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600A - Mobile terminal having contents control function using scroll ba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having contents control function using scroll ba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29600A KR20140029600A KR1020120094511A KR20120094511A KR20140029600A KR 20140029600 A KR20140029600 A KR 20140029600A KR 1020120094511 A KR1020120094511 A KR 1020120094511A KR 20120094511 A KR20120094511 A KR 20120094511A KR 20140029600 A KR20140029600 A KR 201400296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oll bar
- content
- list
- touch
- scro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 바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면에 스크롤바가 포함된 컨텐츠를 표시된 상태에서 스크롤 바의 터치에 따라 컨텐츠를 스크롤하고, 스크롤 도중에 스크롤 바가 상기 스크롤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드래그 & 드롭된 위치의 컨텐츠에 관련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롤 바를 단순히 텍스트의 리스트나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양)의 스크롤에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 또는 영상의 각종 제어동작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선택동작을 거치지 않고도 원하는 동작을 쉽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ntent control function using a scroll ba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erein the content is scrolled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scroll bar while the content including the scroll bar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croll bar is scrolled in the scroll direction. When dragg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above, the control operation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dragged & dropped position is perform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uses the scroll bar for scrolling a list of text or an image (still image or an nutrient) but also applies various selection operations by the user by utilizing the scroll bar for various control operations of the content or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You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erform the desired operation without going through.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크롤 바 또는 재생 바와 같은 제어바를 바를 이용하여 텍스트 또는 영상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text or video content using a control bar such as a scroll bar or a playback ba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tent thereof.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Examples of such various functions include a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a function of photographing a video or a moving image through a camera, a voice storage function, a music file playback function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an image or video display function. Some mobile terminals include additional functions to execute games, and some other mobile terminals are also implemented as multimedia devices. Moreover, recent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broadcast or multicast signals to watch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그 중에서 이동 단말기의 터치 기능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버튼/키 입력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편리하게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단순한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함께 단말기의 중요한 기능으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Further, efforts for supporting and increasing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continue. Such efforts include not only changes and improvements in structural components that form the mobile terminal, but also improvements in software or hardware. Among them, the touch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llows a user who is unfamiliar with the button / key input to conveniently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by using the touch screen. In recent years, not only simple input but also user interface (UI) Is becoming an important function of
일반적으로 스크롤 바는 텍스트 또는 영상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해당 텍스트 데이타 또는 영상 데이타를 스크롤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예로,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단문 메시지뿐만 아니라 콘텐츠 목록 및 목 탐색 메인 메뉴의 음원 파일들이나 영상 파일들이 포함되는 콘텐츠 파일이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해당 데이타를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이동 및 선택한다. In general, scroll bars are used to scroll text or image data on a screen on which text or image content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a content file including sound source files or video files of a content list and a neck search main menu as well as a phone book, a call list, and a short message is displayed, a user moves and selects the corresponding data using a scroll bar.
상기 목록은 메인 메뉴 또는 서브 메뉴에 링크되어 관리(생성, 변경, 삭제 및 저장)되며, 주로 세로 형태로 배열되지만 필요에 따라 가로(Grid type) 또는 가로(list type)의 형태를 갖는다. The list is managed (created, changed, deleted and stored) linked to the main menu or sub menu, and is mainly arranged in a vertical form but has a form of a grid type or a list type as necessary.
상기 목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목록의 수가 화면의 표시영역을 초과할 경우에는 해당 목록 표시영역의 일측에 구비된 스크롤 바를 통해 리스트의 위/아래 또는 좌/우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 재생의 경우에는 재생 바를 통해 영상간 이동이 가능하다. At least one list is provided, and when the number of lists exceeds the display area of the screen, the list may be moved up / down or left / right through a scroll ba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ist display area. In addition, in the case of image playback, it is possible to move between images through the playback bar.
그런데, 종래에 복수의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 또는 영상재생중에서 스크롤 바 또는 재생바는 단순히 리스트의 많고 적음(리스트가 많으면 스크롤바의 크기가 작음)을 나타내거나 리스트 검색을 위한 스크롤에만 이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정 목록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선택과정이 필요하게 되는 등 스크로 바의 기능이 제한적이었다. However, in the state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lists or playing a video, a scroll bar or a play bar simply indicates a large and small number of the list (when there are many lists, the size of the scroll bar is small) or is used only for scrolling for a list search. In order to perform the control operation on the list, the scroll bar function was limited, requiring a separate selection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제어바를 바를 이용하여 텍스트 또는 영상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text or video content using a control ba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tent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바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은, 화면에 스크롤바가 포함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스크롤 바의 터치에 따라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단계; 및 스크롤 도중에 상기 스크롤 바가 스크롤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드래그 & 드롭된 위치의 컨텐츠에 관련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a scroll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a content including a scroll bar on the screen; Scrolling content according to a touch of a scroll bar; And if the scroll bar is dragg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crolling direction during scrolling,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dragged and dropped position.
