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949A -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기 화학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기 화학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39949A KR20190139949A KR1020197033520A KR20197033520A KR20190139949A KR 20190139949 A KR20190139949 A KR 20190139949A KR 1020197033520 A KR1020197033520 A KR 1020197033520A KR 20197033520 A KR20197033520 A KR 20197033520A KR 20190139949 A KR20190139949 A KR 201901399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lyte
- salt
- mixture layer
- electrode mixture
- negative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7784 sol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29910003480 inorganic soli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159000000007 calc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159000000003 magnes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159000000000 sod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1 bis (fluorosulfonyl) imide anion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claims description 6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03481 amorphous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688 Gadol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79 Neody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72 Sama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27 ytt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BXHHZLMBMOBPEH-UHFFFAOYSA-N diethyl-(2-methoxyethyl)-methylazanium Chemical compound CC[N+](C)(CC)CCOC BXHHZLMBMOBPE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QGZKDVFQNNGYKY-UHFFFAOYSA-O Ammonium Chemical compound [NH4+] QGZKDVFQNNGYKY-UHFFFAOYSA-O 0.000 claims 1
- 125000001495 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 0.000 claims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612 dispersion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21437 lithium-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25000001624 naphth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6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20808 NaBF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258 condu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608 ionic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Substances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20366 Cl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10629 Li6.75La3Zr1.75Nb0.25O1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13075 LiBF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4
- YIOJGTBNHQAVBO-UHFFFAOYSA-N dimethyl-bis(prop-2-enyl)azanium Chemical compound C=CC[N+](C)(C)CC=C YIOJGTBNHQAV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34 powder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367 deionis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641 deionized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486 organic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624 transition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EJRWHAVMIAJKC-UHFFFAOYSA-N 4-Butyrolactone Chemical compound O=C1CCCO1 YEJRWHAVMIAJK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69 KF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984 Li(Co1/3Ni1/3Mn1/3)O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3063 LiBF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83 Tr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CKFRRHLHAJZIIN-UHFFFAOYSA-N cobalt lithium Chemical compound [Li].[Co] CKFRRHLHAJZII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HGJSLXSVXVKHZ-UHFFFAOYSA-N dilithium;dioxido(dioxo)manganese Chemical compound [Li+].[Li+].[O-][Mn]([O-])(=O)=O QHGJSLXSVXVK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06 doctor blad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319 transition metal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291 vacuum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XMGHDIOOHOAAE-UHFFFAOYSA-N 1,1,1-trifluoro-n-(trifluoromethylsulfonyl)methanesulfonamide Chemical compound FC(F)(F)S(=O)(=O)NS(=O)(=O)C(F)(F)F ZXMGHDIOOHOA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81 Ethylene propyl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684 LiCl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707 LiFeP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645 LiM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4411 LiNi1/2Mn1/2O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4395 LiNi1/2Mn3/2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28 NAS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286 Sb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300 argon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3 artifici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4 carbon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1 channel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RKTYLMNFRDHKIL-UHFFFAOYSA-N copper;5,10,15,20-tetraphenylporphyrin-22,24-diide Chemical compound [Cu+2].C1=CC(C(=C2C=CC([N-]2)=C(C=2C=CC=CC=2)C=2C=CC(N=2)=C(C=2C=CC=CC=2)C2=CC=C3[N-]2)C=2C=CC=CC=2)=NC1=C3C1=CC=CC=C1 RKTYLMNFRDHKI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URSLCTBXQMKCFE-UHFFFAOYSA-N dihydrogenborate Chemical compound OB(O)[O-] URSLCTBXQMKCF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94 dissoci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93 dissocia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709 fluoro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2 furnac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23 garn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1 glass-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73 ketje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01 laminat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3 lamp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2 natur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20 organ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69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84 polyacry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SUKJFIGYRHOWBL-UHFFFAOYSA-N sodium hypochlorite Chemical compound [Na+].Cl[O-] SUKJFIGYRHOW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4 thermal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08K3/105—Compounds containing metals of Groups 1 to 3 or of Groups 11 to 13 of the Periodic Tabl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3—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lith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2—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8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obal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3—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nicke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H01M2300/0074—Ion conductive at high temperature
- H01M2300/0077—Ion conductive at high temperature based on zirconium oxid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기 화학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에너지 디바이스이며, 그의 특성을 살려, 노트북 컴퓨터, 휴대 전화 등의 포터블 기기, 전기 자동차의 전원 등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정극과 부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끼우고, 세퍼레이터에는 유기 전해액이 함침되어 있다. 이러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는, 이상의 발생에 수반하여 전지의 온도가 상승한 경우, 누액 및 가연성인 유기 전해액으로부터의 발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있어서, 고에너지 밀도화 및 대형화에 착수하는데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구성으로부터 발화 등의 사태를 피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발화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유기 전해액을 사용하지 않는 구성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고체 전해질의 개발이 왕성하다. 그러나, 고체 전해질을 전해질층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고체 전해질의 유연성 및 유동성의 낮음으로 인해, 고체 전해질과 전극 합제층에 포함되는 전극 활물질 사이에서 계면이 형성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특히 산화물계의 무기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경향이 현저하다. 이것을 해소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전극 합제층의 이온 도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리튬 이온 전지에 있어서, 전극 합제층에 무기 고체 전해질을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서 사용되는 무기 고체 전해질은, 유연성이 부족하여, 정극 및 부극에 있어서의 전극 합제층 내부의 공극의 형태에 맞춘 형상 변화가 곤란하기 때문에, 원하는 전지 특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계면 형성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기 고체 전해질의 첨가량을 증가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전극 내의 전극 활물질 비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전지의 에너지 밀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무기 고체 전해질을 전해질층에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전지 특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집전체와, 집전체 상에 마련된 전극 합제층과, 전극 합제층 상에 마련된 전해질층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며, 전극 합제층이, 전극 활물질과,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와, 리튬염, 나트륨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전해질염과, 융점이 250℃ 이하인 용융염을 함유하고, 전해질층이 무기 고체 전해질을 함유하는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이다.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는 이차 전지용 부재이면 된다.
[식 (1) 중, X-는 반대 음이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에 의하면, 전해질층과 전극 합제층 사이에서 양호한 계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지 특성을 높일 수 있다.
무기 고체 전해질은 산화물이면 된다. 무기 고체 전해질은,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산화물 또는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산화물이어도 된다.
[식 (2) 중, A1은 Y, Nd, Sm 및 Gd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소를 나타내고, M1은 Nb 및 T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소를 나타내고, 0≤a<3이며, 0≤b<2이다.]
[식 (3) 중, 0≤c<2이며, 0≤d<3이다.]
전극 합제층에 있어서의 폴리머의 함유량은, 폴리머, 전해질염 및 용융염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30질량%이면 된다.
전해질염의 음이온은,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음이온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이면 된다.
전해질염의 양이온은,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 양이온, 또는 N-메틸-N-프로필피롤리디늄 양이온이면 된다.
