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59059A - Pet Feeding Device - Google Patents

Pet Fee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059A
KR20230059059A KR1020210143086A KR20210143086A KR20230059059A KR 20230059059 A KR20230059059 A KR 20230059059A KR 1020210143086 A KR1020210143086 A KR 1020210143086A KR 20210143086 A KR20210143086 A KR 20210143086A KR 20230059059 A KR20230059059 A KR 2023005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torage compartment
beverage
disposed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0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730238B1 (en
Inventor
이남기
유현선
김주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3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0238B1/en
Publication of KR2023005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0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023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A01K7/027Drinking equipment with water heaters, coolers or means for preventing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너케이스(30)의 내부에 서로 구획된 음료저장실(C1) 및 사료저장실(C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음료저장실(C1)의 후방에는 냉각부(60)가 배치되고, 상기 음료저장실(C1) 내부로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배치된 음료부(80)는 상기 냉각부(60)에 의해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사료저장실(C2)에 배치된 사료부(120)에는 사료를 보관 및 이송시키는 사료공급모듈(130,1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음료부(80) 및 상기 사료부(120)의 하부에는 음료와 사료를 담아 인출하는 트레이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이 서로 구획되어, 저장된 음료와 사료가 서로 다른 온도로 보관되고 반려동물에게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In the present invention, a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a feed storage compartment (C2) partitioned from each oth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ner case 30. A cooling unit 6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can discharge cold air in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beverage unit 80 disposed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may cool beverages by the cooling unit 60 . The feed unit 120 disposed in the feed storage room C2 is provided with feed supply modules 130 and 150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fe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unit 80 and the feed unit 120, the tray unit 170 for withdrawing the beverage and feed may be disposed. As such,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so that stored beverages and feeds can be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provided to companion animals.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Pet Feeding Device}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Pet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사료, 간식 및 음료 등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upplying food, snacks, beverages, and the like to companion animals.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은 주로 실내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동물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반려동물을 건강하게 사육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에게 정량의 사료나 간식 또는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들이 있다. In general, a companion animal refers to an animal that mainly lives with people indoors, and various devices for breeding such companion animals in a healthy way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there are devices for supplying a fixed amount of feed, snacks, or beverages to companion animals.

최근에는 사료나 음료 등을 보관하였다가 반려동물에게 제공하기 위한 음식물 공급장치들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10-1321953에는 사료와 간식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미국 등록특허 US 7,578,261 B2에는 물 또는 사료를 저장하였다가 공급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Recently, food supply devices for storing food or beverages and providing them to companion animals have also been developed. For example,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21953 discloses a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feed and snacks, and US Patent No. 7,578,261 B2 discloses a device for storing and supplying water or feed.

그런데, 사료와 물의 신선함을 유지하고, 사료나 물을 반려동물이 선호하는 온도에 맞추어 제공하기 위해서 이들을 적정한 온도로 보관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음식물 공급장치들은 대부분 사료나 물을 단순히 보관하였다가 반려동물에게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다. However, it is necessary to keep the food and water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in order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food and water and to provide the food or water at the temperature preferred by the companion animal. Most of the conventional food supply devices simply store the food or water and then It is only given to animals.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공급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등록특허 US 6,766,766 B1에는 냉각장치가 내장된 음식물 공급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한국 등록특허 10-1357504에는 냉각장치가 구비된 사료 자동공급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food supply device including a cooling device is also being developed. For example, US registered patent US 6,766,766 B1 discloses a food supply device having a built-in cooling device,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357504 discloses an automatic feed feed device equipped with a cooling device.

하지만, 종래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들은 물 또는 사료를 냉각시켜주는데 그치고, 물과 사료를 각각 적정한 온도로 보관하였다가 반려동물에게 공급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한다. 물과 사료는 적정한 보관온도가 서로 다른데, 종래기술들은 물과 사료를 서로 다른 온도로 보관하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However, conventional food supply devices equipped with a cooling device stop at cooling water or feed, and do not provide a function of storing water and fe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supplying them to companion animals. Water and feed have different appropriate storage temperatures, but the prior art has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store water and feed at different temperatures.

특히, 반려동물을 위한 건사료와 습식사료(간식 등)는 서로 적정한 보관온도가 다르다. 건사료는 상온에서 보관이 가능한데 반해, 습식사료는 냉장보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종래의 음식물 공급장치는 건사료와 습식사료를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보관하더라도, 이들을 다른 온도로 보관하고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dry food and wet food (snacks, etc.) for companion animals have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Dry food can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whereas wet food requires refrigeration. However, the conventional food supply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store and provide dry feed and wet feed at different temperatures even if they are separately stored.

물론, 일반 냉장고와 같이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고, 이들에 독립적인 냉각장치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사료(건사료, 습식사료 등)와 음료를 서로 다른 온도로 보관할 수도 있으나, 이렇게 되면 음식물 공급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Of course, it is possible to store feed (dry feed, wet feed, etc.) and beverages at different temperatures by dividing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like in a general refrigerator and installing independent cooling devices in each of them, but in this case, the food supply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and the volume increases.

그리고, 사료나 간식 등을 냉장보관하더라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사료나 간식이 산패될 염려가 있고, 사료와 간식의 냄새가 음식물 공급장치의 외부로 새어나가는 문제도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feed or snack is refrigerate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feed or snack may become rancid after a long time,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smell of the feed and snack leaks to the outside of the food supply device.

한국 등록특허 제 10-1321953 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21953 미국 등록특허 US 7,578,261 B2US registered patent US 7,578,261 B2 미국 등록특허 US 6,766,766 B1US registered patent US 6,766,766 B1 한국 등록특허 제 10-1357504 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5750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와 사료를 서로 다른 온도로 보관하고, 반려동물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beverages and feeds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provide them to companion anima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정보관온도가 서로 다른 사료(건사료, 습식사료 등)들을 구분하여 서로 다른 온도로 보관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assify feeds (dry feed, wet feed, etc.) having different optimum storage temperatures and store them at different temperatur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냉각장치로 음료, 건사료, 습식사료 등을 서로 다른 온도로 보관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beverages, dry feed, wet feed, etc.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one cool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odor inside the food supply device from leaking ou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는 케이스의 내부에 서로 구획된 음료저장실 및 사료저장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냉각부가 배치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음료저장실에 배치된 음료부는 상기 냉각부에 의해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사료저장실에 배치된 사료부에는 사료를 보관 및 이송시키는 사료공급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음료저장실과 상기 사료저장실이 서로 구획되어, 저장된 음료와 사료가 서로 다른 온도로 보관되고 반려동물에게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beverage storage room and a feed storage room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side the case. A cooling unit may be disposed in the case, and the cooling unit may discharge cold air into the case. The beverage unit disposed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may cool beverages by the cooling unit. A feed supply module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feed may be provided in the feed unit disposed in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s such,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so that stored beverages and feeds may be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provided to companion animals.

그리고, 상기 음료저장실과 상기 사료저장실의 사이에는 연통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통로에는 상기 연통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댐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에 의해 상기 음료저장실의 냉기가 상기 사료저장실에 전달되어, 상기 사료저장실의 사료도 함께 냉각될 수 있다. Also, a communication path may be formed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a damper unit may be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path to block or open the communication path. Cool air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is transferred to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by the damper unit, so that the feed in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may be cooled together.

또한, 상기 사료저장실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1사료저장실과 제2사료저장실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은 상기 댐퍼부를 구성하는 제1댐퍼에 의해 상기 음료저장실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사료저장실은 상기 댐퍼부를 구성하는 제2댐퍼에 의해 상기 제1사료저장실과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사료저장실은 다시 제1사료저장실과 제2사료저장실로 구획되고, 이들을 서로 다른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건사료와 습식사료와 같이 적정보관온도가 서로 다른 사료들을 구획된 사료저장실들에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eed storage room may be divided into a first feed storage room and a second feed storage room having different heights.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may be connected 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by a first damper constituting the damper uni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by a second damper constituting the damper unit. In this way,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is again partitioned into a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a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se can be set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refore, feeds having different optimal storage temperatures, such as dry feed and wet feed, can be stored separately in the compartments.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아웃케이스와 이너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아웃케이스와 상기 이너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부의 단열효과가 좋아질 수 있고, 상기 냉각부의 온도가 주변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case may include an outer case and an inner case, and the cooling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Accordingly, the insulation effect of the cooling unit may be improv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unit may not affect peripheral components.

또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음료저장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음료저장실의 내부로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냉각부에 의한 냉기는 상기 음료저장실과 상기 사료저장실을 순서대로 거치면서 이들을 각각 냉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ling unit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cooling unit may discharge cold air in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In this case, the cold air by the cooling unit may cool each of them while passing through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in order.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에는 상기 음료저장실과 상기 사료저장실 사이에 구비되는 제1단열벽과, 상기 사료저장실을 상부의 제1사료저장실과 하부의 제2사료저장실로 구획하는 제2단열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가 배치된 취출실의 상부에는 제3단열벽 구비되어, 상기 취출실을 상기 음료저장실 및 상기 사료저장실과 구획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case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insulating wall provided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a second insulation wall dividing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into a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t the top and a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at the bottom. can A third insulating wall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livery room where the tray unit is disposed, so that the delivery room may be partitioned from the beverage storage room and the feed storage room.

또한, 상기 댐퍼부에는 회전되는 댐핑블레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댐핑블레이드는 회전하여 상기 연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mper unit is provided with a damping blade that rotates, and the damping blade rotates to open or block the communication passage.

그리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음료저장실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 사이의 제1연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제1댐퍼와, 상기 제1사료저장실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 사이의 제2연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제2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2댐퍼는 상기 음료저장실, 상기 제1사료저장실 및 상기 제2사료저장실을 서로 독립된 공간으로 만들거나, 서로 연결된 공간으로 만들어 공기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And, the damper unit opens or closes a first damper for opening or blocking a first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a second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It may include a second damper to block. The first damper and the second damper may control air flow by making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independent of each other or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냉각부에는 열전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면에는 히트싱크가 접하며,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면에는 콜드싱크가 접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열전소자에 의해 상기 음료저장실이 냉각될 수 있다. A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provided in the cooling unit, a heat sink may be in contact with a he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cold sink may be in contact with a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 this case,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may be cool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이때,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콜드싱크는 상기 아웃케이스와 상기 이너케이스의 사이의 단열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아웃케이스와 케이스커버 사이의 방열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부의 냉각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cold sink may be disposed in an insulating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and the heat sink may be disposed in a heat dissipation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case cover. Accordingly,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oling unit may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에는 상기 열전소자 및 상기 콜드싱크를 감싸는 냉각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플랜지에는 회수덕트의 덕트배출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사료저장실의 냉기가 상기 냉각부에 정확하게 회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case may include a cooling flange surround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cold sink, and a duct outlet of a recovery duct may be connected to the cooling flange. With this structure, the cold air in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an be accurately recovered to the cooling unit.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와 상기 이너케이스의 사이에는 회수덕트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수덕트는 상기 사료저장실과 상기 냉각부를 향해 각각 개구되어 상기 사료저장실과 상기 냉각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 및 상기 제2사료저장실의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다시 회수되어 상기 냉각부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recovery duc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and the recovery duct opens towar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cooling unit to connect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cooling unit. The recovery duct prevents cold ai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y allowing the indoor air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to be returned to the cooling unit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에는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압력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압력모듈의 공기흡입구는 상기 사료저장실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모듈의 공기배출구는 상기 음료저장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력모듈은 상기 사료저장실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사료저장실이 상기 압력모듈에 의해 일종의 음압실이 되면 사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ressure module for sucking and discharging air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case, an air inlet of the pressure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an air outlet of the pressure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The pressure module may lower the pressure of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When the feed storage chamber becomes a kind of negative pressure chamber by the pressure module, oxidation of the feed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를 감싸는 아웃케이스와 상기 이너케이스의 사이에는 단열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단열공간에는 상기 냉각부의 열전소자와 콜드싱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냉각부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A heat insul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an outer case surrounding the inner case,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cold sink of the cooling unit may be disposed in the heat insulation space. Through this structur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oling unit may be improved.

또한, 상기 아웃케이스에는 케이스커버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아웃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커버의 사이에는 방열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방열공간에는 상기 냉각부의 히트싱크와 방열팬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ase cover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ase, a heat dissip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case cover, and a heat sink of the cooling unit and a heat dissipation fan may be disposed in the heat dissipation space.

그리고, 상기 음료부에는 상기 아웃케이스의 표면을 구성하는 음료도어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음료탱크는 상기 음료도어와 함께 상기 아웃케이스로부터 입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부에는 상기 아웃케이스의 표면을 구성하는 사료도어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사료공급모듈은 상기 사료도어와 함께 상기 아웃케이스로부터 입출될 수 있다. 상기 음료도어와 상기 사료도어는 상기 음료저장실과 상기 사료저장실을 평소에 밀폐할 수 있고, 상기 아웃케이스의 전면을 구성하여 디자인의 통일성을 높일 수도 있다. And, the beverage unit may be provided with a beverage door constituting the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the beverage tank may be moved in and out of the outer case together with the beverage door. In addition, the feed unit may be provided with a feed door constituting the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the feed supply module may be moved in and out of the outer case together with the feed door. The beverage door and the feed door can normally seal the beverage storage room and the feed storage room, and can configure the front of the outer case to increase the unity of design.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seen above, the companion animal food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에는 음료저장실과 사료저장실이 서로 구획되어, 저장된 음료와 사료가 서로 다른 온도로 보관되고 반려동물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음료와 사료가 서로 다른 온도로 보관될 수 있으므로, 사료와 음료의 보관온도를 사료/음료의 성질이나 반려동물의 기호에 맞출수 있고, 따라서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side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verage storage room and a feed storage room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so that stored beverages and feeds can be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provided to companion animals. Since the beverage and the feed can be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feed and the beverage can be adjusted to the nature of the feed/beverage or the preferenc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us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food supply device is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의 사료저장실은 다시 제1사료저장실과 제2사료저장실로 구획될 수 있고, 이들을 서로 다른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건사료와 습식사료와 같이 적정보관온도가 서로 다른 사료들을 구획된 사료저장실들에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종류의 사료들을 하나의 음식물 공급장치에 보관하고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 And, the feed storage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divided into a first feed storage room and a second feed storage room, and they can be set at different temperatures. Since feeds having different proper storage temperatures, such as dry feed and wet feed, can be stored separately in the compartmentalized feed storage rooms, more various types of feed can be stored in one food supply device and provided to companion animals.

또한, 본 발명에서 음식물 공급장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는 음료저장실의 후방에만 배치될 수 있고, 제1사료저장실과 제2사료저장실은 음료저장실로부터 공급된 냉기로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음료저장실, 제1사료저장실 및 제2사료저장실 사이는 댐퍼에 의해 차단/연결되면서 냉기가 유동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냉각장치로 음료, 건사료, 습식사료 등을 모두 서로 다른 온도로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공급장치의 전체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food supply device may be disposed only at the rear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may control internal temperatures with cold air suppli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t this time, cold air can flow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while being blocked/connected by the damper, so that beverages, dry feed, and wet feed can all be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one cooling device. there is. Accordingly, the entire structure of the food supply device can be simplified.

이때, 제2사료저장실은 제1사료저장실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1사료저장실의 차가운 공기는 자연스럽게 제2사료저장실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사료저장실과 제2사료저장실 사이에 별도의 팬을 배치하지 않더라도, 제1사료저장실로부터 제2사료저장실로 냉기가 유동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old air from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may naturally move to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even if a separate fan is not disposed betwee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old air can flow from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to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그리고, 본 발명에는 회수덕트가 구비될 수 있고, 회수덕트는 제1사료저장실 및 제2사료저장실과 냉각부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회수덕트는 제1사료저장실 및 제2사료저장실의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다시 회수되어 냉각부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공급장치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recovery duct may b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covery duct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cooling unit. The recovery duct prevents cold ai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y allowing indoor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to be returned to the cooling unit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food supply device.

특히, 회수덕트는 제1사료저장실 및 제2사료저장실의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료의 냄새가 음식물 공급장치의 바깥쪽으로 퍼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공급장치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사료 냄새에 의한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recovery duct prevents the indoor air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smell of the feed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to the outside of the food supply device. Therefore, even if the food supply device is used for a long time, the unpleasant feeling caused by the smell of feed can be reduc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료저장실에는 압력모듈이 배치되어, 사료저장실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사료저장실이 압력모듈에 의해 일종의 음압실이 되면 사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사료의 보관기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ure module is disposed in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to lower the pressure in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When the feed storage room becomes a kind of negative pressure room by the pressure module, oxidation of the feed can be prevented, and as a result, the storage period of the feed can be extended.

또한, 본 발명에서 냉각부를 구성하는 열전소자와 콜드싱크 등은 아웃케이스와 이너케이스의 사이의 단열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히트싱크와 방열팬 등은 아웃케이스와 케이스커버 사이의 방열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부의 냉각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cold sink constituting the cooling unit may be disposed in the heat insulation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and the heat sink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are disposed in the heat dissipation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case cover. It can be. Therefor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oling unit can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음료저장실과 사료저장실은 하부에 배치된 취출실과 구획될 수 있고, 사료덕트를 통해서만 취출실과 연결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개방빈도가 높은 취출실이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되므로, 음료저장실과 사료저장실의 냉기누설을 보다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storage room and the feed storage room may be partitioned from the take-out room disposed below,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ake-out room only through a feed duct. Since the extraction room, which has a relatively high opening frequency, is partitioned into a separate spac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leakage of cold air in the beverage storage room and the feed storage room.

또한, 음료저장실의 음료와 사료저장실의 사료는 사료덕트를 통해서 취출되므로, 음식물의 취출경로가 일원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의 음식물 이동경로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고, 음료와 사료를 하부의 보울에 보다 정확하게 취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storage room and the feed in the feed storage room are taken out through the feed duct, the food take-out route can be unified. Accordingly, the moving path of food inside the food supply device can be more simplified, and beverages and feeds can be taken out more accurately to the lower bowl.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 음료부의 음료도어, 사료부의 사료도어 및 트레이부의 트레이도어는 아웃케이스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고, 이들은 서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도어들은 음식물 공급장치 디자인의 통일성을 높일 수도 있다. And, in this embodiment, the beverage door of the beverage unit, the feed door of the feed unit, and the tray door of the tray unit may constitute the front of the outer case, and they may form the same plane as each other. Accordingly, each door may increase the uniformity of the design of the food supply device.

또한, 음료부의 음료도어 및 사료부의 사료도어는 전방으로 인출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쉽게 음료와 사료를 다시 채워넣을 수 있고, 따라서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everage door of the beverage unit and the feed door of the feed unit are drawn forward, the user can more easily refill the beverage and feed, and thus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food supply devi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와 사료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도 8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냉각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XI-X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케이스커버를 제거하고, 냉각부 및 회수덕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압력모듈이 이너케이스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XIV-XIV'선에 대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와, 음료부의 하부에 배치된 트레이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의 측면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8은 도 1의 XVIII-XV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9는 도 1의 XIX-XIX'선에 대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부에 사료덕트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에 결합되는 사료덕트의 상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에 결합되는 사료덕트의 하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사료덕트를 구성하는 트레이배출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6은 도 22에 도시된 사료덕트를 구성하는 트레이배출관의 구조를 도 25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7은 도 20의 XXVII-XX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28은 도 1의 XXVIII-XXV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이 이너케이스에 구비된 회전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부품 중에서 제1피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부품 중에서 제1피더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부품 중에서 제1피더의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부품 중에서 제1피더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의 구조를 보인 저면도.
도 36 및 도 3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에 의해 회전트레이가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로부터 회전트레이 및 보울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로부터 트레이부가 인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0은 도 39의 XL-XL'선에 대한 단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의 모습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인출모듈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43 내지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각각 보인 측면도.
도 4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에 안착된 보울들이 서로 벌어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nen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and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unit and a feed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ner cas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case constituting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ner cas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cas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ure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ling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I-XI' of Fig. 1;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ling unit and a recovery duct after removing a case cov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ure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n inner case.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IV-XIV' of Fig. 1;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par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companion animal food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drawn from the outer cas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ray unit disposed under the beverage unit.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structure of a beverag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VIII-XVIII' in Fig. 1;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IX-XIX' of Fig. 1;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ed par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companion animal food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drawn from the outer case.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ed duct is coupled to the feed unit of the companion animal food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eed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feed duct coupled to the feed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feed duct coupled to the feed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ray discharge pipe constituting the feed duct shown in FIG. 22;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ray discharge pipe constituting the feed duct shown in FIG. 22 from a different angle from that of FIG. 25;
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XVII-XXVII' in Fig. 20;
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XVIII-XXVIII' in Fig. 1;
2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eed supply module constituting a feed uni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ed supply module constituting the feed unit of the companion animal food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rotation unit provided in the inner case.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st feeder among parts of a feed supply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st feeder among parts of a feed supply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a first feeder among parts of a feed supply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a first feeder among parts of a feed supply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ray rotation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and 37 are plan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rotation trays are rotated at different angles by the tray rotation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tray and bowls are separated from the tray rotation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 part is withdrawn from one embodiment of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0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XL-XL' of Fig. 39;
4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tray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forward as viewed from below;
4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ray withdrawal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3 to 45 are side views sequentially showing how the tray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out from the outer case forward.
4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wls seated on a tray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pread apart from each other.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이하 "음식물 공급장치"라 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 공급장치는 음료와 사료를 적절한 온도로 보관하였다가, 반려동물에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 공급장치는 여러 종류의 반려동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나 고양이와 같은 포유류 뿐 아니라, 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동물을 위해 본 발명의 음식물 공급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od supply device"). The food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beverages and feeds at appropriate temperatures and then supply them to companion animals. The food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types of companion animals. For example, the food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animals including birds as well as mammals such as dogs and cats.

