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08790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790A
KR20030008790A KR1020010043706A KR20010043706A KR20030008790A KR 20030008790 A KR20030008790 A KR 20030008790A KR 1020010043706 A KR1020010043706 A KR 1020010043706A KR 20010043706 A KR20010043706 A KR 20010043706A KR 20030008790 A KR20030008790 A KR 20030008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guide plate
liquid crystal
protrusion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3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8790A/ko
Priority to CNB011394943A priority patent/CN1282008C/zh
Priority to JP2001396002A priority patent/JP4160300B2/ja
Priority to US10/196,986 priority patent/US7092048B2/en
Publication of KR2003000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790A/ko
Priority to US11/504,253 priority patent/US7750990B2/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Incandescent lamp or gas discharge lamp
    • G02B6/0071Incandescent lamp or gas discharge lamp with elongated shape, e.g. tub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몰드 프레임에 수납되는 도광판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도광판은 일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부분 절개하여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하여서 상기 걸림턱 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돌출부가 형성된다. 몰드 프레임은 램프 유닛 및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고, 상기 걸림턱과 맞물려 상기 도광판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바닥면의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마주하는 측벽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몰드 프레임의 걸림돌기와 상기 도광판의 걸림턱과의 걸림량이 크게 증가하여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도광판이 상기 램프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 충격이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방향에서 가해지더라도 상기 걸림살들이 상기 수납홈들로 수납되기 때문에 상기 걸림살이나 걸림턱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의 도광판 및 몰드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몰드 프레임에 수납된 도광판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 표시 모듈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 처리 기기는 다양한 형태, 다양한 기능, 더욱 빨라진 정보 처리 속도를 갖도록 급속하게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처리 장치에서 처리된 정보는 전기적인 신호 형태를 갖는다. 사용자가 정보처리 장치에서 처리된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대표적인 CRT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경량, 소형이면서, 풀-컬러, 고해상도 구현등과 같은 기능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액정 표시 장치는 대표적인 정보처리장치인 컴퓨터의 모니터, 가정용 벽걸이 텔레비젼, 기타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의 특정한 분자배열에 전압을 인가하여 다른 분자배열로 변환시키고, 이러한 분자 배열에 의해 발광하는 액정셀의 복굴절성, 선광성, 2색성 및 광산란특성 등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를 시각 변화로 변환하는 것으로, 액정셀에 의한 빛의 변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크게 TN(Twisted Nematic) 방식과 STN(Super-TwistedNematic)방식으로 나뉘고, 구동방식의 차이로 스위칭 소자 및 TN액정을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표시방식과 STN 액정을 이용한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표시 방식이 있다.
이 두 방식의 큰 차이점은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 방식은 TFT-LCD에 사용되며, 이것은 TFT를 스위치로 이용하여 LCD를 구동하는 방식이며, 패시브 매트릭스 표시방식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복잡한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광원의 이용방법에 따라, 백라이트를 이용하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와 외부의 광원을 이용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두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백라이트(back light)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에서는 백라이트에 의해 액정표시소자의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키지만, 외부의 광원을 이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광판과 몰드 프레임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900)는 화상신호가 인가되어 화면을 나타내기 위한 액정 표시 모듈(700)과 액정 표시 모듈(700)을 수납하기 위한 전면 케이스(810) 및 배면 케이스(820)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 표시 모듈(700)은 화면을 나타내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71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710)은 액정표시패널(712), 통합 인쇄회로기판(714), 데이터측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716) 및 COF방식에 의해 제조된 게이트측 연성회로기판(718)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712)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12a)과 컬러 필터 기판(712b) 및 액정(도시 안됨)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12a)은 매트릭스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유리기판이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소오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라인이 연결된다. 또한,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인 인듐 틴 옥사이드(ITO)로 이루어진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면 각각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고, 이들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는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드레인 단자로는 화소 형성에 필요한 전기적인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12a)에 대향하여 컬러필터 기판(712b)이 구비되어 있다. 컬러필터 기판(712b)은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RGB화소가 박막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다. 컬러필터 기판(712b)의 전면에는 ITO로 이루어진 공통전극이 도포되어 있다.
상술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12a)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 및 소오스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화소 전극과 컬러필터 기판의 공통 전극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기판(712a)과 컬러 필터 기판(714b)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서 광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소를 얻게 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712)의 액정의 배열각과 액정이 배열되는 시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구동신호 및 타이밍 신호를 인가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712)의 소오스측에는 데이터 구동 신호의 인가 시기를 결정하는 연성 회로 기판의 일종인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716)가 부착되어 있고, 게이트 측에는 게이트의 구동신호의 인가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COF방식으로 제조된 게이트측 연성 회로 기판(718)이 부착되어 있다.
액정표시패널(712)의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통합 인쇄 회로 기판(714)은 액정표시패널(712)의 데이터 라인측의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714)에 접속된다. 통합 인쇄회로기판(714)은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도시 안됨)로부터 발생한 영상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액정표시패널(712)에 데이터 구동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소오스부와 상기 액정표시패널(712)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구동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통합 인쇄회로기판(714)은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게이트 구동신호, 데이터 신호 및 이들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신호들을 발생시켜서, 게이트 구동신호는 게이트측 연성회로기판(718)을 통하여 액정표시패널(712)의 게이트 라인에 인가하고,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테이프 캐리 패키지(716)를 통하여 액정표시패널(712)의 데이터 라인에 인가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710)의 아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710)에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720)가 구비되어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720)는 액정 표시 모듈(700)의 일 측에 구비되어 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램프(721)를 포함한다. 램프(721)는 램프 커버(722)에 의해 보호된다. 도광판(724)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710)의 액정패널(712)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액정패널(712)의 아래에 위치하여 램프(721)측은 보다 두껍고 램프(721)에 멀어질수록 보다 얇게 형성되어 램프(721)에서 발생된 광을 디스플레이 유닛(710)쪽으로 광을 안내하면서 광의 경로를 변경한다.