전극 합제층이 부극 합제층이고, 전극 활물질이 부극 활물질인 경우에 있어서, 부극 활물질은, 흑연, 비정질 탄소, 카본 블랙, 금속 산화물, 금속 리튬, 금속 나트륨, 금속 칼슘 및 금속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전극 합제층을 갖는 1쌍의 전극과, 1쌍의 전극 사이에 마련된 전해질층을 구비하며, 전극 합제층이, 전극 활물질과,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와, 리튬염, 나트륨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전해질염과, 융점이 250℃ 이하인 용융염을 함유하고, 전해질층이 무기 고체 전해질을 함유하는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다. 전기 화학 디바이스는 이차 전지이면 된다.
[식 (1) 중, X-는 반대 음이온을 나타낸다.]
무기 고체 전해질은 산화물이면 된다. 무기 고체 전해질은,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산화물 또는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산화물이면 된다.
[식 (2) 중, A1은 Y, Nd, Sm 및 Gd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소를 나타내고, M1은 Nb 및 T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소를 나타내고, 0≤a<3이며, 0≤b<2이다.]
[식 (3) 중, 0≤c<2이며, 0≤d<3이다.]
전극 합제층에 있어서의 폴리머의 함유량은, 폴리머, 전해질염 및 용융염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30질량%이면 된다.
전해질염의 음이온은,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음이온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이면 된다.
전해질염의 양이온은,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 양이온, 또는 N-메틸-N-프로필피롤리디늄 양이온이면 된다.
1쌍의 전극은, 정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정극 합제층을 갖는 정극 및 부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부극 합제층을 갖는 부극인 경우에 있어서, 부극 활물질은, 흑연, 비정질 탄소, 카본 블랙, 금속 산화물, 금속 리튬, 금속 나트륨, 금속 칼슘 및 금속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기 고체 전해질을 전해질층에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전지 특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 및 이것을 사용한 전기 화학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차 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차 전지)의 전극군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차 전지)용 부재(정극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b)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차 전지)용 부재(부극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차 전지)의 전극군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차 전지)용 부재(바이폴라 전극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차 전지)의 전극군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차 전지)용 부재(정극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b)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차 전지)용 부재(부극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차 전지)의 전극군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차 전지)용 부재(바이폴라 전극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그의 구성 요소(스텝 등도 포함함)는 특별히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필수적이지는 않다. 각 도면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의 크기는 개념적인 것이며, 구성 요소간의 크기의 상대적인 관계는 각 도면에 나타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수치 및 그 범위에 대해서도 동일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난 수치 범위는, 「내지」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솟값 및 최대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하나의 수치 범위로 기재된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다른 단계적인 기재의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그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본 명세서 중 「전극」이란, 정극 또는 부극을 의미한다. 동일하게, 전극 집전체는 정극 집전체 또는 부극 집전체, 전극 합제층은 정극 합제층 또는 부극 합제층, 전극 활물질은 정극 활물질 또는 부극 활물질, 전극 활물질층은 정극 활물질층 또는 부극 활물질층, 전극 전구체는 정극 전구체 또는 부극 전구체를 의미한다. 다른 유사한 표현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본 명세서 중, 약칭으로서 이하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EMI]+: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DEME]+: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 양이온
[Py12]+: N-에틸-N-메틸피롤리디늄 양이온
[Py13]+: N-메틸-N-프로필피롤리디늄 양이온
[PP13]+: N-메틸-N-프로필피페리디늄 양이온
[FSI]-: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음이온
[TFSI]-: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
[f3C]-: 트리스(플루오로술포닐)카르보 음이온
[BOB]-: 비스옥살레이트보레이트 음이온
[P(DADMA)][Cl]: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P(DADMA)][TFSI]: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차 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기 화학 디바이스는 이차 전지이면 된다. 이하에서는, 이차 전지의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차 전지(1)는, 1쌍의 전극 및 전해질층, 즉 정극, 부극 및 전해질층으로 구성되는 전극군(2)과, 전극군(2)을 수용하는 주머니상의 전지 외장체(3)를 구비하고 있다. 정극 및 부극에는, 각각 정극 집전탭(4) 및 부극 집전탭(5)이 마련되어 있다. 정극 집전탭(4) 및 부극 집전탭(5)은, 각각 정극 및 부극이 이차 전지(1)의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전지 외장체(3)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전지 외장체(3)는, 예를 들어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라미네이트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의 수지 필름과,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박과, 폴리프로필렌 등의 실란트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 필름이면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차 전지)의 전극군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군(2A)은, 전극 합제층을 갖는 1쌍의 전극 및 1쌍의 전극 사이에 마련된 전해질층, 즉 정극(6), 전해질층(7) 및 부극(8)을 이 순서대로 구비한다. 정극(6)은 제1 집전체(9)와, 제1 집전체(9) 상에 마련된 정극 합제층(10)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집전체(9)는 정극 집전체이다. 정극(6)의 제1 집전체(9)에는, 정극 집전탭(4)이 마련되어 있다. 부극(8)은 제2 집전체(11)와, 제2 집전체(11) 상에 마련된 부극 합제층(12)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집전체(11)는 부극 집전체이다. 부극(8)의 제2 집전체(11)에는, 부극 집전탭(5)이 마련되어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극군(2A)에는, 제1 집전체(9)와, 정극 합제층(10)과, 전해질층(7)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는 제1 전지 부재(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 정극 부재)가 포함되어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도 3의 (a)는 제1 전지 부재(정극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지 부재(13)는, 제1 집전체(9)와, 제1 집전체(9) 상에 마련된 정극 합제층(10)과, 정극 합제층(10) 상에 마련된 전해질층(7)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는 정극 부재이다.
제1 집전체(9)(정극 집전체)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집전체(9)는 구체적으로는, 구멍 직경 0.1 내지 10mm의 구멍을 갖는 알루미늄제 천공박, 익스팬드 메탈, 발포 금속판 등이면 된다. 제1 집전체(9)는 상기 이외에도, 전지의 사용 중에 용해, 산화 등의 변화를 발생하지 않는 것이면, 임의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그의 형상, 제조 방법 등도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집전체(9)의 두께는 1㎛ 이상, 5㎛ 이상 또는 10㎛ 이상이면 된다. 제1 집전체(9)의 두께는 100㎛ 이하, 50㎛ 이하 또는 20㎛ 이하이면 된다.
정극 합제층(10)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극 활물질과, 특정한 폴리머와, 특정한 전해질염과, 특정한 용융염을 함유한다.
