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792B1 -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state patients - Google Patents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state patie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7792B1 KR102347792B1 KR1020190162702A KR20190162702A KR102347792B1 KR 102347792 B1 KR102347792 B1 KR 102347792B1 KR 1020190162702 A KR1020190162702 A KR 1020190162702A KR 20190162702 A KR20190162702 A KR 20190162702A KR 102347792 B1 KR102347792 B1 KR 1023477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xygen
- path
- tracheostomy
- neck
- mas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10000002396 uvula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24794 sputu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3109 clavic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6010013975 Dyspnoea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2717 Increased upper airway secre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5 diast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7 drug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67 larynx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435 phleg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37 trache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27 tracheal int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5—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 A61M16/047—Masks, filters, surgical pads, devices for absorbing secre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4—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fluids, one of them being in a liquid phase
- A61M16/147—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fluids, one of them being in a liquid phase the respiratory gas not passing through the liquid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83—Holding devices therefor
- A61M16/0688—Holding devices therefor by means of an adhes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61M2202/0208—Oxy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본체가 기관절개관이 노출되는 목의 전방을 감싸면서 외부와 격리시킨 상태로 공간을 형성하고 산소호흡기 배관을 통해 상기 공간으로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목의 절개부위와 상기 절개부위에 삽관된 기관절개관과 외부로부터 연장된 산소호흡기 배관이 연결되는 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xygen mask for a tracheostomy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the mask body wraps around the front of the neck where the tracheostomy tube is exposed and forms a space in a stat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oxygen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through an oxygen respirator pipe. In an oxygen mask for patients with tracheostomy that can supply the incision of the neck and the part where the intubated tracheostomy tube is connected to the incision and the oxygen respirator pipe extending from the outside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it's abou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본체가 기관절개관이 노출되는 목의 전방을 감싸면서 외부와 격리시킨 상태로 공간을 형성하고 산소호흡기 배관을 통해 상기 공간으로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목의 절개부위와 상기 절개부위에 삽관된 기관절개관과 외부로부터 연장된 산소호흡기 배관이 연결되는 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xygen mask for a tracheostomy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the mask body wraps around the front of the neck where the tracheostomy tube is exposed and forms a space in a stat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oxygen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through an oxygen respirator pipe. In an oxygen mask for patients with tracheostomy that can supply the incision of the neck and the part where the intubated tracheostomy tube is connected to the incision and the oxygen respirator pipe extending from the outside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it's about
일반적으로, 기관이란 후두와 폐를 연결하는 관 모양의 구조물로서 공기의 유입과 유출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기관지 속 분비물을 배출하는 통로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기관의 상부가 막히게 되면 환자는 호흡이 곤란해지고 이는 곧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In general, the trachea is a tube-shaped structure connecting the larynx and the lungs, and serves as a passageway through which air flows in and out as well as discharges secretions in the bronchial tubes. Therefore, when the upper part of the organ is blocked, the patient has difficulty breathing, which leads to a problem directly related to life.
이러한 때에 폐로 공기가 들어가는 통로를 만들기 위하여 목에 작은 구멍을 만드는 수술이 기관절개술이다. 목에 작은 구멍을 만들고 그 구멍으로 기관절개튜브라고 부르는 관을 삽입하면, 이 튜브는 공기의 통로가 되어 입이나 코로 숨을 쉬기 어려운 환자들에게 숨을 쉴 수 있도록 한다.In such a case, tracheostomy is an operation to make a small hole in the neck to make a passage for air to enter the lungs. A small hole is made in the neck and a tube called a tracheostomy tube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and the tube becomes a passage for air, allowing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breathing through their mouth or nose to breathe.
