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85189A - Operation method of personal handheld terminal with touch panel - Google Patents

Operation method of personal handheld terminal with touch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189A
KR20110085189A KR1020100004831A KR20100004831A KR20110085189A KR 20110085189 A KR20110085189 A KR 20110085189A KR 1020100004831 A KR1020100004831 A KR 1020100004831A KR 20100004831 A KR20100004831 A KR 20100004831A KR 20110085189 A KR20110085189 A KR 20110085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floating icon
icon
touch
specif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8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 filed Critical 박철
Priority to KR102010000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5189A/en
Priority to PCT/KR2011/000347 priority patent/WO2011090302A2/en
Publication of KR20110085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189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이 개시된다.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터치패널 작동방법은, 터치패널 상에 플로팅 아이콘(floating icon)을 제공하는 단계,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터치 조작 부위와 상기 플로팅 아이콘 위치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터치 조작 부위와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가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 내에서 플로팅 아이콘이 감지되면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handheld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in use and can enhance the product value of a product and enhance consumer satisfaction. A touch panel operating method of a personal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may include providing a floating icon on the touch panel, detecting a touch manipulation of the touch panel, and whether a touch manipulation portion corresponds to a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Determining a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when determining that the touch manipulation portion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and when the floating icon is detected with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determin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The step of executing.

Description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OPERATION METHOD OF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OUCH PANEL}OPERATION METHOD OF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플로팅 아이콘(floating icon)을 이용하여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기능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handheld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handheld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capable of simply executing functions of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using a floating icon. This is disclosed.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personal handheld terminals have been widely used as conveniences that anyone can easily carry and use freely anywhere.

이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게임, MP3 등과 같은 각종 부가적인 기능을 갖도록 개발되고 있다.Such personal handheld terminals have begun to be used for wireless voice communication, but as their functional areas are gradually diversified, they are being developed to hav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games, MP3, etc. with basic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아울러, 최근 개인휴대단말기에는 공간활용성이 높고 사용이 편리함 이점으로 인해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와 같은 터치패널의 장착이 보편화되고 있다. 즉, 터치패널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터치패널은 크게 정전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mounting of a touch panel such as a touch screen or a touch pad is becoming more common due to the advantages of high space utilization and convenience of use in personal portable terminals. That is, the touch panel may simultaneousl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nd the input unit for inputting a signal, and the touch panel may be largely capacitive, pressure resistive, infrared, or surface ultrasonic. Can be distinguished.

한편, 사용자는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을 통해 단말기의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아이콘이나 메뉴바의 터치 조작을 통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Meanwhile, a user may execute a function related to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of the terminal through a touch manipulation of the touch panel. For example, the user may execute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through an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or a touch operation of a menu bar after executing the application program.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기능 실행에 사용되는 아이콘이나 메뉴바의 사용 방법을 숙지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 여러번의 반복된 터치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응용프로그램의 각종 기능을 실행시키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execute a function associated with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 user must be familiar with how to use an icon or a menu bar used to execute a function, and in some cases, a user needs several repeated touch operations. In this case, it i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execute various functions of an application program.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간단한 터치 조작에 의해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각종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have been made on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mobile terminal, which enables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an application program to be executed by a simple touch operation.

본 발명은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in use.

특히, 본 발명은 플로팅 아이콘을 이용하여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특정 기능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that can easily execute a specific function of various applications using a floating icon.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입력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입력속도를 단축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nvenience of various input operations, and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that can reduce the input speed.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value and preference of the product, and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that can improve the customer's satisfac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은,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 다른 일측의 탭핑(tapping)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 판별된 결과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a touch operation of the touch panel, touch while the touch operation is continuously maintained Detecting a tapping opera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panel, determining a location of the tapping manipulation area based on the touch manipulation area, and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an activated application of the personal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Steps.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al portable device may inclu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or the like. .

아울러, 개인휴대단말기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회의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블로깅 어플리케이션,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기능의 실행이 대기화면 모드에서 지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re available for phone applications, video conferencing applications, email applications,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s, blogging applications, photo (image) management applications, text viewer applications, digital camera applications, digital video camera applications, web browsing applications, digital music playback.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pplications and / or digital video playback applications. In some cases, it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in the idle screen mode.

