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060A - Pet Feeding Device - Google Patents
Pet Feed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59060A KR20230059060A KR1020210143087A KR20210143087A KR20230059060A KR 20230059060 A KR20230059060 A KR 20230059060A KR 1020210143087 A KR1020210143087 A KR 1020210143087A KR 20210143087 A KR20210143087 A KR 20210143087A KR 20230059060 A KR20230059060 A KR 202300590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ed
- tray
- unit
- storage compartment
- bever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A01K7/027—Drinking equipment with water heaters, coolers or means for preventing freez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사료, 간식 및 음료 등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upplying food, snacks, beverages, and the like to companion animals.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은 주로 실내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동물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반려동물을 건강하게 사육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에게 정량의 사료나 간식 또는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들이 있다. In general, a companion animal refers to an animal that mainly lives with people indoors, and various devices for breeding such companion animals in a healthy way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there are devices for supplying a fixed amount of feed, snacks, or beverages to companion animals.
최근에는 사료나 음료 등을 보관하였다가 반려동물에게 제공하기 위한 음식물 공급장치들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10-1321953(선행문헌1)에는 사료와 간식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미국 등록특허 US 7,578,261 B2(선행문헌1)에는 물 또는 사료를 저장하였다가 공급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Recently, food supply devices for storing food or beverages and providing them to companion animals have also been developed. For example,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21953 (Prior Document 1) discloses a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feed and snacks, and US Patent Registered Patent US 7,578,261 B2 (Prior Document 1) stores and supplies water or feed. A device is disclosed.
그런데, 위 선행기술들은 사료, 간식 또는 물을 하나의 트레이에 담아 공급하기 때문에, 반려동물에게 사료, 간식 또는 물을 서로 다른 트레이에 담아 함께 공급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위 선행문헌들은 사료나 물이 하나의 트레이에 담기므로,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들에게 동시에 사료나 물을 공급할 수도 없다. However, since the above prior art supplies food, snacks, or water in one tray, there is a limitation in not being able to supply food, snacks, or water to companion animals together in different trays. In addition, since the above prior literature contains food or water in one tray, it is impossible to simultaneously supply food or water to several companion animals.
한편, 한국 등록특허 10-1455193(선행문헌3)에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사료공급부(그릇)에 각각 사료를 담아 두 마리의 반려동물에게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위 선행기술에 따르면, 회전공급부의 구획공간들에 사료가 담기고, 구획공간들에 담긴 사료는 서로 독립된 사료배출구를 통해 사료공급부들에 공급된다. On the other hand,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55193 (Prior Document 3) discloses a technology that can supply feed to two companion animals at the same time by putting feed in two different feed supply units (bowl). According to the above prior art, feed is contained in the compartments of the rotating supply unit, and the feed contained in the compartments is supplied to the feed supply units through feed outlets independent of each other.
이처럼 선행문헌3에 의하면 두 마리의 반려동물에게 사료를 공급할 수 있지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사료배출구들이 다수개로 구분되어 내부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사료공급부들이 인출되는 방향도 서로 달라 사료 공급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지는 문제가 있다. As such, according to Prior Document 3, it is possible to supply feed to two companion animals,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nternal structure is complicated because the feed outlets for supplying feed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eed supply units are withdraw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feed supply device is widened.
그리고, 복수의 사료공급부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공급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면, 배출된 사료공급부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들이 동시에 음식을 섭취하기 어렵다. 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feed supply units are moved in one direction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pply device, it is difficult for several companion animals to simultaneously consume food due to a narrow gap between the discharged feed supply units.
또한, 위 선행기술들은 사료 또는 물을 저장하였다가 둘 중 어느 하나만을 공급(선행문헌2)하기 때문에 반려동물에게 사료와 물을 동시에 공급하지 못하고, 사료와 물을 동시에 공급하더라도 이들을 서로 독립된 식기인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에 각각 담아 제공(선행문헌3)하므로 내부구조가 매우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In addition, since the above prior art stores food or water and then supplies only one of them (Prior Document 2), it is impossible to supply food and water to companion animals at the same time, and even if food and water are supplied simultaneously, they are independent tableware. Since the feed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are provided separately (Prior Document 3), the internal structure is inevitably very complicated.
또한, 위 선행기술들은 단순히 사료 또는 물을 저장하였다가 제공하는데 그치므로, 물과 사료를 각각 적정한 온도로 보관하였다가 반려동물에게 공급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고, 물과 사료의 선선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bove prior art simply stores and provides feed or water, it does not provide a function to store water and fe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then supply them to companion animals, and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water and feed. There are also difficult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장치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복수의 보울들에 각각 사료, 간식 또는 물이 담긴 후에, 복수의 보울들이 외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fter each of the plurality of bowls rotating inside the supply device contains feed, snacks or water, the plurality of bowl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to make it mo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료, 간식 또는 물이 담긴 복수의 보울들이 공급장치의 외부로 이동할 때 한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plurality of bowls containing food, snacks or water to move together in one direction when moving out of the feed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장치의 외부로 배출된 복수의 보울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각 보울들 사이의 간격이 충분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bowls by moving a plurality of bowl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pply devic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보울에 사료, 간식 또는 물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supply any one of feed, snack or water in one bow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료, 간식 및 물이 적정한 온도로 보관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food, snacks and water are stor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료부의 하부에 트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부는 케이스의 내외부로 입출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에는 사료부에서 배출된 사료를 수납하는 복수개의 보울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는 트레이회전모듈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부가 회전하면 상기 복수개의 보울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료부의 공급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각각 사료가 담긴 복수의 보울들이 반려동물에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은 여러 종류의 사료(또는 물)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고, 또는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들이 서로 다른 보울들에 사료를 각각 제공받을 수도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ray unit disposed under the feed unit, the tray unit may be moved in and out of the case. The tray un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owls for accommodating feed discharged from the feed unit. The tray unit may be rotated by a tray rotation module, and when the tray unit rotate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owls may be disposed under a supply pipe of the feed unit. Since a plurality of bowls each containing food can be provided to the companion animal, the companion animal can be provided with several types of food (or water) at the same time, or several companion animals can each feed the food in different bowls.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트레이부에는 상기 트레이회전모듈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트레이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보울들은 상기 회전트레이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보울들이 함께 회전하여 사료를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노즐 등)가 여러개로 구성되지 않더라도 복수개의 보울들에 각각 사료가 공급될 수 있다.Also, a rotation tray that rotates by the tray rotation module may be provided in the tray unit, and the plurality of bowls may be seated on top of the rotation tray. Therefore, since the plurality of bowls can be rotated together to receive feed, feed can be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owls even if the supply unit (nozzle, etc.) for feeding feed is not configured.
또한, 상기 트레이부에는 복수개의 분리레일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분리레일들을 따라 상기 복수개의 보울들이 각각 직선이동하면서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각 보울들 사이의 간격이 충분이 확보될 수 있고,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들은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으면서 쉽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paration rails may be provided in the tray unit. The plurality of bowls may be moved away from or closer to each other while linearly moving along the plurality of separation rails. In this way,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bowls can be secured, and several companion animals can easily consume food without invading each other's territory.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음료저장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료저장실에는 음료부가 배치되며, 상기 음료부는 상기 트레이부에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은 사료 뿐 아니라 음료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a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may be formed inside the case. A beverage unit is disposed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beverage unit may supply beverages to the tray unit. Accordingly, the companion animal may be provided with a drink as well as food.
또한, 상기 음료부에는 유로모듈이 연결되고, 상기 유로모듈의 배출노즐은 상기 사료부의 상기 공급관과 함께 상기 트레이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음식물 공급장치를 통해 사료와 음료를 모두 공급하더라도, 음식물의 공급 경로가 단순해질 수 있고, 복잡한 공급경로 구조가 생략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low path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beverage unit, and a discharge nozzle of the flow path module may open toward the tray unit together with the supply pipe of the feed unit. Therefore, even if both feed and beverage are supplied through a single food supply device, the food supply path can be simplified and a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supply path can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사료저장실 또는 음료저장실 내부로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료와 음료의 보관온도를 반려동물의 기호에 맞게 유지할 수 있고, 음료와 사료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다. A cooling un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The cooling unit may discharge cold air into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or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food and beverage can b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beverage and feed can be kept fresh.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트레이인출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인출모듈은 상기 트레이부를 상기 케이스의 내외부로 입출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tray withdrawal module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The train exit module may move the tray unit into and out of the case.
그리고, 상기 트레이부, 상기 트레이회전모듈 및 상기 트레이인출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취출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부에는 상기 취출실의 입구를 차폐하는 트레이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료와 음료가 담길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차폐된 공간에서 사료와 음료가 담기므로 위생성을 좋게 할 수 있다. The tray unit, the tray rotation module, and the tray take-out module may be disposed in a take-out chamber formed inside the case. At this time, a tray door for shielding an entrance of the take-out chamber may be provided in the tray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noise generated when feed and beverages are contained, and sanitation can be improved because feed and beverages are contained in a shielded space.
또한, 상기 트레이도어, 상기 트레이가이드 및 상기 회전트레이는 트레이인출모듈에 의해 함께 직선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울들이 공급장치의 바깥쪽으로 인출되는 경로는 한 방향으로 통일될 수 있고, 공급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y door, the tray guide, and the rotating tray may be linearly moved together by a tray take-out module. Accordingly, the path through which the bowls are drawn out of the feeding device can be unified in one direction,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feeding device can be reduced.
그리고, 상기 회전트레이와 마주보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트레이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회전트레이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각각의 보울들이 정확한 위치에서 사료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A posi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tray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 facing the rotation tray. The position detecting unit detects the rotational angle of the rotating tray, so that each bowl can receive feed or water at an accurate position.
또한, 상기 사료저장실은 제1사료저장실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사료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사료저장실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은 사료덕트에 의해 서로 연결된 하나의 사료공급경로를 공유할 수 있다. 이처럼 통합된 경로로 음식물들이 공급되므로, 음식물 공급경로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may include a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a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disposed below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t this time,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may share one feed supply path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eed duct. Since food is supplied through the integrated path, the structure of the food supply path can be simplified.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seen above, the companion animal food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 복수의 보울들은 공급장치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고, 복수의 보울들이 회전하면서 각각의 보울들에는 사료가 담길 수 있다. 복수의 보울들은 사료를 담은 상태로 외부로 이동되어 반려동물이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각각 사료가 담긴 복수의 보울들이 반려동물에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은 여러 종류의 사료(또는 물)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고, 또는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들이 서로 다른 보울들에 사료를 각각 제공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owls may rotate inside the supply device, and while the plurality of bowls rotate, feed may be contained in each of the bowls. The plurality of bowls are moved outside in a state of containing feed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can consume the food. Since a plurality of bowls each containing food can be provided to the companion animal, the companion animal can be provided with several types of food (or water) at the same time, or several companion animals can each feed the food in different bowls. may be provided. Therefore, convenience of use of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may be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보울들이 회전하면서 순차적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노즐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보울들이 회전하여 사료를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노즐 등)가 여러개로 구성되지 않더라도 복수개의 보울들에 각각 사료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내부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owls may be disposed under a nozzle that sequentially supplies feed while rotating. Since the plurality of bowls can be rotated to receive feed, feed can be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owls even if a plurality of feed units (nozzles, etc.) for feeding feed are not configured. Accordingl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can be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에서 복수의 보울들은 하나의 회전트레이 위에 안착되어 함께 회전되고 이동될 수 있다. 복수의 보울들이 하나의 회전트레이를 따라 공급장치의 전방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으므로, 보울들이 공급장치의 바깥쪽으로 인출되는 경로는 한 방향으로 통일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보울들이 각각 여러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에 비하여 공급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 수 있고, 공급장치의 설치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owls can be seated on one rotating tray and rotated and moved together. Since a plurality of bowls can move together toward the front of the feeding device along one rotating tray, the path through which the bowls are drawn out of the feeding device can be unified in one direction. Therefore, the space occupied by the supply device can be reduced and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of the supply device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bowls are discharged in various directions.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보울들이 일단 한 방향으로 함께 배출된 후에는 각 보울들이 분리레일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각 보울들 사이의 간격이 충분이 확보될 수 있고,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들은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으면서 쉽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plurality of bowls are once discharged together in one direction, the respective bowls may sprea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long the separation rail. In this way,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bowls can be secured, and several companion animals can easily consume food without invading each other's territory.
또한, 본 발명에는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부와 별개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보울들에는 사료부에서 공급된 사료와, 음료부에서 공급된 물 등 음료가 각각 담길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은 사료와 함께 음료도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고, 사용자는 반려동물을 위해 사료와 음료를 따로 준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beverage unit for supplying beverages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eed unit for supplying feed. The plurality of bowls may each contain feed supplied from the feed unit and beverages such as water supplied from the beverage unit. Therefore, the companion animal can be supplied with food and beverage at the same time, and the user does not have to separately prepare food and drink for the companion animal, so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특히, 본 발명의 사료부는 서로 독립된 제1사료저장실과 제2사료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고, 두 개의 사료저장실은 서로 다른 음식물, 예를 들어 건사료와 습식사료를 보관 및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은 사료와 함께 간식 등도 함께 섭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eed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a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the two feed storage compartments may store and supply different foods, for example, dry feed and wet feed. Therefore, companion animals can consume snacks and the like together with food.
또한, 본 발명에는 냉각부가 구비될 수 있고, 냉각부는 음료와 사료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료와 음료의 보관온도를 반려동물의 기호에 맞게 유지할 수 있고, 음료와 사료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cool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oling unit may maintain beverages and feeds at appropriate temperatures. Therefore,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food and beverage can b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beverage and feed can be kept fresh.
