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759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6759A KR20220106759A KR1020227017619A KR20227017619A KR20220106759A KR 20220106759 A KR20220106759 A KR 20220106759A KR 1020227017619 A KR1020227017619 A KR 1020227017619A KR 20227017619 A KR20227017619 A KR 20227017619A KR 20220106759 A KR20220106759 A KR 202201067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bers
- density
- absorbent article
- absorbent
- absorbent co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adjust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e.g. with fla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3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being natural fib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3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being natural fibres
- A61F2013/530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being natural fibres of cott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37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comprising mixtures of fibres
- A61F2013/53038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comprising mixtures of fibres with pulp and polymer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서로 직교하는 종방향, 폭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분쇄된 보액성 섬유를 갖는 흡수성 코어(10)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1)으로서, 상기 보액성 섬유는 활엽수로 이루어진 활엽수 보액성 섬유를 갖고, 상기 흡수성 코어(10)는 상기 보액성 섬유가 집합된 복수의 고 밀도부(100)를 갖고, 상기 흡수성 코어(100)는 적어도 하나의 고 밀도부(100)의 상기 두께 방향에서 하나의 측 또는 다른 측에 상기 고 밀도부보다 상기 보액성 섬유의 밀도가 더 낮은 저 밀도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생리혈과 같은 배설액을 흡수하는 생리대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생리대는 흡수체(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며, 흡수성 코어는 보수성(보액성) 섬유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보수성로서 섬유 길이가 긴 침엽수 펄프 섬유가 사용된다. 추가로, 특허 문헌 1에는 보수성 섬유인 흡수성 섬유(12F) 이외에 합성 섬유를 괴상으로 집적시킨 집합체인 섬유 매스(11)를 함유하도록 흡수성 코어(4)를 구성하여 흡수성 코어(4)의 유연성 및 쿠션성을 증가시킨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장시간 사용시에도 충분한 흡수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통상의 흡수성 물품에서 장시간 사용시 흡수체의 비틀림 및 굴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연한 흡수체의 형성 및 배설물 흡수성의 향상 둘다를 동시에 달성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체의 쿠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낮은 흡수성을 갖는 합성 섬유의 섬유 매스를 포함하므로, 그에 따라 흡수 성능이 악화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달성되었으며, 본 발명의 양태는 유연성 및 흡수성 둘다 달성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재된 양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서로 직교하는 종방향, 폭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분쇄된 보액성 섬유를 갖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서 보액성 섬유는 활엽수로 이루어진 활엽수 보액성 섬유를 가지며, 흡수성 코어는 복수의 고 밀도부 및 저 밀도부를 가지며, 고 밀도부는 보액성 섬유가 집합된 부분이며, 저 밀도부는 보액성 섬유의 밀도가 고 밀도부보다 낮은 부분이며, 저 밀도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고 밀도부의 두께 방향의 하나의 측 및 두께 방향의 다른 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다.
상기의 것 이외의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을 숙독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연성 및 흡수성 둘다가 달성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생리대(1)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화살표 A-A를 따라 구한 단면 개략도이다.
도 3a는 활엽수 보액성 섬유(활엽수 펄프) 및 침엽수 보액성 섬유(침엽수 펄프)의 섬유 길이 분포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3b는 활엽수 펄프 및 침엽수 펄프의 평균 섬유 폭 분포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4a는 흡수체(10)에 사용되는 분쇄된 펄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4b는 분쇄된 펄프 등을 사용한 흡수체(1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5는 활엽수 펄프를 포함하는 펄프 시트가 분쇄될 때 얻은 섬유 매스(100)의 확대 사진이다.
도 6a는 사전결정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섬유 매스(100)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화살표 B-B를 따른 도면이다.
도 7a는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섬유 매스(100)의 배치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7b는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섬유 매스(100)의 배치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7c는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섬유 매스(100)의 배치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8a는 압착부(40)(선형 압착부(41))가 제공된 영역에서 흡수체(1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8b는 고 압착부(45) 및 저 압착부(46)를 갖는 압착부(40)(선형 압착부(41))가 제공된 영역에서 흡수체(1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9는 흡수체(1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화살표 A-A를 따라 구한 단면 개략도이다.
도 3a는 활엽수 보액성 섬유(활엽수 펄프) 및 침엽수 보액성 섬유(침엽수 펄프)의 섬유 길이 분포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3b는 활엽수 펄프 및 침엽수 펄프의 평균 섬유 폭 분포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4a는 흡수체(10)에 사용되는 분쇄된 펄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4b는 분쇄된 펄프 등을 사용한 흡수체(1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5는 활엽수 펄프를 포함하는 펄프 시트가 분쇄될 때 얻은 섬유 매스(100)의 확대 사진이다.
도 6a는 사전결정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섬유 매스(100)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화살표 B-B를 따른 도면이다.
도 7a는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섬유 매스(100)의 배치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7b는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섬유 매스(100)의 배치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7c는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섬유 매스(100)의 배치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8a는 압착부(40)(선형 압착부(41))가 제공된 영역에서 흡수체(1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8b는 고 압착부(45) 및 저 압착부(46)를 갖는 압착부(40)(선형 압착부(41))가 제공된 영역에서 흡수체(1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9는 흡수체(1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 개략도이다.
적어도 하기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으로 명백할 것이다.
서로 직교하는 종방향, 폭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분쇄된 보액성 섬유를 갖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보액성 섬유가 활엽수로 이루어진 활엽수 보액성 섬유를 가지며, 흡수성 코어는 복수의 고 밀도부 및 저 밀도부를 가지며, 고 밀도부는 보액성 섬유가 집합된 부분이며, 저 밀도부는 보액성 섬유의 밀도가 고 밀도부보다 낮은 부분이며, 저 밀도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고 밀도부의 두께 방향의 하나의 측 및 두께 방향의 다른 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코어에 의하여 흡수되는 생리혈과 같은 수분은 모세관 현상으로 인하여 저 밀도부로부터 고 밀도부(섬유 매스)로 두께 방향으로 쉽게 이동한다. 그러므로, 전체 흡수성 코어는 수분을 쉽게 흡수 및 보유하며, 흡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활엽수 보액성 섬유에서 각각의 섬유의 면적 및 부피는 침엽수 보액성 섬유에 비하여 작으며, 이는 섬유가 서로 얽히는 부분을 감소시켜 얽힌 부분 그 자체의 면적(부피)을 더 작게 한다. 그러므로, 섬유의 이동은 서로 덜 간섭하여 흡수체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연성 및 흡수성 둘다를 갖는 흡수성 물품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고 밀도부는 중앙부 및 중앙부의 외측에 있는 기모부를 가지며, 중앙부는 보액성 섬유가 집중되어 저 밀도부의 섬유와 얽히지 않는 부분이며, 기모부는 저 밀도부의 섬유와 얽히는 부분이며, 고 밀도부의 평균 밀도는 흡수성 코어의 평균 밀도보다 더 높으며, 중앙부에 포함된 섬유의 중량은 기모부에 포함된 섬유의 중량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모세관 현상으로 인하여 고 밀도부의 주변으로부터 기모부를 경유하여 중앙부에 더 많은 양의 수분이 쉽게 인입된다. 이는 흡수성 코어에 의하여 보유될 수 있는 수분의 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고 밀도부는 중앙부 및 중앙부의 외측에 있는 기모부를 가지며, 중앙부는 보액성 섬유가 집중되며, 저 밀도부의 섬유와 얽히지 않은 부분이며, 기모부는 저 밀도부의 섬유와 얽힌 부분이며, 고 밀도부의 평균 밀도는 흡수성 코어의 평균 밀도보다 더 크며, 중앙부에 포함된 섬유의 중량은 기모부에 포함된 섬유의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중앙부에 비하여 낮은 밀도를 갖는 기모부의 영역을 더 크게 한다. 따라서, 더 큰 개수의 공극이 보액성 섬유 사이에 형성되어 외력이 적용될 때 고 밀도부는 더 쉽게 변형된다. 이는 흡수성 코어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추가로, 다수의 공극이 기모부에 존재하므로, 생리혈과 같은 수분 이외의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이더라도 기모부를 투과하여 중앙부에 도달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면서 우수한 흡수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고 밀도부는 평면상을 가지며, 고 밀도부의 평면 방향에 대하여 기모부가 차지하는 영역의 최대 폭은 평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기모부가 차지하는 영역의 최대폭보다 더 길며, 흡수성 코어에 포함된 복수의 고 밀도부에서, 평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 흡수성 코어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고 밀도부의 비가, 평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흡수성 코어의 종방향 및 폭방향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도록 배치된 고 밀도부의 비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두께 방향(Z 방향)에서의 고 밀도부의 섬유 밀도의 구배는 평면 방향(X 및 Y 방향)에서의 섬유 밀도의 구배보다 더 크다. 그러므로, 모세관 현상은 두께 방향에서 더 쉽게 작용하며, 수분은 쉽게 흡수된다. 추가로, 고 밀도부의 중앙부로 인입된 수분은 평면 방향으로 퍼지는 기모부로 인하여 평면 방향의 외측으로 덜 확산된다. 이는 수분이 고 밀도부에 더 쉽게 보유되게 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흡수성이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고 밀도부의 평면 방향에 대하여 중앙부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을 Rc로 하고, 기모부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 Ro로 하는 경우, (Ro-Rc)<Rc가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고 밀도부에 대한 기모부의 비가 감소되며, 이는 기모부의 섬유 및 기모부 주변의 저 밀도부의 섬유 사이에서 얽힌 부분이 감소된다. 이는 고 밀도부 및 저 밀도부 사이의 결합을 약화시켜 흡수성 코어가 전체로서 유연하게 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유연성이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고 밀도부의 평면 방향에 대하여 중앙부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을 Rc로 하고, 기모부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을 Ro로 하는 경우, (Ro-Rc)≥Rc가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고 밀도부에 대한 기모부의 비가 증가되며, 이는 기모부의 섬유 및 기모부 주변의 저 밀도부의 섬유 사이에서 얽힌 부분이 증가된다. 이는 흡수성 코어의 저 밀도부에 대하여 고 밀도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며, 이는 흡수성 코어를 덜 비틀리거나 또는 변형되게 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형상 붕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고 밀도부의 적어도 일부는 두께 방향에서 흡수성 코어의 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와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생리혈과 같은 수분은 흡수성 코어의 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로부터 흡수성 코어의 내부에 인입된다. 고 밀도부에서 수분이 보유되어 수분이 피부측 시트에 덜 남아있게 된다. 이는 피부측 시트에서 수분의 재습윤화를 억제한다. 따라서, 수분은 흡수성 물품의 사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덜 접하게 된다. 이는 발진과 같은 피부 트러블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고 밀도부의 적어도 일부는 두께 방향에서 흡수성 코어의 비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와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생리혈과 같은 수분은 흡수성 코어의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까지 더 용이하게 투과되어, 두께 방향에서 비피부측에 제공되는 고 밀도부에 보유되는 것이 더 쉬워진다. 이는 수분을 흡수성 코어의 피부측면에 덜 보유하며, 재습윤 등이 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수분은 흡수성 물품의 사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덜 접촉하게 된다. 이는 발진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고 밀도부의 적어도 일부는 두께 방향으로 흡수성 코어의 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 및 두께 방향에서 흡수성 코어의 비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 둘다와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코어의 두께 방향에서 고 밀도부가 차지하는 비가 증가되며, 이는 두께 방향에서 광범위하게 수분이 더 쉽게 보유되게 한다. 즉, 고 밀도부가 흡수성 코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흡수성 코어의 보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코어에 대하여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배치된 상면 시트; 및 상면 시트 및 흡수성 코어가 두께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압착되며, 압착부 및 고 밀도부가 두께 방향에서 서로 접하는 압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압착부(선형 압착부)를 따라 평면 방향에서 이동되는 수분의 일부는 두께 방향에서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까지 고 밀도부에 의하여 인입되어 흡수성 코어에 의하여 더 쉽게 흡수된다. 이는 흡수성 코어의 평면 방향에서 수분의 지나친 확산을 억제하며, 흡수성 코어의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압착부는 저 압착부 및 상기 저 압착부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갖도록 흡수성 코어가 압착된 고 압착부를 포함하며, 저 압착부 및 고 밀도부가 두께 방향에서 서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저 압착부의 제공은 사용시 흡수성 코어의 지나친 변형을 억제하며, 흡수성 코어가 덜 파괴될 수 있다. 