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9096B1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stallation location of base st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stallation location of bas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9096B1
KR102739096B1 KR1020220013543A KR20220013543A KR102739096B1 KR 102739096 B1 KR102739096 B1 KR 102739096B1 KR 1020220013543 A KR1020220013543 A KR 1020220013543A KR 20220013543 A KR20220013543 A KR 20220013543A KR 102739096 B1 KR102739096 B1 KR 102739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
path loss
partition
area
are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16513A (en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2001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9096B1/en
Publication of KR20230116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5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9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909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 설치 위치 결정 장치는 기지국을 설치할 목표 지역을 정해진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그리고 지형 고도 또는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분할 영역의 높이,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소정 개수의 인접 분할 영역들로 둘러싸인 분할 영역과 상기 인접 분할 영역들 간의 상대적인 높이 비교, 그리고 분할 영역의 경로 손실(path loss)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상기 기지국을 설치할 분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determination device comprises a step of dividing a target area for installing a base station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 step of determining a divided area in which the base station is to be install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based on at least one of a height of the divided area determined based on a terrain elevation or a height of a building located in the divided area, a comparison of relative heights between a divided area surround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adjacent divided areas and the adjacent divided areas, and a path loss of the divided area.

Description

기지국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STALLATION LOCATION OF BASE STATION}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STALLATION LOCATION OF BASE STATION

본 개시는 기지국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n installation location of a base station and a device therefor.

무선망 설계/최적화 시스템은 기지국 및 안테나 정보, 지형 고도 및 건물 지도, 무선 품질 측정 데이터 등을 입수하여 기지국의 커버리지 및 간섭 분석, 자동 최적화, 측정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목적한 지역의 커버리지율 통계나 커버리지 맵, 최적 안테나의 방향 및 틸트(tilt)를 산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결과물들을 도출하는데 기지국 위치 정보는 매우 큰 영향을 끼치는 변수이다. 즉, 기지국의 위치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결과물의 정확도는 달라질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design/optimization system obtains base station and antenna information, terrain elevation and building maps, and wireless quality measurement data, and performs base station coverage and interference analysis, automatic optimization, and measurement data analysis, and calculates coverage rate statistics or coverage maps for target areas, and the direction and tilt of the optimal antenna.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is a variable that has a very large impact on deriving these results. In other words, the accuracy of the results can vary depending on how the base station location is set.

이처럼, 효율적인 망 설계를 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의 위치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In this way,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is very important for efficient network design.

최적의 기지국 위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백그라운드 정보가 필요하다. 백그라운드 정보는 기지국의 하드웨어(HardWare)/소프트웨어(SoftWare) 파라미터 정보, 지형 정보, 고도 정보, 건물 정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백그라운드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면 최적화 업무를 하는데 있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겠지만, 모든 백그라운드 정보를 확보하는 것은 어렵다. In order to derive the optimal base station location, various background information is required. Background information includes base station hardware/software parameter information, terrain information, altitude information, building information, etc. If you have all this background information, it will be of great help in optimization work, but it is difficult to obtain all the background information.

기지국 내부 파라미터 정보는 제조사의 보안 사항이라 모든 정보를 받는데 제약사항이 있다. 지도 관련 정보 또한 국가 내부 보안사항이라 전체 공개를 하는데 제약이 존재한다. Base station internal parameter information is a matter of manufacturer security, so there are restrictions on receiving all information. Map-related information is also a matter of national security, so there are restrictions on fully disclosing it.

따라서, 무선망 최적화를 위해 이동 통신 사업자는 지속적으로 무선망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무선망 품질 열화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한다. Therefore, to optimize wireless networks, mobile carriers continuously monitor wireless network quality and perform optimization in areas where wireless network quality deterioration occurs.

기지국 내부 파라미터 변경으로 해결이 되면, 최고의 솔루션이겠지만 해결이 안 되는 경우에는 기지국의 신설/이설/철거와 같은 물리적인 솔루션으로 해결해야 한다. 이 경우에도 기지국의 위치 선정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If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changing the internal parameters of the base station, it would be the best solution, but if it cannot be solved, it must be solved by a physical solution such as the establishment/relocation/demolition of the base station. In this case as well,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has a great impact on the result.

따라서, 이와 같은 제약 사항으로 인해 현재까지 무선망 최적화를 위해서 현장 엔지니어의 경험에 의한 최적화를 진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최적화 기간과 비용이 증가하고 엔지니어의 역량 편차에 의한 무선망 품질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due to these limitations, the optimization of wireless networks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field engineers. This has resulted in increased optimization period and cost, and wireless network quality deviations due to differences in engineers' capabilities.

본 개시는 기지국을 설치할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 to install a base station and a device therefor.

본 개시는 목표 지역을 정해진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한 후, 각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건물 높이/지형 고도, 인접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건물 높이/지형 고도와의 상대적인 높이 비교, 분할 영역의 경로 손실(path loss)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지국을 설치할 최적화된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an optimal location for installing a base station by dividing a target area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building height/terrain elevation located in each divided area, a relative height comparison with the building height/terrain elevation located in an adjacent divided area, and path loss of the divided area.

한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기지국 설치 위치 결정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을 설치할 목표 지역을 정해진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그리고 지형 고도 또는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분할 영역의 높이,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소정 개수의 인접 분할 영역들로 둘러싸인 분할 영역과 상기 인접 분할 영역들 간의 상대적인 높이 비교, 그리고 분할 영역의 경로 손실(path loss)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하나의 분할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분할 영역을 상기 기지국을 설치할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re is provided an operating method of a base station installation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opera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comprising: a step of dividing a target area for installing a base station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 step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based on at least one of a height of the divided areas determined based on a terrain elevation or a height of a building located in the divided areas, a comparison of relative heights between a divided area surround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adjacent divided areas and the adjacent divided areas, and a path loss of the divided area, and determining the selected divided area as a position for installing the base station.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 영역의 높이, 상기 상대적인 높이 비교 그리고 상기 경로 손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차등적으로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최상위 점수를 부여한 분할 영역을 후보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후보 위치로 결정한 분할 영역으로부터 정해진 반경의 바깥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들의 경로 손실들이 정해진 임계치를 충족하면, 상기 후보 위치를 기지국의 설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step may include a step of differentially assigning scores to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height of the divided area, the relative height comparison, and the path loss, a step of determining a divided area assigned the highest score as a candidate location, and a step of determining the candidate location as an installation location of a base station if the path losses of divided areas located outside a determined radius from a divided area determined as the candidate location meet a determined threshold.

상기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후보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사이에, 분할 영역의 유형에 따라 설치 가능한 기지국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차등적으로 추가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Between the step of assigning and the step of determining as a candidate location, a step of differentially assigning additional scores to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based on the type of base station that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vided area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후보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바깥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들 중에서 상기 정해진 임계치를 충족하지 않는 분할 영역이 적어도 하나라도 있으면, 상기 후보 위치의 분할 영역에 부여된 점수 다음으로 높은 점수를 부여한 분할 영역을 후보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Between the step of determining as the candidate location and the step of determining as the installation location, if there is at least one partition area that does not satisfy the set threshold among the partition areas located outside, the step of determining as the candidate location a partition area that has been given a score next to the score given to the partition area of the candidate loc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이전에,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건물들의 높이 중에서 최상위 건물 높이와 분할 영역의 지형 고도를 합한 값 또는 분할 영역에 건물이 없으면 지형 고도를 분할 영역의 높이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Before the step of assigning the score, a step of selecting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highest building among the heights of buildings located in the divided area and the terrain elevation of the divided area, or the terrain elevation if there is no building in the divided area, as the height of the divided area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임의의 기준 분할 영역을 둘러싼 8개의 인접 분할 영역의 높이를 상기 기준 분할 영역의 높이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분할 영역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분할 영역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트한 개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기준 분할 영역으로 선정된 분할 영역들에 차등적으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Before the step of assigning the scor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comparing the heights of eight adjacent partition areas surrounding any reference partition area among the plurality of partition areas with the height of the reference partition area and counting the number of partition areas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eference partition area, and the step of assigning the score may differentially assign scores to partition areas selected as reference partition areas among the plurality of partition areas based on the counted number.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임의의 분할 영역으로부터 나머지 분할 영역들까지의 경로 손실값 들의 평균 경로 손실값을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하여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Before the step of assigning the sco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alculatin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n average path loss value of path loss values from any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to the remaining divided regions.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을 3차원 가상 공간 상에서 분할 영역의 높이가 건물 높이로 설정되고 건물의 상하면은 분할 영역의 크기로 설정된 다면체 형상의 건물들로 가상화 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임의의 제1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제1 건물의 상면으로부터 경로 손실 측정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2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제2 건물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를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제1 분할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분할 영역까지의 경로 손실값들을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계산한 경로 손실값들의 평균값을 상기 제1 분할 영역의 경로 손실값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step may include a step of virtualizing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into polyhedral buildings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in which the height of the divided areas is set to the building height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ildings are set to the size of the divided areas; a step of calculating path loss values from the first divided area to the at least one second divided area by applying a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a first building corresponding to any first divided area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to the floor surface of a second building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econd divided area, which is a path loss measurement target, to a path loss model; and a step of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path loss values as the path loss value of the first divided area.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기지국 설치 위치 결정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을 설치할 목표 지역을 정해진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지형 고도 또는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결정되는 분할 영역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차등적인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임의의 기준 분할 영역을 둘러싼 8개의 인접 분할 영역의 높이를 상기 기준 분할 영역의 높이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분할 영역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분할 영역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개수에 따른 차등적인 점수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기준 분할 영역들에 부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부여된 점수들을 합산하고, 합산한 총 점수가 최상위인 분할 영역을 기지국의 설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an operating method of a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determining device opera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comprises the steps of: dividing a target area for installing a base station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ssigning differential scores to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based on a height of the divided areas determined according to a topographical altitude or a height of a building located in the divided area; comparing the heights of eight adjacent divided areas surrounding a reference divided area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with the height of the reference divided area, counting the number of divided areas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height of the reference divided area, and assigning differential scores to the reference divided areas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ccording to the counted number; and adding up the scores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determining the divided area having the highest total score as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상기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을 3차원 가상 공간 상에서 분할 영역의 높이가 건물 높이로 설정되고 건물의 상하면은 분할 영역의 크기로 설정된 다면체 형상의 건물들로 가상화 하고, 가상화 한 건물들 간의 거리를 건물 투과율을 고려한 경로 손실 모델 및 자유 공간에서의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대한 경로 손실들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산출한 경로 손실들에 기초하여 차등적인 점수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Before the determining step,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virtualizing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into polyhedral buildings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where the height of the divided areas is set to the building height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ildings are set to the size of the divided areas, and calculating path losses for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by appl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ized buildings to a path loss model that considers building transmittance and a path loss model in free space, and assigning differential scores to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based on the calculated path losses.