그리고, 제1사료저장실의 배출부와 제2사료저장실의 배출부는 사료덕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사료덕트는 두 개의 사료저장실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하나의 경로로 통합하여 보울들에 공급할 수 있다. 이처럼 통합된 경로로 음식물들이 공급되므로, 음식물 공급경로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discharge unit of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eed duct, and the feed duct integrates food discharged from the two feed storage compartments into one path and supplies it to the bowls. Since food is supplied through the integrated path, the structure of the food supply path can be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의 음료부에 연결된 음료노즐도 사료덕트에 연결되어, 음료 또한 사료의 공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음식물 공급장치를 통해 사료와 음료를 모두 공급하더라도, 음식물의 공급 경로가 단순해질 수 있고, 복잡한 공급경로 구조로 인해 조립성과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verage nozzle connected to the beverag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onnected to the feed duct, so that the beverage can also be suppli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eed supply direction. Therefore, even if both feed and beverage are supplied through one food supply device, the food supply path can be simplifi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in assembly quality and durability due to a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supply path.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취출실 안에서 사료와 음료가 보울들에 담길 수 있다. 따라서 사료와 음료가 담길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차폐된 공간에서 사료와 음료가 담기므로 위생성도 향상될 수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feed and beverages can be put in the bowls in the take-out chamber provided inside the ca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noise generated when feed and beverages are contained, and sanitation can be improved because feed and beverages are contained in a shielded spa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먼저 취출실 안에서 사료와 음료가 보울들에 담긴 후에 보울들이 외부로 나와 반려동물들에게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사료나 음료가 모두 공급되기 전에, 반려동물이 공급노즐을 핥거나 외력을 가하는 행동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ood and beverages are first contained in the bowls in the take-out room, the bowls can be brought out and supplied to companion anima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mpanion animal from licking the supply nozzle or applying external force before all food or drink is suppli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와 사료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도 8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냉각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XI-X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케이스커버를 제거하고, 냉각부 및 회수덕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압력모듈이 이너케이스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XXXIV-XXXIV'선에 대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와, 음료부의 하부에 배치된 트레이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의 측면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8은 도 1의 XVIII-XV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9는 도 1의 XIX-XIX'선에 대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부에 사료덕트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에 결합되는 사료덕트의 상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에 결합되는 사료덕트의 하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사료덕트를 구성하는 사료배출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6은 도 22에 도시된 사료덕트를 구성하는 사료배출관의 구조를 도 25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7은 도 20의 XXVII-XX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28은 도 1의 XXVIII-XXV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이 이너케이스에 구비된 회전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부품 중에서 스크류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부품 중에서 제1피더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부품 중에서 제1피더의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부품 중에서 제1피더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의 구조를 보인 저면도.
도 36 내지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에 의해 회전트레이가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9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로부터 회전트레이 및 보울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0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로부터 트레이부가 인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1은 도 40의 XLI-XLI'선에 대한 단면도.
도 42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3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인출모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4 내지 도 46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각각 보인 측면도.
도 4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에 안착된 보울들이 서로 벌어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에 안착된 보울들이 서로 벌어진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분리모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보울을 제거하고 분리모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위치 감지부의 구조를 회전트레이의 아래쪽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5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위치 감지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위치 감지부의 다른 예를 회전트레이의 아래쪽에서 바라본 저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nen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and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unit and a feed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ner cas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case constituting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ner cas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cas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ure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ling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I-XI' of Fig. 1;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ling unit and a recovery duct after removing a case cov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ure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n inner case.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XIV-XXXIV' in FIG. 1;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par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companion animal food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drawn from the outer cas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ray unit disposed under the beverage unit.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structure of a beverag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VIII-XVIII' in Fig. 1;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IX-XIX' of Fig. 1;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ed par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companion animal food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drawn from the outer case.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ed duct is coupled to the feed unit of the companion animal food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eed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feed duct coupled to the feed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feed duct coupled to the feed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eed discharge pipe constituting the feed duct shown in Figure 22;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eed discharge pipe constituting the feed duct shown in FIG. 22 from a different angle from that of FIG. 25;
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XVII-XXVII' in Fig. 20;
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XVIII-XXVIII' in Fig. 1;
2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eed supply module constituting a feed unit of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ed supply module constituting the feed unit of the companion animal food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rotation unit provided in the inner case.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crew part among parts of a feed supply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st feeder among parts of a feed supply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a first feeder among parts of a feed supply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a first feeder among parts of a feed supply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ray rotation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to 38 are plan views showing states in which rotation trays are rotated at different angles by the tray rotation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rotation trays and bowls are separated from the tray rotation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 part is withdrawn from one embodiment of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1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LI-XLI' of Fig. 40;
4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drawn forward;
4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ray withdrawal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4 to 46 are side views sequentially showing how the tray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forward from the outer case, respectively.
4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wls seated on a tray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pread apart from each other.
4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wls seated on a tray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pread apart from each other.
4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paration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paration module after removing the bowl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1 is a bottom view of the structure of a position sens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bottom of a rotating tray;
5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osition sens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3 is a bottom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position sens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of a rotating tray;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이하 "음식물 공급장치"라 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공급장치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복수개의 보울들에 음료와 사료가 각각 담길 수 있고, 보울들이 외부로 꺼내어져 반려동물에게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 공급장치는 여러 종류의 반려동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나 고양이와 같은 포유류 뿐 아니라, 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동물을 위해 본 발명의 음식물 공급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od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verages and feeds can be contained in a plurality of bowls rotating inside the food supply device, and the bowls can be taken out and supplied to companion animals. The food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types of companion animals. For example, the food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animals including birds as well as mammals such as dogs and cats.
이때, 복수개의 보울들은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사료나 물을 담을 수 있고, 사료나 물이 담긴 보울들은 케이스의 외부로 이동하여 반려동물에게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각 보울들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되어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이 보다 쉽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료와 사료의 보관구조와, 보울들의 회전 및 입출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bowls can hold food or water while rotating inside the case, and the bowls containing the food or water can move to the outside of the case to supply food to companion animals. In particular, each bowl moves away from each other. Separation makes it easier for multiple pets to eat. Hereinafter, the beverage and feed storage structure and the rotation and entry/exit structure of the bowls will be mainly described.
설명에 앞서 도면의 방향에 대해 정의하면, 음식물 공급장치의 앞쪽(전방)은 사용자가 음식물 공급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용자를 향한 방향이 되고, 뒤쪽(후방)은 그 반대방향이 된다.(도 1의 X축 방향 참조) 그리고 음식물 공급장치의 왼쪽(좌방)과 오른쪽(우방)은 음식물 공급장치의 좌우폭방향(도 1의 Y축 방향 참조)가 되고, 음식물 공급장치의 위쪽(상방)과 아래쪽(하방)은 음식물 공급장치의 높이방향(도1의 Z축 방향 참조)이 된다. Prior to description, when defining the direction of the drawing, the front (front) of the food supply device is the direction toward the user when the user looks at the food supply device from the front, and the rear (rear) is the opposite direction. ( 1), and the left (left) and right (right) sides of the food supply device are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see the Y axis direction of FIG. 1) of the food supply device, and the top (upper) and The lower (lower) direction i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ood supply device (refer to the Z-axis direction in FIG. 1).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는 대략 육면체의 외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외관은 아웃케이스(10)에 의해 만들어지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부에는 이너케이스(30), 냉각부(60), 음료부(80), 사료부(12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아래쪽에는 전방으로 공급스테이션(17)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스테이션(17)에는 후술할 트레이부(170)가 안착될 수 있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food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food supply device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external structure. The exterior of the food supply device is made by the
도 1을 보면 음료도어(81), 사료도어(121) 및 트레이도어(171)가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음료도어(81), 상기 사료도어(121) 및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전후방으로 입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도어(81), 상기 사료도어(121) 및 상기 트레이도어(171) 는 서로 같은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5에는 상기 음료도어(81)가 인출되어 있고, 도 20에는 상기 사료도어(121)가 인출되어 있으며, 도 40에는 상기 트레이도어(171)가 인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a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아웃케이스(10)는 아웃상면부(11), 아웃후면부(12, 도 4참조), 아웃측면부(13) 및 아웃저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상기 아웃후면부(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케이스커버(2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도 4를 보면, 상기 아웃후면부(12)에는 냉각가이드(12a)가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냉각가이드(12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부(60)가 배치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0)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일체로 구성되거나 다수의 부품이 서로 조립되어 아웃케이스(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The
이때, 상기 아웃저면부(15)는 공급스테이션(17)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웃저면부(15)는 상기 아웃케이스(10)를 구성하는 일부인 동시에, 공급스테이션(17)과 연결되어 후술할 트레이인출모듈(190)에 의해 입출되는 트레이부(17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uter
도 3을 보면,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부에는 장착공간(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16)은 전방과 하방으로 개방된 빈 공간이다. 상기 장착공간(16)에는 이너케이스(30) 및 상기 음료부(80) 등의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아웃저면부(15)는 별개물로 구성되고 상기 아웃케이스(10)에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아웃저면부(15)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너케이스(30)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래쪽에서 상기 장착공간(16)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장착공간(16)의 전방에서 상기 아웃케이스(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mounting
상기 장착공간(16)의 전방에는 공급스테이션(1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은 트레이부(170)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방으로 인출될 때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은 대략 사각판상이고, 중심에는 가이드홀(17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7a)은 상기 트레이부(170)의 가이드브릿지(179b, 도 28참고)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가이드홀(17a)을 통해 트레이부(170)의 트레이도어(171)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170) 및 트레이인출모듈(190)의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
상기 아웃케이스(10)의 후방에는 케이스커버(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2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후방에서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웃후면부(12)를 덮는다. 상기 케이스커버(20)는 평판구조인 커버플레이트(21)와, 상기 커버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커버스페이서(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스페이서(23)는 상기 커버플레이트(21)와 상기 아웃후면부(12) 사이에 빈 공간인 방열공간(S, 도 11참고)을 만들 수 있다. A
상기 케이스커버(20)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웃후면부(12)를 덮으면, 상기 아웃후면부(12)에 배치된 부품들이 차폐될 수 있고, 부품들이 발생시키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부품들이란,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부(60)의 방열팬(F1)과 압력모듈(76)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2을 보면, 상기 케이스커버(20)의 안쪽에 냉각부(60)의 방열팬(F1)과 압력모듈(76)이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case cover 20 covers the outer
상기 커버플레이트(21)에는 방열그릴(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열그릴(25)은 상기 커버플레이트(21)의 일부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부분으로, 방열공간(S)을 외부로 연결한다. 상기 방열그릴(25)은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부(60)의 방열팬(F1)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A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방열공간(S)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부(60)의 히트싱크(61)와 방열팬(F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팬(F1)은 상기 방열공간(S)에서 상기 방열그릴(25)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바깥쪽인 후방(화살표A 방향)으로 열기를 배출하게 된다. 참고로, 도 11에서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웃후면부(12)와, 이너케이스(30)의 이너후면부(32) 사이에는 냉각부(60)의 열전소자(65), 냉각팬(F2) 및 콜드싱크(67)가 배치되는데, 상기 열전소자(65), 냉각팬(F2) 및 콜드싱크(67)는 이너케이스(30)의 냉각플랜지(41a)에 의해 둘러싸인다. 그리고 상기 냉각플랜지(41a)의 바깥쪽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웃후면부(12)와, 이너케이스(30)의 이너후면부(32) 사이에 형성된 단열공간(I)에는 발포액이 충진되어 단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a
