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47792B1 -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 마스크 - Google Patents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792B1
KR102347792B1 KR1020190162702A KR20190162702A KR102347792B1 KR 102347792 B1 KR102347792 B1 KR 102347792B1 KR 1020190162702 A KR1020190162702 A KR 1020190162702A KR 20190162702 A KR20190162702 A KR 20190162702A KR 102347792 B1 KR102347792 B1 KR 102347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path
tracheostomy
neck
mas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411A (ko
Inventor
조근열
최희은
도환권
진성철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2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7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7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5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 A61M16/047Masks, filters, surgical pads, devices for absorbing secre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4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fluids, one of them being in a liquid phase
    • A61M16/147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fluids, one of them being in a liquid phase the respiratory gas not passing through the liqui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83Holding devices therefor
    • A61M16/0688Holding devices therefor by means of an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61M2202/0208Oxy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본체가 기관절개관이 노출되는 목의 전방을 감싸면서 외부와 격리시킨 상태로 공간을 형성하고 산소호흡기 배관을 통해 상기 공간으로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목의 절개부위와 상기 절개부위에 삽관된 기관절개관과 외부로부터 연장된 산소호흡기 배관이 연결되는 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 마스크{OXYGEN MASK FOR TRACHEOSTOMY STATE PATIENTS}
본 발명은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본체가 기관절개관이 노출되는 목의 전방을 감싸면서 외부와 격리시킨 상태로 공간을 형성하고 산소호흡기 배관을 통해 상기 공간으로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목의 절개부위와 상기 절개부위에 삽관된 기관절개관과 외부로부터 연장된 산소호흡기 배관이 연결되는 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이란 후두와 폐를 연결하는 관 모양의 구조물로서 공기의 유입과 유출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기관지 속 분비물을 배출하는 통로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기관의 상부가 막히게 되면 환자는 호흡이 곤란해지고 이는 곧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때에 폐로 공기가 들어가는 통로를 만들기 위하여 목에 작은 구멍을 만드는 수술이 기관절개술이다. 목에 작은 구멍을 만들고 그 구멍으로 기관절개튜브라고 부르는 관을 삽입하면, 이 튜브는 공기의 통로가 되어 입이나 코로 숨을 쉬기 어려운 환자들에게 숨을 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관절개술은 기침을 할 수 없는 환자의 기관지 속 분비물, 즉 가래를 제거하거나 기관 내 삽관을 대신하기 위해 시행하며, 의식이 없는 환자가 양압(陽壓) 인공호흡기 사용 시 분비물에 의하여 질식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시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관절개술의 이해를 돕는 도면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관 절개술은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의 절개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됨은 물론, 출혈 및 기관절개관과 산소호흡기 배관의 연결부위 및 처치 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므로, 외관적으로나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외부 오염물에 의해 절개부위가 감염되는 등 위생적으로나 안전상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관절개술과 관련된 선행 문헌은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8270호(명칭 : 확장기 로딩 카테터 및 트라치 튜브 ; 출원일 : 2009.06.17.)
