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08358A - 복막 투석액 - Google Patents

복막 투석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8358A
KR20080008358A KR1020077026554A KR20077026554A KR20080008358A KR 20080008358 A KR20080008358 A KR 20080008358A KR 1020077026554 A KR1020077026554 A KR 1020077026554A KR 20077026554 A KR20077026554 A KR 20077026554A KR 20080008358 A KR20080008358 A KR 20080008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ysis solution
peritoneal dialysis
cyclic
solution
glucos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8766B1 (ko
Inventor
히토미 오타
도시하루 하나야
시게하루 후쿠다
요시카츠 미와
도시오 미야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Publication of KR20080008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7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28Peritoneal dialysis ; Other peritoneal treatment, e.g. oxygenation
    • A61M1/287Dialysa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8Plasma substitutes; Perfusion solutions; Dialytics or haemodialytics; Drugs for electrolytic or acid-base disorders, e.g. hypovolemic sho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수 성능이 우수하고, 생체 적합성이 높고,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복막 투석액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환상 니게로실니게로스, 환상 말토실말토오스 및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복막 투석액에 의해 해결한다.

Description

복막 투석액{PERITONEAL DIALYSIS FLUID}
본 발명은, 신부전(腎不全) 환자 등에게 적용되는 복막(腹膜) 투석액(透析液)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상(環狀) 니게로실니게로스(cyclic nigerosylnigerose), 환상 말토실말토오스(cyclic maltosylmaltose) 및 L-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2-글루코시드(glucoside)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질(糖質)을 함유하는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복막 투석액에 관한 것이다.
복막 투석은, 환자 복강(腹腔) 내에 주입한 투석액에 의해, 환자 복막의 모세 혈관 내의 노폐물이나 수분 등을 교환 또는 제거하는 요법이며, 신부전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법이다. 신부전의 또 하나의 대표적인 요법인 혈액 투석에 비해, 대규모의 장치·설비나 의사·간호사의 도움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는 이점으로부터, 사회 복귀를 희망하는 환자나 원격지이기 때문에 의료 시설 방문이 곤란한 환자 등에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복막 투석 요법에는 이하에 열거한 바와 같은 몇 가지의 결점이 있다. 우선 제1로,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복막 투석액은 침투압제로서,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서 기인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기고 있다. 예를 들면, 환자 체내에의 글루코오스의 흡수이며, 그것에 의해서 혈당치의 상승이나 지질 대사(代謝) 이상(異常), 복막의 경화에 의한 제수(除水) 불량이 생긴다. 또한, 투석액의 pH 조정에 관련되는 문제가 있다. 현행의 복막 투석액에서는, 고압 증기 멸균 시(時)에 있어서의 투석액 중의 글루코오스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투석액을 산성 측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지만, 복강 내에 빈번하게 주입하는 액(液)을 산성으로 하는 것은, 복강 또는 복막 중피(中皮) 세포에 대하여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또한,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투석액을 산성 측으로 조정했을 경우라도, 고압 증기 멸균이나 장기 보존 등에 의해, 복막 투석액 중에 인체에 유해한 글루코오스 분해 산물(産物)인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ydroxymethylfurfural)이 생기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8-71146호 공보 참조). 그 때문에, 종래로부터 이 글루코오스 분해 산물의 생성을 적게 하는 방법이 검토되어 왔다. 예를 들면, 투석액 중의 상기 분해 산물을 제거하는 방법이나 멸균 방법이나 멸균 조건의 변경 등이다. 그러나, 주요한 침투압제로서, 투석액 중에 글루코오스가 존재하는 한, 투석액 중의 글루코오스 분해 산물을 전혀 함유하지 않도록 할 수는 없다. 또한,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투석액에서는, 복강 내에 투여한 후, 장시간, 투석액을 교환하지 않은 채로 해 두면, 글루코오스가, 모세 혈관 내에 흡수되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제수 성능이 저하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침투압제로서, 글루코오스 이외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올리고당이나 다당류, 아미노산(amino acid)이나 전분의 가수 분해물인 글루코오스 폴리머(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0-94598호 공보, 일본국 특개 평8-85701호 공보 참조) 등이다. 그러나, 이들 침투압제는 고가(高價)인 것도 있고, 또한, 장기 사용에 있어서의 생체적 안전성의 확인이 불충분한 것, 용이하게 분해되는 것 등의 이유로, 실용화에 이르지 못하였다. 또한, 침투압제로서 아미노당이나 L-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지만(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1-71273호 공보 참조), 이들 물질은, 가압 멸균 등을 할 때에 분해되거나, 다른 성분과 반응하는 등으로 해서 갈변(褐變) 물질을 생기게 하는 등, 복막 투석액의 보존 안정성의 점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가 있어, 더욱 우수한 침투압제를 사용한 복막 투석액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제수 성능이 우수하고, 생체 적합성이 높으며,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복막 투석액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銳意)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전해질과 침투압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복막 투석액에 있어서, 침투압제로서, 환상 니게로실니게로스, 환상 말토실말토오스 및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질을 사용함으로써, 제수 성능이 우수하고, 생체 적합성이 높고,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복막 투석액을 조제할 수 있다고 하는 예상 외의 지견(知見)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서, 제수 성능이 우수하고, 생체 적합성이 높고,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복막 투석액을 얻을 수 있다. 