상기 장착공간(16)에는 이너케이스(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이너케이스(30)에는 음료부(80) 등 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와 함께 음식물 공급장치의 케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An
도 17과 도 19을 참조하면, 상기 아웃케이스(10)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사이에는 빈 공간인 단열공간(I)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공간(I)에는 발포액이 충진되어 단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17 and 19, a heat insulating space (I) is formed between the
상기 이너케이스(30)는 본 실시례의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를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에는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이 마련되고, 이들은 서로 구획된다. 여기서 구획이란,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사료저장실(C2) 및 상기 취출실(C3)이 서로 완전히 차단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위 공간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댐퍼부(D1,D2)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이너케이스(30)는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너케이스(3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사료저장실(C2) 및 상기 취출실(C3)을 구획하여, 이들 공간이 서로 단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사료저장실(C2) 및 상기 취출실(C3) 사이에서 냉기가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 공간 사이에서의 냉기유동은 아래에서 설명될 댐퍼부(D1,D2)에 의해 서로 차단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The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이너케이스(3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이너상면부(31), 이너후면부(32), 이너측면부(33) 및 이너저면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상면부(31), 이너후면부(32), 이너측면부(33) 및 이너저면부(35)는 서로 연결되어 대략 육면체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전방으로 개방되고, 개방된 전방으로부터 부품들이 삽입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측면부(33)와 상기 이너후면부(3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필터장착부(3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착부(33a)의 안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정수필터(1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101)의 두께와 높이에 따라 상기 필터장착부(33a)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정수필터(101)가 생략된다면 상기 필터장착부(33a)도 생략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도 3 내지 도 5에는 상기 냉각부(60), 상기 음료부(80), 상기 사료부(120), 상기 트레이부(170) 등이 서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들이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장착될 때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60), 상기 음료부(80), 상기 사료부(120), 상기 트레이부(170) 등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내부에서 서로 구획되는데, 이러한 구획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3 to 5, the cooling
도 6을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정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정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우측 상부에는 음료저장실(C1)이 배치될 수 있고, 좌측상부에는 사료저장실(C2)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30)의 하부에는 취출실(C3)이 배치된다. 상기 취출실(C3)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므로, 음료와 사료가 중력에 의해 취출실(C3)로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front structure of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저장실(C1)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내부공간 중에서 우측에 있고 상기 사료저장실(C2)은 좌측에 있는데, 이와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은 좌우길이 보다 상하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embodiment,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s on the right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상기 사료저장실(C2)은 다시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보다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서로 다른 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습식사료인 간식이 보관되고,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건사료인 일반 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은 간식저장실이 되고, 제2사료저장실(C2b)은 건사료저장실이 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사료공급모듈(130)이 배치되고,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제2사료공급모듈(150)이 배치된다.(도 3 및 도 5참고)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a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is dispos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Different feeds may be stored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For example, wet food snacks may be stored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dry feed general feed may be stor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n this case,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may be a snack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may be a dry feed storage compartment. For reference, the first
이와 달리,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사료저장실(C2)은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로 나뉘지 않고 하나의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사료저장실(C2)에 한 종류의 사료만 보관되거나, 또는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이 서로 연결된 한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7 ,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may be a single space without being divided into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n this case, only one type of feed may be stored in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or the first
도 8을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은 각각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의 전방으로부터 부품들이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전방에는 음료공급입구(36)가 개방된다. 상기 음료공급입구(36)는 상기 음료도어(81)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음료도어(81)가 인출되면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사료저장실(C2)의 전방에는 사료공급입구(37a,37b)가 개방되고, 취출실(C3)의 전방에는 취출입구(38)가 개방된다. 상기 사료공급입구(37a,37b)는 상기 사료도어(121)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취출입구(38)는 취출도어(171)에 의해 가려진다. Referring to FIG. 8 ,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and the take-out compartment C3 of the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내부에는 냉각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홀(41)은 상기 음료저장실(C1)의 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냉각홀(41)에는 냉각부(60)가 배치된다. 상기 냉각홀(41)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냉각가이드(12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냉각가이드(12a)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냉각홀(41)에 동시에 위치될 수 있다.A
도 11과 도 12를 보면, 상기 냉각홀(41)에는 냉각플랜지(4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플랜지(41a)는 상기 냉각홀(4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냉각플랜지(41a)는 냉각부(6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65), 콜드싱크(67) 및 냉각팬(F2)을 둘러쌀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1 and 12 , a cooling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바닥에는 유로설치구(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설치구(43)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바닥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취출실(C3)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유로설치구(43)에는 후술할 유로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로모듈(1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설치구(43)는 밀폐되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취출실(C3) 사이로 냉기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A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바닥에는 탱크가이드레일(4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가이드레일(44)은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배치된 음료탱크(83)의 입출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탱크가이드레일(44)은 전후방향으로 구비되고,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가이드레일(4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브라켓(86)의 바닥면에 형성된 브라켓리브(86a, 도 18참조)가 맞물릴 수 있다. A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의 사이에는 제1단열벽(W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벽(W1)은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를 구획한다. 상기 제1단열벽(W1)은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를 구획하기도 하지만,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를 단열시킬 수도 있다. A first insulating wall (W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is disposed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to partition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partitions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but may also insulate betwee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단열벽(W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벽(W1)의 상단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상면부(31)와 연결되고, 하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3단열벽(W3)에 연결된다. 상기 제1단열벽(W1)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단열벽(W2) 보다 상대적으로 두껍다. 상기 제1단열벽(W1)은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에서 냉기가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충분히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is connected to the inner
상기 제1단열벽(W1)에는 제1연통로(4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로(45a)는 상기 제1단열벽(W1)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일종의 공기유동 경로이다. 상기 제1연통로(45a)에는 제1댐퍼(D1)가 배치되고, 상기 제1댐퍼(D1)는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사이로 공기가 유동되게 하거나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연통로(45a)는 이너케이스(30)의 이너상면부(31)에 가깝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자연대류에 의해서 상기 제1연통로(45a)를 통해 냉기가 유동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A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단열벽(W1)에 상기 제1연통로(45a)가 생략되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사이는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음료저장실(C1)만 냉각되고, 제1사료저장실(C2a)은 상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열벽(W1)에 상기 제1연통로(45a)는 형성되지만, 제1댐퍼(D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연통로(45a)를 통해 일정량의 냉기가 상기 음료저장실(C1)에서 제1사료저장실(C2a)로 전달되고, 제1사료저장실(C2a)도 어느 정도 냉각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f the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에는 제2단열벽(W2)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열벽(W2)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구획하기도 하지만, 상기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단열시킬 수도 있다.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y a second insulating wall (W2). The second insulating wall (W2) partitions betwee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but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You can insulate between them.
상기 제2단열벽(W2)에는 제2연통로(4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로(45b)는 제2단열벽(W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일종의 공기유동 경로이다. 상기 제2연통로(45b)에는 제2댐퍼(D2)가 배치되고, 상기 제2댐퍼(D2)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로 공기가 유동되게 하거나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A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후면에는 제1회수구(46a)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수구(46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이 후방으로 개방된 부분이다. 상기 제1회수구(46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덕트(70)의 제1덕트흡입부(73)가 연결된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는 상기 제1덕트흡입부(73)를 통해 배출되고,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냉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내부에서 순환되며, 보관된 사료에서 발생되는 냄새도 외부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A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제1연통로(45a)와, 상기 제1회수구(46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서로 다른 내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연통로(45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회수구(46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통로(45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제1회수구(46a)를 통해 빠져나가는 공기 사이의 간섭이 줄어들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이때, 상기 제1연통로(45a)는 상기 제1회수구(46a)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연통로(45a)의 제1댐퍼(D1)를 통해 유입된 찬 공기는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아래쪽에 배치된 상기 제1회수구(46a)를 통해 회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상기 제2연통로(45b)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1사료공급로(47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는 상기 제2단열벽(W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빈 공간이다.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료덕트(123)가 장착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에 사료덕트(123)의 상부연결관(125)이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A first
상기 제1단열벽(W1)에는 진동설치구(BH)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설치구(BH)는 상기 제1단열벽(W1)의 일부가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거나, 또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을 향한 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설치구(BH)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료덕트(123)의 진동모듈(BM)이 배치된다. 물론, 상기 진동모듈(BM)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진동설치구(BH)도 생략될 수 있다. A vibration installation hole (BH) may be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The vibration installation hole (BH) may be formed by opening a part of the first insulating wall (W1)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by partially recessing a surface facing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he vibration module (BM) of the
상기 제2단열벽(W2)에 의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구획된 제2사료저장실(C2b)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되, 유사한 내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므로, 제1사료저장실(C2a)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제2연통로(45b)를 통해 제2사료저장실(C2b)까지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냉기는 제1사료저장실(C2a)을 거쳐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전달되므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온도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보다 높을 수 있다.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partitioned from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by the second insulating wall W2 is arrang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but has a similar internal structure. can Since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disposed below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he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passes through the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후면에는 제2회수구(46b)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수구(46b)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이 후방으로 개방된 부분이다. 상기 제2회수구(46b)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덕트(70)의 제2덕트흡입부(75)가 연결된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는 상기 제2덕트흡입부(75)를 통해 배출되고,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냉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내부에서 순환되며, 보관된 사료에서 발생되는 냄새도 외부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A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바닥에는 제2사료공급로(47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는 상기 제3단열벽(W3)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빈 공간이다.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료덕트(123)가 장착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에 사료덕트(123)의 트레이배출관(127)이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A second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의 바닥에는 모듈가이드레일(48,4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듈가이드레일(48,49)은 상기 사료저장실(C2)에 배치된 사료공급모듈(130,150)의 입출을 안내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바닥에는 제1모듈가이드레일(48)이 있고, 제2사료저장실(C2b)의 바닥에는 제2모듈가이드레일(49)이 있다. 상기 제1모듈가이드레일(48)과 상기 제2모듈가이드레일(49)은 각각 전후방향으로 구비되고,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가이드레일(4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사료플레이트(135)의 바닥면에 형성된 플레이트리브(138, 도 18참조)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제1모듈가이드레일(4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사료플레이트(155)의 바닥면에 형성된 플레이트리브(158, 도 18참조)가 맞물릴 수 있다. Module guide rails 48 and 49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The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유로통과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통과부(51)는 상기 제2단열벽(W2)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일종의 통로이다. 상기 유로통과부(5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유로모듈(100)을 구성하는 트레이배출노즐(P3d) 및 직수공급관(P2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과 상기 직수공급관(P2b)은 상기 유로통과부(51)를 통과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사료덕트(123)의 가이드홈(127a,127b)을 통과하여 상기 취출실(C3)로 연장된다. 도 14에는 상기 가이드홈(127a,127b)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유로통과부(51)는 그 후방에 가려져 있다. A
도 8과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취출실(C3)은 상기 제3단열벽(W3)에 의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과는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취출실(C3)은 좌우로 구획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취출실(C3)은의 좌우폭은 상부에 배치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의 좌우폭을 합친 길이 보다 더 크다. 이에 따라 상기 취출실(C3)에 배치되는 트레이부(170)에는 복수개의 보울(177)이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extraction chamber C3 may be partitioned from the beverage storage chamber C1 and the feed storage chamber C2 by the third insulating wall W3. Since the take-out chamber C3 is not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but is connected,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take-out chamber C3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nd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C2 disposed at the top. . Accordingly, a plurality of