플로팅 아이콘은 터치패널 상에 항상 활성화된 상태로 제공되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대기화면 모드에 상관없이 항상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플로팅 아이콘이 최초 비가시화(invisible) 상태로 제공되어 터치 패널의 터치 조작이 감지될 경우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상태로 가시화(활성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개인휴대단말기에는 비가시화 상태의 플로팅 아이콘을 가시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터치 조작 부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플로팅 아이콘의 초기 가시화 위치에 인접하게 표시부 또는 발광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The floating icon is always activated on the touch panel, and remains active regardless of whether a specific application is executed or a standby screen mode. In some cases, the floating icon is initially provided in an invisible state so that when the touch manipulation of the touch panel is detected, the floating icon can be visualized (activated) in a stat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or a light emitting element adjacent to the initial visualization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a touch manipulation part for switching the floating icon in the invisible state to the visible state. .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터치패널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과 독립적으로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하는 동안에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기능은 실행되지 않는다.In the step of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may be confirmed independently of an application program currently executed in the touch panel. In other words, while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the function related to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is not executed.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의 조건 및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의 종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임의적으로도 설정이 가능하다. 아울러,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은 터치패널의 특정 위치에서 특정 경계 내측에 정의된 영역이거나, 특정 좌표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서 정해진 좌표의 그룹 내측에 정의된 영역일 수 있다. 일 예로,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은 터치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공되는 상부 가장자리 영역, 하부 가장자리 영역, 좌측 가장자리 영역 및 우측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 내에서 제1방향을 따른 플로팅 아이콘의 선형적인 이동, 및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을 따른 플로팅 아이콘의 선형적인 이동에 대응하여 서로 상반되는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이 전술한 각 가장자리 영역 중 일부에만 설정될 수 있고, 다르게는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이 터치패널의 중앙부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터치패널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십자가 형태로 특정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The kind of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 of the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and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 and the use environment, and may be arbitrarily set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In addition, the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may be an area defined inside a specific boundary at a specific location of the touch panel or an area defined inside a group of coordinates defin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specific coordinates. For example, the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upper edge area, a lower edge area, a left edge area, and a right edge area provided along an edge of the touch panel. In addition, a specific function is opposed to each other in response to a linear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linear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along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ith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This can be done. In some cases, a specific region of the touch panel may be set only in some of the edge regions described above, or, alternatively, the specific region of the touch panel may be set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touch panel. Alternatively, a specific area may be set in a cross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touch panel.

참고로, 본 발명에서 특정 기능이라 함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대응하여 관련된 기능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사진의 회전, 확대, 축소 및 편집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음악의 재생, 멈춤 및 스킵(skip)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통화 음량의 조절, 전화번호부, 통화중녹음, 메모작성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촬영설정, 환경설정, 플래시, 줌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이외에도, 특정 기능은 저장, 삭제, 되살리기(이전 단계 이동), 다시 실행(다음 단계 이동), 보내기, 잘라내기, 관리, 검색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function may be combined into related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application program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in the photo (image) management application mode may be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the rotation, enlargement, reduction and editing of the photo. In the digital music reproduction application mode, the digital music reproduction application mode may be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play, stop, and skip of music. In the phone application mode, it may be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adjusting the call volume, the phone book, recording the call, taking notes, and the like. In the digital camera application mode, it may be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shooting setting, environment setting, flash, and zoom. In addition, certain functions may be specific functions related to saving, deleting, undoing (going to the previous step), redoing (going to the next step), sending, cutting, managing, searching, etc. It may be a function for switching to the mode.

또한, 사용자가 특정 영역에 관련된 특정 기능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에는 플로팅 아이콘이 감지되면 특정 기능에 관련된 표시아이콘이 활성화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floating icon is detected on the touch panel, a display icon related to a specific function may be activated so that a user may recognize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a specific area in advance.

한편,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에서 플로팅 아이콘이 감지되면,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여 터치패널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과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모드에서,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에서 플로팅 아이콘이 감지되면, 별도의 메뉴 조작 없이 통화(또는 메시지, 검색, 메뉴 등) 기능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모드를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 상에는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모드의 종류에 관련된 표시아이콘이 활성화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a floating icon is detec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an application program different from an application program currently running on the touch panel may be executed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For example, in the web browsing application mode, when a floating icon is detec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an application mode related to a call (or message, search, menu, etc.) function may be executed without a separate menu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display icon related to the type of the application mode may be activ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on the touch panel so that the user may recognize the applic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in advance.

또한, 다른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 내에서 플로팅 아이콘이 이탈하면, 이전에 실행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으로 복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loating icon deviates from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for executing another application program, the application may be returned to the previously executed application program.

또한,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에서 플로팅 아이콘이 감지됨에 따라 활성화되는 표시아이콘의 탭핑 조작에 의해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specific function to be executed by a tapping operation of a display icon activated as a floating icon is detec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의하면,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in use.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플로팅 아이콘을 이용한 터치 조작에 의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기능이 실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각종 기능에 관련된 입력작업을 보다 손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a function of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to be executed by a touch operation using a floating icon, a user can perform input operations related to various functions more easily and quick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복잡한 여러 단계의 조작을 거처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별도의 메뉴 아이콘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터치패널에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pecific function can be execu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there is no need to go through complicated steps in order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and a separate menu icon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activate the device, a spa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the touch panel can be secured.

