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19316A -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 Google Patents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316A
KR20180119316A KR1020170052897A KR20170052897A KR20180119316A KR 20180119316 A KR20180119316 A KR 20180119316A KR 1020170052897 A KR1020170052897 A KR 1020170052897A KR 20170052897 A KR20170052897 A KR 20170052897A KR 20180119316 A KR20180119316 A KR 20180119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wire
slot
tooth
orthodon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5655B1 (en
Inventor
정중희
신기룡
Original Assignee
정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중희 filed Critical 정중희
Priority to KR1020170052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655B1/en
Publication of KR20180119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3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65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3Brackets with two or more recesses for 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에 부착되어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고정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슬롯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브라켓을 치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슬롯에 연결되는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슬롯 및 상기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슬롯 및 상기 관통홀 중 어느 하나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브라켓에 와이어가 관통하는 슬롯 및 슬롯에 연결된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므로 교정용 와이어가 브라켓에 결속되는 위치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여 다양하게 교정력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for attaching to a tooth and fixing a dental orthodontic wire,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t least one slot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And a fixing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art and fixing the bracket to the teeth, wherein the body part has at least one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slot, the wire being inserted into the slot and the through- Holes and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slots and the through holes.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slot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and a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slot in the bracket,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orthodontic wire is bound to the bracket can be variously changed, There is an effect.

Description

슬롯이 형성된 몸체에 와이어를 뺄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for orthodontic bracket having a through-hole through which a wire can be removed from a body having a slot formed therein, and a method for correcting an orthodontic tooth using the bracket.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크기가 작으면서도 다양하게 교정력을 가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bracket and an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thodontic bracket capable of applying various orthodontic forces while being small in size and an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교정 치료가 잘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교정 전에 수행하는 진단, 치료 계획 등이 중요하지만, 이와 더불어 브라켓의 정확한 부착 또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의사들은 치아를 복제하여 기공소에 의뢰해 치아 모델을 만들고, 치아 모델을 통해 브라켓을 부착할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브라켓을 부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비된다.In general, the correct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prior to correction are important for corrective treatment, but the exact attachment of the bracket is also important. Therefore, doctors replicate their teeth, make a tooth model by commissioning them to the laboratory, identify the exact position to attach the bracket through the tooth model, and attach the bracket. This method is costly and time consuming.

또한, 종래의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가 관통하는 구멍이 하나만 형성되기 때문에, 와이어가 브라켓에 결속되는 위치가 한정되었고, 평균적인 치아를 기준으로 일률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람마다 다양한 치아에 부적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의사가 브라켓을 한 번에 완벽하게 부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브라켓을 재부착하거나 와이어를 무리하게 변형시켜야 할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어 의사와 교정 환자 모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conventional bracket has only one hole through which the orthodontic wire penetrates, the position where the wire is bound to the bracket is limited, and since it is uniformly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the average tooth, to be. In addition,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physician to attach the bracket completely at once, which is very difficult. Therefore, it is very frequent that the bracket is reattached or the wire is deformed excessively. Therefore, a lot of time and cost are required in such a process, which causes inconvenience to both physicians and orthodontic patients.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6946Korean Patent No. 10-131694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기가 작으면서도 교정용 와이어가 브라켓에 결속되는 위치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으로써 다양하게 교정력을 가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thodontic bracket capable of varying a position where a calibration wire is bound to a bracket, It has its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치아에 부착되어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고정하는 브라켓으로서,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슬롯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브라켓을 치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슬롯에 연결되는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슬롯 및 상기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슬롯 및 상기 관통홀 중 어느 하나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acket for fixing an orthodontic wire attached to a tooth, the bracket comprising: a body having at least one slot through which the wire penetrates; And a fixing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art and fixing the bracket to the teeth, wherein the body part has at least one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slot, the wire being inserted into the slot and the through- Holes and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slots and the through holes.

본 발명은, 브라켓에 와이어가 관통하는 슬롯 및 슬롯에 연결된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므로 교정용 와이어가 브라켓에 결속되는 위치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여 다양하게 교정력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racket and the through hole is connected to the slot, the position where the orthodontic wire is bound to the bracket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various correction force can be applied.