상기 취출실(C3)에는 회전모듈장착부(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장착부(52)는 상기 취출실(C3)의 바닥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장착부(5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트레이회전모듈(18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9을 보면, 상기 회전모듈장착부(52)에 트레이회전모듈(180)의 구동기어(183)가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A rotation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후면부(32)에는 냉각부(6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음료저장실(C1)을 냉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냉기가 상기 제1댐퍼(D1)를 통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도 냉각시킬 수 있다. A cooling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상면부(31)에 가까운 상기 이너후면부(32)의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부(60)에서 발생된 냉기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상부에 공급될 수 있고, 공급된 냉기는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퍼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oling
도 10을 보면, 상기 냉각부(60)를 구성하는 히트싱크(61)의 열은 바깥쪽인 후방(화살표A 방향)으로 배출되고, 콜드싱크(67)의 냉기는 음료저장실(C1)인 전방(화살표B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는 상기 회수덕트(70)의 덕트배출부(72)를 통해서 상기 냉각부(60)의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heat of the
도 11과 도 12를 보면, 상기 냉각부(6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는 단열공간(I)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는 주변부와 단열되고, 열전소자(65)의 냉기는 전방인 음료저장실(C1)로 집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1 and 12 , the
상기 냉각부(6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65)는 전면과 후면을 구비하는 평평한 플레이트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전면은 흡열면이 되고 후면은 발열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65)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은 펠티어 효과를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열전소자(65)의 흡열면의 열을 발열면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65)의 전면은 차가운 면이 되고, 뒷면은 열이 발생되는 부분이 된다. 즉,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내부의 열을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열전소자(65)에 공급되는 전원은 열전소자(65)에 마련된 케이블을 통해 열전소자(65)에 인가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발열면에는 히트싱크(61)가 결합되고, 상기 흡열면에는 콜드싱크(67)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부(60)의 열전소자(65)가 동작하면, 상기 열전소자(65)의 흡열면은 콜드싱크(67)를 통해 음료저장실(C1)의 열을 흡수하여 음료저장실(C1)을 냉각하고, 발열면은 히트싱크(61)를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팬(F2)은 히트싱크(61)의 전열핀에 냉각공기를 송풍하여 전열핀의 열발산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면부호 62는 전연핀에 삽입된 히트파이프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63과 66는 상기 열전소자(65)를 둘러싸는 단열프레임을 나타낸다. In this case, a
도 10을 보면, 상기 냉각팬(F2)에는 냉각그릴(6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그릴(68)은 상기 음료저장실(C1)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냉각팬(F2)은 상기 열전소자(65)의 흡열면의 냉기를 상기 음료저장실(C1)로 토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a cooling
이때, 상기 냉각그릴(68)의 중심에는 토출부(69a)가 있고, 토출부(69a)의 주면에는 회수부(69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69a)는 냉각팬(F2)에 의해 냉기가 상기 음료저장실(C1)로 공급되는 부분이고, 회수부(69b)는 상기 음료저장실(C1) 내부의 공기가 다시 상기 방열공간(S) 쪽으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만약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사이가 상기 제1댐퍼(D1)에 의해 서로 차단된 상태라면, 상기 음료저장실(C1) 내부의 공기는 상기 토출부(69a)와 상기 회수부(69b)를 통해 순환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상기 냉각부(60)의 주변에는 상기 회수덕트(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후면부(32)에 구비되고, 음식물 공급장치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사료저장실(C2) 내부의 공기를 다시 상기 냉각부(60) 쪽으로 공급해주기 때문에 냉기가 음식물 공급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덕트(70)는 사료저장실(C2)의 공기가 음식물 공급장치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보관된 사료에서 발생되는 냄새도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회수덕트(70)의 구조를 보면, 상기 회수덕트(70)는 내부가 비어 있는 긴 관(tube)구조이다.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의 통로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케이스(30)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12에는 상기 케이스커버(20)와 상기 아웃케이스(10)가 제거되고 상기 회수덕트(70)가 노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도 12를 보면, 상기 회수덕트(7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회수관(71)과, 상기 메인회수관(71)에서 분기되는 덕트배출부(72), 제1덕트흡입부(73) 및 제2덕트흡입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흡입부(73) 및 제2덕트흡입부(75)는 상기 메인회수관(71)으로부터 높이를 달리하여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덕트흡입부(75)는 제1덕트흡입부(73) 및 제2덕트흡입부(75)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12, the
상기 덕트배출부(72)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상기 냉각부(60)의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덕트배출부(72)는 상기 열전소자(65) 및 콜드싱크(67)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도 10과 도 12를 보면, 상기 덕트배출부(72)가 상기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The
상기 제1덕트흡입부(73)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상기 제1회수구(46a)에 연결되고, 상기 제2덕트흡입부(75)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상기 제2회수구(46b)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덕트흡입부(73)를 통해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가 회수되고, 상기 제2덕트흡입부(75)를 통해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가 회수된다. The first
본 실시례에서,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회수하여 상기 냉각부(60)로 배출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모아 상기 냉각플랜지(41a)를 통해 상기 냉각부(60) 쪽으로 배출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냉각플랜지(41a)를 통해 상기 냉각부(60) 쪽으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냉각부(60)를 거쳐 다시 냉각되어 상기 음료저장실(C1)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의 공기는 음식물 공급장치의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냉각부(60)에 의해 냉각된 냉기의 누설이 줄어들 수 있고, 사료저장실(C2) 내부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toward the cooling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수덕트(70)의 내부에는 공기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필터는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기필터는 상기 덕트배출부(72)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부(60)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공기필터는 상기 제1덕트흡입부(73), 상기 제2덕트흡입부(75) 또는 상기 메인회수관(7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필터는 탈취필터나 광촉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n air filt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도 12와 도 13을 보면, 음식물 공급장치에는 압력모듈(7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이너케이스(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압력을 낮추고, 제2사료저장실(C2b)의 일종의 음압실로 만든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보관되는 사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2 and 13 , the food supply device may include a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을 상기 트레이부(170)가 배치된 취출실(C3)과 구획하는 제3단열벽(W3)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압력모듈(76)은 제3단열벽(W3)의 후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와 달리,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쪽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압력모듈(76)은 진공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진공펌프는 다이어프램 펌프(diaphragm pump)일 수 있다. 상기 진공 펌프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배기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는 얇은 판막을 진동시켜 밀폐된 공간의 용적을 수축/확장시킴으로써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흡입구(77, inlet)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배출구(78, outlet)는 상기 음료저장실(C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공기흡입구(77)의 입구(77a)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를 향해 개구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배출구(78)의 출구(78a)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내부를 향해 개구된다. 이처럼,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배출구(78)의 출구(78a)가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면,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다시 이너케이스(30)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냉기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An
상기 압력모듈(76)의 진공펌프가 동작되면,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진공펌프에 의해 음압이 형성될 수 있고, 사료의 산화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음료탱크(83)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커버(84)에 의해 차폐되므로, 음압을 통해 산화를 방지하지 않더라도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vacuum pump of the
상기 진공펌프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의 압력이 기준값 보다 높을 경우에 작동을 시작하고, 기준값(예를 들어 1기압) 보다 낮아지면 작동을 멈출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의 압력측정은 별도의 압력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력스위치는 상기 압력모듈(76)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The vacuum pump may start operating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stop operating when the press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for example, 1 atmospheric pressure). Although not shown,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may be measured by a separate pressure switch. The pressure switch may be included in the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뿐 아니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내부의 압력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연결하는 제2댐퍼(D2)가 개방되고, 동시에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댐퍼(D1)가 차단되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서로 연결되어 압력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하면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이 배기되면서 동시에 제1사료저장실(C2a)도 배기되어, 각각 내부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내부압력이 모두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이 중지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모듈(76)의 조작은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The
상기 이너케이스(30)에는 댐퍼부(D1,D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D1,D2)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음료저장실(C1)과 제1사료저장실(C2a)의 사이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댐퍼부(D1,D2)는 제1댐퍼(D1)와 제2댐퍼(D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댐퍼(D1)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음료저장실(C1)과 제1사료저장실(C2a)의 사이인 제1연통로(45a)에 배치되고, 상기 제2댐퍼(D2)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인 제2연통로(45b)에 배치된다. 상기 제1댐퍼(D1)와 상기 제2댐퍼(D2)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Damper parts D1 and D2 may be installed in the
상기 댐퍼부(D1,D2)에는 회전되는 댐핑블레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핑블레이드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연통로(45a)와 상기 제2연통로(45b)를 각각 차단/개방시킬 수 있다. Rotating damping blades may be provided in the damper parts D1 and D2. The damping blade may block/open the
다음으로 음료부(80)를 살펴보면, 상기 음료부(80)는 음료를 저장하였다가 음료를 반려동물에게 공급하기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음료란, 물 뿐 아니라 반려동물이 마실 수 있는 주스, 우유, 이온음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부(80)는 상기 음료를 적절한 온도로 냉각시켜 보관할 수 있고, 냉각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부(170)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방으로 인출되면, 반려동물은 적절한 온도의 음료를 마실 수 있다. Next, looking at the
외부에서 상기 음료부(80)의 내부로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i) 아래에서 설명될 유로모듈(100)을 통해 외부의 수돗물이나 정수물을 공급하는 방법과, (ii) 또는 상기 음료부(80)의 음료탱크(83)를 전방으로 인출한 후에 음료탱크(83)의 내부로 음료를 주입하는 방법이 있다. As a method for supplying a beverag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음료부(80)에 저장된 음료를 반려동물에게 공급하기 위해서 트레이부(170)에 배출하는 방법으로는, (i) 상기 유로모듈(100)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수돗물이나 정수물을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배출하는 방법과, (ii) 먼저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되어 냉각된 음료를 상기 유로모듈(100)을 통해 트레이부(170)에 배출하는 방법이 있다. In addition, as a method of discharging the beverage stored in the
도 5를 보면, 상기 음료부(80)는 상기 냉각부(6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음료부(80)는 냉각부(60)로부터 공급된 냉기로 냉각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음료부(80)의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는 상기 냉각부(60)에 의해 냉각되어 설정된 온도로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음료탱크(83)는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보관되고,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음료저장실(C1)로 냉기를 토출한다. Referring to FIG. 5 , the
상기 음료부(8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음료부(80)에는 음료도어(8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듯이, 상기 음료도어(81)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음료도어(81)는 상기 아웃케이스(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음료도어(81)가 인출되면 상기 음료탱크(83)도 상기 음료도어(81)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음료도어(81)에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가스켓(82, 도 16참조)이 결합된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도 16과 도 17에서 보듯이, 상기 음료도어(81)의 후방에는 음료탱크(83)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탱크(83)는 상기 음료도어(81)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상기 음료도어(81)에 연결된 탱크브라켓(86)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음료탱크(83)는 상기 탱크브라켓(8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6 and 17, a
상기 음료탱크(83)는 내부에 음료를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8에서 보듯이, 상기 저장공간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유로모듈(100)의 탱크주입관(P3a')과 탱크배출관(p3b')이 삽입된다. 상기 탱크주입관(P3a')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로 외부의 음료를 주입하고, 탱크배출관(p3b')은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음료를 상기 트레이부(170) 쪽으로 배출한다. 상기 탱크주입관(P3a')과 탱크배출관(p3b')은 아래에서 설명될 음료커넥터(87)를 통해서 음료주입관(P3a)및 음료배출관(P3b)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The
다시 도 16을 보면, 상기 음료탱크(83)의 상부에는 탱크커버(8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탱크커버(84)는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 탱크커버(84)에는 별도의 마개(85)가 구비되고, 상기 마개(85)를 열고 내부에 음료를 주입하거나,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ure 16 again,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음료탱크(83)는 상기 탱크브라켓(86)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탱크브라켓(86)은 상기 음료도어(81)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음료탱크(8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탱크브라켓(86)은 상기 음료탱크(83)의 양측면과 후면, 그리고 저면을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6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브라켓(86)은 상기 음료탱크(83)의 양측면의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The
도 18을 보면, 상기 탱크브라켓(86)의 저면에는 브라켓리브(86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리브(86a)는 상기 탱크브라켓(86)의 입출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브라켓리브(86a)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바닥에 구비된 탱크가이드레일(44)에 맞물리고, 상기 탱크가이드레일(44)은 상기 탱크브라켓(86) 및 상기 음료탱크(83)의 입출을 안내한다. 18, a
도 16을 보면, 상기 탱크커버(84)에는 음료커넥터(8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료커넥터(87)는 상기 이너케이스(30)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입출되는 상기 음료탱크(83)와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음료커넥터(87)는 상기 유로모듈(100)과, 상기 음료탱크(83)에 고정된 상기 탱크주입관(P3a') 및 상기 탱크배출관(p3b')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음료커넥터(87)에는 유로모듈(100)의 음료주입관(P3a)과 음료배출관(P3b)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음료주입관(P3a)과 음료배출관(P3b)은 상기 음료커넥터(87)를 통해 각각 탱크주입관(P3a')과 탱크배출관(p3b')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6, the
상기 음료부(80)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센서(8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88)는 상기 음료탱크(83)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음료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위센서(88)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비접촉식 수위센서(88)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위센서(88)는 상기 탱크브라켓(86)에 배치되는데, 높이를 달리하여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쪽에 구비된 제1수위센서(88a)는 저장공간에 음료가 충분히 공급되면 상기 유로모듈(100)로부터 음료의 주입을 멈추기 위한 것이고, 아래쪽에 구비된 제2수위센서(88b, 도 15참조)는 저장공간에 음료가 부족함을 감지하고 음료의 주입을 시작하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15 , the
상기 음료부(80)에는 유로모듈(1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모듈(100)은 상기 음료부(80)에 음료를 주입하여 저장시키고, 저장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에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모듈(100)은 상기 음료부(8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유로모듈(100)은 다수의 관(tube)와, 정수필터(101), 유로펌프(103), 제1밸브(V1) 및 제2밸브(V2)를 포함한다. A
상기 유로모듈(100)의 기능을 보면, 상기 유로모듈(100)은 (i) 수돗물이나 정수물 등 외부의 음료를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배출하고, (ii) 수돗물이나 정수물 등 외부의 음료를 상기 음료탱크(83)에 주입하며, (iii)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되어 냉각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에 배출하고, (iv)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나 유로모듈(100)을 구성하는 배관들 내부에 존재하는 잔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Looking at the function of the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유로모듈(100)이 구조를 보면, 상기 유로모듈(100)에는 정수필터(10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정수필터(101)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고, 앞서 설명한 필터장착부(33a)에 배치된다. 상기 정수필터(10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음료 중 물을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정수필터(101)에는 외부의 음료를 공급받는 외부연결관(P1)과, 상기 정수필터(101)를 거친 음료를 배출하는 메인공급관(P2a)이 연결된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유로모듈(100)에는 유로펌프(10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펌프(103)는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로펌프(103)에는 상기 음료탱크(83)에 연결되는 상기 음료배출관(P3b)과, 상기 제2밸브(V2)와 연결되는 음료전달관(P3c)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유로펌프(103)는 상기 음료배출관(P3b)과 상기 음료전달관(P3c)을 통해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에 배출하거나, 세척 등의 목적으로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후술할 제1밸브(V1) 및 제2밸브(V2)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A
