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88137A1 - 진공 배관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진공 배관용 클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4088137A1 WO2014088137A1 PCT/KR2012/010608 KR2012010608W WO2014088137A1 WO 2014088137 A1 WO2014088137 A1 WO 2014088137A1 KR 2012010608 W KR2012010608 W KR 2012010608W WO 2014088137 A1 WO2014088137 A1 WO 2014088137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clamp
- flange
- vacuum
- fixing
- n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Definitions
- At least one contact buffer groove is formed on both inner walls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 One end of the bolt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 a hexagonal shape.
- One end is rotatably hinged to the free end of the first clamp, the other end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rotective bracke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lamp to prevent the first spring and the washe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 the protective bracket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so that the coupling and loosening of the first spring and the washer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 the anti-loosening member may include a reverse rotation prevention tool configured to hinge in the operating chamber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to one side so as to sequentially contact the first gear part of the nut part, and one end of which is rotatabl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guide hole; And a second spring provided in the operating chamber to always push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tool to the hinged portion of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tool so as to contact the first gear part of the nut pa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 the second clamp is provided with a ball plunger which is operat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the operating chamber.
- the second clamp is spaced apart from the anti-rotation stop, and the nut part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device is pressed so as not to move.
- the ball plunger is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link, screwed to the second clamp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he plunger body having a thread formed therein;
- a third spring fitted into the plunger body;
- a fixing ball to fix the anti-rotation prevention device by pressing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mean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spr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 one of the first clamp and the second clamp is laser marked.
- connection link 130 is preferably provided in plurality.
- the first flange of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flange of the second pip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are pressed by the first clamp and the second clamp to be fixed by the locking member.
- the locking member when the locking member is screwed to the bolt part with the nut part, the locking member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primarily by the spring, and secondly, the release of the nut part may be prevented by the anti-flame member, and the protective bracket may be thirdly applied to the protection bracket. It encloses the locking member so as to maintain an improved engagement state.
- by pressing the centering by the auxiliary fixing member has an effect to maintain a more solid coupling state.
- FIG. 3 is a photograph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clamp and the second clamp in FIG. 1 are unfold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 FIG. 4 is a photograph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pipe, the second pipe, and the locking member are disassembled in FIG. 3;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amp for vacuum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ront view of FIG. 5;
- FIG. 8 is a right side view of FIG. 5;
- FIG. 14 and 15 are views showing a clamp for a vacuum pipe to which the auxiliary fixing member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before the auxiliary fixing member is fitted, and
- FIG. 15 is after the auxiliary fixing member is inserted.
- the clamp 100 for the vacuum pipe includes a first clamp 110 and a second clamp 120.
- the first clamp 110 has an inner diameter in which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2 of the first flange P12 and the second flange P22 is formed.
- the first clamp 110 is preferably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 the second clamp 120 is formed with a second insertion groove 122 of the first flange P12 and the second flange P22. Like the first clamp 110, the second clamp 120 is preferably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 the fixed step 124 is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second clamp 120.
- At least one contact buffer groove 114 may be formed at both inner walls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2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22. In the contact buffer groove 114, the contact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P12 and P22 may be reduced to the maximum in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12 and 122 to improve the tightening force.
- the release preventing groove 128 is preferably provided to the second clamp 120 successively from the fixed step 124.
- the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128 may prevent the nut part 144 screwed into the bolt part 142 from being pulled out by itself. That is, the nut part 144 is not easily retracted from the departure prevention groove 128 to some extent, so that the rotation of the first clamp 110 becomes difficult.
- the connecting link 130 is hinged at both ends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free ends of the first clamp 110 and the second clamp 120.
-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hinged to the first clamp 110,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lamp 120.
-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hinged to the first clamp 110 so as to be rotatable, and a thread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detach the bolt portion 142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step 124 of the second clamp 120.
- the nut part 144 penetrates the screw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diameter to be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lt part 142,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126 of the second clamp 120.
- first spring 148 having washers at both sides is coupled to the bolt 142 so that the nut 144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fixing groove 126 of the second clamp 120.
- One end of the bolt portion 142 is preferably formed in a hexagonal shape.
- At least one or more entrance holes H penetrate throug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clamp 110 and the second clamp 120, and are provided to be accessible through the entrance holes H.
- Auxiliary fixing member SF is provided.