정극 합제층(10)은 정극 활물질을 함유한다. 정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 리튬 전이 금속 인산염 등의 리튬 전이 금속 화합물이면 된다.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은, 망간산리튬, 니켈산리튬, 코발트산리튬 등이면 된다.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은, 망간산리튬, 니켈산리튬, 코발트산리튬 등에 함유되는 Mn, Ni, Co 등의 전이 금속의 일부를,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다른 전이 금속, 또는 Mg, Al 등의 금속 원소(전형 원소)로 치환한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이어도 된다. 즉,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은 LiM1O2 또는 LiM1O4(M1은 적어도 1종의 전이 금속을 포함함)로 표시되는 화합물이어도 된다.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은 구체적으로는 Li(Co1/3Ni1/3Mn1/3)O2, LiNi1/2Mn1/2O2, LiNi1/2Mn3/2O4 등이어도 된다.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은, 에너지 밀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LiaNibCocM2 dO2+e (A)
[식 (A) 중, M2는 Al, Mn, Mg 및 C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a, b, c, d 및 e는 각각 0.2≤a≤1.2, 0.5≤b≤0.9, 0.1≤c≤0.4, 0≤d≤0.2, -0.2≤e≤0.2, 또한 b+c+d=1을 만족시키는 수이다.]
리튬 전이 금속 인산염은, LiFePO4, LiMnPO4, LiMnxM3 1-xPO4(0.3≤x≤1, M3은 Fe, Ni, Co, Ti, Cu, Zn, Mg 및 Zr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임) 등이어도 된다.
정극 활물질의 함유량은, 정극 합제층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70질량% 이상, 80질량% 이상 또는 90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정극 활물질의 함유량은, 정극 합제층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99질량% 이하여도 된다.
정극 합제층(10)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를 함유한다.
일반식 (1) 중, X-는 반대 음이온을 나타낸다. 여기서, X-로서는, 예를 들어 BF4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음이온), PF6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음이온), N(FSO2)2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음이온, [FSI]-), N(CF3SO2)2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 [TFSI]-), C(SO2F)3 -(트리스(플루오로술포닐)카르보 음이온, [f3C]-), B(C2O4)2 -(비스옥살레이트보레이트 음이온, [BOB]-), BF3(CF3)-, BF3(C2F5)-, BF3(C3F7)-, BF3(C4F9)-, C(SO2CF3)3 -, CF3SO2O-, CF3COO-, RCOO-(R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X-는 바람직하게는 BF4 -, PF6 -, [FSI]-, [TFSI]- 및 [f3C]-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보다 바람직하게는 [TFSI]- 또는 [FSI]-이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의 점도 평균 분자량 Mv(g·mol-1)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104 이상 또는 1.0×105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폴리머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5.0×106 이하 또는 1.0×106 이하여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도 평균 분자량」란, 일반적인 측정 방법인 점도법에 의해 평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JIS K 7367-3:1999에 기초하여 측정한 극한 점도수[η]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는, 이온 전도성의 관점에서,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폴리머, 즉 호모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는, 하기 일반식 (1A)로 표시되는 폴리머이면 된다.
일반식 (1A) 중, n은 300 내지 4000이며, Y-는 반대 음이온을 나타낸다. Y-는 X-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n은 300 이상, 400 이상 또는 500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n은 4000 이하, 3500 이하 또는 3000 이하여도 된다. 또한, n은 300 내지 4000, 400 내지 3500, 또는 500 내지 3000이면 된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Journal of Power Sources 2009, 188, 558-563에 기재된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X-=[TFSI]-)는, 예를 들어 이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먼저,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P(DADMA)][Cl])를 탈이온수에 용해시키고, 교반하여 [P(DADMA)][Cl] 수용액을 제작한다. [P(DADMA)][Cl]은, 예를 들어 시판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별도로 Li[TFSI]를 탈이온수에 용해시키고, Li[TFSI]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제작한다.
그 후, [P(DADMA)][Cl]에 대한 Li[TFSI]의 몰비(Li[TFSI]의 몰수/[P(DADMA)][Cl]의 몰수)가 1.2 내지 2.0이 되도록, 2개의 수용액을 혼합하여 2 내지 8시간 교반하고, 고체를 석출시켜, 얻어진 고체를 여과 회수한다.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고체를 세정하고, 12 내지 48시간 진공 건조시킴으로써,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P(DADMA)][TFSI])를 얻을 수 있다.
정극 합제층(10)에 있어서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의 함유량은, 폴리머, 전해질염 및 용융염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30질량%이면 된다.
정극 합제층(10)은, 리튬염, 나트륨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전해질염을 함유한다.
전해질염은, 통상의 이온 전지용 전해액의 전해질염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전해질염의 음이온은 할로겐화물 이온(I-, Cl-, Br- 등), SCN-, BF4 -, BF3(CF3)-, BF3(C2F5)-, BF3(C3F7)-, BF3(C4F9)-, PF6 -, ClO4 -, SbF6 -, [FSI]-, [TFSI]-, N(C2F5SO2)2 -, BPh4 -, B(C2H4O2)2 -, [f3C]-, C(CF3SO2)3 -, CF3COO-, CF3SO2O-, C6F5SO2O-, [BOB]-, RCOO-(R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다.) 등이면 된다. 이들 중에서도, 전해질염의 음이온은 바람직하게는 PF6 -, BF4 -, [FSI]-, [TFSI]-, [BOB]- 및 ClO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보다 바람직하게는 [TFSI]- 또는 [FSI]-, 더욱 바람직하게는 [FSI]-이다.
리튬염은 LiPF6, LiBF4, Li[FSI], Li[TFSI], Li[f3C], Li[BOB], LiClO4, LiBF3(CF3), LiBF3(C2F5), LiBF3(C3F7), LiBF3(C4F9), LiC(SO2CF3)3, LiCF3SO2O, LiCF3COO, LiRCOO(R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다.) 등이면 된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나트륨염은 NaPF6, NaBF4, Na[FSI], Na[TFSI], Na[f3C], Na[BOB], NaClO4, NaBF3(CF3), NaBF3(C2F5), NaBF3(C3F7), NaBF3(C4F9), NaC(SO2CF3)3, NaCF3SO2O, NaCF3COO, NaRCOO(R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다.) 등이면 된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마그네슘염은 Mg(PF6)2, Mg(BF4)2, Mg[FSI]2, Mg[TFSI]2, Mg[f3C]2, Mg[BOB]2, Mg(ClO4)2, Mg[BF3(CF3)3]2, Mg[BF3(C2F5)]2, Mg[BF3(C3F7)]2, Mg[BF3(C4F9)]2, Mg[C(SO2CF3)3]2, Mg(CF3SO2O)2, Mg(CF3COO)2, Mg(RCOO)2(R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다.) 등이면 된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칼슘염은 Ca(PF6)2, Ca(BF4)2, Ca[FSI]2, Ca[TFSI]2, Ca[f3C]2, Ca[BOB]2, Ca(ClO4)2, Ca[BF3(CF3)3]2, Ca[BF3(C2F5)]2, Ca[BF3(C3F7)]2, Ca[BF3(C4F9)]2, Ca[C(SO2CF3)3]2, Ca(CF3SO2O)2, Ca(CF3COO)2, Ca(RCOO)2(R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다.) 등이면 된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해리성 및 전기 화학적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리튬염, 보다 바람직하게는 LiPF6, LiBF4, Li[FSI], Li[TFSI], Li[f3C], Li[BOB] 및 LiClO4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더욱 바람직하게는 Li[TFSI] 또는 Li[FSI], 더욱 바람직하게는 Li[FSI]이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에 대한 전해질염의 질량비(전해질염의 질량/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의 질량)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1 이상, 0.15 이상 또는 0.2 이상이어도 된다. 질량비가 0.1 이상이면, 이온 캐리어 농도가 충분해지고, 이온 전도도가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질량비의 상한은, 예를 들어 1.0 이하, 0.9 이하 또는 0.8 이하여도 된다.