이때, 상기 음료와 사료는 서로 다른 온도로 보관될 수 있다. 특히 사료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사료들로 구성되고, 복수의 사료들도 서로 다른 보관온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료는 약 15도, 습식사료(간식)는 약 10도, 그리고 건사료는 약 20도의 온도로 보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료와 사료의 보관구조와, 온도조절을 위한 냉기흐름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the beverage and feed may be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In particular, the fee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eeds of different types, and the plurality of feeds may also have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For example, beverages can be stored at about 15 degrees, wet food (snacks) at about 10 degrees, and dry food at about 20 degrees. Hereinafter, the beverage and feed storage structure and the cold air flow structure for temperature control will be mainly described.

설명에 앞서 도면의 방향에 대해 정의하면, 음식물 공급장치의 앞쪽(전방)은 사용자가 음식물 공급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용자를 향한 방향이 되고, 뒤쪽(후방)은 그 반대방향이 된다.(도 1의 X축 방향 참조) 그리고 음식물 공급장치의 왼쪽(좌방)과 오른쪽(우방)은 음식물 공급장치의 좌우폭방향(도 1의 Y축 방향 참조)가 되고, 음식물 공급장치의 위쪽(상방)과 아래쪽(하방)은 음식물 공급장치의 높이방향(도1의 Z축 방향 참조)이 된다. Prior to description, when defining the direction of the drawing, the front (front) of the food supply device is the direction toward the user when the user looks at the food supply device from the front, and the rear (rear) is the opposite direction. ( 1), and the left (left) and right (right) sides of the food supply device are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see the Y axis direction of FIG. 1) of the food supply device, and the top (upper) and The lower (lower) direction i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ood supply device (refer to the Z-axis direction in FIG. 1).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는 대략 육면체의 외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외관은 아웃케이스(10)에 의해 만들어지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부에는 이너케이스(30), 냉각부(60), 음료부(80), 사료부(12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아래쪽에는 전방으로 공급스테이션(17)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스테이션(17)에는 후술할 트레이부(170)가 안착될 수 있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food supply device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external structure. The exterior of the food supply device is made by the outer case 10, and the inside of the outer case 10 includes an inner case 30, a cooling unit 60, a beverage unit 80, a feed unit 120, and the like. can be placed. A feeding station 17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ood supply device, and a tray unit 17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seated on the feeding station 17 .

도 1을 보면 음료도어(81), 사료도어(121) 및 트레이도어(171)가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음료도어(81), 상기 사료도어(121) 및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전후방으로 입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도어(81), 상기 사료도어(121) 및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서로 같은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5에는 상기 음료도어(81)가 인출되어 있고, 도 20에는 상기 사료도어(121)가 인출되어 있으며, 도 39에는 상기 트레이도어(171)가 인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a beverage door 81, a feed door 121, and a tray door 171 may form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ood supply device. The beverage door 81, the feed door 121, and the tray door 171 may enter and exit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food supply device. In this embodiment, the beverage door 81, the food door 121 and the tray door 171 may constitute the same plane. In FIG. 15, the beverage door 81 is drawn out, in FIG. 20, the feed door 121 is drawn out, and in FIG. 39, the tray door 171 is drawn out.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아웃케이스(10)는 아웃상면부(11), 아웃후면부(12, 도 4참조), 아웃측면부(13) 및 아웃저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상기 아웃후면부(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케이스커버(2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도 4를 보면, 상기 아웃후면부(12)에는 냉각가이드(12a)가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냉각가이드(12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부(60)가 배치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0)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일체로 구성되거나 다수의 부품이 서로 조립되어 아웃케이스(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The outer case 10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food supply device may include an outer top portion 11, an outer rear portion 12 (see FIG. 4), an outer side portion 13, and an outer bottom portion 15. Among them, the outer rear part 12 may be covered by a case cover 20 to be described below. Referring to FIG. 4 , a cooling guide 12a is open at the outer rear part 12, and a cooling unit 60 to be described below is disposed in the cooling guide 12a. The outer case 10 may be made of a metal or non-metallic material,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or a plurality of parts may be assembled to form the outer case 10 .

이때, 상기 아웃저면부(15)는 공급스테이션(17)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웃저면부(15)는 상기 아웃케이스(10)를 구성하는 일부인 동시에, 공급스테이션(17)과 연결되어 후술할 트레이인출모듈(190)에 의해 입출되는 트레이부(17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uter bottom part 15 may be combined with the supply station 17 . The outer bottom part 15 is a part constituting the outer case 10, and at the same time, it is connected to the supply station 17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tray part 170, which is moved in and out by the tray take-out module 190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can provide

도 3을 보면,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부에는 장착공간(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16)은 전방과 하방으로 개방된 빈 공간이다. 상기 장착공간(16)에는 이너케이스(30) 및 상기 음료부(80) 등의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아웃저면부(15)는 별개물로 구성되고 상기 아웃케이스(10)에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아웃저면부(15)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너케이스(30)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래쪽에서 상기 장착공간(16)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장착공간(16)의 전방에서 상기 아웃케이스(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mounting space 16 may be formed inside the outer case 10 . The mounting space 16 is an empty space open to the front and downward. Components such as the inner case 30 and the beverage unit 80 may be disposed in the mounting space 16 .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outer bottom part 15 is composed of a separate material and has a structure assembled to the outer case 10, the inner case 30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bottom part 15 is not assembled. It can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16 from the bottom of the outer case 10 . Alternatively, the inner case 30 may be assembled to the outer case 10 in front of the mounting space 16 .

상기 장착공간(16)의 전방에는 공급스테이션(1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은 트레이부(170)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방으로 인출될 때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은 대략 사각판상이고, 중심에는 가이드홀(17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7a)은 상기 트레이부(170)의 가이드브릿지(179b, 도 28참고)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가이드홀(17a)을 통해 트레이부(170)의 트레이도어(171)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170) 및 트레이인출모듈(190)의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 supply station 17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mounting space 16 . The supply station 17 is a part to be seated when the tray unit 170 is drawn out toward the front of the outer case 10 . The supply station 17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 guide hole 17a is formed in the center. The guide hole 17a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guide bridge 179b (see FIG. 28) of the tray unit 170 passes. The guide bridge 179b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ray door 171 of the tray unit 170 through the guide hole 17a. Structures of the tray unit 170 and the tray withdrawal module 190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상기 아웃케이스(10)의 후방에는 케이스커버(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2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후방에서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웃후면부(12)를 덮는다. 상기 케이스커버(20)는 평판구조인 커버플레이트(21)와, 상기 커버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커버스페이서(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스페이서(23)는 상기 커버플레이트(21)와 상기 아웃후면부(12) 사이에 빈 공간인 방열공간(S, 도 11참고)을 만들 수 있다. A case cover 20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outer case 10 . The case cover 20 covers the outer rear part 12 of the outer case 10 at the rear of the outer case 10 . The case cover 20 may include a cover plate 21 having a flat plate structure and a cover spacer 23 protruding along an edge of the cover plate 21 . The cover spacer 23 may create an empty heat dissipation space (S, see FIG. 11) between the cover plate 21 and the outer rear part 12.

상기 케이스커버(20)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웃후면부(12)를 덮으면, 상기 아웃후면부(12)에 배치된 부품들이 차폐될 수 있고, 부품들이 발생시키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부품들이란,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부(60)의 방열팬(F1)과 압력모듈(76)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2을 보면, 상기 케이스커버(20)의 안쪽에 냉각부(60)의 방열팬(F1)과 압력모듈(76)이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case cover 20 covers the outer rear part 12 of the outer case 10, parts disposed on the outer rear part 12 can be shielded, and noise generated by the parts can be reduced. Here, the parts include a heat dissipation fan F1 of the cooling unit 60 and a pressure module 7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Referring to FIG. 12 , a state in which the heat dissipation fan F1 of the cooling unit 60 and the pressure module 76 are disposed inside the case cover 20 is shown.

상기 커버플레이트(21)에는 방열그릴(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열그릴(25)은 상기 커버플레이트(21)의 일부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부분으로, 방열공간(S)을 외부로 연결한다. 상기 방열그릴(25)은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부(60)의 방열팬(F1)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A heat dissipation grill 25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plate 21 . The heat dissipation grill 25 is a portion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cover plate 21 penetr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connects the heat dissipation space S to the outside. The heat dissipation grill 25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heat dissipation fan F1 of the cooling unit 60 to be described below.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방열공간(S)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부(60)의 히트싱크(61)와 방열팬(F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팬(F1)은 상기 방열공간(S)에서 상기 방열그릴(25)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바깥쪽인 후방(화살표A 방향)으로 열기를 배출하게 된다. 참고로, 도 11에서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웃후면부(12)와, 이너케이스(30)의 이너후면부(32) 사이에는 냉각부(60)의 열전소자(65), 냉각팬(F2) 및 콜드싱크(67)가 배치되는데, 상기 열전소자(65), 냉각팬(F2) 및 콜드싱크(67)는 이너케이스(30)의 냉각플랜지(41a)에 의해 둘러싸인다. 그리고 상기 냉각플랜지(41a)의 바깥쪽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웃후면부(12)와, 이너케이스(30)의 이너후면부(32) 사이에 형성된 단열공간(I)에는 발포액이 충진되어 단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a heat sink 61 of a cooling unit 60 and a heat dissipation fan F1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disposed in the heat dissipation space S. The heat dissipation fan (F1) is disposed toward the heat dissipation grill 25 in the heat dissipation space (S) to discharge heat toward the rear (direction of arrow A). For reference, in FIG. 11 , between the outer rear surface 12 of the outer case 10 and the inner rear surface 32 of the inner case 30,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of the cooling unit 60 and the cooling fan F2 and a cold sink 67.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the cooling fan F2, and the cold sink 67 are surrounded by the cooling flange 41a of the inner case 30. In addition, foam liquid is filled in the insulation space (I) formed between the outer rear surface portion 12 of the outer case 10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cooling flange 41a and the inner rear surface portion 32 of the inner case 30. Thus, a thermal insulation portion may be formed.

상기 장착공간(16)에는 이너케이스(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이너케이스(30)에는 음료부(80) 등 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와 함께 음식물 공급장치의 케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An inner case 30 may be disposed in the mounting space 16 . The inner case 30 is inserted into the outer case 10, and devices such as a beverage unit 8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case 30. The inner case 30 and the outer case 10 may constitute a case of a food supply device.

도 17과 도 19을 참조하면, 상기 아웃케이스(10)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사이에는 빈 공간인 단열공간(I)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공간(I)에는 발포액이 충진되어 단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17 and 19, a heat insulating space (I)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10 and the inner case 30, and the heat insulating space (I) is filled with a foam solution for insulation. wealth can be created.

상기 이너케이스(30)는 본 실시례의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를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에는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이 마련되고, 이들은 서로 구획된다. 여기서 구획이란,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사료저장실(C2) 및 상기 취출실(C3)이 서로 완전히 차단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위 공간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댐퍼부(D1,D2)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inner case 30 may play a role of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food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to a plurality of spaces. The inner case 30 is provided with a beverage storage room (C1), a feed storage room (C2) and a take-out room (C3), which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Here, the division does not mean that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and the take-out compartment (C3) are completely blocked from each other, and the above spaces are used in damper units (D1, D2), etc.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상기 이너케이스(30)는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너케이스(3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사료저장실(C2) 및 상기 취출실(C3)을 구획하여, 이들 공간이 서로 단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사료저장실(C2) 및 상기 취출실(C3) 사이에서 냉기가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 공간 사이에서의 냉기유동은 아래에서 설명될 댐퍼부(D1,D2)에 의해 서로 차단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The inner case 30 may be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For example, the inner case 3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inner case 30 divides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and the take-out compartment C3 so that these spaces can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inner case 30 can suppress the random flow of cold air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and the take-out compartment C3. The flow of cold air between these spaces may be block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y damper units D1 and D2 to be described below.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이너케이스(3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이너상면부(31), 이너후면부(32), 이너측면부(33) 및 이너저면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상면부(31), 이너후면부(32), 이너측면부(33) 및 이너저면부(35)는 서로 연결되어 대략 육면체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전방으로 개방되고, 개방된 전방으로부터 부품들이 삽입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inner case 30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the inner case 30 includes an inner upper surface portion 31 , an inner rear surface portion 32 , an inner side surface portion 33 , and an inner bottom surface portion 35 . ) may be included. The inner upper surface portion 31, the inner rear surface portion 32, the inner side surface portion 33,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portion 35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e inner case 30 is opened forward, and parts may be inserted from the opened front.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측면부(33)와 상기 이너후면부(3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필터장착부(3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착부(33a)의 안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정수필터(1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101)의 두께와 높이에 따라 상기 필터장착부(33a)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정수필터(101)가 생략된다면 상기 필터장착부(33a)도 생략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filter mounting portion 33a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inner side surface portion 33 of the inner case 30 and the inner rear surface portion 32 are connected. A water filter 101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lter mounting portion 33a. The shape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33a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and height of the water filter 101, and if the water filter 101 is omitted, the filter mounting portion 33a may also be omitted.

도 3 내지 도 5에는 상기 냉각부(60), 상기 음료부(80), 상기 사료부(120), 상기 트레이부(170) 등이 서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들이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장착될 때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60), 상기 음료부(80), 상기 사료부(120), 상기 트레이부(170) 등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내부에서 서로 구획되는데, 이러한 구획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3 to 5, the cooling unit 60, the beverage unit 80, the feed unit 120, the tray unit 170, etc. are express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ut they are the inner case ( 30), they can be moun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cooling unit 60, the beverage unit 80, the feed unit 120, the tray unit 170, etc.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side the inner case 30, and this partition structure is described below. Let me explain again.

도 6을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정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정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우측 상부에는 음료저장실(C1)이 배치될 수 있고, 좌측상부에는 사료저장실(C2)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30)의 하부에는 취출실(C3)이 배치된다. 상기 취출실(C3)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므로, 음료와 사료가 중력에 의해 취출실(C3)로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front structure of the inner case 30 is shown. When viewed from the front, a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may be disposed in an upper right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and a feed storage compartment C2 may be disposed in an upper left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Also, an extraction chamber C3 is disposed below the inner case 30 . Since the extraction chamber C3 is disposed below the beverage storage chamber C1 and the feed storage chamber C2 based on the direction of gravity, beverages and feeds can be supplied to the extraction chamber C3 by gravity.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저장실(C1)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내부공간 중에서 우측에 있고 상기 사료저장실(C2)은 좌측에 있는데, 이와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은 좌우길이 보다 상하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embodiment,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s on the right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ase 30,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is on the left side, but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is. In additio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have a relatively higher vertical height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사료저장실(C2)은 다시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보다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서로 다른 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습식사료인 간식이 보관되고,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건사료인 일반 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은 간식저장실이 되고, 제2사료저장실(C2b)은 건사료저장실이 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사료공급모듈(130)이 배치되고,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제2사료공급모듈(150)이 배치된다.(도 3 및 도 5참고)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a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is dispos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Different feeds may be stored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For example, wet food snacks may be stored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dry feed general feed may be stor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n this case,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may be a snack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may be a dry feed storage compartment. For reference,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to be described below is disposed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is dispos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3 and Figure 5)

이와 달리,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사료저장실(C2)은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로 나뉘지 않고 하나의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사료저장실(C2)에 한 종류의 사료만 보관되거나, 또는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이 서로 연결된 한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7 ,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may be a single space without being divided into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n this case, only one type of feed may be stored in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or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may be disposed in one spac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8을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은 각각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의 전방으로부터 부품들이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전방에는 음료공급입구(36)가 개방된다. 상기 음료공급입구(36)는 상기 음료도어(81)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음료도어(81)가 인출되면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사료저장실(C2)의 전방에는 사료공급입구(37a,37b)가 개방되고, 취출실(C3)의 전방에는 취출입구(38)가 개방된다. 상기 사료공급입구(37a,37b)는 상기 사료도어(121)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취출입구(38)는 취출도어(171)에 의해 가려진다. Referring to FIG. 8 ,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and the take-out compartment C3 of the inner case 30 may be opened forward, respectively. Therefore, parts can be accommodated from the front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and the take-out compartment C3. Specifically, a beverage supply inlet 36 is opened in front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beverage supply inlet 36 is covered by the beverage door 81, and is opened when the beverage door 81 is withdrawn. In addition, the feed supply inlets 37a and 37b are opened in front of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of the inner case 30, and the intake inlet 38 is opened in front of the take-out chamber C3. The feed supply inlets 37a and 37b are covered by the feed door 121, and the take-out entrance 38 is covered by the take-out door 171.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내부에는 냉각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홀(41)은 상기 음료저장실(C1)의 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냉각홀(41)에는 냉각부(60)가 배치된다. 상기 냉각홀(41)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냉각가이드(12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냉각가이드(12a)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냉각홀(41)에 동시에 위치될 수 있다.A cooling hole 41 may be formed inside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cooling hole 41 is form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cooling unit 60 is disposed in the cooling hole 41. The cooling hole 4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oling guide 12a of the outer case 10 . Accordingly, the cooling part 60 may be located in the cooling guide 12a of the outer case 10 and the cooling hole 41 of the inner case 30 at the same time.

도 11과 도 12를 보면, 상기 냉각홀(41)에는 냉각플랜지(4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플랜지(41a)는 상기 냉각홀(4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냉각플랜지(41a)는 냉각부(6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65), 콜드싱크(67) 및 냉각팬(F2)을 둘러쌀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1 and 12 , a cooling flange 41a may be provided in the cooling hole 41 . The cooling flange 41a is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cooling hole 41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inner case 30 . The cooling flange 41a may surrou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constituting the cooling unit 60, the cold sink 67, and the cooling fan F2.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바닥에는 유로설치구(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설치구(43)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바닥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취출실(C3)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유로설치구(43)에는 후술할 유로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로모듈(1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설치구(43)는 밀폐되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취출실(C3) 사이로 냉기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A passage installation port 43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passage installation hole 43 is an empty spac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connects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take-out room C3. A passage module 1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in the passage installation hole 43 . Although not shown, in a state where the flow path module 100 is installed, the flow path installation hole 43 may be sealed to prevent cold air from flowing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take-out compartment C3.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바닥에는 탱크가이드레일(4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가이드레일(44)은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배치된 음료탱크(83)의 입출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탱크가이드레일(44)은 전후방향으로 구비되고,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가이드레일(4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브라켓(86)의 바닥면에 형성된 브라켓리브(86a, 도 18참조)가 맞물릴 수 있다. A tank guide rail 44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tank guide rail 44 guides the entry and exit of the beverage tank 83 disposed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o this end, the tank guide rails 44 are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may be configured as a pair. Bracket ribs 86a (see FIG. 18)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racket 86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engaged with the tank guide rail 44.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의 사이에는 제1단열벽(W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벽(W1)은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를 구획한다. 상기 제1단열벽(W1)은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를 구획하기도 하지만,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를 단열시킬 수도 있다. A first insulating wall (W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is disposed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to partition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partitions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but may also insulate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단열벽(W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벽(W1)의 상단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상면부(31)와 연결되고, 하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3단열벽(W3)에 연결된다. 상기 제1단열벽(W1)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단열벽(W2) 보다 상대적으로 두껍다. 상기 제1단열벽(W1)은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에서 냉기가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충분히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is connect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portion 31 of the inner case 30,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third insulating wall W3 to be described below.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is relatively thicker than the second insulating wall (W2) to be described below.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is preferably formed thick enough to prevent cold air from affecting the space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상기 제1단열벽(W1)에는 제1연통로(4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로(45a)는 상기 제1단열벽(W1)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일종의 공기유동 경로이다. 상기 제1연통로(45a)에는 제1댐퍼(D1)가 배치되고, 상기 제1댐퍼(D1)는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사이로 공기가 유동되게 하거나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연통로(45a)는 이너케이스(30)의 이너상면부(31)에 가깝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자연대류에 의해서 상기 제1연통로(45a)를 통해 냉기가 유동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A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may be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is a kind of air flow path formed by penetrating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first damper D1 is dispos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and the first damper D1 allows air to flow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or flow can be block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is formed close to the inner upper surface portion 31 of the inner case 30 . Accordingly, flow of cold ai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due to natural convection can be minimized.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단열벽(W1)에 상기 제1연통로(45a)가 생략되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사이는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음료저장실(C1)만 냉각되고, 제1사료저장실(C2a)은 상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열벽(W1)에 상기 제1연통로(45a)는 형성되지만, 제1댐퍼(D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연통로(45a)를 통해 일정량의 냉기가 상기 음료저장실(C1)에서 제1사료저장실(C2a)로 전달되고, 제1사료저장실(C2a)도 어느 정도 냉각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f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is omitted in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may be completely blocked. In this way, only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s cooled, an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can be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In addition, alth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is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the first damper D1 may be omitted. In this case, a certain amount of cold air is transferr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o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an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can also be cooled to some extent.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에는 제2단열벽(W2)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열벽(W2)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구획하기도 하지만, 상기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단열시킬 수도 있다.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y a second insulating wall (W2). The second insulating wall (W2) partitions betwee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but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You can insulate between them.