- the female thread is formed in the entrance hole H of the first clamp 110 and the second clamp 120, and the auxiliary fixing member SF is formed of a male screw to be screwed into the entrance hole H, and the auxiliary fixing member At the tip of the (SF), a rubber cushion cap (BC) is provided.
- the first gear portion 145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ut portion 144.
- the operating chamber 129 is provided in the second clamp 1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ear portion 145.
- the anti-loosen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operating chamber 129 of the second clamp 120.
- the vertical guide hole 129a is provided to the side wall of the second clamp 120 to communicate with the operation chamber 129.
- the anti-loosening member includes a reverse rotation prevention device 150 and a second spring 164.
-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tool 150 has a locking protrusion 162 protruding to one side so as to sequentially contact the first gear part 145 of the nut part 144, and one end thereof rotates up and down in the vertical guide hole 129a. It is hinged in the operating chamber 129 to enable it.
- the second spring 164 always pushes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tool 150 to the hinged portion of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tool 150 so as to contact the first gear part 145 of the nut part 144. 129 is provided.
- the ball plunger 170 is provided to the second clamp 120 to be operat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the operating chamber 129.
- the nut part 144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nut part 144 is spaced apart from the anti-rotation preventing part 150, and when the nut part 144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nut is not pressed by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ng part 150. do.
- the ball plunger 170 includes a third spring 174 and a fixed ball 176 in the plunger body 172.
- the plunger body 172 is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link 130, is screwed to the second clamp 120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backward, and a thread is formed therein.
- the third spring 174 is fitted inside the plunger body 172.
- the fixing ball 176 is fixed by pressing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device 15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spring 174 so as not to move.
- One of the first clamp 110 and the second clamp 120 may be laser marked. This can prevent problems such as being removed by friction after attaching a trademark or the like on the outer surface.
- connection link 13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By doing so, the first clamp 110 and the second clamp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about the plurality of connection links 130.
- the first flange P12 of the first pipe P10 and the second flange P22 of the second pipe P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center ring CR therebetween.
- the first flange P12 and the second flange P22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re fit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22 of the second clamp 120 to be coupled.
- the second clamp 120 is rotated around the hinged portion of the first clamp 110 so that the first flange P12 and the second flange P22 coupled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2.
- the first clamp 110 is rotated to fit.
- the bolt portion 142 is rotated around the hinged portion of the first clamp 110. At this time, the bolt portion 142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126 formed in the fixing step 124 of the second clamp 120.
- the first spring 148 and the washer 146 are located between the fixed step 124 and the free end of the first clamp 110. At the same time, the bolt portion 142 is fitted into the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128 formed in the second clamp 120.
- the worker uses a tool such as a wrench to fasten the nut part 144 to the bolt part 142 to advance into the departure preventing groove 128.
- the first clamp 110 and the second clamp 120 are pulled against each other.
- the first spring 148 is in a compressed state due to tightening of the nut part 144.
- the worker continues to work until the nut portion 144 is no longer tightened.
- the first flange P12 of the first pipe P10 and the second flange P22 of the second pipe P20 are fixedly adhered to each other so that a firmly coupled state is maintained even from external shock such as vibration.
- the locking protrusion 162 of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tool 15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gear portion 145 of the nut portion 144 sequentially.
-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device 150 is rotated around the hinge-coupled portion in the operating chamber 129 is one end is rotated up and down in the vertical guide hole (129a).
- the second spring 164 provided in the operating chamber 129 always pushes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tool 150 to the hinged portion of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tool 150, and thus the first gear part of the nut part 144. 145 is contacted.
- the ball plunger 170 provided in the second clamp 120 is operat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the operating chamber 129.
- the nut part 144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nut part 144 is spaced apart from the anti-rotation preventing part 150.
- the nut part 144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nut part 144 is pressed by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ng part 150. It won't be.
- the protection bracket 150 is rotated around the hinged portion of the first clamp 110 to be coupled to the second clamp 120 by the interference fit method.
- the first spring 148, the washer 146, and the nut part 144 are wrapped and protected from the outside by the protection bracket 150. That is, the nut 144 may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removed from the bolt 14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148, and may be secondarily prevented by the protection bracket 150. .
- the auxiliary fixing member SF is fitted into the access hole H of the first clamp 110 and the second clamp 120.
- the centering (CR) portion which is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flange P12 of the first pipe P10 and the second flange P22 of the second pipe P20, which are joined to each other, is pressed so as not to move.