상기 도광판(724)의 위에는 도광판(724)으로부터 출사되어 액정표시패널(712)로 향하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복수개의 광학시트들(72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724)의 아래에는 도광판(724)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도광판(724)으로 반사시켜 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반사판(728)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710)과 백라이트 어셈블리(720)는 수납 용기인 몰드 프레임(730)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몰드 프레임(730)은 직육면체의 박스상을 갖고 상면은 개구되어 있다. 즉, 4개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구성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통합 인쇄회로기판(714)을 몰드 프레임(730)의 외측면을 따라서 절곡시켜서 안착시키기 위한 개구부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710)의 통합 인쇄 회로 기판(714)과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718)를 상기 몰드 프레임(730)의 외부로 절곡시키면서 상기 몰드 프레임(730)의 저면부에 고정하면서 디스플레이 유닛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샤시(740)가 제공된다. 상기 샤시(740)는 상기 몰드 프레임(730)과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고, 상면부는 액정표시패널(710)을 노출시키기 위해 개구되어 있으며, 측벽부는 내측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710)의 상면 주변부를 커버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몰드 프레임(730)의 수납공간에서 상기 램프(721)가 설치되는 측의 측벽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몰드 프레임(730)과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 걸림돌기(731, 732)가 형성된다. 상기 몰드 프레임(730)에 수납되는 상기 도광판(724)에서 상기 램프(721)에 위치하는 단부의 모서리는 소정 부분 절개되어 제1 및 제2 걸림턱(724a, 724b)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광판을 몰드 프레임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광판과 몰드 프레임의 수평 방향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광판의 크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몰드 프레임(730)에 상기 도광판(724)이 수납되면, 상기 제1 및 제2 걸림턱(724a, 724b)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걸림돌기(731, 732)와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900)가 외부 충격을 받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 걸림돌기(731, 732)에 의해 상기 도광판(724)이 상기 램프(721)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액정 표시 장치(900)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730)의 측벽 두께가 점차 감소되는 추세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724)의 폭은 상기 램프(721)측 단부와 그 대향하는 단부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몰드 프레임(730)과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걸림돌기(731, 732)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724)의 제1 및 제2 걸림턱(724a, 724b)과 상기 몰드 프레임(730)의 제1 및 제2 걸림돌기(731, 732)와의 걸림양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서 상기 도광판(724)의 상기 램프(721)를 향한 유동을 방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한편, 상기 걸림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판(724)과 몰드 프레임(730) 사이의 갭에 해당되는 만큼 상기 도광판(724)의 폭을 증대시키면, 상기 제1 및 제2 걸림턱(724a, 724b)과 제1 및 제2 걸림돌기(731, 732)와의 걸림량은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광판(724)과 몰드 프레임(730) 사이에 갭이 거의 없으면, 온도나 습도의 변화에 의한 상기 도광판(724)의 팽창공간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도광판(724)의 주름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쐐기형 도광판(724)의 경우, 상기 도광판(724)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서는 온도 변화에 의한 팽창율이 크기 때문에 상기 도광판(724)과 몰드 프레임(730) 사이의 충분한 갭이 요구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도광판(724)의 양측면의 소정 부분을 돌출시켜서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730)의 양측벽에서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도광판(724)의 유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돌기와 홈의 걸림량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돌기와 홈에 의한 꺽임 부분에서 상기 램프(721)로부터 입사된 광이 고이는 빛고임 현상이 발생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몰드 프레임에 수납된 도광판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 표시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몰드 프레임에 수납된 도광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광판과 몰드 프레임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광판을 몰드 프레임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광판과 몰드 프레임의 수평 방향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광판의 크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도광판과 몰드 프레임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도광판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몰드 프레임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도광판과 몰드 프레임의 수평 방향의 고정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도광판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도광판의 걸림살과 몰드 프레임의 수납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도광판의 걸림살과 몰드 프레임의 수납홈의 다른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도광판을 몰드 프레임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1에 도시된 도광판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도광판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도광판과 몰드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디스플레이 유닛220 : 백라이트 어셈블리
400 : 몰드 프레임310 : 프론트 케이스
320 : 리어 케이스400a : 백커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모듈은, 램프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램프 유닛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상기 광 가이드 장치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부분 절개하여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하여서 상기 걸림턱 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는 도광판과, 그리고 상기 램프 유닛 및 도광판을 수납하고, 상기 걸림턱과 맞물려 상기 도광판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바닥면의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마주하는 측벽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홈이 형성되는 몰드 프레임을 갖는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램프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램프 유닛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상기 광 가이드 장치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부분 절개하여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돌출되도록 연장하여서 상기 걸림턱 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도광판을 구비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램프 유닛 및 도광판을 수납하고, 상기 걸림턱과 맞물려 상기 도광판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바닥면의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마주하는 측벽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홈이 형성되는 몰드 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과 대향 결합하여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상기 몰드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탑샤시를 갖는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광 가이드 장치의 중앙부로 진행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슬로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광 가이드 장치는 일단부로부터 대향하는 단부로 진행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쐐기형 도광판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중첩되는 영역은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벽에 형성된 홈은 상기 돌출부의 두께 보다는 크고, 상기 걸림턱의 두께 보다는 작은 높이를 갖는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모듈 및 장치에 따르면, 상기 몰드 프레임의 걸림돌기와 상기 도광판의 걸림턱과의 걸림량이 크게 증가하므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도광판이 상기 램프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충격이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방향에서 가해지더라도 상기 걸림살들이 상기 수납홈들로 수납되기 때문에 상기 걸림살이나 걸림턱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이 슬로프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램프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빛고임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모듈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첨부 도면 도 6 내지 도 18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100)는 화상신호가 인가되어 화면을 나타내기 위한 액정 표시 모듈(200)과 액정 표시 모듈(200)을 수납하기 위한 프론트 케이스(310) 및 리어 케이스(320)로 구성된 케이스(300)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 모듈(200)은 화면을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액정 표시 패널(212), 통합 인쇄회로 기판(214), 데이터측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16) 및 COF방식에 의해 제조된 게이트측 연성 회로 기판(218)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212)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12a)과 컬러 필터 기판(212b) 및 액정(도시 안됨)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12a)은 매트릭스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유리 기판이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소오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된다. 또한,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인 인듐 틴 옥사이드(ITO)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형성된다.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면 각각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고, 이들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는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드레인 단자로는 화소 형성에 필요한 전기적인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12a)에 대향하여 컬러 필터 기판(212b)이 구비되어 있다. 컬러 필터 기판(212b)은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RGB화소가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다. 상기 컬러 필터 기판(212b)의 전면에는 ITO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이 도포되어 있다.