추가로, 저 압착부를 따라 평면 방향에서 이동하는 수분은 고 밀도부로 인하여 흡수성 코어의 두께 방향에서 쉽게 인입된다. 따라서, 흡수성 코어의 유연성 및 흡수성 둘다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코어를 종방향으로 3등분한 부분, 이른바 종방향 중앙 영역 및 종방향 양단부 영역으로 나눌 때, 종방향 중앙 영역의 단위 면적당 포함된 고 밀도부의 중량은 종방향 양단부 영역의 단위 면적당 포함된 고 밀도부의 중량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생리혈과 같은 수분은 종방향 양단부 영역에서보다 흡수성 코어의 종방향 중앙 영역에서 더 많이 보유된다. 이는 생리혈이 종방향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 등을 더 쉽게 억제한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코어가 폭방향으로 3등분한 부분, 이른바 폭방향 중앙 영역 및 폭방향 양단부 영역으로 나눌 때, 폭방향 중앙 영역의 단위 면적당 포함된 고 밀도부의 중량은 폭방향 양단부 영역의 단위 면적당 포함된 고 밀도부의 중량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생리혈과 같은 수분은 폭방향 양단부 영역에서보다 흡수성 코어의 폭방향 중앙 영역에서 더 많이 보유된다. 이는 생리혈 등의 누출을 폭방향의 외측으로 더 쉽게 억제시킨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코어는 고흡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고 밀도부의 최대 외경이 고흡수성 중합체의 최대 외경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고흡수성 중합체(SAP)가 팽윤될 때 고 밀도부가 인접한 2개의 SAP 사이에 배치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SAP는 서로 덜 접하며, 겔 블로킹은 억제된다. 이는 SAP의 흡수성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으며, 흡수성 코어의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2 ㎜ 미만이며, 흡수성 코어는 활엽수 이외의 물질로 형성되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더 긴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보액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짧은 섬유 길이를 갖는 활엽수 보액성 섬유 및 긴 섬유 길이를 갖는 보액성 섬유를 더 쉽게 얽히게 하며, 흡수성 코어의 형상은 쉽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흡수성 코어가 긴 섬유 길이를 갖는 보액성 섬유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유연성이 향상되며, 섬유간 거리는 짧게 된다. 이는 액체가 섬유 사이에 덜 축적되며, 액체 복귀성이 향상된다. 추가로, 형상 붕괴의 발생은 흡수성 코어가 짧은 섬유 길이를 갖는 보액성 섬유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2 ㎜ 미만이며, 흡수성 코어는 평균 섬유 길이가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더 긴 소수성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짧은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활엽수 섬유 및 긴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섬유가 서로 얽히게 하여 흡수성 코어의 형상 붕괴가 덜 발생하게 한다. 게다가, 소수성 섬유의 포함은 흡수성 코어에서 수분의 확산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수분은 흡수성 코어의 넓은 범위에 걸쳐 쉽게 흡수 및 보유된다. 그러므로, 흡수성 물품의 흡수성이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폭은 15 ㎛ 이하이며, 흡수성 코어의 단위 면적당 포함된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개수는 300 섬유/㎟ 이상 2,500 섬유/㎟ 미만이며, 고흡수성 중합체는 복수의 활엽수 보액성 섬유 사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섬유는 덜 얽히게 되며, 짧은 섬유 폭을 갖는 활엽수 펄프는 밀집된다. 이는 배설액이 섬유와 접하게 될 확률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복수의 활엽수 펄프가 SAP와 접하게 될 확률이 증가되며, 활엽수 펄프에 포함된 배설액은 활엽수 펄프 섬유 사이에 위치하는 고흡수성 중합체에 더 쉽게 인입되어 심지어 배설액의 복수회의 흡수에서도 액체 역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섬유 길이의 표준 편차가 0.27 이하이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섬유 폭의 표준 편차는 7.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분포 범위는 좁으며, 표준 편차가 작아서 균일한 섬유 밀도가 흡수체에서 더 쉽게 유지된다. 이는 평면 방향에서 섬유의 불균일한 분포를 감소시키며, 이는 동심원 형상으로 배설액을 확산시키기가 더 쉽게 된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섬유 길이의 표준 편차를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에 가하여 얻은 값은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의 2배의 값보다 더 작으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섬유 길이의 표준 편차를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로부터 빼서 얻은 값은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의 1/2의 값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섬유의 고르지 않은 분포를 추가로 감소시켜서 배설액을 더 쉽게 고르게 확산시킨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코어는 복수의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며, 흡수성 코어가 두께 방향에서 일체형으로 압착되는 압착부를 가지며, 압착부에서 열가소성 섬유는 서로 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열가소성 섬유를 서로 융착시키는 것은 흡수체의 형상을 더 쉽게 안정화시킨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열가소성 섬유를 서로 융착시키는 것은 흡수체의 형상을 더 쉽게 안정화시킨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사용시 신체가 크게 움직이는 경우조차 흡수체의 형상 붕괴의 발생 또는 흡수성의 악화를 더 쉽게 한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 팬티 라이너 및 경실금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유연성 및 흡수성 모두 달성된 생리대, 팬티 라이너 및 경실금 패드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물품은 종방향 중앙 영역으로부터 폭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날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의 사용시 날개부는 폭방향에서 외측으로부터 내측(착용자의 속옷의 가랑이측)으로 접으며, 이는 흡수성 물품을 속옷 등에 쉽게 부착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점착부는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측면에 제공되며, 흡수성 물품 착용시 점착부는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의 속옷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의 사용시 점착부를 착용자의 속옷 등의 피부측면에 부착시켜 흡수성 물품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이는 위치 일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코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기능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기능재는 흡수성 코어의 고 밀도부에 더 많이 보유되며, 흡수성 물품에서 기능재의 효과를 더욱 효율적으로 나타내게 한다. 예를 들면, 흡수성 코어의 고 밀도부에서 항균제를 보유하는 것은 흡수된 소변 또는 생리혈이 축적되는 부분에서 항균 효과가 더 쉽게 나타날 수 있게 한다. 추가로, 향료, 냉감제, 온감제 등이 고 밀도부에 보유 및 축적되며, 그리하여 상기 기능재의 효과가 장시간 동안 쉽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코어에 포함된 섬유가 JIS K 0069의 규제에 따라 체 진탕기를 사용하여 분리할 때 체 진탕기의 14 메쉬 체에 잔존하는 섬유의 중량을 분리전 흡수성 코어의 중량으로 나누어 얻은 값은 체 진탕기의 60 메쉬 체에 통과된 섬유의 중량을 분리전 흡수성 코어의 중량으로 나누어 얻은 값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섬유가 집합된 고 밀도부의 함유율은 높으므로, 체액과 같은 수분은 흡수체 내부에서 공극의 생성으로 인하여 흡수체를 쉽게 통과한다. 이는 흡수성 코어의 액체 투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고 밀도부 그 자체는 액체를 쉽게 보유하므로, 흡수성 코어의 보수성은 높게 된다. 그러므로, 흡수성 코어의 흡수성은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실시양태
생리용 냅킨의 기본적 구성
생리용 냅킨(1)(이하, "생리대(1")로 약칭함)는 본 실시양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기재될 것이다. 그래도, 하기 기재에서 생리용 냅킨은 흡수성 물품의 예를 사용하지만, 본 실시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팬티 라이너, 경실금 패드 등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두께 방향에서 피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생리대(1)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화살표 A-A를 따라 취한 단면 개략도이다. 하기 기재에 사용된 방향은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의된다. 즉, 하기 방향은 생리대(1)의 제품 종방향을 따른 "종방향"; 생리대(1)의 제품 측방향을 따른 종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 및 종방향 및 폭방향에 직교하는 "두께 방향"으로 정의된다. 종방향에서, 생리대(1)의 사용시 착용자의 배쪽에 해당하는 방향을 "전측"으로 지칭하며, 착용자의 등쪽에 해당하는 방향을 "후측"으로 지칭한다. 두께 방향에서, 생리대(1)의 착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접하게 되는 방향을 "피부측(상측)"으로 지칭하며, 피부측에 반대 방향을 "비피부측(하측)"으로 지칭한다.
생리대(1)는 평면에서 보아 종방향 세장 형상을 갖는 시트형 부재이며, 한쌍의 측면 시트(2); 상면 시트(3); 제2의 시트(4); 흡수체(10)(흡수성 코어); 커버 시트(6); 및 이면 시트(5)인 부재를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까지 두께 방향으로 상기 순서로 적층시켜 형성된다(도 2 참조). 상기 부재는 서로에 대하여 두께 방향으로 인접한 부재에 핫 멜트 접착제(HMA)와 같은 접착제로 접합된다. 접착제의 도포 패턴의 예는 Ω 형상의 패턴, 나선형 패턴, 스트라이프 패턴 등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추가로, 생리대(1)는 흡수체(10)가 제공된 생리대 본체부(20) 및, 생리대 본체부(20)의 종방향 중앙 영역으로부터 폭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날개부(30)를 포함한다. 날개부(30)가 제공된 종방향 중앙 영역은 생리대(1) 사용시 착용자의 배설구(가랑이부)와 접촉하게 되는 영역이다.
상면 시트(3)는 생리대(1) 착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 부재이며, 생리혈과 같은 액체가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까지 투과되어 흡수체(10)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상면 시트(3)는 에어 쓰루 부직포와 같은 적절한 유형의 액체 투과성 부드러운 시트로 생성된다.
제2의 시트(4)는 액체 투과성 시트이며, 그의 예는 상면 시트(3)와 유사한 에어 쓰루 부직포를 포함한다. 제2의 시트(4)는 흡수체(10)의 피부측면 상에 제공되며, 생리혈과 같은 배설물의 역류를 방지하며, 배설물의 확산을 향상시키고, 쿠셔닝 능력을 향상시키는 등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생리대(1)는 제2의 시트(4)를 가질 필요는 없다.
커버 시트(6)는 액체 투과성 시트 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일 수 있으며, 그의 예는 티슈 페이퍼, 스펀본드/벨트블로운/스펀본드(SMS) 부직포 등을 포함한다. 커버 시트(6)는 흡수체(10)와 이면 시트(5) 사이에 제공된다. 그러나, 생리대(1)는 커버 시트(6)를 가질 필요는 없다.
이면 시트(5)는 생리대(1)의 사용시 상면 시트(3)를 투과하고, 흡수체(10)에 의하여 흡수되는 액체가 속옷과 같은 내의를 향하여 스미는(비피부측을 향하여 스미는) 것을 억제한다. 이면 시트(5)는 폴리에틸렌(PE) 수지 필름과 같은 적절한 유형의 액체 불투과성 부드러운 시트로 생성된다. 상면 시트(3) 및 이면 시트(5)의 평면 크기는 흡수체(10)의 평면 크기보다 더 크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측면 시트(2) 각각은 액체 투과성 시트 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일 수 있으며, 그의 예는 상면 시트(3)와 유사한 에어 쓰루 부직포, SMS 부직포 등을 포함한다.
추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시트(2), 상면 시트(3) 및 이면 시트(5)의 외부 주변 가장자리부는 서로 접착 또는 융착에 의하여 접합되며, 그리하여 흡수체(10)는 상기 시트 사이에서 유지된다. 추가로, 한쌍의 측면 시트(2)는 상면 시트(3)의 폭방향 양측부로부터 폭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이면 시트(5)와 함께 한쌍의 날개부(30)를 형성한다. 추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 본체부(20)의 가장 먼 비피부측면(이면 시트(5)의 비피부측면) 상에 적절한 접착제(예, 핫 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복수의 본체 점착부(미끄럼 방지부에 해당함)가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제공된다. 생리대(1) 사용시 본체 점착부를 착용자의 속옷 등의 피부측면에 부착시켜서 생리대(1)를 고정시키며, 그리하여 위치 일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유사하게, 날개부(30)의 가장 먼 비피부측면(이면 시트(5)의 비피부측면) 상에 핫 멜트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형성된 날개 점착부(미끄럼 방지부에 해당함)가 제공된다(도 2 참조).
흡수체(10)(흡수성 코어에 해당함)는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종방향 세장 부재이며, 생리혈과 같은 액체(배설물)를 흡수하여 액체(배설물)를 내부에 유지한다. 흡수체(10)의 세부사항은 이하에 기재될 것이다. 제2의 시트(4), 흡수체(10) 및 커버 시트(6)는 동일한 평면상을 가지며,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다. 본 실시양태에서, 상기 부재는 핫 멜트 접착제(HMA)로 서로 접합되지만, 반드시 접합될 필요는 없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추가로, 생리대(1)에서, 복수의 압착부(40)(오목부)가 제공된다(도 1 참조). 압착부(40)는 두께 방향에서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부분이며, 보액성 섬유의 밀도가 인접한 부분에 비하여 높은 부분이다. 압착부(40)에서, 적어도 상면 시트(3), 제2의 시트(4) 및 흡수체(10)는 전체 두께 방향 범위 전체에서 두께 방향에서 피부측으로부터 압착(엠보싱)되며, 그러한 부재는 일체형으로 접합된다. 따라서, 생리대(1)는 덜 비틀리게 된다. 그러나, 구성은 상기 기재된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기 구성도 또한 허용 가능하다: 압착부(40)는 흡수체(10)에만 제공되거나; 또는 압착부(40)는 상면 시트(3)로부터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피부측의 일부까지의 범위에만 제공되거나; 또는 압착부(40)는 이면 시트(5)로부터 흡수체(10)에 제공된다. 추가로, 압착부(40)의 배치 패턴은 도 1에 제시된 배치 패턴에 제한되지 않는다.
흡수체(10)의 구체적인 구성
흡수체(10)는 액체를 흡수하는 보액성 섬유를 가지며, 평면에서 보아 종방향 세장 형상으로 형성된다. 추가로, 흡수체(10)는 보액성 섬유 이외의 소재(예, 소수성 섬유,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체가 보액성 섬유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흡수체(10)는 상기 섬유가 서로 혼합된 상태로 형성된다.
보액성 섬유의 예는 펄프, 이른바 침엽수 또는 활엽수로부터 얻은 목재 펄프 및 비목재 펄프, 예컨대 버개스, 케나프, 대나무, 마 또는 면(예, 면 린터); 재생 셀룰로스 섬유, 예컨대 레이온 섬유; 및 반합성 섬유, 예컨대 아세테이트 섬유를 포함한다.
통상의 흡수성 물품에 포함된 흡수체에서, 침엽수로 생성된 보액성 섬유인 침엽수 보액성 섬유(또한 침엽수 펄프로 지칭됨)가 종종 사용된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양태의 흡수체(10)에서, 보액성 섬유는 활엽수로 이루어진 보액성 섬유인 활엽수 보액성 섬유(활엽수 펄프로도 지칭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활엽수 펄프)는 침엽수 보액성 섬유(침엽수 펄프)에 비하여 짧은 섬유 길이의 특징을 갖는다.
도 3a는 활엽수 보액성 섬유(활엽수 펄프) 및 침엽수 보액성 섬유(침엽수 펄프)의 섬유 길이 분포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가로축은 섬유 길이(㎜)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빈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침엽수 펄프의 평균 섬유 길이는 2.5 ㎜이며, 섬유 길이 분포 범위는 넓다(3 ㎜ 이상의 섬유가 포함되며; 표준 편차는 1.6이다).
대조적으로, 활엽수 펄프의 평균 섬유 길이는 0.79 ㎜이며, 섬유 길이 분포 범위는 좁다(표준 편차는 0.27이다).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흡수체(10)에 활엽수 펄프를 사용하여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짧게 된다(구체적으로, 2 ㎜ 미만).
