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70791A - 건축자재 보강용 평면 스트립 라멜라와 상기 라멜라 적용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자재 보강용 평면 스트립 라멜라와 상기 라멜라 적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0791A
KR20000070791A KR1019997007053A KR19997007053A KR20000070791A KR 20000070791 A KR20000070791 A KR 20000070791A KR 1019997007053 A KR1019997007053 A KR 1019997007053A KR 19997007053 A KR19997007053 A KR 19997007053A KR 20000070791 A KR20000070791 A KR 20000070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ella
adhesive
strip lamella
flat strip
building compon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7892B1 (ko
Inventor
알렉산더 블레이블러
에르네스토 스쿰펠리
베르너 스타이너
Original Assignee
스테판 뫼슬리, 앨리스 쇼이러
시카아게 훠름 카스파르빈클러운트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테판 뫼슬리, 앨리스 쇼이러, 시카아게 훠름 카스파르빈클러운트캄파니 filed Critical 스테판 뫼슬리, 앨리스 쇼이러
Publication of KR20000070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89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3/0225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of circular building elements, e.g. by circular br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 E04G2023/0255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whereby the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are stressed
    • E04G2023/0259Devices specifically adapted to stress the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28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bending, drawing or stretch forming sheet to assume shape of configured lamina while in contact therewith
    • Y10T156/103Encasing or enveloping the configured lamina

Landscapes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목재, 강철, 천연돌 또는 석조물과 같은 하중을 지탱하거나 하중을 전달하는 건축성분을 보강하기 위한 평면 스트립 라멜라(10)에 관계한다. 평면 스트립 라멜라(10)는 병렬로 정렬된 복수의 굽힘가능 또는 신축성 보강섬유(26)와 보강섬유를 서로 연결시켜 내전단성이 되게하는 결합 매트릭스(28)로된 복합구조를 가진다. 이 라멜라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보강될 건축성분이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건축성분의 코너엣지 위로 평면 스트립 라멜라를 구부릴 수 있도록 결합 매트릭스(28)는 열가소성 합성물질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자재 보강용 평면 스트립 라멜라와 상기 라멜라 적용방법{FLAT STRIP LAMELLA FOR REINFORCING BUILDING COMPONENTS AND METHOD FOR PLACING A FLAT STRIP LAMELLA ON A COMPONENT}
이러한 형태의 보강용 라멜라는 WO96/21785에 공지된다. 상기 보강용 라멜라는 세로로 연장된 평탄한 건축자재에 적용된다. 바인더 매트릭스, 특히 에폭시 수지로 경화된 보강용 라멜라는 작은 굽힘반경으로 구부릴 수 없으므로 건축자재의 코너 너머로 연장된 활모양의 보강재를 형성시킬 수 없다. 활모양의 보강재 또는 외장은 예컨대 강철 보강 콘크리트 대들보나 강철 보강 콘크리트 T-비임에서 압축지대와 인장지대간의 연결을 시키며 스트레스와 가로균열을 방지하는데 필요하다.
본 발명은 하중 지탱 또는 하중 전달 건축자재 보강용 평면 스트립 라멜라에 관계하며, 이것은 서로 병렬로 정렬된 복수의 신축성 보강섬유와 내전단성 방식으로 보강섬유를 서로 연결시키는 바인더 매트릭스로된 복합구조로 구성되며, 접착제를 수단으로 건축자재의 외면에 대면시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형태의 평면 스트립 라멜라를 건축자재에 적용하는 방법에도 관계한다.
도 1a 는 보강용 라멜라의 평면도이다.
도 1b 는 도 1a의 B-B 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는 활모양으로 구부러진 보강용 라멜라가 적용된 강철 보강 콘크리트 T-비임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건축자재의 리세스에 도입될 수 있는 보강용 라멜라의 한 단부이다.
도 4 는 보강용 라멜라를 건축자재에 사전인장된 상태로 적용하기 위한 장력조절장치이다.