더욱이, 기존 위젯 아이콘을 이용한 응용프로그램 전환 방식의 경우, 위젯 아이콘의 터치 조작시 위젯 아이콘에 매우 근접하게 배치된 하이퍼링크(Hyperlink)가 의도하지 않게 터치 조작되며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른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동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application switching method using the existing widget icon, there is a problem that a hyperlink disposed very close to the widget icon is inadvertently touched and a malfunction occurs when the widget icon is tou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ecute other applications simply b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thereby improving operational reliability and stab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복잡한 실행 방법을 각각 별도로 숙지해야 할 필요없이, 각종 기능을 빠르고 간단하게 실행시킬 수 있으며, 각종 기능 실행에 필요한 입력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ecute various functions quickly and simply, without having to know a complicated execution method separately to execute functions associated with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nd to minimize the input operation required for executing various functions.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로팅 아이콘의 터치 조작에 의해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기능 실행을 위한 입력조작시 단순히 입력작업을 수행하는 수준을 넘어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pecific function can be executed by a touch operation of the floating icon, the user can feel fun and interest beyond simply performing an input operation during an input operation for executing various func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value and preference of the product,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패널에 제공되는 플로팅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 실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플로팅 아이콘의 다른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 실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플로팅 아이콘의 또 다른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 실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표시아이콘의 탭핑 조작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floating icon provided on a touch panel as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pecific function execution step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as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pecific function execution step corresponding to another position of a floating icon as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pecific function execution step corresponding to another position of a floating icon as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a tapping operation of a display ic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the same numbers in this description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other drawings under the above-mentioned rules, and the contents which are judged to be obvious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can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패널에 제공되는 플로팅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 실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is a method for operat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ining a floating icon provided on the touch panel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pecific function execution step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floating icon as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플로팅 아이콘의 다른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 실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플로팅 아이콘의 또 다른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 실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표시아이콘의 탭핑 조작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ures 6 to 9 is a method for operating a personal handhel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a specific function execution step corresponding to another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10 to 12 is an individu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 diagram for explaining a specific function execution step corresponding to another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Meanwhile,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a tapping operation of a display icon as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터치패널 작동방법은, 터치패널(100) 상에 플로팅 아이콘(floating icon)(200)을 제공하는 단계(S10), 상기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S20), 상기 터치 조작 부위와 플로팅 아이콘(200) 위치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터치 조작 부위와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가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S40), 및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이 감지되면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method of operating a touch panel of a personal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oviding a floating icon 200 on the touch panel 100 (S10), Detecting a touch manipulation of the touch panel 100 (S20),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manipulation portion corresponds to a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S30), and determining the touch manipulation portion and the floating icon 2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corresponds to the step of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S40), and if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It includes the step (S50) of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al portable device is a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etc.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CDMA)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IrDA), a wired or wireless LAN card, may be provided, and a predetermined computing power may be provided by mounting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It can be used as a concept to collectively name the terminal equipped with.

또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100)이라 함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통상의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패널(100)의 종류 및 구동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nel 100 may include a conventional touch screen or a touch pad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function of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n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driving method of 100).

아울러, 개인휴대단말기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회의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블로깅 어플리케이션,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기능의 실행이 대기화면 모드에서 지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re available for phone applications, video conferencing applications, email applications,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s, blogging applications, photo (image) management applications, text viewer applications, digital camera applications, digital video camera applications, web browsing applications, digital music playback.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pplications and / or digital video playback applications.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an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state in which any one of the aforementioned applications is executed will be described. In some cases, it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in the idle screen mode.

먼저, 도 2와 같이, 터치패널(100) 상에 플로팅 아이콘(floating icon)(200)을 제공한다. 상기 플로팅 아이콘(200)은 터치패널(100) 상에 항상 활성화된 상태로 제공되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대기화면 모드에 상관없이 항상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플로팅 아이콘(200)의 배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자 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터치패널(100) 상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2, a floating icon 200 is provided on the touch panel 100. The floating icon 200 is always provided on the touch panel 100 in an activated state, and remains active regardless of a state in which a specific application is executed or a standby screen mode. The arrangement of the floating icon 200 may be freely changed on the touch panel 100 by a user's touch manipulation according to a required condition and a user environment.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플로팅 아이콘이 항상 활성화된 상태로 제공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플로팅 아이콘이 비가시화(invisible) 상태로 제공되어 터치 조작이 감지될 경우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상태로 가시화(활성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최초 터치패널(100) 상에는 플로팅 아이콘(200)이 비가시화된 상태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플로팅 아이콘이 가시화(visible)될 수 있다. 아울러, 플로팅 아이콘의 초기 가시화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플로팅 아이콘의 초기 가시화는 미리 설정된 특정 위치에서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loating icon is always provided in an activated state. However, in some cases, the floating icon is provided in an invisible state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when a touch manipulation is detected. Can be configured to be visible (activate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the floating icon 200 may be transparently or semi-transparently provided on the first touch panel 100 in an invisible state, and a touch manipul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may be performed. When detected, the floating icon may be visible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it. In addition, the initial visualization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a required condition and a design specification, and the initial visualization of the floating icon may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only at a specific predetermined position.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에는 비가시화 상태의 플로팅 아이콘(200)을 가시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터치 조작 부위(T)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플로팅 아이콘(200)의 초기 가시화 위치에 인접하게 표시부(500) 또는 발광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500) 또는 발광소자는 터치패널(100)의 내부(터치패널의 표시 영역) 또는 외부(케이스 또는 보호창 등)에 제공될 수 있으며, 표시부(500) 또는 발광소자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500) 또는 발광소자에 인접한 터치패널의 부위(T)를 터치 조작함으로써 비가시화(비활성화) 상태의 플로팅 아이콘을 가시화(활성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user may easily recognize the touch manipulation portion T for converting the floating icon 200 in the invisible state into the visible state. The display unit 500 or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initial visualization position. The display unit 500 or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provided inside (display area of the touch panel) or outside (case or protective window) of the touch panel 100, and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500 or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depending on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Accordingly, the user may visualize (activate) the floating icon in an invisible (deactivated) state by touching the touch panel region T adjacent to the display unit 500 or the light emitting device.

