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01831A - 차폐 전기 케이블 - Google Patents

차폐 전기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831A
KR20140001831A KR1020137005876A KR20137005876A KR20140001831A KR 20140001831 A KR20140001831 A KR 20140001831A KR 1020137005876 A KR1020137005876 A KR 1020137005876A KR 20137005876 A KR20137005876 A KR 20137005876A KR 20140001831 A KR20140001831 A KR 20140001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ductor
conductors
films
shielding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9060B1 (ko
Inventor
더글라스 비 군델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2479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0183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40001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06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01B11/08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cross-tal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4Alarm propagated along alternative communication path or using alternative communication medium according to a hierarchy of available ways to communicate, e.g. if Wi-Fi not available use G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02Pair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4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pairs or quads mutually positioned to reduce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01B11/10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20Cables having a multiplicity of coaxial lines
    • H01B11/203Cables having a multiplicity of coaxial lines forming a flat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23Parallel wires, incorporated in a flat insulating profi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8Parallel wires, sandwiched between two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61Flat or ribbon cables comprising one or more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76Flat or ribbon cables comprising twisted pai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4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for shielded flat cable
    • H01R12/598Each conductor being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e.g. multiple coaxial cables in fla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8Restricting access to network management systems or functions, e.g. using authorisation function to access network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차폐 전기 케이블(2)은 케이블(2)의 길이(1)를 따라 연장되고 케이블(2)의 폭(w)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전도체 세트(4)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차폐 필름(8)들은 케이블(2)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되고 커버 부분(7)들 및 압착 부분(9)들 - 횡단면에서, 필름(8)들의 커버 분분(7)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4)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됨 - 을 포함한다. 접착제 층(10)이 케이블(2)의 압착 부분(9)에서 차폐 필름(8)들을 함께 접합한다. 최대 2 ㎜의 내측 반경에 걸친 180도 이하의 케이블 위치에서의 케이블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케이블 임피던스가 구부러지지 않은 구성에서 상기 케이블 위치에서 측정된 초기의 케이블 임피던스로부터 2% 이하만큼 변화하게 한다.

Description

차폐 전기 케이블{SHIELDED ELECTRICAL CABL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신호의 전송을 위한 차폐 전기 케이블(shielded electrical cabl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량 종단접속되어(mass-terminated) 고속 전기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폐 전기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전자 장치들에 사용되는 증가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로 인해, 고속 전자기 신호(예를 들어, 1 Gb/s 초과)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전기 케이블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들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일 유형의 케이블이 동축 케이블이다. 동축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절연체에 의해 둘러싸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한다. 와이어 및 절연체는 차폐체에 의해 둘러싸이고, 와이어, 절연체, 및 차폐체는 재킷(jacket)에 의해 둘러싸인다. 다른 유형의 전기 케이블은, 예를 들어 금속 포일(foil)에 의해 형성된 차폐 층에 의해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절연 신호 전도체(insulated signal conductor)를 갖는 차폐 전기 케이블이다.
이들 유형의 전기 케이블 둘 모두는 종단접속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커넥터의 사용을 요구할 수 있으며, 대량 종단접속 기술의 사용, 예를 들어 개별 접촉 요소들에 대한 복수의 전도체들의 동시 접속에 종종 적합하지 않다. 이들 대량 종단접속 기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기 케이블들이 개발되었지만, 이들 케이블은 이들을 대량 생산하는 능력, 이들의 종단접속 단부를 준비하는 능력, 이들의 가요성, 및 이들의 전기적 성능에 있어서 제한을 종종 갖는다.
본 발명은 고속 전기 데이터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차폐 전기 케이블은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케이블의 폭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전도체 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도체 세트는 하나 이상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한다. 케이블은 또한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필름들은 커버 부분(cover portion) 및 압착 부분(pinched portion) - 횡단면에서, 제1 및 제2 필름들의 커버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됨 - 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필름들의 압착 부분들은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의 각각의 측부에 케이블의 압착 부분을 형성한다. 케이블은 케이블의 압착 부분에서 제1 차폐 필름을 제2 차폐 필름에 접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전도체 세트는 이웃하는 제1 및 제2 절연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제1 전도체 세트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커버 부분들, 및 제1 전도체 세트의 일 측부에 제1 압착 케이블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압착 부분들을 갖는다. 절연 전도체들 중 선택된 하나는 24 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merican wire gauge, AWG) 이하의 와이어 직경을 갖고, 최대 2 ㎜의 내측 반경에 걸친 180도 이하의 케이블 위치에서의 케이블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케이블 임피던스가 구부러지지 않은 구성에서 상기 케이블 위치에서 측정된 초기의 케이블 임피던스로부터 2% 이하만큼 변화하게 한다.
하나의 구성에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와이어 직경은 26 AWG 이하일 수 있고, 여기서 최대 1 ㎜의 내측 반경에 걸친 180도 이하의 케이블 위치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케이블 임피던스가 초기의 케이블 임피던스로부터 1% 이하만큼 변화하게 한다. 다른 구성에서, 선택된 절연 전도체는 24 AWG 이하의 와이어 직경 및 100 옴의 공칭 차동 임피던스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하는 전도체 세트들 중 선택된 하나의 일부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케이블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전도체 세트의 차동 케이블 임피던스가 구부러지지 않은 구성에서 상기 케이블 위치에서 측정된 초기의 차동 케이블 임피던스로부터 2 옴 이하만큼 변화하게 한다. 또한 그러한 경우에, 적어도 2개의 절연 전도체의 와이어 직경은 26 AWG 이하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최대 1 ㎜의 제2 내측 반경에 걸친 180도 이하의 케이블 위치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전도체 세트의 차동 케이블 임피던스가 초기의 차동 임피던스로부터 1 옴 이하만큼 변화하게 한다.
상기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선택된 절연 전도체는 50 옴의 공칭 케이블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고, 그러한 경우에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케이블 임피던스는 초기의 케이블 임피던스로부터 1 옴 이하만큼 변화한다. 이들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케이블은 케이블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접힘선 둘레에 45도 이상의 굽힘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굽힘부는 최대 5 ㎜의 내측 반경을 갖는다. 그러한 경우에, 굽힘부는 90도 이상일 수 있고 케이블을 둘러싸는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에 순응하고/순응하거나, 굽힘부는 180도 이상일 수 있으며 접힘선은 케이블의 길이방향 에지에 대해 소정의 접힘 각도에 있어, 케이블이 평면에 대한 굽힘부 전에 그리고 그 후에 인접 구역들의 평탄화에 응답해 소정의 방향전환 각도로 방향전환하게 한다. 후자의 경우에, 접힘 각도는 45도일 수 있고, 방향전환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폐 전기 케이블은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케이블의 폭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전도체 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도체 세트는 하나 이상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한다. 케이블은 또한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필름들은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 - 횡단면에서, 제1 및 제2 필름들의 커버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됨 - 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필름들의 압착 부분들은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의 각각의 측부에 케이블의 압착 부분을 형성한다. 케이블은 케이블의 압착 부분에서 제1 차폐 필름을 제2 차폐 필름에 접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전도체 세트는 이웃하는 제1 및 제2 절연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제1 전도체 세트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커버 부분들, 및 제1 전도체 세트의 일 측부에 제1 압착 케이블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압착 부분들을 갖는다. 절연 전도체들 중 선택된 하나는 24 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WG) 이하의 와이어 직경을 갖고, 최대 5 ㎜의 내측 반경에 걸친 180도 이하의 케이블 위치에서의 케이블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삽입 손실이 구부러지지 않은 구성에서 상기 케이블 위치에서 측정된 초기의 삽입 손실로부터 0.5 dB 이하만큼 변화하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케이블은 케이블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접힘선 둘레에 45도 이상의 굽힘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굽힘부는 최대 5 ㎜의 내측 반경을 갖는다. 그러한 경우에, 굽힘부는 90도 이상일 수 있고 케이블을 둘러싸는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에 순응하고/순응하거나, 굽힘부는 180도 이상일 수 있으며 접힘선은 케이블의 길이방향 에지에 대해 소정의 접힘 각도에 있어, 케이블이 평면에 대한 굽힘부 전에 그리고 그 후에 인접 구역들의 평탄화에 응답해 소정의 방향전환 각도로 방향전환하게 한다. 후자의 경우에, 접힘 각도는 45도일 수 있고, 방향전환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폐 전기 케이블은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케이블의 폭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전도체 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도체 세트는 하나 이상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한다. 케이블은 또한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필름들은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 - 횡단면에서, 제1 및 제2 필름들의 커버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됨 - 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필름들의 압착 부분들은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의 각각의 측부에 케이블의 압착 부분을 형성한다. 케이블은 케이블의 압착 부분에서 제1 차폐 필름을 제2 차폐 필름에 접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전도체 세트는 이웃하는 제1 및 제2 절연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제1 전도체 세트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커버 부분들, 및 제1 전도체 세트의 일 측부에 제1 압착 케이블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압착 부분들을 갖는다. 케이블에 대한 힘의 인가 - 케이블은 7.62 ㎝(3.0 인치) 이격된 2개의 지지점 사이에 단순 지지되고 힘은 지지점들 사이의 중간점에 가해짐 - 는 2.54 ㎝(1 인치) 이상의 힘의 방향에서의 편향의 결과를 가져온다. 파운드-힘 단위로 측정된 힘은 절연 전도체들 각각에 대한 개별 힘들의 합을 초과하지 않으며, 개별 힘들은 각각의 절연 전도체의 세제곱 와이어 직경의 11000배와 같고, 와이어 직경은 인치 단위로 표현된다.
하나의 배열에서, 와이어 직경은 24 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WG) 이하일 수 있다. 이들 배열들 중 임의의 것에서, 편향이 2.54 ㎝ 내지 3.81 ㎝(1 인치 내지 1.5 인치)일 때 최대 힘이 발생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들 배열 중 임의의 것에서 케이블은 케이블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접힘선 둘레에 45도 이상의 굽힘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굽힘부는 최대 5 ㎜의 내측 반경을 갖는다. 그러한 경우에, 굽힘부는 90도 이상일 수 있고 케이블을 둘러싸는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에 순응한다. 또는, 그러한 경우에, 굽힘부는 180도 이상일 수 있으며 접힘선은 케이블의 길이방향 에지에 대해 소정의 접힘 각도에 있어, 케이블이 평면에 대한 굽힘부 전에 그리고 그 후에 인접 구역들의 평탄화에 응답해 소정의 방향전환 각도로 방향전환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접힘 각도는 45도일 수 있고, 방향전환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블 조립체는 차폐 전기 케이블을 포함한다. 케이블은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케이블의 폭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전도체 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도체 세트는 하나 이상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한다. 케이블은 또한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필름들은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 - 횡단면에서, 제1 및 제2 필름들의 커버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됨 - 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필름들의 압착 부분들은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의 각각의 측부에 케이블의 압착 부분을 형성한다. 케이블은 케이블의 압착 부분에서 제1 차폐 필름을 제2 차폐 필름에 접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전도체 세트는 이웃하는 제1 및 제2 절연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제1 전도체 세트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커버 부분들, 및 제1 전도체 세트의 일 측부에 제1 압착 케이블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압착 부분들을 갖는다. 케이블 조립체는 적어도 케이블 내 굽힘부를 둘러싸는 전기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절연 전도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에 전기 결합된다.
하나의 배열에서, 전기 커넥터는 케이블 상에 형성된 오버몰드(overmold) 및/또는 다수 조각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배열 중 임의의 것에서, 커넥터는 패들 카드(paddle card)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굽힘부는 이들 배열에서 접힘선 둘레에 90도 이상일 수 있고, 굽힘부의 내측 반경은 최대 1 ㎜일 수 있다. 이들 배열 중 임의의 것에서, 커넥터는 케이블의 단부 및/또는 케이블의 중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 전도체는 24 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WG) 이하의 와이어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변형 중 임의의 것에서, 케이블은 전기 커넥터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제2 굽힘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제2 굽힘부는 케이블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제2 접힘선 둘레에 45도 이상이며, 제2 굽힘부는 최대 5 ㎜의 내측 반경을 갖는다. 제2 굽힘부는 90도 이상일 수 있고 케이블 조립체를 둘러싸는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에 순응하고/순응하거나, 제2 굽힘부는 180도 이상일 수 있으며 제2 접힘선은 케이블의 길이방향 에지에 대해 소정의 접힘 각도에 있어, 케이블이 평면에 대한 제2 굽힘부 전에 그리고 그 후에 인접 구역들의 평탄화에 응답해 소정의 방향전환 각도로 방향전환하게 한다. 그러한 경우에, 제2 접힘 각도는 45도일 수 있고, 방향전환 각도는 90도이다. 이들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각각의 케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세트는 1 Gb/s 이상의 최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해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이들 및 다양한 다른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 첨부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구체적으로 지적된다.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의 대표적인 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는, 본 명세서의 추가의 일부를 이루는 도면 및 수반되는 설명 자료를 또한 참조하여야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g는 추가의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의 정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종단접속 구성요소에 대한 차폐 전기 케이블의 예시적인 종단접속 공정의 다양한 절차들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또 추가의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의 정단면도.
도 5a 내지 도 5e는 차폐 전기 케이블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차폐 전기 케이블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상세 사항을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을 제조하는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정단면 상세도.
도 8a는 차폐 전기 케이블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단면도이고, 도 8b는 이의 대응하는 상세도.
도 9는 다른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의 일부분의 정단면도.
도 10은 다른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의 일부분의 정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들의 2개의 다른 부분들의 정단면도.
도 12는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의 전기 절연 성능을 종래의 전기 케이블의 전기 절연 성능과 비교하는 그래프.
도 13은 다른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의 정단면도.
도 14는 예시적인 차폐 전기 리본 케이블 응용의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예시적인 케이블의 굽힘/접힘의 측면도.
도 17은 케이블의 힘 대 편향을 측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험 기구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 및 도 19는 케이블들에 대한 예시적인 힘-편향 시험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20은 예시적인 케이블들에 대한 힘-편향 시험의 평균값을 요약하는 대수 그래프.
도 2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에 대한 굽힘 구역에서의 차동 임피던스의 시간 도메인 반사율계(time domain reflectometer) 측정값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22 내지 도 2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의 측단면도.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지시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예시로서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구조 및 작동 상의 변화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취해지지 않아야 하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점점 더 많은 응용들이 고속(예를 들어, >1 Gb/s)의 높은 신호 무결성의 접속을 요구한다. 이들 응용은 기업 컴퓨팅, 네트워크 통신, 공장 자동화, 의료, 시험 및 계측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응용은 차동 구동형(differentially-driven) 전도체들의 평행 쌍들을 포함하는 쌍축(twin axial, "twinax") 전송 라인을 사용할 수 있다. 전도체들의 각각의 쌍은 데이터 전송 채널 전용일 수 있다. 이들 목적을 위해 선택된 구성은 종종 차폐된 쌍을 이룬 전도체들의 재킷 형성된 성긴 번들(loose bundle)이다. 재킷은 종종 전도체 번들의 둘레에 나선형 패턴으로 감싸여지는 차폐체 및/또는 절연체로부터 형성된다.
응용들은 이들 채널로부터 더 높은 속도를 그리고 조립체당 더 많은 채널을 요구하고 있다. 그 결과, 현재의 쌍축 전송 라인들에 비해, 개선된 종단접속 신호 무결성, 종단접속 비용, 임피던스/스큐(skew) 제어, 및 케이블 비용을 갖는 케이블에 대한 요구가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특히 차동 구동형 전도체 세트들에 적합한 차폐 전기 리본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리본 구성으로 인해, 케이블은 유사한 피치의 인쇄 회로 기판 커넥터에 용이하게 종단접속될 수 있다. 그러한 종단접속은 매우 높은 종단접속 신호 무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케이블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전도체들 사이에서 간극들의 특정 배치를 가지고서 일 또는 양 측부에서 기재(substrate)에 접합된 평행한 절연 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는 접지면을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케이블은 종래의 번들형의, 예를 들어 차동 쌍의, 쌍축(twinax) 구성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더 낮은 케이블 비용, 종단접속 비용, 스큐, 및 종단접속 와류(parasitic)를 갖는 것으로 예상된다.
고성능 및 고속 응용에 현재 사용되는 차폐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급격히 구부러지지 않는데, 그 이유는 급격한 구부러짐이 굽힘 위치에서 임피던스 불연속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불연속은 원하지 않는 반사 및 불량한 전반적인 전기적 성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가비트 데이터 응용을 위한 종래의 평행 쌍 쌍축 케이블은 중첩된 차폐체(나선형 랩(wrap)), 및 굽힘 동안에 이 피복 차폐체를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중합체 필름의 외측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피복 층들은 굽힘에 대해 상당한 강성을 케이블에 부가하고, 또한 굽힘 위치에서 케이블 내의 국소적인 기하학적 형상 변화 및 압착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굽힘부에서 그리고 이에 근접한 곳에서 케이블 특성(예를 들어, 임피던스)을 크게 변화시킨다.
종래의 피복 평행 쌍 쌍축 케이블과 비교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리본 케이블 구조물은 케이블의 급격한 굽힘을 요구하는 응용에서 개선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들 차폐 구조물 및 케이블 구성들은 급격한 굽힘 후에도 높은 케이블 전기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리본 케이블들은 케이블이 내부에서 급격하게 구부러질 것을 요구하는 커넥터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구성들은 또한 유사한 재료를 갖는 종래의 피복 구성들보다 굽힘시 더욱더 낮은 강성(예를 들어, 최대 절반)을 제공할 수 있다. 굽힘 하에서의 더 낮은 강성 및 전기적 성능에 대한 최소 영향은 그러한 케이블들이 종래의 케이블들보다 더 급격하게 구부러지게 하여서, 공간을 절약하고 주어진 응용에서 향상된 루트설정 가능성을 제공한다.
여러 절 및 절 제목이 개선된 구조 및 편의를 위해 제공되며 제한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절 및 절 제목은 하나의 절의 기술, 방법, 특징부, 또는 구성요소가 다른 절의 기술, 방법, 특징부, 또는 구성요소와 함께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반대로, 본 발명자들은, 달리 명백히 반대로 지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주어진 절 또는 절들로부터의 임의의 정보가 임의의 다른 절 또는 절들에서의 정보에 또한 적용가능함을 의도한다.
제1절: 차폐 전기 케이블 구성 및 특징부
상호접속된 장치들의 개수와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러한 장치들 사이에서 신호를 운반하는 전기 케이블은 보다 작게 될 것과 수용불가능한 간섭 또는 누화(crosstalk) 없이 보다 고속인 신호를 운반할 수 있을 것을 필요로 한다. 차폐는 이웃하는 전도체들에 의해 운반되는 신호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부 전기 케이블들에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케이블들 중 대다수는 대체로 평탄한 구성을 가지며,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전도체 세트들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된 전기 차폐 필름들을 포함한다. 인접한 전도체 세트들 사이의 차폐 필름의 압착 부분은 전도체 세트들을 서로 전기 절연시키는 것을 돕는다. 케이블들 중 대다수는 또한 차폐체에 전기 접속되고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드레인 와이어(drain wire)를 또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케이블 구성은 전도체 세트 및 드레인 와이어에 대한 접속을 간단하게 하는 것, 케이블 접속 부위들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 및/또는 케이블의 대량 종단접속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1에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2)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차폐 전기 케이블은 케이블(2)의 폭(w)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케이블(2)의 길이(L)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전도체 세트(4)들을 포함한다. 케이블(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평평한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거나, 그의 길이를 따른 하나 이상의 장소에서 접힌 구성으로 접힐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케이블(2)의 일부 부품들은 평평한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고, 케이블의 다른 부품들은 접힐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케이블(2)의 전도체 세트(4)들 중 적어도 하나는 케이블(2)의 길이(L)를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절연 전도체(6)들을 포함한다. 전도체 세트(4)의 2개의 절연 전도체(6)는 케이블(2)의 길이(L)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절연 전도체(6)는 절연 신호 와이어, 절연 전력 와이어, 또는 절연 접지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차폐 필름(8)들이 케이블(2)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차폐 필름(8)들은, 횡단면에서, 케이블(2)이 커버 구역(14) 및 압착 구역(18)을 포함하도록 배열된다. 케이블(2)의 커버 구역(14)에서, 횡단면에서, 제1 및 제2 차폐 필름(8)들의 커버 부분(7)들은 각각의 전도체 세트(4)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예를 들어, 차폐 필름의 커버 부분은 임의의 주어진 전도체 세트의 주연부의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80, 85, 또는 90%를 집합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압착 부분(9)은 각각의 전도체 세트(4)의 각각의 측부에 케이블(2)의 압착 구역(18)을 형성한다. 케이블(2)의 압착 구역(18)에서, 차폐 필름(8)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편향되어, 차폐 필름(8)들의 압착 부분(9)들이 보다 근접하게 한다. 일부 구성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필름(8)들 둘 모두는 압착 구역(18)들에서 편향되어 압착 부분(9)들이 보다 근접하게 한다. 일부 구성에서, 차폐 필름들 중 하나는 케이블이 평평하거나 접히지 않은 구성일 때 압착 구역(18)에서 비교적 평탄하게 유지될 수 있고, 케이블의 반대면 상의 다른 차폐 필름은 편향되어 차폐 필름의 압착 부분들이 보다 근접하게 할 수 있다.
