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7192B1 - Head-up displaying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 Google Patents

Head-up displaying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192B1
KR102337192B1 KR1020200045696A KR20200045696A KR102337192B1 KR 102337192 B1 KR102337192 B1 KR 102337192B1 KR 1020200045696 A KR1020200045696 A KR 1020200045696A KR 20200045696 A KR20200045696 A KR 20200045696A KR 102337192 B1 KR102337192 B1 KR 102337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head
display
wrinkl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6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8057A (en
Inventor
현상철
Original Assignee
현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상철 filed Critical 현상철
Priority to KR1020200045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192B1/en
Publication of KR20210128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0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19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광신호를 출사하는 표출부들을 차량의 대시보드에 폭 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하여, 표출부들로부터 출사되는 LED광신호들에 의해 차량의 전방 유리창인 윈드실드에 차선이미지가 표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선의 시인성 및 가시성을 높여 차선이탈로 인한 교통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운영이 간단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구조 및 설계가 간단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각 하우징의 상면에 복수개의 솔라-셀들 및 표출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솔라-셀에 의해 축전된 전력을 표출부의 전력원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시보드 설치 시, 케이블 라인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들이 주름부에 의해 결합되되, 주름부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주름길이(L)가 증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름부의 펼침정도 조절을 통해 윈드실드에 표시되는 차선이미지의 회전각도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선이미지들을 실제 차선에 일치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splay units emitting LED light signals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and the lane image is displayed on the windshield, which is the front window of the vehicle, by the LED light signals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raffic accidents due to lane departure by increasing the visibility and visibility of lanes, an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use due to simple installation and operation, and to reduce costs due to the simple structure and design. , a plurality of solar-cells and a display unit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housing and, at the same time, the power stored by the solar-cell is configured to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the display unit, so that efficient power management is possible as well as when installing a dashboard, cable lines can be minimized, and the housings are coupled by the wrinkle part, and the wrinkle length (L) is configured to increase as the wrinkle part go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so that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lane image displayed on the windshield by adjusting the degree of spread of the wrinkle part It relates to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voiding lane departure that can easily and accurately control a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and thus matching lane images to an actual lane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performed.

Description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ead-up displaying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Head-up displaying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본 발명은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운전자의 가시영역인 차량의 윈드실드(Windshield)로 차선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운전자의 차선이탈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안전주행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운영이 간단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구조 및 설계가 간단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up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and more particularly, by being configured to display a lane image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which is the driver's visible area, to prevent the driver from departing from the lane and to ensure safe driving of the driver. It relates to a head-up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which can induce not only induction, but also can increas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use by simple installation and operation, and reduce cost by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design.

최근 들어, 도로가 확장되고 차량보급률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률 또한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러한 교통사고의 원인들 중 하나로, 차선이탈로 인한 교통사고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roads have been expanded and the vehicle penetration rate has increased exponentially, the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has also rapidly increased.

특히 운전에 미숙한 초보운전자의 경우, 주행 중 차선을 이탈하는 현상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함에 따라 차량의 차선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novice driver who is inexperienced in driving, as the phenomenon of departure from a lane while driving occurs uncommonly, various devices and systems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of a vehicle are being studied.

한편, 각종 센싱기술 및 촬영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운전석 전면 유리창인 윈드실드(Windshield)에 다양한 차량 정보를 가상 이미지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차량 운전 중 전방을 계속적으로 주시하면서 차량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Head-Up Display) 시스템이 개발되어 차량에 탑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various sensing and shooting technologies are advanced, various vehicle information is displayed as virtual images on the windshield, which is the front glass window of the driver's seat,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vehicle information while continuously looking ahead while driving the vehicle. A display (HUD, Head-Up Display)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is being mounted on a vehicle.

통상적으로,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시스템은 각종 센서 및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수단과, 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 및 활용하여 운전자에게 필요한 유의미한 정보인 차량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차량정보를 차량 윈드실드에 디스플레이 하는 조사수단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conventional head-up display (HUD) system includes a collection means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f a vehicle made up of various sensors and cameras, and meaningful information necessary for a driver by analyzing and utiliz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on means. It consists of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in-vehicle information, and irradiation means for displaying the vehicl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on a vehicle windshield.

그러나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는 차체에 각종 센서들 및 카메라들이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및 운영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부담되는 단점을 갖는다.However, the conventional head-up display (HUD) has disadvantages in that various sensors and cameras ar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so installation and operation are complicated and cost is burdened.

특히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가상차선 이미지를 표출한다고 가정할 때,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실제 차선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수단들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만 할뿐만 아니라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In particular, assuming that the conventional head-up display system displays a virtual lane image, the conventional head-up display system not only needs to install collection means for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tual lane, but also analyzes the collected data.

특히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가상차선 이미지를 표출한다고 가정할 때,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실제 차선의 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수집수단이 차체에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함과 동시에 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선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차선의 윈드실드 상의 위치를 검출하는 연산처리 과정이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설치 및 운영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비용 부담이 증가하며, 연산처리가 복잡한 문제점이 발생한다.In particular, assuming that the conventional head-up display system displays a virtual lane image, in the conventional head-up display system, the coll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tual lane must be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collection means As the calculation proces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nd detecting the location on the windshield of the virtual lan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lane must be performed, installation and operation are complicated, the cost burden increases, and the calculation processing is complicated. do.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767434호(발명의 명칭 :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선 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된 차선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ane display method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67434 (Title of the Invention: Lan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Head-Up Display).