다음, 플로팅 아이콘(20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을 감지한다.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가 터치패널(100)에 접촉될 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Next, the touch operation of the touch panel 100 is detected while the floating icon 200 is activated. The touch manipulation of the touch panel 100 may be sensed by a signal generated when a user's body or an input tool (for example, a stylus pen) contacts the touch panel 100.

다음, 상기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터치 조작 부위와 플로팅 아이콘(200) 위치의 대응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이 단계에서는 터치 조작이 플로팅 아이콘(200) 영역에서 이루어지는지 또는 플로팅 아이콘(200)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아울러, 터치 조작 부위와 플로팅 아이콘(200) 위치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터치 조작 부위와 플로팅 아이콘(200) 위치가 완전히 겹쳐지거나 일부분만이 겹치진 상태 모두 터치 조작 부위와 플로팅 아이콘(200) 위치가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로팅 아이콘은 항상 같은 형상, 크기 및 색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터치 조작 부위와 플로팅 아이콘 위치의 대응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터치 조작 부위와 플로팅 아이콘 위치가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플로팅 아이콘의 형상, 크기 또는 색상 등이 변경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Next, when a touch manipulation of the touch panel 100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ouch manipulation portion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That is, in this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ouch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area of the floating icon 200 or in another area except for the floating icon 200. In addition,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manipulation area and the floating icon 200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touch manipulation area and the floating icon 200 are both completely overlapped or only partially overlapped. ) May be determined to correspond. On the other hand, the floating icon may be configured to always have the same shape, size and color, but in some cas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touch operation portion and the floating icon position correspond, the floating operation portion and the floating ic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con position corresponds, the shape, size, or color of the floating icon may be changed.

그 후, 상기 터치 조작 부위와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가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상기 터치 조작 부위와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가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 조작 부위의 이동에 대응하여 플로팅 아이콘(200)은 터치패널(10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즉, 터치 조작 부위와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가 대응될 경우,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된 상태로 터치 조작 부위(플로팅 아이콘)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일종의 드래그 방식)하게 되면, 터치 조작 부위의 이동에 대응하여 플로팅 아이콘(200)이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플로팅 아이콘(200)이 터치패널(100)의 어느 지점에 배치되는지에 대한 위치 확인을 하게 된다.Thereaf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manipulation portion and the floating icon 200 correspond,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is check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manipulation portion and the floating icon 200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floating icon 200 may be moved on the touch panel 100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touch manipulation portion while the touch manipulation is continuously maintained. have. That is, when the position of the touch manipulation portion and the floating icon 200 correspond, when the touch manipulation portion (floating icon) is moved in a specific direction (a kind of drag method) while the touch manipulation is continuously maintained, the touch manipulation portion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200 may be moved together,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is finally located on the touch panel 100 is confirmed.

또한, 상기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터치패널(100)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과 독립적으로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를 확인하는 동안에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기능은 실행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may be confirmed independently of an application program currently executed in the touch panel 100. In other words, while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the function related to the currently executing application is not executed.

참고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된다 함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100)에 접촉된 후, 터치패널(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며 신체 또는 입력도구의 정지 또는 이동(일종의 드래그 방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100) 상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의 이동은 직선 이동과 같은 선형적 이동은 물론, 곡선 이동과 같은 이차원적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operation of the touch panel 100 is continuously maintained after the user's body or the input tool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00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touch panel 100. May be maintained and correspond to the stopping or moving (a kind of drag method) of the body or the input tool.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200 on the touch panel 100 may include not only linear movement such as linear movement but also two-dimensional movement such as curve movement.

다음,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 내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이 감지되면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실행시킨다.Next, when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with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a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is executed.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의 조건 및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의 종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임의적으로도 설정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은 터치패널(100)의 특정 위치에서 특정 경계 내측에 정의된 영역이거나, 특정 좌표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서 정해진 좌표의 그룹 내측에 정의된 영역일 수 있다.The kind of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 of the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and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 and the use environment, and may be arbitrarily set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Do. In addition, the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may be an area defined inside a specific boundary at a specific location of the touch panel 100 or an area defined inside a group of coordinates defin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a specific coordinate. have.

