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634A -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 Google Patents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97634A KR20230097634A KR1020210187339A KR20210187339A KR20230097634A KR 20230097634 A KR20230097634 A KR 20230097634A KR 1020210187339 A KR1020210187339 A KR 1020210187339A KR 20210187339 A KR20210187339 A KR 20210187339A KR 20230097634 A KR20230097634 A KR 202300976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se
- terminal
- connector block
- assembly
-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1 non-condu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01R13/684—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removable
- H01R13/68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removable with housing part adapted for accessing the fu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Fus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설치되는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원 연결을 위한 터미널의 설치가 용이한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installed in a batte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in which terminals for power connection are easily installed.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전기 자전거, 전원공급장치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and is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mobile devices, electric vehicles, electric bicycles, power supplies, and the like.
일례로, 순수 전기차, 하이브리드 전기차 등의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는 단일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묶은 배터리 팩의 형태로 제공된다.For example, secondary batteries used in electric vehicles such as pure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ttery pack in which single batteri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bundled into a single unit.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모듈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는 배터리 팩과,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회로부와, 전원 및 신호 전달을 위한 커넥터와, 과전류(또는/및 과전압)로부터 배터리 팩을 보호하기 위한 고전압 퓨즈를 포함한다.A battery module of an electric vehicle includes a case, a battery pack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a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 connector for power and signal transmission, and a battery pack from overcurrent (or/and overvoltage). Includes a high voltage fuse for protection.
그런데, 종래에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모듈 제작 시 커넥터, 고전압 퓨즈 등의 부품을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하여 조립하였는바, 부품을 개별적으로 조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작업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for an electric vehicle, parts such as a connector and a high voltage fuse were provided and assembled in separate configurations, resulting in the inconvenience of separately assembling the parts and an increase in man-hou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배터리 모듈에 설치되는 부품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recently, a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reduce assembly man-hours has been developed by integrally forming parts installed in the battery module.
그러나,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은 퓨즈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리고 핑거 세이프티(finger safety)를 만족할 수 있도록 퓨즈의 주변에 리브를 형성함에 따라 전원 또는/및 신호 전달을 위한 터미널의 설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prevents the fus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forms a rib around the fuse to satisfy finger safety, so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terminal for power or/and signal transmission. There was an inconvenient problem.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 연결을 위한 터미널의 설치가 용이한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in which a terminal for power connection is easily install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모듈에 구비되는 블록으로서, 배터리 모듈의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퓨즈 장착부를 포함한다.A fuse box-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lock provided in a battery module for an electric vehicle, a block body detachably coupled to a case of the battery module, and a fuse mounting unit integrally formed in the block body. includes
상기 퓨즈 장착부는 일면이 개방된 중공의 박스 형상이고, 상기 퓨즈 장착부의 타면에는 퓨즈 단자가 고정되는 한 쌍의 조립 패널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조립 패널은 상기 퓨즈 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의 설치를 위해 서로 이격되되, 상기 퓨즈 장착부에 설치된 퓨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The fuse mounting portion has a hollow box shape with one surface open, and a pair of assembly panels to which fuse terminals are fixed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use mounting portion. In this case, the pair of assembly panel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install terminals connected to the fuse terminals, and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to prevent the fuse installed in the fuse mounting par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조립 패널에는 상기 터미널의 조립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 슬롯은 상기 한 쌍의 조립 패널에 각각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게 위치된다.Meanwhile, guide slots for guiding the assembly of the terminal are formed on the assembly panel, and the guide slots are formed on the pair of assembly panels and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퓨즈 장착부에 형성된 한 쌍의 조립 패널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퓨즈 장착부에 설치된 퓨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조립 패널에는 터미널의 조립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슬롯이 형성되므로 전원 연결을 위한 터미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air of assembly panels formed in the fuse mounting unit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the fuse installed in the fuse mounting un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n particular, since guide slots for guiding assembly of terminals are formed on the assembly panel, terminals for power connection can be easily instal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 중 블록 몸체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 중 블록 몸체의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에 터미널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 block body of a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lock body of a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terminals in a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모듈에 구비되는 블록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이 수납되는 배터리 모듈의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이다.A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provided in a battery modul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a block detachably coupled to a case of a battery module in which a battery pack is accommodat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블록 몸체(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fuse box integrated