상기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분할 영역의 유형에 따라 설치 가능한 기지국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차등적으로 추가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ior to the above determining step,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differentially assigning additional scores to the plurality of partition areas based on the types of base stations that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artition areas.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합산한 총 점수가 최상위인 분할 영역을 후보 위치로 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후보 위치로 결정한 분할 영역으로부터 정해진 반경의 바깥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들의 경로 손실들이 정해진 임계치를 충족하면, 상기 후보 위치를 기지국의 설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termining step may include a step of selecting a partition area with the highest total score as a candidate location, and a step of determining the candidate location as an installation location of a base station if path losses of partition areas located outside a set radius from the partition area determined as the candidate location meet a set threshold.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기지국 설치 위치 결정 장치는 기지국을 설치할 목표 지역을 정해진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영역 설정부, 지형 고도 또는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분할 영역의 높이,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소정 개수의 인접 분할 영역들로 둘러싸인 분할 영역과 상기 인접 분할 영역들 간의 상대적인 높이 비교, 그리고 분할 영역의 경로 손실(path loss)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차등적인 점수를 부여하는 점수 할당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부여받은 분할 영역에 상기 기지국을 설치하기로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a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determining device includes a location determining unit which divides a target area for installing a base station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 location determining unit which divides the target area for installing a base station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the location determining unit which determines a location to be installed by a location determining unit which divides the target area for installing a base station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the location determining unit which determines a location to be installed by a location determining unit which divides the target area for installing a base station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the location determining unit which determines a location to be installed by a location determining unit which divides the target area for installing a base station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the location determining unit which determines a location to be installed by a location determining unit which divides the target area for installing a base station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the location determining unit which determines a location to be installed by a base station ...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점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을 후보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후보 위치로 결정한 분할 영역으로부터 정해진 반경의 바깥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들의 경로 손실들이 정해진 임계치를 충족하면, 상기 후보 위치를 기지국의 설치 위치로 결정하며, 상기 정해진 임계치를 충족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점수가 높은 분할 영역을 후보 위치로 결정하여 상기 임계치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기를 반복할 수 있다.The abov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 partition area with the highest score as a candidate location, and if path losses of partition areas located outside a set radius from the partition area determined as the candidate location meet a set threshold, determines the candidate location as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and if the set threshold is not met, determines a partition area with the next highest score as the candidate location and repeats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threshold is met.

상기 기지국 설치 위치 결정 장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을 3차원 가상 공간 상에서 분할 영역의 높이가 건물 높이로 설정되고 건물의 상하면은 분할 영역의 크기로 설정된 다면체 형상의 건물들로 가상화 하고, 가상화 한 건물들 간의 거리를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대한 각각의 경로 손실값을 산출하는 경로 손실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 손실 계산부는, 제1 분할 영역을 가상화 한 제1 건물과 제2 분할 영역을 가상화 한 제2 건물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3 분할 영역을 가상화한 건물이 있을 경우, 건물들 간의 거리를 건물 투과율을 고려한 경로 손실 모델 및 자유 공간에서의 경로 손실 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산출한 경로 손실값들을 합산하여 상기 제1 분할 영역의 경로 손실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건물과 상기 제2 건물 사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건물이 없는 경우, 건물들 간의 거리를 건물 투과율을 고려한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제1 분할 영역의 경로 손실값을 산출할 수 있다.The above base station installation position determin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path loss calculation unit that virtualizes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s polyhedral buildings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in which the heights of the divided areas are set to the building heights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ildings are set to the sizes of the divided areas, and calculates path loss valu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by appl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ized buildings to a path loss model, and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 of the first divided area by adding the path loss values calculated by appl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uildings to the path loss model considering building transmittance and the path loss model in free space, respectively, when there is at least one third building virtualized between the first building virtualized in the first divided area and the second building virtualized in the second divided area, and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 of the first divided area by adding the path loss values calculated, and when there is no at least one third building between the first building and the second building, the path loss value of the first divided area can be calculated by appl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uildings to the path loss model considering building transmittance.

실시예에 따르면, LTE나 5G 등의 무선망 설계시 최적의 기지국 설치 위치를 도출하는데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게다가 기지국 설치를 위한 최적화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보안 등의 이슈로 제한된 정보 수집으로 제약 사항이 있더라도 최소한의 정보로 기지국의 최적화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can effectively contribute to deriving the optimal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when designing wireless networks such as LTE or 5G. In addition, even if there are restrictions due to limited information collection due to issues such as security in performing optimization work for base station installation, the optimal base station location can be derived with a minimum amount of information.

또한, 기지국을 설치할 목표 지역을 분할하고 분할 영역들을 점수화하고 이를 토대로 기지국 설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기존의 방법 대비 적은 계산량으로 신속하게 최적화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dividing the target area for base station installation, scoring the divided areas, and determining the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based on the scores, it is possible to quickly obtain optimized results with less calculations than with existing methods.

또한, 기지국의 최적화 위치를 도출하므로, 사용자는 최적화 업무를 할 때, 대상 영역의 RSRP(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를 최대화하거나 간섭을 감소시켜서 향상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과 사용자 쓰루풋(throughput)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derives the optimal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when performing optimization work, the user can obtain improved SINR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and user throughput by maximizing RSRP (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 of the target area or reducing interference.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설치 위치 결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설치할 목표 지역을 지형 고도 정보와 건물 정보가 반영된 지도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BIN 높이에 따른 점수화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8개 1-tier BIN에 의해 둘러싸인 기준 BIN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기준 BIN과 8개 1-tier BIN 간의 BIN 높이 비교에 따른 점수화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BIN의 점수화 예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후보 BIN에서 반경 300m 이내의 BIN들과 반경 300m 바깥의 BIN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 상에 건물로 가상화 한 BIN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한 실시예에 따른 평균 경로 손실(Pathloss)의 산출 예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균 경로 손실의 산출 예시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균 경로 손실의 산출 예시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균 경로 손실의 산출 예시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균 경로 손실의 산출 예시도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측면 좌표를 산출하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target area for installing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a map reflecting terrain elevation information and building information.
Figure 4 is an example of scoring according to BIN h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reference BIN surrounded by eight 1-tier BI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n example of scoring based on BIN height comparison between a reference BIN and eight 1-tier BI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7 is an example of scoring 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BINs within a radius of 300 m and BINs outside a radius of 300 m from a candidate 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9 is an example diagram of a BIN virtualized as a building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0 is an example of calculating average path lo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1 is an example diagram of calculating average path lo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2 is an example diagram of calculating average path lo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3 is an example diagram of calculating average path lo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4 is an example diagram of calculating average path lo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5 is an example diagram for calculating lateral coordin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ever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it excludes other components, but rather that i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part,”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지정된 장소에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하드웨어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과 성능을 가진다. 프로그램은 도면들을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을 구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 장치 등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행한다.The device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sed of hardware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a memory device, a communication device, etc., and a program that is executed by being combined with the hardware in a designated location is stored. The hardware has a configuration and performance capable of execut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includes instructions that implement the oper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xecutes the present invention by being combined with hardware such as a processor and a memory device.

본 명세서에서 "전송 또는 제공"은 직접적인 전송 또는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를 통해 또는 우회 경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전송 또는 제공도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ransmitting or providing” may include not only direct transmission or providing, but also indirect transmission or providing via another device or by using a bypass route.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된 표현은 "하나" 또는 "단일" 등의 명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expressions described in the singular may be interpreted as singular or plural, unless explicit expressions such as “one” or “singular” are used.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도면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 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drawing number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drawing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 흐름도에서, 동작 순서는 변경될 수 있고, 여러 동작들이 병합되거나, 어느 동작이 분할될 수 있고, 특정 동작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In the flowchar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order of operations may be changed, several operations may be merged, some operations may be split, and certain operations may not be performed.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설치 위치 결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을 참고하면, 기지국 설치 위치 결정 장치(이하, '위치 결정 장치'로 통칭함)(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최적화된 기지국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Referring to FIG. 1, a base station installation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100) is a computing device opera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and is equipped with a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an optimized base station installation position as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computer program is executed by the processor.

위치 결정 장치(100)는 기지국 신설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 결정 장치(100)는 지도 DB(110), 목표 지역 선정부(120), 지도 정보 생성부(130), BIN 설정부(140), BIN 점수 할당부(150), 경로 손실 계산부(160) 및 위치 결정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100) determines a new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The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map DB (110), a target area selection unit (120), a ma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a BIN setting unit (140), a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a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and a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70).

지도 DB(110)는 국내 지도 화면을 구성하는 지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지도 이미지 데이터는 지도 화면에 표시할 이미지 객체, 그리고 이미지 객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객체는 건물 객체와 도로 객체를 포함한다. 건물 객체의 속성 정보는 건물의 행정 주소, 건물의 높이, 건물이 위치하는 지형의 고도를 포함한다. 도로 객체의 속성 정보는 도로의 행정 주소, 도로가 위치하는 지형의 고도를 포함한다. The map DB (110) stores map image data that constitutes a domestic map screen. The map image data may include image objects to be displayed on the map scree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image objects. The image objects include building objects and road object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bject includes the administrative address of the building, the height of the building, and the altitude of the terrain on which the building is located.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road object includes the administrative address of the road, and the altitude of the terrain on which the road is located.

지도 DB(110)는 공개된 다양한 지도 정보/지형 정보, 예컨대,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지도 DB 등을 토대로 구축될 수 있다. The map DB (110) can be constructed based on various publicly available map information/terrain information, such as the map DB provi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목표 지역 선정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지국을 설치할 목표 지역을 선정한다. 목표 지역 선정부(120)는 통신 사업자가 정한 복수의 기지국 설치 권역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권역을 목표 지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목표 지역 선정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행정 주소에 대응하는 지역을 목표 지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The target area selection unit (120) selects a target area for installing a base st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The target area selection unit (120) can select a specific area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multiple base station installation areas determined by the telecommunications operator as the target area. The target area selection unit (120) can select an area corresponding to an administrative address according to user input as the target area.

지도 정보 생성부(130)는 목표 지역에 대하여 지형 고도와 건물 높이를 반영한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ma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map information reflecting the terrain elevation and building height for the target area.

BIN 설정부(140)는 지도 정보 생성부(130)에 생성된 목표 지역의 지도 정보 상에 정해진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분할 영역을 생성한다. 여기서, 분할 영역은 'BIN'으로 호칭하기로 한다. 즉, BIN 설정부(140)는 목표 지역을 정해진 크기의 영역 단위로 분할하여 복수의 BIN을 생성한다.The BIN setting unit (140) creates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with a set size on the map information of the target area created by the map information creation unit (130). Here, the divided areas are referred to as 'BINs'. That is, the BIN setting unit (140) creates a plurality of BINs by dividing the target area into area units of a set size.

BIN 점수 할당부(150)는 복수의 BIN에 정해진 조건에 따른 차등적인 점수를 할당한다.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allocates differential scores to multiple BINs according to set conditions.

BIN 점수 할당부(150)는 각 BIN에 위치하는 건물들의 높이 중에서 최상위 건물 높이와 지형 고도를 합한 값을 BIN 높이로 계산한다. BIN 점수 할당부(150)는 BIN에 건물이 없으면 지형 고도를 BIN 높이로 계산한다. BIN 점수 할당부(150)는 건물과 도로가 함께 있을 경우에는 건물의 높이를 BIN 높이로 계산한다.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lculates the BIN height by adding the height of the highest building and the terrain height among the heights of buildings located in each BIN. If there is no building in the BIN,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lculates the terrain height as the BIN height. If there is a building and a road together,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lculates the height of the building as the BIN height.