도 5 는 나선형으로 감긴 보강용 라멜라가 적용된 기둥형 건축자재의 측단면도이다.
* 부호설명
10 ... 평면 스트립 라멜라 12 ... 건축자재
16 ... 접착제 22 ... 크로스 비임
24 ... 코너 엣지 26 ... 신축성 보강섬유
28 ... 열가소성 바인더 매트릭스 30 ... 중간영역
32, 34 ... 자유단부 35 ... 리세스
36 ... 자유단부 38 ... 드럼형 장력조절요소
39 ... 화살표
본 발명은 건축자재의 코너 너머로 연장시켜서 건축자재를 보강할 수 있는 평탄한 스트립 라멜라 개발과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의 평탄한 스트립 라멜라를 건축자재에 적용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이 목적을 위해 청구항 1 과 청구항 6 내지 9 에 기술된 특성의 조합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내용은 종속항들에서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평면 스트립 라멜라의 신축성이 주로 바인더 매트릭스에 의해 결정된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구부러진 건축자재의 외면과 건축자재 코너위로도 평면 스트립 라멜라를 안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바인더 매트릭스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형태의 평면 스트립 라멜라는 국지적인 온도증가에 의해 변형되어서 보강될 건축자재의 외면윤곽에 적용된다. 신뢰성있는 조작을 보강하기 위해서 사용된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100℃이상이 선호되며 용융점은 160℃이상이어야 한다. 평면 스트립 라멜라의 국지적인 가열은 고온 공기총을 써서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바인더 매트릭스는 폴리올레핀 비닐폴리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카보네이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이오노머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수지이다.
보강섬유는 특히 높은 탄성 모듈러스를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로 형성된다. 그러나 보강섬유는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될 건축자재의 코너위로 본 발명의 세로로 연장된 평면 스트립 라멜라를 적용하기 위해서, 건축자재의 코너 위로 안내된 중간 영역에서 평면 스트립 라멜라를 열가소성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까지 가열되고 건축자재의 코너나 엣지 각도에 해당하는 각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구부러지고 냉각 전 또는 후에 접착층을 수단으로 건축자재 엣지위로 건축자재에 부착된다.
열가소성 바인더 매트릭스 사용은 사전인장된 상태에서 평면 스트립 라멜라를 건축자재 외면에 적용할 수 있게한다. 보강될 건축자재 표면 너머로 돌출한 평면 스트립 라멜라의 자유단부는 가열된 상태에서 장력조절용소를 써서 연신되거나 구부려져서 고정될 수 있다. 평면 스트립 라멜라가 사전인장된 상태에서 건축자재 외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장력조절 요소는 서로에 대한 인장될 수 있다. 장력조절요소를 인장시키기 위해 건축자재로부터 이격되게 장력조절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라멜라의 한 단부가 적당한 장력조절용소에 의해 건축자재 외면에 고정될 때 평면 스트립 라멜라의 자유단부에만 장력조절장치가 관여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바인더 매트릭스 사용으로 평면 스트립 라멜라의 자유단부를 압력 및 열의 작용하에 파동 또는 지그재그 모양으로 압축시킬수도 있다. 형상 보존 고정을 위해 이러한 방식으로 변형된 라멜라 단부가 접착제로 충진된 건축자재 리세스(recess)에 도입되어서 지그재그 영역이 페이스트형 접착재료 채워지고 접착제 경화후 형태에 맞는 연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바인더 매트릭스를 포함한 평면 스트립 라멜라는 기둥형 건축자재의 보강에 사용될수도 있다. 바인더 매트릭스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 평면 스트립 라멜라가 외면에 유체 반응 접착제로 코팅된 기둥형 건축자재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기고 감긴 상태에서 실온까지 냉각되고 동시에 접착제가 경화된다. 감긴 평면 스트립 라멜라 아래에 액체가 모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평면 스트립 라멜라의 나선형 권선사이에 분리부가 유지된다.
