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358B1 - Module connecting device for modular house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Module connecting device for modular house constr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8358B1 KR102188358B1 KR1020200037329A KR20200037329A KR102188358B1 KR 102188358 B1 KR102188358 B1 KR 102188358B1 KR 1020200037329 A KR1020200037329 A KR 1020200037329A KR 20200037329 A KR20200037329 A KR 20200037329A KR 102188358 B1 KR102188358 B1 KR 1021883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lever
- pair
- hinge
- coupling mea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2001/5868—Hing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M)과 모듈(M)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모듈 하우스 건설용 모듈 결합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가 폭에 비하여 긴 형태의 판재로 형성되는 한 쌍의 레버 바디(210); 상기 한 쌍의 레버 바디(210)의 중앙부(240)에 설치되는 힌지부(100);및 상기 한 쌍의 레버 바디(210)의 길이 방향 끝 부분에 형성된 종단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레버 바디(210)는 상기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종단부(230)는 상기 모듈(M)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coupling means for module house construction for coupling the module (M) and the module (M) to each other, a pair of lever bodies 210 formed of a plat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A hinge portion 100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240 of the pair of lever bodies 210; And an end portion 230 formed at the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pair of lever bodies 210, wherein the A pair of lever bodies 210 may each independently rotate around the hinge portion 100, and the end portions 230 are coupled to the module M.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듈 하우스 건설에 사용되는 모듈 결합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신뢰성을 담보하면서도 현장 작업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모듈 결합 수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coupling mean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 module ho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ule coupling means that can be easily used by field workers while ensuring reliability.
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된 모듈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모듈 하우스가 근래들어 인기를 끌고 있다. 모듈 하우스는 구조 및 내장이 미리 제조된 상태에서, 현장에서는 조립만 하게되므로 기존의 건축 방식과 비교하여 시공 기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될 뿐만 아니라 건축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Module houses, which are constructed by assembling pre-fabricated modules in factories on site, are gaining popularity in recent years. Since the module house is assembled in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and interior are pre-manufacture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compared to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이러한 모듈 하우스 중에서도 철재 컨테이너를 베이스 모듈로 하여 제작되는 모듈 하우스가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보통 화물 운송용으로 사용되던 중고 컨테이너를 구매하여 단열/인테리어/배관/전열 공사를 마친 뒤, 컨테이너를 건설 현장으로 이송하여 조립/설치하게 된다. 보통 규격 컨테이너 여러 개를 적층하거나 수평 방향으로 이어 붙여서 모듈 하우스를 확장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인접하거나 적층된 모듈(M)의 측면에 금속재의 판재(R)를 덧대고 용접 또는 피스 결합시키게 되는데, 판재(R)는 모듈 즉, 컨테이너의 구조 등에 따라 현장에서 필요한 크기로 잘라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모듈과 모듈, 즉 컨테이너와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시공의 품질은 전적으로 현장 기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판재의 강도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 모듈 하우스의 내구성을 신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Among these module houses, a module house manufactured using a steel container as a base module is receiving great attention. After completing the insulation/interior/piping/heating construction by purchasing a used container that was usually used for freight transportation, the container is transferred to a construction site to assemble/install. Usually, a module house is expanded by stacking several standard containers or connecting them horizontally. As shown in Fig. 1, a plate material R of metal is added to the side of the module M that is adjacent to each other or stacked to be welded or piece-bonded.The plate material R is a module, that is, in the field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You will use it by cutting it to the required siz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construction that connects the module and the module, that is,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is largely dependent on the skill level of the field engineer. And if the strength of the plate is not suffici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of the module house cannot be trust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듈(컨테이너)과 모듈을 서로 연결하는데 있어서, 현장 작업자의 숙력도와 상관 없이 신뢰성 을 담보할 수 있는 모듈 하우스 건설용 모듈 결합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n connecting the module (container) and the module to each other, providing a module coupling means for the construction of a module house that can guarantee reliability regardless of the skill level of the field worker. It is aimed at.
더 나아가, 모듈의 구조 또는 서로 연결되어야할 모듈 사이의 거리에 상관 없이 적용 가능한 모듈 하우스 건설용 모듈 결합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module coupling means for constructing a module house that is applicable regardless of the structure of the module or the distance between the modul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지진 등의 자연재해 등이 발생할 경우에도 쉽게 파괴되지 않을 정도의 높은 강도 및 신뢰성을 가지는 모듈 하우스 건설용 모듈 결합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module coupling means for the construction of a module house having high strength and reliability that is not easily destroyed even when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occur.