상술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12a)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 및 소오스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화소 전극과 컬러 필터 기판의 공통 전극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12a)과 컬러 필터 기판(214b)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서 광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소를 얻게 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212)의 액정의 배열각과 액정이 배열되는 시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구동신호 및 타이밍 신호를 인가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212)의 소오스측에는 데이터 구동 신호의 인가 시기를 결정하는 연성 회로 기판의 일종인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16)가 부착되어 있고, 게이트 측에는 게이트의 구동신호의 인가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COF방식으로 제조된 게이트측 연성 회로 기판(218)이 부착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212)의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통합 인쇄 회로 기판(214)은 액정 표시 패널(212)의 데이터 라인측의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14)에 접속된다. 통합 인쇄 회로 기판(214)은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의 정보 처리 장치(도시 안됨)로부터 발생한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액정 표시 패널(212)에 데이터 구동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소오스부와 상기 액정 표시 패널(212)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구동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통합 인쇄 회로 기판(214)은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게이트 구동 신호, 데이터 신호 및 이들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켜서, 게이트 구동신호는 게이트측 연성 회로 기판(218)을 통하여 액정 표시 패널(212)의 게이트 라인에 인가하고,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테이프 캐리 패키지(216)를 통하여 액정 표시 패널(212)의 데이터 라인에 인가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10)의 아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220)가 구비되어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220)는 액정 표시 모듈(200)의 일 측에 구비되어 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램프(221)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221)는 램프 커버(222)에 의해 보호된다. 도광판(224)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10)의 액정 패널(212)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램프(221)에서 발생된 광을 디스플레이 유닛(210)쪽으로 안내하면서 광의 경로를 변경한다.
상기 도광판(224)의 위에는 상기 도광판(224)으로부터 출사되어 액정 표시 패널(212)로 향하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복수개의 광학 시트들(22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224)의 아래에는 상기 도광판(224)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224)으로 반사시켜 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반사판(228)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10)과 백라이트 어셈블리(220)는 수납 용기 어셈블리인 몰드 프레임(400)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도광판과 몰드 프레임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광판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2 걸림턱 및 제2 걸림살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광판(224)은 상기 램프(221)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는 쐐기형 도광판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는 도광판(224)의 양단부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에도 적용된다.
상기 도광판(224)의 제1 단부 즉,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수납공간에서 상기 램프(221)가 설치되는 쪽으로 수납되는 제1 단부의 양 모서리부는 소정 부분이 절개되어 각각 제3 걸림턱(224a)과 제4 걸림턱(22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제3 및 제4 걸림턱(224a, 224b)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서 돌출되는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은 상기 제3 및 제4 걸림턱(224a, 224b) 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걸림살(224a′, 224b′)의 두께(t1)는 상기 제4 걸림턱(224b)의 두께(t2) 보다 얇다. 또한, 상기 제1 걸림살(224a′)의 두께는 상기 제2 걸림살(224b′)의 두께(t1)와 동일하고, 상기 제3 걸림턱(224a)의 두께는 상기 제4 걸림턱(224b)와 동일하다.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의 두께(t1)는 상기 도광판(224)의 무게를 지탱할수만 있으면, 상기 제3 및 제4 걸림턱(224a, 224b)의 두께(t2)보다 얇은 것으로 충분하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한다.
한편,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광판(224)을 수납하는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수납공간의 일 측에는 상기 램프(221) 및 램프 커버(222)가 수납된다. 상기 램프(221)가 재치된 측벽의 양 모서리부에는 상기 도광판(224)의 제3 및 제4 걸림턱(224a, 224b)과 각각 맞물려 상기 도광판(224)의 수평방향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제3 및 제4 걸림돌기(402, 404)가 상기 몰드 프레임(400)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걸림돌기(402, 404)와 대향하는 측벽의 양 모서리부에는 상기 몰드 프레임(400)에 수납된 도광판(224)이 상기 수납공간의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 및 제4 걸림커버(406, 408)가 상기 몰드 프레임(400)과 일체로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224)이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면, 상기 제3 걸림턱(224a)과 제3 걸림돌기(402), 상기 제4 걸림턱(224b)과 제4 걸림돌기(404)가 각각 맞물리고, 상기 도광판(224)의 제2 단부의 양 모서리부의 일부는 상기 제3 및 제4 걸림커버(406, 408)의 아래쪽에 끼워진다.