- the female thread is formed in the access hole (H) of the first clamp 110 and the second clamp 120
- the auxiliary fixing member (SF) is formed with the male thread of the access hole (H).
- the auxiliary fixing member (SF) is screwed to the access hole (H).
-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fixing member (SF) is provided with a buffer cap (BC) made of a rubber material to prevent damage during contact with the center ring (C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반도체 제조 공정 시 메인장비 내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진공배관 라인이 설치되고, 이러한 진공배관라인들은 지속적인 진동이 발생되며 그 진동에 의한 풀림 현상 없이 기밀 상태를 유지하면서 진공배관의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개량된 진공 배관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진공 배관용 클램프는 센터링을 사이에 두고, 제1 배관의 제1 플랜지와 제2 배관의 제2 플랜지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경으로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의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반원형의 제1 클램프를 포함한다. 반원형의 제2 클램프는 내경으로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의 제2 삽입홈이 형성된다. 연결링크는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의 자유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양단이 힌지 결합된다. 록킹부재는 제1 클램프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제2 클램프에 분리 가능하게 서로 결합된다. 제2 클램프의 자유단에는 고정홈을 갖는 고정 단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고정부재는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의 외주면 일측에는 출입공이 관통되되, 상기 출입공을 통해 출입 가능하게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 배관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제조 공정 시 메인장비 내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진공배관 라인이 설치되고, 이러한 진공배관라인들은 지속적인 진동이 발생되며, 그 진동에 의한 풀림 현상 없이 기밀 상태를 유지하면서 진공배관의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더하여 보조고정부재에 의해 센터링을 눌러주어 더욱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개량된 진공 배관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은 크게 전 공정(Fabrication 공정)과 후 공정(Assembly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전 공정은 각종 프로세스 챔버 내에서 웨이퍼(Wafer) 상에 박막을 증착하고, 증착된 박막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특정의 패턴을 가공함으로써, 반도체 칩(Chip)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또한 후공정은 전 공정에서 제조된 칩을 개별적으로 분리한 후, 리드 프레임과 결합하여 완제품으로 조립하는 공정을 말한다.
이때, 웨이퍼 상에 박막을 증착하거나 웨이퍼 상에 증착된 박막을 에칭하는 공정의 경우에는, 프로세스 챔버 내에서 유해 가스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프로세스 챔버 내부에는 각종 발화성 가스와 부식성 이물질 및 유독 성분을 함유한 가스 등이 다량 발생한다. 즉, 챔버 내부에서는 유해 가스의 약 30% 만 웨이퍼의 표면에 증착되고, 일부 반응하지 않은 가스는 배출되는 것이다.
이에, 프로세스 챔버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는 진공펌프의 후단에는, 프로세스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정화한 후 대기로 방출하기 위한 스크러버가 설치된다.
이러한 진공배관라인은 진공펌프와 연이어 통하게 연결되고, 진공펌프의 가동에 의해 진공배관라인 내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게 되는데 이러한 진공펌프의 가동으로 인한 진동이 진공배관라인을 따라 전달됨으로 진공배관라인은 지속적으로 진동이 발생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진공배관용 클램프는 진공 배관의 진동이 지속됨에 따라 체결너트의 조임 상태가 서서히 풀려 클램프가 느슨해짐으로서 진공 배관의 기밀한 연결 상태가 해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록킹 스프링과 보호 브라켓을 포함한 다중의 록킹부재를 이용하여 두 개의 배관의 플랜지를 고정시켜 더욱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풀림방지부재에 의해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록킹부재가 저절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고정부재에 의해 센터링을 눌러주어 더욱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진공 배관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센터링을 사이에 두고, 제1 배관의 제1 플랜지와 제2 배관의 제2 플랜지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진공 배관용 클램프로서,
내경으로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의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반원형의 제1 클램프;
내경으로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의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반원형의 제2 클램프;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의 자유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
상기 제1 클램프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제2 클램프에 분리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는 록킹부재; 및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의 외주면 일측에는 출입공이 관통되되, 상기 출입공을 통해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제1 클램프에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제공되어 상기 제2 클램프의 고정 단턱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경의 길이 방향으로 나사공이 관통되며, 상기 제2 클램프의 고정홈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너트부; 를 포함되고,