펄프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윤곽 섬유 길이(Cont)를 사용하여 측정시 길이 가중 평균 길이 L(l)을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길이 가중 평균 길이는 멧초 오토메이션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Metso Automation USA Inc.)가 제조한 카야니 파이버랩 파이버 프로퍼티즈(Kajaani Fiberlab Fiber Properties)(오프라인)에 의하여 L(l) 값으로서 측정한다. 이는 또한 JIS P 8226-2(자동 광학 분석에 의한 섬유 길이의 펄프 측정에 의함; 비편광 방법)로 추천된 방법이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추가로, 하기 기재된 펄프 섬유의 평균 섬유 폭은 섬유 폭으로서 측정한다.
평균 섬유 길이 및 평균 섬유 폭은 JIS의 평가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섬유 매스를 제외시켜 측정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제시된 평균 섬유 길이 및 평균 섬유 폭의 데이타는 하기 기재된 섬유 매스(100)를 제외하여 측정된 결과이다.
게다가, 펄프 섬유를 제외한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문헌["A7. 1. 1 Method A (standard method): A method of measuring the length of individual fibers on a glass plate with scale" in "A7. 1 Determination of fibre length" of Annex A, JIS L 1015: 2010]에 의하여 측정한다. 상기 방법은 1981년 발행된 ISO 6989에 해당하는 테스트 방법이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예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으로 형성된 단독 섬유; PE 및 PP를 중합시켜 형성된 섬유; 및 외피-코어 구조를 가지며, PP 및 PE로 형성된 복합 섬유를 포함한다. 게다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에서, 권축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서 상이한 융점을 갖는 2종의 합성 섬유 성분으로 형성된 외피-코어형 또는 편심형 복합 섬유를 사용하여 섬유를 권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양태에서,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약 30 ㎜이다. 추가로,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단위 길이당 권축의 평균 개수는 보액성 섬유의 단위 길이당 권축의 평균 개수보다 더 작도록 결정한다. 이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보액성 섬유 사이에서의 얽힘을 감소시켜 주름이 덜 남게 된다. 그러므로,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포함되는 경우에서조차 쾌적감을 향상시키며, 누출 방지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권축의 평균 개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방법이 충분하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 복수의 시험편(예, 5 ㎝ 정사각형 크기를 갖는 시험편)을 샘플로 하고, 키엔스 현미경 VH-Z450 등을 사용하여 시험편에서 섬유에 하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인치(2.54 ㎝)당 권축의 개수를 수회 측정한다. 권축의 개수(단위 길이당 권축의 평균 개수)는 평균값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도 3b는 활엽수 펄프 및 침엽수 펄프의 평균 섬유 폭 분포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가로축은 섬유 폭(㎛)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빈도(%)를 나타낸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엽수 펄프의 평균 섬유 폭은 약 30 ㎛(위쪽 도면)이며, 섬유 폭 분포 범위는 넓다(표준 편차는 11.9이다). 대조적으로, 활엽수 펄프의 평균 섬유 폭은 약 15 ㎛(아래쪽 도면)이며, 섬유 폭 분포 범위는 좁다(표준 편차는 7.55이다).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흡수체(10)에서의 활엽수 펄프의 사용은 침엽수 펄프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폭이 더 짧다.
추가로, 활엽수 펄프의 평균 섬유 폭은 15 ㎛ 이하이며, 섬유 개수 밀도는 300 섬유/㎟ 이상 2,500 섬유/㎟ 미만이며(이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될 것임), 액체 흡수성 입상물, 예컨대 고흡수성 중합체(SAP)는 활엽수 펄프 섬유 사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우에서, 섬유는 짧으며, 얇아서 절대 섬유 면적이 작으며, 이는 섬유가 덜 얽히게 된다. 또한, 섬유 폭이 짧은 특징을 갖는 활엽수 펄프는 밀집되어 있으며, 이는 배설액이 섬유와 접하게 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활엽수 펄프에 포함된 배설액은 활엽수 펄프 섬유 사이에서 고흡수성 중합체에 더 쉽게 인입되므로, 심지어 배설액의 복수회 흡수에서도 액체 역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분포 범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활엽수 펄프는 침엽수 펄프보다 더 좁은 섬유 길이 분포 범위 및 더 좁은 섬유 폭 분포 범위를 갖는다. 즉, 활엽수 펄프의 섬유 길이의 표준 편차는 0.27 이하이며, 활엽수 펄프의 섬유 폭의 표준 편차는 7.55 이하이다. 추가로, 활엽수 펄프의 섬유 길이의 표준 편차를 활엽수 펄프의 평균 섬유 길이에 가하여 얻은 값(0.79 + 0.27 = 1.06)은 활엽수 펄프의 평균 섬유 길이의 2배의 값(1.58)보다 더 작으며, 활엽수 펄프의 섬유 길이의 표준 편차를 활엽수 펄프의 평균 섬유 길이로부터 빼서 얻은 값(0.79 - 0.27 = 0.52)은 활엽수 펄프의 평균 섬유 길이의 1/2배의 값(0.395)보다 크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분포 범위가 좁고, 표준 편차가 작은 것은 흡수체에서 균일한 섬유 밀도를 유지하기가 더 쉽게 된다. 이는 평면 방향에서 섬유의 고르지 못한 분포를 감소시켜 배설액이 동심원 형상으로 더 쉽게 확산된다.
추가로, 흡수체(10)는 상기 기재된 섬유 이외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천연 섬유, 예컨대 셀룰로스, 재생 셀룰로스 섬유, 예컨대 레이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흡수체(10)의 두께는 2 ㎜ 이상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10)의 두께가 2 ㎜ 미만인 경우, 흡수체(10)는 지나치게 얇으며, 비틀리며, 두께가 10 ㎜ 초과인 경우 흡수체(10)는 지나치게 단단하며,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
추가로, 활엽수 펄프는 침엽수 펄프보다 더 얇으며, 더 짧은 섬유간 거리를 가지므로, 활엽수 펄프의 섬유 개수 밀도는 동일한 밀도의 조건 하에서 비교시 침엽수 펄프의 섬유 개수 밀도보다 더 크다. 섬유 개수 밀도는 단위 면적당 섬유의 평균 개수에 해당하며, 섬유 두께 + 평균 섬유간 거리에 기초하여 세밀 충전 구조의 경우에서 단위 면적당 포함된 섬유의 개수를 추산하여 얻은 값이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추산된 값에 의하면, 활엽수 펄프의 섬유 개수 밀도는 1,182.2 섬유/㎟이며, 이는 침엽수 펄프의 섬유 개수 밀도(200.3 섬유/㎟)의 약 6 배이다. 그러므로, 활엽수 펄프의 사용은 침엽수 펄프의 사용의 경우에 비하여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섬유 개수 밀도가 300 섬유/㎟ 이상 2,500 섬유/㎟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개수 밀도가 300 섬유/㎟ 미만인 경우, 주름이 덜 남게 되지만, 흡수체(10)는 사용시 얇으며, 비틀리게 된다. 이는 흡수체의 면적을 감소시켜 누출을 더 유발시킨다. 섬유 개수 밀도가 2,500 섬유/㎟ 이상인 경우, 흡수체(10)는 지나치게 단단하게 마무리되어 사용시 불쾌감이 증가된다. 섬유 개수 밀도가 300 섬유/㎟ 이상 2,500 섬유/㎟ 미만인 경우 모세관 효과를 향상시키며, 박막화 및 유연화를 달성하며, 흡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흡수체(10)의 제조 방법
흡수체(10)의 제조 방법으로서, 분쇄된 펄프, 고흡수성 중합체 등을 집적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도 4a는 흡수체(10)에 사용된 분쇄된 펄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4b는 분쇄된 펄프 등을 사용한 흡수체(1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본 부문은 보액성 섬유,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고흡수성 중합체(SAP)를 포함하는 흡수체(10)를 제조하는 경우를 기재할 것이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우선, 흡수체(10)의 원료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분쇄된 펄프를 제조한다. 분쇄된 펄프는 수송 기구(61) 및 쏘밀(62)를 사용하는 원료인 펄프 시트(PS)를 분쇄하여 제조된다. 수송 기구(61)는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웹 롤로부터 공급된 펄프 시트(PS)를 수송한다. 쏘밀(62)은 원통형 롤의 외부 원주면에 복수의 블레이드가 제공된 회전체이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 방향으로 하류측에서의 위치에서 펄프 시트(PS)를 셰이빙하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펄프 시트(PS)는 미세하게 분쇄되며, 흡수체(10)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분쇄된 펄프가 제조된다. 쏘밀(62) 대신에 해머 밀을 사용하여 펄프 시트(PS)를 두드리도록 펄프 시트(PS)를 분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침엽수로 생성된 펄프 시트를 분쇄하는 경우, 침엽수 펄프의 섬유는 1개씩 분해되어 긴 실과 같은 침엽수 보액성 섬유(약 2.5 ㎜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가짐)를 형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실시양태에서, 활엽수 펄프를 포함하는 펄프 시트(PS)가 사용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활엽수 펄프(활엽수 보액성 섬유)에서, 평균 섬유 길이는 짧으며(평균 섬유 길이는 2 ㎜ 미만이며), 이는 침엽수 펄프에 비하여 섬유가 서로 덜 얽히게 한다. 그러므로, 활엽수 펄프를 포함하는 펄프 시트(PS)에서, 섬유가 서로 얽힌 부분이 적으며, 펄프 시트는 부서지기 쉬우며, 붕괴되기 쉽다. 상기 펄프 시트(PS)를 쏘밀(62)에 의하여 분쇄하는 경우, 활엽수 펄프의 섬유는 하나씩 분해되지 않으나, 복수의 섬유가 모구(hairball)의 형태로 집합된 섬유 매스(100)(이른바 "노츠(knots)로도 불리움)가 붕괴되도록 펄프 시트(PS)로부터 분리된다.
추가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활엽수 펄프는 약 15 ㎛의 평균 섬유 폭을 갖는다. 즉, 활엽수 펄프는 섬유 길이가 짧을 뿐 아니라, 섬유가 얇은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활엽수 펄프에서, 각각의 섬유의 단면적 및 부피는 작으며, 섬유는 모구의 형태로 더 많이 집합된다. 침엽수의 경우에 비하여 모구에 포함되는 섬유의 양은 많다. 상기 섬유 매스가 통상의 에어 레이드 펄프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는 펄프 섬유 사이에 포함된 접착제가 수분의 인입을 쉽게 방해하며, 섬유 매스 그 자체를 단단하게 하기 때문이다. 추가로, 펄프는 셀룰로스이므로, 열 융착을 실시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열 융착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섬유 매스를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
도 5는 활엽수 펄프를 포함하는 펄프 시트가 분쇄될 때 얻은 섬유 매스(100)의 확대 사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공정에서 얻은 섬유 매스(100)는 중앙부(101) 및, 중앙부(101)의 주변에서의 기모부(102)를 포함하며, 중앙부(101)는 활엽수 보액성 섬유가 고 밀도로 집합되는 부분이며, 기모부(102)는 중앙부(101)보다 낮은 밀도를 갖는 부분이다. 기모부(102)는 섬유가 펄프 시트(PS)에서 서로 얽히는 부분을 박리시켜 형성된다. 즉, 펄프 시트(PS)는 복수의 상기 섬유 매스(100)를 밀집시켜 형성되며, 그리하여 펄프 시트(PS)를 쏘밀(62)에 의하여 셰이빙시켜 인접한 섬유 매스(100 및 100)의 얽힌 부분을 박리시키고, 이를 개개의 섬유 매스(100)로 분리시킨다. 그리하여 얽힘이 박리된 부분이 기모부(102)가 된다.
본 실시양태에서, "섬유 매스(100)"는 하기와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펄프 시트(PS)를 분쇄하여 샘플을 얻고, 이를 체 진탕기에 의하여 섬유의 크기에 따라 분리하고, 체 진탕기는 JIS K 0069에 명시된 테스트 방법에 따르며(예, 체 진탕기 SS-HK60, 아존 코포레이션(Azone Corporation) 제조); 하기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택한다. 우선, 샘플을 체 진탕기에 있는 14 메쉬 체에 놓는다. "메쉬"는 JIS Z 8801에서 정의된 표준 체 와이어 메쉬이며, 예를 들면 14 메쉬는 1.18 ㎜의 메쉬 개구, 0.63 ㎜의 와이어 직경 및 42.3%의 개구 면적을 갖는 와이어 메쉬이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추가로, 체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튜브는 메쉬의 하측에 설치하고, 매쉬로부터 70 ㎜ 아래의 높이에서 튜브 측면에 구멍이 개방되어 있으며, 공간을 형성하지 않도록 흡입 장치(예, 원더-건(Wonder-Gun) W101, 오사와 앤 컴파니(Osawa & Company) 제조, 최소 흡입 내경: 22 ㎜, 압력: 0.5 MPa)를 구멍에 설치한다. 추가로, 에어 분출 장치(예, 에어 더스터 건 AG-101, 톤 코포레이션(TONE Corporation) 제조, 노즐 길이: 95 ㎜, 노즐 내경: 4 ㎜, 압력: 0.5 MPa)를 메쉬로부터 위로 50 ㎜ 높이에 설치한다. 그 다음, 15 분 동안 70 ㎜의 진폭 및 60 회/분의 조건에서 진탕시키면서 에어 분출 장치는 에어를 고르게 분출시키고, 에어는 흡입 장치에 의하여 흡입시키며, 섬유를 샘플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15 분 경과 후 체(14 메쉬)에 잔존하는 것을 "섬유 매스(100)(노츠)"로 한다.
추가로, 도 5의 사진에서, 백색 섬유 매스(100)가 검정 배경에 제시되지만, 섬유 매스(100)의 중앙부에서, 배경의 검정이 보이지 않는 영역은 활엽수 보액성 섬유가 고 밀도로 집합된 중앙부(101)이다. 다른 한편으로, 중앙부(101)의 주위에서, 섬유 매스(100)를 통하여 배경의 검정을 볼 수 있는 부분은 기모부(102)이다.
