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09534A - 접착 시트 - Google Patents

접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534A
KR20100009534A KR1020097018745A KR20097018745A KR20100009534A KR 20100009534 A KR20100009534 A KR 20100009534A KR 1020097018745 A KR1020097018745 A KR 1020097018745A KR 20097018745 A KR20097018745 A KR 20097018745A KR 20100009534 A KR20100009534 A KR 20100009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resin layer
adhesive sheet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8639B1 (ko
Inventor
요시쓰구 마쓰우라
가즈히토 오바타
마사키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9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6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05K3/4652Adding a circuit layer by laminating a metal foil or a preformed metal foil pattern
    • H05K3/4655Adding a circuit layer by laminating a metal foil or a preformed metal foil pattern by using a laminate characterized by the insulating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007Curing agents not provided for by the groups C08G59/42 - C08G59/66
    • C08G59/4085Curing agents not provided for by the groups C08G59/42 - C08G59/66 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9/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J161/00 - C09J177/00
    • C09J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9J1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8Metal shee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2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 H05K3/4635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laminating flexible circuit boards using additional insulating adhesive materials between the boar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83Dielectric layers
    • H05K2201/0195Dielectric or adhesive layers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e.g. in a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35Layered conductors or foils
    • H05K2201/0358Resin coated copper [RC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05K3/386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the use of an organic polymeric bonding layer, e.g. adhes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05K3/4652Adding a circuit layer by laminating a metal foil or a preformed metal foil patter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of base or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04Next to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기재(3) 및 상기 기재(3)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접착 수지층(4)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수지층(4)은 유리 전이 온도가 170∼200℃이고, 또한 경화 후의 탄성률이 100∼500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착 시트{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접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기기의 소형화, 고밀도화 및 경량화에 따라 그들에 사용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판 또는 리지드 배선판은, 휴대 전화기의 모듈 보드 등을 중심으로 채용이 증대되고 있다.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판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동박에 직접 도포하여 고온 하에서 축합(縮合)시킨 2층 CCL 타입(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또는 그 외의 접착제를 통하여 동박(銅箔)과 폴리이미드 필름을 접합시킨 3층 CCL 타입,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 상에 스퍼터 및 도금에 의해 구리층을 석출시킨 메타 라이징 타입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2층 CCL 타입은, 내열성이 우수하지만 고온에서의 장시간의 가열 공정이 필요하므로, 일반적으로는 가격이 높다.
3층 CCL 타입은, 폴리이미드계 접착제를 사용하면 접합 시에 고온 고압 장시간의 접착 공정이 필요하므로 생산성이 나쁘고, 그 외의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2층 CCL 타입보다 염가이만 내열성이 저하된다.
메타 라이징 타입은 구리층의 형성에 비용이 들어 동박의 후막화가 곤란하 다. 또한, 동과 절연층 간의 밀착력이 작아, 밀착력의 신뢰성도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베이스가 되는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얇은 도체층을 형성하기 위한 내열성이 우수하고, 고정밀도화에도 유효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들 각각의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판은 각각이 갖는 특징에 따라 용도별로 구분하여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는 각종 모듈의 접속 부분에만 사용되고 있다.
한편, 광범위하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리 섬유에 에폭시 수지를 함침시킨 리지드 배선판은, 재료가 염가이고, 비교적 저온에서의 접착이 가능하며, 다층화에도 대응 가능하지만, 다층 경화 후에 리지드 배선판 단독으로 벤딩 가공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이 리지드 배선판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배선판의 형성에 사용되는, B 스테이지 상태로 한 프리프레그(prepreg), 수지 첨부 동박, 및 접착 필름은, 상온 분위기 하에서 보관하면, 수지의 플로우 양이 저하되고, 성형성 및 접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이들 재료는 성형성 및 접착성을 유지하기 위해 냉장 보관이 필요하게 되는 등 보관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플렉서블 배선판과 리지드 배선판을 사용한 다층 배선판의 형태로서, 플렉서블 리지드 배선판이 있다. 이것은, 다층 부분으로는 전술한 유리 섬유에 에폭시 수지 등을 함침시킨 경질의 리지드 기판을 사용하고, 접속 부분으로는 전술한 플렉서블 배선판을 사용함으로써, 다층화 및 벤딩 가공의 양쪽을 가능하게 한 기판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03-104185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플렉서블 리지드 배선판은, 다층 부분으로 통상의 리지드 배 선판을 사용하므로, 고밀도화에는 유효하지만, 기판 전체의 박형화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는 제조법으로서의 한계가 있다. 또한, 플렉서블 배선판 부분과 리지드 배선판 부분을 접착하는 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나 비용에도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박형화가 가능한 플렉서블 배선판을, 리지드 배선판과 조합하지 않고서 다층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배선판끼리를 접착하여 다층화할 때에는, 일반적으로는 Tg가 100∼160℃인 접착제가 사용되므로, 플렉서블 배선판의 고내열성을 충분히 살릴 수 없다. 