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83011B1 - Hood latch assembling device for a car - Google Patents
Hood latch assembling device for a c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83011B1 KR102783011B1 KR1020220089302A KR20220089302A KR102783011B1 KR 102783011 B1 KR102783011 B1 KR 102783011B1 KR 1020220089302 A KR1020220089302 A KR 1020220089302A KR 20220089302 A KR20220089302 A KR 20220089302A KR 102783011 B1 KR102783011 B1 KR 1027830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 hood latch
- moving
- latch assembly
- s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50 conventional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의 선별정보를 기반으로 조립체 유도부 및 캐리어 고정부의 제어하여 해당 캐리어에 안정적으로 후드래치 조립체가 장착될 수 있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드래치 조립체를 캐리어에 정위치시키는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는 상기 캐리어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리어 이동부와, 상기 캐리어 이동부 후방 양측에 위치하되 승강 및 전후 방향으로 단계별 이동하여 캐리어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캐리어 고정부와, 상기 캐리어 고정부 상부에 승강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캐리어의 정위치에 후드래치 조립체가 장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립체 유도부 및 상기 캐리어 이동부, 상기 캐리어 고정부 및 상기 조립체 유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n assembly guide portion and a carrier fixing portion based on selection information of a carrier to guide a position where a hood latch assembly can be stably mounted on a corresponding carri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for properly positioning a hood latch assembly on a carrier, wherein the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includes a carrier moving portion on which the carrier is movably mounted, a pair of carrier fixing port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carrier moving portion and moving in a stepwise manner in an up-and-down and forward-and-backward direction to fix the carrier, an assembly guide portion that guides a hood latch assembly to be mounted on a correct position of a carrier having different shapes by moving up-and-down and in a left-and-right direction above the carrier fixing portion, and a control portion that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carrier moving portion, the carrier fixing portion, and the assembly guide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캐리어의 선별정보를 기반으로 조립체 유도부 및 캐리어 고정부의 제어하여 해당 캐리어에 안정적으로 후드래치 조립체가 장착될 수 있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n assembly guide unit and a carrier fixing unit based on selection information of a carrier to guide a position where a hood latch assembly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carrier.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에는 라디에이터 등과 같은 열교환기와, 헤드램프(Head Lamp), 범퍼(Bumper)조립체 등의 부품이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되는 상기 라디에이터부, 헤드램프, 범퍼조립체 등을 개별적으로 차체에 설치하지 않고, 조립의 간편화 및 조립공수의 절감을 위하여 캐리어(Carrier)에 각각 장착하여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FEM)을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을 자동차 조립공장으로 운반하여 자동차의 전방 바디부에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In general, heat exchangers such as radiators, and parts such as head lamps and bumper assemblies are installed at the front of a car. However, recently, in order to simplify assembly and reduce assembly work, the radiator, head lamps, bumper assemblies, etc.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car are not individually installed on the car body, but are each mounted on a carrier to form a front end module (FEM), and the front end module is transported to an automobile assembly plant and installed on the front body of the car.
후드래치(Hood Latch)란 자동차의 전방캐리어에 부착되는 후드래치 조립체와, 상기 후드래치 조립체에 맞물려 고정되는 자동차 전방후드의 피고정부로, 자동차의 전방후드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말한다.A hood latch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fixing the front hood of a vehicle, including a hood latch assembly attached to the front carrier of the vehicle and a fixed portion of the front hood of the vehicle that is fixed by engaging with the hood latch assembly.
일예로, 도 1은 도시한 통상의 후드래치 조립체(10)와 상기 후드래치 조립체가 설치되는 캐리어(20)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래치 조립체(10)에는 3개의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후드의 피고정부(미도시)를 고정하는 후드수용부가 형성된다.As an example, FIG. 1 illustrates a typical hood latch assembly (10) and a carrier (20) on which the hood latch assembly is installed. As illustrated, three fixing holes are formed in the hood latch assembly (10), and a hood receiving portion for fixing a hood fixing portion (not illustrated)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또한, 상기 후드래치 조립체가 조립되는 캐리어의 위치에도 상기 고정구멍에 대응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양 고정구멍이 서로 일치하도록 후드래치 조립체를 캐리어 상에 위치시킨 후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써 조립하게 된다.In addition, a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carrier where the hood latch assembly is assembled, so that the hood latch assembly is positioned on the carrier so that the two fixing hole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then assembled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후드래치 조립체를 미리 캐리어에 조립한 상태로 자동차 조립공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는 경우에, 후드래치 조립체의 조립된 위치에 오차가 있으면 자동차의 후드가 상기 후드래치 조립체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hood latch assembly is transported to an automobile assembly plant in a state where it is assembled in advance on a carrier, if there is an error in the assembled position of the hood latch assembly, the hood of the automobile may not be secured by the hood latch assembly.
만약, 상기와 같은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조립된 프론트엔드 모듈이나 조립된 자동차 전체가 불량이 되어버리므로 그 불량의 해소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If a case like the above occurs, the assembled front-end module or the entire assembled vehicle will become defective, requiring enormous cost and time to resolve the defect.
또한, 후드래치 조립체를 장착하는 조립과정에서 공급되는 캐리어는 서로 다른 형상 즉, 해당 후드래치 조립체가 장착되는 위치나 조립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이 서로 상이한 캐리어가 공급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종래에는 캐리어의 형상에 맞는 조립장치를 별도 구비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assembly process for mounting the hood latch assembly, the supplied carriers may have different shapes, that is, carriers with different positions at which the hood latch assembly is mounted or different parts fixed by the assembly device may be supplie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an assembly device that matches the shape of the carrier must be separately prepared and used.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론트엔드모듈을 구성하는 단계에서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캐리어의 정확한 위치에 후드래치 조립체를 조립위치를 조정하여 조립함으로써, 자동차의 조립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며, 후드래치 조립체의 위치오차를 줄임으로써 불량률을 낮추는 후드래치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hood latch assembly device that reduces the time required for the assembly process of an automobile by adjusting the assembly position of a hood latch assembly to the exact position of a carrier having different shapes in the step of configuring a front-end module, and reduces the defect rate by reducing the positional error of the hood latch assembly.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는 후드래치 조립체를 캐리어(20)에 정위치시키는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는 상기 캐리어(20)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리어 이동부(100)와, 상기 캐리어 이동부(100) 후방 양측에 위치하되 승강 및 전후 방향으로 단계별 이동하여 캐리어(20)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캐리어 고정부(300)와, 상기 캐리어 고정부(300) 상부에 승강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캐리어(20)의 정위치에 후드래치 조립체가 장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립체 유도부(200) 및 상기 캐리어 이동부(100), 상기 캐리어 고정부(300) 및 상기 조립체 유도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for positioning a hood latch assembly on a carrier (20),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includes a carrier moving part (100) on which the carrier (20) is movably mounted, a pair of carrier fixing parts (300)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carrier moving part (100) for moving up and down and forward and backward in steps to fix the carrier (20), an assembly guiding part (200) for moving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carrier fixing part (300) to guide the hood latch assembly to be mounted o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carrier (20) having different shapes, and a control part (400)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carrier moving part (100), the carrier fixing part (300), and the assembly guiding part (200).
