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879B1 - Apparatus For Snoring Preven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noring Preven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3879B1 KR102483879B1 KR1020210073231A KR20210073231A KR102483879B1 KR 102483879 B1 KR102483879 B1 KR 102483879B1 KR 1020210073231 A KR1020210073231 A KR 1020210073231A KR 20210073231 A KR20210073231 A KR 20210073231A KR 102483879 B1 KR102483879 B1 KR 1024838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noring
- body portion
- cavity
- opening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9—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sub-atmospheric pressure, e.g. during expi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 중 구호흡을 방지하고 하악을 전방 측으로 위치시키며 구강 주변부 근육의 긴장도를 높임으로써 코골이를 개선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치아와 입술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snor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snoring by preventing mouth breathing during sleep, positioning the mandible forward, and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muscles around the mouth, and the body part positioned between the teeth and the lips and the body part It protrudes forward and includes a hand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 중 구호흡을 방지하고 하악을 전방 측으로 위치시키며 구강 주변부 근육의 긴장도를 높임으로써 코골이를 개선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sno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snor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snoring by preventing mouth breathing during sleep, positioning the mandible forward, and increasing the tension of muscles around the oral cavity.
일반적으로 코골이라 함은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차단되면서 호흡기 구조물들에 진동을 일으켜 나는 소리로서 대부분의 경우 불쾌하고 시끄러운 소리로 들릴 수 있다.In general, snoring is a sound generated by vibration of respiratory structures while breathing airflow is blocked during sleep, and in most cases, it can be heard as an unpleasant and loud sound.
또한, 이러한 코골이는 코골이를 하는 당사자는 물론 그 주변의 사람들에게 까지도 수면 박탈을 일으킴으로써 만성피로, 의욕저하 등을 유발하고 더 나아가 환시 및 환청 등을 발생시키기도 한다.In addition, such snoring causes sleep deprivation not only to the person who snores but also to the people around him, thereby causing chronic fatigue, decreased motivation, and furthermore, hallucinations and hallucinations.
이러한 코골이는 원인과 증상이 다양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수단이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는 한계가 있다.As the causes and symptoms of such snoring vary, there is a limit in that any one means for preventing it cannot exhibit the same effect for all people.
이에 따라, 코골이 방지를 위하여 대상자에게 적합한 다양한 수단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snoring, various means suitable for subjects are being developed and disseminated.
이러한 코골이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는 크게 양압기와 구강장치가 있다.Means for preventing snoring include a positive air pressure device and an oral device.
우선, 양압기는 코를 통한 지속적인 산소 공급 방식으로 수면 시 공기를 불어넣는 장치를 호스나 마스크를 통하여 코에 연결하여 기도 안의 공기 압력을 증가시켜 기도가 폐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한다.First of all, a positive airway pressure device is a continuous oxygen supply method through the nose. A device that blows air during sleep is connected to the nose through a hose or mask to increase the air pressure in the airway to prevent the airway from being blocked, thereby preventing snoring.
이러한 양압기는 여러 합병증을 막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수면 중 호스 또는 마스크 등을 계속 착용해야 함에 따라 적응이 쉽지 않으며, 비교적 고가로 형성되고 세척 등과 같이 기기 관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se positive air pressure devices are known to be helpful in preventing various complications, but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easy to adapt as you have to continuously wear a hose or mask during sleep, and they are relatively expensive and have problems such as washing. .
한편, 구장장치는 수면 중 아래턱을 전방으로 나오게 하여 인두가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ll apparatus prevents snoring by preventing the pharynx from being narrowed or blocked by bringing the lower jaw forward during sleep.
이러한 구강장치는 심하지 않은 경증 또는 양압기 치료에 실패하거나 수술을 원하지 않는 경우 이용되는 것으로 양압기 치료와 대비하여 착용 시 불편감이 적고, 세척 및 휴대 등이 용이하여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These oral devices are used for mild cases or when positive airway treatment fails or surgery is not desired, and their use is increasing because they are less uncomfortable when worn and are easy to clean and carry compared to positive airway therapy.
이러한 구강장치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27694호에 개시되어 있는 코골이 방지기구가 있다.As a prior art of such an oral device, there is an anti-snoring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27694.