도 11은 도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과 몰드 프레임의 수평 방향의 고정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제3 걸림턱(224a)의 측면과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측벽과의 사이의 갭은 상기 도광판(224)의 제2 단부의 측면과 상기 몰드 프레임(400)과의 사이의 갭 보다 좁다. 이는, 상기 제3 걸림턱(224a)의 측벽에 상기 도광판(224)과 일체로 제1 걸림살(224a′)을 덧붙였기 때문인데, 상기 제1 걸림살(224a′)은 상기 제2 단부로 진행할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완만한 슬로프(slope)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도광판(224)의 제3 걸림턱(224a)의 폭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로 진행할수록 폭이 좁아진다. 이와 같은 걸림살은 상기 제4 걸림턱(224b)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 및 제4 걸림턱(224a, 224b)과 상기 제3 및 제4 걸림돌기(402, 404) 사이의 걸림량이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의 폭 만큼 증가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걸림살(224a′, 224b′)을 상기 제3 및 제4 걸림턱(224a, 224b)에 덧붙이기 전에 상기 도광판(224)의 제3 및 제4 걸림턱(224a, 224b)의 폭을 각각 나타내는 “W3”와 “W4”의 값은 동일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도광판(224)의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폭이 동일하다. 하지만, 상기 제3 및 제4 걸림턱(224a, 224b)의 측벽에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을 각각 덧붙이면, 상기 제1 단부의 폭(W1′)은 상기 제2 단부의 폭(W2)보다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의 폭(W5, W6)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및 제4 걸림턱(224a, 224b)과 상기 제3 및 제4 걸림돌기(402, 404) 사이의 걸림량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상기 도광판(224)이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램프(221)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은 상기 제2 단부로 진행할수록 폭(W5, W6)이 좁아지는 슬로프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램프(221)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빛고임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이 덧붙여진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광판(224)과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측벽과의 사이의 갭이 충분히 유지되기 때문에 온도나 습도 변화에 따른 상기 도광판(224)의 주름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양측벽, 즉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과 대응하는 측벽에는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이 수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수납홈(410, 412)이 각각 형성된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제1 걸림살(224a′) 및 제1 수납홈(41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수납홈(410)은 상기 제1 걸림살(224a′)의 두께(t1)보다 크고 상기 제1 걸림턱(224a)의 두께(t2)보다는 작은 높이(t3)를 갖는다. 즉, 상기 제1 수납홈(41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걸림살(224a′)이 수납될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걸림턱(224a′)에 의해 상기 제1 걸림살(224a′)의 수납 깊이가 제어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 걸림살(224b′)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 수납홈은 상기 제1 수납홈(41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및 제4 걸림턱(224a, 224b)과 상기 제3 및 제4 걸림돌기(402, 404)와의 걸림량이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에 의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상기 도광판(224)이 상기 몰드 프레임(4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일단부에 수납된 램프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도광판(224)을 수납한 몰드 프레임(400)에 대한 외부 충격이 상기 램프측으로 가해지지 않고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양측벽 즉,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측으로 가해지면,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이 상기 도광판(224)의 다른 부분 보다 먼저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측벽과 맞닿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수납홈(410, 412)은 각각 상기 제3 및 제4걸림턱(224a, 224b)과 대면할때까지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을 수용하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이 상기 몰드 프레임(400)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수납홈(410, 412)의 입구가 각각 상기 제3 및 제4 걸림턱(224a, 224b)과 맞닿아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의 수납이 멈추는 위치는 상기 도광판(22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걸림살들이 형성되지 않은 측벽이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측벽과 맞닿는 위치와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도광판(224)의 측벽과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측벽이 전체적으로 맞닿아서 상기 도광판(224)의 유동이 멈추게 된다.
한편,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수납홈(410, 412)에 소정의 폭만큼 수납되도록 상기 몰드 프레임(400) 및 도광판(224)을 결합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걸림살(224a′)의 단부를 상기 제1 수납홈(410)에 삽입하고, 상기 제2 걸림살(224b′)의 단부를 상기 제2 수납홈(412)에 삽입하면, 상기 제3 및 제4 걸림턱(224a, 224b)에 의해 상기 도광판(224)의 상기 램프(221)측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도광판(224)이 상기 광학시트(226)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4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판(224)의 상기 광학시트(226)측으로의 이탈 방지는 제3 및 제4 걸림커버(406, 408)와 함께 수행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걸림살(224a′)과 인접합 영역, 즉 상기 제1 걸림턱(224a)에서 상기 제1 걸림돌기(402)와 중첩되는 영역은 상기 도광판(224) 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걸림턱(224a)에서 상기 제1 걸림돌기(402)와 중첩되는 영역은 상기 제1 걸림살(224a′)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제2 실시예
이제부터는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20)와 백커버(400a)를 제외하고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두 개의 램프를 채용한 모니터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고, 그 기능에 대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10)의 아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220)가 구비되어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220)는 액정 표시 모듈(200)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램프(221a, 221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램프(221a, 221b)는 각각 제1 및 제2 램프 커버(222a, 222b)에 의해 보호된다. 도광판(224)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10)의 액정 패널(212)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램프(221a, 221b)로부터 발생된 광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10)쪽으로 안내하면서 광의 경로를 변경한다. 상기 도광판(224)은 복수의 도광판을 밀접시킨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단일의 도광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10)과 백라이트 어셈블리(220)는 수납 용기 어셈블리인 몰드 프레임(400)에 의해 고정 지지되고,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배면에는 모니터 장치에서 발생되는 EMI를 차단 및 감소시키기 위한 메탈 재질의 백커버(400a)가 결합된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몰드 프레임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도광판(224)의 제1 단부 즉,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수납공간에서 상기 제1 램프(221a)가 설치되는 측벽과 마주하는 제1 단부의 양 모서리부는 소정 부분이 절개되어 제5 걸림턱(224a)과 제6 걸림턱(224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광판(224)의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 즉,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수납공간에서 상기 제2 램프(221b)가 설치되는 측벽과 마주하는 제2 단부의 양 모서리부도 소정 부분이 절개되어 제7 걸림턱(224c)과 제8 걸림턱(224d)이 형성된다.