상기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록을 갖는 텍스트 또는 영상이다,The content is text or an image having at least one list,
상기 컨텐츠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록을 갖는 텍스트인 경우 해당 텍스트의 항목은 그리드 뷰(Grid view) 또는 리스트 뷰(list view)로 표시된다.When the content is text having at least one list, the item of the text is displayed in a grid view or a list view.
상기 스크롤 방향은 화면이 리스트 뷰인 경우 상하방향을 나타내고, 그리드 뷰인 경우는 좌우방향을 나타낸다.The scroll direction indicates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creen is a list view and a left and right direction when the screen is a grid view.
상기 스크롤 방향과 다른 방향은 리스트 뷰인 경우 좌우방향을 나타내고, 그리드 뷰인 경우는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croll direction indicates a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list view and an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grid view.
상기 컨텐츠에 관련된 제어동작은 스크롤 바가 드래그 & 드롭된 컨텐츠의 하위 항목을 표시하거나, 스크롤 바가 드래그 & 드롭된 컨텐츠의 체크박스에 마크를 하는 동작을 나타낸다.The control operation related to the content indicates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lower item of the content to which the scroll bar is dragged and dropped or marking a check box of the content to which the scroll bar is dragged and dropped.
상기 하위 항목은 해당 컨텐츠의 하위 폴더 리스트 또는 컨텐츠에 관련된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sub-item includes a sub-folder lis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a menu related to the content.
상기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바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은, 스크롤 바의 터치 형태를 판별하는 단계; 스크롤 바의 터치가 롱터치로 판별되면 터치 지점의 컨텐츠를 기준으로 상기 스크롤 바가 멈추는 지점까지의 컨텐츠의 항목을 숨기는 단계; 및 스크롤 바의 터치가 더블터치로 판별되면 기 설정된 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컨텐츠의 항목을 숨기는 단계; 및 스크롤 바의 터치가 롱터치로 판별되고 스크롤 바가 이동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옵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Content control method using a scroll 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ouch type of the scroll bar; Hiding an item of content up to the point where the scroll bar stops based on the content of the touch point when the touch of the scroll bar is determined to be long touch; And hiding items of contents other than the preset range when the touch of the scroll bar is determined to be double touch. And displaying a menu option for changing the display when the touch of the scroll bar is determined as long touch and the scroll bar is not mov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스크롤바가 포함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컨텐츠 및 사용자 설정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스크롤 바의 터치에 따라 컨텐츠를 스크롤하고, 스크롤 도중에 스크롤 바가 상기 스크롤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드래그 & 드롭된 위치의 컨텐츠에 관련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tent including a scroll bar; A memory for storing content and user settings; And a controller that scroll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scroll bar, and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dragged and dropped position when the scroll bar is dragg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croll direction during scrolling.
상기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록을 갖는 텍스트 또는 영상이다.The content is text or an image having at least one list.
상기 컨텐츠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록을 갖는 텍스트인 경우 해당 텍스트의 항목은 그리드 뷰(Grid view) 또는 리스트 뷰(list view)로 표시된다.When the content is text having at least one list, the item of the text is displayed in a grid view or a list view.
상기 제어부는 화면이 리스트 뷰인 경우 상하방향으로 스크롤 바를 스크롤하고, 그리드 뷰인 경우에는 좌우방향으로 스크롤한다.The controller scrolls the scroll bar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creen is a list view, and scrol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screen is a grid view.
상기 스크롤 방향과 다른 방향은 리스트 뷰인 경우 좌우방향을 나타내고, 그리드 뷰인 경우는 상하방향을 나타낸다.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croll direction indicates a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list view and an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grid view.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에 관련된 제어동작으로 스크롤 바가 드래그 & 드롭된 컨텐츠의 하위 항목을 표시하거나, 스크롤 바가 드래그 & 드롭된 컨텐츠의 체크박스에 마크한다. The control unit displays a lower item of the content to which the scroll bar is dragged and dropped in a control operation related to the content, or marks the check box of the content to which the scroll bar is dragged and dropped.
상기 하위 항목은 해당 컨텐츠의 하위 폴더 리스트 또는 컨텐츠에 관련된 메뉴를 포함한다.The sub item includes a sub folder lis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a menu related to the content.