상기 제2단열벽(W2)에는 제2연통로(4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로(45b)는 제2단열벽(W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일종의 공기유동 경로이다. 상기 제2연통로(45b)에는 제2댐퍼(D2)가 배치되고, 상기 제2댐퍼(D2)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로 공기가 유동되게 하거나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A second communication passage 45b may be formed in the second insulating wall W2. The second communication passage 45b is a kind of air flow path formed by penetrating the second insulating wall W2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damper D2 is dispos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assage 45b, and the second damper D2 allows air to flow betwee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or Air flow can be blocked.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후면에는 제1회수구(46a)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수구(46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이 후방으로 개방된 부분이다. 상기 제1회수구(46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덕트(70)의 제1덕트흡입부(73)가 연결된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는 상기 제1덕트흡입부(73)를 통해 배출되고,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냉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내부에서 순환되며, 보관된 사료에서 발생되는 냄새도 외부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A first recovery port 46a may be opened at a rear surface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he first recovery port 46a is a rearward open portion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he first duct suction part 73 of the recovery duct 70 to be described below is connected to the first recovery port 46a.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hamber (C2a)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uct suction part 73 and can be circulated inside the food supply device. Accordingly, the cold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is circulated inside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odors generated from the stored feed may not leak to the outsid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제1연통로(45a)와, 상기 제1회수구(46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서로 다른 내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연통로(45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회수구(46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통로(45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제1회수구(46a)를 통해 빠져나가는 공기 사이의 간섭이 줄어들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connecting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first recovery port 46a are provided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 can be formed on different inner surfaces of each. More precisely,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first recovery port 46a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 Accordingly, interference between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and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recovery port 46a may be reduced.

이때, 상기 제1연통로(45a)는 상기 제1회수구(46a)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연통로(45a)의 제1댐퍼(D1)를 통해 유입된 찬 공기는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아래쪽에 배치된 상기 제1회수구(46a)를 통해 회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may be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rst recovery port 46a. In this case, the cold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damper D1 of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naturally moves downward and can be recovered through the first recovery port 46a disposed below.

상기 제2연통로(45b)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1사료공급로(47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는 상기 제2단열벽(W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빈 공간이다.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료덕트(123)가 장착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에 사료덕트(123)의 상부연결관(125)이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A first feed supply passage 47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passage 45b. The first feed supply passage 47a is an empty space formed by penetrating the second insulating wall W2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eed duct 123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on the first feed supply passage 47a. Referring to FIG. 14,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connection pipe 125 of the feed duct 123 is disposed in the first feed supply passage 47a.

상기 제1단열벽(W1)에는 진동설치구(BH)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설치구(BH)는 상기 제1단열벽(W1)의 일부가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거나, 또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을 향한 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설치구(BH)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료덕트(123)의 진동모듈(BM)이 배치된다. 물론, 상기 진동모듈(BM)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진동설치구(BH)도 생략될 수 있다. A vibration installation hole (BH) may be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The vibration installation hole (BH) may be formed by opening a part of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by partially recessing a surface facing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he vibration module (BM) of the feed duct 123 to be described below is disposed in the vibration installation (BH). Of course, when the vibration module BM is omitted, the vibration installation device BH may also be omitted.

상기 제2단열벽(W2)에 의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구획된 제2사료저장실(C2b)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되, 유사한 내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므로, 제1사료저장실(C2a)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제2연통로(45b)를 통해 제2사료저장실(C2b)까지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냉기는 제1사료저장실(C2a)을 거쳐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전달되므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온도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보다 높을 수 있다.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partitioned from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by the second insulating wall W2 is arrang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but has a similar internal structure. can Since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disposed below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he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passe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assage 45b to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 C2b) can be delivered. However, since the cold air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via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the same as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 can be higher than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후면에는 제2회수구(46b)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수구(46b)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이 후방으로 개방된 부분이다. 상기 제2회수구(46b)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덕트(70)의 제2덕트흡입부(75)가 연결된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는 상기 제2덕트흡입부(75)를 통해 배출되고,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냉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내부에서 순환되며, 보관된 사료에서 발생되는 냄새도 외부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A second recovery port 46b may be opened at the rear of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The second recovery port 46b is a rearward open portion of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 second duct suction part 75 of the recovery duct 70 to be described below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covery port 46b. The air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uct suction part 75 and can be circulated inside the food supply device. Accordingly, the cold air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circulated inside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odors generated from the stored feed may not leak to the outside.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바닥에는 제2사료공급로(47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는 상기 제3단열벽(W3)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빈 공간이다.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료덕트(123)가 장착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에 사료덕트(123)의 트레이배출관(127)이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A second feed supply path 47b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The second feed supply passage 47b is an empty space formed by vertically penetrating the third insulating wall W3. A feed duct 123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on the second feed supply path 47b. Referring to FIG. 14, it can be seen that the tray discharge pipe 127 of the feed duct 123 is disposed in the second feed supply passage 47b.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의 바닥에는 모듈가이드레일(48,4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듈가이드레일(48,49)은 상기 사료저장실(C2)에 배치된 사료공급모듈(130,150)의 입출을 안내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바닥에는 제1모듈가이드레일(48)이 있고, 제2사료저장실(C2b)의 바닥에는 제2모듈가이드레일(49)이 있다. 상기 제1모듈가이드레일(48)과 상기 제2모듈가이드레일(49)은 각각 전후방향으로 구비되고,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가이드레일(4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사료플레이트(135)의 바닥면에 형성된 플레이트리브(138, 도 18참조)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제1모듈가이드레일(4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사료플레이트(155)의 바닥면에 형성된 플레이트리브(158, 도 18참조)가 맞물릴 수 있다. Module guide rails 48 and 49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The module guide rails 48 and 49 guide the entry and exit of the feed supply modules 130 and 150 disposed in the feed storage room C2.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first module guide rail 48 on the bottom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a second module guide rail 49 on the bottom of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The first module guide rail 48 and the second module guide rail 49 are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spectively, and may be configured as a pair. A plate rib (138, see FIG. 18)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feed plate 135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engaged with the first module guide rail 48, and the first module guide rail 49 A plate rib (158, see FIG. 18)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feed plate 155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engaged.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유로통과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통과부(51)는 상기 제2단열벽(W2)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일종의 통로이다. 상기 유로통과부(5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유로모듈(100)을 구성하는 트레이배출노즐(P3d) 및 직수공급관(P2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과 상기 직수공급관(P2b)은 상기 유로통과부(51)를 통과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사료덕트(123)의 가이드홈(127a,127b)을 통과하여 상기 취출실(C3)로 연장된다. 도 14에는 상기 가이드홈(127a,127b)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유로통과부(51)는 그 후방에 가려져 있다. A passage passage part 5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The flow passage portion 51 is a kind of passage formed by penetrating the second insulating wall W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tray discharge nozzle (P3d) and a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constituting the flow path module 10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disposed in the passage portion 51.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and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pass through the flow passage part 51 and pass through the guide grooves 127a and 127b of the feed duct 123 to be described below to the discharge chamber ( C3) is extended. 14 shows the guide grooves 127a and 127b, and the flow passage part 51 is hidden behind them.

도 8과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취출실(C3)은 상기 제3단열벽(W3)에 의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과는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취출실(C3)은 좌우로 구획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취출실(C3)의 좌우폭은 상부에 배치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의 좌우폭을 합친 길이 보다 더 크다. 이에 따라 상기 취출실(C3)에 배치되는 트레이부(170)에는 복수개의 보울(177)이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extraction chamber C3 may be partition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hamber C1 and the feed storage chamber C2 by the third insulating wall W3. Since the take-out chamber C3 is not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but is connected,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take-out chamber C3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disposed at the top. . Accordingly, a plurality of bowls 177 may be provided in the tray unit 170 disposed in the take-out chamber C3.

상기 취출실(C3)에는 회전모듈장착부(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장착부(52)는 상기 취출실(C3)의 바닥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장착부(5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트레이회전모듈(18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9을 보면, 상기 회전모듈장착부(52)에 트레이회전모듈(180)의 구동기어(183)가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A rotation module mounting portion 52 may be provided in the take-out chamber C3. The rotating module mounting portion 52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bottom portion of the take-out chamber C3. A portion of the tray rotation module 18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disposed in the rotation module mounting portion 52 . Referring to FIG. 19 , it can be seen that the drive gear 183 of the tray rotation module 180 is disposed on the rotation module mounting portion 52 .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후면부(32)에는 냉각부(6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음료저장실(C1)을 냉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냉기가 상기 제1댐퍼(D1)를 통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도 냉각시킬 수 있다. A cooling unit 6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rear surface 32 of the inner case 30 . In this embodiment, the cooling unit 60 is disposed toward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may cool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Of course, since the cold air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hrough the first damper (D1), the cooling unit (60) also operates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can be cooled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상면부(31)에 가까운 상기 이너후면부(32)의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부(60)에서 발생된 냉기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상부에 공급될 수 있고, 공급된 냉기는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퍼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oling unit 60 may be disposed above the inner case 30 . More precisely, the cooling unit 60 is disposed above the inner rear surface portion 32 closer to the inner upper surface portion 31 of the inner case 30 . Accordingly, the cool air generated in the cooling unit 60 may be su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supplied cool air may naturally spread downward.

도 10을 보면, 상기 냉각부(60)를 구성하는 히트싱크(61)의 열은 바깥쪽인 후방(화살표A 방향)으로 배출되고, 콜드싱크(67)의 냉기는 음료저장실(C1)인 전방(화살표B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는 상기 회수덕트(70)의 덕트배출부(72)를 통해서 상기 냉각부(60)의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heat of the heat sink 61 constituting the cooling unit 60 is discharged to the rear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nd the cold air of the cold sink 67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rrow B direction). In addition, the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hamber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hamber (C2b) passes through the duct discharge part 72 of the recovery duct 70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of the cooling unit 60 and It may be su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cold sink (67).

도 11과 도 12를 보면, 상기 냉각부(6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는 단열공간(I)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는 주변부와 단열되고, 열전소자(65)의 냉기는 전방인 음료저장실(C1)로 집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1 and 12 ,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and the cold sink 67 constituting the cooling unit 60 may be disposed in an insulating space I. Accordingly,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and the cold sink 67 are insulated from the surrounding area, and cold air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can be concentrated in the front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상기 냉각부(6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65)는 전면과 후면을 구비하는 평평한 플레이트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전면은 흡열면이 되고 후면은 발열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65)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은 펠티어 효과를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열전소자(65)의 흡열면의 열을 발열면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65)의 전면은 차가운 면이 되고, 뒷면은 열이 발생되는 부분이 된다. 즉,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내부의 열을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열전소자(65)에 공급되는 전원은 열전소자(65)에 마련된 케이블을 통해 열전소자(65)에 인가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constituting the cooling unit 60 has a shape like a flat plate having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front surface may be a heat absorbing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may be a heating surface. DC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causes a Peltier effect, and accordingly, heat from the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is moved toward the heating surface. Therefore, the fron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becomes a cold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becomes a heat generating part.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eat inside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s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0). Although not shown,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may be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through a cable provid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

이때, 상기 발열면에는 히트싱크(61)가 결합되고, 상기 흡열면에는 콜드싱크(67)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부(60)의 열전소자(65)가 동작하면, 상기 열전소자(65)의 흡열면은 콜드싱크(67)를 통해 음료저장실(C1)의 열을 흡수하여 음료저장실(C1)을 냉각하고, 발열면은 히트싱크(61)를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팬(F2)은 히트싱크(61)의 전열핀에 냉각공기를 송풍하여 전열핀의 열발산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면부호 62는 전연핀에 삽입된 히트파이프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63과 66는 상기 열전소자(65)를 둘러싸는 단열프레임을 나타낸다. In this case, a heat sink 61 may be coupled to the heating surface, and a cold sink 67 may be coupled to the heat absorbing surface. Therefore,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of the cooling unit 60 operates, the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absorbs heat from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rough the cold sink 67 to cool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Cooling down, the heating surface may dissipate heat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t sink 61 . At this time, the cooling fan F2 blows cooling air to the heat transfer fins of the heat sink 61 to increase heat dissipation of the heat transfer fins. Reference numeral 62 denotes a heat pipe inserted into the leading edge fin, and reference numerals 63 and 66 denote an insulating frame surround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도 10을 보면, 상기 냉각팬(F2)에는 냉각그릴(6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그릴(68)은 상기 음료저장실(C1)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냉각팬(F2)은 상기 열전소자(65)의 흡열면의 냉기를 상기 음료저장실(C1)로 토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a cooling grill 68 may be provided in the cooling fan F2. The cooling grill 68 is opened toward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cooling fan F2 can discharge cold air from the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이때, 상기 냉각그릴(68)의 중심에는 토출부(69a)가 있고, 토출부(69a)의 주변에는 회수부(69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69a)는 냉각팬(F2)에 의해 냉기가 상기 음료저장실(C1) 안쪽(화살표B 방향)으로 공급되는 부분이고, 회수부(69b)는 상기 음료저장실(C1) 내부의 공기가 다시 냉각부(60) 방향(화살표B' 방향)으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만약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사이가 상기 제1댐퍼(D1)에 의해 서로 차단된 상태라면, 상기 음료저장실(C1) 내부의 공기는 상기 토출부(69a)와 상기 회수부(69b)를 통해 순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oling grill 68 may have a discharge part 69a at the center, and a recovery part 69b may be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part 69a. The discharge part 69a is a part through which cold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n the direction of arrow B) by the cooling fan F2, and the recovery part 69b removes the air inside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is is the part that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cooling unit 60 (direction of arrow B'). I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re blocked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damper (D1), the air inside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69a). and may be circulated through the recovery part 69b.

상기 냉각부(60)의 주변에는 상기 회수덕트(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후면부(32)에 구비되고, 음식물 공급장치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사료저장실(C2) 내부의 공기를 다시 상기 냉각부(60) 쪽으로 공급해주기 때문에 냉기가 음식물 공급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덕트(70)는 사료저장실(C2)의 공기가 음식물 공급장치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보관된 사료에서 발생되는 냄새도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recovery duct 70 may be disposed around the cooling unit 60 . The recovery duct 70 is provided on the inner rear part 32 of the inner case 30 and can serve to circulate cold air in the food supply device. Since the recovery duct 70 supplies the air inside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back to the cooling unit 60, leakage of cold air to the outside of the food supply device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recovery duct 70 allows air in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to circulate inside the food supply device, so that odors generated from stored feed may not leak to the outside.

상기 회수덕트(70)의 구조를 보면, 상기 회수덕트(70)는 내부가 비어 있는 긴 관(tube)구조이다.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의 통로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케이스(30)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12에는 상기 케이스커버(20)와 상기 아웃케이스(10)가 제거되고 상기 회수덕트(70)가 노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recovery duct 70, the recovery duct 70 has a long tube structure with an empty inside. The recovery duct 70 serves as an air passage connecting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In this embodiment, the recovery duct 7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 and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case 30 and the outer case 10 . 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case cover 20 and the outer case 10 are removed and the recovery duct 70 is exposed.

도 12를 보면, 상기 회수덕트(7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회수관(71)과, 상기 메인회수관(71)에서 분기되는 덕트배출부(72), 제1덕트흡입부(73) 및 제2덕트흡입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흡입부(73) 및 제2덕트흡입부(75)는 상기 메인회수관(71)으로부터 높이를 달리하여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덕트배출부(72)는 제1덕트흡입부(73) 및 제2덕트흡입부(75)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12, the recovery duct 70 includes a main recovery pipe 7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uct discharge part 72 branched from the main recovery pipe 71, and a first duct suction part 73. And it may include a second duct suction unit (75). The first duct suction part 73 and the second duct suction part 75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at different heights from the main recovery pipe 71, and the second duct discharge part 72 has the first duct suction part It protrud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art 73 and the second duct suction part 75.

상기 덕트배출부(72)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상기 냉각부(60)의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덕트배출부(72)는 상기 열전소자(65) 및 콜드싱크(67)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도 10과 도 12를 보면, 상기 덕트배출부(72)가 상기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The duct discharge unit 72 may supply air from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toward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and the cold sink 67 of the cooling unit 60. there is. To this end, the duct outlet 72 is opened toward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and the cold sink 67 . Referring to FIGS. 10 and 12 , it can be seen that the duct outlet 72 is opened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and the cold sink 67 .

상기 제1덕트흡입부(73)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상기 제1회수구(46a)에 연결되고, 상기 제2덕트흡입부(75)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상기 제2회수구(46b)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덕트흡입부(73)를 통해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가 회수되고, 상기 제2덕트흡입부(75)를 통해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가 회수된다. The first duct suction part 73 is connected to the first recovery port 46a of the first feed storage chamber C2a, and the second duct suction part 75 is connected to the second feed storage chamber C2b.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covery port 46b. Therefore, the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hamber (C2a) is recovered through the first duct suction part (73), and the air in the second feed storage chamber (C2b) is recovered through the second duct suction part (75). .

본 실시례에서,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회수하여 상기 냉각부(60)로 배출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모아 상기 냉각플랜지(41a)를 통해 상기 냉각부(60) 쪽으로 배출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covery duct 70 may recover air from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nd discharge it to the cooling unit 60 . More precisely, the recovery duct 70 may collect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nd discharge it toward the cooling unit 60 through the cooling flange 41a. there is.

그리고 상기 냉각플랜지(41a)를 통해 상기 냉각부(60) 쪽으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냉각부(60)를 거쳐 다시 냉각되어 상기 음료저장실(C1)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의 공기는 음식물 공급장치의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냉각부(60)에 의해 냉각된 냉기의 누설이 줄어들 수 있고, 사료저장실(C2) 내부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toward the cooling unit 60 through the cooling flange 41a may be cooled again through the cooling unit 60 and supplied 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rough this structure, the air inside the food supply device can be circulated inside the food supply device. In this way, the leakage of the cold air cooled by the cooling unit 60 can be reduced, and the leakage of odors inside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to the outside can also be reduced.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수덕트(70)의 내부에는 공기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필터는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기필터는 상기 덕트배출부(72)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부(60)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공기필터는 상기 제1덕트흡입부(73), 상기 제2덕트흡입부(75) 또는 상기 메인회수관(7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필터는 탈취필터나 광촉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n air filt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covery duct 70 . The air filter is for purifying air circulated inside. The air filter may be disposed in the duct discharge unit 72 to purify the air discharged to the cooling unit 60 . Unlike this, the air filter may be installed in any one of the first duct suction part 73, the second duct suction part 75, and the main return pipe 71. The air filter may include a deodorizing filter or a photocatalyst.