블록 몸체(110)는 배터리 모듈의 케이스(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형태, 즉 소정의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블록 몸체(110)는 금속 재질의 케이스(미도시)로부터 절연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비전도성 재질로 제작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 성형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The
블록 몸체(110)의 전면, 케이스(미도시)에 접촉되는 전면에는 안착홈(112)이 형성되고, 안착홈(112)에는 수분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씰(114)이 삽입된다. 이때, 안착홈(112)은 블록 몸체(110)의 전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사각의 링 형상이며, 밀봉씰(114)은 안착홈(112)에 삽입 가능한 사각의 링 형상을 갖는다.A
또한, 블록 몸체(110)에는 케이스(미도시)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체결보스(116) 및 인서트 너트(118)가 마련된다. 체결보스(116)와 인서트 너트(118)는 안착홈(112)의 내측에 위치되며 블록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의 커넥터 블록(100)는 퓨즈 박스 일체형으로서, 블록 몸체(110)에는, 고전압 퓨즈(200)의 설치를 위한 퓨즈 장착부(120)와, 커넥터(C)의 설치를 위한 커넥터 장착부(150)가 마련된다.The
퓨즈 장착부(120)는 고전압 퓨즈(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되, 필요에 따라 고전압 퓨즈(200)를 장착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된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퓨즈 장착부(120)의 전면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덮개(130)가 결합되고, 퓨즈 장착부(120)의 둘레에는 덮개(13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체결보스(122) 및 인서트 너트(124)가 마련된다.A plate-
퓨즈 장착부(120)의 후면에는 조립 패널(140)이 형성되며, 조립 패널(140)에는 고전압 퓨즈(200)가 장착 및 고정을 위한 인서트 너트(142)가 마련된다.An
상술한 조립 패널(140)은 고전압 퓨즈(200)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T)을 설치할 수 있도록 퓨즈 장착부(120)의 좌우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특히, 퓨즈 장착부(120)에 설치된 고전압 퓨즈(200)가 외부, 즉 퓨즈 장착부(120)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The above-described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전압 퓨즈(200)는 조립 패널(140)에 장착 및 고정되고, 터미널(T)은 고전압 퓨즈(200)의 단자(210)와 인서트 너트(142) 사이에 위치되며, 볼트(B)에 의해 고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다시 말해, 터미널(T)은 퓨즈 장착부(120)의 조립 패널(140) 사이로 조립되어 퓨즈 단자(210)와 인서트 너트(142) 사이에 위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조립 패널(140)에는 터미널(T)의 조립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슬롯(144)이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terminal T is assembled between the
안내 슬롯(144)은 한 쌍의 조립 패널(140)에 각각 형성되되 터미널(T)의 설치 시 기계,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대칭되게 위치된다. 즉, 제1안내 슬롯(144a)은 제1조립 패널(140a)의 상단에 형성되며, 제2안내슬롯(144b)은 제2조립 패널(140b)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The guide slots 144 are formed on the pair of
이와 같이, 제1안내 슬롯(144a)과 제2안내슬롯(144b)이 서로 대칭되게 위치될 경우, 제1터미널(T1)은 제1조립 패널(140a)과 제2조립 패널(140b) 사이로 삽입된 후 제1안내 슬롯(144a)을 따라 제1조립 패널(140a)에 조립되고, 제2터미널(T2)은 제1조립 패널(140a)과 제2조립 패널(140b) 사이로 삽입된 후 제2안내 슬롯(144b)을 따라 제2조립 패널(140a)에 조립된다(도 5와 도 6 참조).As such, when the
따라서 터미널(T)의 설치 시 기계,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핑거 세이프티(finger safety)를 만족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mechanical and electrical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the terminal T is installed, finger safety can be satisfied.
한편, 한 쌍의 조립 패널(140)의 둘레에는 퓨즈 단자(210) 및 그와 연결되는 터미널(T)을 감싸는 리브(146)가 형성된다. 이처럼 리브(146)를 통해 퓨즈 단자(210) 및 터미널(T)을 감쌀 경우 외부 노출을 막아 기계,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
커넥터 장착부(150)는 블록 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커넥터 장착부(150)에는 전원 및 신호 전달을 위한 커넥터(미도시), 즉 메일 커넥터(미도시)가 설치된다.The
커넥터 장착부(150)는 소정 깊이를 가진 사각의 홈 형상이다. 커넥터 장착부(150)에는 메일 커넥터(미도시)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인서트 너트(152)가 마련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장착부(150)는 블록 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메일 커넥터(미도시)가 커넥터 장착부(15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일 커넥터(미도시)가 블록 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싱예에 따른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100)은 퓨즈 장착부(120)에 형성된 한 쌍의 조립 패널(140)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퓨즈 장착부(120)에 설치된 고전압 퓨즈(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조립 패널(140)에는 터미널(T)의 조립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슬롯(144)을 형성함으로써 전원 연결을 위한 터미널(T)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the fuse box-integrated
따라서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100)의 제작이 쉽고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고전압 퓨즈(200) 및 터미널(T)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원 연결을 위한 터미널(T)의 설치 시 기계,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fuse box-integra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0: 커넥터 블록
110: 블록 몸체
120: 퓨즈 장착부
130: 덮개
140: 조립 패널
150: 커넥터 장착부
200: 고전압 퓨즈
210: 퓨즈 단자100: connector block 110: block body
120: fuse mounting part 130: cover
140: assembly panel 150: connector mounting portion
200: high voltage fuse 210: fuse terminal
Claims (5)
상기 퓨즈 장착부는 일면이 개방된 중공의 박스 형상이고, 상기 퓨즈 장착부의 타면에는 퓨즈 단자가 고정되는 한 쌍의 조립 패널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조립 패널은 상기 퓨즈 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의 설치를 위해 서로 이격되되, 상기 퓨즈 장착부에 설치된 퓨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
A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including a block body detachably coupled to a case of a battery module and a fuse mounting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block body,
The fuse mounting part has a hollow box shape with one surface open, and a pair of assembly panels to which fuse terminals are fixed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use mounting part.