BIN 점수 할당부(150)는 BIN 높이에 따라 복수의 BIN에 차등적으로 점수를 할당한다.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differentially allocates scores to multiple BINs according to the BIN height.

BIN 점수 할당부(150)는 복수의 BIN 중에서 소정 개수의 인접 BIN들로 둘러싸인 기준 BIN과 인접 BIN들 간의 상대적인 높이 비교에 따라 복수의 BIN에 차등적으로 점수를 할당한다. BIN 점수 할당부(150)는 복수의 BIN 중에서 임의의 기준 BIN을 둘러싼 8개의 인접 BIN들(1-Tier BIN)의 높이를 기준 BIN의 높이와 비교하여 기준 BIN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BIN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BIN 점수 할당부(150)는 카운트한 인접 BIN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기준 BIN에 차등적으로 점수를 할당한다.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differentially allocates scores to the plurality of BINs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relative heights between a reference BIN surround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adjacent BINs and the adjacent BINs among the plurality of BINs.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ompares the heights of eight adjacent BINs (1-Tier BINs) surrounding a reference BIN among the plurality of BINs with the height of the reference BIN and counts the number of BINs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eference BIN.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differentially allocates scores to the reference BIN based on the number of counted adjacent BINs.

BIN 점수 할당부(150)는 경로 손실 계산부(160)에 의해 복수의 BIN에 대하여 계산된 평균 경로 손실(path loss)값들에 따라 복수의 BIN에 차등적으로 점수를 할당한다.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differentially allocates scores to multiple BINs based on average path loss values calculated for multiple BINs by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BIN 점수 할당부(150)는 BIN 별 구축비를 반영하여 추가 점수를 복수의 BIN에 부여할 수 있다. 이때, 구축비는 BIN의 유형에 따라 설치 가능한 기지국 유형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BIN 점수 할당부(150)는 설치 가능한 기지국 유형에 따라 복수의 BIN에 차등적으로 추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n assign additional points to multiple BINs by reflecting the construction cost for each BIN. At this time, the construction cos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base station that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type of BIN. Accordingly,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n differentially assign additional points to multiple BINs according to the type of base station that can be installed.

BIN 점수 할당부(150)는 각각의 BIN에 부여된 점수들을 합산하여 총 점수를 계산하고, 이를 각각의 BIN에 대한 최종 점수로 설정한다.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lculates a total score by adding up the scores assigned to each BIN and sets this as the final score for each BIN.

실시예에 따르면, BIN 점수 할당부(150)는 점수 환산시, 우선순위 파라미터에 가중치를 할당할 수 있다. 즉, BIN 높이, 인접 BIN들과의 상대적인 높이 비교, 평균 경로 손실 중에서 사전에 정해진 파라미터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점수를 환산할 수 있다. 그러면, 최종 점수는 가중치가 적용된 파라미터의 점수가 크게 반영되므로, 결과적으로, 가중치가 적용되 파라미터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기지국 설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n assign weights to priority parameters when converting scores. That is, the score can be converted by applying weights to parameters determined in advance among BIN height, relative height comparison with adjacent BINs, and average path loss. Then, since the final score largely reflects the scores of the weighted parameters, as a result, the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can be determined by preferentially considering the weighted parameters.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복수의 BIN 중에서 임의의 BIN으로부터 나머지 BIN들까지의 경로 손실값들의 평균값을 복수의 BIN 각각에 대하여 계산한다. 이때,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모든 BIN에 기지국이 설치되었다고 가정하고 경로 손실을 계산한다. 이때, 경로 손실은 기지국이 설치된 건물의 탑층에서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의 바닥층까지의 거리에 대한 함수를 통해 계산된다. 이때,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하나의 BIN에 하나의 건물이 있다고 가정한다.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INs, the average of the path loss values from an arbitrary BIN to the remaining BINs. At this time,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assuming that a base station is installed in all BINs. At this time, the path loss is calculated through a func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top floor of the building where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to the bottom floor of the building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At this time,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assumes that there is one building in one BIN.

실시예에 따르면,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복수의 BIN을 가상 공간(예, 3차원) 상에서 BIN의 높이가 건물 높이로 설정되고 건물의 상하면은 BIN의 크기로 설정된 다면체 형상의 건물들로 가상화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n virtualize a plurality of BINs as polyhedral-shaped buildings in a virtual space (e.g., three-dimensional) in which the height of the BINs is set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ilding are set to the size of the BINs.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가상화 한 건물들 간의 거리를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복수의 BIN에 대한 각각의 경로 손실값을 산출할 수 있다.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n calculate path loss values for each of multiple BINs by applying the distance between virtualized buildings to the path loss model.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기지국 후보지와 수신점 간의 경로 손실을 계산한다. 이때, 기지국 후보지는 BIN의 유형에 상관없이 BIN의 상면 중점에 기지국을 설치한다고 가정한다. 수신점의 경우, BIN 유형이 건물일 경우, 건물 내부 바닥면의 중점에 있다고 가정한다. 즉, 수신점의 건물 높이는 고려하지 않고 지형 고도만 반영하여 경로 손실이 계산된다. 또한, BIN 유형이 도로일 경우, 어차피 건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지형 고도만 반영하여 수신점이 건물 내부 바닥면의 중점에 있다고 가정하여 경로 손실이 계산된다.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between the base station candidate site and the receiving point.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candidate site installs the base station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IN regardless of the type of BIN. In the case of the receiving point, if the BIN type is a building, it is assumed that it is at the center of the floor surface inside the building. In other words, the path loss is calculated by reflecting only the terrain elev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building height of the receiving point. In addition, if the BIN type is a road, since there is no building anyway, the path loss is calculated by reflecting only the terrain elevation and assuming that the receiving point is at the center of the floor surface inside the building.

위치 결정부(170)는 복수의 BIN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부여받은 BIN을 기지국의 신설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70) can determine a BIN that has been given a relatively high score among multiple BINs as the new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이때, 위치 결정부(170)는 최상위 점수를 부여한 BIN을 후보 지역으로 결정하고, 후보 위치로 결정한 BIN으로부터 정해진 반경의 바깥에 위치하는 BIN들의 경로 손실들이 정해진 임계치를 충족하면, 후보 위치를 기지국의 설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70) determines the BIN that has been given the highest score as a candidate region, and if the path losses of the BINs located outside a set radius from the BIN determined as the candidate location meet a set threshold, the candidate location can be determined a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위치 결정부(170)는 후보 위치로 결정한 BIN으로부터 정해진 반경의 바깥에 위치하는 BIN들 중에서 경로 손실값이 정해진 임계치를 충족하지 않는 BIN이 적어도 하나라도 있으면, 다음으로 높은 점수를 부여한 BIN을 후보 위치로 결정한다. 위치 결정부(170)는 후보 위치로 결정된 BIN으로부터 정해진 반경의 바깥에 위치하는 BIN들의 경로 손실값이 모두 임계치를 충족할 때까지 BIN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후보 위치를 결정하기를 반복한다.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70) determines the BIN with the next highest score as the candidate position if there is at least one BIN whose path loss value does not meet the set threshold among the BINs located outside the set radius from the BIN determined as the candidate position.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70) repeatedly determines the candidate positions in order of the highest BIN score until the path loss values of all BINs located outside the set radius from the BIN determined as the candidate position meet the threshold.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설치할 목표 지역을 지형 고도 정보와 건물 정보가 반영된 지도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BIN 높이에 따른 점수화의 예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8개 1-tier BIN에 의해 둘러싸인 기준 BIN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기준 BIN과 8개 1-tier BIN 간의 BIN 높이 비교에 따른 점수화의 예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BIN의 점수화 예시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후보 BIN에서 반경 300m 이내의 BIN들과 반경 300m 바깥의 BIN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target area for installing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a map reflecting terrain elevation information and building informa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scoring according to BIN h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reference BIN surrounded by eight 1-tier BI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scoring according to BIN height comparison between a reference BIN and eight 1-tier BI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BIN sc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BINs within a radius of 300 m from a candidate BIN and BINs outside a radius of 300 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때, 도 1의 구성 요소들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At this time, the same drawing symbols are used to describe the components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목표 지역 선정부(120)는 기지국을 설치할 목표 지역을 선정한다(S101). 목표 지역은 최적 무선망 파라미터를 도출할 기지국 설치 지역에 해당한다. S101에서 목표 지역 선정부(120)는 지도 화면을 사용자 단말(도시하지 않음)에게 제공하고, 제공한 지도 화면 상에서 사용자 단말(도시하지 않음)이 선택한 지역을 목표 지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는, S101에서 목표 지역 선정부(120)는 사용자 단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받은 행정 주소(예,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에 해당하는 목표 지역을 지도 화면으로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지도 화면은 행정 경계 지도나 쉐이프 파일(shapefile) 등 벡터 지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arget area selection unit (120) selects a target area in which to install a base station (S101). The target area corresponds to a base station installation area for which optimal wireless network parameters are to be derived. In S101, the target area selection unit (120) may provide a map screen to a user terminal (not shown) and select an area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not shown) on the provided map screen as the target area. Alternatively, in S101, the target area selection unit (120) may generate and output a map screen for a target area corresponding to an administrative address (e.g., Teheran-ro, Gangnam-gu, Seoul) input from a user terminal (not shown). At this time, the map screen may be a vector map such as an administrative boundary map or a shapefile.

지도 정보 생성부(130)는 S101에서 선정된 목표 지역의 지형 고도 정보와 건물 높이 정보를 반영한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S102). 지형 고도 정보와 건물 높이 정보는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The ma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map information reflecting the terrain elevation information and building height information of the target area selected in S101 (S102). The terrain elevation information and building heigh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102에 생성하는 지도 정보는 S101의 지도 화면과 달리 목표 지역을 건물 이미지 객체(B)와 도로 이미지 객체(R)로 간략화 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도 3과 같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지도 정보는 목표 지역을 건물 이미지 객체(B)들과 도로 이미지 객체(R)들로 나타낸 지적편집도일 수 있다.The map information generated in S102 is, unlike the map screen of S101, a simplified representation of the target area as a building image object (B) and a road image object (R), and may be as shown in Fig. 3. Referring to Fig. 3, the map information may be a cadastral edit map that represents the target area as a building image object (B) and a road image object (R).

S102에서, 지도 정보 생성부(130)는 지도 DB(110)에서 획득한 목표 지역의 지도 이미지 데이터와 공지된 Q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 3과 같은 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S102, the ma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can generate map information such as Fig. 3 by using map image data of the target area acquired from the map DB (110) and a known QGIS program.

S102에서, 지도 정보 생성부(130)는 지도 정보 생성부(130)는 목표 지역의 행정 주소에 기초하여 지도 DB(110)로부터 목표 지역의 지도 이미지 데이터, 즉, 건물 이미지 객체와 도로 이미지 객체를 획득하고, 획득한 건물 이미지 객체와 도로 이미지 객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S102, the ma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can obtain map image data of the target area, i.e., a building image object and a road image object, from the map DB (110) based on the administrative address of the target area, and generate map information including the obtained building image object and road image object.