또한, Tg가 160℃ 이상인 접착제를 사용하면, 플렉서블 배선판과 접착제와의 밀착력이 불충분하거나, 적층 온도가 고온으로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벤딩 가공성, 내열성 및 접착성이 뛰어난 동시에 회로 매립성도 우수한 접착 시트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플렉서블 배선판을 다층화하여 이루어지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에 사용되고, 벤딩 가공성, 내열성, 접착성 및 회로 매립성이 우수한 접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접착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수지층은 유리 전이 온도가 170∼200℃이고, 또한 경화 후의 탄성률이 100∼500MPa인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접착 시트 및 접착 수지 부착 금속박에 의하면, 유리 전이 온도 및 경화 후의 탄성률이 상기한 특정 범위 내에 있는 접착 수지층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플렉서블 배선판을 다층화하여 이루어지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벤딩 가공성, 내열성, 접착성 및 회로 매립성 모두를 높은 수준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다층 배선판의 박형화가 가능한 동시에, 우수한 성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 시트는, 상기 접착 수지층 내에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에폭시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접착 수지층의 고형분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15∼4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수지층이 에폭시 수지를 상기한 특정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벤딩 가공성, 내열성, 접착성 및 회로 매립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다층화 시에 접착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유출을 충분히 억제하여, 얻어지는 다층 배선판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 시트는, 상기 접착 수지층 내에,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접착 시트는, 상기 접착 수지층 내에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의 실록산 변성율이 25∼4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수지층이 상기한 특정의 수지, 특히 상기한 특정의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벤딩 가공성, 내열성, 접착성 및 회로 매립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금속층은 두께 0.5∼25㎛의 구리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층을 갖는 기재를 사용한 경우, 상기 금속층을 배선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접착 시트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에서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 시트에서, 상기 기재는 두께 5∼200㎛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것도 바람직하다. 기재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플렉서블 배선판에 접착 시트를 임시 고정한 후에, 회로 가공을 행한 플렉서블 배선판을 접착할 수 있으므로, 다층판의 구성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다층 배선판의 제조에서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기재로 하는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다층 배선판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기재를 박리하여 접착 수지층에 의해 배선판끼리의 접착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 시트에서, 상기 접착 수지층의 두께는 10O㎛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다층화 시의 수지 염출량을 필요 최저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다층 배선판의 박형화에도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 시트는, 상기 기재와 상기 접착 수지층의 합계의 두께가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양호한 벤딩 가공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다층 배선판의 박형화에도 기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서블 배선판을 다층화하여 이루어지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에 사용되고, 벤딩 가공성, 내열성, 접착성 및 회로 매립성이 우수한 접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착 시트를 사용한 다층 배선판(4층판)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 도전체층
2 : 수지층
3 : 기재
4 : 접착 수지층
5 : 세퍼레이터
6 : 배선 부재
7 :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판
8 : 경화층
10, 20 : 접착 시트
100 : 다층 배선판
이하, 경우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 중의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접착 시트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접착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접착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 Tg가 170∼200℃이고, 또한 상기 접착 수지층의 경화 후의 탄성률이 100∼500 MPa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접착 시트(10)는, 도전체층(1) 및 수지층(2)으로 이루어지는 기재(3)와, 상기 기재(3)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접착 수지층(4)과, 상기 접착 수지층(4)의 기재(3)와는 반대측의 면 상에 형성된 세퍼레이터(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접착 시트(20)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3)와, 상기 기재(3)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접착 수지층(4)과, 상기 접착 수지층(4)의 기재(3)와는 반대측의 면 상에 형성된 세퍼레이터(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접착 시트(10, 20)에서, 접착 수지층(4)은 유리 전이 온도가 170∼200℃이며, 또한 경화 후의 탄성률이 100∼500 MPa인 층으 로 되어 있다. 이하, 접착 시트(10, 20)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접착 수지층(4)은 전술한 유리 전이 온도 및 경화 후의 탄성률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에폭시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 성분으로서는,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가 더욱 바람직하며,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착 수지층(4)에 사용되는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는,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산무수물기, 및 메르캅토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관능기를 말단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관능기를 가짐으로써, 접착 수지층(4)의 내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의 실록산 변성율은 25∼4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5∼45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실록산 변성율이 25 질량% 미만에서는, 접착 수지층(4) 형성시의 건조 공정에서의 용매의 휘발이 불충분하게 되고, 접착 수지층(4) 표면의 점착성이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실록산 변성율이 45 질량%를 초과하면, 접착 수지층(4) 형성시의 건조 공정에서의 용매의 휘발량에 불균일이 발생하여, 안정된 특성을 얻기가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200∼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10∼2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범위 내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열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동시에 접착 수지층(4)의 유리 전이 온도를 170∼200℃의 범위 내로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지고, 접착성의 향상 및 가압 접착시의 수지의 유출 억제에 기여한다.
접착 수지층(4)에서,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의 함유량은, 접착 수지층(4)의 고형분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35∼8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5∼70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35 질량% 미만에서는, 접착 수지층(4)이 딱딱해지게 되어 벤딩 가공성이 열화하는 경향이 있고, 85 질량%를 넘으면, 접착 수지층(4)이 너무 부드러워져 성형시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접착 수지층(4)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로서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노볼락형 페놀 수지, 오르토 크레졸 노볼락형 페놀 수지 등의 다가 페놀 또는 1,4-부탄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과 에피크로르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프탈산 및 헥사 히드로 프탈산 등의 다염기산과 에피크로르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글리시딜 에스테르, 아민, 아미드 또는 복소환식 질소 염기를 갖는 화합물의 N-글리시딜 유도체, 및 지환형 및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디시크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등의 지환형 에폭시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에폭시 수지는 1종류를 단독으로 또 는 2종류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된다.