케이블(2)은 적어도 압착 부분(9)들 사이에서 차폐 필름(8)들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 층(10)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 층(10)은 케이블(2)의 압착 구역(18)들에서 차폐 필름(8)들의 압착 부분(9)들을 서로 접합시킨다. 접착제 층(10)은 케이블(2)의 커버 구역(14)에 존재할 수 있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전도체 세트(4)는 횡단면에서 실질적으로 곡선 형상인 외피(envelope) 또는 주연부를 가지며, 차폐 필름(8)은 케이블(6)의 길이(L)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길이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따라, 그 단면 형상에 실질적으로 순응하고 그 단면 형상을 유지하는 바와 같이 전도체 세트(4)들 둘레에 배치된다. 단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은 전도체 세트(4)의 설계에서 의도되는 바와 같이 전도체 세트(4)의 전기적 특성을 유지시킨다. 이는 전도체 세트 둘레에 전도성 차폐체를 배치하는 것이 전도체 세트의 단면 형상을 변화시키는 일부 종래의 차폐 전기 케이블에 비해 이점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전도체 세트(4)가 정확히 2개의 절연 전도체(6)들을 갖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전도체 세트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의 절연 전도체만을 포함할 수 있거나, 2개 초과의 절연 전도체(6)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차폐 전기 케이블과 설계가 유사한 대안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은 8개의 절연 전도체(6)들을 갖는 하나의 전도체 세트, 또는 각각이 하나의 절연 전도체(6)만을 갖는 8개의 전도체 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체 세트들 및 절연 전도체들의 배열에서의 이러한 융통성은 개시된 차폐 전기 케이블이 매우 다양한 의도된 응용들에 적합한 방식으로 구성되게 한다. 예를 들어, 전도체 세트 및 절연 전도체는 다중 쌍축 케이블, 즉 각각이 2개의 절연 전도체들을 갖는 다수의 전도체 세트들; 다중 동축 케이블, 즉 각각이 하나의 절연 전도체만을 갖는 다수의 전도체 세트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도체 세트는 하나 이상의 절연 전도체 둘레에 배치된 전도성 차폐체(도시되지 않음), 및 이 전도성 차폐체 둘레에 배치된 절연성 재킷(도시되지 않음)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폐 전기 케이블(2)은 선택적인 접지 전도체(12)를 추가로 포함한다. 접지 전도체(12)는 접지 와이어 또는 드레인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 전도체(12)는 절연 전도체(6)로부터 이격되고 이 절연 전도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차폐 필름(8)은 접지 전도체(12)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 층(10)은 접지 전도체(12)의 양 측부에 있는 압착 부분(9)들에서 차폐 필름(8)들을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 접지 전도체(12)는 차폐 필름(8)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 접촉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g의 단면도는 다양한 차폐 전기 케이블 또는 케이블의 일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a에서, 차폐 전기 케이블(102a)은 단일 전도체 세트(104)를 포함한다. 전도체 세트(104)는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단일 절연 전도체(106)만을 갖는다. 필요하다면, 케이블(102a)은 케이블(102a)의 폭에 걸쳐 서로 이격되고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전도체 세트(104)들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2개의 차폐 필름(108)들이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된다. 케이블(102a)은 커버 구역(114) 및 압착 구역(118)을 포함한다. 케이블(102a)의 커버 구역(114)에서, 차폐 필름(108)은 전도체 세트(104)를 덮는 커버 부분(107)을 포함한다. 횡단면에서, 커버 부분(107)들은 조합되어 전도체 세트(104)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케이블(102a)의 압착 구역(118)에서, 차폐 필름(108)은 전도체 세트(104)의 각각의 측부에 압착 부분(109)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접착제 층(110)이 차폐 필름(108)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 전기 케이블(102a)은 선택적인 접지 전도체(112)를 추가로 포함한다. 접지 전도체(112)는 절연 전도체(106)로부터 이격되고 이 절연 전도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도체 세트(104) 및 접지 전도체(112)는 이들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평면 내에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차폐 필름(108)의 제2 커버 부분(113)이 접지 전도체(112) 둘레에 배치되어 이를 덮는다. 접착제 층(110)은 접지 전도체(112)의 양 측부에서 차폐 필름(108)들을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 접지 전도체(112)는 차폐 필름(108)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 접촉할 수 있다. 도 2a에서, 절연 전도체(106) 및 차폐 필름(108)은 동축 케이블 구성으로 효과적으로 배열된다. 도 2a의 동축 케이블 구성은 싱글 엔디드(single ended) 회로 배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a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필름(108)들의 커버 부분(107)들 사이에 최대 분리(D)가 있고, 차폐 필름(108)들의 압착 부분(109)들 사이에 최소 분리(d1)가 있다.
도 2a에서, 접착제 층(110)이 케이블(102)의 압착 구역(118)들에서 차폐 필름(108)들의 압착 부분(109)들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블(102a)의 커버 구역(114)에서 절연 전도체(106)와 차폐 필름(108)들의 커버 부분(107)들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접착제 층(110)은 케이블의 압착 구역(118)들에서 차폐 필름(108)들의 압착 부분(109)들을 함께 접합하고, 케이블(102a)의 커버 구역(114)에서 차폐 필름(108)들의 커버 부분(107)들을 절연 전도체(106)에 접합한다.
도 2b의 차폐 케이블(102b)은, 도 2b에서 케이블(102)의 커버 구역(114)에서 절연 전도체(106)와 차폐 필름(108)의 커버 부분(107) 사이에 선택적인 접착제 층(110b)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a의 케이블(102a)과 유사하다(이때, 유사한 요소들은 유사한 도면 부호로 확인됨). 이러한 배열에서, 접착제 층(110b)은 케이블의 압착 구역(118)들에서 차폐 필름(108)들의 압착 부분(109)들을 함께 접합하지만, 접착제 층(110)은 케이블(102)의 커버 구역(114)에서 차폐 필름(108)들의 커버 부분(107)들을 절연 전도체(106)에 접합하지 않는다.
도 2c를 참조하면, 차폐 전기 케이블(102c)은, 케이블(102c)이 2개의 절연 전도체(106c)들을 갖는 단일 전도체 세트(104c)를 구비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a의 차폐 전기 케이블(102a)과 유사하다. 필요하다면, 케이블(102c)은 케이블(102c)의 폭에 걸쳐 이격되고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전도체 세트(104c)들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절연 전도체(106c)는 대체로 단일 평면 내에 그리고 효과적으로는 쌍축 구성으로 배열된다. 도 2c의 쌍축 케이블 구성은 차동 쌍 회로 배열로 또는 싱글 엔디드 회로 배열로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차폐 필름(108c)들이 전도체 세트(104c)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된다. 케이블(102c)은 커버 구역(114c) 및 압착 구역(118c)을 포함한다. 케이블(102c)의 커버 구역(114c)에서, 차폐 필름(108c)은 전도체 세트(104c)를 덮는 커버 부분(107c)을 포함한다. 횡단면에서, 커버 부분(107c)들은 조합되어 전도체 세트(104c)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케이블(102c)의 압착 구역(118c)에서, 차폐 필름(108c)은 전도체 세트(104c)의 각각의 측부에 압착 부분(109c)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접착제 층(110c)이 차폐 필름(108c)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 전기 케이블(102c)은 앞서 논의된 접지 전도체(112)와 유사한 선택적인 접지 전도체(112c)를 추가로 포함한다. 접지 전도체(112c)는 절연 전도체(106c)로부터 이격되고, 이 절연 전도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도체 세트(104c) 및 접지 전도체(112c)는 이들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평면 내에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2c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필름(108c)들의 커버 부분(107c)들 사이에 최대 분리(D)가 있고, 차폐 필름(108c)들의 압착 부분(109c)들 사이에 최소 분리(d1)가 있으며, 절연 전도체(106c)들 사이의 차폐 필름(108c)들 사이에 최소 분리(d2)가 있다.
도 2c는 케이블(102c)의 압착 구역(118c)들에서 차폐 필름(108c)들의 압착 부분(109c)들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블(102c)의 커버 구역(114c)에서 절연 전도체(106c)와 차폐 필름(108c)들의 커버 부분(107c)들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 층(110c)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접착제 층(110c)은 케이블(102c)의 압착 구역(118c)들에서 차폐 필름(108c)들의 압착 부분(109c)들을 함께 접합하고, 또한 케이블(102c)의 커버 구역(114c)에서 차폐 필름(108c)들의 커버 부분(107c)들을 절연 전도체(106c)에 접합한다.
도 2d의 차폐 케이블(102d)은, 케이블(102d)에서 케이블의 커버 구역(114c)에서 절연 전도체(106c)와 차폐 필름(108c)의 커버 부분(107c) 사이에 선택적인 접착제 층(110d)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c의 케이블(102c)과 유사하다(이때, 유사한 요소들은 유사한 도면 부호로 확인됨). 이러한 배열에서, 접착제 층(110d)은 케이블의 압착 구역(118c)들에서 차폐 필름(108c)들의 압착 부분(109c)들을 함께 접합하지만, 케이블(102d)의 커버 구역(114c)에서 차폐 필름(108c)들의 커버 부분(107c)들을 절연 전도체(106c)에 접합하지 않는다.
이제 도 2e를 참조하면, 여기에서 도 2a의 차폐 전기 케이블(102a)과 많은 점에서 유사한 차폐 전기 케이블(102e)의 횡단면도를 보게 된다. 그러나, 케이블(102a)이 단일 절연 전도체(106)만을 갖는 단일 전도체 세트(104)를 포함하는 데 반해, 케이블(102e)은 케이블(102e)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절연 전도체(106e)들을 갖는 단일 전도체 세트(104e)를 포함한다. 케이블(102e)은 케이블(102e)의 폭에 걸쳐 서로 이격되고 케이블(102e)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전도체 세트(104e)들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절연 전도체(106e)들은 꼬임 쌍 케이블 배열로 효과적으로 배열되고, 이에 의해 절연 전도체(106e)들은 서로의 둘레에 꼬이며 케이블(102e)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도 2f에, 도 2a의 차폐 전기 케이블(102a)과 많은 점에서 또한 유사한 다른 차폐 전기 케이블(102f)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케이블(102a)이 단일 절연 전도체(106)만을 갖는 단일 전도체 세트(104)를 포함하는 데 반해, 케이블(102f)은 케이블(102f)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4개의 절연 전도체(106f)들을 갖는 단일 전도체 세트(104f)를 포함한다. 케이블(102f)은 케이블(102f)의 폭에 걸쳐 서로 이격되고 케이블(102f)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전도체 세트(104f)들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절연 전도체(106f)들은 쿼드(quad) 케이블 배열로 효과적으로 배열되고, 이에 의해 절연 전도체(106f)들은 절연 전도체(106f)들이 케이블(102f)의 길이를 따라 연장됨에 따라 서로의 둘레에 꼬일 수 있거나 꼬이지 않을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f를 다시 참조하면, 차폐 전기 케이블의 추가의 실시예는 대체로 단일 평면 내에 배열된 복수의 이격된 전도체 세트(104, 104c, 104e, 또는 104f,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차폐 전기 케이블은 전도체 세트들의 절연 전도체들로부터 이격되고 이 절연 전도체들과 대체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지 전도체(11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전도체 세트들 및 접지 전도체들은 대체로 단일 평면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도 2g는 그러한 차폐 전기 케이블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g를 참조하면, 차폐 전기 케이블(102g)은 대체로 평면 내에 배열된 복수의 이격된 전도체 세트(104, 104c)들을 포함한다. 차폐 전기 케이블(102g)은 전도체 세트(104, 104c)들 사이에 그리고 차폐 전기 케이블(102g)의 양 측부 또는 에지들에 배치된 선택적인 접지 전도체(112)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및 제2 차폐 필름(208)들이 케이블(102g)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되고, 횡단면에서 케이블(102g)이 커버 구역(224) 및 압착 구역(228)을 포함하도록 배열된다. 케이블의 커버 구역(224)에서, 횡단면에서 제1 및 제2 차폐 필름(208)들의 커버 부분(217)들이 각각의 전도체 세트(104, 104c)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제1 및 제2 차폐 필름(208)들의 압착 부분(219)은 각각의 전도체 세트(104, 104c)의 2개의 측부에 압착 구역(218)들을 형성한다.
차폐 필름(208)은 접지 전도체(112)의 둘레에 배치된다. 선택적인 접착제 층(210)이 차폐 필름(208)들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전도체 세트(104, 104c)의 양 측부에 있는 압착 구역(228)들에서 차폐 필름(208)들의 압착 부분(219)들을 서로 접합한다. 차폐 전기 케이블(102g)은 동축 케이블 배열(전도체 세트(104))과 쌍축 케이블 배열(전도체 세트(104c))의 조합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서 하이브리드(hybrid) 케이블 배열로 불릴 수 있다.
차폐 전기 케이블들 중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이 인쇄 회로 기판, 패들 카드 등과 같은 종단접속 구성요소에 종단접속될 수 있다. 절연 전도체들 및 접지 전도체들이 대체로 단일 평면 내에 배열될 수 있기 때문에, 개시된 차폐 전기 케이블은 대량 스트리핑(stripping), 즉 절연 전도체로부터의 절연재 및 차폐 필름의 동시 스트리핑, 및 대량 종단접속, 즉 절연 전도체와 접지 전도체의 스트리핑된 단부들의 동시 종단접속에 충분히 적합하며, 이는 보다 자동화된 케이블 조립 공정을 허용한다. 이는 개시된 차폐 전기 케이블들 중 적어도 일부의 이점이다. 예를 들어, 절연 전도체 및 접지 전도체의 스트리핑된 단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도성 경로 또는 다른 요소와 접촉하도록 종단접속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절연 전도체 및 접지 전도체의 스트리핑된 단부는, 예를 들어 전기 커넥터의 전기 접촉부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종단접속 장치의 임의의 적합한 개별 접촉 요소에 종단접속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에, 인쇄 회로 기판 또는 다른 종단접속 구성요소(314)에 대한 차폐 전기 케이블(302)의 예시적인 종단접속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단접속 공정은 대량 종단접속 공정일 수 있고, 스트리핑(도 3a 및 도 3b에 도시됨), 정렬(도 3c에 도시됨), 및 종단접속(도 3d에 도시됨)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도시되거나 설명된 케이블들 중 임의의 케이블의 형태를 대체로 취할 수 있는 차폐 전기 케이블(302)을 형성할 때, 차폐 전기 케이블(302)의 전도체 세트(304), 절연 전도체(306), 및 접지 전도체(312)의 배열은 인쇄 회로 기판(314) 상의 접촉 요소(316)의 배열과 부합될 수 있는데, 이는 정렬 또는 종단 접속 동안의 차폐 전기 케이블(302)의 단부 부분의 임의의 유의한 조작을 없앨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단계에서, 차폐 필름(308)의 단부 부분(308a)이 제거된다. 예를 들어 기계적 스트리핑 또는 레이저 스트리핑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접지 전도체(312) 및 절연 전도체(306)의 단부 부분을 노출시킨다. 일 태양에서, 차폐 필름(308)들의 단부 부분(308a)의 대량 스트리핑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이들이 절연 전도체(306)의 절연재로부터 분리된 일체로 연결된 층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절연 전도체(306)로부터의 차폐 필름(308)의 제거는 이들 위치에서의 전기적 단락에 대한 보호를 허용하고, 또한 절연 전도체(306) 및 접지 전도체(312)의 노출된 단부 부분의 독립적인 이동을 제공한다. 도 3b에 도시된 단계에서, 절연 전도체(306)의 절연재의 단부 부분(306a)이 제거된다. 예를 들어 기계적 스트리핑 또는 레이저 스트리핑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절연 전도체(306)의 전도체의 단부 부분을 노출시킨다. 도 3c에 도시된 단계에서, 차폐 전기 케이블(302)은 차폐 전기 케이블(302)의 접지 전도체(312)의 단부 부분 및 절연 전도체(306)의 전도체의 단부 부분이 인쇄 회로 기판(314) 상의 접촉 요소(316)와 정렬되도록 인쇄 회로 기판(314)과 정렬된다. 도 3d에 도시된 단계에서, 차폐 전기 케이블(302)의 접지 전도체(312)의 단부 부분 및 절연 전도체(306)의 전도체의 단부 부분이 인쇄 회로 기판(314) 상의 접촉 요소(316)에 종단접속된다.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종단접속 방법의 예에는, 몇 가지만 말하자면, 납땜, 용접, 크림핑(crimping), 기계적 클램핑(clamping), 및 접착제 접합이 포함된다.