상기 제1밸브(V1)에는 상기 메인공급관(P2a), 상기 음료주입관(P3a) 및 직수공급관(P2b)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직수공급관(P2b)은 상기 정수필터(101)를 거친 외부의 음료가 상기 음료탱크(83)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상기 트레이부(170)에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밸브(V1)는 (i) 상기 메인공급관(P2a)과 상기 직수공급관(P2b) 사이를 연결하여 외부의 물이 정수필터(101)만 거친 후에 반려동물에게 공급되도록 하거나, (ii) 상기 메인공급관(P2a)과 상기 음료주입관(P3a)을 연결하여 외부의 물이 정수필터(101)를 거친 후에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되도록 한다. The main supply pipe (P2a), the beverage injection pipe (P3a) and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V1).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allows the external beverag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상기 직수공급관(P2b)의 말단에는 직수배출노즐(P2c)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직수배출노즐(P2c)은 상기 직수공급관(P2b)으로부터 공급된 직수를 트레이부(170)로 취출시킨다.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직수배출노즐(P2c)은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A direct water discharge nozzle (P2c) may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The direct water discharge nozzle P2c discharges the direct water supplied from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to the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제1밸브(V1)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V2)에는 상기 음료전달관(P3c)과, 트레이배출노즐(P3d), 그리고 외부배출관(P4)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은 상기 유로펌프(103)를 통해 상기 음료배출관(P3b)과 연결되어,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최종적으로 트레이부(170)에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은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The second valve V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alve V1. The beverage delivery pipe P3c,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and the external discharge pipe P4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V2.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discharge pipe P3b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외부배출관(P4)은 상기 제2밸브(V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아웃케이스(10)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서 음료탱크(83) 내부의 잔수나 유로의 잔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And the external discharge pipe (P4)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V2), and the other end extending outward of the
이러한 연결구조를 통해서, 상기 제2밸브(V2)는 (i) 상기 음료전달관(P3c)과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을 연결하여 음료탱크(83)에서 냉각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에 공급하거나, (ii) 상기 음료전달관(P3c)과 상기 외부배출관(P4)을 연결하여 음료탱크(83)의 잔수와, 상기 음료배출관(P3b), 상기 유로펌프(103) 및 상기 제2밸브(V2)에 남은 잔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밸브(V1)와 상기 제2밸브(V2)는 모터(미도시)로 구동되는 밸브일 수 있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rough this connection structure, the second valve (V2) (i) connects the beverage delivery pipe (P3c) and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to transfer the beverage cooled in the beverage tank (83) to the tray unit (170). or (ii) connecting the beverage delivery pipe (P3c) and the external discharge pipe (P4) so that the remaining water of the
상기 직수공급관(P2b)에는 제1체크밸브(K1)가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에는 제2체크밸브(K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크밸브(K1)와 상기 제2체크밸브(K2)는 각각 상기 직수공급관(P2b)과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에 남은 잔수가 트레이부(170)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취출실(C3)의 공기가 상기 직수공급관(P2b)과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을 따라 역류하여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온도를 높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first check valve K1 may be provided in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and a second check valve K2 may be provided in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The first check valve (K1) and the second check valve (K2) prevent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P2b) and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위의 구조와 달리, 상기 유로모듈(100)에는 상기 음료탱크(83)를 거치지 않은 음료를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공급하기 위한 구조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음료는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후에 트레이부(170)에 공급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밸브(V1) 또는 제2밸브(V2)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Unlike the above structure, in the
다음으로, 상기 사료부(120)를 보면, 상기 사료부(12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습식사료가 보관되고,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건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직접 연결되는 제1사료저장실(C2a)은 상대적으로 제2사료저장실(C2b) 보다 온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저온보관이 요구되는 습식사료를 제1사료저장실(C2a)에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Next, looking at the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제1사료공급모듈(130)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제2사료공급모듈(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각각 사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0에서 보듯이, 상기 사료부(120)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사료를 채워넣을 수 있다. The first
여기서,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각각 사료를 보관할 수 있고,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일종의 컨베이어(conveyor)로 볼 수 있다. Here, the first
상기 사료부(12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사료부(120)의 전방에는 사료도어(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료도어(121)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사료도어(121)는 상기 아웃케이스(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사료도어(121)가 인출되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도 상기 사료도어(121)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사료도어(121)에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가스켓(122, 도 29참조)이 결합된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에는 사료덕트(12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료덕트(123)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트레이부(170)로 전달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료덕트(123)는 상기 사료도어(121)가 인출될 때 함께 인출되지 않고,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고정되어 있다. The first
도 21 내지 도 26를 보면, 상기 사료덕트(123)는 위아래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의 측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료덕트(12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빈 관 구조이므로, 상기 사료덕트(123)는 사료를 중력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료덕트(123)는 실리콘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와 달리, 상기 사료덕트(123)는 합성수지재질이나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S. 21 to 26 ,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료덕트(123)는 총 4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사료덕트(123)의 상부에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연결되는 제1취출부(124)가 있다. 도 22에서 보듯이, 상기 제1취출부(124)의 제1취출입구(124')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제1사료배출구(133)를 향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에서 취출된 사료는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통해 상기 사료덕트(123) 내부로 유입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도 23을 보면, 상기 제1취출입구(124')에는 덕트댐퍼(12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댐퍼(124a)는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가로막거나, 개방시킨다. 상기 덕트댐퍼(124a)는 평소에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가로막아 제1사료저장실(C2a)의 냉기가 상기 사료덕트(123)를 타고 취출실(C3)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덕트댐퍼(124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냄새를 차단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3 , a
상기 덕트댐퍼(124a)는 회전축(124b)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는데, 도 23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회전축(124b)은 상기 제1취출부(12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댐퍼(124a)는 하단부가 안쪽으로 밀려들어가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댐퍼(124a)는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통해 유입되는 사료의 압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사료의 유입이 종료되면 상기 덕트댐퍼(124a)는 중력에 의해 회전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124b)에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덕트댐퍼(124a)가 도 23과 같은 상태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상기 제1취출부(124)의 하부에는 상부연결관(125)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관(125)은 상기 제1취출부(124)와 결합하고, 상기 제1취출부(124)로 유입된 사료를 아래쪽으로 전달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연결관(125)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2단열벽(W2)의 제1사료공급로(47a)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연결관(125)은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에 조립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의 일부일 수도 있다. An
상기 상부연결관(125)의 하부에는 제2취출부(126)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2를 보면, 상기 제2취출부(126)의 제2취출입구(126')는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의 제2개구부(153)를 향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에서 취출된 사료는 상기 제2취출입구(126')를 통해 상기 사료덕트(123) 내부로 유입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취출입구(126')에도 덕트댐퍼(124a)가 구비될 수도 있다. A
도 24에는 상기 제2취출부(126)와 트레이배출관(127)이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트레이부(17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으로 전달된 사료는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을 통해서 상기 트레이부(170)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말단은 덕트노즐로 볼 수 있다. 2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ake-out
상기 트레이배출관(127)과 연결되는 제2취출부(126)의 아래쪽에는 유로홀(126a,126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홀(126a,126b)은 제1유로홀(126a)과 제2유로홀(126b)로 구성되고,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은 상기 제2취출부(126)의 하부가 측면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은 상기 제2취출부(126)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지만, 같은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에는 각각 상기 유로모듈(100)을 구성하는 트레이배출노즐(P3d)과 직수배출노즐(P2c)이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로모듈(100)에 의해 공급되는 음료의 취출방향은 상기 사료덕트(123)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A tray discharge nozzle P3d and a direct water discharge nozzle P2c constituting the
상기 제2취출부(126)의 하부에는 트레이배출관(127)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상기 제1취출부(124)와 상기 제2취출부(126)에서 전달된 사료를 상기 트레이부(170)에 최종적으로 취출하는 출구가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바닥에 형성된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에 조립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의 일부일 수도 있다. A
도 25과 도 26에서 보듯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내부에는 가이드홈(127a,127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27a,127b)은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내면 일부가 함몰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27a,127b)은 제1가이드홈(127a)과 제2가이드홈(127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127a)과 제2가이드홈(127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127a)과 상기 제2가이드홈(127b)은 상기 제2취출부(126)의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에 각각 연결된다. As shown in FIGS. 25 and 26,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과 직수배출노즐(P2c)은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을 각각 통과하고, 다시 제1가이드홈(127a)과 제2가이드홈(127b)을 따라 아래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과 직수배출노즐(P2c)의 취출방향이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tray discharge nozzle P3d and the direct water discharge nozzle P2c pass through the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내부에는 배출가이드(1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128)는 상기 트레이배출관(127) 내부를 가로질러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사료는 상기 배출가이드(128) 양쪽으로 분산된다. 상기 배출가이드(128)는 사료의 배출속도를 줄여, 많은 양의 사료가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 바깥쪽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상기 배출가이드(128)에는 가이드경사면(128a)이 형성될 수 있다. 사료는 상기 가이드경사면(128a)을 타고 아래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경사면(128a)은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경사면(128a)은 생략되거나, 대칭구조가 아니라 어느 한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A guide inclined
도 25을 보면,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아래쪽에는 장착홈(128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128b)에는 살균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을 살균 및 소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홈(128b)은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저면에 함몰된 구조이고, 여기에 상기 살균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128)도 상기 살균모듈이 일부로 볼 수도 있다. 25, a mounting
상기 살균모듈은 한 쌍의 자외선 조사부(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부(L)는 아래쪽, 즉 상기 트레이부(170)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자외선 조사부(L)는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출구 보다 안쪽에 배치되므로, 조사된 자외선이 자칫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부호 129는 회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자외선 조사부(L)에서 조사되는 빛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자외선 조사부(L)는 하나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terilization module may include a pair of ultraviolet irradiation units (L).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L) is installed downward, that is, facing the
상기 사료덕트(123)에는 진동모듈(BM)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진동모듈(BM)은 상기 사료덕트(123)를 진동시켜 상기 사료덕트(123) 내부에 잔존하는 사료와 이물질 등 분체를 털어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진동모듈(BM)은 상기 사료덕트(123) 중에서 제1취출부(124)의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취출부(124)를 진동시켜줄 수 있다. 도 14를 보면, 상기 진동모듈(BM)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1단열벽(W1)의 진동설치구(BH)에 배치된다. 이와 달리, 상기 진동모듈(BM)은 상기 제2취출부(126)를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제1취출부(124)와 제2취출부(126)와 밀착되도록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A vibration module (BM) may be coupled to the
상기 진동모듈(BM)에는 진동단부(BM')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단부(BM')는 상기 상기 제1취출부(124)에 밀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1취출부(124)에 진동을 전달한다. 상기 진동모듈(BM)은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진동단부(BM')를 진동시키거나, 모터에 의해 진동단부(BM')를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모듈(BM)이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진동모듈(BM)에 에어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The vibration module BM may include a vibration end portion BM'. The vibrating end portion BM' is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take-out
도 20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서로 독립된 제1사료케이스(131)와 제2사료케이스(151)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서,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저장되는 사료들은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20 to 29 , the first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을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에는 높이와 좌우폭 보다 전후방향의 길이가 긴 제1사료케이스(131)가 포함된다.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져 사용자가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하부는 곡면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제1사료케이스(131)의 형상은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에 내장되는 제1피더(140)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부는 평면구조인데, 이를 통해 제1사료공간의 내부체적을 늘릴 수 있다. The lower part of the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부에는 제1사료투입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는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면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 사료를 채울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에는 별도의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는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면이 아니라 측면이나 후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A
도 29를 보면,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는 제1취출가이드(1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을 통해 일정한 양의 사료가 취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는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의 반대편인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앞쪽에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22에서 보듯이,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는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에 형성된 제1사료배출구(133)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29 , a first take-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는 대략 원통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의 내부에는 상기 제1피더(140)를 구성하는 제1취출레귤레이터(147)가 배치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의 측면에는 상기 제1사료배출구(133)와 연결되는 제1정량취출구(134a)가 있다. 상기 제1피더(140)에 의해 이송된 사료는 상기 제1정량취출구(134a)와 상기 제1사료배출구(133)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1취출구의 제1취출입구(124')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제1피더(140)에 의해 이송된 사료는 먼저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의 안쪽으로 전달된 후에 상기 제1취출구로 투입되므로, 일정한 양의 사료가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1 , the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아래쪽에는 제1사료플레이트(13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는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는 상기 사료도어(121)에 연결되고, 상기 사료도어(121)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도 함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에 사료를 투입할 수 있다. A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에는 잔량감지센서(136a,136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잔량감지센서(136a,136b)는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 존재하는 사료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잔량감지센서(136a,136b)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의 양쪽에 각각 발광부와 수광부가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이므로,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로 사료의 잔존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잔량감지센서(136a,136b)는 서로 이격된 제1잔량감지센서(136a)와 제2잔량감지센서(136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잔량감지센서(136a)는 상대적으로 제1사료투입구(132)에 가깝게 배치되어,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 근처에 사료가 잔존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잔량감지센서(136b)는 상기 제1잔량감지센서(136a) 보다 상기 사료도어(121)에 가깝게 배치되어 제1사료케이스(131)의 전방 쪽에 사료가 남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maining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에는 제1연장레일(13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레일(137)은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가 아웃케이스(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리를 늘리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연장레일(137)은 상기 제1사료플레이트(135)의 하부에 겹쳐지면서 수납되거나 제1사료플레이트(135)로부터 펼쳐지면서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제1연장레일(137)은 생략되거나, 또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인출거리를 더 증가시킬 수도 있다. A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에 구비된 제1피더(140)를 보면, 상기 제1피더(140)는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사료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1피더(140)는 제1취출모터(M1, 도 30참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제1피더(1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사료가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도 30에서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은 상기 제1취출모터(M1)에서 분리되어 있는데, 상기 제1취출모터(M1)의 제1클립(M1a)은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제1모터연결부(141)와 맞물린다. Looking at the