여기서, 지도 DB(110)는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건물 DB로부터 획득한 건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 정보는 폴리곤(Polygon) 정보를 포함한다. 폴리곤 정보는 건물 이미지 객체(B) 또는/및 도로 이미지 객체(R)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속성 정보는 객체 ID에 매칭되는 속성값들을 포함하며, 속성값들은 건물의 복수의 꼭지점 정보인 멀티 폴리곤 정보, 건물 높이, 고도값, 객체 타입(건물 또는 도로), 좌표값, 둘레(타원체, 평면체), 면적(타원체, 평면), 액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ap DB (110) may include building information acquired from a building DB provi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building information includes polygon information. The polygon information may include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building image object (B) or/and a road image object (R). The attribute information includes attribute values matching the object ID, and the attribute values may include multi-polyg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multiple vertices of the building, building height, altitude value, object type (building or road), coordinate value, perimeter (ellipsoid, plane), area (ellipsoid, plane), action, etc.

BIN 설정부(140)는 목표 지역을 정해진 크기를 가지는 영역 단위로 분할(S103)하여 복수의 BIN을 생성한다. 하나의 BIN은 12.5[m]×12.5[m] 또는 25[m]×25[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BIN에는 여러 건물들이 존재할 수 있다.The BIN setting unit (140) divides the target area into area units having a set size (S103) to generate multiple BINs. One BIN can have a size of 12.5 [m] x 12.5 [m] or 25 [m] x 25 [m]. Multiple buildings can exist in one BIN.

BIN 설정부(140) 및/또는 BIN 점수 할당부(150)는 BIN에 존재하는 여러 개의 건물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건물에 대한 지형 고도 정보와 건물 높이 정보를 지도 DB(110) 또는 외부의 DB(예, 국토교통부 DB)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The BIN setting unit (140) and/or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n obtain terrain elevation information and building height information for a building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multiple buildings existing in the BIN from the map DB (110) or an external DB (e.g.,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B).

BIN 점수 할당부(150)는 S103에서 생성한 각 BIN 별로 BIN 높이를 계산하고, 복수의 BIN에게 각 BIN 높이에 따라 차등적으로 점수를 할당한다(S104).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lculates the BIN height for each BIN generated in S103 and differentially allocates scores to multiple BINs according to each BIN height (S104).

S104에서, BIN 점수 할당부(150)는 지형 고도 및 건물 높이를 합한 값을 BIN 높이로 계산한다. 지형 고도는 각 BIN에 대해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고도를 의미할 수 있다. 각 BIN에는 BIN 높이, 그리고 BIN 높이에 따른 점수가 할당된다.In S104,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lculates the BIN height as a sum of the terrain height and the building height. The terrain height may mean the height based on the sea level for each BIN. Each BIN is allocated a BIN height and a score according to the BIN height.

도 4의 (a)를 참조하면, 목표 지역의 지도 정보는 복수개의 BIN으로 분할된다. 각 BIN은 BIN 식별자(예, #1, ~ #49)가 부여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4, map information of a target area is divided into multiple BINs. Each BIN can be assigned a BIN identifier (e.g., #1, ~ #49).

이때, 하나의 BIN에는 적어도 하나의 건물이 포함되거나 건물이 없을 수도 있다. 건물이 없는 BIN은 도로 유형 BIN으로서, 공원이나 도로가 포함되어 있다. At this time, a BIN may contain at least one building or may not contain any buildings. A BIN without buildings is a road type BIN, which contains either parks or roads.

BIN 점수 할당부(150)는 임의의 BIN에 건물이 존재하면, 그 BIN의 지형 고도와 건물의 높이를 합한 값을 BIN 높이로 계산한다. 여기서, 지형 고도와 건물의 높이는 지도 DB(110)로부터 획득된다. BIN 안에 위치하는 건물 객체의 ID를 이용하여 지도 DB(110)로부터 지형 고도 값과 건물의 높이 값을 획득할 수 있다.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lculates the BIN height by adding the terrain elevation of the BIN and the height of the building, if a building exists in any BIN. Here, the terrain elevation and the height of the building are obtained from the map DB (110). The terrain elevation value and the height of the building can be obtained from the map DB (110) by using the ID of the building object located in the BIN.

BIN 점수 할당부(150)는 임의의 BIN에 건물이 적어도 두개 이상 존재하면, 건물들 중에서 가장 높은 건물의 높이와 지형 고도를 합한 값을 BIN 높이로 계산한다. 이는, 기지국을 설치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건물에 설치하는 것이 서비스 반경 확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lculates the BIN height as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tallest building among the buildings and the terrain elevation when there are at least two buildings in a given BIN. This is because when installing a base station, it is advantageous to install it in a relatively tall building to secure a service radius.

BIN 점수 할당부(150)는 임의의 BIN에 건물이 없으면, 건물 높이가 0이므로, 지형 고도값을 BIN 높이로 계산한다. BIN 점수 할당부(150)는 BIN 안에 위치하는 도로 또는 공원의 객체 ID를 이용하여 지도 DB(110)로부터 지형 고도 값을 획득할 수 있다.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lculates the terrain elevation value as the BIN height since the building height is 0 if there is no building in any BIN.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n obtain the terrain elevation value from the map DB (110) using the object ID of the road or park located in the BIN.

BIN 점수 할당부(150)는 표 1과 같이 BIN 높이에 따른 점수 환산 테이블을 이용하여 복수의 BIN에 각각의 점수를 할당한다(S104).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allocates scores to each of multiple BINs using a score conversion table according to BIN height as shown in Table 1 (S104).

BIN 높이(=지형 고도+건물 높이)BIN Height (=Terrain Height + Building Height) 점수score ≥200≥200 2020 ≥180≥180 1515 ≥150≥150 1212 ≥120≥120 1010 ≥100≥100 88 ≥80≥80 66 ≥60≥60 44 ≥40≥40 22 <40<40 00

모든 BIN의 점수는 0으로 초기화되어 있다. S104를 통해 도 4의 (B)와 같이, 각각의 BIN에는 BIN 높이에 따른 점수가 할당되게 된다. 예를 들어, BIN #1의 지형 고도가 67.45이고, 건물 높이가 15.32이면 BIN #1의 높이는 67.45+15.32=82.77 이다. 따라서, BIN #1의 높이가 80점 이상이므로, BIN #1에는 6점이 할당된다.The scores of all BINs are initialized to 0. Through S104, as shown in (B) of Fig. 4, each BIN is assigned a score according to the BIN height. For example, if the terrain elevation of BIN #1 is 67.45 and the building height is 15.32, the height of BIN #1 is 67.45+15.32=82.77. Accordingly, since the height of BIN #1 is greater than 80 points, 6 points are assigned to BIN #1.

BIN 점수 할당부(150)는 복수의 BIN 중에서 소정 개수의 인접 BIN들로 둘러싸인 기준 BIN과 인접 BIN들 간의 상대적인 높이 비교에 따라 기준 BIN들에 차등적으로 점수를 할당한다(S105).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differentially allocates scores to the reference BINs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relative heights between the reference BIN and the adjacent BINs surround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adjacent BINs among a plurality of BINs (S105).

도 5를 참조하면, 목표 지역의 복수의 BIN을 BIN 식별자로 구분하여 나타내었는데, 기준 BIN은 8개의 1-Tier BIN들로 둘러싸인 BIN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체 BIN들 중에서 기준 BIN들은 도 5에서 'A'로 표시하였다. 예컨대, 기준 BIN들은 도 5의 BIN #9, BIN #10, BIN #11, BIN #12, BIN #13, BIN #16, BIN #17, BIN #18, BIN #19, BIN #20, BIN #23, BIN #24, BIN #25, BIN #26, BIN #27, BIN #30, BIN #31, BIN #32, BIN #33, BIN #34, BIN #37, BIN #38, BIN #39, BIN #40, BIN #41이 해당한다. BIN 점수 할당부(150)는 기준 BIN의 1-Tier BIN들 중에서 기준 BIN 보다 낮은 BIN들의 개수에 따라 차등적으로 점수를 할당한다. Referring to FIG. 5, multiple BINs in the target area are indicated by BIN identifiers, and the reference BIN means a BIN surrounded by eight 1-Tier BINs. Therefore, the reference BINs among all BINs are indicated as 'A' in FIG. 5. For example, the reference BINs correspond to BIN #9, BIN #10, BIN #11, BIN #12, BIN #13, BIN #16, BIN #17, BIN #18, BIN #19, BIN #20, BIN #23, BIN #24, BIN #25, BIN #26, BIN #27, BIN #30, BIN #31, BIN #32, BIN #33, BIN #34, BIN #37, BIN #38, BIN #39, BIN #40, and BIN #41 in FIG. 5.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differentially allocates scor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BINs lower than the standard BIN among the 1-Tier BINs of the standard BIN.

도 6의 (a)를 참조하면, 기준 BIN이 BIN #41일 경우, 1-Tier BIN들은 BIN #33, BIN #34, BIN #35, BIN #40, BIN #42, BIN #47, BIN #48, BIN #49가 된다. 도 6의 (b)와 같이, 기준 BIN(BIN #41)의 BIN 높이가 110이고, 이를 1-Tier BIN들(BIN #33, BIN #34, BIN #35, BIN #40, BIN #42, BIN #47, BIN #48, BIN #49)의 BIN 높이(45, 85, 65, 12, 185, 11, 100, 63)과 비교하면, 기준 BIN(BIN #41)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진 1-Tier BIN들의 개수는 7개이다. BIN 점수 할당부(150)는 표 2와 같은 1-Tier BIN 기준 테이블을 이용하여 기준 BIN(BIN #41)에 점수를 할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6, when the reference BIN is BIN #41, the 1-Tier BINs are BIN #33, BIN #34, BIN #35, BIN #40, BIN #42, BIN #47, BIN #48, and BIN #49. As shown in (b) of Fig. 6, the BIN height of the reference BIN (BIN #41) is 110, and when compared with the BIN heights (45, 85, 65, 12, 185, 11, 100, 63) of the 1-Tier BINs (BIN #33, BIN #34, BIN #35, BIN #40, BIN #42, BIN #47, BIN #48, BIN #49), the number of 1-Tier BINs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reference BIN (BIN #41) is 7.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n assign scores to a reference BIN (BIN #41) using a 1-Tier BIN reference table as shown in Table 2.

1-Tier BIN 수(기준 BIN 높이 > 1-Tier BIN 높이)1-Tier BIN Number (Reference BIN Height > 1-Tier BIN Height) 점수score 88 88 77 77 66 66 55 55 44 44 33 33 22 22 11 11 00 00

도 6의 (c)를 참조하면, 표 2에 기초하여 BIN 점수 할당부(150)는 기준 BIN(BIN #41)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진 1-Tier BIN들의 개수인 7에 할당된 7점을 기준 BIN(BIN #41)에 할당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5에 나타낸 기준 BIN들에 점수가 할당된다.Referring to (c) of Fig. 6, based on Table 2,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allocates 7 points, which are assigned to 7, the number of 1-Tier BINs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reference BIN (BIN #41), to the reference BIN (BIN #41). In this manner, scores are allocated to the reference BINs shown in Fig. 5.