일부 경우에, 개시된 차폐 케이블은 전도체 세트들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슬릿(slit) 또는 다른 스플릿(split)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스플릿은 차폐 케이블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개별 전도체 세트들을 분리하는 데 사용되고, 이에 의해 적어도 케이블의 측방향 가요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차폐 케이블이 곡선형 외측 재킷 내로 보다 용이하게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플릿은 개별 또는 다수의 전도체 세트들 및 접지 전도체들을 분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도체 세트들 및 접지 전도체들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플릿은 차폐 전기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불연속적일 수 있다. 대량 종단접속 능력을 유지하도록 차폐 전기 케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부분에서 전도체 세트들 및 접지 전도체들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플릿은 케이블의 일 단부 부분 또는 양 단부 부분 내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스플릿은 예를 들어 레이저 절삭 또는 펀칭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차폐 전기 케이블에 형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 스플릿 대신에 또는 이와 조합하여, 예를 들어 적어도 케이블의 측방향 가요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구멍과 같은 다른 적합한 형상의 개구가 개시된 차폐 전기 케이블에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차폐 케이블에 사용되는 차폐 필름은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하나 이상의 차폐 필름은 전도성 층 및 비전도성 중합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층은 구리, 은, 알루미늄, 금,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전도성 중합체 층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실리콘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고무,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천연 고무, 에폭시, 및 합성 고무 접착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전도성 중합체 층은 의도된 응용에 적합한 특성들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첨가제 및/또는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차폐 필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도성 층과 비전도성 중합체 층 사이에 배치된 적층 접착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전도성 층 상에 배치된 전도성 층을 갖는, 또는 달리 전기 전도성인 하나의 주 외측 표면 및 실질적으로 비전도성인 반대편의 주 외측 표면을 갖는 차폐 필름의 경우, 차폐 필름은 원하는 대로 몇몇 상이한 배향들로 차폐 케이블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예를 들어 전도성 표면이 접지 와이어 및 절연 와이어의 전도체 세트와 대면할 수 있고, 일부 경우에 비전도성 표면이 이들 구성요소들과 대면할 수 있다. 2개의 차폐 필름들이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사용되는 경우에, 필름들은 이들의 전도성 표면들이 서로 대면하고 각각이 전도체 세트 및 접지 와이어와 대면하도록 배향될 수 있거나, 필름들은 그들의 비전도성 표면들이 서로 대면하고 각각이 전도체 세트 및 접지 와이어와 대면하도록 배향될 수 있거나, 필름들은 하나의 차폐 필름의 전도성 표면이 전도체 세트 및 접지 와이어와 대면하는 반면, 다른 차폐 필름의 비전도성 표면이 케이블의 다른 면으로부터의 전도체 세트 및 접지 와이어와 대면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차폐 필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유연성 또는 가요성 금속 포일과 같은 독립형(stand-alone) 전도성 필름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 필름의 구성은, 예를 들어 가요성, 전기적 성능, 및 (예를 들어, 접지 전도체의 존재 및 위치와 같은) 차폐 전기 케이블의 구성과 같은, 의도된 응용에 적합한 다수의 설계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차폐 필름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차폐 필름은 0.01 ㎜ 내지 0.05 ㎜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차폐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절연, 차폐, 및 전도체 세트들 사이의 정밀한 간격을 제공하며, 보다 자동화되고 저비용인 케이블 제조 공정을 허용한다. 게다가, 차폐 필름은 "신호 서크-아웃(signal suck-out)" 또는 공진 - 이에 의해 특정 주파수 범위에서 높은 신호 감쇠가 일어남 - 으로 알려진 현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현상은 전형적으로, 전도성 차폐체가 전도체 세트 둘레에 감싸여진 종래의 차폐 전기 케이블에서 일어난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의 커버 구역에서 전도체 세트들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에 하나 또는 2개의 차폐 필름들을 접합하기 위해 접착제 재료가 케이블 구성시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케이블의 압착 구역에서 2개의 차폐 필름들을 함께 접합하기 위해 접착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 재료의 층이 적어도 하나의 차폐 필름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2개의 차폐 필름들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접착제 재료의 층이 둘 모두의 차폐 필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하나의 차폐 필름 상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다른 차폐 필름 상에 사용된 접착제와 동일하지만, 필요하다면 그 접착제와는 상이할 수도 있다. 주어진 접착제 층은 전기 절연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차폐 필름들 사이에 절연성 접합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접착제 층은 전도체 세트들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의 절연 전도체와 차폐 필름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그리고 접지 전도체(존재하는 경우)들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와 차폐 필름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절연성 접합부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주어진 접착제 층은 전기 전도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차폐 필름들 사이에 전도성 접합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접착제 층은 접지 전도체(존재하는 경우)들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와 차폐 필름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전도성 접합부를 제공할 수 있다. 적합한 전도성 접착제는 전류의 흐름을 제공하는 전도성 입자를 포함한다. 전도성 입자는 구체, 플레이크(flake), 막대, 입방체, 무정형, 또는 다른 입자 형상과 같은, 현재 사용되는 입자의 유형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이들은 카본 블랙, 탄소 섬유, 니켈 구체, 니켈 코팅된 구리 구체, 금속 코팅된 산화물, 금속 코팅된 중합체 섬유, 또는 다른 유사한 전도성 입자와 같은 고체 또는 실질적으로 고체인 입자들일 수 있다. 이들 전도성 입자는 은, 알루미늄, 니켈 또는 인듐 산화주석 같은 전도성 재료로 코팅되거나 도금된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금속 코팅된 절연 재료는 중공형 유리 구체와 같은 실질적으로 중공형인 입자일 수 있거나, 유리 비드 또는 금속 산화물과 같은 중실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입자는 탄소 나노튜브와 같은 수십 마이크로미터 내지 나노미터 정도 크기의 재료일 수 있다. 적합한 전도성 접착제는 또한 전도성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주어진 케이블 구성에서 사용될 때, 접착제 층은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의 다른 요소들에 대해 형상이 실질적으로 순응성이고 케이블의 굽힘 움직임에 대해 순응성이다. 일부 경우에, 주어진 접착제 층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어진 차폐 필름의 주어진 주 표면의 실질적으로 길이 및 폭 전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접착제 층은 실질적으로 불연속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 층은 주어진 차폐 필름의 길이 또는 폭을 따라 일부 부분에만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연속적인 접착제 층은, 예를 들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의 양 측부에서 차폐 필름들의 압착 부분들 사이에 그리고 접지 전도체(존재하는 경우)들 옆에서 차폐 필름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길이방향 접착제 스트라이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주어진 접착제 재료는 감압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및 경화성 접착제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 층은 하나 이상의 절연 전도체와 차폐 필름 사이의 접합부보다 실질적으로 더 강한, 차폐 필름들 사이의 접합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접착제 제형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 구성의 이점은 차폐 필름이 절연 전도체의 절연재로부터 쉽게 벗겨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른 경우에, 접착제 층은 차폐 필름들 사이의 접합부, 및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강한 차폐 필름과 하나 이상의 절연 전도체 사이의 접합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 구성의 이점은 절연 전도체가 차폐 필름들 사이에 고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차폐 전기 케이블이 굽혀질 때, 이는 상대 이동을 거의 허용하지 않고, 이에 따라 차폐 필름의 좌굴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합한 접합 강도는 의도된 응용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약 0.13 ㎜ 미만의 두께를 갖는 순응성 접착제 층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제 층은 약 0.05 ㎜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주어진 접착제 층은 차폐 전기 케이블의 원하는 기계적 및 전기적 성능 특성을 달성하도록 순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 층은 전도체 세트들 사이의 영역에서 차폐 필름들 사이에서 더 얇게 되도록 순응할 수 있으며, 이는 차폐 케이블의 적어도 측방향 가요성을 증가시킨다. 이는 차폐 케이블이 곡선형 외측 재킷 내로 보다 용이하게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접착제 층은 전도체 세트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서 더 두껍게 되도록 순응할 수 있고 전도체 세트에 실질적으로 정합할 수 있다. 이는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들 영역에서 차폐 필름의 곡선 형상의 형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케이블의 휘어짐 동안에 차폐 케이블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는 차폐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차폐 필름에 대한 절연 전도체의 위치 및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이는 차폐 케이블의 보다 균일한 임피던스 및 우수한 신호 무결성이 얻어지게 할 수 있다.
주어진 접착제 층은 예를 들어 케이블의 압착 구역에서 전도체 세트들 사이의 영역에서 차폐 필름들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순응할 수 있다. 그 결과, 차폐 필름들은 이들 영역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이는 케이블의 전기적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접착제 층은 접지 전도체와 차폐 필름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순응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지 전도체는 이들 영역에서 차폐 필름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이는 케이블의 전기적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주어진 접지 전도체와 차폐 필름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얇은 접착제 층이 남아 있는 경우에도, 접지 전도체 상의 울퉁불퉁함이 얇은 접착제 층을 통해 약화되어 의도한 대로 전기 접촉을 확립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차폐 전기 케이블에서의 접지 전도체들의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3개의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차폐 전기 케이블의 일 태양은 차폐체의 적절한 접지이며, 그러한 접지는 다수의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주어진 접지 전도체는 차폐 필름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주어진 접지 전도체의 접지가 차폐 필름 또는 필름들을 또한 접지하게 할 수 있다. 그러한 접지 전도체는 또한 "드레인 와이어"로 불릴 수 있다. 차폐 필름과 접지 전도체 사이의 전기 접촉은 비교적 낮은 DC 저항, 예를 들어 10 옴 미만 또는 2 옴 미만, 또는 실질적으로 0 옴의 DC 저항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주어진 접지 전도체는 차폐 필름과 전기 접촉하지 않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 패들 보드(paddle board), 또는 다른 장치 상의 전도성 경로 또는 다른 접촉 요소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종단접속 구성요소의 임의의 적합한 개별 접촉 요소에 독립적으로 종단접속되는 케이블 구성에서의 개별 요소일 수 있다. 그러한 접지 전도체는 또한 "접지 와이어"로 불릴 수 있다. 도 4a는 접지 전도체가 차폐 필름의 외부에 위치되는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을 도시하고 있다. 도 4b 및 도 4c는 접지 전도체가 차폐 필름들 사이에 위치되고 전도체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하나 이상의 접지 전도체가 차폐 필름의 외부의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차폐 필름들 사이에, 또는 둘 모두의 조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차폐 전기 케이블(402a)은 케이블(402a)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단일 전도체 세트(404a)를 포함한다. 전도체 세트(404a)는 2개의 절연 전도체(406)들, 즉 한 쌍의 절연 전도체들을 갖는다. 케이블(402a)은 케이블의 폭에 걸쳐 서로 이격되고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전도체 세트(404a)들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된 2개의 차폐 필름(408a)들은 커버 부분(407a)을 포함한다. 횡단면에서, 커버 부분(407a)들은 조합되어 전도체 세트(404a)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선택적인 접착제 층(410a)이 차폐 필름(408a)들의 압착 부분(409a)들 사이에 배치되고, 전도체 세트(404a)의 양 측부에서 차폐 필름(408a)들을 서로 접합한다. 절연 전도체(406)들은 대체로 단일 평면 내에, 그리고 효과적으로는 싱글 엔디드 회로 배열 또는 차동 쌍 회로 배열로 사용될 수 있는 쌍축 케이블 구성으로 배열된다. 차폐 전기 케이블(402a)은 차폐 필름(408a) 외부에 위치된 복수의 접지 전도체(412)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접지 전도체(412)는 전도체 세트(404a)의 위에, 아래에, 그리고 양 측부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케이블(402a)은 차폐 필름(408a) 및 접지 전도체(412)를 둘러싸는 보호 필름(420)을 포함한다. 보호 필름(420)은 보호 층(421), 및 보호 층(421)을 차폐 필름(408a)과 접지 전도체(412)에 접합하는 접착제 층(422)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차폐 필름(408a) 및 접지 전도체(412)는 예를 들어 전도성 브레이드(braid) 및 외측 절연성 재킷(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외측 전도성 차폐체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차폐 전기 케이블(402b)은 케이블(402b)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단일 전도체 세트(404b)를 포함한다. 전도체 세트(404b)는 2개의 절연 전도체(406)들, 즉 한 쌍의 절연 전도체들을 갖는다. 케이블(402b)은 케이블의 폭에 걸쳐 서로 이격되고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전도체 세트(404b)들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2개의 차폐 필름(408b)들이 케이블(402b)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되고, 커버 부분(407b)을 포함한다. 횡단면에서, 커버 부분(407b)들은 조합되어 전도체 세트(404b)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선택적인 접착제 층(410b)이 차폐 필름(408b)들의 압착 부분(409b)들 사이에 배치되고, 전도체 세트의 양 측부에서 차폐 필름들을 서로 접합한다. 절연 전도체(406)들은 대체로 단일 평면 내에, 그리고 효과적으로는 쌍축 또는 차동 쌍 케이블 배열로 배열된다. 차폐 전기 케이블(402b)은 차폐 필름(408b)들 사이에 위치된 복수의 접지 전도체(412)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접지 전도체(412)들 중 2개가 전도체 세트(404b)에 포함되고, 접지 전도체(412)들 중 2개가 전도체 세트(404b)로부터 이격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차폐 전기 케이블(402c)은 케이블(402c)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단일 전도체 세트(404c)를 포함한다. 전도체 세트(404c)는 2개의 절연 전도체(406)들, 즉 한 쌍의 절연 전도체들을 갖는다. 케이블(402c)은 케이블의 폭에 걸쳐 서로 이격되고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전도체 세트(404c)들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2개의 차폐 필름(408c)들이 케이블(402c)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되고, 커버 부분(407c)을 포함한다. 횡단면에서, 커버 부분(407c)들은 조합되어 전도체 세트(404c)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선택적인 접착제 층(410c)이 차폐 필름(408c)들의 압착 부분(409c)들 사이에 배치되고, 전도체 세트(404c)의 양 측부에서 차폐 필름(408c)들을 서로 접합한다. 절연 전도체(406)들은 대체로 단일 평면 내에, 그리고 효과적으로는 쌍축 또는 차동 쌍 케이블 배열로 배열된다. 차폐 전기 케이블(402c)은 차폐 필름(408c)들 사이에 위치된 복수의 접지 전도체(412)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접지 전도체(412)들 모두가 전도체 세트(404c)에 포함된다. 절연 전도체(406)들 및 접지 전도체(412)들 중 2개가 대체로 단일 평면 내에 배열된다.
필요하다면, 개시된 차폐 케이블은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케이블 클립을 사용하여 회로 기판 또는 다른 종단접속 구성요소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 전기 케이블은 대체로 단일 평면 내에 배열된 복수의 이격된 전도체 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전도체 세트는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절연 전도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차폐 필름들이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횡단면에서 전도체 세트들 각각을 실질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차폐 전기 케이블의 단부 부분에 케이블 클립이 클램핑되거나 달리 부착되어, 차폐 필름들 중 적어도 하나가 케이블 클립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케이블 클립은,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도성 트레이스(trace) 또는 다른 접촉 요소와 같은 접지 기준부에 대해 종단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차폐 전기 케이블과 접지 기준부 사이에 접지 접속부를 확립할 수 있다. 케이블 클립은, 몇 가지만 말하자면, 납땜, 용접, 크림핑, 기계적 클램핑, 및 접착제 접합을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접지 기준부에 종단접속될 수 있다. 종단접속될 때, 케이블 클립은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접촉 요소와 같은 종단접속 지점의 접촉 요소에 대한 차폐 전기 케이블의 절연 전도체의 전도체의 단부 부분의 종단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차폐 전기 케이블은 차폐 필름들 중 적어도 하나에 더하여 또는 이를 대신하여 케이블 클립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접지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차폐 전기 케이블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들 도면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 차폐 전기 케이블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단계에서, 절연 전도체(506)가 예를 들어 압출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되거나 달리 제공된다. 절연 전도체(506)는 임의의 적합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절연 전도체(506)는 그와 같은 것으로서 제공되거나 원하는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접지 전도체(512)(도 5c 참조)가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 및 제공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단계에서, 차폐 필름(508)이 형성된다. 단일 층 또는 다층 웨브(web)가 예를 들어 연속 광폭 웨브 처리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차폐 필름(508)은 임의의 적합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차폐 필름(508)은 그와 같은 것으로서 제공되거나 원하는 길이 및/또는 폭으로 절단될 수 있다. 차폐 필름(508)은 길이방향에서의 가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횡방향 부분 접힘부를 갖도록 사전 형성될 수 있다. 차폐 필름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예를 들어 적층(laminating)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차폐 필름(508) 상에 형성될 수 있는 순응성 접착제 층(5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단계에서, 복수의 절연 전도체(506)들, 접지 전도체(512)들, 및 차폐 필름(508)들이 제공된다. 성형 공구(524)가 제공된다. 성형 공구(524)는 완성된 차폐 전기 케이블의 원하는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성형 롤(526a, 526b)들을 포함하며, 성형 공구는 또한 바이트(bite)(528)를 포함한다. 절연 전도체(506), 접지 전도체(512), 및 차폐 필름(508)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되거나 설명된 케이블들 중 임의의 케이블과 같은 원하는 차폐 케이블의 구성에 따라 배열되고, 성형 롤(526a, 526b)들 부근에 위치되며, 이후에 이들은 성형 롤(526a, 526b)들의 바이트(528) 내로 동시에 공급되어 성형 롤(526a, 526b)들 사이에 배치된다. 성형 공구(524)는 전도체 세트(504)들 및 접지 전도체(512) 둘레에 차폐 필름(508)들을 형성하고, 각각의 전도체 세트(504) 및 접지 전도체(512)의 양 측부에서 차폐 필름(508)들을 서로 접합시킨다. 접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열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도체 세트(504) 및 접지 전도체(512) 둘레에 차폐 필름(508)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각각의 전도체 세트(504) 및 접지 전도체(512)의 양 측부에서 차폐 필름(508)들을 서로 접합시키는 단계가 단일 작업으로 일어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 단계는 별개의 작업으로 일어날 수 있다.
후속의 제조 작업에서, 필요하다면 길이방향 스플릿이 전도체 세트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스플릿은 예를 들어 레이저 절삭 또는 펀칭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차폐 케이블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제조 작업에서, 차폐 전기 케이블은 압착된 구역들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번들로 다수회 접힐 수 있고, 접힌 번들 둘레에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외측 전도성 차폐체가 제공될 수 있다. 외측 전도성 차폐체 둘레에 예를 들어 압출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외측 재킷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측 전도성 차폐체가 생략될 수 있고 외측 재킷이 접힌 차폐 케이블 둘레에 단독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차폐 전기 케이블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상세 사항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이들 도면은 하나 이상의 접착제 층이 어떻게 차폐 필름의 성형 및 접합 동안에 순응하여 형상화될 수 있는가를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단계에서, 절연 전도체(606), 절연 전도체(606)로부터 이격된 접지 전도체(612), 및 2개의 차폐 필름(608)들이 제공된다. 차폐 필름(608)들 각각은 순응성 접착제 층(610)을 포함한다.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단계에서, 차폐 필름(608)들이 절연 전도체(606) 및 접지 전도체(612) 둘레에 형성되어 서로 접합된다. 초기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층(610)들은 여전히 그들의 본래의 두께를 갖는다. 차폐 필름(608)들의 형성 및 접합이 진행됨에 따라, 접착제 층(610)들은 완성된 차폐 전기 케이블(602)의 원하는 기계적 및 전기적 성능 특성을 달성하도록 순응한다(도 6c).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층(610)은 절연 전도체(606) 및 접지 전도체(612)의 양 측부의 차폐 필름(608)들 사이에서 더 얇게 되도록 순응하며; 접착제 층(610)의 일부분이 이들 영역으로부터 멀리 변위된다. 또한, 접착제 층(610)은 절연 전도체(606) 및 접지 전도체(612)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서 더 두껍게 되도록 순응하여, 절연 전도체(606) 및 접지 전도체(612)와 실질적으로 정합하며; 접착제 층(610)의 일부분이 이들 영역 내로 변위된다. 또한, 접착제 층(610)은 차폐 필름(608)과 접지 전도체(612)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순응하고; 접착제 층(610)은 이들 영역으로부터 멀리 변위되어 접지 전도체(612)가 차폐 필름(608)과 전기 접촉하게 한다.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의 제조 동안의 압착 구역에 관한 상세 사항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차폐 전기 케이블(702)(도 7b 참조)은 2개의 차폐 필름(708)들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차폐 필름(708)들이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는 압착 구역(718)(도 7b 참조)을 포함한다. 차폐 필름(708)은 비전도성 중합체 층(708b), 비전도성 중합체 층(708b) 상에 배치된 전도성 층(708a), 및 전도성 층(708a) 상에 배치된 정지 층(708d)을 포함한다. 순응성 접착제 층(710)이 정지 층(708d) 상에 배치된다. 압착 구역(718)은 차폐 필름(708)들 사이에 배치된 길이방향 접지 전도체(712)를 포함한다. 차폐 필름들이 접지 전도체 둘레에서 함께 가압된 후에, 접지 전도체(712)는 차폐 필름(708)의 전도성 층(708a)과 간접적인 전기 접촉을 이룬다. 이러한 간접적인 전기 접촉은 정지 층(708d)에 의해 제공되는 전도성 층(708a)과 접지 전도체(712)의 제어된 분리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일부 경우에, 정지 층(708d)은 비전도성 중합체 층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압력(도 17a 참조)이 사용되어 전도성 층(708a)들을 함께 가압하고 접착제 층(710)이 접지 전도체(712) 둘레에서 정합하게 한다(도 17b). 정지 층(708d)은 적어도 동일한 처리 조건 하에서 순응하지 않기 때문에, 정지 층은 차폐 필름(708)의 전도성 층(708a)과 접지 전도체(712) 사이의 직접적인 전기 접촉을 방지하지만, 간접적인 전기 접촉을 달성한다. 정지 층(708d)의 두께 및 유전 특성은 낮은 목표 DC 저항, 즉 간접 유형의 전기 접촉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지 전도체와 차폐 필름 사이의 특징적인 DC 저항은 원하는 간접적인 전기 접촉을 달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10 옴 미만 또는 5 옴 미만, 그러나 0 옴 초과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주어진 접지 전도체와 하나 또는 2개의 차폐 필름들 사이의 직접적인 전기 접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과 그러한 접지 전도체와 그러한 차폐 필름(들) 사이의 DC 저항은 실질적으로 0 옴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폐 전기 케이블의 커버 구역은 주어진 전도체 세트의 일 측부 또는 양 측부에 위치된 전이 구역 및 동심 구역을 포함한다. 동심 구역에 있는 주어진 차폐 필름의 부분은 차폐 필름의 동심 부분으로 불리고, 전이 구역에 있는 차폐 필름의 부분은 차폐 필름의 전이 부분으로 불린다. 전이 구역은 차폐 전기 케이블의 높은 제조성 및 변형과 응력 완화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이 구역을 차폐 전기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구성(예를 들어 크기, 형상, 용량, 및 곡률 반경과 같은 양상을 포함함)으로 유지하는 것은, 차폐 전기 케이블이 예를 들어 고주파 절연, 임피던스, 스큐, 삽입 손실, 반사, 모드 변환, 아이 오프닝(eye opening), 및 지터(jitter)와 같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기적 특성들을 갖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전도체 세트가 대체로 단일 평면 내에, 그리고 효과적으로는 차동 쌍 회로 배열로 접속될 수 있는 쌍축 케이블로서 배열된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절연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실시예와 같은 소정 실시예에서, 전이 부분을 차폐 전기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구성으로 유지하는 것은, 전도체 세트 내의 둘 모두의 전도체에 대해 이상적인 동심 경우로부터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자기장 편차를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차폐 전기 케이블의 길이를 따른 이러한 전이 부분의 구성의 신중한 제어는 케이블의 유리한 전기적 성능 및 특성에 기여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10은 전도체 세트의 일 측부 또는 양 측부에 배치된 차폐 필름의 전이 구역을 포함하는 차폐 전기 케이블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에 단면으로 도시된 차폐 전기 케이블(802)은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단일 전도체 세트(804)를 포함한다. 케이블(802)은 케이블의 폭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전도체 세트(804)들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절연 전도체(806)만이 도 8a에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하다면 다수의 절연 전도체들이 전도체 세트(804)에 포함될 수 있다.