즉, 제수량의 증가와 제수 시간의 연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글루코오스를 비롯한 성분의 분해나 갈변 물질 등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생체에 대하여 유해물이 적고,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복막 투석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생체막이나 복막 중 중피 세포에 대하여, 손상이 적은 복막 투석액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은, 글루코오스를 필수적인 성분으로 하지 않으므로, 이것에 포함되는 글루코오스의 양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당뇨병 등의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도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환상 니게로실니게로스라는 것은, 동일 출원인이, 국제 공개 WO 02/10361호에서 개시한 사이클로{→6)-α-D-글루코피라노실(glucopiranosyl)-(1→4)-α-D-글루코피라노실-(1→6)-α-D-글루코피라노실-(1→4)-α-D-글루코피라노실-(1→}의 구조를 갖는 환상 4당(糖)(본 명세서를 통해서, 환상 니게로실니게로스: Cyclonigerosylnigerose라고 하고, 「CNN」이라고 약기(略記)하는 경우가 있음)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환상 말토실말토오스라는 것은, 동일 출원인이, 일본국 특개2005-95148호 공보에서 개시한 사이클로{→6)-α-D-글루코피라노실-(1→4)-α-D-글루코피라노실-(1→6)-α-D-글루코피라노실-(1→4)-α-D-글루코피라노실-(1→}의 구조를 갖는 환상 4당(본 명세서를 통해서, 환상 말토실말토오스: Cyclomaltosylmaltose라고 하고, 「CMM」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을 말한다. 또한, 이들 2종류의 환상 4당을 아울러서, 「환상 4당」이라고 할 경우가 있다. 이들 환상 4당은, 모두, 발효법, 효소법, 합성법 등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경제성을 문제로 하는 것이라면, 예를 들면, 상기 특 허 등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전분 부분 가수 분해물에 환상 4당의 생성 효소를 작용시키는 방법이 매우 적합하다. 이들 방법에 의하면, 염가 재료인 전분으로부터, 이들 환상 4당이 고수율로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환상 4당은 반드시 고도(高度)로 정제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조제의 과정에서 공존하는 다른 당질이나 환상 4당의 유도체와의 미분리 조성물로서의 형태, 그것들을 부분 정제, 혹은, 고도로 정제한 것이어도 좋고, 또한, 제조 공정에서 공존하는 환원성 당(糖)을 수소 첨가해서 당 알코올로 변환한 것이어도 좋다. 그러나, 복강 내에의 투여를 생각하면, 98 질량% 이상의 고순도의 것이 바람직하고, 99 질량%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그때는, 균(菌) 제거 및 탈(脫) 파이로젠(pyrogen) 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는, 발효법, 효소법, 합성법 등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경제성을 문제로 하는 것이라면, 예를 들면, 동일 출원인이 일본국 특개평3-135992호 공보 등에 개시한 방법에 의해, L-아스코르브산과 전분 부분 가수 분해물의 혼합 용액에, 당 전이(轉移) 효소를 작용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염가 재료인 전분 부분 분해물과 L-아스코르브산으로부터,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가 고수율로 얻어진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林原)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AA2G」)를, 균 제거 및 탈(脫) 파이로젠 처리해서 사용하는 것도 자유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의 순도는,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복강 내에의 투여를 생각하면, 98 질량% 이상의 고순도의 것이 바람직하고, 99 질량%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그때는, 균 제거 및 탈(脫) 파이로젠 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침투압제로서, 환상 니게로실니게로스, 환상 말토실말토오스 및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질을 함유하는 복막 투석액으로서, 상기 구성에 의해, 염가로 침투압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첨가하는 침투압제의 종류나 배합량에 의해, 제수 성능이나 제수 시간의 변경·조정 등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의 침투압은, 이 투석액이, 생체에 중하고 위독한 장해를 끼치는 일 없이, 제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보통은, 이 투석액에 사용하는 환상 니게로실니게로스, 환상 말토실말토오스 및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질, 전해질 및 그 밖의 성분의 배합량을 적절히 조정해서, 그 침투압을 282mOsm/L∼820mOsm/L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82mOsm/L∼400mOsm/L로 조정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은, pH가 3∼9로 조정된 것이 바람직하고, pH가 5.0∼7.5로 조정된 복막 투석액은 더욱 바람직하다. 복막 투석액의 pH를 상기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복막이나 복막 중피 세포에 대한 손상을 더욱 적게 할 수 있다. 완충제(緩衝劑)로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면 좋고, 예를 들면, 락트산나트륨이나 중탄산나트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은, 물에, 환상 니게로실니게로스, 환상 말토실말토오스 및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질을 침투압제로서 용해하고, 이외에,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복막 투석액에 배합 가능한 성분을 용해해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은, 공지된 복막 투석액에, 환상 니게로실니게로스, 환상 말토실말토오스 및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질을 침투압제로서 첨가하여 조제해도 좋고, 공지된 복막 투석액의 침투압제 일부 혹은 전부를 환상 니게로실니게로스, 환상 말토실말토오스 및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질과 치환해서 조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환상 4당 및/또는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의 복막 투석액에의 첨가량은, 그 합계가, 전해질(무기 염류 성분)이나 다른 성분도 모두 투석액의 침투압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면 좋지만, 보통은, 무수물 환산으로, 0.1%(W/V) 내지 35%(W/V)의 범위에서 사용되며, 0.5%(W/V) 내지 25%(W/V)(이하에, 특별히 거절하지 않는 한 본건 명세서에서는,「%(W/V)」를 「%」로 표기한다.)