BIN 점수 할당부(150)는 경로 손실 계산부(160)에 의해 계산된 각 BIN에 대한 경로 손실값들에 따라 차등적인 점수를 각 BIN에 할당한다(S106). 이때,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목표 지역의 복수의 BIN들 중에서 임의의 BIN과 나머지 BIN들 간의 경로 손실값들의 평균값을 임의의 BIN의 경로 손실값으로 계산한다.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assigns a differential score to each BIN according to the path loss values for each BIN calculated by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S106). At this time,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of the path loss values between a random BIN and the remaining BINs among multiple BINs in the target area as the path loss value of the random BIN.

BIN 점수 할당부(150)는 표 3과 같이 BIN의 평균 경로 손실값(Avg.Pathloss)[dB]에 따른 점수 환산 테이블을 토대로 점수를 할당할 수 있다.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n allocate scores based on a score conversion table according to the average path loss value (Avg.Pathloss) [dB] of BIN, as shown in Table 3.

평균 경로 손실값(Avg.Pathloss)[dB]Average path loss (Avg.Pathloss)[dB] 점수score 40~6040~60 2020 60~8060~80 1515 80~10080~100 1010 100~120100~120 88 120~140120~140 66 140~160140~160 22 160~180160~180 00

표 3을 참조하면, pathloss값이 우수할수록, 즉, pathloss값이 낮을 수록높은 점수를 차등해서 부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Referring to Table 3, the better the pathloss value, that is, the lower the pathloss value, the higher the score is differentially awarded.

예를 들어, BIN 점수 할당부(150)는 BIN #57의 평균 경로 손실값이 78이면, 이는 표 3에서 60~80 구간에 해당하므로, 그에 대응하는 15점을 BIN #57에 할당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average path loss value of BIN #57 is 78, which corresponds to the range of 60 to 80 in Table 3,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n allocate 15 points corresponding to it to BIN #57.

BIN 점수 할당부(150)는 구축비를 점수에 반영하기 위해 표 4와 같이 설치 기지국의 유형에 따른 환산 점수 테이블을 토대로 각 BIN에 점수를 추가 할당한다(S107).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additionally allocates points to each BIN based on the conversion score table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alled base station as shown in Table 4 to reflect the construction cost in the score (S107).

BIN 유형BIN type 기지국 유형Base station type 점수score 도로road name 나대지I'm going to sleep 55 전주Jeonju 1010 건물building 옥탑Rooftop 2020

표 4에 따르면, 기지국의 구축비가 낮을수록, 높은 점수가 반영되어 있다. 나대지의 경우는 넓은 평야에 높은 Pole을 설치하고, Pole 상단에 기지국을 거치하는 유형이다. 전주는 전봇대에 기지국을 설치하는 유형이다. 나대지의 경우에는 땅 주인과의 협의가 필요하고, 전주의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와 같은 국가기관과의 협의가 필요하다. 나대지와 전주는 기지국을 설치하더라도 기지국의 접근성이 쉽지 않고 관리자의 안전에도 위험성이 있는 점을 고려하여 건물의 옥탑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가 할당되어 있다. 기지국을 건물에 설치하는 옥탑 유형도 건물주와의 협의가 필요하나 접근성이 나대지와 전주에 비해 용이하고 관리자의 안전성 관점에서도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따라서, 기지국을 건물에 설치하는 유형은 기지국을 도로에 설치하는 유형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가 할당된다.According to Table 4, the lower the cost of building a base station, the higher the score is reflected. In the case of bare ground, a high pole is installed in a wide plain, and a base station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ole. A utility pole is a type where a base station is installed on a utility pole. In the case of bare ground, consultation with the land owner is required, and in the case of a utility pole, consultation with a government agency such a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s required. In bare ground and utility poles, even if a base station is installed, accessibility to the base station is not easy and there is a risk to the safety of the manager, so they are given relatively lower scores than the rooftop of a building. The rooftop type where a base station is installed on a building also requires consultation with the building owner, but accessibility is easier than bare ground and utility poles, and it is also relatively advantageou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afety of the manager. Therefore, the type where a base station is installed on a building is given a relatively higher score than the types where a base station is installed on a road.

BIN 점수 할당부(150)는 지도 DB(110)로부터 각 BIN의 객체 ID를 토대로 BIN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BIN 점수 할당부(150)는 지도 DB(110)로부터 각 BIN의 행정 주소, 객체 ID를 토대로 건물 정보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n check the type of BIN based on the object ID of each BIN from the map DB (110).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n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building information based on the administrative address and object ID of each BIN from the map DB (110).

BIN에 건물이 하나도 없으면, 그 BIN의 유형은 도로 유형이다. BIN에 적어도 하나의 건물이 있다면, 그 BIN의 유형은 건물 유형이다. 도로 유형의 경우, 설치 가능한 기지국 유형은 나대지와 전주일 수 있다. 이때, 전주는 전봇대를 의미하며, 도로에 전주가 설치되어 있으면 해당 BIN의 기지국 유형은 전주가 되고 전주가 없으면 나대지 유형이다. 이때, 지도 DB(110)는 객체 ID에 대응하여 도로에 전주가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re is no building in the BIN, the type of the BIN is a road type. If there is at least one building in the BIN, the type of the BIN is a building type. In the case of the road type, the types of base stations that can be installed may be bare ground and poles. In this case, the pole means a pole, and if a pole is installed on the road, the base station type of the corresponding BIN is pole, and if there is no pole, it is bare ground. In this case, the map DB (110)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a pole is installed on the road in response to the object ID.

BIN 점수 할당부(150)는 S104, S105, S106, S107을 통해 목표 지역의 각 BIN에 할당된 점수들을 모두 합산하고, 합산한 점수를 각 BIN의 최종 점수로 산출한다(S108). 이러한 점수는 해당 BIN이 기지국의 최적화된 신설 위치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adds up all the scores assigned to each BIN in the target area through S104, S105, S106, and S107, and calculates the total score as the final score for each BIN (S108). This score is an indicator of whether the corresponding BIN is an optimized new location for a base station.

도 7을 참조하면, BIN 점수 할당부(150)는 BIN 식별자 별로 BIN 높이에 따른 점수, 1-tier BIN수에 따른 점수, 경로 손실에 따른 점수, 기지국 유형에 따른 점수, 총 점수가 매칭된 테이블을 생성하여 BIN들의 점수를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BIN #1의 경우, 기준 BIN이 아니므로, 1-tier BIN수에 따른 점수는 0으로 설정되어 있다. BIN #23의 경우, 기준 BIN이므로, 1-tier BIN수에 따른 점수가 할당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BIN score allocation unit (150) can manage the scores of BINs by generating a table in which scores according to BIN height, scor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1-tier BINs, scores according to path loss, scores according to base station type, and total scores are matched for each BIN identifi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BIN #1, since it is not a reference BIN, the sco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1-tier BINs is set to 0. In the case of BIN #23, since it is a reference BIN, a sco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1-tier BINs is allocated.

위치 결정부(170)는 S108에서 산출한 각 BIN의 최종 점수를 비교하여 가장 높은 점수, 즉, 최상위 점수를 가진 BIN을 기지국을 설치할 후보 위치로 결정한다(S109). 위치 결정부(170)는 도 7의 총 점수를 내림차순 정렬하고, 총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후보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70) compares the final scores of each BIN calculated in S108 and determines the BIN with the highest score, i.e., the top score, as the candidate location for installing the base station (S109).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70) can sort the total scores of Fig. 7 in descending order and select candidate locations in order of highest total scores.

위치 결정부(170)는 후보 위치로 결정된 BIN으로부터 반경 300m 이내에 위치하는 BIN들을 제거(S110)하고, 나머지 BIN들, 즉, 반경 300m 바깥에 위치하는 BIN들의 평균 경로 손실값들이 모두 기준값 보다 큰지 판단한다(S111).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70) removes BINs located within a radius of 300 m from a BIN determined as a candidate location (S110) and determines whether the average path loss values of the remaining BINs, i.e., BINs located outside a radius of 300 m, are all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S111).

도 8을 참조하면, 위치 결정부(170)는 후보 위치로 결정된 BIN이 BIN #23이라면, BIN #23으로부터 반경 300m 이내에 위치하는 BIN들(P1)을 제외한 나머지 BIN들의 평균 경로 손실값이 기준값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111).Referring to Fig. 8, if the BIN determined as the candidate location is BIN #23,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70) determines whether the average path loss value of the remaining BINs, excluding the BINs (P1) located within a radius of 300 m from BIN #23,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S111).

반경 300m 이내 BIN들을 제거하는 이유는 후보 위치로 결정된 BIN과 중복되는 위치가 기지국 설치 위치로 결정됨을 피하기 위함이다. 즉, 300m내에 있는 BIN들의 경로 손실을 고려하여 근접한 거리에 기지국을 추가 배치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removing BINs within a radius of 300m is to avoid locations that overlap with BINs determined as candidate locations from being determined as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s. In other words, it is inefficient to additionally deploy base stations at close range by considering the path loss of BINs within 300m.

S111에서 반경 300m 바깥에 위치하는 BIN들의 평균 경로 손실값들이 모두 기준값 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이는 후보 위치에 기지국을 설치할 경우 목표 지역 내에 음영 지역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부(170)는 S109에서 후보 위치로 결정된 BIN을 기지국의 설치 위치로 결정한다(S11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verage path loss values of BINs located outside a radius of 300 m from S111 are all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shaded area within the target area when a base station is installed at the candidate location. Accordingly,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70) determines the BIN determined as the candidate location at S109 a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S112).

반면, S111에서 반경 300m 바깥에 위치하는 BIN들의 평균 경로 손실값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라도 기준값 보다 크지 않은 BIN이 있다면, 후보 위치에 기지국을 설치할 경우 목표 지역 내에 음영 지역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부(170)는 총 점수가 다음 순위로 높은 BIN을 후보 위치로 결정한다(S113). 그리고 S110 부터 다시 반복한다. 즉, 후보 위치로 결정된 BIN으로부터 반경 300m 바깥에 위치하는 BIN들의 평균 경로 손실값들이 모두 기준값을 초과할때까지 총 점수의 내림차순 순위에 따라 후보 위치의 BIN을 선택하여 S110, S111, S113을 반복한다. 반경 300m 바깥에 위치하는 BIN들의 평균 경로 손실값들이 모두 기준값을 초과하여야 목표 지역에서 음영 지역이 사라진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t least one BIN among the average path loss values of the BINs located outside a radius of 300 m from S111 that is not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shaded area in the target area when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at the candidate location. Therefore,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70) determines the BIN with the next highest total score as the candidate location (S113). Then, the process repeats from S110. That is, S110, S111, and S113 are repeated by selecting the BIN of the candidate location in descending order of the total score until all the average path loss values of the BINs located outside a radius of 300 m from the BIN determined as the candidate location exceed the reference value. The shaded area disappears in the target area only when all the average path loss values of the BINs located outside a radius of 300 m exceed the reference value.