평면 스트립 라멜라와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간의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접착될 면상의 보강 섬유를 연마등에 의해 노출시키는 것이 이득이 될 수 있다.
평면 스트립 라멜라(10)는 강철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 및 석조구조물과 같은 건축자재(12)의 사후 보강용으로 디자인된다. 상기 라멜라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16)를 써서 건축자재의 외면에 대해 한편(14)에 고정되고 보충적으로 자유단부(32, 34)에서 건축자재(12)에 고정된다(도 2).
도 2 에 따른 건축자재(12)는 강철 보강된 콘크리트 T-비임으로서 형성되고, 여기서 라멜라(10)는 활모양으로 건축성분(12)의 크로스 비임(22)위로 연장되어서 크로스 비임(22)의 코너 엣지(24)위로 구부러진다.
평면 스트립 라멜라(10)는 병렬로 정렬된 복수의 굽힘가능한 또는 신축적인 탄소 보강 섬유(22)와 내전단 방식으로 보강섬유를 연결하는 바인더 매트릭스로된 복합구조를 가지며, 바인더 매트릭스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다. 열가소성 바인더 매트릭스(28)덕택에 평면 스트립 라멜라가 사용온도에서 비교적 딱딱하고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시 소성변형 가능하다. 코너(24)위로 세로로 연장된 평면 스트립 라멜라(10)를 초기에 안내하기 위해서 중간영역(30)에서 라멜라가 열가소성 바인더 매트릭스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까지 가열되고 엣지 각도에 대해서 약 90˚로 구부러진다. 이러한 벤드는 사용온도로 냉각한 후에 그대로 남아있다.
도 2에서 평면 스트립 라멜라의 한단부(32)가 증가된 온도하에서 소성 변형가능한 측면도 고정과정에서 장점이 된다. 구부러진 단부(32)가 접착제(16)를 써서 건축 성분(12)에 고정된다. 다른 자유 단부(34)에서 평면 스트립 라멜라는 지그재그형 변형을 하며 이것은 압력 및 열의 작용하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부(34)를 써서 평탄한 라멜라(10)가 건축성분(10)의 접착제 충진 리세스(35)에 침투하여서 리세스내 접착제 경화시 형태에 꼭 맞는 고정이 가능하다.
도 4에서 평면 스트립 라멜라(10)의 자유단부(36)는 드럼형 장력조절 요소(38)상에서 가열되고 소성 변형된 상태에서 연신되어서 고정된다. 장력조절 요소(38)는 적당한 장력조절 장치의 작용하에서 서로를 향해 이중 화살표(39) 방향으로 변위되므로, 접착제(16)를 써서 건축성분(12)에 부착하는 동안 평면 스트립 라멜라(10)가 사전 인장될 수 있다. 접착제가 경화할때까지 사전 장력조절이 유지되면 보강효과가 향상된다.
도 5 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평면 스트립 라멜라는 기둥형 건축성분(12)상에 나선형으로 감겨서 거기에 부착된다. 수월하게 감기 위해서 평면 스트립 라멜라가 가열되어서 감는동안 쉽게 나선모양이 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콘크리트, 목재, 강철, 천연 돌 또는 석조 구조물과 같은 하중 지탱 또는 하중 전달 건축자재를 보강하기 위한 평면 스트립 라멜라(10)에 관계한다. 이 평면 스트립 라멜라(10)는 병렬로 정렬된 복수의 굽힘 가능 또는 신축성 보강섬유(26)와 보강섬유는 서로 연결시켜 내전단성이 되게하는 결합 매트릭스(28)로된 복합구조를 가진다. 라멜라는 접착제(16)를 써서 보강될 건축자재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건축자재의 코너 엣지 위로 평면 스트립 라멜라를 구부릴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연가소성 수지재료로 구성된 결합 매트릭스(28)를 제조한다.