접착 수지층(4)에서, 에폭시 수지의 함유량은 접착 수지층(4)의 고형분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15∼4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5∼4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15 질량% 미만에서는, 접착 수지층(4)의 경화물의 탄성률이 저하되어 100MPa 미만이 될 우려가 있고, 프레스에 의한 가압 접착시에 수지가 유출하여 소정의 판 두께를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함유량이 40질량%를 초과하면, 접착 수지층(4)의 경화물의 탄성률이 상승하여 500MPa 이상으로 될 우려가 있어, 내열성이 향상될 뿐 경화 상태에서의 수지가 너무 딱딱해져, 벤딩 가공 시에 크랙이 발생하기가 쉽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접착 수지층(4)의 구성 재료로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 경화 촉진제 등을 함께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경화제 및 경화 촉진제로서는, 에폭시 수지와 반응하는 것이나 경화를 촉진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경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민류, 이미다졸류, 다관능성 페놀류, 및 산무수물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아민류로서는, 예를 들면, 디시안디아미드, 디아미노 디페닐 메탄, 구아닐 요소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페놀류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비스페놀 A, 및 이들의 할로겐 화합물, 또한 포름알데히드와의 축합물인 노볼락형 페놀 수지, 레졸형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산무수물류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프탈산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본산 2무수물, 및 메틸 하이믹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경화 촉진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기 이미다졸, 벤조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 수지층(4)의 유리 전이 온도는 170∼200℃인 것이 필요하며, 180∼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유리 전이 온도가 170℃ 미만이면, 프레스에 의한 가압 접착시에 수지의 유출이 발생하고, 배선판으로서 소정의 판 두께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200℃를 넘으면, 라미네이트 또는 프레스에서의 적층 시에 보이드가 발생하기 쉽고, 접착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접착 수지층(4)의 유리 전이 온도는, 예를 들면,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실록산 변성율 또는 에폭시 수지의 배합량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접착 수지층(4)의 경화 후의 탄성률은 100∼500MPa인 것이 필요하며, 300∼500M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화 후의 탄성률이란, 접착 수지층(4)에 함유되는 경화성 수지를 완전히 경화시킨 후의 탄성률이다. 경화의 조건은 사용하는 수지 또는 경화제의 종류 등에 의해 상이하지만, 에폭시 수지와 그 경화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240℃에서 1시간의 열처리에 의해 완전히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화 후의 탄성률이 100MPa 미만이면, 배선판으로서의 강도가 부족하고, 다층 배선판의 형성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경화 후의 탄성률이 500MPa를 초과하면, 배선판으로서는 딱딱하게 되어, 곡률이 작은 벤딩 가공 시에 크랙이 발생한다. 접착 수지층(4)의 경화 후의 탄성률은, 예를 들면,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와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성분과의 배합 비율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접착 수지층(4)은,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에폭시 수지 및 그 외의 성분을 용제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접착제 바니스(varnish)의 상태로 하고, 이 접착제 바니스를 기재(3)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NMP),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DMAC), 디메틸술폭시드(DMSO), 유산 디메틸, 술포란, 크레졸, 페놀, 할로겐화 페놀, 시클로헥산, 및 디옥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의 합성에 사용한 용매를, 접착제 바니스의 용매로서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수지층(4)의 코팅 시의 경화율은 10∼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화율이 10% 미만인 경우, 배선판 적층 시의 열에 의해 수지의 흐름량이 증대하고, 두께 제어가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경화율이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적층 시에 흐름량이 부족하고, 회로 가공한 배선판과 접착 수지층(4) 사이의 밀착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동시에, 적층 시에 접착 수지층(4)의 접힘 또는 균열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접착 수지층(4)의 두께는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3)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종의 플라스틱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금속, 유기물, 이들의 복합물 등을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접착 시트(10)에서는, 기재(3)는 도전체층(1)과 수지층(2)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낸 접착 시트(20)에서는, 기재(3)는 플라스 틱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기재(3)로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전체층(1)과 수지층(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체층(1)과 수지층(2)을 구비하는 기재(3)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전체층에 폴리이미드 수지를 다이렉트 코팅하여 경화시킨, Hitachi Chemical Company, Ltd.에서 제조한 내열 접착 필름 MCF-5000I(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유연하고, 내열성, 가공성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다층용 배선판 재료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전체층(1)으로서는, 도전성을 갖는 층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속, 유기물 및 이들의 복합물 등을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면 되지만,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층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구리가 배선판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고, 본 발명에서도 구리로 이루어지는 층을 도전체층(1)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도전체층(1)의 두께는 3∼75㎛의 범위 내에서 목적에 따라 넓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8㎛ 이상의 두께의 도전체층(1)에 대하여는, 전해 동박, 압연 동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2)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MCF-5000I에 사용되도록 한 폴리이미드층이 바람직하다. 이 폴리이미드층의 두께로서는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두께가 0.5㎛ 미만에서는, 도전체층(1)을 에칭 제거한 후의 내열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기재(3)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 필 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 수지층(4)을 형성하는 기재(3)의 표면에는, 접착 수지층(4)의 젖는 성질, 특히, 접착제 바니스를 기재(3) 상에 도포하여 접착 수지층(4)을 형성하는 경우의 접착제 바니스의 젖는 성질을 향상시키고, 돌출 또는 고르지 않음 등의 외관 악화를 방지하거나, 밀착력을 향상 또는 안정화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각종의 표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표면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UV 조사, 코로나 방전 처리, 버프 연마, 샌드 블래스트, 각종 드라이 에칭, 각종 웨트 에칭 등의 처리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연속 처리의 용이함, 처리 효과의 안정성, 및 효과의 크기로부터,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드라이 에칭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5)는 접착 수지층(4)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접착 수지층(4)의 기재(3)와는 반대측의 면 상에 형성된다. 세퍼레이터(5)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된다.