또한, 기관절개술은 기침을 할 수 없는 환자의 기관지 속 분비물, 즉 가래를 제거하거나 기관 내 삽관을 대신하기 위해 시행하며, 의식이 없는 환자가 양압(陽壓) 인공호흡기 사용 시 분비물에 의하여 질식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시행하기도 한다.In addition, tracheotomy is performed to remove secretions, that is, phlegm, or to replace endotracheal intubation in patients who cannot cough. It is also implemented to prevent
이러한 기관절개술의 이해를 돕는 도면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A diagram to help understand this tracheotomy is as shown in FIG. 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관 절개술은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의 절개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됨은 물론, 출혈 및 기관절개관과 산소호흡기 배관의 연결부위 및 처치 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므로, 외관적으로나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외부 오염물에 의해 절개부위가 감염되는 등 위생적으로나 안전상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in the tracheostomy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incision of the neck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as well as the connection site of the tracheostomy tube and the ventilator tube and the treatment site for bleeding and tracheostomy are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not only is it not good in appearance or aesthetics, but there are also hygienic and safety problems such as infection of the incision by external contaminants.
상기와 같은 기관절개술과 관련된 선행 문헌은 다음과 같다.The prior literature related to tracheotomy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8270호(명칭 : 확장기 로딩 카테터 및 트라치 튜브 ; 출원일 : 2009.06.17.)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28270 (Title: diastolic loading catheter and tracheal tube; filing date: 2009.06.17.)
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0178(명칭 : 기관 튜브 및 석션 디바이스 ; 출원일 : 2014.10.09.)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70178 (Title: Tracheal tube and suction device; Application date: 2014.10.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마스크 본체가 기관절개관이 노출되는 목의 전방을 감싸면서 외부와 격리시킨 상태로 공간을 형성하고 산소호흡기 배관을 통해 상기 공간으로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목의 절개부위와 상기 절개부위에 삽관된 기관절개관과 외부로부터 연장된 산소호흡기 배관이 연결되는 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mask body wraps the front of the neck where the tracheostomy tube is exposed and forms a space in a stat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enters the space through the oxygen respirator pipe. Oxygen mask for patients with tracheostomy to ensure that oxygen is supplied and to block direct exposure of the neck incision, the tracheostomy tube intubated to the incision, and the oxygen respirator pipe extending from the outside It aim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기관절개관(1)이 노출되는 목 부위의 굴곡을 따라 감싸면서 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11); 상기 마스크 본체(11)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 부위를 제공하는 연결부(12); 날숨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벤트부(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본 발명의 상기 마스크 본체(11)는 목젖 부분에서부터 목젖의 양측 상부를 거쳐 양쪽 쇄골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비중혈에 이르는 부위를 감싸도록 테두리(11a)가 굴곡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본 발명의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2~3회성 접착 고정을 위한 접착부재(11b)가 마련되거나, 반복성 점착 고정을 위한 점착부재(11c)가 마련되거나, 형체 변형 와이어(11d)가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dge (11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nge-shap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neck is expanded, and an adhesive member (11b) for 2-3 times adhesive fixing is provided on the expanded surface, or adhesive for repeatable adhesive fix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12)는 산소호흡기 배관(2)이 관통 연결되도록 신축 탄성력을 갖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지거나, 산소호흡기 배관(2)에 마련된 연결너트(2a)가 체결 연결되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12)는 마스크 본체(11) 내측과 연통되는 공급경로(12a); 상기 공급경로(12a)에서 분기하여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되는 산소경로(12b); 및 별도의 호흡 약품 투입부와 연결되는 약품경로(12c); 상기 공급경로(12a) 중 산소경로(12b)와 약품경로(12c)가 분기하는 부분에 회전형 개폐구조를 가지며 마련되어, 각 경로를 선택적 또는 모두를 연통시키는 경로선택밸브(12d); 를 포함하는 블록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11)가 기관절개관(1)이 노출되는 목의 전방을 감싸면서 외부와 격리시킨 상태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으로 산소호흡기 배관(2)을 통해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공급되는 기관절개관(1)을 통해 직접 인위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숨을 쉬듯이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The present invention by means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forms a space in a state in which the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11)가 목의 절개 부위와 상기 절개 부위에 삽관된 기관절개관(1)과 외부로부터 연장된 산소호흡기 배관(2)이 연결되는 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타인이 불쾌감이나 민망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 오염물에 의해 절개 부위가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두리(11a)에 목 뒤로 묶거나 걸어서 고정하는 고정끈(20)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마스크 본체(11)가 목에 착용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e effect of allowing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11b)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마스크 본체(11)의 테두리(11a)가 착용자의 목에 견고히 부착 고정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산소의 불필요한 유출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고정끈(20) 없이도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상시 누워 있는 환자의 경우 상기 고정끈(20) 없이도 착용 상태를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반복성 점착 고정을 위한 겔 