본 발명은 모듈(M)과 모듈(M)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모듈 하우스 건설용 모듈 결합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가 폭에 비하여 긴 형태의 판재로 형성되는 한 쌍의 레버 바디(210); 상기 한 쌍의 레버 바디(210)의 중앙부(240)에 설치되는 힌지부(100);및 상기 한 쌍의 레버 바디(210)의 길이 방향 끝 부분에 형성된 종단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레버 바디(210)는 상기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종단부(230)는 상기 모듈(M)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coupling means for module house construction for coupling the module (M) and the module (M) to each other, a pair of
상기 상기 종단부(230)에는 체결구 관통공(220)이 구비되되, 상기 체결구 관통공(220)을 통하여 체결구(300)가 관통하여 상기 모듈(M)에 결합될 수 있다. A fastener through
더 나아가, 상기 레버 바디(210)의 표면에는 보강재(400)가 부착될 수 있는데, 상기 보강재(400)는 탄소 섬유 시트이되, 탄소 섬유 시트의 탄소 섬유 방향이 상기 레버 바디(2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reinforcing
그리고 상기 레버 바디(210)의 중앙부(240)에는 복수 개의 레버각 고정공(260)이 힌지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되, 한 쌍의 레버 바디(210)를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한 쌍의 레버 바디(210)에 각각 형성된 상기 레버각 고정공(260)이 서로 통하도록 한 다음, 상기 레버각 고정공(260)에 레버각 고정용 체결구(270)를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한 쌍의 레버 바디(210)가 이루는 각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본 발명에 따른 모듈 하우스 건설용 모듈 결합수단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레버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체결 대상, 즉 모듈과 모듈 사이의 거리에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별다른 가공 없이 하나의 제품으로 모두 커버 가능하므로, 현장 작업자의 숙력도에 상관 없이 신뢰성 있는 시공을 진행할 수 있다. The module coupling means for constructing a module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r part rotatably formed around a hinge part, so that even if there is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fastening object, that is, the module and the module, it is covered with one product without any special processing. As it is possible, reliable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skill level of the field worker.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하우스 건설용 모듈 결합수단의 레버부에는 탄소섬유와 같은 보강재가 부가될 수 있으므로, 지진 등의 자연재해 등이 발생할 경우에도 쉽게 파괴되지 않을 정도의 높은 강도 및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since a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carbon fiber may be added to the lever part of the module coupling means for module hous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igh strength and reliability are ensured so that it is not easily destroyed even when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occur. You can do i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듈 결합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수단이 실제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1 shows a module coupling mean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and 3 show the module coupling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show a state in which the module coupl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used.
7 and 8 show a module coupling mea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module coupling mea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 module coupling mea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 하우스 건설용 모듈 결합수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module coupling means for building a module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수단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한 쌍의 레버부(200)의 이루는 각도가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두 개의 레버부(200)가 각각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두 개의 레버부(200)가 이루는 각도는 변화할 수 있다. 레버부(200)는 일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즉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세장형)의 판형 구조물인 레버 바디(210)를 포함하는데, 힌지부(100)와 결합되는 가운데 부분을 중앙부(240), 그리고 레버 바디(210)의 양단 부분을 종단부(230)로 칭한다. 레버 바디(210)는 소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 특별히 재질은 제한되지 아니하나,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철재 구조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e coupling mea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show a state in which angles of the pair of
종단부(230)에는 체결구 관통공(22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체결구 관통공(220)을 통하여 모듈(M)에 결합될 볼트 또는 피스와 같은 체결구(300)가 관통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부(240) 및 종단부(230)는 레버 바디(210)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폭이 넓게 형성됨과 아울러, 원에 가까운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종단부(230) 및 중앙부(240)는 각각 체결구(300) 및 힌지부(100)와 맞닿아서 큰 하중을 받게 되므로,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A fastener through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수단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도시하고 있는 분해 사시도이다. 레버 바디(210)의 중앙부(240)에는 힌지부(100)가 삽입될 수 있는 힌지 삽입공(250)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100)는 힌지 상부 파트(110)와 힌지 하부 파트(120)를 포함하고 있는데, 힌지 상부 파트(110)와 힌지 하부 파트(120)는 각각 상부와 하부로부터 힌지 삽입공(250)에 삽입되어 암나사/수나사 체결수단과 같은 힌지 체결 요소(13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힌지 상부 파트(110)에는 힌지 상부 파트 걸림턱(111)이 형성되고, 힌지 하부 파트(120)에는 힌지 하부 파트 걸림턱(121)이 형성되는데, 힌지 상부 파트 걸림턱(110)과 힌지 하부 파트 걸림턱(121) 각각은 힌지 삽입공(250) 내에 형성된 힌지 체결 단턱(251)에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힌지 상부 파트(110)와 힌지 하부 파트(120)가 힌지 체결 요소(130)에 의하여 상호 간에 결합되면, 이들 걸림턱들에 의해서 힌지부(100)가 레버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dule coupling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