상기 제어부는 스크롤 바의 터치 형태를 판별하여, 스크롤 바의 터치가 롱터치로 판별되면 터치 지점의 컨텐츠를 기준으로 상기 스크롤 바가 멈추는 지점까지의 컨텐츠의 항목을 숨기고, 스크롤 바의 터치가 더블터치로 판별되면 기 설정된 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컨텐츠의 항목을 숨긴다.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touch type of the scroll bar, and when the touch of the scroll bar is determined to be long touch, hides the item of the content up to the point where the scroll bar stops based on the content of the touch point, and touches the scroll bar to double touch. If it is determined, the item of the contents other than the preset range is hidden.
상기 제어부는 스크롤 바의 터치가 롱터치로 판별되고 스크롤 바가 이동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옵션을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displays a menu option for changing the display when the touch of the scroll bar is determined to be long touch and the scroll bar is not moved.
본 발명은 스크롤 바를 단순히 텍스트의 리스트나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양)의 스크롤동작에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 또는 영상의 각종 제어동작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부가적인 선택동작을 거치지 않고도 원하는 동작을 쉽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oll bar is not merely used for scrolling a list of text or scrolling of an image (still image or nutrient), but is used for various control operations of the content or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 is an effect that you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erform the desired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목록 조절방법의 제1실시예로서, 스크롤 바를 롱 터치하여 목록 숨김기능을 수행하는 예.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목록 조절방법의 제2실시예로서, 스크롤 바를 더블 터치하여 목록을 조절하는 예.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목록 조절방법의 제3실시예로서,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목록의 하위항목을 표시하는 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목록 조절방법의 제4실시예로서,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목록을 정렬하는 예.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목록 조절방법의 제5실시예로서,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목록을 선택하는 예.
도 8은 본 발명에서 재생 바를 이용하여 영상을 제어하는 일 예.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목록 조절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목록 조절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mobile terminal may operat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illustrate an example of performing a list hiding function by long-touching a scroll bar as a first embodiment of a list adjust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adjusting a li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illustrate a third embodiment of a method for adjusting a li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lower item of a list is displayed using a scroll bar.
6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arranging a list using a scroll bar as a fourth embodiment of a method for adjusting a li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illustrate a fifth embodiment of a method for adjusting a li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list is selected using a scroll bar.
8 is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image using the play bar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adjusting a li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adjusting a li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mentioned "module" and "part"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applied to the fixed terminal, except for components specifically configured for mobile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Th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 (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The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An audio / video (A / V)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 (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 (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The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사용자가 이동할 때 이동방향을 계산하는 지자기 센서, 회전방향을 계산하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포함한다. 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Also, the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로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And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s may be stored in the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 shown in Fig. 1 is configured to be operable in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frame or packet, includ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satellite-based communication system .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2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bl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2,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Each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The intersection of sectors and frequency assignments may be called a CDMA channe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2, a broadcasting transmitter (BT) 295 transmits a broadcasting signal to the
뿐만 아니라, 도 2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In addition, FIG. 2 illustrates several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Among the typical operation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본 발명은 스크롤 바를 단순히 텍스트의 리스트나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양)의 스크롤동작에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 또는 영상의 각종 제어동작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부가적인 선택동작을 거치지 않고도 원하는 동작을 쉽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텍스트 컨텐츠 목록 또는 영상 컨텐츠에 관련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리스트 조절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oll bar is not merely used for scrolling a list of text or scrolling of an image (still image or nutrient), but is used for various control operations of the content or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Provides a way to easily and conveniently perform the desired operation without having to.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st control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related to a text content list or image content using a scroll bar.
상기 스크롤 바를 이용한 제엉동작은 터치 & 드래그(숏 또는 롱터치), 터치 & 홀드, 더블 탭핑등을 포함한다.Engaging with the scroll bar includes touch & drag (short or long touch), touch & hold, double tapping, and the like.
상기 목록은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단문 메시지, 콘텐츠 목록 및 탐색 메인 메뉴의 음원 파일들이나 영상 파일들이 포함되는 콘텐츠 파일을 포함한다. The list includes a content file including a phone book, a call list, a short message, a content list, and sound files or video files of a search main menu.
상기 목록은 갤러리와 같은 격자뷰(Grid View) 또는 이메일, 메시지 및 브라우저등과 같은 리스트 뷰(List View) 형태로 표시된다. The list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grid view such as a gallery or a list view such as an email, a message and a browser.
상기 각종 동작은 목록 숨김기능, 하위 항목 표시, 디스플레이 룰(display rule)제어 및 목록과 관련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The various operations provide a list hiding function, a lower item display, a display rule control, and additional functions related to a list.