타입의 점착부재(11c)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마스크 본체(11)를 고정끈(20)을 통해 목에 착용하였을 때, 상기 테두리(11a)가 착용자의 목을 가압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테두리(11a)와 피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점착부재(11c)는 어느 정도 부착력을 가지고 있어, 상시 누워 있는 환자의 경우 상기 고정끈(20) 없이도 착용 상태를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형체 변형 가능한 금속제 와이어(11d)를 내제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11d)가 내제된 테두리(11a) 부분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목의 굴곡에 따라 형체가 변형되면서 목의 피부에 대해 상기 테두리(11a)를 밀착시키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11a) is formed in a flange form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neck, and by embedding a deformable metal wire (11d) on the expanded surface, the wire (11d) is embedded. By pressing the portion (11a), the shape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neck, and the effect of adhering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12)는 상기 산소호흡기 배관(2)에 마련되는 연결너트(2a)가 체결 연결되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돌출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산소호흡기 배관(2)에 마련된 연결너트(2a) 통해 마스크 본체(11)의 연결부(12)인 환형돌출부의 나사산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호흡 약품을 투여하는 약품 투입부의 연결을 위해 상기 기관절개관(1)에 대해 산소호흡기 배관(2)을 탈리하거나, 다시 산소호흡기 배관(2) 연결을 위해 상기 약품투입부를 탈리시키지 않고도, 상기 산소경로(12b) 및 약품경로(12c)를 밸브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를 관통경로(12a)와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ventilator pipe (2) from the tracheostomy tube (1) to connect the drug input part for administering the respiratory drug, or removes the drug input part to connect the ventilator pipe (2) again Without having to do this,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소경로(12b) 및 약품경로(12c)를 밸브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를 관통경로(12a)와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소 호흡을 멈추지 않고도 호흡을 통한 약품 투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xygen path (12b) and the drug path (12c)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path (12a) selectively or both by valve operation, so that drug administration through respiration is possible without stopping oxygen respiration effect that makes it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록체로 이루어진 연결부(12)에 연통 및 객담을 포함한 체액을 배출시키는 체액배출경로(12e)를 더 관통 마련함으로써, 석션도구를 상기 체액배출경로(12e)를 통해 기관절개관(1)으로 유도하여 기관으로부터 객담 또는 체내분비물 또는 출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body fluid discharge path (12e) for discharging body fluids including communication and sputum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2) made of the block body, so that a suction tool is installed through the body fluid discharge path (12e) through a tracheostomy tube (1) to induce sputum, internal secretions, or bleeding from the organs to obtain the effect.
도 1은 기관절개술에 의해 기관절개관이 삽관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기관절개관이 삽관된 실제 상태를 보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목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마스크 본체를 목에 밀착시키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를 포함한 정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마스크 본체에 산소호흡기 배관이 연결되는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마스크 본체에 산소호흡기 배관이 연결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마스크 본체에 산소호흡기 배관이 연결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cheostomy tube is intubated by tracheostomy.
Figure 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ctual state of the intubated tracheostomy tub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neck.
5 to 7 are front views including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attaching the mask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neck.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oxygen respirator pipe is connected to the mask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n oxygen respirator pipe is connected to the mask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n oxygen respirator pipe is connected to the mask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S. 11 and 12 .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sented as follows.
본 발명인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10)는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절개관(1)이 노출되는 목 부위의 굴곡을 따라 감싸면서 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11); 상기 마스크 본체(11)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 부위를 제공하는 연결부(12); 날숨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벤트부(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or's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마스크 본체(11)는 목젖 부분에서부터 목젖의 양측 상부를 거쳐 양쪽 쇄골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비중혈에 이르는 부위를 감싸도록 테두리(11a)가 굴곡을 형성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테두리(11a) 중 목젖 부위에 위치하는 테두리(11a)의 형상은 목에서 턱에 이르는 부위의 굴곡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만곡진 것일 수 있다. The shape of the
또한, 상기 테두리(11a)에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뒤로 묶거나 걸어서 고정하는 고정끈(20)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5, the
또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3회성 접착 고정을 위한 접착부재(11b)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edge (11a)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ng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neck is extende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5 on the expanded surface, an adhesive member (11b) for fixing 2-3 times may have been prepared.