도 12와 도 13을 보면, 음식물 공급장치에는 압력모듈(7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이너케이스(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압력을 낮추고, 제2사료저장실(C2b)의 일종의 음압실로 만든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보관되는 사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2 and 13 , the food supply device may include a pressure module 76 . The pressure module 76 is for adjusting the pressure inside the inner case 30 . In this embodiment, the pressure module 76 may suck air from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nd discharge it 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pressure module 76 lowers the pressure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nd makes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 kind of negative pressure chamber. Accordingly, oxidation of the feed stor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can be prevented.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을 상기 트레이부(170)가 배치된 취출실(C3)과 구획하는 제3단열벽(W3)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압력모듈(76)은 제3단열벽(W3)의 후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와 달리,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쪽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ressure module 76 may be disposed on the third insulating wall W3 partitioning the second feed storage chamber C2b from the take-out chamber C3 in which the tray unit 170 is disposed. As shown in FIG. 13 , the pressure module 76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hird insulating wall W3, and at least a part of it protrudes to the rear of the inner case 30. Alternatively, the pressure module 76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or inside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압력모듈(76)은 진공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진공펌프는 다이어프램 펌프(diaphragm pump)일 수 있다. 상기 진공 펌프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배기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는 얇은 판막을 진동시켜 밀폐된 공간의 용적을 수축/확장시킴으로써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essure module 76 may include a vacuum pump, and the vacuum pump may be a diaphragm pump. The vacuum pump may exhaust air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while operating by receiving power. The vacuum pump vibrates the thin plate to contract/expand the volume of the closed space to suck in or discharge air, and in the process, the air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흡입구(77, inlet)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배출구(78, outlet)는 상기 음료저장실(C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공기흡입구(77)의 입구(77a)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를 향해 개구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배출구(78)의 출구(78a)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내부를 향해 개구된다. 이처럼,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배출구(78)의 출구(78a)가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면,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다시 이너케이스(30)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냉기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An air inlet 77 of the vacuum pump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nd an air outlet 78 of the vacuum pump may be connected 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s shown in FIG. 13, the inlet 77a of the air inlet 77 is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nd the outlet 78a of the air outlet 78 of the vacuum pump is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It opens toward the inside of (C1). In this way, when the outlet 78a of the air outlet 78 of the vacuum pump is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air inside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is returned to the inner case. Since it flows into the inside of (30), loss of cold air can be reduced.

상기 압력모듈(76)의 진공펌프가 동작되면,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진공펌프에 의해 음압이 형성될 수 있고, 사료의 산화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음료탱크(83)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커버(84)에 의해 차폐되므로, 음압을 통해 산화를 방지하지 않더라도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vacuum pump of the pressure module 76 is operated, negative pressure can be form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by the vacuum pump, and oxidation of the feed can be prevented. Meanwhile, since the beverage tank 83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s shielded by the tank cover 84 to be described below, freshness can be maintained even if oxidation is not prevented through negative pressure.

상기 진공펌프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의 압력이 기준값 보다 높을 경우에 작동을 시작하고, 기준값(예를 들어 1기압) 보다 낮아지면 작동을 멈출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의 압력측정은 별도의 압력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력스위치는 상기 압력모듈(76)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The vacuum pump may start operating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stop operating when the press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for example, 1 atmospheric pressure). Although not shown,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may be measured by a separate pressure switch. The pressure switch may be included in the pressure module 76.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뿐 아니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내부의 압력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연결하는 제2댐퍼(D2)가 개방되고, 동시에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댐퍼(D1)가 차단되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서로 연결되어 압력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하면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이 배기되면서 동시에 제1사료저장실(C2a)도 배기되어, 각각 내부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내부압력이 모두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이 중지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모듈(76)의 조작은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The pressure module 76 can adjust not only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but also the pressure inside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he second damper (D2) connecting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op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gap betwee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s opened. When the connecting first damper D1 is blocke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pressures can be synchronized. In this state, when the vacuum pump operates,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exhausted an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is also exhaust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pressure inside each can be lowered. In addition, when the internal pressures of the first feed storage chamber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hamber (C2b) both satisfy conditions by the pressure switch,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may be stopped.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module 76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separate control unit (not shown).

상기 이너케이스(30)에는 댐퍼부(D1,D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D1,D2)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음료저장실(C1)과 제1사료저장실(C2a)의 사이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댐퍼부(D1,D2)는 제1댐퍼(D1)와 제2댐퍼(D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댐퍼(D1)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음료저장실(C1)과 제1사료저장실(C2a)의 사이인 제1연통로(45a)에 배치되고, 상기 제2댐퍼(D2)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인 제2연통로(45b)에 배치된다. 상기 제1댐퍼(D1)와 상기 제2댐퍼(D2)는 제어부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Damper parts D1 and D2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case 30 . The damper parts D1 and D2 are formed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of the inner case 30, and betwee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t acts as a barrier or bridge between them. Referring to FIG. 18, in this embodiment, the damper units D1 and D2 include a first damper D1 and a second damper D2. The first damper D1 is dispos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of the inner case 30, and the second damper D2 is It is dispos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assage 45b betwee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The first damper D1 and the second damper D2 may be independently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상기 댐퍼부(D1,D2)에는 회전되는 댐핑블레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핑블레이드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연통로(45a)와 상기 제2연통로(45b)를 각각 차단/개방시킬 수 있다. Rotating damping blades may be provided in the damper parts D1 and D2. The damping blade may block/open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assage 45b, respectively, while being rotated by a motor.

다음으로 음료부(80)를 살펴보면, 상기 음료부(80)는 음료를 저장하였다가 음료를 반려동물에게 공급하기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음료란, 물 뿐 아니라 반려동물이 마실 수 있는 주스, 우유, 이온음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부(80)는 상기 음료를 적절한 온도로 냉각시켜 보관할 수 있고, 냉각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부(170)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방으로 인출되면, 반려동물은 적절한 온도의 음료를 마실 수 있다. Next, looking at the beverage unit 80, the beverage unit 80 is a portion for storing a beverage and then supplying the beverage to a companion animal. Here, the beverage may include not only water, but also juice, milk, and ionic beverages that companion animals can drink. In this embodiment, the beverage unit 80 may store the beverage by cooling it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supply the cooled beverage to the bowl 177 of the tray unit 170. And when the tray part 170 is withdrawn to the front of the outer case 10, the companion animal can drink a drink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외부에서 상기 음료부(80)의 내부로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i) 아래에서 설명될 유로모듈(100)을 통해 외부의 수돗물이나 정수물을 공급하는 방법과, (ii) 또는 상기 음료부(80)의 음료탱크(83)를 전방으로 인출한 후에 음료탱크(83)의 내부로 음료를 주입하는 방법이 있다. As a method for supplying a beverag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beverage unit 80, (i) a method of supplying external tap water or purified water through the flow path module 100 to be described below, (ii) or There is a method of injecting a beverage into the beverage tank 83 after withdrawing the beverage tank 83 of the beverage unit 80 forward.

그리고, 상기 음료부(80)에 저장된 음료를 반려동물에게 공급하기 위해서 트레이부(170)에 배출하는 방법으로는, (i) 상기 유로모듈(100)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수돗물이나 정수물을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배출하는 방법과, (ii) 먼저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되어 냉각된 음료를 상기 유로모듈(100)을 통해 트레이부(170)에 배출하는 방법이 있다. In addition, as a method of discharging the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unit 80 to the tray unit 170 in order to supply the companion animal, (i) external tap water or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low path module 100 There is a method of directly discharging to the tray unit 170 and (ii) a method of first discharging the cooled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tank 83 to the tray unit 170 through the flow path module 100.

도 5를 보면, 상기 음료부(80)는 상기 냉각부(6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음료부(80)는 냉각부(60)로부터 공급된 냉기로 냉각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음료부(80)의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는 상기 냉각부(60)에 의해 냉각되어 설정된 온도로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음료탱크(83)는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보관되고,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음료저장실(C1)로 냉기를 토출한다. Referring to FIG. 5 , the beverage unit 8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ooling unit 60 . The beverage unit 80 may be cooled by cold air supplied from the cooling unit 60 . More precisely, the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tank 83 of the beverage unit 80 may be cooled by the cooling unit 60 and stored at a set temperature. The beverage tank 83 is stored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cooling unit 60 discharges cold air 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상기 음료부(8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음료부(80)에는 음료도어(8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듯이, 상기 음료도어(81)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음료도어(81)는 상기 아웃케이스(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음료도어(81)가 인출되면 상기 음료탱크(83)도 상기 음료도어(81)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음료도어(81)에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가스켓(82, 도 16참조)이 결합된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beverage unit 80, the beverage unit 80 may be provided with a beverage door 81. As shown in Figure 15, the beverage door 81 constitutes a part of the front of the outer case (10). The beverage door 81 can be withdrawn from the outer case 10, and when the beverage door 81 is withdrawn, the beverage tank 83 is also withdrawn forward together with the beverage door 81. A door gasket 82 (see FIG. 16) is coupled to the beverage door 81 to prevent leakage of cold air.

도 16과 도 17에서 보듯이, 상기 음료도어(81)의 후방에는 음료탱크(83)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탱크(83)는 상기 음료도어(81)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상기 음료도어(81)에 연결된 탱크브라켓(86)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음료탱크(83)는 상기 탱크브라켓(8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6 and 17, a beverage tank 83 may be disposed behind the beverage door 81. In this embodiment, the beverage tank 83 is not directly coupled to the beverage door 81, but is fixed by a tank bracket 86 connected to the beverage door 81. The beverage tank 83 may be separated from the tank bracket 86.

상기 음료탱크(83)는 내부에 음료를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공간(83a, 도 18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8에서 보듯이, 상기 저장공간(83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유로모듈(100)의 탱크주입관(P3a')과 탱크배출관(p3b')이 삽입된다. 상기 탱크주입관(P3a')은 상기 저장공간(83a)의 내부로 외부의 음료를 주입하고, 탱크배출관(p3b')은 상기 저장공간(83a)에 저장된 음료를 상기 트레이부(170) 쪽으로 배출한다. 상기 탱크주입관(P3a')과 탱크배출관(p3b')은 아래에서 설명될 음료커넥터(87)를 통해서 음료주입관(P3a)및 음료배출관(P3b)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The beverage tank 83 may have a storage space 83a (see FIG. 18) capable of storing beverages therein. As shown in FIG. 18, the storage space 83a includes a flow path module 100 to be described below. A tank injection pipe (P3a') and a tank discharge pipe (p3b') are inserted in. The tank injection pipe (P3a') injects an external beverage into the storage space (83a), and the tank discharge pipe (p3b') The beverag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83a is discharged toward the tray unit 170. The tank injection pipe P3a' and the tank discharge pipe p3b' pass through a beverage connector 87 to be described below. (P3a) and the beverage discharge pipe (P3b)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다시 도 16을 보면, 상기 음료탱크(83)의 상부에는 탱크커버(8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탱크커버(84)는 상기 저장공간(83a)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 탱크커버(84)에는 별도의 마개(85)가 구비되고, 상기 마개(85)를 열고 내부에 음료를 주입하거나,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ure 16 again,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tank 83 may be coupled to the tank cover 84. The tank cover 84 covers the top of the storage space 83a. A separate stopper 85 is provided on the tank cover 84, and the stopper 85 can be opened to inject beverages into the tank cover or discharge stored beverages to the outside.

상기 음료탱크(83)는 상기 탱크브라켓(86)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탱크브라켓(86)은 상기 음료도어(81)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음료탱크(8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탱크브라켓(86)은 상기 음료탱크(83)의 양측면과 후면, 그리고 저면을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6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브라켓(86)은 상기 음료탱크(83)의 양측면의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The beverage tank 83 may be seated on the tank bracket 86. The tank bracket 86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door 81 and can support the beverage tank 83. The tank bracket 86 may have a structure that surrounds both side surfaces, the rea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tank 83. As shown in FIG. 16, in this embodiment, the tank bracket 86 extends to the upper end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beverage tank 83.

도 18을 보면, 상기 탱크브라켓(86)의 저면에는 브라켓리브(86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리브(86a)는 상기 탱크브라켓(86)의 입출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브라켓리브(86a)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바닥에 구비된 탱크가이드레일(44)에 맞물리고, 상기 탱크가이드레일(44)은 상기 탱크브라켓(86) 및 상기 음료탱크(83)의 입출을 안내한다. 18, a bracket rib 86a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ank bracket 86. The bracket rib 86a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ch is the entry/exit direction of the tank bracket 86. The bracket rib 86a is engaged with the tank guide rail 44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tank guide rail 44 is connected to the tank bracket 86 and the beverage tank 83. guide entry and exit

도 16을 보면, 상기 탱크커버(84)에는 음료커넥터(8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료커넥터(87)는 상기 이너케이스(30)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입출되는 상기 음료탱크(83)와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음료커넥터(87)는 상기 유로모듈(100)과, 상기 음료탱크(83)에 고정된 상기 탱크주입관(P3a') 및 상기 탱크배출관(p3b')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음료커넥터(87)에는 유로모듈(100)의 음료주입관(P3a)과 음료배출관(P3b)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음료주입관(P3a)과 음료배출관(P3b)은 상기 음료커넥터(87)를 통해 각각 탱크주입관(P3a')과 탱크배출관(p3b')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6, the tank cover 84 may be provided with a beverage connector 87. The beverage connector 87 is fixed inside the inner case 30 and can be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beverage tank 83 that is moved in and out. The beverage connector 87 is for connecting the flow path module 100 and the tank injection pipe P3a' and the tank discharge pipe p3b' fixed to the beverage tank 83 to each other. The beverage connector 87 has a beverage injection pipe (P3a) and a beverage discharge pipe (P3b) of the euro module 100 fixed, and the beverage injection pipe (P3a) and the beverage discharge pipe (P3b) are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nector (87). It can be connected to the tank injection pipe (P3a') and the tank discharge pipe (p3b'), respectively.

상기 음료부(80)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센서(8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88)는 상기 음료탱크(83)의 저장공간(83a)에 저장된 음료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위센서(88)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비접촉식 수위센서(88)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위센서(88)는 상기 탱크브라켓(86)에 배치되는데, 높이를 달리하여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쪽에 구비된 제1수위센서(88a)는 저장공간(83a)에 음료가 충분히 공급되면 상기 유로모듈(100)로부터 음료의 주입을 멈추기 위한 것이고, 아래쪽에 구비된 제2수위센서(88b, 도 15참조)는 저장공간(83a)에 음료가 부족함을 감지하고 음료의 주입을 시작하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15 , the beverage unit 80 may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88 . The water level sensor 88 is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83a of the beverage tank 83. The water level sensor 88 may be configured as a non-contact type water level sensor 88 that detects capacitance.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level sensor 88 is disposed on the tank bracket 86, and may be configured as a pair with different heights.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88a provided on the upper side is for stopping the injection of the beverage from the flow path module 100 when the beverage is sufficiently supplied to the storage space 83a,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88b provided on the lower side, FIG. 15) is for detecting the lack of beverage in the storage space 83a and starting injection of the beverage.

상기 음료부(80)에는 유로모듈(1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모듈(100)은 상기 음료부(80)에 음료를 주입하여 저장시키고, 저장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에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모듈(100)은 상기 음료부(8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유로모듈(100)은 다수의 관(tube)와, 정수필터(101), 유로펌프(103), 제1밸브(V1) 및 제2밸브(V2)를 포함한다. A flow path modul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beverage unit 80 . The flow path module 100 may play a role of injecting and storing beverages in the beverage unit 80 and discharging the stored beverages to the tray unit 170 . Accordingly, the flow path module 100 may be regarded as a part of the beverage unit 80. In this embodiment, the flow path modul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tubes, a water filter 101, a flow path pump 103, a first valve V1 and a second valve V2.

상기 유로모듈(100)의 기능을 보면, 상기 유로모듈(100)은 (i) 수돗물이나 정수물 등 외부의 음료를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배출하고, (ii) 수돗물이나 정수물 등 외부의 음료를 상기 음료탱크(83)에 주입하며, (iii)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되어 냉각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에 배출하고, (iv)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나 유로모듈(100)을 구성하는 배관들 내부에 존재하는 잔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Looking at the function of the flow path module 100, the flow path module 100 (i) directly discharges external beverages such as tap water or purified water to the tray unit 170, and (ii) discharges external beverages such as tap water or purified water. Beverage is injected into the beverage tank 83, (iii) the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tank 83 and cooled is discharged to the tray unit 170, (iv) the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tank 83 or Residual water existing inside the pipes constituting the flow path module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유로모듈(100)이 구조를 보면, 상기 유로모듈(100)에는 정수필터(10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정수필터(101)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고, 앞서 설명한 필터장착부(33a)에 배치된다. 상기 정수필터(10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음료 중 물을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정수필터(101)에는 외부의 음료를 공급받는 외부연결관(P1)과, 상기 정수필터(101)를 거친 음료를 배출하는 메인공급관(P2a)이 연결된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flow path module 100 with reference to FIGS. 16 and 17 , a water filter 101 may be provided in the flow path module 100 .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filter 101 is erected vertically and is disposed o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33a described above. The water filter 101 serves to purify water among beverage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is end, an external connection pipe (P1) for receiving external beverages and a main supply pipe (P2a) for discharging beverage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water filter 101 are connected to the water filter 101.

상기 유로모듈(100)에는 유로펌프(10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펌프(103)는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로펌프(103)에는 상기 음료탱크(83)에 연결되는 상기 음료배출관(P3b)과, 상기 제2밸브(V2)와 연결되는 음료전달관(P3c)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유로펌프(103)는 상기 음료배출관(P3b)과 상기 음료전달관(P3c)을 통해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에 배출하거나, 세척 등의 목적으로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후술할 제1밸브(V1) 및 제2밸브(V2)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A flow pump 103 may be provided in the flow path module 100 . The flow pump 103 is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tank 83. The flow pump 103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discharge pipe P3b connected to the beverage tank 83 and the beverage delivery pipe P3c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V2, respectively. The flow pump 103 discharges the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tank 83 to the tray unit 170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pipe P3b and the beverage delivery pipe P3c, or the beverage tank for cleaning purposes ( 83)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is function can be implemented together with the first valve V1 and the second valve V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밸브(V1)에는 상기 메인공급관(P2a), 상기 음료주입관(P3a) 및 직수공급관(P2b)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직수공급관(P2b)은 상기 정수필터(101)를 거친 외부의 음료가 상기 음료탱크(83)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상기 트레이부(170)에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밸브(V1)는 (i) 상기 메인공급관(P2a)과 상기 직수공급관(P2b) 사이를 연결하여 외부의 물이 정수필터(101)만 거친 후에 반려동물에게 공급되도록 하거나, (ii) 상기 메인공급관(P2a)과 상기 음료주입관(P3a)을 연결하여 외부의 물이 정수필터(101)를 거친 후에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되도록 한다. The main supply pipe (P2a), the beverage injection pipe (P3a) and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V1).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allows the external beverag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ater filter 101 to be directly discharged to the tray unit 17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beverage tank 83. The first valve (V1) (i) connects between the main supply pipe (P2a) and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so that external water is supplied to companion animals after passing through only the water filter 101, (ii) The main supply pipe (P2a) and the beverage injection pipe (P3a) are connected so that external water is stored in the beverage tank (83) af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filter (101).

상기 직수공급관(P2b)의 말단에는 직수배출노즐(P2c)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직수배출노즐(P2c)은 상기 직수공급관(P2b)으로부터 공급된 직수를 트레이부(170)로 취출시킨다.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직수배출노즐(P2c)은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A direct water discharge nozzle (P2c) may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The direct water discharge nozzle P2c discharges the direct water supplied from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to the tray unit 170. As shown in FIG. 16, the direct water discharge nozzle P2c extends downwardly toward the bowl 177 of the tray unit 170.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제1밸브(V1)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V2)에는 상기 음료전달관(P3c)과, 트레이배출노즐(P3d), 그리고 외부배출관(P4)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은 상기 유로펌프(103)를 통해 상기 음료배출관(P3b)과 연결되어,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최종적으로 트레이부(170)에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은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The second valve V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alve V1. The beverage delivery pipe P3c,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and the external discharge pipe P4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V2.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discharge pipe P3b through the flow pump 103 and serves to finally discharge the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tank 83 to the tray unit 170. As shown in FIG. 16 ,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extends downwardly toward the bowl 177 of the tray unit 170 .