도 1의 차선 표시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S100)은 제어부가 영상 촬영부로부터 차량의 전방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S110)와, S110단계(S110)에서 입력된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선을 추출하여 차선을 인식하는 단계(S20)와, S120단계(S120)에서 차선을 인식한 후 차선 신뢰도와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130(S130)과, 단계130(S130)에서 차선 신뢰도와 설정값을 비교하여 차선 신뢰도가 설정값을 이하인 경우, 차선을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해 차선의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140(S140)과, 차선의 색상 및 실제의 차선의 위치에 맞춰 가상의 차선을 증강현실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차선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150(S150)과, 단계150(S150)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차선의 색상과 위치가 결정되면 차선의 종류에 따른 차선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160(S160)과, 단계160(S160)에서 생성된 차선의 영상을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170(S170)으로 이루어진다.In the lane display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of FIG. 1 ( S100 ),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front image of the vehicle from the image capturing unit ( S110 ) and extracts the lane from the front image input at the step S110 ( S110 ) After recognizing the lane in step S20 and S120 step S120, comparing the lane reliability with the set value in steps 130 (S130) and comparing the lane reliability and the set value in step 130 (S130) Thus, when the lane reliability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the virtual lane is converted into augmented reality in accordance with the step 140 (S140) of analyzing the type of lane to display the lane on the head-up display, and the color of the lane and the location of the actual lane. In step 150 (S150)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lane to be displayed on the heads-up display, and in step 150 (S150), when the color and location of the lane to be displayed on the head-up display are determined, an image of the lane according to the type of lane is generated It consists of a step 160 (S160) and a step 170 (S170) of displaying the image of the lane generated in step 160 (S160) on the head-up display.

이때 단계130(S130)은 차선 신뢰도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차선 신뢰도가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차선을 표시하지 않고 종료한다.In this case, step 130 (S130) compares the lane reliability with a set value and ends without displaying a lane on the head-up display when the lane reliability exceeds the set valu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S100)은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선을 인식하여 종류를 분석한 후, 차선의 종류와 색상을 설정하여 도로의 차선에 중첩하여 차선을 표시함으로써 차선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prior art (S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ognizes the lane from the front image and analyzes the type, sets the type and color of the lane, and displays the lane by overlapping the lane of the road.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lane.

그러나 종래기술(S100)은 차체에 차량 전방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 촬영부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하기 때문에 설치 및 운영이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However, the prior art (S100) has disadvantages in that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are complicated and cumbersome, and the cost increases because the image captur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vehicle must b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또한 종래기술(S100)은 영상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선 종류 및 색상을 설정하여 도로의 차선에 중첩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하기 때문에 연산처리가 복잡한 단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ior art ( S100 )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alculation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a control unit that analyzes the image obtain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to set the type and color of the lane and displays it overlapping the lane of the road must be installed.

일반적으로 동일 차량과 동일 차선이라고 하더라도, 운전자의 앉은키, 운전석의 등받이 회전각도 등의 외부요인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가 각기 다르게 형성된다. 즉 앉은키가 작은 운전자는 상대적으로 앉은키가 큰 운전자와 비교하여, 차선을 바라보는 시야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시야에 대응되는 윈드시밀 상의 위치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특성을 갖는다.In general, even in the same vehicle and in the same lane, the driver's field of view i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driver's sitting height and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driver's seat backrest. That is, the driver with a short sitting height has a relatively low field of view looking at the lane compared to a driver with a relatively tall seated height,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on the windshield corresponding to the field of view is formed at a low position. .

그러나 종래기술(S100)은 이러한 외부 요인을 전혀 감안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외부 요인으로 인해 도로의 차선과, 표시되는 차선 영상이 일치하지 않아 오히려 운전자의 시야를 혼도 및 방해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prior art (S100) does not take these external factors into account at all, due to these external factors, the lanes of the road and the displayed lane images do not match, rather confounding and obstructing the driver's view, causing a traffic accident. Occurs.