또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성 점착 고정을 위한 점착부재(11c)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dge (11a)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ng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neck is expande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6 on the expanded surface, an adhesive member (11c) for repeatable adhesive fixing may be provided. have.
또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체 변형 와이어(11d)가 내재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dge (11a)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ng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neck is expande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7 on the expanded surface, the shape deformation wire (11d) may be embedded.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12)는 첨부 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호흡기 배관(2)이 관통 연결되도록 신축 탄성력을 갖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또한, 상기 연결부(12)는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호흡기 배관(2)에 마련된 연결너트(2a)가 체결 연결되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또한, 상기 연결부(12)는 첨부 도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1) 내측과 연통되는 공급경로(12a); 상기 공급경로(12a)에서 분기하여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되는 산소경로(12b); 별도의 호흡 약품 투입부와 연결되는 약품경로(12c); 상기 공급경로(12a) 중 산소경로(12b)와 약품경로(12c)가 분기하는 부분에 회전형 개폐구조를 가지며 마련되어, 각 경로를 선택적 또는 모두를 연통시키는 경로선택밸브(12d); 를 포함하는 블록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이때, 상기 산소경로(12b)와 약품경로(12c)는 블록체 외부로 돌출되어, 각각 산소호흡기 배관(2)과 호흡약품 투입부가 연결되는 커넥터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블록체로 이루어진 연결부(12)는 연통 및 객담을 포함한 체액을 배출시키는 체액배출경로(12e)가 더 관통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체액배출경로(12e)는 석션도구가 유입되는 경로로서, 외부에 개폐캡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body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은 첨부 도면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절개관(1)이 노출되는 목 부위의 굴곡을 따라 감싸면서 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11); 상기 마스크 본체(11)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 부위를 제공하는 연결부(12); 날숨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벤트부(13); 를 포함하여서 된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10)이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3 and 4,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11)가 기관절개관(1)이 노출되는 목의 전방을 감싸면서 외부와 격리시킨 상태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으로 산소호흡기 배관(2)을 통해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공급되는 기관절개관(1)을 통해 직접 인위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숨을 쉬듯이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pace in which the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11)가 목의 절개 부위와 상기 절개 부위에 삽관된 기관절개관(1)과 외부로부터 연장된 산소호흡기 배관(2)이 연결되는 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타인이 불쾌감이나 민망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 오염물에 의해 절개 부위가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상기에서, 마스크 본체(11)는 목젖 부분에서부터 목젖의 양측 상부를 거쳐 양쪽 쇄골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비중혈에 이르는 부위를 감싸도록 테두리(11a)가 굴곡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특히 상기 테두리(11a) 중 목젖 부분에 위치하는 부위의 형상은 목에서 턱에 이르는 부위(턱살)의 굴곡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만곡진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1)의 테두리(11a) 중 목젖 부분에 위치하는 부위의 형상이 목에서 턱에 이르는 부위(턱살)의 굴곡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만곡짐으로써, 턱 밑을 자극하여 통증 및 상처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턱살 특히, 누웠을 때 턱살에 의해 마스크 본체(11)의 상부가 눌리면서 양측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portion located on the uvula of the
또한, 상기 테두리(11a)에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뒤로 묶거나 걸어서 고정하는 고정끈(2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되면, 마스크 본체(11)가 목에 착용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5, the