그 후, 흡수체(10)는 섬유 매스(100)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드럼(70)은 중공 원통형 드럼이며, 복수의 오목부(71)는 사전결정된 피치에서 원주면 상에서 흡수체 재료를 채우는 몰드로서 형성된다. 회전 드럼(70)이 회전하며, 오목부(71)가 재료 공급부(80)에 들어갈 때, 재료 공급부(80)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체 재료는 흡입부(72)의 흡입으로 인하여 오목부(71) 내에 퇴적(집적)된다.
후드(80a)가 제공된 재료 공급부(80)는 회전 드럼(70)의 상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되며, 재료 공급부(80)는 펄프 시트(PS)를 분쇄기(도 4a 참조)로 분쇄하여 얻은 분쇄 펄프(적어도 활엽수 펄프 및 섬유 매스(100)를 포함함) 및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을 오목부(71)에 공기 수송에 의하여 공급한다. 추가로, 재료 공급부(80)는 고흡수성 중합체 입자(SAP)를 공급하는 입자 공급부(81)를 포함하며, 고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오목부(71)에 공급한다. 흡수성 섬유와 열가소성 섬유의 혼합물 및 고흡수성 중합체 입자는 오목부(71)에 혼합된 상태로 퇴적되며, 흡수체(10)가 오목부(71)에 형성된다.
흡수체(10)를 수용한 오목부(71)가 회전 드럼(70)의 추가의 회전으로 인하여 드럼의 최하부에 도달할 때 흡수체(10)는 오목부(71)로부터 떨어져서 컨베이어에 의하여 수송되는 기재(예컨대 커버 시트(6)) 상에 배치되며, 그 다음 단계에 전달된다.
형성된 흡수체(10)는 보액성 섬유가 고 밀도로 밀집된 복수의 섬유 매스(100)를 포함한다. 즉, 흡수체(10)에서, 섬유 매스(100)로 형성된 고 밀도부가 점재되어 있다. 따라서,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가 점재된 흡수체(10)의 영역에서, 보액성 섬유의 밀도는 압착부(40)와 달리 두께 방향 단부에서보다 두께 방향 중앙부에서 더 높다. 환언하면, 흡수체(10)는 하나 이상의 고 밀도부(섬유 매스(100))의 두께 방향 하나의 측 또는 두께 방향 다른 측에 저 밀도부를 가지며, 저 밀도부는 보액성 섬유의 밀도가 고 밀도부보다 더 낮은 부분이다.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의 밀도는 하기와 같이 측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우선, 섬유 매스(100)의 중량은 전자 저울 등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때, 섬유 매스(100)의 중량이 전자 저울의 최소 측정 중량보다 낮을 경우, 복수의 섬유 매스(100)는 측정 가능한 중량까지 통합하여 측정하고, 그의 평균 값은 섬유 매스(100)의 평균 중량으로 정의한다. 그 다음, 섬유 매스(100)의 두께(차후에 기재되는 도 6b의 Z 방향에서의 길이)는 현미경으로 측정한다. 복수의 섬유 매스(100)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통합하여 중량 측정하는 경우, 중량 측정에 사용된 섬유 매스(100) 전체의 두께를 측정하고, 평균값을 섬유 매스(100)의 평균 두께로서 정의한다. 유사하게, 섬유 매스(100)의 면적(하기 기재되는 도 6a의 XY 평면에서의 면적)은 현미경을 사용한 계측으로부터 측정한다. 이때, 중량 측정한 섬유 매스(100) 전체의 면적을 측정하고, 평균 값을 섬유 매스(100)의 평균 면적으로 정의한다. 상기 측정값(계산값)에 기초하여 섬유 매스(100)의 밀도는 평균 중량/(평균 두께×평균 면적)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흡수체(10)의 성능
본 실시양태의 흡수체(10)(흡수성 코어)에서, 복수의 섬유 매스(100)를 점재된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은 통상의 제품의 흡수체에 비하여 액체 흡수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보액성 섬유는 섬유 매스(100)에서 고 밀도로 집합되므로,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가 배치된 흡수체(10)의 일부에서, 보액성 섬유의 밀도는 기타 부분에서보다 더 높다. 즉, 흡수체(10)는 고 밀도부인 섬유 매스(100); 및 보액성 섬유의 밀도가 고 밀도부(섬유 매스(100))보다 더 낮은 저 밀도부를 포함한다.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 및 저 밀도부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환언하면, 본 실시양태의 흡수체(10)는 고 밀도부인 섬유 매스(100); 및 각각의 고 밀도부의 두께 방향의 하나의 측(피부측) 또는 두께 방향의 다른 측(비피부측)에 인접한 저 밀도부를 포함한다.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고 밀도부 및 저 밀도부의 제공은 압착부(40)와 같이 두께 방향에서 고 밀도부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경우에 비하여 흡수체(10)의 벌크(두께)를 더 쉽게 유지하며, 유연하며 높은 쿠션성을 갖는 흡수체(10)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흡수체(10)에 의하면, 생리혈과 같은 수분이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10)의 피부측에 부착시 수분은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흡수되며, 모세관 현상으로 인하여 저 밀도부로부터 고 밀도부(섬유 매스(100))까지 쉽게 이동한다. 즉,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저 밀도부 및 고 밀도부(섬유 매스(100))를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은 흡수된 수분을 섬유 매스(100)에 유도 및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흡수체(10)(흡수성 코어) 전체는 수분을 쉽게 흡수 및 보유하여 흡수체(10)의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양태의 흡수체(10)(흡수성 코어)에 포함된 보액성 섬유는 활엽수 보액성 섬유로 생성되므로, 침엽수 섬유로 생성된 보액성 섬유에 비하여 평균 섬유 길이는 짧으며, 섬유 직경은 작다. 따라서, 섬유당 단면적 및 부피가 작다. 그러므로, 하나의 활엽수 보액성 섬유가 또 다른 활엽수 보액성 섬유로 얽히는 얽힘점의 개수는 작으며, 얽힘점의 면적(부피)는 감소된다. 이는 침엽수 보액성 섬유에 비하여 섬유가 덜 얽히게 한다. 그러므로, 보액성 섬유의 이동은 서로 덜 간섭하며, 흡수체(10)의 유연성은 향상되어 생리대(1)의 사용자가 단단함을 덜 느끼게 할 수 있다.
추가로, 침엽수 섬유만으로 형성된 보액성 섬유에 비하여 섬유 폭은 짧으며, 이는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얽힘점의 개수를 감소시킨다. 게다가, 침엽수 섬유만으로 형성된 보액성 섬유에 비하여 섬유의 두께는 작다. 그러므로, 흡수체의 밀도 및 두께가 동일한 경우 침엽수 섬유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다량의 활엽수 섬유는 두께 방향으로 포함될 수 있지만, 동일하거나 또는 더 낮은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착용자는 흡수체(10)의 단단함을 덜 느낄 수 있다.
특히, 생리대(1)의 흡수체(10)는 보액성 섬유가 고 밀도로 밀집된 복수의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를 포함한다. 고 밀도부가 긴 섬유 길이를 갖는 침엽수 보액성 섬유로 형성되는 경우, 섬유의 얽힘점의 개수는 증가되며, 고 밀도부는 단단해진다. 이는 생리대 착용시 착용자가 단단함 및 불쾌감을 더 쉽게 느낄 위험을 유발한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양태에서,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를 구성하는 보액성 섬유의 섬유 길이는 짧으며, 얽힘점의 개수는 감소된다. 이는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 그 자체의 유연성을 증가시켜서 착용자에게 단단함 및 불쾌함을 덜 유발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의 흡수체(10)(흡수성 코어)에서, 활엽수로 이루어진 보액성 섬유가 밀집된 고 밀도부(섬유 매스(100))는 점재된 방식으로 제공되며, 이는 우수한 흡수성 및 우수한 유연성 둘다를 달성할 수 있다. 고흡수성 중합체 입자(SAP)는 고 밀도부(섬유 매스(100))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경우에서, SAP 및 보액성 섬유 사이의 접촉비가 증가되므로, 흡수체(10)가 수분을 반복적으로 복수회 흡수하는 경우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도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섬유 매스(100)는 중앙부(101) 및 중앙부(101) 외측에 있는 기모부(102)를 포함하며, 중앙부(101)는 보액성 섬유가 고 밀도로 집합되어 있는 부분이며, 기모부(102)는 보액성 섬유의 밀도가 중앙부(101)보다 더 낮은 부분이다. 중앙부(101)는 기모부(102)에 의하여 둘러싸이며, 기모부(102)는 섬유 매스(100) 이외의 섬유(즉, 흡수체(10)의 저 밀도부를 구성하는 섬유)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즉, 기모부(102)는 흡수체(10)의 저 밀도부를 구성하는 섬유와 얽히며, 중앙부(101)는 저 밀도부를 구성하는 섬유와 얽히지 않으며, 기모부(102)와 얽힌다. 그러므로, 흡수체(10)에 의하여 수분, 예컨대 배설액의 흡수시 우선 저 밀도부를 구성하는 보액성 섬유는 수분을 흡수하며, 저 밀도부에서 흡수된 수분은 모세관 현상으로 인하여 기모부(102)를 경유하여 섬유 매스(100)의 중앙부(101)로 이동한다. 상기 방식으로, 흡수체(10)에 의하여 흡수된 수분은 섬유 매스(100)의 외측으로부터 중앙부로 인입된다.
섬유 매스(100)에서, 중앙부(101)에 포함된 보액성 섬유의 총량(중량)이 기모부(102)에 포함된 보액성 섬유의 총량(중량)보다 더 클 경우, 중앙부(101)에 보유될 수 있는 수분의 양은 증가되며, 흡수체(10)의 흡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의 중앙부(101)에서 더 많은 양의 수분은 주변으로부터 쉽게 인입되며, 흡수체(10)에 의하여 보유된 수분의 총량은 증가될 수 있다.
반대로, 중앙부(101)에 포함된 보액성 섬유의 총량(중량)은 기모부(102)에 포함된 보액성 섬유의 총량(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경우에서, 중앙부(101)를 둘러싸는 기모부(102)의 영역은 크게 된다. 그러나, 기모부(102)의 밀도는 중앙부(101)에 비하여 낮으며, 따라서 많은 수의 공극이 보액성 섬유 사이에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졌을 때 더 쉽게 변형된다. 그러므로, 상기 섬유 매스(100)를 포함하는 흡수체(10)는 높은 유연성을 가지며, 사용시 생리대(1)의 촉감이 부드러워진다. 이는 착용자가 불쾌감을 덜 느끼게 된다. 추가로, 많은 수의 공극이 기모부(102)에 존재하므로, 생리혈과 같은 수분 이외의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조차 더 쉽게 기모부(102)를 투과하여 중앙부(101)에 도달한다. 따라서, 유연성을 향상시키면서 우수한 흡수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6a는 사전결정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섬유 매스(100)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화살표 B-B를 따른 도면이다. 도 6a 및 6b에서,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3종의 방향으로 정의될 때, 도 6a는 XY 평면에서 섬유 매스(100)의 형상의 예를 도시하며, 도 6b는 XZ 평면에서 섬유 매스(100)의 형상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 도 6a에서의 "XY 방향"은 섬유 매스(100)의 "평면 방향"으로서 지칭될 것이며, 도 6b에서 "XZ 방향"은 섬유 매스(100)의 "두께 방향"으로 지칭될 것이다.
도 6a 및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의 형상은 평면형이며, Z 방향에서의 길이는 X 방향 및 Y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더 짧다. 구체적으로, 도 6a의 XY 평면에서 섬유 매스(100)의 중앙부(101)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을 Rc로 나타내며, 기모부(102)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은 Ro로 나타내며, 도 6b의 XZ 평면에서 Z 방향에서 섬유 매스(100)의 길이(폭)는 Ho로 나타낼 때 Ho는 Ro보다 짧다(Ro>Ho). 즉, X 방향 및 Y 방향에 대하여 기모부(102)가 차지하는 영역의 최대 폭(Ro)은 Z 방향에 대하여 기모부(102)가 차지하는 영역의 최대 폭 Ho보다 더 크다. 섬유 매스(100)의 형상은 균일하지 않으므로, X 방향에서의 기모부(102)의 최대 길이 및 Y 방향에서의 최대 길이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재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기모부(102)의 외접원의 직경 Ro는 X 방향에서 및 Y 방향(평면 방향)에서 섬유 매스(100)의 최대 길이로서 정의된다.
추가로, 도 6a 및 6b에 도시된 섬유 매스(100)에서, 기모부(102)에서 섬유 밀도의 분포에서 커다란 불균일성이 없는 경우에서, 섬유 매스(100)의 평면 방향(XY 방향)에서 기모부(102)의 섬유의 총량(중량)은 섬유 매스(100)의 두께 방향(Z 방향)에서 기모부(102)의 섬유의 총량(중량)보다 더 크다.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가 흡수체(10) 내부에 저 밀도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두께 방향(Z 방향)에서의 섬유 매스(100)의 섬유 밀도의 구배는 평면 방향(X 및 Y 방향)에서 섬유 밀도의 구배보다 더 크게 된다. 그러므로, 섬유 매스(100)에서 모세관 현상은 두께 방향에서 더 강하게 작용하며, 수분은 두께 방향에서 쉽게 흡수된다. 추가로, 섬유 매스(100)에 의한 수분의 흡수시, 중앙부(101)에 인입 및 보유된 수분은 평면 방향에서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덜 확산된다. 이는 중앙부(101)로부터 평면 방향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기모부가 평면 방향에서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수분의 이동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평면 방향에서 및 두께 방향에서 섬유 밀도의 구배는 예를 들면 하기 방법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우선, 현미경을 사용하여 평면 방향에서 고 밀도부의 면적(Sh1)을 측정하며, 평면 방향에서 전체 영역(고 밀도부 + 저 밀도부)의 면적(Sh2)을 측정한다. 그 후, Sh1/Sh2를 계산하고, 평면 방향에서 밀도 구배로서 정의한다. 유사하게, 현미경을 사용하여 두께 방향에서 고 밀도부의 면적(St1)을 측정하고, 두께 방향에서 전체 영역(고 밀도부 + 저 밀도부)의 면적(St2)을 측정한다. 그 후, St1/St2를 계산하고, 두께 방향에서 밀도 구배로서 정의한다. 그 후, 계산한 Sh1/Sh2 및 St1/St2를 비교하여 값이 클수록 저 밀도 면적의 비는 작으며, 즉 조도 및 밀도의 구배가 작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흡수체(10)(흡수성 코어)에 포함된 복수의 섬유 매스(100) 중에서, 그의 두께 방향(Z 방향)이 흡수체(10)(흡수성 코어)의 두께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섬유 매스(100)가 존재하며, 그의 두께 방향(Z 방향)이 흡수체(10)(흡수성 코어)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섬유 매스(100)가 존재한다. 전자의 섬유 매스(100)(전자의 섬유 매스(100)의 개수)의 비는 후자의 섬유 매스(100)(후자의 섬유 매스(100)의 개수)의 비보다 더 크다. 즉, 섬유 매스(100)는 흡수체(10)의 평면 방향(종방향 및 폭방향)이 섬유 매스(100)의 평면 방향(X 방향 및 Y 방향)과 일치되도록 더 쉽게 배치된다. 이는 흡수체(10)가 두께 방향에서 수분을 더 쉽게 흡수하며, 흡수된 수분이 종방향에서 덜 확산되어 폭방향에서 생리대(1)의 흡수성을 향상시킨다. 섬유 매스(100)의 두께 방향이 흡수체의 두께 방향을 따르는 상태는 흡수체의 두께 방향 및 섬유 매스(100)의 두께 방향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45° 미만이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추가로, 흡수체(10)의 평면 방향이 흡수체(10)에 포함된 섬유 매스(100) 중에서 섬유 매스(100)의 평면 방향과 일치되는 비는 하기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흡수체(10)를 사전결정된 크기(예, 1 ㎝ 정사각형)의 조각으로 절단하고, 흡수체(10)에 포함된 각각의 섬유 매스(100)의 두께 방향 및 흡수체(10)의 두께 방향 사이의 관계를 체크한다.