또한 종래기술(S100)은 영상 촬영부, 제어부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각 구성요소가 차량 배터리를 사용하여 운영되기 때문에 차량의 전력소모를 증가시키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ior art (S100) has a structural limitation of increas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vehicle because each component of the image capturing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head-up display is operated using the vehicle battery.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LED광신호를 출사하는 표출부들을 차량의 대시보드에 폭 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하여, 표출부들로부터 출사되는 LED광신호들에 의해 차량의 전방 유리창인 윈드실드에 차선이미지가 표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선의 시인성 및 가시성을 높여 차선이탈로 인한 교통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운영이 간단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구조 및 설계가 간단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display units emitting the LED light signal to face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and by the LED light signals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s 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lane image on the windshield, which is the front window of the vehicle, thereby increasing the visibility and visibility of the lane to effectively prevent traffic accidents caused by lane departure, as well as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use due to simple installation and opera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head-up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that can reduce costs by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desig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LED모듈들이 PCB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됨에 따라 윈드실드에 표시될 때, 막대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선의 시인성 및 가시성을 더욱 높여 운전자의 안전주행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solu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LED module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CB board and displayed on the windshield, they are configured to be displayed in a bar shape and output in various colors at the same time,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and visibility of the lan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up display device for lane departure prevention that can further enhance the safety driving of the driver more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표출부의 케이스의 하부면에 마찰계수가 높은 미끄럼방지용 패드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대시보드에 안착될 때, 외부 진동 및 흔들림 등에 의한 표출부의 이동을 방지하여 본연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exposed portion due to external vibration and shaking when it is seated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by installing an anti-slip pad with a high friction coefficien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of the expression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surface of the expression portion. To provide a head-up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that can continuously perform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각 하우징의 상면에 복수개의 솔라-셀들 및 표출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솔라-셀에 의해 축전된 전력을 표출부의 전력원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시보드 설치 시, 케이블 라인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solu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plurality of solar-cells and a display unit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housing, and at the same time, the power stored by the solar-cell is configured to be usable as a power source for the display unit, so that efficient power management is possible. Rather, it is to provide a head-up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that can minimize cable lines when installing a dashboar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하우징들이 주름부에 의해 결합되되, 주름부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주름길이(L)가 증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름부의 펼침 정도의 조절을 통해 윈드실드에 표시되는 차선이미지의 회전각도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선이미지들을 실제 차선에 일치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housings are coupled by a wrinkle part, and the wrinkle length (L) is configured to increase as the wrinkle part is direct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up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in which the rotation angle of an image can be controlled simply and accurately, and thus the operation of matching lane images to an actual lane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표출부를 평면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표출부의 일단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회전수단 및 승하강수단의 제어를 통해 차선이미지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display unit on a plane, and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or lowering one end of the display unit. To provide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voiding lane departure that can precisely control th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 상판에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차량의 전방 유리창인 윈드실드(windshield)에 차선이미지들을 표시하는 한 쌍의 표출부들을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출부들은 길이를 가지면서 상부가 개구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면인 상면에 LED모듈들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PCB기판; 상기 LED모듈들을 둘러싸듯이 상기 LED모듈들의 외측에 설치되는 렌즈; 판재로 형성되되, 내외면을 관통하는 투사공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각 변에 하방으로 수직 연결되는 측판들을 포함하고, 조립 시, 상기 상판이 상기 케이스의 상부개구부를 덮듯이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면에 솔라-셀 안착홈들이 폭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면의 일측에 표출부 안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하우징들; 상기 하우징들의 상기 솔라-셀 안착홈들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솔라-셀(Sollar-cell)들; 길이 방향이 자바라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상의 일측 단부가 일측 하우징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가 타측 하우징에 결합되는 주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출부들의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솔라-셀들에 의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들의 상기 표출부 안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표출부들이 각각 삽입되는 표출부 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표출부들은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대접되는 미끄럼방지용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a pair of display part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dashboard upper plate of the vehicle to display lane images on the windshield, which is the front window of the vehicle. In the head-up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ase in which the exposed portions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having an open top while having a length; a PCB board installed inside the case, on which the LED modules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which is one surface; a len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LED modules to surround the LED modules; It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and includes an upper plate having a projection hole penetra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ide plates vertically connected downward to each side of the upper plate. It includes a cover that is installed as a cover, and the head-up display device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as long as the solar-cell seating groov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or length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the display part seat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 pair of housings; Solar-cells installed in the solar-cell seating grooves of the housing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a bellows shape, an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one housing, and the other end further includes a wrinkle part coupled to the other housing, and the case of the exposed parts has the solar-converted by the cells. It further comprises a power storage means for storing electrical energy, the bottom surface of the expression portion seating groove of the housing is to be formed with the expression portion installation groove into which the expression portion is inserted, respectively.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posed portions further include an anti-slip pad that is serv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LED모듈들은 기 설정된 색상들 중 어느 하나로 LED광신호를 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D modules emit an LED light signal in any one of preset colors.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주름부는 설치 시, 운전석과 인접한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후방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주름 길이(L)가 증가함으로써 상기 주름부의 주름상태가 높을수록 상기 하우징의 회전각도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rinkle part is installed, when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driver's seat is referred to as the front, the wrinkle length (L) increas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so that the higher the wrinkle state of the wrinkle part, the higher the rotation angle of the housing it is preferab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표출부들은 회전축을 포함하며,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회전수단; 내부에 상기 회전수단이 설치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에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회전축 삽입공이 형성되며, 조립 시, 상기 하우징들의 상기 표출부 설치홈으로 삽입되는 안착체;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며, 하면의 중앙이 상기 회전수단의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 인입 및 인출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승하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수단의 상기 피스톤로드의 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타측의 하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ression parts include a rotating shaft, a rotating means for generating a rotational motion; a seating body formed in a rod shape in which the rotation means is installed, a rotation shaft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passe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expression part installation groove of the housings when assembling; a rotating plate formed of a plate material and hing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to which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means is coupl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iston rod that is drawn in and drawn out, and further comprising an elevating mean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wherein the end of the piston rod of the elevating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case. do.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LED광신호를 출사하는 표출부들을 차량의 대시보드에 폭 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하여, 표출부들로부터 출사되는 LED광신호들에 의해 차량의 전방 유리창인 윈드실드에 차선이미지가 표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선의 시인성 및 가시성을 높여 차선이탈로 인한 교통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운영이 간단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구조 및 설계가 간단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problems and solutions, the display units for emitting LED light signals are installed to face the width direction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and the wind, which is the front window of the vehicle by the LED light signals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s By configuring the shield to display the lane imag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raffic accidents due to lane departure by increasing the visibility and visibility of the lane, as well as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use due to simple installation and operation, and the structure and design It is simple and the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LED모듈들이 PCB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됨에 따라 윈드실드에 표시될 때, 막대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선의 시인성 및 가시성을 더욱 높여 운전자의 안전주행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LED module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CB board, when displayed on the windshield, they are configured to be displayed in a bar shape and output in various colors at the same time,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visibility and visibility of the lane. Safe driving can be promoted more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출부의 케이스의 하부면에 마찰계수가 높은 미끄럼방지용 패드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대시보드에 안착될 때, 외부 진동 및 흔들림 등에 의한 표출부의 이동을 방지하여 본연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n anti-slip pad with a high friction coefficien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of the expression part, when it is seated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the movement of the surface part due to external vibration and shaking is prevented and the original func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be able to do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하우징의 상면에 복수개의 솔라-셀들 및 표출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솔라-셀에 의해 축전된 전력을 표출부의 전력원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시보드 설치 시, 케이블 라인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olar-cells and a display unit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housing and at the same time, the power stored by the solar-cell is configured to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the display unit, so that efficient power management is possible and a dashboard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able lin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들이 주름부에 의해 결합되되, 주름부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주름길이(L)가 증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름부의 펼침정도 조절을 통해 윈드실드에 표시되는 차선이미지의 회전각도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선이미지들을 실제 차선에 일치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s are coupled by the wrinkle part, and the wrinkle length (L) is configured to increase as the wrinkle part go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It can be controlled simply and accurately, and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matching the lane images to the actual lane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출부를 평면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표출부의 일단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회전수단 및 승하강수단의 제어를 통해 차선이미지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expression part on a plane, and a lifting means for lifting or lowering one end of the expression par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ane image is precisely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rotation means and the raising and lowering means. can do.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767434호(발명의 명칭 :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선 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된 차선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제 사진이다.
도 6은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는 주름부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b)는 주름부가 소정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c)는 주름부가 (b) 보다 더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몸체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승하강수단이 승강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ane display method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67434 (Title of the Invention: Lan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Head-Up Display).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actual photograph of FIG. 2 .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d-up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actual photograph of FIG. 4 .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ver of FIG. 6 ;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rinkle part is completely folded, (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rinkle part is unfolded in a predetermined manner, (c) is a state in which the wrinkle part is more unfolded than (b) It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body of FIG. 8 .
11 is a side view of FIG. 10 ;
1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means of FIG. 11 is lif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제 사진이다.FIG.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use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actual photograph of FIG. 2 .