또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3회성 접착 고정을 위한 접착부재(11b)가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이며, 상기 접착부재(11b)는 양면 테이프(쿠션감 있는 양면 테이프 포함)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dge (11a)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ng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neck is extende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5 on the expanded surface, an adhesive member (11b) for fixing 2-3 times It is also provided in on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상기 접착부재(11b)는 마스크 본체(11)의 테두리(11a)가 착용자의 목에 견고히 부착 고정되도록 하여, 산소의 불필요한 유출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고정끈(20) 없이도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상시 누워 있는 환자의 경우 상기 고정끈(20) 없이도 착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상기 고정끈(20)은 목을 감싸고 있으므로, 누워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위치 이동(돌아감)이 발생하거나 묶인 부분이 풀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Since the fixing
또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성 점착 고정을 위한 점착부재(11c)가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이며, 상기 점착부재(11c)는 겔(Gel) 타입의 점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dge (11a)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ng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neck is expande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6 on the expanded surface, an adhesive member (11c) for repeatable adhesive fixing is also provided As on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상기 점착부재(11c)는 마스크 본체(11)를 고정끈(20)을 통해 목에 착용하였을 때, 상기 테두리(11a)가 착용자의 목을 가압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테두리(11a)와 피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또한, 상기 점착부재(11c)는 어느 정도 부착력을 가지고 있어, 상시 누워 있는 환자의 경우 상기 고정끈(20) 없이도 착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체 변형 가능한 금속제 와이어(11d)가 내재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이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와이어(11d)는 가압에 의해 목의 굴곡에 따라 형체가 변형되면서 목의 피부에 대해 상기 테두리(11a)를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12)는 첨부 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호흡기 배관(2)이 관통 연결되도록 신축 탄성력을 갖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마스크 본체(11)의 구조가 간소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 and 9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또한, 상기 연결부(12)는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호흡기 배관(2)에 마련된 연결너트(2a)가 체결 연결되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산소호흡기 배관(2)에 마련된 연결너트(2a)를 마스크 본체(11)의 연결부(12)인 환형돌출부의 나사산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산소호흡기 배관(2)을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way, the
또한, 상기 연결부(12)는 첨부 도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1) 내측과 연통되는 공급경로(12a); 상기 공급경로(12a)에서 분기하여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되는 산소경로(12b); 별도의 호흡 약품 투입부와 연결되는 약품경로(12c); 상기 공급경로(12a) 중 산소경로(12b)와 약품경로(12c)가 분기하는 부분에 회전형 개폐구조를 가지며 마련되어, 각 경로를 선택적 또는 모두를 연통시키는 경로선택밸브(12d); 를 포함하는 블록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경로선택밸브(12d)의 조작을 통해 첨부 도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경로(12b)와 관통경로(12a)를 연통시켜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첨부 도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품경로(12c)와 관통경로(12a)를 연통시켜 호흡 약품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첨부 도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경로(12b)와 관통경로(12a) 및 약품경로(12c)와 관통경로(12a) 모두를 연통시켜 산소의 공급과 함께 호흡 약품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 13a)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호흡 약품을 투여하는 약품 투입부의 연결을 위해 상기 기관절개관(1)에 대해 산소호흡기 배관(2)을 탈리하거나, 다시 산소호흡기 배관(2) 연결을 위해 상기 약품투입부를 탈리시키지 않고도, 상기 산소경로(12b) 및 약품경로(12c)를 밸브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를 관통경로(12a)와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소경로(12b) 및 약품경로(12c)를 밸브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를 관통경로(12a)와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소 호흡을 멈추지 않고도 호흡을 통한 치료용 약품의 투여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xygen path (12b) and the drug path (12c)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path (12a) selectively or both by valve operation, so that the drug for treatment through breathing without stopping oxygen respiration administration is possible.