상기 록록 제어가 수행되면 제어된 목록에 맞도록 스크롤 바의 위치 및 크기가 재조정된다. When the lock lock control is performed,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scroll bar are readjusted to fit the controlled list.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목록 조절방법의 제1실시예로서, 스크롤 바를 롱 터치하여 목록 숨김기능을 수행하는 예이다. 3A and 3B illustrate an example of performing a list hiding function by long-touching a scroll bar as a first embodiment of a list adjust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의 검색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록과 각 목록을 검색하기 위한 스크롤 바(50)가 도시될 수 있다. 상기 탐색 화면에 표시된 목록은 객체(Subject 또는 object), 사용자명 및 파일등을 포함한다. As illustrated in FIGS. 3A and 3B, at least one list and a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크롤 바(50)를 롱 터치한 후 소정 방향(위 또는 아래)으로 드래그하면, 터치된 목록을 기준으로 드래그된 범위(거리)에 속하는 목록(또는 영역)를 숨긴다(리스트를 줄인다). 예를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Subject 2를 터치한 상태에서 아래방향으로 Subject 3까지 드래그하면, 상기 터치된 Subject 1과 suject 2의 경계선 즉, 기준선 (51)아래에 있는 2개의 Subject 2, 3가 숨겨져서 표시된다(목록이 줄어든다). 일단 상기 2개의 Subject 2, 3가 숨겨지면 새롭게 표시된 전체 목록에 맞게 스크롤 바(50)의 위치 및 크기가 자동으로 재조정된다. 도 3a에서는 목록의 수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스크롤 바(50)의 크기는 증가될 것이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long touches the
반면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시카(Jessica)를 터치한 상태에서 위방향으로 Subject 3까지 드래그하면, 상기 터치된 제시카와 suject 4의 경계선 즉, 기준선(51)위에 있는 제시카와 Subject 3가 숨겨져서 표시된다. 상기 제시카와 Subject 3가 숨겨지면 전체 목록 맞게 스크롤 바(50)의 위치 및 크기가 자동으로 재조정된다. 그리고, 상기 숨겨진 목록은 스크롤 바(50)를 다시 롱터치할 때 표시되는 메뉴에서 검색 가능하며, 필요할 경우 복귀항목을 선택하여 복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B, when Jessica is touched and dragged upward to
이와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록이 숨겨지면 현재 숨김기능이 설정되었음을 시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시각적인 표시로는 스크롤 바(50)의 크기 및 색의 변경을 포함한다. As such, when at least one list is hidden, it is displayed poeticly that the current hiding function is set. The visual display includes changing the size and color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목록 조절방법의 제2실시예로서, 스크롤 바를 더블 터치하여 목록을 조절하는 예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list by double-touching a scroll bar as a second embodiment of a list adjustment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스크롤 바를 이용한 목록 숨김 기능으로, 더블 터치(Double touch or double tapping))에 의해 목록을 최대로 줄이거나 늘이는 예이다. 특히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스크로 바(50)를 이동시켜 직접 숨길 목록의 범위를 설정하는 반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메뉴 설정에 따라 숨길 목록의 범위(또는 수)를 설정하는 예이다. 숨겨질 목록의 범위는 시간범위, 중요도, 목록의 타입(가족, 친구 회사 및 기타)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졍의 편의를 위하여 특정 시간범위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a list hiding function using a scroll bar, and the list is reduced or enlarged to the maximum by double touch or double tapping.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3A and 3B, the user moves the
따라서, 사용자가 탐색화면에 표시된 스크롤 바(50)를 더블 터치하면 숨김기능이 온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시간(예: 어제와 오늘)범위내에 생성된 목록을제외한 나머지 목록(Subject 5~7)들이 숨겨져 표시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록이 숨겨지면 현재 숨김기능이 설정되었음을 시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시각적인 표시로는 스크롤 바(50)의 크기 및 색의 변경을 포함한다. Therefore, when the user double-clicks the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목록 조절방법의 제3실시예로서,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목록의 하위항목을 표시하는 예이다.5A and 5B illustrate a third embodiment of a method for adjusting a li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plays lower items of a list by using a scroll bar.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갤러리와 같은 격자뷰(Grid View)에서 사용자가 스크롤 바(50)를 이용하여 목록을 스크롤링하는 도중에 손을 떼지 않은 상태에서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특정 목록(e.g. 앨범 3)을 선택하면(드롭하면), 해당 위치에 선택된 목록(e.g. 앨범 3)의 하위 항목이 별도의 화면(52)(팝-업)에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5A, in a grid view such as a gallery, the user drags to the left without lifting his / her hand while scrolling the list using the scroll bar 50 (eg album 3). When is selected (if dropped), the sub-items of the list (eg album 3) selec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re displayed on a separate screen 52 (pop-up).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화면(52)에서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브라우징한 다음 원하는 특정 항목을 터치하여 해당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can browse by using the scroll bar on the