도 31과 도 32을 참조하여 상기 제1피더(14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1피더(140)는 상기 제1취출모터(M1)에 연결되는 제1모터연결부(141)와, 상기 제1모터연결부(141)에 결합된 제1후방푸셔(143)와, 상기 제1후방푸셔(143)에 연결된 제1전방푸셔(1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방푸셔(145)에는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가 연결된다. 상기 제1후방푸셔(143), 상기 제1전방푸셔(145) 및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취출모터(M1)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면부호 141a는 상기 제1모터연결부(141)의 결합돌부를 나타내고, 143a는 상기 결합돌부(141a)에 끼워지는 상기 제1후방푸셔(143)의 연결단부를 나타낸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후방푸셔(143)는 스프링구조일 수 있고, 제1전방푸셔(145)는 스크류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제1사료공간 내부에서 단위체적당 차지하는 부피를 보면, 상기 제1후방푸셔(143)는 상기 제1전방푸셔(145) 보다 부피가 작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후방푸셔(143)는 사료를 교반하고 빠르게 이송시킬 수 있고, 제1전방푸셔(145)는 상기 사료의 이송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면부호 143b는 상기 후방푸셔에서 연장된 연결암을 나타내는데, 상기 연결암(143b)은 상기 제1전방푸셔(145) 내부의 푸셔삽입홈(145a, 도 29 참조)에 끼워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상기 제1후방푸셔(143)는 상기 제1전방푸셔(145) 보다 전후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후방푸셔(143)는 사료의 교반 및 빠른 이송기능을 담당하고, 제1전방푸셔(145)로 사료를 전달한다. 전달된 사료는 상기 제1전방푸셔(145)의 날개들 사이로 투입되는데, 상기 날개들 사이의 제한된 피치 안에서 사료는 일정한 양씩 나뉘게 된다. 이렇게 정밀하게 구분된 사료들은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에 전달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는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의 제1정량취출구(134a)로 사료를 취출한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피더(140)는 교반 및 빠른 이송을 담당하는 부분과, 정량을 취출하기 위한 부분으로 이원화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는 상기 제1전방푸셔(145) 보다 날개들의 면적이 넓고, 일종의 프로펠러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는 상기 제1전방푸셔(145) 보다 전후길이가 짧고,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의 안쪽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의 날개 사이사이에 투입된 사료는 상기 제1정량취출구(134a)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에 의해 한 번에 배출되는 사료의 량은 상기 날개 사이의 공간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도 29를 참고하면,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의 내부에는 축홀(147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홀(147a)은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의 중심부에 형성된 빈 공간이다. 상기 축홀(147a)에는 회전축(148)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148)은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의 회전중심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9 , a
한편, 도 33와 도 34에는 상기 제1피더(140)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3에서 보듯이, 상기 제1피더(140')에는 상기 제1전방푸셔(145)가 생략되고, 상기 제1후방푸셔(143)와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34에서 보듯이, 상기 제1피더(140'')에는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가 생략되고, 상기 제1후방푸셔(143)와 상기 제1전방푸셔(145)만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FIGS. 33 and 34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한편,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사료케이스(151)에 사료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사료케이스(151)에는 제2취출모터(M2)에 의해 회전하는 제2피더(16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을 구성하는 제2사료케이스(151)에는 150번대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제2피더(160)에는 16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Meanwhile, the second
다음으로 트레이부(170)를 살펴보면, 상기 트레이부(170)는 상기 취출실(C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170)는 상기 취출실(C3)의 내부에서 음료와 사료를 공급받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반려동물에게 음료와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실시례에서 상기 트레이부(170)는 취출실(C3) 내부에서 회전하여 다수개의 보울(177)에 각각 음료와 사료를 담을 수 있고, 취출실(C3)의 외부로 인출되어 담긴 음료와 사료를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Looking at the
도 14 내지 도 39을 참조하여 상기 트레이부(170)의 구조를 보면, 상기 트레이부(170)에는 트레이도어(17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4에서 보듯이,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아웃케이스(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도어(171)가 인출되면 상기 트레이부(170)의 회전트레이(175)와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안착된 보울(177)들도 상기 트레이도어(171)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트레이도어(171)에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가스켓(172, 도 39참조)이 결합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트레이부(170)는 상기 취출실(C3)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트레이부(170)는 취출실(C3)의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취출실(C3)의 바닥면의 위쪽에는 상기 아웃저면부(15)와 소정높이만큼 이격되어 트레이가이드(173)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가이드(173)는 상기 트레이도어(171)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도어(17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The
상기 트레이가이드(173)는 대략 사각판상 구조일 수 있고, 중심에는 트레이회전공간(17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회전공간(173a)을 통해서 상기 회전트레이(175)와 트레이회전모듈(18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트레이회전공간(173a)은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후단에서 중심부까지 형성되나, 이와 달리 상기 트레이회전공간(173a)은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중심부를 관통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도 40과 도 41을 참고하면,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에는 터치부(1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174)는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뒤쪽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상면에서 직교하게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터치부(174)에는 누름부재(311, 도 39참고)가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재(311)는 취출실(C3) 내의 후벽면(이너프레임 내의 후벽면)에 구비되는 복귀스위치(미도시)를 눌러, 상기 트레이부(170)가 취출실(C3)의 내부로 완전히 복귀했음을 제어부에 알릴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0 and 41 , a
상기 트레이부(170)에는 회전트레이(1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상부에 안착되고,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상부에는 보울(177)들이 보관된다.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되면 상기 보울(177)들도 함께 회전한다. 상기 보울(177)들이 특정 위치로 회전되면서 각 보울(177)들에 사료와 음료가 담길 수 있다. A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대략 사각판구조이고,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상부에는 보울가이드(1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울가이드(176)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보울가이드(176)의 안쪽에 형성된 보울홈(BS, 도 49참고)에는 보울(177)이 안착된다. 상기 보울가이드(176)는 상기 보울(177)을 감싸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하거나 입출할 때 보울(177)이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울가이드(176)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거나, 또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The
상기 보울가이드(176)에는 보울(177)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보울(177)은 사료나 음료가 담겨 반려동물에게 제공되는 식기이다. 상기 보울(177)은 상기 보울가이드(176)로부터 분리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보울(177)을 세척한 후에 다시 보울가이드(176)에 장착할 수 있다. A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울(177)은 총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3개의 보울(177)들은 서로 다른 반려동물들에게 각각 음료나 사료를 공급할 수도 있고, 또는 3개의 보울(177)들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나 사료들이 담겨 반려동물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보울(177)들은 회전을 통해 상기 사료덕트(123)의 트레이배출관(127)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보울(177)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트레이배출관(127)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음료나 사료가 공급된 후에,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하여 다른 보울(177)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 하부에 배치되어 음료나 사료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The
도 36 내지 도 39를 보면, 상기 회전트레이(175)와 상기 보울(177)들이 회전하여, 보울(177)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개의 보울들에 서로 다른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36을 기준으로 우측하부에는 제1보울이 배치되고, 반시계방향을 따라 제2보울과 제3보울이 배치된다. 도면부호 127가 가리키는 사각형 점선은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36 to 39, it can be seen that the
도 36의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을 통해 사료 또는 간식이 배출되면, 상기 제1보울에 사료 또는 간식이 담길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후술할 트레이회전모듈(180)에 의해 화살표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37과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1보울은 좌측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아래쪽인 우측 하부에는 제2보울이 배치된다. 이번에는 상기 제2보울에 사료 또는 간식이 담길 수 있다. When feed or snacks are discharged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도 38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제2보울은 좌측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아래쪽인 우측 하부에는 제3보울이 배치된다. 따라서, 이번에는 상기 제3보울에 사료 또는 간식이 담길 수 있다. And, whe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120도씩 회전하면서 3개의 보울(177)들에 각각 사료나 간식을 담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하면서 3개의 서로 다른 보울(177)들에 각각 사료나 간식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트레이배출관(127)을 여러 개 두지 않고 하나의 트레이배출관(127)만 구비하더라도 복수개의 보울(177)들에 각각 사료가 공급될 수 있다. In this way,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울(177)들은 3개로 구성되지만, 상기 보울(177)들이 두 개이거나 또는 네 개 이상일 수도 있다. 만약 상기 트레이부(170)에 두 개의 보울(177)들이 구비된다면,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180도씩 회전될 수 있고, 네 개의 보울(177)들이 구비된다면,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90도씩 회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는 메인회전기어(1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트레이회전모듈(180)의 제2구동기어(183b)와 맞물린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상기 메인회전기어(185)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 결합되므로, 상기 트레이부(17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트레이부(170)와 함께 이동한다. 한편, 상기 제2구동기어(183b)는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고정된 부품이므로, 상기 트레이부(170)가 인출되면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제2구동기어(183b)와는 분리된다. A
이처럼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구비되지만,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회전을 위한 구성이므로 상기 트레이회전모듈(18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도면부호 177은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를 감싸는 기어펜스를 나타낸다. As such, although the
상기 트레이도어(171)의 하부에는 인출브라켓(179, 도 43참조)이 연결되는데,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입출을 위한 것이다.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이드홀(17a)을 통해 상기 트레이도어(171)에 연결되는데, 가이드브릿지(179b)가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도어(17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부(170)의 입출을 위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 take-out bracket (179, see FIG. 43)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도 14를 보면,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는 트레이회전모듈(1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회전모듈(180)은 상기 회전트레이(175)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트레이회전모터(181)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회전모듈(180)은 회전트레이(175)를 회전시켜 상기 복수개의 보울(177)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료부(120)의 공급관인 트레이배출관(127)의 하부에 배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트레이회전모듈(180)은 상기 취출실(C3)의 바닥부에 형성된 상기 회전모듈장착부(52)에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a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를 도시한 도 35를 보면, 상기 트레이회전모듈(180)에는 트레이회전모터(18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에는 구동기어(183)가 맞물린다. 상기 구동기어(183)는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에 맞물리는 제1구동기어(183a)와, 상기 제1구동기어(183a)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183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구동기어(183b)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메인회전기어(185)와 맞물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를 회전시킨다. Referring to FIG. 35 showing the lower part of the
상기 트레이회전모듈(180)은 상기 회전트레이(175)를 회전시키되, 상기 보울(177)들 중 어느 하나가 특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례에는 위치 감지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 감지부(320)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회전 각도를 제어한다고 볼 수도 있다. 상기 위치 감지부(320)의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The
한편, 상기 트레이도어(171), 상기 트레이가이드(173) 및 상기 회전트레이(175)를 포함하는 트레이부(17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후방으로 입출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례에서 상기 트레이부(170)는 자동으로 입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음식물 공급장치에는 트레이인출모듈(190)이 구비된다. Meanwhile, the
도 42 및 도 43를 보면,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은 상기 아웃저면부(15)에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은 리드스크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을 구성하는 인출모터(191)는 상기 아웃저면부(15)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모터(191)에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193)이 연결된다. 상기 스크류축(193)은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이드홀(17a) 하부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인출모터(191)는 상기 스크류축(193)을 회전시키고, 스크류축(193)은 회전하면서 상기 트레이부(17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2 and 43 , the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스크류축(193)은 상기 가이드홀(17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스크류축(193)에는 상기 트레이부(170)의 인출브라켓(179)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스크류너트에 해당한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축(193)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있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스크류축(193)이 회전하면 상기 스크류축을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인출브라켓(179)에는 가이드브릿지(179b)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도어(171)의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에 의해 상기 인출브라켓(179)을 따라 상기 트레이부(170)가 직선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
이때,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이드홀(17a)을 통해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부(17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면부호 193a는 상기 스크류축(193)이 상기 인출모터(191)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나타낸다. 본 실시례와 달리,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도어(171)의 사이가 아니라,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사이를 연결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은 볼스크류 구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류축(193)의 나사산과 상기 인출브라켓(179)의 상대나사산 사이에는 볼(강구)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은 일종의 볼베어링 역할을 하여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의 작동효율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 스크류축(193)의 양쪽에는 가이드축(194)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194)은 상기 인출브라켓(179)의 연결단부(179a)와 연결되어,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2을 보면,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하부에는 스토퍼(1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95)는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앞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인출모터(191)에 의해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직선이동할 수 있는데,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장 앞쪽까지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195)에 닿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195)에는 눌림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부(170)가 끝까지 이동하였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2 , a
이처럼, 본 실시례에는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에는 인출모터(191)가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부(170)를 자동으로 직선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인출모터(191)가 생략되고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트레이부(17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는 상기 스크류축(193)을 대신하여, 상기 아웃케이스(10)에는 인출가이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가이드부는 단순한 봉 형태의 가이드포스트이거나, 상기 트레이부(170)가 끼워지는 가이드슬롯 구조일 수도 있다. As such,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39와 도 51을 참고하여 상기 위치 감지부(320)를 살펴보면, 상기 위치 감지부(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321)와 홀센서(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321)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바닥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홀센서(322)는 상기 취출실(C3) 내의 바닥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센서(322)는 센서피씨비(322a)에 설치될 수 있다.Looking at the