여기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한편, 상기 관통홀은 복수일 수 있다.Meanwhile,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may be plural.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슬롯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ough-hole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slot.

한편, 상기 슬롯은 복수일 수 있다.The slots may be plural.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슬롯을 연결하는 내측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ody may have an inner spac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ots.

이때, 상기 복수의 슬롯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lots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한편,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양측 또는 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extended from the body portion to both sides or one side.

한편, 상기 고정부는 치아와 접촉하는 일면에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concavo-convex portion on one surface contacting the tooth.

한편, 상기한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방법으로서, 고정부를 치아에 고정하는 단계;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슬롯의 일측 끝단 및 관통홀 중 어느 하나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를 상기 슬롯의 타측 끝단 및 관통홀 중 어느 하나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method of calibrating the dentition using the bracket may include: fixing the fixation part to the teeth; Inserting the orthodontic wire into one of the one end of the slot and the through hole; And drawing the wire to one of the other end of the slot and the through hol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브라켓에 와이어가 관통하는 슬롯 및 슬롯에 연결된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므로 교정용 와이어가 브라켓에 결속되는 위치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여 다양하게 교정력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racket and the through hole is connected to the slot, positions where the orthodontic wire is bound to the bracket can be variously changed, It is effective.

또한, 복수의 슬롯은 몸체부의 내측 공간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결속 위치가 간단하게 조절 가능하여 의사들이 더 신속하게 교정 치료를 수행할 수 있으며, 환자들에게도 교정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여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slot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the binding position of the wire can be easily adjusted so that the doctors can perform the orthodontic treatment more quickly, and the time and cost Can be reduced.

또한, 브라켓이 잘못 부착될 경우, 브라켓을 재부착하지 않더라도 와이어의 결속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치열 교정시 필요한 치아의 위치 이동, 각도 조절, 회전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racket is attached incorrectly,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positional movement, angle adjustment, rotation, and the like of a tooth necessary for orthodontic correction by changing the binding position of the wire without reattaching the bracket.

최종적으로, 브라켓의 크기를 작게 하면서도 슬롯 및 슬롯에 연결된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브라켓이 치아에 부착되었을 때의 이물감이 줄어들어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Finally, the size of the bracket is reduced, and the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slot and the slot is formed, so that the foreign body feeling when the bracket is attached to the teeth is reduced, there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이 치아에 설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와이어가 결속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와이어가 결속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치축 경사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회전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전치부 길이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ooth.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ire bonded to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ire bonded to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ooth contour using the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rotation of teeth using the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an anterior portion length of a tooth using the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known techniques that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mitting the unnecessary explanation.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lso,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이 치아에 설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FIG.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bracket for orthodontic bracke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ooth, FIG. 2 schematically shows a structure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bracke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은 치아(10)에 부착되어 치열 교정용 와이어(30)를 고정하는 브라켓(100)으로서, 몸체부(110) 및 고정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a bracket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acket 100 attached to a tooth 10 to fix a dental orthodontic wire 30, (110) and a fixing part (120).

몸체부(110)는 와이어(30)가 관통하는 슬롯(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슬롯(1a)은 와이어(3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슬롯(1a)에 연결되는 관통홀(2a,2b,2c)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홀은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2a),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홀(2b,2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30)가 슬롯(1a)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면, 슬롯(1a)의 타측 끝단 뿐만 아니라 관통홀(2a,2b,2c) 중 어느 하나로도 인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은 와이어(30)가 몸체부(110)에 형성된 슬롯(1a) 및 관통홀(2a,2b,2c) 중 적어도 하나에 다양하게 결속될 수 있으며, 결속 위치에 따라 브라켓(10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달라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100)은 치아(10)에 원하는 교정력을 가하기 위해서 와이어(30)의 결속 위치를 간단한 방법으로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브라켓이 잘못 부착되더라도 브라켓의 재부착 없이 치아의 위치 이동 및 각도 조절, 회전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교정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At least one slot (1a) through which the wire (30) penetrates is formed in the body part (110). The slot 1a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30. [ At least one or more through holes 2a, 2b, and 2c are formed in the body 110 to be connected to the slots 1a. Here, the through holes may include through holes 2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rough holes 2b and 2c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Therefore, when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lot 1a, the wire 30 can be taken out to any one of the through holes 2a, 2b, and 2c as well as the other end of the slot 1a. That is, the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ire 30 is various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slot 1a formed in the body 110 and the through holes 2a, 2b, 2c And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bracket 10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binding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variously modify the binding position of the wire 30 in a simple manner in order to apply a desired correction force to the tooth 10. Therefore, even if the bracket is attached incorrectly,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teeth, angle adjustment and rotation without reattaching the bracket,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한편, 관통홀(2a,2b,2c)이 슬롯(1a)에 평행하게 형성될 경우, 슬롯(1a)으로 삽입된 와이어(30)가 위치를 이동하여 관통홀(2a,2b,2c) 중 어느 하나로 인출될 때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고 인출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치아에 가해지는 힘이 적어서 환자의 통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rough holes 2a, 2b and 2c are formed in parallel to the slot 1a, the wire 30 inserted into the slot 1a is moved in position so that any one of the through holes 2a, 2b and 2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damaged because it can be drawn out without being excessively deformed when it is drawn out as one. In addition, the force applied to the teeth is so small that the patient's pain is reduced.