상기 제5 및 제6 걸림턱(224a, 224b)이 형성된 상기 제1 단부의 전체 폭(W1′)은 상기 제7 및 제8 걸림턱(224c, 224d)이 형성된 상기 제2 단부의 폭(W2′)과 동일하다. 상기 제5, 제6, 제7 및 제8 걸림턱(224a, 224b, 224c, 224d)의 각각의 측면에는 각각 제3, 제4, 제5 및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이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의 전체적인 폭은 상기 도광판(224)의 중앙부의 폭(W7)보다 크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 내지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의 두께는 상기 제5 내지 제8 걸림턱(224a, 224b, 224c, 224d)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다. 이에 관하여는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도광판(224)을 수납하는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수납공간에서 상기 도광판(224)의 제1 단부와 마주하는 쪽에는 상기 제1 램프(221a) 및 제1 램프 커버(222a)가 수납되고, 상기 제2 단부와 마주하는 쪽에는 상기 제2 램프(221b) 및 제2 램프커버(222b)가 수납된다. 상기 제1 램프(221a)가 재치된 측벽의 양 모서리부에는 상기 도광판(224)의 제5 및 제6 걸림턱(224a, 224b)과 각각 맞물려 상기 도광판(224)의 상기 제1 램프(221a)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제5 및 제6 걸림돌기(402, 404)가 상기 몰드 프레임(400)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램프(221b)가 재치된 측벽의 양 모서리부에는 상기 도광판(224)의 제7 및 제8 걸림턱(224c, 224d)과 각각 맞물려 상기 도광판(224)의 상기 제2 램프(221b)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제7 및 제8 걸림돌기(406, 408)가 상기 몰드 프레임(400)과 일체로 형성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224)이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면, 상기 제5 걸림턱(224a)과 제5 걸림돌기(402), 상기 제6 걸림턱(224b)과 제6 걸림돌기(404), 상기 제7 걸림턱(224c)과 상기 제7 걸림돌기(406) 및 상기 제8 걸림턱(224d)과 상기 제8 걸림돌기(408)가 각각 맞물려 상기 도광판(224)의 수평방향의 유동을 방지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5 걸림턱(224a)의 측면과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측벽과의 사이의 갭은 상기 도광판(224)의 중앙부의 측면과 상기 몰드 프레임(400)과의 사이의 갭 보다 좁다. 이는, 상기 제5 걸림턱(224a)의 측벽에 상기 도광판(224)과 일체로 제3 걸림살(224a′)을 덧붙였기 때문인데, 상기 제3 걸림살(224a′)은 상기 도광판의 중앙부로 진행할수록 그 폭(W5)이 좁아지도록 완만한 슬로프(slope)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제3 걸림살(224a′)은 상기 도광판(224)의 제6, 제7 및 제8 걸림턱(224b, 224c, 224d)에 있어서도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5, 제6, 제7 및 제8 걸림턱(224a, 224b, 224c, 224d)과 상기 제5, 제6, 제7 및 제8 걸림돌기(402, 404, 406, 408) 사이의 걸림량은 각각의 제3, 제4, 제5 및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의 폭(W5, W6, W5′, W6′)만큼 증가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제4, 제5 및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을 상기 제5, 제6, 제7 및 제8 걸림턱(224a, 224b, 224c, 224d)에 덧붙이기 전에 상기 도광판(224)의 제5, 제6, 제7 및 제8 걸림턱(224a, 224b, 224c, 224d)의 폭을 각각 나타내는 “W3”, “W4”, “W3′” 및 “W4′”의 값은 동일하다. 하지만, 상기 제5, 제6, 제7 및 제8걸림턱(224a, 224b, 224c, 224d)의 측벽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제3, 제4, 제5 및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을 각각 덧붙이면, 상기 제1 단부의 폭(W1′) 및 상기 제2 단부의 폭(W2)은 각각 상기 중앙부의 폭(W7)보다 두 개의 걸림살(224a′, 224b′)의 폭(W5, W6)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 제6, 제7 및 제8 걸림턱(224a, 224b, 224c, 224d)과 상기 제5, 제6, 제7 및 제8 걸림돌기(402, 404, 406, 408) 사이의 걸림량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상기 도광판(224)이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제1 램프(221a) 또는 제2 램프(221b)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제4, 제5 및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의 각각은 상기 중앙부로 진행할수록 폭(W5, W6, W5′, W6′)이 좁아지는 슬로프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 램프(221a, 221b)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빛고임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도광판(224)의 제1 단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및 제4 걸림살(224a′, 224b′)의 두께(t1)는 상기 제5 및 제6 걸림턱(224a, 224b)의 두께(t2)보다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5 및 제6 걸림살(224c′, 224d′)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7 및 제8 걸림턱(224c, 224d)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3 내지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의 두께(t1)는 서로 동일하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몰드 프레임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양측벽, 즉 상기 제3, 제4, 제5 및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과 대응하는 측벽에는 상기 제3 내지 제6 제2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이 수용될 수 있는 제3, 제4, 제5 및 제6 수납홈(410, 412, 414, 416)이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 내지 제6 수납홈(410, 412, 414, 416)은 상기 제3 내지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의 두께(t1)보다 크고 상기 제5 내지 제8 걸림턱(224a, 224b, 224c, 224d)의 두께(t2)보다는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3 내지 제6 수납홈(410, 412, 414, 416)은 상기 제3 내지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이 각각 수납될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5 내지 제8 걸림턱(224a, 224b, 224c, 224d)에 의해 상기 각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의 수납이 제어된다.