The pair of assembly panel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installation of a terminal connected to the fuse terminal, and are arranged in a zigzag form to prevent the fuse installed in the fuse mounting port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connector block.
상기 조립 패널에는 상기 터미널의 조립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panel is formed with a guide slot for guiding the assembly of the terminal.
상기 안내 슬롯은 상기 한 쌍의 조립 패널에 각각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
The method of claim 2,
The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slots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pair of assembly panels and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상기 조립 패널의 둘레에는 상기 퓨즈 단자 및 상기 터미널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
The method of claim 3,
The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rib for preventing exposure of the fuse terminal and the terminal is formed around the assembly panel.
상기 블록 몸체에는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도록 커넥터 장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 body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mounting portion to be coupled to a connector for transmitting power and signal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87339A KR102614276B1 (en) | 2021-12-24 | 2021-12-24 |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87339A KR102614276B1 (en) | 2021-12-24 | 2021-12-24 |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97634A true KR20230097634A (en) | 2023-07-03 |
| KR102614276B1 KR102614276B1 (en) | 2023-12-15 |
Family
ID=8715760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87339A Active KR102614276B1 (en) | 2021-12-24 | 2021-12-24 |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14276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134114A (en) * | 2021-10-21 | 2023-09-2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Multi fuse module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90021423U (en) * | 1997-11-29 | 1999-06-25 | 전주범 | Fuse Separation Structure of Power Cord Plug |
| JP2011049014A (en) * | 2009-08-26 | 2011-03-10 | Sanyo Electric Co Ltd | Battery pack of waterproof structure |
| US20140113500A1 (en) * | 2012-10-22 | 2014-04-24 | Rahul Natwar Goyal | Connector with Integral Fuse Holder |
| US20160079687A1 (en) * | 2014-09-12 | 2016-03-17 | Siemens Industry, Inc. | Fusible switch assemblies, and load base assemblies, line base assemblies, line bus connector assemblies, fuse clip assemblies, fuse clip and lug assemblies, and operational methods thereof |
| KR20180014553A (en) | 2016-08-01 | 2018-02-0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 JP6522575B2 (en) * | 2016-12-09 | 2019-05-29 | 矢崎総業株式会社 | Fuse unit |
| KR20210103079A (en) * | 2020-02-13 | 2021-08-2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block |
-
2021
- 2021-12-24 KR KR1020210187339A patent/KR1026142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90021423U (en) * | 1997-11-29 | 1999-06-25 | 전주범 | Fuse Separation Structure of Power Cord Plug |
| JP2011049014A (en) * | 2009-08-26 | 2011-03-10 | Sanyo Electric Co Ltd | Battery pack of waterproof structure |
| US20140113500A1 (en) * | 2012-10-22 | 2014-04-24 | Rahul Natwar Goyal | Connector with Integral Fuse Holder |
| US20160079687A1 (en) * | 2014-09-12 | 2016-03-17 | Siemens Industry, Inc. | Fusible switch assemblies, and load base assemblies, line base assemblies, line bus connector assemblies, fuse clip assemblies, fuse clip and lug assemblies, and operational methods thereof |
| KR20180014553A (en) | 2016-08-01 | 2018-02-0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 JP6522575B2 (en) * | 2016-12-09 | 2019-05-29 | 矢崎総業株式会社 | Fuse unit |
| KR20210103079A (en) * | 2020-02-13 | 2021-08-2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block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134114A (en) * | 2021-10-21 | 2023-09-2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Multi fuse modu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614276B1 (en) | 2023-12-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321594B2 (en) | Electric protective cover and receptacle | |
| US10224666B2 (en) | Packing and shield connector | |
| US10290969B2 (en) | Sealing element, seal assembly and receptacle | |
| EP2423028B1 (en) | Power supply control device | |
| US10522952B2 (en) | Receptacle housing assembly with heat conducting element | |
| US7828591B2 (en) | Connector for a device | |
| JP5524105B2 (en) | Battery for power tools | |
| EP3093903B1 (en) | Connector for battery unit, and battery unit provided with same | |
| US10348020B2 (en) | Receptacle housing and receptacle | |
| US10263356B2 (en) | Secondary lock and receptacle | |
| US10320115B2 (en) | Receptacle housing and receptacle | |
| EP2874240B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 |
| CN105359348B (en) | Connector | |
| KR102209825B1 (en) | Battery module | |
| KR102251423B1 (en) | Junction-box for vehicle | |
| KR101645114B1 (en) | Wire harness | |
| KR101019269B1 (en) | Sealed Connector Housing Assembly | |
| KR102614276B1 (en) |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 |
| US20150131212A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 KR102461288B1 (en) | Fuse box integrated connector block | |
| KR101720617B1 (en) | Battery pack having interlock pin | |
| KR20150144852A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secondary cells in battery pack | |
| KR102558559B1 (en) | Substrate module | |
| KR102743036B1 (en) | connector block | |
| CN219739997U (en) | Wearable electronic equip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