Claims (10)

  1. 병렬로 정렬된 복수의 굽힘가능 또는 신축성 보강섬유(26)와 내전단성(shear-resistant) 방식으로 보강섬유를 연결하는 바인더 매트릭스(28)로된 복합구조물을 포함하며 접착제(16)를 수단으로 보강될 건축성분(12)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는 콘크리트와 같이 하중을 지탱하거나 하중을 전달하는 건축성분(12)을 보강하기 위한 평면 스트립 라멜라에 있어서, 바인더 매트릭스(28)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100℃이상이고 용융점이 160℃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비닐폴리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또는 이오노머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
  4. 제 1 항 내지 3 항중 한 항에 있어서, 보강섬유가 탄소섬유이거나 탄소섬유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
  5. 제 1 항 내지 4 항중 한 항에 있어서, 보강섬유가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섬유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
  6. 코너 엣지(24)위로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한 항에 따른 사전 제조되고 세로로 연장된 평면 스트립 라멜라를 건축성분(12)에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축성분의 코너(24)위로 적용될 중간 영역(30)에서 평면 스트립 라멜라가 열가소성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까지 가열되고 건축성분의 코너 또는 엣지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구부러지고 냉각전 또는 후에 접착제층(16)을 수단으로 엣지위로 건축성분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를 건축성분에 적용하는 방법.
  7. 건축성분 표면에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한 항에 따른 사전 제조된 평면 스트립 라멜라를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유단부를 갖는 평면 스트립 라멜라(10)가 가열된 상태에서 장력조절요소상에서 구부러지거나 연신되고 장력조절요소(36)가 서로에 대해 인장을 받고 사전 인장된 상태에서 평면 스트립 라멜라(10)가 건축성분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접착제를 써서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한 항에 따른 평면 스트립 라멜라를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압력과 열의 적용하에서 평면 스트립 라멜라(10)의 자유단부(34)에 파동 또는 지그재그 모양이 형성되고 라멜라(34)를 건축성분의 리세스에 삽입하는 동안 파동 또는 지그재그 부위가 접착제로 채워져서 형태에 맞는 연결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접착제를 써서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한 항에 따른 평면스트립 라멜라를 건축성분에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까지 가열된 평면스트립 라멜라가 기둥형 건축성분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기고, 감긴상태에서 실온까지 냉각되고 동시에 접착제를 경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 항 내지 9 항중 한 항에 있어서, 건축성분과 연결될 면으로부터 바인더(28)를 제거함으로써 보강섬유(26)가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7007053A 1997-07-31 1998-07-15 건축자재 보강용 평면 스트립 라멜라와 상기 라멜라 적용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17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3067A DE19733067A1 (de) 1997-07-31 1997-07-31 Flachband-Lamelle zur Verstärkung von Bauteilen sowie Verfahren zur Anbringung der Flachband-Lamelle an einem Bauteil
DE19733067.3 1997-07-31
PCT/EP1998/004383 WO1999006651A1 (de) 1997-07-31 1998-07-15 Flachband-lamelle zur verstärkung von bauteilen sowie verfahren zur anbringung der flachband-lamelle an einem baute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791A true KR20000070791A (ko) 2000-11-25
KR100417892B1 KR100417892B1 (ko) 2004-02-11