상기 보울(177)의 상부가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출구를 향하게 될 경우 상기 마그네트(321)와 홀센서(322)는 서로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321)와 홀센서(322)가 일치되도록 배치되면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When the top of the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배치된 세 개의 보울(177)들이 각각 특정 위치(트레이배출관(127)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는 총 3개의 마그네트(321)가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detect that each of the three
다른 예로써, 도 52에 보듯이, 상기 위치 감지부(320)는 가압부재(323)와 회전감지스위치(3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23)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저면에는 구비되고, 상기 회전감지스위치(324)는 상기 이너프레임(30)의 바닥에 구비된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52 , the
이렇게 되면,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되면서 각 보울(177)의 입구가 트레이배출관(127)의 출구를 향할 경우에 상기 가압부재(323)가 상기 회전감지스위치(324)의 접점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323)가 상기 회전감지스위치(324)의 접점을 가압하면 트레이회전모터(181)의 구동이 정지된다. 도 53에서 보듯이,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배치된 세 개의 보울(177)들이 각각 특정 위치(트레이배출관(127)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는 총 3개의 가압부재(323)가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한편,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는 트레이부(170)의 후퇴 이동을 위한 제어시 회전트레이(175)를 회전시키는 제1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동작은 이동모듈(190)의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수납 감지부(310)의 감지신호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는 사료 공급을 위한 회전트레이(175)의 회전 제어시 회전트레이(175)를 회전시키는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음식물 공급장치의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부(60)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전방, 즉 상기 음료저장실(C1) 방향(화살표B)로 토출된다. 그리고 열전소자(65)에서 발생한 열은 후방인 아웃케이스(10)의 바깥쪽(화살표A)으로 토출된다. 상기 음료저장실(C1)로 토출된 냉기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을 냉각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선호하는 음료의 온도가 15도라면,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설정온도는 15도로 냉각될 수 있다. Next, a process of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food supply device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FIG. 11 , the air cooled by the cooling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배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온도가 설정온도가 되면, 상기 제1댐퍼(D1)가 개방되고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냉기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4를 보면, 상기 제1댐퍼(D1)를 통해 상기 음료저장실(C1)의 공기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로 공급되는 경로가 화살표①로 표현되어 있다. Although not show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reaches a set temperature, the first damper (D1) is opened and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cold air of may be delivered to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Referring to FIG. 14,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is supplied to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hrough the first damper D1 is indicated by an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로 공급된 냉기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도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온도가 설정온도가 되면 상기 제2댐퍼(D2)가 개방되고,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냉기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4에서 화살표②는 제1사료저장실(C2a)의 냉기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로 전달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므로, 차가운 냉기가 자연스럽게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로 이동할 수 있다.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t this time,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is also provided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If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reaches the set temperature, the second damper (D2) is opened, and the cold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can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there is. In FIG. 14, an
한편,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는 상기 회수덕트(7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70)의 제1덕트흡입부(73)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후방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는 상기 제1덕트흡입부(73)의 방향(도 14의 화살표①'방향)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덕트(70)로 회수된 공기는 상기 냉각부(60)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hamber (C2a)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recovery duct (70). Since 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도 역시 상기 회수덕트(7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70)의 제2덕트흡입부(75)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후방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는 상기 제2덕트흡입부(75)의 방향(도 14의 화살표②'방향)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덕트(70)로 회수된 공기는 상기 냉각부(60)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In addition, air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may also be discharged through the
이처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바깥쪽으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회수덕트(70)를 통해 회수되어 상기 냉각부(60) 쪽으로 다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료와 간식 등에서 발생하는 냄새도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다. In this way, the air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air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re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및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각 온도가 설정 온도를 만족하면, 상기 제1댐퍼(D1)와 상기 제2댐퍼(D2)는 차단되어 상기 각 실이 서로 독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건사료가 보관될 경우에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온도는 실온으로 유지되어도 무방하므로, 상기 제2댐퍼(D2)를 통해 냉기가 전달될 필요가 없게 된다. When each temperature of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satisfies the set temperature, the first damper (D1) and the second damper (D2) It is blocked so that the respective rooms may remain independent of each other. In addition, when dry feed is stor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may be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cold air needs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damper (D2). there will be no
한편,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은 음압을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케이스(30)에는 압력모듈(76)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이너케이스(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압력을 낮추고, 제2사료저장실(C2b)을 일종의 음압실로 만든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보관되는 사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feed storage chamber (C2a)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hamber (C2b) may maintain negative pressure. Referring to FIG. 13 , a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흡입구(77, inlet)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배출구(78, outlet)는 상기 음료저장실(C1)에 연결된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진공펌프에 의해 음압이 형성될 수 있고, 사료의 산화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음료탱크(83)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커버(84)에 의해 차폐되므로, 음압을 통해 산화를 방지하지 않더라도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다. An air inlet (77) of the vacuum pump is connected to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nd an air outlet (78) of the vacuum pump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C1). A negative pressur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by a vacuum pump, and oxidation of feed may be prevented. Meanwhile, since the
상기 진공펌프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의 압력이 기준값 보다 높을 경우에 작동을 시작하고, 기준값(예를 들어 1기압) 보다 낮아지면 작동을 멈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뿐 아니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내부의 압력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연결하는 제2댐퍼(D2)가 개방되고, 동시에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댐퍼(D1)가 차단되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서로 연결되어 압력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하면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이 배기되면서 동시에 제1사료저장실(C2a)도 배기되어, 각각 내부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The vacuum pump may start operating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i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stop operating when the press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for example, 1 atmospheric pressure). 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상기 음료가 취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음료는 상기 음료부(80)와 유로모듈(100)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음료는 물인 것을 예로 들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i) 수돗물이나 정수물 등 외부의 물이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취출되거나, (ii) 수돗물이나 정수물 등 외부의 물이 상기 음료탱크(83)에 주입되어 냉각된 후 트레이부(170)에 취출될 수 있다. Next, looking at the process of dispensing the beverage, the beverage may be supplied through the
먼저 물이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취출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외부연결관(P1)을 통해 상기 정수필터(101)에 외부의 물이 공급되면, 상기 정수필터(101)를 거쳐 정화된 물은 상기 메인공급관(P2a)을 통해 상기 제1밸브(V1)로 전달된다.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음료주입관(P3a)을 차단하고, 직수공급관(P2b)을 개방시켜 정화된 물을 상기 직수공급관(P2b)에 연결된 직수배출노즐(P2c)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직수배출노즐(P2c)을 통해서 정화된 물이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에 채워질 수 있다. First, looking at the process in which water is directly taken out to the
그리고, 냉각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외부연결관(P1)을 통해 상기 정수필터(101)에 외부의 물이 공급되면, 상기 정수필터(101)를 거쳐 정화된 물은 상기 메인공급관(P2a)을 통해 상기 제1밸브(V1)로 전달된다.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직수공급관(P2b)을 차단하고, 음료주입관(P3a)을 개방시켜 정화된 물이 음료탱크(83)에 주입되도록 한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supplying cooling water, when external water is supplied to the
상기 음료탱크(83)에 담긴 물은 냉각된 후에, 상기 유로펌프(103)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로펌프(103)는 상기 음료배출관(P3b)과 상기 음료전달관(P3c)을 통해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제2밸브(V2)에 전달한다.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음료전달관(P3c)과 트레이배출노즐(P3d)을 각각 개방시켜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을 통해 보울(177)에 냉각된 물이 채워지도록 한다. After the water contained in the
한편, 상기 유로펌프(103)와 상기 제1밸브(V1) 및 제2밸브(V2)를 이용하여 상기 음료탱크(83)와 상기 유로를 세척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밸브(V1)에 의해 상기 직수공급관(P2b), 상기 메인공급관(P2a) 및 상기 음료주입관(P3a)이 각각 차단되고, 상기 제2밸브(V2)에 의해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이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음료탱크(83)가 작동하면 상기 음료배출관(P3b)으로부터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어 상기 음료전달관(P3c)을 통해 이동된다. 그리고, 물은 제2밸브(V2)에 연결된 외부배출관(P4)을 통해 바깥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음료탱크(83)의 잔수와, 상기 유로에 남은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모듈(100)을 통해 상기 음료탱크(83)에 물을 다시 채우고, 채워진 물을 앞선 과정을 통해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음료탱크(83)를 세척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다음로, 사료가 취출되는 과정을 보면, 제1사료저장실(C2a)에 저장된 사료(습식사료인 간식 등)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저장된 사료(건사료)는 서로 독립적으로 취출될 수 있다. 먼저 제1사료저장실(C2a)의 사료가 취출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제1취출모터(M1)가 회전하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제1피더(140)가 회전하면서 사료를 전방으로 이송시킨다. Next, looking at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feed, the feed (wet food snack, etc.) stored in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and the feed (dry feed) stored in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C2b) are taken ou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can be. First, looking at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feed from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C2a, when the first take-out motor M1 rotates, the
이때, 상기 제1피더(140)의 상기 제1후방푸셔(143)는 사료의 교반 및 빠른 이송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제1전방푸셔(145)로 사료를 전달한다. 전달된 사료는 상기 제1전방푸셔(145)의 날개들 사이로 투입되는데, 상기 날개들 사이의 제한된 피치 안에서 사료는 일정한 양씩 나뉘게 된다. 이렇게 정밀하게 구분된 사료들은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에 전달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제1취출레귤레이터(147)는 상기 제1취출가이드(134)의 제1정량취출구(134a)로 사료를 취출한다. At this time, the first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에서 취출된 사료는 상기 사료덕트(123)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에 담긴다. 그리고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의한 건사료의 공급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eed taken out from the first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울(177)들은 다수개로 구성되므로, 각 보울(177)에 서로 다른 사료나 음료를 담기 위해서는 상기 트레이부(170)의 회전이 필요하다. 상기 트레이부(170)가 회전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트레이회전모듈(180)의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가 회전하면,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에 맞물리는 제1구동기어(183a)와, 상기 제2구동기어(183b)가 맞물려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기어(183b)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메인회전기어(185)와 맞물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를 회전시킨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상기 메인회전기어(185)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트레이(175)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보울(177)들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6의 상태에서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270도 회전하면 도 37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회전각도는 상기 홀센서(322)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회전을 통해서 상기 각 보울(177)들에 사료와 음료가 각각 담길 수 있다. When the
상기 보울(177)들에 사료와 음료가 담긴 후에는, 상기 트레이부(170)가 인출되어 반려동물에게 사료와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인출과정을 보면,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을 구성하는 인출모터(191)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축(193)을 회전시킨다. 상기 스크류축(193)이 회전되면, 상기 스크류축(193)을 따라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직선이동하게 된다. After food and beverages are contained in the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를 통해 상기 트레이부(170)의 트레이도어(171)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브라켓(179)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트레이부(17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부(17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보울(177)들도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44 내지 도 46를 보면, 상기 트레이부(170)를 구성하는 트레이도어(171), 트레이가이드(173), 회전트레이(175) 및 보울(177)들이 전방(화살표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장 앞쪽까지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195)에 닿게 되고 동작을 멈추게 된다. The
도 47을 보면, 상기 각 보울(177)들이 서로 멀어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에는 분리레일(R)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가이드(176)들은 상기 분리레일(R)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분리레일(R)은 세 갈래를 형성하고, 각각의 분리레일(R)에는 베어링(B)이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7, the
구체적으로 보면, 도 48에서 보듯이, 상기 회전트레이(175)에는 분리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모듈은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구비된 분리레일(R)과, 상기 보울(177)들에 구비된 레일가이드(17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레일가이드(176')는 상기 보울(177)을 감싸는 보울가이드(176)에 구비되지만, 상기 보울가이드(176)가 생략되면 상기 레일가이드(176')는 상기 보울(177)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48과 도 49에는 세 개의 보울가이드(176)들에 서로 다른 도면부호(176a~176c)를 부여하여 구분하였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8 , a separation module may be provided in the
상기 분리레일(R)들은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레일(R)은 상기 회전트레이(175)에서 함몰된 레일장착부(175a)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분리레일(R)은 상기 보울(177)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총 3개로 구성되지만, 상기 분리레일(R)의 개수는 보울(177)들의 개수에 맞추어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도 있다. The separation rails R may be radially provided on the
도 49에서 보듯이, 상기 보울가이드(176)의 저면에는 상기 분리레일(R)을 따라 안내되는 레일가이드(1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가이드(176')는 상기 분리레일(R)에 맞물려, 상기 레일가이드(176')가 상기 분리레일(R)을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가이드(176')가 구비된 상기 보울가이드(176) 및 상기 보울(177)도 상기 레일가이드(176')와 함께 일정한 경로를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레일가이드(176')는 상기 분리레일(R)을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분리모듈의 전체 길이를 늘리거나 줄인다고 볼 수도 있다. 도 49에서 도면부호 'BS'는 상기 보울(177)이 안착되는 상기 보울가이드(176)의 보울홈을 나타낸다. As shown in FIG. 49, a rail guide 176' guided along the separation rail R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도 49와 도 50을 보면, 상기 분리레일(R)과 상기 레일가이드(176') 사이에는 베어링(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B)은 상기 분리레일(R)과 상기 레일가이드(176') 사이의 상대이동시에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어링(B)은 상기 분리레일(R)의 안쪽에 상기 분리레일(R)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49 and 50, a bearing B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paration rail R and the rail guide 176'. The bearing B serves to reduce friction dur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separation rail R and the rail guide 176'. The bearing (B)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paration rail (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paration rail (R).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분리레일(R) 또는 상기 레일장착부(175a)에는 스토퍼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레일가이드(176')가 상기 분리레일(R)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분리레일(R) 또는 상기 레일장착부(175a)의 끝부분에 돌출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 stopper part may be provided on the separation rail R or the