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0178(명칭 : 기관 튜브 및 석션 디바이스 ; 출원일 : 2014.10.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마스크 본체가 기관절개관이 노출되는 목의 전방을 감싸면서 외부와 격리시킨 상태로 공간을 형성하고 산소호흡기 배관을 통해 상기 공간으로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목의 절개부위와 상기 절개부위에 삽관된 기관절개관과 외부로부터 연장된 산소호흡기 배관이 연결되는 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기관절개관(1)이 노출되는 목 부위의 굴곡을 따라 감싸면서 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11); 상기 마스크 본체(11)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 부위를 제공하는 연결부(12); 날숨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벤트부(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마스크 본체(11)는 목젖 부분에서부터 목젖의 양측 상부를 거쳐 양쪽 쇄골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비중혈에 이르는 부위를 감싸도록 테두리(11a)가 굴곡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2~3회성 접착 고정을 위한 접착부재(11b)가 마련되거나, 반복성 점착 고정을 위한 점착부재(11c)가 마련되거나, 형체 변형 와이어(11d)가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12)는 산소호흡기 배관(2)이 관통 연결되도록 신축 탄성력을 갖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지거나, 산소호흡기 배관(2)에 마련된 연결너트(2a)가 체결 연결되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12)는 마스크 본체(11) 내측과 연통되는 공급경로(12a); 상기 공급경로(12a)에서 분기하여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되는 산소경로(12b); 및 별도의 호흡 약품 투입부와 연결되는 약품경로(12c); 상기 공급경로(12a) 중 산소경로(12b)와 약품경로(12c)가 분기하는 부분에 회전형 개폐구조를 가지며 마련되어, 각 경로를 선택적 또는 모두를 연통시키는 경로선택밸브(12d); 를 포함하는 블록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11)가 기관절개관(1)이 노출되는 목의 전방을 감싸면서 외부와 격리시킨 상태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으로 산소호흡기 배관(2)을 통해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공급되는 기관절개관(1)을 통해 직접 인위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숨을 쉬듯이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11)가 목의 절개 부위와 상기 절개 부위에 삽관된 기관절개관(1)과 외부로부터 연장된 산소호흡기 배관(2)이 연결되는 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타인이 불쾌감이나 민망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 오염물에 의해 절개 부위가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두리(11a)에 목 뒤로 묶거나 걸어서 고정하는 고정끈(20)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마스크 본체(11)가 목에 착용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11b)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마스크 본체(11)의 테두리(11a)가 착용자의 목에 견고히 부착 고정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산소의 불필요한 유출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고정끈(20) 없이도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상시 누워 있는 환자의 경우 상기 고정끈(20) 없이도 착용 상태를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반복성 점착 고정을 위한 겔 타입의 점착부재(11c)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마스크 본체(11)를 고정끈(20)을 통해 목에 착용하였을 때, 상기 테두리(11a)가 착용자의 목을 가압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테두리(11a)와 피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점착부재(11c)는 어느 정도 부착력을 가지고 있어, 상시 누워 있는 환자의 경우 상기 고정끈(20) 없이도 착용 상태를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형체 변형 가능한 금속제 와이어(11d)를 내제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11d)가 내제된 테두리(11a) 부분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목의 굴곡에 따라 형체가 변형되면서 목의 피부에 대해 상기 테두리(11a)를 밀착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12)는 상기 산소호흡기 배관(2)에 마련되는 연결너트(2a)가 체결 연결되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돌출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산소호흡기 배관(2)에 마련된 연결너트(2a) 통해 마스크 본체(11)의 연결부(12)인 환형돌출부의 나사산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호흡 약품을 투여하는 약품 투입부의 연결을 위해 상기 기관절개관(1)에 대해 산소호흡기 배관(2)을 탈리하거나, 다시 산소호흡기 배관(2) 연결을 위해 상기 약품투입부를 탈리시키지 않고도, 상기 산소경로(12b) 및 약품경로(12c)를 밸브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를 관통경로(12a)와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소경로(12b) 및 약품경로(12c)를 밸브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를 관통경로(12a)와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소 호흡을 멈추지 않고도 호흡을 통한 약품 투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록체로 이루어진 연결부(12)에 연통 및 객담을 포함한 체액을 배출시키는 체액배출경로(12e)를 더 관통 마련함으로써, 석션도구를 상기 체액배출경로(12e)를 통해 기관절개관(1)으로 유도하여 기관으로부터 객담 또는 체내분비물 또는 출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기관절개술에 의해 기관절개관이 삽관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기관절개관이 삽관된 실제 상태를 보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목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마스크 본체를 목에 밀착시키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를 포함한 정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마스크 본체에 산소호흡기 배관이 연결되는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마스크 본체에 산소호흡기 배관이 연결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마스크 본체에 산소호흡기 배관이 