한편, 고정부(120)는 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브라켓(100)을 치아(10)에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부(120)는 치아(10)와 접촉하는 일면에 요철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21)는 경화 물질(20)이 도포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치아(1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경화 물질(20)이 경화됨으로써 고정부(120)는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120)는 치아(10)와 접촉하는 일면에 요철부(121)가 형성되기 때문에, 경화 물질(20)이 도포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치아에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요철부(121)에 도포되는 경화 물질(20)은 흐름성이 있으면서도 경화되는 물질로서 레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체에 무해한 다른 물질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The fixing part 1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art 110 and is provided for fixing the bracket 100 to the teeth 10. [ Here, the fixing portion 120 may have a concave / convex portion 121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tooth 10.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21 can be applied with the curing substance 20 and can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10 in this state. At this time, the hardening material 20 is hardened, so that the fixing portion 120 can be fixed to the teeth.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xing portion 120 has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21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in contact with the tooth 10, the area to which the hardened material 20 is applied can be increased and fixed more firmly to the teeth. In addition, the cured material 20 applied to the recessed and protruded portions 121 can be used as a material that is flowable but harde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to any other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Do.

한편, 브라켓(100)의 고정부(120)는 와이어(30)가 슬롯(1a) 및 슬롯(1b)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된 상태에서 치아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30)를 결속할 위치 또는 치아(10)의 형태에 따라서 브라켓(100)의 고정부(120)를 치아(10)에 부착한 후에 와이어(30)를 슬롯(1a) 및 관통홀(2a,2b,2c) 중 적어도 하나에 결속시킬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120)는 몸체부(110)에서 양측 또는 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0)가 몸체부(110) 양측으로 연장 형성될 경우, 브라켓(100)이 치아(10)에 부착되는 면적이 좀 더 넓어질 수 있다.The fixed portion 120 of the bracket 100 may be attached to the teeth with the wire 30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slot 1a and the slot 1b. After attaching the fixed portion 120 of the bracket 100 to the tooth 10 according to the position to bind the wire 30 or the shape of the tooth 10,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the slot 1a and the through hole (2a, 2b, 2c). 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120 may extend from the body 110 to both sides or one side. At this time, when the fixing part 120 is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body part 110, the area where the bracket 100 is attached to the teeth 10 can be widened.

한편, 몸체부(110) 및 고정부(120)는 투명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강, 지르코니아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 및 고정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경우, 심미적으로 우수하여 거부감 없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body part 110 and the fixing part 12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transparent plastic, stainless steel, and zirconia. At this time, when at least one of the body 110 and the fixing part 12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aesthetically excellent and can be used without any feeling of resistance.