또한, 상기 조립체 유도부(200)는 승강은 물론, 캐리어(20)의 파지가 가능한 메인유도부재(210)와, 상기 메인유도부재(210) 후방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되 승강은 물론, 캐리어(20)의 파지가 가능한 서브유도부재(220) 및 상기 메인유도부재(210)와 상기 서브유도부재(220) 일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ssembly guide member (200) includes a main guide member (210) that is capable of lifting and holding a carrier (20), a sub-guide member (220) that is position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main guide member (210) and is capable of lifting and holding a carrier (20), and a moving member (230) that moves the main guide member (210) and the sub-guide member (2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상기 서브유도부재(220)는 캐리어(20)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이동부재(230)에 고정 장착되는 서브붐대(221)와, 상기 서브붐대(221)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서브브라켓(223)과, 상기 서브브라켓(223) 중앙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실린더(225)와, 상기 서브실린더(225)의 신장되는 로드 하부에 구비되어 캐리어(20)에 장착되기 위한 후드래치 조립체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서브안내편(227) 및 상기 서브브라켓(223)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캐리어(20) 외면을 파지에 고정하는 서브그립퍼(229)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붐대(221)의 돌출길이는 상기 메인유도부재(210)를 구성하는 메인붐대(211)와 대비하여 더 짧은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b-guiding member (220) includes a sub-boom (221) that is fixedly mounted to the movable member (230)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carrier (20), a sub-bracket (223) that is fixed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b-boom (221), a sub-cylinder (225) that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ub-bracket (223) so as to be able to rise and fall, a sub-guide piece (227) that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extending rod of the sub-cylinder (225) to guide the mounting position of a hood latch assembly to be mounted on the carrier (20), and a sub-gripper (229) that is provid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sub-bracket (223) to secure the outer surface of the carrier (20) to the gripper, wherei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ub-boom (221) is preferably shorter than that of the main boom (211) that constitutes the main guiding member (210).
또한, 상기 이동부재(230)는 베이스(500)에 고정 설치되되 외면에는 레일(233)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231) 및 후면이 상기 레일(233)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면에는 상기 메인유도부재(210)와 상기 서브유도부재(220)가 장착되는 이동플레이트(235)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모터(33)는 제어부(400)의 제어를 통해 임의의 기준라인(L)에 상기 메인유도부재(210) 또는 상기 서브유도부재(220)의 중심부가 일치하도록 상기 이동플레이트(235)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vable member (230) includes a fixed plate (231) that is fixedly installed to the base (500) and has a rail (23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movable plate (235)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rail (233) on the rear side and has the main guide member (210) and the sub-guide member (220) mounted on the front sid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al motor (33) moves the movable plate (235) so that the center of the main guide member (210) or the sub-guide member (220) coincides with an arbitrary reference line (L)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또한, 상기 캐리어 고정부(300)는 베이스(500) 내부에 고정설치되되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우징부재(310) 및 상기 하우징부재(310) 양측에 구비되되 승강은 물론,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캐리어(20)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부재(320)를 포함하되, 상기 캐리어 고정부(300)는 상기 캐리어 이동부(100)를 통해 이동하는 캐리어(20)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캐리어(2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rrier fixing member (300) includes a housing member (310) that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base (500)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pair of fixing members (320) that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member (310) and ar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well as up and down to fix the carrier (2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arrier fixing member (300) moves at least one of the housing member (310) and the fixing member (320) forward in response to the carrier (20) moving through the carrier moving member (100) so that the carrier (20) is fixed.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310)는 상부에는 상기 캐리어 이동부(100) 방향으로 신장되는 고정실린더(313)와 제1가이드바(315)가 형성된 하우징(311) 및 하부가 상기 제1가이드바(315)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고정실린더(313)에 의해 이동하되 상부에는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32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가이드바(319)가 형성된 이동체(317)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체(317)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고정부재(320)는 개별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using member (310) includes a housing (311) formed with a fixed cylinder (313)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arrier moving member (100) and a first guide bar (315) at the upper end, and a moving body (317) formed with a second guide bar (319) at the lower end that is slidably inserted with the first guide bar (315) and moves by the fixed cylinder (313), but on the upper end, a pair of fixed members (320) are slidably mount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members (320) provided on each of the upper sides of the moving body (317)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0) so that they can operate individually.
또한, 상기 고정부재(320)는 하부는 상기 제2가이드바(319)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구동체(321) 및 상기 구동체(321)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되 돌출된 끝단부는 캐리어(20)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수단(323)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323)은 상기 구동체(32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브라켓(325), 상기 승강브라켓(325) 내외부로 출입 가능하게 구비된 고정핀(327), 상기 고정핀(327)을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329)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320) preferably includes a lower portion, a driving body (321) movably inserted with the second guide bar (319), and a fixing means (323) that is installed in a manner that is movable and protrudes in front of the driving body (321) and has a protruding end that is inserted and fixed to a carrier (20), wherein the fixing means (323) preferably includes an elevating bracket (325) that is installed in a manner that is movable to the driving body (321), a fixing pin (327) that is provided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elevating bracket (325), and a moving cylinder (329) that moves the fixing pin (327).