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은, 그 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투석액의 제수 성능의 조절이나 보존 안정성의 향상, 영양 보급, 신장 질환이나 투석에 의해 발생하는 임상 증상이나 합병증의 예방, 치료 등의 목적으로, 각종 전해질, 그 위에, 글루코오스, 과당(果糖), 락토오스(lactose), 수크로오스(sucrose), α, α-트레할로오스(trehalose), α, β-트레할로오스, β, β-트레할로오스, 락토수크로오스(lactosucrose), 말토올리고당,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물엿,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등의 당류, 만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크실리톨(xylitol), 말토트리이톨(maltotriitol)을 비롯한 당 알코올류, 글루코사민, 아세틸글루코사민, 갈락토사민(galactosamine) 등의 아미노당, 말토덱스트린의 수(水) 첨가물이나 분자 내에 α, α-트레할로오스 구조를 갖는 덱스트린을 비롯한 비환원성의 올리고당이나 다당류, 풀루란(pullulan), 카라기난(Carrageenan), 콘드로이틴 황산이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의 무코 다당체(muco 多糖體)나 그 염류, 천연 검(gum)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rose)를 비롯한 합성 고분자 폴리머, 콜라겐, 젤라틴, 폴리펩티드(polypeptide) 등 수용성 고분자의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질의 첨가량은, 인간 체액의 이온 농도에 근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통은, 각종 무기 염류를 조합해서, 나트륨 이온 120mEq∼150mEq, 칼륨 이온 OmEq∼10mEq, 칼슘 이온 3mEq∼5mEq, 마그네슘 이온 OmEq∼3mEq, 염소 이온 100mEq∼120mEq, 중탄산 이온 25mEq∼40mEq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이온에 추가해서, 인산 이온이나, 그 위에, 구리, 아연 등의 미량(微量) 원소를 배합하는 것도 자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에는, 필요에 따라서, 항염증제, 항균제, 항종양제, 이뇨제, 해열제, 진통제, 면역 부활제, 세포 부활제, 생리 활성 물질 등의 의약 성분, 항산화제, 락트산, 시트르산(cit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을 비롯한 유기산, 유화제(乳化劑), 루틴(rutin), 헤스페리딘(hesperidin), 나린진(naringin) 등의 비타민P류,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B12, L-아 스코르브산, 비타민E, 또는, 이들 비타민류의 유도체 등의 비타민류나, 아미노산이나 N-아세틸아미노산 등의 아미노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아미노산류, CoQ10(코엔자임 Q10), α-리포산, L-카르니틴(carnitin), 아데노신(adenosine)이나 그 모노포스페이트(monophosphate), 디포스페이트(diphosphate) 혹은 트리포스페이트 등, 염기류 등의 성분의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시키는 것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의 조제는, 그 각각의 성분을, 원료의 단계로부터 제품의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적절한 공정, 혹은, 기존의 제품에 대해서, 예를 들면, 희석, 농축, 건조, 여과, 원심 분리, 혼화(混和), 혼날(混捏), 용해, 융해, 분산, 현탁(懸濁), 유화, 침지(浸漬), 침투, 살포, 도포, 피복, 고화(固化), 분쇄 등의 방법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하여 조제한 복막 투석액은, 폴리염화비닐이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등의 연질 플라스틱제 백(bag)이나 유리제 용기 등에 봉입하고, 필요에 따라서, 가압 증기 멸균, 열수 멸균, 막(膜) 여과 등의 방법에 의해, 멸균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존 안정성이 나쁜 성분이나 다른 성분과 장기간 혼합 상태로 두면, 분해나 변성이 생기는 성분을 배합할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조성물로 나누어서 조제해 두고, 사용 시에 이것들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자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의 성분을 혼합한 분말이나 이것의 고농도 수용액을, 사용 시에 멸균 증류수로 희석해서 사용하는 것도 자유이다.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기지 (旣知)의 복막 투석 요법의 수법에 의해서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의 사용량에 대해서도 아무런 제한은 없고, 치료 대상으로 하는 환자의 상태나 치료의 목적, 신장 기능 상실의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으며, 보통은, 1회 1L∼2L 정도를, 1일 1회∼수회, 복강 내에 주입하고, 일정 시간 후에 체외로 배출함으로써, 체내에 축적한 수분 및 노폐물을 교환, 제거할 수 있다. 이 일련(一連)의 조작은, 예를 들면, 복강 내에 카테터(catheter)를 유치(留置)하고, 중력이나 펌프를 이용해서 환자 자신이나 간호사의 손에 의해, 자택, 직장, 여행지 등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혹은, 간헐적(間歇的) 복막 투석법이나 기계화에 의해 자동화된 연속적 사이클릭(cyclic) 복막 환류법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은, 혈액 투석의 투석액, 장기(臟器) 보존액, 복강, 흉강(胸腔), 장기 세정액 등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환상 4당 및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는, 라디칼(radica1)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이 강하므로,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의 투여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복막·횡격막이나 소화기계의 장기의 염증이나 세포의 장해(障害), 카테터 삽입 부위의 상처의 악화나 염증 등과 같은, 라디칼의 발생을 수반하는 장해나, 그 장해의 확대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은, 생체 적합성의 면에서도 우수하다.
이하에, 실험에 근거해서 더욱 상세히 본 발명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험에는, 환상 4당으로서, 후술하는 제조 예 1의 방법에 의해 조제한 환상 니게로실니게로스(CNN) 5 함수결정(含水結晶) 및 후술하는 제조 예 2의 방법에 의해 조제한 환상 말토실말토오스(CMM) 5 함수결정을 사용하였다.
<실험 1: 복막 투석액의 갈변(褐變)에 끼치는 환상 4당 또는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의 영향>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에 의해, CNN 5 함수결정 분말, CMM 5 함수결정 분말 또는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林原)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시약급)를 함유하는 복막 투석액을 조제하였다. 이들 복막 투석액을, 각각 유리병에 넣어서 마개로 밀봉하고, 121℃에서 40분간 멸균하여, 육안 관찰에 의한 갈변의 유무와, 284nm의 흡광도(吸光度)의 증가를 지표로 해서,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생성의 유무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모두 나타낸다. 또한, 대조(對照)로서, 표 1에 나타낸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복막 투석액을 사용하였다.