한편, 몸체부(110) 및 고정부(120)를 포함한 브라켓(100) 한 개의 크기는 폭이 약 3.8mm 내외, 길이가 약 2.5mm 내외로 형성되어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치아(10)에 부착될 경우 이물감이 적고,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bracket 100 including the body 110 and the fixing part 120 is formed to have a width of about 3.8 mm and a length of about 2.5 mm,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oreign object and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0)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3, the structure of the bracke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will not be describ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below.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도 3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는, 슬롯(1a,1b)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2a,2d)도 복수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복수의 슬롯(1a,1b)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몸체부(210)는 복수의 슬롯(1a,1b)을 연결하는 내측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슬롯(1a,1b) 사이에는 일정 위치에서 구획되지 않은 내측 공간이 형성되므로 와이어(30)가 우측 슬롯(1a)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면, 와이어(30)는 우측 슬롯(1a)에 인접한 좌측 슬롯(1b)의 타측 끝단으로 인출될 수 있고,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2a,2d) 및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2b,2c) 중 어느 하나로 인출될 수도 있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slots 1a and 1b are formed, and through holes 2a and 2d A plurality of examples are shown. Here, the plurality of slots 1a and 1b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Also,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body portion 210 may have an inner spac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ots 1a and 1b. That is, since the inner space is not part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lots 1a and 1b, when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right slot 1a,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the right slot 1a, And can be drawn out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a and 2d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through holes 2b and 2c formed on the side surface.

이와 같이, 슬롯(1a,1b) 및 상면의 관통홀(2a,2d)이 복수일 경우, 와이어(30)가 브라켓(200)에 결속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더 많아지기 때문에 더욱더 다양한 형태로 와이어(30)를 브라켓(200)에 결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슬롯(1a,1b) 및 상면의 관통홀(2a,2d)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치아(10)에 원하는 교정력을 가하기 위해서 와이어(30)의 결속 위치를 간단한 방법으로 더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슬롯(1a,1b) 및 상면의 관통홀(2a,2d)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결속 위치를 더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지만, 브라켓의 크기가 커져서 이물감이 커질 수 있으므로 슬롯(1a,1b) 및 상면의 관통홀(2a,2d)의 개수는 각각 2개가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lots 1a and 1b and the through holes 2a and 2d on the upper surface are plural,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wire 30 can be bound to the bracket 200 is increased, (30) to the bracket (200). As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2a and 2d in the slots 1a and 1b and the upper surface increases, the binding position of the wire 30 is more variously deformed by a simple method in order to impart a desired correction force to the tooth 10. [ . On the other hand, as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2a and 2d in the slots 1a and 1b and the upper surface increases, the binding position can be further diversified.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bracket becomes large, And the number of through holes 2a and 2d on the upper surface is preferably two.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300)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racket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will not be describ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below.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는, 몸체부(330)에서 치아(10) 측에 위치한 치아 접촉면에 복수의 슬롯(1a,1b)이 함몰 형성되고, 고정부(320)에 주입공(321)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슬롯(1a,1b)은 몸체부(310)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돌기부(3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10)는 복수의 슬롯(1a,1b)을 연결하는 내측 공간(3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슬롯(1a,1b)이 몸체부(310)의 길이 방향 양단 위치에서 돌기부(311)에 의해 구획되지만, 돌기부(311)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서는 구획되지 않고 내측 공간(312)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와이어(30)가 복수의 슬롯(1a,1b) 중 어느 하나(1a)에 삽입되면, 와이어(30)는 내측 공간(312)을 통해 삽입된 슬롯(1a)이 아닌 인접한 다른 슬롯(1b)으로 인출될 수 있고,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2a)을 통해 인출될 수도 있다.4 to 6, a plurality of slot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tooth contact surface located on the tooth 10 side in the body portion 330. In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s. 4 to 6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1a and 1b are formed and the injection hole 321 is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320. As shown in FIG. 5, the plurality of slots 1a and 1b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protrusion 311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31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body portion 310 may have an inner space 312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ots 1a and 1b. That is, the plurality of slots 1a and 1b are partitioned by the protruding portions 311 at both end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310, but at the positions where the protruding portions 311 are not formed, Lt; / RTI > Therefore, if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1a and 1b, the wire 30 is not inserted into the slot 1a inserted through the inner space 312, 1b and may be drawn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2a formed in the upper surface.