또한, 상기 승강브라켓(325) 상부에는 캐리어(20)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핀(327)의 삽입 여부를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제어부(400)에 전송하기 위한 감지센서(3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센서(330)는 푸쉬 가능한 핀(PIN)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핀(327)이 캐리어(20)에 관통 삽입된 이후에 캐리어(20)의 가압에 의해 온/오프(ON/OFF) 스위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bracket (325) further includes a detection sensor (330) for detecting whether the fixing pin (327) inserted into the carrier (20) is inserted by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400). Preferably, the detection sensor (330) is formed of a pushable pin structure and is switched on/off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carrier (20) after the fixing pin (327) is inserted through the carrier (20).
또한, 상기 캐리어 이동부(100)는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110) 상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되 내부에는 다수의 이송롤러(12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이송바(120)와, 상기 이송바(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에 캐리어(20)가 장착되는 이송지그(130) 및 상기 이송지그(130)를 고정시키는 포지셔너(140)를 포함하되, 상기 포지셔너(140)는 상기 이송지그(130)가 상기 이송바(120)의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였음을 감지 후, 감지정보를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위치센서(141)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센서(141)의 감지정보를 전송받은 제어부(400)는 상기 포지셔너(140)의 승강핀(143)을 상승시켜 상기 이송지그(130)가 이송롤러(121)와 면접하지 않도록 상승 후, 상기 승강핀(14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rrier moving part (100) includes a pedestal (110), a transfer bar (12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edestal (110)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121) rotatably provided inside, a transfer jig (130)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bar (120) and having a carrier (20) mounted on the upper part, and a positioner (140) that fixes the transfer jig (130), wherein the positioner (140) includes a position sensor (141) that detects that the transfer jig (130) ha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ransfer bar (120) and transmits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400) that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position sensor (141) raises the lifting pin (143) of the positioner (140) so that the transfer jig (130) is It is desirable to ensure that after rising, it can be fixed by the lifting pin (143)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transport roller (121).
또한, 제어부(400)는 상기 캐리어 이동부(100)에 의해 이동하는 캐리어(20)의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인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캐리어 고정부(300)와 상기 조립체 유도부(20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400)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rrier (20) moving by the carrier moving unit (100) and control the carrier fixing unit (300) and the assembly guidance unit (200) based on the recogni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캐리어 이동부를 통해 공급되는 캐리어의 선별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조립체 유도부 및 캐리어 고정부의 제어함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캐리어를 기준라인에 맞추어 용이하게 위치 조정 후, 후드래치 조립체의 장착 위치를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by controlling the assembly guide section and the carrier fixing section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carrier supplied through the carrier moving section, carriers having different shapes can be easily positioned in line with the reference line, and the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ood latch assembly can be stably guided for mounting.
도 1은 종래의 캐리어에 장착되는 후드래치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에 대한 캐리어 이동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에 대한 캐리어 유도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정면도.
도 6은 도 4에 대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에 대한 캐리어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대한 측면도.
도 9는 도 7에 대한 고정부재를 도시한 정면도.Figure 1 is a drawing showing a hood latch assembly mounted on a conventional carrier.
Figure 2 is a drawing showing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carrier moving part of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rawing showing a carrier guide part for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Figure 4.
Figure 6 is a plan view of Figure 4.
Figure 7 is a drawing showing a carrier fixing part for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view of Fig. 7.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fixing member for Fig. 7.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pecific embodiments may be depic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ily understanding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ttached drawing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that include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terms. The above-described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When it is stated that a certain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be pres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tated that a certain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s exist in between.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abbreviated or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이하, 간략하게 '조립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he “assemb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1)는 크게 캐리어 이동부(100), 조립체 유도부(200), 캐리어 고정부(300) 및 이들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assembl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carrier moving part (100), an assembly guiding part (200), a carrier fixing part (300), and a control part (400) that electrically controls at least one of these components.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캐리어 이동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된 캐리어(20)가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여 후에 설명하는 조립체 유도부(200)에 의해 해당 캐리어(20)에 후드래치 조립체(10:도 1 참조)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받침대(110), 이송바(120), 이송지그(130) 및 포지셔너(140)를 포함한다.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carrier moving unit (100) includes a support (110), a transfer bar (120), a transfer jig (130), and a positioner (140) configured to ensure that a mounted carrier (20)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hood latch assembly (10: see FIG. 1)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corresponding carrier (20) by an assembly guide unit (200)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S. 2 and 3.
예컨대 받침대(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분리 결합이 가능한 두 몸체가 지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며, 도면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받침대(110) 상면에는 한 쌍의 이송바(120)가 서로 이웃하게 고정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이송바(120)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그 상면에 포지셔너(14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the pedestal (110) is provided with two bodies that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from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relative to the ground, and a pair of transfer bars (120) are fixedly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10) that is relatively taller based on the drawing, and the other is arranged to be located below the transfer bar (120) so that a positioner (140)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또한, 소정길이를 갖는 이송바(120)는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다수의 이송롤러(1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121) 상면에는 이송지그(130) 하면이 면접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송바(120) 길이방향으로 상기 이송지그(130)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transfer bar (12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121) rotatably installed in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ransfer jig (130) is arrang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roller (121) can be contacted, thereby enabling movement of the transfer jig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bar (120).
또한, 하면이 이송바(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지그(130) 상부에는 후드래치 조립체가 조립되기 위한 캐리어(2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In addition, a carrier (20) for assembling a hood latch assembly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a transfer jig (130) that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bar (120).
이송지그(130) 하면에는 승강핀(143)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승강핀(143)의 승강을 통해 상기 이송지그(130) 하면이 이송롤러(121) 외면과 면접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하거나 해지되어 상기 승강핀(143)에 의해 고정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An insertion groove (not shown) for inserting an elevating pin (143)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jig (1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jig (130) may be moved b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fer roller (121) through the elevation of the elevating pin (143)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r may be released and fixedly positioned by the elevating pin (143).
한편, 본 발명에서의 이송지그(13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미도시) 등에 의해 이송바(120)를 따라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나 필요에 따라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transfer jig (130)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ved along the transfer bar (120) by a motor (not shown)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0), although not shown, or may be moved by an external force of a worker as needed.
또한, 포지셔너(140)는 이송바(120)를 따라 이동한 이송지그(130)가 정해진 위치에 도달시에 상기 이송지그(130)를 승강시켜 조립체 유도부(200)에 의해 후드래치 조립체가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위치센서(141)와 승강핀(143)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er (140) is configured to elevate the transfer jig (130) that has moved along the transfer bar (120) when it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hood latch assembly can be stably assembled by the assembly guide unit (200), and includes a position sensor (141) and an elevating pin (143).