정극 합제층(10)에 있어서의 전해질염의 함유량은, 폴리머, 전해질염 및 용융염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40질량%이면 된다.
정극 합제층(10)은, 융점이 250℃ 이하인 용융염을 함유한다. 용융염은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용융염은, 융점이 250℃ 이하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이온 액체 또는 유점성 결정(플라스틱 크리스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온 액체」는, 30℃에서 액체인 용융염, 즉 융점이 30℃ 이하인 용융염을 의미하고, 「유점성 결정」은 30℃에서 고체인 용융염, 즉 융점이 30℃보다 높은 용융염을 의미한다.
이온 액체는, 30℃에서 액체인 용융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이온으로서 [EMI]+, [DEME]+, [Py12]+, [Py13]+ 또는 [PP13]+와, 음이온으로서 PF6 -, BF4 -, [FSI]-, [TFSI]- 또는 [f3C]-를 조합한 것으로, 30℃에서 액체인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EMI][TFSI](융점: -15℃), [DEME][TFSI](융점: -83℃), [EMI][FSI](융점: -13℃), [DEME][FSI](융점: <25℃), [Py13][FSI](융점: -10℃)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유점성 결정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온 액체의 융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5℃ 이하, 10℃ 이하 또는 0℃ 이하여도 된다. 융점이 25℃ 이하이면, 실온(예를 들어, 25℃ 이하)에 있어서도, 이온 전도도가 저하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이온 액체의 융점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50℃ 이상, -120℃ 이상 또는 -90℃ 이상이어도 된다.
유점성 결정은 30℃에서 고체이며, 융점이 250℃ 이하인 용융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이온으로서 [EMI]+, [DEME]+, [Py12]+, [Py13]+ 또는 [PP13]+와, 음이온으로서 PF6 -, BF4 -, [FSI]-, [TFSI]- 또는 [f3C]-를 조합한 것이며, 30℃에서 고체인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Py12][TFSI](융점: 90℃), [Py12][FSI](융점: 205℃), [DEME][f3C](융점: 69℃), [Py13][f3C](융점: 177℃), [PP13][f3C](융점: 14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이온 액체와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유점성 결정은, 융점이 80℃ 이상이면, 통상의 전지 사용 시에 누액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유점성 결정을 사용함으로써, 단일셀 내에 전극이 직렬로 적층된 바이폴라 전극을 갖는 전지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용융염의 양이온은, 이온 전도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EMI]+, [DEME]+ 또는 [Py13]+, 보다 바람직하게는 [EMI]+이다. 용융염의 음이온은, 이온 전도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FSI]- 또는 [TFSI]-, 보다 바람직하게는 [FSI]-이다. 용융염은, 이온 전도도의 관점에서 [EMI][FSI], [DEME][FSI] 또는 [Py13][FSI]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EMI][FSI]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점성 결정의 융점은 250℃ 이하이고, 200℃ 이하, 150℃ 이하 또는 100℃ 이하여도 된다. 융점이 250℃ 이하이면, 이온 전도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용융염의 융점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8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용융염의 함유량은, 폴리머, 전해질염 및 용융염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70질량%이면 된다.
정극 합제층(10)은 도전제, 바인더 등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도전제는, 카본 블랙, 흑연, 탄소 섬유, 카본 나노튜브, 아세틸렌 블랙 등이면 된다.
도전제의 함유량은, 정극 합제층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5질량%이면 된다.
바인더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불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아크릴산,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등의 수지; 이들 수지를 주골격으로서 갖는 공중합체의 수지(예를 들어, 폴리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등이어도 된다.
바인더의 함유량은, 정극 합제층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5질량%이면 된다.
정극 합제층(1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 이상, 20㎛ 이상 또는 30㎛ 이상이면 된다. 정극 합제층(10)의 두께는 100㎛ 이하, 80㎛ 이하 또는 60㎛ 이하이면 된다.
정극 합제층(10)의 합제 밀도는 1g/cm3 이상이어도 된다.
전해질층(7)은 무기 고체 전해질을 함유한다. 전해질층(7)이 무기 고체 전해질을 함유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가연성 성분을 적게 할 수 있어, 전지의 발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전해질층(7)은 무기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무기 고체 전해질이 시트상으로 형성된 것(무기 고체 전해질 시트)이어도 된다.
무기 고체 전해질은, 바람직하게는 (복합) 산화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복합) 산화물 또는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복합) 산화물이다.
식 (2) 중, A1은 Y, Nd, Sm 및 Gd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소를 나타내고, M1은 Nb 및 T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소를 나타내고, 0≤a<3이며, 0≤b<2이다.
식 (3) 중, 0≤c<2이며, 0≤d<3이다. 또한, (Ti, Ge)는 Ti 또는 Ge 중 어느 한쪽, 또는 Ti 및 Ge의 양쪽인 것을 의미한다.
식 (2)로 표시되는 산화물은, 가닛형 결정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식 (2)로 표시되는 산화물의 결정계는, 입방정계여도 정방정계여도 되지만, 보다 우수한 이온 전도도를 갖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입방정계이다.
식 (2)로 표시되는 산화물의 결정 구조는, CuKα선을 사용한 분말 X선 회절 측정을 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당해 산화물은, 분말 X선 회절 패턴(CuKα: λ=1.5418Å)에 있어서, 회절각(2θ)=16.0° 내지 17.0°, 25.0° 내지 26.0°, 27.0° 내지 28.0°, 33.0° 내지 34.0°, 35.0° 내지 36.0°, 37.0° 내지 38.0°, 44.0° 내지 45.0°, 및 52.0° 내지 53.0°의 범위에 주요한 피크를 갖고 있다.
식 (2)로 표시되는 산화물은, 구체적으로는 Li7La3Zr2O12(LLZ), Li6.75La3Zr1.75Nb0.25O12(LLZ-Nb), Li6.75La3Zr1.75Ta0.25O12 등이어도 된다.
식 (3)으로 표시되는 산화물은, Li 치환 NASICON형의 결정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식 (3)으로 표시되는 산화물의 결정 구조는, CuKα선을 사용한 분말 X선 회절 측정을 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당해 산화물은, 분말 X선 회절 패턴(CuKα: λ=1.5418Å)에 있어서, 회절각(2θ)=15.0° 내지 16.0°, 22.0° 내지 23.0°, 25.0 내지 26.0°, 31.0° 내지 32.0°, 34.0° 내지 35.0°, 37.0° 내지 38.0°, 49.0° 내지 50.0°, 59.0° 내지 60.0°의 범위에 주요한 피크를 갖고 있다.