케이블의 압착 구역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전도체 세트의 절연 전도체는 전도체 세트의 단부 전도체인 것으로 간주된다. 전도체 세트(80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절연 전도체(806)를 가지며, 이는 차폐 전기 케이블(802)의 압착 구역(818)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므로 또한 단부 전도체이다.
제1 및 제2 차폐 필름(808)들이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되고 커버 부분(807)을 포함한다. 횡단면에서, 커버 부분(807)들은 전도체 세트(804)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선택적인 접착제 층(810)이 차폐 필름(808)들의 압착 부분(809)들 사이에 배치되고, 전도체 세트(804)의 양 측부에 있는 케이블(802)의 압착 구역(818)에서 차폐 필름(808)들을 서로 접합한다. 선택적인 접착제 층(810)은 차폐 필름(808)의 커버 부분(807)을 가로질러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예를 들어 전도체 세트(804)의 일 측부에 있는 차폐 필름(808)의 압착 부분(809)으로부터 전도체 세트(804)의 다른 측부에 있는 차폐 필름(808)의 압착 부분(809)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절연 전도체(806)는 싱글 엔디드 회로 배열로 사용될 수 있는 동축 케이블로서 효과적으로 배열된다. 차폐 필름(808)은 전도성 층(808a) 및 비전도성 중합체 층(808b)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a 및 도 8b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둘 모두의 차폐 필름의 전도성 층(808a)은 절연 전도체와 대면한다. 대안적으로, 차폐 필름(808)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전도성 층의 배향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역으로 될 수 있다.
차폐 필름(808)은 전도체 세트(804)의 단부 전도체(806)와 실질적으로 동심인 동심 부분을 포함한다. 차폐 전기 케이블(802)은 전이 구역(836)을 포함한다. 케이블(802)의 전이 구역(836)에 있는 차폐 필름(808)의 부분은 차폐 필름(808)의 전이 부분(834)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차폐 전기 케이블(802)은 전도체 세트(804)의 양 측부에 위치된 전이 구역(836)을 포함하며, 일부 실시예에서 전이 구역(836)이 전도체 세트(804)의 일 측부에만 위치될 수 있다.
전이 구역(836)은 차폐 필름(808) 및 전도체 세트(804)에 의해 한정된다. 전이 구역(836)에 있는 차폐 필름(808)의 전이 부분(834)은 차폐 필름(808)의 압착 부분(809)과 동심 부분(811) 사이에 점차적인 전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직각 전이 또는 (전이 부분과는 반대인) 전이점과 같은 급격한 전이와는 반대로,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S자 형상의 전이와 같은 점차적이거나 매끄러운 전이는 전이 구역(836)에서 차폐 필름(808)을 위한 변형 및 응력 완화를 제공하고, 차폐 전기 케이블(802)이 사용 중일 때, 예를 들어 차폐 전기 케이블(802)을 측방향으로 또는 축방향으로 굽힐 때 차폐 필름(808)에 대한 손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손상은 예를 들어 전도성 층(808a)에서의 파열 및/또는 전도성 층(808a)과 비전도성 중합체 층(808b) 사이의 접합분리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점차적인 전이는 차폐 전기 케이블(802)의 제조시 차폐 필름(808)에 대한 손상 - 이는 예를 들어 전도성 층(808a) 및/또는 비전도성 중합체 층(808b)의 균열 또는 전단을 포함할 수 있음 - 을 방지한다. 차폐 전기 리본 케이블에서 전도체 세트들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의 일 측부 또는 양 측부에서의 개시된 전이 구역의 사용은, 예를 들어 전형적인 동축 케이블 - 여기서 차폐체는 단일 절연 전도체 둘레에 대체로 연속적으로 배치됨 - 또는 전형적인 종래의 쌍축 케이블 - 여기서 차폐체는 한 쌍의 절연 전도체 둘레에 연속적으로 배치됨 - 과 같은 종래의 케이블 구성으로부터의 벗어남을 나타낸다. 이들 종래의 차폐 구성은 모범적인 전자기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지만, 그러한 프로파일은 주어진 응용에서 수용가능한 전기적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개시된 차폐 전기 케이블들 중 적어도 일부의 일 태양에 따르면, 수용가능한 전기적 특성은 전이 구역의 전기적 충격을 감소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차폐 전기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전이 구역의 구성을 신중하게 제어하고/제어하거나 전이 구역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전이 구역의 크기의 감소는 커패시턴스 편차를 감소시키고 다수의 전도체 세트들 사이의 요구되는 공간을 감소시키며, 이에 의해 전도체 세트 피치를 감소시키고/감소시키거나 전도체 세트들 사이의 전기 절연을 증가시킨다. 차폐 전기 케이블의 길이를 따른 전이 구역의 구성의 신중한 제어는 예측가능한 전기적 거동 및 일관성을 얻는 데 기여하며, 이는 고속 전송 라인을 제공하여 전기 데이터가 보다 신뢰성 있게 전송될 수 있게 한다. 차폐 전기 케이블의 길이를 따른 전이 구역의 구성의 신중한 제어는 전이 부분의 크기가 보다 낮은 크기 제한에 접근할 때의 인자이다.
종종 고려되는 전기적 특성은 전송 라인의 특성 임피던스이다. 전송 라인의 길이를 따른 임의의 임피던스 변화는 전력이 목표로 전송되는 대신에 공급원으로 다시 반사되게 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전송 라인은 그의 길이를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갖지 않을 것이지만, 의도된 응용에 따라, 최대 5 내지 10%의 변화가 수용가능할 수 있다. (차동적으로 구동되는) 쌍축 케이블에서 종종 고려되는 다른 전기적 특성은 그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른 쌍을 이루는 2개의 전송 라인들의 스큐 또는 동일하지 않은 전송 속도이다. 스큐는 공급원으로 다시 반사될 수 있는 공통 모드 신호로의 차동 신호의 변환을 발생시키고, 전송된 신호 강도를 감소시키며, 전자기 방사선을 생성하고, 비트 오류율(bit error rate), 특히 지터를 극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적으로, 한 쌍의 전송 라인은 스큐를 갖지 않을 것이지만, 의도된 응용에 따라, 예를 들어 6 ㎓와 같은 관심대상의 주파수까지 -25 내지 -30 dB 미만의 차동 S-파라미터 SCD21 또는 SCD12 값(전송 라인의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의 차동 대 공통 모드 변환을 나타냄)이 수용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큐는 시간 도메인에서 측정되고 요구되는 사양과 비교될 수 있다. 의도된 응용에 따라, 약 20 피코초/m(picosecond/meter, ps/m) 미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10 ps/m 미만의 값이 수용가능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다시 참조하면, 수용가능한 전기적 특성을 달성하는 것을 부분적으로 돕기 위하여, 차폐 전기 케이블(802)의 전이 구역(836)들은 단면 전이 면적(836a)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전이 면적(836a)은 바람직하게는 전도체(806)의 단면적(806a)보다 더 작다. 도 8b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이 구역(836)의 단면 전이 면적(836a)은 전이점(834', 834")들에 의해 한정된다.
전이점(834')은 차폐 필름이 전도체 세트(804)의 단부 절연 전도체(806)와 실질적으로 동심인 것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 일어난다. 전이점(834')은 차폐 필름(808)의 곡률이 부호가 바뀌는 차폐 필름(808)의 변곡점이다. 예를 들어, 도 8b를 참조하면, 도면에서 상부 전이점(834')인 변곡점에서 상부 차폐 필름(808)의 곡률이 오목 하향으로부터 오목 상향으로 전이한다. 도면에서 하부 전이점(834')인 변곡점에서 하부 차폐 필름(808)의 곡률이 오목 상향으로부터 오목 하향으로 전이한다. 다른 전이점(834")은 차폐 필름(808)들의 압착 부분(809)들 사이의 분리가 미리 결정된 계수, 예를 들어 1.2 또는 1.5만큼 압착 부분(809)들의 최소 분리(d1)를 초과하는 경우에 일어난다.
게다가, 각각의 전이 면적(836a)은 공극 면적(836b)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체 세트(804)의 각각의 측부에서의 공극 면적(836b)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층(810)은 차폐 필름(808)의 동심 부분(811)에서의 두께(Tac), 및 두께(Tac)보다 더 큰 차폐 필름(808)의 전이 부분(834)에서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접착제 층(810)은 차폐 필름(808)의 압착 부분(809)들 사이의 두께(Tap), 및 두께(Tap)보다 더 큰 차폐 필름(808)의 전이 부분(834)에서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접착제 층(810)은 단면 전이 면적(836a)의 적어도 25%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두께(Tac) 또는 두께(Tap)보다 더 큰 두께로 전이 면적(836a)에서의 접착제 층(810)의 존재는 전이 구역(836)에서 케이블(802)의 강도에 기여한다.
차폐 전기 케이블(802)의 다양한 요소들의 재료 특성 및 제조 공정의 신중한 제어는 전이 구역(836)에서 순응성 접착제 층(810)의 두께 및 공극 면적(836b)에서의 변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는 이어서 단면 전이 면적(836a)의 커패시턴스의 변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차폐 전기 케이블(802)은 전도체(806)의 단면적(806a)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이보다 작은 단면 전이 면적(836a)을 포함하는 전도체 세트(804)의 일 측부 또는 양 측부에 위치된 전이 구역(836)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 전기 케이블(802)은 전도체(806)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전이 면적(836a)을 포함하는 전도체 세트(804)의 일 측부 또는 양 측부에 위치된 전이 구역(83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면 전이 면적(836a)은 1 미터의 길이에 걸쳐 50% 미만으로 변할 수 있다. 차폐 전기 케이블(802)은 전도체 세트(804)의 양 측부에 위치된 전이 구역(836)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전이 구역들 각각은 단면 전이 면적을 각각 포함하는데, 여기서 단면적(834a)들의 합은 전도체(806)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단면적(834a)들의 합은 1 m의 길이에 걸쳐 50% 미만으로 변할 수 있다. 차폐 전기 케이블(802)은 전도체 세트(804)의 양 측부에 위치된 전이 구역(836)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전이 구역들 각각은 단면 전이 면적(836a)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단면 전이 면적(836a)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차폐 전기 케이블(802)은 전도체 세트(804)의 양 측부에 위치된 전이 구역(836)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전이 구역(836)들은 실질적으로 같다. 절연 전도체(806)는 절연 두께(Ti)를 갖고, 전이 구역(836)은 절연 두께(Ti)보다 작은 측방향 길이(Lt)를 가질 수 있다. 절연 전도체(806)의 중앙 전도체는 직경(Dc)을 갖고, 전이 구역(836)은 직경(Dc)보다 작은 측방향 길이(Lt)를 가질 수 있다. 전술된 다양한 구성은, 예를 들어 1 미터와 같은 주어진 길이에 걸쳐, 예를 들어 50 옴과 같은 목표 임피던스 값의, 예를 들어 5 내지 10% 내와 같은 원하는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특성 임피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차폐 전기 케이블(802)의 길이를 따른 전이 구역(836)의 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에는, 몇 가지만 말하자면, 제조 공정, 전도성 층(808a) 및 비전도성 중합체 층(808b)의 두께, 접착제 층(810), 및 절연 전도체(806)와 차폐 필름(808) 사이의 접합 강도가 포함된다.
일 태양에서, 전도체 세트(804), 차폐 필름(808), 및 전이 구역(836)은 임피던스 제어 관계로 상호작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 관계는 전도체 세트(804), 차폐 필름(808), 및 전이 구역(836)이 차폐 전기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를 제어하도록 상호작용식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9에는 커넥터 세트(904)에 2개의 절연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902)이 횡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개별적으로 절연된 전도체(906)들 각각은 케이블(90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2개의 차폐 필름(908)들이 케이블(902)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되고, 조합되어 전도체 세트(904)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선택적인 접착제 층(910)이 차폐 필름(908)들의 압착 부분(909)들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블의 압착 구역(918)에서 전도체 세트(904)의 양 측부에서 차폐 필름(908)들을 서로 접합한다. 절연 전도체(906)들은 대체로 단일 평면 내에 그리고 효과적으로는 쌍축 케이블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다. 쌍축 케이블 구성은 차동 쌍 회로 배열로 또는 싱글 엔디드 회로 배열로 사용될 수 있다. 차폐 필름(908)은 전도성 층(908a) 및 비전도성 중합체 층(908b)을 포함할 수 있거나, 비전도성 중합체 층(908b) 없이 전도성 층(908a)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각각의 차폐 필름의 전도성 층(908a)은 절연 전도체(906)와 대면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차폐 필름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역 배향을 가질 수 있다.
차폐 필름(908)들 중 적어도 하나의 차폐 필름의 커버 부분(907)은 전도체 세트(904)의 대응하는 단부 전도체(906)와 실질적으로 동심인 동심 부분(911)을 포함한다. 케이블(902)의 전이 구역에서, 차폐 필름(908)의 전이 부분(934)은 차폐 필름(908)의 압착 부분(909)과 동심 부분(911) 사이에 있다. 전도체 세트(904)의 양 측부에 전이 부분(934)들이 위치되고, 각각의 그러한 부분은 단면 전이 면적(934a)을 포함한다. 단면 전이 면적(934a)들의 합은 바람직하게는 전도체(906)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단면적(934a)들의 합은 1 m의 길이에 걸쳐 50% 미만으로 변할 수 있다.
게다가, 2개의 단면 전이 면적(934a)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하거나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전이 구역의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1 m와 같은 주어진 길이에 걸쳐 목표 임피던스 값의, 예를 들어 5 내지 10% 내와 같은 원하는 범위 내에 둘 모두가 있는 차동 임피던스 및 각각의 전도체(906)(싱글 엔디드)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에 기여한다. 게다가, 전이 구역의 이러한 구성은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2개의 전도체(906)들의 스큐를 최소화할 수 있다.
케이블이 접히지 않은 평평한 구성일 때, 차폐 필름들 각각은 케이블(902)의 폭에 걸쳐 변화하는 곡률 반경에 의해 횡단면에서 특성화가능할 수 있다. 차폐 필름(908)의 최대 곡률 반경은,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다중 전도체 케이블 세트(904)의 커버 부분(907)의 중심점 부근에서 또는 케이블(902)의 압착 부분(909)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들 위치에서, 필름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고 곡률 반경은 실질적으로 무한대일 수 있다. 차폐 필름(908)의 최소 곡률 반경은, 예를 들어 차폐 필름(908)의 전이 부분(934)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케이블의 폭에 걸친 차폐 필름의 곡률 반경은 적어도 약 50 마이크로미터인데, 즉 곡률 반경은 케이블의 에지들 사이에서 케이블의 폭을 따른 임의의 지점에서 50 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크기를 갖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이 부분을 포함하는 차폐 필름의 경우, 차폐 필름의 전이 부분의 곡률 반경은 유사하게 적어도 약 50 마이크로미터이다.
접히지 않은 평평한 구성에서, 동심 부분 및 전이 부분을 포함하는 차폐 필름은 동심 부분의 곡률 반경(R1), 및/또는 전이 부분의 곡률 반경(r1)에 의해 특성화가능하다. 이들 파라미터가 케이블(902)에 대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R1/r1은 2 내지 15의 범위이다.
도 10에, 2개의 절연 전도체(1006)들을 갖는 전도체 세트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1002)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차폐 필름(1008)은 도 9의 것과 같은 보다 대칭적인 실시예에 비해 전이 부분의 위치를 변경한 비대칭 구성을 갖는다. 도 10에서, 차폐 전기 케이블(1002)은 절연 전도체(1006)들의 대칭 평면으로부터 약간 오프셋(offset)된 평면 내에 놓이는 차폐 필름(1008)의 압착 부분(1009)을 갖는다. 약간의 오프셋에도 불구하고, 도 10의 케이블 및 그의 다양한 요소들은 대체로 주어진 평면을 따라 연장하는 것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평평한 것으로 여전히 간주될 수 있다. 전이 구역(1036)은 다른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다소 오프셋된 위치 및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2개의 전이 구역(1036)들이 대응하는 절연 전도체(1006)들에 대해(예를 들어, 전도체(1006)들 사이의 수직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위치되는 것, 및 전이 구역(1036)의 구성이 차폐 전기 케이블(1002)의 길이를 따라 신중하게 제어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차폐 전기 케이블(1002)은 수용가능한 전기적 특성을 여전히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추가의 예시적인 차폐 전기 케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은 차폐 전기 케이블의 전도체 세트를 전기 절연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압착 부분이 어떻게 구성되는가를 추가로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전도체 세트는 (예를 들어, 인접한 전도체 세트들 사이의 누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접한 전도체 세트로부터, 또는 (예를 들어, 차폐 전기 케이블로부터의 전자기 방사선 누출을 최소화하고 외부 공급원으로부터의 전자기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차폐 전기 케이블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전기 절연될 수 있다. 둘 모두의 경우에, 압착 부분은 전기 절연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계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는, 몇 가지만 말하자면, 차폐 필름들의 가까운 근접, 차폐 필름들 사이의 고 유전 상수 재료, 차폐 필름들 중 적어도 하나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기 접촉하는 접지 전도체, 인접한 전도체 세트들 사이의 연장된 거리, 인접한 전도체 세트들 사이의 물리적 단절, 길이방향으로, 횡방향으로, 또는 둘 모두의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차폐 필름들의 서로에 대한 간헐적인 접촉, 및 전도성 접착제가 포함된다.
도 11a에, 케이블(102)의 폭에 걸쳐 이격되고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전도체 세트(1104a, 104b)들을 포함하는 차폐 전기 케이블(1102)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전도체 세트(1104a, 1104b)는 2개의 절연 전도체(1106a, 1106b)들을 갖는다. 2개의 차폐 필름(1108)들이 케이블(1102)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된다. 횡단면에서, 차폐 필름(1108)의 커버 부분(1107)은 케이블(1102)의 커버 구역(1114)에서 전도체 세트(1104a, 1104b)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케이블의 압착 구역(1118)에서, 전도체 세트(1104a, 1104b)의 양 측부에서, 차폐 필름(1108)은 압착 부분(1109)을 포함한다. 차폐 전기 케이블(1102)에서, 차폐 필름(1108)의 압착 부분(1109) 및 절연 전도체(1106)는 케이블(1102)이 평평하고/평평하거나 접히지 않은 배열에 있을 때 대체로 단일 평면 내에 배열된다. 전도체 세트(1104a, 1104b)들 사이에 위치된 압착 부분(1109)은 전도체 세트(1104a, 1104b)들을 서로 전기 절연시키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평평한 접히지 않은 배열로 배열된 때,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 세트(1104a)의 제2 절연 전도체(1106b)에 대한 전도체 세트(1104a)의 제1 절연 전도체(1106a)의 고주파 전기 절연은 제2 전도체 세트(1104b)에 대한 제1 전도체 세트(1104a)의 고주파 전기 절연보다 실질적으로 더 적다.
도 11a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102)은 차폐 필름(1108)들의 커버 부분(1107)들 사이의 최대 분리(D), 차폐 필름(1108)들의 커버 부분(1107)들 사이의 최소 분리(d2), 및 차폐 필름(1108)들의 압착 부분(1109)들 사이의 최소 분리(d1)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d1/D는 0.25 미만, 또는 0.1 미만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d2/D는 0.33 초과이다.