이하에서는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이 터치패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공되는 상부 가장자리 영역(C), 하부 가장자리 영역(D), 좌측 가장자리 영역(B) 및 우측 가장자리 영역(A)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이 전술한 각 가장자리 영역 중 일부에만 설정될 수 있고, 다르게는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이 터치패널의 중앙부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터치패널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십자가 형태로 특정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Hereinafter, an upper edge region C, a lower edge region D, a left edge region B, and a right edge region A provided with a specific region of the touch panel 100 along the edge of the touch panel 100. It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configured to include. In some cases, a specific region of the touch panel may be set only in some of the edge regions described above, or, alternatively, the specific region of the touch panel may be set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touch panel. Alternatively, a specific area may be set in a cross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touch panel.

아울러, 플로팅 아이콘(200)이 터치패널(100)의 미리 정해진 특정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 내에서 감지될 경우에는 특정 기능이 실행되지 않으며, 단순히 터치 조작 부위의 이동에 따라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in another area other than the predetermined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the specific function is not executed, and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is simply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ouch manipulation area. Can be changed.

참고로, 본 발명에서 특정 기능이라 함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대응하여 관련된 기능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사진의 회전, 확대, 축소 및 편집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음악의 재생, 멈춤 및 스킵(skip)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통화 음량의 조절, 전화번호부, 통화중녹음, 메모작성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촬영설정, 환경설정, 플래시, 줌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이외에도, 특정 기능은 저장, 삭제, 되살리기(이전 단계 이동), 다시 실행(다음 단계 이동), 보내기, 잘라내기, 관리, 검색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function may be combined into related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application program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in the photo (image) management application mode may be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the rotation, enlargement, reduction and editing of the photo. In the digital music reproduction application mode, the digital music reproduction application mode may be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play, stop, and skip of music. In the phone application mode, it may be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adjusting the call volume, the phone book, recording the call, taking notes, and the like. In the digital camera application mode, it may be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shooting setting, environment setting, flash, and zoom. In addition, certain functions may be specific functions related to saving, deleting, undoing (going to the previous step), redoing (going to the next step), sending, cutting, managing, searching, etc. It may be a function for switching to the mode.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각 가장자리 영역(A~D)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이 감지되면, 각 가장자리 영역(A~D)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의 이동(선형적 이동 또는 이차원적 이동)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A~D) 내에서 제1방향을 따른 플로팅 아이콘(200)의 선형적인 이동, 및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을 따른 플로팅 아이콘(200)의 선형적인 이동에 대응하여 서로 상반되는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4 to 9, when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in each of the edge areas A to D, the floating icon 200 is moved (linearly moved) in each of the edge areas A to D. FIG. Or two-dimensional movements)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configured to execute different specific functions. In addition, linear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200 along a first direction in a specific area A to D of the touch panel 100, and a floating icon along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linear movement of 200, certain functions that are opposite to each other may be executed.

일 예로,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 중 우측 가장자리 영역(A)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의 이동이 감지되면 스크롤(scrool) 기능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우측 가장자리 영역(A)에서 상부 방향을 따른 플로팅 아이콘(200)의 직선 이동이 감지되면 스크롤 업 기능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가장자리 영역(A)에서 하부 방향을 따른 플로팅 아이콘(200)의 직선 이동이 감지되면 스크롤 다운 기능(미도시)이 실행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when a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in the right edge area A of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a scroll function may be executed. have. That is, when a linear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200 along the upper direction is detected in the right edge area A, a scroll up function may be executed, and the floating icon 200 along the lower direction in the right edge area A may be executed. If the linear movement of the scroll down function (not shown) may be executed.

또한, 사용자가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에 관련된 특정 기능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100) 상에는 플로팅 아이콘(200)이 감지되면 특정 기능에 관련된 표시아이콘(30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 중 우측 가장자리 영역(A)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이 감지되면 스크롤(scrool) 기능에 관련된 표시아이콘(30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아이콘(300)은 특정 영역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이 감지되면 일시적으로 활성화된 후, 특정 기능의 실행이 완료된 후 자동적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표시아이콘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바, 숙련된 사용자의 경우에는 표시아이콘이 별도로 활성화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on the touch panel 100 so that a user may recognize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the display icon 300 related to the specific function may be activa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in the right edge area A of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the display icon 300 related to the scroll function may be activated. have. The display icon 300 may be temporarily activated when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in a specific area, and then automatically deactivated after the execution of a specific function is completed. The display icon may be set to be selectively activated according to a required condition and a user's skill level. In the case of an experienced user, the display icon may be set so that the display icon is not separately activated.