식 (3)으로 표시되는 산화물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도성 유리 세라믹스 LICGCTMAG-01(가부시키가이샤 오하라제)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해질층(7)의 두께는, 강도를 높이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5 내지 500㎛이면 된다.
다른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극군(2A)에는, 제2 집전체(11)와, 부극 합제층(12)과, 전해질층(7)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는 제2 전지 부재(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 부극 부재)가 포함되어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도 3의 (b)는 제2 전지 부재(부극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전지 부재(14)는, 제2 집전체(11)와, 제2 집전체(11) 상에 마련된 부극 합제층(12)과, 부극 합제층(12) 상에 마련된 전해질층(7)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는 부극 부재이다. 전해질층(7)은 상술한 제1 전지 부재(13)에 있어서의 전해질층(7)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집전체(11)(부극 집전체)는 구리,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니켈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집전체(11)는 구체적으로는, 압연 구리박, 구멍 직경 0.1 내지 10mm의 구멍을 갖는 구리제 천공박, 익스팬드 메탈, 발포 금속판 등이면 된다. 제2 집전체(11)는 상기 이외의 임의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그의 형상, 제조 방법 등도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집전체(11)의 두께는 1㎛ 이상, 5㎛ 이상 또는 10㎛ 이상이면 된다. 제2 집전체(11)의 두께는 100㎛ 이하, 50㎛ 이하 또는 20㎛ 이하이면 된다.
부극 합제층(12)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극 활물질과, 특정한 폴리머와, 특정한 전해질염과, 특정한 용융염을 함유한다.
부극 합제층(12)은 부극 활물질을 함유한다.
부극 활물질은, 이차 전지 등의 통상의 에너지 디바이스 분야의 부극 활물질로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부극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인편상 흑연 등), 인공 흑연 등의 흑연, 비정질 탄소,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서멀 블랙 등의 카본 블랙, 탄소 섬유, Li4Ti5O12 등의 금속 산화물, 금속 리튬, 금속 나트륨, 금속 칼슘, 금속 마그네슘, 금속 착체, 유기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부극 활물질은 흑연, 비정질 탄소, 카본 블랙, 금속 산화물, 금속 리튬, 금속 나트륨, 금속 칼슘 및 금속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부극 활물질의 함유량은, 부극 합제층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60질량% 이상, 65질량% 이상 또는 70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부극 활물질의 함유량은, 부극 합제층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99질량% 이하, 95질량% 이하 또는 90질량% 이하여도 된다.
부극 합제층(12)은, 정극 합제층(10)에 함유되는,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와, 리튬염, 나트륨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전해질염과, 융점이 250℃ 이하인 용융염을 함유한다. 이들 함유량은 정극 합제층(10)과 동일해도 된다.
부극 합제층(12)은, 정극 합제층(10)에 함유될 수 있는 도전제, 바인더 등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함유량은 정극 합제층(10)과 동일해도 된다.
부극 합제층(12)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 이상, 15㎛ 이상 또는 20㎛ 이상이면 된다. 부극 합제층(12)의 두께는, 50㎛ 이하, 45㎛ 이하 또는 40㎛ 이하이면 된다.
부극 합제층(12)의 합제 밀도는 1g/cm3 이상이어도 된다.
계속해서, 상술한 이차 전지(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차 전지(1)의 제조 방법은, 정극(6)을 얻는 제1 공정과, 부극(8)을 얻는 제2 공정과, 정극(6)과 부극(8) 사이에 전해질층(7)을 마련하는 제3 공정을 구비한다.
제1 공정에 있어서의 정극(6)의 제조 방법은, 제1 집전체(9)의 적어도 한쪽 주면 상에 정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정극 활물질층이 마련된 정극 전구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 전해질염, 용융염 및 분산매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정극 활물질층에 첨가하는 공정과, 정극 활물질층에 첨가된 슬러리로부터 휘발 성분을 제거하여 정극 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정극 전구체에 있어서의 정극 활물질층은, 예를 들어 정극 활물질, 도전제, 바인더 등을 분산매에 분산시킨 슬러리를 제작하고, 당해 슬러리를 제1 집전체(9)에 도포 건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분산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물, 알코올과 물의 혼합 용매 등의 수계 용제, N-메틸-2-피롤리돈 등의 유기 용제이면 된다.
이어서,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 전해질염 및 용융염을 분산매에 분산시킨 슬러리를 제작한다. 그 후, 당해 슬러리를 정극 활물질층에 첨가한다. 슬러리를 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하, 도포, 인쇄 등을 들 수 있다. 분산매는, 폴리머가 용해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아세톤, 에틸메틸케톤, γ-부티로락톤 등이면 된다.
그 후, 정극 활물질층에 첨가된 용액으로부터 휘발 성분을 제거하여, 정극 합제층을 형성한다. 휘발 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사용되는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제2 공정에 있어서의 부극(8)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정극(6)과 동일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즉, 부극(8)의 제조 방법은, 부극 집전체의 적어도 한쪽 주면 상에 부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부극 활물질층이 마련된 부극 전구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 전해질염, 용융염 및 분산매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부극 활물질층에 첨가하는 공정과, 부극 활물질층에 첨가된 슬러리로부터 휘발 성분을 제거하여 부극 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제3 공정에서는, 정극(6), 전해질층(7) 및 부극(8)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다. 전해질층(7)은, 무기 고체 전해질을 시트 형상으로 형성한 무기 고체 전해질 시트이면 된다. 이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차 전지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전해질층(7)(무기 고체 전해질 시트)은, 정극(6)의 정극 합제층(10)과 부극(8)의 부극 합제층(12)이 접하도록, 즉 제1 집전체(9), 정극 합제층(10), 전해질층(7), 부극 합제층(12) 및 제2 집전체(11)가 이 순서로 배치되도록 적층한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화학 디바이스(이차 전지)의 전극군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차 전지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차 전지와 상이한 점은, 전극군(2B)이 바이폴라 전극(15)을 더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즉, 전극군(2B)은, 정극(6)과, 제1 전해질층(7)과, 바이폴라 전극(15)과, 제2 전해질층(7)과, 부극(8)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고 있다.
바이폴라 전극(15)은, 제3 집전체(16)와, 제3 집전체(16)의 부극(8)측의 면에 마련된 정극 합제층(10)과, 제3 집전체(16)의 정극(6)측의 면에 마련된 부극 합제층(12)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이차 전지에 있어서, 전극군(2B)에는, 제1 전해질층(7)과, 바이폴라 전극(15)과, 제2 전해질층(7)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는 제3 전지 부재(바이폴라 전극 부재)가 포함되어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도 5는 제3 전지 부재(바이폴라 전극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전지 부재(17)는, 제3 집전체(16)와, 제3 집전체(16)의 한쪽 면 상에 마련된 정극 합제층(10)과, 정극 합제층(10) 상에 있어서의 제3 집전체(16)와 반대측에 마련된 제2 전해질층(7)과, 제3 집전체(16)의 다른 쪽 면 상에 마련된 부극 합제층(12)과, 부극 합제층(12) 상에 있어서의 제3 집전체(16)와 반대측에 마련된 제1 전해질층(7)을 구비하고 있다.