도 4 및 도 5는 두 개의 컨테이너 모듈(M)이 적층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하우스 건설용 모듈 결합수단에 의하여 두 개의 모듈(M)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모듈 결합수단의 체결구 관통공(220)을 통하여 볼트/피스 형태의 체결구(300)가 삽입되고, 다시 체결구(300)는 모듈(M)에 형성된 체결공(310)에 결합된다. 체결공(310)에는 체결구(300)와 맞물리도록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and 5 show a state in which two modules M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module coupling means for building a module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wo container modules M are stacked. The bolt/piece-
하나의 모듈 결합수단에는 4개의 체결구(300)가 연결되므로, 하나의 모듈 결합수단을 위해서는 체결공(310) 역시 4개가 모듈(M)에 형성되어야 한다. 하나의 모듈(M) 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체결공(310) 사이의 거리(D)와, 서로 다른 두 개의 모듈(M)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체결공(310) 사이의 거리(H)는 모듈 결합 수단의 규격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보통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모듈(M)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체결공(310) 사이의 거리(H)가 먼저 결정되면, 하나의 모듈(M) 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체결공(310) 사이의 거리(D)가 자동으로 결정될 것이라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four
도 6은 두 개의 모듈(M) 사이에 추가적인 구조물(D)이 끼워진 상태에서, 모듈 결합수단에 의해서 두 개의 모듈(M)이 복수 개의 모듈 결합 수단에 의해서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실시예와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모듈(M)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체결공(310) 사이의 거리(H)가 달라지게 되고(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하나의 모듈(M) 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체결공(310) 사이의 거리(D)가 자동으로 달라지게 된다(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두 개의 레버 바디(210)가 이루는 각도가 변화하는 것에 의해서, 모듈 결합수단이 모듈(M)에 부착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6 shows a state in which an additional structure (D) is inserted between two modules (M), and two modules (M)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module coupling means by the module coupling means. The distance H between the two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 하우스 건설용 모듈 결합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레버 바디(210)의 표면에 보강재(400)가 더 부착된다. 보강재(400)로는 일반적으로 금속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에 사용되는 탄소섬유 시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금속재인 레버 바디(210)의 표면에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바른 상태에서 탄소섬유 시트를 붙여서 만들 수 있다. 레버 바디(210)의 길이 방향으로 주로 큰 하중이 전달되므로, 탄소섬유 시트의 탄소 섬유 배열 방향은 레버 바디(2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레버 바디(210)의 표면에 탄소섬유 시트를 부착함으로써 모듈 하우스 건설용 모듈 결합수단의 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레버 바디(210)의 중앙부(240)에는 소정 간격으로 레버각 고정공(26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제2 실시예에서는 레버각 고정공(260) 들이 힌지부(100)의 축을 중심으로 3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서로 각을 이루고 있는 두 개의 레버 바디(210)에 각각 형성된 레버각 고정공(260)을 서로 통하도록 맞춘 다음, 레버각 고정공(260)에 볼트/너트 등과 같은 레버각 고정용 체결구(270)를 끼워서 결합하면, 두 개의 레버 바디(210)는 더 이상 회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7 and 8 show module coupling means for building a module hou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reinforcing
두 개 이상의 모듈(M)을 서로 결합하는데 있어서, 다수 개의 모듈 결합수단을 사용하게 될 경우, 레버각 고정용 체결구(270)를 이용하면 한 쌍의 레버 바디(210)가 이루는 각도가 정확한 각도로 미리 고정되므로, 현장 시공이 간편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한 쌍의 레버 바디(210) 중 상단에 위치한 레버 바디(210)의 종단부(230)는 하단에 위치한 레버 바디(210)의 종단부(23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레버 바디(210) 자체의 두께로 인하여 상단에 위치한 레버 바디(210)의 종단부(230)의 하부가 모듈(M)의 부착 위치로부터 떠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In coupling two or more modules (M) to each other, when using a plurality of module coupling means, if the lever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듈 하우스 건설용 모듈 결합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예와는 다르게 탄소섬유 시트인 보강재(400)가 레버 바디(210)의 일면에만 형성된 것이 아니라, 레버 바디(210)를 감싸는 형태로 레버 바디(210)의 측면까지 형성됨으로써, 모듈 결합수단의 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9 shows a module coupling means for building a module hou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reinforcing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듈 하우스 건설용 모듈 결합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제1 내지 3 실시예에서는 레버 바디(210)의 종단부(230) 중심 부분에 하나의 체결구 관통공(2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반하여, 제4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피스 체결구가 복수 개 체결될 수 있도록, 레버 바디(210)의 종단부(230)에 비교적 작은 크기의 체결구 관통공(220)이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레버 바디(210)의 종단부(230)를 모듈(M)에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체결구(300)의 크기 및 종류는 한정되지 아니함을 알 수 있다.10 shows a module coupling means for building a module hous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ne fastener through