연결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10)는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절개관(1)이 노출되는 목 부위의 굴곡을 따라 감싸면서 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11); 상기 마스크 본체(11)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 부위를 제공하는 연결부(12); 날숨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벤트부(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마스크 본체(11)는 목젖 부분에서부터 목젖의 양측 상부를 거쳐 양쪽 쇄골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비중혈에 이르는 부위를 감싸도록 테두리(11a)가 굴곡을 형성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테두리(11a) 중 목젖 부위에 위치하는 테두리(11a)의 형상은 목에서 턱에 이르는 부위의 굴곡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만곡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11a)에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뒤로 묶거나 걸어서 고정하는 고정끈(20)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3회성 접착 고정을 위한 접착부재(11b)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성 점착 고정을 위한 점착부재(11c)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체 변형 와이어(11d)가 내재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12)는 첨부 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호흡기 배관(2)이 관통 연결되도록 신축 탄성력을 갖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2)는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호흡기 배관(2)에 마련된 연결너트(2a)가 체결 연결되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2)는 첨부 도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1) 내측과 연통되는 공급경로(12a); 상기 공급경로(12a)에서 분기하여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되는 산소경로(12b); 별도의 호흡 약품 투입부와 연결되는 약품경로(12c); 상기 공급경로(12a) 중 산소경로(12b)와 약품경로(12c)가 분기하는 부분에 회전형 개폐구조를 가지며 마련되어, 각 경로를 선택적 또는 모두를 연통시키는 경로선택밸브(12d); 를 포함하는 블록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산소경로(12b)와 약품경로(12c)는 블록체 외부로 돌출되어, 각각 산소호흡기 배관(2)과 호흡약품 투입부가 연결되는 커넥터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로 이루어진 연결부(12)는 연통 및 객담을 포함한 체액을 배출시키는 체액배출경로(12e)가 더 관통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체액배출경로(12e)는 석션도구가 유입되는 경로로서, 외부에 개폐캡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절개관(1)이 노출되는 목 부위의 굴곡을 따라 감싸면서 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11); 상기 마스크 본체(11)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 부위를 제공하는 연결부(12); 날숨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벤트부(13); 를 포함하여서 된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10)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11)가 기관절개관(1)이 노출되는 목의 전방을 감싸면서 외부와 격리시킨 상태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으로 산소호흡기 배관(2)을 통해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공급되는 기관절개관(1)을 통해 직접 인위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숨을 쉬듯이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11)가 목의 절개 부위와 상기 절개 부위에 삽관된 기관절개관(1)과 외부로부터 연장된 산소호흡기 배관(2)이 연결되는 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타인이 불쾌감이나 민망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 오염물에 의해 절개 부위가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마스크 본체(11)는 목젖 부분에서부터 목젖의 양측 상부를 거쳐 양쪽 쇄골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비중혈에 이르는 부위를 감싸도록 테두리(11a)가 굴곡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특히 상기 테두리(11a) 중 목젖 부분에 위치하는 부위의 형상은 목에서 턱에 이르는 부위(턱살)의 굴곡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만곡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1)의 테두리(11a) 중 목젖 부분에 위치하는 부위의 형상이 목에서 턱에 이르는 부위(턱살)의 굴곡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만곡짐으로써, 턱 밑을 자극하여 통증 및 상처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턱살 특히, 누웠을 때 턱살에 의해 마스크 본체(11)의 상부가 눌리면서 양측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테두리(11a)에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뒤로 묶거나 걸어서 고정하는 고정끈(2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되면, 마스크 본체(11)가 목에 착용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3회성 접착 고정을 위한 접착부재(11b)가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이며, 상기 접착부재(11b)는 양면 테이프(쿠션감 있는 양면 테이프 포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상기 접착부재(11b)는 마스크 본체(11)의 테두리(11a)가 착용자의 목에 견고히 부착 고정되도록 하여, 산소의 불필요한 유출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고정끈(20) 없이도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상시 누워 있는 환자의 경우 상기 고정끈(20) 없이도 착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끈(20)은 목을 감싸고 있으므로, 누워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위치 이동(돌아감)이 발생하거나 묶인 부분이 풀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성 점착 고정을 위한 점착부재(11c)가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이며, 상기 점착부재(11c)는 겔(Gel) 타입의 점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상기 점착부재(11c)는 마스크 본체(11)를 고정끈(20)을 통해 목에 착용하였을 때, 상기 테두리(11a)가 착용자의 목을 가압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테두리(11a)와 