마찬가지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 내지 제8 걸림턱(224a, 224b, 224c, 224d)과 상기 제5 내지 제8 걸림돌기(402, 404, 406, 408) 사이의 걸림량이 상기 제3 및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에 의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상기 도광판(224)이 상기 몰드 프레임(4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일단부에 수납된 램프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도광판(224)이 상기 몰드 프레임(4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몰드 프레임(400)에 대한 외부 충격이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양측벽 즉, 상기 제3 내지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측으로 가해지면, 상기 제3 내지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이 상기 도광판(224)의 다른 부분 보다 먼저 상기 몰드 프레임(400)의 측벽과 맞닿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제3, 제4, 제5 및 제6 수납홈(410, 412, 414, 416)은 각각 상기 제3, 제4, 제5 및 제6 걸림턱(224a, 224b, 224c, 224d)과 대면할때까지 상기 제3, 제4, 제5 및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을 수용하기 때문에 상기 걸림살(224a′, 224b′, 224c′, 224d′)들이 상기 몰드 프레임(400)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제4, 제5 및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및 제2 걸림살(224a′, 224b′)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단부가 상기 제3, 제4, 제5 및 제6 수납홈(410, 412, 414, 416)에 소정폭 수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224)이 상기 광학시트(226)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4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제4, 제5 및 제6 걸림살(224a′, 224b′, 224c′, 224d′)과 인접합 영역, 즉 상기 제5, 제6, 제7 및 제8 걸림턱(224a, 224b, 224c, 224d)에서 상기 제5, 제6, 제7 및 제8 걸림돌기(402, 404, 406, 408)와 중첩되는 영역은 상기 도광판(224) 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5, 제6, 제7 및 제8 걸림턱(224a, 224b, 224c, 224d)에서 상기 제5, 제6, 제7 및 제8 걸림돌기(402, 404, 406, 408)와 중첩되는 영역은 각각 상기 제3, 제4, 제5 및 제6걸림살(224a′, 224b′, 224c′, 224d′)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액정 표시 모듈 및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도광판의 측면중에서 몰드 프레임에 설치된 램프와 마주하는 단부의 양 모서리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슬로프 형상의 걸림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벽에서 상기 걸리살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살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이들 홈은 상기 걸림살 보다는 크고 상기 걸림턱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몰드 프레임의 걸림돌기와 상기 도광판의 걸림턱과의 걸림량이 크게 증가하므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도광판이 상기 램프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충격이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방향에서 가해지더라도 상기 걸림살들이 상기 수납홈들로 수납되기 때문에 상기 걸림살이나 걸림턱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이 슬로프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램프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빛고임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램프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램프 유닛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상기 광 가이드 장치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부분 절개하여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하여서 상기 걸림턱 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는 도광판; 및
    상기 램프 유닛 및 도광판을 수납하고, 상기 걸림턱과 맞물려 상기 도광판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바닥면의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마주하는 측벽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홈이 형성되는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광 가이드 장치의 중앙부로 진행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슬로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 장치는 일단부로부터 대향하는 단부로 진행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쐐기형 도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몰드 프레임의 측벽에 형성된 홈은 상기 돌출부의 두께 보다는 크고, 상기 걸림턱의 두께 보다는 작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중첩되는 영역은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모듈.
  6. 램프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램프 유닛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상기 광 가이드 장치의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부분 절개하여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하여서 상기 걸림턱 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도광판을 구비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램프 유닛 및 도광판을 수납하고, 상기 걸림턱과 맞물려 상기 도광판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바닥면의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마주하는 측벽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홈이 형성되는 몰드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과 대향 결합하여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상기 몰드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탑샤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광 가이드 장치의 중앙부로 진행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슬로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 장치는 일단부로부터 대향하는 단부로 진행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쐐기형 도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몰드 프레임의 측벽에 형성된 홈은 상기 돌출부의 두께 보다는 크고, 상기 걸림턱의 두께 보다는 작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중첩되는 영역은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10043706A 2001-07-20 2001-07-20 액정표시장치 Ceased KR20030008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706A KR20030008790A (ko) 2001-07-20 2001-07-20 액정표시장치
CNB011394943A CN1282008C (zh) 2001-07-20 2001-11-27 液晶显示模块和液晶显示器
JP2001396002A JP4160300B2 (ja) 2001-07-20 2001-12-27 液晶表示モジュール及び液晶表示装置
US10/196,986 US7092048B2 (en) 2001-07-20 2002-07-18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1/504,253 US7750990B2 (en) 2001-07-20 2006-08-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706A KR20030008790A (ko) 2001-07-20 2001-07-20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790A true KR20030008790A (ko) 2003-01-29

Family

ID=1971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706A Ceased KR20030008790A (ko) 2001-07-20 2001-07-20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092048B2 (ko)
JP (1) JP4160300B2 (ko)
KR (1) KR20030008790A (ko)
CN (1) CN1282008C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383B1 (ko) * 2005-03-09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조립구조
KR100685830B1 (ko) * 2005-04-27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US7301588B2 (en) 2002-03-04 2007-11-27 Nec Lcd Technologies, Ltd. Optical unit and LCD device using the optical unit
KR100805537B1 (ko) * 2005-12-02 2008-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KR100869650B1 (ko) * 2007-06-05 2008-1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100893062B1 (ko) * 2007-07-13 2009-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수납장치