추가로, 도 6a의 평면 방향(XY 방향)에 대하여 중앙부(101)의 외접원의 직경 Rc는 기모부(102)의 외접원의 직경 Ro 및 중앙부(101)의 외접원의 직경 Rc의 차이보다 더 크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o-Rc)<Rc). 즉, 섬유 매스(100)의 평면 방향에 대하여 중앙부(101)가 형성되는 영역의 폭이 기모부(102)가 형성되는 영역의 폭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우에서, 섬유 매스(100)에 대한 기모부(102)의 비는 감소되며, 이는 기모부(102)를 구성하는 섬유 및 기모부(102)를 둘러싼 저 밀도부(흡수체(10))에서의 섬유가 서로 얽히는 부분을 감소시킨다. 이는 섬유 매스(100) 및 저 밀도부 사이의 결합을 약화시켜서 흡수체(10)가 전체로서 유연하게 된다. 따라서, 생리대(1)의 유연성이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도 6a의 평면 방향(XY 방향)에 대하여 중앙부(101)의 외접원의 직경 Rc는 기모부(102)의 외접원의 직경 Ro 및 중앙부(101)의 외접원의 직경 Rc 사이의 차이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더 작을 수 있다((Ro-Rc)≥Rc). 즉, 섬유 매스(100)의 평면 방향에서, 중앙부(101)가 형성되는 영역의 폭은 기모부(102)가 형성되는 영역의 폭과 같거나 또는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경우에서, 섬유 매스(100)에 대한 기모부(102)의 비는 증가되며, 이는 기모부(102)를 구성하는 섬유 및 기모부(102)를 둘러싼 저 밀도부(흡수체(10))에서의 섬유가 서로 얽히는 부분을 증가시킨다. 이는 흡수체(10) 내부에서 섬유 매스(100)의 위치를 더 쉽게 고정시켜서 흡수체(10)를 덜 비틀리거나 또는 변형시킨다. 예를 들면, 착용자가 생리대(1)의 사용시 그의 신체를 크게 움직일 때조차, 흡수체(10)의 형상 붕괴 등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흡수체(10)에 포함된 섬유 매스(100)의 구성은 생리대(1)가 사용되는 양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추가로, 흡수체(10)에 포함된 적어도 임의의 복수의 섬유 매스(100)가 두께 방향에 대하여 하기 방식으로 배치되는 경우, 흡수체(10)의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섬유 매스(100)의 배치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7a는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10)의 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와 접하도록 섬유 매스(100)가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7a의 경우에서, 흡수체(10)의 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예, 제2의 시트(4) 또는 상면 시트(3))에 배설된 수분(예, 생리혈)은 두께 방향에서 시트 부재의 비피부측에 인접한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에 의하여 흡수체(10)의 내부로 인입된다. 수분은 섬유 매스(100)의 중앙부(101)에 보유되어 수분이 피부측 시트(제2의 시트(4) 또는 상면 시트(3))의 표면에 덜 잔존하게 된다. 추가로, 보액성 섬유가 고 밀도로 집중되어 있는 중앙부(101)에 보유된 수분은 중앙부(101)의 외측으로 덜 이동하며, 이는 수분이 흡수체(10)의 내부로부터 피부측 시트로 되돌아가는 재습윤을 덜 유발하게 된다. 그러므로, 섬유 매스(100)를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10)의 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와 접하게 제공하는 것은 생리대(1)의 사용시 수분이 착용자의 피부와 덜 접하게 한다. 이는 발진과 같은 피부 트러블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b는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10)의 비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와 접하도록 섬유 매스(100)가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7b에서, 수분(예, 배설된 생리혈)은 흡수체의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으로 투과되며,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10)의 비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예, 커버 시트(6))와 접하여 제공되는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에 보유된다. 즉, 수분은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10)의 비피부측에 더 축적된다. 이는 생리대(1)를 착용한 상태로 수분이 착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흡수체(10)의 피부측면에 덜 보유된다. 추가로, 수분은 피부측으로부터 가장 먼 비피부측면에서 커버 시트(6) 부근에서 보유되며, 이는 재습윤 등이 덜 발생된다. 그러므로, 섬유 매스(100)가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10)의 비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와 접하여 제공되는 경우에서조차 수분은 생리대(1)의 사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덜 접하게 된다. 이는 발진과 같은 피부 트러블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c는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10)의 피부측면 및 비피부측면에 각각 인접한 시트 부재와 접하도록 섬유 매스(100)가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7c는 하나의 섬유 매스(100)가 피부측면 및 비피부측면 둘다와 접하는 경우를 도시하지만, 각각의 복수의 섬유 매스(100)가 피부측면 또는 비피부측면과 접하는 구성도 또한 허용 가능하다. 상기 경우에서,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섬유 매스(100)가 차지하는 비는 높게 되며, 이는 수분이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광범위에 걸쳐 더 쉽게 보유되게 한다. 즉, 섬유 매스(100)가 흡수체(1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10)의 보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추가로, 도 6a 및 6b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도 또한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착용자가 불쾌감을 덜 느끼게 하면서 흡수체(10)의 흡수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에서, 상면 시트(3)(및 제2의 시트(4)) 및 흡수체(10)(흡수성 코어)가 일체형으로 압착된 복수의 압착부(40)가 제공된다. 그러한 압착부(4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전결정된 폭을 가지면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선형 압착부(41)(이른바 힌지)를 포함한다. 선형 압착부(41) 각각은 생리대(1)의 사용시 착용자의 신체 형상에 따라 흡수체(10)가 접혀서 변형될 때 접힘 유도부로서 기능한다. 선형 압착부(41)는 또한 선형 압착부(41)를 따라 흡수체(10)에 의하여 흡수되는 생리혈과 같은 수분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생리혈 등은 흡수체(10)의 단일 위치에서 집중 및 흡수되어 상기 위치에서 흡수 용량을 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생리혈과 같은 수분을 흡수체(10)의 광범위에 걸쳐 확산시켜 흡수체(10)의 넓은 영역에서 수분이 흡수되도록 한다.
그러나, 선형 압착부(41)는 두께 방향에서 피부측으로부터 엠보싱 등으로 처리되며, 그리하여 선형 압착부(41)는 흡수체(10)의 기타 영역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가져서 수분이 더 쉽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생리혈과 같은 수분이 선형 압착부(41)를 따라 지나치게 확산되는 경우가 있다. 즉, 생리혈과 같은 수분은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흡수되지 않아서 평면 방향(종방향 또는 폭방향)에서 더 많이 확산될 위험이 있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양태에서,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압착부(40)(선형 압착부(41))와 접하도록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것은 수분의 확산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a는 압착부(40)(선형 압착부(41))가 제공되는 영역에서 흡수체(1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8a에서, 섬유 매스(100)는 두께 방향에서 선형 압착부(41)의 비피부측과 접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경우에서, 평면 방향에서 선형 압착부(41)를 따라 이동하는 수분의 일부는 섬유 매스(100)에 인입되도록 두께 방향에서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으로 이동(흡수)된다. 이는 선형 압착부(41)를 따라 흡수체(10)의 평면 방향에서 수분의 지나친 확산을 억제하고, 흡수체(10)의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형 압착부(41)(힌지)에서 두께 방향으로 흡수체(10)의 전체 영역은 엠보싱 등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착되므로, 하기 문제의 위험이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생리대(1) 착용시 이면 시트(5) 및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서 공간이 더 쉽게 형성된다. 추가로, 흡수체(10)의 두께는 선형 압착부(41)에서 감소되며, 이는 흡수체(10)의 평면 방향(종방향 및 폭방향)에서 보았을 때 보수성 용량을 감소시킨다. 추가로, 흡수체(10)는 선형 압착부(41)에서 압착되므로, 촉감은 악화되기 쉽다. 대조적으로, 섬유 매스(100) 및 선형 압착부(41)가 서로 접하는 경우에서, 섬유 매스(100)의 중앙부(101)(고 밀도 영역) 및 중앙부(101)를 둘러싸는 기모부(102)(저 밀도 영역)로 인하여 상기 기재된 문제는 덜 발생된다.
추가로, 압착부(40)는 흡수성 코어가 강하게 압착된 고 압착부(45) 및 고 압착부(45)보다 더 낮은 밀도를 갖도록 흡수성 코어가 압착된 저 압착부(46)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도 8b는 고 압착부(45) 및 저 압착부(46)를 갖는 압착부(40)(선형 압착부(41))가 제공된 영역에서의 흡수체(1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8b에서, 두께 방향에서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으로 깊게 압착된 영역은 고 압착부(45)를 나타내며, 고 압착부(45)보다 더 얕게 압착된 영역은 저 압착부(46)를 나타낸다. 압착부(40) 전부가 고 압착부(45)인 경우에서, 흡수체(10)는 고 압착부(45)에서 과도하게 접혀서 흡수체(10)가 더 쉽게 찢어지거나 또는 착용자의 신체의 미묘한 요철에 덜 핏팅될 위험이 있다. 대조적으로, 저 압착부(46)를 제공하는 것은 흡수체(10)의 지나친 변형을 억제하며, 흡수체(1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의 적어도 일부는 두께 방향에서 저 압착부(46)와 접하도록 제공된다. 도 8b의 예에서, 저 압착부(46) 및 섬유 매스(100)는 두께 방향에서 서로 접하며, 고 압착부(45) 및 섬유 매스(100)는 폭방향에서 서로 접한다. 상기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평면 방향에서 고 압착부(45) 및 저 압착부(46)를 따라 이동하는 생리혈과 같은 수분은 섬유 매스(100)로 인하여 흡수체의 두께 방향에서 더 쉽게 인입된다. 그 결과, 흡수체(10)의 유연한 핏팅 및 흡수성 둘다를 달성할 수 있다.
생리대(1)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접힘을 가지며, 생리대(1)는 종방향으로 접힘에 의하여 접힌 상태로 개별 포장된 후 시장에 유통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흡수체는 이른바 날개부(30)의 종방향 양단부에 인접하게 제공된 제1의 접힘부 및 제2의 접힘부(둘다 도시하지 않음)인 종방향으로 2개의 위치에서 접힌다. 즉, 제1의 접힘부 및 제2의 접힘부는 흡수체(10)를 접기 위한 접힘 유도부이다. 상기 접힘 유도부가 제공되는 경우에서, 두께 방향에서 접힘 유도부와 접하도록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서, 수분은 접힘 유도부(접힘부)에서조차 흡수체(10)의 내부로 쉽게 인입되며, 접힘부의 피부측면에서 수분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경우에서, 섬유 매스(100)의 평균 밀도는 접힘 유도부에서의 흡수체(10)의 평균 밀도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배설액이 접힘 유도부로 흐르는 경우에서조차 배설액은 섬유 매스(100)에 의하여 더 쉽게 흡수되어 접힘 유도부를 따라 폭방향에서 배설액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액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접힘 유도부의 또 다른 형태로서, 흡수체(10)의 기타 영역에서보다 더 낮은 평량을 갖는 저 평량 영역(도시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저 평량 영역이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부에 제공되는 경우 흡수체(10)는 폭방향에 대하여 산 형상으로 더 쉽게 접히며, 생리대(1) 착용시 흡수체(10)는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더 쉽게 핏팅된다. 상기 저 평량 영역이 제공되는 경우,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는 두께 방향에서 저 평량 영역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서, 접힘 유도부(저 평량 영역)에서조차 흡수체(10)의 내측으로 수분이 쉽게 인입되며, 저 평량 영역의 피부측면에서 수분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흡수체(10)(흡수성 코어)의 종방향 중앙 영역에서 단위 면적당 섬유 매스(100)의 중량은 종방향 양단부 영역에서 단위 면적당 섬유 매스(100)의 중량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흡수체(10)의 종방향 중앙 영역에서, 양단부 영역에 비하여 두께를 증가시켜 중앙 영역에 포함된 섬유 매스(100)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종방향 중앙 영역에서, 섬유 매스(100)의 밀도는 양단부 영역에서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 상기 경우에서, 생리혈과 같은 수분은 흡수체(10)의 종방향 양단부 영역에서보다 흡수체(10)의 종방향 중앙 영역에서 더 쉽게 보유된다. 이는 종방향에서 외측으로 생리혈 등의 누출을 더 쉽게 억제할 수 있다.