성 분 배합량(g/1000mL)
투석액1 투석액2 투석액3 투석액4 투석액5 대 조
염화나트륨 5.38 5.38 5.38 5.38 5.38 5.38
락트산나트륨 7.4 7.4 7.4 7.4 7.4 7.4
염화칼슘·2수화물 0.26 0.26 0.26 0.26 0.26 0.26
염화마그네슘·6수화물 0.05 0.05 0.05 0.05 0.05 0.05
CNN(무수물 환산) 25 0 0 12.5 0 0
CMM(무수물 환산) 0 25 0 0 12.5 0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0 0 25 12.5 12.5 0
글루코오스 0 0 0 0 0 25
전체량(mL)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갈변의 유무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생성의 유무
표 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환상 4당,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및 환상 4당과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복막 투석액은, 모두, 멸균 후에도 갈변이 생기는 일도 없고,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생성도 인지(認知)되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대조인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복막 투석액은, 멸균 후, 갈변이 관찰되고, 생체에 있어서 유해한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생성도 인지되었다. 이 결과는, 환상 4당 및/또는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복막 투석액은,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복막 투석액에 비해서, 안정성(安定性), 안전성(安全性)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험 2: 복막 투석액의 제수 성능에 끼치는 환상 4당의 영향(1)>
투석액의 제수 성능에 끼치는 환상 4당의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투석 튜브를 이용해서, 아래와 같이 실행하였다. 즉, 표 2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으로, 글루코오스 또는 CNN을 함유하는 투석액을 조제하였다. 이들 투석액의 어느 1종 1.5mL를, 투석 튜브(분자량 분획(分劃) 15,000, 지름 16mm, 길이 70mm)에 넣어서, 크렌메로 밀봉하고, 이것을, 정제 수(水)에, 염화나트륨과 덱스트란(와코(和光) 순약 공업 주식회사 판매, 분자량 60,000∼90,000)을, 각각 9g/L와 6g/L가 되도록 첨가해서 조제한 외액(外液) 1L 중에 넣어서, 투석하였다. 투석 개시 1시간 후부터 14시간 후까지의 투석 튜브의 질량을 측정하고, 튜브 내의 투석액의 액량(液量)을 구하였다. 실험은, 1종류의 투석액에 대해서, 3개의 투석 튜브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조성의 투석액을 외액에 침지했을 때의 경시적인 액량의 변화에 대해서, 투석 전의 튜브 내의 투석액의 액량을 100으로 하는 상대치를 구하고, 3개 튜브의 결과를 평균해서, 튜브 내 투석액의 액량의 증가율로 하여, 표 3에 나타낸다.
성 분 배합량(g/1000mL)
투석액1 투석액2 투석액3 투석액4 투석액5 대조1 대조2
염화나트륨 4.48 4.48 4.48 4.48 4.48 4.48 4.48
락트산나트륨 5.35 5.35 5.35 5.35 5.35 5.35 5.35
염화칼슘·2수화물 0.26 0.26 0.26 0.26 0.26 0.26 0.26
염화마그네슘·6수화물 0.05 0.05 0.05 0.05 0.05 0.05 0.05
CNN(무수물 환산) 10 30 75 150 300 0 0
글루코오스 0 0 0 0 0 22.7 38.6
전체량(mL)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침투압(mOsm/L) 282 329 388 513 821 392 489
투석 개시 후의 시간 (시간) 투석액의 액량의 증가율(%)
투석액1 투석액2 투석액3 투석액4 투석액5 대조1 대조2
1 105 110 130 154 195 100 108
2 103 112 144 176 232 97 109
3 101 111 145 185 259 98 106
4 98 116 142 188 274 97 107
5 97 110 144 190 283 95 109
6 95 111 144 192 289 95 105
7 94 109 144 194 291 92 99
8 91 108 144 190 295 91 100
12 110 119 149 198 319 97 111
14 105 112 147 198 319 98 105
표 3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7.5%, 15% 및 30%의 CNN을 함유하는 투석액(투석액 3, 투석액 4, 투석액 5)을 투석 튜브에 넣고, 1L의 외액에 대하여 투석했을 경우는, 3.86%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투석액(대조 2)을 넣은 투석 튜브를 투석했을 경우에 비해서, 투석 개시 1시간 후부터, 투석 튜브 내의 액량이 고율(高率)로 증가하였다. 2.27%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투석액(대조 1)을 넣은 투석 튜브와, 3%의 CNN을 함유하는 투석액(투석액 2)을 넣은 튜브에서는, 투석액 2를 넣은 쪽이, 투석 튜브 내의 액량의 증가율이 높고, 1%의 CNN을 함유하는 투석액(투석액 1)을 넣은 투석 튜브에서는, 그 증가율에 차이는 거의 인지되지 않았다. 또한, CNN을 함유하는 투석액을 넣은 투석 튜브 내의 액량을 비교하면, 투석 튜브 내의 액량의 증가율은, 투석액 중의 환상 4당의 함량에 의존해서 높아졌다. 3.86%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투석액(대조 2)보다도 낮은 침투압인 7.5%의 CNN을 함유하는 투석액(투석액 3)이나, 대조 2의 투석액과 거의 동일한 침투압인 15%의 CNN을 함유하는 투석액(투석액 4)을 넣었을 경우의 쪽이, 3.86%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투석액(대조 2)보다도, 투석 튜브 내의 액량의 증가율이 높은 것은, CNN이 글루코오스보다도 우수한 제수 성능을 구비하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CNN 대신, 후술하는 제조 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CMM을 사용해서 동일 형태의 실험을 실행한 바, CNN을 사용했을 경우와, 거의 동일한 결과로 되었으므로, CNN을 사용했을 경우의 결과만을 표 2에 기재하였다.