KR101222534B1 (ko) * 2005-03-22 2013-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8564730B2 (en) 2007-07-06 2013-10-2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790A (ko) * 2001-07-20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4166820A (ja) 2002-11-18 2004-06-17 Aruze Corp 遊技機
US20040209670A1 (en) * 2002-11-19 2004-10-21 Takanobu Adachi Gaming machine
JP2004166961A (ja) * 2002-11-20 2004-06-17 Aruze Corp 遊技機
US8096867B2 (en) 2002-11-20 2012-01-17 Universal Entertainment Corporation Gaming machine and display device with fail-tolerant image displaying
JP2004166962A (ja) 2002-11-20 2004-06-17 Aruze Corp 遊技機
JP2004166964A (ja) * 2002-11-20 2004-06-17 Aruze Corp 遊技機
JP2004166963A (ja) * 2002-11-20 2004-06-17 Aruze Corp 遊技機
ZA200308997B (en) 2002-11-20 2005-08-31 Universal Entertainment Corp Gaming machine and display device therefor
JP2004166959A (ja) * 2002-11-20 2004-06-17 Aruze Corp 遊技機
KR100947175B1 (ko) * 2003-03-20 2010-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US6864929B2 (en) * 2003-04-22 2005-03-08 Chunghwa Picture Tubes, Ltd. Secure frame for light module
US7892094B2 (en) 2003-05-14 2011-02-22 Universal Entertainment Corporation Gaming machine with a light guiding plate subjected to a light scattering process and having a light deflection pattern
US6937298B2 (en) * 2003-05-14 2005-08-30 Aruze Corp. Gaming machine having a protective member covering drive uni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ssion means
JP2005073852A (ja) * 2003-08-29 2005-03-24 Aruze Corp 遊技機
EP1657686B1 (en) * 2004-03-01 2009-05-27 Aruze Corporation Gaming machine
TWI282885B (en) 2004-03-03 2007-06-2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assembly
TWI274934B (en) * 2004-09-23 2007-03-01 Jemitek Electronics Corp Flat display module
TWM265638U (en) * 2004-10-08 2005-05-21 Au Optronics Corp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backlight module thereof
JP2006276685A (ja) * 2005-03-30 2006-10-12 Fujitsu Ltd 液晶表示モジュール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N100353233C (zh) * 2005-08-02 2007-12-0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模块以及其中的定位框架
KR20070034707A (ko) * 2005-09-26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0483210C (zh) * 2005-10-18 2009-04-29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US7894012B2 (en) * 2005-11-28 2011-02-22 Sharp Kabushiki Kaisha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178951B1 (en) * 2005-12-08 2007-02-20 Au Optronics Corp. Direct backlight module
WO2007078752A2 (en) 2005-12-19 2007-07-12 Wms Gaming Inc. Multigame gaming machine with transmissive display
CN1987596A (zh) * 2005-12-22 2007-06-27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JP2007206546A (ja) * 2006-02-03 2007-08-16 Citizen Electronics Co Ltd バックライト
KR20070082976A (ko) * 2006-02-20 2007-08-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978045B1 (ko) 2006-03-13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패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7325962B2 (en) * 2006-04-04 2008-02-05 Au Optronics Corp. Direct backlight module
JP2008017945A (ja) 2006-07-11 2008-01-31 Aruze Corp 遊技機、及び、遊技制御方法
JP2008034223A (ja) * 2006-07-28 2008-02-14 Nec Saitama Ltd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TWI345660B (en) * 2006-10-16 2011-07-21 Chimei Innolux Corp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same
KR101349091B1 (ko) * 2006-12-19 2014-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20892B1 (ko) * 2006-12-29 2013-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수납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47575B1 (ko) * 2007-03-28 201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N201083921Y (zh) * 2007-05-25 2008-07-09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器
US8547495B2 (en) * 2007-06-15 2013-10-0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01354493B (zh) * 2007-07-26 2010-08-11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侧光式背光源结构
KR101315869B1 (ko) * 2008-03-19 2013-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4665983B2 (ja) * 2008-03-28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172666B2 (en) 2008-04-01 2012-05-08 Aruze Gaming America, Inc. Slot machine
TW200942911A (en) * 2008-04-15 2009-10-16 Wintek Corp Back light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1561582B (zh) * 2008-04-17 2010-12-15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结构
CN101639587B (zh) * 2008-08-01 2012-08-15 奇力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及应用其的液晶显示器
KR101511493B1 (ko) * 2008-11-27 2015-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세트 및 액정 표시 모듈의 조립 방법
KR20100075126A (ko) * 2008-12-24 201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604266B1 (ko) 2009-06-24 2016-03-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5081933B2 (ja) * 2010-01-25 2012-11-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764191B1 (ko) * 2010-05-28 2017-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모듈 및 액정표시장치
JP2012220762A (ja) * 2011-04-11 2012-11-12 Funai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テレビジョン装置
JP5747712B2 (ja) * 2011-07-25 2015-07-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447482B (zh) * 2011-09-28 2014-08-01 Au Optronics Corp 顯示模組
KR101858255B1 (ko) 2011-10-19 2018-05-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2013097037A (ja) 2011-10-28 2013-05-20 Toshiba Corp 電子機器
US20130250203A1 (en) * 2012-03-23 2013-09-26 Gege Zhou Backlight module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073649B1 (ko) * 2013-11-11 2020-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CN104537956A (zh) * 2015-01-19 2015-04-22 北京京东方多媒体科技有限公司 胶框、显示装置及其组装方法
CN104763979A (zh) * 2015-01-28 2015-07-08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导光板、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102421777B1 (ko) * 2017-10-19 202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120757A (ja) * 2017-12-28 2019-07-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1721501A (zh) * 2019-03-19 2020-09-29 西安诺瓦电子科技有限公司 显示模块限位夹具及显示模块校正设备
US11231161B1 (en) * 2020-11-27 2022-01-25 Ch Lighting Technology Co., Ltd. Direct-type panel lamp with uniform light
EP4495682A1 (en) * 2023-07-17 2025-01-22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1343A (ko) * 1998-02-03 1999-09-27 윤종용 엘씨디 모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JPH11329043A (ja) * 1998-05-20 1999-11-30 Nec Corp バックライト
KR20000007514A (ko) * 1998-07-03 2000-02-07 윤종용 엘씨디 모듈 고정장치
KR20000009878A (ko) * 1998-07-29 2000-02-15 윤종용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00066181A (ko) * 1999-04-14 2000-11-15 구본준 액정 표시 장치에서 도광판과 그 도광판을 고정하는 주 지지체의구조