다른 일 예로서,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 중 좌측 가장자리 영역(B)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의 이동이 감지되면 확대/축소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좌측 가장자리 영역(B)에서 상부 방향을 따른 플로팅 아이콘(200)의 직선 이동이 감지되면 확대 기능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가장자리 영역(B)에서 하부 방향을 따른 플로팅 아이콘(200)의 직선 이동이 감지되면 축소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 중 좌측 가장자리 영역(B)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이 감지되면 확대/축소 기능에 관련된 표시아이콘(300)이 활성화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when a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in the left edge area B of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zooming may be executed. have. That is, when a linear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200 along the upper direction is detected in the left edge area B, an enlargement function may be executed, and the zooming func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along the lower direction in the left edge area B may be executed. If a linear movement is detected, the reduction function can be executed. In addition, when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in the left edge area B of the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the display icon 300 related to the zooming / reducing function may be activated.

또 다른 일 예로서,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 중 상부 가장자리 영역(C)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의 이동이 감지되면 회전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가장자리 영역(C)에서 우측 방향을 따른 플로팅 아이콘(200)의 직선 이동이 감지되면 시계 방향 회전 기능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가장자리 영역(C)에서 좌측 방향을 따른 플로팅 아이콘(200)의 직선 이동이 감지되면 반시계 방향 회전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 중 상부 가장자리 영역(C)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이 감지되면 회전 기능에 관련된 표시아이콘(300)이 활성화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8 and 9, when a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in the upper edge area C of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rotation may be executed. . That is, when a linear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200 along the right direction is detected in the upper edge area C, a clockwise rotation function may be executed, and the floating icon 200 along the left direction in the upper edge area C may be executed. When the linear movement of the) is detecte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function can be executed. In addition, when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in the upper edge area C of the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the display icon 300 related to the rotation function may be activated.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의 이동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이 감지되면, 터치패널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과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function is execute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200 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but in some cases, the touch panel 100 may be used. When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screen, the floating icon 200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an application program different from the application currently being executed on the touch panel.

즉,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이 감지되면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터치패널(100)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과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an application program different from an application currently running on the touch panel 100 may be execu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

일 예로, 도 10과 같이,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모드에서,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 배치되어 있던 플로팅 아이콘(200)이 일종의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하부 가장자리 영역(D)의 특정 위치에 놓여질 경우, 별도의 메뉴 조작 없이 통화 기능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통화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되면, 터치패널(100) 상에는 통화 어플리케이션 모드에 관련된 복수개의 터치아이콘(400)이 선형적 또는 평면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아이콘(400)을 터치 조작하여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in the web browsing application mode, the floating icon 200 disposed in an area other than the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is dragged and dropped in a lower edge area. When placed in the specific position of (D), the application mode related to the call function can be executed without a separate menu operation. In addition, when the call application mode is executed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ouch icons 400 related to the call application mode may be linearly or planarly activated on the touch panel 100. The user may touch the touch icon 400 to execute a corresponding specific function.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모드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이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하부 가장자리 영역(D)의 다른 특정 위치에 놓여질 경우, 메시지 기능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될 수 있으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되면, 터치패널(100) 상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모드에 관련된 복수개의 터치아이콘(400)이 선형적 또는 평면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아이콘(400)을 터치 조작하여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1, in the web browsing application mode, when the floating icon 200 is placed at another specific position of the lower edge area D in a drag and drop manner, an application mode related to a message function may be executed. When the message application mode is executed, the plurality of touch icons 400 related to the message application mode may be linearly or planarly activated on the touch panel 100, and the user may touch the touch icon 400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You can run the function.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모드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이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하부 가장자리 영역(D)의 또 다른 특정 위치에 놓여질 경우, 메뉴 기능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될 수 있으며, 메뉴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되면, 터치패널(100) 상에는 다른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터치아이콘(400)이 선형적 또는 평면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아이콘(400)을 터치 조작하여 대응되는 다른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12, in the web browsing application mode, when the floating icon 200 is placed at another specific position of the lower edge area D in a drag-and-drop manner, it is related to a menu function. The application mode may be executed, and when the menu application mode is executed, a plurality of touch icons 400 for executing another application program may be linearly or planarly activated on the touch panel 100, and the user may touch the touch icon ( The touch operation 400 may be executed to execute another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영역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이 감지되면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통화 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여 검색, 메뉴 등과 같은 다른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in a specific area, an example in which a call or message application mode is execu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is described. In response to this, other application modes such as search and menu may be executed.