또한, 접착 시트(10, 20)에서, 기재(3)와 접착 수지층(4)의 합계의 두께는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6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접착 시트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접착 시트(10, 20)에서, 세퍼 레이터(5)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기재(3)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 이외의 구성을 가져도 된다. 또한, 접착 시트는, 전술한 기재(3), 접착 수지층(4) 및 세퍼레이터(5) 이외의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접착 시트는, 시트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롤형으로 감겨져 있어, 연속적인 기계 가공 및 접착에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배선판을 적층하는 경우, 그 적층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프레스 적층법, 열 롤에 의한 연속 적층 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접착 수지층(4)을 피착체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효율적으로 특성의 불균일을 억제하면서 균일하게 접착하여 다층 배선판으로 하기 위해서는, 진공 내에서의 열 프레스에 의해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1에 나타낸 접착 시트(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퍼레이터(5)는 박리하지만, 기재(3)는 박리하지 않고 그대로 배선 재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금속층(1)을 회로 가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접착 시트(20)의 경우, 세퍼레이터(5) 및 기재(3)의 양쪽 모두 박리할 필요가 있다.
열 롤에 의한 연속 적층법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 수지층(4)의 경화 방법으로서는, 열경화, 자외선 경화, 전자선 경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경화 방법은, 접착 수지층(4)의 경화 반응에 충분한 에너지량이 부여되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경화에 의한 연속 경화법이 바람직하고, 열 롤에 의한 연속 라미네이트를 행하고, 연속 열경화로에 횡반송(橫搬送)하여, 경화 후에 권취 작업을 행하는 방법이, 경화 후의 접착 수지층(4)의 경화 수축에 의한 주름이나 접 힘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경화, 권취 후에, 품질 안정화를 위해 소정 시간의 후 가열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접착 시트(10)를 사용하여 형성한 다층 배선판(4층판)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층 배선판(100)은, 수지층(2)과 그 양면에 형성된 도전성의 배선 부재(6)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판(7)의 양면에, 도전체층(1) 및 수지층(2)으로 이루어지는 기재(3)가, 접착 수지층(4)을 경화시켜 이루어진 경화층(8)을 통하여 접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다층 배선판(100)에서는, 기재(3)에서의 도전체층(1)이 배선 부재로서 사용되고, 4층의 배선 패턴이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배선 부재(6)의 구성 재료로서는, 도전체층(1)과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다층 배선판(10O)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형성되므로, 내열성, 치수 안정성, 접착 신뢰성, 가공성, 휨 특성 및 취급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접착 수지층 형성용 바니스의 조제
Tg 200℃, 실록산 변성율 35 질량%로 조정한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Hitachi Chemical Company, Ltd.에서 제조, 상품명: KT10-TMA) 70 질량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Japan epoxy resin Co., Ltd.에서 제조, 상품명: YX4000) 21 질량부, 경화제(Dainippon Ink & Chemicals, Inc.에서 제조, 상품명: KA-1165) 9 질량부, 및 경화 촉진제(Shikoku Chemicals Corporation에서 제조, 상품명: 2-에틸-4-메틸 이미다졸) 0.35 질량부를 배합하여, 접착 수지층 형성용 바니스를 조제하였다.
(2) 접착 수지층의 형성
(1)에서 조제한 접착 수지층 형성용 바니스를, 폴리이미드층 및 그 한쪽 면 상에 형성된 동박층으로 이루어지는 기재(MCF-5000I(상품명)의 단면판,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제조, 동박층의 두께 35㎛, 폴리이미드층의 두께 25 ㎛)의 폴리이미드층 상에 코팅 기기에 의해 코팅하고, 150℃의 건조로(乾燥爐)에서 라인 속도 0.5 m/min에 의해 건조시켰다. 이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50㎛인 접착 수지층을 구비하는 접착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접착 시트에서, 접착 수지층의 Tg는 185℃이며, 접착 수지층을 240℃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경화시킨 경화층의 탄성률은 300MPa이었다.