본 발명의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23)의 상판에 표출부(100)들이 대향되게 설치되어 차량의 전면 유리창인 윈드실드(windshield)(21)를 향하여 LED광신호들을 각각 출사하여 실제 차선(11)들 각각에 중첩되는 차선이미지(13)들을 윈드실드(21)에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로서, 차선(11)들의 시인성 및 가시성을 높여 차선이탈로 인한 교통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head-up display device 100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s 100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upper plate of the dashboard 23 of the vehicle, and the windshield, which is the front windshield of the vehicle, 21 ) As a device for displaying on the windshield 21 the lane images 13 superimposed on each of the actual lanes 11 by emitting LED light signals towar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raffic accidents.

이때 본 발명의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한 쌍의 표출부(1)들을 구비하여, 표출부(1)들을 통해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11)들 각각에 대응되는 차선이미지(13)를 윈드실드(21)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head-up display device 100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display parts 1, and a lane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anes 11 i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through the display parts 1 ( 13) can be displayed on the windshield 21 .

이러한 윈드실드(21)에 표시되는 차선이미지(13)는 운전자의 시야 상의 실제 차선과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ane image 13 displayed on the windshield 21 matches the actual lane in the driver's field of vision.

즉 운전자는 본 발명의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출부(1)들로부터 출사되어 차량의 윈드실드(21)에 표시되는 차선이미지(13)들의 열람을 통해 차선(11)들의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자의 차선이탈로 인한 교통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 및 설치가 간단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That is, the driver sees the lane images 13 that are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s 1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100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displayed on the windshield 21 of the vehicle. The location can be recognized accurately and quickly,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 traffic accident caused by a driver's lane departure, and als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use due to the simple structure and install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제 사진이고, 도 6은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part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actual photograph of FIG. 4 ,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4 내지 6의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한 쌍의 표출부(1)들로 이루어지고, 표출부(1)들은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차량의 대시보드(23)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The head-up display device 100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of FIGS. 4 to 6 includes a pair of display units 1 , and the display units 1 are disposed on the dashboard 23 of the vehicle in the width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nstalled spaced apart.

또한 표출부(1)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와, PCB기판(5), LED모듈(6)들, 렌즈(7), 커버(3), 커넥터 접속부(8), 미끄럼방지용 패드(9)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to 6 , the display unit 1 includes a case 4 , a PCB substrate 5 , LED modules 6 , a lens 7 , a cover 3 , and a connector connection unit 8 ), and a non-slip pad (9).

이러한 표출부(1)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대시보드(23)에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LED광신호들을 출사함으로써 주행차선(11)들 각각에 대응되는 차선이미지(13)들을 윈드실드(21)에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 is provided in a pair and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dashboard 23, and by emitting LED light signals, lane images 13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riving lanes 11 are displayed. It is displayed on the windshield (21).

케이스(4)는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case 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having a length.

또한 케이스(4)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ase 4 has an upper opening to form a space S therein.

이때 케이스(4)의 내부 공간(S)에는 PCB기판(5), LED모듈(6)들, 렌즈(7)가 설치되며, 케이스(4)의 하면에는 미끄럼방지용 패드(9)가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PCB substrate 5, the LED modules 6, and the lens 7 ar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S of the case 4, and the anti-slip pad 9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4 .

또한 케이스(4)의 상부에는 커버(3)가 결합된다.In addition, a cover 3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4 .

PCB기판(5)은 회로가 인쇄된 통상의 기판이며, 케이스(4)의 내부 공간(S)의 바닥면에 설치된다.The PCB board 5 is a normal board on which a circuit is printed, and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S of the case 4 .

또한 PCB기판(5)의 일면인 상면에는 LED모듈(6)들이 실장된다.In addition, the LED modules 6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which is one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5 .

또한 PCB기판(5)의 일측에는 커넥터 접속부(8)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connector connection part 8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CB board 5 .

LED모듈(6)들은 LED광신호를 출사하는 광원소자이며, PCB기판(5)의 상면에 실장된다.The LED modules 6 are light source devices that emit LED light signals, and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5 .

이때 LED모듈(6)들은 기 설정된 색상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색상으로 LED광신호를 출사한다.At this time, the LED modules 6 emit an LED light signal in a color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preset colors.

이러한 LED모듈(6)들은 출사 시, 윈드실드(21)에 막대 형상의 차선이미지(13)가 표시되도록 PCB기판(5)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These LED modules 6 are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CB substrate 5 so that the bar-shaped lane image 13 is displayed on the windshield 21 when emitted.

렌즈(7)는 LED모듈(6)들의 상측을 둘러싸듯이 설치되어 LED모듈(6)로부터 출사된 빛을 확산 또는 집중시킨다.The lens 7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LED modules 6 to diffuse or focu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6 .

미끄럼방지용 패드(9)는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스(4)의 하면에 상면이 대접되도록 결합된다.The anti-slip pad 9 is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4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treated.