100: 힌지부 110: 힌지 상부 파트
111: 힌지 상부 파트 걸림턱 120: 힌지 하부 파트
121: 힌지 하부 파트 걸림턱 130: 힌지 체결 요소
200: 레버부 220: 체결구 관통공
210: 레버 바디 230: 종단부
240: 중앙부 250: 힌지 삽입공
251: 힌지 체결 단턱 260: 레버각 고정공
270: 레버각 고정용 체결구
300: 체결구 310: 체결공
400: 보강재100: hinge portion 110: hinge upper part
111: hinge upper part locking jaw 120: hinge lower part
121: hinge lower part locking projection 130: hinge fastening element
200: lever part 220: fastener through hole
210: lever body 230: end portion
240: central part 250: hinge insertion hole
251: hinge fastening step 260: lever angle fixing hole
270: lever angle fixing fastener
300: fastener 310: fastening hole
400: reinforcement
Claims (5)
길이가 폭에 비하여 긴 형태의 판재로 형성되는 한 쌍의 레버 바디(210);
상기 한 쌍의 레버 바디(210)의 중앙부(240)에 설치되는 힌지부(100);및
상기 한 쌍의 레버 바디(210)의 길이 방향 끝 부분에 각각 형성된 종단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레버 바디(210)는 상기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종단부(230)에는 체결구 관통공(220)이 구비되되, 상기 체결구 관통공(220)을 통하여 체결구(300)가 관통하여 상기 모듈(M)에 형성되는 체결공(310)에 결합되며,
서로 인접한 다른 두 개의 모듈(M)에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체결공(310) 사이의 거리(H)가 먼저 결정되면, 하나의 모듈(M)에 형성되는 두 개의 체결공(310) 사이의 거리(D)는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두 개의 레버 바디(210)가 이루는 각도가 변화하는 것에 의해서 자동으로 결정되며,
상기 레버 바디(210)의 표면에는 탄소 섬유 시트가 보강재(400)로서 부착되고,
상기 레버 바디(210)의 중앙부(240)에는 복수 개의 레버각 고정공(260)이 힌지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등간격 관통 형성되되,
한 쌍의 레버 바디(210)를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한 쌍의 레버 바디(210)에 각각 형성된 상기 레버각 고정공(260)이 서로 통하도록 한 다음, 상기 레버각 고정공(260)에 레버각 고정용 체결구(270)를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힌지부(100)를 중심으로 한 쌍의 레버 바디(210)가 이루는 각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하우스 건설용 모듈 결합수단.
It relates to a module coupling means for module house construction for coupling the module (M) and the module (M) to each other,
A pair of lever bodies 210 formed of a plat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width;
A hinge portion 100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240 of the pair of lever bodies 210; And
Including end portions 230 respectively formed at longitudinal ends of the pair of lever bodies 210, wherein the pair of lever bodies 210 are each independently rotated around the hinge portion 100 Can,
The end portion 230 is provided with a fastener through-hole 220, the fastener 300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220 through the fastener, so that the fastening hole 310 formed in the module M Are combined,
When the distance H between the two fastening holes 310 formed in each of the other two modules M adjacent to each other is first determine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fastening holes 310 formed in one module M (D) is automatically determined by changing the angle formed by the two lever bodies 210 around the hinge part 100,
A carbon fiber shee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lever body 210 as a reinforcing material 400,
In the central portion 240 of the lever body 210, a plurality of lever angle fixing holes 260 are formed radi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hinge portion 100 at equal intervals,
A pair of lever bodies 210 are rotated around the hinge part 100 so that the lever angle fixing holes 260 respectively formed in the pair of lever bodies 2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lever angle fixing holes A module house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pair of lever bodies 210 around the hinge part 100 is fixed by inserting and fixing the lever angle fixing fastener 270 in the 260 Module coupling means.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fiber direction of the carbon fiber sheet is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body (210), module house construction module coupling mean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37329A KR102188358B1 (en) | 2020-03-27 | 2020-03-27 | Module connecting device for modular house constr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37329A KR102188358B1 (en) | 2020-03-27 | 2020-03-27 | Module connecting device for modular house construc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188358B1 true KR102188358B1 (en) | 2020-12-08 |