위치센서(14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바(Bar)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송바(120)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지그(130) 외면과 접촉시에 전기적으로 온/오프(ON/OFF)되어 상기 이송지그(130)가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제어부(400)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정보를 전송한다.The position sensor (141) can be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llustrated, and is electrically turned on/off whe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a transfer jig (130) being transferred along a transfer bar (120), thereby transmitting detection information so that the control unit (400) can detect that the transfer jig (130) has reached a set position.
승강핀(143)은 포지셔너(14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승시에는 상기 승강핀(143) 상부가 삽입홈에 삽입되어 이송지그(130)가 상승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고, 하강시에는 상기 삽입홈 내에서 분리되어 상기 이송지그(130) 하면이 이송롤러(121) 상면에 안착하여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At least one lifting pin (143)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ositioner (140) so that it can be raised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rising,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pin (14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o provide power for the transfer jig (130) to rise, and when lowering, it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jig (130) is sett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roller (121) to enable movement.
이를 위해, 승강핀(143)은 포지셔너(140)에 구비된 실린더를 통해 승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To this end, the lifting pin (143) is design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through a cylinder provided in the positioner (140).
그리고, 상기 조립체 유도부(2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캐리어 이동부(100)를 통해 이동한 캐리어(20) 상부에 후드래치 조립체가 유도되어 장착될 수 있게 해당 캐리어(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메인유도부재(210), 서브유도부재(220) 및 이동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유도부재(210)와 상기 서브유도부재(220)는 후에 설명하는 메인붐대(211)와 서브붐대(221)의 길이차이와 상기 이동부재(230)에 장착되는 위치만 서로 상이할 분, 동일한 목적과 구조를 가지고 있기에 하기에는 상기 메인유도부재(210)의 설명으로 상기 서브유도부재(22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차용함에 유의한다.And, as shown in FIGS. 4 to 6, the assembly guide member (200) is configured to fix the carrier (20) so that the hood latch assembly can be guided and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rrier (20) moved through the carrier moving member (100)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main guide member (210), a sub guide member (220), and a moving member (230). The main guide member (210) and the sub guide member (220) differ only in the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main boom (211) and the sub boom (221) described later and in the mounting position on the moving member (230), and therefore, since they have the same purpose and structure, it is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ub guide member (220) is borrow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main guide member (210) below.
예컨대 후드래치 조립체가 장착되고자 하는 캐리어(20)의 장착 부분에 해당 후드래치 조립체를 유도하기 위한 메인유도부재(210)는 메인붐대(211), 메인브라켓(213), 메인실린더(215), 메인안내편(217) 및 메인그립퍼(219)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main guide member (210) for guiding the hood latch assembly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carrier (20) on which the hood latch assembly is to be mounted includes a main boom (211), a main bracket (213), a main cylinder (215), a main guide piece (217), and a main gripper (219).
메인붐대(2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붐대(221)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이동플레이트(235) 외면에 일측이 고정 장착되되 돌출된 타측에는 메인브라켓(213)이 고정 설치된다.As shown, the main boom (211) has one side fixedly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235) so as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sub boom (221), and the main bracket (213) is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protruding side.
이때, 메인붐대(211)의 돌출된 길이(D1)는 서브붐대(221)의 돌출된 길이(D2)와 대비하여 더 길게 돌출 형성된 길이차이를 제공함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성형된 캐리어(20)에 대응하여 메인유도부재(210) 또는 서브유도부재(22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후드래치 조립체를 해당 캐리어(20) 상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otruding length (D1) of the main boom (211) provides a longer protruding length difference compared to the protruding length (D2) of the sub boom (221), so that it is preferable to use either the main guide member (210) or the sub guide member (220) to mount the hood latch assemb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rrier (20) corresponding to the carrier (20) formed in different shapes.
즉,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래치 조립체가 장착되기 위한 캐리어(20)마다 서로 다른 임의의 기준라인(L)에 메인안내편(217) 중앙부가 위치하거나 서브안내편(227) 중앙부가 위치하도록 후에 설명하는 이동부재(230)를 통해 이동시켜 서로 다른 형상의 캐리어(20)에 대응하여 후드래치 조립체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s illustrated,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guide piece (217) or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 guide piece (227) is positioned on a different arbitrary reference line (L) for each carrier (20) on which the hood latch assembly is to be mounted, and the mounting of the hood latch assembly is facilitated by moving the carrier (20) using the moving member (230)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guide piece (217) or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 guide piece (227) is positioned on a different arbitrary reference line (L) for each carrier (20) having a different shape.
한편, 본 발명에서의 조립장치(1)는 하나의 이동부재(230)를 기준으로 메인유도부재(210) 일측에 서브유도부재(22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메인유도부재(210) 양측으로 상기 서브유도부재(22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assembl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having a sub-guiding member (22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guiding member (210) based on one moving member (2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b-guiding member (220)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guiding member (210) as needed.
서브브라켓(223)과 동일 형상을 갖는 메인브라켓(213)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도록 메인붐대(211)의 돌출된 타측에 고정 설치되되 외면 중앙부에는 메인실린더(215)에 의해 승강하는 메인안내편(217)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메인안내편(217) 양측으로 한 쌍의 메인그립퍼(219)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main bracket (213)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ub-bracket (223)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rotruding side of the main boom (211) so as to have an overall 'ㄷ' shape, and a main guide member (217)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a main cylinder (215) is mounted on the central part of the outer surface so as to be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main grippers (219) can b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main guide member (217).
서브실린더(225)와 동일 형상을 갖는 메인실린더(215)는 외면이 메인브라켓(213)에 장착되되 하방으로 신장되는 로드 끝단에는 메인안내편(217)이 설치되어 상기 메인안내편(217)이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한다.The main cylinder (215)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ub-cylinder (225) has its outer surface mounted on the main bracket (213), and a main guide piece (217)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rod extending downward so that the main guide piece (217) has a structure that allows it to be raised and lowered.