이와 같이, 슬롯(1a,1b)이 복수일 경우, 더욱더 다양한 형태로 와이어(30)를 브라켓(300)에 결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몸체부(310)에서 치아 접촉면에 복수의 제1 슬롯(1a,1b)이 함몰 형성될 경우, 와이어(30)는 몸체부(310)와 치아(10)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즉, 와이어(30)가 복수의 제1 슬롯(1a,1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320)가 치아(10)에 부착되면, 브라켓(300)이 치아(10)에 부착됨과 동시에 와이어(30) 또한 브라켓(100)에 결속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lots 1a and 1b are plural, it is possible to bind the wire 30 to the bracket 300 in various forms. When the plurality of first slots 1a and 1b are recessed in the tooth contact surface of the body 310, the wire 30 may be fixed between the body 310 and the teeth 10 . That is, when the fixing portion 320 is attached to the tooth 10 in a state where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rst slots 1a and 1b, the bracket 300 is attached to the tooth 10 The wire 30 can also be fastened to the bracket 100.

또한, 제3 실시예에서, 고정부(320)는 주입공(321)에 주입되는 경화 물질(20)이 경화되면서 치아(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경화 물질(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레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urther,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320 can be attached to the tooth 10 while the curing substance 20 injected into the injection hole 321 is hardened. At this time, the curing substance 20 may be a resin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와이어가 결속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와이어가 결속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치축 경사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회전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의 전치부 길이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ire binding to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brail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eeth of a tooth by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anterior teeth of a tooth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하, 도 1 내지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rthodontic method using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7, and 8. FIG.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100)을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은, 고정부(120)를 치아(10)에 고정하는 단계와, 치열 교정용 와이어(30)를 슬롯의 일측 끝단 및 관통홀 중 어느 하나로 삽입하는 단계와, 와이어(30)를 슬롯(1a)의 타측 끝단 및 관통홀 중 어느 하나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ixing the fixation part 120 to the teeth 10 and attaching the orthodontic wire 30 to one end And a step of drawing the wire (30) to one of the other end of the slot (1a) and the through hol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의 고정부(120)는 치아(1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120)는 요철부(121)에 도포되는 경화 물질(20)이 경화됨으로써 치아(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인체에 무해한 접착물질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1 and 2, the fixed portion 120 of the bracket 100 is fixed to the tooth 1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fixing portion 120 can be fixed to the tooth 10 by hardening the hardening material 20 applied to the recessed portion 121. It may also be attached by an adhesive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고정부(120)가 치아(10)에 고정된 후, 치열 교정용 와이어(30)는 슬롯(1a)의 일측 끝단 및 관통홀(2a,2b,2c) 중 어느 하나로 삽입된다.After the fixation portion 120 is fixed to the tooth 10, the orthodontic wire 30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lot 1a and one of the through holes 2a, 2b, and 2c.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에 형성된 슬롯(1a)은 몸체부(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홀(2b,2c)과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슬롯(1a)의 일측 끝단에 삽입된 와이어(30)는 몸체부(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홀(2b,2c)로 위치를 이동하여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7, since the slots 1a formed in the body 110 ar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s 2b and 2c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110, The inserted wire 30 can be moved out of the through holes 2b and 2c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110 to be drawn out.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a)은 몸체부(11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2a)과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므로, 슬롯(1a)의 일측 끝단에 삽입된 와이어(30)는 몸체부(11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2a)로 위치를 이동하여 인출될 수도 있다. 즉, 설명의 편의상, 와이어(30)가 브라켓(100)에 결속되는 위치를 '와이어(30)가 삽입되는 슬롯 또는 관통홀 ~ 와이어(30)가 인출되는 슬롯 또는 관통홀'로 표시할 때, 와이어(30)가 브라켓(100)에 결속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1a~1a, 1a~2a, 2a~1a, 1a~2b, 2b~1a, 1a~2c, 2c~1a'로 총 7가지가 있으며, 슬롯 및 관통홀의 형상, 크기 등에 따라 와이어(30)가 결속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더 많아질 수 있다. 8, since the slot 1a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2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the wire 30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lot 1a, May be moved out of the through hole (2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That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the position where the wire 30 is bound to the bracket 100 is indicated as 'a slot through which the wire 30 is inserted or a slot or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wire 30 is drawn out'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wire 30 can be bound to the bracket 100 is 7a in total as the numbers 1a to 1a, 1a to 2a, 2a to 1a, 1a to 2b, 2b to 1a, 1a to 2c and 2c to 1a ' And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wire 30 can be bound depending on the shape, size, etc. of the slots and the through holes can be increased.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슬롯(1a,1b) 및 상면의 관통홀(2a,2d), 측면의 관통홀(2b,2c)이 각각 2개인 경우, 와이어(30)가 브라켓(100)에 결속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1a~1a, 1b~1b, 1a~1b, 1b~1a, 1a~2a, 2a~1a, 1b~2d, 2d~1b, 1b~2b, 2b~1b, 1a~2c, 2c~1a'로 총 12가지가 있으며, 슬롯 및 관통홀의 형상, 크기 등에 따라 와이어(30)가 결속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더 많아질 수 있다.3, when the slots 30a and 30b are two in the slots 1a and 1b and the through holes 2a and 2d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through holes 2b and 2c in the side surface, The number of cases that can be bound is 1 to 1a, 1b to 1b, 1a to 1b, 1b to 1a, 1a to 2a, 2a to 1a, 1b to 2d, 2d to 1b, 1b to 2b, 2b to 1b, 1a To 2c and 2c to 1a ', and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wire 30 can be bound depending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slot and the through hole can be increas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100)은 와이어(30)가 몸체부(110)에 형성된 슬롯 및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에 결속되는 위치에 따라 브라켓(100)에 가해지는 힘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치아(10)의 상태에 따라 치아(10)에 원하는 교정력을 다양하게 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orce applied to the bracket 100 by the position where the wire 30 is bound to at least one of the slot and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110 So that the desired correction force can be variously applied to the tooth 1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ooth 10.