Family
ID=7377906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37329A Active KR102188358B1 (en) | 2020-03-27 | 2020-03-27 | Module connecting device for modular house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88358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84390B1 (en) * | 2021-07-12 | 2022-04-15 | 주식회사 코크스나인 | Modular booth |
| KR102708511B1 (en) | 2023-12-08 | 2024-09-23 | 한성모듈러 주식회사 | Modular building with ball joint connector |
| KR102708510B1 (en) | 2023-12-08 | 2024-09-23 | 한성모듈러 주식회사 | Modular building with elliptical joint connector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00303A (en) * | 2000-06-23 | 2002-01-05 | 이성우 | Rehabilitation of Steel Structures by Carbon Fiber Composites with Vacuum Bag Method |
| JP4072262B2 (en) * | 1998-11-09 | 2008-04-09 |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 Unit type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083295B1 (en) | 2011-06-28 | 2011-11-17 | 한별하우징(주) | Fixture for Container House |
| KR101086059B1 (en) | 2003-11-14 | 2011-11-22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Fastening structure of prefabricated building module |
| KR101342715B1 (en) | 2010-09-30 | 2013-12-18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Reinforcing method and reinforcing structure of metal plate |
| KR20190125951A (en) * | 2018-04-30 | 2019-11-07 | 한국과학기술원 | Multiple-purpose variable type frame module system |
-
2020
- 2020-03-27 KR KR1020200037329A patent/KR10218835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4072262B2 (en) * | 1998-11-09 | 2008-04-09 |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 Unit type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20000303A (en) * | 2000-06-23 | 2002-01-05 | 이성우 | Rehabilitation of Steel Structures by Carbon Fiber Composites with Vacuum Bag Method |
| KR101086059B1 (en) | 2003-11-14 | 2011-11-22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Fastening structure of prefabricated building module |
| KR101342715B1 (en) | 2010-09-30 | 2013-12-18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Reinforcing method and reinforcing structure of metal plate |
| KR101083295B1 (en) | 2011-06-28 | 2011-11-17 | 한별하우징(주) | Fixture for Container House |
| KR20190125951A (en) * | 2018-04-30 | 2019-11-07 | 한국과학기술원 | Multiple-purpose variable type frame module system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84390B1 (en) * | 2021-07-12 | 2022-04-15 | 주식회사 코크스나인 | Modular booth |
| KR102708511B1 (en) | 2023-12-08 | 2024-09-23 | 한성모듈러 주식회사 | Modular building with ball joint connector |
| KR102708510B1 (en) | 2023-12-08 | 2024-09-23 | 한성모듈러 주식회사 | Modular building with elliptical joint connecto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88358B1 (en) | Module connecting device for modular house construction | |
| US8397463B2 (en) | 3-dimensional universal tube connector system | |
| US2964147A (en) | Truss and components therefor | |
| US20180258637A1 (en) | Support member, concrete placi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tructure | |
| US4267682A (en) | Building panel | |
| US20060026907A1 (en) | Adjustable heavy girder tiedown | |
| US5491949A (en) | Cross bracing for wooden structures | |
| US527700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swimming pool wall structures | |
| KR101632681B1 (en) | Joint structure of modular system using the plate, Construction method and Modular system thereby | |
| US3796018A (en) | Structural elements for the erection of masts, such as hoist and crane masts, antenna masts etc. | |
| KR20100004725U (en) | Complex assembly for composition structure | |
| US9963874B2 (en) | Multi angle roof truss tie-down apparatus and method | |
| KR20160078094A (en) | Slab for modular unit, modular uni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odular building using modular uint | |
| AU597834B2 (en) | Structural member | |
| US6735919B1 (en) | Modular I-beam | |
| KR102298556B1 (en) | Pipe jointing device | |
| US6655106B1 (en) | Corner studs for prefabricated building systems | |
| US20210317653A1 (en) | Device for securing construction modules | |
| JP2023001096A (en) | Reinforcing member structure for wood joints | |
| KR102791821B1 (en) | HPC connector for modular | |
| KR20220114190A (en) | Post fixing device of prefabricated building | |
| US20080006001A1 (en) | Wood arch frame system | |
| US20210270032A1 (en) | Strut connector | |
| EP0384096B1 (en) | Modular bearing structure, triangular in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geodetic vaults | |
| KR101885145B1 (en) | Installation in a column to Beam Structure using SRC and PC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