이러한 미끄럼방지용 패드(9)는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출부(1)가 대시보드(23)에 안착될 때, 대시보드(23)의 접촉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외부 진동 및 흔들림에 의해 표출부(1)의 이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is anti-skid pad 9 increases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dashboard 23 when the display part 1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100 for lane departure prevention is seated on the dashboard 23 to prevent external vibr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movement and separation of the expression part 1 by shaking.

커넥터 접속부(8)는 PCB기판(5)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케이블의 커넥터(C)가 접속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넥터 접속부(8)에 접속되는 커넥터(C)가 USB타입으로 형성되어 커넥터 접속부(8)의 구조 및 형상 또한 USB타입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커넥터 접속부(8)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형상 및 타입의 커넥터에 대응되는 구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8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CB board 5, and the connector C of the external power cable is connected.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nector C connected to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8 is formed in a USB type, and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8 are also USB type. 8)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and shape corresponding to various known shapes and types of connectors.

도 7은 도 6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ver of FIG. 6 ;

커버(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의 함체로 형성되며, 상세하게로는 길이를 갖는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수평판(31)과, 수평판(31)의 각 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연결되는 측판(33)들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7 , the cover 3 is formed of a hexahedral housing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and in detail, a horizontal plate 31 formed of a flat surface having a length, and a horizontal plate 31 It consists of side plates 33 vertically connected downward from each side.

이때 커버(3)는 조립 시, 수평판(31)이 케이스(4)의 상부개구부를 밀폐시키듯이 설치되되, 측판(33)들의 내면이 케이스(4)의 측벽의 외면과 대접되게 된다.At this time, when assembling the cover 3 , the horizontal plate 31 is installed to seal the upper opening of the case 4 ,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side plates 33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case 4 .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PCB기판(5)의 길이 방향 중 커넥터 접속부(8)가 설치되지 않은 단부를 전방이라고 하고, 대향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커버(3)의 측판(33)들 중 후방의 측판인 후면의 하단부에는 상측으로 절개되어 커넥터 접속부(8)가 삽입되는 절개부(미도시)가 형성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end of the PCB substrate 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8 is not installed is referred to as the front,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rear, the side plates 33 of the cover 3 are A cutout (not shown) into which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8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side, which is a side plate of the middle, which is cut upward.

또한 커버(3)의 수평판(31)에는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는 투사공(311)이 길이 방향인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plate 31 of the cover 3 has a projection hole 311 penetrating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is formed to exten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수평판(31)의 투사공(311)으로는 LED모듈(6)로부터 출사되어 렌즈(7)를 통과한 LED광신호가 통과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ED light signal emitted from the LED module 6 and passed through the lens 7 passes through the projection hole 311 of the horizontal plate 31 .

또한 커버(3)의 수평판(31)의 투사공(311)을 형성하는 측벽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ide wall forming the projection hole 311 of the horizontal plate 31 of the cover 3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at extends outward from the bottom toward the top.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출부(1)들은 도 2와 3에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차량의 대시보드(23)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LED광신호들을 출사하여 차량의 윈드실드(21)에 차선이미지(13)들을 각각 표시함으로써 차선의 시인성 및 가시성을 높여 차량 운전자가 주행 중 차선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선이탈로 인한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the display units 1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100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vehicle dashboard 23 to transmit LED light signals. By outputting and displaying the lane images 13 on the windshield 21 of the vehicle, respectively, the visibility and visibility of the lane are increased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accurately and quickly recognize the lane while driving,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due to lane departur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실시예이다.8 is a second embodiment of a head-up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제2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한 쌍의 제2 표출부(201)들과, 한 쌍의 하우징(203)들, 솔라-셀(Sollar-cell)(205)들, 패드부(207)들, 주름부(209)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head-up display device 200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econd display units 201, a pair of housings 203, and a solar cell. 205 , pad parts 207 , and pleats 209 .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축전하여 이를 제2 표출부(201)들의 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전력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2 표출부(201)들의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윈드실드(21)에 표시되는 차선이미지(13)를 실제 차선(11)과 일치하도록 하는 운전자의 작업이 간단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한 것이다.The second head-up display device 200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power efficiency by storing solar energy as electrical energy and using it as a power source for the second display units 201,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his is to make it simple and accurate for the driver to make the lane image 13 displayed on the windshield 21 match the actual lane 11 by being configured to allow adjustment of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201s.

도 8의 제2 표출부(201)는 전술하였던 도 4 내지 7의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출부(3)와 동일한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커넥터 접속부(8) 대신 솔라-셀(205)들에 의해 축전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수단을 더 포함한다.The second expression part 201 of FIG. 8 has the same structure and shape as the expression part 3 of the head-up display apparatus 100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of FIGS. 4 to 7 described above, but is made of a solar panel instead of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8. - It further includes a power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power stored by the cells (205).

이러한 축전수단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storage means is a commonly used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하우징(203)은 사각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되, 상면에 내측으로 솔라-셀 안착홈(230)들이 폭과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housing 203 is formed of a square-shaped plate material, and the solar-cell seating grooves 2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on the upper surface to the inside.

이때 솔라-셀 안착홈(230)들에는 솔라-셀(205)들이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solar-cell seating grooves 230 are provided with the solar-cells 205 .

또한 하우징(203)은 설치 시, 차량의 대시보드(23)의 상판에 안착된다.Also, when the housing 203 is installed, it is seated on the upper plate of the dashboard 23 of the vehicle.

또한 하우징(203)의 하면에는 패드부(207)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pad part 207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03 .

또한 하우징(203)의 상면에는 솔라-셀 안착홈(230)들이 형성되되,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는 솔라-셀 안착홈(230)이 형성되지 않고 사각 형상의 표출부 안착홈(23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olar-cell seating grooves 23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03 , but the solar-cell seating grooves 230 are not formed at the mid-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urface-shaped surface seating grooves 231 are formed. do.