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 방법에서는 고정부(120)를 치아(10)에 고정하는 단계, 치열 교정용 와이어(30)를 슬롯의 일측 끝단 및 관통홀 중 어느 하나로 삽입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와이어(30)가 브라켓(100)의 슬롯 및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에서 브라켓(100)의 고정부(120)가 치아(10)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와이어(30)를 치아(1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와이어(30)가 슬롯(1a,1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고정부(320)를 부착하여 브라켓(300)의 고정부(320)가 치아(10)에 부착됨과 동시에 와이어(30)가 브라켓(300)에 결속되도록 수행될 수도 있다.In the orthodontic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fixing the fixation part 120 to the teeth 10, a step of inserting the orthodontic wire 30 into one end of the slot and the through hole The fixing portion 120 of the bracket 100 is fixed to the tooth 10 in a state where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one of the slot and the through hole of the bracket 100. However, And the fixing part 320 is attached to the bracket 300 so that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slots 1a and 1b while the wire 30 is positioned on the tooth 10, The wire 30 may be bonded to the bracket 300 while the fixing portion 320 of the wire 30 is attached to the tooth 1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10)의 치축 경사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9(a)에 도시된 교정이 필요한 치아(10)는 정상적인 치아(10)의 치축과 비교했을 때 치아(10)의 치축이 우측 방향으로 많이 기울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시술자는 치축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치축이 정상적인 위치에 놓이도록 교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시술자는 브라켓(100)에 형성된 슬롯 및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에 와이어(30)를 결속시킴으로써, 치아(10)에 시계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교정력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교정력이 가해질 경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10)의 치축은 경사진 위치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상적인 위치로 교정될 수 있다.9 shows an examp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eeth of the teeth 10 by using the braces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10 required to be corrected shown in Fig. 9 (a) is in a state in which the tooth axis of the tooth 10 is heavily tilted rightward compared with the normal axis of the tooth 10. Therefore, it is desirable for the practitioner to move the tooth axis in the left direction so as to apply the correction force so that the tooth axis is in a normal position. At this time, the practitioner can bind the wire 30 to at least one of the slot and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bracket 100, thereby easily applying an orthodontic force acting on the tooth 1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such an orthographic force is applied, as shown in Fig. 9 (b), the tooth axis of the tooth 10 can be moved to the left side from the inclined position and corrected to the normal posi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10)의 회전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0(a)에 도시된 교정이 필요한 치아(10)는 정상적인 치아(10)의 전면(순측면)과 비교했을 때 치아(10)의 전면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 것과 같이 기울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시술자는 브라켓(100)에 형성된 슬롯 및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에 와이어(30)를 결속시킴으로써, 치아(10)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듯이 작용하는 교정력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교정력이 가해질 경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10)의 전면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듯이 이동하여 정상적인 위치로 교정될 수 있다.FIG. 10 shows an example of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teeth 10 using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10 required to be calibrated shown in FIG. 10A is in a state of being inclined as the front face of the tooth 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s compared with the front face (normal side) of the normal tooth 10 . Accordingly, the practitioner can easily attach the wire 30 to at least one of the slot and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bracket 100, thereby easily applying a correcting force acting on the tooth 10 in a clockwise direction. 10 (b), the entire surface of the tooth 10 can be move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can be calibrated to a normal posi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아(10)의 전치부 길이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a)에 도시된 교정이 필요한 치아(10)는 정상적인 치아(10)와 비교했을 때 치아(1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치아(10)의 길이가 비정상적으로 길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시술자는 브라켓(100)에 형성된 슬롯 및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에 와이어(30)를 결속시킴으로써, 치아(1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교정력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교정력이 가해질 경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10)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인접한 전치부의 길이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교정될 수 있다.11 shows an example of adjusting the anterior portion length of the tooth 10 by using the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eth 10 required to be corrected shown in FIG. 11 (a) are in a state in which the teeth 10 move downward as compared with the normal teeth 10, and the length of the teeth 10 becomes abnormally long. Therefore, the practitioner can easily attach the correcting force for moving the tooth 10 upward by binding the wire 30 to at least one of the slot and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bracket 100. [ When such an orthogonal force is applied, as shown in Fig. 11 (b), the tooth 10 can be moved upward and corrected so as to become approximate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adjacent anterior portion.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들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not only in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also in the scope of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치아 20: 경화 물질
30: 와이어 100,200,300: 브라켓
110,210,310: 몸체부 311: 돌기부
312: 내측 공간 120,220,320: 고정부
121,221: 요철부 321: 주입공
1a,1b: 슬롯 2a,2d: 상면의 관통홀
2b,2c: 측면의 관통홀
10: tooth 20: hardened material
30: wire 100,200,300: bracket
110, 210, 310: Body part 311:
312: inner space 120, 220, 320:
121,221: concave / convex portion 321: injection hole
1a, 1b: Slots 2a, 2d: Through holes on the upper surface
2b, 2c: side through holes