Family

ID=783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05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17892B1 (ko) 1997-07-31 1998-07-15 건축자재 보강용 평면 스트립 라멜라와 상기 라멜라 적용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20020124930A1 (ko)
EP (1) EP1000208B1 (ko)
JP (1) JP2001512200A (ko)
KR (1) KR100417892B1 (ko)
CN (1) CN1127603C (ko)
AT (1) ATE208852T1 (ko)
AU (1) AU738490B2 (ko)
BR (1) BR9811578A (ko)
CA (1) CA2278650C (ko)
DE (2) DE19733067A1 (ko)
DK (1) DK1000208T3 (ko)
ES (1) ES2166612T3 (ko)
HU (1) HU223369B1 (ko)
IL (1) IL134118A (ko)
NO (1) NO314002B1 (ko)
NZ (1) NZ336978A (ko)
PL (1) PL335439A1 (ko)
PT (1) PT1000208E (ko)
WO (1) WO199900665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251A (ko) * 2002-02-23 2003-08-30 윤미숙 섬유보강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71509B1 (ko) * 2001-06-11 2005-03-08 고조 힌시츠 호쇼켄큐쇼 가부시키가이샤 구축물의 보강 방법, 보강 구조체 및 고연성재
KR100894492B1 (ko) * 2008-04-23 2009-05-07 (주)희상리인포스 아라미드 스트립 부재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27722A1 (en) * 2000-01-13 2001-07-2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tes of reinforcing fibers and thermoplastic resins as external structuralsupports
DE10032595A1 (de) * 2000-07-07 2002-01-17 Josef Scherer Armierung für Bauwerksoberflächen
US20020170651A1 (en) * 2001-05-15 2002-11-21 Edwards Christopher M. Method for reinforcing cementitious structures
FI20011069L (fi) * 2001-05-22 2002-11-23 Patenttitoimisto T Poutanen Oy Uusia vetoelimien käyttöjä puurakentamisessa
JPWO2003027416A1 (ja) * 2001-09-25 2005-01-06 構造品質保証研究所株式会社 構造物の補強構造、補強材料、免震装置および補強方法
EP1331327A1 (de) 2002-01-29 2003-07-30 Sika Schweiz AG Verstärkungsvorrichtung
JP3903314B2 (ja) * 2002-10-25 2007-04-11 清水建設株式会社 木造長尺部材の補修補強方法
WO2006039755A1 (en) * 2004-10-12 2006-04-20 The University Of Southern Queensland A strengthening system
IT1399040B1 (it) * 2010-01-27 2013-04-05 Fidia Srl Procedimento per il rinforzo di elementi strutturali
CN101929254B (zh) * 2010-09-01 2011-09-28 中南大学 绕杆搭接锚固纤维片材加固结构构件的方法
CN102121316B (zh) * 2011-01-12 2012-12-12 北京交通大学 预张拉高强度纤维布加固圆形结构的施工方法
US9085898B2 (en) * 2013-03-04 2015-07-21 Fyfe Co. Llc System and method of reinforcing a column positioned proximate a blocking structure
JP6220542B2 (ja) * 2013-04-15 2017-10-25 ファイベックス株式会社 引張部材の定着構造
ES2646943T3 (es) * 2013-06-06 2017-12-18 Sika Technology Ag Conjunto y procedimiento para el refuerzo de estructuras de soporte
ITMI20131316A1 (it) * 2013-08-02 2015-02-03 Interbau S R L Collegamento antisismico tra due elementi strutturali, particolarmente tra due elementi strutturali prefabbricati, del tipo trave-pilastro, trave-trave, trave-tegolo o simile.
CH710538B1 (de) * 2014-12-18 2018-09-28 Re Fer Ag Verfahren zum Erstellen von vorgespannten Bauwerken oder Bauteilen mittels Zugelementen aus Formgedächtnis-Legierungen sowie damit ausgerüstetes Bauwerk oder Bauteil.