이러한 종래의 코골이 방지기구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어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몸체(10), 상기 상부몸체(1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부걸쇠(11), 하부가 개구되어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몸체(20), 상기 하부몸체(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부걸쇠(21), 상기 상부걸쇠(11)와 상기 하부걸쇠(21) 간에 연결되는 연결줄(3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such a conventional snoring prevention mechanism includes an
이러한 종래의 코골이 방지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윗니와 아랫니가 각각 상기 상부몸체(10)와 상기 하부몸체(20)에 수용됨에 따라 해당 공간에 다량의 타액이 고여 기도 측으로 역류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snoring prevention device, as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accommodated in the
또한, 이러한 종래의 코골이 방지기구는 수면 중 하악이 전진 위치에서 개구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게 하여 턱관절 질환이나 교합장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such a conventional snoring prevention mechanism keeps the lower jaw open in the forward position for a long time during sleep, which may cause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or occlusal disorder.
또한, 이러한 종래의 코골이 방지기구는 상기 연결줄(30)이 윗입술 내측 또는 혀 상에서 유동 및 접촉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우려가 있다.In addition, such a conventional anti-snoring device may cause the user to feel uncomfortable because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치아를 수용하는 공간을 생략하여 타액이 다량 저장되었다가 한번에 기도 측으로 역류하는 등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n anti-snoring device that can prevent discomfort such as a large amount of saliva stored and then flowing back to the airway at once by omitt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eeth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 중 비교적 자유로운 하악의 움직임을 허용하여 생리적이며, 턱관절 질환, 교합장애 유발 등의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noring prevention device that is physiological by allowing relatively free movement of the lower jaw during sleep and can minimize concerns such as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and occlusal disord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면 중 구호흡을 방지하고 하악을 전방 측으로 위치시키며 구강 주변부 근육의 긴장도를 높일 수 있는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snoring mechanism capable of improving wearing comfort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preventing mouth breathing during sleep, positioning the mandible forward, and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muscles around the mouth.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치아와 입술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positioned between teeth and lips and a handle portion protruding forward from the body portion.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치아 측에 위치하는 면에 상단부터 하측 일부까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타액 유로를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body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alivary channel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to a lower part on a surface positioned on the tooth side.
또한, 상기 몸체부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체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이때, 상기 손잡이부는 후단 측에 상기 체결홀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탈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rim of the fastening hole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andle part so that it can be detached from the body part.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공동, 전단에 형성되는 제 1개구로부터 상기 공동의 전방 측까지 면적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제 1공기통로 및 후단에 형성되는 제 2개구로부터 상기 공동의 후방 측까지 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제 2공기통로를 포함하여, 외부 공기의 압력보다 구강 내 공기의 압력을 낮게 형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part is formed in the cavity, the first air passage formed so that the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irst opening formed at the front end to the front side of the cavity, and the rear side of the cavity from the second opening formed at the rear end. Including the second air passage formed such that the area gradually decreases until the area is formed, it is possible to form a lower pressure of air in the oral cavity than the pressure of external air.
이때, 상기 제 1개구의 면적은 상기 제 2개구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the first opening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openin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휴대성 및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면 중 구호흡을 방지하고 하악을 전방 측으로 위치시키며 구강 주변부 근육의 긴장도를 높여 코골이 증상을 치료 또는 완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nti-sn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improves portability and comfort while preventing mouth breathing during sleep, positioning the mandible forward, and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muscles around the mouth to treat snoring symptoms. or can be alleviat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에서 손잡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noring prevention devic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nti-sn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anti-sn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anti-sn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handle in an anti-sn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of an arbitrary element on the "upper (or lower)" or "upper (or lower)" of a component means that an arbitrary elemen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In addition,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it says "A and/or B", it means A, B or A and B,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when it says "C to D", it means no particular contrary description As long as there is no, it means C or more and D or les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noring prevention devic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분해 사시도와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이다.2 to 4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anti-sn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에서 손잡이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반투명 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ure 5 is a transluce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andle in the snoring preven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몸체부(100)와 손잡이부(200)를 포함한다.2 to 5,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00)는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곡선 형상인 플레이트로서 전방 측이 사용자 입술의 후방 측과 접촉되고, 후방 측이 사용자 치아의 전방 측과 접촉되도록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이를 위하여 상기 몸체부(100)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 측의 높이가 양단 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사용 시 구강 내에 위치하게 됨으로 인체에 무해한 경질 실리콘이나 쉽게 형태가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경도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후면, 즉 사용자의 치아 측에 위치하는 면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타액 유로(11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타액 유로(110)는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리브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이때, 상기 타액 유로(11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아래 잇몸 측에는 접촉되지 않도록 상단으로부터 하측 일부분 까지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 the