(3) CCL(copper clad laminate)의 제작
폴리이미드층의 양면에 회로 가공을 행한 동박층을 형성한 기재(MCF-5000I(상품명)의 양면판, Hitachi Chemical Company, Ltd.에서 제조, 동박층의 두께 35㎛, 폴리이미드층의 두께 30㎛)의 양면에, (2)에서 제작한 접착 시트를, 100t 진공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240℃, 4MPa의 조건에서 40분간 가열 가압하여 접착하 고, 도 3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 다층 배선판(4층판)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접착 수지층 형성용 바니스를 도포하는 MCF-5000I의 단면판의 두께 구성을, 동박층의 두께 9㎛, 폴리이미드층의 두께 6㎛로 변경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접착 시트를, 폴리이미드층의 양면에 회로 가공을 행한 동박층을 형성한 기재(MCF-5000I(상품명)의 양면판, Hitachi Chemical Company, Ltd.에서 제조, 동박층의 두께 9㎛, 폴리이미드층의 두께 9㎛)의 양면에, 100t 진공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240℃, 4MPa의 조건에서 40분간 가열 가압하여 접착하고, 도 3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 다층 배선판(4층판)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수지층 형성용 바니스를 제작하였다. 이 접착 수지층 형성용 바니스를, 기재로서의 실리콘 이형 처리한 PET 필름(Teijin Ltd.에서 제조, 상품명: 퓨렉스 A31-75, 두께 125㎛) 상에 코팅 기기에 의해 코팅하고, 150℃의 건조로에서, 라인 속도 0.5 m/min에 의해 건조시켰다. 이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50㎛인 접착 수지층을 구비하는 접착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접착 시트로부터 기재(퓨렉스 A31-75)를 박리하고, 접착 수지층을, 폴리이미드층의 양면에 회로 가공을 행한 동박층을 형성한 기재(MCF-5000I(상품명)의 양면판, Hitachi Chemical Company, Ltd.에서 제조, 동박층의 두께 9㎛, 폴리이미드층의 두께 9㎛)의 양면에 배치하고, 또한 그 양측에 Furukawa Circuit Foil Co., Ltd.에서 제조한 전해 동박(상품명: F2WS9㎛)을 배치하고, 100t 진공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240℃, 4MPa의 조건에서 40분간 가열 가압하여 접착하고, 다층 배선판(4층판)을 얻었다.
(실시예 4)
Tg 200℃, 실록산 변성율 35 질량%의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대신에, Tg 200℃, 실록산 변성율 23 질량%의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Hitachi Chemical Company, Ltd.에서 제조, 상품명: KT10-TMA)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시트 및 다층 배선판(4층판)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접착 시트에서, 접착 수지층의 Tg는 185℃이며, 접착 수지층을 240℃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경화시킨 경화층의 탄성률은 300MPa이었다.
(실시예 5)
Tg 200℃, 실록산 변성율 35 질량%의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대신에, Tg 200℃, 실록산 변성율 47 질량%의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Hitachi Chemical Company, Ltd.에서 제조, 상품명: KT10-TMA)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시트 및 다층 배선판(4층판)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접착 시트에서, 접착 수지층의 Tg는 185℃이며, 접착 수지층을 240℃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경화시킨 경화층의 탄성률은 300MPa이었다.
(비교예 1)
Tg 200℃, 실록산 변성율 35 질량%의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대신에, Tg 180℃, 실록산 변성율 35 질량%의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 지(Hitachi Chemical Company, Ltd.에서 제조, 상품명: KT10-TMA)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시트 및 다층 배선판(4층판)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접착 시트에서, 접착 수지층의 Tg는 160℃이며, 접착 수지층을 240℃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경화시킨 경화층의 탄성률은 275MPa이었다.
(비교예 2)
Tg 200℃, 실록산 변성율 35 질량%의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대신에, Tg 225℃, 실록산 변성율 35 질량%의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Hitachi Chemical Company, Ltd.에서 제조, 상품명: KT10-TMA)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시트 및 다층 배선판(4층판)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접착 시트에서, 접착 수지층의 Tg는 210℃이며, 접착 수지층을 240℃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경화시킨 경화층의 탄성률은 340MPa이었다.
(비교예 3)
Tg 185℃, 실록산 변성율 35 질량%에서 조정한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Hitachi Chemical Company, Ltd.에서 제조, 상품명: KT10-TMA) 85 질량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Japan epoxy resin Co., Ltd.에서 제조, 상품명: YX4000) 11 질량부, 경화제(Dainippon Ink & Chemicals, Inc.에서 제조, 상품명: KA-1165) 4 질량부, 경화 촉진제(Shikoku Chemicals Corporation에서 제조, 상품명: 2-에틸-4-메틸 이미다졸) 0.35 질량부를 배합하여, 접착 수지층 형성용 바니스를 조제하였다. 이 접착 수지층 형성용 바니스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시트 및 다층 배선판(4층판)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접착 시트에 서, 접착 수지층의 Tg는 180℃이며, 접착 수지층을 240℃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경화시킨 경화층의 탄성률은 50MPa이었다.
(비교예 4)
Tg 185℃, 실록산 변성율 35 질량%에서 조정한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Hitachi Chemical Company, Ltd.에서 제조, 상품명: KT10-TMA) 35 질량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Japan epoxy resin Co., Ltd.에서 제조, 상품명: YX4000) 45 질량부, 경화제(Dainippon Ink & Chemicals, Inc.에서 제조, 상품명: KA-1165) 20 질량부, 경화 촉진제(Shikoku Chemicals Corporation에서 제조, 상품명: 2-에틸-4-메틸 이미다졸) 0.35 질량부를 배합하여, 접착 수지층 형성용 바니스를 조제하였다. 이 접착 수지층 형성용 바니스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시트 및 다층 배선판(4층판)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접착 시트에서, 접착 수지층의 Tg는 170℃이며, 접착 수지층을 240℃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경화시킨 경화층의 탄성률은 650MPa이었다.