DE102017126447A1 (de) * 2017-11-10 2019-05-16 CHT Germany GmbH Beschichtung von Faserprodukten mit wässrigen Polymerdispersionen
CN109457992B (zh) * 2018-10-30 2021-10-08 兰州大学 一种带锚固的体外粘贴加强混凝土结构的方法
CN110453621B (zh) * 2019-07-31 2021-06-11 湖州泰益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倾倒道路隔离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8901A1 (de) * 1983-05-25 1984-11-29 Gustav 5140 Erkelenz Stange Verfahren zur sicheren befestigung einer auf einer aussenflaeche eines flaechigen formlings aufgebrachten auflage im bereich der flaechenraender und formwerkzeug hierzu
DE3843535A1 (de) * 1988-12-23 1990-06-28 Elastogran Kunststoff Technik Verwendung von halbzeugen aus faserverstaerktem kunststoff fuer die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insbesondere stossfaengertraeger
DK0803020T3 (da) 1995-01-09 1999-06-14 Empa Befæstigelse af forstærkningslameller
DE19634840A1 (de) * 1995-08-29 1997-03-06 Erhard Vesp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lächenhaften Aufbringung von Dekormaterial zur Verkleidung eines Formtei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509B1 (ko) * 2001-06-11 2005-03-08 고조 힌시츠 호쇼켄큐쇼 가부시키가이샤 구축물의 보강 방법, 보강 구조체 및 고연성재
KR20030070251A (ko) * 2002-02-23 2003-08-30 윤미숙 섬유보강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94492B1 (ko) * 2008-04-23 2009-05-07 (주)희상리인포스 아라미드 스트립 부재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24930A1 (en) 2002-09-12
HUP0004549A3 (en) 2002-01-28
NO994733D0 (no) 1999-09-29
DE19733067A1 (de) 1999-02-04
WO1999006651A8 (de) 1999-08-12
EP1000208A1 (de) 2000-05-17
HK1024039A1 (en) 2000-09-29
CA2278650A1 (en) 1999-02-11
BR9811578A (pt) 2000-08-29
AU738490B2 (en) 2001-09-20
HUP0004549A2 (hu) 2001-04-28
CA2278650C (en) 2003-01-21
AU8975298A (en) 1999-02-22
CN1127603C (zh) 2003-11-12
KR100417892B1 (ko) 2004-02-11
NZ336978A (en) 2001-08-31
IL134118A (en) 2003-05-29
IL134118A0 (en) 2001-04-30
ATE208852T1 (de) 2001-11-15
WO1999006651A1 (de) 1999-02-11
PT1000208E (pt) 2002-05-31
PL335439A1 (en) 2000-04-25
JP2001512200A (ja) 2001-08-21
EP1000208B1 (de) 2001-11-14
DE59802160D1 (de) 2001-12-20
NO314002B1 (no) 2003-01-13
HU223369B1 (hu) 2004-06-28
CN1251152A (zh) 2000-04-19
ES2166612T3 (es) 2002-04-16
NO994733L (no) 1999-09-29
DK1000208T3 (da) 200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7892B1 (ko) 건축자재 보강용 평면 스트립 라멜라와 상기 라멜라 적용방법
EP0645239B1 (en) Reinforcing fiber sheet and structure reinforced thereby
JP3489839B2 (ja) 構造部材を補強するためのアングル薄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使用方法
JP201810926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及び可撓性連続繊維補強材
JP3806252B2 (ja) 強化繊維シートによ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KR100348767B1 (ko) 콘크리트 필라
JP2002115403A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補強構造
JP3903314B2 (ja) 木造長尺部材の補修補強方法
JPH03224901A (ja) 構築物の補強方法
JP4020005B2 (ja) 繊維強化樹脂製補強材を用いた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JP3151722B2 (ja) コンクリート柱状体の補強方法及び補強材
MXPA00001007A (en) Flat strip lamella for reinforcing building components and method forplacing a flat strip lamella on a component
EP3470595B1 (en) A structural element for constructions.
JPH10280706A (ja) 柱状体の補強方法
US8595912B2 (en) Method for reinforcing a construction work using reinforcing bands
HK1024039B (en) Flat strip lamella for reinforcing building components and method for placing a flat strip lamella on a component
JP2001020461A (ja) コンクリート部材用の補強材および補強構造
JPH1029893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CN111206721A (zh) 建筑业中用于加强构件的紧固元件和用于将压应力引入构件中的方法
JP2022071305A (ja) 補強材及び補強構造
JPH0754023B2 (ja)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2024100294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DE102020105885A1 (de) Verfahren zum Verstärken eines Bauwerksteils
KR20210009709A (ko) 휨 가공 및 열융착이 가능한 건축구조물 내진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강 방법
Trombeva-Gavriloska et al. CONTEMPORARY METHODS FOR RECONSTRUCTION OF CONCRETE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1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