도 5b는 이메일, 메시지 및 브라우저등과 같은 리스트 뷰에서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특정 목록의 하위항목을 표시/및 선택하는 예로서, 그 상세 동작은 도 5a와 동일하다. 즉, 리스트 뷰(List View)에서 사용자가 스크롤 바(50)를 이용하여 목록을 스크롤링하는 도중에 손을 떼지 않은 상태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여 특정 목록(e.g. 제시카)에 선택하면, 해당 위치에 상기 선택된 목록(e.g. 제시카 3)에 관련된 하위 항목(예 : 텍스트 1~4)이 별도의 화면(52)(팝-업)에 표시된다. FIG. 5B is an example of displaying / selecting a sub-item of a specific list using a scroll bar in a list view such as an email, a message, a browser, and the like, and the detailed operation thereof is the same as that of FIG. 5A.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list (eg Jessica) by dragging to the left without lifting his / her hand while scrolling the list using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목록 조절방법의 제4실시예로서,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목록을 정렬하는 예를 나타낸다. 6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sorting a list using a scroll bar as a fourth embodiment of a method for adjusting a li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검색 화면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크롤 바(50)를 롱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검색화면의 일측에 목록의 디스플레이 옵션(예:날짜, 위치, 사람, 제목)을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옵션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스크롤 바(50)를 드래그하여 특정 디스플레이 옵션(예: 날짜)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옵션에 해당하는 목록 예를들면, 날짜별로 목록을 정렬(sort)하여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user long touches the
도 7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목록 조절방법의 제5실시예로서,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목록을 선택하는 예를 나타낸다. 7A and 6B illustrate a method of selecting a list using a scroll bar as a fifth embodiment of a list adjust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특정 목록을 마크(Mark)하기 위해서는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몰고을 스크롤링한 하여 원하는 목록을 찾은 후 사용자가 원하는 목록의 체크박스에 마크해야 한다. 이 경우 스크롤바를 이용한 이동과 사용자의 선택동작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롤 바(50)만을 이용하여 특정 목록에 마킹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n general, in order to mark a specific list, the user must scroll through the scroll bar using the scroll bar to find the desired list, and then mark the checkbox of the desired list. In this case, movement using a scroll bar and a user's selection operation are essential.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rking a specific list using only the
도 7a에 도시된 바와같이, 갤러리와 같은 격자뷰(Grid View)에서 사용자가 스크롤 바(50)로 목록을 스크롤하다가 특정 위치에서 스크롤 바(50)를 왼쪽으로 이동시켜 특정 목록에 드롭하면, 제어부(180)는 선택모드(selection mode)로 진입함과 함께 해당 목록의 체크박스에 체크(Mark))하여 해당 목록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화면의 하단부에 위치한 메뉴(예: Done)를 선택하면, 제어부 (180)는 상기 선택된 목록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기능을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7A, when a user scrolls a list with a
도 7b는 리스트 뷰에서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목록을 선택하는 예로서, 그 상세 동작은 도 7a와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검색화면에서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원하는 목록을 선택할 수 있어, 해당 목록에 관련된 추가동작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FIG. 7B is an example of selecting a list using a scroll bar in a list view, and the detailed operation thereof is the same as that of FIG. 7A.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list easily and conveniently by using the scroll bar on the search screen, so that an additional operation related to the list can be quickly performed.
전술한 실시예들은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목록을 조절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간이동을 위한 재생 바 또는 촬영 화면에서 스크롤 바를 이용한 초점이동시에도 본 발명의 개념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재생바를 이용하여 손쇱고 편리하게 재생 영상에 대한 숨김기능(편집기능) 및 기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described an example of adjusting a list using a scroll ba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ally applied to a focus bar using a scroll bar on a playback bar or a shooting screen for moving images. . In other words, the play bar can be used to perform a hiding function (editing function) and other functions for the playback video.