제3 집전체(16)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등의 금속 단체, 알루미늄과 구리 또는 스테인리스강과 구리를 압연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클래드재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전해질층(7)과 제2 전해질층(7)은 서로 동종이어도 이종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동종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극 전구체의 제작]
Li(Co1/3Ni1/3Mn1/3)O2(정극 활물질) 66질량부, 아세틸렌 블랙(도전제, 상품명: Li400, 평균 입경 48nm(제조원 카탈로그값), 덴카 가부시키가이샤) 4질량부, 폴리불화비닐리덴 용액(바인더, 상품명: 쿠레하 KF 폴리머 #1120, 고형분: 12질량%, 가부시키가이샤 쿠레하) 14질량부 및 N-메틸-2-피롤리돈(분산매, NMP) 15질량부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 슬러리를 정극 집전체(두께 20㎛의 알루미늄박) 상의 주면에 도포하고, 120℃에서 건조 후, 압연하여, 편면 도포량 120g/m2, 합제 밀도 2.7g/cm3의 정극 활물질층을 형성하고, 정극 전구체를 제작하였다.
[부극 전구체의 제작]
흑연(부극 활물질, 히따찌 가세이 주식회사) 52질량부, 카본 나노튜브(도전제, 상품명: VGCF, 섬유 직경 150nm(제조원 카탈로그값),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0.4질량부, 고순도 흑연(도전제, 상품명: JSP, 평균 입경 7㎛(제조원 카탈로그값), 닛본 고꾸엔 가부시키가이샤) 1.4질량부, 폴리불화비닐리덴 용액(바인더, 상품명: 쿠레하 KF 폴리머 #9130, 고형분: 13질량%, 가부시키가이샤 쿠레하) 21.8질량부 및 N-메틸-2-피롤리돈(분산매, NMP) 24.4질량부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 슬러리를 부극 집전체(두께 10㎛의 구리박) 상의 주면에 도포하고, 80℃에서 건조 후 압연하여, 편면 도포량 60g/m2, 합제 밀도 1.6g/cm3의 부극 활물질층을 형성하고, 부극 전구체를 제작하였다.
[폴리머의 합성]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머는,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의 반대 음이온 Cl-를 [TFSI]-로 변환함으로써 합성하였다.
먼저, [P(DADMA)][Cl] 수용액(중량 평균 분자량 400000 내지 500000, 20질량% 수용액, Aldrich사제) 100질량부를, 증류수 500질량부로 희석하고, 폴리머 수용액을 희석하였다. 이어서, Li[TFSI](기시다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제) 43질량부를 물 100질량부에 용해시키고, Li[TFSI] 수용액을 제작하였다. 이것을 희석 폴리머 수용액에 적하하고, 2시간 교반함으로써 백색 석출물을 얻었다. 석출물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400질량부의 증류수로 세정 후, 다시 여과를 행하였다. 세정 및 여과는 5회 반복하였다. 그 후, 105℃의 진공 건조에 의해 수분을 증발시켜, [P(DADMA)][TFSI]를 얻었다. [P(DADMA)][TFSI]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2.11×106g·mol-1이었다.
점도 평균 분자량 Mv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을 표준 물질로서 사용하여, 우벨로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 있어서의 폴리머의 점도[η]를 측정한 후, [η]=KMv(여기서, K는 확장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은 온도, 폴리머 및 용매 성질에 의존한다.)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폴리머를 포함하는 슬러리의 조제]
Li[FSI](전해질염, 간또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제)를 [EMI][FSI](용융염, 간또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제, 융점: -13℃)에 용해시켜, 1.6mol/L의 Li[FSI]의 [EMI][FSI] 용액을 제작하였다. [P(DADMA)][TFSI](폴리머) 16질량부에 대하여, Li[FSI] 용액을 84질량부 및 분산매로서 아세톤을 72질량부 첨가하여 교반하고, 폴리머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전해질층(무기 고체 전해질 시트)의 준비]
이하의 φ20mm의 무기 고체 전해질 시트를 준비하였다.
Li6.75La3Zr1.75Nb0.25O12(식 (2)로 표시되는 산화물, 두께: 300㎛, 가부시키가이샤 도요시마 세이사쿠쇼제)
LICGCTMAG-01(식 (3)으로 표시되는 산화물, 두께: 150㎛, 가부시키가이샤 오하라제)
(실시예 1)
<정극의 제작>
상기에서 제작한 정극 전구체인 정극 활물질층에, 폴리머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법으로, 갭 200㎛로 도포하였다. 그 후, 진공 데시케이터를 사용하여, 0.05MPa 감압 및 대기압 개방을 10회 반복함으로써, 정극 합제층을 제작하고, 정극 합제층을 구비하는 정극을 얻었다. 얻어진 정극을 전지 제작을 위해, 직경 15mm의 원형으로 펀칭하였다.
<부극의 제작>
상기에서 제작한 부극 전구체인 부극 활물질층에, 폴리머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법으로, 갭 200㎛로 도포하였다. 그 후, 진공 데시케이터를 사용하여, 0.05MPa 감압 및 대기압 개방을 10회 반복함으로써, 부극 합제층을 제작하고, 부극 합제층을 구비하는 부극을 얻었다. 얻어진 부극을 전지 제작을 위해, 직경 16mm의 원형으로 펀칭하였다.
<전지의 제작>
전해질층으로서, Li6.75La3Zr1.75Nb0.25O12의 무기 고체 전해질 시트를 사용하였다. 정극, 전해질층 및 부극을 이 순서대로 겹치고, CR2032형의 코인셀 용기 내에 배치하고, 절연성 가스킷을 통해 전지 용기 상부를 코오킹하여 밀폐함으로써, 실시예 1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었다. 또한, 전지 제작은 아르곤 분위기의 글로브 박스 내에서 행하였다.
(실시예 2)
전해질층으로서의 무기 고체 전해질 시트를, Li6.75La3Zr1.75Nb0.25O12로부터 LICGCTMAG-01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었다.
(비교예 1)
정극 활물질층 및 부극 활물질층에, 폴리머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도포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었다.