이때, 상기 산소경로(12b)와 약품경로(12c)는 블록체 외부로 돌출되면서 커넥터가 마련되어, 각각 산소호흡기 배관(2)과 호흡약품 투입부가 손쉽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록체로 이루어진 연결부(12)에 연통 및 객담을 포함한 체액을 배출시키는 체액배출경로(12e)를 더 관통 마련함으로써, 석션도구를 상기 체액배출경로(12e)를 통해 기관절개관(1)으로 유도하여 기관으로부터 객담 또는 체내분비물 또는 출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body fluid discharge path (12e) for discharging body fluids including communication and sputum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2) made of the block body, so that a suction tool is installed through the body fluid discharge path (12e) through a tracheostomy tube It is possible to induce sputum or internal secretions or bleeding from the organs by inducing them to (1).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o shown and described.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alteration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are to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11 : 마스크 본체
11a : 테두리 11b : 접착부재
11c : 점착부재 11d : 와이어
12 : 연결부 12a : 관통경로
12b : 산소경로 12c : 약품경로
12d : 경로선택밸브 12e : 체액배출경로
1 : 기관절개관 2 : 산소호흡기 배관
2a : 연결너트10: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11: mask body
11a:
11c:
12:
12b:
12d:
1: Tracheostomy tube 2: Oxygen ventilator tube
2a : connecting nut
Claims (15)
상기 마스크 본체(11)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 부위를 제공하는 것으로, 마스크 본체(11) 내측과 연통되는 공급경로(12a)와, 상기 공급경로(12a)에서 분기하여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되는 산소경로(12b)와, 별도의 호흡 약품 투입부와 연결되는 약품경로(12c) 및 상기 공급경로(12a) 중 산소경로(12b)와 약품경로(12c)가 분기하는 부분에 회전형 개폐구조를 가지며 마련되어, 각 경로를 선택적 또는 모두를 연통시키는 경로선택밸브(12d)를 포함하는 연결부(12);
날숨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벤트부(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The mask body 11 forming a space while wrapping along the curve of the neck where the tracheostomy tube 1 is exposed;
It is provid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mask body 11 and provides a connection part with the oxygen respirator pipe 2, and the supply path 12a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mask body 11, and branches from the supply path 12a. The oxygen path 12b connected to the ventilator pipe 2, the chemical path 12c connected to a separate breathing chemical input unit, and the oxygen path 12b and the chemical path 12c among the supply path 12a are a connection part 12 having a rotatable opening/closing structure at the branching portion and including a path selection valve 12d for selectively or all of each path;
A vent unit 13 that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exhalation is discharged; made by including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마스크 본체(11)는 목젖 부분에서부터 목젖의 양측 상부를 거쳐 양쪽 쇄골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비중혈에 이르는 부위를 감싸도록 테두리(11a)가 굴곡을 형성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sk body 11 extends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clavicle from the uvula through the upp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uvula, and the rim 11a is curved so as to surround the portion reaching the non-bleeding,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테두리(11a) 중 목젖 부위에 위치하는 테두리(11a)의 형상은 목에서 턱에 이르는 부위의 굴곡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만곡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hape of the edge (11a) located in the uvula of the edge (11a) is curved concavely in response to the curvature of the part from the neck to the chin,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테두리(11a)에는 목 뒤로 묶거나 걸어서 고정하는 고정끈(20)이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rame (11a) is provided with a fixing strap (20) to tie or hang behind the neck,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2~3회성 접착 고정을 위한 접착부재(11b)가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edge (11a) has an extend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neck in the form of a flange, and an adhesive member (11b) for 2-3 times adhesive fixing is provided on the expanded surface,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접착부재(11b)는 양면 테이프가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dhesive member (11b) is that double-sided tape is attached along the edge,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반복성 점착 고정을 위한 점착부재(11c)가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edge (11a) has an extend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neck in the form of a flange, and an adhesive member (11c) for repeatable adhesive fixing is provided on the expanded surface,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점착부재(11c)는 겔 타입의 점착체가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dhesive member (11c) is a gel-type adhesive is attached along the edge,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형체 변형 와이어(11d)가 내재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edge (11a) is formed in a flange form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neck, the shape deformation wire (11d) is embedded in the expanded surface,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연결부(12)는 산소호흡기 배관(2)이 관통 연결되도록 신축 탄성력을 갖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part 