선택적인 접착제 층이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필름(1108)들의 압착 부분(1109)들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접착제 층은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착제 층은 케이블(1102)의 커버 구역(1114)에서, 예를 들어 절연 전도체(1106a, 1106b)와 차폐 필름(1108)의 커버 부분(1107) 사이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착제 층은 차폐 필름(1108)의 커버 부분(1107)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전도체 세트(1104a, 1104b)의 일 측부에 있는 차폐 필름(1108)의 압착 부분(1109)으로부터 전도체 세트(1104a, 1104b)의 다른 측부에 있는 차폐 필름(1108)의 압착 부분(1109)까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차폐 필름(1108)은 케이블(1102)의 폭에 걸친 곡률 반경(R)에 의해 그리고/또는 차폐 필름의 전이 부분(1112)의 곡률 반경(r1)에 의해 그리고/또는 차폐 필름의 동심 부분(1111)의 곡률 반경(r2)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다.
전이 구역(1136)에서, 차폐 필름(1108)의 전이 부분(1112)은 차폐 필름(1108)의 동심 부분(1111)과 차폐 필름(1108)의 압착 부분(1109) 사이에 점차적인 전이를 제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차폐 필름(1108)의 전이 부분(1112)은, 차폐 필름(1108)의 변곡점이고 동심 부분(1111)의 단부를 나타내는 제1 전이점(1121)으로부터, 차폐 필름들 사이의 분리가 압착 부분(1109)들의 최소 분리(d1)를 미리 결정된 계수만큼 초과하는 제2 전이점(1122)까지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케이블(1102)은 적어도 하나의 차폐 필름을 포함하고, 이 차폐 필름은 적어도 약 50 마이크로미터인 케이블의 폭에 걸친 곡률 반경(R) 및/또는 적어도 약 50 마이크로미터인 차폐 필름(1102)의 전이 부분(1112)의 최소 곡률 반경(r1)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이 부분의 최소 곡률 반경에 대한 동심 부분의 최소 곡률 반경의 비(r2/r1)는 2 내지 15의 범위이다.
도 11b에, 케이블의 폭에 걸쳐 서로 이격되고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전도체 세트(1204)를 포함하는 차폐 전기 케이블(1202)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전도체 세트(1204)는 하나의 절연 전도체(1206)만을 가지며, 2개의 차폐 필름(1208)들이 케이블(1202)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된다. 횡단면에서, 차폐 필름(1208)들의 커버 부분(1207)들은 조합되어 케이블의 커버 구역(1214)에서 전도체 세트(1204)의 절연 전도체(1206)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케이블의 압착 구역(1218)에서, 전도체 세트(1204)의 양 측부에서, 차폐 필름(1208)은 압착 부분(1209)을 포함한다. 차폐 전기 케이블(1202)에서, 차폐 필름(1208)의 압착 부분(1209) 및 절연 전도체(1206)는 케이블(1202)이 평평하고/평평하거나 접히지 않은 배열에 있을 때 대체로 단일 평면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케이블(1202)의 압착 구역(1218) 및/또는 차폐 필름(1208)의 커버 부분(1207)은 전도체 세트(1204)들을 서로 전기 절연시키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202)은 차폐 필름(1208)들의 커버 부분(1207)들 사이의 최대 분리(D), 및 차폐 필름(1208)들의 압착 부분(1209)들 사이의 최소 분리(d1)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d1/D는 0.25 미만, 또는 0.1 미만이다.
선택적인 접착제 층이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필름(1208)들의 압착 부분(1209)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 층은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착제 층은 케이블의 커버 구역(1214)에서, 예를 들어 절연 전도체(1206)와 차폐 필름(1208)의 커버 부분(1207) 사이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착제 층은 차폐 필름(1208)의 커버 부분(1207)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전도체 세트(1204)의 일 측부에 있는 차폐 필름(1208)의 압착 부분(1209)으로부터 전도체 세트(1204)의 다른 측부에 있는 차폐 필름(1208)의 압착 부분(1209)까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차폐 필름(1208)은 케이블(1202)의 폭에 걸친 곡률 반경(R)에 의해 그리고/또는 차폐 필름(1208)의 전이 부분(1212)의 최소 곡률 반경(r1)에 의해 그리고/또는 차폐 필름(1208)의 동심 부분(1211)의 최소 곡률 반경(r2)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다. 케이블(1202)의 전이 구역(1236)에서, 차폐 필름(1202)의 전이 부분(1212)은 차폐 필름(1208)의 동심 부분(1211)과 차폐 필름(1208)의 압착 부분(1209) 사이에 점차적인 전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폐 필름(1208)의 전이 부분(1212)은, 차폐 필름(1208)의 변곡점이고 동심 부분(1211)의 단부를 나타내는 제1 전이점(1221)으로부터, 차폐 필름들 사이의 분리가 압착 부분(1209)들의 최소 분리(d1)를 미리 결정된 계수만큼 초과하는 제2 전이점(1222)까지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케이블의 폭에 걸친 차폐 필름의 곡률 반경(R)은 적어도 약 50 마이크로미터이고/마이크로미터이거나 차폐 필름의 전이 부분에서의 최소 곡률 반경은 적어도 50 마이크로미터이다.
일부 경우에, 기술된 차폐 케이블들 중 임의의 케이블의 압착 구역은, 예를 들어 적어도 30°의 각도(α)로 측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착 구역의 이러한 측방향 가요성은, 예를 들어 둥근 케이블에 사용될 수 있는 구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구성으로 차폐 케이블이 접힐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압착 구역의 측방향 가요성은 2개 이상의 비교적 얇은 개별 층들을 포함하는 차폐 필름에 의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굽힘 조건 하에서 이들 개별 층들의 완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의 접합이 온전히 남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 구역은 예를 들어 약 0.13 ㎜ 미만의 최소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개별 층들 사이의 접합 강도는 처리 또는 사용 동안 열 노출 이후에 적어도 17.86 g/㎜(1 lb/in)일 수 있다.
케이블의 압착 구역들이 주어진 전도체 세트의 양 측부에서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것이 개시된 차폐 전기 케이블들 중 임의의 차폐 전기 케이블의 전기적 성능에 유익할 수 있다. 임의의 치수 변경 또는 불균형은 압착 구역의 길이를 따른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의 불균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이어서 압착 구역의 길이를 따른 임피던스 차이 및 인접한 전도체 세트들 사이의 임피던스 불균형을 야기할 수 있다. 적어도 이들 이유 때문에, 차폐 필름들 사이의 간격의 제어가 요구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전도체 세트의 각각의 측부에 있는) 케이블의 압착 구역에서의 차폐 필름의 압착 부분은 약 0.05 ㎜ 이하만큼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2에, 둘 모두 케이블 길이가 약 3 미터인, 종래의 전기 케이블의 2개의 인접한 전도체 세트들 - 전도체 세트들은 완전히 절연됨, 즉 공통 접지를 갖지 않음 - (샘플 1) 사이, 및 도 11a에 도시된 차폐 전기 케이블(1102)의 2개의 인접한 전도체 세트들 - 차폐 필름(1108)들은 약 0.025 ㎜만큼 이격됨 - (샘플 2) 사이에서의 원단 누화(far end crosstalk, FEXT) 절연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험 방법은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 데이터는 애질런트(Agilent) 8720ES 50 ㎒ - 20 ㎓ S-파라미터 네트워크 애널라이저(Network Analyzer)를 사용하여 생성되었다. 원단 누화 플롯들을 비교함으로써, 종래의 전기 케이블 및 차폐 전기 케이블(1102)이 유사한 원단 누화 성능을 제공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 -35 dB 미만의 원단 누화가 대부분의 응용들에서 적합하다는 것이 대체로 수용된다. 시험된 구성에 대해, 종래의 전기 케이블과 차폐 전기 케이블(1102) 둘 모두가 만족스러운 전기 절연 성능을 제공한다는 것을 도 12로부터 쉽게 볼 수 있다. 차폐 필름들을 이격시키는 능력으로 인한 압착 부분의 증가된 강도와 조합된 만족스러운 전기 절연 성능은, 종래의 전기 케이블에 비한 개시된 차폐 전기 케이블들 중 적어도 일부의 차폐 전기 케이블의 이점이다.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차폐 전기 케이블은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된 2개의 차폐 필름들을 포함하여, 횡단면에서, 차폐 필름들의 커버 부분들이 조합되어 주어진 전도체 세트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이격된 전도체 세트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둘러싸게 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차폐 전기 케이블은 케이블의 일 면 상에만 배치된 하나의 차폐 필름만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차폐 필름들을 갖는 차폐 케이블과 비교하여, 차폐 케이블에 단일 차폐 필름만을 포함하는 이점은 재료 비용의 감소, 및 기계적 가요성, 제조성 및 스트리핑과 종단접속의 용이성의 증가를 포함한다. 단일 차폐 필름은 주어진 응용에 대해 수용가능한 수준의 전자기 간섭(EMI) 절연을 제공할 수 있고, 근접 효과를 감소시켜 신호 감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은 하나의 차폐 필름만을 포함하는 그러한 차폐 전기 케이블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3에, 하나의 차폐 필름(1308)만을 갖는 차폐 전기 케이블(1302)이 도시되어 있다. 절연 전도체(1306)들이 한 쌍의 절연 전도체만을 각각 갖는 2개의 전도체 세트(1304)들로 배열되지만,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다른 개수의 절연 전도체들을 갖는 전도체 세트들이 또한 고려된다. 차폐 전기 케이블(1302)이 다양한 예시적인 위치들에서 접지 전도체(1312)들을 포함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하다면 이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가 생략될 수 있거나, 추가의 접지 전도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접지 전도체(1312)는 전도체 세트(1304)의 절연 전도체(130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폐 필름으로서 기능을 하지 않는 캐리어 필름(1346)과 차폐 필름(1308) 사이에 위치된다. 하나의 접지 전도체(1312)가 차폐 필름(1308)의 압착 부분(1309)에 포함되고, 3개의 접지 전도체(1312)들이 전도체 세트(1304)들 중 하나에 포함된다. 이들 3개의 접지 전도체(1312) 중 하나는 절연 전도체(1306)와 차폐 필름(1308) 사이에 위치되고, 3개의 접지 전도체(1312)들 중 2개는 전도체 세트의 절연 전도체(1306)들과 대체로 동일 평면 내에 있도록 배열된다.
신호 와이어, 드레인 와이어, 및 접지 와이어에 더하여, 개시된 케이블들 중 임의의 케이블은, 사용자에 의해 한정된 임의의 목적을 위해, 전형적으로 절연된 하나 이상의 개별 와이어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전송 또는 저속 통신(예를 들어, 1 또는 0.5 Gbps 미만, 또는 1 또는 0.5 ㎓ 미만, 또는 일부 경우에는 1 ㎒ 미만)에 적절할 수 있지만 고속 통신(예를 들어, 1 Gpbs 또는 1 ㎓ 초과)에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는 이들 추가의 와이어는 집합적으로 사이드밴드(sideband)로 불릴 수 있다. 사이드밴드 와이어는 전력 신호, 기준 신호 또는 임의의 다른 관심대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이드밴드의 와이어들은 전형적으로 서로 직접 또는 간접 전기 접촉하지 않지만, 적어도 일부 경우에, 이들은 서로 차폐되지 않을 수 있다. 사이드밴드는 2개 이상, 또는 3개 이상, 또는 5개 이상과 같은 임의의 개수의 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절: 차폐 전기 케이블의 굽힘 특성
전술된 케이블 구성에서, 차폐체는 감싸여진 구조물이 아니라 절연 와이어 둘레에 2개의 층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차폐 구조물은 나선형으로 감싸여진 구성을 괴롭히는 공진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감싸여진 구성보다 덜 강성이고 급격한 굽힘 후에 전기적 성능의 우수한 보유를 갖는 굽힘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 이들 특성은 특히 중첩된 그리고 추가의 위에 감싸여진(overwrapped) 필름이 아닌 단일 겹(ply)의 얇은 차폐 필름의 사용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하나의 이점은 서버, 라우터, 또는 다른 밀폐형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와 같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케이블의 루트를 설정하도록 케이블이 급격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 도 14를 참조하면, 사시도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폐된 고속 전기 리본 케이블(1402)의 응용을 도시하고 있다. 케이블(1402)은 도 1, 도 2a 내지 도 2f, 및 도 4a 내지 도 4c, 도 8a 및 도 8b, 도 9, 도 10, 도 11a 및 도 11b, 및 도 13에 도시된 특징부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적어도 도 2b에 도시된 특징부를 포함한다. 리본 케이블(1402)은 섀시(chassis)(1404) 또는 다른 물체 내에서 신호를 운반하는 데 사용된다. 많은 상황에서, 섀시(1404)의 측면들을 따라 케이블(1402)의 루트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그러한 루트설정은 냉각 공기가 섀시(1404) 내에서 보다 자유롭게 유동하게 하고, 정비를 위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며, 구성요소들의 보다 촘촘한 간격을 허용하고, 외양을 개선시키는 것 등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1402)은 섀시(1404) 및/또는 내부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구조적 특징부에 순응하도록, 예를 들어 모서리 굽힘부(1406, 1408)들과 같은, 급격한 굽힘부를 이루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들 굽힘부(1406, 1408)는 직각(90도) 굽힘부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케이블은 일부 응용에서 보다 급격한 또는 보다 넓은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다.
다른 응용에서, 케이블(1402)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공간 내에서 방향을 바꾸게 하기 위해 대략 180도의 접힘부(1410)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케이블(1402)은 케이블의 길이방향 에지에 대해 특정 각도에 있는 접힘선에 걸쳐 접힌다. 도시된 접힘부(1410)에서, 접힘선은 그러한 에지에 대해 대략 45도이며, 이는 케이블(1402)이 90도 방향전환하게 한다. 다른 접힘 각도가 원하는 대로 다른 방향전환 각도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1402)은 접힘부(1410)가 평평한 표면, 예를 들어 섀시(1404)의 측면에 평탄하게 부착되거나, 표면에 부착됨이 없이 평면에 대해 동등하게 형성되기 전에 그리고 그 후에 인접 구역(1412, 1414)들에 응답해 주어진 방향전환 각도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1402)이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화되기 위해, 굽힘부(1406, 1408) 및 접힘부(1410)의 내측 반경은 비교적 작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서, 측면도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구부러진/접힌 케이블(1402)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에 90도 굽힘부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 180도 굽힘부가 도시되어 있다. 둘 모두의 경우에, 내측 굽힘 반경(1502)은 케이블이 얼마나 가요성인가 그리고 그러한 굽힘이 어떻게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결정할 때 제한 인자일 수 있다. 굽힘 반경(1502)은 케이블(1402) 상의 접힘선(1506)에 평행하고 이로부터 오프셋된 중심선(1504)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선(1504)과 선(1506) 둘 모두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면으로부터 직교하여 돌출하지만, 90도와는 상이한 접힘선 각도의 경우 다른 각도로 돌출할 수 있다.
와이어 직경이 24 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WG) 이하인 전도체를 갖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의 케이블의 경우, 내측 반경(1502)은 전기적 성능(예를 들어, 특성 임피던스, 스큐, 감쇠 손실, 삽입 손실 등)에 대한 유의한 영향 없이 5 ㎜ 내지 1 ㎜(또는 일부 경우에 보다 낮음)의 범위일 수 있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AWG로 표현된 절연 전도체의 직경은 덮고 있는 절연재의 직경이 아닌, 절연 전도체의 와이어 부분을 말하고자 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아래의 표 1은 24 AWG 이하의 와이어 직경을 갖는 케이블 제조에 대한 이들 특성 중 일부의 예상 최대 변화량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특성은 전도체들의 차동 쌍에 대해 측정된다. 케이블은 표 1에 나타낸 것보다 더 나은 성능이 가능할 수 있지만, 이들 값은 제조 및/또는 배치 환경에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시스템 설계자가 사용가능한 보수적인 기준을 최소한 나타낼 수 있고, 유사한 환경에 보통 사용되는 감싸여진 쌍축 케이블에 비한 상당한 개선을 여전히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1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실시예에 따른 리본 케이블은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계된 종래의 (예를 들어, 감싸여진) 쌍축 케이블보다 더 가요성일 수 있다. 이러한 가요성은 주어진 전도체/와이어 직경에 대한 최소 굽힘 반경(1502)의 정의, 케이블을 편향시키는 데 필요한 힘의 양의 정의, 및/또는 굽힘 파라미터들의 주어진 세트에 대한 전기적 특성에 대한 영향을 포함한 다수의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들 특성 및 다른 특성들이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이제 도 17을 참조하면, 블록도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1402)의 힘 대 편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기구(170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구에서, 케이블(1402)은 초기에 점선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 유형의 지지체(1702)를 가로질러 평탄하게 놓인다. 지지체(1702)는 하향 운동을 방지하지만, 달리 좌우(side-to-side) 방향의 케이블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한다. 이는 단순 지지 비임, 예를 들어 하나의 단부에서 힌지식 연결을 갖고 다른 단부에서 롤러 연결을 갖는 비임의 구속과 유사할 수 있지만, 케이블의 경우에는 힌지가 제공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좌우 구속은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시험 기구의 지지체(1702)는 5.08 ㎝(2.0 인치) 직경의 실린더들을 포함하는데, 이 실린더들은 실린더들의 상부 가장자리(예를 들어, 도 1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볼 때 12시 위치)들 사이에서 12.7 ㎝(5.0 인치)의 일정한 거리(1704)만큼 분리된다. 힘(1706)이 지지체(1704)들 사이의 등거리인 지점에서 힘 액추에이터(1710)를 통해 케이블(1402)에 가해지고, 편향(1708)이 측정된다. 힘 액추에이터(1710)는 0.002 m/s(5.0 인치/분)의 크로스헤드 속도로 구동되는 0.95 ㎝(0.375 인치) 직경의 실린더이다.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에 대한 기구(1700)를 사용한 제1 시험의 결과가 도 18의 그래프(1800)에 도시되어 있다. 곡선(1802)은 2개의 중실형 30 AWG 전도체, 중실형 폴리올레핀 절연재, 및 2개의 32 AWG 드레인 와이어를 갖는 리본 케이블(예를 들어, 도 2c의 구성(102c)과 유사함)에 대한 힘-편향 결과를 나타낸다. 최대 힘은 대략 0.111 N(0.025 lbf)이고, 대략 3.05 ㎝(1.2 인치)의 편향에서 발생한다. 개략적인 비교로서, 곡선(1804)은 2개의 30 AWG 와이어, 및 2개의 30 AWG 드레인 와이어를 갖는 감싸여진 쌍축 케이블에 대해 측정되었다. 이러한 곡선은 3.05 ㎝(1.2 인치)의 편향에서 약 0.214 N(.048 lbs)의 최대 힘을 갖는다. 모든 것이 동일한 경우, 쌍축 케이블이 사용된 더 두꺼운(30 AWG 대 32 AWG) 드레인 와이어로 인해 약간 더 강성일 것으로 예상될 것이지만, 이는 곡선(1802, 1804)들 사이의 상당한 차이를 완전히 설명하지 못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지점들 사이의 중간점에서 곡선(1802)에 의해 나타내어진 케이블에 대한 0.13 N(0.03 lbf)의 힘의 인가는 2.54 ㎝(1 인치) 이상의 힘의 방향에서의 편향을 야기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곡선(1804)에 의해 나타내어진 케이블은 동일한 0.13 N(0.03 lbf) 힘에 응답해 그 편향의 약 절반만큼 편향될 것임이 명백할 것이다.
도 19에서, 그래프(1900)는 도 17의 힘 편향 기구를 사용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후속 시험의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4개의 와이어 게이지(24, 26, 30, 및 32 AWG) 각각에 대해, 각각의 게이지들의 2개의 중실형 와이어 전도체를 각각 갖는 4개의 케이블을 시험하였다. 케이블은 전도체 상의 폴리프로필렌 절연재, 케이블의 양 면 상의 차폐 필름을 포함하였고, 드레인 와이어를 포함하지 않았다. 매 0.51 ㎝(0.2 인치)의 편향에 대해 힘을 측정하였다. 하기의 표 2는 24, 26, 30, 및 32 AWG의 각각의 와이어 게이지 크기를 갖는 케이블들의 세트들에 대한 결과에 대응하는, 최대 힘 지점(1902, 1904, 1906, 1908)에서의 결과를 요약하고 있다. 표 2의 제5열 및 제6열은 각각의 게이지 그룹 내에서 시험된 4개의 케이블의 각각의 최고 및 최저 최대 힘들에 대응한다.