<실험 3: 복막 투석액의 제수 성능에 끼치는 환상 4당의 영향(2)>
투석액의 제수 성능에 끼치는 환상 4당의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쥐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실행하였다. 우선, 표 2에 기재된 농도의 전해질 용액에, CNN, CMM 혹은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를 용해하고, 7.5% CNN 함유 투석액(투석액 1), 7.5% CMM 함유 투석액(투석액 2), 및, 6.7%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함유 투석액(투석액 3)을 조제하였다(농도는 모두 무수물 환산). 대조로서 동일 전해질 용액에 글루코오스를, 무수물 환산으로, 3.86%가 되도록 용해해서 투석액(대조)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4시간 절식(絶食)한 7∼8주령(週令)의 CD(SD)IGF 쥐(일본국 챨스 리버 주식회사 판매, 수컷, 체중 256g∼317g)에 에테르 흡입 마취를 하고, 상기 투석액의 어느 10mL을, 21게이지(gage) 주사 바늘이 부착된 10mL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복강 내에 투여하였다. 투여 후 2시간, 4시간, 6시간, 14시간 후, 쥐를 에테르 마취에 의해 치사시킨 후, 복강 내 저류 액을, 19게이지 주사 바늘이 부착된 10mL용 주사기를 이용해서 회수하고, 그 액량을 측정하였다. 이것들의 측정치를 기초로 하여, 대조의 투석액을 복강 내에 투여 직후에, 복강 내로부터 회수한 액량을 100으로 하는 상대치를 구하여, 복강 내에 넣은 투석액 액량의 증가율로서,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시험은, 각각의 투석액에 대해서, 각각의 측정 시간마다 3마리의 쥐를 사용하였다. 또한, 투석액을 복강 내 투여 직후에 회수한 투석액 액량의 평균은, 9.4mL이었다.
투석 개시 후의 시간(시간) 복강 내에 넣은 투석액 액량의 증가율(%)
투석액 1 투석액 2 투석액 3 대 조
2 172 175 169 160
4 198 197 195 188
6 199 196 194 166
14 162 163 159 131
표 4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CNN, CMM 혹은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투석액(투석액 1, 투석액 2, 투석액 3)을 복강 내에 투여했을 경우에는, 복강 내의 저류 액량은, 투여 후 4시간에서, 각각 최대의 증가율(198%, 197%, 195%)을 나타내고, 6시간째에서도 그 증가율이 유지되며, 14시간 후에, 각각, 162%, 163%, 혹은 159%로 감소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대조의 투석액을 복강 내에 투여했을 경우에는, 그 복막 내의 저류 액량은, 투여 후 4시간째까지는, CNN, CMM 혹은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투석액(투석액 1, 투석액 2, 투석액 3)을 투여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증가율의 상승이 인지되었지만, 그 증가율은, 투석액 1 내지 투석액 3보다도 낮고, 게다가, 6시간째에는, 증가율이 이미 감소로 변하고(166%), 14시간째에는, 131%까지 저하하였다. 이것들의 실험 결과는, 환상 4당 혹은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투석액 쪽이,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투석액보다도, 복강 내에 투여했을 경우에, 제수량 증가의 점에서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투석액에 비해서, 우수한 제수 시간의 연장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험 1 내지 실험 3의 결과는, 환상 4당 및/또는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투석액이, 글루코오스를 함유한 투석액에 비해서, 안정적이고, 또한, 제수 성능이 우수하고, 제수량의 증가와 제수 시간의 연장을 실현할 수 있는 복막 투석액으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제조 예 1: 환상 니게로실니게로스(CNN)의 제조>
옥수수 전분을 농도 약 20%의 전분유(澱粉乳)로 하고, 이것에 탄산칼슘 0.1% 첨가해, pH 6.5로 조정하고, α-아밀라아제(amylase)(노보사 판매, 상품명 「타마밀 60L」)를 전분 그램당 0.3% 첨가해, 95℃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이어서 120℃에서 20분간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처리를 하고, 이어서, 약 35℃에 급랭(急冷)해서 DE(dextrose equivalent) 약 4의 액화 용액을 얻고, 이것에, 국제 공개 WO O2/10361호에 개시한 바실루스 글로비스포루스(bacillus globisporus) C9(FERM BP-7143) 유래의 α-이소말토실글루코 당질 생성 효소와 α-이소말토실 전이 효소를 함유하는 효소 액을 전분 그램당 0.2mL 첨가하고, 또한 시클로말토덱스트린·글루카노트랜스페라제(cyclomaltodextrine glucanotransferase)(주식회사 하야시바라(林原) 생물 화학 연구소 제조)를 전분 고형물 그램당 10단위가 되도록 첨가해, pH 6.0, 온도 35℃로 48시간 반응시켰다. 그 반응액을 95℃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pH 5.0, 온도 50℃에 조정한 후, α-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제(아마노(天野) 제약 주식회사 판매, 상품명 「트랜스글루코시다아제 L(아마노)」)를 고형물 그램당 300단위 첨가하고, 24시간 반응시키고, 또한 글루코아밀라아제(glucoamylase)제(나가세 생화학 공업 주식회사 판매, 상품명 「글루코팀」)를 고형물 그램당 30단위 첨가해, 17시간 반응시키고, 그 반응액을 95℃에 가열해 30분간 유지한 후, 냉각하고,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활성탄으로 탈색하고, H 형 및 OH 형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해 탈염(脫鹽)해, 정제하고, 또한 농축해서, 고형물당, 글루코오스 34.2%, CNN 62.7%, 기타의 당질을 3.1% 함유하는 농도 60%의 CNN 함유 시럽을 얻었다.