하여, 상술한 캐리어 이동부(100)를 통해 캐리어(20)가 정위치인 기준라인(L)에서 정지하면 제어부(400)의 제어를 통해 메인실린더(215)의 로드가 하강함과 동시에 메인안내편(217)이 후드래치 조립체가 장착되고자 하는 캐리어(20)의 공간부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후드래치 조립체 외면이 상기 메인안내편(217)에 안내되어 캐리어(20)에 장착되는 구조를 만족하게 된다.Thus, when the carrier (20) stops at the reference line (L), which is the fixed position, through the carrier moving part (100) described above, the load of the main cylinder (215) is lower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rt (400),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 guide piece (217)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of the carrier (20) where the hood latch assembly is to be mount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hood latch assembly is guided to the main guide piece (217) and mounted on the carrier (20), thereby satisfying the structure.
서브그립퍼(229)와 동일 구조를 갖는 메인그립퍼(219)는 메인실린더(215) 양측에 위치하도록 메인브라켓(213)에 고정 장착되되 공급되는 기압이나 유압 등에 의해 각각의 상기 메인그립퍼(219)에 서로 대칭되게 장착된 한 쌍의 그립퍼가 회전하여 캐리어(20) 외면을 파지 또는 해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main gripper (219)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sub gripper (229) is fixedly mounted on the main bracket (213) so as to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main cylinder (215), and a pair of grippers symmetrically mounted on each of the main grippers (219) rotate by the supplied air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etc., so as to grip or release the outer surface of the carrier (20).
이때, 메인그립퍼(219)와 동일한 구조 및 작용을 구현하는 본 발명에서의 서브그립퍼(229)는 서브실린더(225)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하나가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캐리어(20)를 안정적으로 파지 후,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브실린더(225) 양측으로 한 쌍의 상기 서브그립퍼(22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ub-gripper (229)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mplements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e main gripper (219), is illustrated as being mounted on one side of the sub-cylinder (225),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in order to stably grip and then fix the carrier (20),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the sub-grippers (229)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b-cylinder (225).
한편, 상술한 메인유도부재(210)의 설명으로 차용된 서브유도부재(2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유도부재(210) 일측에 위치하도록 이동플레이트(235)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메인유도부재(210) 양측으로 상기 서브유도부재(22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sub-induction member (220) borrow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main induction member (210) is depicted as being movably mounted via a movable plate (235) so as to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main induction member (210), but this is also only one embodiment, and the sub-induction member (220) may also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induction member (210) as needed.
이때, 메인유도부재(210) 양측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서브유도부재(2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서브붐대(221)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메인붐대(211) 및 한 쌍의 상기 서브붐대(221)가 각각 서로 다른 길이를 구현하여 캐리어(20)의 형상에 따라 대응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sub booms (221) constituting a pair of sub-induction members (22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induction member (210) b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so that the main boom (211) and the pair of sub-booms (221) each implement different lengths so that they can easily respon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arrier (20).
또한, 이동부재(230)는 캐리어(20)의 서로 다른 형상에 대응하여 상술한 메인유도부재(210)와 서브유도부재(220) 일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드래치 조립체의 조립에 대한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플레이트(231) 및 이동플레이트(235)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oving member (230) includes a fixed plate (231) and a moving plate (235) configured to move the main guide member (210) and sub guide member (220) described ab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response to different shapes of the carrier (20) to provide ease of assembly of the hood latch assembly.
고정플레이트(231)는 스틸재질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되 후면은 베이스(500)에 고정 설치되며, 전면에는 동력제공수단(30)을 통해 이동플레이트(235)가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fixed plate (231) is formed using steel material to have the shape of a plate as a whole, and the rear side is fixedly installed to the base (500), and the front side has a structure in which a moving plate (235) can move through a power supply means (30).
이를 위해, 고정플레이트(231) 전면에는 한 쌍의 레일(233)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이동플레이트(235)가 상기 레일(233)에 삽입되어 동력제공수단(3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To this end, a pair of rails (233)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231), and a moving plate (235) is inserted into the rails (233) and moved left and right by a power supply means (30).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동력제공수단(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31) 및 상기 스크류(31)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제어부(400)를 통해 제어되는 회전모터(3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power supply means (3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crew (31) and a rotation motor (33) controlled through a control unit (400) to rotate the screw (31) in both directions, as illustrated.
하여, 이동플레이트(235) 외면에 형성된 나사공의 내면과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31) 외면을 서로 치(齒)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어부(400)는 정방향(시계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모터(33)의 구동축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235)가 레일(233)에 안내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Thus, the control unit (400) rotates the drive shaft of the rotary motor (33) in a forward (clockwise) or reverse direction while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w hol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235)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31) with the screw threads are teeth-joined, thereby causing the moving plate (235) to be guided along the rail (233) and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한편, 제어부(400)는 이동플레이트(235)의 이동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캐리어(20) 외면에 형성된 바코드나 QR 코드 등의 형식을 갖는 식별정보를 스캔 등에 의해 우선적으로 인식하여 돌출된 길이 차이가 존재하는 메인유도부재(210) 또는 서브유도부재(220)가 기준라인(L)에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모터(33)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400) scans or otherwise preferentially recogniz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barcode or QR cod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rier (20) to determine whether the moving plate (235) is moving, and control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onal motor (33) so that the main guide member (210) or sub guide member (220) with a protruding length difference can be positioned on the reference line (L).
물론, 제어부(400)는 인식된 식별전보를 기반으로 후에 설명하는 캐리어 고정부(300)의 제어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it is desirable for the control unit (400) to also enable control of the carrier fix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signal.
그리고, 상기 캐리어 고정부(3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조립체 유도부(200)를 통해 캐리어(20)를 파지하기 이전에 해당 캐리어(20)가 우선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부재(310) 및 고정부재(320)를 포함한다.And, as shown in FIGS. 7 to 9, the carrier fixing member (300) includes a housing member (310) and a fixing member (320) configured to allow the carrier (20) to be preferentially fixed before the carrier (20) is gripped by the assembly guide member (200) described above.
예컨대 하우징부재(310)는 베이스(500)에 설치되어 후에 설명하고자 하는 고정부재(320)가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캐리어(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311), 고정실린더(313) 및 이동체(317)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housing member (310) is installed on the base (500) and includes a housing (311), a fixed cylinder (313), and a moving body (317) to enable the fixed member (320) to be described later to move stably and fix the carrier (20).