(기재의 외관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4층판의 외층 동박을 에칭하여, 기판의 외관을 육안 관찰에 의해 관찰했다. 내층 회로가 양호하게 매립되어 있는 것을 "OK"로 판단하고, 내층에 보이드가 발생되어 있거나, 수지가 너무 흘러 회로의 요철이 현저한 것은 "NG"로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동박 접착성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4층판의 한쪽 면으로부터 샌드 페이퍼를 사용 하여 기판을 연마하고, 제2 층의 내층 동박을 노출시킨 후에 동박을 부분적으로 에칭하여, 1mm 폭의 동박 라인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동박 라인을 접착면에 대하여 90°방향으로 50 mm/분의 속도로 인장 박리시키고, 그때의 하중을 측정하여, 최대 하중을 인장 박리 강도(동박 접착성)로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납땜 내열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4층판을 50mm 사방의 정사각형으로 잘라내어 시험편을 얻었다. 그 시험편을 288℃의 납땜 욕조 내에 침지하여, 그 시점으로부터 시험편의 부풀어오름이 육안 관찰에 의해 확인되는 시점까지 경과한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표 내에의 "5분 이상"이란, 5분 이상 경과 하여도 부풀어오름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점착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접착 시트의 접착 수지층에 대하여, 프로브 택(probe tack) 시험법에 의해 점착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40℃로 가열한 스테이지 상에 위치된 접착 시트의 접착 수지층에, 40℃의 가열 프로브를 가압한 후, 인장 박리한 때의 최대 하중을 측정하고, 5개의 지점에서 측정한 평균값을 점착성으로서 구하였다. 이 때, 프로브 직경을 5mm, 프로브 속도를 30mm/분, 프로브를 가압하는 하중을 100gf, 프로브 접촉 시간을 2초로 하였다. 또한, 측정 장치는, JISZ0237-1991에 준하는 프로브 택 테스터(Rhesca Co., Ltd.에서 제조된 택 테스터)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실시 예 5에서는 측정값의 변동폭이 커서, 5 지점의 점착성 측정값의 최소값이 5g이고, 최대값이 24g이었다.
(수지 염출량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4층판을 제작할 때, 프레스 후의 기재의 4변의 중앙 부분의 수지 염출량을 측정 눈금 0.5mm의 눈금자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4 지점의 평균값을 염출량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실시예 5에서는 측정값의 변동폭이 커서, 4 지점의 염출량 측정값의 최소값이 3mm, 최대값이 7mm이었다.
(벤딩 가공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4층판의 양면의 동박을 전체면 에칭한 배선판으로부터, 폭 10mm × 길이 10Omm의 사이즈의 시험편을 잘라내었다. 이 시험편을 직경(R)이 각각 0.10mm, 0.25mm 또는 0.50mm의 핀을 사이에 두고 스테이지 위에 두었다. 그리고, 핀이 협지되어 있는 부분의 시험편 상에서 롤러를 왕복시킴으로써, 시험편을 국소적으로 절곡하였을 때의 경화 후의 접착 수지층에서의 크랙의 발생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평가는 하기의 기준으로 행하였다. 크랙(백화)의 발생이 적을수록, 벤딩 가공성(가요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A: 이상 없음,
B: 일부 크랙에 의해 백화,
C: 전체면 크랙에 의해 백화.
(회로 매립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4층판을 절단하고, 에폭시 수지로 주형(注型)한 후에 절단면을 내수(耐水) 페이퍼에 의해 연마하여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절단면의 내층 동박 부근의 접착 수지의 충전 상태를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였다. 내층 동박의 주위에 완전히 접착 수지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를 양호로 판단하고, 동박 주위에 조금이라도 보이드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불량으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치수 변화율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4층판을 250mm의 사각형으로 절단하고, 4개의 코너로부터 중심 방향을 향해 10mm의 위치에 0.5mm의 드릴 구멍을 뚫었다. 드릴 구멍을 평가 지점으로 하고, 평가 지점 사이의 거리를 동박의 흐름 방향(MD : Machine Direction)으로 하며, 흐름 방향에 대하여 90도 교차하는 방향을 수직 방향(TD : Transverse Direction)으로 하여, 최소 눈금 1㎛의 3차원 치수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후, 시험편의 양쪽의 동박을 에칭에 의해 제거하고, 24시간 바람으로 건조한 후에 재차 평가 지점간 거리를 3차원 치수 측정기로 측정하고, 치수 변화율(%)을 하기의 식으로 구하였다;
치수 변화율(%)={(동박 제거 후의 평가 지점간 거리 - 동박 제거 전의 평가 지점간 거리)/동박 제거 전의 평가 지점간 거리)} × 00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비교예 3에서는 수지의 유출이 크고, 표면이 꾸불꾸불하고, 요철이 있어, 측정기에 평활하게 시험편을 장착할 수 없 기 때문에,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표 1
Figure 112009055142819-PCT00001
표 2
Figure 112009055142819-PCT0000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접착 시트 및 4층판은, 동박 접착성, 회로 매립성, 내열성, 치수 안정성, 벤딩 가공성 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접착 시트는, 접착 수지층을 형성할 때의 건조 공정에 의해 용매가 충분히 휘발하지 않고, 접착 수지층 표면의 점착성이 커서 취급성이 나빴지만, 얻어진 4층판은 동박 접착성, 회로 매립성, 내열성, 치수 안정성, 벤딩 가공성 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5에서 얻어진 접착 시트는, 접착 수지층을 형성할 때의 건조 공정에 의해 용매의 휘발량의 불균일이 크고, 접착 수지층의 점착성이나 프레스 시의 수지 염출량에서 불균일이 발생하였으나, 얻 어진 4층판은 동박 접착성, 회로 매립성, 내열성, 치수 안정성, 벤딩 가공성 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접착 시트 및 4층판은, 동박 접착력 및 내열성이 뒤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얻어진 접착 시트 및 4층판은, 내열성은 우수하지만, 프레스 시의 접착 수지층의 유동성이 불충분하고, 회로 매립성이 뒤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3에서 얻어진 접착 시트 및 4층판은, 다층화 시의 프레스에 의한 가열 접착 시에 수지가 흐르기 시작하여, 소정의 판 두께가 얻어지지 못하고(즉, 동일한 기재를 사용한 실시예 1 등에서는 판 두께가 250㎛인 것에 대하여, 비교예 3에서는 판 두께가 200㎛이었다), 다층화 배선판의 제조에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4에서 얻어진 접착 시트 및 4층판은, 핀 게이지 휨 시험에 있어서 경화 후의 접착 수지층에 마이크로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서블 배선판을 다층화하여 이루어지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에 사용되고, 벤딩 가공성, 내열성, 접착성 및 회로 매립성이 우수한 접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기재 및 상기 기재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접착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수지층은 유리 전이 온도가 170∼200℃이고, 또한 경화 후의 탄성률이 100∼500MPa인 층인,