또한 표출부 안착홈(231)의 바닥면(2310)의 중앙에는 제2 표출부(201)가 안착되는 표출부 설치홈(2311)이 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2310 of the expression part seating groove 231, the expression part installation groove 2311 in which the second surface part 201 is seated is formed to be inclined.

이때 표출부 설치홈(2311)은 하우징(203)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기준으로 할 때,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을 향할수록 운전자를 향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protruding part installation groove 2311 is inclined toward the driver as it go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housing 203 .

이러한 하우징(203)은 타측 하우징(203‘)과 주름부(209)에 의해 결합된다.This housing 203 is coupled to the other housing 203 ′ by a corrugated portion 209 .

솔라-셀(205)은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수단이며,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표출부(201)의 축전기(미도시)에 의해 축전된다.The solar cell 205 is a means for receiving sunlight and converting it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e converted electrical energy is stored by a capacitor (not shown) of the display unit 201 .

또한 솔라-셀(205)은 사각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며, 하우징(203)의 솔라-셀 안착홈(230)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olar-cell 205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is inserted into the solar-cell seating groove 230 of the housing 203 and coupled thereto.

주름부(209)는 길이 방향이 자바라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형성된다.The wrinkle portion 209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bellows shape to be folded or un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주름부(209)는 길이 방향의 좌측 단부가 일측 하우징(203)에 결합되되, 우측 단부가 타측 하우징(203‘)에 결합된다.In addition, the corrugated portion 209 has a left end coupled to one housing 20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ight end coupled to the other housing 203 ′.

또한 주름부(209)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주름의 길이(L)가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주름 길이(L)라고 함은 인접하게 배치된 요철구간의 거리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pleats 209 are formed to increase the length (L) of the pleats from the rear toward the front. In this case, the wrinkle length (L)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cave-convex sections arranged adjacently.

즉 주름부(209)는 최후방의 주름 길이(L)가 가장 작게 형성되고, 최전방의 주름 길이(L)가 가장 크게 형성된다.That is, the wrinkle portion 209 has the smallest wrinkle length L at the rear and the largest wrinkle length L at the front.

이러한 제2 표출부(200)는 주름 길이(L)가 큰 전방이 운전석을 향하도록 대시보드(23)에 설치된다.This second expression part 200 is installed on the dashboard 23 so that the front of the large wrinkle length L faces the driver's seat.

도 9는 도 8의 (a)는 주름부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b)는 주름부가 소정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c)는 주름부가 (b) 보다 더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9 (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rinkle part is completely folded, (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rinkle part is unfolded in a predetermined manner, (c) is a state in which the wrinkle part is more unfolded than (b) It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주름부(209)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일 때, 하우징(203), (203‘)들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shown in (a) of FIG. 9, when the wrinkle portion 209 is in a fully folded state, the housings 203 and 203 ′ ar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이때 주름부(209)는 후방의 주름 크기(L)가 작게 형성되되, 전방의 주름 크기(L)가 크게 형성됨으로써 도 9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 상태가 높아질수록 하우징(203), (203‘)들의 회전각도가 증가하게 되고, 하우징(203), (203’)들의 회전각도에 비례하여 제2 표출부(201)들의 회전각도 또한 높아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wrinkle portion 209 is formed with a small size of the wrinkle (L) at the rear, and the size of the wrinkle (L) at the front is formed large, so that as shown in (b) and (c) of FIG. 9, the unfolded state will increase The rotation angle of the housings 203 and 203' is increased,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expression parts 201 is also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housings 203 and 203'.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제2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1)차량의 대시보드(23)에 안착되는 하우징(203)에 복수개의 솔라-셀(205)들이 설치됨에 따라 전력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운전자가 주름부(209)의 펼침 상태의 정도 조절을 통해 제2 표출부(201)들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윈드실드(21)에 표시되는 차선이미지(13)를 실제 차선(11)과 간단하고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econd head-up display device 200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plurality of solar cells 205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203 seated on the dashboard 23 of the vehicle. Not only can the efficiency of power management be increased, but 2) the driver can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second display parts 201 by adjusting the degree of the unfolding state of the wrinkle part 209, so it is displayed on the windshield 21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accurately match the lane image 13 that becomes the actual lane 11 with the actual lane 11 .

도 10은 본 발명의 표출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3 표출부가 승강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express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ide view of FIG. 10, and 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expression unit of FIG. 11 is lifted.

도 10 내지 12의 제3 표출부(401)는 본 발명의 표출부의 제3 실시예이며, 전술하였던 도 8의 하우징(203)들 각각의 표출부 안착홈(231)의 표출부 설치홈(2311)에 설치된다.The third expression part 401 of FIGS. 10 to 12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express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pression portion installation groove 2311 of the surface portion seating groove 231 of each of the housings 203 of FIG. 8 described above. ) is installed in

또한 제3 표출부(401)는 도 10과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11)와, 회전플레이트(413), 안착체(415), 회전수단(416), 승하강부(417)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third expression unit 401 includes a body 411 , a rotating plate 413 , a seating body 415 , a rotating means 416 , and an elevating unit 417 . .

몸체(411)는 전술하였던 도 5의 표출부(1)와 동일한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케이스(4114)의 내부에 커넥터 접속부(8)가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하였던 도 8의 솔라-셀(205)들에 의해 축전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수단이 설치된다.The body 411 is made of the same structure and shape as the expression part 1 of FIG. 5 described above, but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8 is not installed inside the case 4114, but the solar-cell of FIG. Power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power stored by the (205) is installed.

또한 몸체(411)의 케이스(4114)의 하부면의 일단부는 회전플레이트(413)와 힌지 결합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4114 of the body 411 is hinged with the rotating plate 413 .

안착체(415)는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립 시, 전술하였던 도 8의 하우징(203)의 표출부 안착홈(231)의 표출부 설치홈(2311)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The seating body 41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having a length, and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surface installation groove 2311 of the surface portion seating groove 231 of the housing 203 of FIG. 8 described above during assembly.