이처럼, 위치 결정 장치(100)는 도 2의 과정을 통해 목표 지역에서 기지국을 신설한 위치를 최적화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100) can optimize the location of a newly installed base station in the target area through the process of FIG. 2.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 상에 건물로 가상화 한 BIN의 예시도이고, 도 10은 한 실시예에 따른 평균 경로 손실(Pathloss)의 산출 예시도이고,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균 경로 손실의 산출 예시도이고,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균 경로 손실의 산출 예시도이고,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균 경로 손실의 산출 예시도이고,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균 경로 손실의 산출 예시도이고,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측면 좌표를 산출하는 예시도이다.FIG. 9 is an example diagram of a BIN virtualized as a building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0 is an example diagram of calculating average path lo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1 is an example diagram of calculating average path lo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2 is an example diagram of calculating average path loss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FIG. 13 is an example diagram of calculating average path loss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FIG. 14 is an example diagram of calculating average path loss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and FIG. 15 is an example diagram of calculating side coordin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BIN을 가상 공간에서 다면체 형상의 건물로 가상화 할 수 있다. 이때, 가상 공간은 2차원 또는 3차원 표준 좌표계로 지정된다. 다면체 형상의 건물은 BIN 높이가 건물 높이로 설정되고 건물의 상하 단면(S)은 BIN 크기로 설정된다.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지도 DB(110)로부터 각 BIN의 객체 ID를 이용하여 폴리곤 정보를 호출하고, 폴리곤 정보 내에 꼭지점 값들을 표준 좌표계에 적합하게 환산하여 도 9와 같이 다면체 형상의 건물로 가상화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n virtualize a BIN into a polyhedral-shaped building in a virtual space. At this time, the virtual space is specified as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tandard coordinate system. For a polyhedral-shaped building, the BIN height is set to the building height, and the upper and lower sections (S) of the building are set to the BIN size.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ls polygon information using the object ID of each BIN from the map DB (110), and converts the vertex values in the polygon information to be suitable for the standard coordinate system, so that it can be virtualized as a polyhedral-shaped building as shown in FIG. 9.

이하, 도 4의 (a)에 나타낸 복수의 BIN 중에서 BIN #1에 대한 평균 경로 손실값을 산출하는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BIN #1에 대한 평균 경로 손실값은 BIN #1으로부터 나머지 BIN들(BIN #2 ~ BIN #49)까지의 경로 손실값들의 평균값이다. Below, an example of calculating the average path loss value for BIN #1 among multiple BINs shown in (a) of Fig. 4 is described. In this case, the average path loss value for BIN #1 is the average value of the path loss values from BIN #1 to the remaining BINs (BIN #2 to BIN #49).

경로 손실은 거리 함수의 모델로 정의되므로, BIN들간의 경로 손실은 BIN들간의 거리를 알면 구할 수 있다. BIN들은 건물로 가상화 되었으므로, 건물들 간의 거리를 구하게 된다. 이때, 기지국은 건물의 가장 높은 층, 예컨대, 옥상에 설치된다. 경로 손실은 건물의 가장 낮은 층에서 높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경로 손실 계산을 위한 거리는 건물의 상면 중심 좌표에서 건물의 바닥면 중심 좌표까지를 이은 선분의 길이로 계산된다. Since path loss is defined as a model of a distance function, the path loss between BINs can be calculated by kn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INs. Since the BINs are virtualized as buildings, the distance between the buildings is calculated.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on the highest floor of the building, for example, the rooftop. The path loss has a high value on the lowest floor of the building. Therefore, the distance for calculating the path loss is calculated as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coordinates of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of the buil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BIN #1과 BIN #9 간의 경로 손실값을 산출하는 내용을 설명한다. 이때, BIN #1과 BIN #9는 모두 BIN 유형이 건물 유형이다. 또한, BIN #1과 BIN #9 사이에는 다른 BIN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경로 손실 모델은 건물 투과만 고려한다.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건물 투과를 고려하는 경로 손실 모델(이하, '건물 투과 경로 손실 모델')을 이용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10, the content of calculating the path loss value between BIN #1 and BIN #9 is explained. At this time, both BIN #1 and BIN #9 are BIN types of building type. In addition, there is no other BIN between BIN #1 and BIN #9. Therefore, the path loss model considers only building penetration.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uses a path loss model that considers building penetration (hereinafter, 'building penetration path loss model').

건물 투과 경로 손실 모델은 다양한 모델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 수학식 1, 2, 3과 같은 경로 손실 모델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지 경로 손실 모델의 예시로서, 이러한 모델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A variety of models can be used for the building penetration path loss model,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path loss models such as the following mathematical expressions 1, 2, and 3 can be used.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of a path loss model, and is not limited to this model.

[수학식 1][Mathematical formula 1]

[수학식 2][Mathematical formula 2]

[수학식 3][Mathematical Formula 3]

수학식 1, 2, 3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정의된 다양한 경로 손실(PLInH-LOS, PLInH-NLOS, PL'InH-NLOS, Optional PL'InH-NLOS)의 산출 수식의 예시로서, 수학식 2, 3은 다중 경로에서의 경로 손실 산출 수식을 나타낸다. 여기서, d3D는 BIN들간의 거리가 사용된다. fc는 설치할 기지국의 주파수가 사용된다.Mathematical expressions 1, 2, and 3 are examples of calculation formulas for various path losses (PL InH-LOS , PL InH-NLOS , PL' InH-NLOS , Optional PL' InH-NLOS ) defined in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nd mathematical expressions 2 and 3 show path loss calculation formulas in multipath. Here, d 3D is the distance between BINs. f c is the frequency of the base station to be installed.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BIN #1의 상면(S1)의 중심 좌표(P1)와 BIN #9의 바닥면(S2)의 중심 좌표(P2) 간의 거리(d1)를 건물 투과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BIN #1과 BIN #9 간의 경로 손실값을 산출할 수 있다.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n calculate the path loss value between BIN #1 and BIN #9 by applying the distance (d1) between the center coordinate (P1) of the upper surface (S1) of BIN #1 and the center coordinate (P2) of the bottom surface (S2) of BIN #9 to the building penetration path loss model.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폴리곤 정보를 통해 중심 좌표, 즉, P1과 P2를 확인하고, 이를 정규화(normalization)하여 거리 계산에 이용할 수 있다.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n use polygon information to check the center coordinates, i.e., P1 and P2, and normalize them to use them for distance calculation.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의 다른 예시로서, BIN #9가 도로 유형인 경우에 해당한다.Referring to Figure 11, as another example of Figure 10, BIN #9 corresponds to a road type.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BIN #1의 상면(S1)의 중심 좌표(P1)에서 BIN #9의 바닥면(S2)의 중심 좌표(P2)에 이르는 거리(d2, d3)를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경로 손실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d2는 P1과 P3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P3는 BIN #1의 측면(S3)과 BIN #9의 상면(S4)이 교차하는 선분 상에 위치하는 교점 좌표이다. d3는 P3와 P2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d2는 건물 내부를 통과하므로,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d2를 건물 투과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경로 손실값(v1)을 계산한다. 또한, BIN #9는 도로 유형이므로 d3는 건물 내부가 아닌 외부 공간을 통과한다. 따라서,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d3를 자유 공간(free space)에서의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경로 손실값(v2)을 계산한다. 여기서, 자유 공간 경로 손실 모델은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될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이므로,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 by applying the distance (d2, d3) from the center coordinate (P1) of the top surface (S1) of BIN #1 to the center coordinate (P2) of the bottom surface (S2) of BIN #9 to the path loss model. Here, d2 represents the distance between P1 and P3. P3 is an intersection coordinate located on the line segment where the side surface (S3) of BIN #1 and the top surface (S4) of BIN #9 intersect. d3 represents the distance between P3 and P2. Since d2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 (v1) by applying d2 to the building penetration path loss model. In addition, since BIN #9 is a road type, d3 passes through the exterior space, not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erefore,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 (v2) by applying d3 to the path loss model in free space. Here, the free space path loss model can be defined as in mathematical expression 4, but this is an example for explana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수학식 4][Mathematical formula 4]

여기서, K는 자유 공간 경로 손실 계수로서, 안테나 이득 등 각종 전파 환경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λ는 설치할 기지국의 파장에 해당한다. d는 BIN들 간의 거리를 말한다.Here, K is the free space path loss coefficient, which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various propagation environments such as antenna gain, and λ corresponds to the wavelength of the base station to be installed. d refers to the distance between BINs.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경로 손실값(v1)과 경로 손실값(v2)을 합한 값을 BIN #1에서 BIN #9 까지의 경로 손실값으로 산출한다.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 from BIN #1 to BIN #9 by adding the path loss value (v1) and the path loss value (v2).

도 12를 참조하면, BIN #1에서 BIN #17 까지의 경로 손실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이때, BIN #1과 BIN #17 사이에는 BIN #9가 존재한다. 또한, BIN #1, BIN #9, BIN #17는 모두 건물 유형인 경우에 해당한다. Referring to Figure 12, this is an example diagram explaining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path loss value from BIN #1 to BIN #17. At this time, BIN #9 exists between BIN #1 and BIN #17. In addition, BIN #1, BIN #9, and BIN #17 all correspond to the building type.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BIN #1의 상면(S1)의 중심 좌표(P1)에서 BIN #17의 바닥면(S5)의 중심 좌표(P4)까지의 거리(d4, d5, d6, d7, d8)를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BIN #1에서 BIN #17 까지의 경로 손실값을 계산한다.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 from BIN #1 to BIN #17 by applying the distance (d4, d5, d6, d7, d8) from the center coordinate (P1) of the upper surface (S1) of BIN #1 to the center coordinate (P4) of the bottom surface (S5) of BIN #17 to the path loss model.

d4는 BIN #1의 상면(S1)에서 BIN #1의 측면(S3)까지의 거리로서, P1과 P5 간의 거리에 해당한다. d5는 BIN #1의 측면(S3)에서 BIN #9의 상면(S4)까지의 거리(P5와 P6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d6는 BIN #9의 상면(S4)에서 BIN #9의 측면(S6)까지의 거리(P6과 P7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d7는 BIN #9의 측면(S6)에서 BIN #17의 상면(S7)까지의 거리(P7과 P8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d8는 BIN #17의 상면(S7)에서 BIN #17의 바닥면(S5)까지의 거리(P8과 P4간의 거리)를 나타낸다.d4 is the distance from the top surface (S1) of BIN #1 to the side surface (S3) of BIN #1, which corresponds to the distance between P1 and P5. d5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the side surface (S3) of BIN #1 to the top surface (S4) of BIN #9 (the distance between P5 and P6). d6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the top surface (S4) of BIN #9 to the side surface (S6) of BIN #9 (the distance between P6 and P7). d7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the side surface (S6) of BIN #9 to the top surface (S7) of BIN #17 (the distance between P7 and P8). d8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the top surface (S7) of BIN #17 to the bottom surface (S5) of BIN #17 (the distance between P8 and P4).