흡수체(10)를 종방향으로 3등분한 부분으로 나눌 때 흡수체(10)의 종방향 중앙 영역은 중앙부의 영역으로 지칭하며, 흡수체(10)를 종방향으로 3등분한 부분으로 나눌 때 종방향 양단부 영역은 2개의 단부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지칭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유사하게,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흡수체(10)(흡수성 코어)의 폭방향 중앙 영역에서 단위 면적당 섬유 매스(100)의 중량이 폭방향 양단부 영역에서 단위 면적당 섬유 매스(100)의 중량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우에서, 생리혈과 같은 수분은 흡수체(10)의 폭방향 양단부 영역에서보다 흡수체(10)의 폭방향 중앙 영역에서 더 쉽게 보유되기 때문이다. 이는 폭방향에서 외측으로 생리혈 등의 누출을 더 쉽게 억제할 수 있다.
흡수체(10)를 폭방향으로 3등분한 부분으로 나눌 때 흡수체(10)의 폭방향 중앙 영역은 중앙부의 영역으로 지칭하며, 폭방향 양단부 영역은 흡수체(10)를 폭방향으로 3등분한 부분으로 나눌 때 양단부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지칭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추가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섬유 매스(100)의 평균 밀도(중앙부(101) 및 기모부(102)의 평균 밀도)는 흡수체(10)의 평균 밀도보다 더 크다. 따라서, 흡수체(10) 전체에서, 모세관 현상으로 인하여 수분은 저 밀도부로부터 고 밀도부(섬유 매스(100))로 더 쉽게 이동하여 흡수체(10)의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흡수체(10)에 포함된 고흡수성 중합체 입자(SAP)에 관하여, SAP가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되기 전 섬유 매스(100)의 최대 외경(도 6a에서 Ro의 최대값)은 SAP의 최대 외경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10)에서, 복수의 섬유 매스(100) 및 SAP를 혼합한다. 팽창전 SAP의 외경이 섬유 매스(100)의 외경보다 더 클 경우, 팽창 후 SAP의 외경은 훨씬 더 커지게 된다. 이는 팽창된 SAP가 더 쉽게 서로 접하게 된다. 상기 경우에서, SAP가 서로 접하게 되는 부분에서, SAP 및 수분은 서로 덜 접하게 된다. 즉, SAP 표면에서의 수분과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며, 수분의 흡수가 방해되는 이른바 "겔 블로킹"이 유발되어 SAP의 흡수성을 감소시킬 위험이 있다.
대조적으로, 섬유 매스(100)의 외경이 팽창전 SAP의 외경보다 더 큰 경우, SAP가 팽창될 때 섬유 매스(100)가 2개의 인접한 SAP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SAP가 서로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즉, 이는 겔 블로킹의 발생을 더 쉽게 억제한다. 이는 SAP의 흡수성에서의 감소를 억제하며, 흡수체(10) 전체에서의 수분의 흡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양태의 흡수체(10)에서, 짧은 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길이가 2 ㎜ 미만임)를 갖는 활엽수 보액성 섬유 이외에, 활엽수 이외의 재료로 형성되며, 활엽수 섬유보다 더 긴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보액성 섬유가 포함된다. 활엽수 섬유보다 더 긴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보액성 섬유의 예는 침엽수로 생성된 침엽수 보액성 섬유 및 레이온 섬유를 포함한다. 그래서, 짧은 섬유 길이를 갖는 활엽수 보액성 섬유 및 긴 섬유 길이를 갖는 보액성 섬유(예, 침엽수 보액성 섬유)의 혼합은 섬유를 더 쉽게 얽히게 하며, 흡수체(10)의 형상은 쉽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흡수체가 긴 섬유 길이를 갖는 보액성 섬유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높은 유연성을 가지며, 흡수체가 짧은 섬유 길이를 갖는 보액성 섬유만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형상 붕괴가 덜 발생되는 흡수체(10)를 실현할 수 있다. 즉, 흡수체(10)의 흡수성 및 유연성 둘다는 더 쉽게 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소수성 열가소성 섬유는 활엽수 섬유보다 더 긴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보액성 섬유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짧은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섬유 및 긴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섬유는 서로 얽히며, 이는 흡수체(10)의 형상 붕괴가 덜 발생되게 한다. 게다가, 소수성 섬유의 포함은 흡수체(10)에서 수분의 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은 흡수체(10)의 광범위에 걸쳐 쉽게 확산되며, 수분은 흡수체(10) 전체에서 쉽게 흡수 및 보유된다. 그러므로, 흡수체(10)의 흡수성이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적어도 상면 시트(3) 및 흡수체(10)(흡수성 코어)가 두께 방향에서 일체형으로 압착되는 압착부(40)에서, 복수의 열가소성 섬유는 서로 융착된다. 압착부(40)의 형성시 열가소성 섬유가 서로 융착되는 것은 상면 시트(3) 및 흡수체(10)의 일체성을 강화시키며, 흡수체(10)의 형상을 더 쉽게 안정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생리대(1) 사용시 착용자가 신체를 크게 움직일 경우조차 흡수체(10)의 형상 붕괴의 발생 또는 흡수성 악화를 더 쉽게 억제시킬 수 있다.
열가소성 섬유는 흡수체(10)에서 압착부(40)를 제외한 부분에서 서로 열융착되는 경우, 열 융착된 부분에서 흡수체(10)가 단단해지거나; 또는 흡수체(10)는 필름화된 상태가 되어 액체 확산성이 감소되는 문제를 유발할 위험이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흡수체(10)에서의 압착부(40)는 흡수체(10)를 압착 및 경화시켜 흡수체(10)의 변형을 따르는 부분이다. 따라서, 압착부(40)에서 열가소성 섬유가 열융착되어 단단해지거나 또는 액체 확산성이 저하되는 영향은 적다. 그러므로, 열가소성 섬유가 생리대(1)의 압착부(40)에서 서로 융착되더라도 문제는 덜 발생하게 된다.
추가로,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압착부(40)의 폭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기재된 선형 압착부(41)(도 1 참조)의 폭방향 길이(폭)는 약 1.0 ㎜ 내지 2.0 ㎜이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본 실시양태에서 0.79 ㎜)보다 더 크다. 상기 구성에서, 보액성 섬유가 압착부(40)의 폭방향 양단부와 중복되어 배치될 확률은 낮다. 즉, 보수성 섬유가 압착부(40)의 폭방향 양단부(즉, 압착부 및 비압착부 사이의 계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을 억제하기가 쉽다. 보수성 섬유의 가로지름이 압착부 및 비압착부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경우, 가로지름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계면은 단단해진다. 대조적으로, 압착부(40) 및 비압착부 사이의 계면을 가로지르는 보수성 섬유의 양을 감소시키면 압착부 변형시 신체가 느끼는 단단함이 감소되고, 쾌적한 핏팅감이 실현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에서 섬유 매스(100)의 존재 밀도는 구배를 가질 수 있다.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10)의 피부측면에 근접하는 섬유 매스(100)의 밀도가 두께 방향에서의 기타 영역에서의 밀도보다 높은 경우, 생리혈과 같은 액체는 피부측면으로부터 쉽게 흡수될 수 있다. 추가로,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10)의 비피부측면에 근접하는 섬유 매스(100)의 밀도가 두께 방향에서의 기타 영역에서의 밀도보다 높은 경우,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더 먼 위치에 액체를 쉽게 반발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에서, 흡수체(10)의 형상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단면이 직사각형임)인 경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흡수체(10)는 두께 방향에서 피부측을 향하여 돌출된 부분을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9는 흡수체(1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 개략도이다. 변형예의 흡수체(10)는 좌우 방향 중앙부(도 1에서 선형 압착부(41 및 41) 사이의 영역)에서 흡수체 기부(10L)에 대하여 두께 방향에서 피부측을 향하여 상승된 부분인 흡수체 중고부(10H)를 갖는다. 흡수체 중고부(10H) 및 흡수체 기부(10L) 사이에는 두께 방향에서 경사진 경사부(10S)가 형성된다. 흡수체(10)의 중앙부에서 상기 흡수체 중고부(10H)를 제공하여 생리대(1) 착용시 착용자의 가랑이부의 쿠션성 및 배설액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경사부(10S)가 흡수체(10)에 제공되는 경우에서, 경사부(10S)에서 섬유 매스(100)(고 밀도부)의 일부가 눌려져 있거나 또는 기모부(102)가 치우쳐서 배치된 구성이 허용 가능하다. 추가로, 섬유 매스(100)의 평면 방향(도 6a에서 XY 방향)은 경사부(10S)의 경사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서, 섬유 매스(100)의 일부는 그의 중앙부(101)가 경사부(10S)의 피부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기모부(102)의 한 단부가 흡수체 중고부(10H)의 정점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른 단부는 흡수체 기부(10L)의 방향에서 연장되도록 배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기모부(102)를 상기 방식으로 제공하면,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와 유사하게 흡수체(10)가 흡수체 중고부(10H) 또는 경사부(10S)를 갖는 경우에서조차 유연성 및 흡수성 둘다를 달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양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양태를 기재하기는 하나,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해석을 제한하지 않는다. 게다가, 본 발명은 그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변형 또는 개선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그의 등가예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물품의 일례인 생리대(1)는 한쌍의 날개부(30)를 갖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날개부(30)는 반드시 제공될 필요는 없다.
추가로,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에서, 흡수체(10)는 2개의 시트, 이른바 제2의 시트(4) 및 커버 시트(6)로 덮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흡수체(10)의 피부측면 및 비피부측면은 시트로 싸도록 1개의 시트로 덮힐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물품의 예로서 생리대, 팬티 라이너 및 경실금 패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기타 흡수성 물품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또한 각종 일회용 기저귀, 예컨대 수유 패드, 변실금 패드, 팬티형 생리대 및 테이프형 및 팬티형 기저귀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에 기재된 고 밀도부(섬유 매스 및 노츠) 및 저 밀도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를 제공하여 유연성 및 흡수성 둘다를 갖는 수유 패드, 변실금 패드 등을 실현할 수 있다.
기능재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코어의 적어도 부분 영역에는 기능재가 제공될 수 있다. 기능재로서, 예를 들면 온감제, 냉감제, 향료, 항균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온감제는 착용자가 느끼는 생리통 및 냉감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착용자의 온감 자극으로 인하여 착용자가 온감을 느끼는 온감 자극제를 포함한다. 온감 자극제는 휘발성 용매와 혼합된다(또는 온감 자극제는 휘발성을 갖는다).
온감 자극제는 온도 민감성 TRP 채널 중 하나인 TRPV1를 자극하여 활성화시키는 물질이며, 캡사이신, 바닐릴 부틸 에테르 등을 포함한다. 즉, 착용자의 TRPV1이 활성화되어 교감 신경계를 경유하여 착용자에게 열 발생(착용자는 신체에서 열을 발생함)을 유발한다. 착용자의 안심감의 관점에서, 온감 자극제는 식물 유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온감 자극제의 예는 캡시코사이드, 캡사이신(LD50: 47 ㎎/㎏, 분자량: 305), 캡사이시노이드(예컨대 디히드로캡사이신, 노르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캡사이신 및 노니바미드), 캡산틴, 벤질 니코티네이트(LD50: 2,188 ㎎/㎏, 분자량: 213), β-부톡시에틸 니코티네이트, N-아실 바닐릴아미드, 노난산 바닐릴아미드, 폴리알콜, 고추 분말, 고추 팅크제, 고추 추출물, 노난산 바닐릴 에테르, 바닐릴 알콜 알킬 에테르 유도체(예컨대 바닐릴 에틸 에테르, 바닐릴 부틸 에테르(LD50: 4,900 ㎎/㎏, 분자량: 210), 바닐릴 펜틸 에테르 및 바닐릴 헥실 에테르), 이소바닐릴 알콜 알킬 에테르, 에틸 바닐릴 알콜 알킬 에테르, 베라트릴 알콜 유도체, 치환된 벤질 알콜 유도체, 치환된 벤질 알콜 알킬 에테르, 바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에틸 바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생강 추출물, 생강 오일, 진저롤(LD50: 250 ㎎/㎏, 분자량: 294), 진저론, 헤스페리딘 및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및 그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용매가 온감 자극제를 함유한다면 용매는 특정 용매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않는다. 그의 예는 친유성 용매 및 친수성 용매를 포함한다. 용매는 예를 들면 온감 자극제를 용해 또는 확산시킬 수 있다. 온감 자극제가 휘발성 물질인 경우 용매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며, 온감 자극제만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친유성 용매의 예는 지방 및 오일, 예컨대 천연 오일(예, 지방 에스테르, 예컨대 트리글리세리드, 코코넛 오일, 아마인유, 카프릴/카프르 트리글리세리드), 탄화수소(예, 파라핀, 예컨대 액체 파라핀)를 포함한다. 추가로, 친수성 용매의 예는 물 및 알콜을 포함한다. 알콜의 예는 저급 알콜,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및 고급 알콜, 예컨대 카프릴 알콜, 라우릴 알콜 및 미리스틸 알콜을 포함한다.