Figure pct00002
표 2의 데이터에 대해서, 와이어 직경의 로그 대 최대 편향 힘의 로그에 대해 형태 y=mx+b의 선형 회귀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 2의 제3열에 있는 힘의 자연 로그(ln)가 도 20의 그래프(2000)에 각각의 직경들의 자연 로그와 대비하여 플로팅되어 있다. 24, 26, 30, 및 32 AWG 와이어들의 직경은 각각 0.0201, 0.0159, 0.010, 및 0.008이다. 그래프(2000)의 곡선의 최소 제곱 선형 회귀는 다음의 적합화 : ln(Fmax) = 2.96*ln(dia) + 10.0의 결과를 가져온다. Fmax에 대해 해를 구하고 2개의 유효 숫자로 반올림함으로써, 다음의 경험적 결과가 얻어진다:
[수학식 1]
Fmax = M *dia3, 여기서 M = 22,000 lbf/in3 또는 M = 6116.3 kN/L
수학식 1은 2개의 28 AWG 전도체(직경 = 0.0126)를 사용해 제조된 유사한 케이블이 22,000*0.01263 = 0.044 lbf 또는 0.196 N의 최대 힘에서 구부러질 것임을 예측한다. 그러한 결과는 도 19에 도시된 다른 게이지들에 대한 결과에 비추어 타당하다. 또한, 수학식 1은 각각의 단일 절연 전도체에 대한 개별 최대 힘(Fmax -single)을 표현하도록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수학식 2]
Fmax - single = M *dia3, 여기서 M = 11,000 lbf/in3 또는 M = 3058.1 kN/L
각각의 절연 전도체(및 드레인 와이어 또는 다른 비절연 전도체)에 대해 수학식 2로부터 계산된 개별 힘들은 주어진 케이블에 대한 집합적인 최대 굽힘력을 얻기 위해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30 AWG 와이어와 2개의 32 AWG 와이어의 조합은 0.0261 + 0.014 = 0.0301 lbf 또는 0.134 N의 최대 굽힘 저항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이는 30 AWG 절연 와이어와 32 AWG 드레인 와이어의 조합을 갖는 시험된 케이블에 대한 도 18의 곡선(1802)에 보여진 0.111 N(0.025 lbf) 값보다 높다. 그러나, 그러한 차이는 예상될 수 있다. 시험된 케이블의 드레인 와이어는 절연되지 않아서, 시험된 케이블이 이론상의 경우보다 더 가요성이도록 만든다. 일반적으로, 수학식 1 및 수학식 2의 결과는 종래의 감싸여진 케이블보다 여전히 더 가요성일 굽힘력의 상한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비교로서, 4개의 30 AWG 와이어에 대해 수학식 2를 사용하면, 최대 힘은 4*11,000*0.01 = 0.044 lbf 또는 0.196 N일 것이며, 이는 도 18의 종래의 감싸여진 케이블 시험 곡선(1804)에서 보여진 것보다 낮다. 감싸여진 케이블의 드레인 와이어가 절연된 경우(이는 흔히 있는 경우가 아님), 곡선(1804)은 더욱더 높은 최대 힘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와이어 절연재의 유형(폴리에틸렌 및 발포형 절연재가 덜 강성일 것 같고, 플루오로중합체 절연재가 더 강성일 것 같음), 와이어의 유형(연선 와이어가 덜 강성일 것임) 등을 포함한 다수의 다른 인자가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의해 예측되는 결과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학식 1 및 수학식 2는 주어진 케이블 조립체에 대한 최대 굽힘력의 타당한 추정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러한 특성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리본 케이블 구성은 등가의 감싸여진 구성보다 측정가능하게 더 가요성일 것이다.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예를 들어, 임피던스, 누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케이블(1402)이 구부러질/접힐 수 있는(도 15 및 도 16 참조) 반경(1506)의 최소 크기가 또한 이들 케이블에서의 관심 대상이다. 이들 특성은 국소적으로 그리고/또는 케이블 전체에 걸쳐 측정될 수 있다. 이제 도 21을 참조하면, 그래프(2100)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굽힘 성능을 도시하고 있다. 그래프(2100)는 35 ps의 라이즈 타임(rise time)을 갖는 시간 도메인 반사율계(time domain reflectometer, TDR)를 사용해 측정된 대표적인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 측정값을 나타낸다. 영역(2102)은 도 2c에 도시된 케이블 구성(102c)의 것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 100 옴, 중실형 전도체, 차동 쌍, 30 AWG 리본 케이블에 대한 차동 임피던스 판독값의 포락선을 나타낸다. 케이블의 임피던스는 초기의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그리고 케이블이 1.0 ㎜ 굽힘 반경에 걸쳐 180도 각도로 한 번 구부러졌을 때 한 번 더 측정하였다. 케이블이 동일한 각도 및 반경에 걸쳐 10회 구부러진 후에 구부러진 케이블 임피던스 측정을 한 번 더 행하였다. 수직 점선에 의해 표시된 시간 구역(2104)은 이러한 굽힘에 대체로 인접한 위치에 대응한다.
포락선(2102)은 전술된 시험들 모두 하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곡선의 극값(extremum)의 외곽선을 나타낸다. 이러한 포락선(2102)은 굽힘으로 인한 임피던스 변화/불연속(2106)을 포함한다. 변화(2106)는 대략 0.5 옴으로 추정된다(이러한 위치(2104)에서 구부러지지 않은 구성에서 피크 임피던스 95.9 옴 대 공칭 96.4 옴). 이러한 변화(2106)는 첫 번째 구부러짐 후에 나타났지만, 열 번째 구부러짐 후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여기서 포락선(2102)으로부터의 유의한 편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교로서, 포락선(2108)에 의해 나타내어진 유사한 시험을 종래의 나선형으로 감싸여진 30 AWG 쌍축 케이블에 대해 수행하였다. 이러한 측정값(2108)은 대략 1.6 옴의 국소적인 임피던스 변화(2110)를 보여준다. 변화(2110)는 변화(2106)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시간 스케일에서 더 넓어서, 케이블의 더 큰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편차(2110)가 또한 종래의 케이블의 첫 번째 굽힘 측정과 열 번째 굽힘 측정 둘 모두에서 나타났다.
드레인 와이어(112c)를 갖지 않음을 제외하고 도 2c에 도시된 케이블 구성(102c)의 것과 유사한 구성의 중실형 26 AWG 및 24 AWG 100 옴 케이블들에 대해 유사한 세트의 임피던스 측정들을 행하였다. 26 및 24 AWG 케이블들을 1.0 ㎜ 굽힘 반경에 걸쳐 180도 구부렸다. 생성되는 평균 변화는 26 AWG 케이블의 경우 0.71 옴이고 24 AWG 케이블의 경우 2.4 옴이었다. 또한, 24 AWG를 2.0 ㎜ 반경에 걸쳐 180도 구부렸고, 평균 변화는 1.7 옴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케이블은 24 AWG 이하의 전도체 와이어 직경에 대한 2.0 ㎜ 굽힘부 가까이에서 2 옴(또는 100 옴 공칭 임피던스의 2%) 이하의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를 나타낼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케이블은 26 AWG 이하의 전도체 와이어 직경에 대한 1.0 ㎜ 굽힘부 가까이에서 1 옴(또는 100 옴 공칭 임피던스의 2%) 이하의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를 나타낼 것이다.
그래프(2100)에 도시된 측정값이 공칭 100 옴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 케이블에 대한 차동 임피던스 측정값이지만, 편차/불연속(2106)은 다른 케이블 임피던스 및 측정 기술에 대해 선형적으로 비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50 옴 싱글 엔디드 임피던스 측정값(예를 들어, 차동 쌍의 단지 하나의 와이어를 측정함)은 24 AWG 이하의 전도체 와이어 직경에 대한 굽힘부 가까이에서 2%(1 옴) 이하, 그리고 26 AWG 이하의 전도체 와이어 직경에 대해 1%(0.5 옴) 이하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유사한 스케일링이 상이한 공칭 값들, 예를 들어 75 옴 특성 차동 임피던스 대 100 옴에서 보여질 수 있다.
감싸여진 케이블의 특성(2108)과 비교되는 대표적인 리본 케이블의 임피던스 특성(2102)의 개선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이유는 외측 층들이 감싸여진 케이블 상에 형성되는 방식 때문이다. 감싸여진 구성(예를 들어, 개별 층들이 중첩되어, 많은 층들이 덮음)을 갖는 것은 랩(wrap)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단일 층을 갖는 리본 케이블보다 더 많이 굽힘부의 국소 영역에서 케이블을 압착하거나 "초크(choke)"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것이 동일한 경우, 리본 케이블은 임피던스에 대한 영향이 덜한 상태로 종래의 케이블보다 더 급격히 구부러질 수 있다. 이들 임피던스 불연속의 영향은 동일 케이블에서 누적되는 것이고, 따라서 리본 케이블은 종래의 감싸여진 케이블에 비해 더 많은 수의 굽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여전히 만족스럽게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개선된 굽힘 성능은 전도체 세트가 단독이든지(분리형), 또는 다른 전도체 세트와 함께 리본 케이블에 있든지 간에 존재할 수 있다.
케이블을 종단접속하는 것과 관련된 감소된 수고 및 비용이 리본 케이블 유형 구성의 이익들 중 하나이다. 고속 접속을 위해 선택된 하나의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스타일 "패들 카드"인데, 이 패들 카드는 기판의 일 면 또는 양 면 상의 스탬핑된 접촉부에 접속된다. 이러한 유형의 종단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본 케이블의 접지면은 코어로부터 용이하게 벗겨질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코어는 와이어로부터 쉽게 벗겨질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레이저, 고정구, 및 기계적 절단이 이 공정을 반복가능하고 고속인 것으로 만들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케이블 접지면에 대한 PCB의 접속은 전도성 접착제, 전도성 테이프, 납땜, 용접, 초음파, 기계적 클램핑 등과 같은 임의의 수의 방법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PCB에 대한 전도체의 접속은 납땜, 용접, 초음파, 및 다른 공정들을 사용해 달성될 수 있으며 가장 효율적으로 모두 한꺼번에 행해진다(동시 접합(gang bonding)). 이들 구성 중 대다수에서, PCB는 양 면 상에 와이어 접속부를 갖고, 따라서 하나 또는 2개의 그러한 리본 케이블이 (각각의 면에 대해 하나씩) 사용될 수 있고 케이블 내에서 서로의 상부 상에 적층될 수 있다.
패들 카드 종단접속에 대해 리본 케이블을 사용해 일어날 수 있는 시간 절약에 부가해, 임의의 임피던스 불연속 또는 스큐의 크기 및 길이가 종단접속 부위에서 감소될 수 있다. 케이블을 종단접속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의 접근법은 임피던스가 제어되지 않는 종단접속부에서의 전도체의 길이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는 PCB 상의 패드와 함께 트레이스들의 선형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는 커넥터와 대략 동일한 형식으로 접속부에 와이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케이블의 피치는 PCB의 피치와 부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어서, 케이블이 부합되는 피치를 갖지 않을 때에 요구되는 동등하지 않고 긴 노출 와이어 길이를 제거한다. 또한, 피치는 기판 피치와 부합하도록 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로부터 커넥터로 연장되는 비제어된 와이어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케이블이 종단접속에 관해 나타낼 수 있는 다른 이익은, 그러한 케이블의 접힌 부분이 커넥터 내에 캡슐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저렴한 각진 커넥터의 형성을 손쉽게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다양한 예가 도 22 내지 도 27에 도시되어 있다. 도 22에서, 커넥터 조립체(2200)는 전술된 차폐 리본 케이블 구성(1402)의 케이블의 2개의 층을 종단접속한다. 케이블(1402)의 일부 또는 전부의 전도체가 상부 및 하부 종단접속 영역(2204, 2206)에서 패들 카드에 전기 결합된다. 케이블(1402)은 패들 카드에 대해 직각으로 케이블(1402)의 루트를 설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굽힘부를 구역(2208)에 포함한다. 오버몰드(2210)가 적어도 굽힘 구역(2208)을 둘러싸고, 패들 카드(2202)의 적어도 일부분(예를 들어, 종단접속 영역(2204, 2206) 부근)을 둘러쌀 수 있다.
도 23에서, 커넥터 조립체(2300)는, 단일 차폐 리본 케이블(1402)이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 2200과 유사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체(2300)는, 이러한 예에서 굽힘 구역(2302) 및 종단접속 영역(2204)을 둘러싸는 유사한 오버몰드(2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는, 각각의 오버몰드(2402)가 대략 45도의 굽힘부를 갖는 굽힘 구역(2404, 2502)을 둘러싸는 것을 제외하고, 각각 2300 및 1400과 유사한 커넥터 조립체(2400, 2500)들을 포함한다.
커넥터(2200, 2300, 2400, 2500)들은 모두, 예를 들어 케이블 조립체의 단부에 위치되는 종단접속 커넥터로서 도시되어 있다. 일부 상황에서, 조립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1402)의 임의의 비종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케이블 조립체의 중간 부분에 커넥터가 요구될 수 있다. 중간 부분 커넥터(2600, 2700)들의 예가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되어 있다. 도 26에서, 각각의 케이블(1402)의 일부분이 리본으로부터 분리되고, 굽힘 영역(2602)에서 구부러지고 종단접속 영역(2204, 2206)에서 종단접속될 수 있다. 오버몰드(2604)가 적어도 굽힘 영역(2602)을 둘러싸고, 리본 케이블(1402)의 구부러지지 않은 부분이 계속되는 출구 구역(2606)(예를 들어, 변형 완화)을 또한 포함한다. 케이블(2700)은, 리본 케이블(1402)들 중 하나가 구역(2702)에서 구부러지고 영역(2204)에서 완전히 종단접속되는 것을 제외하고, 케이블(2600)과 유사하다. 케이블(1402)들 중 다른 것은 구부러지거나 종단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구역(2606)을 빠져나간다.
당업자는 도 22 내지 도 27에 도시된 특징부가 제한이 아닌 예시의 목적을 위해 제공됨을 이해할 것이다. 도 22 내지 도 27의 다양한 개시된 특징부들을 조합하는 많은 변형이 존재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역(2208, 2302, 2404, 2502)들의 굽힘부가 케이블(1402) 및 등가물에 대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각도 및 굽힘 반경을 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시된 커넥터(2200, 2300, 2400, 2500, 2600, 2700)들이 모두 패들 카드(2206)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른 종단접속 구조물(예를 들어, 크림핑된 핀/소켓, 절연재 변위 접속부, 솔더 컵(solder cup) 등)이 이들 실시예의 독창적인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유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커넥터(2200, 2300, 2400, 2500, 2600, 2700)들은 오버몰드 대신에 대안적인 케이싱/커버, 예를 들어 다수 조각의 기계적으로 부착된 하우징, 수축 랩(shrink wrap) 구조물, 접합된/접착제 부착된 커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을 위해 제공되었다. 이는 모두 망라하거나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려고 의도한 것이 아니다. 상기 교시에 비추어 많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도록 의도된다.
하기의 항목들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차폐 전기 케이블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다.
항목 1은 차폐 전기 케이블로서,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케이블의 폭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도체 세트;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되고,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 - 상기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은, 횡단면에서, 제1 및 제2 필름들의 커버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제1 및 제2 필름들의 압착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의 각각의 측부에 케이블의 압착 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열됨 -; 및 케이블의 압착 부분에서 제1 차폐 필름을 제2 차폐 필름에 접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전도체 세트는 이웃하는 제1 및 제2 절연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제1 전도체 세트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커버 부분들, 및 제1 전도체 세트의 일 측부에 제1 압착 케이블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압착 부분들을 가지며, 절연 전도체들 중 선택된 하나는 24 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WG) 이하의 와이어 직경을 갖고, 최대 2 ㎜의 내측 반경에 걸친 180도 이하의 케이블 위치에서의 케이블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케이블 임피던스가 구부러지지 않은 구성에서 상기 케이블 위치에서 측정된 초기의 케이블 임피던스로부터 2% 이하만큼 변화하게 하는 케이블이다.
항목 2는 항목 1에 따른 케이블로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와이어 직경은 26 AWG 이하이고, 최대 1 ㎜의 내측 반경에 걸친 180도 이하의 케이블 위치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케이블 임피던스가 초기의 케이블 임피던스로부터 1% 이하만큼 변화하게 하는 케이블이다.
항목 3은 항목 1에 따른 케이블로서, 선택된 절연 전도체는 24 AWG 이하의 와이어 직경 및 100 옴의 공칭 차동 임피던스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하는 전도체 세트들 중 선택된 하나의 일부이고, 케이블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전도체 세트의 차동 케이블 임피던스가 구부러지지 않은 구성에서 상기 케이블 위치에서 측정된 초기의 차동 케이블 임피던스로부터 2 옴 이하만큼 변화하게 하는 케이블이다.
항목 4는 항목 3에 따른 케이블로서, 적어도 2개의 절연 전도체의 와이어 직경은 26 AWG 이하이고, 최대 1 ㎜의 제2 내측 반경에 걸친 180도 이하의 케이블 위치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전도체 세트의 차동 케이블 임피던스가 초기의 차동 임피던스로부터 1 옴 이하만큼 변화하게 하는 케이블이다.
항목 5는 항목 1 또는 항목 2에 따른 케이블로서, 선택된 절연 전도체는 50 옴의 공칭 케이블 임피던스를 갖고,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케이블 임피던스는 초기의 케이블 임피던스로부터 1 옴 이하만큼 변화하는 케이블이다.
항목 6은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케이블로서, 케이블은 케이블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접힘선 둘레에 45도 이상의 굽힘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굽힘부는 최대 5 ㎜의 내측 반경을 갖는 케이블이다.
항목 7은 항목 6에 따른 케이블로서, 굽힘부는 90도 이상이고 케이블을 둘러싸는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에 순응하는 케이블이다.
항목 8은 항목 6 또는 항목 7에 따른 케이블로서, 굽힘부는 180도 이상이고 접힘선은 케이블의 길이방향 에지에 대해 소정의 접힘 각도에 있어, 케이블이 평면에 대한 굽힘부 전에 그리고 그 후에 인접 구역들의 평탄화에 응답해 소정의 방향전환 각도로 방향전환하게 하는 케이블이다.
항목 9는 항목 8에 따른 케이블로서, 접힘 각도는 45도이고, 방향전환 각도는 90도인 케이블이다.
항목 10은 차폐 전기 케이블로서,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케이블의 폭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도체 세트;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되고,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 - 상기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은, 횡단면에서, 제1 및 제2 필름들의 커버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제1 및 제2 필름들의 압착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의 각각의 측부에 케이블의 압착 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열됨 -; 및 케이블의 압착 부분에서 제1 차폐 필름을 제2 차폐 필름에 접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전도체 세트는 이웃하는 제1 및 제2 절연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제1 전도체 세트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커버 부분들, 및 제1 전도체 세트의 일 측부에 제1 압착 케이블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압착 부분들을 가지며, 절연 전도체들 중 선택된 하나는 24 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WG) 이하의 와이어 직경을 갖고, 최대 5 ㎜의 내측 반경에 걸친 180도 이하의 케이블 위치에서의 케이블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삽입 손실이 구부러지지 않은 구성에서 상기 케이블 위치에서 측정된 초기의 삽입 손실로부터 0.5 dB 이하만큼 변화하게 하는 케이블이다.
항목 11은 항목 10에 따른 케이블로서, 케이블은 케이블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접힘선 둘레에 45도 이상의 굽힘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굽힘부는 최대 5 ㎜의 내측 반경을 갖는 케이블이다.
항목 12는 항목 11에 따른 케이블로서, 굽힘부는 90도 이상이고 케이블을 둘러싸는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에 순응하는 케이블이다.
항목 13은 항목 11에 따른 케이블로서, 굽힘부는 180도 이상이고 접힘선은 케이블의 길이방향 에지에 대해 소정의 접힘 각도에 있어, 케이블이 평면에 대한 굽힘부 전에 그리고 그 후에 인접 구역들의 평탄화에 응답해 소정의 방향전환 각도로 방향전환하게 하는 케이블이다.
항목 14는 항목 13에 따른 케이블로서, 접힘 각도는 45도이고, 방향전환 각도는 90도인 케이블이다.