그리고 상기 외부배출관(P4)은 상기 제2밸브(V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아웃케이스(10)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서 음료탱크(83) 내부의 잔수나 유로의 잔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And the external discharge pipe (P4)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V2), and the other end extending outward of the outer case 10 to discharge the remaining water inside the beverage tank 83 or the remaining water in the flow path to the outside. can

이러한 연결구조를 통해서, 상기 제2밸브(V2)는 (i) 상기 음료전달관(P3c)과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을 연결하여 음료탱크(83)에서 냉각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에 공급하거나, (ii) 상기 음료전달관(P3c)과 상기 외부배출관(P4)을 연결하여 음료탱크(83)의 잔수와, 상기 음료배출관(P3b), 상기 유로펌프(103) 및 상기 제2밸브(V2)에 남은 잔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밸브(V1)와 상기 제2밸브(V2)는 모터(미도시)로 구동되는 밸브일 수 있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rough this connection structure, the second valve (V2) (i) connects the beverage delivery pipe (P3c) and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to transfer the beverage cooled in the beverage tank (83) to the tray unit (170). or (ii) connecting the beverage delivery pipe (P3c) and the external discharge pipe (P4) so that the remaining water of the beverage tank 83, the beverage discharge pipe (P3b), the flow pump 103 and the second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valve V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 reference, the first valve V1 and the second valve V2 may be valves driven by a motor (not shown), and the motor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상기 직수공급관(P2b)에는 제1체크밸브(K1)가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에는 제2체크밸브(K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크밸브(K1)와 상기 제2체크밸브(K2)는 각각 상기 직수공급관(P2b)과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에 남은 잔수가 트레이부(170)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취출실(C3)의 공기가 상기 직수공급관(P2b)과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을 따라 역류하여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온도를 높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first check valve K1 may be provided in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and a second check valve K2 may be provided in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The first check valve (K1) and the second check valve (K2) prevent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and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tray unit 170, respectively, and take ou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in the compartment C3 from flowing backward along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and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위의 구조와 달리, 상기 유로모듈(100)에는 상기 음료탱크(83)를 거치지 않은 음료를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공급하기 위한 구조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음료는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후에 트레이부(170)에 공급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밸브(V1) 또는 제2밸브(V2)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Unlike the above structure, in the flow path module 100, a structure for directly supplying beverages that have not passed through the beverage tank 83 to the tray unit 170 may be omitted. That is, the beverage may be supplied to the tray unit 170 after being stored in the beverage tank 83. In this case, either the first valve V1 or the second valve V2 may be omitted.

다음으로, 상기 사료부(120)를 보면, 상기 사료부(12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습식사료가 보관되고,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건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직접 연결되는 제1사료저장실(C2a)은 상대적으로 제2사료저장실(C2b) 보다 온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저온보관이 요구되는 습식사료를 제1사료저장실(C2a)에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Next, looking at the feed unit 120, the feed unit 12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of the inner case 30. In this embodiment, different types of feed may be stored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For example, wet feed may be stored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dry feed may be stor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directly connected 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can be maintained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wet food requiring low temperature storage is provided. 1 It can be stored in the feed storage room (C2a).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제1사료공급모듈(130)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제2사료공급모듈(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각각 사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0에서 보듯이, 상기 사료부(120)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사료를 채워넣을 수 있다.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may serve to store and supply feed,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0, when the feed unit 120 is withdrawn forward,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user can supply the first feed The module 130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may be filled with feed.

여기서,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각각 사료를 보관할 수 있고,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일종의 컨베이어(conveyor)로 볼 수 있다. Here,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can store and transfer feed,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conveyor.

상기 사료부(12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사료부(120)의 전방에는 사료도어(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료도어(121)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사료도어(121)는 상기 아웃케이스(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사료도어(121)가 인출되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도 상기 사료도어(121)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사료도어(121)에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가스켓(122, 도 29참조)이 결합된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feed unit 120, a feed door 121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feed unit 120. The feed door 121 constitutes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ase 10. The feed door 121 can be withdrawn from the outer case 10, and when the feed door 121 is withdrawn,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are also removed from the feed. It is drawn forward together with the door 121. A door gasket (122, see FIG. 29) is coupled to the feed door 121 to prevent leakage of cold air.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에는 사료덕트(12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료덕트(123)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트레이부(170)로 전달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료덕트(123)는 상기 사료도어(121)가 인출될 때 함께 인출되지 않고,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고정되어 있다.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case 30 at different heights, and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nd the second feed A feed duct 123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module 150 . The feed duct 123 transfers the feed stored in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to the tray unit 170 . In this embodiment, the feed duct 123 is not withdrawn when the feed door 121 is withdrawn, but is fixed to the inner case 30 .

도 21 내지 도 26를 보면, 상기 사료덕트(123)는 위아래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의 측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료덕트(12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빈 관 구조이므로, 상기 사료덕트(123)는 사료를 중력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1 to 26 , the feed duct 123 extends vertically and can be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respectively. Since the feed duct 123 extends vertically and has a hollow tube structure, the feed duct 123 can transfer fe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료덕트(123)는 총 4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료덕트(123)는 제1취출부(124), 상부연결관(125),제2취출부(126) 그리고 트레이배출관(127)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취출부(124)와 제2취출부(126)는 경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취출부(124)와 제2취출부(126)는 딱딱한 성질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eed duct 123 may be divided into a total of four parts. The feed duct 123 may be divided into a first outlet 124, an upper connection pipe 125, a second outlet 126, and a tray discharge pipe 127. Here, the first take-out part 124 and the second take-out part 126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For example, hard synthetic resin may be used for the first outlet 124 and the second outlet 126 .

한편, 상기 상부연결관(125)과 트레이배출관(127)은 어느 정도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연결관(125)과 트레이배출관(127)은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상부연결관(125)과 트레이배출관(127)이 구획벽(W2,W3)을 관통하여 위치하는데, 구획벽(W2,W3)의 관통부분의 내면에 상기 상부연결관(125)과 트레이배출관(127)의 외면이 밀착되어 냉기누설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Meanwhile, the upper connection pipe 125 and the tray discharge pipe 127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some elasticity. For example, the upper connection pipe 125 and the tray discharge pipe 127 may be made of silicon. This is because the upper connection pipe 125 and the tray discharge pipe 127 are located through the partition walls W2 and W3, and the upper connection pipe 125 and the tray are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s W2 and W3. This is to ensure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27 is in close contact so that there is no leakage of cold air.

그리고, 상기 구획벽(W2,W3)의 관통부를 통한 냉기누설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연결관(125)과 트레이배출관(127)에서 상기 구획벽(W2,W3)의 상면과 하면과 대응되는 위치를 둘러서는 돌출부(도면부호 부여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상부연결관(125)과 트레이배출관(127)은 딱딱한 합성수지재질로 되고 외면에만 탄성재질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ore reliably prevent leakage of cold air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s (W2, W3),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s (W2, W3) in the upper connection pipe (125) and the tray discharge pipe (127) A protrusion (not referenced) may be formed surrounding the corresponding position. Alternatively, the upper connection pipe 125 and the tray discharge pipe 127 may be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n elastic material layer may be formed only on the outer surface.

상기 사료덕트(123)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각각 살펴보면, 먼저 상기 사료덕트(123)의 상부에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연결되는 제1취출부(124)가 있다. 도 21에서 보듯이, 상기 제1취출부(124)의 제1취출입구(124')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제1사료배출구(133)를 향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에서 취출된 사료는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통해 상기 사료덕트(123) 내부로 유입된다. Looking at each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eed duct 123, first, there is a first take-out part 124 connected to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t the top of the feed duct 123. As shown in FIG. 21, the first intake port 124' of the first intake unit 124 is opened toward the first feed outlet 133 of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ccordingly, the feed taken out from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is introduced into the feed duct 123 through the first take-out port 124'.

도 22를 보면, 상기 제1취출입구(124')에는 덕트댐퍼(12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댐퍼(124a)는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가로막거나, 개방시킨다. 상기 덕트댐퍼(124a)는 평소에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가로막아 제1사료저장실(C2a)의 냉기가 상기 사료덕트(123)를 타고 취출실(C3)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덕트댐퍼(124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냄새를 차단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 a duct damper 124a may be provided at the first take-out port 124'. The duct damper 124a blocks or opens the first intake port 124' through rotation. The duct damper 124a normally blocks the first take-out entrance 124' to prevent cold air from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from leaking to the take-out room C3 through the feed duct 123. there is. Of course, the duct damper 124a may also play a role of blocking odors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상기 덕트댐퍼(124a)는 회전축(124b)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는데, 도 23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회전축(124b)은 상기 제1취출부(12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댐퍼(124a)는 하단부가 안쪽으로 밀려들어가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댐퍼(124a)는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통해 유입되는 사료의 압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사료의 유입이 종료되면 상기 덕트댐퍼(124a)는 중력에 의해 회전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124b)에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덕트댐퍼(124a)가 도 23과 같은 상태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duct damper 124a is rotated about a rotation shaft 124b as a rotation center. Referring to FIG. 23 , the rotation shaft 124b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take-out part 124 . 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duct damper 124a may be pushed inward to open the first intake port 124'. In this embodiment, the duct damper 124a may be rotated by the pressure of feed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124'. When the introduction of the feed ends, the duct damper 124a may be rotated by gravity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lthough not shown, an elastic member such as a torsion spring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24b so that the duct damper 124a rotates as shown in FIG. 23 .

상기 제1취출부(124)의 하부에는 상부연결관(125)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관(125)은 상기 제1취출부(124)와 결합하고, 상기 제1취출부(124)로 유입된 사료를 아래쪽으로 전달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연결관(125)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2단열벽(W2)의 제1사료공급로(47a)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연결관(125)은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에 조립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의 일부일 수도 있다. An upper connection pipe 125 may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outlet 124 . The upper connection pipe 125 is coupled to the first take-out part 124 and transfers the feed introduced into the first take-out part 124 downward. Referring to FIG. 14, the upper connection pipe 125 is disposed in the first feed supply passage 47a of the second insulating wall W2 described above. The upper connecting pipe 125 may be assembled to the first feed supply passage 47a, or may be a part of the first feed supply passage 47a.

상기 상부연결관(125)의 하부에는 제2취출부(126)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2를 보면, 상기 제2취출부(126)의 제2취출입구(126')는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의 제2개구부(153)를 향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에서 취출된 사료는 상기 제2취출입구(126')를 통해 상기 사료덕트(123) 내부로 유입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취출입구(126')에도 덕트댐퍼(124a)가 구비될 수도 있다. A second outlet 126 may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nnection pipe 125 . Referring to FIG. 22 , the second take-out port 126' of the second take-out part 126 opens toward the second opening 153 of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Accordingly, the feed taken out from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is introduced into the feed duct 123 through the second take-out port 126'. Although not shown, a duct damper 124a may also be provided in the second take-out port 126'.

아래에서 설명될 트레이배출관(127)과 연결되는 제2취출부(126)의 아래쪽에는 유로홀(126a,126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홀(126a,126b)은 제1유로홀(126a)과 제2유로홀(126b)로 구성되고,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은 상기 제2취출부(126)의 하부가 측면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은 상기 제2취출부(126)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지만, 같은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Flow holes 126a and 126b may be formed below the second outlet 126 connected to the tray discharge pipe 127 to be described below. The passage holes 126a and 126b are composed of a first passage hole 126a and a second passage hole 126b, and the first passage hole 126a and the second passage hole 126b are the second discharge holes. The lower part of the portion 126 is made in the form of an open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low hole 126a and the second flow hole 126b are formed on different surfaces of the second outlet 126, but may be formed on the same surface.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에는 각각 상기 유로모듈(100)을 구성하는 트레이배출노즐(P3d)과 직수배출노즐(P2c)이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로모듈(100)에 의해 공급되는 음료의 취출방향은 상기 사료덕트(123)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A tray discharge nozzle P3d and a direct water discharge nozzle P2c constituting the flow path module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low hole 126a and the second flow hole 126b,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extraction direction of the beverage supplied by the flow path module 100 may be guided by the feed duct 123 .

도 24에는 상기 제2취출부(126)와 트레이배출관(127)이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트레이부(17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으로 전달된 사료는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을 통해서 상기 트레이부(170)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말단은 덕트노즐로 볼 수 있다. 2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ake-out part 126 and the tray discharge pipe 127 are connected. The tray discharge pipe 127 may open toward the tray unit 170 . Feed delivered to the tray discharge pipe 127 may be discharged to the tray unit 170 through the tray discharge pipe 127 . Therefore, the end of the tray discharge pipe 127 can be seen as a duct nozzle.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상기 제1취출부(124)와 상기 제2취출부(126)에서 전달된 사료를 상기 트레이부(170)에 최종적으로 취출하는 출구가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바닥에 형성된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에 조립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의 일부일 수도 있다. The tray discharge pipe 127 serves as an outlet for finally dispensing the feed delivered from the first take-out part 124 and the second take-out part 126 to the tray part 170 . Referring to FIG. 14 , the tray discharge pipe 127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feed supply passage 47b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reviously described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The tray discharge pipe 127 may be assembled to the second feed supply passage 47b, or may be a part of the second feed supply passage 47b.

도 25과 도 26에서 보듯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내부에는 가이드홈(127a,127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27a,127b)은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내면 일부가 함몰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27a,127b)은 제1가이드홈(127a)과 제2가이드홈(127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127a)과 제2가이드홈(127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127a)과 상기 제2가이드홈(127b)은 상기 제2취출부(126)의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에 각각 연결된다. As shown in FIGS. 25 and 26, guide grooves 127a and 127b may be formed inside the tray discharge pipe 127. The guide grooves 127a and 127b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ray discharge pipe 127 is recessed. The guide grooves 127a and 127b are composed of a first guide groove 127a and a second guide groove 127b, and the first guide groove 127a and the second guide groove 127b extend vertically. . The first guide groove 127a and the second guide groove 127b are connected to the first passage hole 126a and the second passage hole 126b of the second outlet 126, respectively.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과 직수배출노즐(P2c)은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을 각각 통과하고, 다시 제1가이드홈(127a)과 제2가이드홈(127b)을 따라 아래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과 직수배출노즐(P2c)의 취출방향이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and the direct water discharge nozzle P2c pass through the first passage hole 126a and the second passage hole 126b, respectively, and again into the first guide groove 127a and the second guide groove. It can be guided downward along (127b). Accordingly, the ejection directions of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and the direct water discharge nozzle P2c can be accurately set.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내부에는 배출가이드(1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128)는 상기 트레이배출관(127) 내부를 가로질러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사료는 상기 배출가이드(128) 양쪽으로 분산된다. 상기 배출가이드(128)는 사료의 배출속도를 줄여, 많은 양의 사료가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 바깥쪽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discharge guide 128 may be provided inside the tray discharge pipe 127 . The discharge guide 128 is provided across the inside of the tray discharge pipe 127 . Accordingly, the feed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tray discharge pipe 127 is distributed to both sides of the discharge guide 128 . The discharge guide 128 reduces the discharge speed of the feed, so that a large amount of feed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out of the bowl 177 of the tray unit 170 while pouring at once.

상기 배출가이드(128)에는 가이드경사면(128a)이 형성될 수 있다. 사료는 상기 가이드경사면(128a)을 타고 아래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경사면(128a)은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경사면(128a)은 생략되거나, 대칭구조가 아니라 어느 한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A guide inclined surface 128a may be formed on the discharge guide 128 . Feed may be discharged downward along the guide slope 128a. The guide inclined surface 128a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guide 128 . The guide inclined surface 128a may be omitted or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rather than having a symmetrical structure.

도 25을 보면,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아래쪽에는 장착홈(128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128b)에는 살균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을 살균 및 소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홈(128b)은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저면에 함몰된 구조이고, 여기에 상기 살균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128)도 상기 살균모듈이 일부로 볼 수도 있다. 25, a mounting groove 128b may be formed below the discharge guide 128. A sterilization module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128b. The sterilization module is for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the bowl 177 of the tray unit 170 . The mounting groove 128b has a structure recess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guide 128, and the sterilization module can be mounted there. The discharge guide 128 may also be viewed as a part of the sterilization module.

상기 살균모듈은 한 쌍의 자외선 조사부(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부(L)는 아래쪽, 즉 상기 트레이부(170)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자외선 조사부(L)는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출구 보다 안쪽에 배치되므로, 조사된 자외선이 자칫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부호 129는 회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자외선 조사부(L)에서 조사되는 빛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자외선 조사부(L)는 하나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terilization module may include a pair of ultraviolet irradiation units (L).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L) is installed downward, that is, facing the tray unit 170 . At this time, since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L) is disposed inside the outlet of the tray discharge pipe 127,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rradiated ultraviolet rays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Reference numeral 129 denotes an avoidance unit, and is intended to prevent interference of light emitted from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L).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L) may be composed of one or three or more.

상기 사료덕트(123)에는 진동모듈(BM)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진동모듈(BM)은 상기 사료덕트(123)를 진동시켜 상기 사료덕트(123) 내부에 잔존하는 사료와 이물질 등 분체를 털어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진동모듈(BM)은 상기 사료덕트(123) 중에서 제1취출부(124)의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취출부(124)를 진동시켜줄 수 있다. 도 14를 보면, 상기 진동모듈(BM)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1단열벽(W1)의 진동설치구(BH)에 배치된다. 이와 달리, 상기 진동모듈(BM)은 상기 제2취출부(126)를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제1취출부(124)와 제2취출부(126)와 밀착되도록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A vibration module (BM) may be coupled to the feed duct 123. The vibration module BM vibrates the feed duct 123 to shake off powder such as feed and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feed duct 123. In this embodiment, the vibration module (B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irst take-out part 124 of the feed duct 123, and can vibrate the first take-out part 124. Referring to FIG. 14 , the vibration module BM is disposed in the vibration installation hole BH of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the vibration module BM may be installed to face the second take-out part 126, or may be disposed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take-out part 124 and the second take-out part 126, respectively.

상기 진동모듈(BM)에는 진동단부(BM')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단부(BM')는 상기 상기 제1취출부(124)에 밀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1취출부(124)에 진동을 전달한다. 상기 진동모듈(BM)은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진동단부(BM')를 진동시키거나, 모터에 의해 진동단부(BM')를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모듈(BM)이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진동모듈(BM)에 에어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The vibration module BM may include a vibration end portion BM'. The vibrating end portion BM' is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take-out part 124, and transmits vibration to the first take-out part 124. The vibration module BM may vibrate the vibration end portion BM' by compressed air or vibrate the vibration end portion BM' by a motor. When the vibration module BM uses compressed air, an air pipe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vibration module BM.

도 20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서로 독립된 제1사료케이스(131)와 제2사료케이스(151)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서,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저장되는 사료들은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20 to 29 ,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case 30 at different heights.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each have a first feed case 131 and a second feed case 151 independent of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 and the feed stored in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may not be mixed with each other.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을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에는 높이와 좌우폭 보다 전후방향의 길이가 긴 제1사료케이스(131)가 포함된다.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져 사용자가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nd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have the same structure,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includes a first feed case 131 whos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longer than its height and left-right width. The first feed case 131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inside of the first feed case 131 .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하부는 곡면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제1사료케이스(131)의 형상은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에 내장되는 제1피더(140)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부는 평면구조인데, 이를 통해 제1사료공간의 내부체적을 늘릴 수 있다. The lower part of the first feed case 131 may have a curved shape, and the shape of the first feed case 131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rst feeder 140 embedded in the first feed case 131. can However,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eed case 131 has a flat structure, through which the internal volume of the first feed space can be increased.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부에는 제1사료투입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는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면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 사료를 채울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에는 별도의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는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면이 아니라 측면이나 후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A first feed inlet 132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eed case 131 . The first feed inlet 132 is formed by opening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eed case 131 . Through the first feed inlet 132, the user can fill the inside of the first feed case 131 with feed.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cover may be provided at the first feed inlet 132. In addition, the first feed inlet 132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r rear surface of the first feed case 131 instead of the upper surface.