피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점착부재(11c)는 어느 정도 부착력을 가지고 있어, 상시 누워 있는 환자의 경우 상기 고정끈(20) 없이도 착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체 변형 가능한 금속제 와이어(11d)가 내재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와이어(11d)는 가압에 의해 목의 굴곡에 따라 형체가 변형되면서 목의 피부에 대해 상기 테두리(11a)를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12)는 첨부 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호흡기 배관(2)이 관통 연결되도록 신축 탄성력을 갖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마스크 본체(11)의 구조가 간소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12)는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호흡기 배관(2)에 마련된 연결너트(2a)가 체결 연결되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산소호흡기 배관(2)에 마련된 연결너트(2a)를 마스크 본체(11)의 연결부(12)인 환형돌출부의 나사산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산소호흡기 배관(2)을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12)는 첨부 도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1) 내측과 연통되는 공급경로(12a); 상기 공급경로(12a)에서 분기하여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되는 산소경로(12b); 별도의 호흡 약품 투입부와 연결되는 약품경로(12c); 상기 공급경로(12a) 중 산소경로(12b)와 약품경로(12c)가 분기하는 부분에 회전형 개폐구조를 가지며 마련되어, 각 경로를 선택적 또는 모두를 연통시키는 경로선택밸브(12d); 를 포함하는 블록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경로선택밸브(12d)의 조작을 통해 첨부 도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경로(12b)와 관통경로(12a)를 연통시켜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첨부 도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품경로(12c)와 관통경로(12a)를 연통시켜 호흡 약품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첨부 도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경로(12b)와 관통경로(12a) 및 약품경로(12c)와 관통경로(12a) 모두를 연통시켜 산소의 공급과 함께 호흡 약품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호흡 약품을 투여하는 약품 투입부의 연결을 위해 상기 기관절개관(1)에 대해 산소호흡기 배관(2)을 탈리하거나, 다시 산소호흡기 배관(2) 연결을 위해 상기 약품투입부를 탈리시키지 않고도, 상기 산소경로(12b) 및 약품경로(12c)를 밸브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를 관통경로(12a)와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소경로(12b) 및 약품경로(12c)를 밸브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를 관통경로(12a)와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소 호흡을 멈추지 않고도 호흡을 통한 치료용 약품의 투여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산소경로(12b)와 약품경로(12c)는 블록체 외부로 돌출되면서 커넥터가 마련되어, 각각 산소호흡기 배관(2)과 호흡약품 투입부가 손쉽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록체로 이루어진 연결부(12)에 연통 및 객담을 포함한 체액을 배출시키는 체액배출경로(12e)를 더 관통 마련함으로써, 석션도구를 상기 체액배출경로(12e)를 통해 기관절개관(1)으로 유도하여 기관으로부터 객담 또는 체내분비물 또는 출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11 : 마스크 본체
11a : 테두리 11b : 접착부재
11c : 점착부재 11d : 와이어
12 : 연결부 12a : 관통경로
12b : 산소경로 12c : 약품경로
12d : 경로선택밸브 12e : 체액배출경로
1 : 기관절개관 2 : 산소호흡기 배관
2a : 연결너트

Claims (15)

  1. 기관절개관(1)이 노출되는 목 부위의 굴곡을 따라 감싸면서 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11);
    상기 마스크 본체(11)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 부위를 제공하는 것으로, 마스크 본체(11) 내측과 연통되는 공급경로(12a)와, 상기 공급경로(12a)에서 분기하여 산소호흡기 배관(2)과 연결되는 산소경로(12b)와, 별도의 호흡 약품 투입부와 연결되는 약품경로(12c) 및 상기 공급경로(12a) 중 산소경로(12b)와 약품경로(12c)가 분기하는 부분에 회전형 개폐구조를 가지며 마련되어, 각 경로를 선택적 또는 모두를 연통시키는 경로선택밸브(12d)를 포함하는 연결부(12);
    날숨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벤트부(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11)는 목젖 부분에서부터 목젖의 양측 상부를 거쳐 양쪽 쇄골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비중혈에 이르는 부위를 감싸도록 테두리(11a)가 굴곡을 형성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11a) 중 목젖 부위에 위치하는 테두리(11a)의 형상은 목에서 턱에 이르는 부위의 굴곡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만곡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11a)에는 목 뒤로 묶거나 걸어서 고정하는 고정끈(20)이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2~3회성 접착 고정을 위한 접착부재(11b)가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11b)는 양면 테이프가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반복성 점착 고정을 위한 점착부재(11c)가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재(11c)는 겔 타입의 점착체가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11a)는 플랜지 형태로 목의 피부와 접하는 면이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면에 형체 변형 와이어(11d)가 내재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는 산소호흡기 배관(2)이 관통 연결되도록 신축 탄성력을 갖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는 산소호흡기 배관(2)에 마련된 연결너트(2a)가 체결 연결되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형돌출부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소경로(12b)와 약품경로(12c)는 외부로 돌출되어, 각각 산소호흡기 배관(2)과 호흡약품 투입부가 연결되는 커넥터가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는 연통 및 객담을 포함한 체액을 배출시키는 체액배출경로(12e)가 더 관통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체액배출경로(12e)는 석션도구가 유입되는 경로로서, 외부에 개폐캡이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마스크.
