(P1)으로 연결되는 정상비오염건조순환계를 형성하는 정상비오염건조순환계형성단계(S6700)와;
상기 정상비오염건조순환계형성단계(S6700)가 완료되면, 제1, 제2 가스순환펌프(PP1)(PP2) 및 가스냉각장치(30)를 가동하여 상기 운전준비단계(S5000)에서 기 입력된 건조운전변수 설정 값에 의거 정상비오염순환계를 따라 오염되지 않은 비반응성가스를 순환시켜 캐니스터(20)의 내부를 건조시키는 비오염된 캐니스터 건조운전단계(S6800)와;
상기 오염된 캐니스터 건조운전단계(S6500) 또는 비오염된 캐니스터 건조운전단계(S6800)가 실행되는 동안에, 캐니스터(20)의 배출단(21) 상에 장착된 기체분광분석장치(92)에 의해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을 통해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에 대한 표적성분 및 표적성분의 잔류량을 측정하는 1차 기체분광분석측정단계(S6900)와;
상기 1차 기체분광분석측정단계(S6900)에서 측정된 표적성분의 잔류량 측정값을 기 설정된 건조기준 설정 값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건조기준 설정 값 미만인지를 확인하는 1차 건조상태확인단계(S7000)와;
상기 1차 건조상태확인단계(S7000)에서, 만약 측정값이 건조기준 설정 값을 초과하였다면, 측정값에 대응하는 건조운전특성변수를 산출하여 건조운전특성변수 설정 값을 추출하는 건조운전특성변수 설정 값 추출단계(S7100)와;
상기 건조운전특성변수 설정 값 추출단계(S7100)에서 추출된 건조운전특성변수 설정 값이 건조운전에 반영되도록 건조운전특성변수 설정 값을 입력하여 가스순환계통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1차 기체분광분석측정단계(S6900)로 리턴하는 가스순환계통작동제어단계(S7200)와;
상기 1차 건조상태확인단계(S7000)에서, 만약 측정값이 건조기준 설정 값 이하였다면, 기설정된 시간을 계수하는 유지시간계수단계(S7300)와;
상기 유지시간계수단계(S7300)가 완료되면,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 상에 장착된 기체분광분석장치(92)에 의해 캐니스터(20)의 가스 배출구(21)을 통해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에 대한 표적성분 및 표적성분의 잔류량을 측정하는 2차 기체분광분석측정단계(S7400)와;
상기 2차 기체분광분석측정단계(S7400)에서 측정된 표적성분의 잔류량 측정값을 기 설정된 건조기준 설정 값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건조기준 설정 값 미만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측정값이 건조기준 설정 값을 초과하였다면 상기 건조운전특성변수 설정 값 추출단계(S7100)로 리턴하고, 만약 측정값이 건조기준 설정 값 이하라면 캐니스터(20)에 대한 건조운전을 종료하는 2차 건조상태확인단계(S7500)로 구성되며;
상기 정상건조운전개시 설정 값은 온도값이고, 40 내지 70℃ 이며,
상기 건조운전변수는 펌프의 펌핑속도 및 히터의 발열량이고;
상기 건조운전특성변수는 건조운전변수에 해당되는 펌프 및 히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작동변수로서, ① 펌프의 펌핑속도의 +,- 값 및 ② 히터의 발열량의 +,- 값이고,
상기 건조운전특성변수 설정 값 추출단계(S7100)는 측정값이 건조기준 설정 값을 초과하였을 때, ① 펌프의 펌핑속도를 -값, ② 히터의 발열량을 +값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건조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25164A KR102021889B1 (ko) | 2019-03-05 | 2019-03-05 |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건조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16/804,187 US11211179B2 (en) | 2019-03-05 | 2020-02-28 | Drying spent nuclear fuel based on evaluation of drying characteristics obtained using gas spectroscop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25164A KR102021889B1 (ko) | 2019-03-05 | 2019-03-05 |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건조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21889B1 true KR102021889B1 (ko) | 2019-09-17 |
Family
ID=6807006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25164A Active KR102021889B1 (ko) | 2019-03-05 | 2019-03-05 |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건조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US (1) | US11211179B2 (ko) |
| KR (1) | KR102021889B1 (ko)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40809B1 (ko) * | 2002-12-13 | 2008-06-23 | 홀텍 인터내셔날, 인크. | 강제식 가스 유동 캐니스터 탈수 |
| KR101000883B1 (ko) | 2005-06-06 | 2010-12-13 | 홀텍 인터내셔날, 인크. | 이슬점 온도 측정에 기초하여 하이레벨 폐기물을건조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KR101774801B1 (ko) | 2017-01-20 | 2017-09-19 | 세안기술 주식회사 | 사용후핵연료 운반 및 저장을 위한 건조장치의 건조방법 및 그 제어방법 |
| KR101911918B1 (ko) * | 2018-03-30 | 2018-10-25 | (주)뉴클리어엔지니어링 | 핵연료 저장용기의 결함탐지 및 이력관리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561318B2 (en) * | 2007-12-21 | 2013-10-22 | Holtec International,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container loaded with wet radioactive elements for dry storage |