또한 안착체(415)는 내부에 모터 등의 회전수단(416)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eat 415 is provided with a rotating means 416 such as a motor therein.

또한 안착체(415)의 상면(4151)의 중앙에는 회전축 삽입공(415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rotation shaft insertion hole 415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4151 of the seating body 415 .

이때 안착체(415)의 회전축 삽입공(4152)으로는 회전수단(416)의 회전축(4161)이 통과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shaft 4161 of the rotation means 416 passes through the rotation shaft insertion hole 4152 of the seat 415 .

회전수단(416)은 모터 등과 같이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안착체(415)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rotation means 416 is a device that generates rotational motion, such as a motor, and is installed inside the seating body 415 .

이때 회전수단(416)의 회전축(4161)은 안착체(415)의 상면(4151)의 회전축 삽입공(4152)을 통과하여 단부가 안착체(415)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배치되고, 회전축(416)의 단부는 회전플레이트(413)의 하면과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shaft 4161 of the rotation means 416 passes through the rotation shaft insertion hole 4152 of the upper surface 4151 of the seating body 415 and the end is dispos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seating body 415, and the rotation shaft 416 The end of the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413).

즉 회전수단(416)에서 발생된 회전운동은 회전축(4161) -> 회전플레이트(413) -> 몸체(411)의 순서대로 전달됨으로써 사용자는 회전수단(416)의 회전을 통해 윈드실드(21) 상의 차선이미지(1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rotational motion generated by the rotating means 416 is transmitted in the order of the rotating shaft 4161 -> the rotating plate 413 -> the body 411,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windshield 21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416.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lane image 13 above.

회전플레이트(413)는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된다.The rotating plate 413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having a length.

또한 회전플레이트(413)의 상면의 일단부는 몸체(411)의 케이스(4114)와 힌지 결합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413 is hinged with the case 4114 of the body 411 .

또한 회전플레이트(413)의 상면의 타단부에는 승하강수단(417)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lifting means 417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413 .

또한 회전플레이트(413)의 하면에는 회전수단(416)의 회전축(4161)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rotating shaft 4161 of the rotating means 416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413 .

즉 회전플레이트(413)는 회전축(416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몸체(411)가 함께 회전됨으로써 사용자는 회전수단(416)의 제어를 통해 윈드실드(21) 상의 표시되는 차선이미지(1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rotating plate 413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4161, and accordingly, the body 411 is rotated together,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rotating means 416 to control the lane image displayed on the windshield 21. The angle of (13) can be adjusted.

승하강수단(417)은 통상의 수평이동수단으로 사용되는 실린더이며, 회전플레이트(413)의 상면의 타단부에 결합된다.The elevating means 417 is a cylinder used as a normal horizontal moving means, a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413 .

또한 승하강수단(417)의 피스톤 로드는 몸체(411)의 케이스(4114)의 하부면과 접촉된다. 이때 케이스(4114)의 하부면은 승하강수단(417)의 피스톤로드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 안착됨에 따라 몸체(411)의 일측은 승하강수단(417)의 피스톤 로드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 이동하게 된다.Also, the piston rod of the elevating means 417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4114 of the body 411 . At this tim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4114 is not coupled to the piston rod of the elevating means 417, but is simply seated, one side of the body 411 is upward according to the elevating or lowering of the piston rod of the elevating means 417. or move downwards.

이러한 몸체(411)의 승강 또는 하강은 윈드실드(21) 상의 차선이미지(13)의 높이를 결정하게 된다.The lifting or lowering of the body 411 determines the height of the lane image 13 on the windshield 21 .

즉 사용자는 승하강수단(417)의 제어를 통해 윈드실드(21) 상의 차선이미지(1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lane image 13 on the windshield 21 through the control of the elevating means 417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표출부(401)는 회전수단(416) 및 승하강수단(417)의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시야에 대응되는 위치의 윈드실드(21)에 차선이미지(13)가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선이미지(13)를 실제 차선(11)과 간단하고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hird display unit 40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e image 13 is displayed on the windshield 2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er's field of view through the control of the rotating means 416 and the elevating means 417 . At the same time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accurately match the lane image 13 with the actual lane 11 .

1:표출부 3:커버 4:케이스
5:PCB기판 6:LED모듈들 7:렌즈
8:커넥터 접속부 9:패드 11:실제 차선
13:차선이미지 21:윈드실드 23:대시보드
31:수평판 33:측판들
100: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00:제2 차선이탈방지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01:제2 표출부 203:하우징 205:솔라-셀
207:패드부 209:주름부 230:솔라-셀 안착홈
231:표출부 안착홈 311:투사공 401:제3 표출부
411:몸체 413:회전플레이트 415:안착체
416:회전수단 417:승하강수단 2311:표출부 설치홈
4152:회전축 삽입공 4161:회전축
1: Exposed part 3: Cover 4: Case
5: PCB board 6: LED modules 7: Lens
8: connector connection part 9: pad 11: actual lane
13: lane image 21: windshield 23: dashboard
31: horizontal plate 33: side plates
100: head-up display device for lane departure prevention
200: Head-up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second lane departure
201: second expression part 203: housing 205: solar-cell
207: pad part 209: wrinkle part 230: solar-cell seating groove
231: expression part seating groove 311: projection hole 401: third expression part
411: body 413: rotating plate 415: seating body
416: rotating means 417: elevating means 2311: expression part installation groove
4152: rotation shaft insertion hole 4161: rotation shaft