하우징(31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서 소정 높이를 갖도록 베이스(500)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는 이동체(317)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하여 고정실린더(313) 로드의 신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the housing (31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ase (500)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a movable body (317)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so as to be able to slid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is moved by the extension of the rod of the fixed cylinder (313).
이를 위해, 하우징(311) 상부에는 이동체(317) 하면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제1가이드바(315)가 다수 형성되며, 전방 끝단은 고정실린더(313)의 로드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이동체(317)가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first guide bars (315)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311)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body (317) can be movably inserted, and the front end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load of the fixed cylinder (313) so that the moving body (317) can be provided with power to move.
이때, 이동체(317) 상부에는 한 쌍의 고정부재(320)가 양측에 배치되어 제2가이드바(319)의 길이방향으로 동력제공수단(30)을 통해 전부 또는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fixed members (320)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317) so that they can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bar (319) in whole or individually through a power supply means (30).
하여, 본 발명에서의 캐리어 고정부(300)는 캐리어 이동부(100)를 통해 이송된 캐리어(20)의 형상이나 위치 등에 따라 고정실린더(313)를 통한 이동체(317)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및 상기 이동체(317) 상부에 구비된 동력제공수단(30)을 통해 고정부재(32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실행하여 단계별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Thus, the carrier fixing par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executes movement of the moving body (317)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rough the fixing cylinder (313) and movement of the fixed member (32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rough the power providing means (3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body (317) according to the shape or position of the carrier (20) transported through the carrier moving part (100), thereby enabling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step by step.
또한, 고정부재(320)는 상술한 하우징부재(310)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캐리어(20)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327)이 해당 캐리어(20)를 관통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구동체(321) 및 고정수단(323)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ed member (320) is configured to be movably installed with the housing member (310) described above and a fixed pin (327) protruding toward the carrier (20) to penetrate and fix the carrier (20), and includes a driving body (321) and a fixing means (323).
구동체(3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틸재질을 이용하요 내부 및 전방이 개방된 함체의 형상으로 성형되되 하부는 제2가이드바(319)가 삽입되어 동력제공수단(30)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바(319)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As shown, the driving body (32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dy with an open interior and front using steel material, and a second guide bar (319)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so that it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bar (319) by a power supply means (30).
이때, 구동체(321) 상부에는 내측으로 관통하되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또 다른 동력제공수단(30)이 설치되어 고정수단(323)이 상기 구동체(321)에 안내되어 승강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other power supply means (30)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body (321) that penetrates inwardly but has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means (323) is guided to the driving body (321) to have a lifting structure.
이를 위해, 고정수단(323)은 후면이 구동체(321) 내부에 설치된 동력제공수단(30)의 스크류(31)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승강브라켓(325), 상기 승강브라켓(325)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게 상기 승강브라켓(325) 내외로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327) 및 상기 고정핀(327)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실린더(329)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xing means (323) may include a lifting bracket (325) whose rear end is tooth-coupled with a screw (31) of a power providing means (30) installed inside a driving body (321), a fixing pin (327) that i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lifting bracket (325) so as to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lifting bracket (325), and a moving cylinder (329) for moving the fixing pin (327).
하여, 캐리어 이동부(100)를 통해 캐리어(20)가 기준라인(L)에 해당하는 정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400)는 이동실린더(329) 로드의 신장을 통해 승강브라켓(325) 내측으로 삽입된 고정핀(327)이 전방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돌출된 상기 고정핀(327)이 캐리어(20)에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327)에 의한 고정이 가능하게 한다.Thus, when the carrier (20) is positioned at the fixe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line (L) through the carrier moving unit (100),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extension of the moving cylinder (329) rod so that the fixed pin (327)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ifting bracket (325) can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protruding fixed pin (327)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arrier (20) to enable fixation by the fixed pin (327).
아울러, 승강브라켓(325)은 캐리어(20)에 형성된 관통공의 위치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동력제공수단(30)의 회전을 통해 해당 관통공과 고정핀(327)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브라켓(325)을 승강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lifting bracket (325) is raised and lowered by rotating the power providing means (30) that is arranged verticall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arrier (20) so that the through hole and the fixing pin (327) can be arranged in opposing positions.
한편, 본 발명에서의 캐리어 고정부(300)는 캐리어(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327)의 돌출 길이나 상기 고정핀(327)의 삽입 여부 등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감지센서(3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센서(33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승강브라켓(325) 상부에 설치되되 푸쉬 가능한 핀(PIN)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핀(327)이 캐리어(20)에 관통 삽입된 이후에 캐리어(20) 외면에 가압되어 전기적으로 온/오프(ON/OFF)되는 스위칭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carrier fixing par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tection sensor (330)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xing pin (327) for fixing the carrier (20) or whether the fixing pin (327) is inserted or not, and the detection sensor (3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bracket (325)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part (400) and has a pushable pin structure so that after the fixing pin (327) is inserted through the carrier (20), the outer surface of the carrier (20) is pressed so that an electrical ON/OFF switching can be execut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캐리어 이동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캐리어(20)의 선별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조립체 유도부(200) 및 캐리어 고정부(300)의 제어함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캐리어(20)를 기준라인(L)에 맞추어 용이하게 위치 조정 후, 후드래치 조립체(10)의 장착 위치를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in that it controls the assembly guide unit (200) and the carrier fixing unit (300)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carrier (20) supplied through the carrier moving unit (100), thereby easily adjusting the position of carriers (20) having different shapes to the reference line (L), and then stably guid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ood latch assembly (10) to enable mount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but these have been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those with common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r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
100: 캐리어 이동부