항목 15는 차폐 전기 케이블로서,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케이블의 폭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도체 세트;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되고,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 - 상기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은, 횡단면에서, 제1 및 제2 필름들의 커버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제1 및 제2 필름들의 압착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의 각각의 측부에 케이블의 압착 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열됨 -; 및 케이블의 압착 부분에서 제1 차폐 필름을 제2 차폐 필름에 접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전도체 세트는 이웃하는 제1 및 제2 절연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제1 전도체 세트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커버 부분들, 및 제1 전도체 세트의 일 측부에 제1 압착 케이블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압착 부분들을 가지며, 케이블에 대한 힘의 인가 - 케이블은 7.62 ㎝(3.0 인치) 이격된 2개의 지지점 사이에 단순 지지되고 힘은 지지점들 사이의 중간점에 가해짐 - 는 2.54 ㎝(1 인치) 이상의 힘의 방향에서의 편향의 결과를 가져오고, 파운드-힘 단위로 측정된 힘은 절연 전도체들 각각에 대한 개별 힘들의 합을 초과하지 않으며, 개별 힘들은 각각의 절연 전도체의 세제곱 와이어 직경의 11000배와 같고, 와이어 직경은 인치 단위로 표현되는 케이블이다.
항목 16은 항목 15에 따른 케이블로서, 와이어 직경은 24 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WG) 이하인 케이블이다.
항목 17은 항목 15 또는 항목 16에 따른 케이블로서, 최대 힘은 편향이 2.54 ㎝ 내지 3.81 ㎝(1 인치 내지 1.5 인치)일 때 발생하는 케이블이다.
항목 18은 항목 15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케이블로서, 케이블은 케이블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접힘선 둘레에 45도 이상의 굽힘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굽힘부는 최대 5 ㎜의 내측 반경을 갖는 케이블이다.
항목 19는 항목 18에 따른 케이블로서, 굽힘부는 90도 이상이고 케이블을 둘러싸는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에 순응하는 케이블이다.
항목 20은 항목 18에 따른 케이블로서, 굽힘부는 180도 이상이고 접힘선은 케이블의 길이방향 에지에 대해 소정의 접힘 각도에 있어, 케이블이 평면에 대한 굽힘부 전에 그리고 그 후에 인접 구역들의 평탄화에 응답해 소정의 방향전환 각도로 방향전환하게 하는 케이블이다.
항목 21은 항목 20에 따른 케이블로서, 접힘 각도는 45도이고, 방향전환 각도는 90도인 케이블이다.
항목 22는 케이블 조립체로서, 차폐 전기 케이블 - 상기 차폐 전기 케이블은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케이블의 폭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도체 세트,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되고,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 - 상기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은, 횡단면에서, 제1 및 제2 필름들의 커버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제1 및 제2 필름들의 압착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의 각각의 측부에 케이블의 압착 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열됨 -, 케이블의 압착 부분에서 제1 차폐 필름을 제2 차폐 필름에 접합하는 제1 접착제 층, 및 케이블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접힘선 둘레의 45도 이상의 케이블 내 굽힘부 - 여기서, 상기 굽힘부는 최대 5 ㎜의 내측 반경을 가짐 - 를 포함하고, 복수의 전도체 세트는 이웃하는 제1 및 제2 절연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제1 전도체 세트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커버 부분들, 및 제1 전도체 세트의 일 측부에 제1 압착 케이블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압착 부분들을 가짐 -; 및 적어도 케이블 내 굽힘부를 둘러싸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절연 전도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에 전기 결합되는 케이블 조립체이다.
항목 23은 항목 22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로서, 전기 커넥터는 케이블 상에 형성된 오버몰드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이다.
항목 24는 항목 22 또는 항목 23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로서, 전기 커넥터는 다수 조각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이다.
항목 25는 항목 22 내지 항목 24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로서, 커넥터는 패들 카드 커넥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이다.
항목 26은 항목 22 내지 항목 24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로서, 굽힘부는 접힘선 둘레에 90도 이상인 케이블 조립체이다.
항목 27은 항목 26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로서, 굽힘부의 내측 반경은 최대 1 ㎜인 케이블 조립체이다.
항목 28은 항목 22 내지 항목 25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로서, 굽힘부의 내측 반경은 최대 1 ㎜인 케이블 조립체이다.
항목 29는 항목 22 내지 항목 28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로서, 커넥터는 케이블의 단부에 배치되는 케이블 조립체이다.
항목 30은 항목 22 내지 항목 28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로서, 커넥터는 케이블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는 케이블 조립체이다.
항목 31은 항목 22 내지 항목 30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로서, 절연 전도체는 24 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WG) 이하의 와이어 직경을 갖는 케이블 조립체이다.
항목 32는 항목 22 내지 항목 31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로서, 케이블은 전기 커넥터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제2 굽힘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2 굽힘부는 케이블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제2 접힘선 둘레에 45도 이상이며, 제2 굽힘부는 최대 5 ㎜의 내측 반경을 갖는 케이블 조립체이다.
항목 33은 항목 32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로서, 제2 굽힘부는 90도 이상이고 케이블 조립체를 둘러싸는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에 순응하는 케이블 조립체이다.
항목 34는 항목 32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로서, 제2 굽힘부는 180도 이상이고 제2 접힘선은 케이블의 길이방향 에지에 대해 소정의 접힘 각도에 있어, 케이블이 평면에 대한 제2 굽힘부 전에 그리고 그 후에 인접 구역들의 평탄화에 응답해 소정의 방향전환 각도로 방향전환하게 하는 케이블 조립체이다.
항목 35는 항목 34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로서, 제2 접힘 각도는 45도이고, 방향전환 각도는 90도인 케이블 조립체이다.
항목 36은 항목 22 내지 항목 35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세트는 1 Gb/s 이상의 최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해 적합하게 된 케이블 조립체이다.
구체적인 실시예가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의도된 매우 다양한 대안적인 그리고/또는 등가의 구현예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도시 및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대신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기계, 전자-기계, 및 전기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매우 광범위한 다양한 실시예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임의의 개조 또는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및 그의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함이 명시적으로 의도된다.

Claims (10)

  1. 차폐 전기 케이블(shielded electrical cable)로서,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케이블의 폭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도체 세트;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되고, 커버 부분(cover portion) 및 압착 부분(pinched portion)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 - 상기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은, 횡단면에서, 제1 및 제2 필름들의 커버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제1 및 제2 필름들의 압착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의 각각의 측부에 케이블의 압착 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열됨 -; 및
    케이블의 압착 부분에서 제1 차폐 필름을 제2 차폐 필름에 접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전도체 세트는 이웃하는 제1 및 제2 절연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제1 전도체 세트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커버 부분들, 및 제1 전도체 세트의 일 측부에 제1 압착 케이블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압착 부분들을 가지며,
    절연 전도체들 중 선택된 하나는 24 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merican wire gauge, AWG) 이하의 와이어 직경을 갖고,
    최대 2 ㎜의 내측 반경에 걸친 180도 이하의 케이블 위치에서의 케이블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케이블 임피던스가 구부러지지 않은 구성에서 상기 케이블 위치에서 측정된 초기의 케이블 임피던스로부터 2% 이하만큼 변화하게 하는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와이어 직경은 26 AWG 이하이고, 최대 1 ㎜의 내측 반경에 걸친 180도 이하의 케이블 위치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케이블 임피던스가 초기의 케이블 임피던스로부터 1% 이하만큼 변화하게 하는 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선택된 절연 전도체는 24 AWG 이하의 와이어 직경 및 100 옴의 공칭 차동 임피던스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하는 전도체 세트들 중 선택된 하나의 일부이고, 케이블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전도체 세트의 차동 케이블 임피던스가 구부러지지 않은 구성에서 상기 케이블 위치에서 측정된 초기의 차동 케이블 임피던스로부터 2 옴 이하만큼 변화하게 하는 케이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은 케이블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접힘선 둘레에 45도 이상의 굽힘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굽힘부는 최대 5 ㎜의 내측 반경을 갖는 케이블.
  5. 차폐 전기 케이블로서,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케이블의 폭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도체 세트;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되고,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 - 상기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은, 횡단면에서, 제1 및 제2 필름들의 커버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제1 및 제2 필름들의 압착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의 각각의 측부에 케이블의 압착 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열됨 -; 및
    케이블의 압착 부분에서 제1 차폐 필름을 제2 차폐 필름에 접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전도체 세트는 이웃하는 제1 및 제2 절연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제1 전도체 세트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커버 부분들, 및 제1 전도체 세트의 일 측부에 제1 압착 케이블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압착 부분들을 가지며,
    절연 전도체들 중 선택된 하나는 24 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AWG) 이하의 와이어 직경을 갖고,
    최대 5 ㎜의 내측 반경에 걸친 180도 이하의 케이블 위치에서의 케이블의 횡방향 굽힘은 상기 케이블 위치에 인접한 선택된 절연 전도체의 삽입 손실이 구부러지지 않은 구성에서 상기 케이블 위치에서 측정된 초기의 삽입 손실로부터 0.5 dB 이하만큼 변화하게 하는 케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케이블은 케이블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접힘선 둘레에 45도 이상의 굽힘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굽힘부는 최대 5 ㎜의 내측 반경을 갖는 케이블.
  7. 케이블 조립체로서,
    차폐 전기 케이블 - 상기 차폐 전기 케이블은,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케이블의 폭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도체 세트,
    케이블의 반대면들 상에 배치되고,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 - 상기 커버 부분 및 압착 부분은, 횡단면에서, 제1 및 제2 필름들의 커버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제1 및 제2 필름들의 압착 부분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전도체 세트의 각각의 측부에 케이블의 압착 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열됨 -,
    케이블의 압착 부분에서 제1 차폐 필름을 제2 차폐 필름에 접합하는 제1 접착제 층, 및
    케이블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접힘선 둘레의 45도 이상의 케이블 내 굽힘부 - 여기서, 상기 굽힘부는 최대 5 ㎜의 내측 반경을 가짐 - 를 포함하고,
    복수의 전도체 세트는 이웃하는 제1 및 제2 절연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제1 전도체 세트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커버 부분들, 및 제1 전도체 세트의 일 측부에 제1 압착 케이블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차폐 필름들의 대응하는 제1 압착 부분들을 가짐 -; 및
    적어도 케이블 내 굽힘부를 둘러싸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절연 전도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에 전기 결합되는 케이블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는 케이블 상에 형성된 오버몰드(overmold)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케이블은 전기 커넥터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제2 굽힘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2 굽힘부는 케이블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제2 접힘선 둘레에 45도 이상이며, 제2 굽힘부는 최대 5 ㎜의 내측 반경을 갖는 케이블 조립체.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세트는 1 Gb/s 이상의 최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해 적합하게 된 케이블 조립체.
KR1020137005876A 2010-08-31 2010-12-16 차폐 전기 케이블 Expired - Fee Related KR101929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887210P 2010-08-31 2010-08-31
US61/378,872 2010-08-31
PCT/US2010/060629 WO2012030366A1 (en) 2010-08-31 2010-12-16 Shielded electrical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831A true KR20140001831A (ko) 2014-01-07
KR101929060B1 KR101929060B1 (ko) 2018-12-13

Family

ID=4424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8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929060B1 (ko) 2010-08-31 2010-12-16 차폐 전기 케이블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9) US8466365B2 (ko)
EP (2) EP2522023B1 (ko)
JP (4) JP5369250B2 (ko)
KR (1) KR101929060B1 (ko)
CN (2) CN102870171B (ko)
BR (1) BR112013003296A2 (ko)
CA (1) CA2809044A1 (ko)
SG (1) SG187819A1 (ko)
TW (1) TW201212045A (ko)
WO (1) WO201203036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575A (ko) * 2022-06-10 2023-12-19 몰렉스 엘엘씨 급격한 벤드 반경을 위한 트위낵스 라우팅
KR20240000141U (ko) 2022-07-15 2024-01-23 인재식 선상용 두족류 포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66252B (zh) * 2007-12-21 2011-11-30 清华大学 电磁屏蔽层及其制备方法
JP2013521611A (ja) 2010-08-31 2013-06-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誘導性間隔のある遮蔽電気ケーブル
US10147522B2 (en) 2010-08-31 2018-12-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shielded electrical cables
EP3200201A1 (en) 2010-08-31 2017-08-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ielded electrical cable in twinaxial configuration
EP2685468B1 (en) 2010-08-31 2019-10-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 density shielded electrical cable and other shielded cables, systems, and methods
US12205732B2 (en) 2010-08-31 2025-01-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ielded electric cable
CN102870171B (zh) 2010-08-31 2016-10-26 3M创新有限公司 屏蔽电缆
JP5881677B2 (ja) 2010-08-31 2016-03-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遮蔽電気ケーブルに関するコネクタ配置
WO2013095628A1 (en) * 2011-12-23 2013-06-27 Intel Corpporation High bandwidth connector for internal and external io interfaces
US9040824B2 (en) 2012-05-24 2015-05-26 Samtec, Inc. Twinaxial cable and twinaxial cable ribbon
US9705273B2 (en) * 2013-11-26 2017-07-11 Samtec, Inc. Direct-attach connector
CN103745771A (zh) * 2013-12-23 2014-04-23 杨天纬 用于信号传输方面的线材
JP2015210920A (ja) * 2014-04-25 2015-11-24 日立金属株式会社 差動信号伝送用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10038257B2 (en) * 2014-05-16 2018-07-3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Multi-core cable and multi-core cable with substrate
RU2692486C2 (ru) * 2014-09-23 2019-06-25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Разгрузка от натяжения плоского кабеля посредством регулируемого механического сопротивления
US20160233006A1 (en) * 2015-02-09 2016-08-11 Commscope Technologies Llc Interlocking ribbon cable units and assemblies of same
KR101585900B1 (ko) * 2015-06-02 2016-01-15 성문규 플랫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EP3304650A4 (en) * 2015-06-03 2019-04-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WO2017013745A1 (ja) * 2015-07-21 2017-01-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構造、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ケーブル接続構造の製造方法
JP2017168279A (ja) * 2016-03-16 2017-09-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力ケーブル、電力ケーブルシステム、電力ケーブルシステムの接地方法、および電力ケーブルシステムの構築方法
CN105702334A (zh) * 2016-04-25 2016-06-22 安费诺电子装配(厦门)有限公司 一种用于视频/音频传输的扁平数据传输线及其制作方法
KR101890986B1 (ko) * 2016-05-26 2018-08-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류 보호장치용 다중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류 보호장치
JP6673071B2 (ja) * 2016-07-19 2020-03-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部材、シールド部材付電線、シールド部材の中間製造物及びシールド部材の製造方法
CN106384620B (zh) * 2016-11-14 2017-08-25 安费诺电子装配(厦门)有限公司 一种折弯记忆性强的高速扁平排线及其制造方法
WO2018090031A1 (en) * 2016-11-14 2018-05-17 Amphenol Assembletech Co., Ltd High-speed flat cable having better bending/folding memo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250973B2 (en) * 2017-01-30 2022-02-15 Gyms Acmi, Inc. Electrosurgical device power cable
KR101892570B1 (ko) * 2017-03-02 2018-08-30 (주)휴윈 트랜션트 분석을 위한 s-매개변수 처리방법
JP6830040B2 (ja) * 2017-06-21 2021-02-17 大電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カバー、ケーブル、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10497493B1 (en) 2017-09-26 2019-12-03 Southwire Company, Llc Coupled power and control cable
EP3477806B1 (de) * 2017-10-30 2022-03-02 Komax Holding Ag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ersten kabels mit einem zweiten kabel, kabelanordnung und kabelverbindungs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ersten kabels mit einem zweiten kabel
US10964448B1 (en) 2017-12-06 2021-03-30 Amphenol Corporation High density ribbon cable
GB2572130A (en) * 2018-01-30 2019-09-25 Sensor Group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dielectric variations
DE102018104253B4 (de) * 2018-02-26 2019-12-0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anordnung
DE102018204171A1 (de) * 2018-03-19 2019-09-19 Leoni Kabel Gmbh Messanordnung zur Überwachung eines biegeflexiblen Strangs und biegeflexibler Strang sowie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biegeflexiblen Strangs
US10665368B2 (en) * 2018-04-17 2020-05-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ble support
US11605480B2 (en) 2018-05-25 2023-03-14 Samtec, Inc. Electrical cable with dielectric foam
CN209729555U (zh) * 2018-06-01 2019-12-03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扁平数据传输线缆
TWM594843U (zh) * 2018-06-07 2020-05-01 凡甲科技股份有限公司 線路板
JP2020010577A (ja) 2018-07-12 2020-01-16 矢崎総業株式会社 2心平行シールド電線の配索構造
US10496580B1 (en) 2018-08-02 2019-12-03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of configuring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CN111834034A (zh) * 2019-04-16 2020-10-2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线缆、组合线缆
WO2020213839A1 (ko) * 2019-04-18 2020-10-22 윤상보 전력공급용 도선을 구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CN118970411A (zh) 2019-05-14 2024-11-15 申泰公司 无线射频波导缆线组件
JP2021034296A (ja) * 2019-08-28 2021-03-01 株式会社デンソー 導線およびコイル部材
JP7211331B2 (ja) * 2019-10-23 2023-01-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部材
WO2022087027A1 (en) * 2020-10-19 2022-04-28 Optisys, LLC Broadband waveguide to dual-coaxial transition
EP4238185A4 (en) 2020-10-29 2024-10-02 Optisys, Inc. INTEGRATED BALANCED RADIATING ELEMENTS
CN112509740B (zh) * 2020-12-08 2022-03-25 湖南力通恒裕电缆科技有限公司 一种低温防爆型伴热电缆
JP7677397B2 (ja) * 2021-02-18 2025-05-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差動信号伝送用ケーブル
WO2022241483A2 (en) * 2021-05-14 2022-11-17 Optisys, Inc. Planar monolithic combiner and multiplexer for antenna arrays
CN117716450A (zh) * 2021-07-29 2024-03-15 3M创新有限公司 屏蔽电缆
US20230290544A1 (en) * 2022-03-11 2023-09-14 Maybell Quantum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of flexible shielded ribbon cables
US12300957B2 (en) * 2022-05-10 2025-05-13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Contact assembly for a cable card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CN117393225A (zh) * 2022-07-12 2024-01-12 李政 具有补偿作用的差分线缆
TWI843210B (zh) * 2022-09-23 2024-05-21 維將科技股份有限公司 卡連接器(六)
US20250106995A1 (en) * 2023-09-27 2025-03-27 Apple Inc. Compact interface through hing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1277C (de) 1944-12-15 1954-09-06 Hackethal Draht Und Kabel Werk Kabel, vorzugsweise Fernsprechkabel
US2952728A (en) 1955-03-29 1960-09-13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Insulated conductor for communication cabl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3496281A (en) 1967-03-14 1970-02-17 Du Pont Spacing structure for electrical cable
US3775552A (en) * 1971-12-16 1973-11-27 Amp Inc Miniature coaxial cable assembly
US3790697A (en) 1972-10-30 1974-02-05 Okonite Co Power cable shielding
US3993394A (en) 1974-07-31 1976-11-23 Raychem Corporation Connector half having connector wafer retained therein
IT1038547B (it) * 1975-05-28 1979-11-30 Pirelli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elemementi cosi prodotti
US4149026A (en) * 1975-09-12 1979-04-10 Amp Incorporated Multi-pair cable having low crosstalk
DE2547152A1 (de) 1975-10-21 1977-04-28 Tenge Hans Werner Elektrische abschirmung von kabeln und leitung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4019799A (en) 1976-02-11 1977-04-26 The Bendix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DE2644252A1 (de) 1976-09-28 1978-03-30 Siemens Ag Flachbandleitung mit folienfoermigen durchbrochenen metallischen einlagen
DE2758472A1 (de) 1977-12-28 1979-07-05 Michels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achen kabelbaumes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4185162A (en) 1978-01-18 1980-01-22 Virginia Plastics Company Multi-conductor EMF controlled flat transmission cable
US4234759A (en) 1979-04-11 1980-11-18 Carlisle Corporation Miniature coaxial cable assembly
US4297522A (en) 1979-09-07 1981-10-27 Tme, Inc. Cable shield
US4287385A (en) 1979-09-12 1981-09-01 Carlisle Corporation Shielded flat cable
JPS56158502A (en) * 1980-05-12 1981-12-07 Junkosha Co Ltd Strip line
US4475006A (en) 1981-03-16 1984-10-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ielded ribbon cable
US4413469A (en) 1981-03-23 1983-11-08 Allied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low crosstalk ribbon cable
US4470195A (en) 1981-04-10 1984-09-11 Allied Corporation Offset reformable jumper
EP0068665B1 (en) 1981-06-18 1985-05-29 AMP INCORPORATED (a New Jersey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able
US4412092A (en) 1981-08-24 1983-10-25 W. L. Gore & Associates, Inc. Multiconductor coaxial cable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on
US4404424A (en) 1981-10-15 1983-09-13 Cooper Industries, Inc. Shielded twisted-pair flat electrical cable
US4481379A (en) * 1981-12-21 1984-11-06 Brand-Rex Company Shielded flat communication cable
US4468089A (en) 1982-07-09 1984-08-28 Gk Technologies, Inc. Flat cable of assembled modules and method of manufacture
EP0103430B1 (en) 1982-09-11 1986-03-19 AMP INCORPORATED (a New Jersey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able
US4449778A (en) 1982-12-22 1984-05-22 Amp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S6013390U (ja) 1983-07-05 1985-01-29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扇梱包用緩衝材
US4492815A (en) 1983-08-23 1985-01-08 Cooper Industries, Inc. Shielded jacketed flat cable and grounding clip for use therewith
GB2145775B (en) * 1983-08-31 1987-08-05 Metal Box Plc Pressurisable containers
JPS60124315A (ja) 1983-12-09 1985-07-03 株式会社フジクラ フラットケ−ブルの製造方法
JPS60140309A (ja) 1983-12-28 1985-07-25 Canon Inc 屈折率分布型単レンズ
JPS60124315U (ja) 1984-01-31 1985-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S60140309U (ja) * 1984-02-27 1985-09-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広帯域平形ケ−ブル
US4780157A (en) * 1984-07-24 1988-10-25 Phelps Dodge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ransposed ribbon cable and electromagnetic device
JPH0248095B2 (ja) 1984-12-04 1990-10-24 Konishiroku Photo Ind Jidoshotenkamera
US4611656A (en) * 1985-01-14 1986-09-16 Kendall Jr Clarence E Protective jacket assembly
JPS61133914U (ko) 1985-02-12 1986-08-21
JPS61194218A (ja) 1985-02-22 1986-08-28 Mitsubishi Rayon Co Ltd 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法
JPS61194218U (ko) 1985-05-24 1986-12-03
JPS61292814A (ja) 1985-06-10 1986-12-23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テ−プ状電線製造装置
DE3522173C1 (de) * 1985-06-21 1986-07-31 kabelmetal electro GmbH, 3000 Hannover Geschirmte Bandleitung
US4850898A (en) 1985-07-18 1989-07-25 Ampheno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ontact retention
US4705332A (en) 1985-08-05 1987-11-10 Criton Technologies High density, controlled impedance connectors
US4767891A (en) 1985-11-18 1988-08-30 Cooper Industries, Inc. Mass terminable flat cable and cable assembly incorporating the cable
JPS62226508A (ja) 1986-03-26 1987-10-05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テ−プ状電線製造装置
US4720155A (en) 1986-04-04 1988-01-19 Amphenol Corporation Databus coupler electrical connector
US4800236A (en) 1986-08-04 1989-01-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able having a corrugated septum
US4920234A (en) 1986-08-04 1990-04-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ound cable having a corrugated septum
US4767345A (en) 1987-03-27 1988-08-30 Amp Incorporated High-density,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US4735583A (en) 1987-04-24 1988-04-05 Amp Incorporated Spring latch for latching together electrical connectors and improved latching system
JPS6423947A (en) 1987-07-08 1989-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onic part housing container
JPS6418764A (en) 1987-07-13 1989-01-23 Japan Tech Res & Dev Inst Seal body for ses and acv
JPH01298605A (ja) * 1988-05-27 1989-12-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ールド付フラットケーブル
JPH0436906Y2 (ko) 1988-07-26 1992-08-31
JPH0828139B2 (ja) * 1988-09-20 1996-03-21 株式会社フジクラ テープ電線の製造方法
JPH065042Y2 (ja) 1988-10-20 1994-02-0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エイチップ
JPH0614326Y2 (ja) 1988-10-24 1994-04-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付フラットケーブル
FR2646880A1 (fr) 1989-05-11 1990-11-16 Snecma Chemise de protection thermique pour canal de post-combustion ou de transition d'un turboreacteur
JPH0348808A (ja) 1989-07-18 1991-03-01 Ricoh Co Ltd ホログラムスキャナ
JP2553942Y2 (ja) * 1989-09-20 1997-11-12 日立電線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
US5008489A (en) 1989-10-25 1991-04-16 Facile Holdings, Inc. Electrical cables and serpentine pattern shielding tape therefor
US5090911A (en) 1990-01-11 1992-02-25 Itt Corporation Modular connector system
JPH03103517U (ko) 1990-02-09 1991-10-28
US5144098A (en) 1990-03-08 1992-09-01 W. L. Gore & Associates, Inc. Conductively-jacketed electrical cable
NL9000578A (nl) 1990-03-14 1991-10-01 Burndy Electra Nv Connectorsamenstel voor printkaarten.