냉감제는 답답함 및 끈적임에 의하여 유발되는 착용자의 불쾌감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며, 온감제와 유사하게 온도 민감성 TRP 채널을 자극하는 냉감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냉감제로서 멘톨(예, l-멘톨) 및 그의 유도체(예, 멘틸 락테이트), 메틸 살리실레이트, 캄포르, 식물 유래 에센셜 오일(예, 민트 및 유칼립투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향료는 대기압 하에서 아로마 성분을 대기 중에 휘발시켜 착용자가 배설물의 불쾌한 냄새를 느끼기 어렵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향료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동일한 향료일 수 있으며, 특히 그린 허벌 유사 향료(그린 허브 유사 향기)를 사용할 경우, 향료는 신체에 물리적인 자극을 부여하지 않고, 경구 투여하지 않고도 정신적 불쾌감을 안전하게 그리고 쉽게 완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향료는 쾌적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린 허브 유사 향기는 그린 유사 향기(그린 노트) 또는 허벌 유사 향기(허벌 노트)를 포함하는 향기이다. 그린 유사 향기는 풀 및 어린잎의 상쾌한 향기이다. 허벌 유사 향기(허벌 노트)는 허브를 사용하는 천연 허발 향기이다. 그린 허브 유사 향기를 갖는 향료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은 시스-3-헥세놀, 시스-3-헥세닐 포르메이트, 시스-3-헥세닐 아세테이트, 시스-3-헥세닐 프로피오네이트, 시스-3-헥세닐 부티레이트, 트랜스-2-헥세날, 트랜스-2-헥세닐 아세테이트, 헥실 아세테이트,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2-메틸-3-(3,4-메틸렌디옥시페닐)프로판알(IFF 회사명: 헬리오날(Helional)), 3(4)-(5-에틸비시클로[2,2,1]헵틸-2)-시클로헥산올, 알릴 2-펜틸옥시-글리콜레이트(IFF 회사명: 알릴 아밀 글리콜레이트), 4-메틸-3-데센-5-올(기바우단(Givaudan) 회사명: 운데카베르톨(Undecavertol)), 헥실 알데히드, 2,4-디메틸-3-시클로헥세닐카르복시알데히드(IFF 회사명: 트립랄(Triplal)) 및 페닐아세트알데히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향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판 제품도 또한 상기 향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주로 그린 유사 향기를 생성한다. 그린 허브 유사 향기를 갖는 향료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은 l-멘톨, 1,8-시네올, 메틸 살리실레이트, 시트로넬랄, 캄포르, 보르네올,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 터피닐 아세테이트, 유게놀, 아네톨, 4-메톡시벤질 알콜 및 에스트라골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향료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료는 허벌 유사 향기를 주로 생성한다.
항균제는 흡수성 물품에 의하여 흡수된 체액 등에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져서 부패 등으로 인한 악취를 덜 발생하게 된다. 항균제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동일한 항균제일 수 있다. 양이온성 항균제의 예는 4급 암모늄 염, 구아니딘계 항균제(예,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또는 클로르헥시딘 히드로클로라이드), 비구아니드계 항균제, 금속 이온 담지물, 헥세티딘 및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한다. 4급 암모늄 염이 바람직하다.
4급 암모늄 염은 분자에서 4급 암모늄 염 구조를 갖는다면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4급 암모늄 염의 예는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메틸 암모늄 염, 알킬 벤질 디메틸 암모늄 염 및 알킬 피리디늄 염을 포함한다. 하기 화학식 (1) 내지 (4)에 의하여 나타낸 4급 암모늄 염을 예로 들 수 있다:
[R(CH3)3N+] lX 화학식 (1)
[R(CH3)N + (CH2CH2O)mH [(CH2CH2O)nH]] lX 화학식 (2)
[R(CH3)2N + CH2C6H5] lX 화학식 (3)
[RPy+] lX 화학식 (4)
(상기 식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 기를 나타내며, X는 각각 독립적으로 1가 또는 2가 음이온을 나타내며, l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40의 정수를 나타내며, Py는 피리딘 고리를 나타낸다).
추가로, 비구아니드계 항균제의 예는 폴리아미노프로필 비구아니드 및 그의 염, 예컨대 히드로클로라이드, 스테아레이트 및 포스페이트,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히드로클로라이드, 폴리헥사메틸렌 구아니딘 히드로클로라이드, 폴리헥사메틸렌 구아니딘 포스페이트,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히드로클로라이드,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디메틸이미니오)에틸렌(디메틸이미니오)에틸렌 디클로라이드] 및 그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금속 이온을 방출할 수 있는 것인 금속 이온 담지물로서, 예를 들면 금속 염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이온의 예는 은 이온, 아연 이온, 알루미늄 이온, 코발트 이온, 지르코늄 이온, 세륨 이온, 철 이온, 구리 이온, 니켈 이온, 백금 이온을 포함하며, 은 이온이 바람직하다. 금속 염의 예는 질산염, 예컨대 질산은, 질산알루미늄, 질산코발트, 질산지르코늄, 질산세륨, 질산철, 질산구리 및 질산니켈, 아세트산염, 예컨대 아세트산은, 히드로클로라이드, 예컨대 염화세륨, 염화철, 염화아연 및 염화구리 및 황산염, 예컨대 황산은, 황산알루미늄, 황산구리 및 황산아연을 포함한다.
고 밀도부(섬유 매스 또는 노츠) 및 저 밀도부를 갖는 흡수성 코어에 상기 기능재를 제공함으로써, 기능재는 고 밀도부에 더 쉽게 보유되어 흡수성 물품에서 기능재의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성 코어의 고 밀도부(섬유 매스 또는 노츠)에서 항균제의 보유는 흡수된 소변 또는 생리혈이 축적되는 부분에서 항균 효과를 더 잘 나타낸다. 추가로, 향료, 냉감제, 온감제 등은 고 밀도부(섬유 매스 또는 노츠)에 보유 및 축적되므로, 상기 기능재의 효과는 장시간 동안 쉽게 유지될 수 있다.
고
밀도부의
함유율 및 흡수성 사이의 관계
흡수체에 포함된 고 밀도부의 비율(고 밀도부의 함유율) 및 흡수체의 흡수성 사이의 관계를 기재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고 밀도부(노츠)의 상이한 함유율을 갖는 4종의 샘플(흡수체)을 준비하고, 각각의 샘플에 대한 흡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로부터 흡수성을 검증하였다.
우선, 4종의 흡수체(흡수성 코어)는 도 4a 및 도 4b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샘플로서 제조한다. 각각의 흡수체의 제조에서, 우선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프 시트(펄프 롤)를 쏘밀로 분쇄한다. 이 때, 쏘밀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단위 시간당 분쇄되는 펄프의 양을 변경시키는 것은 분쇄되는 펄프에 포함된 고 밀도부 (노츠)의 함유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험에서, 쏘밀에 의하여 120 ㎏/h의 처리량에서 분쇄된 펄프를 실시예 1에 사용하였으며, 240 ㎏/h에서 분쇄된 펄프를 실시예 2에 사용하였으며, 360 ㎏/h에서 분쇄된 펄프를 실시예 3에 사용하였다. 추가로, 60 ㎏/h에서 분쇄된 펄프를 비교예에 사용하였다. 상기 4종의 분쇄된 펄프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하여 흡수체를 형성하였다. 각각의 흡수체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사전결정된 면적(예, 종방향에서 200 ㎜×횡방향에서 70 ㎜), 300 g/㎡의 평량 및 2.0 ㎜의 두께를 갖는다.
그 다음, 상기 4종의 샘플의 경우, 고 밀도부(노츠)의 함유율(즉, 흡수체의 총 중량에 포함된 고 밀도부의 중량비)을 측정한다. 고 밀도부의 함유율은 하기와 같이 JIS K 0069에 규정된 테스트 방법에 따른 체 진탕기(예, 체 진탕기 SS-HK60, 아존 코포레이션 제조)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우선, 4종의 샘플(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흡수체) 각각의 총 중량을 측정하고, 전자 저울 등을 사용하여 기록한다. 그 다음, 실시예 1의 샘플을 체 진탕기에 배치된 14 메쉬 체에 놓았다. 추가로, 체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튜브를 메쉬의 하측에 설치하고, 메쉬로부터 아래로 70 ㎜ 높이에서 튜브 측면에 구멍을 개방하고,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흡입 장치(예, 원더-건 W101, 오사와 앤 컴파니 제조, 최소 흡입 내경: 22 ㎜, 압력: 0.5 MPa)를 구멍에 설치한다. 추가로, 에어 분출 장치(예, 에어 더스터 건 AG-101, 톤 코포레이션 제조, 노즐 길이: 95 ㎜, 노즐 내경: 4 ㎜, 압력: 0.5 MPa)를 메쉬로부터 상측 50 ㎜의 높이에 설치한다. 메쉬가 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JIS Z8801에서 규정된 표준 체 와이어 메쉬를 사용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14 메쉬는 1.18 ㎜의 메쉬 개구, 0.63 ㎜의 와이어 직경 및 42.3%의 개공 면적을 갖는 와이어 메쉬이다.
그 다음, 15 분 동안 70 ㎜의 진폭 및 60 회/분의 조건에서 진탕시키면서 에어 분출 장치는 에어를 고르게 분출시키며, 에어는 흡입 장치에 의하여 흡입되어 섬유를 흡수체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15 분 후 체(14 메쉬)에 잔존하는 섬유는 "노츠"(상기 기재된 고 밀도부(섬유 매스(100))에 해당함)로 간주하며, 노츠의 중량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그 다음, 14 메쉬 체를 통과한 섬유를 수집하고, 60 메쉬 체에 두고, 섬유를 동일한 조건 하에서 다시 분리한다. 그 후, 15 분이 경과된 후, 체(60 메쉬) 상에 잔존하는 섬유를 "허용(Accept)"으로 하고, 중량 측정 및 기록한다. 추가로, 체(60 메쉬)를 통과한 섬유는 "미세(Fine)"로 하고, 노츠 및 허용의 중량을 실시예 1의 샘플(흡수체)의 총량으로부터 빼서 얻은 값을 미세의 중량으로 기록한다. 그 후, 상기 측정된 중량 각각을 샘플(흡수체)의 총 중량으로 나눌 때, 샘플 중의 노츠, 허용 및 미세의 함유율(중량%)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작업을 4종의 샘플(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 수행하며, 노츠, 허용 및 미세의 함유율을 각각의 샘플에 대하여 구한다. 또한 시판 흡수성 물품의 경우, 노츠(고 밀도부), 허용 및 미세의 함유율을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경우에서, 제품 상태에서 흡수체의 상부 및 하부에 적층된 시트(상면 시트(3), 제2의 시트(4), 커버 시트(6) 등)를 박리시킨 후, 섬유를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분리하고, 측정을 수행한다. 추가로, 흡수체의 크기가 큰 경우, 측정을 복수회 수행할 수 있다.
노츠(고 밀도부) 등의 함유율을 4종의 샘플 각각에 측정한 후, 샘플의 흡수성을 측정한다. 우선, 상면 시트(상기 기재된 상면 시트(3)에 해당함, 예를 들면 유니참 코포레이션(Unicharm Corporation)이 제조한 소피 스포츠(Sofy SPORTS)의 상면 시트)를 각각의 샘플의 상부면(두께 방향에서 한면)에 두고, 아크릴 천공판(예, 중심에서 40 ㎜×10 ㎜의 구멍을 갖는 200 ㎜(길이)×100 ㎜(폭) 아크릴판)을 그 위에 적재한다. 그 후, 2 ㎖의 인공 생리혈을 90 ㎖/min로 아크릴판의 구멍에 오토뷰렛(예, 멀티도시매트(Multidosimat) E725-1, 시바타 사이언티픽 테크놀로지 리미티드(Shibata Scientific Technology Ltd.) 제조)을 사용하여 주입한다. "인공 생리혈"로서 80 g의 글리세린, 8 g의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10 g의 염화나트륨, 4 g의 중탄산나트륨, 8 g의 레드(Red) 102, 2 g의 레드 2 및 2 g의 옐로우(Yellow) 5를 1 ℓ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여 생성하고, 성분을 충분히 교반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 후, 인공 생리혈의 주입 개시로부터 상면 시트의 내부로부터 인공 생리혈이 소실될 때까지의 시간 기간(배액 시간)을 측정한다. 흡수체가 더 쉽게 수분을 흡수하므로, 배액 시간이 단축된다. 그래서, 흡수체의 흡수성은 측정된 배액 시간의 길이에 의존하여 평가될 수 있다.
각각의 샘플 및 배액 시간에 대하여 측정된 노츠, 허용 및 미세의 함유율 사이의 관계를 하기 표 1에 제시한다. 표 1에 의하면, 흡수체에서 노츠(고 밀도부)의 함유율이 높을수록 배액 시간이 짧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리대의 사용시, 10 초 이하의 체액의 흡수 속도(예, 배액 시간)는 착용자가 쾌적함을 느끼게 하며, 20 초 초과의 체액 흡수 속도는 착용자가 불쾌함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시예 2 및 3에서, 배액 시간은 10 초보다 짧으며, 흡수성은 양호(Good)로 평가하고, 흡수체는 생리대에 적합하다. 추가로, 실시예 1에서 배액 시간이 20 초보다 짧으므로, 흡수체는 또한 생리대에 사용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비교예에서, 배액 시간은 20 초 이상이며, 흡수성의 평가는 불량(POOR)이었다.