상기 너트부의 외주면에는 제1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어부와 상응한 위치의 제2 클램프에는 작동실이 제공되되, 상기 작동실에는 상기 너트부의 풀림방지부재가 추가로 제공되며, 상기 작동실과 연이어 통하도록 제2 클램프의 측벽으로 수직 안내공이 제공되고, 상기 제2 클램프의 자유단에는 고정홈을 갖는 고정 단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배관용 클램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삽입홈과 제2 삽입홈의 양측 내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 완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클램프에는 상기 고정 단턱으로부터 연이어 이탈 방지홈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의 출입공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고정부재는 상기 출입공에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수나사로 형성시키되, 상기 보조고정부재의 선단에는 러버 재질의 완충캡이 제공되는 것
상기 볼트부에는 양측으로 와셔를 갖는 제1 스프링이 결합되어 상기 너트부가 상기 제2 클램프의 고정홈에서 탄성 지지될 수 있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부의 일단은 육각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클램프의 자유단에 일단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분리 가능하게 제2 클램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프링 및 와셔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는 보호 브라켓이 추가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브라켓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시켜 상기 제1 스프링 및 와셔의 결합 및 풀림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풀림방지부재는 상기 너트부의 제1 기어부에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걸림돌기가 일측으로 돌출되며 일단은 수직 안내공 내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실 내에서 힌지 결합되는 역회전 방지구; 및 상기 역회전 방지구의 힌지 결합된 부위에 상기 역회전 방지구를 항상 밀어 상기 너트부의 제1 기어부에 접촉되도록 작동실 내에 제공되는 제2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클램프에는 상기 작동실의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되는 볼 플런저가 제공되되, 상기 너트부가 시계 방향 회전될 때에는 상기 역회전 방지구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하고, 상기 너트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역회전 방지구를 눌러 움직이지 않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 플런저는 상기 연결링크에 대하여 수평이 되며, 전,후진 가능하도록 제2 클램프에 나사 결합되며, 내부에는 나사산이 일부 형성되는 플런저 몸체; 상기 플런저 몸체의 내부에 끼워지는 제3 스프링; 및 상기 제3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역회전 방지구를 눌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볼;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 중 하나에는 레이저 마킹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링크(130)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배관용 클램프에 의하면, 제1 배관의 제1 플랜지와 제2 배관의 제2 플랜지는 서로 마주보며 접촉된 상태로 한다. 이어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로 제1,2 플랜지를 눌러 록킹부재에 의해 고정시킨다. 이때, 록킹 부재는 볼트부에 너트부로 나사 결합시켰을 때 1차적으로 스프링으로 탄력 지지될 수 있게 하고, 2차적으로 플림방지부재에 의해 너트부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게 하고, 3차적으로 보호 브라켓에 의해 록킹 부재를 감싸 주어 보다 향상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아울러, 보조고정부재에 의해 센터링을 눌러주어 더욱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배관용 클램프의 사진;
도 2는 도 1에서 보호 브라켓을 록킹부재로부터 재껴진 상태의 사진;
도 3은 도 1에서 도 1에서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를 서로에 대하여 펼친 상태의 사진;
도 4는 도 3에서 제1 배관, 제2 배관 및 록킹 부재를 분해한 상태의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배관용 클램프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도 8은 도 5의 우측면도;
도 9은 도 6의 A - A 선에 따라 절개한 상태의 도면;
도 10은 도 5에서 제1 기어부 및 제2 클램프를 따라 수직으로 절개한 상태의 도면;
도 11은 록킹부재에 의해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를 고정시킨 상태의 도면; 및
도 12는 도 11에서 "B"의 부분 확대도로, (a)는 제2 클램프에 볼 플런저를 끼우기 이전이고, (b)는 제2 클램프에 볼 플런저를 끼운 상태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B"의 부분 확대도로, (a)는 역회전 방지구를 상승시킨 상태이고, (b)는 역회전 방지구를 하강시킨 상태이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고정부재가 적용된 진공 배관용 클램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14는 보조고정부재가 끼워지기 이전이고, 도 15는 보조고정부재가 끼워진 이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하기 실시예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센터링(CR)을 사이에 두고, 제1 배관(P10)의 제1 플랜지(P12)와 제2 배관(P20)의 제2 플랜지(P22)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진공 배관용 클램프(100)이다. 센터링(CR)은 금속 재질로 된 부분과 그 바깥으로 고무 재질로 된 부분이 제공된다. 그 고무 재질로 된 부분은 제1 플랜지(P12)와 제2 플랜지(P22)의 접촉면에 기밀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진공 배관용 클램프(100)는 제1 클램프(110)와 제2 클램프(120)를 포함한다. 제1 클램프(110)는 내경으로 제1 플랜지(P12)와 제2 플랜지(P22)의 제1 삽입홈(112)이 형성된다. 제1 클램프(110)는 반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 클램프(120)는 제1 플랜지(P12)와 제2 플랜지(P22)의 제2 삽입홈(122)이 형성된다. 제2 클램프(120)는 제1 클램프(110)와 마찬가지로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단턱(124)은 제2 클램프(120)의 자유단에 제공된다. 접촉 완충홈(114)은 제1 삽입홈(112)과 제2 삽입홈(122)의 양측 내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완충홈(114)은 제1,2 플랜지(P12)(P22)가 제1,2 삽입홈(112)(122)에서의 접촉 면적이 최대로 감소되어 조임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탈 방지홈(128)은 고정 단턱(124)으로부터 연이어 제2 클램프(120)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 방지홈(128)은 볼트부(142)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144)가 저절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너트부(144)는 이탈 방지홈(128)에서 어느 정도 후진되지 않으면, 쉽게 빠지지 않아 제1 클램프(110)의 회동 작업이 어렵게 된다.