12 is made of a through-hole having elastic elasticity so that the oxygen respirator pipe 2 is connected therethrough;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연결부(12)는 산소호흡기 배관(2)에 마련된 연결너트(2a)가 체결 연결되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돌출부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part 12 is made of an annular protrusion with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diameter so that the connection nut 2a provided in the oxygen respirator pipe 2 is fastened and connected;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산소경로(12b)와 약품경로(12c)는 외부로 돌출되어, 각각 산소호흡기 배관(2)과 호흡약품 투입부가 연결되는 커넥터가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xygen path (12b) and the drug path (12c) are provided with connectors that protrude to the outside, respectively, the oxygen respirator pipe (2) and the respiratory drug input unit are connected;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연결부(12)는 연통 및 객담을 포함한 체액을 배출시키는 체액배출경로(12e)가 더 관통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part 12 is provided with a body fluid discharge path 12e for discharging body fluids including communication and sputum further through;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체액배출경로(12e)는 석션도구가 유입되는 경로로서, 외부에 개폐캡이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body fluid discharge path (12e) is a path through which a suction tool is introduced, and an opening/closing cap is provided on the outside;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62702A KR102347792B1 (en) | 2019-12-09 | 2019-12-09 |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state pati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62702A KR102347792B1 (en) | 2019-12-09 | 2019-12-09 |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state patient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72411A KR20210072411A (en) | 2021-06-17 |
| KR102347792B1 true KR102347792B1 (en) | 2022-01-07 |
Family
ID=7660371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62702A Active KR102347792B1 (en) | 2019-12-09 | 2019-12-09 |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state patient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47792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1991005579A1 (en) * | 1989-10-20 | 1991-05-02 | Pharma Systems Ps Ab | Arrangement for protecting the breathing passages of laryngectomees |
| US20160038709A1 (en) | 2013-02-11 | 2016-02-11 | Monitor Mask Inc. | Oxygen face mask and component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002677U (en) * | 2009-09-10 | 2011-03-16 | 최문현 | Functional mask |
| KR102012029B1 (en) * | 2017-11-06 | 2019-08-19 | 정화숙 | Functional artificial nose replacement device for total laryngectomy patients |
-
2019
- 2019-12-09 KR KR1020190162702A patent/KR10234779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1991005579A1 (en) * | 1989-10-20 | 1991-05-02 | Pharma Systems Ps Ab | Arrangement for protecting the breathing passages of laryngectomees |
| US20160038709A1 (en) | 2013-02-11 | 2016-02-11 | Monitor Mask Inc. | Oxygen face mask and component system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72411A (en) | 2021-06-1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5828861B (en) | Customizable face seal section and method for customizing for breathing equipment | |
| US9078989B2 (en) | Applicators for a nasal cannula | |
| US7559327B2 (en) | Ventilation interface | |
| CN101678188B (en) | Integrated mask and prongs for nasal cpap | |
| US9381317B2 (en) | High flow therapy artificial airway interfaces and related methods | |
| CN101018581B (en) | Respiratory mask with intraoral mouthpiece having large sealing area and multiple sealing structure | |
| US5056515A (en) | Tracheostomy tube assembly | |
| EP3057639B1 (en) | Improved oxygenating apparatus | |
| US6820617B2 (en) |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 |
| US8944059B2 (en) | Non-invasive ventilation exhaust gas venting | |
| US3039469A (en) | Direct suction tracheotomy tube | |
| US8517022B2 (en) | Minimally invasive nasal cannula | |
| US20120285467A1 (en) | Corrugated flexible seal of a ventilation mask | |
| US20170119986A1 (en) | Face Mask for Inhalation, Suitable for Delivering a Therapeutic Gas or Molecule As part of A Treatment By Inhalation, In Particular In Children | |
| EP1075848B1 (en) | Mouthpiece with bendable extra-oral sealing means | |
| JP3059270U (en) | Snoring nose plug with ventilation valve | |
| KR102347792B1 (en) | Oxygen mask for tracheostomy state patients | |
| JP4988320B2 (en) | Gas supply mask for inhalation | |
| WO2012127193A1 (en) | Breathing device | |
| US10610656B2 (en) | Intermandibular/maxillary ventilation device | |
| US20240366417A1 (en) | Patient interface with mouth closure structure | |
| US20180344961A1 (en) | Vortex air flow and nasal cpap | |
| CN223380932U (en) | Patient interface for delivering breathable gas to a patient | |
| CN101780300B (en) | Oronasal mask used for breathing machine | |
| US20230087696A1 (en) | Headgear with tension limit detection featur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