이때, d4, d6, d8는 건물 내부를 통과하므로,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d4, d6, d8를 건물 투과 경로 손실 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경로 손실값들(V3)을 계산한다. d5, d7은 건물 외부를 통과하므로,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d5, d7를 자유 공간 경로 손실 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경로 손실값들(V4)을 계산한다.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경로 손실값들(V3)과 경로 손실값들(V4)을 합산한 값을 BIN #1에서 BIN #17 까지의 경로 손실값으로 계산한다.At this time, since d4, d6, and d8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s (V3) by applying d4, d6, and d8 to the building penetration path loss model, respectively. Since d5 and d7 pass through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s (V4) by applying d5 and d7 to the free space path loss model, respectively.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s from BIN #1 to BIN #17 as the sum of the path loss values (V3) and the path loss values (V4).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의 다른 예시로서, BIN #1, BIN #9는 건물 유형이고 BIN #17는 도로 유형인 경우에 해당한다. Referring to FIG. 13, as another example of FIG. 12, BIN #1 and BIN #9 correspond to building types and BIN #17 corresponds to road type.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BIN #1의 상면(S1)의 중심 좌표(P1)에서 BIN #17의 바닥면(S5)의 중심 좌표(P4)까지의 거리(d4, d5, d6, d9)를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BIN #1에서 BIN #17 까지의 경로 손실값을 계산한다.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 from BIN #1 to BIN #17 by applying the distance (d4, d5, d6, d9) from the center coordinate (P1) of the upper surface (S1) of BIN #1 to the center coordinate (P4) of the bottom surface (S5) of BIN #17 to the path loss model.

이때, d9는 BIN #9의 측면(S6)에서 BIN #17의 바닥면(S5)까지의 거리(P7과 P4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At this time, d9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the side (S6) of BIN #9 to the bottom surface (S5) of BIN #17 (the distance from P7 to P4).

d4, d6은 건물 내부를 통과하므로,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d4, d6을 건물 투과 경로 손실 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경로 손실값들(V5)을 계산한다. d5, d9는 건물 외부를 통과하므로,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d5, d9를 자유 공간 경로 손실 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경로 손실값들(V6)을 계산한다.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경로 손실값들(V5)과 경로 손실값들(V6)을 합산한 값을 BIN #1에서 BIN #17 까지의 경로 손실값으로 계산한다.Since d4 and d6 pas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path loss values (V5) by applying d4 and d6 to the building penetration path loss model, respectively. Since d5 and d9 pass through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path loss values (V6) by applying d5 and d9 to the free space path loss model, respectively.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s from BIN #1 to BIN #17 by adding the path loss values (V5) and the path loss values (V6).

도 14를 참조하면, 도 12의 다른 예시로서, BIN #9의 높이가 BIN #1 및 BIN #17보다 낮은 경우에 해당한다. Referring to FIG. 14, as another example of FIG. 12, the height of BIN #9 is lower than BIN #1 and BIN #17.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BIN #1의 상면(S1)의 중심 좌표(P1)에서 BIN #17의 바닥면(S5)의 중심 좌표(P4)까지의 거리(d4, d10, d11)를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BIN #1에서 BIN #17 까지의 경로 손실값을 계산한다.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 from BIN #1 to BIN #17 by applying the distance (d4, d10, d11) from the center coordinate (P1) of the upper surface (S1) of BIN #1 to the center coordinate (P4) of the bottom surface (S5) of BIN #17 to the path loss model.

d10은 P5와 P9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P9는 BIN #9의 상면(S4)과 BIN #17의 측면(S8)이 교차하는 선분 상에 위치하는 교점 좌표이다. d11은 P9에서 P4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d10 represents the distance between P5 and P9. P9 is the intersection point coordinate located on the line segment where the upper surface (S4) of BIN #9 intersects the side surface (S8) of BIN #17. d11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P9 to P4.

이때, d4, d11은 건물 내부를 통과하므로,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d4, d11을 건물 투과 경로 손실 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경로 손실값들(V7)을 계산한다. d10은 건물 외부를 통과하므로,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d10을 자유 공간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경로 손실값(V8)을 계산한다. 경로 손실 계산부(160)는 경로 손실값들(V7)과 경로 손실값(V8)을 합산한 값을 BIN #1에서 BIN #17 까지의 경로 손실값으로 계산한다. 이상 설명한 도 11 ~ 도 14에서 거리 계산에 사용되는 좌표들(P1, P2, P3, P4, P5, P6, P7, P8, P9)는 각 면(S1, S2, S3, S4, S5, S6, S7, S8, S9)에 대한 중심 좌표가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d4 and d11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s (V7) by applying d4 and d11 to the building penetration path loss model, respectively. Since d10 passes through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 (V8) by applying d10 to the free space path loss model. The path loss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s from BIN #1 to BIN #17 as the sum of the path loss values (V7) and the path loss value (V8). The coordinates (P1, P2, P3, P4, P5, P6, P7, P8, P9) used for distance calculation in FIGS. 11 to 14 described above may use the center coordinates for each surface (S1, S2, S3, S4, S5, S6, S7, S8, S9).

이때, 상면(S1, S4, S7)과 바닥면(S2, S5)의 좌표(P1, P2, P4, P6, P8 )는 건물의 꼭지점 좌표를 통해 산출된 중심 좌표가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ordinates (P1, P2, P4, P6, P8) of the upper surface (S1, S4, S7) and the bottom surface (S2, S5) can use the center coordinates derived through the coordinates of the vertices of the building.

또한, 측면(S3, S6, S8)의 교점 좌표(P3, P5, P7, P9)는 교점면의 중심 좌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교점면의 중심 좌표는 건물의 꼭지점 좌표, 건물의 높이를 통해 산출될 수 있으며, 이를 설명하면, 도 15와 같다.In addition, the intersection coordinates (P3, P5, P7, P9) of the sides (S3, S6, S8) can use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intersection plane. At this time,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intersection plane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coordinates of the vertex of the building and the height of the building, and this is explained as in Fig. 15.

도 15를 참조하면, 도 11에서 P3를 산출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15, an example of producing P3 in Fig. 11 is shown.

BIN #1의 꼭지점 좌표들을 b1, b2, b3, b4라 하고, h1은 BIN #1의 높이이고 h2는 BIN #9의 높이이다. P3는 BIN #1의 측면과 BIN #9의 상면이 교차하는 선분 상의 중심 좌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교차 선분 상의 중심 좌표는 b5와 b6의 좌표를 토대로 산출될 수 있다. b5는 b1, b3, h2를 토대로 산출될 수 있고, b6은 b2, b4, h2를 토대로 산출될 수 있다. Let the vertex coordinates of BIN #1 be b1, b2, b3, and b4, h1 is the height of BIN #1, and h2 is the height of BIN #9. P3 can be the center coordinate on the line segment where the side surface of BIN #1 and the upper surface of BIN #9 intersect. At this time, the center coordinate on the intersecting line segmen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coordinates of b5 and b6. b5 can be calculated based on b1, b3, and h2, and b6 can be calculated based on b2, b4, and h2.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화된 건물들은 가상 공간에서의 좌표값들에 매핑된다. 따라서, 가상 공간에서 각 건물들의 상면 중심과 바닥면 중심을 이는 선분이 각 면에서 만나는 교점은 가상 공산에 매핑된 좌표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이는 표준 좌표계로 가상화된 공간에서 건물들을 표현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virtualized buildings are mapped to coordinate values in the virtual space. Therefore,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top surface center and the bottom surface center of each building in the virtual spac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oordinates mapped to the virtual public mountain.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a program that expresses buildings in the virtualized space in a standard coordinate system.

한편, 도 1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Meanwhile, Fig. 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6을 참고하면, 도 1 ~ 도 15에서 설명한 위치 결정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200)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positioning device (100) described in FIGS. 1 to 15 may be a computing device (200) opera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컴퓨팅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메모리(220),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230), 통신 인터페이스(240), 입력 인터페이스(250) 및 디스플레이 장치(260)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버스(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컴퓨팅 장치(200)는 다양한 구성 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메모리(220)에 로드될 때 프로세서(210)로 하여금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10)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어는 기능을 기준으로 묶인 일련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이자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가리킨다.The computing devic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210), a memory (220) for loading a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210), a storage (230) for storing the program and various data, a communication interface (240), an input interface (250), a display device (260), and a bus (270) connecting them.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omponents. The program may include instructions that cause the processor (210) to perform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loaded into the memory (220). That is, the processor (210) may perform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executing the instructions. The instructions are a series of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grouped based on functions, and refer to components of a computer program and executed by a processor.

프로세서(210)는 컴퓨팅 장치(2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200). The processor (2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n MPU (Micro Processor Unit),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a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or any other type of processor well known in the ar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he processor (210) may perform operations for at least one application or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ope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메모리(2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22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23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emory (220) stores various data, commands, and/or information. The memory (220) can load one or more programs from the storage (230) to execute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mory (220) may be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a RAM (Random Access Memory), bu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스토리지(230)는 프로그램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23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torage (230) can store a program non-temporarily. Storage (230)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non-volatile memory such as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or any form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통신 인터페이스(240)는 컴퓨팅 장치(200)의 유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240)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40) support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200).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disclosure.

버스(290)는 컴퓨팅 장치(2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 다. 버스(29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The bus (290) provides communication functions between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200). The bus (29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buses such as an address bus, a data bus, and a control bus.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devices and methods, but may also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that realiz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개시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s (15)