연결링크(130)는 제1 클램프(110)와 제2 클램프(120)의 자유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양단이 힌지 결합된다.
록킹부재는 제1 클램프(11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제2 클램프(120)에 분리 가능하게 서로 결합된다. 록킹부재는 제1 클램프(110)에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제공되어 상기 제2 클램프(120)의 고정 단턱(124)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부(142)를 포함한다. 너트부(144)는 볼트부(142)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경의 길이 방향으로 나사공이 관통되며, 제2 클램프(120)의 고정홈(126)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볼트부(142)에는 양측으로 와셔를 갖는 제1 스프링(148)이 결합되어 너트부(144)가 제2 클램프(120)의 고정홈(126)에서 탄성 지지될 수 있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부(142)의 일단은 육각 모양으로 형성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클램프(110)와 제2 클램프(120)의 외주면 일측에는 출입공(H)이 관통되고, 출입공(H)을 통해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고정부재(SF)가 구비된다. 제1 클램프(110)와 제2 클램프(120)의 출입공(H)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보조고정부재(SF)는 출입공(H)에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수나사로 형성시키되, 보조고정부재(SF)의 선단에는 러버 재질의 완충캡(BC)이 제공된다.
보호 브라켓(150)은 제1 클램프(110)의 자유단에 일단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분리 가능하게 제2 클램프(120)에 결합되어 제1 스프링(148) 및 와셔(146)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한다. 여기서 보호 브라켓(150)은 제1 클램프(110)의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제2 클램프(120)에는 분리 가능하게 억지 끼움으로 결합된다. 특히, 보호 브라켓(150)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시켜 제1 스프링(148) 및 와셔(146)의 결합 및 풀림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스프링(148) 및 와셔(146)의 풀임이 확인되면 작업자가 조임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너트부(144)의 외주면에는 제1 기어부(145)가 형성된다. 작동실(129)은 제1 기어부(145)와 상응한 위치의 제2 클램프(120)에 제공된다. 풀림방지부재는 제2 클램프(120)의 작동실(129)에 제공된다. 수직 안내공(129a)은 작동실(129)과 연이어 통하도록 제2 클램프(120)의 측벽으로 제공된다.
풀림방지부재는 역회전 방지구(150) 및 제2 스프링(164)을 포함한다.
역회전 방지구(150)는 너트부(144)의 제1 기어부(145)에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걸림돌기(162)가 일측으로 돌출되며, 일단은 수직 안내공(129a) 내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작동실(129) 내에서 힌지 결합된다.
제2 스프링(164)은 역회전 방지구(150)의 힌지 결합된 부위에 그 역회전 방지구(150)를 항상 밀어 너트부(144)의 제1 기어부(145)에 접촉되도록 작동실(129) 내에 제공된다.