[전지 성능 평가]
상기 방법으로 제작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사용하여 전지 성능의 평가를 행하였다. 충방전 장치(도요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상품명: TOSCAT-3200)를 사용하여, 25℃, 0.05C에서 충방전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C는 「전류값[A]/설계 이론 용량[Ah]」을 의미하고, 1C는 전지를 1시간으로 만충전 또는 만방전하기 위한 전류값을 나타낸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및 2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비교예 1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비해, 비약적으로 충방전 용량이 향상되었다. 이것은, 정극 합제층 및 부극 합제층에 양호한 리튬 이온 전도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시사된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가, 유연성이 부족한 산화물계 무기 고체 전해질을 전해질층에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전지 특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1…이차 전지, 2, 2A, 2B…전극군, 3…전지 외장체, 4…정극 집전탭, 5…부극 집전탭, 6…정극, 7…전해질층, 8…부극, 9…제1 집전체, 10…정극 합제층, 11…제2 집전체, 12…부극 합제층, 13…제1 전지 부재, 14…제2 전지 부재, 15…바이폴라 전극, 16…제3 집전체, 17…제3 전지 부재.
Claims (16)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이 산화물인,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합제층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머의 함유량이, 폴리머, 전해질염 및 용융염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30질량%인,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염의 음이온이,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음이온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인,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염의 양이온이,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 양이온, 또는 N-메틸-N-프로필피롤리디늄 양이온인,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합제층이 부극 합제층이고, 상기 전극 활물질이 부극 활물질이며,
상기 부극 활물질이, 흑연, 비정질 탄소, 카본 블랙, 금속 산화물, 금속 리튬, 금속 나트륨, 금속 칼슘 및 금속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이 산화물인, 전기 화학 디바이스.
-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합제층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머의 함유량이, 폴리머, 전해질염 및 용융염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30질량%인, 전기 화학 디바이스.
-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염의 음이온이,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음이온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인, 전기 화학 디바이스.
-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염의 양이온이,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 양이온, 또는 N-메틸-N-프로필피롤리디늄 양이온인, 전기 화학 디바이스.
-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전극이, 정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정극 합제층을 갖는 정극 및 부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부극 합제층을 갖는 부극이며,
상기 부극 활물질이, 흑연, 비정질 탄소, 카본 블랙, 금속 산화물, 금속 리튬, 금속 나트륨, 금속 칼슘 및 금속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전기 화학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JP2017/016084 WO2018193630A1 (ja) | 2017-04-21 | 2017-04-21 | 電気化学デバイス用電極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
| JPPCT/JP2017/016084 | 2017-04-21 | ||
| PCT/JP2018/002548 WO2018193683A1 (ja) | 2017-04-21 | 2018-01-26 | 電気化学デバイス用部材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39949A true KR20190139949A (ko) | 2019-12-18 |
Family
ID=6385567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7033520A Withdrawn KR20190139949A (ko) | 2017-04-21 | 2018-01-26 |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기 화학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6)
| Country | Link |
|---|---|
| US (1) | US11777137B2 (ko) |
| EP (1) | EP3614479A1 (ko) |
| JP (1) | JPWO2018193683A1 (ko) |
| KR (1) | KR20190139949A (ko) |
| CN (1) | CN110537282A (ko) |
| WO (2) | WO201819363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7163909B2 (ja) * | 2017-04-21 | 2022-11-01 |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 電気化学デバイス用電極の製造方法 |
| US11296356B2 (en) | 2017-04-21 | 2022-04-05 | Showa Denko Materials Co., Ltd. |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including polymer having a structural unit represented by formula (1), electrolyte salt, and molten salt, and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WO2018193630A1 (ja) | 2017-04-21 | 2018-10-25 | 日立化成株式会社 | 電気化学デバイス用電極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
| JP6562184B2 (ja) | 2017-06-01 | 2019-08-21 | 日立化成株式会社 | 電解質組成物、二次電池、及び電解質シートの製造方法 |
| CN109786820B (zh) * | 2018-11-19 | 2022-05-06 | 上海紫剑化工科技有限公司 | 一种含硼的塑晶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JP7533446B2 (ja) * | 2019-03-29 | 2024-08-14 |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 固体電解質、蓄電デバイス及び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
| JP7378216B2 (ja) * | 2019-03-29 | 2023-11-13 |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 固体電解質及び蓄電デバイス |
| EP3955361A4 (en) * | 2019-05-22 | 2022-04-27 | Showa Denko Materials Co., Ltd. | BATTERY CEMENT,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CEMENT AND SECONDARY BATTERY |
Family Cites Families (5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4005660B2 (ja) | 1997-03-28 | 2007-11-07 | Tdk株式会社 | 高分子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高分子固体電解質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化学デバイス |
| JPH11162513A (ja) | 1997-11-27 | 1999-06-18 | Daikin Ind Ltd | ポリマー電解質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
| WO1999040025A1 (fr) | 1998-02-03 | 1999-08-12 | Acep Inc. | Nouveaux materiaux utiles en tant que solutes electrolytiques |
| KR20000019372A (ko) | 1998-09-10 | 2000-04-06 | 박호군 | 균질상의 고체고분자합금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전해질을 이용한 복합전극, 리튬고분자전지, 리튬이온고분자전지 및그 제조방법 |
| JP4081895B2 (ja) | 1998-11-26 | 2008-04-30 | ソニー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のゲル状電解質及びゲル状電解質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 JP2003077539A (ja) | 2001-09-04 | 2003-03-14 | Mitsubishi Materials Corp | ゲル状ポリマー電解質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ポリマー電池 |
| JP3769291B2 (ja) | 2004-03-31 | 2006-04-19 | 株式会社東芝 | 非水電解質電池 |
| JP4412598B2 (ja) | 2004-07-20 | 2010-02-10 |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 イオンポリマーゲル電解質およびその前駆体組成物 |
| JP2006049158A (ja) * | 2004-08-06 | 2006-02-16 | Trekion Co Ltd | リチウム・ポリマー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5214088B2 (ja) | 2004-10-22 | 2013-06-19 | 株式会社Gsユアサ | 非水電解質電池 |
| JP4496366B2 (ja) | 2005-04-07 | 2010-07-07 | 国立大学法人三重大学 | 高分子固体電解質リチウム2次電池用負極材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774941B2 (ja) | 2005-11-14 | 2011-09-21 | ソニー株式会社 | ゲル電解質およびゲル電解質電池 |
| JP2008053135A (ja) | 2006-08-28 | 2008-03-06 | Sumitomo Electric Ind Ltd | 薄膜電池 |
| JP5577565B2 (ja) | 2006-09-19 | 2014-08-27 | ソニー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 JP4363436B2 (ja) | 2006-10-13 | 2009-11-11 | ソニー株式会社 | 二次電池 |
| WO2008056585A1 (fr) | 2006-11-07 | 2008-05-15 | Sumitomo Bakelite Co., Ltd. | Bouillie pour électrode de batterie secondaire, cette batteri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ette électrode et de la batterie secondaire |
| JP5036284B2 (ja) | 2006-11-22 | 2012-09-26 | 日本碍子株式会社 | セラミックス構造体の製造方法 |
| JP2008243736A (ja) | 2007-03-28 | 2008-10-09 | Arisawa Mfg Co Ltd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20100112449A1 (en) * | 2007-03-29 | 2010-05-06 | Hideaki Fujita | Posi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