또한, 사용자가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모드를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100) 상에는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모드의 종류에 관련된 표시아이콘(30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와 같이, 플로팅 아이콘(200)이 하부 가장자리 영역(D)의 특정 위치에 배치될 경우, 그 인접한 부위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모드를 인지시키기 위한 표시아이콘(300')이 활성화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touch panel 100, a display icon 300 ′ related to the type of the application mode is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10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applic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in advance. Can be activa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1 and 12, when the floating icon 200 is dispos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lower edge area D, a display icon 300 ′ for recognizing the message application mode is located at an adjacent portion thereof. Can be activated.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드의 종류를 표시하기 표시아이콘(300')은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에 따라 하나씩 활성화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모드에 관련된 복수개의 표시아이콘이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드의 종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아이콘(30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바, 숙련된 사용자의 경우에는 표시아이콘이 별도로 활성화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르게는 터치패널 상에 어플리케이션 모드의 종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아이콘이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플로팅 아이콘이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특정 표시아이콘에 놓여질 경우, 특정 표시아이콘에 대응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display icons 300 'to display the type of the application mode may be activat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display icons related to different types of application modes may be simultaneously activated. Can be. The display icon 300 ′ for displaying the type of application mode may be set to be selectively activated according to a required condition and a user's skill. In the case of an experienced user, the display icon may be set not to be activated separately. . Alternatively, a display icon for displaying the type of application mode on the touch panel may be configured to remain active at all times. When the floating icon is placed on a specific display icon by dragging and dropping, You can also configure the application to run.

아울러, 다른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 내에서 플로팅 아이콘이 이탈하면, 이전에 실행되던 응용프로그램으로 복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모드에서, 플로팅 아이콘이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에 놓여질 경우에는 별도의 메뉴 조작 없이 통화 기능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통화 어플리케이션 모드의 사용이 완료된 후 플로팅 아이콘이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 상으로 이탈되면 통화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종료됨과 동시에 이전에 실행되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모드로 복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loating icon deviates from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for executing another application program, the application may be returned to the previously executed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in the web browsing application mode, when the floating icon is placed o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an application mode related to a call function may be executed without a separate menu operation. On the contrary, after the use of the calling application mode is completed, the floating icon may be floated. When the icon is separated from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the call application mode may be terminated and returned to the web browsing application mode that was previously executed.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의 이동에 의해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13과 같이,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에서 플로팅 아이콘(200)이 감지됨에 따라 활성화되는 표시아이콘(300)의 탭핑 조작에 의해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플로팅 아이콘(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활성화된 표시아이콘(300)에 탭핑 조작이 감지되면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탭핑 조작이라 함은 터치 조작과 달리 순간적(일종의 클릭 방식)으로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100)의 한 지점에 접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표시아이콘에 탭핑 조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플로팅 아이콘의 터치 조작은 연속적으로 유지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function is executed by moving the floating icon 200 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However, 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 specific function may be executed by a tapping operation of the display icon 300 activated as the floating icon 200 is detec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00. That is, when a tapping operation is detected on the display icon 300 activa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200, a specific function may be executed.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a tapping operation may be understood to be in contact with a point of the touch panel 100 in a moment (a kind of click method) in a moment (a kind of click method). In addition, while the tapp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display icon, the touch operation of the floating icon may be continuously maintained or releas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100 : 터치패널 200 : 플로팅 아이콘
300 : 표시아이콘 400 : 터치아이콘
100: touch panel 200: floating icon
300: display icon 400: touch icon

Claims (15)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 상에 플로팅 아이콘(floating icon)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조작 부위와 상기 플로팅 아이콘 위치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터치 조작 부위와 상기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가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 내에서 상기 플로팅 아이콘이 감지되면 상기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In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Providing a floating icon on the touch panel;
Detecting a touch manipulation of the touch panel;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manipulation part corresponds to the floating icon position;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manipulation portion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And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when the floating icon is detected with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Method of operation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터치패널에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과 독립적으로 상기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hecking of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And a method of identifying a location of the floating icon independently of an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on the touch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은,
상기 터치패널의 특정 위치에서 특정 경계 내측에 정의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And a region defined inside a specific boundary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touch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은,
특정 좌표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서 정해진 좌표의 그룹 내측에 정의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defined inside the group of the predetermined coordinat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specific coordin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패널에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과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application program different from the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on the touch panel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터치아이콘이 선형적 또는 평면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5,
And when the other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a touch icon for linearly or planarly providing a touch icon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the other application progra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상기 터치패널의 상기 특정 영역 내에서 상기 플로팅 아이콘이 이탈하면, 이전에 실행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5,
And when the floating icon deviates from the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for executing the other application program, returning to the previously executed application progr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에서 상기 플로팅 아이콘의 이동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pecific function is execute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에서 상기 플로팅 아이콘의 이동은 선형적 이동 및 이차원적 이동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in the specific area is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near movement and two-dimensional movemen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 내에서 제1방향을 따른 상기 플로팅 아이콘의 선형적인 이동, 및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을 따른 상기 플로팅 아이콘의 선형적인 이동에 대응하여 서로 상반되는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contrast to each other in response to a linear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linear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along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ith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Touch panel opera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is execu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아이콘의 서로 반대 방향으로의 선형적인 이동에 대응되는 상기 서로 상반되는 특정 기능은,
확대/축소, 스크롤 업/스크롤 다운, 시계 방향 회전/반시계 방향 회전, 또는 이전 단계 이동/다음 단계 이동에 관련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opposing specific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floating icon in opposite directions are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 handheld device comprising functions related to zooming, scrolling up / down, clockwise rotation / counterclockwise rotation, or previous step movement / next step mov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 내에서 상기 플로팅 아이콘이 감지되면 상기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기능에 관련된 표시아이콘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the floating icon is detected withi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a display icon related to the specific function is activa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 내에서 상기 표시아이콘의 탭핑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And if the tapping operation of the display icon is detected within the specific area, the specific function is execu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아이콘은 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로 제공되며, 상기 플로팅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되는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플로팅 아이콘이 가시화(visibl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loating icon is provided in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state, and when the touch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is detected, the floating icon is visible (visib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아이콘이 투명 상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플로팅 아이콘의 초기 가시화 위치는 상기 터치패널의 내부 또는 외부의 표시부 또는 발광소자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floating icon is provided in a transparent state, an initial visible position of the floating icon is provided adjacent to a display unit or a light emitting element inside or outside the touch panel.
KR1020100004831A 2010-01-19 2010-01-19 Operation method of personal handheld terminal with touch panel Abandoned KR2011008518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831A KR20110085189A (en) 2010-01-19 2010-01-19 Operation method of personal handheld terminal with touch panel
PCT/KR2011/000347 WO2011090302A2 (en) 2010-01-19 2011-01-18 Method for operating a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a tou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831A KR20110085189A (en) 2010-01-19 2010-01-19 Operation method of personal handheld terminal with touch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189A true KR20110085189A (en) 2011-07-27