Claims (10)

치아에 부착되어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고정하는 브라켓으로서,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슬롯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브라켓을 치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슬롯에 연결되는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슬롯 및 상기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슬롯 및 상기 관통홀 중 어느 하나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A bracket for attaching to a tooth and fixing the orthodontic wire,
A body portion having at least one slot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And
And a fixing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art and fixing the bracket to the teeth,
Wherein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the through hole being connected to the slot,
Wherein the wire is inserted into one of the slot and the through hole and is drawn out to one of the slot and the through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ough hole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through-holes are plura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슬롯에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through-hole is formed parallel to the slo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lot has a plurality of slot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슬롯을 연결하는 내측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n inner spac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lot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롯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slots ar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양측 또는 편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to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치아와 접촉하는 일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ortion has a concave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xture portion that contacts the teeth.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하나의 브라켓을 사용한 치열 교정 방법으로서,
고정부를 치아에 고정하는 단계;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슬롯의 일측 끝단 및 관통홀 중 어느 하나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를 상기 슬롯의 타측 끝단 및 관통홀 중 어느 하나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방법.
10. An orthodontic method using one of the bracket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Securing the fixture to the tooth;
Inserting the orthodontic wire into one of the one end of the slot and the through hole; And
And drawing the wire to one of the other end of the slot and the through hole.
KR1020170052897A 2017-04-25 2017-04-25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Active KR1019756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97A KR101975655B1 (en) 2017-04-25 2017-04-25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97A KR101975655B1 (en) 2017-04-25 2017-04-25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316A true KR20180119316A (en) 2018-11-02
KR101975655B1 KR101975655B1 (en) 2019-05-07