삭제delete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기지국 설치 위치 결정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을 설치할 목표 지역을 정해진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그리고
지형 고도 또는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분할 영역의 높이,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소정 개수의 인접 분할 영역들로 둘러싸인 분할 영역과 상기 인접 분할 영역들 간의 상대적인 높이 비교, 그리고 분할 영역의 경로 손실(path loss)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하나의 분할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분할 영역을 상기 기지국을 설치할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 영역의 높이, 상기 상대적인 높이 비교 그리고 상기 경로 손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차등적으로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최상위 점수를 부여한 분할 영역을 후보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후보 위치로 결정한 분할 영역으로부터 정해진 반경의 바깥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들의 경로 손실들이 정해진 임계치를 충족하면, 상기 후보 위치를 기지국의 설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installation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opera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A step of dividing the target area where the base station is to be installed into multiple partition areas with a set size, and
A step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based on a height of the divided area determined based on a terrain elevation or a height of a building located in the divided area, a comparison of the relative heights between the divided area surround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adjacent divided areas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the adjacent divided areas, and a path loss of the divided area, and determining the selected divided area as a location to install the base station,
The above decision-making steps are:
A step of differentially assigning scores to the plurality of partitioned area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height of the partitioned area, the relative height comparison, and the path loss;
A step for determining the partition area that has been given the highest score as a candidate location, and
A step of determining the candidate location a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when the path losses of the partition areas located outside a set radius from the partition area determined as the candidate location meet a set threshold.
A method comprising:
제2항에서,
상기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후보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사이에,
분할 영역의 유형에 따라 설치 가능한 기지국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차등적으로 추가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paragraph 2,
Between the step of granting and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andidate location,
A step of differentially assigning additional points to the plurality of partition areas based on the types of base stations that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artition areas.
A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서,
상기 후보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바깥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들 중에서 상기 정해진 임계치를 충족하지 않는 분할 영역이 적어도 하나라도 있으면, 상기 후보 위치의 분할 영역에 부여된 점수 다음으로 높은 점수를 부여한 분할 영역을 후보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paragraph 2,
Betwee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andidate location and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If there is at least one partition area that does not meet the above-determined threshold among the partition areas located outside the above, a step of determining the partition area that is given a score next to the score given to the partition area of the candidate location as the candidate location.
A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서,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이전에,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건물들의 높이 중에서 최상위 건물 높이와 분할 영역의 지형 고도를 합한 값 또는 분할 영역에 건물이 없으면 지형 고도를 분할 영역의 높이로 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paragraph 2,
Before the step of assigning the above scores,
A step for selecting the height of the divided area as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highest building among the heights of buildings located in the divided area and the terrain height of the divided area, or if there are no buildings in the divided area, the terrain height.
A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5항에서,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임의의 기준 분할 영역을 둘러싼 8개의 인접 분할 영역의 높이를 상기 기준 분할 영역의 높이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분할 영역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분할 영역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트한 개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기준 분할 영역으로 선정된 분할 영역들에 차등적으로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
In Article 5,
Before the step of assigning the above scores,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comparing the height of eight adjacent partition areas surrounding any reference partition area among the plurality of partition areas with the height of the reference partition area and counting the number of partition areas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eference partition area,
The steps for assigning the above scores are:
A method for differentially assigning scores to partition areas selected as reference partition areas among a plurality of partition areas based on the counted number.
제2항에서,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임의의 분할 영역으로부터 나머지 분할 영역들까지의 경로 손실값 들의 평균 경로 손실값을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하여 계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paragraph 2,
Before the step of assigning the above scores,
A step of calculatin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 average path loss value of path loss values from any of the divided areas to the remaining divided areas.
A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7항에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을 3차원 가상 공간 상에서 분할 영역의 높이가 건물 높이로 설정되고 건물의 상하면은 분할 영역의 크기로 설정된 다면체 형상의 건물들로 가상화 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임의의 제1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제1 건물의 상면으로부터 경로 손실 측정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2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제2 건물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를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제1 분할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분할 영역까지의 경로 손실값들을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계산한 경로 손실값들의 평균값을 상기 제1 분할 영역의 경로 손실값으로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In Article 7,
The above calculation steps are:
A step of virtualizing the above multiple divided areas into polyhedral-shaped buildings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where the height of the divided areas is set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ildings are set to the size of the divided areas.
A step of applying a path loss model to the distance from the top surface of a first building corresponding to any first divided area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to the bottom surface of a second building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econd divided area, which is a path loss measurement target, and calculating path loss values from the first divided area to the at least one second divided area, and
A step of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above-mentioned calculated path loss values as the path loss value of the first partition area.
A method comprising: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기지국 설치 위치 결정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을 설치할 목표 지역을 정해진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지형 고도 또는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결정되는 분할 영역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차등적인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임의의 기준 분할 영역을 둘러싼 8개의 인접 분할 영역의 높이를 상기 기준 분할 영역의 높이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분할 영역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분할 영역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개수에 따른 차등적인 점수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기준 분할 영역들에 부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부여된 점수들을 합산하고, 합산한 총 점수가 최상위인 분할 영역을 기지국의 설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installation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opera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A step of dividing the target area where the base station is to be installed into multiple partition areas with a set size.
A step of assigning differential scores to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based on the height of the divided area, which is determined by the terrain elevation or the height of the building located in the divided area.
A step of comparing the heights of eight adjacent partition areas surrounding a reference partition area among the plurality of partition areas with the height of the reference partition area, counting the number of partition areas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eference partition area, and assigning a differential score according to the counted number to the reference partition areas among the plurality of partition areas; and
A step of adding up the scores given to the above multiple partition areas and determining the partition area with the highest total score a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A method comprising:
제9항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을 3차원 가상 공간 상에서 분할 영역의 높이가 건물 높이로 설정되고 건물의 상하면은 분할 영역의 크기로 설정된 다면체 형상의 건물들로 가상화 하고, 가상화 한 건물들 간의 거리를 건물 투과율을 고려한 경로 손실 모델 및 자유 공간에서의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대한 경로 손실들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산출한 경로 손실들에 기초하여 차등적인 점수를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Article 9,
Prior to the above decision step,
A step of virtualizing the above plurality of divided areas into polyhedral-shaped buildings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where the height of the divided area is set to the building height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ildings are set to the size of the divided area, and calculating path losses for the above plurality of divided areas by appl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ized buildings to a path loss model that considers the building transmittance and a path loss model in free space, and
A step of assigning differential scores to the plurality of partition areas based on the generated path losses.
A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분할 영역의 유형에 따라 설치 가능한 기지국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차등적으로 추가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Article 10,
Prior to the above decision step,
A step of differentially assigning additional points to the plurality of partition areas based on the types of base stations that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artition areas.
A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9항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합산한 총 점수가 최상위인 분할 영역을 후보 위치로 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후보 위치로 결정한 분할 영역으로부터 정해진 반경의 바깥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들의 경로 손실들이 정해진 임계치를 충족하면, 상기 후보 위치를 기지국의 설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In Article 9,
The above decision-making steps are:
A step of selecting the partition area with the highest total score as a candidate location, and
A step of determining the candidate location a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when the path losses of the partition areas located outside a set radius from the partition area determined as the candidate location meet a set threshold.
A method comprising:
기지국을 설치할 목표 지역을 정해진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영역 설정부,
지형 고도 또는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분할 영역의 높이,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소정 개수의 인접 분할 영역들로 둘러싸인 분할 영역과 상기 인접 분할 영역들 간의 상대적인 높이 비교, 그리고 분할 영역의 경로 손실(path loss)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차등적인 점수를 부여하는 점수 할당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부여받은 분할 영역에 상기 기지국을 설치하기로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점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을 후보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후보 위치로 결정한 분할 영역으로부터 정해진 반경의 바깥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들의 경로 손실들이 정해진 임계치를 충족하면, 상기 후보 위치를 기지국의 설치 위치로 결정하는, 기지국 설치 위치 결정 장치.
A partition area setting section that divides the target area where a base station is to be installed into multiple partition areas with a set size.
A score assignment unit that assigns differential scores to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based on a height of the divided area determined by a terrain elevation or a height of a building located in the divided area, a comparison of relative heights between a divided area surround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adjacent divided areas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the adjacent divided areas, and a path loss of the divided area; and
Including a loc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o install the base station in a partition area that is given a relatively high score among the plurality of partition areas,
The above position determining part,
A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determining device that determines a partition area with the highest score as a candidate location, and determines the candidate location as an installation location of a base station if the path losses of partition areas located outside a set radius from the partition area determined as the candidate location meet a set threshold.
제13항에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정해진 임계치를 충족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점수가 높은 분할 영역을 후보 위치로 결정하여 상기 임계치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기를 반복하는, 기지국 설치 위치 결정 장치.
In Article 13,
The above position determining part,
A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determination device that determines whether the above threshold is met by determining the next highest-scoring segment as a candidate location and repeat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above threshold is met.
제14항에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을 3차원 가상 공간 상에서 분할 영역의 높이가 건물 높이로 설정되고 건물의 상하면은 분할 영역의 크기로 설정된 다면체 형상의 건물들로 가상화 하고, 가상화 한 건물들 간의 거리를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대한 각각의 경로 손실값을 산출하는 경로 손실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 손실 계산부는,
제1 분할 영역을 가상화 한 제1 건물과 제2 분할 영역을 가상화 한 제2 건물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3 분할 영역을 가상화한 건물이 있을 경우, 건물들 간의 거리를 건물 투과율을 고려한 경로 손실 모델 및 자유 공간에서의 경로 손실 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산출한 경로 손실값들을 합산하여 상기 제1 분할 영역의 경로 손실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건물과 상기 제2 건물 사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건물이 없는 경우, 건물들 간의 거리를 건물 투과율을 고려한 경로 손실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제1 분할 영역의 경로 손실값을 산출하는, 기지국 설치 위치 결정 장치.
In Article 14,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divided areas are virtualized as polyhedral buildings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where the height of the divided areas is set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ildings are set to the size of the divided areas, and a path loss calculation unit is further included that calculates each path loss value for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by appl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ized buildings to the path loss model.
The above path loss calculation unit is,
If there is at least one building virtualizing a third partition area between a first building virtualizing a first partition area and a second building virtualizing a second partition area, the path loss values calculated by appl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uildings to a path loss model considering the building transmittance and a path loss model in free space are added to calculate the path loss value of the first partition area,
A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determination device that calculates a path loss value of the first divided area by applying a path loss model that considers building transmittance to the distance between buildings when there is no at least one third building between the first building and the second building.
KR1020220013543A 2022-01-28 2022-01-28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stallation location of base station Active KR1027390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543A KR102739096B1 (en) 2022-01-28 2022-01-28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stallation location of bas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543A KR102739096B1 (en) 2022-01-28 2022-01-28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stallation location of base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513A KR20230116513A (en) 2023-08-04
KR102739096B1 true KR102739096B1 (en) 2024-12-04

Family

ID=8756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543A Active KR102739096B1 (en) 2022-01-28 2022-01-28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stallation location of bas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90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78935B (en) * 2023-11-04 2024-06-18 天宇正清科技有限公司 Base station address selec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1699A (en) * 2006-04-10 2006-07-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Wireless base station arrangement method
JP2019198051A (en) 2018-05-13 2019-11-14 Necネッツエスアイ株式会社 Station installation place candidate sel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998A (en) * 2000-07-28 2002-02-02 윤종용 System for managing data for estabilishing base station in radio network
JP4928531B2 (en) * 2008-01-10 2012-05-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30060913A (en) *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1699A (en) * 2006-04-10 2006-07-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Wireless base station arrangement method
JP2019198051A (en) 2018-05-13 2019-11-14 Necネッツエスアイ株式会社 Station installation place candidate sel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513A (en)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5680B2 (en) Radio wave propagation analysis result display system
US8995988B2 (en)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analyzing system,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analyzing method, and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analyzing program
EP3675547A1 (en) Base station deployment method and device
JP5273664B2 (en)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system,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method, and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program
US8666320B2 (en) Radio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 estimating system, its method, and program
JP2003163975A (en) Method and system for planning and evaluation of cdma radio network
JP4711117B2 (en) SEARCH METHOD, SEARCH SYSTEM, AND SEARCH PROGRAM
JP2020113826A (en) Installation candidate presentation method, installation candidate presentation device, and program
CN115412926B (en) Base station site planning method, base station site planning system, equipment and medium
CN113133007A (e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selecting address of communication station
KR1027390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stallation location of base station
CN114641015A (en) Network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haradwaj et al.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 for setting up cell phone tower in city environment using lidar data
CN115988509B (en) Communication network planning method, system, terminal and storage medium
EP4165429A1 (en) Computing system that is configured to assign wireless beacons to positions within a building
CN112243236B (en) Deployment method and device of base stati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6921978B (en) Position distribu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US12074661B2 (en)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Wi-Fi signal propagation based on building plan with implicit geometry
RU2460243C1 (en) Method to plan radio access networks
WO2023032223A1 (en) Station installation design supporting method and station installation design supporting apparatus
Can et al. Gateway Placement in LoRaWAN Enabled Sensor Networks.
CN119789104B (en) Frequency band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nonvolati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7331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tical frequency sharing in communication system
CN119743842B (en) Cluster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group spectrum resource planning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JP7597132B2 (en) Base station layout support device, base station layout support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X0901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