    접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층 내에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에폭시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접착 수지층의 고형분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15∼40 질량%인, 접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층 내에,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층 내에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실록산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의 실록산 변성율이 25∼45 질량%인, 접착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인, 접착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이 두께 0.5∼25㎛의 구리층인, 접착 시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두께 5∼200㎛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접착 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층의 두께가 100㎛ 이하인, 접착 시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및 상기 접착 수지층의 합계 두께가 100㎛ 이하인, 접착 시트.
KR1020097018745A 2007-04-25 2008-04-24 접착시트 Active KR101108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15470 2007-04-25
JPJP-P-2007-115470 2007-04-25
JPJP-P-2007-247785 2007-09-25
JP2007247785 2007-09-25
PCT/JP2008/057909 WO2008133293A1 (ja) 2007-04-25 2008-04-24 接着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534A true KR20100009534A (ko) 2010-01-27
KR101108639B1 KR101108639B1 (ko) 2012-01-31

Family

ID=3992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745A Active KR101108639B1 (ko) 2007-04-25 2008-04-24 접착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96703A1 (ko)
JP (2) JPWO2008133293A1 (ko)
KR (1) KR101108639B1 (ko)
CN (1) CN101657512B (ko)
TW (2) TWI423740B (ko)
WO (1) WO20081332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787A (ko) * 2015-12-09 2018-08-1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수지, 슬러리 및 그들을 사용한 적층체와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8473B2 (ja) * 2009-01-20 2013-11-20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918943B2 (ja) * 2011-08-10 2016-05-18 味の素株式会社 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5874289B2 (ja) 2011-10-07 2016-03-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及びテープ印字装置
JP2015514149A (ja) * 2012-04-02 2015-05-18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エポキシ系接着剤並びにその製造および用途
DE102015211852A1 (de) * 2015-06-25 2016-12-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Multilayer-Platin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6502824B2 (ja) * 2015-10-19 2019-04-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ウエハ加工体、ウエハ加工用仮接着材、及び薄型ウエハの製造方法
TWI613939B (zh) * 2016-06-23 2018-02-01 Pomiran Metalization Research Co Ltd 金屬化軟性基板及使用該基板之多層電路板製造方法
FR3059151B1 (fr) 2016-11-21 2018-12-07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Circuit electroniqu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WO2018105126A1 (ja) * 2016-12-09 2019-10-24 日立化成株式会社 組成物、接着剤、焼結体、接合体及び接合体の製造方法
JP2018125378A (ja) * 2017-01-31 2018-08-09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ドライフィルム、硬化物、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硬化物の製造方法
US10605785B2 (en) * 2017-06-07 2020-03-31 General Electric Company Sensor system and method
JP7072860B2 (ja) * 2017-09-19 2022-05-23 賢三 有山 ジグソーパズルとその製造方法
CN107764736A (zh) * 2017-10-18 2018-03-06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层板的粗化效果评估方法
JP6994926B2 (ja) * 2017-12-19 2022-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ロータの製造方法及びスリーブ接着装置
JP6714631B2 (ja) * 2018-03-15 2020-06-24 タツタ電線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及びシールドプリント配線板
JP6504302B1 (ja) 2018-06-12 2019-04-24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シート、部品搭載基板、および電子機器
JP7099365B2 (ja) * 2019-03-01 2022-07-12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シート、部品搭載基板、および電子機器
JP7424868B2 (ja) * 2020-03-06 2024-01-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部材を生産する方法及び配線構造
JP7552786B2 (ja) * 2020-09-23 2024-09-18 味の素株式会社 配線板及び半導体装置
TWI831200B (zh) 2022-05-11 2024-02-01 欣興電子股份有限公司 製造電路板的方法及堆疊結構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5906B2 (ja) * 1997-05-28 2005-02-02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多層配線板用接着フィルム
JP3432409B2 (ja) * 1997-11-28 2003-08-0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耐熱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フィルム