이는 사람이 수면을 취할 때 베게 등에 의하여 고개가 숙여진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 타액 유로(110)의 상단 측으로 유입되는 타액(saliva)이 중력에 의하여 사용자의 아래 잇몸 측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유도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후면과 사용자의 치아 사이에 타액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when a person sleeps, in many cases, the head is lowered by a pillow, so that the saliva flowing into the upper end of the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중앙부에 전후방 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체결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몸체부(100)를 구강 측에 넣었다 뺄 때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례로 옆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200)는 후단 측은 구강 내에 위치하나 전단 측은 입술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를 착용하거나 해제하는 경우 상기 몸체부(100)가 손에 묻은 세균 등으로 인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ar end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몸체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120)이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와 손잡이부(2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코골이 방지기구는 사용자의 하악(下顎)을 전방 측으로 위치시키고 구(口)호흡을 방지함으로써 코골이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nti-snoring mechanism in which th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200)는 연질 실리콘, 우레탄,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고무 등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며 부드럽고 변형 가능한 재질로서 후단 측에 상기 체결홀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체결홈(210)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0)와 탈착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또한, 상기 손잡이부(200)는 내부에 형성되는 공동(220)과 상기 공동(220)으로부터 전방 측과 후방 측으로 각각 연통되는 제 1공기통로(230)와 제 2공기통로(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공기통로(23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 1개구(231)로부터 상기 공동(220)의 전방 또는 중앙 측까지 면적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동(220) 측으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공동(22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제 1개구(231)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 형상으로 면적은 비교적 작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대량으로 상기 공동으로 유입되는 것이 제한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 2공기통로(24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 2개구(241)로부터 상기 공동(220)의 후방 또는 중앙 측까지 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구강 내 공기를 상기 공동(220) 측으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공동(220)의 공기를 구강 내로 유입시킨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 2개구(241)의 면적은 상기 제 1개구(231)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the
또한, 상기 제 2공기통로(240)는 상기 제 2개구(241)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동공(220) 측으로 연통되는 부분이 상기 제 1개구(231)의 면적과 유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상기 손잡이부(200)를 손가락으로 눌렀다 때어 상기 공동(220)의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내 공기의 압력을 외부 공기의 압력보다 낮게 형성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anti-sn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area of the
즉, 상기 공동(220)과 상기 제 1통로(230) 및 상기 제 2통로(240)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부(220)는 구강 내의 자연스러운 음압(陰壓)을 형성시켜 수면 시 발생하는 구호흡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That is, by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0. 몸체부
110. 타액 유로
120. 체결홀
200. 손잡이부
210. 체결홈
220. 공동
230. 제 1공기통로
231. 제 1개구
240. 제 2공기통로
241. 제 2개구100. Body
110. Saliva Euro
120. Fastening hole
200. Handle part
210. Fastening groove
220. joint
230. First air passage
231. Opening 1
240. Second air passage
241. Second opening
Claims (5)
상기 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는 치아 측에 위치하는 면에 상단부터 하측 일부까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타액 유로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하악을 전방 측으로 위치시키고 구호흡을 방지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Body portion located between the teeth and lips; and
Including, a handle portion protruding forward of the body portion,
The body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aliva passage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to a lower part on a surface located on the tooth side, and the snoring prevention mechanism for positioning the user's lower jaw forward and preventing mouth breathing.
상기 몸체부는 중앙부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후단 측에 상기 체결홀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탈착되는 코골이 방지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has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is detachable from the body by forming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rim of the fastening hole is inserted at the rear end of the handle.
상기 손잡이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공동;
전단에 형성되는 제 1개구로부터 상기 공동의 전방 측까지 면적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제 1공기통로; 및
후단에 형성되는 제 2개구로부터 상기 공동의 후방 측까지 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제 2공기통로;를 포함하여
외부 공기의 압력보다 구강 내 공기의 압력을 낮게 형성시키는 코골이 방지기구.
According to claim 3,
the handle part
cavities formed inside;
a first air passage formed so that the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irst opening formed at the front end to the front side of the cavity; and
A second air passage formed so that the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second opening formed at the rear end to the rear side of the cavity; including
An anti-snoring device that makes the air pressure in the oral cavity lower than the external air pressure.