US5057646A (en) 1990-03-21 1991-10-15 Smartouse Limited Partnership Folded ribbon cable assembly having integral shielding
US5162611A (en) 1990-03-21 1992-11-10 Smarthouse, L. P. Folded ribbon cable assembly having integral shielding
JPH0713887B2 (ja) 1990-05-31 1995-02-15 日立電線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
US5084594A (en) 1990-08-07 1992-01-28 Arrowsmith Shelburne, Inc. Multiwire cable
CA2051505C (en) 1990-09-19 1995-07-04 Richard F. Strauss High impedance electrical cable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H04164979A (ja) 1990-10-29 1992-06-10 Mitsubishi Materials Corp グランド・ライン作成用石灰粉末
JPH065042U (ja) 1991-02-08 1994-01-21 平河ヒュー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
US5171161A (en) 1991-05-09 1992-12-1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GB2255863B (en) 1991-05-17 1995-05-03 Minnesota Mining & Mfg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TW198118B (ko) 1991-09-27 1993-01-11 Minnesota Mining & Mfg
BR9206550A (pt) 1991-09-27 1995-06-27 Minnesota Mining & Mfg Cabo para a transmissão de sinais eletromagnéticos, cabo em fita, e, processo de produção de um cabo em fita de fibras múltiplas, blindado
JP2555733Y2 (ja) 1991-12-25 1997-11-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5235132A (en) 1992-01-29 1993-08-10 W. L. Gore & Associates, Inc. Externally and internally shielded double-layered flat cable assembly
US5244415A (en) 1992-02-07 1993-09-14 Harbor Electronics, Inc.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nd cable
US5268531A (en) 1992-03-06 1993-12-07 Raychem Corporation Flat cable
US5380216A (en) 1992-05-11 1995-01-10 The Whitaker Corporation Cable backpanel interconnection
JPH065042A (ja) 1992-06-19 1994-01-14 Sony Corp テープカセット及び該カセットを用いる記録再生装置
JP3415889B2 (ja) 1992-08-18 2003-06-09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ルドコネクタ
JP2594734Y2 (ja) * 1992-10-19 1999-05-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JPH08502620A (ja) 1992-10-29 1996-03-19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遮蔽ケーブルプラグの保持装置
ATE141027T1 (de) 1992-10-29 1996-08-15 Siemens Ag Schirmeinrichtung für einen rückwandsteckverbinder
US5477159A (en) 1992-10-30 1995-12-19 Hewlett-Packard Company Integrated circuit probe fixture with detachable high frequency probe carrier
US5507653A (en) 1993-01-25 1996-04-16 Berg Technology, Inc. Insulative wafers for interconnecting a vertical receptacle to a printed circuit board
US5518421A (en) 1993-01-26 1996-05-21 The Whitaker Corporation Two piece shell for a connector
US5279415A (en) 1993-04-06 1994-01-18 Molex Incorporated Packaging system incorporating storage tubes for electrical connectors
NL9300641A (nl) 1993-04-15 1994-11-01 Framatome Connectors Belgium Connector voor coaxiale en/of twinaxiale kabels.
US5416268A (en) 1993-07-14 1995-05-1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able with improved shield
NL9302007A (nl) 1993-11-19 1995-06-16 Framatome Connectors Belgium Connector voor afgeschermde kabels.
US5483020A (en) 1994-04-12 1996-01-09 W. L. Gore & Associates, Inc. Twin-ax cable
DE4425466A1 (de) 1994-07-19 1996-01-25 Thomas & Betts Gmbh Kabel-Steckverbinder
EP0693795B1 (en) 1994-07-22 1999-03-17 Berg Electronics Manufacturing B.V. Selectively metallizized connector with at least one coaxial or twinaxial terminal
JPH08203350A (ja) 1995-01-30 1996-08-09 Oki Densen Kk 薄型フラット同軸ケーブル
PT830690E (pt) 1995-06-05 2007-07-20 Robert Jay Sexton Fio plano de funçdes múltiplas que pode ser montado superficialmente.
US5524766A (en) 1995-06-27 1996-06-11 Molex Incorporated Packaging system for storing and handling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s within storage tubes
US5767442A (en) 1995-12-22 1998-06-16 Amphenol Corporation Non-skew cabl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702258A (en) 1996-03-28 1997-12-30 Teradyne,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from wafers
US6841735B1 (en) * 1996-04-03 2005-01-11 Methode Electronics, Inc. Flat cable and modular rotary anvil to make same
JPH1023947A (ja) 1996-07-12 1998-01-27 Masatami Maruyama 伸び伸び健康寝具の伸び伸び健康敷布団と伸び伸びシーツと健康二段枕の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5941733A (en) 1996-08-31 1999-08-2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Universal serial bus plug connector
US5766036A (en) 1996-10-11 1998-06-16 Molex Incorporated Impedance matched cable assembly having latching subassembly
US5775924A (en) 1996-10-11 1998-07-07 Molex Incorporated Modular terminating connector with frame ground
JPH10223056A (ja) * 1997-02-03 1998-08-21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組み合わせシールド電線構造
JPH10233056A (ja) 1997-02-18 1998-09-02 Nippon Columbia Co Ltd 信号選択装置及び電子機器
TW335229U (en) 1997-03-21 1998-06-21 Hon Hai Prec Ind Co Ltd Plug connector
US5938476A (en) 1997-04-29 1999-08-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US5900588A (en) 1997-07-25 1999-05-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duced skew shielded ribbon cable
US6231392B1 (en) 1997-10-01 2001-05-15 Berg Technology, Inc. Cable interconnection
US6403887B1 (en) 1997-12-16 2002-06-11 Tensolite Company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cabl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5934942A (en) 1997-12-30 1999-08-10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H11233056A (ja) 1998-02-10 1999-08-27 Jeol Ltd 電子顕微鏡等の試料移動装置及び試料移動方法
DK0961298T3 (da) 1998-05-29 2001-11-19 Gore W L & Ass Gmbh Elektrisk signalbundt
JP3629381B2 (ja) 1998-06-29 2005-03-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ルド線
TW435872U (en) 1998-09-25 2001-05-16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TW417902U (en) 1998-12-31 2001-01-01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US6207901B1 (en) 1999-04-01 2001-03-27 Trw Inc. Low loss thermal block RF cable and method for forming RF cable
US6815611B1 (en) 1999-06-18 2004-11-09 Belden Wire & Cable Company High performance data cable
JP2001143538A (ja) 1999-08-31 2001-05-2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フラット電線並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加工装置
US6524135B1 (en) 1999-09-20 2003-02-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rolled impedance cable connector
JP2001135157A (ja) * 1999-11-09 2001-05-1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フラット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US6367128B1 (en) 2000-02-10 2002-04-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mating reclosable mechanical fastener
US6546604B2 (en) 2000-02-10 2003-04-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mating reclosable mechanical fastener and binding strap
JP4164979B2 (ja) 2000-02-16 2008-10-15 日立電線株式会社 極細同軸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端末部
JP4316148B2 (ja) * 2000-03-06 2009-08-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ラット配線材の接続構造および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JP2002117731A (ja) 2000-10-10 2002-04-19 Sumitomo Wiring Syst Ltd Lan用フラットケーブル
US6444902B1 (en) 2001-04-10 2002-09-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able
JP2003045240A (ja) 2001-07-26 2003-02-14 Yazaki Corp シールドフラット電線
US6763556B2 (en) 2001-09-18 2004-07-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ting film and method for bundling and wrapping
US6630624B2 (en) 2001-11-08 2003-10-0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able with grounding means
US6831230B2 (en) * 2001-11-28 2004-12-14 Yazaki Corporation Shield processing structure for flat shielded cable and method of shield processing thereof
JP3794556B2 (ja) * 2001-12-03 2006-07-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配線材を積層した積層配線材
JP4030779B2 (ja) 2002-03-20 2008-01-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自動車用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US6717058B2 (en) * 2002-04-19 2004-04-06 Amphenol Corporation Multi-conductor cable with transparent jacket
CN1220218C (zh) 2002-07-18 2005-09-21 东莞蔻玛电子有限公司 高频传输缆线构造
DE10331710B4 (de) 2003-07-11 2008-05-08 W. L. Gore & Associates Gmbh Bandkabel
JP4374229B2 (ja) 2003-10-01 2009-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シールド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05116300A (ja) 2003-10-07 2005-04-28 Sharp Corp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US20060013315A1 (en) * 2004-07-19 2006-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ing method, apparatus, and medium used in audio-video codec
US7790981B2 (en) 2004-09-10 2010-09-07 Amphenol Corporation Shielded parallel cable
JP4189514B2 (ja) * 2005-01-21 2008-12-0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電子写真用トナー及び電子写真用トナーの製造方法
TWI246237B (en) * 2005-02-02 2005-12-21 Benq Corp Flexible flat cabl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TWI279046B (en) 2005-03-15 2007-04-11 Comax Technology Inc Connector
JP2006286480A (ja) 2005-04-01 2006-10-19 Swcc Showa Device Technology Co Ltd 差動信号伝送ケーブル
US7294786B2 (en) * 2005-04-06 2007-1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cable in a server system
US7485809B2 (en) * 2005-04-06 2009-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cable system
JP4414365B2 (ja) 2005-04-15 2010-02-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高速伝送用基板
JP2006331682A (ja) 2005-05-23 2006-12-07 Yazaki Corp シールド処理方法、シールドタイプフラット回路体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7059323A (ja) 2005-08-26 2007-03-08 Swcc Showa Device Technology Co Ltd 差動信号伝送ケーブル
JP2007265640A (ja) 2006-03-27 2007-10-11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パネル用ケーブル、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テレビ
US20070240896A1 (en) * 2006-04-17 2007-10-18 Ott Donald C Jr Protective sleeve assembly having an integral closure member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US20080041610A1 (en) 2006-08-15 2008-02-21 Chih-Fang Cheng Conducting cord that can resist static electricity and electromagnetic waves
JP2008077952A (ja) * 2006-09-21 2008-04-0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WO2008069208A1 (ja) 2006-12-04 2008-06-12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シールド導電体及びシールド導電体の製造方法
US7267575B1 (en) 2007-02-07 2007-09-11 Uniconn Corp. Structure of signal cable connector
CN201017706Y (zh) * 2007-03-28 2008-02-06 鸿富资讯股份有限公司 可产生不同阻抗的排线包覆结构
JP2009059505A (ja) 2007-08-30 2009-03-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導電体
JP5450949B2 (ja) 2007-10-10 2014-03-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及びシールド電線の製造方法
US20090192534A1 (en) 2008-01-29 2009-07-30 Ethicon Endo-Surgery, Inc. Sensor trigger
JP2009181792A (ja) 2008-01-30 2009-08-13 Fujikura Ltd シールド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178180Y (zh) * 2008-02-01 2009-01-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5535901B2 (ja) 2008-04-25 2014-07-02 沖電線株式会社 高速伝送が可能なシールド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TWM342597U (en) * 2008-05-08 2008-10-11 Tennrich Int Corp Easily flexible transmission line with improved characteristic impedance
JP2010015806A (ja) * 2008-07-03 2010-01-21 Sumitomo Electric Ind Ltd 高周波用同軸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97882A (ja) * 2008-10-17 2010-04-30 Sumitomo Electric Ind Ltd 差動伝送押出フラットケーブル
US7601010B1 (en) * 2009-01-12 2009-10-13 Hon Hai Precision Inc. Co., Ltd. Plug connector with improved cable arrangement and having retaining arrangement securely retaining mating substrate therein
US8946558B2 (en) 2009-06-19 2015-02-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ielded electrical cable
JP5881677B2 (ja) 2010-08-31 2016-03-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遮蔽電気ケーブルに関するコネクタ配置
JP2013521611A (ja) 2010-08-31 2013-06-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誘導性間隔のある遮蔽電気ケーブル
CN102870171B (zh) 2010-08-31 2016-10-26 3M创新有限公司 屏蔽电缆
EP2685468B1 (en) 2010-08-31 2019-10-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 density shielded electrical cable and other shielded cables, systems, and methods
EP3200201A1 (en) * 2010-08-31 2017-08-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ielded electrical cable in twinaxial configuration
WO2012039736A1 (en) 2010-09-23 2012-03-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ielded electrical cable
CN106169324B (zh) 2011-10-31 2018-09-21 3M创新有限公司 边缘绝缘的电力电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575A (ko) * 2022-06-10 2023-12-19 몰렉스 엘엘씨 급격한 벤드 반경을 위한 트위낵스 라우팅
KR20240000141U (ko) 2022-07-15 2024-01-23 인재식 선상용 두족류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61023A1 (en) 2020-05-21
US20210225558A1 (en) 2021-07-22
US20200381143A1 (en) 2020-12-03
US20170148549A1 (en) 2017-05-25
US20150083460A1 (en) 2015-03-26
US20210375506A1 (en) 2021-12-02
US8933333B2 (en) 2015-01-13
US10998111B2 (en) 2021-05-04
JP5369250B2 (ja) 2013-12-18
US20170213622A1 (en) 2017-07-27
CN104637582A (zh) 2015-05-20
US10090082B2 (en) 2018-10-02
US20140000930A1 (en) 2014-01-02
JP2016192417A (ja) 2016-11-10
JP2018200882A (ja) 2018-12-20
US20220270786A1 (en) 2022-08-25
US12205733B2 (en) 2025-01-21
US20180374610A1 (en) 2018-12-27
US11688530B2 (en) 2023-06-27
EP2685466B1 (en) 2019-11-20
EP2522023A1 (en) 2012-11-14
US20190318848A1 (en) 2019-10-17
CN104637582B (zh) 2019-04-26
EP2685466A2 (en) 2014-01-15
TW201212045A (en) 2012-03-16
CN102870171B (zh) 2016-10-26
JP2013522856A (ja) 2013-06-13
JP6270360B2 (ja) 2018-01-31
US20220367087A1 (en) 2022-11-17
WO2012030366A1 (en) 2012-03-08
KR101929060B1 (ko) 2018-12-13
CN102870171A (zh) 2013-01-09
BR112013003296A2 (pt) 2016-06-07
US11854716B2 (en) 2023-12-26
US20250118458A1 (en) 2025-04-10
US9653195B2 (en) 2017-05-16
US20160049220A1 (en) 2016-02-18
US9865378B2 (en) 2018-01-09
US20120298395A1 (en) 2012-11-29
US10784021B2 (en) 2020-09-22
US8466365B2 (en) 2013-06-18
US20160365169A1 (en) 2016-12-15
SG187819A1 (en) 2013-03-28
US20220230783A1 (en) 2022-07-21
US10573432B2 (en) 2020-02-25
US11651871B2 (en) 2023-05-16
US20130264089A1 (en) 2013-10-10
US11488745B2 (en) 2022-11-01
JP6574405B2 (ja) 2019-09-11
US9208927B2 (en) 2015-12-08
US9196397B2 (en) 2015-11-24
US9601236B2 (en) 2017-03-21
US20240087773A1 (en) 2024-03-14
US10340059B2 (en) 2019-07-02
JP2013219054A (ja) 2013-10-24
CA2809044A1 (en) 2012-03-08
EP2522023B1 (en) 2020-03-04
US11348706B2 (en) 2022-05-31
EP2685466A3 (en)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1871B2 (en) Shielded electric cable
US12205732B2 (en) Shielded electric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12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