| KR20110089870A (ko) | 2008-11-28 | 2011-08-09 |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 전극막,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축전 디바이스 |
| FR2942235B1 (fr) | 2009-02-13 | 2011-07-22 | Centre Nat Rech Scient | Gels conducteurs ioniqu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electrolyte |
| WO2010113971A1 (ja) * | 2009-03-30 | 2010-10-07 | パイオトレック株式会社 | フッ素系重合体の製法 |
| JP5391940B2 (ja) | 2009-09-04 | 2014-01-15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固体電解質、その製造方法および二次電池 |
| JPWO2011037060A1 (ja) | 2009-09-24 | 2013-02-21 |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電解質組成物、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 JP2011070793A (ja) | 2009-09-24 | 2011-04-07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二次電池用電解質組成物および二次電池 |
| WO2011049113A1 (ja) * | 2009-10-21 | 2011-04-28 |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 ポリマー複合微粒子を用いた高分子固体電解質を用いた電気化学デバイス |
| FR2951714B1 (fr) * | 2009-10-27 | 2013-05-24 | Electricite De France | Dispositif electrochimique a electrolyte solide conducteur d'ions alcalins et a electrolyte aqueux |
| JP5381636B2 (ja) * | 2009-11-18 | 2014-01-08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電池用固体電解質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 JP2011129400A (ja) | 2009-12-18 | 2011-06-30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イオン液体を有する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120136355A (ko) | 2010-02-05 | 2012-12-18 |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이차 전지용 겔 전해질 복합 필름 및 이차 전지 |
| EP2577777B1 (en) * | 2010-06-07 | 2016-12-28 | Sapurast Research LLC | Rechargeable, high-density electrochemical device |
| CN103329335A (zh) | 2010-12-08 | 2013-09-25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电极体的制造方法 |
| JP2013019154A (ja) | 2011-07-11 | 2013-01-31 | Miwa Lock Co Ltd | 携帯型鍵 |
| WO2013063367A1 (en) | 2011-10-27 | 2013-05-02 | Infinite Power Solutions, Inc. | Fabrication of a high energy density battery |
| CN102522589A (zh) | 2011-12-16 | 2012-06-27 | 浙江大东南集团有限公司 | 一种新型具有互穿网络结构凝胶聚合物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JP6123323B2 (ja) | 2012-02-14 | 2017-05-1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正極合材組成物 |
| JP6150424B2 (ja) | 2012-03-08 | 2017-06-21 |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 イオン伝導性固体電解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オン二次電池 |
| JP6283795B2 (ja) | 2012-06-22 | 2018-02-28 |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 キャパシタ用電解質およびキャパシタ |
| US9318744B2 (en) * | 2012-10-11 | 2016-04-19 | Samsung Sdi Co., Ltd. | Polymer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polymer and lithium second battery employing the electrode |
| JP6532186B2 (ja) | 2013-05-23 | 2019-06-19 | 株式会社日本触媒 | 電極前駆体、電極、及び、二次電池 |
| JP2015011823A (ja) | 2013-06-27 | 2015-01-19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リチウム電池 |
| KR102155696B1 (ko) | 2013-09-13 | 2020-09-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합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리튬 공기 전지 |
| JP2015090777A (ja) | 2013-11-05 | 2015-05-11 | ソニー株式会社 | 電池、電解質、電池パック、電子機器、電動車両、蓄電装置および電力システム |
| KR20150063269A (ko) * | 2013-11-29 | 2015-06-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튬 공기 전지용 복합전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리튬 공기 전지 |
| US10270128B2 (en) | 2013-12-27 | 2019-04-23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Battery, electrolyte,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electric vehicle,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system |
| US20160093915A1 (en) * | 2014-09-30 | 2016-03-31 | Seiko Epson Corporation | Composition for forming lithium reduction resistant layer, method for forming lithium reduction resistant lay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
| KR102386841B1 (ko) * | 2014-12-19 | 2022-04-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합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
| US10186730B2 (en) | 2015-07-15 | 2019-01-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lyte solu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
| JP6861399B2 (ja) | 2015-09-16 | 2021-04-21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電池 |
| WO2017094396A1 (ja) | 2015-12-04 | 2017-06-08 | ソニー株式会社 | 二次電池、電池パック、電動車両、電力貯蔵システム、電動工具および電子機器 |
| KR102626915B1 (ko) | 2016-08-02 | 2024-0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합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전지 |
| JP7163909B2 (ja) | 2017-04-21 | 2022-11-01 |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 電気化学デバイス用電極の製造方法 |
| WO2018193630A1 (ja) | 2017-04-21 | 2018-10-25 | 日立化成株式会社 | 電気化学デバイス用電極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
| US11296356B2 (en) | 2017-04-21 | 2022-04-05 | Showa Denko Materials Co., Ltd. |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including polymer having a structural unit represented by formula (1), electrolyte salt, and molten salt, and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2017
- 2017-04-21 WO PCT/JP2017/016084 patent/WO2018193630A1/ja not_active Ceased
-
2018
- 2018-01-26 WO PCT/JP2018/002548 patent/WO2018193683A1/ja not_active Ceased
- 2018-01-26 US US16/606,273 patent/US11777137B2/en active Active
- 2018-01-26 EP EP18787215.5A patent/EP3614479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8-01-26 KR KR1020197033520A patent/KR20190139949A/ko not_active Withdrawn
- 2018-01-26 JP JP2019513231A patent/JPWO2018193683A1/ja active Pending
- 2018-01-26 CN CN201880026095.0A patent/CN110537282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JPWO2018193683A1 (ja) | 2020-02-27 |
| WO2018193630A1 (ja) | 2018-10-25 |
| US20210135275A1 (en) | 2021-05-06 |
| WO2018193683A1 (ja) | 2018-10-25 |
| EP3614479A1 (en) | 2020-02-26 |
| US11777137B2 (en) | 2023-10-03 |
| CN110537282A (zh) | 2019-12-0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7232355B2 (ja) | 再充電可能なバッテリーセル | |
| KR102595311B1 (ko) |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전극 및 그의 제조 방법, 전기 화학 디바이스, 그리고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 |
| KR20190139949A (ko) |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기 화학 디바이스 | |
| US11296356B2 (en) |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including polymer having a structural unit represented by formula (1), electrolyte salt, and molten salt, and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 JP7676564B2 (ja) | 充電式電池セルのためのso2系電解質および充電式電池セル | |
| KR20190133697A (ko) |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폴리머 이차 전지 | |
| JP2019129119A (ja) | イオン伝導性セパレータ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 |
| WO2018191959A1 (en) |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nd polymer secondary battery | |
| JP6981071B2 (ja) | ポリマ電解質組成物及びポリマ二次電池 | |
| JP2024546972A (ja) | 充電式電池セル | |
| TWI784154B (zh) | 二次電池用電極、二次電池用電解質層及二次電池 | |
| JP2019021539A (ja) | ポリマ電解質組成物及びポリマ二次電池 | |
| JP2024504477A (ja) | 充電式電池セル | |
| HK40058878A (en) | Rechargeable battery cel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1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