상기 제 1개구의 면적은 상기 제 2개구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코골이 방지기구. According to claim 4,
An area of the first opening is smaller than an area of the second opening.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73231A KR102483879B1 (en) | 2021-06-07 | 2021-06-07 | Apparatus For Snoring Prevention |
| PCT/KR2022/007282 WO2022260310A1 (en) | 2021-06-07 | 2022-05-23 | Snoring prevention mechanis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73231A KR102483879B1 (en) | 2021-06-07 | 2021-06-07 | Apparatus For Snoring Prevention |
Public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64904A KR20220164904A (en) | 2022-12-14 |
| KR102483879B1 true KR102483879B1 (en) | 2023-01-03 |
| KR102483879B9 KR102483879B9 (en) | 2024-12-10 |
Family
ID=8442568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73231A Active KR102483879B1 (en) | 2021-06-07 | 2021-06-07 | Apparatus For Snoring Prevention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83879B1 (en) |
| WO (1) | WO2022260310A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75225Y1 (en) * | 2014-08-01 | 2014-11-13 | 박원영 | Apparatu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noring And Bruxism |
| KR101863815B1 (en) | 2017-03-07 | 2018-06-04 | (주)코코스바이오텍 | A Tooth Whitening System |
| US20200268545A1 (en) * | 2019-02-22 | 2020-08-27 | Ching-Yi Huang | Brace-type anti-snoring device |
| CN211797157U (en) | 2019-10-25 | 2020-10-30 | 王文良 | Snore stopper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01991B1 (en) * | 2010-05-13 | 2012-11-15 | 이영찬 | Snoring prevention device |
| KR101374011B1 (en) | 2012-08-27 | 2014-03-12 | 이상재 | Apparatus for snoring prevention |
| KR200486167Y1 (en) * | 2016-03-02 | 2018-04-11 | 김대구 | Mouthpiece for sleeping |
-
2021
- 2021-06-07 KR KR1020210073231A patent/KR102483879B1/en active Active
-
2022
- 2022-05-23 WO PCT/KR2022/007282 patent/WO2022260310A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75225Y1 (en) * | 2014-08-01 | 2014-11-13 | 박원영 | Apparatu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noring And Bruxism |
| KR101863815B1 (en) | 2017-03-07 | 2018-06-04 | (주)코코스바이오텍 | A Tooth Whitening System |
| US20200268545A1 (en) * | 2019-02-22 | 2020-08-27 | Ching-Yi Huang | Brace-type anti-snoring device |
| CN211797157U (en) | 2019-10-25 | 2020-10-30 | 王文良 | Snore stopp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64904A (en) | 2022-12-14 |
| KR102483879B9 (en) | 2024-12-10 |
| WO2022260310A1 (en) | 2022-12-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499633A (en) | Anti-snoring device with adjustable upper and lower relational members | |
| JP7296370B2 (en) | oral training equipment | |
| US6766802B1 (en) | Sleep appliance | |
| US20040177852A1 (en) | Dental appliance for improving airflow through nasal-pharyngeal airway | |
| JP5361991B2 (en) | Snoring prevention device | |
| KR101361583B1 (en) | An Upper Jaw and Lower Jaw a Shifter | |
| US20130263864A1 (en) | Teat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other habits | |
| WO2006090598A1 (en) | Lip closing tool | |
| EP2352468A1 (en) | Integrated oral appliance for sleep-disordered breathing | |
| US20050150504A1 (en) |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ing sleep apnea and related breathing disorders | |
| KR102361865B1 (en) | Device to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 |
| US9192455B1 (en) | Oral appliances and methods of making oral appliances | |
| US20100224197A1 (en) | Sleep appliance | |
| KR101713971B1 (en) |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bruxism | |
| KR100596129B1 (en) |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Device | |
| KR102011625B1 (en) | Snoring prevention mouthpiece | |
| TWM585604U (en) | Intraoral anti-snoring device | |
| US6279577B1 (en) | Supporter | |
| JP2000051357A (en) | A device with a mouthpiece for supplying pressurized gas to the user | |
| KR102483879B1 (en) | Apparatus For Snoring Prevention | |
| KR101752966B1 (en) | Improved Snoring Prevention Device | |
| US20120031410A1 (en) | Dental device for preventing a sleep disorder | |
| JP2003116881A (en) | Mouthpiece for improving occlusion | |
| KR102494368B1 (en) | Oral respiration Preventing Device | |
| KR102551228B1 (en) | Sleep apnea and snoring prevention device using negative pressur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7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4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4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7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4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