KR20020039718A (ko) * 2000-11-22 2002-05-30 윤종용 광 가이드 장치, 이를 갖는 액정 표시 모듈 및 액정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7869A (en) * 1957-08-14 1959-10-06 Edwin M Hudson Instrument illuminator
US2994971A (en) * 1959-01-28 1961-08-08 Gilbert Co A C Instructional sky scanner
US3561145A (en) * 1968-03-05 1971-02-09 United States Radium Corp Light distributing lens system
US3864905A (en) * 1973-11-14 1975-02-11 Hoffmann La Roche Horological instrument incorporating means for illumina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US4975808A (en) * 1989-10-02 1990-12-04 Motorola, Inc. Backlighting apparatus
JPH04225596A (ja) 1990-12-27 1992-08-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サブ基板固定装置
JP3256970B2 (ja) * 1992-07-13 2002-0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状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08148012A (ja) * 1994-11-24 1996-06-07 Hitachi Ltd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46287B2 (ja) * 1995-06-29 1999-09-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835770B2 (ja) * 1996-03-29 2006-10-18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面光源装置
JP3466817B2 (ja) * 1996-05-02 2003-11-17 ローム株式会社 Led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69444B1 (ko) * 1996-07-11 1999-01-15 김광호 표시 장치
JP3558321B2 (ja) * 1997-05-08 2004-08-2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導光板
KR100246849B1 (ko) * 1997-06-30 2000-03-1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US6295405B1 (en) * 1997-07-25 2001-09-25 Physical Optics Corporation Light pipe for a backlighting system
JP4159059B2 (ja) * 1998-06-05 2008-10-01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面状光源ユニット
JP3300679B2 (ja) * 1999-01-26 2002-07-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装置におけるバックライト構造
JP2000275635A (ja) * 1999-03-23 2000-10-06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308160B1 (ko) * 1999-05-03 2001-09-26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JP3662788B2 (ja) * 1999-10-06 2005-06-22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携帯用情報端末機器
JP3852658B2 (ja) * 1999-12-01 2006-12-06 株式会社エンプラス 導光板、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2062434A (ja) * 2000-08-08 2002-02-2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導光板、サイドライト型光源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2093233A (ja) * 2000-09-14 2002-03-29 Toshiba Corp 面光源装置
TW542931B (en) 2001-01-16 2003-07-21 Au Optronics Corp Back lighting device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30008790A (ko) * 2001-07-20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1343A (ko) * 1998-02-03 1999-09-27 윤종용 엘씨디 모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JPH11329043A (ja) * 1998-05-20 1999-11-30 Nec Corp バックライト
KR20000007514A (ko) * 1998-07-03 2000-02-07 윤종용 엘씨디 모듈 고정장치
KR20000009878A (ko) * 1998-07-29 2000-02-15 윤종용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00066181A (ko) * 1999-04-14 2000-11-15 구본준 액정 표시 장치에서 도광판과 그 도광판을 고정하는 주 지지체의구조
KR20020039718A (ko) * 2000-11-22 2002-05-30 윤종용 광 가이드 장치, 이를 갖는 액정 표시 모듈 및 액정 표시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1588B2 (en) 2002-03-04 2007-11-27 Nec Lcd Technologies, Ltd. Optical unit and LCD device using the optical unit
US7593070B2 (en) 2002-03-04 2009-09-22 Nec Lcd Technologies, Ltd. Optical unit and LCD device using the optical unit
KR100623383B1 (ko) * 2005-03-09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조립구조
KR101222534B1 (ko) * 2005-03-22 2013-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685830B1 (ko) * 2005-04-27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100805537B1 (ko) * 2005-12-02 2008-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KR100869650B1 (ko) * 2007-06-05 2008-1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US8564730B2 (en) 2007-07-06 2013-10-2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0893062B1 (ko) * 2007-07-13 2009-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74224A1 (en) 2006-12-07
US7092048B2 (en) 2006-08-15
JP4160300B2 (ja) 2008-10-01
CN1399160A (zh) 2003-02-26
US20030016313A1 (en) 2003-01-23
CN1282008C (zh) 2006-10-25
US7750990B2 (en) 2010-07-06
JP2003043456A (ja)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014B1 (ko) 광 가이드 장치, 이를 갖는 액정 표시 모듈 및 액정 표시장치
KR20030008790A (ko) 액정표시장치
KR100656549B1 (ko) 액정 표시 모듈,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장치의 실장방법
KR101189088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78480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제조 방법
JP4862030B2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10084023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437015B1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4142642B2 (ja) バックライト組立体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100715941B1 (ko) 액정표시모듈,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그리고액정표시장치의 조립방법
KR10192937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757779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40036258A (ko) 액정표시장치
KR10082850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02464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486907B1 (ko) 액정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0531479B1 (ko) 액정표시장치
TWI293137B (ko)
KR10102464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40028391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006621A (ko) 액정표시장치
KR20040043412A (ko) 평판 표시 장치
KR20030073251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11953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41841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20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7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7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8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1229

Appeal identifier: 2008101002112

Request date: 20080314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31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1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10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7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0514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8051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31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102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72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314

Effective date: 20081229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1229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80314

Decision date: 20081229

Appeal identifier: 200810100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