도 29를 보면,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는 제1취출가이드(1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을 통해 일정한 양의 사료가 취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는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의 반대편인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앞쪽에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22에서 보듯이,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는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에 형성된 제1사료배출구(133)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29 , a first take-out guide 134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feed case 131. The first take-out guide 134 allows a certain amount of feed to be taken out through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 The first take-out guide 134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feed case 131 opposite to the first feed inlet 132. More precisely, as shown in FIG. 22, the first take-out guide 134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ed outlet 133 formed in the first feed case 131.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는 대략 원통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의 내부에는 상기 제1피더(140)를 구성하는 제1취출레귤레이터(147)가 배치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의 측면에는 상기 제1사료배출구(133)와 연결되는 제1정량취출구(134a)가 있다. 상기 제1피더(140)에 의해 이송된 사료는 상기 제1정량취출구(134a)와 상기 제1사료배출구(133)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1취출부(124)의 제1취출입구(124')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제1피더(140)에 의해 이송된 사료는 먼저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의 안쪽으로 전달된 후에 상기 제1취출부(124)로 투입되므로, 일정한 양의 사료가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1 , the first extraction guide 134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 first take-out regulator 147 constituting the first feeder 14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take-out guide 134 and rotates. In addition, there is a first feed outlet 134a connected to the first feed outlet 133 on the side of the first take-out guide 134 . The feed transported by the first feeder 140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quantitative outlet 134a and the first feed outlet 133, and the first outlet 124 of the first outlet 124 ') is inserted. At this time, since the feed transported by the first feeder 140 is first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take-out guide 134 and then fed into the first take-out part 124, a certain amount of feed can be supplied. there is.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아래쪽에는 제1사료플레이트(13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는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는 상기 사료도어(121)에 연결되고, 상기 사료도어(121)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도 함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에 사료를 투입할 수 있다. A first feed plate 135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feed case 131 . The first feed plate 135 is a portion where the first feed case 131 is seated. The first feed plate 135 is connected to the feed door 121 and can be withdrawn together with the feed door 121 . When the first feed plate 135 is withdrawn forward,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is also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user can put feed into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에는 잔량감지센서(136a,136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잔량감지센서(136a,136b)는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 존재하는 사료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잔량감지센서(136a,136b)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의 양쪽에 각각 발광부와 수광부가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이므로,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로 사료의 잔존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first feed plate 135 may be provided with remaining amount detection sensors 136a and 136b. The remaining amount detection sensors 136a and 136b are for detecting the amount of feed present in the first feed case 131 . The remaining amount detection sensors 136a and 136b are composed of infrared sensors, and light emitting units and light receiving units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eed plate 135 with the first feed case 131 interposed therebetween.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feed case 131 i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remaining feed is present.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잔량감지센서(136a,136b)는 서로 이격된 제1잔량감지센서(136a)와 제2잔량감지센서(136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잔량감지센서(136a)는 상대적으로 제1사료투입구(132)에 가깝게 배치되어,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 근처에 사료가 잔존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잔량감지센서(136b)는 상기 제1잔량감지센서(136a) 보다 상기 사료도어(121)에 가깝게 배치되어 제1사료케이스(131)의 전방 쪽에 사료가 남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maining amount detection sensors 136a and 136b may include a first remaining amount detection sensor 136a and a second remaining amount detection sensor 136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remaining amount detection sensor 136a is disposed relatively close to the first feed inlet 132, and can measure whether or not feed remains near the first feed inlet 132. The second remaining amount detecting sensor 136b is disposed closer to the feed door 121 than the first remaining amount detecting sensor 136a to detect whether or not food is left i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eed case 131. .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에는 제1연장레일(13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레일(137)은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가 아웃케이스(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리를 늘리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연장레일(137)은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의 하부에 겹쳐지면서 수납되거나 제1사료플레이트(135)로부터 펼쳐지면서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제1연장레일(137)은 생략되거나, 또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인출거리를 더 증가시킬 수도 있다. A first extension rail 137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feed plate 135 . The first extension rail 137 is to increase the distance at which the first feed plate 135 protrudes forward from the outer case 10. The first extension rail 137 increases the overall length of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while being accommodated while overlapp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eed plate 135 or extending from the first feed plate 135. . The first extension rail 137 may be omitted or composed of two or more to further increase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에 구비된 제1피더(140)를 보면, 상기 제1피더(140)는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사료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1피더(140)는 제1취출모터(M1, 도 30참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제1피더(1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사료가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도 30에서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은 상기 제1취출모터(M1)에서 분리되어 있는데, 상기 제1취출모터(M1)의 제1클립(M1a)은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제1모터연결부(141)와 맞물린다. Looking at the first feeder 140 provided in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the first feeder 140 transfers the fe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rough a rotational motion. The first feeder 140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take-out motor M1 (see FIG. 30), and the feed is transpor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feeder 140. 30,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take-out motor M1, and the first clip M1a of the first take-out motor M1 is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 is engaged with the first motor connection part 141.

도 31과 도 32을 참조하여 상기 제1피더(14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1피더(140)는 상기 제1취출모터(M1)에 연결되는 제1모터연결부(141)와, 상기 제1모터연결부(141)에 결합된 제1후방푸셔(143)와, 상기 제1후방푸셔(143)에 연결된 제1전방푸셔(1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방푸셔(145)에는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가 연결된다. 상기 제1후방푸셔(143), 상기 제1전방푸셔(145) 및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취출모터(M1)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면부호 141a는 상기 제1모터연결부(141)의 결합돌부를 나타내고, 143a는 상기 결합돌부(141a)에 끼워지는 상기 제1후방푸셔(143)의 연결단부를 나타낸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first feeder 140 with reference to FIGS. 31 and 32, the first feeder 140 includes a first motor connection part 141 connected to the first take-out motor M1, and the first feeder 140. It may include a first rear pusher 143 coupled to one motor connection part 141 and a first front pusher 145 connected to the first rear pusher 143 . Also, the first take-out regulator 147 is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pusher 145 . The first rear pusher 143, the first front pusher 145, and the first take-out regulator 147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an rotate together by the first take-out motor M1. Reference numeral 141a denotes a coupling protrusion of the first motor connecting portion 141, and 143a denotes a connecting end of the first rear pusher 143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141a.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후방푸셔(143)는 스프링구조일 수 있고, 제1전방푸셔(145)는 스크류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제1사료공간 내부에서 단위체적당 차지하는 부피를 보면, 상기 제1후방푸셔(143)는 상기 제1전방푸셔(145) 보다 부피가 작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후방푸셔(143)는 사료를 교반하고 빠르게 이송시킬 수 있고, 제1전방푸셔(145)는 상기 사료의 이송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면부호 143b는 상기 후방푸셔에서 연장된 연결암을 나타내는데, 상기 연결암(143b)은 상기 제1전방푸셔(145) 내부의 푸셔삽입홈(145a, 도 29 참조)에 끼워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ar pusher 143 may have a spring structure, and the first front pusher 145 may have a screw structure. Looking at the volume occupied per unit volume in the first feed space of the first feed case 131, the first rear pusher 143 has a smaller volume than the first front pusher 145. Accordingly, the first rear pusher 143 can stir and rapidly transfer the feed, and the first front pusher 145 can precisely control the transfer amount of the feed. Reference numeral 143b denotes a connection arm extending from the rear pusher, and the connection arm 143b may be inserted into the pusher insertion groove 145a (see FIG. 29) inside the first front pusher 145.

상기 제1후방푸셔(143)는 상기 제1전방푸셔(145) 보다 전후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후방푸셔(143)는 사료의 교반 및 빠른 이송기능을 담당하고, 제1전방푸셔(145)로 사료를 전달한다. 전달된 사료는 상기 제1전방푸셔(145)의 날개들 사이로 투입되는데, 상기 날개들 사이의 제한된 피치 안에서 사료는 일정한 양씩 나뉘게 된다. 이렇게 정밀하게 구분된 사료들은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에 전달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는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의 제1정량취출구(134a)로 사료를 취출한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피더(140)는 교반 및 빠른 이송을 담당하는 부분과, 정량을 취출하기 위한 부분으로 이원화될 수 있다. The first rear pusher 143 may extend long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an the first front pusher 145 . The first rear pusher 143 is in charge of stirring and fast conveying functions of the feed, and delivers the feed to the first front pusher 145. The conveyed feed is injected between the blades of the first front pusher 145, and the feed is divided by a certain amount within a limited pitch between the blades. These precisely classified feeds are delivered to the first discharge regulator 147 . Finally, the first ejection regulator 147 ejects the feed through the first quantitative ejection port 134a of the first ejection guide 134 . As such,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eeder 140 may be divided into a part responsible for stirring and rapid transfer, and a part for taking out a fixed amount.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는 상기 제1전방푸셔(145) 보다 날개들의 면적이 넓고, 일종의 프로펠러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는 상기 제1전방푸셔(145) 보다 전후길이가 짧고,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의 안쪽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의 날개 사이사이에 투입된 사료는 상기 제1정량취출구(134a)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에 의해 한 번에 배출되는 사료의 량은 상기 날개 사이의 공간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first blowout regulator 147, the first blowout regulator 147 has a larger area of wings than the first front pusher 145, and may have a kind of propeller structure. The first take-out regulator 147 has a shorter front and rear length than the first front pusher 145, and can be completely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take-out guide 134. Feed injected between the blades of the first discharge regulator 147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fixed amount discharge port 134a. The amount of feed discharged at one time by the first discharge regulator 147 may be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space between the wings.

도 29를 참고하면,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의 내부에는 축홀(147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홀(147a)은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의 중심부에 형성된 빈 공간이다. 상기 축홀(147a)에는 회전축(148)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148)은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의 회전중심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9 , a shaft hole 147a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discharge regulator 147 . The shaft hole 147a is an empty spac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take-out regulator 147 . A rotation shaft 148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147a, and the rotation shaft 148 may serve as a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take-out regulator 147.

한편, 도 33와 도 34에는 상기 제1피더(140)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3에서 보듯이, 상기 제1피더(140')에는 상기 제1전방푸셔(145)가 생략되고, 상기 제1후방푸셔(143)와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34에서 보듯이, 상기 제1피더(140'')에는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가 생략되고, 상기 제1후방푸셔(143)와 상기 제1전방푸셔(145)만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FIGS. 33 and 34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feeder 140. As shown in FIG. 33 , the first front pusher 145 may be omitted from the first feeder 140', and the first rear pusher 143 and the first take-out regulator 147 may be directly connected.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4, the first take-out regulator 147 may be omitted in the first feeder 140'', and only the first rear pusher 143 and the first front pusher 145 may be provided. there is.

한편,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사료케이스(151)에 사료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사료케이스(151)에는 제2취출모터(M2)에 의해 회전하는 제2피더(16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을 구성하는 제2사료케이스(151)에는 150번대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제2피더(160)에는 16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Meanwhile,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nd feed may be put into the second feed case 151. The second feeder 160 rotated by the second take-out motor M2 is provided in the second feed case 151. Since the basic structure of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reference, the second feed case 151 constituting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is assigned a reference number of the 150th, and the reference number of the 160th is assigned to the second feeder 160.

다음으로 트레이부(170)를 살펴보면, 상기 트레이부(170)는 상기 취출실(C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170)는 상기 취출실(C3)의 내부에서 음료와 사료를 공급받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반려동물에게 음료와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실시례에서 상기 트레이부(170)는 취출실(C3) 내부에서 회전하여 다수개의 보울(177)에 각각 음료와 사료를 담을 수 있고, 취출실(C3)의 외부로 인출되어 담긴 음료와 사료를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Looking at the tray unit 170 next, the tray unit 170 may be disposed in the take-out chamber C3. The tray unit 170 receives beverages and feed from the inside of the take-out chamber C3, and is drawn out of the outer case 10 to provide beverages and feed to companion animals. More precisely, in this embodiment, the tray unit 170 rotates inside the take-out chamber C3 to put beverages and feeds in a plurality of bowls 177, respectively, and is drawn out of the take-out chamber C3. Drinks and food can be served to pets. The structure for thi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도 14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상기 트레이부(170)의 구조를 보면, 상기 트레이부(170)에는 트레이도어(17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4에서 보듯이,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아웃케이스(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도어(171)가 인출되면 상기 트레이부(170)의 회전트레이(175)와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안착된 보울(177)들도 상기 트레이도어(171)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트레이도어(171)에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가스켓(172, 도 38참조)이 결합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tray unit 170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38 , a tray door 171 may be provided in the tray unit 170 . As shown in FIG. 14 , the tray door 171 constitutes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ase 10 . The tray door 171 can be withdrawn from the outer case 10, and when the tray door 171 is withdrawn, the rotation tray 175 of the tray unit 170 and the rotation tray 175 seated on the The bowls 177 are also drawn forward together with the tray door 171. A door gasket 172 (see FIG. 38) for preventing leakage of cold air may be coupled to the tray door 171.

상기 트레이부(170)는 상기 취출실(C3)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트레이부(170)는 취출실(C3)의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취출실(C3)의 바닥면의 위쪽에는 상기 아웃저면부(15)와 소정높이만큼 이격되어 트레이가이드(173)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가이드(173)는 상기 트레이도어(171)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도어(17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The tray unit 170 may be disposed in the take-out chamber C3. More precisely, the tray unit 170 is dispos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take-out chamber C3. A tray guide 173 is provid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take-out chamber C3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bottom part 15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tray guide 173 is coupled to the tray door 171 and can move together with the tray door 171 .

상기 트레이가이드(173)는 대략 사각판상 구조일 수 있고, 중심에는 트레이회전공간(17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회전공간(173a)을 통해서 상기 회전트레이(175)와 회전모듈(18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트레이회전공간(173a)은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후단에서 중심부까지 형성되나, 이와 달리 상기 트레이회전공간(173a)은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중심부를 관통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tray guide 173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tructure, and a tray rotation space 173a may b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rotation tray 175 and the rotation module 18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tray rotation space 173a. In this embodiment, the tray rotation space 173a is formed from the rear end of the tray guide 173 to the center, but otherwise, the tray rotation space 173a may b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tray guide 173. there is.

상기 트레이부(170)에는 회전트레이(1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상부에 안착되고,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상부에는 보울(177)들이 보관된다.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되면 상기 보울(177)들도 함께 회전한다. 상기 보울(177)들이 특정 위치로 회전되면서 각 보울(177)들에 사료와 음료가 담길 수 있다. A rotating tray 175 may be provided in the tray unit 170 . The rotating tray 175 is seated on top of the tray guide 173 and can rotate in a seated state. Bowls 177 are stored on the top of the rotating tray 175. When the rotating tray 175 rotates, the bowls 177 also rotate together. As the bowls 177 are rotated to a specific position, each bowl 177 may contain food and beverage.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대략 사각판구조이고,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상부에는 보울가이드(1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울가이드(176)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보울가이드(176)의 안쪽에는 보울(177)이 안착된다. 상기 보울가이드(176)는 상기 보울(177)을 감싸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하거나 입출할 때 보울(177)이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울가이드(176)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거나, 또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The rotating tray 175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tructure, and a bowl guide 176 may b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tray 175 . The bowl guide 176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tray 175, and the bowl 177 is seated inside the bowl guide 176. The bowl guide 176 may surround the bowl 177 so that the bowl 177 does not shake when the rotating tray 175 rotates or moves in and out. The bowl guide 176 may b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rotation tray 175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ion tray 175 .

상기 보울가이드(176)에는 보울(177)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보울(177)은 사료나 음료가 담겨 반려동물에게 제공되는 식기이다. 상기 보울(177)은 상기 보울가이드(176)로부터 분리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보울(177)을 세척한 후에 다시 보울가이드(176)에 장착할 수 있다. A bowl 177 may be accommodated in the bowl guide 176 . The bowl 177 is a dish that contains food or beverage and is provided to companion animals. Since the bowl 177 is detachable from the bowl guide 176, the user can clean the bowl 177 and then mount it on the bowl guide 176 again.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울(177)은 총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3개의 보울(177)들은 서로 다른 반려동물들에게 각각 음료나 사료를 공급할 수도 있고, 또는 3개의 보울(177)들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나 사료들이 담겨 반려동물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bowl 177 may consist of a total of three. The three bowls 177 may supply drinks or feeds to different companion animals, or different types of drinks or feeds may be contained in the three bowls 177 and provided to the companion animals.

상기 보울(177)들은 회전을 통해 상기 사료덕트(123)의 트레이배출관(127)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보울(177)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트레이배출관(127)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음료나 사료가 공급된 후에,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하여 다른 보울(177)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 하부에 배치되어 음료나 사료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6과 도 37을 보면, 상기 회전트레이(175)와 상기 보울(177)들이 회전하여, 보울(177)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The bowls 177 may be disposed under the tray discharge pipe 127 of the feed duct 123 through rotation. For example, after a beverage or feed is supplied in a state where one of the three bowls 177 is disposed below the tray discharge pipe 127, the rotating tray 175 is rotated so that the other bowl 177 is It is disposed under the tray discharge pipe 127 so that beverages or feeds can be supplied. 36 and 37, it can be seen that the rotation tray 175 and the bowls 177 are rotated and the bowls 177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도 38을 보면,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에는 센서누름부(174)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센서누름부(174)는 상기 트레이가이드(173)가 상기 취출실(C3)에 완전히 수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센서누름부(174)는 상기 취출실(C3)의 안쪽에 배치된 복귀스위치(미도시)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말단부에서 후방으로 더 돌출된다. Referring to FIG. 38 , a sensor pressing portion 174 may protrude from the tray guide 173 . The sensor pressing part 174 is for checking whether the tray guide 173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take-out chamber C3. The sensor pressing part 174 further protrudes rearward from the distal end of the tray guide 173 so that a return switch (not shown) disposed inside the take-out chamber C3 can be pressed.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는 메인회전기어(1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회전모듈(180)의 제2구동기어(183b)와 맞물린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상기 메인회전기어(185)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 결합되므로, 상기 트레이부(17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트레이부(170)와 함께 이동한다. 한편, 상기 제2구동기어(183b)는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고정된 부품이므로, 상기 트레이부(170)가 인출되면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제2구동기어(183b)와는 분리된다. A main rotation gear 185 may be provided below the rotation tray 175 . The main rotation gear 185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rotation tray 175 and meshes with the second drive gear 183b of the rotation module 180. The main rotation gear 185 is fixed to the rotation tray 175, and the rotation tray 175 rotates together with the main rotation gear 185. Since the main rotation gear 185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tray 175, when the tray unit 170 is withdrawn forward, it moves together with the tray unit 170. Meanwhile, since the second drive gear 183b is a part fixed to the inner case 30, when the tray unit 170 is withdrawn, the main rotation gear 185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drive gear 183b. .

이처럼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구비되지만,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회전을 위한 구성이므로 상기 회전모듈(18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도 35 및 도 38의 도면부호 GF는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를 감싸는 기어펜스를 나타낸다. As such, although the main rotation gear 185 is provided on the rotation tray 175, since it is configured for rotation of the rotation tray 175, it may be regarded as a part of the rotation module 180. Reference numeral GF in FIGS. 35 and 38 denotes a gear fence surrounding the main rotation gear 185.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저면에는 누름돌기(178)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돌기(178)는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구비된 회전감지센서(188)를 누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감지센서(188)가 상기 누름돌기(178)에 의해 눌리면, 상기 회전감지센서(188)는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특정 각도까지 회전된 것을 인식하고, 제어부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배치된 세 개의 보울(177)들이 각각 특정 위치(트레이배출관(127)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는 총 3개의 누름돌기(178)가 배치될 수 있다. A pressing protrusion 178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tray 175 . The pressing protrusion 178 may serve to press the rotation sensor 188 provided on the inner case 30 . When the rotation sensor 188 is pressed by the push protrusion 178, the rotation sensor 188 recognizes that the rotation tray 175 has been rotated to a specific angle,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otation tray 175 rotation can be stopped. In order to detect that the three bowls 177 disposed on the rotating tray 175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a specific position (lower portion of the tray discharge pipe 127), there are a total of three pushers at the bottom of the rotating tray 175. A protrusion 178 may be disposed.

상기 트레이도어(171)의 하부에는 인출브라켓(179, 도 42참조)이 연결되는데,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입출을 위한 것이다.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이드홀(17a)을 통해 상기 트레이도어(171)에 연결되는데, 가이드브릿지(179b)가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도어(17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부(170)의 입출을 위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 take-out bracket (179, see FIG. 42)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ray door 171, and the take-out bracket 179 is for moving the rotating tray 175 in and out. The tray door 171 is disposed above the supply station 17, and the take-out bracket 179 is disposed below the supply station 17. The take-out bracket 179 is connected to the tray door 171 through the guide hole 17a of the supply station 17, and the guide bridge 179b connects the take-out bracket 179 and the tray door 171. can be connected. The structure for moving in and out of the withdrawal bracket 179 and the tray unit 170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도 14를 보면,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는 회전모듈(1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180)은 상기 회전트레이(175)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트레이회전모터(181)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모듈(180)은 상기 취출실(C3)의 바닥부에 형성된 상기 회전모듈장착부(52)에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a rotation module 180 may be disposed under the rotation tray 175 . The rotation module 180 is for rotating the rotation tray 175 and includes a tray rotation motor 181 . The rotation module 180 may be mounted on the rotation module mounting portion 52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ake-out chamber C3.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를 도시한 도 35를 보면, 상기 회전모듈(180)에는 트레이회전모터(18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에는 구동기어(183)가 맞물린다. 상기 구동기어(183)는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에 맞물리는 제1구동기어(183a)와, 상기 제1구동기어(183a)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183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구동기어(183b)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메인회전기어(185)와 맞물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를 회전시킨다. Referring to FIG. 35 showing the bottom of the rotating tray 175, a tray rotation motor 181 may be provided in the rotation module 180, and a drive gear 183 is engaged with the tray rotation motor 181. all. The drive gear 183 includes a first drive gear 183a meshed with the tray rotation motor 181 and a second drive gear 183b meshed with the first drive gear 183a and rotated. At this time, the second drive gear 183b engages with the main rotation gear 185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otation tray 175 to rotate the main rotation gear 185 .