| US9117558B1 (en) * | 2011-04-26 | 2015-08-25 | Nac International, Inc. |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spent nuclear fuel temperatures |
| KR101749089B1 (ko) | 2017-01-20 | 2017-07-03 | 세안기술 주식회사 | 사용후핵연료 운반 및 저장을 위한 건조장치의 방사선량률 검출기용 방사선차폐 지오메트리 |
| WO2018135809A1 (ko) | 2017-01-20 | 2018-07-26 | 세안기술 주식회사 | 사용후핵연료 운반 및 저장용 캐니스터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 그 제어방법 및 그 방사선량률 검출기용 방사선 차폐 지오메트리 |
| KR101959790B1 (ko) | 2018-11-19 | 2019-03-19 | 세안기술 주식회사 |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을 위한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 및 그 건조장치 |
-
2019
- 2019-03-05 KR KR1020190025164A patent/KR102021889B1/ko active Active
-
2020
- 2020-02-28 US US16/804,187 patent/US1121117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40809B1 (ko) * | 2002-12-13 | 2008-06-23 | 홀텍 인터내셔날, 인크. | 강제식 가스 유동 캐니스터 탈수 |
| KR101000883B1 (ko) | 2005-06-06 | 2010-12-13 | 홀텍 인터내셔날, 인크. | 이슬점 온도 측정에 기초하여 하이레벨 폐기물을건조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KR101774801B1 (ko) | 2017-01-20 | 2017-09-19 | 세안기술 주식회사 | 사용후핵연료 운반 및 저장을 위한 건조장치의 건조방법 및 그 제어방법 |
| KR101911918B1 (ko) * | 2018-03-30 | 2018-10-25 | (주)뉴클리어엔지니어링 | 핵연료 저장용기의 결함탐지 및 이력관리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US20200286638A1 (en) | 2020-09-10 |
| US11211179B2 (en) | 2021-12-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217353B2 (en) | Method of preparing spent nuclear fuel for dry storage | |
| KR102248412B1 (ko) | 사용후핵연료 캐니스터 건조장치 | |
| KR102364089B1 (ko) | 사용후핵연료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
| KR102484833B1 (ko) | 방사성 핵종 분석 시스템 | |
| CN101957357B (zh) | 废燃料缺陷检测系统 | |
| KR101948535B1 (ko) |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및 그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
| KR102021889B1 (ko) |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건조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 KR101774801B1 (ko) | 사용후핵연료 운반 및 저장을 위한 건조장치의 건조방법 및 그 제어방법 | |
| US11443861B2 (en) | Analysis device for the detection of fission products by measurement of a radioactivity | |
| CN107796668A (zh) | 一种核电厂废树脂处理方法 | |
| KR101959790B1 (ko) |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을 위한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 및 그 건조장치 | |
| US10955564B2 (en) | Drying apparatus for drying canister for spent nuclear fuel transportation and storag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adiation shielding geometry for radiation dose rate detector therefor | |
| CN118039201B (zh) | 一种后处理工艺控制在线分析系统 | |
| KR102364092B1 (ko) | 가스냉각장치의 가스유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수단을 구비한 사용후핵연료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
| KR102805960B1 (ko) | 방사성폐기물 운반 및 저장용기의 건조방법 | |
| RU2147148C1 (ru) |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герметичности оболочек твэлов при переводе на сухое хранение | |
| KR102794832B1 (ko) | 방사성폐기물 운반 및 저장 용기의 건조방법 | |
| KR102794827B1 (ko) | 방사성폐기물 운반 및 저장 용기의 건조방법 | |
| KR102794837B1 (ko) | 방사성폐기물 운반 및 저장 용기의 건조방법 | |
| KR102794818B1 (ko) | 사용후핵연료가 내부에 장전된 운반 및 저장 용기의 건조방법 | |
| KR100511560B1 (ko) | 다목적 Cf-252 중성자 선원 취급장치 | |
| KR20250056426A (ko) | 사용후핵연료가 장전된 운반 및 저장 용기의 건조방법 | |
| JP2014095605A (ja) | ガンマ線核種の計測装置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