Claims (6)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 상판에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차량의 전방 유리창인 윈드실드(windshield)에 차선이미지들을 표시하는 한 쌍의 표출부들을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출부들은
길이를 가지면서 상부가 개구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면인 상면에 LED모듈들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PCB기판;
상기 LED모듈들을 둘러싸듯이 상기 LED모듈들의 외측에 설치되는 렌즈;
판재로 형성되되, 내외면을 관통하는 투사공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각 변에 하방으로 수직 연결되는 측판들을 포함하고, 조립 시, 상기 상판이 상기 케이스의 상부개구부를 덮듯이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면에 솔라-셀 안착홈들이 폭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면의 일측에 표출부 안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하우징들;
상기 하우징들의 상기 솔라-셀 안착홈들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솔라-셀(Sollar-cell)들;
길이 방향이 자바라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상의 일측 단부가 일측 하우징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가 타측 하우징에 결합되는 주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출부들의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솔라-셀들에 의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들의 상기 표출부 안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표출부들이 각각 삽입되는 표출부 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head-up display device including a pair of display part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n a dashboard upper plate of a vehicle to display lane images on a windshield which is a front window of the vehicle:
The expressions are
Case having a length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having an open top;
a PCB board installed inside the case, on which the LED modules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which is one surface;
a len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LED modules to surround the LED modules;
It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and includes an upper plate having a projection hole penetra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ide plates vertically connected downward to each side of the upper plate. Including a cover that is installed like a cover,
The heads-up display device
A pair of housings formed of a plate material, in which the solar cell seating groov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or length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the surface part seat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Solar-cells installed in the solar-cell seating grooves of the housing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a bellows shap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one housing, the other end further includes a wrinkle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housing,
The case of the display parts further comprises a power storage means for storing electrical energy converted by the solar-cells,
A head-up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ression portion installation groove into which the expression portions are respectively insert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pression portion seating grooves of the hous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부들은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대접되는 미끄럼방지용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Th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posed parts further include a non-slip pad that is serv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a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들은 기 설정된 색상들 중 어느 하나로 LED광신호를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Th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ED modules emit an LED light signal in any one of preset colors.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설치 시, 운전석과 인접한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후방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주름 길이(L)가 증가함으로써 상기 주름부의 주름상태가 높을수록 상기 하우징의 회전각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wrinkle portion
When installing, when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driver's seat is referred to as the front, the wrinkle length (L) increas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so that the higher the wrinkle state of the wrinkle part, the higher the rotation angle of the housing is.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부들은
회전축을 포함하며,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회전수단;
내부에 상기 회전수단이 설치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에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회전축 삽입공이 형성되며, 조립 시, 상기 하우징들의 상기 표출부 설치홈으로 삽입되는 안착체;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며, 하면의 중앙이 상기 회전수단의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
인입 및 인출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승하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수단의 상기 피스톤로드의 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타측의 하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expression parts are
Rotating means including a rotating shaft and generating a rotational motion;
a seating body formed in a rod shape in which the rotation means is installed, a rotation shaft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passe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expression part installation groove of the housings when assembling;
a rotation plate formed of a plate material and hing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to which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tion means is coupled;
Including a piston rod drawn in and drawn out, and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mean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plate,
The end of the piston rod of the elevating means is a head-up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case.
KR1020200045696A 2020-04-16 2020-04-16 Head-up displaying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Active KR1023371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696A KR102337192B1 (en) 2020-04-16 2020-04-16 Head-up displaying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696A KR102337192B1 (en) 2020-04-16 2020-04-16 Head-up displaying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057A KR20210128057A (en) 2021-10-26
KR102337192B1 true KR102337192B1 (en) 2021-12-07

Family

ID=7826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696A Active KR102337192B1 (en) 2020-04-16 2020-04-16 Head-up displaying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19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1932A (en) * 2003-03-18 2004-10-07 Sony Corp Laser light emitting module, window cap, laser pointer, and light emitting module
US20130141311A1 (en) 2011-12-02 2013-06-06 Automotive Research & Test Center Head up display (hud)
KR101510954B1 (en) * 2013-11-04 2015-04-0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Driving guide apparatus using Head Up Display and the method
JP2018140646A (en) 2017-02-24 2018-09-13 日本精機株式会社 Head-up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295B1 (en) * 2016-02-28 2018-04-12 김성환 heads-up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1932A (en) * 2003-03-18 2004-10-07 Sony Corp Laser light emitting module, window cap, laser pointer, and light emitting module
US20130141311A1 (en) 2011-12-02 2013-06-06 Automotive Research & Test Center Head up display (hud)
KR101510954B1 (en) * 2013-11-04 2015-04-0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Driving guide apparatus using Head Up Display and the method
JP2018140646A (en) 2017-02-24 2018-09-13 日本精機株式会社 Head-up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057A (en)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844048U (en) Automobile-used sunshading board system and vehicle
KR1013056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indering the incident rays the inside of the car
CN104470757B (en) Stereo gated imaging system and method
JP6063215B2 (en) Dazzle blocking system and dazzling blocking method
US11124130B2 (en) Vehicular forward viewing camera
KR101789984B1 (en) Side Mirror Camera System For Vehicle
JP6947475B2 (en) Visor, visor system and vehicle
US20070115138A1 (en) Onboard imaging apparatus
US20050146607A1 (en) Object Approaching Detection Anti Blind e-Mirrors System
CN108196366A (en)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of adjusting display brightness
CN106488092B (en) Integrated camera, ambient light detection and rain sensor assembly
KR20140041617A (en) Camera system for a vehicle
US2021027107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Visual Field Display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102241235A (en) Backlight shielding device
WO2018171211A1 (en) Vehicle-mounted system and vehicle
DE102018131424B4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3481825B (en) Auxiliary safe video system for vehicle
KR101942179B1 (en) Lane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in rain
CN113665485B (en) Anti-glare system for automobile front windshield and control method
ES2220262T3 (en) REAR-VIEW MIRROR.
US200302231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ploying a mirror assembly from a recessed position
DE102023212939A1 (en) SYSTEM FOR MONITORING A DRIVER OF A VEHICLE
KR102337192B1 (en) Head-up displaying device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US20240126095A1 (en) Image display device
DE102013014167B4 (en) System for detecting the environment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