이 CNN 함유 시럽을,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오르가노 주식회사, 상품명 「앰버라이트(Amberlite) CR-1310(Na 형)」)를 이용해서 칼럼 분획을 행하였다. 수지를 내경 5.4cm의 재킷(jacket) 부착 스테인리스제 칼럼 4개에 충전하고, 직렬로 연결해 수지층 전장(全長) 20m(각각의 칼럼의 수지층 길이는 5m)로 하였다. 칼럼 내 온도를 60℃에 유지하면서, 당액(糖液)을 수지에 대하여 5v/v% 첨가하고, 이것에 60℃의 온수를 SV O.13으로 흘려서 분획하고, 용출액의 당 조성을 HPLC법으로 모니터하여, CNN 고함유 획분을 채취하여, 정제하고, 고형물당 약 98%의 CNN을 함유하는 CNN 함유액을 얻었다. 본 용액을 농도 약 70%로 농축한 후, 조정관(助晶罐)에 의해, 종정(種晶)으로서 CNN 함수결정을 고형물당 약 2% 더해서 서랭(徐冷)하고, 정출율(晶出率) 약 45%의 마스키트(massecuite)를 얻었다. 본 마스키트를 건조 탑 위의 노즐로부터 150kg/cm2 고압으로 분무하였다. 이것과 동시에 85℃의 열풍을 건조 탑의 상부에서 송풍하고, 저부(底部)에 설치한 이송용 철망 컨베이어 위에 결정 분말을 포집하고, 컨베이어 아래로부터 45℃의 온풍을 보내면서, 그 분말을 건조 탑 바깥으로 서서히 이동시켜 꺼냈다. 이 결정 분말을 숙성 탑에 충전해서 온풍을 보내면서, 10시간 숙성시켜, 결정화와 건조를 완료하고, 순도 98% 이상의 CNN 5 함수결정 분말을 얻었다. 본 제품은, 복강 내에서 효소에 의한 분해를 받는 일이 없으므로, 침투압제로서 글루코오스나 올리고당 등을 사용한 복막 투석액에 비해서, 침투압의 변화가 작아, 복막 투석액의 침투압제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조 예 2: 환상 말토실말토오스(CMM)의 제조>
전분 부분 분해물(마쓰타니(松谷) 화학 공업 주식회사 판매, 상품명 「파인덱스 #4」) 1.5%, 효모 추출물(일본 제약 주식회사 판매, 상품명 「폴리펩톤」) 0.5%, 효모 추출물(일본 제약 주식회사 판매, 상품명 「효모 엑기스 S」) 0.1%, 인산 2칼륨 0.1%, 인산 1나트륨·2수화물 0.06%, 황산마그네슘·7수화물 0.05%, 탄산칼슘 0.3%, 및 물로 이루어지는 액체 배지(培地)를 이용하여, 일본국 특개2005-95148호 공보에 기재된 아르드로박터·글로비포르미스(Arthrobacter globiformis) M6(FERM BP-8448)를 접종하고, 27℃, 230rpm으로 120시간 회전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8,000rpm, 20분간)해서 균체를 제거하고, 얻은 배양 상청(上淸)을 효소 액으로서 이용해서, 이것을 2% 가용성 전분 및 2mM 염화칼슘을 함유하는 50mM 아세트산 완충 액에 첨가해, 24시간, 40℃에서 반응시킨 후, 약 100℃에서 10분간, 열처리함으로써 반응을 정지하였다.
계속해서, 상기의 반응물을 염산으로 pH 5.0로 조정한 후, α-글루코시다아제(아마노(天野) 엔자임 주식회사 판매, 상품명 「트랜스글루코시다아제 L(아마노)」)를 고형물 1그램당 4000단위 및 글루코 아밀라아제(나가세 생화학 공업 주식회사 판매)를 고형물 1그램당 250단위 첨가해서 50℃, 1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약 100℃에서 10분간, 열처리해서 반응을 정지시켰다. 계속해서, 이 반응액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해서 pH를 12에 조정하고, 98℃에서 1시간 유지함으로써 환원당(還元糖)을 분해하였다. 불용물(不溶物)을 여과해서 제거한 후, 이온 교환 수지(미쓰비시(三菱)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다이아 이온 SK-1B」 및 「다이아 이온 WA30」) 및 음이온 교환 수지(오르가노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IRA411」)를 이용해서 탈색, 탈염하고, 정밀 여과한 후, 농축기에서 농축하여, 진공 건조해서 순도 98% 이상의 CMM 5 함수결정 분말을 얻었다. 본 제품은, 복강 내에서 효소에 의한 분해를 받는 일이 없으므로, 침투압제로서 글루코오스나 올리고당 등을 사용한 복막 투석액에 비해서, 침투압의 변화가 작아, 복막 투석액의 침투압제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조 예 1의 방법으로 조제한 CNN 5 함수결정 분말 9.5g, 염화나트륨 0.567g, 락트산나트륨 3.92g, 염화칼슘 0.294g, 염화마그네슘 0.103g을 증류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 0.294g을 이용해서 pH를 약 7.5로 조정한 후, 증류수로 전량(全量)을 1,000mL로 하였다. 상기의 용액을 0.2㎛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폴리염화비닐 수지(PVC)제 백(bag)에 충전하여, 121℃에서 20분간, 가압 증기 멸균을 실행하였다.