상기 트레이도어(171), 상기 트레이가이드(173) 및 상기 회전트레이(175)를 포함하는 트레이부(17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후방으로 입출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례에서 상기 트레이부(170)는 자동으로 입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음식물 공급장치에는 트레이인출모듈(190)이 구비된다. The tray unit 170 including the tray door 171 , the tray guide 173 , and the rotating tray 175 may be moved in and out of the outer case 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tray unit 170 may be automatically moved in and out. To this end, a tray withdrawal module 190 is provided in the food supply device.

도 41 및 도 42를 보면,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은 상기 아웃저면부(15)에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은 리드스크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을 구성하는 인출모터(191)는 상기 아웃저면부(15)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모터(191)에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193)이 연결된다. 상기 스크류축(193)은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이드홀(17a) 하부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인출모터(191)는 상기 스크류축(193)을 회전시키고, 스크류축(193)은 회전하면서 상기 트레이부(17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1 and 42 , the tray withdrawal module 190 is provided on the outer bottom part 15 . The tray withdrawal module 190 may have a lead screw structure. That is, the take-out motor 191 constituting the tray take-out module 190 is fixed to the outer bottom part 15, and the take-out motor 191 is connected to a screw shaft 193 having a thread formed thereon. The screw shaft 193 extends forward along the lower part of the guide hole 17a of the supply station 17 described above. The take-out motor 191 rotates the screw shaft 193, and while the screw shaft 193 rotates, the tray unit 170 may linearly move.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스크류축(193)은 상기 가이드홀(17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스크류축(193)에는 상기 트레이부(170)의 인출브라켓(179)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스크류너트에 해당한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축(193)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있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스크류축(193)이 회전하면 상기 스크류축을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crew shaft 193 may be disposed below the guide hole 17a, and the take-out bracket 179 of the tray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the screw shaft 193. The withdrawal bracket 179 corresponds to a screw nut. Inside the take-out bracket 179, there is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of the screw shaft 193. When the screw shaft 193 rotates, the take-out bracket 179 may linearly move along the screw shaft.

그리고, 상기 인출브라켓(179)에는 가이드브릿지(179b)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도어(171)의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에 의해 상기 인출브라켓(179)을 따라 상기 트레이부(170)가 직선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 guide bridge 179b may be connected to the withdrawal bracket 179. The guide bridge 179b connects between the take-out bracket 179 and the tray door 171. The tray unit 170 can linearly move along the take-out bracket 179 by the guide bridge 179b.

이때,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이드홀(17a)을 통해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부(17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면부호 193a는 상기 스크류축(193)이 상기 인출모터(191)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나타낸다. 본 실시례와 달리,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도어(171)의 사이가 아니라,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사이를 연결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guide bridge 179b may connect the take-out bracket 179 and the tray unit 170 through the guide hole 17a of the supply station 17 . Reference numeral 193a denotes a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screw shaft 193 is connected to the take-out motor 191.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bridge 179b may connect between the take-out bracket 179 and the tray guide 173 instead of between the take-out bracket 179 and the tray door 171. .

한편,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은 볼스크류 구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류축(193)의 나사산과 상기 인출브라켓(179)의 상대나사산 사이에는 볼(강구)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은 일종의 볼베어링 역할을 하여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의 작동효율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Meanwhile, the tray withdrawal module 190 may have a ball screw structure. For example, a ball (steel bal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read of the screw shaft 193 and the relative thread of the take-out bracket 179. The ball serves as a kind of ball bearing to increase the operating efficiency and durability of the tray withdrawal module 190 .

상기 스크류축(193)의 양쪽에는 가이드축(194)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194)은 상기 인출브라켓(179)의 연결단부(179a)와 연결되어,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Guide shafts 194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crew shaft 193, respectively. The guide shaft 19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nd 179a of the take-out bracket 179, so that the take-out bracket 179 can move in a straight direction without leaning to one side.

도 41을 보면,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하부에는 스토퍼(1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95)는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앞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인출모터(191)에 의해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직선이동할 수 있는데,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장 앞쪽까지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195)에 닿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195)에는 눌림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부(170)가 끝까지 이동하였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1 , a stopper 195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pply station 17 . The stopper 195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upply station 17 and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ake-out bracket 179. The take-out bracket 179 can move linearly by the take-out motor 191, and when the take-out bracket 179 moves to the front of the supply station 17,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195. At this time, a pressure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stopper 195 to detect that the tray unit 170 has moved to the end.

다음으로, 음식물 공급장치의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부(60)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전방, 즉 상기 음료저장실(C1) 방향(화살표B)로 토출된다. 그리고 열전소자(65)에서 발생한 열은 후방인 아웃케이스(10)의 바깥쪽(화살표A)으로 토출된다. 상기 음료저장실(C1)로 토출된 냉기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을 냉각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선호하는 음료의 온도가 15도라면,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설정온도는 15도로 냉각될 수 있다. Next, a process of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food supply device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FIG. 11 , the air cooled by the cooling unit 60 is discharged forward, that is,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direction (arrow B). An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6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rrow A) of the outer case 10, which is the rear. The cold air discharged in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cools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tank 83 may be lowered. For example, if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preferred by the companion animal is 15 degrees, the set temperature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may be cooled to 15 degrees.

이때, 상기 회수부(69b)는 상기 음료저장실(C1) 내부의 공기가 다시 냉각부(60) 방향(화살표B'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사이가 상기 제1댐퍼(D1)에 의해 서로 차단된 상태라면, 상기 음료저장실(C1) 내부의 공기는 상기 토출부(69a)와 상기 회수부(69b)를 통해 순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covery unit 69b may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gain in the direction of the cooling unit 60 (direction of arrow B'). I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re blocked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damper (D1), the air inside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69a). and may be circulated through the recovery part 69b.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배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온도가 설정온도가 되면, 상기 제1댐퍼(D1)가 개방되고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냉기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4를 보면, 상기 제1댐퍼(D1)를 통해 상기 음료저장실(C1)의 공기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로 공급되는 경로가 화살표①로 표현되어 있다. Although not show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reaches a set temperature, the first damper (D1) is opened and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cold air of may be delivered to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Referring to FIG. 14,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s supplied to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hrough the first damper D1 is indicated by an arrow ①.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로 공급된 냉기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도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온도가 설정온도가 되면 상기 제2댐퍼(D2)가 개방되고,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냉기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4에서 화살표②는 제1사료저장실(C2a)의 냉기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로 전달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므로, 차가운 냉기가 자연스럽게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로 이동할 수 있다.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t this time,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is also provided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If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reaches the set temperature, the second damper (D2) is opened, and the cold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can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there is. In FIG. 14, an arrow ② indicates a direction in which cold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Since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disposed below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cold air can naturally move to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한편,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는 상기 회수덕트(7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70)의 제1덕트흡입부(73)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후방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는 상기 제1덕트흡입부(73)의 방향(도 14의 화살표①'방향)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덕트(70)로 회수된 공기는 상기 냉각부(60)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hamber (C2a)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recovery duct (70). Since the first duct suction part 73 of the recovery duct 70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first feed storage chamber C2a, the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hamber C2a is supplied to the first duct suction part 73. )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arrow ① 'direction in FIG. 14). Also, the air recovered through the recovery duct 70 may be supplied to the cooling unit 60 again.

그리고,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도 역시 상기 회수덕트(7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70)의 제2덕트흡입부(75)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후방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는 상기 제2덕트흡입부(75)의 방향(도 14의 화살표②'방향)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덕트(70)로 회수된 공기는 상기 냉각부(60)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In addition, air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may also be discharged through the recovery duct 70 . Since the second duct suction part 75 of the recovery duct 70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econd feed storage chamber C2b, the air in the second feed storage chamber C2b is supplied to the second duct suction part 75 )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arrow ② 'direction in FIG. 14). Also, the air recovered through the recovery duct 70 may be supplied to the cooling unit 60 again.

이처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바깥쪽으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회수덕트(70)를 통해 회수되어 상기 냉각부(60) 쪽으로 다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료와 간식 등에서 발생하는 냄새도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다. In this way, the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air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re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0, but are recovered through the recovery duct 70 and are returned to the cooling unit. It is fed back to (6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d air from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nd odors generated from feed and snacks may not escape to the outside.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및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각 온도가 설정 온도를 만족하면, 상기 제1댐퍼(D1)와 상기 제2댐퍼(D2)는 차단되어 상기 각 실이 서로 독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건사료가 보관될 경우에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온도는 실온으로 유지되어도 무방하므로, 상기 제2댐퍼(D2)를 통해 냉기가 전달될 필요가 없게 된다. When each temperature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satisfies the set temperature, the first damper (D1) and the second damper (D2) It is blocked so that the respective rooms may remain independent of each other. In addition, when dry feed is stor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may be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cold air needs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damper (D2). there will be no

한편,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은 음압을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케이스(30)에는 압력모듈(76)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이너케이스(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압력을 낮추고, 제2사료저장실(C2b)을 일종의 음압실로 만든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보관되는 사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feed storage chamber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hamber (C2b) may maintain negative pressure. Referring to FIG. 13 , a pressure module 76 is installed in the inner case 30 , and the pressure module 76 can adjust the pressure inside the inner case 30 . In this embodiment, the pressure module 76 may suck air from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nd discharge it 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n this case, the pressure module 76 lowers the pressure of the second feed storage chamber C2b and makes the second feed storage chamber C2b a kind of negative pressure chamber. Accordingly, oxidation of the feed stor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can be prevented.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흡입구(77, inlet)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배출구(78, outlet)는 상기 음료저장실(C1)에 연결된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진공펌프에 의해 음압이 형성될 수 있고, 사료의 산화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음료탱크(83)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커버(84)에 의해 차폐되므로, 음압을 통해 산화를 방지하지 않더라도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다. An air inlet (77) of the vacuum pump is connected to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nd an air outlet (78) of the vacuum pump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 negative pressur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by a vacuum pump, and oxidation of feed may be prevented. Meanwhile, since the beverage tank 83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s shielded by the tank cover 84 to be described below, freshness can be maintained even if oxidation is not prevented through negative pressure.

상기 진공펌프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의 압력이 기준값 보다 높을 경우에 작동을 시작하고, 기준값(예를 들어 1기압) 보다 낮아지면 작동을 멈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뿐 아니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내부의 압력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연결하는 제2댐퍼(D2)가 개방되고, 동시에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댐퍼(D1)가 차단되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서로 연결되어 압력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하면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이 배기되면서 동시에 제1사료저장실(C2a)도 배기되어, 각각 내부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The vacuum pump may start operating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stop operating when the press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for example, 1 atmospheric pressure). In addition, the pressure module 76 can adjust not only the pressure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but also the pressure inside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he second damper (D2) connecting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op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gap betwee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s opened. When the connecting first damper D1 is blocke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pressures can be synchronized. In this state, when the vacuum pump operates,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exhausted an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is also exhaust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pressure inside each can be lowered.

다음으로, 상기 음료가 취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음료는 상기 음료부(80)와 유로모듈(100)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음료는 물인 것을 예로 들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i) 수돗물이나 정수물 등 외부의 물이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취출되거나, (ii) 수돗물이나 정수물 등 외부의 물이 상기 음료탱크(83)에 주입되어 냉각된 후 트레이부(170)에 취출될 수 있다. Next, looking at the process of dispensing the beverage, the beverage may be supplied through the beverage unit 80 and the flow path module 100 . For reference, it is exemplified that the beverage is water. In this embodiment, (i) external water such as tap water or purified water is directly taken out to the tray unit 170, or (ii) external water such as tap water or purified water is injected into the beverage tank 83 and cooled After that, it can be taken out to the tray unit 170.

먼저 물이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취출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외부연결관(P1)을 통해 상기 정수필터(101)에 외부의 물이 공급되면, 상기 정수필터(101)를 거쳐 정화된 물은 상기 메인공급관(P2a)을 통해 상기 제1밸브(V1)로 전달된다.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음료주입관(P3a)을 차단하고, 직수공급관(P2b)을 개방시켜 정화된 물을 상기 직수공급관(P2b)에 연결된 직수배출노즐(P2c)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직수배출노즐(P2c)을 통해서 정화된 물이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에 채워질 수 있다. First, looking at the process in which water is directly taken out to the tray unit 170, when external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filter 101 through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P1, water purified through the water filter 101 is delivered to the first valve V1 through the main supply pipe P2a. The first valve (V1) blocks the beverage injection pipe (P3a) and opens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to move purified water to the direct water discharge nozzle (P2c) connected to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In addition, the bowl 177 of the tray unit 170 may be filled with water purified through the direct water discharge nozzle P2c.

그리고, 냉각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외부연결관(P1)을 통해 상기 정수필터(101)에 외부의 물이 공급되면, 상기 정수필터(101)를 거쳐 정화된 물은 상기 메인공급관(P2a)을 통해 상기 제1밸브(V1)로 전달된다.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직수공급관(P2b)을 차단하고, 음료주입관(P3a)을 개방시켜 정화된 물이 음료탱크(83)에 주입되도록 한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supplying cooling water, when external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filter 101 through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P1, water purified through the water filter 101 is supplied to the main supply pipe P2a. ) through the first valve (V1). The first valve (V1) blocks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and opens the beverage injection pipe (P3a) so that purified water is injected into the beverage tank (83).

상기 음료탱크(83)에 담긴 물은 냉각된 후에, 상기 유로펌프(103)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로펌프(103)는 상기 음료배출관(P3b)과 상기 음료전달관(P3c)을 통해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제2밸브(V2)에 전달한다.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음료전달관(P3c)과 트레이배출노즐(P3d)을 각각 개방시켜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을 통해 보울(177)에 냉각된 물이 채워지도록 한다. After the water contained in the beverage tank 83 is cooled, it may be discharged by the flow pump 103 . The flow pump 103 delivers the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tank 83 to the second valve V2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pipe P3b and the beverage delivery pipe P3c. The second valve V2 opens the beverage delivery pipe P3c and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respectively, so that the bowl 177 is filled with cooled water through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한편, 상기 유로펌프(103)와 상기 제1밸브(V1) 및 제2밸브(V2)를 이용하여 상기 음료탱크(83)와 상기 유로를 세척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밸브(V1)에 의해 상기 직수공급관(P2b), 상기 메인공급관(P2a) 및 상기 음료주입관(P3a)이 각각 차단되고, 상기 제2밸브(V2)에 의해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이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음료탱크(83)가 작동하면 상기 음료배출관(P3b)으로부터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어 상기 음료전달관(P3c)을 통해 이동된다. 그리고, 물은 제2밸브(V2)에 연결된 외부배출관(P4)을 통해 바깥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음료탱크(83)의 잔수와, 상기 유로에 남은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모듈(100)을 통해 상기 음료탱크(83)에 물을 다시 채우고, 채워진 물을 앞선 과정을 통해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음료탱크(83)를 세척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beverage tank 83 and the flow path may be washed using the flow path pump 103, the first valve V1 and the second valve V2.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the main supply pipe (P2a), and the beverage injection pipe (P3a) are blocked by the first valve (V1), respectively, and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by the second valve (V2). ) is blocked. In this state, when the beverage tank 83 operates, the water stored in the beverage tank 83 is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discharge pipe P3b and moved through the beverage delivery pipe P3c. Also, the water may be discharged outward through the external discharge pipe P4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V2.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residual water of the beverage tank 83 and the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flow path. In addition, the beverage tank 83 may be wash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refilling the beverage tank 83 with water through the flow path module 100 and discharging the filled water through the previous process.

다음으로, 사료가 취출되는 과정을 보면, 제1사료저장실(C2a)에 저장된 사료(습식사료인 간식 등)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저장된 사료(건사료)는 서로 독립적으로 취출될 수 있다. 먼저 제1사료저장실(C2a)의 사료가 취출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제1취출모터(M1)가 회전하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제1피더(140)가 회전하면서 사료를 전방으로 이송시킨다. Next, looking at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feed, the feed (wet food snack, etc.) stored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feed (dry feed) stor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re taken ou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can be. First, looking at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feed from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when the first take-out motor M1 rotates, the first feeder 140 of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rotates to remove the feed. transport forward.

이때, 상기 제1피더(140)의 상기 제1후방푸셔(143)는 사료의 교반 및 빠른 이송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제1전방푸셔(145)로 사료를 전달한다. 전달된 사료는 상기 제1전방푸셔(145)의 날개들 사이로 투입되는데, 상기 날개들 사이의 제한된 피치 안에서 사료는 일정한 양씩 나뉘게 된다. 이렇게 정밀하게 구분된 사료들은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에 전달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는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의 제1정량취출구(134a)로 사료를 취출한다. At this time, the first rear pusher 143 of the first feeder 140 is in charge of stirring and fast feeding functions of the feed, and delivers the feed to the first front pusher 145. The conveyed feed is injected between the blades of the first front pusher 145, and the feed is divided by a certain amount within a limited pitch between the blades. These precisely classified feeds are delivered to the first discharge regulator 147 . Finally, the first ejection regulator 147 ejects the feed through the first quantitative ejection port 134a of the first ejection guide 134 .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에서 취출된 사료는 상기 사료덕트(123)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에 담긴다. 그리고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의한 건사료의 공급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eed taken out from the first feed supply module 130 moves downward along the feed duct 123 and is contained in the bowl 177 of the tray unit 170 . Also, dry feed may be supplied by the second feed supply module 150 in the same manner.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울(177)들은 다수개로 구성되므로, 각 보울(177)에 서로 다른 사료나 음료를 담기 위해서는 상기 트레이부(170)의 회전이 필요하다. 상기 트레이부(170)가 회전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회전모듈(180)의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가 회전하면,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에 맞물리는 제1구동기어(183a)와, 상기 제2구동기어(183b)가 맞물려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기어(183b)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메인회전기어(185)와 맞물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를 회전시킨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owls 177 are composed of a plurality, rotation of the tray unit 170 is required to put different food or drinks in each bowl 177 . Looking at the process of rotating the tray unit 170, when the tray rotation motor 181 of the rotation module 180 rotates, the first drive gear 183a meshed with the tray rotation motor 181; The second driving gear 183b is engaged and rotates. Also, the second drive gear 183b engages with the main rotation gear 185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otation tray 175 to rotate the main rotation gear 185 .

상기 메인회전기어(185)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트레이(175)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보울(177)들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6의 상태에서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270도 회전하면 도 37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회전각도는 상기 회전감지센서(188)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회전을 통해서 상기 각 보울(177)들에 사료와 음료가 각각 담길 수 있다. When the main rotation gear 185 rotates, the rotation tray 175 also rotates, and the positions of the bowls 177 change. For example, when the rotation tray 175 rotates 270 degrees in the state shown in FIG. 36, the state shown in FIG. 37 is obtained. At this time,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tray 175 may be detected by the rotation sensor 188 and controll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tray 175, feed and beverage may be contained in each of the bowls 177, respectively.

상기 보울(177)들에 사료와 음료가 담긴 후에는, 상기 트레이부(170)가 인출되어 반려동물에게 사료와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인출과정을 보면,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을 구성하는 인출모터(191)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축(193)을 회전시킨다. 상기 스크류축(193)이 회전되면, 상기 스크류축(193)을 따라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직선이동하게 된다. After food and beverages are contained in the bowls 177, the tray unit 170 can be withdrawn to provide food and beverages to companion animals. Looking at this tray withdrawal process, the pull-out motor 191 constituting the tray withdrawal module 190 rotates the screw shaft 193 while rotating. When the screw shaft 193 is rotated, the take-out bracket 179 linearly moves along the screw shaft 193.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를 통해 상기 트레이부(170)의 트레이도어(171)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브라켓(179)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트레이부(17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부(17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보울(177)들도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43 내지 도 45를 보면, 상기 트레이부(170)를 구성하는 트레이도어(171), 트레이가이드(173), 회전트레이(175) 및 보울(177)들이 전방(화살표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장 앞쪽까지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195)에 닿게 되고 동작을 멈추게 된다. The withdrawal bracket 179 is connected to the tray door 171 of the tray unit 170 through the guide bridge 179b. Therefor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withdrawal bracket 179, the tray unit 170 also moves together. When the tray unit 170 moves forward, the bowls 177 of the rotating tray 175 may also be drawn forward together. 43 to 45, the tray door 171, the tray guide 173, the rotating tray 175, and the bowl 177 constituting the tray unit 170 gradually move fo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an see At this time, when the withdrawal bracket 179 moves to the front of the supply station 17,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195 and stops its operation.