사용자가 상기 보울가이드(176)들을 상기 분리레일(R)을 따라 이동시키면, 각각의 보울(177)들이 서로 멀어져 도 47 및 도 48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처럼 각 보울(177)들이 서로 멀어지면,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들이 서로 간섭 없이 각 보울(177)에 담긴 사료나 음료를 먹을 수 있다. 반려동물들이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 사용자가 상기 보울(177)들을 다시 가까워지도록 원위치시키고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이 작동하면, 상기 트레이부(170)가 다시 상기 취출실(C3)로 수납될 수 있다. When the user moves the bowl guides 176 along the separation rail R,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아웃케이스
17: 공급스테이션
17a: 가이드홀
20: 케이스커버
30: 이너케이스
31: 이너상면부
32: 이너후면부
33: 이너측면부
35: 이너저면부
41: 냉각홀
41a: 냉각플랜지
43: 유로설치구
44: 탱크가이드레일
45a: 제1연통로
45b: 제2연통로
46a: 제1회수구
46b: 제2회수구
47a: 제1사료공급로
47b; 제2사료공급로
48,49: 모듈가이드레일
51: 유로통과부
60: 냉각부
61: 히트싱크
65: 열전소자
67: 콜드싱크
68: 냉각그릴
70: 회수덕트
71: 메인회수관
72: 덕트배출부
73: 제1덕트흡입부
75: 제2덕트흡입부
76: 압력모듈
77: 공기흡입구
78: 공기배출구
80: 음료부
81: 음료도어
83: 음료탱크
86: 탱크브라켓
87: 음료커넥터
88: 수위센서
100: 유로모듈
101: 정수필터
103: 유로펌프
120: 사료부
121: 사료도어
123: 사료덕트
124: 제1취출부
125: 상부연결관
126: 제2취출부
127: 트레이배출관
128: 배출가이드
128a: 가이드경사면
130: 제1사료공급모듈
131: 제1사료케이스
132: 제1투입구
134: 제1취출가이드
135: 제1사료플레이트
140: 제1피더
141: 제1모터연결부
143: 제1전방푸셔
145: 제1후방푸셔
147: 제1취출레귤레이터
150: 제2사료공급모듈
151: 제2사료케이스
152: 제2투입구
154: 제2취출가이드
155: 제2사료플레이트
160: 제2피더
161: 제2모터연결부
163: 제2전방푸셔
165: 제2후방푸셔
167: 제2취출레귤레이터
170: 트레이부
171: 트레이도어
173: 트레이가이드
175: 회전트레이
177: 보울
178: 누름돌기
179: 인출브라켓
180: 회전모듈
181: 트레이회전모터
183: 구동기어
185: 메인회전기어
190: 트레이인출모듈
191: 인출모터
193: 스크류축
BM: 진동모듈
C1: 음료저장실
C1a: 제1사료저장실
C1b: 제b사료저장실
C3: 취출실
D1: 제1댐퍼
D2: 제2댐퍼
L: 조사부
P1: 외부연결관
P2a: 메인공급관
P2b: 직수공급관
P2c: 직수배출노즐
P3a:음료주입관
P3b: 음료배출관
P3c: 음료전달관
P3d: 트레이배출노즐
P4: 외부배출관
V1: 제1밸브
V2: 제2밸브
W1: 제1단열벽
W2: 제1단열벽
W3: 제3단열벽10: Outcase 17: Feed station
17a: guide hole 20: case cover
30: inner case 31: inner upper surface
32: Inner rear part 33: Inner side part
35: inner bottom part 41: cooling hole
41a: cooling flange 43: passage installation hole
44:
45b:
46b:
47b; Second
51: flow passage part 60: cooling part
61: heat sink 65: thermoelectric element
67: cold sink 68: cooling grill
70: recovery duct 71: main recovery pipe
72: duct discharge unit 73: first duct intake unit
75: second duct intake 76: pressure module
77: air inlet 78: air outlet
80: beverage unit 81: beverage door
83: beverage tank 86: tank bracket
87: beverage connector 88: water level sensor
100: Euro module 101: Water filter
103: flow pump 120: feed part
121: feed door 123: feed duct
124: first take-out 125: upper connection pipe
126: second take-out part 127: tray discharge pipe
128:
130: first feed supply module 131: first feed case
132: first inlet 134: first take-out guide
135: first feed plate 140: first feeder
141: first motor connection part 143: first front pusher
145: first rear pusher 147: first take-out regulator
150: second feed supply module 151: second feed case
152: second inlet 154: second take-out guide
155: second feed plate 160: second feeder
161: second motor connection part 163: second front pusher
165: second rear pusher 167: second take-out regulator
170: tray unit 171: tray door
173: tray guide 175: rotating tray
177: bowl 178: push protrusion
179: withdrawal bracket 180: rotation module
181: tray rotation motor 183: drive gear
185: main rotation gear 190: tray withdrawal module
191: take-out motor 193: screw shaft
BM: Vibration module C1: Beverage storage room
C1a: first feed storage room C1b: first feed storage room
C3: take-out room D1: first damper
D2: 2nd damper L: irradiation part
P1: External connection pipe P2a: Main supply pipe
P2b: Direct water supply pipe P2c: Direct water discharge nozzle
P3a: beverage injection pipe P3b: beverage discharge pipe
P3c: beverage delivery pipe P3d: tray discharge nozzle
P4: External discharge pipe V1: 1st valve
V2: second valve W1: first insulating wall
W2: first insulating wall W3: third insulating wall
Claims (27)
상기 사료저장실에 배치되고, 사료를 보관 및 공급하는 사료부;
상기 사료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외부로 입출되며, 상기 사료부에서 배출된 사료를 수납하는 복수개의 보울들이 구비되는 트레이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부를 회전시켜 상기 복수개의 보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료부의 공급관 하부에 배치시키는 트레이회전모듈;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A case in which a feed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therein;
a feed unit disposed in the feed storage room and storing and supplying feed;
a tray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owls disposed under the feed unit, moving in and out of the case, and accommodating feed discharged from the feed unit;
and a tray rotation module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rotating the tray unit to place one of the plurality of bowls under the supply pipe of the feed unit.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the tray unit is provided with a rotating tray rotated by the tray rotating module, and the plurality of bowls are seated on top of the rotating tray.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the tray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paration rails, and the plurality of bowls move away from or approach each other while linearly moving along the plurality of separation rails.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a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inside the case, a beverage unit is disposed in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beverage unit supplies beverages to the tray unit.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4, wherein a flow path module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unit, and a discharge nozzle of the flow path module opens toward the tray unit together with the supply pipe of the feed unit.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a cooling unit is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the cooling unit discharges cold air into the food storage compartment or the beverage storage compartment.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a tray take-out module is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the train take-out module moves the tray unit in and out of the cas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ray unit, the tray rotation module, and the tray withdrawal module are disposed in a take-out room formed inside the case, and the tray unit is provided with a tray door for shielding an entrance of the take-out room. food feeder for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8, wherein the tray unit includes a rotation tray on which the plurality of bowls are seated and rotated by the tray rotation module, and the rotation tray is seated on a tray guide connected to the tray door. .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9, wherein the tray door, the tray guide, and the rotating tray are linearly moved together by a tray take-out module.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 wherein the tray rota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tray rotation motor, and the tray rotation motor is connected to a main rotation gea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tray to rotate the rotation tray.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tray rotation module includes a drive gear connected to the tray rotation motor, the drive gear meshes with the main rotation gear of the rotation tray, the tray rotation motor and the drive gear are disposed in the case, , The main rotation gear is fixed to the rotation tray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 wherein a posi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rotational angle of the rotating tray is provided inside the case facing the rotating tray.
상기 회전트레이의 바닥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면서 상기 마그네트가 대향되도록 위치될 경우 해당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position sensing unit
At least one or more magnet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rotating tray; And,
A companion animal food supply device comprising a hall sensor provided in the case and detecting a corresponding magnet when the magnet is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상기 회전트레이의 바닥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면서 상기 가압부재가 대향되도록 위치될 경우 접점을 가압하는 회전감지스위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position sensing unit
At least one pressing member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rotating tray; and
A companion animal food supply device comprising a; rotation sensing switch provided in the case and pressurizing a contact point when the pressing member is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separation rails are radially provided on the rotating tray of the tray unit.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3, wherein rail guides guided along the separation rails are provided on bottom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owls.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bowls is detachably seated on a bowl guide, and a rail guide guided along the separation rail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wl guide.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8, wherein a bearing is provided between the separation rail and the rail side.
제1사료공급모듈이 수납되는 제1사료저장실;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사료공급모듈이 수납되는 제2사료저장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사료저장실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은 사료덕트에 의해 서로 연결된 하나의 사료공급경로를 공유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eed storage room
A first feed storage room in which a first feed supply module is stored; and
A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disposed under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accommodating a second feed supply module;
The first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feed storage compartment share one feed supply path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eed duct.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eed storage room and the beverage storage room are partitioned from the take-out room where the tray unit is disposed by a partition wall, and the supply pipe of the feed part and the discharge nozzle of the drink part pass through the partition wall to enter the take-out room. Food feeder for pets that opens.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1, wherein the discharge nozzle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된 인출모터;
상기 인출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축;과
상기 트레이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축에 맞물려 상기 스크류축을 따라 직선이동하는 인출브라켓;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ray withdrawal module
a take-out motor disposed under the case;
A screw shaft rotated by the take-out motor; and
A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comprising a take-out bracket coupled to the tray unit and engaged with the screw shaft to linearly move along the screw shaft.
The food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3, wherein the withdrawal bracket is connected to the tray door of the tray unit.
The companion animal food supply device of claim 23, wherein a supply station is provided in front of the case, and when the tray unit is drawn out from the take-out room of the case, the tray unit is seated on top of the supply station.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5, wherein a guide hole is formed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tray unit in the supply station, and a guide bridge passing through the guide hole connects a take-out bracket of the tray take-out module and a tray door of the tray unit. Food feeder for companion animals.
상기 사료저장실에 배치되고, 사료를 토출하는 공급관이 구비되는 사료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사료저장실과 구획된 취출실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으로 직선이동되며, 상기 사료부에서 배출된 사료를 수납하는 복수개의 보울들이 구비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부에는 복수개의 분리레일들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분리레일들을 따라 상기 복수개의 보울들이 각각 직선이동하면서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A case in which a feed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therein;
A feed unit disposed in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and provided with a supply pipe for discharging feed; and
A tray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owls disposed in the take-out room partitioned from the feed storage compartment in the case, linearly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se, and accommodating the feed discharged from the feed unit,
The tray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paration rails, and the plurality of bowls move linearly along the plurality of separation rails, moving away from or approaching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43087A KR102829399B1 (en) | 2021-10-25 | 2021-10-25 | Pet Feed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43087A KR102829399B1 (en) | 2021-10-25 | 2021-10-25 | Pet Feeding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59060A true KR20230059060A (en) | 2023-05-03 |
| KR102829399B1 KR102829399B1 (en) | 2025-07-03 |
Family
ID=8638047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43087A Active KR102829399B1 (en) | 2021-10-25 | 2021-10-25 | Pet Feeding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829399B1 (en) |
Citations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530041A (en) * | 2004-03-22 | 2007-11-01 | エム. ターナー,ロバート | Animal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
| US7578261B2 (en) | 2005-11-30 | 2009-08-25 | Bergan, Llc | Pet water or food storage unit with stowable bowl |
| KR101321953B1 (en) | 2012-09-26 | 2013-10-28 | 박두환 | Automatic feeder of meal and snack for pets |
| KR101357504B1 (en) * | 2012-12-21 | 2014-02-13 | 김미진 | Feeder of feed for pet |
| KR101455193B1 (en) | 2013-05-16 | 2014-11-03 | 김정배 | Feeding device for animal |
| KR20200014605A (en) * | 2018-08-01 | 2020-02-11 | 주식회사 써랜라잇 | Smart feeding device with optional feeding |
| KR20200079185A (en) * | 2018-12-24 | 2020-07-02 | 박수현 | Feeding apparatus for pet and feeding method for pet using therewith |
| KR20210051366A (en) * | 2019-10-30 | 2021-05-10 | 이은혜 | a dog feeder with the function of making wet ingredients |
| KR20210101079A (en) * | 2020-02-07 | 2021-08-18 | 민병현 | Feed automatic feeder |
| KR20210110122A (en) * | 2020-02-28 | 2021-09-07 | 농업회사법인 렛츠팜 주식회사 | Apparatus for feeding support animal |
| US20210289745A1 (en) * | 2020-03-19 | 2021-09-23 | Chicony Electronics Co., Ltd. | Feeding apparatus and discharging adjustment structure thereof |
-
2021
- 2021-10-25 KR KR1020210143087A patent/KR10282939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530041A (en) * | 2004-03-22 | 2007-11-01 | エム. ターナー,ロバート | Animal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
| US7578261B2 (en) | 2005-11-30 | 2009-08-25 | Bergan, Llc | Pet water or food storage unit with stowable bowl |
| KR101321953B1 (en) | 2012-09-26 | 2013-10-28 | 박두환 | Automatic feeder of meal and snack for pets |
| KR101357504B1 (en) * | 2012-12-21 | 2014-02-13 | 김미진 | Feeder of feed for pet |
| KR101455193B1 (en) | 2013-05-16 | 2014-11-03 | 김정배 | Feeding device for animal |
| KR20200014605A (en) * | 2018-08-01 | 2020-02-11 | 주식회사 써랜라잇 | Smart feeding device with optional feeding |
| KR20200079185A (en) * | 2018-12-24 | 2020-07-02 | 박수현 | Feeding apparatus for pet and feeding method for pet using therewith |
| KR20210051366A (en) * | 2019-10-30 | 2021-05-10 | 이은혜 | a dog feeder with the function of making wet ingredients |
| KR20210101079A (en) * | 2020-02-07 | 2021-08-18 | 민병현 | Feed automatic feeder |
| KR20210110122A (en) * | 2020-02-28 | 2021-09-07 | 농업회사법인 렛츠팜 주식회사 | Apparatus for feeding support animal |
| US20210289745A1 (en) * | 2020-03-19 | 2021-09-23 | Chicony Electronics Co., Ltd. | Feeding apparatus and discharging adjustment structure thereof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829399B1 (en) | 2025-07-0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730239B1 (en) | Pet Feeding Device | |
| KR101188513B1 (en) | Refrigerator | |
| KR102730238B1 (en) | Pet Feeding Device | |
| KR20150133823A (en) | Water server | |
| KR20230059060A (en) | Pet Feeding Device | |
| KR20230059061A (en) | Pet Drink Dispenser | |
| KR20230059069A (en) | Pet Feeding Device with sliding door | |
| KR20230058804A (en) | Pet Feeding Device | |
| CN111609652B (en) | Entrance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 |
| KR20230059068A (en) | Pet Feeding Device with supply station | |
| KR20230059067A (en) | Pet Feeding Device with pressure module | |
| KR102829393B1 (en) | Pet Feeding Device | |
| KR20230059065A (en) | Pet Feeding Device | |
| KR20230059062A (en) | Pet Feeding Device | |
| KR102698969B1 (en) | Pet Feeding Device | |
| KR102868112B1 (en) | Food conveyor | |
| KR102743083B1 (en) | Pet Feed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 |
| KR20230059058A (en) | Food conveyor and pet feeding device having this | |
| KR102743085B1 (en) | Pet feed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 |
| KR20230059066A (en) | Food conveyor and pet feeding device having this | |
| KR102743081B1 (en) | Pet Feeding Device | |
| KR20230059047A (en) | Pet Feeding Device | |
| CN111609654B (en) | Entrance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 |
| KR20230058859A (en) | Pet Feed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102708224B1 (en) | Pet Feed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0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