110: 받침대 120: 이송바
121: 이송롤러 130: 이송지그
140: 포지셔너 141: 위치센서
143: 승강핀
200: 캐리어 유도부
210: 메인유도부재 211: 메인붐대
213: 메인브라켓 215: 메인실린더
217: 메인안내편 219: 메인그립퍼
220: 서브유도부재 221: 서브붐대
223: 서브브라켓 225: 서브실린더
227: 서브안내편 229: 서브그립퍼
230: 이동부재 231: 고정플레이트
233: 레일 235: 이동플레이트
300: 캐리어 고정부
310: 하우징부재 311: 하우징
313: 고정실린더 315: 제1가이드바
317: 이동체 319: 제2가이드바
320: 고정부재 321: 구동체
323: 고정수단 325: 승강브라켓
327: 고정핀 329: 이동실린더
330; 감지센서
400: 제어부
500: 베이스
10: 후드래치 조립체
20: 캐리어
30; 동력제공수단
31: 스크류 33: 회전모터
L: 후드래치 조립체가 조립되고자 하는 캐리어의 장착 위치1: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Carrier moving part
110: Pedestal 120: Transfer bar
121: Transfer roller 130: Transfer jig
140: Positioner 141: Position sensor
143: Lift pin
200: Carrier Induction Unit
210: Main guide member 211: Main boom
213: Main bracket 215: Main cylinder
217: Main Guide 219: Main Gripper
220: Sub-induction member 221: Sub-boom
223: Sub-bracket 225: Sub-cylinder
227: Sub Guide 229: Sub Gripper
230: Moving member 231: Fixed plate
233: Rail 235: Moving Plate
300: Carrier fixing part
310: Housing member 311: Housing
313: Fixed cylinder 315: First guide bar
317: Mobile 319: Second guide bar
320: Fixed member 321: Drive body
323: Fixing means 325: Lifting bracket
327: Fixed pin 329: Moving cylinder
330; Detection sensor
400: Control Unit
500: Base
10: Hood latch assembly
20: Carrier
30; Power supply means
31: Screw 33: Rotation motor
L: Mounting location of the carrier where the hood latch assembly is to be assembled
Claims (10)
상기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는
상기 캐리어(20)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리어 이동부(100);
상기 캐리어 이동부(100) 후방 양측에 위치하되 승강 및 전후 방향으로 단계별 이동하여 캐리어(20)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캐리어 고정부(300);
상기 캐리어 고정부(300) 상부에 승강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캐리어(20)의 정위치에 후드래치 조립체가 장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립체 유도부(200); 및
상기 캐리어 이동부(100), 상기 캐리어 고정부(300) 및 상기 조립체 유도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캐리어 고정부(300)는 베이스(500) 내부에 고정설치되되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우징부재(310) 및 상기 하우징부재(310) 양측에 구비되되 승강은 물론,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캐리어(20)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부재(320)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고정부(300)는 상기 캐리어 이동부(100)를 통해 이동하는 캐리어(20)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캐리어(2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
In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that positions the hood latch assembly on a carrier (20),
The above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A carrier moving part (100) on which the carrier (20) is movably mounted;
A pair of carrier fixing parts (300)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carrier moving part (100) to move in steps in the up and down and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fix the carrier (20);
An assembly guide part (200) that guides the hood latch assembly to be mount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a carrier (20) having different shapes by moving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on the upper part of the carrier fixing part (300); and
A control unit (400) that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carrier moving unit (100), the carrier fixing unit (300) and the assembly induction unit (200);
The carrier fixing member (300) includes a housing member (310) that is fixedly installed inside a base (500)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pair of fixing members (320) that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member (310) and ar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well as up and down to fix the carrier (20), and the carrier fixing member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at least one of the housing member (310) and the fixing member (320) forward in response to the carrier (20) moving through the carrier moving member (100) so that the carrier (20) is fixed.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상기 조립체 유도부(200)는
승강은 물론, 캐리어(20)의 파지가 가능한 메인유도부재(210);
상기 메인유도부재(210) 후방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되 승강은 물론, 캐리어(20)의 파지가 가능한 서브유도부재(220); 및
상기 메인유도부재(210)와 상기 서브유도부재(220) 일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assembly induction part (200)
A main guide member (210)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as well as holding a carrier (20);
A sub-induction member (220) that is arrang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main induction member (210) and is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as well as holding the carrier (20); and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oving member (230) that moves the main guide member (210) and the sub guide member (220) in the left-right direction.
상기 서브유도부재(220)는
캐리어(20)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이동부재(230)에 고정 장착되는 서브붐대(221);
상기 서브붐대(221)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서브브라켓(223);
상기 서브브라켓(223) 중앙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실린더(225);
상기 서브실린더(225)의 신장되는 로드 하부에 구비되어 캐리어(20)에 장착되기 위한 후드래치 조립체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서브안내편(227); 및
상기 서브브라켓(223)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캐리어(20) 외면을 파지에 고정하는 서브그립퍼(229);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붐대(221)의 돌출길이는 상기 메인유도부재(210)를 구성하는 메인붐대(211)와 대비하여 더 짧은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sub-inductive member (220)
A sub-boom (221) fixedly mounted on the movable member (230) so as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carrier (20);
A sub-bracket (223) fixed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bove sub-boom (221);
A sub-cylinder (225) that is installed in a manner that allows it to be lifted in the center of the above sub-bracket (223);
A sub-guide member (227)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elongated rod of the above sub-cylinder (225) to guid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ood latch assembly to be mounted on the carrier (20); and
Including a sub-gripper (229) provid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above sub-bracket (223) to secure the outer surface of the carrier (20) to the grip;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above sub-boom (221) is shorter than that of the main boom (211) constituting the above main guide member (210).
상기 이동부재(230)는
베이스(500)에 고정 설치되되 외면에는 레일(233)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231); 및
후면이 상기 레일(233)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면에는 상기 메인유도부재(210)와 상기 서브유도부재(220)가 장착되는 이동플레이트(2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moving member (230)
A fixed plate (231) fixedly installed on a base (500) and having a rail (23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oving plate (235) on the front side of which the main guide member (210) and the sub-guide member (220) are mounted, and the rear side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rail (233).
상기 하우징부재(310)는
상부에는 상기 캐리어 이동부(100) 방향으로 신장되는 고정실린더(313)와 제1가이드바(315)가 형성된 하우징(311); 및
하부가 상기 제1가이드바(315)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고정실린더(313)에 의해 이동하되 상부에는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32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가이드바(319)가 형성된 이동체(317);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체(317)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고정부재(320)는 개별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housing member (310)
A housing (311) having a fixed cylinder (313) and a first guide bar (315) formed in the upper part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carrier moving part (100); and
A moving body (317) having a lower part tha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bar (315) and moves by the fixed cylinder (313), and a second guide bar (319) formed on the upper part on which a pair of fixed members (320) are slidably mounted; including,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members (320)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moving body (317) ar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400) to enable individual operation.