도 46을 보면, 상기 각 보울(177)들이 서로 멀어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에는 분리레일(R)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가이드(176)들은 상기 분리레일(R)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분리레일(R)은 세 갈래를 형성하고, 각각의 분리레일(R)에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6, the respective bowls 177 are shown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rotation tray 175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rail R, and the bowl guides 176 may move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along the separation rail R. 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ion rail (R) forms three prongs, and bearings may be installed in each separation rail (R).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분리레일(R)은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고정된 레일고정부와, 상기 레일고정부에 결합되는 인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레일은 상기 레일고정부를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분리레일(R)의 전체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울가이드(176)는 상기 인출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인출레일과 함께 상기 레일고정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eparation rail R may include a rail fixing part fixed to the rotating tray 175 and a take-out rail coupled to the rail fixing part. The take-out rail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total length of the separation rail R while linearly moving along the rail fixing part. At this time, the bowl guide 176 is coupled to the take-out rail and can move along the rail fixing part together with the take-out rail.

사용자가 상기 보울가이드(176)들을 상기 분리레일(R)을 따라 이동시키면, 각각의 보울(177)들이 서로 멀어져 도 46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처럼 각 보울(177)들이 서로 멀어지면,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들이 서로 간섭 없이 각 보울(177)에 담긴 사료나 음료를 먹을 수 있다. 반려동물들이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 사용자가 상기 보울(177)들을 다시 가까워지도록 원위치시키고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이 작동하면, 상기 트레이부(170)가 다시 상기 취출실(C3)로 수납될 수 있다. When the user moves the bowl guides 176 along the separation rail R, the respective bowls 177 move away from each other, resulting in a state as shown in FIG. 46 . As such, when the bowls 177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everal companion animals can eat food or drinks contained in each bowl 177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fter the companion animals consume food, when the user puts the bowls 177 back to their original position and the tray take-out module 190 operates, the tray unit 170 is stored in the take-out room C3 again. ca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아웃케이스 17: 공급스테이션
17a: 가이드홀 20: 케이스커버
30: 이너케이스 31: 이너상면부
32: 이너후면부 33: 이너측면부
35: 이너저면부 41: 냉각홀
41a: 냉각플랜지 43: 유로설치구
44: 탱크가이드레일 45a: 제1연통로
45b: 제2연통로 46a: 제1회수구
46b: 제2회수구 47a: 제1사료공급로
47b; 제2사료공급로 48,49: 모듈가이드레일
51: 유로통과부 60: 냉각부
61: 히트싱크 65: 열전소자
67: 콜드싱크 68: 냉각그릴
70: 회수덕트 71: 메인회수관
72: 덕트배출부 73: 제1덕트흡입부
75: 제2덕트흡입부 76: 압력모듈
77: 공기흡입구 78: 공기배출구
80: 음료부 81: 음료도어
83: 음료탱크 86: 탱크브라켓
87: 음료커넥터 88: 수위센서
100: 유로모듈 101: 정수필터
103: 유로펌프 120: 사료부
121: 사료도어 123: 사료덕트
124: 제1취출부 125: 상부연결관
126: 제2취출부 127: 트레이배출관
128: 배출가이드 128a: 가이드경사면
130: 제1사료공급모듈 131: 제1사료케이스
132: 제1투입구 134: 제1취출가이드
135: 제1사료플레이트 140: 제1피더
141: 제1모터연결부 143: 제1전방푸셔
145: 제1후방푸셔 147: 제1취출레귤레이터
150: 제2사료공급모듈 151: 제2사료케이스
152: 제2투입구 154: 제2취출가이드
155: 제2사료플레이트 160: 제2피더
161: 제2모터연결부 163: 제2전방푸셔
165: 제2후방푸셔 167: 제2취출레귤레이터
170: 트레이부 171: 트레이도어
173: 트레이가이드 175: 회전트레이
177: 보울 178: 누름돌기
179: 인출브라켓 180: 회전모듈
181: 트레이회전모터 183: 구동기어
185: 메인회전기어 190: 트레이인출모듈
191: 인출모터 193: 스크류축
BM: 진동모듈 C1: 음료저장실
C2a: 제1사료저장실 C2b: 제2사료저장실
C3: 취출실 D1: 제1댐퍼
D2: 제2댐퍼 L: 조사부
P1: 외부연결관 P2a: 메인공급관
P2b: 직수공급관 P2c: 직수배출노즐
P3a:음료주입관 P3b: 음료배출관
P3c: 음료전달관 P3d: 트레이배출노즐
P4: 외부배출관 V1: 제1밸브
V2: 제2밸브 W1: 제1단열벽
W2: 제1단열벽 W3: 제3단열벽
10: Outcase 17: Feed station
17a: guide hole 20: case cover
30: inner case 31: inner upper surface
32: Inner rear part 33: Inner side part
35: inner bottom part 41: cooling hole
41a: cooling flange 43: passage installation hole
44: tank guide rail 45a: first communication passage
45b: second communication path 46a: first recovery port
46b: second recovery port 47a: first feed supply path
47b; Second feed supply route 48, 49: module guide rail
51: flow passage part 60: cooling part
61: heat sink 65: thermoelectric element
67: cold sink 68: cooling grill
70: recovery duct 71: main recovery pipe
72: duct discharge unit 73: first duct intake unit
75: second duct intake 76: pressure module
77: air inlet 78: air outlet
80: beverage unit 81: beverage door
83: beverage tank 86: tank bracket
87: beverage connector 88: water level sensor
100: Euro module 101: Water filter
103: flow pump 120: feed part
121: feed door 123: feed duct
124: first take-out 125: upper connection pipe
126: second take-out part 127: tray discharge pipe
128: discharge guide 128a: guide slope
130: first feed supply module 131: first feed case
132: first inlet 134: first take-out guide
135: first feed plate 140: first feeder
141: first motor connection part 143: first front pusher
145: first rear pusher 147: first take-out regulator
150: second feed supply module 151: second feed case
152: second inlet 154: second take-out guide
155: second feed plate 160: second feeder
161: second motor connection part 163: second front pusher
165: second rear pusher 167: second take-out regulator
170: tray unit 171: tray door
173: tray guide 175: rotating tray
177: bowl 178: push protrusion
179: withdrawal bracket 180: rotation module
181: tray rotation motor 183: drive gear
185: main rotation gear 190: tray withdrawal module
191: take-out motor 193: screw shaft
BM: Vibration module C1: Beverage storage room
C2a: first feed storage room C2b: second feed storage room
C3: take-out room D1: first damper
D2: 2nd damper L: irradiation part
P1: External connection pipe P2a: Main supply pipe
P2b: Direct water supply pipe P2c: Direct water discharge nozzle
P3a: beverage injection pipe P3b: beverage discharge pipe
P3c: beverage delivery pipe P3d: tray discharge nozzle
P4: External discharge pipe V1: 1st valve
V2: second valve W1: first insulating wall
W2: first insulating wall W3: third insulating wall

Claims (25)

내부에 서로 구획된 음료저장실 및 사료저장실이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부;
상기 음료저장실에 배치되고, 내부에 음료를 보관하는 음료탱크가 구비되는 음료부;
상기 사료저장실에 배치되고, 사료를 보관 및 이송시키는 사료공급모듈이 구비되는 사료부;와
상기 음료부 및 상기 사료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로부터 입출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A case provided with a beverage storage room and a feed storage room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side;
a cooling unit disposed in the case and generating cool air;
a beverage unit disposed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provided with a beverage tank for storing beverages therein;
A feed unit disposed in the feed storage room and provided with a feed supply module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feed; and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comprising a tray unit disposed below the beverage unit and the feed unit and moved in and out of the case.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아웃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음료저장실 및 상기 사료저장실이 구비된 이너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아웃케이스와 상기 이너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e
out case; and
An inner case disposed inside the outer case and provided with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therein,
The cool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음료저장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음료저장실의 내부로 냉기를 토출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the cooling unit is disposed behind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cooling unit discharges cold air in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료저장실과 상기 사료저장실의 사이에는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에는 상기 연통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댐퍼부가 구비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 wherein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a damper unit for blocking or opening the communication path is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path.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실은
상기 댐퍼부를 구성하는 제1댐퍼에 의해 상기 음료저장실과 연결되고, 제1사료공급모듈이 수납되는 제1사료저장실;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댐퍼부를 구성하는 제2댐퍼에 의해 상기 제1사료저장실과 연결되며, 제2사료공급모듈이 수납되는 제2사료저장실;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eed storage room
A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onnected 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by a first damper constituting the damper unit and accommodating a first feed supply module; and
Food for companion animals including a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disposed under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onnected to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by a second damper constituting the damper unit, and storing a second feed supply module. suppl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에는 상기 음료저장실과 상기 사료저장실 사이를 구획하는 제1단열벽이 배치되고, 상기 제1단열벽에는 상기 댐퍼부를 구성하는 제1댐퍼가 구비되며, 상기 제1댐퍼는 상기 음료저장실과 상기 사료저장실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first insulating wall partitioning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is disposed in the inner case, and a first damper constituting the damper unit is provided on the first insulation wall, and the first damper Is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that connects or blocks the beverage storage room and the feed storage roo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모듈과 상기 트레이부 사이를 연결하는 사료덕트의 배출구와, 상기 음료탱크와 상기 트레이부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모듈의 배출구는 상기 트레이부를 향해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let of the feed duct connecting between the feed supply module and the tray part and the outlet of the flow path module connecting between the beverage tank and the tray part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toward the tray part. food feeder f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는
상기 음료저장실과 상기 사료저장실 사이에 구비되는 제1단열벽;
상기 사료저장실에 구비되고, 상기 사료저장실을 상부의 제1사료저장실과 하부의 제2사료저장실로 구획하는 제2단열벽;과
상기 트레이부가 배치된 취출실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취출실을 상기 음료저장실 및 상기 사료저장실과 구획하는 제3단열벽;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nner case
a first insulating wall provided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 second insulating wall provided in the feed storage room and partitioning the feed storage room into a first feed storage room at the top and a second feed storage room at the bottom; and
and a third insulating wall provided above the take-out room where the tray unit is disposed and partitioning the take-out room from the beverage storage room and the feed storage room.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실과 상기 음료저장실은 상기 제1단열벽을 기준으로 좌우에 배치되고, 상기 취출실은 상기 사료저장실의 하부와 상기 음료저장실의 하부에서 서로 연결된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ood storage room and the beverage storage room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insulating wall, and the take-out room is formed as one spac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 storage room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storage room. Feeder for animal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에는 회전되는 댐핑블레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댐핑블레이드는 회전하여 상기 연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4, wherein the damper unit is provided with a rotating damping blade, and the damping blade rotates to open or block the communication passag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음료저장실과 상기 사료저장실 사이의 제1단열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1단열벽에 형성된 제1연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1사료저장실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 사이의 제2단열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2단열벽에 형성된 제2연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상기 제2댐퍼;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amper unit
The first damper disposed on a first insulating wall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opening or blocking a first communication path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wall;
The second damper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wall between the first feed storage chamber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hamber and opening or blocking the second communication path formed in the second insulating wall; food supply for companion animals including Devi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2댐퍼는 제어부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damper and the second damper are independently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단열벽과 상기 제3단열벽에는 상기 사료부에서 취출되는 사료가 통과하는 제1사료공급로 및 제2사료공급로가 각각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8, wherein a first feed supply path and a second feed supply path through which the feed taken out from the feed unit passes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on wall and the third insulation wall.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사료공급로는 상기 댐퍼부를 구성하는 제2댐퍼 보다 상기 사료저장실의 입구에 가깝게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feed supply path is disposed closer to the entrance of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than the second damper constituting the damper uni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열벽에는 상기 음료부의 유로모듈이 통과하는 유로통과부가 개구되고, 상기 유로통과부는 상기 제3단열벽에 형성된 제2사료공급로에 연결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8, wherein the passage passage through which the passage module of the beverage section passes is opened in the first insulating wall, and the passage passage is connected to the second feed supply passage formed in the third insulating wall.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음료저장실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통로와, 상기 제1사료저장실의 공기가 회수덕트로 회수되는 제1회수구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의 서로 다른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connecting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irst recovery port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is returned to the recovery duc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formed in each.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로는 상기 제1회수구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recovery por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면과 접하고, 상기 아웃케이스의 바깥쪽을 향해 배치되는 히트싱크;와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면과 접하고, 상기 음료저장실을 향해 배치되는 콜드싱크;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oling unit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sink in contact with the he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comprising: a cold sink in contact with the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disposed toward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콜드싱크는 아웃케이스와 이너케이스의 사이의 단열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아웃케이스와 케이스커버 사이의 방열공간에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8, where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cold sink are disposed in an insulating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and the heat sink is disposed in a heat dissipation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case cover.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에는 상기 열전소자 및 상기 콜드싱크를 감싸는 냉각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플랜지에는 회수덕트의 덕트배출부가 연결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9, wherein the inner case is provided with a cooling flange surround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cold sink, and a duct outlet of a recovery duct is connected to the cooling flang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웃케이스와 상기 이너케이스의 사이에는 회수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회수덕트는 상기 사료저장실과 상기 냉각부를 향해 각각 개구되어 상기 사료저장실과 상기 냉각부를 연결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recovery duct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and the recovery duct opens towar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cooling unit, respectively, to supply food for companion animals connecting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cooling unit. Device.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회수덕트는
상기 사료저장실 중 제1사료저장실를 향해 개구되는 제1덕트흡입부;
상기 사료저장실 중 제2사료저장실를 향해 개구되는 제2덕트흡입부;와
상기 제1덕트흡입부 및 상기 제2덕트흡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냉각부를 향해 개구되는 덕트배출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recovery duct
a first duct suction part opening toward a first feed storage room among the feed storage rooms;
A second duct suction part opening toward a second feed storage room among the feed storage rooms; and
A companion animal food supply device comprising: a duct discharg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duct suction part and the second duct suction part and opening toward the cooling par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음료저장실, 상기 제1사료저장실 및 상기 제2사료저장실에는 각각 온도센서가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5, wherein temperature sensors are disposed in each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아웃케이스;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구획된 음료저장실, 사료저장실 및 취출실이 내부에 구비된 이너케이스;
상기 아웃케이스와 상기 이너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부;
상기 음료저장실에 배치되고, 유로모듈의 음료배출구를 통해 상기 취출실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부;
상기 사료저장실에 배치되고, 내부에 사료를 보관하는 사료공급모듈이 구비되며, 배출덕트의 덕트노즐을 통해 상기 취출실로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부;와
상기 취출실에 배치되고, 상기 음료배출구 및 상기 사료배출구와 연결되는 보울이 구비되며, 상기 아웃케이스로부터 입출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out case;
an inner case disposed inside the outer case and provided with a beverage storage room, a feed storage room, and a take-out room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erein;
a cool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and generating cool air;
a beverage unit disposed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supplying beverage to the extraction chamber through the beverage outlet of the flow path module;
A feed unit disposed in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having a feed supply module for storing feed therein, and supplying feed to the take-out chamber through a duct nozzle of a discharge duct;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comprising: a bowl disposed in the take-out chamber, provided with a bowl connected to the beverage outlet and the feed outlet, and a tray unit that is moved in and out of the outer case.
아웃케이스;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구획된 음료저장실 및 사료저장실이 구비된 이너케이스;
상기 아웃케이스와 상기 이너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부;
상기 음료저장실과 상기 사료저장실의 사이의 연통로에 구비되고, 상기 연통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댐퍼부;
상기 음료저장실에 배치되고, 내부에 음료를 보관하는 음료탱크가 구비되는 음료부;와
상기 사료저장실에 배치되고, 사료를 보관 및 이송시키는 사료공급모듈이 구비되는 사료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out case;
an inner case disposed inside the outer case and provided with a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a feed storage compartment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 cool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and generating cool air;
a damper unit provided in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blocking or opening the communication path;
A beverage unit disposed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having a beverage tank for storing beverages therein; and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including a feed unit disposed in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provided with a feed supply module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feed.
KR1020210143086A 2021-10-25 2021-10-25 Pet Feeding Device Active KR1027302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086A KR102730238B1 (en) 2021-10-25 2021-10-25 Pet Fee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086A KR102730238B1 (en) 2021-10-25 2021-10-25 Pet Feed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059A true KR20230059059A (en) 2023-05-03
KR102730238B1 KR102730238B1 (en) 2024-11-15

Family

ID=8638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086A Active KR102730238B1 (en) 2021-10-25 2021-10-25 Pet Feed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02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16420A (en) * 2023-10-08 2023-11-10 山东恒基农牧机械有限公司 Trough with intelligence feeds and eats and clear up functio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6766B1 (en) 2001-03-29 2004-07-27 Lawrence T. Elliott Pet care center with refrigerated automatic feeder
US7578261B2 (en) 2005-11-30 2009-08-25 Bergan, Llc Pet water or food storage unit with stowable bowl
KR101321953B1 (en) 2012-09-26 2013-10-28 박두환 Automatic feeder of meal and snack for pets
KR101357504B1 (en) 2012-12-21 2014-02-13 김미진 Feeder of feed for pet
KR101386136B1 (en) * 2012-06-25 2014-04-16 주식회사 이모스 Air handling system for livestock shed
KR101455193B1 (en) * 2013-05-16 2014-11-03 김정배 Feeding device for animal
KR101758277B1 (en) * 2015-06-04 2017-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er
KR20200079185A (en) * 2018-12-24 2020-07-02 박수현 Feeding apparatus for pet and feeding method for pet using therewith
KR20210101079A (en) * 2020-02-07 2021-08-18 민병현 Feed automatic feede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6766B1 (en) 2001-03-29 2004-07-27 Lawrence T. Elliott Pet care center with refrigerated automatic feeder
US7578261B2 (en) 2005-11-30 2009-08-25 Bergan, Llc Pet water or food storage unit with stowable bowl
KR101386136B1 (en) * 2012-06-25 2014-04-16 주식회사 이모스 Air handling system for livestock shed
KR101321953B1 (en) 2012-09-26 2013-10-28 박두환 Automatic feeder of meal and snack for pets
KR101357504B1 (en) 2012-12-21 2014-02-13 김미진 Feeder of feed for pet
KR101455193B1 (en) * 2013-05-16 2014-11-03 김정배 Feeding device for animal
KR101758277B1 (en) * 2015-06-04 2017-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er
KR20200079185A (en) * 2018-12-24 2020-07-02 박수현 Feeding apparatus for pet and feeding method for pet using therewith
KR20210101079A (en) * 2020-02-07 2021-08-18 민병현 Feed automatic fee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16420A (en) * 2023-10-08 2023-11-10 山东恒基农牧机械有限公司 Trough with intelligence feeds and eats and clear up function
CN117016420B (en) * 2023-10-08 2023-12-08 山东恒基农牧机械有限公司 Trough with intelligence feeds and eats and clear up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30238B1 (en) 2024-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30239B1 (en) Pet Feeding Device
KR20230059059A (en) Pet Feeding Device
CN111609652B (en) Entrance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KR20230059067A (en) Pet Feeding Device with pressure module
KR20230058804A (en) Pet Feeding Device
KR20230059069A (en) Pet Feeding Device with sliding door
KR102829393B1 (en) Pet Feeding Device
KR20230059062A (en) Pet Feeding Device
KR20230059068A (en) Pet Feeding Device with supply station
KR20230059065A (en) Pet Feeding Device
KR102829399B1 (en) Pet Feeding Device
KR102698969B1 (en) Pet Feeding Device
KR20230059061A (en) Pet Drink Dispenser
KR102868112B1 (en) Food conveyor
KR102743083B1 (en) Pet Feed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102743085B1 (en) Pet feed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20230059058A (en) Food conveyor and pet feeding device having this
EP3699527B1 (en) Entrance refrigerator
EP3699526B1 (en) Entrance refrigerator
KR20230059066A (en) Food conveyor and pet feeding device having this
KR102743081B1 (en) Pet Feeding Device
KR20230059047A (en) Pet Feeding Device
CN115930517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20230058859A (en) Pet Feed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861390B1 (en)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