볼 플런저(170)는 작동실(129)의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되도록 제2 클램프(120)에 제공된다. 너트부(144)가 시계 방향 회전될 때에는 역회전 방지구(15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하고, 너트부(14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역회전 방지구(150)를 눌러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볼 플런저(170)는 플런저 몸체(172)에 제3 스프링(174)과 고정볼(176)을 포함한다. 플런저 몸체(172)는 연결링크(130)에 대하여 수평이 되며, 전,후진 가능하도록 제2 클램프(120)에 나사 결합되며, 내부에는 나사산이 일부 형성된다. 제3 스프링(174)은 플런저 몸체(172)의 내부에 끼워진다. 고정볼(176)은 제3 스프링(174)의 탄성력에 의해 역회전 방지구(150)를 눌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제1 클램프(110)와 제2 클램프(120) 중 하나에는 레이저 마킹 처리될 수 있다. 이는 외부 표면에 상표 등을 부착시킨 후 마찰에 의해 제거되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링크(13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클램프(110)와 제2 클램프(120)는 복수의 연결링크(130)을 중심으로 뒤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배관용 클램프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배관(P10)의 제1 플랜지(P12)와 제2 배관(P20)의 제2 플랜지(P22)는 센터링(CR)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서로 밀착된 제1 플랜지(P12)와 제2 플랜지(P22)가 제2 클램프(120)의 제2 삽입홈(122)에 끼워 결합시킨다.
이어, 제2 클램프(120)는 제1 클램프(110)와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서로 결합된 제1 플랜지(P12)와 제2 플랜지(P22)가 제1 삽입홈(112)으로 끼워지도록 제1 클램프(110)를 회동시킨다.
그리고 나서, 볼트부(142)는 제1 클램프(110)의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볼트부(142)는 제2 클램프(120)의 고정 단턱(124)에 형성된 고정홈(126)에 끼워 고정된다. 여기서, 제1 스프링(148)과 와셔(146)는 고정단턱(124)과 제1 클램프(110)의 자유단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볼트부(142)는 제2 클램프(120)에 형성된 이탈 방지홈(128)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부(142)에 너트부(144)를 조여 이탈 방지홈(128) 속으로 전진시킨다. 이렇게 되면, 제1 클램프(110)와 제2 클램프(120)는 서로에 대하여 당겨 조여주는 것이다. 이때, 제1 스프링(148)은 너트부(144)의 조여줌으로로 인해 압축된 상태로 된다. 작업자는 너트부(144)가 더 이상 조여지지 않을 때까지 작업을 계속한다. 이렇게 되면, 제1 배관(P10)의 제1 플랜지(P12)와 제2 배관(P20)의 제2 플랜지(P22)는 고정 밀착되어 진동 등 외부의 충격에도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너트부(144)가 회전될 때, 제2 클램프(120)에 제공된 제1 기어부(145)에는 풀림방지부재가 순차적으로 접촉된다. 제2 클램프(120)의 작동실(129)에 연이어 수직 안내공(129a)이 연이어 통하도록 제2 클램프(120)의 측벽으로 제공된 상태이다.
이 과정에서, 역회전 방지구(150)의 걸림돌기(162)는 너트부(144)의 제1 기어부(145)에 순차적으로 접촉된다. 이때, 역회전 방지구(150)는 작동실(129) 내에서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일단이 수직 안내공(129a) 내에서 상하로 회동되는 것이다.
특히, 작동실(129) 내에 제공된 제2 스프링(164)은 역회전 방지구(150)의 힌지 결합된 부위에 그 역회전 방지구(150)를 항상 밀어 너트부(144)의 제1 기어부(145)에 접촉된다.
한편, 도 12(a)(b) 및 도 13(a)(b)를 참조하면, 제2 클램프(120)에 제공된 볼 플런저(170)는 작동실(129)의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되는 것이다. 즉, 너트부(144)가 시계 방향 회전될 때에는 역회전 방지구(15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하고, 너트부(14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역회전 방지구(150)를 눌러 움직이지 않게 된다.