도 8은 본 발명에서 재생 바를 이용하여 영상을 제어하는 일 예이다. 8 is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image using the play bar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다운로드한 동영상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시키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동영상 재생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동영상 재생화면의 상단부에는 현재 동영상의 재생되고 있는 정도(재생율)를 나타내는 재생바(60)가 표시되고, 하단부에는 빨리감기와 되감기를 각각 수행할 수 있는 버튼(61),(62)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에서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을 시청하다가 특정 화면으로 이동하고 싶을 경우에는 빨리감기 버튼(50) 및 되감기 버튼(51)을 누르거나 재생바(52)를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장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8, when a user plays a downloaded video or a video stored in a memory, the video display screen is displayed on the
이 경우 본 발명은 재생 바(60)을 터치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좌/우)로 이동시키다가 특정 위치에서 아래방향으로 드래그 & 드롭하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해당 위치의 영상을 표시하면서 별도의 화면에 상기 영상에 관련된 정보(하위 항목)를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6과 같이 재생 바(60)를 직접 롱 터치하여 원하는 수행 가능한 기능(예: 편집, 삭제, 공유 및 기타)을 수행하거나,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재생 바(60)을 터치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좌/우)로 이동시키다가 특정 위치에서 아래방향으로 드래그 & 드롭할 때, 해당 위치의 영상을 표시하면서 별도의 화면에 상기 영상에 관련된 수행 가능한 기능(예: 편집, 삭제, 공유 및 기타)을 표시할 수도 있다. Also, 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user can directly touch th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목록 조절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adjusting a li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복수의 목록과 상기 목록을 스크롤하기 위한 스크롤 바가 표시된다. 상기 복수의 목록은 격자 뷰 또는 리스트 뷰 형태로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9, the
사용자가 스크롤 바를 터치 & 홀드한 후 이동시키면, 제어부(180)는 상기 스크롤 바의 이동을 감지하여 종래와 같이 리스트 스크롤을 수행함과 함께 상기 스크롤 중에 사용자가 선택한 리스트의 화면으로 전환한다(S10~S13). When the user touches and holds the scroll bar and moves it, the
그런데, 상기 리스트 스크롤 도중에 상기 스크롤바의 스크롤방향과 상이한 드래그가 발생되면(감지되면), 즉 상기 스크롤 바가 이동중에 다른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제어부(180)는 스크롤 바의 이동이 롱 터치 & 드래그에 의해 이루어진 것인지 판단한다(S14). However, if a drag different from the scroll direction of the scroll bar occurs (is detected) during the scrolling of the list, that is, if the scroll bar is dragged in a different direction while moving, the
상기 스크롤 방향은 화면이 리스트 뷰인 경우 상하방향을 나타내고, 그리드 뷰인 경우는 좌우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스크롤 방향과 다른 방향은 리스트 뷰인 경우 좌우방향을 나타내고, 그리드 뷰인 경우는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The scroll direction indicates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creen is a list view and a left and right direction when the screen is a grid view.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croll direction indicates a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list view and an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grid view.
판단결과, 상기 스크롤 바의 이동이 롱 터치 & 드래그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80)는 이동된 범위에 해당하는 목록에 대하여 숨김기능을 적용하고(S15), 상기 스크롤 바의 이동이 일반 터치 & 드래그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에는 드래그가 멈춘(드래그 & 드롭된) 목록의 하위 항목을 별도의 팝-업형태로 표시한다(S16). 사용자가 상기 하위 항목중에서 특정 항목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항목의 화면을 표시한다(S17). 상기 하위 항목은 해당 컨텐츠의 하위 폴더 리스트 또는 컨텐츠에 관련된 메뉴를 포한한다.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the scroll bar is moved by long touch and drag, the
특히 도 9와 도 10의 동작은 메뉴 설정에 의해 정의되거나, 또는 터치 형태, 예를들어 도 9의 동작은 롱 터치된 상태에서 스크롤될 때 수행하고, 도 10은 일반적으로 터치된 상태에서 스크롤될 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사용자가 메뉴 설정을 통해 설정 가능하며 메모리(160)에 저장된다. In particular, the operations of FIGS. 9 and 10 are defined by menu settings, or in the form of a touch, for example the operations of FIG. 9 are performed when scrolled in a long touched state, and FIG. 10 is generally scrolled in a touched state. Can be done when These settings can be set by the user through menu settings and stored in the
따라서, 상기 스크롤 바의 이동이 일반 터치 & 드래그에 의해 이루어진 상태에서 스크롤 바의 이동과 다른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본 발명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타입(리스트 타입 텍스트, 정지영상, 동영상)에 따라 전술한 다양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카메라 영상에서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프리뷰 화면 또는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특정 인물 또는 객체의 숨김기능을 수행하거나, 특정 인물 또는 객체에 관련된 동작(전송, 복사, 저장, 편집 및 기타)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은 동영상 재생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Therefore, when the scroll bar is dragg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scroll bar while the scroll bar is moved by general touch and dra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content (list type text, still image, video) that is currently displayed. A variety of control operations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using the scroll bar on the camera image, you can hide a specific person or object on the preview screen or captured image, or perform an operation (transfer, copy, save, edit, etc.) related to the specific person or object. The same applies to video playback.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목록 조절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adjusting a li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복수의 목록과 상기 목록을 스크롤하기 위한 스크롤 바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목록은 격자 뷰 또는 리스트 뷰 형태로 표시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사용자가 스크롤 바를 터치 & 홀드한 후 이동시키면, 제어부(180)는 상기 스크롤 바의 이동을 감지하여 종래와 같이 리스트 스크롤을 수행함과 함께 상기 스크롤 중에 사용자가 선택한 리스트의 화면으로 전환한다(S20~S23). When the user touches and holds the scroll bar and moves it, the
상기 리스트 스크롤 도중에 상기 스크롤바의 스크롤방향과 상이한 드래그가 발생되면(감지되면)(S21), 즉 상기 스크롤 바가 이동중에 다른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제어부(180)는 드래그가 멈춘(드래그 & 드롭된) 목록의 체크박스에 마크하여, 해당 목록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고, 사용자가 화면의 하단부에 위치한 메뉴(예:Done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목록에 대하여 실행 가능한 기능들을 팜-업 형태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목록 선택 과정을 거치지 않고 해당 목록에 대한 각종 기능을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If a drag different from the scroll direction of the scroll bar is generated (detected) during the scrolling of the list (S21), that is, if the scroll bar is dragged in another direction while moving, the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스크롤 바를 단순히 텍스트의 리스트나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양)의 스크롤동작에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 또는 영상의 각종 제어동작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부가적인 선택동작을 거치지 않고도 원하는 동작을 쉽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used for scrolling a list of text or scrolling of an image (still image or a nutrient) but also for various control operations of content or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conveniently perform the desired operation without going through the selection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Further,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스크롤바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the scroll bar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are all or all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Some may be optionally combined.