상기 고정부재(320)는
하부는 상기 제2가이드바(319)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구동체(321); 및
상기 구동체(321)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되 돌출된 끝단부는 캐리어(20)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수단(323);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323)은 상기 구동체(32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브라켓(325), 상기 승강브라켓(325) 내외부로 출입 가능하게 구비된 고정핀(327), 상기 고정핀(327)을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3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
In Article 6,
The above fixed member (320)
The lower part is a drive body (321) that is movably inserted with the second guide bar (319); and
A fixing means (323)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above driving body (321)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and protruded, and the protruding end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carrier (20);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ans (323) includes a lifting bracket (325) that is installed to be able to be lifted up and down on the driving body (321), a fixing pin (327) that is provided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lifting bracket (325), and a moving cylinder (329) that moves the fixing pin (327).
상기 승강브라켓(325) 상부에는 캐리어(20)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핀(327)의 삽입 여부를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제어부(400)에 전송하기 위한 감지센서(3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센서(330)는 푸쉬 가능한 핀(PIN)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핀(327)이 캐리어(20)에 관통 삽입된 이후에 캐리어(20)의 가압에 의해 온/오프(ON/OFF)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
In Article 7,
The upper part of the above lifting bracket (325) further includes a detection sensor (330) for detecting whether the fixing pin (327) inserted into the carrier (20) is inserted or not by an electric signal and transmitt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400).
The above detection sensor (330) is made of a pushable pin structur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witched on/off by the pressure of the carrier (20) after the fixed pin (327) is inserted through the carrier (20).
상기 캐리어 이동부(100)는
받침대(110);
상기 받침대(110) 상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되 내부에는 다수의 이송롤러(12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이송바(120);
상기 이송바(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에 캐리어(20)가 장착되는 이송지그(130); 및
상기 이송지그(130)를 고정시키는 포지셔너(140);를 포함하되,
상기 포지셔너(140)는 상기 이송지그(130)가 상기 이송바(120)의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였음을 감지 후, 감지정보를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위치센서(141)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센서(141)의 감지정보를 전송받은 제어부(400)는 상기 포지셔너(140)의 승강핀(143)을 상승시켜 상기 이송지그(130)가 이송롤러(121)와 면접하지 않도록 상승 후, 상기 승강핀(14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arrier moving part (100)
Pedestal (110);
A transfer bar (12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bove-mentioned support (110)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121) rotatably provided inside;
A transfer jig (130)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ove transfer bar (120) and has a carrier (20) mounted on the upper part; and
Including a positioner (140) for fixing the above transfer jig (130);
The above positioner (140) includes a position sensor (141) that detects that the transfer jig (130) has moved to a set position of the transfer bar (120) and transmits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400).
A car hood latch assemb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400) that receives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 sensor (141) raises the lifting pin (143) of the positioner (140) so that the transfer jig (13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transfer roller (121), and then is fixed by the lifting pin (143).
제어부(400)는
상기 캐리어 이동부(100)에 의해 이동하는 캐리어(20)의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인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캐리어 고정부(300)와 상기 조립체 유도부(2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래치 조립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control unit (400)
An automobile hood latch assemb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arrier (20) moving by the carrier moving unit (100) and controls the carrier fixing unit (300) and the assembly guide unit (200) based on the recognition inform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89302A KR102783011B1 (en) | 2022-07-20 | 2022-07-20 | Hood latch assembling device for a c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89302A KR102783011B1 (en) | 2022-07-20 | 2022-07-20 | Hood latch assembling device for a ca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11976A KR20240011976A (en) | 2024-01-29 |
| KR102783011B1 true KR102783011B1 (en) | 2025-03-18 |
Family
ID=8971703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89302A Active KR102783011B1 (en) | 2022-07-20 | 2022-07-20 | Hood latch assembling device for a ca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83011B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555504A (en) * | 1994-06-10 | 1996-09-10 |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 Production line tracking and quality control system |
| KR100676746B1 (en) * | 2003-02-19 | 2007-01-31 | 한라공조주식회사 | Hood Latch Assembly Device |
| KR100549411B1 (en) * | 2003-10-27 | 2006-02-03 | 에스엘 주식회사 | Car parts assembly and inspection process using carrier |
| KR20090039184A (en) | 2007-10-17 | 2009-04-2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Hood latch assembly device of vehicle |
| KR100901928B1 (en) | 2007-12-13 | 2009-06-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ssembly Structure of Bumper Back Beam for Front End Module of Automobile |
-
2022
- 2022-07-20 KR KR1020220089302A patent/KR102783011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11976A (en) | 2024-01-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644088B1 (en) | Apparatus for flanging metal sheets | |
| US6648316B1 (en) | Device for centering and clamping a sheet metal assembly or a mechanical part | |
| CN108714759B (en) | Welding clamping system of automobile sheet metal part | |
| JP2010247910A (en) | Work reversing device | |
| KR102783011B1 (en) | Hood latch assembling device for a car | |
| CN102476361A (en) | Work fixture for vehicle body | |
| CN108098337B (en) | Automatic motor end cover mounting device for island assembly line | |
| JP3860569B2 (en) | Sunroof positioning device for automobile body | |
| KR20210047642A (en) | Two-post lift fulcrum arm device | |
| KR101956150B1 (en) | Pin automatic insertion device | |
| KR100666248B1 (en) | Shuttleline system of the vehicle body | |
| KR20240130911A (en) | Moving jig device for improving the welding spot of the object to be welded | |
| CN216971902U (en) | Skip positioning mechanism | |
| KR100722300B1 (en) | Universal clamping device for precision parts | |
| JP4839829B2 (en) | Work positioning device | |
| CN108747144B (en) | Turnover positioning mechanism for positioning on automobile welding hole and turnover positioning mechanism for positioning downwards | |
| CN108788596B (en) | Welding positioning device for automobile sheet metal parts | |
| KR100676746B1 (en) | Hood Latch Assembly Device | |
| CN214350584U (en) | Sunroof component welding frock | |
| CN117123954A (en) | Welding device for automobile seat production | |
| KR100623281B1 (en) | Flexible Door Mount | |
| JP3719063B2 (en) | Work positioning device | |
| KR102798830B1 (en) | Roof rack machining apparatus | |
| CN220533453U (en) | Pump rod press-fitting device | |
| KR102440810B1 (en) | Rotor assembly device for air compress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