볼 플런저(170)의 플런저 몸체(172)는 연결링크(130)에 대하여 수평이 되도록 배치된다. 제2 클램프(120)에 전,후진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볼(176)은 플런저 몸체(172)의 내부에 끼워진 제3 스프링(174)의 탄성력에 의해 역회전 방지구(150)를 눌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에 반해, 너트부(144)의 회전을 자유롭게 회전 작동될 수 있도록 할 경우, 플런저 몸체(172)를 제2 클램프(120)로부터 후진시켜 역회전 방지구(150)로부터 고정볼(176)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호 브라켓(150)은 제1 클램프(110)의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제2 클램프(12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이 상태가 되면, 보호 브라켓(150)에 의해 제1 스프링(148), 와셔(146), 너트부(144)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토록 감싸 보호되는 것이다. 즉, 제1 스프링(148)의 탄성력에 의해 너트부(144)가 볼트부(142)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1차적으로 방지함과 더불어, 보호 브라켓(150)에 의해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후, 제1 배관(P10)의 제1 플랜지(P12)와 제2 배관(P20)의 제2 플랜지(P22)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경우, 너트부(144)를 앞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어, 너트부(144)를 이탈 방지홈(128)과 고정홈(126)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회동시킨다. 그 결과 제1 클램프(110)와 제2 클램프(120)는 서로에 대하여 벌려줄 수 있게 되어 제1 배관의 제1 플랜지(P12)와 제2 배관(P20)의 제2 플랜지(P22)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시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클램프(110)와 제2 클램프(120)의 출입공(H)에는 보조고정부재(SF)를 끼워 결합시킨다. 이렇게 하면, 서로 결합된 제1 배관(P10)의 제1 플랜지(P12)와 제2 배관(P20)의 제2 플랜지(P22)와의 결합 부위인, 센터링(CR) 부위를 눌러 주어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도 14와 도 15 참조). 이때, 제1 클램프(110)와 제2 클램프(120)의 출입공(H)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보조고정부재(SF)는 출입공(H)은 수나사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보조고정부재(SF)는 출입공(H)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보조고정부재(SF)의 선단에는 러버 재질의 완충캡(BC)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센터링(CR)과의 접촉시 파손을 예방하게 된다.
특히, 보호 브라켓(150)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스프링(148) 및 와셔(146)의 결합 및 풀림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스프링(148) 및 와셔(146)의 풀임이 확인되면 작업자가 조임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3)
- 센터링을 사이에 두고, 제1 배관의 제1 플랜지와 제2 배관의 제2 플랜지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진공 배관용 클램프로서,내경으로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의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반원형의 제1 클램프;내경으로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의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반원형의 제2 클램프;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의 자유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상기 제1 클램프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제2 클램프에 분리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는 록킹부재; 및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의 외주면 일측에는 출입공이 관통되되, 상기 출입공을 통해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제1 클램프에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제공되어 상기 제2 클램프의 고정 단턱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경의 길이 방향으로 나사공이 관통되며, 상기 제2 클램프의 고정홈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너트부; 가 포함되고,상기 너트부의 외주면에는 제1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어부와 상응한 위치의 제2 클램프에는 작동실이 제공되되, 상기 작동실에는 상기 너트부의 풀림방지부재가 추가로 제공되며, 상기 작동실과 연이어 통하도록 제2 클램프의 측벽으로 수직 안내공이 제공되고, 상기 제2 클램프의 자유단에는 고정홈을 갖는 고정 단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배관용 클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과 제2 삽입홈의 양측 내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 완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배관용 클램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에는 상기 고정 단턱으로부터 연이어 이탈 방지홈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배관용 클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의 출입공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고정부재는 상기 출입공에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수나사로 형성시키되, 상기 보조고정부재의 선단에는 러버 재질의 완충캡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배관용 클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에는 양측으로 와셔를 갖는 제1 스프링이 결합되어 상기 너트부가 상기 제2 클램프의 고정홈에서 탄성 지지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배관용 클램프.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의 일단은 육각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배관용 클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의 자유단에 일단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분리 가능하게 제2 클램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프링 및 와셔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는 보호 브라켓이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배관용 클램프.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브라켓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시켜 상기 제1 스프링 및 와셔의 결합 및 풀림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배관용 클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부재는 상기 너트부의 제1 기어부에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걸림돌기가 일측으로 돌출되며 일단은 수직 안내공 내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실 내에서 힌지 결합되는 역회전 방지구; 및 상기 역회전 방지구의 힌지 결합된 부위에 상기 역회전 방지구를 항상 밀어 상기 너트부의 제1 기어부에 접촉되도록 작동실 내에 제공되는 제2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배관용 클램프.