본 제품을 육안으로, 착색을 확인한 바, 착색은 인지되지 않고, 또한, 284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 바, 가압 증기 멸균 전과 비교해서 흡광도의 증가는 인지되지 않고,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류의 생성도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제품은, 보존 안정성 및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복막 투석액이다. 또한, 본 제품은, 혈액 투석용의 투석액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트산나트륨을 바꾸어, 다른 완충제(중탄산나트륨 등)를 사용해도 좋다.
(실시예 2)
제조 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CMM 5 함수결정 분말 9.5g, 글루코오스 0.1g, 염화나트륨 0.567g, 락트산나트륨 3.92g, 염화칼슘 0.294g, 염화마그네슘 0.103g을 증류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 0.294g을 이용해서 pH를 약 7.5로 조정한 후, 증류수로 전량을 1,000mL로 하였다. 상기의 용액을 0.2㎛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PVC제 백에 충전하고, 121℃에서 20분간, 가압 증기 멸균을 실행하였다.
본 제품을 육안으로, 착색을 확인한 바, 착색은 인지되지 않고, 또한, 284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 바, 가압 증기 멸균 전과 비교해서 흡광도의 증가는 인지되지 않고,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류의 생성도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제품은, 보존 안정성 및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복막 투석액이다. 또한, 본 제품은, 혈액 투석용의 투석액, 장기의 세정액, 보존액 등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트산나트륨을 바꾸어, 다른 완충제(중탄산나트륨 등)를 사용해도 좋다.
(실시예 3)
시판되는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林原)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시약급)를 활성탄 처리 후, 0.2㎛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해서 파이로젠과 미생물을 제거한 것 4g, 염화나트륨 0.567g, 락트산나트륨 3.92g, 염화칼슘 0.294g, 염화마그네슘 0.103g을 증류수에 용해하고, 적정량의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해서 pH를 약 6.5로 조정한 후, 증류수로 전량을 1,000mL로 하였다. 상기의 용액을 0.2㎛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PVC제 백에 충전하고, 121℃에서 20분간, 가압 증기 멸균을 실행하였다.
본 제품은, 보존 안정성 및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복막 투석액이다. 또한, 본 제품은, 혈액 투석용의 투석액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제조 예 1의 방법으로 조제한 CNN 5 함수결정 분말 4.6g, 실시예 3에서 조제한, 파이로젠과 미생물을 제거한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2.1g, 염화나트륨 0.567g, 락트산나트륨 3.92g, 염화칼슘 0.294g, 염화마그네슘 0.103g을 증류수에 용해하고, 적정량의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해서 pH를 약 7.5로 조정한 후, 증류수로 전량을 1,000mL로 하였다. 상기의 용액을 0.2㎛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폴리염화비닐 수지(PVC)제 백에 충전하고, 121℃에서 20분간, 가압 증기 멸균을 실행하였다.
본 제품은, 보존 안정성 및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복막 투석액이다. 또한, 본 제품은, 혈액 투석용의 투석액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트산나트륨을 바꾸어, 다른 완충제(중탄산나트륨 등)를 사용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상 니게로실니게로스, 환상 말토실말토오스 및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질을 함유하는 복막 투석액이, 제수 성능이 우수하고, 생체 적합성이 높고, 게다가,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현저한 작용을 가진 완전히 독자적인 지견에 근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복막 투석액은, 중하고 위독한 부작용의 걱정이 없고, 인간의 복막 투석액으로서 간편하고 또한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도 현저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발명이며, 이 업계에 다대(多大)한 공헌을 하는, 참말로 의의가 있는 발명이다.

Claims (7)

  1. 환상(環狀) 니게로실니게로스(cyclic nigerosylnigerose), 환상 말토실말토오스(cyclic maltosymaltose) 및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류 이상의 당질을 액(液) 중에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액.
  2. 제1항에 있어서, 기타 당질을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하는 복막 투석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환상 니게로실니게로스, 환상 말토실말토오스 및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류 이상의 당질을, 무수물 환산으로, 합계로, 0.1%(W/V) 내지 35%(W/V)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액.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침투압이 282mOsm/L 내지 820mOsm/L인 복막 투석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가 3 내지 9에 조정된 복막 투석액.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복막 투석액용의, 사용 시 용해 형인 분말 또는 사용 시 희석형인 농축액.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액 투석용의 투석액으로서의 복막 투석액.
KR1020077026554A 2005-04-20 2006-04-13 복막 투석액 Expired - Fee Related KR101338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22995 2005-04-20
JPJP-P-2005-00122995 2005-04-20
PCT/JP2006/307813 WO2006115067A1 (ja) 2005-04-20 2006-04-13 腹膜透析液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358A true KR20080008358A (ko) 2008-01-23
KR101338766B1 KR101338766B1 (ko) 2013-12-06

Family

ID=3721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554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8766B1 (ko) 2005-04-20 2006-04-13 복막 투석액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90023684A1 (ko)
EP (1) EP1878430B1 (ko)
JP (2) JPWO2006115067A1 (ko)
KR (1) KR101338766B1 (ko)
CN (1) CN101257908B (ko)
WO (1) WO20061150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6111A (ja) * 2008-10-03 2011-12-22 Hayashibara Biochem Lab Inc 敗血症の予防及び治療剤
JP2010150240A (ja) * 2008-11-20 2010-07-08 Oppen Keshohin Kk ニゲロオリゴ糖を有効成分とする皮膚外用剤、抗炎症剤、美白剤および化粧料
CN101890041B (zh) * 2010-02-10 2012-07-25 上海蓝怡科技有限公司 腹膜透析液及其制备方法
US9861733B2 (en) 2012-03-23 2018-01-09 Nxstage Medical Inc. Peritoneal dialysi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GB2503162B (en) 2011-03-23 2018-08-22 Nxstage Medical Inc Peritoneal dialysis systems and devices
EP3218723B1 (en) 2014-11-14 2021-10-06 Haemonetic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determine stroke subtype
US11179516B2 (en) 2017-06-22 2021-11-23 Baxter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corporating patient pressure into medical fluid delivery
US12048791B2 (en) 2017-06-24 2024-07-30 Nxstage Medical, Inc. Peritoneal dialysis fluid preparation and/or treatment devices methods and systems
CA3092575A1 (en) 2018-02-28 2019-09-06 Nxstage Medical, Inc. Fluid preparation and treatment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6724A (ja) * 1989-01-26 1990-08-03 Terumo Corp 腹膜透析液
JP2926412B2 (ja) * 1989-05-19 1999-07-28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α―グリコシル―L―アスコルビン酸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3076051B2 (ja) * 1990-03-27 2000-08-14 日機装株式会社 重曹透析用剤
US6380163B1 (en) * 1992-12-22 2002-04-30 Baxter International Inc. Peritoneal dialysis solutions with polypeptides
FR2716199B1 (fr) * 1994-02-15 1996-04-26 Roquette Freres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hydrolysat d'amidon à faible indice de polymolécularité, nouvel hydrolysat d'amidon ainsi obtenu et son utilisation en dialyse péritonéale.