KR1020190162702A 2019-12-09 2019-12-09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 마스크 Active KR102347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702A KR102347792B1 (ko) 2019-12-09 2019-12-09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702A KR102347792B1 (ko) 2019-12-09 2019-12-09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411A KR20210072411A (ko) 2021-06-17
KR102347792B1 true KR102347792B1 (ko) 2022-01-07

Family

ID=7660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702A Active KR102347792B1 (ko) 2019-12-09 2019-12-09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7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5579A1 (en) * 1989-10-20 1991-05-02 Pharma Systems Ps Ab Arrangement for protecting the breathing passages of laryngectomees
US20160038709A1 (en) 2013-02-11 2016-02-11 Monitor Mask Inc. Oxygen face mask and compon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677U (ko) * 2009-09-10 2011-03-16 최문현 기능성 마스크
KR102012029B1 (ko) * 2017-11-06 2019-08-19 정화숙 후두 전적출 환자용 기능성 인공 코 대체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5579A1 (en) * 1989-10-20 1991-05-02 Pharma Systems Ps Ab Arrangement for protecting the breathing passages of laryngectomees
US20160038709A1 (en) 2013-02-11 2016-02-11 Monitor Mask Inc. Oxygen face mask and compon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411A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28861B (zh) 用于呼吸装置的可定制面部密封区段及定制方法
US9078989B2 (en) Applicators for a nasal cannula
US7559327B2 (en) Ventilation interface
CN101678188B (zh) 用于鼻部持续气道正压通气的一体式鼻罩和叉管
US9381317B2 (en) High flow therapy artificial airway interfaces and related methods
CN101018581B (zh) 具备带有大密闭面积和多重密闭构造的口内衔嘴的呼吸面罩
US5056515A (en) Tracheostomy tube assembly
EP3057639B1 (en) Improved oxygenating apparatus
US6820617B2 (en)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US8944059B2 (en) Non-invasive ventilation exhaust gas venting
US3039469A (en) Direct suction tracheotomy tube
US8517022B2 (en) Minimally invasive nasal cannula
US20120285467A1 (en) Corrugated flexible seal of a ventilation mask
US20170119986A1 (en) Face Mask for Inhalation, Suitable for Delivering a Therapeutic Gas or Molecule As part of A Treatment By Inhalation, In Particular In Children
EP1075848B1 (en) Mouthpiece with bendable extra-oral sealing means
JP3059270U (ja) 通気弁を設けたいびき防止用鼻栓
KR102347792B1 (ko) 기관 절개 환자용 산소 마스크
JP4988320B2 (ja) 吸入用ガス供給用マスク
WO2012127193A1 (en) Breathing device
US10610656B2 (en) Intermandibular/maxillary ventilation device
US20240366417A1 (en) Patient interface with mouth closure structure
US20180344961A1 (en) Vortex air flow and nasal cpap
CN223380932U (zh) 用于向患者输送可呼吸气体的患者接口
CN101780300B (zh) 一种用于呼吸机的口鼻罩
US20230087696A1 (en) Headgear with tension limit detection fe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