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에는 상기 작동실의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되는 볼 플런저가 제공되되, 상기 너트부가 시계 방향 회전될 때에는 상기 역회전 방지구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하고, 상기 너트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역회전 방지구를 눌러 움직이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배관용 클램프.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볼 플런저는상기 연결링크에 대하여 수평이 되며, 전,후진 가능하도록 제2 클램프에 나사 결합되며, 내부에는 나사산이 일부 형성되는 플런저 몸체;상기 플런저 몸체의 내부에 끼워지는 제3 스프링; 및상기 제3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역회전 방지구를 눌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배관용 클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 중 하나에는 레이저 마킹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배관용 클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배관용 클램프.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12/010608 WO2014088137A1 (ko) | 2012-12-07 | 2012-12-07 | 진공 배관용 클램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12/010608 WO2014088137A1 (ko) | 2012-12-07 | 2012-12-07 | 진공 배관용 클램프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4088137A1 true WO2014088137A1 (ko) | 2014-06-12 |
Family
ID=5088354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PCT/KR2012/010608 WO2014088137A1 (ko) | 2012-12-07 | 2012-12-07 | 진공 배관용 클램프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WO (1) | WO2014088137A1 (ko)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240052959A1 (en) * | 2021-02-03 | 2024-02-15 | Norma Germany Gmbh | Profile Clamp, Flange Connection, and Turbocharger Comprising Same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004080A (ja) * | 1999-06-21 | 2001-01-09 | Mirapuro:Kk | 真空配管のフランジ用クランプ |
| KR20030050647A (ko) * | 2001-12-19 | 2003-06-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배관 클램프 |
| KR20090020126A (ko) * | 2007-08-22 | 2009-02-26 | 주식회사 에스엠아이 | 진공배관용 클램프 |
| KR101017961B1 (ko) * | 2010-07-27 | 2011-03-02 | 주식회사 엠아이 | 진공 배관용 클램프 |
| US20120242083A1 (en) * | 2011-03-22 | 2012-09-27 | Airvac Inc | Pipe coupling |
-
2012
- 2012-12-07 WO PCT/KR2012/010608 patent/WO201408813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004080A (ja) * | 1999-06-21 | 2001-01-09 | Mirapuro:Kk | 真空配管のフランジ用クランプ |
| KR20030050647A (ko) * | 2001-12-19 | 2003-06-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배관 클램프 |
| KR20090020126A (ko) * | 2007-08-22 | 2009-02-26 | 주식회사 에스엠아이 | 진공배관용 클램프 |
| KR101017961B1 (ko) * | 2010-07-27 | 2011-03-02 | 주식회사 엠아이 | 진공 배관용 클램프 |
| US20120242083A1 (en) * | 2011-03-22 | 2012-09-27 | Airvac Inc | Pipe coupling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240052959A1 (en) * | 2021-02-03 | 2024-02-15 | Norma Germany Gmbh | Profile Clamp, Flange Connection, and Turbocharger Comprising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20926B1 (ko) | 진공 배관용 클램프 | |
| KR101017961B1 (ko) | 진공 배관용 클램프 | |
| WO2013048039A2 (ko) |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방법 | |
| WO2011102637A2 (ko) |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 |
| WO2009091226A2 (ko) | 진공척 | |
| WO2013162150A1 (ko) | 결합돌기가 형성된 튜브체결구 | |
| WO2022075521A1 (ko) |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는 회동부재가 구비된 산업 기계용 견인 고리 | |
| WO2020138594A1 (ko) | 철근 커플러 | |
| WO2018225915A1 (ko) | 파이프 커버 기능을 갖는 배관 커플러 | |
| WO2018012681A1 (ko) | 내진용 무홈 커플링 | |
| WO2017003023A1 (ko) | 파이프 연결장치 | |
| WO2013100338A1 (ko) |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 |
| WO2017126813A1 (ko) | 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 |
| WO2018105877A1 (ko) |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 |
| WO2016159626A1 (ko) | 유로관 연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 |
| WO2013100478A1 (en) |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 |
| WO2014088137A1 (ko) | 진공 배관용 클램프 | |
| WO2013133582A1 (ko) | 파이프용 클램프 | |
| WO2009145487A2 (ko) | 파이프용 연결물 | |
| WO2018159927A1 (ko) |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 |
| WO2021066320A1 (ko) | 피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서비스밸브 | |
| WO2020242001A1 (ko) | 원터치 결합 구조 및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이음관 | |
| WO2014035019A1 (ko) | 반도체 및 엘씨디용 배기가스 점검구 | |
| WO2021095983A1 (ko) | 호스 연결용 버튼형 피팅 장치 | |
| WO2013183927A1 (ko) | 씨형 클램핑 장치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28894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 32PN |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7/10/2015) |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28894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