JP3589701B2 (ja) * 1994-05-31 2004-11-17 味の素ファルマ株式会社 トレハロース含有腹膜透析液
JPH0871146A (ja) * 1994-09-09 1996-03-19 Baxter Kk シクロデキストリン又はその誘導体を含有する腹膜透析液
JP3644024B2 (ja) * 1994-11-04 2005-04-27 順子 清水 腹膜透析液
JPH1094598A (ja) * 1996-07-31 1998-04-14 Baxter Internatl Inc 腹膜透析液
JPH1171273A (ja) * 1997-08-29 1999-03-16 Terumo Corp 腹膜透析液
DE69927093T2 (de) * 1998-07-07 2006-06-29 Terumo K.K. Lösung für die Peritonealdialyse
EP1108434B1 (en) * 1998-08-24 2014-05-14 Kurokawa, Kiyoshi Drugs for relieving carbonyl stress and peritoneal dialysates
TWI312369B (en) * 2000-08-01 2009-07-21 Hayashibara Biochem Lab A-isomaltosylglucosaccharide synthase,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CN1688300A (zh) * 2002-07-01 2005-10-26 株式会社Jms 含有牛磺酸的腹膜透析液
JP2004283571A (ja) * 2003-03-03 2004-10-14 Akira Sakai 三分割法による腹膜透析液調製法
EP1652527A4 (en) * 2003-07-18 2012-03-14 Hayashibara Biochem Lab MINERAL ABSORBENT AND ITS USE
US7053059B2 (en) * 2003-07-25 2006-05-30 Baxter International Inc. Dialysis solutions with reduced levels of glucose degradation products
JP4568035B2 (ja) * 2003-08-28 2010-10-27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環状マルトシルマルトース及び環状マルトシルマルトース生成酵素と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WO2006022174A1 (ja) * 2004-08-24 2008-05-08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アスコルビン酸2−グルコシドを有効成分とする褐変抑制剤とこれを利用する褐変抑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766B1 (ko) 2013-12-06
US20090023684A1 (en) 2009-01-22
JPWO2006115067A1 (ja) 2008-12-18
CN101257908B (zh) 2010-09-08
US9066968B2 (en) 2015-06-30
EP1878430B1 (en) 2016-04-13
EP1878430A4 (en) 2010-09-29
EP1878430A1 (en) 2008-01-16
JP5507609B2 (ja) 2014-05-28
CN101257908A (zh) 2008-09-03
JP2012140468A (ja) 2012-07-26
US20140148409A1 (en) 2014-05-29
WO2006115067A1 (ja)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766B1 (ko) 복막 투석액
CN1068778C (zh) 救治用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63236C (zh) 用于连续性不卧床性腹膜透析的生物适合的水溶液
US5112865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a derivative of 3-hydroxybutanoic acid chosen from oligomers of this acid and esters of this acid or of these oligomers with 1,3-butanediol
US7858595B2 (en) Anti-infectious carbohydrates
US4182756A (en) High calorie solutions of low molecular weight glucose polymer mixtures useful f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US392813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glucose polymers
CN101396358A (zh) 奥拉西坦注射液
EP0078832A1 (en) DIALYSIS SOLUTION CONTAINING GLYCEROL.
KR101330394B1 (ko) 의약 용액,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JP3589701B2 (ja) トレハロース含有腹膜透析液
EP1569595B1 (en) A method for preparing a medical solution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peritoneal dialysis
EP1569596B1 (en) A method for preparing a medical solution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peritoneal dialysis
Shockley et al. New solutions for peritoneal dialysis in adult and pediatric patients
JP3644024B2 (ja) 腹膜透析液
JP3572085B2 (ja) 栄養輸液剤
JP2885261B2 (ja) 3−ヒドロキシ酪酸のオリゴマー及びその塩からなる輸液製剤
EP3950057A1 (en) Osmotic pressure regulator for peritoneal dialysate containing d-allose and/or d-allulose
JP4813741B2 (ja) 軟骨細胞プロテオグリカン生成促進用栄養補助剤
CA1257203A (en) Dialysis with monophosphoryl lipid a
EP0565722A1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pernasal administration
JP2002282354A (ja) 腹膜透析液
KR860000065B1 (ko) 비피드 박테리움균의 증식 촉진 물질의 제조법
CN109091456A (zh) 一种肝素钠注射液及其制备方法
JP2004043490A (ja) 栄養輸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12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1203