50 : 스크롤 바 51 : 기준선
52 : 팝-업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160 : 메모리50: scroll bar 51: baseline
52: pop-up 151: display unit
180: control unit 160: memory
Claims (17)
스크롤 바의 터치에 따라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단계; 및
스크롤 도중에 상기 스크롤 바가 스크롤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드래그 & 드롭된 위치의 컨텐츠에 관련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롤 바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 Displaying content including a scroll bar on a screen;
Scrolling content according to a touch of a scroll bar; And
If the scroll bar is dragg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croll direction during scrolling,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dragged and dropped position;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a scroll bar.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록을 갖는 텍스트 또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바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ent is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a scroll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text or image having at least one list.
스크롤 바가 드래그 & 드롭된 컨텐츠의 하위 항목을 표시하거나, 스크롤 바가 드래그 & 드롭된 컨텐츠의 체크박스에 마크를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바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operation related to the content is performed.
And a scroll bar displaying sub-items of content dragged and dropped, or a scroll bar marking a check box of content dragged and dropped.
해당 컨텐츠의 하위 폴더 리스트 또는 컨텐츠에 관련된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바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b-item
And a menu related to the subfolder list or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s.
스크롤 바의 터치가 롱터치로 판별되면 터치 지점의 컨텐츠를 기준으로 상기 스크롤 바가 멈추는 지점까지의 컨텐츠의 항목을 숨기는 단계; 및
스크롤 바의 터치가 더블터치로 판별되면 기 설정된 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컨텐츠의 항목을 숨기는 단계; 및
스크롤 바의 터치가 롱터치로 판별되고 스크롤 바가 이동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옵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바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 touch type of the scroll bar;
Hiding an item of content up to the point where the scroll bar stops based on the content of the touch point when the touch of the scroll bar is determined to be long touch; And
If the touch of the scroll bar is determined to be double touch, hiding an item of contents other than a preset range; And
If the touch of the scroll bar is determined to be a long touch and the scroll bar is not moved, displaying a menu option for changing the display;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a scroll bar further comprising.
컨텐츠 및 사용자 설정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스크롤 바의 터치에 따라 컨텐츠를 스크롤하고, 스크롤 도중에 스크롤 바가 상기 스크롤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드래그 & 드롭된 위치의 컨텐츠에 관련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 display unit displaying content including a scroll bar;
A memory for storing content and user settings;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croll content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scroll bar and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dragged and dropped position when the scroll bar is dragg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croll direction during scrolling.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록을 갖는 텍스트 또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ent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ext or image having at least one list.
화면이 리스트 뷰인 경우 상하방향으로 스크롤 바를 스크롤하고, 그리드 뷰인 경우에는 좌우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a scroll bar scrolling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creen is a list view, and scroll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grid view.
컨텐츠에 관련된 제어동작으로 스크롤 바가 드래그 & 드롭된 컨텐츠의 하위 항목을 표시하거나, 스크롤 바가 드래그 & 드롭된 컨텐츠의 체크박스에 마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a scroll bar displaying a lower item of the content dragged and dropped in a control operation related to the content, or marking a check box of the content dragged and dropped.
해당 컨텐츠의 하위 폴더 리스트 또는 컨텐츠에 관련된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b-item
And a menu related to the subfolder lis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the content.