JP2003292778A (ja) * 1997-11-28 2003-10-15 Hitachi Chem Co Ltd 耐熱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フィルム
JP4210875B2 (ja) * 1998-03-17 2009-01-21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耐熱性難燃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フィルム、接着剤付金属箔
JP3994298B2 (ja) * 1998-03-20 2007-10-17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板
WO2000046816A1 (fr) * 1999-02-03 2000-08-10 Tomoegawa Paper Co., Ltd. Composition de resine thermoplastique dotee d'une faible permittivite, preimpregne, plaque stratifiee et matiere stratifiee pour circuit a base d'une telle composition
JP4441832B2 (ja) * 1999-10-28 2010-03-31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耐熱性樹脂組成物
JP4441833B2 (ja) * 1999-11-29 2010-03-31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耐熱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フィルム
JP2002146325A (ja) * 2000-11-16 2002-05-22 Hitachi Chem Co Ltd 接着剤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接着部材と半導体搭載用基板と半導体装置
JP2003138241A (ja) * 2001-08-21 2003-05-14 Hitachi Chem Co Ltd 耐熱性接着剤並びにこの接着剤を用いた積層物、接着剤付き放熱板、接着剤付金属箔
JP2004051910A (ja) * 2002-07-24 2004-02-19 Hitachi Chem Co Ltd 樹脂フィルム及び金属張り積層板
JP4075581B2 (ja) * 2002-11-21 2008-04-16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剤層付きプリプレグ、金属張積層板の製造方法及び金属張積層板
JP4828772B2 (ja) * 2002-11-29 2011-11-30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ポリアミドイミド樹脂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剤組成物
JP2004256631A (ja) * 2003-02-25 2004-09-16 Hitachi Chem Co Ltd 接着剤組成物及び接着フィルム
KR100791667B1 (ko) * 2003-05-21 2008-01-04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프라이머, 수지 부착 도체박, 적층판 및 적층판의 제조방법
JP2005244150A (ja) * 2004-01-28 2005-09-08 Ajinomoto Co Inc 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接着フィルム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2006066894A (ja) * 2004-07-28 2006-03-09 Hitachi Chem Co Ltd 印刷回路板
JP2007051226A (ja) * 2005-08-18 2007-03-01 Ajinomoto Co Inc 低誘電率樹脂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787A (ko) * 2015-12-09 2018-08-1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수지, 슬러리 및 그들을 사용한 적층체와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23740B (zh) 2014-01-11
TW200908822A (en) 2009-02-16
CN101657512B (zh) 2014-05-28
US20100196703A1 (en) 2010-08-05
KR101108639B1 (ko) 2012-01-31
CN101657512A (zh) 2010-02-24
JP2013237846A (ja) 2013-11-28
JP5751284B2 (ja) 2015-07-22
TW201242765A (en) 2012-11-01
TWI430882B (zh) 2014-03-21
WO2008133293A1 (ja) 2008-11-06
JPWO2008133293A1 (ja)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639B1 (ko) 접착시트
KR102007545B1 (ko) 접착 필름, 상기 접착 필름을 이용한 다층 인쇄 배선판, 및 상기 다층 인쇄 배선판의 제조 방법
KR100750019B1 (ko)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 및 다층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 상기다층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이용한 휴대 전화 단말
JP6075406B2 (ja) 保護フィルム付き接着シート
TW201341439A (zh) 預浸體的製造方法
TWI634826B (zh) Manufacturing method of built-in component wiring board, built-in component insulating substrate, built-in component two-layer wir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TW201906726A (zh) 積層體、積層板、多層積層板、印刷線路板、及積層板之製造方法
JP2011171719A (ja) プリプレグの積層方法、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プレグのロール
TW201725953A (zh) 具有介電質層之印刷電路板之製造方法
KR20130081655A (ko) 금속 베이스 기판의 제조방법 및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20140038519A (ko) 적층판의 제조 방법
KR100628504B1 (ko) 가요성 금속 적층체
TWI825152B (zh) 疊層體、覆金屬箔之疊層板、附設有經圖案化之金屬箔之疊層體、有堆積結構之疊層體、印刷配線板、多層無芯基板、以及其製造方法
JP2014188904A (ja) 積層板、多層積層板、プリント配線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積層板の製造方法
JP5556986B2 (ja) マルチワイヤ配線板用接着剤およびこの接着剤を用いたマルチワイヤ配線板とその製造法
KR20210149683A (ko) 절연성 수지층이 형성된 동박, 그리고, 이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4871500B2 (ja) 樹脂組成物の流動性を向上させる樹脂改質材
JP6269506B2 (ja) 積層体、積層板、プリント配線板、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積層板の製造方法
JPH1022639A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用塑性流動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08111188A (ja) プリント配線板用の銅箔
JP6326948B2 (ja) 積層体、積層板、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2002219789A (ja) プリント配線板用積層体
WO2020241899A1 (ja) 絶縁性樹脂層付き基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6179096B2 (ja) 積層板、多層積層板、プリント配線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積層板の製造方法
JP2001328226A (ja) プリント配線板用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