Family

ID=4430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831A Abandoned KR20110085189A (en) 2010-01-19 2010-01-19 Operation method of personal handheld terminal with touch pane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85189A (en)
WO (1) WO2011090302A2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600A (en) * 2012-08-28 201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contents control function using scroll ba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33755A (en) * 2013-09-23 2015-04-02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using touch point of mobile device
CN104679485A (en) * 2013-11-28 2015-06-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Page ele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WO2015138228A1 (en) * 2014-03-12 2015-09-17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ing playback in widget after app is backgrounded
KR20170008561A (en) * 2015-07-14 201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itial setup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7191911A1 (en) * 2016-05-03 2017-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0528222B2 (en) 2013-08-22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by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thereof
US10983749B2 (en) 2017-02-17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5248B (en) * 2013-08-22 2017-02-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Content sliding method and system for browsing file
CN111801647A (en) * 2019-09-10 2020-10-20 深圳海付移通科技有限公司 Rapid oper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suspension button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760144B (en) * 2021-09-11 2024-04-19 深圳市蓝海精工科技有限公司 Method capable of quickly combining desktop icons and electronic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325B1 (en) * 2005-04-27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rectional Interfac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inting Device
US7509588B2 (en) *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KR100793307B1 (en) * 2006-09-25 2008-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standby screen providing method
KR101495176B1 (en) * 2008-08-12 2015-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ssion information thereof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600A (en) * 2012-08-28 201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contents control function using scroll ba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144177B2 (en) 2013-08-22 2021-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by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thereof
US10528222B2 (en) 2013-08-22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by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20150033755A (en) * 2013-09-23 2015-04-02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using touch point of mobile device
CN104679485A (en) * 2013-11-28 2015-06-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Page ele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WO2015080919A1 (en) * 2013-11-28 2015-06-04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Displaying page elements
JP2017501479A (en) * 2013-11-28 2017-01-12 アリバ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Display page elements
US10469791B2 (en) 2014-03-12 2019-11-05 Google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ing playback in widget after app is backgrounded
US9681086B2 (en) 2014-03-12 2017-06-13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ing playback in widget after app is backgrounded
WO2015138228A1 (en) * 2014-03-12 2015-09-17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ing playback in widget after app is backgrounded
KR20170008561A (en) * 2015-07-14 201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itial setup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7191911A1 (en) * 2016-05-03 2017-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0983749B2 (en) 2017-02-17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
US11334311B2 (en) 2017-02-17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0302A2 (en) 2011-07-28
WO2011090302A3 (en)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500609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nd Interacting with a Companion-Display Mod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KR20110085189A (en) Operation method of personal handheld terminal with touch panel
JP4577428B2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JP55296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per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10031604B2 (en) Control method of virtual touchpad and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CN108334264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ulti-touch interaction in a portable terminal
CN10690930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229699B1 (en) Method of moving content between applications and apparatus for the same
WO201112535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per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20140033839A (en) Method??for user's??interface using one hand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KR20140025754A (en)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th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KR20170057823A (e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touch input via edge screen
KR102161061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KR201300972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contents view in mobile terminal
US20130159934A1 (en) Changing idle screens
KR20110066025A (en) Touch panel operation method and touch panel driving chip
EP26853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device
JP56530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peration input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1678213B1 (en) An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by detecting increase or decrease of touch area and method thereof
KR20120095155A (en) Operation method of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ouch panel
KR20120094728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40019531A (en) Method for managing a object menu in home screen and device thereof
KR20110085193A (en) Function control method of personal mobile device
KR20140048756A (en) Operation method of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o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3-oth-PC1904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2-nap-PC190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