스크롤 바의 터치 형태를 판별하여, 스크롤 바의 터치가 롱터치로 판별되면 터치 지점의 컨텐츠를 기준으로 상기 스크롤 바가 멈추는 지점까지의 컨텐츠의 항목을 숨기고, 스크롤 바의 터치가 더블터치로 판별되면 기 설정된 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컨텐츠의 항목을 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By determining the touch type of the scroll bar, if the touch of the scroll bar is determined as long touch, the item of the content up to the point where the scroll bar stops is hidden based on the content of the touch point, and if the touch of the scroll bar is determined as double touch,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hide the items of the remaining content except the set range.
스크롤 바의 터치가 롱터치로 판별되고 스크롤 바가 이동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옵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a menu option for changing the display if the touch of the scroll bar is determined as long touch and the scroll bar is not mov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94511A KR101977081B1 (en) | 2012-08-28 | 2012-08-28 | Mobile terminal having contents control function using scroll ba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94511A KR101977081B1 (en) | 2012-08-28 | 2012-08-28 | Mobile terminal having contents control function using scroll ba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29600A true KR20140029600A (en) | 2014-03-11 |
| KR101977081B1 KR101977081B1 (en) | 2019-05-10 |
Family
ID=5064245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94511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7081B1 (en) | 2012-08-28 | 2012-08-28 | Mobile terminal having contents control function using scroll ba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77081B1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140138A (en) * | 2014-06-05 | 2015-1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US9569085B2 (en) | 2014-12-12 | 2017-02-14 | Lg Electronics Inc. | Digital device displaying index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70032759A (en) * | 2015-09-15 | 2017-03-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CN109445671A (en) * | 2018-09-20 | 2019-03-08 | 传线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 Multimedia resource plays adjusting method and device |
| WO2020134864A1 (en) * | 2018-12-27 | 2020-07-02 |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 Video playback method, apparatus, and devic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064277A (en) * | 2009-12-07 | 2011-06-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its data selection method |
| KR20110085189A (en) * | 2010-01-19 | 2011-07-27 | 박철 | Operation method of personal handheld terminal with touch panel |
| KR20120019979A (en) * | 2010-08-27 | 2012-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wrminal and screen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2012
- 2012-08-28 KR KR1020120094511A patent/KR1019770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064277A (en) * | 2009-12-07 | 2011-06-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its data selection method |
| KR20110085189A (en) * | 2010-01-19 | 2011-07-27 | 박철 | Operation method of personal handheld terminal with touch panel |
| KR20120019979A (en) * | 2010-08-27 | 2012-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wrminal and screen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140138A (en) * | 2014-06-05 | 2015-1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US9569085B2 (en) | 2014-12-12 | 2017-02-14 | Lg Electronics Inc. | Digital device displaying index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70032759A (en) * | 2015-09-15 | 2017-03-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CN109445671A (en) * | 2018-09-20 | 2019-03-08 | 传线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 Multimedia resource plays adjusting method and device |
| WO2020134864A1 (en) * | 2018-12-27 | 2020-07-02 |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 Video playback method, apparatus, and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977081B1 (en) | 2019-05-1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955979B1 (en) | 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icon moving method thereof | |
| KR101718027B1 (en) | Mobile terminal and memo management method thereof | |
| KR101842457B1 (en) | Mobile twrminal and text cusor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101480461B1 (en) | Mobile terminal and message box searching method therefor | |
| KR101303166B1 (en) | Mobile terminal and photo searching method thereof | |
| KR101871718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101336709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using back cover touch thereof | |
| KR20120031399A (en) | Mobile twrminal and playback spee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20100072115A (en) | Mobile terminal and nfc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 |
| KR20090039960A (en) |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mobile terminal | |
| KR20140089269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
| KR101977075B1 (en) | Mobile terminal having wide screen size and content displaying method thereof | |
| KR101240274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ents mixing method thereof | |
| KR101977081B1 (en) | Mobile terminal having contents control function using scroll ba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101279518B1 (en) | Mobile terminal and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140002389A (en) | Mobile terminal using eye tracking function and event indication method thereof | |
| KR20120019979A (en) | Mobile twrminal and screen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20140066059A (en) | Mobile terminal and gesture recording method thereof | |
| KR20120019064A (en) | Mobile twrminal having smart search widget and searching method thereof | |
| KR101750342B1 (en) | 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or contents controlling method using touch gesture thereof | |
| KR101754185B1 (en) | Mobil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 |
| KR101973994B1 (en) | Mobile terminal and group tag utilizing method thereof | |
| KR101918988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continuity thereof | |
| KR101495171B1 (en) | Mobile and method for browsing information thereof | |
| KR101972346B1 (en) | Mobile terminal and web brows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5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