그래서, 흡수체에서 노츠의 함유율이 미세의 함유율보다 높은 실시예 1 내지 3에서 흡수성의 평가는 양호(A 또는 B)인 것이 명백하였다. 이는 섬유가 60 메쉬 체를 통과하기에 충분히 미세한 미세의 경우에 비하여 섬유가 집합된 노츠의 함유율이 높을수록 흡수체의 내부에서 공극을 더 쉽게 생성하며, 체액과 같은 수분이 흡수체를 더 쉽게 통과하므로 우수한 액체 투과성을 갖는 흡수체를 실현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추가로, 노츠(고 밀도부) 그 자체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액체를 쉽게 보유하므로, 노츠의 함유율이 높을수록 보수성이 더 우수한 흡수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흡수체에 포함된 노츠의 함유율은 미세의 함유율보다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흡수체(흡수성 코어)의 섬유를 JIS K 0069의 규정에 따라 체 진탕기를 사용하여 분리할 경우, 14 메쉬 체에 잔류하는 섬유(노츠)의 중량을 흡수체의 중량으로 나누어 얻은 값은 60 메쉬 체를 통과한 섬유(미세)의 중량을 흡수체의 중량으로 나누어 얻은 값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에서 노츠(고 밀도부)의 함유율이 상기 관계에 있는 것은 흡수체(흡수성 코어)의 흡수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1: 생리용 냅킨(흡수성 물품),
2: 측면 시트, 3:상면 시트, 4: 제2의 시트,
5: 이면 시트, 6: 커버 시트,
10: 흡수체(흡수성 코어),
10H: 흡수체 중고부, 10L: 흡수체 기부, 10S: 경사부,
20: 생리대 본체부,
30: 날개부,
40: 압착부, 41: 선형 압착부, 45: 고 압착부, 46: 저 압착부,
61: 수송 기구, 62: 쏘밀
70: 회전 드럼, 71: 오목부, 72: 흡입부,
80: 재료 공급부, 80a: 후드,
81: 입자 공급부,
100: 섬유 매스(고 밀도부)
101: 중앙부, 102: 기모부,
PS: 펄프 시트
2: 측면 시트, 3:상면 시트, 4: 제2의 시트,
5: 이면 시트, 6: 커버 시트,
10: 흡수체(흡수성 코어),
10H: 흡수체 중고부, 10L: 흡수체 기부, 10S: 경사부,
20: 생리대 본체부,
30: 날개부,
40: 압착부, 41: 선형 압착부, 45: 고 압착부, 46: 저 압착부,
61: 수송 기구, 62: 쏘밀
70: 회전 드럼, 71: 오목부, 72: 흡입부,
80: 재료 공급부, 80a: 후드,
81: 입자 공급부,
100: 섬유 매스(고 밀도부)
101: 중앙부, 102: 기모부,
PS: 펄프 시트
Claims (25)
- 서로 직교하는 종방향, 폭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분쇄된 보액성 섬유를 갖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보액성 섬유가 활엽수로 이루어진 활엽수 보액성 섬유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코어가 상기 보액성 섬유가 집합된 부분인 복수의 고 밀도부, 및 상기 보액성 섬유의 밀도가 상기 고 밀도부보다 낮은 부분인 저 밀도부를 가지며,
상기 저 밀도부가 하나 이상의 상기 고 밀도부의 두께 방향의 하나의 측 및 두께 방향의 다른 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 밀도부가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외측에 기모부를 가지며,
상기 중앙부가 상기 보액성 섬유가 집중되고, 상기 저 밀도부의 섬유와 얽히지 않은 부분이며,
상기 기모부가 상기 저 밀도부의 섬유와 얽히는 부분이며,
상기 고 밀도부의 평균 밀도가 상기 흡수성 코어의 평균 밀도보다 더 높으며,
상기 중앙부에 포함된 섬유의 중량이 상기 기모부에 포함된 섬유의 중량보다 더 큰 흡수성 물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 밀도부가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외측에 있는 기모부를 가지며,
상기 중앙부가 상기 보액성 섬유가 집중되고, 상기 저 밀도부의 섬유와 얽히지 않은 부분이며,
상기 기모부가 상기 저 밀도부의 섬유와 얽히는 부분이며,
상기 고 밀도부의 평균 밀도가 상기 흡수성 코어의 평균 밀도보다 높으며,
상기 중앙부에 포함된 섬유의 중량이 상기 기모부에 포함된 섬유의 중량 이하인 흡수성 물품.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 밀도부가 평면상을 가지며,
상기 고 밀도부의 평면 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모부가 차지하는 영역의 최대 폭이 평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모부가 차지하는 영역의 최대 폭보다 더 길며,
상기 흡수성 코어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고 밀도부에서, 평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 상기 흡수성 코어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상기 고 밀도부의 비가, 평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 상기 흡수성 코어의 종방향 및 폭방향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도록 배치된 상기 고 밀도부의 비보다 더 큰 흡수성 물품.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 밀도부의 평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중앙부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을 Rc로 하고, 상기 기모부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을 Ro로 한 경우,
(Ro-Rc)<Rc가 충족되는 흡수성 물품.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 밀도부의 평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중앙부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을 Rc로 하고, 상기 기모부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을 Ro로 한 경우,
(Ro-Rc)≥Rc가 충족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 밀도부의 적어도 일부가 두께 방향에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와 접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 밀도부의 적어도 일부가 두께 방향에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비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와 접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 밀도부의 적어도 일부가 두께 방향에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 및 두께 방향에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비피부측에 인접한 시트 부재 둘다와 접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흡수성 코어에 대하여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배치된 상면 시트; 및
두께 방향에서 상기 상면 시트 및 상기 흡수성 코어가 일체형으로 압착된 압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착부 및 상기 고 밀도부가 두께 방향에서 서로 접하는 흡수성 물품.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가
저 압착부, 및
상기 저 압착부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갖도록 상기 흡수성 코어가 압착된 고 압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 압착부 및 상기 고 밀도부가 두께 방향에서 서로 접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를, 종방향으로 3등분한 종방향 중앙 영역 및 종방향 양단부 영역으로 나눌 때, 상기 종방향 중앙 영역의 단위 면적당 포함되는 상기 고 밀도부의 중량이 상기 종방향 양단부 영역의 단위 면적당 포함된 상기 고 밀도부의 중량보다 더 큰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를, 폭방향으로 3등분한 폭방향 중앙 영역 및 폭방향 양단부 영역으로 나눌 때, 상기 폭방향 중앙 영역의 단위 면적당 포함된 상기 고 밀도부의 중량이 상기 폭방향 양단부 영역의 단위 면적당 포함된 상기 고 밀도부의 중량보다 더 큰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가 고흡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 밀도부의 최대 외경이 상기 고흡수성 중합체의 최대 외경보다 더 큰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2 ㎜ 미만이며,
상기 흡수성 코어가 활엽수 이외의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더 긴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보액성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2 ㎜ 미만이며,
상기 흡수성 코어가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긴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소수성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폭이 15 ㎛ 이하이며,
상기 흡수성 코어의 단위 면적당 포함된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개수가 300 섬유/㎟ 이상 2,500 섬유/㎟ 미만이며,
복수의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 사이에 고흡수성 중합체가 포함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섬유 길이의 표준 편차가 0.27 이하이며,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섬유 폭의 표준 편차가 7.55 이하인 흡수성 물품.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섬유 길이의 표준 편차를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에 더하여 얻은 값이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의 2배의 값보다 작으며,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섬유 길이의 표준 편차를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로부터 빼서 얻은 값이 상기 활엽수 보액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의 1/2의 값보다 더 큰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가 복수의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성 코어가 두께 방향에서 일체형으로 압착된 압착부를 가지며,
상기 압착부에서 상기 열가소성 섬유가 서로 융착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생리대, 팬티 라이너 및 경실금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종방향 중앙 영역으로부터 폭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측면에 점착부가 제공되며,
상기 점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의 속옷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분인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기능재가 제공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에 포함된 섬유가 JIS K 0069의 규정에 의하여 체 진탕기를 사용하여 분리될 때, 상기 체 진탕기의 14 메쉬 체에 잔류하는 섬유의 중량을 분리 전의 상기 흡수성 코어의 중량으로 나누어 얻은 값이, 상기 체 진탕기의 60 메쉬 체를 통과한 섬유의 중량을 분리 전의 상기 흡수성 코어의 중량으로 나누어 얻은 값보다 더 큰 흡수성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JP-P-2019-212865 | 2019-11-26 | ||
| JP2019212865 | 2019-11-26 | ||
| PCT/JP2020/044119 WO2021107059A1 (ja) | 2019-11-26 | 2020-11-26 | 吸収性物品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06759A true KR20220106759A (ko) | 2022-07-29 |
Family
ID=7612953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7017619A Pending KR20220106759A (ko) | 2019-11-26 | 2020-11-26 | 흡수성 물품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JP (1) | JP7592624B2 (ko) |
| KR (1) | KR20220106759A (ko) |
| CN (2) | CN116370204A (ko) |
| TW (1) | TWI880987B (ko) |
| WO (1) | WO202110705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25104936A (ja) * | 2023-12-28 | 2025-07-1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製造方法、及び、陰唇間パッド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98187A (ko) | 2016-12-21 | 2019-08-21 | 바스프 에스이 | 단일-샤프트 압출기 및 단일-샤프트 압출기의 용도, 및 단일-샤프트 압출기를 사용해 초흡수성 폴리머 겔의 모폴러지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ATE169492T1 (de) * | 1991-12-17 | 1998-08-15 | Procter & Gamble | Absorptionsfähiges hygieneprodukt das schmelzgeblasene bestandteile enthält |
| EP0919656A4 (en) * | 1997-06-11 | 2000-09-13 | Chisso Corp | LONG FIBER FABRIC AND RELATED ABSORBABLE ITEMS |
| US6261679B1 (en) * | 1998-05-22 | 2001-07-1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ibrous absorbent 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 JP3734407B2 (ja) * | 2000-06-19 | 2006-01-1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US20030065296A1 (en) * | 2001-02-26 | 2003-04-03 | Kaiser Thomas A. | Absorbent material of water absorbent polymer, thermoplastic polymer, and wat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
| JP4824882B2 (ja) * | 2001-05-24 | 2011-11-3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積層シート |
| JP3611838B2 (ja) * | 2001-12-28 | 2005-01-19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
| JP3966826B2 (ja) * | 2003-02-28 | 2007-08-29 | Ykk株式会社 | 吸水性ファスナー |
| JP4508889B2 (ja) * | 2004-01-27 | 2010-07-21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JP3871698B2 (ja) * | 2005-03-24 | 2007-01-24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CN101404970B (zh) * | 2006-03-23 | 2012-12-12 | 花王株式会社 | 吸收体及其制造方法 |
| WO2009047596A1 (en) * | 2007-06-12 | 2009-04-16 | Dsg Technology Holdings Ltd. | Absorbent article with a slit absorbent core |
| JP2009195631A (ja) * | 2008-02-25 | 2009-09-03 | Kao Corp | 吸収体の製造方法 |
| US20100318047A1 (en) * | 2009-06-16 | 2010-12-16 | Ducker Paul M | Absorbent, nonwoven material exhibiting z-direction density gradient |
| JP5800520B2 (ja) * | 2010-09-16 | 2015-10-2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体液吸収性物品 |
| KR101876595B1 (ko) * | 2010-12-17 | 2018-07-09 | 카오카부시키가이샤 | 흡수성 물품 |
| JP5885954B2 (ja) * | 2011-07-29 | 2016-03-1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芯材の製造方法 |
| JP6195770B2 (ja) * | 2013-09-30 | 2017-09-1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CN107072831B (zh) * | 2014-10-17 | 2020-04-14 | 花王株式会社 | 吸收性物品 |
| JP6473323B2 (ja) * | 2014-12-11 | 2019-02-20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JP6353085B2 (ja) * | 2015-01-29 | 2018-07-04 | 山田 菊夫 | パルプ積繊シート、及びパルプ積繊シートの製造方法 |
| JP6373216B2 (ja) * | 2015-03-31 | 2018-08-1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JP6185033B2 (ja) * | 2015-09-30 | 2017-08-2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用の吸収体 |
| JP6940933B2 (ja) * | 2015-11-12 | 2021-09-29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JP6093001B1 (ja) * | 2015-12-28 | 2017-03-0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の液透過性シート用の不織布、並びに当該不織布を液透過性シートとして含む吸収性物品 |
| JP6950158B2 (ja) * | 2016-09-23 | 2021-10-13 |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
| JP6949668B2 (ja) * | 2017-11-01 | 2021-10-13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JP6554524B2 (ja) * | 2017-11-28 | 2019-07-31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JP6538948B2 (ja) * | 2017-11-28 | 2019-07-03 | 花王株式会社 |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
| JP6667495B2 (ja) * | 2017-12-26 | 2020-03-1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JP6859988B2 (ja) * | 2018-08-01 | 2021-04-14 |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JP6754860B2 (ja) * | 2019-04-01 | 2020-09-16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2020
- 2020-11-26 KR KR1020227017619A patent/KR20220106759A/ko active Pending
- 2020-11-26 WO PCT/JP2020/044119 patent/WO2021107059A1/ja not_active Ceased
- 2020-11-26 TW TW109141643A patent/TWI880987B/zh active
- 2020-11-26 CN CN202310293676.3A patent/CN116370204A/zh active Pending
- 2020-11-26 CN CN202080081098.1A patent/CN114727891B/zh active Active
- 2020-11-26 JP JP2021561522A patent/JP7592624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98187A (ko) | 2016-12-21 | 2019-08-21 | 바스프 에스이 | 단일-샤프트 압출기 및 단일-샤프트 압출기의 용도, 및 단일-샤프트 압출기를 사용해 초흡수성 폴리머 겔의 모폴러지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14727891B (zh) | 2023-04-18 |
| CN114727891A (zh) | 2022-07-08 |
| CN116370204A (zh) | 2023-07-04 |
| WO2021107059A1 (ja) | 2021-06-03 |
| JP7592624B2 (ja) | 2024-12-02 |
| JPWO2021107059A1 (ko) | 2021-06-03 |
| TW202133825A (zh) | 2021-09-16 |
| TWI880987B (zh) | 2025-04-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7367247B2 (ja) | 吸収性物品 | |
| EP3595602B1 (en) | Absorbent core for an absorbent article | |
| JP3234235B2 (ja) | 高吸収力液体吸収性構成要素 | |
| US8373016B2 (en) | Absorbent memb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 AU779156B2 (en) | Absorbent article | |
| KR102003105B1 (ko) | 흡수성 물품 | |
| US20030093047A1 (en) | Absorbent structure and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the absorbent structure | |
| JP2009519098A (ja) | 吸収性用品 | |
| HU221691B1 (hu) | Nedvszívó betét női higiénés használatra és eljárás nedvszívó betét előállítására | |
| WO2006101061A1 (ja) | 吸収性物品 | |
| JP2009519099A (ja) | 吸収性用品 | |
| TWI880988B (zh) | 吸收性物品 | |
| TWM256153U (en) | A sanitary napkin having regions of improved flexibility | |
| JP5330804B2 (ja) | 吸収性物品 | |
| KR20220106759A (ko) | 흡수성 물품 | |
| JP7412979B2 (ja) |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
| JP2012090689A (ja) | 吸収性物品 | |
| JP6632343B2 (ja) | 吸収性物品 | |
| US12115052B2 (en) | Feminine hygiene pad with advantageous lateral gathering features | |
| US20230381033A1 (en) | Absorbent article with absorbent core structure perimeter seal arrangements | |
| JP7412978B2 (ja) | 吸収性物品 | |
| JP6734966B1 (ja) | 吸収性物品 | |
| JP2020188935A (ja) | 吸収性物品 | |
| JP2017104375A (ja) | 吸収性物品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