Family

ID=6432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897A Active KR101975655B1 (en) 2017-04-25 2017-04-25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65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071B1 (en) * 2019-02-28 2020-04-10 박상필 Apparatus for attaching the orthodontic bracket to the correct position of the tooth
KR20210085498A (en) * 2019-12-30 2021-07-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Orthodontic instrument and bite block
KR20210124825A (en) * 2020-04-07 2021-10-15 디디에이치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orthodontic bracket with a customized base
CN114081646A (en) * 2021-11-24 2022-02-25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Self-locking correction system beneficial to multi-dimensional contr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421B1 (en) * 2020-02-27 2020-07-31 주식회사 뷰티스 Bracket for orthodontics and orthodontic apparatus with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2345B2 (en) * 2002-03-25 2004-01-27 Tp Orthodontics, Inc. Orthodontic bracket
KR20090010218A (en) * 2006-04-26 2009-01-29 알엠오인코포레이티드 Orthodontic Bracket with Removable Slot Cover
WO2009116560A1 (en) * 2008-03-18 2009-09-24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Orthodontic bracket
JP2013121367A (en) * 2010-03-23 2013-06-20 Dentsply Sankin Kk Orthodontic bracket structure, and method for moving the same
KR101316946B1 (en) 2013-03-15 2013-10-11 이향이 Ceramic compositions for orthodontics brackets, orthodontics bracket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140302448A1 (en) * 2013-04-05 2014-10-09 Benjamin Cassalia Orthodontic Wire Alignment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2345B2 (en) * 2002-03-25 2004-01-27 Tp Orthodontics, Inc. Orthodontic bracket
KR20090010218A (en) * 2006-04-26 2009-01-29 알엠오인코포레이티드 Orthodontic Bracket with Removable Slot Cover
WO2009116560A1 (en) * 2008-03-18 2009-09-24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Orthodontic bracket
JP2013121367A (en) * 2010-03-23 2013-06-20 Dentsply Sankin Kk Orthodontic bracket structure, and method for moving the same
KR101316946B1 (en) 2013-03-15 2013-10-11 이향이 Ceramic compositions for orthodontics brackets, orthodontics bracket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140302448A1 (en) * 2013-04-05 2014-10-09 Benjamin Cassalia Orthodontic Wire Alignment System and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071B1 (en) * 2019-02-28 2020-04-10 박상필 Apparatus for attaching the orthodontic bracket to the correct position of the tooth
KR20210085498A (en) * 2019-12-30 2021-07-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Orthodontic instrument and bite block
KR20210124825A (en) * 2020-04-07 2021-10-15 디디에이치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orthodontic bracket with a customized base
CN114081646A (en) * 2021-11-24 2022-02-25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Self-locking correction system beneficial to multi-dimensional control
CN114081646B (en) * 2021-11-24 2023-11-28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Self-locking correction system beneficial to multidimensional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655B1 (en)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655B1 (en)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KR200207524Y1 (en) Orthodontic implant
KR102598366B1 (en) Orthodontic appliance
US10278793B2 (en) Orthodontic indirect bonding tray including stabilization features
KR20180116686A (en)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KR101579455B1 (en)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KR101555676B1 (en) Orthodontic bracket with slot switching structure
KR102080241B1 (en) apparatus of cylinder for dental implant
CN103857356A (en) Orthodontic appliances with tapered archwire slots
CN111437051A (en) Stress application type tooth correc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078709A (en) A device for correcting ingrowing foot nails and a method for cosmetic correction of ingrowing foot nails
JP4270499B2 (en) Bone positioning tool
KR101995372B1 (en)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KR102092592B1 (en) Tube Type Orthodontic Appliance For Supporting Orthodontic Wire
KR102140421B1 (en) Bracket for orthodontics and orthodontic apparatus with the same
US2022018379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tting device for an orthodontic apparatus
KR100974081B1 (en)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KR101995499B1 (en) Plural bracket for orthodontics
KR101983791B1 (en) Nose forming implant
KR101802219B1 (en) Nail correcting device
RU2645241C1 (en) Brace
JP7361226B2 (en) Rod pusher and surgical instrument system
KR101506786B1 (en) Orthodontic appliance
KR20230093778A (en) Orthodontic device
KR10285401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invisal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